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807B1 -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 Google Patents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807B1
KR102516807B1 KR1020177002585A KR20177002585A KR102516807B1 KR 102516807 B1 KR102516807 B1 KR 102516807B1 KR 1020177002585 A KR1020177002585 A KR 1020177002585A KR 20177002585 A KR20177002585 A KR 20177002585A KR 102516807 B1 KR102516807 B1 KR 10251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carboxylic acid
polyester fil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565A (ko
Inventor
마이클 다니엘 그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중합체 필름을 다른 기질에 결합시키기에 아주 적합한 결합 재료가 기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결합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물품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결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가교제와 조합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카복실산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불포화 디카복실산 무수물에 의해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LAMINATE CONTAINING COA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제2 중합체 층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될 수 있는 코팅에 일반적으로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
본 출원은 2014년 8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037,326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배경기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많은 상이한 분야에서 잘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용한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교적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갖고 있어, 택(tag) 및 라벨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별한 이점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투명 명료성을 갖게 제조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창에 대한 안전 필름과 같이 보호성 오버레이(overlay)로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또한 탁월한 열적 안정성과 내약품성을 갖는다. 상기 필름은 오븐에 배치된 물품에 대한 포장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또한 전기 절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고유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부터 혜택을 얻는 적층 물품에 특성들을 혼입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불행히도,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른 중합체 필름과 같은 다른 중합체 물품에 부착하려 할 때 문제를 경험하여 왔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상기 필름이 다른 재료에 결합되게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용을 위한 다른 접착층 또는 부착층을 제조하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8/0050583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0/021590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13/0133743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EVA 층에 접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착층을 개시한다. 결과적으로 적층된 구조들은 태양 전지와 같은 장치에 대한 지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양한 다른 재료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착층이 제안되었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리올레핀 물품,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물품에 결합시키려 할 때 여전히 문제가 남아 있다. 특히, 나중의 폴리프로필렌 기질에 대한 층 결합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직접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접착층 또는 부착층에 대한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요약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제2 중합체 층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될 수 있는 코팅에 일반적으로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를 폴리프로필렌 물품에 결합시키기 위해 이용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특히 이로운 점은, 상기 접착성 코팅이 풍화작용에 기인한 분해에 내성이고, 또 비교적 고온 및/또는 비교적 고습도 수준에서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후에도 2개 층 사이에서 그의 초기 결합 강도를 비교적 많이 유지할 수 있는 점이다.
특히 이로운 점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다양한 충전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탁월한 접착성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황산바륨 입자 또는 이산화 티탄 입자와 같은 백색 안료 입자를 상당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일 실시형태에서, 필름이 75 초과, 80 초과와 같이 70을 초과하는 버거(Berger) 백색도를 갖도록 필름에 백색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름에 부가된다.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필름에 포함되고 그 필름은 바람직한 내후성, 반사성, 외관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된 코팅은 가교제와 조합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예컨대,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카복실산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카복실산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카복실산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는 카복실산 무수물에 의해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 변형된 아크릴 중합체, 카보디이미드 중합체,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멜라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변형된 아크릴 중합체와 같은 옥사졸린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1축 연신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름은 2축 연신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제1 면 상에 코팅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팅 조성물을 액체 담체에 분산시키고 필름을 완전히 연신시키기 전에 상기 필름에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팅 분산액은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도포될 수 있다. 연신하는 동안, 상기 코팅 조성물을 가열하고 굳혀서 필름 상에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필름 외에, 본 발명은 중합체 물품에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중합체 물품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로 제조된 물품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 물품은 폴리에틸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한 물품과 같은 폴리에틸렌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 물품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물품과 같은 에틸렌-프로필렌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물품은 필름, 시트, 또는 성형 물품일 수 있다.
코팅층 또는 결합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중합체 물품 사이에 강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중합체 물품 사이의 초기의 강한 결합 강도는 적어도 약 5 lbf/인치일 수 있다.
탁월한 초기 결합 강도 특징을 갖는 것 이외에, 상기 결합층은 연장된 기간 동안 비교적 고온에 노출된 후에도 층 사이에 결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적층은 다양한 상이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생성한 적층은 포장 필름과 같은 다층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생성한 적층은 섬유 강화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성형 물품과 같은 성형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물품은, 예컨대, 트레이, 패널, 적층된 스크림(scrim) 또는 시트, 또는 성형된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접착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제1 면 상에 제1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제2 면 상에 제2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코팅은 가교제와 조합된 접착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필름의 각 면 상에서 필름이 폴리올레핀 중합체 층 또는 물품에 결합될 수 있는 적층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코팅은 가교제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예컨대, 그자체가 필름의 제2 면을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름은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다시, 필름을 금속, 세라믹, 종이, 또는 목재 물품과 같은 성형 물품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물품은 금속 물품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다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통하여 금속 물품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요지는 이하에 더 자세하게 기재한다.
당업자에 대한 최선의 형태를 비롯하여 본 발명의 충분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것을 비롯하여 명세서의 나머지에서 더욱 자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된 중합체 필름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또
도 2a 및 2b는 이하에 자세히 기재한 박리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샘플 제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반복 이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재는 예시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넓은 요지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코팅된 중합체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필름 상에 함유된 코팅은 필름을 성형 물품, 시트, 또는 필름과 같은 다른 기질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합체 물품, 특히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제조한 중합체 물품에 부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폴리프로필렌 물품은 다수의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부직 웹, 필름 및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포장 필름과 같은 다수의 다층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층을 포함한다. 또한, 섬유 강화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섬유 강화된 폴리프로필렌은 저 비용, 경량, 강성, 양호한 기계적 특성들 및 고유한 재활용성으로 인하여 다수의 상이한 분야에서 인기있는 구조 재료로서 부상하고 있다. 섬유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비롯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성형하기 쉬워서 다수의 상이한 형상을 갖는 물품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술한 물품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물품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열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표면과 함께 안전하고 강한 결합을 형성한다.
폴리프로필렌 물품과 같은 중합체 물품에 일단 부착되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수의 혜택과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탁월한 내스크래치 특성들 및 내절단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스킨층(skin layer) 또는 보호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아래에 있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비하여 더 우수한 환경 저항성, 내약품성, 및 얼룩 저항성을 또한 보유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생성한 물품에 심미적 매력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사용은 폴리프로필렌 물품에 적층될 때 수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과거에는 2개 재료 사이의 강하고 끈질긴 접착 결합을 얻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물품에 열적으로 적층하려고 할 때 박리 문제가 경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중합체 물품 상의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공한 후, 상기 접착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층은 탁월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스킨층 기능을 제공하며, 또 전체 제품의 전반적인 열가소성수지 재활용을 유지한다.
