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901B1 - 차량용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901B1
KR101051901B1 KR1020097002090A KR20097002090A KR101051901B1 KR 101051901 B1 KR101051901 B1 KR 101051901B1 KR 1020097002090 A KR1020097002090 A KR 1020097002090A KR 20097002090 A KR20097002090 A KR 20097002090A KR 101051901 B1 KR101051901 B1 KR 10105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nnecting member
state
seatback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831A (ko
Inventor
마사유키 야마다
마코토 이토
겐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로서 승무원이 앉을 수 있는 착좌 상태와,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승강 상태 및 시트백 (14) 이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중첩되는 격납 상태에 있게 된다. 차량용 시트 장치는 제 1 연결 부재 (21), 제 2 연결 부재 (22) 와 구동 기구 (16) 를 갖추며, 이들은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배치가 변경되므로, 시트 배치 변경시 다양한 시트 배치가 가능하며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연결 부재, 구동 기구, 시트 배치.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장치{VEHICULAR SEA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쿠션 및 지지체에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앞부분 링크다리와, 시트백 및 지지체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부 링크다리와, 시트백 및 지지체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 링크다리를 구비하며, 시트 쿠션 후부가 시트백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JP-A-2005-3356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JP-A-2005-335697호 에서, 상기 시트는, 시트 쿠션상에 시트백이 중첩되는 형태 및 시트 후부에 대한 접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시트 쿠션을 튀겨 올려 시트의 길이방향 폭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변경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시트 길이방향 폭을 줄이는 형태로 변경될 때는 시트를 차량의 상방으로 한번 들어올리는 조작 수행이 필요하다. 이로인해, 시트 형태 변경 시의 승무원의 부담이 증가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시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시트 배치를 변경할 때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쿠션, 베이스 부재상에 리클라이닝 기구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시트백, 및상기 시트백의 경사 이동과 동기하여 상기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협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이 기립상태로 되는 승강 상태와,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시트백의 상측에 중첩되는 격납 상태와,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으며,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은 착좌 상태를 가지며, 상기 시트 배치는 상기 협동 수단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제 1 태양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시트 배치는 시트백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시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시트 배치의 변경 시의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제 1 태양의 차량용 시트 장치에 따르면,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가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가 상기 시트 쿠션의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 부재와, 제 1 단부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상의 위치 중 상기 제 1 연결 부재의 연결 위치 보다 차량 후방인 위치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가 시트백의 시트백 프레임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 및 시트 배치를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할 때, 시트백의 경사 이동과 동기하여, 제 2 연결 부재를 그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하며, 제 2 연결 부재를 통해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전술한 태양에서,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잠금 부재는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잠금 부재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 또는 격납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시트 쿠션의 자세는 시트백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제 2 단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다양하고 선택가능한 시트 배치를 갖춘 안락한 객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가 상기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가 제 2 연결 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가 결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제 3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의 경사이동과 연루되는 제 3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의 궤적과의 차이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협동 수단으로서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 이외에 제 3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3 연결 부재의 제 2 단과 제 2 연결 부재의 결합부로의 연결이 유지된다. 시트백이 경사져 있을 때,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은 시트백의 경사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 운동을 실시하고, 제 3 연결 부재의 제 2 단은 제 3 연결 부재의 제 1 단을 중심으로 하는 원 운동을 실시한다. 단일 링크가 제 3 연결 부재의 제 2 단에서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2 개의 제 2 단의 궤적의 차이로 인해 링크의 자세가 변한다. 링크의 자세 변화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가 시트 쿠션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의 자세는 시트백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3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는 차량 플로어 부재로서의 지지 브래킷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제 2 단부에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가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 부재와, 제 1 단부가 시트 쿠션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제 2 단부가 시트백의 시트백 프레임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와, 제 1 단부가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가 시트백 프레임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일 때 제 1 연결 부재와 함께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제 3 연결 부재, 및 시트백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제 2 연결 부재를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 2 연결 부재를 통해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이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연결 부재, 제 2 연결 부재, 제 3 연결 부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일 때, 시트 쿠션은 제 1 연결 부재와 제 3 연결 부재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사이에서 변경될 때, 제 2 연결 부재는 시트백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구동 기구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의 자세는 시트백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제 2 단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다양하고 선택가능한 시트 배치를 갖춘 안락한 객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가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연결 부재의 위치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가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가 결합부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제 4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의 경사 이동과 연루되는 제 4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의 궤적과의 차이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협동 수단으로서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와 제 3 연결 부재 이외에 제 4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4 연결 부재의 제 2 단과 결합부로의 연결이 유지된다. 시트백이 경사져 있을 때,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은 시트백의 경사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 운동을 실시하고, 제 4 연결 부재의 제 1 단은 제 4 연결 부재의 제 2 단을 중심으로 하는 원 운동을 실시한다. 단일 링크가 제 4 연결 부재의 제 1 단에서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까지 연장되고, 제 4 연결 부재의 제 1 단과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의 궤적의 차이로 인해 링크의 자세가 변한다. 링크의 자세 변화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가 시트 쿠션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의 자세는 시트백을 기울임과 동기적으로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 2 연결 부재는 제 2 단부에 연장부를 가지고, 제 4 연결 부재의 제 1 단부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3 연결 부재는 부메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상기 구동 기구는, 리클라이닝 기구의 시트백의 경사 이동 중심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선회 운동이 제한되는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시트백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제 1 힘 전달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시트 쿠션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제 2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 기구는 시트백의 경사 중심에 형성된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에 형성된 제 2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사이에서 변경될 때, 제 1 힘 전달 부재의 선회는 제한되고, 제 2 힘 전달 부재는 시트백의 회전과 동기적으로 제 1 힘 전달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나서, 제 2 힘 전달 부재가 회전할 때, 제 2 연결 부재는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이로써 시트 쿠션의 자세가 변한다. 그러므로, 시트 백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의 자세가 부드럽게 변경될 수가 있어 승무원의 조작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제 1 힘 전달 부재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격납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선회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힘 전달 부재는 시트백과 함께 수반되며 시트백 경사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힘 전달 부재의 원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착좌 상태과 격납 상태사이의 시트 배치의 변경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힘 전달 부재는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힘 전달 부재는 마찰 휠일 수도 있고 또는 풀리와 그 풀리에 감겨진 힘 전달 부재와의 조합물일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힘 전달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힘 전달 부재 및 제 2 힘 전달 부재와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힘 전달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에 대해 결합되고 이탈되는 잠금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잠금 핀은 컷아웃과 결합되고,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로 변경되면 잠금 핀은 컷아웃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 장치에서, 베이스 부재는 베이스 부재는 길이방향 조정 기구에 의해 차량의 길이방향 위치가 조정가능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 배치는 승강 상태로 설정될 때, 시트 쿠션과 시트백은 차량의 전방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트 후부를 위한 승강 공간이 향상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 은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시트백에 형성된 조작 레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시트 배치가 승강 (entry/exit)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는 시트 배치가 격납 (retracted)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차 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6 은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7 은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8 은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은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은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은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는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차 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 은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7 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시트 쿠션 (12), 시트백 (14), 협동 수단으로서의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제 2 연결 부재 (22), 및 구동 기구 (16) 를 구비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지 않은 또는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고 승무원 (미 도시) 이 착좌 가능한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착좌 상태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승강 상태, 및 시트 쿠션 (12) 이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시트백 (14) 이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중첩되는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격납 상태를 갖는다.
