KR20110105575A -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 Google Patents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575A
KR20110105575A KR1020100024789A KR20100024789A KR20110105575A KR 20110105575 A KR20110105575 A KR 20110105575A KR 1020100024789 A KR1020100024789 A KR 1020100024789A KR 20100024789 A KR20100024789 A KR 20100024789A KR 20110105575 A KR20110105575 A KR 20110105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region
capping laye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003B1 (ko
Inventor
김명선
신동석
김동혁
이용주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003B1/ko
Priority to US13/052,460 priority patent/US8703592B2/en
Publication of KR2011010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36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source or drain recessed by etching or first recessed by etching and then refil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8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characterised by the angle between the ion beam and the crystal planes or the main crystal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including two or more of the elements provided for in group H01L29/16, e.g. alloys
    • H01L29/1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including two or more of the elements provided for in group H01L29/16, e.g. alloys in different semiconductor regions, e.g. hetero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i.e. salic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spacer, e.g. disposable spac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recessing the gate by forming single 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 at the source or drain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H01L29/7834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with a non-planar structure, e.g. the gate or the source or the drain being non-plan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한다. 상기 제 2 영역을 덮고 상기 제 1 영역을 노출하는 희생패턴을 형성한다.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G)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희생패턴과 분리된다. 상기 희생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한다.

Description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aceted semiconductor pattern and related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시티드 반도체패턴(faceted semiconductor pattern)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에 관한 것이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P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소스/드레인 영역 및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LDD) 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반도체소자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한다. 상기 제 2 영역을 덮고 상기 제 1 영역을 노출하는 희생패턴을 형성한다.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희생패턴과 분리된다. 상기 희생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한다.
몇몇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은 상기 희생패턴과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는 것은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을 1회 또는 다수 회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여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를 공급하여 퍼지(purge)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및 HCl을 함유하는 선택적 에칭가스(selective etching gas)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반도체기판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을 덮는 희생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희생 스페이서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기판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을 형성한다.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희생 스페이서와 분리된다. 상기 희생 스페이서를 제거한다.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한다.
몇몇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희생 스페이서는 "L"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은 B(boron)을 함유하는 SiGe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는 것은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을 1회 또는 다수 회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여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를 공급하여 퍼지(purge)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및 HCl을 함유하는 선택적 에칭가스(selective etching gas)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는 것은 상기 게이트전극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에 엘디디(LDD)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전극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에 헤일로(halo)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은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구비하고, 상기 엘디디(LDD)는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구비하며, 상기 헤일로(halo)는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엘디디(LDD)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게이트전극의 측벽에 오프셋 스페이서(offset spacer)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에 금속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은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 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또 다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n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전극의 측벽에 희생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희생스페이서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기판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막은 p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한다.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막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희생스페이서와 분리된다.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희생스페이서를 제거한다. 상기 게이트전극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에 상기 p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엘디디(LDD)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전극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에 상기 n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헤일로(halo)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엘디디(LDD) 및 상기 헤일로(halo)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게이트전극의 측벽에 오프셋 스페이서(offset spacer)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리세스드 소스/드레인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이 제공된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엘디디(LDD) 및/또는 헤일로(halo)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5의 K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확대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들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5의 K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확대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21F) 및 후면(21B)을 갖는 반도체기판(2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21)에 