실제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중합체 물품 사이에 형성된 결합은 고온뿐만 아니라 습윤 및 습기 환경도 잘 견딜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결합 재료는 필름을 중합체 기질에 적층하기 전에 중합체 필름에 코팅으로서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 재료는 다수의 상이한 중합체 필름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층에 함께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합체 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의 혼합물, 및 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 층은 하나 이상의 이오노머 (ionomer) 또는 탄성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코팅된 중합체 필름은 성형 물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물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물품은, 예컨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코팅된 중합체 필름은 트레이 상에서 보호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결합 재료는 PET와 중합체 물품에 대하여 탁월한 초기 결합 강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retort) 조건에 노출된 후에도 탁월한 보유 결합 강도를 나타낸다. 양호한 초기 결합 강도는 상기 결합 재료와 중합체 표면 사이의 양호한 기계적 및 화학적 상용성(compatibility)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합체 물품과 PET의 표면과 상기 중합체 물품과의 강력한 다수의 공유결합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레토르트 시험은 살균하여 식품 포장을 상온 보존(shelf stable)하기 위하여 포장된 식품 물품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레토르트 공정을 모방하여 포장 물질 상에서 실시된다. 이 공정은 전형적으로 포장물을 121℃ 60-180분 동안 및 100% 상대습도 조건에 노출시킨다. 레토르트 시험 후의 탁월하게 유지되는 결합 강도는 상기 코팅이 PET의 표면 및 중합체 물품과 반응할 때 생긴 강하고, 친수적으로 안정한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결합층에 이용된 성분들의 소수성 성질은 레토르트 공정 동안 결합 계면에서 물 분자의 용해도와 농도를 최소화하여서, 결합 계면의 친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결합 재료는 탁월한 초기 결합 강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시트 및 코팅된 필름 사이의 접착 강도를 측정하는 박리 시험은 접착층이 실패하기 전에 PET 기재 필름의 인열에 의해 실패한다. 따라서, 박리 시험 결과는 기재 필름의 두께와 강도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층과 폴리프로필렌층 사이의 초기 결합 강도 또는 박리 강도는 약 4 lbf/인치 초과, 예컨대 약 5 lbf/인치 초과, 예컨대 약 7 lbf/인치 초과, 예컨대 약 10 lbf/인치 초과 및 약 30 lbf/인치 미만, 예컨대 약 20 lbf/인치 미만, 예컨대 약 15 lbf/인치 미만, 예컨대 약 10 lbf/인치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초기 결합 강도 또는 박리 강도는 약 4 내지 약 25 lbf/인치, 예컨대 약 4.5 내지 약 20 lbf/인치, 예컨대 약 5 내지 15 lbf/인치, 예컨대 약 5 내지 약 10 lbf/인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초기 결합 강도 또는 박리 강도는 기재 필름이 약 1 mil 두께이면 약 4 lbf/인치 초과, 기재 필름이 약 1.5 mil 두께이면 약 5 lbf/인치 초과, 기재 필름이 약 2 mil 두께이면 약 7 lbf/인치 초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재료의 박리 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샘플을 준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샘플은 2개 폴리에스테르 필름 층(50, 52) 사이에 위치한 폴리프로필렌 층(54)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층(50)과 폴리프로필렌 층(54) 사이에는 박리 시트(56)가 배치된다. 상기 박리 시트는, 예를 들어, TEFLON 중합체와 같은 플루오로카본에 의해 코팅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들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쳐지면, 그 샘플을 열 적층기에 위치시킨다. 상기 적층은 400℉(24.4℃)에서 9초간 및 50 psi 압력에 설정된 2개 압반(platen) 사이에서 압축된다. 적층 후, 상기 압반을 열고 적층을 빼내어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다.
적층 샘플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되면, 상기 샘플을 25 mm 폭 시험 스트립으로 절단한다. 샘플 내에 박리 시트(56)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50)의 무-접착 에지를 각 시험 스트립에서 얻는다.
이어 각 시험 스트립을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기에 위치시킨다. 특히, 박리 시트(56)가 위치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50)의 자유 에지를 1개 물림턱(jaw)에 위치시키고 또 폴리프로필렌 층(54)과 폴리에스테르 필름(52)으로 이루어진 샘플의 대향 부분은 대향하는 물림턱에 위치시킨다. PET 적층의 상부 부분에 인접한 상부 그립에 알루미늄 지지판을 고정시킨다. 상기 판은 박리 시편 뒤로 늘어 뜨리고 접착제로 결합된 물질을 포함하는 탭(tab)을 클램핑된 탭과 평행하게 아래로 굽힌다. 상기 인스트론 기기는 분당 100 mm의 속도로 설정되며, 180° 박리 시험을 실시한다. 안정한 상태 조건이 달성될 때 평균 박리력을 기록한다. 상기 기기는 적층 폭의 인치당 힘(파운드)인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평균 박리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적층에 대해 적어도 4회, 전형적으로 4-6회 박리 시험을 실시한다.
양호한 초기 결합 강도를 표시하는 이외에, 본 발명의 결합 재료는 레토르트 시험에 처리될 때에도 초기 결합 강도의 유의한 부분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 재료는 121℃ 및 100% RH의 환경에 180분간 노출될 때에도 그의 초기 결합 강도의 적어도 약 25%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 재료는 상기 조건에 처리될 때 그의 초기 결합 강도의 약 30% 초과, 예컨대 약 40% 초과, 예컨대 약 50% 초과, 예컨대 약 75% 초과, 예컨대 약 100%를 보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중합체 필름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팅된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는 필름 층(18)을 포함한다. 예컨대, 필름(18)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18)은 적어도 1개 면 상에서 결합층(22)에 의해 코팅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층(22)은 상기 필름(18)의 일개 면에 도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그러나, 상기 결합층(22)은 상기 필름(18)의 양쪽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애 따르면, 상기 결합층(22)은 가교제와 조합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접착제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는 카복실산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복실산은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의 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은 약 1개 탄소 원자 내지 약 10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다.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은 디카복실산 또는 디카복실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카복실산은 말레산의 무수물과 같은 불포화 디카복실산 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가교제와 조합되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된 말레에이트된(maleated) 폴리프로필렌 분산액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미쉘만(Michelman)으로부터 얻은 EIF-1312 분산액을 접착제로서 사용한다.
