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144A - 이형용 시트 - Google Patents

이형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144A
KR20100043144A KR1020097025535A KR20097025535A KR20100043144A KR 20100043144 A KR20100043144 A KR 20100043144A KR 1020097025535 A KR1020097025535 A KR 1020097025535A KR 20097025535 A KR20097025535 A KR 20097025535A KR 20100043144 A KR20100043144 A KR 20100043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sin
mass
release sheet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712B1 (ko
Inventor
노부야스 오쿠무라
마사후미 야마다
켄진 시바
Original Assignee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24Halogen containing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기재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이형용 시트이다. 수지층은 산변성 성분 1~10질량%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와, 가교제 1~50질량부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 5~1000질량부를 함유한다. 가교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또는 옥사졸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형용 시트, 이형용 시트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이형용 시트{RELEASE SHEET}
본 발명은 이형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형용 시트는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지의 이형용 시트로서, 예를 들면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 재료의 점착·접착면 보호 재료 또는 공정 재료; 프린트 배선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등의 제조를 위한 공정 재료;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품인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의 보호 재료; 시트 형상 구조체의 성형 용도에 이용되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이형용 시트가 이용되는 대상을 「피착체」라고 칭한다.
이형용 시트의 구성으로서는 이형성을 갖는 수지를 필름화한 것, 또는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 상에 이형제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적층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형성을 갖는 수지는 대체로 고가이기 때문에 전자와 같은 단체(團體)로 필름화한 것은 고가가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압출 라미네이트 또는 코팅에 의해 저렴한 기재에 이형층을 적층 한 것이 수많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압출 라미네이트에서는 기재 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낮다. 또한, 기재와의 밀착성에도 과제가 있다.
코팅에 의한 적층은 이형층의 박막화라는 점에서 효과적인 처방이고,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제계의 코팅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비닐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적층하는 방법(JP 2002-182037 A), 불소 화합물을 적층하는 방법(JP 2007-002066 A)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수(水)계의 이형용 코팅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왁스류, 저분자량의 실리콘 화합물,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이형층으로서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피착체를 이형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들 이형제가 피착체에 전사되어 피착체의 기능, 예를 들면 점착성 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 코팅에 의해 실리콘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JP 07-196984 A, JP 2005-125656 A), 불소 함유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JP 2004-114620 A), 특수한 조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JP 2007-031639 A, JP 2002-265719 A), 폴리비닐알코올을 장쇄 알킬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이형제와 산변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적층하는 방법(JP 09-104851 A)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JP 2002-182037 A에 기재된 수지층은 적층, 경화를 위해 고온에서의 처리가 필요해져 버린다. JP 2007-002066 A에 기재된 수지는 고가인데다 사용 후의 폐기 소각 처리에 있어서 연소되기 어렵고, 또한 유독 가스를 발생시킨다. 또한, 모두 이형제를 균일하게 코팅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
JP 07-196984 A, JP 2005-125656 A에 기재된 수계의 코팅제를 사용하는 수지층은 기재와의 밀착성이 부족하고, 또한 이형성 등이 불충분하다. JP 2004-114620 A에 기재된 방법에는 JP 2007-002066 A와 마찬가지의 과제가 남는다.
JP 2007-031639 A, JP 2002-265719 A의 방법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JP 2007-031639 A에서는 실제의 이형용 시트로서의 평가가 행해지지 않았다. 또한, 코팅제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되기 때문에 피착체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JP 2002-265719 A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지는 고가이고, 또한 융점이 높기 때문에 이형용 시트로 할 때에 고온에서의 처리를 필요로 한다.
JP 09-104851 A의 방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장쇄 알킬 화합물과 미리 반응시켜 이형제로 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또한 코팅제로 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피착체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피착체로의 이형층의 이행이 없으며, 또한 폐기시의 환경 부하가 적은 이형용 시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특정한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배합한 수지의 층은 이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재에 적층함으로써 이형용 시트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의 요지는 하기와 같다.
(1) 기재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이형용 시트로서, 수지층이 산변성 성분 1~10질량%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와, 가교제 1~50질량부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 5~1000질량부를 함유하고, 가교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또는 옥사졸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2) 산변성 성분 1~10질량%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와, 가교제 1~50질량부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 5~1000질량부를 함유하고, 가교제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또는 옥사졸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액상물을 기재 상에 도공(塗工)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는 습윤성을 가지면서도 양호한 이형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형성을 발현시킴에 있어서 왁스류나 저분자량의 실리콘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의 이형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박리시에 피착체를 오염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불소 등 할로겐 원소를 함유하는 이형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폐기시의 환경으로의 부하도 적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점착 재료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품 등의 보호 재료;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때의 공정 재료; 이온 교환막이나 세라믹 그린 시트 등의 시트 형상 구조체를 성형할 때의 용도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를 공업적으로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을 갖는다. 수지층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한다.