시트 쿠션 (12) 은 승무원이 시트 쿠션 (12) 에 착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을 구비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형 본체이며, 또한 예를 들어 망상 (net-like) 스프링 (미 도시) 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은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재 (미 도시) 로 피복되고, 그리고 상기 쿠션재는 시트 표피 (미 도시) 로 피복된다.
시트백 (14) 은 승무원의 등받이로서 구성되어 베이스 부재 (26) 에 리클라이닝 기구 (28) 를 통해 형성되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시트백 (14) 은 시트백 프레임 (25) 을 구비한다.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시트백 프레임 (25) 의 저단부가 연결된다. 시트백 프레임 (25) 은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재 (미 도시) 로 피복되고, 그리고 상기 쿠션재는 시트 표피 (미 도시) 로 피복된다.
베이스 부재 (26) 는 그 위치가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에 의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는 예를 들어 차량 플로어 패널 (미 도시) 에 고정된 저부 레일 (lower rail) (34) 상을 상부 레일 (upper rail) (미 도시) 이 차량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레일에 베이스 부재 (26) 가 장착된다.
도 2 에서, 예를 들어 시트백 (14) 의 측면에는 시트 배치를 변경할 때 조작되는 조작 레버 (36, 38) 가 제공되어 있다. 조작 레버 (36)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격납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에 사용되고, 조작 레버 (38)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에 사용된다.
도 1 과 도 5 에서, 제 1 연결 부재 (21) 는 예를 들어 선형의 링크이다.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 (21A) 이 차량 플로어 부재, 예를 들어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의 상부 레일상에 제공되는 장착 브래킷 (60)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 (21B) 이 시트 쿠션 (12) 의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의 일부, 즉 이후 기술되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에 대한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의 연결 부분의 전방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예를 들어 부메랑형의 링크이다. 제 2 연결 부재의 제 1 단 (22A) 은 제 1 연결 부재 (21) 와의 연결 위치에서 보다 차량 후방 위치에서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단 (22B) 은 시트백 (14) 의 시트백 프레임 (25)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의 예를 들어 중앙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 또는 격납 상태일 때 상기 제 1 단 (22A) 에 잠금 부재 (42) 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은 시트백 프레임 (25) 의 예를 들어 하부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과 도 5 에서, 잠금 부재 (42)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 수단 (urging means) (미 도시) 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케이블 (미 도시) 에 의해 조작 레버 (38) 에 연결된다. 상기 조작 레버 (38) 를 조작함으로써,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잠금 부재 (42) 에 의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구동 기구 (16)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제 2 연결 부재 (22) 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기구 (16) 는 제 2 연결 부재 (22) 를 통해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 체적으로,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구동 기구 (16) 로서, 제 1 힘 전달 부재의 일례인 제 1 기어 (51) 와 제 2 힘 전달 부재의 일례인 제 2 기어 (52) 를 구비한다.
도 1 과 도 5 에서, 제 1 기어 (51) 는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서의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도 5 에서 제 1 기어 (51) 는 예를 들어 임의의 위치에 컷아웃 (51A) 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 (26) 에는 상기 컷아웃 (51A) 에 출입 가능한 잠금 핀 (44) 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핀 (44) 은 스프링 등 (미 도시) 의 탄성 수단에 의해 컷아웃 (51A) 과 결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잠금 핀 (44) 은 케이블 (미 도시) 을 통해 조작 레버 (36) (도 2) 에 연결된다.
상기 잠금 핀 (44) 은, 시트 배치가 도 1 과 도 5 에 도시된 착좌 상태에 있을 때, 그리고 도 3 과 도 6 에 도시된 승강 상태에 있을 때,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의 제한은,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격납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조작 레버 (36) 를 조작하여 잠금 핀 (44) 을 컷아웃 (51A) 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도 1 과 도 3, 및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어 (52)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어 (52)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 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제 1 기어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제 2 기어 (52) 는 시트백 프레임 (25) 에 저널연결되는 제 2 단 (22B) 과 동축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 2 기어 (52) 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백 (14) 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 1 기어 (51) 와 제 2 기어 (52) 와의 기어비는 시트백 (14) 의 경사량과 시트 쿠션 (12) 의 자세 변화량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 (14) 을 기울일 때의 제 2 연결 부재 (22) 의 선회 운동 방향을 고려하여, 제 1 기어 (51) 와 제 2 기어 (52) 의 사이에 아이들 기어 (46) 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 (46) 는 예를 들어 시트백 프레임 (25) 에 자유롭게 선회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 1 기어 (51) 및 제 2 기어 (52) 에 맞물려 있다. 특히, 아이들 기어 (46) 는, 시트백 (14) 이 경사져 있을 때, 상기 제 1 기어 (51) 에 맞물려 있는 동안, 그 제 1 기어 (51) 주위를 공전 운동하고, 이로써 제 2 기어 (52) 가 회전 구동된다.