활성영역(22)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6) 및 게이트 유전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에 버퍼산화막(27) 및 마스크질화막(28)이 잔존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n형 불순물이온들은 As(arsenic), 또는 P(phosphorus) 일 수 있으며, p형 불순물이온들은 B(boron)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상기 n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21F)은 주 표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전면(21F) 및 상기 후면(21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23)은 에스티아이(shallow trench isolation; STI)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23)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과 같은 절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유전막(25)은 상기 게이트 전극(26) 및 상기 반도체기판(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유전막(25)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산질화막, 고유전막(high-K dielectrics),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산화막(27) 및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은 하드마스크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마스크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에 잔존할 수 있다. 상기 버퍼산화막(27)은 실리콘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은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26)은 상기 반도체기판(21) 상에 여러 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26)의 측벽을 덮는 제 1 희생스페이서(33) 및 제 2 희생스페이서(3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영역(22)은 제 1 영역(22A) 및 제 2 영역(2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22A) 및 상기 제 2 영역(22B)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및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상기 제 2 영역(22B)을 덮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영역(22A)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및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서로 다른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는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실리콘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는 상기 게이트 전극(26)의 측벽을 덮고 상기 제 2 영역(22B)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는 "L" 모양 일 수 있다.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의 바닥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에 접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기 버퍼산화막(27), 및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트렌치(35T)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35T)는 이방성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35T)는 하부의 폭이 상부보다 좁은 모양 또는 하부의 폭이 상부보다 넓은 모양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하부의 폭이 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상기 트렌치(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프리크리닝(pre-cleaning)할 수 있다. 상기 프리크리닝(pre-cleaning)은 습식세정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상기 프리크리닝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는 상기 제 2 영역(22B) 상에 보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수납하고 프리베이크(prebake)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는 GeH4 및 HCl 을 공급하는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렌치(35T)를 채우는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 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은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하는 반도체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형이 n형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형은 p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도전형이 p형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n형 불순물이온들은 As(arsenic), 또는 P(phosphorus) 일 수 있으며, p형 불순물이온들은 B(boron)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상기 n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이고,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은 상기 p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반도체막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GeH4,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소스 가스는 SiH4 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은 B(boron)을 함유하는 SiGe 막 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의 상부표면은 상기 주 표면보다 낮은 레벨 또는 높은 레벨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의 상부표면이 상기 주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 상에 캐핑막(capping layer; 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하는 반도체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캐핑막(37)은 패시티드 반도체패턴(faceted semiconductor pattern)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은 제 1폭(d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캐핑막(37)은 제 2폭(d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사이는 제 3폭(d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폭(d2)은 상기 제 1폭(d1)보다 좁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캐핑막(37)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에서 상기 제 3폭(d3) 만큼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5nm-100nm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 및 상기 캐핑막(37)의 형성방법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은 트렌치(trench; 35T) 형성(S1), 프리크리닝(pre-cleaning; S2), 프리베이크(prebake; S3), 소스/드레인 형성(S4), 퍼지(purge; S5), 및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은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6), 퍼지(purge; S7), 에칭(etching: S8), 퍼지(purge; S9), 및 두께확인(S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 S3) 내지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은 동일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인시츄(in-situ)공정일 수 있다. 즉,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 내에 상기 반도체기판(21)을 수납한 후,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 S3) 내지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을 1회 또는 다수 회 수행하여 상기 캐핑막(37)의 두께 및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의 교각(θ)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렌치(trench; 35T) 형성(S1) 및 상기 프리크리닝(pre-cleaning; S2)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 S3), 상기 소스/드레인 형성(S4), 및 상기 퍼지(purge; S5)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스/드레인은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드레인은 B(boron)을 함유하는 SiGe 막 일 수 있다. 상기 퍼지(purge; S5)는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H2 를 공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은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6) 및 상기 퍼지(purge; S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6)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소스 가스는 SiH4 일 수 있다.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6)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의 내부 온도 700℃ - 90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 상에 제 1 캐핑막(first capping layer; 37A)이 선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캐핑막(first capping layer; 37A)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 일 수 있다. 