수지층에 함유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그 산변성 성분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1~10질량%인 것이 필요하고, 1~7질량%가 바람직하며, 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3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변성 성분의 양이 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와의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고, 피착체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수지를 수성 분산화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10질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산변성 성분으로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성분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 외에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하프 에스테르, 하프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지의 분산 안정성의 면으로부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주성분인 올레핀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2-부텐, 1-부텐, 1-펜텐, 1-헥센 등의 탄소수 2~6의 알켄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이 중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등의 탄소수 2~4의 알켄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이 더욱 바람직하며, 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이유로부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성분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은 0.5~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열가소성수지 필름 기재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해 이 범위는 1~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성분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과 탄소수 1~30의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입수 용이함의 점으로부터 (메타)아크릴산과 탄소수 1~20의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이 중에서,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의 점으로부터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옥틸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이 더욱 바람직하며, 아크릴산 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각 성분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 공중합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공중합의 상태로서는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 블록 공중합, 그래프트 공중합(그래프트 변성) 등을 들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은 8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30℃가 보다 바람직하며, 90~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150℃를 초과하면 수지층의 형성에 고온에서의 처리가 필요해지고, 80℃ 미만에서는 이형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캣 연화점(vicat softening temperature)은 50~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3~110℃가 보다 바람직하며, 55~90℃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캣 연화점이 50℃미만인 경우에는 이형성이 저하되고, 1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층의 형성에 고온에서의 처리가 필요해진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elt flow rate)는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 1~10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0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200g/10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g/10분 미만인 것은 수지의 제조가 어렵고, 또한 수성 분산체로 하는 것이 어렵다. 1000g/10분을 초과하는 것은 수지층의 기재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피착체로의 수지층의 이행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상품명으로서는 알케마사제의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인 본다인 시리즈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상품명으로서 「LX-4110」, 「HX-8210」, 「HX-8290」, 「AX-8390」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의 수지층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한다. 가교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또는 옥사졸린 화합물이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중 혼합 안정성 및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옥사졸린 화합물이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50질량부 인 것이 필요하고, 3~3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1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에서는 첨가 효과가 부족하고, 50질량부를 초과하면 이형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옥사졸린 화합물은 병용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옥사졸린 화합물의 합계량이 상기한 가교제의 함유량의 범위를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p-페닐렌-비스(2,6-크실릴카르보디이미드), 테트라메틸렌-비스(t-부틸카르보디이미드), 시클로헥산-1,4-비스(메틸렌-t-부틸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중합체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 용이함으로부터 폴리카르보디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탈이산화탄소를 따르는 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다관능 액상 고무나 폴리알킬렌디올 등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시판품으로서는 닛신보우사제의 카르보디라이트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상품명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타입의 「SV-02」, 「V-02」, 「V-02-L2」, 「V-04」; 에멀션 타입의 「E-01」, 「E-02」; 유기 용액 타입의 「V-01」, 「V-03」, 「V-07」, 「V-09」; 무용제 타입의 「V-05」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옥사졸린 화합물은 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2,2'-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비스(2-옥사졸리닐시클로헥산)술피드 등의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 용이함으로부터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등의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머의 시판품으로서는 닛폰 쇼쿠바이사제의 에포크로스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상품명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타입의 「WS-500」, 「WS-700」; 에멀션 타입의 「K-1010E」, 「K-1020E」, 「K-1030E」, 「K-2010E」, 「K-2020E」, 「K-2030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닐에스테르의 중합체를 완전 또는 부분 비누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비누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알칼리 비누화법이나 산 비누화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탄올 중에서 수산화알칼리를 사용하여 가(加)알코올 분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 명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물로서 사용할 경우를 위해 수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에스테르로서는 포름산 비닐,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피발산 비닐, 버사틱산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 비닐이 공업적으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비닐에스테르에 대하여 다른 비닐 화합물을 공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비닐 화합물인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염, 무수물, 아미드, 니트릴류나; 말레산, 이타콘산, 푸말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그 염; 탄소수 2~30의 α-올레핀류; 알킬비닐에테르류; 비닐피롤리돈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300~2,000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할 경우, 그 함유량은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1000질량부인 것이 필요하고, 10~600질량부가 바람직하며, 20~4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30~200질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5질량부 미만에서는 첨가 효과가 부족하다. 1000질량부를 초과해도 첨가 효과의 향상은 부족하고, 또한 액상물로서의 사용시에는 액 안정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시판의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상품명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니혼 사쿠비·포발사의 「J-포발」의 구체적인 상품명 「JC-05」, 「VC-10」, 「ASC-05X」, 「UMR- 10HH」; 쿠라레이사의 「쿠라레이 포발」의 구체적인 상품명 「PVA-103」, 「PVA-105」나, 「엑세발」의 구체적인 상품명 「AQ4104」, 「HR3010」; 덴키 카가쿠 코교사의 「덴카 포발」의 구체적인 상품명 「PC-1000」, 「PC-2000」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와 폴리비닐알코올은 병용해도 좋고, 그러한 경우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가교제, 폴리비닐알코올의 첨가량은 각각이 상술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질량 비율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가 아니면 안 된다.
이형용 시트의 수지층은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왁스류, 계면활성제의 합계 함유량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이 적을수록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피착체의 오염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왁스류란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식물 왁스, 동물 왁스, 광물 왁스, 석유 화학 왁스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칸델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베리 왁스, 호호바 왁스, 쉐어 버터, 밀랍, 셸락 왁스, 라놀린 왁스, 경랍, 몬탄 왁스, 세레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합성 폴리에틸렌 왁스, 합성 폴리프로필렌 왁스, 합성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말하는 계면활성제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반응성 계면활성제 등 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乳化) 중합에 이용되는 것 외에 유화제류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알코올의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알킬술폰산 및 그 염, 알킬벤젠술폰산 및 그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설페이트염, 비닐술포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소르비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프로페닐페놀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이나 이들의 황산 에스테르염, 알릴알킬페놀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이나 이들의 황산 에스테르염, 알릴디알킬페놀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이나 이들의 황산 에스테르염 등의 반응성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형용 시트의 기재로서는 수지 재료, 종이, 합성지, 천, 금속 재료, 유리 재료 등으로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통상은 1~1000㎛면 좋고, 1~500㎛가 바람직하며, 1~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락트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6-나일론, 폴리-m-크실릴렌아디프아미드(MXD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들 수지의 복층체(예를 들면, 나일론6/MXD/나일론6, 나일론6/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일론6)나 혼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재료는 연신 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수지 재료는 공지의 첨가제나 안정제,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가소제, 활제, 산화 방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수지 재료는 그 밖의 재료와 적층할 경우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면에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약품 처리, 용제 처리 등을 시행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실리카, 알루미나 등이 증착되어 있어도 좋고, 배리어층이나 이접착층, 대전 방지층, 자외선 흡수층,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기재로서 수지 재료를 이용할 경우, 수지 재료는 매우 대전되기 쉽기 때문에 여러가지 장해를 발생시킬 경우가 있으므로 대전 방지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처리된 기재이면 공정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박리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마찰 대전이나 박리 대전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가 대기 중의 이물질이나 먼지, 티끌 등을 흡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제품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보호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박리 대전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점착면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전 방지 처리된 수지 재료에 의해 기재를 형성한 이형용 시트는 그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10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10Ω/□보다 큰 경우에는 대전 방지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쉽다. 그 결과, 대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기 때문에 제품에 결함이 생기거나,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대전 방지 처리된 수지 재료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수지 중에 대전 방지 재료를 혼입하는 방법, 수지 재료에 대전 방지 재료를 함유하는 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있다. 대전 방지 재료를 함유하는 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보다 저비용으로 대전 방지 처리할 수 있다.