부수적으로,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의 제한은, 잠금 핀 (44) 에 의해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을 완전하게 멈추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제 1 기어 (51) 의 약간의 선회 운동을 허용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리클라이닝 기구 (28) 는 시트백 (14) 의 경사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 (미 도시) 를 구비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경사져 있을 때, 상기 스토퍼 기구에 의해 시트백 (14) 이 더 이상 경사져 있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스토퍼 기구에 의해 시트백 (14) 의 경사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제한되는 것이 해제되어,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2) 과 중첩되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서,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잠금 부재 (42) 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에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또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에 결합된 잠금 핀 (44) 은 상기 제 1 기어 (51) 의 선회 운동을 제한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의 후부는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 (26) 에 형성된 지지부 (미 도시) 에 의해 지지를 받고, 이로써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를 들어 각각 적당한 각도까지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착좌 상태로 유지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저부 레일 (34) 상에서 상부 레일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조작 레버 (38)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잠금 부재 (42) 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으로부터 이탈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리클 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시트백 (14) 은 경사질 수 있게 된다. 제 1 기어 (51) 는 잠금 핀 (44) 에 의해 선회 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나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아이들 기어 (46) 와 제 2 기어 (52) 가 선회 운동이 제한되어 있는 제 1 기어 (51) 의 주위를 공전한다. 이로써,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제 1 기어 (51) 와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아이들 기어 (46) 가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아이들 기어 (46) 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맞물리는 제 2 기어 (52)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방식으로 제 2 기어 (52) 가 제 1 기어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하여, 앞부분이 차량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게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도 3 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전방으로 경사지면, 리클라이닝 기구 (28) 의 스토퍼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백 (14) 이 더 이상 아래로 경사지지 않게 유지되며 시트 쿠션 (12) 은 기립 상태에 있게된다. 이로써,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가 된다.
차량용 시트 장치 (10) 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 차량 후방측 시트 (미 도시) 에 대한 승강 공간이 착좌 상태에 있을 때보다 넓다. 이로써, 상기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이 용이해진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를 이 용하여, 시트 쿠션 (12) 과 시트백 (14) 을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배치를 승강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에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기며 이로써, 아이들 기어 (46) 와 제 2 기어 (52) 가 선회 운동이 제한되어 있는 제 1 기어 (51) 의 주위를 공전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제 1 기어 (51) 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아이들 기어 (46) 가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 (46) 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맞물리고 있는 제 2 기어 (52)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방식으로, 제 2 기어 (52) 가 제 1 기어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되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는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한다. 이로써, 제 2 연결 부재의 앞부분이 하강하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나서, 도 1 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하면,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은 잠금 부재 (42) 에 의해 잠긴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과 도 5 에서, 조작 레버 (36)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 핀 (44) 이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 1 기어 (51) 가 베이스 부재 (26) 에 대해 자유롭게 선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잠금 부재 (42) 에 의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의 잠금 상태는 유지되고, 이로써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회전될 수 없다.
그리고 나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1 연결 부재 (21) 가 제 1 단 (21A) 을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선회 운동하고,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될 때,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 2 기어 (52) 가 이동함에 따라, 아이들 기어 (46)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기어 (51)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 (51) 가 자유롭게 선회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잠금 상태이더라도,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기어 (52) 의 공전이 방해받지 않으며, 따라서 시트백 (14) 이 쉽게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4 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가 된다. 격납 상태에서는 시트백 (14) 이 아래로 경사져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10) 의 상방 공간을 화물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격납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로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 량 후방으로 당겨 세우며,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2 연결 부재 (22) 의 이동에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2 기어 (52) 가 이동함에 따라, 아이들 기어 (46)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기어 (51)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 (51) 가 자유롭게 회전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잠금 상태이더라도,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기어 (52) 의 공전이 방해받지 않으며, 따라서 시트백 (14) 이 당겨 세우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 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하면,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시트백 (14) 이 잠겨진다. 또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의 위치가 잠금 핀 (44) 의 위치에 도달하므로, 상기 잠금 핀 (44) 이 컷아웃 (51A) 에 들어가고, 따라서 상기 잠금 핀 (44) 에 의해 상기 제 1 기어 (51) 가 잠긴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배치의 변경은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과 동기적으로 일어나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10) 는 다양한 시트 배치가 가능하며, 상기 시트 배치의 변경 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시트 장치 (10) 에서는 구동 기구 (16) 로서 제 1 기어 (51) 및 제 2 기어 (52) 를 이용하므로,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부드럽게 변화시킬 수가 있어, 승무원의 조작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 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시트 쿠션 (12) 과 시트백 (14) 을 가지고, 또한 협동 수단으로서의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제 2 연결 부재 (22) 및 제 3 연결 부재 (23) 도 갖는다.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으며 승무원 (미 도시) 이 착좌 가능한 도 8 에 도시된 착좌 상태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도 9 에 도시된 승강 상태와,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해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된 도 10 에 도시된 격납 상태를 갖는다.
도 8 에 도시된 착좌 상태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 1 실시형태와 같지만,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에, 차량 상방으로 볼록한 만곡부 (22C)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 (22A) 의 차량 후방 위치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에는 상기 제 2 단 (22B) 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22E)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 (22B) 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연장부 (22E) 의 선단에는 예를 들어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부 (22D)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 (22D) 에는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부 (23B) 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 (미 도시) 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의 상부 레일 (미 도시) 에서,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 (21A) 의 차량 후방 위치에는,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에 있을 때에 제 2 연결 부재 (22) 의 만곡부 (22C) 를 지지하는 지지부 (48) 가 차량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0 참조).