상기 퍼지(purge; S7)는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H2 를 공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에칭(etching: S8)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H2 및 HCl을 공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퍼지(purge; S9)는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H2 를 공급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 캐핑막(first capping layer; 37A)은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제 2 캐핑막(second capping layer; 37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캐핑막(37B)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와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 캐핑막(37B)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S10).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을 반복하여 제 3 캐핑막(37C) 및 제 4 캐핑막(37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4 캐핑막(37D)은 상기 제 2 캐핑막(37B) 상에 보존될 수 있다. 상기 제 4 캐핑막(37D)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와 분리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 100)을 다시 한번 반복하여 상기 제 4 캐핑막(37D) 상에 제 5 캐핑막(37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5 캐핑막(37E)은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와 분리될 수 있다. 차례로 층층이 쌓인 상기 제 2 캐핑막(37B), 상기 제 4 캐핑막(37D), 및 상기 제 5 캐핑막(37E)은 상기 캐핑막(37)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사이에 갭(gap; 37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상기 전면(도 1의 21F) 및 상기 후면(도 1의 21B)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면(21F)의 연장선은 상기 주 표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몇몇 실험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θ)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다수의 시편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약 53도의 교각(θ)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캐핑막(37)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 일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캐핑막(37)은 SiC 막, 또는 SiGe 막 일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의 상부표면은 상기 게이트유전막(25)보다 높은 레벨에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은 트렌치(trench; 35T) 형성(S1), 프리크리닝(pre-cleaning; S2), 프리베이크(prebake; S3), 소스/드레인 형성(S4), 퍼지(purge; S5),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16), 및 퍼지(purge; S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 S3) 내지 상기 퍼지(purge; S17)는 동일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인시츄(in-situ)공정일 수 있다. 즉,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 내에 상기 반도체기판(21)을 수납한 후,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 S3) 내지 상기 퍼지(purge; S17)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trench; 35T) 형성(S1) 내지 상기 퍼지(purge; S5)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capping layer; 37) 형성(S16)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소스 가스는 SiH4 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 상에 캐핑막(37)이 선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 일 수 있다. 상기 퍼지(purge; S17)는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H2 를 공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은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사이에 갭(gap; 37G)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몇몇 실험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은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약 58도의 교각(θ)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를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37) 사이에 상기 활성영역(22)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의 제거에는 H3PO4를 사용하는 에칭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를 제거하는 동안 상기 마스크질화막(28)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버퍼산화막(27)은 상기 게이트전극(26) 상에 보존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버퍼산화막(27) 또한 제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전극(26)의 측벽을 덮는 제 1 스페이서(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41)는 오프셋 스페이서(offset spacer)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캐핑막(37) 사이에 상기 활성영역(22)을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페이서(41)는 상기 캐핑막(37)과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에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LDD; 43) 및 헤일로(halo; 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41)는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과 같은 절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43)는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43) 및 상기 헤일로(halo; 45)는 경사이온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와 이온주입에너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43) 및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캐핑막(37)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엘디디(LDD; 43)보다 낮은 레벨에 형성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엘디디(LDD; 43)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41)보다 먼저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엘디디(LDD; 43)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37)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F)에 기인하여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캐핑막(37) 사이에 상기 엘디디(LDD; 43)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 45)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페이서(41)의 외 측을 덮는 제 2 스페이서(4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41), 상기 제 2 스페이서(47)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43) 및 상기 헤일로(halo; 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41)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47) 아래에 보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47)는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과 같은 절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은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 내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은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은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의 바닥표면보다 높은 레벨에 형성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은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p)은 상기 캐핑막(37) 및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보다 큰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산화막(27)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37)에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26S) 및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26S) 및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은 NiSi, CoSi, TiSi, 또는 TaSi 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은 상기 캐핑막(37)의 표면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캐핑막(37)의 전부를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35)의 일부영역 또한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21)에 활성영역(22)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6) 및 게이트 유전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에 버퍼산화막(27) 및 마스크질화막(28)이 잔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26)의 측벽을 덮는 희생스페이서(13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영역(22)은 제 1 영역(22A) 및 제 2 영역(2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는 상기 제 2 영역(22B)을 덮을 수 있다.