대전 방지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대전 방지 재료로서는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및 티오펜계 등의 도전성 고분자; 카본블랙이나 케첸블랙 등의 도전성 카본; 산화주석,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산화주석 도프 인듐 등의 산화주석계 초미립자를 들 수 있다.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이들 대전 방지 재료를 단체 또는 바인더 수지와 혼합한 조성물로 하여 수지 재료에 혼입하거나, 또는 액상물로 하여 수지 재료의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대전 방지 처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검사 공정에 있어서의 이물의 파악이 용이해진다는 점에서 산화주석계 초미립자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산화주석계 초미립자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금속 주석이나 주석 화합물을 가수 분해 또는 열가수 분해하는 방법이나, 주석 이온 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을 알칼리 가수 분해하는 방법이나, 주석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을 이온 교환막이나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이온 교환하는 방법 등 어떠한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재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피롤 분산액으로서는 마루비시 유카사제의 PPY-12가 있고, 도전성 카본 분산액으로서는 라이온사제의 WS310A 등이 있다. 산화주석 초미립자 수분산체로서 야마나카 카가쿠 코교사제 EPS-6, 유니티카사제 AS11T, AS20I가 있다.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계 초미립자 수분산체로서 이시하라 산교사제 SN-100D가 있다. 산화주석 도프 인듐 초미립자로서 씨아이 카세이사제 ITO가 있다.
대전 방지 재료와 혼합하는 바인더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 우레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부타디엔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메타)아크릴아미드 수지, 염소화폴리에틸렌 수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사용하는 기재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충분한 대전 방지성, 강도 및 흠집이 나기 어려운 균일한 두께의 피막이 얻어지는 0.01~100㎛가 바람직하고, 0.05~20㎛가 보다 바람직하며, 0.1~5㎛가 더욱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처리는 수지 재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종이나 합성지, 천이나 유리 재료 등에도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종이로서는 화지(和紙), 크라프트지, 라이너지, 아트지, 코트지, 커튼지, 글라신지, 세미글라신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합성지는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층 구조여도 좋고 다층 구조여도 좋다. 다층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층과 표면층의 2층 구조, 기재층의 표리면에 표면층이 존재하는 3층 구조, 기재층과 표면층 사이에 다른 수지 필름층이 존재하는 다층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각 층은 무기나 유기의 필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미세한 보이드를 다수 갖는 미다공성 합성지도 사용할 수 있다.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천으로서는 상술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목면, 비단, 마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편포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금속 재료로서는 알루미늄박이나 동박 등의 금속박이나, 알루미늄판이나 동판 등의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유리 재료로서는 유리판이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한 기재에는 또한 종이, 합성지, 천, 다른 수지 재료, 금속 재료 등을 기재에 있어서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적층해도 좋다.
이형용 시트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두께는 0.0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0.7㎛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이형성이 얻어지지 않고, 5㎛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형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특히, 대전 방지 처리된 수지 재료 상에 수지층을 형성한 경우 수지층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얻어지지 않고, 박리 공정에 있어서 대전되어 표면에 대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부착됨으로써 제품의 결함 및 점착력 저하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수지층 표면의 습윤 장력은 30m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2m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습윤 장력이 30mN/m 미만에서는 수지층 상에 다른 코팅제나 액상물을 적층하는 것이 어려워질 경우가 있다. 습윤 장력이란 Zisman에 의한 임계표면 장력을 의미한다. 이것은 JIS K6768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이형용 시트의 수지층과 피착체로서의 점착 재료를 가열 압착한 후의 수지층과 피착체로서의 점착 재료 사이의 박리 강도를 10N/50㎜폭 이하, 바람직하게는 8N/50㎜폭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N/50㎜폭 이하로 할 수 있다. 박리 강도가 10N/50㎜폭을 초과하면 이형용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물을 기재 상에 도공한 후 건조한다는 제조 방법에 의해 공업적으로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각 성분이 액상 매체 중에 균일하게 혼합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i)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액 또는 용액에 가교제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산액 또는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ⅱ)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물을 액상화하는 방법.
상기 (i)의 방법의 경우에는 분산액 또는 용액을 적절히 혼합하면 좋다.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산액 또는 용액을 이용할 경우 그 용질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취급 용이함의 점으로부터 5~1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ⅱ)의 방법의 경우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액상화할 때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하면 좋다.
