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012A - 차량용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012A
KR20090019012A KR1020097000948A KR20097000948A KR20090019012A KR 20090019012 A KR20090019012 A KR 20090019012A KR 1020097000948 A KR1020097000948 A KR 1020097000948A KR 20097000948 A KR20097000948 A KR 20097000948A KR 20090019012 A KR20090019012 A KR 20090019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vehicle
seatback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762B1 (ko
Inventor
마사유키 야마다
다케시 도카이
게이스케 오노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1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 장치는, 각각 선회가능하도록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의 전방부 및 기부 부재 (24)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 (21), 및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의 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또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 (22) 를 구비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 (14) 이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포개지는 접혀진 상태, 및 시트 쿠션 (12) 이 시트 뒤에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기립 상태에 두어지는 승강 상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장치{VEHICULAR SEA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시트 쿠션 및 지지물에 연결되는 전방 연결 레그,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시트백 및 지지물에 연결되는 후방 연결 레그,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시트백 및 지지물에 연결되는 중간 연결 레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로서, 시트 쿠션의 후방부가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시트백에 부착되는 차량용 시트가 일본특허출원공보 제 JP-A-2005-3356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이 시트쿠션에 포개지는 시트 배치, 및 시트 뒤에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시트의 종방향 폭을 감소시키도록 시트 쿠션이 올려지는 시트 배치로 변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시트 배치가 후자의 배치, 즉 시트의 종방향 폭이 더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될 때,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시트를 한번 상승시키는 작동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큰 작동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로 놓여질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일 양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쿠션 프레임을 구비하는 시트 쿠션; 시트백 프레임을 구비하며 기울기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눕힘 기구를 통해 기부 부재에 제공되는 시트백; 제 1 연결 부재로서, 제 1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가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가 기부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로서,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가 제 1 연결 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의 후방에 있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일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가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의 일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이 시트 쿠션의 상측에 포개지는 접혀진 상태, 및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용 시트 장치의 후방에 승강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기립 상태에 있는 승강 상태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시트 배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큰 작동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며,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는 착석 상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잠금 부재가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속되는 방향으로 잠금 부재를 강제하는 제 2 강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속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제 1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에 제공되고 시트 쿠션의 후방측을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을 강제하는 제 1 강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작동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잠금 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고,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시트 쿠션의 후방측은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간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제 2 연결 부재는 곡선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곡선부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차량에 대해 하방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또한, 곡선부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시트 쿠션 프레임의 하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기부 부재에 제공되고 차량에 대해 전상방 대각선으로 돌출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지지 부재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가 지지된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차량에 대해 측방을 향하는 시트백 프레임의 표면에 제공되는 스토퍼 (stopper) 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따라서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스토퍼는 차량에 대해 후방을 향하는 제 2 연결 부재의 표면과 접촉한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제 1 연결 부재는 기부 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의 전방측은 제 2 연결 부재에 대한 시트 쿠션 프레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 배치는, 시트 뒤에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큰 공간을 만들도록 시트의 종방향 폭이 더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제 2 연결 부재에 제공되고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핀과 결속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작동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와 기부 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며, 시트 쿠션의 전방측이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감에 따라, 잠금 부재와 핀은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을 구비하고 기울기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눕힘 기구를 통해 기부 부재에 제공되는 시트백; 시트 쿠션으로서, 이 시트 쿠션의 시트 쿠션 프레임은,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상의 위치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쿠션; 및 연결 부재로서,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는 잠금 부재에 의해 기부 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고 기부 부재에 결속될 때 기부 부재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이 시트 쿠션의 상측에 포개지는 접혀진 상태, 및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용 시트 장치의 후방에 승강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기립 상태에 있는 승강 상태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연결 부재는 기부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시트 쿠션의 전방측은 시트 쿠션 프레임에 대한 시트백 프레임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배치는 승강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은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은 시트 쿠션의 상측에 포개진다. 이와 같이, 시트 배치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시트 배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큰 작동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제 1 단부에 제공되며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전방측을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 프레임을 강제하는 강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시트 쿠션 프레임에 제공되고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핀과 결속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작동에 의해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와 기부 부재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고 잠금 부재는 선회되며, 시트 쿠션의 전방측이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감에 따라, 잠금 부재와 핀은 결속된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기부 부재는 차량에 대해 종방향으로 시트 위치를 조정하는 시트 미끄럼 기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시트 배치가 시트의 종방향 폭이 작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 전체 시트는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확대된 공간이 시트 뒤에 만들어질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명확해질 것이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은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시트 쿠션 (12), 시트백 (14),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2 연결 부재 (22) 를 구비한다.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시트 배치로서,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하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 (14) 이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포개어지는 도 3 에 도시된 접힌 상태, 및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시트의 후방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도 2 에 도시된 승강 상태를 취하게 된다.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으며,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 배치로서,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도 1 에 도시된 착석 상태를 취하게 된다.