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는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희생스페이서(133),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기 버퍼산화막(27), 및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트렌치(135T)를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트렌치(1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프리크리닝(pre-cleaning)할 수 있다. 상기 프리크리닝(pre-cleaning)은 습식세정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는 상기 제 2 영역(22B) 상에 보존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1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수납하고 프리베이크(prebake)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는 GeH4 및 HCl 을 공급하는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렌치(135T)를 채우는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 1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은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하는 반도체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상기 n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이고,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은 상기 p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반도체막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GeH4,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소스 가스는 SiH4 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은 B(boron)을 함유하는 SiGe 막 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의 상부표면이 상기 주 표면보다 높은 레벨을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 상에 캐핑막(capping layer; 1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137)은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137)은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137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137)은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하는 반도체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캐핑막(137)은 패시티드 반도체패턴(faceted semiconductor pattern)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은 제 1폭(d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캐핑막(137)은 제 2폭(d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핑막(137)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 사이는 제 3폭(d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1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1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137F)은 상기 희생스페이서(133)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캐핑막(137)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 사이에 갭(gap; 137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폭(d2)은 상기 제 1폭(d1)보다 좁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캐핑막(137)은 상기 희생스페이서(133)에서 상기 제 3폭(d3) 만큼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137)은 5nm-100nm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를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137) 사이에 상기 활성영역(22)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26)의 측벽을 덮는 제 1 스페이서(1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에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LDD; 143) 및 헤일로(halo; 1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143)는 상기 제 1 스페이서(1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일로(halo; 1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1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137F)에 기인하여 상기 제 1 스페이서(141) 및 상기 캐핑막(137) 사이에 상기 엘디디(LDD; 143)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 145)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페이서(141)의 외 측을 덮는 제 2 스페이서(14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41), 상기 제 2 스페이서(147)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은 상기 캐핑막(137) 및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1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143) 및 상기 헤일로(halo; 1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141)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147) 아래에 보존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산화막(27)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137)에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26S) 및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137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137S)은 상기 캐핑막(37)의 표면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면(21F) 및 후면(21B)을 갖는 반도체기판(2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21)에 활성영역(22)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6) 및 게이트 유전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에 버퍼산화막(27) 및 마스크질화막(28)이 잔존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의 측벽을 덮는 희생스페이서(1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은 제 1 영역(22A) 및 제 2 영역(2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는 상기 제 2 영역(22B)을 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n형 불순물이온들은 As(arsenic), 또는 P(phosphorus) 일 수 있으며, p형 불순물이온들은 B(boron) 일 수 있다. 상기 전면(21F)은 주 표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전면(21F) 및 상기 후면(21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22A) 상에 캐핑막(capping layer; 2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237)은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237)은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237F)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237)은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함유하는 반도체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캐핑막(237)은 패시티드 반도체패턴(faceted semiconductor pattern)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형이 n형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형은 p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도전형이 p형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일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캐핑막(237)은 B(boron)을 함유하는 단결정 Si 막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22A)은 제 1폭(d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캐핑막(237)은 제 2폭(d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핑막(237)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 사이는 제 3폭(d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2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237F)은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상기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θ)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237F)은 상기 희생스페이서(133)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캐핑막(237) 및 상기 희생스페이서(133) 사이에 갭(gap; 237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폭(d2)은 