또한, 다른 성분을 첨가할 경우에 있어서도 (i) 또는 (ⅱ)의 제법에 있어서의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를 행할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물에 있어서의 용매는 기재 상으로의 액상물의 도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물, 유기 용제, 또는 물과 양 친매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수성 매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 상 물 또는 수성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물이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할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용해성으로부터 매체에는 물 또는 수성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디에틸케톤(3-펜타논), 메틸프로필케톤(2-펜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4-메틸-2-펜타논), 2-헥사논, 5-메틸-2-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벤젠, 솔베소 100, 솔베소 150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부탄, 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노난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m-디클로로벤젠, p-디클로로벤젠 등의 함할로겐류;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탄산 디에틸, γ-부티로락톤, 이소포론 등의 에스테르류; 후술하는 양 친매성 유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매체란 물과 양 친매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물의 함유량이 2질량% 이상인 용매를 의미한다. 양 친매성 유기 용제란 20℃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에 대한 물의 용해성이 5질량% 이상인 유기 용제를 말한다[20℃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에 대한 물의 용해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용제 핸드북」(코단샤 사이언티픽, 1990년 제 10판) 등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음].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이하 「EA」라고 약칭함), n-프로판올(이하 「NPA」라고 약칭함), 이소프로판올(이하 「IPA」라고 약칭함)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탄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그 외에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하 「TEA」 라고 약칭함),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이하 「DMEA」라고 약칭함), N,N-디에틸에탄올아민, N-디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아민 화합물;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등의 락탐류 등을 들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기와 같은 수성 매체에 분산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국제 공개 WO02/055598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수성 매체 중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다른 성분과의 혼합시의 안정성 및 혼합 후의 보존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수평균 입자 지름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경은 WO02/055598에 기재된 제법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상물에 있어서의 고형분 함유율은 적층 조건, 목적으로 하는 두께나 성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액상물의 점성을 적당히 유지하고, 또한 양호한 수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1~60질량%가 바람직하고, 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상물을 기재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어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플로우 코팅, 스프레이 코팅, 침지 코팅, 브러시 페인팅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액상물을 기재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 실온 부근에서 세팅한 후 건조 처리 또는 건조를 위한 가열 처리에 제공함으로써 균일한 수지층을 기재에 밀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용 시트는 다양한 피착체에 대하여 양호한 이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지층을 사이에 두고 피착체에 적층시킴으로써 적층체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재료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품 등을 위한 보호 재료, 프린트 배선판의 프레스 공정 재료, 시트 형상 구조체의 성형 공정 재료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재료로서는 점착 시트, 접착 시트, 점착 테이프, 접착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에 점착제가 적층된 것이다. 점착제의 성분이나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를 들 수 있다. 점착제에는 로진계, 쿠마론-인덴계, 테르펜계, 석유계, 스티렌계, 페놀계, 크실렌계 등의 점착 부여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로서는 상술한 종이, 천,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품으로서는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위상차판 등을 들 수 있다.
프린트 배선판으로서는 편면 프린트 배선판, 양면 프린트 배선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다층 프린트 배선판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형상 구조체의 예로서는 퍼플루오로술폰산 수지 등의 고분자 전해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교환막; 유전체 세라믹스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그린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용매에 의해 페이스트 형상 또는 슬러리 형상으로 한 원료를 이형용 시트 상에 캐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성
1H-NMR 분석 장치(베리안사제 GEMINI2000/300, 300㎒)에 의해 구했다. 오르토 디시클로벤젠(d4)을 용매로 하여 120℃에서 측정했다.
(2)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수지 10㎎을 샘플로 하여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퍼킨엘머사제 DSC7)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승온 곡선으로부터 융점을 구했다.
(3)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캣 연화점
JIS K720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4)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JIS K6730에 기재(190℃, 2160g 하중)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5) 수성 분산체의 유기 용제 함유율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GC-8A[FID 검출기 사용, 캐리어 가스:질소, 칼럼 충전 물질(지엘 사이언스사제):PEG-HT(5%)-Uniport HP(60/80메시), 칼럼 사이즈:직경 3㎜×3m, 시료 투입 온도(인젝션 온도):150℃, 칼럼 온도:60℃, 내부 표준 물질:n-부탄올]를 이용해 수성 분산체 또는 수성 분산체를 물 로 희석한 것을 직접 장치 내에 투입하여 유기 용제의 함유율을 구했다. 검출 한계는 0.01질량%였다.
(6) 액상물의 고형분 농도
액상물을 적량 칭량하고, 이것을 150℃에서 잔존물(고형분)의 질량이 항량(恒量)에 이를 때까지 가열함으로써 고형분 농도를 구했다.
(7)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자 지름
닛키소우사제,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 UPA150(MODEL No. 9340 , 동적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수평균 입자 지름을 구했다. 입자 지름 산출에 이용한 수지의 굴절률은 1. 57로 했다.
(8) 수지층의 두께
액상물을 기재 필름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수지층을 적층한 필름(이하 「이형 필름」이라고 함)의 전체 두께를 접촉식 막후계에 의해 측정하고, 그 측정값으로부터 기재 필름의 두께를 빼서 구했다.
(9) 수지층면의 습윤 장력
JIS K6768에 기재된 측정법에 준하여 표면 장력이 순서대로 다르도록 조정한 표준액(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포름아미드)을 처리면에 도포하고, 수지층면을 적신다고 판정된 표준액의 표면 장력에 의해 나타냈다.
(10) 박리 강도
얻어진 이형 필름의 수지층측에 폭 50㎜, 길이 150㎜의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닛토 덴코사제, No. 31B/ 아크릴계 점착제)를 고무 롤로 압착하여 시료로 했다. 시료를 금속판/고무판/시료/고무판/금속판의 형태로 끼워 2㎪ 하중, 70℃의 분위기에서 20시간 방치하고, 그 후 30분 이상 냉각하여 상온으로 되돌려 박리 강도 측정용 시료를 얻었다. 이 박리 강도 측정용 시료의 점착 테이프와 이형 필름의 박리 강도를 25℃의 항온실에서 인장 시험기(인테스코사제, 정밀 만능 재료 시험기, 2020형)로 측정했다. 박리 각도는 180도, 박리 속도는 300㎜/분으로 했다.