제 3 연결 부재 (23) 는, 그 제 1 단 (23A) 이 차량의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 (23B) 이 제 2 연결 부재 (22) 에 형성된 결합부 (22D) 에 선회 운동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의 시트 배치의 변경 시에는 결합부 (22D) 에 대한 제 2 단 (23B) 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의 시트 배치의 변경시에는 제 2 단 (23B) 이 결합부 (22D) 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의 상부 레일 또는 베이스 부재 (26) 에 차량의 플로어 부재로서의 지지 브래킷 (50) 이 기립하여 있으며, 지지 브래킷 (50) 의 상단에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1 단 (23A) 이 연결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이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에 연결되어 있을 때,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1 단 (23A), 제 2 단 (23B), 그리고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및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마디 (node) 로 하는 4 절 (four-node) 링크 기구가 구동 기구 (16) 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에 따른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의 궤적과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연장부 (22E) 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 2 연결 부재 (22) 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0 에서, 제 3 연결 부재 (23) 는 탄성 수단 (미 도시) 에 의해 제 1 단 (23A)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조작 레버 (36) 로부터 제 3 연결 부재 (23) 까지 연장되어 있는 케이블 (미 도시) 은 탄성 수단에 의한 탄성 방향과는 역방향으로부터 제 3 연결 부재 (23) 에 연결되고, 따라서 조작 레버 (36) 의 조작에 의해 제 3 연결 부재 (23) 는 상기 제 1 단 (23A)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서, 차량용 시트 장치 (20) 의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잠금 부재 (42)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에 결합되어 잠금상태에 있으며, 시트백 (14) 도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금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예를 들어 각각 적당히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착좌 상태에 유지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저부 레일 (34) 상에서 상부 레일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량용 시트 장치 (20) 의 길이방향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 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서, 조작 레버 (38)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잠금 부재 (42) 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로부터 해제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때,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은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에 연결된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백 (14) 이 차량의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은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실시하고,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은 상기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1 단 (23A) 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실시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 (20) 에서,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1 단 (23A) 과 제 2 단 (23B),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및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마디로 하는 4 절 링크 기구가 구동 기구 (16)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의 궤적은 서로 다르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연장부 (22E) 에 있어서,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으로부터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까지를 단일 링크라고하면, 상기 제 2 단 (23B, 22B) 들의 궤적의 차이에 의해 상기 링크의 자세는 변한다. 이 링크의 자세 변화, 즉 연장부 (22E) 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제 2 연 결 부재 (22) 가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므로, 앞부분이 차량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전방으로 경사지면, 상기 시트백 (14) 은 더 이상 아래로 경사지지 않도록 리클라이닝 기구 (28) 의 스토퍼 기구에 의해 유지되며, 시트 쿠션 (12) 은 기립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가 된다. 차량용 시트 장치 (20) 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 차량 후방측 시트 (미 도시) 에 대한 승강 공간은 착좌 상태에 있을 때보다 더 넓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성이 향상된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를 이용해,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승강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에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기고, 이로써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한다. 따라서, 앞부분이 하강하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하면, 시트백 (14) 은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은 잠금 부재 (42) 에 의해 잠긴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서, 조작 레버 (36)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될 때,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가능해지고, 이와 동시에,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이 탄성 수단 (미 도시)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잠금 부재 (42) 에 의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 (22A) 의 잠금 상태는 유지되고, 이로써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는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회전될 수 없다.
그리고 나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1 연결 부재 (21) 가 제 1 단 (21A) 을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선회 운동하고,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할 때, 시트 쿠션 (12) 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은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로부터 이탈하고 있으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잠금 상태에 있을지라도, 시트백 (14) 이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된다. 이로써,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가 된다. 이 때, 제 2 연결 부재 (22) 의 만곡부 (22C) 는 지지부 (48) 에 의해 지지를 받는 상태가 된다. 격납 상태에서는 시트백 (14) 이 아래로 경사져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20) 의 상방 공간을 화 물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격납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로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겨 세우고,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2 연결 부재 (22) 의 이동에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은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로부터 이탈하고 있으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잠금 상태에 있을지라도, 시트백 (14) 을 당겨 세우는 방향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하면,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 (23B) 이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 (22) 의 결합부 (22D) 에 연결된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배치의 변경은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일어나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다양한 시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시트 배치의 변경 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시트 장치 (20) 는 구동 기구 (16) 로서 제 2 연결 부재 (22) 및 제 3 연결 부재 (23) 로 구성된 4 절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부드럽게 변경될 수가 있어 승무원의 조작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제 도 13 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시트 쿠션 (12) 과 시트백 (14) 을 가지고, 협동 수단으로서 제 1 연 결 부재 (21), 제 2 연결 부재 (22), 제 3 연결 부재 (53) 및 제 4 연결 부재 (54) 를 구비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으며, 승무원 (미 도시) 이 착좌 가능한 도 11 에 도시된 착좌 상태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도 12 에 도시된 승강 상태와,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되는 도 13 에 도시된 격납 상태를 갖는다.
도 11 에서,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1 단 (21A) 이 차량 플로어 부재, 예를 들어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의 상부 레일 (62) 상의 장착 브래킷 (60)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연결 부재의 제 2 단 (21B) 은 제 3 연결 부재 (53) 의 제 1 단 (53A)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는,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와 달리, 제 1 단 (22A) 이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고, 시트백 프레임 (25) 에 연결된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연결 부재 (22) 가 선회 운동되어,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하도록 구성된다. 도 11 에서,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에는 상기 제 2 단 (22B) 으로부터 차량의 대각선 전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22E)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 (22B) 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연장부 (22E) 의 선단에는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이 연결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 (53) 는 예를 들어 부메랑형의 링크이다. 제 3 연결 부재 (53) 의 제 1 단 (53A) 이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 (21B)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 (53B) 이 시트백 프레임 (25)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제 3 연결 부재 (53) 가 제 1 연결 부재 (21) 와 함께 시트 쿠션 (12) 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 (21B) 에 연결된 제 3 연결 부재 (53) 의 제 1 단 (53A) 은 이후 기술되는 베이스 부재 (26) 의 앞쪽에 있는 시트 쿠션 (12) 의 앞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시트 쿠션 (12) 의 후부는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 (26) 에 형성된 지지부 (미 도시) 에 지지를 받고 있다. 제 3 연결 부재 (53) 의 제 2 단 (53B) 은 시트백 프레임 (25) 에, 예를 들어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과 동축으로 연결된다.