시트 쿠션 (12) 은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을 구비하며 탑승자 (비도시) 가 앉을 수 있는 시트 표면을 형성하는 구성품이다.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사각형 프레임형 본체이고, 예컨대 그물형 스프링 (비도시) 이 제공된다.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쿠션 재료 (비도시) 로 덮이고, 다시 쿠션 재료는 시트 외피 (비도시) 로 덮인다.
시트백 (14) 은 시트백 프레임 (18) 을 구비한다. 시트백 프레임 (18) 은 눕힘 기구 (26) 를 통해 기부 부재 (24) 에 제공되어, 그 기울기 각도가 조정될 수 있고 탑승자를 위한 등받침을 형성하는 구성품이다. 시트백 프레임 (18) 은 차량 폭 방향으로 양쪽에 제공되는 측면 프레임 (18A) 및 측면 프레임 (18A) 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관 (18B) 을 구비한다.
측면 프레임 (18A) 에는 예컨대 그물형 스프링 (비도시) 이 제공된다. 시트백 프레임 (18) 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쿠션 재료 (비도시) 로 덮이고, 다 시 쿠션 재료는 시트 외피 (비도시) 로 덮인다.
기부 부재 (24) 는 차량의 종 방향으로 시트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미끄럼 기구 (28) 에 배치된다. 눕힘 기구 (26) 는 기부 부재 (24) 의 후방부에 배치된다. 시트백 프레임 (18) 의 각각의 측면 프레임 (18A) 의 하단부가 눕힘 기구 (26) 에 연결된다. 시트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작동 레버 (32) 가 예컨대 시트백 (14) 의 측면에 제공된다. 작동 레버 (32) 에 대해서, 시트 배치를 접힌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 레버 및 시트 배치를 승강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 레버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눕힘 기구 (26) 는 시트백 (14) 의 기움 작용을 억제하는 억제 기구 (비도시) 를 구비한다. 억제 기구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 (워크인 (walk-in) 상태, 즉 시트 쿠션 (12) 이 기립되어 있는 상태, 구체적으로는 시트 쿠션 (12) 이 기립되어 있고, 시트 미끄럼 기구 (28) 가 잠겨있지 않으며, 시트가 최전방 위치로 대략적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 로 변화될 때, 시트백 (14) 이 소정의 기울기 각도로 전방으로 기울어진 후에 시트백 (14) 이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변화될 때, 억제 기구에 의한 소정의 기울기 각도 내에서의 시트백 (14) 의 기움 작용의 억제는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시트백 (14) 이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시트 쿠션 (12) 에 포개지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부 (21A) 는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의 전방 위치에서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선 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부 (21B) 는 기부 부재 (24) 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부 (21A) 에는 시트 쿠션 (12) 의 후방측을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 (12) 을 강제하는 나선형 스프링 (34) 이 제공되어 있다.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접촉하여 시트 쿠션 (12) 의 최대 올림 각도를 억제하기 위한 돌출된 스토퍼 (36) 가 제공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예컨대 부메랑의 형상을 갖는다.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 (22A) 는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부 (21A) 의 후방 위치에서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는, 시트백 (14) 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의 부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는, 지지 축 (38) 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저널 (journaled) 되어 있고,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 또는 접힌 상태일 때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 (40) 와 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에 대해 후방으로 시트 쿠션 (12) 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쿠션 (12) 의 후방 단부 가까이에 있는 곡선부 (22C) 를 구비하고, 따라서 제 2 단부 (22B) 는 차량에 대해 곡선부 (22C) 로부터 대각선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 (40) 는 지지 축 (42) 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선회가능하게 저널되는 멈춤쇠형 부재이다. 잠금 부재 (40) 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 또는 접힌 상태일 때 차량에 대해 위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와 결속되도록 예컨대 장력 코일 스프링 (44) 에 의해 강제된다. 잠금해제 케이블 (46) 의 제 1 단부가 잠금 부재 (40) 에 연결되어 있고, 잠금해제 케이블 (46) 의 제 2 단부가 작동 레버 (32) 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 레버 (32) 를 작동시켜 장력 코일 스프링 (44) 의 스프링력에 반대로 잠금해제 케이블 (46) 을 당김으로써, 잠금 부재 (40)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로부터 분리된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위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와 접촉하는 스토퍼 (47) 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이 실시예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1 에 있어서, 시트 배치가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착석 상태일 때,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제공된 스토퍼 (47) 는 제 2 연결 부재 (22) 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컨대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적절한 정도로 후방으로 각각 기울어져 있는 착석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잠금 부재 (40)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와 결속되기 때문에, 시트 쿠션 (12) 의 후방측은 나선형 스프링 (34) 의 스프링력에 의해 올려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의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시트 배치는 작동 레버 (32) 를 사용하여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승강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를 사용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잠금해제 케이블 (46) 은 장력 코일 스프링 (44) 의 스프링력에 반대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로부터 잠금 부재 (40) 를 분리시키도록 당겨지고 따라서 잠겨진 상태를 해제시키며, 그 결과 시트 쿠션 (12) 은 나선형 스프링 (34) 의 스프링력에 의해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잠금 부재 (40) 에 의해 유지되는 잠겨진 상태의 해제와는 별개로,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쿠션 (12) 의 후방측은 나선형 스프링 (34) 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부 (21A) 를 중심으로 올려진다. 