(11) 재점착성
상기 박리 강도 시험에 의해 이형 필름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폭 50㎜의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를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유니티카사제 「엠블렛 PET-12」, 두께 12㎛)의 코로나 처리면에 부착하고, 2㎪ 하중 하 실온에서 20시간방치했다. 그 후,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와 필름의 박리 강도(재점착 강도)를 25℃의 항온실에서 인장 시험기(인테스코사제, 정밀 만능 재료 시험기, 2020형)로 측정했다. 박리 각도는 180도, 박리 속도는 300㎜/분으로 했다.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 표면이 이형 필름에 의해 오염된 경우 점착 테이프의 재점착성이 저하되어 점착 테이프로서의 성능이 손상된다. 따라서, 재점착 강도는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12) 이형 필름의 대전 방지성
JIS-K6911에 기초하여 어드밴티스트사제의 디지털 초고저항/미소 전류계, R8340을 이용하여 수지층의 표면 저항값을 온도 23℃, 습도 65% 분위기 하에서 측정했다.
[수성 분산체(E-1)]
히터가 장착된 밀폐할 수 있는 내압 1리터용 유리 용기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하고, 60.0g의 「본다인 LX-4110」(알케마사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90.0g의 IPA(와코 쥰야쿠사제), 3.0g의 TEA(와코 쥰야쿠사제) 및 147.0g의 증류수를 유리 용기 내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300rpm으로 하고, 계내 온도를 140~145℃로 유지하여 30분간 교반했다. 그 후, 수욕(水浴)에 제공하여 회전 속도 300rpm인 채 교반하면서 실온(약 25℃)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300메시의 스테인리스제 필터(선경 0.035㎜, 평직)로 가압 여과(공기압 0.2㎫)했다. 이로 인해, 유백색의 균일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2)]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본다인 HX-8210」(알케마사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을 이용해 수성 분산체(E-1)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2)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3)]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본다인 HX-8290」(알케마사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을 이용해 수성 분산체(E-1)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3)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4)]
히터가 장착된 밀폐할 수 있는 내압 1리터용 유리 용기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하고, 60.0g의 「본다인 AX-8390」(알케마사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0g의 NPA(와코 쥰야쿠사제), 2.5g의 TEA(와코 쥰야쿠사제) 및 137.5g의 증류수를 유리 용기 내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300rpm으로 하고, 계내 온도를 120℃로 유지하여 20분간 교반했다. 그 후, 공냉으로 회전 속도 300rpm인 채 교반하면서 실온(약 25℃)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300메시의 스테인리스제 필터(선경 0.035㎜, 평직)로 가압 여과(공기압 0.2㎫)했다. 이로 인해, 유백색의 균일한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4)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5)]
히터가 장착된 밀폐할 수 있는 내압 1리터용 유리 용기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하고, 60.0g의 「프리마콜 5980I」(다우 케미컬사제, 아크릴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6.8g의 TEA, 및 223.2g의 증류수를 유리 용기 내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300rpm으로 하고, 계내 온도를 140~145℃로 유지하여 30분간 교반했다. 그 후, 수욕에 제공하여 회전 속도 300rpm인 채 교반하면서 실온(약 25℃)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300메시의 스테인리스제 필터(선경 0.035㎜, 평직)로 가압 여과(공기압 0.2㎫)하여 미백탁의 수성 분산체(E-5)를 얻었다. 이때, 필터 상에 수지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수성 분산체(E-6)]
히터가 장착된 밀폐할 수 있는 내압 1리터용 유리 용기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하고, 60.0g의 「본다인 HX-8210」, 208.3g의 EA, 3.3g의 DMEA 및 28.4g의 증류수를 유리 용기 내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300rpm으로 하고, 계내 온도를 120℃로 유지하여 40분간 교반했다. 그 후, 공냉으로 회전 속도 300rpm인 채 교반하면서 실온(약 25℃)까지 냉각시킨 후, 300메시의 스테인리스제 필터(선경 0.035㎜, 평직)로 가압 여과(공기압 0.2㎫)하여 유백색의 수성 분산체(E-6)를 얻었다. 이때, 필터 상에 수지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용액(E-7)]
히터가 장착된 밀폐할 수 있는 내압 1리터용 유리 용기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하고, 15.0g의 「본다인 HX-8210」, 285.0g의 톨루엔을 유리 용기 내에 넣었다. 그리고, 교반 날개의 회전 속도를 300rpm으로 하고, 계내 온도를 120℃로 유지하여 40분간 교반했다. 그 후, 공냉으로 회전 속도 300rpm인 채 교반하면서 약 50℃까지 냉각시켰다. 또한, 300메시의 스테인리스제 필터(선경 0.035㎜, 평직)로 가압 여과(공기압 0.2㎫)하여 용액(E-7)을 얻었다. 이때, 필터 상에 수지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액상물(E-1~E-7)의 제조에 사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액상물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용액(E-7)의 유기 용제 함유율은 고형분 농도를 차감함으로써 산출했다.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1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물(E-1, E-6, E-7)에 이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다인 LX-4110」과, 액상물(E-2)에 이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다인 LX-8210」과, 액상물(E-3)에 이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다인 HX-8290」과, 액상물(E-4)에 이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본다인 AX-8390」은 모두 산변성 성분이 1~10질량%의 범위여서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액상물(E-5)에 이용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프리마콜 5980I」는 산변성 성분이 10질량%를 초과하고 있어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수성 분산체(E-8)]
산화주석 초미립자 분산체(유니티카사제 AS11T 고형분 농도 11.5질량%)에 얻어지는 수성 분산체의 20질량%가 되도록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투명한 수성 분산체를 얻었다. 이것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성 분산체(유니티카사제, 엘리텔 KZA-3556, 고형분 농도 30질량%)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산화주석 초미립자가 80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했다. 그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산화주석 초미립자를 함유한 수성 분산체(E-8)를 얻었다. 그 고형분 농도는 10.0질량%였다.