도 11 에서,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이 제 2 단 (22B) 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연결 부재 (22) 상의 위치, 즉 연장부 (22E) 의 선단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이 베이스 부재 (26) 에 형성된 결합부 (56) 에 선회 운동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 (54B) 이 결합부 (56) 에 대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리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 (54B) 이 결합부 (56) 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 (56) 에는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기구 (미 도시)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이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에 연결될 때,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과 제 1 단 (54A),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및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마디로 하는 4 절 링크 기구가 구동 기구 (16)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에 따른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의 궤적과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연장부 (22E) 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 2 연결 부재 (22) 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에서,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시트백 (14) 은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고, 그리고 이하 서술되는 베이스 부재 (26) 의 앞에 있는 시트 쿠션 (12) 의 앞부분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3 연결 부재 (53) 에 의해 지지를 받고, 시트 쿠션 (12) 의 후부는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 (미 도시) 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이로써,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를 들어 각각 후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착좌 상태에 유지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저부 레일 (34) 상에서 상부 레일 (62) 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길이방향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에서, 조작 레버 (38)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은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은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실시하고,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은 상기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실시한다. 차량용 시트 장치 (30) 에서는,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과 제 1 단 (54A),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및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마디로 하는 4 절 링크 기구가 구동 기구 (16)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의 궤적은 서로 다르다.
제 2 연결 부재 (22) 의 연장부 (22E) 에 있어서,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 (54A) 으로부터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 (22B) 까지를 단일링크로 하면, 상기 제 1 단 (54A) 및 제 2 단 (22B) 사이를 연장하는 상기 링크의 양단의 궤적의 차이에 의해 상기 링크의 자세는 변한다. 이 링크의 자세 변화, 즉 연장부 (22E) 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 (22) 를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으며,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므로, 앞부분이 차량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나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전방으로 경사지면, 상기 시트백 (14) 은 리클라이닝 기구 (28) 의 스토퍼 기구에 의해 더 이상 아래로 경사져있지 않도록 유지되고, 시트 쿠션 (12) 은 기립 상태에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가 된다. 차량용 시트 장치 (30) 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 차량 후방측 시트 (미 도시) 에 대한 승강 공간이 착좌 상태에 있을 때보다 더 넓다. 이로써, 상기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성이 향상된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를 이용하여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승강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기고, 이로써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운동한다. 이로써, 앞부분이 하강하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나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할 때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 (이하 기술) 의 앞에 있는 시트 쿠션 (12) 의 앞부분은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3 연결 부재 (53) 에 의해 지지를 받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뒷부분은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에 지지를 받는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를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시킬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에서 조작 레버 (36)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 이 조작 레버 (36) 가 조작됨으로써,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의 잠금 기구 (미 도시) 가 해제되고,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이 상기 결합부 (56) 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시트백 (14) 이 경사질 수 있게 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제 1 단 (22A) 에서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1 연결 부재 (21) 가 제 1 단 (21A) 을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선회 운동하고,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트 쿠션 (12) 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은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에서 이탈하고 있으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잠겨있는 상태에 있을지라도, 시트백 (14) 은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제 3 연결 부재 (53) 도, 제 1 연결 부재 (21) 가 선회 운동하고 시트백 (14) 이 경사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가 된다. 격납 상태에서는 시트백 (14) 이 아래로 경사져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30) 의 상방 공간을 화물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격납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에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겨 세우고,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2 연결 부재 (22) 의 이동에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은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로부터 이탈하고 있으므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어 있을지라도, 시트백 (14) 을 당겨 세우는 방향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할 때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2 단 (54B) 은 베이스 부재 (26) 의 결합부 (56) 에 연결되고 또한 잠금 기구에 의해 잠겨진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배치의 변경은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다양한 시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시트 배치의 변경 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차량용 시트 장치 (30) 는, 구동 기구 (16) 로서, 제 2 연결 부재 (22) 및 제 4 연결 부재 (54) 로 구성된 4 절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부드럽게 변화시킬 수가 있어 승무원의 조작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 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 (40) 는, 시트 쿠션 (12) 과 시트백 (14), 그리고 협동 수단으로서의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제 2 연결 부재 (22) 와 제 3 연결 부재 (53), 그리고 구동 기구 (16) 를 갖는다. 차량용 시트 장치 (40) 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고 시트 쿠션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이 기립 상태에 있지 않고, 승무원 (미 도시) 이 착좌 가능한 착좌 상태 (도 14) 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있는 승강 상태 (도 15) 와,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되는 격납 상태 (도 16) 를 갖는다.
제 3 연결 부재 (53) 의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고, 구동 기구 (16) 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다. 그 밖의 부분도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3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에서, 차량용 시트 장치 (40) 의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시트백 (14) 은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금 상태로 유지되고, 이하 서술되는 베이스 부재 (26) 의 앞에 있는 시트 쿠션 (12) 의 앞부분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3 연결 부재 (53) 에 의해 지지를 받고, 시트 쿠션 (12) 의 후부는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 (미 도시) 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이로써,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은 예를 들어 각각 후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착좌 상태로 유지된다.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 있을 때 저부 레일 (34) 상에서 상부 레일 (62) 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량용 시트 장치 (40) 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승강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에서, 조작 레버 (38)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질 수 있게 된다. 제 1 기어 (51) 는 잠금 핀 (44) 에 의해 선회 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시트백 (14) 이 차량의 전방으로 경사지면, 선회 운동이 제한되어 있는 제 1 기어 (51) 의 주위를, 아이들 기어 (46) 및 제 2 기어 (52) 가 공전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제 1 기어 (51) 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아이들 기어 (46)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이들 기어 (46) 가 회전할 때,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맞물리고 있는 제 2 기어 (52)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방식으로 제 2 기어 (52) 가 제 1 기어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는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시 계방향으로 선회운동하여, 앞부분이 차량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나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전방으로 경사지면, 상기 시트백 (14) 이 리클라이닝 기구 (28) 의 스토퍼 기구에 의해 더 이상 아래로 경사져 있지 않도록 유지되고, 시트 쿠션 (12) 이 기립 상태에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는 승강 상태가 된다.