상기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올레핀 중합체 이외에, 상기 접착제는 다양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하나 이상의 산 또는 산 무수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포화 지방산과 같은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방산은 약 6개 탄소 원자 내지 약 18 탄소 원자와 같이 약 6개 탄소 원자 내지 약 28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접착제는 옥탄산, 데칸산,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계면활성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에톡시화된 화합물과 같이 알콕시화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접착제는 에톡시화된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톡시화된 알코올은 약 8개 탄소 원자 내지 약 36개 탄소 원자와 같이 약 6개 탄소 원자 내지 약 48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알코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톡시화된 알코올은 알코올당 약 5개 단위 내지 약 10개 단위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같이 약 2개 단위 내지 약 20개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가교제와 조합된다. 상기 가교제는 가교반응에 들어갈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혼화성 또는 수분산성 성분, 예를 들어 옥사졸린기, 카보디이미드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멜라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중합체는 옥사졸린 중합체, 카보디이미드 중합체,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멜라민이라 칭한다. 이들 중, 특히 옥사졸린 또는 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I) 내지 (III)에 따른 옥사졸린 유도체 및 b)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의 부가 중합반응을 통하여 형성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1
화학식 II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2
화학식 III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3
상기 구조 화학식(I) 내지 (III)에서, R1, R2, R3 및 R4 라디칼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R5는 중합성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비시클릭 라디칼이다.
할로겐 원자의 예는 플루오린, 염소, 브롬 및 요오드이고, 염소 및 브롬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펜틸 및 헥실 기이다. 아르알킬기는 1 내지 5개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알킬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예를 들어 벤질, 펜에틸, 벤즈히드릴 및 나프틸메틸 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치환된 페닐기는 예를 들어, 클로로페닐, 브로모페닐, 메톡시페닐, 에톡시페닐, 메틸아미노페닐, 에틸아미노페닐, 디메틸아미노페닐, 메틸에틸아미노페닐 및 디에틸아미노페닐일 수 있다.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비시클릭 라디칼은 비닐 및 이소프로펜일 기이다.
옥사졸린 유도체의 예는 a)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펜일-2-옥사졸린, 2-이소프로펜일-4-메틸-2-옥사졸린 및 2-이소프로펜일-5-에틸-2-옥사졸린을 포함한다. 옥사졸린기를 갖는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옥사졸린 유도체 a)를 개별적으로 또는 상술한 화합물의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옥사졸린 유도체 중에서, 2-이소프로펜일-2-옥사졸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된 공단량체 b)는 원칙적으로 모두 옥사졸린 유도체 a)와 공중합가능한 화합물일 수 있다. 공단량체 b)의 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론산과 같은 불포화 카복실산,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메타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과 같은 불포화 아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비닐 에스테르,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와 같은 비닐 에테르, 에텐, 프로펜과 같은 알파-올레핀,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및 플루오르화 비닐과 같은 할로겐화된 알파, 베타-불포화 화합물, 및 또한 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과 같은 알파, 베타-불포화 방향족 화합물이다. 상술한 공단량체 b)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의 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옥사졸린 유도체 a),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 b) 및 자유 라디칼 개시제, 예를 들어 과산화 벤조일 또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을 적합한 수혼화성 유기 용매에 부가하고 생성한 용액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반응이 완료한 후, 물을 부가하고 유기 용매는 증류에 의해 완전히 제거하거나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을 남기며, 이는 본 발명의 코팅 용액을 바로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다르게는, 옥사졸린 유도체 a) 및 공중합체 b)를, 예를 들어 n-부틸리튬과 음이온적으로 중합할 수도 있다.
건조된 중합체 중의 옥사졸린기의 함량은 전형적으로 0.5 내지 10 mmol/g,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 mmol/g이다. 건조된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 범위이다.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은 니폰 쇼쿠바이(일본)로부터 상품명 "EPOCROS®"으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조자로부터 "EPOCROS®WS" 시리즈의 수용성, 무용매 제품이 본 발명의 코팅 용액에 특히 적합하다.
카보디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분자당 적어도 2개의 카보디이미드기를 갖고 또 촉매 존재하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상응하는 공정들은 종래 기술이고 그중에서도 EP-A-0 878 496호(그의 대응 미국 출원은 미국 특허번호 제6,124,398호)에 기재되어 있다. 카보디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출발 물질은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카보디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용해도 또는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또는 친수성 단량체, 예를 들어 제4급 암모늄 염, 디알킬아미노 알코올 및 히드록시알킬설폰산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중합체, 시클로지방족 중합체성 에폭사이드, 노볼락을 기본으로 한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올레핀 중합체, 폴리올-글리시딜 화합물을 기본으로 한 에폭시 화합물 및 에폭시실란 중합체이다. 특히 적합한 것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된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상술한 화합물과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뷰렛 유형의 삼작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가 또는 그 이상의 다가 폴리올과의 반응으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이다.
멜라민은 멜라민 및 포름알데히드와 저급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 알코올의 혼합물)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메틸올멜라민 유도체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메틸올멜라민 유도체의 예는 모노메틸올멜라민,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틸올멜라민, 펜타메틸올멜라민 및 헥사메틸올멜라민이다.
상기 접착제 및 가교제 이외에, 상기 코팅 조성물은 다양한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코팅은 하나 이상의 블록킹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킹방지제는 무기 및/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블록킹방지제의 예는 이산화 실리콘, 탄산칼슘,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코팅은 기포방지제 또는 소포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 또는 코팅 중의 상기 화합물들의 상대적 양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건조된 코팅은 상기 접착제 및 가교제를 약 3:7 내지 약 20:1의 중량비, 예컨대 약 2:3 내지 약 3:2과 같은 약 2:3 내지 약 4:1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 대 가교제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20:1, 예컨대 약 1:1 내지 약 9:1, 예컨대 약 6:4 내지 약 9:1, 예컨대 약 6:4 내지 약 8:2, 예컨대 약 7:3 내지 약 9:1, 예컨대 약 7:3 내지 약 8.5:1일 수 있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 및 가교제는 코팅 내에서 약 1:2 내지 약 5:1, 예컨대 약 2:1 내지 약 4: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 및 가교제는 코팅 내에서 약 1.2:1 내지 약 1:1.2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중량 기준으로 가교제보다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의 건조된 코팅은 일반적으로 약 5 nm 내지 약 500 n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건조된 코팅은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예컨대 약 10 nm 내지 약 6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형적으로 약 0.1 mil 초과, 예컨대 약 0.5 mil 초과, 예컨대 약 1 mil 초과, 예컨대 약 2 mil 초과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약 15 mil 미만, 예컨대 약 12 mil 미만, 예컨대 약 10 mil 미만, 예컨대 약 8 mil 미만, 예컨대 약 5 mil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결합층은 임의의 적합한 수법 또는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 필름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층의 성분은 수성 조성물 내에 함유되며 또 중합체 필름이 형성되는 동안 중합체 필름에 도포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예컨대, 약 0.5% 내지 약 30% 고형분, 예컨대 약 1% 내지 약 10% 고형분을 가질 수 있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인쇄된다. 