나선형 스프링 (34) 의 스프링력이 크면, 시트 쿠션 (12) 의 상방 올림은 제 2 연결 부재 (22) 를 통해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시트백 (14) 을 끌어당기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이는 작동을 실행할 필요 없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취하게 된다. 시트 쿠션 (12) 의 상방 올림은 스토퍼 (36) 가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접촉할 때 멈춘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 장치 (10) 에 있어서, 시트 배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시트의 종방향 폭이 더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탑승자가 차량에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시트 뒤에 큰 공간을 만들어낸다.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는 눕힘 기구 (26) 의 선회 축의 위치와 상이한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 즉 시트백 (14) 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운동은 눕힘 기구 (26) 의 작용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시트 배치는 승강 상태로 원활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해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에 의해 유지되는 기부 부재 (24) 의 잠금 상태는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시트는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시트 뒤에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넓은 공간을 만들어낼 것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접힌 상태로 변화될 때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작동 레버 (32) 로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배치는 접힌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 부재 (40) 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 1 연결 부재 (21) 는 제 2 단부 (21B)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하고,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쿠션 프레임 (16) 과 일체로 이동하며, 따라서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방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포개어진다. 따라서, 시트 배치는 접힌 상태로 변화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부메랑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는 눕힘 기구 (26) 의 선회 축의 위치와 상이한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 즉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도록 눕힘 기구 (26) 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오프셋의 양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전방 이동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전방 이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단지 시트백 (14) 을 당기는 것 만으로 시트 배치는 착석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착석 상태로 복귀될 때, 시트백 프레임 (18) 의 스토퍼 (47) 는 제 2 연결 부재 (22) 와 접촉하고, 시트백 프레임 (18) 은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잠긴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이러한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서 큰 작동의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시트백 (14) 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눕힘 기구 (26) 위에 오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 장치 (10) 와 상이하다. 또한,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전방부를 기부 부재 (24) 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 (50) 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폭 방향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2 개의 측부 (48A) 가 시트 쿠션 (12) 을 따라 시트의 후방 쪽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측부 (48A) 는 시트 쿠션 (12) 의 후단부 부근에 곡선부 (48B) 를 구비한다. 차량에 대해 후상방 대각선으로 곡선부 (48B) 로부터 연장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후단부 (48C) 는 시트백 프레임 (18) 의 측면 프레임 (18A) 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측면 프레임 (18A) 에는 잠금 부재 (52) 가 제공된다. 한편,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후단부 (48C) 에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 잠금 부재 (52) 와 결속되는 핀 (54) 이 제공된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을 올림 방향으로 강제하는 스프링 (비도시) 이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후단부 (48C) 에 제공될 수 있다.
잠금 부재 (52) 는 지지 축 (57) 에 의해 측면 프레임 (18A) 에 저널되고, 잠금 해제 케이블 (비도시) 에 의해 작동 레버 (32) 에 연결된다. 잠금 부재 (52)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 시트 쿠션 (12) 의 올려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핀 (54) 과 결속된다. 또한,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부터 착석 상태로 복귀될 때, 작동 레버 (32) 를 작동시킴으로써 잠금 부재 (52) 는 핀 (54)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잠금 부재 (52) 는 스프링 등에 의해 핀 (54) 과 결속되는 방향으로 강제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 (50) 의 제 1 단부 (50A) 가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부재 (50) 의 제 2 단부 (50B) 는, 잠금 부재 (56) 에 의해 기부 부재 (24) 와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기부 부재 (24) 에 연결될 때 기부 부재 (24) 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잠금 부재 (56) 는 지지 축 (60) 에 의해 기부 부재 (24) 에 저널되고, 잠금 부재 (56) 와 결속가능한 핀 (58) 이 연결 부재 (50) 의 제 2 단부 (50B) 에 부착된다.