차량용 시트 장치 (40) 가 승강 상태에 있을 때, 차량 후방측 시트 (미 도시) 에 대한 승강 공간은 착좌 상태에서보다 더 넓다. 이로써, 상기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성이 향상된다.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를 이용해,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차량 후방측 시트에 대한 승강 공간이 더 많이 확보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승강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에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기고, 이로써 선회 운동이 제한되어 있는 제 1 기어 (51) 의 주위를 아이들 기어 (46) 및 제 2 기어 (52) 가 공전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제 1 기어 (51) 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아이들 기어 (46) 가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아이들 기어 (46) 가 회전할 때, 상기 아이들 기어 (46) 와 맞물리고 있는 제 2 기어 (52)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방식으로 제 2 기어 (52) 가 제 1 기어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 제 2 연결 부재 (22) 가 상기 제 2 단 (22B) 을 중심으로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 으로 선회 운동한다. 따라서, 앞부분이 하강하도록 시트 쿠션 (12) 의 자세가 변한다. 그리고 나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하면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지고,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 (이하 서술) 의 앞에 있는 시트 쿠션 (12) 의 앞부분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3 연결 부재 (53) 에 의해 지지를 받고, 시트 쿠션 (12) 의 뒷부분이 베이스 부재 (26) 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부터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에서, 조작 레버 (36) 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작이 실시되면, 케이블 (미 도시) 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한 시트백 (14) 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시트백 (14) 이 경사져 있을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잠금 핀 (44) 이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으로부터 이탈되어, 제 1 기어 (51) 가 베이스 부재 (26) 에 대해 자유롭게 선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연결 부재 (22) 는 상기 제 1 단 (22A) 에서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시트백 (14) 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지면, 제 1 연결 부재 (21) 는 제 1 단 (21A) 을 중심으로 차량 전방으로 선회 운동하고, 또한 제 2 연결 부재 (22) 가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할 때,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 2 기어 (52) 가 이동하면, 아이들 기어 (46) 는 도면상의 지 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기어 (51)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 (51) 가 자유롭게 선회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어 있어도,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기어 (52) 의 공전이 방해받지 않고 이로써, 시트백 (14) 이 용이하게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제 3 연결 부재 (53) 도, 제 1 연결 부재 (21) 가 선회 운동하고 시트백 (14) 이 경사짐에 따라,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상측에 시트백 (14) 이 중첩된다. 따라서,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가 된다. 격납 상태에서는 시트백 (14) 이 아래로 경사져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 장치 (40) 의 상방 공간을 화물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트 배치를 격납 상태로부터 착좌 상태로 복귀시키려면, 시트백 (14) 을 차량 후방으로 당겨 세우고, 이로써 시트 쿠션 (12) 이 제 1 연결 부재 (21) 및 제 2 연결 부재 (22) 의 이동에 따라 차량 후방 또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2 기어 (52) 가 이동하면, 아이들 기어 (46) 는 도면상의 지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기어 (51) 는 도면상의 지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 (51) 가 자유롭게 선회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 (22)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어 있어도, 시트백 (14) 의 경사 중심 (58) 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기어 (52) 의 공전이 방해받지 않고 이로써, 상기 시트백 (14) 이 당 겨 세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14) 은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까지 복귀할 때 리클라이닝 기구 (28) 에 의해 잠겨진다. 또 제 1 기어 (51) 의 컷아웃 (51A) 의 위치가 잠금 핀 (44) 의 위치에 이를 때, 상기 잠금 핀 (44) 이 컷아웃 (51A) 에 들어가, 상기 잠금 핀 (44) 에 의해 상기 제 1 기어 (51) 가 잠겨진다. 이 방식으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배치의 변경은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용 시트 장치 (40) 는 다양한 시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시트 배치의 변경 시 승무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차량용 시트 장치 (40) 에서, 구동 기구 (16) 로서, 제 1 기어 (51) 및 제 2 기어 (52) 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시트백 (14) 의 경사와 동기적으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보다 부드럽게 변화시킬 수가 있어 승무원의 조작감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길이방향 위치 조정 기구 (32) 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 부재 (26) 를 차량 플로어 패널에 직접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플로어 부재는 차량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차량 플로어 부재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위치 조정 기구의 상부 레일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 브래킷, 지지 브래킷 및 차량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용 시트 장치와 차량 플로어 패널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용 시트 장치를 차량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의 형상과 시트 쿠션 프레임 (18) 이나 시트백 프레임 (25) 에 대한 연결 위치 등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로서 제 1 기어 (51) 가 제공되고 제 2 힘 전달 부재로서 제 2 기어 (52) 가 제공되었으나, 제 1 힘 전달 부재 및 제 2 힘 전달 부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힘 전달 부재와 제 2 힘 전달 부재는 마찰 휠이거나, 풀리와 그 풀리에 감겨진 힘 전달 부재와의 조합물일 수도 있다.