상기 제 1폭(d1)보다 좁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캐핑막(237)은 상기 희생스페이서(133)에서 상기 제 3폭(d3) 만큼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막(237)은 5nm-100nm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스페이서(133)를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237) 사이에 상기 활성영역(22)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26)의 측벽을 덮는 제 1 스페이서(2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에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LDD; 243) 및 헤일로(halo; 2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243)는 상기 제 1 스페이서(2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일로(halo; 2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241)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22)에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237F)에 기인하여 상기 제 1 스페이서(241) 및 상기 캐핑막(237) 사이에 상기 엘디디(LDD; 243) 및/또는 상기 헤일로(halo; 245)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페이서(241)의 외 측을 덮는 제 2 스페이서(24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241), 상기 제 2 스페이서(247) 및 상기 게이트전극(26)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영역(2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엘디디(LDD; 243) 및 상기 헤일로(halo; 245)는 상기 제 1 스페이서(241)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247) 아래에 보존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산화막(27)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26)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26) 및 상기 캐핑막(237)에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26S) 및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237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237S)은 상기 캐핑막(37)의 표면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21)에 활성영역(22)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2)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6) 및 게이트 유전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에 버퍼산화막(27) 및 마스크질화막(28)이 잔존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21)은 제 1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갖는 실리콘웨이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26)의 측벽을 덮는 제 1 희생스페이서(33) 및 제 2 희생스페이서(3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기 버퍼산화막(27), 및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영역(35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 상기 게이트 전극(26), 상기 버퍼산화막(27), 및 상기 마스크질화막(28)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21)에 트렌치(35T)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35T)의 바닥 및 측벽들에 상기 고농도 불순물영역(35A)이 보존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트렌치(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프리크리닝(pre-cleaning)할 수 있다. 상기 프리크리닝(pre-cleaning)은 습식세정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2 희생스페이서(34)는 상기 프리크리닝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희생스페이서(33)는 상기 활성영역(22) 상에 보존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35T)를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21)을 에피택셜 공정챔버(epitaxial process chamber)에 수납하고 프리베이크(prebake)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리베이크(prebake)는 GeH4 및 HCl 을 공급하는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 35), 캐핑막(capping layer; 37), 제 1 스페이서(41),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LDD; 43), 헤일로(halo; 45), 제 2 스페이서(47),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26S) 및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37S)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시스템(1100)은 제어기(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 구조체(1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 및/또는 상기 제어기(1110)는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반도체소자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스 구조체(1150)는 상기 제어기(1110), 상기 입출력 장치(1120), 상기 기억 장치(1130), 및 상기 인터페이스(1140) 상호 간에 데이터들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1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그리고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 키보드 및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기(11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및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칩,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상변화메모리(phase change memory),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또는 알램(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칩,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시스템(1100)은 반도체 디스크 장치(solid state disk; SSD)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유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에는 응용 칩셋(Application Chipset),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Processor:CIS), 그리고 입출력 장치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모바일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산업용 컴퓨터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시스템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모바일폰(mobile phone), 무선폰(wireless phone), 랩톱(laptop) 컴퓨터, 메모리 카드, 디지털 뮤직 시스템(digital music system) 그리고 정보 전송/수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인 경우에,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ADC(North American Digital Cellular), E-TDMA(Enhance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21: 반도체기판 21F: 전면 21B: 후면
22: 활성영역 22A: 제 1 영역 22B: 제 2 영역
23: 소자분리막
25: 게이트 유전막 26: 게이트 전극
26S: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
27: 버퍼산화막 28: 마스크질화막
33, 34, 133: 희생스페이서
35T, 135T: 트렌치
35, 135: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
35A, 35p, 235: 고농도 불순물영역
37, 137, 237: 캐핑막(capping layer)
37A: 제 1 캐핑막 37B: 제 2 캐핑막
37C: 제 3 캐핑막 37D: 제 4 캐핑막
37E: 제 5 캐핑막
37G, 137G, 237G: 갭(gap)
37F, 137F, 237F: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
37S, 137S, 237S: 드레인 금속실리사이드막
41, 141, 241: 제 1 스페이서
43, 143, 243: 엘디디(LDD)
45, 145, 245: 헤일로(halo)
47, 147, 247: 제 2 스페이서
1100: 전자 시스템
1110: 제어기 1120: 입출력 장치
1130: 기억 장치 1140: 인터페이스
1150: 버스 구조체

Claims (10)

  1.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영역을 덮고 상기 제 1 영역을 노출하는 희생패턴을 형성하고,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되,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희생패턴과 분리되고,