잠금 부재 (56) 는 잠금해제 케이블 (비도시) 에 의해 작동 레버 (32) 에 연결된다. 작동 레버 (32) 의 작동은,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이거나 착석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변화될 때 잠금 부재 (56) 가 핀 (58) 과 결속되게 하고,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 잠금 부재 (56) 가 핀 (58) 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잠금 부재 (56) 는 스프링 등에 의해 핀 (58) 과 결속되는 방향으로 강제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고, 도면에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며,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며, 이 실시예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4 에서, 시트 배치가 차량용 시트 장치 (20) 에서 착석 상태일 때, 연결 부재 (50) 의 제 2 단부 (50B) 는 잠금 부재 (56) 에 의해 기부 부재 (24) 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 (50) 는 기립 상태에 있다. 이때, 시트백 (14) 은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잠겨진 상태에 있고, 따라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컨대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각각 적절한 각도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착석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의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 작동 레버 (32) 를 사용하여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배치는 승강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잠금 부재 (56) 를 해제하기 위해 잠금해제 케이블이 당겨지고, 따라서 연결 부재 (50) 가 기부 부재 (24) 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 (12) 의 전방측은, 측면 프레임 (18A) 에 대한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연결부, 즉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후단부 (48C)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 쿠션 (12) 의 전방측은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지고, 그 결과 시트 쿠션 (12) 이 차량에 대해 전방을 향하는 시트백 (14) 의 측면과 겹쳐지기 때문에,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핀 (54) 은 잠금 부재 (52) 와 결속되고, 이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의 올려진 상태는 유지된다. 잠금 부재 (52)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 쿠션 (12) 의 잠겨진 상태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 복귀될 때 실행되는 작동 레버 (32) 의 작동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시트 쿠션 (12) 이 스프링 등에 의해 올라가는 방향으로 강제되는 경우에, 시트 쿠션 (12) 은 연결 부재 (50) 와 기부 부재 (24) 의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때 스프링의 스프링력 등에 의해 자동으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잠금 부재 (56) 에 의해 유지되는 잠겨진 상태의 해제와는 별개로,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 에 도시된 승강 상태에서, 시트백 (14) 은 실질적으로 직립 상태에 있도록 전방으로 선회되었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 (20) 에 있어서, 시트 배치는, 시트의 종방향 폭이 감소되는 형태, 즉 간단한 작동에 의해 시트 쿠션 (12) 이 시트백 (14) 의 차량 전방측과 겹쳐지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넓어진 공간이 시트 뒤에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해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에 의해 유지되는 기부 부재 (24)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시트는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넓어진 공간을 시트 뒤에 만들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때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배치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 부재 (56) 에 의 해 유지되는 연결 부재 (50) 와 기부 부재 (24) 사이의 연결된 상태는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재 (50) 는 제 2 단부 (50B) 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연결 부재 (50) 는 제 2 단부 (50B)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하고, 시트백 프레임 (18) 또한 눕힘 기구 (26)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한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은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당겨지고, 따라서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포개진다. 이와 같이, 시트 배치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된다.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의 후단부 (48C) 는 곡선부 (48B) 로부터 차량에 대해 후상방 대각선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 (48) 은 눕힘 기구 (26) 의 선회 축의 위치와 상이한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 즉 시트백 (14) 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도록 눕힘 기구 (26) 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오프셋의 양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20) 의 전방 이동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20) 의 전방 이동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배치는 단지 시트백 (14) 을 당기는 것 만으로 착석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작동에 있어서, 시트백 (14) 이 착석 상태의 기울기 각도까지 당겨질 때, 시트백 (14) 은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잠겨진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큰 작동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로 놓여질 수 있다.