코팅 조성물을 필름 상에 인쇄하는 것은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인쇄는 도포량 및/또는 커버되는 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하여 필름 상에 인쇄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필름(18)의 일면 상에만 상기 결합층(22)이 코팅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중합체 필름의 양면이 코팅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중합체 필름은 동일한 상이한 기판의 어느 한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 필름(18)은 필름의 일면에 상기 결합층(22)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필름의 대향면 상에 제2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코팅은 상기 결합층(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코팅은 상기 결합층(22)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된 제2 코팅은 옥사졸린-변형된 중합체와 같은 가교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옥사졸린-변형된 중합체는 옥사졸린-변형된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교제는 약 0.01중량% 내지 약 25중량%, 예컨대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필름의 제2 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교제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4중량%, 예컨대 약 0.01중량% 내지 약 1중량%의 양으로 필름의 제2 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은 가교제 단독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약 20중량% 초과량, 예컨대 약 60중량% 초과량, 예컨대 약 80중량% 초과량, 예컨대 약 90중량% 초과량으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로 가교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코팅은 다양한 중합체 조성물, 특히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결합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제2 코팅은 다양한 다른 형상의 물품에 부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필름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상기 제2 코팅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성형된 금속, 세라믹, 종이, 또는 목재 물품과 같은 물품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물품은 금속 물품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층을 포함하며, 이어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통하여 금속 물품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중합체 필름(18)은 적합한 중합체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필름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와 같은 코폴리에스테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글리콜 또는 디올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세바신산, 말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글루타르산, 수베르산, 숙신산,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은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등가물)의 중축합반응으로부터 생긴 중합체를 기본으로 한다. 적합한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부탄디올과 같은 폴리올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의 2개 이상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상기를 기본으로 하는 중합체 필름은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이산화 티탄, 대전방지제 등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은 산화방지제, 광택제거제, 안료, 충전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충전제는 중합체 필름 내에서 필름을 착색시키기고 또 필름의 불투명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필름은 필름이 백색 외관을 갖도록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1개 충전제는 예컨대, 황산바륨이다. 황산바륨은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예컨대 약 15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필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충전제는 이산화 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탄은 중합체 물품 상에서 노화에 견딜 수 있는 스킨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 티탄은 필름 층 내에 약 5 중량% 내지 약 20중량%, 예컨대 약 10중량%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백색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형광증백제(optical brightener)가 착색 필름(다층 구조, 바람직하게는 착색된 층)에 부가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적합한 형광증백제는, 예를 들어, HOSTALUX® KS (클라이언트 제조, 독일 소재) 또는 EASTOBRIGHT® OB-1 (이스트만 제조, 미국 소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착색된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명료 및 투명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 이상의 층에서 블록킹방지제로서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블록킹방지제는 무기 및/또는 유기 입자, 예를 들어 이산화 실리콘 (석출되거나 또는 발연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리튬,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카올린 (수화되거나 또는 하소됨),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플루오르화 리튬, 사용된 디카복실산의 칼슘염, 바륨염, 아연염 또는 망간염, 또는 가교된 중합체 입자,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입자이다.
또한, 2 이상의 입자 시스템의 혼합물 또는 블록킹방지제와 동일한 화학 조성이지만 상이한 입자 크기인 입자 시스템의 혼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입자가 필름의 층 내에 블록킹방지제로서 존재하면, 이들 입자의 총 농도는 변형된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2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이다. 상기 입자는 0.01 내지 15 μm,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 μ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μm의 평균 크기를 갖는다.
상기 필름은 UV 안정제, 내연제, 가수분해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UV 안정제, 즉 광 안정제로서 UV 흡수제는 광 유도된 중합체 분해의 물리적 및 화학적 공정에서 방해할 수 있는 화학적 화합물이다. 적합한 UV 안정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오르가노니켈 화합물, 살리실산 에스테르,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옥살닐리드, 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벤조옥사지논, 입체장애된 아민 및 트리아진이고, 2-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벤조옥사지논 및 트리아진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필름은 UV 안정제로서 0.1 내지 5.0중량%의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4
의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또는 0.1 내지 5.0중량%의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5
의 2,2'-메틸렌비스[6-벤조-트리아졸-2-일]-4-(1,1,2,2-테트라메틸프로필)페놀 또는 0.1 내지 5.0중량%의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6
의 2,2'-(1,4-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들 UV 안정제의 혼합물 또는 이들 UV 안정제의 적어도 하나와 다른 UV 안정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 광 안정제의 전체 농도는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범위이다.
상기 필름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수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 용융된 다음 연마된 리졸빙 캐스팅(resolving casting) 드럼 상에 무정형 시트로 압출되어 중합체의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시트는 신속하게 냉각된 다음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신 또는 배향되어 필름에 강도 및 인성을 부여한다. 예컨대, 상기 시트는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될 수 있다.
압출하는 동안, 필름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300℃ 아래이다. 예컨대, 압출하는 동안 온도는 약 275℃ 내지 약 295℃일 수 있다.
연신은 오프라인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필름의 연신은 일반적으로 필름이 제조되는 동안 생길 수 있다. 예컨대, 2축 연신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다. 연속적으로 실시되면, 전형적으로 종방향(기계방향)으로 먼저 연신되고, 이어 횡방향(기계방향에 수직하는 횡방향)으로 연신된다. 필름 연신은 중합체 사슬의 공간적 배향을 초래한다. 종방향 연신은 소망하는 연신율에 상응하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2개 롤의 도움으로 실시될 수 있다. 횡연신의 경우, 필름을 2개 에지에서 클램핑한 다음 승온에서 2개 면을 향하여 연신하는 적절한 텐터(tenter) 프레임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신은 약 중합체의 제2차 전이 온도 내지 중합체가 연화되어 용융되는 온도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생긴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종방향 연신은 약 80℃ 내지 약 130℃ 범위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한편, 횡방향 연신은 약 90℃ 내지 약 150℃ 범위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종방향 연신율은 일반적으로 약 2:1 내지 약 6:1, 예컨대 약 2:1 내지 약 5:1 범위일 수 있다. 횡방향 연신율은 일반적으로 약 2:1 내지 약 6:1, 예컨대 약 3:1 내지 약 5:1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름은 필름을 결정화하는 것에 의해 특성들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신 후 추가로 열처리될 수 있다. 결정화는 필름에 안정성과 양호한 인장 특성을 부여한다. 열처리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약 150℃ 내지 약 250℃, 예컨대 약 190℃ 내지 약 240℃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된 필름은, 예컨대, 약 21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약 20 초의 기간 동안 가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필름은 일반적으로 약 0.1 mil 내지 약 15 mil, 예컨대 약 0.5 mil 내지 약 10 mil, 예컨대 약 1 mil 내지 약 6 mil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코팅하기 위하여,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필름에 인-라인(in-line)으로 도포된다. 특히,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필름이 제조되고 필름이 완전히 연신되거나 또는 열처리되기 전에 필름에 도포된다. 예컨대,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로나 처리 후 및 연신 배향 전에 중합체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일개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상기 코팅 조성물은 종방향 연신 단계 후 횡방향 연신 단계 전에 수성 분산액에 의해 필름에 인-라인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인-라인 코팅 이외에,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필름에 오프-라인(off-line)으로도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필름이 생성되어 냉각된 후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필름 양면을 코팅할 때, 예컨대, 필름의 일면은 인-라인으로 코팅될 수 있는 반면, 필름의 다른 한면은 오프-라인으로 코팅될 수 있다.