    상기 희생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을 이루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1도 내지 55도의 교각을 이루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은 상기 희생패턴과 분리되도록 형성하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을 형성하는 것은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Cyclic SEG process)을 1회 또는 다수 회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싸이클릭 에스이지 공정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여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를 공급하여 퍼지(purge)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갖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H2 및 HCl을 함유하는 선택적 에칭가스(selective etching gas)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막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기판에 실리콘소스 가스, B2H6, H2, 및 HCl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7. 반도체기판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을 덮는 희생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희생 스페이서에 인접한 상기 반도체기판에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리세스드 소스/드레인(recessed source/drain)을 형성하고,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 상에 패시티드 측벽(faceted sidewall)을 갖는 캐핑막(capping layer)을 형성하되,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희생 스페이서와 분리되고,
    상기 희생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이온들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스페이서는 "L" 모양인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드 소스/드레인은 B(boron)을 함유하는 SiGe 막인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티드 측벽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주 표면에 대하여 50도 내지 59도의 교각을 이루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KR1020100024789A 2010-03-19 2010-03-19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KR10171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89A KR101714003B1 (ko) 2010-03-19 2010-03-19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US13/052,460 US8703592B2 (en) 2010-03-19 2011-03-21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faceted semiconductor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89A KR101714003B1 (ko) 2010-03-19 2010-03-19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575A true KR20110105575A (ko) 2011-09-27
KR101714003B1 KR101714003B1 (ko) 2017-03-09

Family

ID=4465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789A KR101714003B1 (ko) 2010-03-19 2010-03-19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03592B2 (ko)
KR (1) KR101714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01A (ko) * 2014-07-21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6409B2 (en) * 2010-07-15 2014-08-2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al-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KR101776926B1 (ko) * 2010-09-07 2017-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847225B2 (en) * 2011-11-15 2017-1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62433B2 (en) 2012-06-12 2015-02-2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OS transistor process
CN104183491B (zh) * 2013-05-21 2018-05-0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晶体管的形成方法
CN104681441A (zh) * 2013-11-29 2015-06-0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避免嵌入式锗硅顶部帽层受到蚀刻污染的方法
CN104752216B (zh) * 2013-12-30 2017-11-0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晶体管的形成方法
US9343412B2 (en) * 2014-02-12 2016-05-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Method of forming MOSFET structure
JP6275559B2 (ja) * 2014-06-13 2018-02-0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31512B2 (en) * 2014-06-18 2016-08-30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nanowire devices with spacers and the resulting devices
US9490340B2 (en) 2014-06-18 2016-11-08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nanowire devices with doped extension regions and the resulting devices
TWI575748B (zh) * 2014-09-01 2017-03-2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P型場效電晶體及包含該p型場效電晶體的互補式金屬氧化半導體電晶體
US9871042B2 (en) * 2015-12-03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in-type patterns
CN107180764B (zh) * 2016-03-11 2020-09-0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电子装置
CN107437504B (zh) * 2016-05-26 2020-06-0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电子装置
WO2018063335A1 (en) * 2016-09-30 2018-04-05 Intel Corporation Tunneling transistors including source/drain regions employing carbon-based etch stop lay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792A (en) * 1995-07-28 1998-03-31 Nec Corporation MOS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improved pocket regions for suppressing any short channel effec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80157091A1 (en) * 2004-06-17 200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cyclic selective epitaxial growth technique and semiconductor devices formed using the same
US20090246922A1 (en) * 2008-03-27 2009-10-01 Meng-Yi Wu Method of forming cmos 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926A (en) 1982-01-12 1985-10-29 Rca Corporation Method for growing monocrystalline silicon on a mask layer
JPS5939711A (ja) 1982-08-26 1984-03-05 Ushio Inc ウエハ−上の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もしくは多結晶シリコンをエピタキシアル成長させる方法
US4578142A (en) 1984-05-10 1986-03-25 Rca Corporation Method for growing monocrystalline silicon through mask layer
US4698316A (en) 1985-01-23 1987-10-06 Rca Corporation Method of depositing uniformly thick selective epitaxial silicon
US4592792A (en) 1985-01-23 1986-06-03 Rca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uniformly thick selective epitaxial silicon
JPS61265814A (ja) 1985-05-20 1986-11-25 Nec Corp 化合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929291B2 (ja) 1986-12-04 1999-08-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絶縁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350191A (ja) 1989-07-17 1991-03-04 Kawasaki Steel Corp エピタキシャル成長方法
JPH0350771A (ja) 1989-07-18 1991-03-05 Seiko Instr Inc 半導体装置
DE69421465T2 (de) 1993-07-30 2000-02-10 Applied Materials Inc Verfahren zur Ablagerung von Silzium-Nitrid auf Siliziumoberflächen
JPH07161991A (ja) 1993-12-10 1995-06-23 Ricoh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606143B2 (ja) 1994-07-22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3005A (ja) 1995-07-06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77759B1 (en) 1997-06-30 2004-08-17 Intel Corporation Device stru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silicide encroachment
JP2967477B2 (ja) * 1997-11-26 1999-10-2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00032858A (ko) 1998-11-18 2000-06-15 윤종용 미스얼라인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00055596A (ko) 1999-02-08 2000-09-15 윤종용 폴리사이드 구조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US6290774B1 (en) 1999-05-07 2001-09-18 Cbl Technology, Inc. Sequential hydride vapor phase epitaxy
US6346732B1 (en) 1999-05-14 2002-02-12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with oxide mediated epitaxial layer
US6190453B1 (en) 1999-07-14 2001-02-20 Seh America, Inc. Growth of epitaxial semiconductor material with improved crystallographic properties