도 7 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제 1 연결 부재 (21) 가 기부 부재 (24)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 장치 (10) 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부 (21B) 에 제공되는 잠금 부재 (62) 는 기부 부재 (24) 로부터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핀 (64) 과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잠금 부재 (62) 는, 지지 축 (66) 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 (21) 에 저널되는 가동 멈춤쇠 (68), 및 가동 멈춤쇠 (68) 를 향하고 가동 멈춤쇠 (68) 와 상호작용하여 지지 핀 (64) 을 클램프할 수 있는 고정 멈춤쇠 (70) 를 구비한다. 가동 멈춤쇠 (68) 는 스프링 (비도시) 에 의해 가동 멈춤쇠 (68) 와 고정 멈춤쇠 (70)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강제되고, 잠금 해제 케이블 (비도시) 에 의해 작동 레버 (32) 에 연결된다. 잠금 해제 케이블을 당기도록 작동 레버 (32) 를 작동시킴으로써, 가동 멈춤쇠 (68) 는 지지 핀 (64) 을 해제시키도록 개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정 멈춤쇠 (70) 는 제 1 연결 부재 (21) 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장치 (10) 와 약간 상이하다. 제 2 실시예의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 1 단부 (22A) 와 시트백 프레임 (18) 에 연결된 제 2 단부 (22B) 사이에 곡선부 (22C) 가 제공되고, 제 2 연결 부재 (22) 가 전체적으로 부메랑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 2 연결 부재 (22) 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의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곡선부 (22C)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6)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 2 연결 부재 (22) 와 상이하다.
한편, 기부 부재 (24) 에는 예컨대 차량에 대해 전상방 대각선으로 돌출하는 지지 부재 (72) 가 제공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지지 부재 (72) 에 의해 시트 쿠션 (12) 아래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시트 쿠션 (12) 으로부터의 하중은 제 2 연결 부재 (22) 로부터 기부 부재 (24) 로 전달될 수 있고, 시트 쿠션 (12) 의 후방부가 기부 부재 (24)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백 프레임 (18) 의 측면 프레임 (18A) 에는 착석 상태에서 시트백 (14) 을 지탱하는 스토퍼 (74) 가 제공되어 있다.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 (22) 는 스토퍼 (74) 와 접촉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차량에 대해 후방으로 더 기울어지지 않는다.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시트백 (14) 은 눕힘 기구 (26) 에 의해서도 잠기며, 이 잠겨진 상태는 작동 레버 (32) 의 작동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에는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을 강제하는 스프링 (비도시) 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에 인접한 시트 쿠션 프레임 (16) 의 일부에서, 잠금 부재 (78) 가 지지 축 (76) 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저널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 (22) 에는 또한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잠금 부재 (78) 와 결속되는 핀 (80) 이 제공된다. 잠금 부재 (78) 는 잠금 해제 케이블 (비도시) 에 의해 작동 레버 (32) 에 연결된다. 잠금해제 케이블을 당기도록 작동 레버 (32) 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 상태 동안의 핀 (80)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고,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이 실시예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7 에서, 시트 배치가 차량용 시트 장치 (30) 에서 착석 상태일 때,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부 (21B) 는 지지 핀 (64) 과 결속된 잠금 부재 (62) 에 의해 기부 부재 (24) 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 1 연결 부재 (21) 는 기립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제 2 연결 부재 (22) 는 기부 부재 (24) 에 제공된 지지 부재 (72) 에 의해 지지되고, 시트백 프레임 (18) 의 측면 프레임 (18A) 에 제공된 스토퍼 (74) 와 접촉하며, 이에 따라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컨대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각각 적절한 각도로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착석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때의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 의 작동이 실행될 때, 잠금해제 케이블 (비도시) 은 지지 축 (66) 을 중심으로 잠금 부재 (62) 의 가동 멈춤쇠 (68) 를 선회시키도록 당겨지고, 따라서 가동 멈춤쇠 (68) 와 고정 멈춤쇠 (70)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거나 확장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제 1 연결 부재 (21) 와 기부 부재 (24)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 쿠션 (12) 의 전방측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시트 쿠션 (12) 이 실질적으로 수직 상태에 놓여지도록 시트 쿠션 (12) 의 전방측이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질 때, 시트 쿠션 프레임 (16) 에 제공된 잠금 부재 (78)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핀 (80) 과 결속되고, 이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의 올려진 상태는 유지된다. 잠금 부재 (78)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 쿠션 (12) 의 잠겨진 상태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 복귀될 때 실행되는 작동 레버 (32) 의 작동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트 쿠션 (12) 이 스프링 등에 의해 올라가는 방향으로 강제되는 경우, 시트 쿠션 (12) 은 제 1 연결 부재 (21) 와 기부 부재 (24) 사이의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때 스프링의 스프링력 등에 의해 자동으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는 잠금 부재 (62) 에 의해 유지되는 잠겨진 상태의 해제와는 별개로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 에 도시된 승강 상태에 있어서, 시트백 (14) 은 실질적으로 직립하도록 전방으로 선회되었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 (30) 에 있 어서, 시트 배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시트의 종방향 폭이 더 작아지는 형태, 즉 시트 쿠션 (12) 이 시트백 (14) 의 차량 전방측과 겹쳐지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넓어진 공간이 시트 뒤에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 (32) 에 의해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에 의해 유지되는 기부 부재 (24)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시트는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승강을 위한 더 넓어진 공간을 시트 뒤에 만들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9 를 참조하여,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때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이 경우, 작동 레버 (32) 로 소정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시트백 (14) 을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시트 배치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레버 (32) 에 의한 소정의 작동이 실행될 때,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유지되는 시트백 (14) 의 잠겨진 상태는 해제되고, 따라서 시트백 (14) 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 부재 (62) 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연결 부재 (21) 와 기부 부재 (24) 사이의 연결된 상태는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연결 부재 (21) 는 제 2 단부 (21B) 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 1 연결 부재 (21) 는 제 2 단부 (21B) 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시트백 (14) 이 기울어지면서 제 2 연결 부재 (22) 는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포개진다. 