[수성 분산체(E-9)]
수성 분산체(E-8)에 있어서의 산화주석 초미립자 분산체 AS11T 대신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초미립자 수분산체(이시하라 산교사제, SN-100D 고형분 농도 30.0질량%)를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수성 분산체(E-8)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수성 분산체(E-9)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10)]
수성 분산체(E-8)에 있어서의 산화주석 초미립자 분산체 AS11T 대신 폴리피롤 분산액(마루비시 유카사제 PPY-12 고형분 농도 8.0질량%)을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수성 분산체(E-8)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수성 분산체(E-10)를 얻었다.
[수성 분산체(E-11)]
수성 분산체(E-8)에 있어서의 산화주석 초미립자 분산체 AS11T 대신 도전성 카본 분산액(라이온사제 WS310A 고형분 농도 17.5질량%)을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수성 분산체(E-8)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수성 분산체(E-11)를 얻었다.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1)]
수성 분산체(E-8)를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유니티카사제 「엠블렛 PET-12」, 두께 12㎛)의 코로나 처리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코팅했다. 그 후, 120℃에서 30초간 건조시켜 필름 상에 두께 0.3㎛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1)을 얻었다.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2)]
필름(F-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8) 대신 수성 분산체(E-9)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필름(F-1)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 상에 두께 0.3㎛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2)을 얻었다.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3)]
필름(F-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8) 대신 수성 분산체(E-10)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필름(F-1)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 상에 두께 0.3㎛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3)을 얻었다.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4)]
필름(F-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8) 대신 수성 분산체(E-11)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필름(F-1)의 제조시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 상에 두께 0.3㎛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4)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1~F-4)의 상세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3
(실시예 1)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와, 옥사졸린 화합물의 수성 용액(닛폰 쇼쿠바이사제, 「에포크로스 WS-500」, 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옥사졸린 화합물 고형분이 5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여 액상물을 얻었다. 이 액상물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유니티카사제 「엠블렛 PET-12」, 두께 12㎛)의 코로나 처리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50℃에서 90초간 건조시킴으로써 필름 상에 0.6㎛의 수지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 대신 수성 분산체(E-2~E-4)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1) 대신 수성 분산체(E-3)를 이용했다. 또한, 옥사졸린 화합물 수성 용액 「WS-500」의 사용량을 수성 분산체(E-3)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고형분이 되도록 변경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상물을 얻었다. 이 액상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옥사졸린 화합물 수성 용액 대신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수분산체를 이용했다. 상세하게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수분산체(닛신보우사제, 「카르보디라이트 E-02」, 고형분 농도 40질량%)를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고형분이 5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여 액상물을 얻었다. 이 액상물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50℃에서 90초간 건조시킴으로써 필름 상에 0.6㎛의 수지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수분산체 「E-02」의 첨가량을 수성 분산체(E-1)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고형분이 30질량부가 되도록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1) 대신 수성 분산체(E-2)를 이용했다. 그리고,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수분산체의 혼합량을 수성 분산체(E-2)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의 고형분이 되도록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1) 대신 분산체(E-6)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50℃로 유지한 용액(E-7)에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톨루엔 용액(닛신보우사제, 「카르보디라이트 V-07」, 고형분 농도 50질량%)을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고형분이 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액온을 유지한 채 혼합하여 액상물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물을 실시예 1과 같은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코팅했다. 그 후, 150℃에서 90초간 건조시켜 필름 상에 0.3㎛의 수지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의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폴리비닐알코올(니혼 사쿠비·포발사제 「VC-10」, 중합도 1,000)을 10질량%의 수용액으로서 첨가하여 액상물을 얻었다. 이 액상물을 실시예 1과 같은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했다. 그 후, 150℃에서 90초간 건조시켜 필름 상에 0.6㎛의 수지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얻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라고 약칭한다.
(실시예 12~16)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PVA 「VC-10」의 첨가량을 수성 분산체(E-1)의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실시예 12), 100질량부(실시예 13), 300질량부(실시예 14), 600질량부(실시예 15), 1000질량부(실시예 16)가 되도록 PVA 「VC-10」의 10질량% 수용액을 첨가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각각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 대신 수성 분산체(E-2)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PVA 「VC-10」 대신 에틸렌 변성 PVA(쿠라레이사제, 「엑세발 HR3010」, 중합도 1,000)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PVA 「VC-10」에 추가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의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5질량부의 닛폰 쇼쿠바이사제의 옥사졸린 화합물 수성 용액 「WS-500」을 더 첨가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PVA 「VC-10」에 추가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의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5질량부의 닛신보우사제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수분산체 「E-02」를 더 첨가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1~2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PET-12」 대신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1, F-2, F-3, F-4)을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5~28)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PET-12」 대신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F-1, F-2, F-3, F-4)을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9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8에서 얻어진 각 이형 필름에 대해서 그 평가 결과를 표 4~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4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5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6
(비교예 1)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유니티카사제 「엠블렛 PET-12」, 두께 12㎛)에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았다. 그리고, 동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대해서 박리 강도, 재점착성의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2)