실시예 1
PET 펠릿을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도입하여 가열 압축시켜 용융 상태로 만들었다. 이 용융물을 슬럿 다이(slot die)를 통하여 압출하고 약 20℃에서 유지되는 캐스팅 롤 상에 캐스팅하여, 그곳에서 무정형 예비 필름으로 고화시켰다. 상기 예비 필름을 95℃에서 3.6:1의 연신비율로 종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이 연신된 필름을 코로나 처리기 (Enercon Industries)하에서 통과시키며 1.5 W/ft2.min.으로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어, 상기 종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EIF-1312 접착제 분산액 대 EPOCROS WS700 가교제 비율이 1:1 내지 1:0인, 1% 또는 5% 전체 고형분 함량을 갖는 수성 분산액으로 역 그라비아 코팅 롤에 의해 코팅된다. 이 코팅을 역 그라비아 코팅 롤을 통하여 0.4 lb/1000ft2의 습윤 코팅 중량으로 코로나 처리 PET 필름 표면에 도포하였다. 상기 코팅을 건조시키고 또 텐터 터널을 통하여 이송하는 동안 가교시켰다. 최종 필름은 2 mil (50 마이크론) 두께이고, 투명하고, 본 발명의 코팅에 의해 한 면에서 프라이밍 처리되었다.
상기 코팅된 PET 필름은 4 mil (100 마이크론) 두께 x 1” 폭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시트 스트립을 2 mil 코팅된 PET 필름의 2개 시트 사이에 샌드위치하되, 본 발명의 프라이머가 PP 시트와 대면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 샌드위치를 400℉ 및 50 psi 압력에 설정된 실험실 밀봉기의 1.0 폭 바 사이에 위치시켰다. 상기 샌드위치는 2초, 4초, 또는 8초 동안 적층되었다. 다르게는, 상기 필름 샘플은 PET 필름의 본 발명의 코팅에 대하여 필름을 포장하기 위하여 LDPE-계 밀봉제 층을 사용하여 3.5 mil 공압출된 포장 필름에 직접 밀봉되었다. 이 샌드위치는 2초, 4초, 또는 8초 동안 적층되었다. 열적 적층 후, 각 샌드위치를 냉각시킨 다음 박리 시험용의 1”폭 x 6”길이의 쿠폰으로 절단하였다. 박리 시험 샘플은 MTS 시험 리그(rig) 상에서 180°박리 시험하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4개의 쿠폰은 각 코팅된 샘플로부터 시험하였고 또 평균 박리력값을 보고하였다. 샘플 #6 - #8에서, 호모중합체 PP와 코팅 사이의 접착 결합은 PET 필름의 결합 강도에 비하여 더 강하였으므로, PET 필름은 접착 결합이 실패하기 전에 찢어졌다. 이들 샘플에 대한 보고된 평균 박리력은 하한이다.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7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에 의해 필름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 샘플들을 PET 필름의 본 발명의 코팅에 대하여 포장 필름의 LDPE계 밀봉제 층에 의해 3.5 mil 공압출 포장 필름에 직접 밀봉시켰다. 이 샌드위치를 2초 동안 적층시켰다. 열 적층 후, 상기 샌드위치를 냉각시킨 다음 1”폭 x 6”길이 쿠폰으로 절단하였다. 상기 쿠폰들을 압력실에 두고 121℃ 및 100% RH에 180분간 두는 열처리 주기에 처리시켜 레토르트 공정을 모방하게 하였다. 제거 및 건조 후, 박리 시험 샘플은 MTS 시험 리그 상에서 180°박리 시험하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보고된 샘플로부터 4개 쿠폰을 시험하고, 그 평균 박리력 값을, 2초 및 4초 동안 밀봉되었지만 레토르트 공정에는 처리되지 않은 동일 구성의 쿠폰에 대한 박리력 데이터와 함께 보고하였다.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8
실시예 3
18% 황산바륨-충전된 PET 펠릿을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도입하고, 거기서 가열 및 압축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었다. 이 용융물을 슬럿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약 20℃에서 유지되는 캐스팅 롤 상에서 캐스팅하며, 거기서 고화시켜 무정형 예비 필름으로 만들었다. 이 예비 필름을 95℃에서 3.6:1 연신비율로 종방향으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필름을 코로나 처리기(Enercon Industries 제조)하를 통과시키며 1.5 W/ft2.min.에서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어, 종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1:1 비율로 혼합된 5% 고형분 함량의 EPOCROS WS700 가교제 및 EIF-1312 접착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여 역 그라비아 코팅 롤에 의해 코팅한 다음 주위 조건하에서 30일간 저장하여 조성 안정성을 확립하였다. 30일 후, 상기 코팅은 0.4 lb/1000ft2의 습윤 코팅 중량으로 역 그라비아 코팅 롤에 의해 코로나 처리 PET 필름 표면에 도포하였다. 이 코팅은 텐터 터널을 통하여 통과하는 동안 건조 및 가교시켰다. 최종 필름은 1.42 (36 마이크론) mil 두께, 불투명 백색 (황산바륨 입자의 18% 로딩에 기인한 공동현상으로부터)이었고 또 본 발명의 코팅에 의해 한 면에서 프라이밍처리되었다.
상기 코팅된 PET 필름은, 0.0185”두께 x 0.5”폭 호모중합체 PP (트레이 PP)의 스트립을 PP 시트와 면하는 프라이머에 의해 1.42 mil 코팅된 PET 필름의 2개 시트 사이에 샌드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 샌드위치를 400℉ 및 50 psi 압력에 설정된 실험실 밀봉기의 0.75”폭 바 사이에 위치시켰다. 이 샌드위치를 12초 동안 적층하였다. 열적 적층 후, 상기 샌드위치를 냉각시킨 다음 박리 시험을 위해 1” 폭 x 6” 길이의 쿠폰으로 절단하였다. 적층 후, 전체 샌드위치 두께는 0.022”이었다. 이 박리 시험 샘플은 MTS 시험 리그 상에서 180°박리에 의해 평가하였다. 4개 샘플을 시험하였고 박리 샘플이 실패하기 전에 2.9 lbf/인치의 평균 피크 하중을 나타내었다. 모든 4개의 박리 시험에서, 박리 시험 샘플은 PET 필름의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에 의해 실패하였다. 호모중합체 PP와 코팅 사이의 접착 결합은 백색 PET 필름의 응집 강도보다 더 강하였다.