이와 같이, 시트 배치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부메랑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는, 눕힘 기구 (26) 의 선회 축의 위치와 상이한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 즉 시트백 (14) 이 기립 상태에 놓여질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 (26) 의 상방에 있도록 눕힘 기구 (26) 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시트백 프레임 (18) 상의 위치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오프셋의 양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은 차량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 (22) 는 지지 부재 (72) 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 배치가 접혀진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제 2 연결 부재 (22) 는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할 때 지지 부재 (72)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 (12) 의 후방부의 불필요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원활하게 접힐 수 있다.
이때,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전방 이동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트 미끄럼 기구 (28) 를 통한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전방 이동을 유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지 시트백 (14) 을 당기는 것만으로 시트 배치는 착석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작동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착석 상태로 복귀될 때,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백 프레임 (18) 의 스토퍼 (74) 와 접촉하고, 시트백 프레임 (18) 은 눕힘 기구 (26) 에 의해 잠겨진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이러한 시트 작동을 실행하는 사람에게 큰 작동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시트 배치에 두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 1 연결 부재 (21), 제 2 연결 부재 (22), 연결 부재 (50) 등에 대해서, 이 구성품들은 시트 배치의 원활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좌우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 및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다양한 연결 부재의 형상 및 배치, 잠금 부재의 배치 등, 및 상세한 부분의 구성은 차량용 시트 장치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

Claims (17)

  1.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을 구비하는 시트 쿠션;
    시트백 프레임을 구비하며, 기울기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눕힘 기구를 통해 기부 부재에 제공되는 시트백;
    제 1 연결 부재로서, 제 1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가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가 기부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로서,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가 제 1 연결 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의 후방에 있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일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가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 일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은 시트 쿠션의 상측에 포개지는 접혀진 상태, 및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이 차량용 시트 장치의 후방에 승강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기립 상태에 있는 승강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는 착석 상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잠금 부재가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속되는 방향으로 자금 부재를 강제하는 제 2 강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속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에 제공되며 시트 쿠션의 후방측을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을 강제하는 제 1 강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고,
    제 1 작동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잠금 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며,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시트 쿠션의 후방측은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가는, 차량용 시트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곡선부를 구비하며, 이 곡선부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차량에 대해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차량용 시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시트 쿠션 프레임의 하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기부 부재에 제공되고 차량에 대해 전상방 대각선으로 돌출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지지 부재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가 지지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에 대해 측방을 향하는 시트백 프레임의 표면에 제공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따라서 시트 배치가 착석 상태일 때, 스토퍼는 차량에 대해 후방을 향하는 제 2 연결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기부 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제 2 연결 부재에 제공되고,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핀을 더 포함하며,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핀과 결속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고,
    제 1 작동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와 기부 부재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며, 시트 쿠션의 전방측이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감에 따라, 잠금 부재와 핀은 결속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3.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을 구비하고 기울기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눕힘 기구를 통해 기부 부재에 제공되는 시트백;