실시예 3에 비해 옥사졸린 화합물의 고형분량을 산변성 폴리올레핀 100질량부에 대하여 60질량부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6에 비해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고형분량을 산변성 폴리올레핀 100질량부에 대하여 60질량부로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1에 비해 PVA의 첨가량이 산변성 폴리올레핀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0질량부가 되도록 PVA 「VC-10」의 10질량% 수용액을 첨가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액상물로서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체(E-3)만을 이용했다. 바꿔 말하면,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함유하지만, 가교제도 폴리비닐알코올도 함유하지 않는 액상물을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액상물로서 PVA 「VC-10」의 10질량% 수용액만을 이용했다. 바꿔 말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은 함유하지만, 산변성 폴리올레핀도 가교제도 함유하지 않는 액상물을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 대신 폴리우레탄 수지 수성 분산체(아데카사제, 아데카 본타이터 HUX380, 고형분 농도 38질량%)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1) 대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성 분산체(유니티카사제, 엘리텔 KZA-3556, 고형분 농도 30질량%)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10)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1) 대신 산변성 성분을 20질량% 함유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5)를 이용하여 수성 분산체(E-5)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옥사졸린 화합물 수성 용액인 닛폰 쇼쿠바이사제의 「WS-500」(비교예 9)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수분산체인 닛신보우사제의 「E-02」(비교예 10)를 각각 고형분이 1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수성 분산체(E-1) 대신 산변성 성분을 20질량% 함유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E-5)를 이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2, 13)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옥사졸린 화합물 대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ASF사제, 「Basonat HW-100」, 고형분 농도 100질량%)의 10질량% 수용액(비교예 12) 또는 에폭시 화합물 수분산체(아데카사제, 「아데카 레진 EM-051R」, 고형분 농도 50질량%)(비교예 13)를 각각 수성 분산체(E-3)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고형분량이 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했다. 얻어진 액상물을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에 코팅해서 각각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PVA 「VC-10」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나카라이테스크사제,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분자량 15,000~25,000)의 10질량% 수용액을 수성 분산체(E-1)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고형분량이 3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했다. 얻어진 액상물을 이용해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에 코팅을 행해서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5)
유니티카사제의 불소 코팅 필름 「FT」를 이용하고, 이 필름에는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았다. 그리고, 동 필름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1~15에 관한 평가 결과를 표 7,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7
Figure 112009075390816-PCT00008
실시예 1~26과 같이, 산변성 성분의 함유량이 1~10질량%인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제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한 수지를 적층한 이형 필름은 양호한 습윤성 및 이형성을 나타냈다. 즉, 습윤 장력은 32mN/m 이상이고, 박리 강도는 10N/50㎜폭 이하였다. 또한, 재점착성 평가 결과, 수지층에 의한 점착면의 오염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효과는 도공시의 매체 종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9, 10). 또한, 대전 방지 처리를 한 기재에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대전 방지성 및 이형성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 되었다(실시예 21~28).
이에 대하여, 수지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형성은 발현되지 않았다(비교예 1).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조성비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형성은 발현되지 않았다(비교예 2~6).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이외의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형성은 발현되지 않았다(비교예 7~11). 비교예 8에서는 박리 강도를 측정할 때에 점착 테이프가 끊어져 버렸기 때문에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고, 또한 그 후의 재점착성을 측정할 수도 없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이외의 첨가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형성은 발현되지 않았다(비교예 12~14). 비교예 14에서는 박리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장치에 세팅하려고 한 시점에 수지층과 기재의 PET 필름의 계면에서 박리되어 버렸다. 이 때문에,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즉, 기재와 수지층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점착 테이프에 도막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재점착성을 측정할 수도 없었다.
비교예 15에서 사용한 불소 코팅 필름은 이형성, 재점착성은 우수했지만, 습윤 장력이 부족한 것이었다.

Claims (12)

  1. 기재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이형용 시트로서: 상기 수지층은 산변성 성분 1~10질량%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와, 가교제 1~50질량부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 5~1000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교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또는 옥사졸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에 함유되는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왁스류 및 계면활성제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점착 재료를 수지층에 부착하여 측정했을 때의 수지층과 점착제 사이의 박리 강도는 10N/50㎜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수지 재료, 종이, 합성지, 천, 금속 재료, 유리 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재료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재료는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점착제를 적층한 시트 또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판, 편광판, 위상차판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 구조체의 성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대전 방지 처리된 수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표면 저항값은 1010Ω/□ 이하임과 아울러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점착 재료를 수지층에 부착하여 측정했을 때의 수지층과 점착제 사이의 박리 강도는 10N/50㎜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
  11. 산변성 성분 1~10질량%의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와, 가교제 1~50 질량부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 5~1000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교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또는 옥사졸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액상물을 기재 상에 도공한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용 시트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함유되는 액상 매체가 수성 매체인 액상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97025535A 2007-08-22 2008-03-13 이형용 시트 KR101454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6044 2007-08-22
JPJP-P-2007-216044 2007-08-22
PCT/JP2008/000557 WO2009025063A1 (ja) 2007-08-22 2008-03-13 離型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44A true KR20100043144A (ko) 2010-04-28
KR101454712B1 KR101454712B1 (ko) 2014-10-27

Family

ID=403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535A KR101454712B1 (ko) 2007-08-22 2008-03-13 이형용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35774B2 (ko)
EP (1) EP2179844B1 (ko)
JP (2) JP5111508B2 (ko)
KR (1) KR101454712B1 (ko)
CN (1) CN101687405B (ko)
HK (1) HK1139900A1 (ko)
TW (1) TWI530391B (ko)
WO (1) WO20090250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42A (ko) * 2013-01-11 2015-09-18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5943A (ko) * 2013-01-11 2015-09-18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9293A (ko) * 2016-09-30 2019-05-30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시트