실시예 4
PET 펠릿을 이산화 티탄 PET 마스터뱃치와 혼합하고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도입하며, 그곳에서 가열 및 압축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었다. 13% TiO2를 함유하는 상기 용융물을 슬럿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약 20℃에서 유지되는 캐스팅 롤 상에 캐스팅하며, 그곳에서 고화시켜 무정형 예비 필름으로 만들었다. 이 예비 필름을 3.6:1 연신 비율로 95℃에서 종방향 연신시켰다. 상기 연신된 필름을 코로나 처리기(Enercon Industries 제조) 하에 통과하면서 1.5 W/ft2.min.에서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어, 상기 종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2%-5% 전체 고형분 함량을 함유하고 또 EPOCROS WS700 가교제 및 EIF-1312 접착제 분산액 비율이 0:1 내지 1:0인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여 역 그라비아 코팅 롤에 의해 코팅되었다. 이 코팅을 습윤 코팅 중량 0.4 lb/1000ft2에서 역 그라비아 코팅 롤을 통하여 코로나 처리 PET 필름 표면에 도포하였다. 상기 코팅은 텐터 터널을 통과하는 동안 건조 및 가교시켰다. 최종 필름은 2 mil (50 마이크론) 두께, 불투명 백색이며, 또 본 발명의 코팅에 의해 한면 상에서 프라이밍처리되었다.
상기 코팅된 PET 필름은 4 mil (100 마이크론) 두께 x 1”폭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시트 스트립을 PP 시트와 면하는 프라이머에 의해 2 mil 코팅된 PET 필름의 2개 시트 사이에 샌드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 샌드위치는 400℉ 및 50 psi 압력에 설정된 실험실 밀봉기의 0.75”폭 바 사이에 위치시켰다. 상기 샌드위치를 9초간 적층하였다. 열적 적층 후, 상기 샌드위치를 냉각한 다음 박리 시험을 위해 1”폭 x 6”길이의 쿠폰으로 절단하였다. 상기 박리 시험 샘플은 MTS 시험 리그 상에서 180°박리에 의해 평가하였다. 각 코팅된 샘플로부터 4개 쿠폰을 시험하였고 박리력값을 보고하였다. 샘플 #12- #14 및 #16 - #19에서, 호모중합체 PP와 코팅 사이의 접착 결합은 PET 필름의 응집 강도보다 더 강하였다.
Figure 112017009572814-pct00009
본 발명에 대한 이들 및 다른 변형 및 변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더욱 자세하게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요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들은 상술한 기재가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잘 알 것이다.

Claims (35)

  1. 코팅된 필름으로서, 상기 코팅된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고, 2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면 상의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성분은 접착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변형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산 또는 산 무수물은 1개 탄소 원자 내지 28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착제 및 상기 가교제는 3:7 내지 20:1의 상기 접착제 대 상기 가교제의 중량비로 상기 코팅에 함유된, 코팅된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또는 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1개 탄소 원자 내지 10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에 의해 변형되는 코팅된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은 디카복실산 또는 디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되는 코팅된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은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되는 코팅된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은 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되는 코팅된 필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은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형성되는 코팅된 필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에 함유된 가교제는 옥사졸린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에 백색 컬러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코팅된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황산바륨 입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70 초과의 버거(Berger) 백색도를 갖는 코팅된 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5 중량%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존재하는 이산화 티탄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가 0.1 mil 내지 15 mil인 2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또 상기 코팅은 두께가 10 nm 내지 60 nm인 코팅된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면 상에서 인쇄되는 코팅된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중합체 필름의 제2 면 상에 제2 코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팅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은 상기 접착제와 조합된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열처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면에 결합되는 코팅된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a. 하기 구조 화학식(I) 내지 (III)의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옥사졸린 유도체, 및
    b. 적어도 하나의 추가 코모노머,로부터 형성되는 옥사졸린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Figure 112022044004459-pct00016

    Figure 112022044004459-pct00017

    Figure 112022044004459-pct00018

    구조 화학식(I) 내지 (III) 중, R1, R2, R3 및 R4 라디칼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또 R5는 중합성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비시클릭 라디칼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모노머(b)는 하기 화합물: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불포화 카복실산, 불포화 니트릴, 불포화 아미드, 비닐 에스테르, 비닐 에테르, 알파-올레핀, 할로겐화된 알파,베타-불포화 화합물 또는 알파,베타-불포화 방향족 화합물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옥사졸린 변형된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된 필름.
  22.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면 상의 코팅으로서, 이때 상기 코팅은 접착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카복실산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복실산은 카복실산 무수물 및 1개 탄소 원자 내지 10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교제는 옥사졸린, 카보디이미드,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멜라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및 상기 가교제는 3:7 내지 20:1의 상기 접착제 대 상기 가교제의 중량비로 상기 코팅에 함유된, 코팅;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결합된 중합체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중합체 물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팅은 상기 중합체 물품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결합시키고, 또 상기 중합체 물품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중합체 물품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중합체 물품이 4 lbf/인치보다 큰 박리 강도를 나타내도록 결합되어 있는 적층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품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24. 삭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품은 성형 물품을 포함하는 적층체.
  26. 삭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물품은 폴리프로필렌 호모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체.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물품은 섬유 강화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형성되는 적층체.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에 함유된 접착제는 말레에이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또 상기 코팅에 함유된 가교제는 옥사졸린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체.
  30. 삭제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물품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체.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필름의 제2 면 상에 제2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팅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적층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2 면에 결합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적층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결합된 성형 물품을 더 포함하는 적층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물품이 금속, 세라믹, 종이, 또는 목재 물품을 포함하는 적층체.