    시트 쿠션으로서, 시트 쿠션의 시트 쿠션 프레임이 시트백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해 눕힘 기구의 상방에 있는 시트백 프레임상의 위치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쿠션; 및
    연결 부재로서,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가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가 잠금 부재에 의해 기부 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고 기부 부재에 결속될 때 기부 부재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차량용 시트 장치의 시트 배치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시트 쿠션은 차량에 대해 전하방으로 이동되고 시트백은 시트 쿠션의 상측에 포개지는 접혀진 상태, 및 시트백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차량용 시트 장치의 후방에 승강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기립 상태에 시트 쿠션이 있는 승강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제 1 단부에 제공되고 시트 쿠션 프레임의 전방측을 올리는 방향으로 시트 쿠션 프레임을 강제하는 강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제공되는 잠금 부재; 및
    시트 쿠션 프레임상에 제공되고 잠금 부재와 결속되는 핀을 더 포함하며,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핀과 결속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시트 배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고,
    제 1 작동에 의해,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와 기부 부재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고 잠금 부재는 선회되며, 시트 쿠션의 전방측이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올라감에 따라, 잠금 부재와 핀은 결속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재는 차량에 대해 종방향으로 시트 위치를 조정하는 시트 미끄럼 기구에 배치되는,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0097000948A 2006-07-31 2007-07-27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058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07624 2006-07-31
JP2006207624A JP4176118B2 (ja) 2006-07-31 2006-07-31 車両用シート装置
PCT/IB2007/002154 WO2008015527A1 (en) 2006-07-31 2007-07-27 Vehicular sea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12A true KR20090019012A (ko) 2009-02-24
KR101058762B1 KR101058762B1 (ko) 2011-08-24

Family

ID=3869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948A KR101058762B1 (ko) 2006-07-31 2007-07-27 차량용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52240B2 (ko)
EP (1) EP2049359B1 (ko)
JP (1) JP4176118B2 (ko)
KR (1) KR101058762B1 (ko)
CN (1) CN101495341B (ko)
DE (1) DE602007009258D1 (ko)
WO (1) WO2008015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4756A1 (en) * 2008-01-28 2009-08-06 Magna Seating Inc. Fold and kneel seat assembly with stand up mechanism
GB2459696B (en) * 2008-05-01 2012-05-16 Ford Global Tech Llc A multifunctional seat for a motor vehicle
DE102009043298B4 (de) * 2009-09-29 2013-01-17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rhöhtem Sitzkomfort
JP5464041B2 (ja) * 2010-05-18 2014-04-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899684B2 (en) * 2010-07-01 2014-12-02 Johnson Controls Techonology Company Second row package
FR2962388B1 (fr) * 2010-07-12 2012-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renant un siege escamotable en deux temps
KR101209993B1 (ko) * 2010-12-03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1210155B1 (ko) *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CN103561611B (zh) * 2011-05-20 2016-08-17 约翰逊控制技术公司 场馆式且可收起的座椅
US20130093218A1 (en) * 2011-10-14 2013-04-18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Folding Seat Bottom and Head Restraint
JP5718832B2 (ja) * 2012-01-27 2015-05-1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DE102012108641B4 (de) * 2012-09-14 2014-07-24 Grammer Ag Sitz mit einer Arretierungseinrichtung
DE102012108638A1 (de) * 2012-09-14 2014-06-12 Grammer Ag Sitz mit am Boden abgestützter Rückenlehne
DE102012108640B4 (de) * 2012-09-14 2018-04-26 Grammer Ag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mit Schwenkachse
US8840180B2 (en) * 2012-11-12 2014-09-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ip-up seat with concealed support structure
DE102014204594A1 (de) * 2013-03-15 2014-09-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sitzbaugruppe
DE102013215028B4 (de) * 2013-03-27 2018-08-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Easy-Entry-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EP2985176B1 (en) * 2013-04-12 2018-04-04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seat device
JP5859477B2 (ja) * 2013-04-12 2016-02-1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14167956A1 (ja) * 2013-04-12 2014-10-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815593B2 (ja) * 2013-04-12 2015-1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271866B2 (ja) * 2013-05-29 2018-01-3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236233B2 (ja) * 2013-07-01 2017-11-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161956B2 (ja) * 2013-05-29 2017-07-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5209289B (zh) * 2013-05-29 2017-08-25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座椅
JP6262451B2 (ja) * 2013-06-14 2018-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884571B2 (en) 2013-06-14 2018-02-06 Ts Tech Co., Ltd. Vehicular seat
US9370265B2 (en) 2013-07-12 2016-06-21 Palmer Hamilton, Llc Foldable mobile restaurant booth
US9676299B2 (en) 2013-07-19 2017-06-13 Tachi-S Co., Ltd. Vehicle seat
JP5796042B2 (ja) * 2013-07-19 2015-10-21 株式会社タチエス ダイブダウンシート