Claims (20)

  1. 시트 쿠션 (12),
    베이스 부재 (26) 상에 리클라이닝 기구 (28) 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시트백 (14), 및
    상기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과 동기하여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협동 수단 (16,21,22,23/53,54) 로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 (21A) 가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 (21B) 가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제 1 단부 (22A) 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18) 상의 위치 중 상기 제 1 연결 부재 (21) 의 연결 위치 보다 차량 후방인 위치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 (22B) 가 시트백 (14) 의 시트백 프레임 (25)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 (22), 및
    시트 배치를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할 때,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과 동기하여, 제 2 연결 부재 (22) 를 그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하며, 제 2 연결 부재 (22) 를 통해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 (16)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로서,
    상기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튕겨 올림 위치로 되는 승강 상태와,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시트백 (14) 의 상측에 중첩되는 격납 상태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으며,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 (12) 이 튕겨 올림 위치에 있지 않은 착좌 상태를 가지며, 상기 시트 배치는 상기 협동 수단 (16,21,22,23/53,54) 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잠금 부재 (42) 를 더 포함하며, 이 잠금 부재 (42) 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잠금 부재 (42)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 또는 격납 상태일 때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1 단부 (22A) 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 (23A) 가 상기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 (23B) 가 제 2 연결 부재 (22) 에 형성된 결합부 (22D)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 (23B) 가 결합부 (22D) 와의 연결을 유지하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 (23B) 가 결합부 (22D) 로부터 분리되는 제 3 연결 부재 (23) 를 더 포함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이동과 연루되는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2 단부 (23B)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의 궤적과의 차이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 (22) 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 부재 (23) 의 제 1 단부 (23A) 는 차량 플로어 부재로서의 지지 브래킷 (50)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 (22) 는 제 2 단부 (22B) 에 연장부 (22E) 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 (22E) 에 상기 결합부 (22D)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7. 시트 쿠션 (12),
    베이스 부재 (26) 상에 리클라이닝 기구 (28) 를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시트백 (14), 및
    상기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과 동기하여 상기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협동 수단 (16,21,22,23/53,54) 로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 (21A) 가 차량 플로어 부재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연결 부재 (21) 와,
    제 1 단부 (22A) 가 시트 쿠션 프레임 (18) 에 고정되고 또한 제 2 단부 (22B) 가 시트백 (14) 의 시트백 프레임 (25)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 (22) 와,
    제 1 단부 (53A) 가 제 1 연결 부재 (21) 의 제 2 단부 (21B)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단부 (53B) 가 시트백 프레임 (25)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일 때 제 1 연결 부재 (21) 와 함께 시트 쿠션 (12) 을 지지하는 제 3 연결 부재 (53), 및
    시트백 (14) 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제 2 연결 부재 (22) 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 2 연결 부재 (22) 를 통해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 (16)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로서,
    상기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 배치로서,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시트 쿠션 (12) 이 튕겨 올림 위치로 되는 승강 상태와,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시트백 (14) 의 상측에 중첩되는 격납 상태와, 시트백 (14) 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으며, 시트 쿠션 (12) 이 차량의 전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시트 쿠션 (12) 이 튕겨 올림 위치에 있지 않은 착좌 상태를 가지며, 상기 시트 배치는 상기 협동 수단 (16,21,22,23/53,54) 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수단은, 제 1 단부 (54A) 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연결 부재 (22) 의 위치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2 단부 (54B) 가 베이스 부재 (26) 에 형성된 결합부 (56) 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 (54B) 가 결합부 (56) 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단부 (54B) 가 결합부 (56) 로부터 분리되는 제 4 연결 부재 (54) 를 더 포함하고,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에서 승강 상태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과 연루되는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부 (54A) 의 궤적과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의 궤적과의 차이로 인해 제 2 연결 부재 (22) 를 회전시켜,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연결 부재 (22) 는 제 2 단부 (22B) 에 연장부 (22E) 를 가지고, 제 4 연결 부재 (54) 의 제 1 단부 (54A) 는 상기 연장부 (22E) 의 선단에 선회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 부재 (53) 는 부메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 (16) 는,
    리클라이닝 기구 (28) 의 시트백 (14) 의 경사 이동 중심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선회 운동이 제한되는 제 1 힘 전달 부재 (51) 와,
    제 2 연결 부재 (22) 의 제 2 단부 (22B) 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승강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시트백 (14) 의 경사이동과 동기하여 제 1 힘 전달 부재 (51) 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시트 쿠션 (12) 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제 2 힘 전달 부재 (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 (51) 는 시트 배치가 착좌 상태와 격납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때 선회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 (51) 와 제 2 힘 전달 부재 (52) 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 (51) 와 제 2 힘 전달 부재 (52) 는 마찰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 (51) 와 제 2 힘 전달 부재 (52) 는 풀리와 그 풀리에 감겨진 힘 전달 부재와의 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힘 전달 부재 (51) 와 제 2 힘 전달 부재 (5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힘 전달 부재 (51) 및 제 2 힘 전달 부재 (52) 와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 (4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26) 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힘 전달 부재 (51) 에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 (51A) 에 대해 결합되고 이탈되는 잠금 핀 (4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시트 배치가 승강 상태일 때 잠금 핀 (44) 은 컷아웃 (51A) 과 결합되고, 시트 배치가 격납 상태로 변경되면 잠금 핀 (44) 은 컷아웃 (51A) 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26) 는 길이방향 조정 기구 (32) 에 의해 차량의 길이방향 위치가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20. 삭제
KR1020097002090A 2006-07-31 2007-07-27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051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7625A JP4190553B2 (ja) 2006-07-31 2006-07-31 車両用シート装置
JPJP-P-2006-207625 2006-07-31
PCT/IB2007/002153 WO2008015526A2 (en) 2006-07-31 2007-07-27 Vehicular sea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31A KR20090024831A (ko) 2009-03-09
KR101051901B1 true KR101051901B1 (ko) 2011-07-26

Family

ID=3896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090A KR101051901B1 (ko) 2006-07-31 2007-07-27 차량용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7457B2 (ko)
EP (1) EP2049358A2 (ko)
JP (1) JP4190553B2 (ko)
KR (1) KR101051901B1 (ko)
CN (1) CN101495342B (ko)
WO (1) WO20080155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883B2 (en) * 2005-12-28 2016-05-10 Ts Tech Co., Ltd. Tip-up/dive-down type reclining seat for vehicle