KR1020177002585A 2014-08-14 2015-08-12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KR10251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7326P 2014-08-14 2014-08-14
US62/037,326 2014-08-14
PCT/US2015/044788 WO2016025563A1 (en) 2014-08-14 2015-08-12 Laminate containing coated polyester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565A KR20170042565A (ko) 2017-04-19
KR102516807B1 true KR102516807B1 (ko) 2023-03-31

Family

ID=5396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585A KR102516807B1 (ko) 2014-08-14 2015-08-12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82284B2 (ko)
EP (1) EP3180395A1 (ko)
JP (1) JP6716540B2 (ko)
KR (1) KR102516807B1 (ko)
WO (1) WO2016025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4482B1 (en) * 2014-01-16 2021-03-10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Center-side method of producing superhydrophobic surface
JP6716540B2 (ja) 2014-08-14 2020-07-01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インク 塗布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積層体
CA2958201C (en) 2014-08-15 2024-03-12 Xamax Industries, Inc. Composite thermoplastic laminate
US10337187B1 (en) 2016-06-24 2019-07-02 Mitsubishi Polyester Film, Inc. Shingle product
DE102018105735A1 (de) * 2018-03-13 2019-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ennfolie für Tiefdruckanwendung
JP7326958B2 (ja) * 2019-07-22 2023-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669404B (zh) * 2019-09-12 2021-06-04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石墨吸附复合卷材及其制备方法
US20230060951A1 (en) * 2020-01-22 2023-03-02 Custom Laminating Corp. High Temperature Polymer Adhesive and Laminate Using the Adhesive
US11072147B1 (en) * 2021-03-16 2021-07-27 Altum LLC Structural member consisting of dissimilar polymer materials
WO2024050696A1 (zh) * 2022-09-06 2024-03-14 扬州纳力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膜的制造方法、复合膜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502A (ja) * 2010-04-06 2011-11-17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ルフィルム
WO2014021445A1 (ja) 2012-08-02 2014-02-06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水性分散体
WO2014109341A1 (ja) 2013-01-11 2014-07-17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8629A (en) 1971-05-07 1973-09-11 Dow Chemical Co By reaction with a di-2-oxazoline cross linking of addition polymers containing combined free carboxyl
US3905931A (en) 1972-11-10 1975-09-16 American Can Co Water-based film laminating adhesive from poly(ethyl acrylate), poly(ethylene/acrylic acid) and 1,2-epoxy resin
JPS55151008A (en) 1979-05-15 1980-11-25 Takeda Chem Ind Ltd Preparation of high molecular polymer having crosslinked structure
US4379806A (en) 1979-07-05 1983-04-12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ocess
US4389437A (en) 1981-12-28 1983-06-21 Mobil Oil Corporation Boil resistant film laminate and retortable food pouch therefrom
US4623413A (en) 1982-03-01 1986-11-18 Morgan Adhesives Company Method of protecting decorative material with release film
US4499130A (en) 1982-03-01 1985-02-12 Carprotec, Inc. Temporary strippable protective laminate
US4532187A (en) 1982-06-28 1985-07-3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olefin resin blends with enhanced adhesion and laminates
US4474928A (en) 1982-06-28 1984-10-02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olefin resin blends with enhanced adhesion
US4631308A (en) 1983-09-01 1986-12-23 The Dow Chemical Company Adhesive and coating composition
US4626575A (en) 1985-04-22 1986-12-02 Ashland Oil, In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GB8512688D0 (en) 1985-05-20 1985-06-26 Ici Plc Polymeric film
US4632869A (en) 1985-09-03 1986-12-30 Mobil Oi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opaque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631233A (en) 1985-12-23 1986-12-23 The Dow Chemical Company Adhesion of latex coatings to polymeric surfaces
US4965126A (en) 1987-05-12 1990-10-23 Abraham William W Ink-reinforced polyurethane films
FR2640984B1 (ko) 1988-12-28 1992-09-11 Rhone Poulenc Films
JP2569199B2 (ja) 1990-04-11 1997-01-08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161093A (en) 1990-07-02 1992-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ple lamination high density interconnect process and structure employing a variable crosslinking adhesive
EP0490026A3 (en) * 1990-12-10 1992-09-30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Improved aqueous emulsion dispersion adhesives based on a polyol and a hindered isocyanate compound
US5532058A (en) * 1990-12-10 1996-07-02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Dry-bonded film laminate employing polyurethane dispersion adhesives with improved crosslinkers
US5206279A (en) 1991-01-25 1993-04-27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queous dispersions of ethylene/α,β-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terpolymers
US5591806A (en) 1991-05-20 1997-01-07 Dominion Chemical Company High solids ethylene acrylic acid aqueous dispers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5192620A (en) 1991-11-08 1993-03-09 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composite film structure and method
DE69333329T2 (de) 1992-01-07 2004-09-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Polyesterfilm
JP3259147B2 (ja) 1993-01-20 2002-02-25 株式会社日本触媒 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方法
US5776604A (en) 1995-02-03 1998-07-07 Mobil Oil Corporation Coating for printable plastic films
US6221191B1 (en) 1996-06-07 2001-04-24 Qpf, L.L.C. Polyester-containing biaxially-oriented polypropylene film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637366A (en) 1995-06-07 1997-06-10 Qpf, Inc. (Delaware Corporation) Polyester-containing biaxially-oriented polypropylene film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114021A (en) 1996-07-16 2000-09-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imed polymer films having improved adhesion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films
US5777714A (en) 1997-05-02 1998-07-07 Bausch & Lomb Incorporated Eyewear frame construction
JP3630527B2 (ja) 1997-05-16 2005-03-16 日清紡績株式会社 カルボジイミド系架橋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ーティング材
EP0884348B1 (en) 1997-06-12 2004-09-1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Laminated polyester film
US6228500B1 (en) 1999-03-08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and precursor thereof
US6753379B1 (en) 1999-11-05 2004-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activated adhesive
US6555240B1 (en) 1999-11-24 2003-04-29 Oji Paper Co., Ltd. Film laminates for printing
US6872458B1 (en) 2001-02-16 2005-03-29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Biaxally-oriented polypropylene films containing a non-crystallizable, amorphous polyester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112493A1 (de) * 2001-03-15 2002-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mit hohem Weißgrad und mit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US20050075428A1 (en) 2001-04-19 2005-04-07 W.F. Taylor Co., Inc. Low emissions one part adhesive
AU2003255151A1 (en) 2002-07-24 2004-02-23 Yupo Corporation Light-reflecting article
DE10315175A1 (de) 2003-04-03 2004-10-14 Degussa Construction Chemicals Gmbh Elektrosterisch stabilisierte wässrige Polyurethan-Har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009945B1 (ko) * 2003-05-22 2011-01-20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 그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수성 도료
US7399518B2 (en) 2003-08-19 2008-07-1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olyester film
US20050069716A1 (en) 2003-09-11 2005-03-31 Sun Sasongko Composition of coextruded adhesive film to bond non-polar to polar surfaces
US7422794B2 (en) 2003-10-21 2008-09-09 Digimarc Corporation Document laminate formed from different polyester materials
US7645829B2 (en) 2004-04-15 2010-01-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functionalized propylene copolymer adhesive composition