FR3008655B1 (fr) * 2013-07-22 2015-07-17 Nexter Systems Siege pour vehicule
US9187012B2 (en) * 2013-12-12 2015-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voting and reclining vehicle seating assembly
JP6189746B2 (ja) * 2013-12-27 2017-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315985B2 (ja) * 2013-12-27 2018-04-2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62575B2 (ja) * 2014-03-13 2018-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290707B2 (ja) * 2014-05-16 2018-03-0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37465B2 (ja) * 2014-05-23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592758B1 (ko) 2014-08-28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9586506B2 (en) * 2014-10-03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seat cushion with H-point articulation
KR101724915B1 (ko) 2015-10-02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9944204B2 (en) * 2016-01-07 2018-04-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seat having two independent modes
CN109153343B (zh) * 2016-07-20 2021-03-26 株式会社泰极爱思 车辆用座椅
CN106394322A (zh) * 2016-08-26 2017-02-15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汽车座椅前倾折叠调节装置
JP6880387B2 (ja) * 2016-09-30 2021-06-0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687853B2 (ja) * 2016-12-28 2020-04-2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794905B2 (ja) * 2017-04-06 2020-12-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412213B2 (ja) * 2017-06-14 2018-10-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9130972B (zh) * 2017-06-28 2021-03-19 诺博汽车系统有限公司 具有多连杆机构和滑轨解锁件的座椅以及车辆
CN107444201A (zh) * 2017-08-02 2017-12-08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机构
JP6922574B2 (ja) * 2017-09-12 2021-08-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GB2580292B (en) * 2018-10-30 2022-11-30 Safran Seats Gb Ltd Aircraft seat and cabin arrangement
JP7103166B2 (ja) * 2018-11-02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2586461B1 (ko) * 2019-03-25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FR3107672B1 (fr) * 2020-02-28 2022-03-1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ège pour véhicule modulable comprenant un unique actionneur
CN114987295B (zh) * 2022-06-10 2023-07-04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和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948A (en) * 1996-04-10 1997-09-30 Lear Corporation Seat and seat belt restraint assembly
JP4431800B2 (ja) * 2000-12-29 2010-03-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ク装置並びに折畳み自在シート
CN100408374C (zh) * 2001-06-11 2008-08-06 东京座椅技术株式会社 可翻起的车辆座椅
JP3663509B2 (ja) 2001-06-11 2005-06-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イナーシャロック装置並びに折畳み式シート
JP4006675B2 (ja) 2001-09-12 2007-11-14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取付構造
JP3878099B2 (ja) * 2002-09-19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配列構造
FR2845325B1 (fr) 2002-10-08 2006-01-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4105534B2 (ja) 2002-11-28 2008-06-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R2851211B1 (fr) 2003-02-19 2006-01-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rabattabl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siege
US6742841B1 (en) * 2003-05-23 2004-06-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with auto-fold leg
US7901005B2 (en) * 2003-09-16 2011-03-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DE10355765A1 (de) * 2003-11-26 2005-06-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DE20319816U1 (de) * 2003-12-17 2005-05-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FR2870795B1 (fr) 2004-05-26 2006-09-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et vehicule muni d'un tel siege
US7086696B2 (en) * 2004-12-29 2006-08-08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7568764B2 (en) * 2007-01-08 2009-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having four-bar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5527A1 (en) 2008-02-07
DE602007009258D1 (de) 2010-10-28
JP4176118B2 (ja) 2008-11-05
KR101058762B1 (ko) 2011-08-24
JP2008030657A (ja) 2008-02-14
US8152240B2 (en) 2012-04-10
EP2049359B1 (en) 2010-09-15
CN101495341B (zh) 2012-01-11
CN101495341A (zh) 2009-07-29
US20090322134A1 (en) 2009-12-31
EP2049359A1 (en)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76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051901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US8282150B2 (en) Vehicle seat stow release system and method
KR20080083132A (ko) 절첩식 평탄 시트 조립체
KR20100025085A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19065773A1 (ja) 乗物用シート
JP2005041274A (ja) シート装置
CN108725272B (zh) 用于h点举升的可折叠举升机构
JP2009078671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3573376B2 (ja) 車両用多機能シート
JP4858819B2 (ja) チップアップ・ダイブダウン式自動車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313717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H10230765A (ja) シート装置
JP2004306923A (ja) 車両用シート
JP3949571B2 (ja) 折り畳みシート
KR100501671B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JP696036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18095062A (ja) 座席
CN106564410A (zh) 具有带槽的导引连杆的可收起的交通工具座椅
JP2017030717A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2215843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JP3887711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