FR2917679B1 (fr) * 2007-06-22 2010-01-08 Antolin Grupo Ing Sa Siege escamotabl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19527B4 (de) * 2008-04-18 2013-07-0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GB2459696B (en) * 2008-05-01 2012-05-16 Ford Global Tech Llc A multifunctional seat for a motor vehicle
DE102008030234B4 (de) * 2008-06-25 2019-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Umklappbarer Fahrzeugsitz
DE102009037816B3 (de) * 2009-08-12 2010-10-28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TWI397479B (zh) * 2010-09-24 2013-06-01 Hsin Chong Machinery Works Co Ltd Groups 寸動調整裝置
DE102010050179A1 (de) * 2010-10-30 2012-05-03 Daimler Ag Sitzanlage für einen Kraftwagen
TWI418477B (zh) * 2011-01-19 2013-12-11 Hsin Chong Machinery Works Co Ltd Groups 座椅高低調整之升降器
MY167841A (en) * 2011-03-31 2018-09-26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device
US8882197B2 (en) 2012-08-28 2014-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ltra flex and fold seat with ingress/egress feature
US9283873B2 (en) * 2012-12-17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 and fold vehicle seating assembly
DE102014209168B4 (de) * 2014-01-20 2021-03-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US9193281B2 (en) * 2014-04-17 2015-11-24 Fca Us Llc Reclining vehicle seat system
JP6237465B2 (ja) * 2014-05-23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592758B1 (ko) 2014-08-28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6381126B2 (ja) * 2014-12-08 2018-08-29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KR101724915B1 (ko) 2015-10-02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06564410A (zh) * 2015-10-09 2017-04-19 李尔公司 具有带槽的导引连杆的可收起的交通工具座椅
US9944204B2 (en) * 2016-01-07 2018-04-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seat having two independent modes
US10479422B2 (en) 2016-12-22 2019-11-1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JP6888374B2 (ja) * 2017-04-03 2021-06-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7303444B2 (ja) * 2017-09-26 2023-07-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1364823B2 (en) * 2018-02-20 2022-06-21 Dayou Holdings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US20190359085A1 (en) * 2018-05-23 2019-11-28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Seat storage system and seat posture changing system
US11548419B2 (en) * 2019-06-18 2023-01-10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DE102020205221B4 (de) 2020-04-24 2022-03-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559A (ja) 2000-06-02 2001-12-11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4330915A (ja) 2003-05-08 2004-11-25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15117U (de) * 1974-04-30 1974-08-14 Keiper F Gelenkbeschlag zur kippbeweglichen verbindung des sitzteils eines sitzes insbesondere fahrzeugsitzes wie kraftwagensitzes mit der rueckenlehne
FR2420445A1 (fr) 1978-03-20 1979-10-19 Peugeot Siege transform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JPS63121143A (ja) 1986-11-11 1988-05-25 Canon Inc 光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83033B1 (en) * 1998-03-31 2001-02-06 Ikeda Bussan Co., Ltd. Automobile seat
US6520581B1 (en) * 1998-07-14 2003-02-18 Magna Interior Systems Inc. Kneeling and tumbling automotive seating assembly
JP3926485B2 (ja) * 1998-07-27 2007-06-0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FR2804912B1 (fr) * 2000-02-10 2002-05-1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ysteme d'agencement modulable des sieg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DE10045474C5 (de) * 2000-09-14 2005-12-22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Packagestellung
US6375245B1 (en) * 2000-10-09 2002-04-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ing system having chuck reducing apparatus
US6902236B2 (en) * 2000-12-20 2005-06-07 Magna Seating Systems Inc. Seat assembly with displaceable seat back recliner pivot
US6511129B1 (en) * 2001-06-05 2003-01-28 Fisher Dynamics Corporation Folding seat hinge assembly with lift and push handle activation
DE10139538C1 (de) * 2001-08-10 2003-03-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Fondsitz für Kraftfahrzeuge
JP2003291695A (ja) 2002-04-01 2003-10-15 Shiroki Corp シート
DE10334420B4 (de) * 2002-07-29 2005-10-20 Aisin Seiki Si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R2845325B1 (fr) 2002-10-08 2006-01-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4105534B2 (ja) 2002-11-28 2008-06-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307149A1 (de) * 2003-02-20 2004-09-16 Deere & Company, Moline Klappbarer Fahrzeugsitz
JP4136846B2 (ja) 2003-08-22 2008-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イブダウンシート
US7686368B2 (en) * 2003-10-31 2010-03-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tadium/slide seat system
DE20319816U1 (de) * 2003-12-17 2005-05-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ITTO20031030A1 (it) * 2003-12-22 2005-06-23 Proma Srl Dispositivo di abbattimento per schienali di veicoli.
FR2870795B1 (fr) 2004-05-26 2006-09-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et vehicule muni d'un tel siege
US7543885B2 (en) * 2004-09-13 2009-06-09 Golden Technologies, Inc. Lift chair and recliner
US7201426B2 (en) * 2004-11-10 2007-04-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seating apparatus
US7090277B2 (en) * 2004-12-16 2006-08-1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Gear drive and linkage for power operated seat assembly
US7188883B2 (en) * 2005-01-07 2007-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seat assembly
US20070252401A1 (en) * 2006-04-28 2007-11-01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ba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559A (ja) 2000-06-02 2001-12-11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4330915A (ja) 2003-05-08 2004-11-25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7457B2 (en) 2012-09-18
EP2049358A2 (en) 2009-04-22
JP2008030658A (ja) 2008-02-14
CN101495342A (zh) 2009-07-29
WO2008015526A3 (en) 2008-04-17
US20090256379A1 (en) 2009-10-15
WO2008015526A2 (en) 2008-02-07
CN101495342B (zh) 2012-06-06
KR20090024831A (ko) 2009-03-09
JP4190553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01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05876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US8282150B2 (en) Vehicle seat stow release system and method
US9332845B2 (en) Vehicle seat and seatback-associated ottoman device
JP5282011B2 (ja) 位置記憶ダンプ機構を有する座席リクライナー
JP6060826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362720B2 (ja) 自動車用の車両座席
KR20080020981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2009078671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3573376B2 (ja) 車両用多機能シート
JP6146259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6056525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2013001175A (ja) 車両用シート
KR102072662B1 (ko)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시트트랙 해제장치
KR102106426B1 (ko) 이지 엔트리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거동 조절장치
JP405981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24086029A (ja) 座席装置
JP2016074308A (ja) 乗物用シート
KR20230064716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JP2013169387A (ja) 車両用シート
JPH09378A (ja) シート装置
JP2011073603A (ja) 折り畳みシート装置
JP2015003672A (ja) 乗物用シートにおける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