US20080050583A1 (en) 2004-11-25 2008-02-28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Easily Adhesive Polyester Film and Film for Protecting Back Side of Solar Cell Using the Same
US20060147720A1 (en) 2005-01-05 2006-07-06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Aqueous phenoxy adhesives
US7989083B2 (en) 2005-04-28 2011-08-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sin composition using same
JP5034175B2 (ja) 2005-05-23 2012-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1248133B (zh) 2005-06-24 2012-11-2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官能化丙烯共聚物粘合剂组合物
WO2007026751A1 (ja) 2005-08-31 2007-03-08 Mitsubishi Plastics, Inc.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JP5092288B2 (ja) 2005-09-02 2012-12-05 三菱化学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07150084A (ja) 2005-11-29 2007-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積層体、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642335B2 (ja) 2005-12-09 2014-12-17 三井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からなる接着性樹脂
DE102006015941A1 (de) * 2006-04-05 2007-10-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weiße Polyesterfolie
DE102006016635A1 (de) 2006-04-08 2007-10-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geringer mechanischer Festigkeit
US20070248810A1 (en) 2006-04-25 2007-10-25 Mcgee Dennis E Coated polymeric film
JP2007321130A (ja) 2006-06-05 2007-12-13 Shin Etsu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US7687575B2 (en) 2006-08-03 2010-03-30 Equistar Chemicals, Lp Propylene elastomer-containing adhesive blends
ATE518255T1 (de) 2006-08-30 2011-08-15 Keiwa Inc Benutzung einer rückplatte für photovoltaikmodule und photovoltaikmodule damit
JP5036333B2 (ja) 2006-10-16 2012-09-26 ユニチカ株式会社 包装材料
US7713636B2 (en) 2006-12-15 2010-05-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 films comprising propylene-based polymers
DE102007026553A1 (de) 2007-06-08 2008-12-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Polyesterfolie für Karten
WO2009020872A1 (en) 2007-08-03 2009-02-12 Saint-Gobain Abrasives, Inc. Abrasive article with adhesion promoting layer
US8535774B2 (en) 2007-08-22 2013-09-17 Unitika Ltd. Release sheet
DE102007041705A1 (de) 2007-09-03 2009-03-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DE102007041706A1 (de) 2007-09-03 2009-03-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ierte, heißsiegelbare und peelfähige Polyesterfolie
JP4798156B2 (ja) 2008-03-17 2011-10-1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5416864B2 (ja) 2008-03-22 2014-02-12 三菱樹脂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24568B2 (ja) 2008-03-28 2014-02-26 ユニチカ株式会社 水性接着剤を用いた積層体
US8383246B2 (en) 2008-05-22 2013-02-26 Exxonmobil Oil Corporation Polypropylene-based shrink films
WO2010033276A2 (en) 2008-07-10 2010-03-25 Exxon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s having improved sealing properties,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110223419A1 (en) 2008-07-11 2011-09-15 Mitsubishi Plastics, Inc. Solar cell backsheet
JP5365140B2 (ja) 2008-10-31 2013-12-11 凸版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DE102009009791A1 (de) 2009-02-20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Weiße, beschichte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Rückseitenabdeckung in Solarmodulen
JP5389531B2 (ja) 2009-03-23 2014-01-15 ユニチカ株式会社 封止用保護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DE102009021712A1 (de) 2009-05-18 2010-11-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n mit verbesserten Hafteigenschaften, Rückseitenlaminate für Solarmodule und Solarmodule
US20100294363A1 (en) 2009-05-22 2010-11-25 Mitsubishi Polyester Film, Inc. Coa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on to Ethylene-Vinyl Acetate Layers
JP2010287662A (ja) 2009-06-10 2010-12-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該保護シート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287260A1 (de) 2009-07-02 2011-02-23 Bayer MaterialScience AG Vernetzbare Polyurethan-Dispersion
EP2479026A4 (en) 2009-09-17 2014-08-13 Mitsubishi Plastic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5441583B2 (ja) 2009-09-18 2014-03-12 三菱樹脂株式会社 両面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18436B2 (ja) 2009-11-0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GB201001947D0 (en) 2010-02-05 2010-03-2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s
JP2011178866A (ja) 2010-02-26 2011-09-15 Fujifilm Corp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裏面保護膜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767910B1 (ko) 2010-04-06 2017-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438713B2 (ja) 2010-04-29 2014-03-1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ルフィルム
JP5263320B2 (ja) 2011-02-23 2013-08-14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2012201043A (ja) 2011-03-28 2012-10-22 Unitika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47841B1 (ko) 2011-03-29 2019-02-13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포장재 및 전지용 케이스
JP5670803B2 (ja) 2011-03-31 2015-02-18 ユニチカ株式会社 電池用外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
KR101702471B1 (ko) 2011-08-26 2017-02-03 엑사테크 엘.엘.씨. 유기 수지 라미네이트, 이의 제조 및 이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04159740A (zh) * 2011-10-14 2014-11-19 三菱聚酯薄膜有限公司 包含涂布的聚酯膜的层压材料
JP2013188977A (ja) 2012-03-15 2013-09-26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34533B2 (ja) * 2012-03-23 2016-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
US9205635B2 (en) 2012-09-06 2015-12-08 Xamax Industries, Inc. Composite sheet material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14061628A (ja) * 2012-09-20 2014-04-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ポリオレフィン成形体用化粧フィルム
JP5952705B2 (ja) * 2012-10-12 2016-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83721A1 (ja) 2013-12-04 2015-06-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水性分散体
JP6716540B2 (ja) 2014-08-14 2020-07-01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インク 塗布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積層体
CA2958201C (en) 2014-08-15 2024-03-12 Xamax Industries, Inc. Composite thermoplastic lamin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502A (ja) * 2010-04-06 2011-11-17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ルフィルム
WO2014021445A1 (ja) 2012-08-02 2014-02-06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水性分散体
WO2014109341A1 (ja) 2013-01-11 2014-07-17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6540B2 (ja) 2020-07-01
WO2016025563A1 (en) 2016-02-18
KR20170042565A (ko) 2017-04-19
US11725089B2 (en) 2023-08-15
US10882284B2 (en) 2021-01-05
US20160046104A1 (en) 2016-02-18
JP2017532390A (ja) 2017-11-02
EP3180395A1 (en) 2017-06-21
US20210086486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807B1 (ko)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
CN102325831B (zh) 白色涂布的聚酯膜,其制备工艺和其作为太阳能组件中背面盖的用途
US6613430B2 (en) Release coated polymer film
EP2766185A1 (en) Laminate containing coated polyester film
JP4812552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US20140017468A1 (en) Gas barrier multilayer film
US9849653B2 (en) Mold releas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JPH02103138A (ja) 複合フイルム
CN111201139A (zh) 层叠体
JP2005035167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EP2556958B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US20150013761A1 (en)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58342B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04262029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乳酸系二軸延伸フィルム
JP5438712B2 (ja) 積層ポリエスルフィルム
JP4439967B2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7254670B2 (ja) 積層体
JPH041039A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JP5995769B2 (ja) 積層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1293833A (ja) ガスバリ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1040A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JP2004189935A (ja) 耐衝撃性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1041A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