KR100307636B1 (ko) 1999-10-07 2001-11-02 윤종용 올라간 구조의 소오스/드레인을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1338988A (ja) 2000-05-25 2001-12-07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3853B1 (ko) 2000-08-11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소자의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방법
KR20020028488A (ko) 2000-10-10 2002-04-17 박종섭 에피층 성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US6489206B2 (en) * 2001-03-22 2002-12-0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local-halo metal-oxide-semiconductor device
KR20020083767A (ko)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공정에서의 기판 세정 방법
KR100430404B1 (ko) 2001-06-02 2004-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 및 선택적 실리콘 식각기술을 사용한 단결정 실리콘 패턴 형성 방법
US6429084B1 (en) 2001-06-20 2002-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S transistors with raised sources and drains
US6605498B1 (en) 2002-03-29 2003-08-12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transistor having a backfilled channel material
US6946371B2 (en) 2002-06-10 2005-09-20 Amberwave Systems Corporatio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structures having epitaxially grown source and drain elements
JP2004095639A (ja) 2002-08-29 2004-03-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657223B1 (en) 2002-10-29 2003-12-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trained silicon MOSFET having silicon source/drain regions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US6998305B2 (en) 2003-01-24 2006-02-14 Asm America, Inc. Enhanced selectivity for epitaxial deposition
KR20050010252A (ko)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0546369B1 (ko) 2003-08-22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택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실리사이드막을 구비한고집적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166528B2 (en) 2003-10-10 2007-01-23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of selective deposition of heavily doped epitaxial SiGe
JP2005228761A (ja) 2004-02-10 2005-08-25 Rohm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25175B1 (ko) 2004-05-2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층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93736B1 (ko) 2004-06-1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결정 반도체 상에 선택적으로 에피택시얼 반도체층을형성하는 방법들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들
US7361563B2 (en) 2004-06-17 2008-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selective epitaxial growth technique
US7435665B2 (en) 2004-10-06 2008-10-14 Okmetic Oyj CVD doped structures
US7312128B2 (en) 2004-12-01 2007-12-25 Applied Materials, Inc. Selective epitaxy process with alternating gas supply
KR100882930B1 (ko) 2004-12-17 2009-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들을 갖는 씨모스 반도체 소자들 및 그 제조방법들
KR100678468B1 (ko) 2005-01-1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의 인-시츄 세정방법 및 이를 채택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4361886B2 (ja) 2005-02-24 2009-11-11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3317A (ja) 2005-03-09 2006-09-21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pチャネルMOSトランジスタ
US7538029B2 (en) 2005-07-06 2009-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room temperature growth of SiOx on silicide as an etch stop layer for metal contact open of semiconductor devices
KR101155097B1 (ko) 2005-08-24 2012-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장치
KR100647457B1 (ko) 2005-12-09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882B1 (ko) 2005-12-14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방법
US7816217B2 (en) 2005-12-22 2010-10-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step epitaxial process for depositing Si/SiGe
US20070202669A1 (en) 2006-02-27 2007-08-30 Fujitsu Limited Epitaxial growth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US7781799B2 (en) 2007-10-24 2010-08-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ource/drain strained layers
US20090140351A1 (en) 2007-11-30 2009-06-04 Hong-Nien Lin MOS Devices Having Elevated Source/Drain Reg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792A (en) * 1995-07-28 1998-03-31 Nec Corporation MOS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improved pocket regions for suppressing any short channel effec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80157091A1 (en) * 2004-06-17 200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cyclic selective epitaxial growth technique and semiconductor devices formed using the same
US20090246922A1 (en) * 2008-03-27 2009-10-01 Meng-Yi Wu Method of forming cmos transis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01A (ko) * 2014-07-21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0027A1 (en) 2011-09-22
KR101714003B1 (ko) 2017-03-09
US8703592B2 (en)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003B1 (ko) 패시티드 반도체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형성방법 및 관련된 소자
US933705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411119B2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8735239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compressive stress patter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9595611B2 (en) FinFET with a single contact to multiple fins bridged together to form a source/drain region of the transistor
US9299836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multilayer source/drain stress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14990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ifferent threshold voltages
US9401360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etching stop films
KR20150125333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3158A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20150104913A1 (en) Simultaneous Formation of Source/Drain Openings with Different Profiles
US20150155381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23655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8825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197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15375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32918A (ko) 반도체 장치
KR102392695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7375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20160005864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40036823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2110762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6259B1 (ko)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형성 방법
CN106057891B (zh) 包括场效应晶体管的半导体器件
JP2012230993A (ja) 半導体基板、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