KR102327566B1 (ko) * 2020-06-24 2021-11-16 두병호 기능성 종이 점착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698B2 (ja) * 2007-10-04 2013-08-07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用シート
JP5315172B2 (ja) * 2008-09-30 2013-10-1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性フィルム
JP5160469B2 (ja) * 2009-02-20 2013-03-13 ユニチカ株式会社 凸版印刷用感光性樹脂構成体
JP5266466B2 (ja) * 2009-04-01 2013-08-2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部材、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927457B2 (ja) * 2009-06-16 2016-06-0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5618502B2 (ja) * 2009-07-16 2014-11-05 ユニチカ株式会社 転写シート
JP5361589B2 (ja) * 2009-07-21 2013-12-04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シート
JP5582775B2 (ja) * 2009-12-16 2014-09-03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シートの使用方法
JP5657936B2 (ja) * 2010-07-13 2015-01-21 ユニチカ株式会社 易滑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53123B2 (ja) * 2010-08-17 2015-01-14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用シート
JP5869432B2 (ja) * 2012-06-09 2016-02-24 三菱樹脂株式会社 両面離型フィルム
KR101816619B1 (ko) 2012-07-02 2018-01-09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용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150299496A1 (en) * 2012-12-04 2015-10-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ixed solution, method for producing mixed solution, and multi-layer structure
PT3027699T (pt) 2013-07-31 2020-10-01 Polyplex Corporation Ltd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para película de poliéster
JP6516681B2 (ja) * 2013-10-29 2019-05-22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シート
JP5755769B2 (ja) * 2014-02-03 2015-07-2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33420A (ja) * 2014-04-25 2014-07-24 Unitika Ltd 易滑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6164202A (zh) * 2014-04-28 2016-11-2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扁平电缆用增强带及扁平电缆
KR102516807B1 (ko) 2014-08-14 2023-03-31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WO2016169819A1 (de) * 2015-04-23 2016-10-27 Basf Se Wässrige polymerdispersionen für die verbundfolienkaschierung
JP6406145B2 (ja) * 2015-07-18 2018-10-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7205902A (ja) * 2016-05-16 2017-11-24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に好適な離型フィルム
US10337187B1 (en) 2016-06-24 2019-07-02 Mitsubishi Polyester Film, Inc. Shingle product
CN113817366B (zh) * 2016-07-22 2022-08-23 Agc株式会社 液态组合物、以及使用该液态组合物的膜和层叠体的制造方法
JPWO2018056276A1 (ja) * 2016-09-20 2018-09-20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89272B2 (ja) * 2017-03-17 2022-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造型マット
WO2019044873A1 (ja) * 2017-08-30 2019-03-07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シート
TW202033350A (zh) * 2018-12-20 2020-09-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離型膜、離型膜之製造方法、陶瓷生坯之製造方法、以及陶瓷電容器之製造方法
JP7450760B2 (ja) 2020-06-02 2024-03-15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リエステル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044B2 (ja) 1993-08-23 1999-01-20 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皮膜形成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H09104851A (ja) 1995-03-08 1997-04-22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JP4302260B2 (ja) * 1999-10-06 2009-07-22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DE60233031D1 (de) 2001-01-15 2009-09-03 Unitika Ltd Wässrige polyolefinharzzusammensetzung
JP4808321B2 (ja) 2001-03-14 2011-11-02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系重合体の水性分散液
JP3629447B2 (ja) 2001-07-23 2005-03-16 帝人株式会社 離型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3062939A (ja) * 2001-08-29 2003-03-05 Fujimori Kogyo Co Ltd 離型フィルム
JP2004114620A (ja) 2002-09-27 2004-04-15 Nof Corp 離型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離型フィルム
JP4408037B2 (ja) 2003-10-24 2010-02-03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離型剤組成物
JP2005146080A (ja) * 2003-11-13 2005-06-09 Mitsubishi Chemicals Corp 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05178163A (ja) * 2003-12-19 2005-07-0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0475860C (zh) 2004-03-26 2009-04-08 三井化学株式会社 新型树脂改性剂和含有其的含极性基团的聚合物组合物
JP2007002066A (ja) 2005-06-22 2007-01-11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熱硬化性離型コート剤、離型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熱転写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2007031639A (ja) 2005-07-29 2007-02-08 Mitsui Chemicals Inc ポリオレフィン系オリゴマーの水性分散系及びその用途
JP4999313B2 (ja) * 2005-11-07 2012-08-1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42A (ko) * 2013-01-11 2015-09-18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5943A (ko) * 2013-01-11 2015-09-18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9293A (ko) * 2016-09-30 2019-05-30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시트
KR102327566B1 (ko) * 2020-06-24 2021-11-16 두병호 기능성 종이 점착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9844B1 (en) 2012-06-20
CN101687405A (zh) 2010-03-31
JP2012245786A (ja) 2012-12-13
TWI530391B (zh) 2016-04-21
EP2179844A1 (en) 2010-04-28
KR101454712B1 (ko) 2014-10-27
EP2179844A4 (en) 2011-01-19
WO2009025063A1 (ja) 2009-02-26
JPWO2009025063A1 (ja) 2010-11-18
TW200909208A (en) 2009-03-01
US20110151167A1 (en) 2011-06-23
US8535774B2 (en) 2013-09-17
JP5619085B2 (ja) 2014-11-05
JP5111508B2 (ja) 2013-01-09
HK1139900A1 (en) 2010-09-30
CN101687405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3144A (ko) 이형용 시트
KR100927514B1 (ko) 4-메틸-1-펜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것으로이루어진 이형 필름
JP5254698B2 (ja) 離型用シート
JP5653123B2 (ja) 離型用シート
JP5361589B2 (ja) 離型シート
JP2016132211A (ja) 離型フィルム
CN108602338B (zh) 脱模膜
JP5582775B2 (ja) 離型シートの使用方法
JP6516681B2 (ja) 離型シート
JP2011105834A (ja) ホットメルト型粘着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16175322A (ja) 離型シート
JP2014054811A (ja) 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79083B (zh) 離型片
JP2016168691A (ja) 離型シート
JP2012020402A (ja) 離型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27236A (ja) 合成皮革製造工程用離型シート
JP7208617B2 (ja) 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1230A (ja) 離型用シート
JP5294888B2 (ja) 離型用シート
JP2013184461A (ja) 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57257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水性分散体、離型シート、及び離型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07280A (ja) 離型シート
JP2016203570A (ja) 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54810A (ja) 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4496A (ja) 転写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