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785A -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 - Google Patents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785A
KR20090006785A KR1020080067355A KR20080067355A KR20090006785A KR 20090006785 A KR20090006785 A KR 20090006785A KR 1020080067355 A KR1020080067355 A KR 1020080067355A KR 20080067355 A KR20080067355 A KR 20080067355A KR 20090006785 A KR20090006785 A KR 2009000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switch
type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316B1 (ko
Inventor
다카유키 하시모토
다카시 히라오
마사키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0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adapted to generate a negative voltage output from a positive voltage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는 오점호(誤点弧)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시에 게이트를 음전위상태로 할 필요가 있고, 드라이브회로에는 음전압의 전원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1 스위치와,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2 스위치와,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3 스위치와,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제 4 스위치와,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5 스위치와,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와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반도체소자의 소스는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다.
이로써, 양전압의 전원만으로,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에 음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DRIVE CIRCUIT FOR VOLTAGE DRIVEN TYPE SEMICONDUCTOR ELEMENT AND INVERTER DEVICE}
본 발명은 전력변환기에 사용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는 사이리스터 등의 전류구동형 반도체소자와 비교하여, 드라이브회로가 소형, 저손실 등, 많은 장점이 있다. 도 10은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을 이용한 단상 인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10의 구성도에 있어서, 파워 MOSFET(M1∼M4), 상기 파워 MOSFET에 내장된 다이오드(D1∼D4), 전원전압(Vin), 부하가 되는 인덕터(14)를 구비하고 있다. 파워 MOSFET에는 드라이브회로(G1∼G4)가 접속되어 있고, 그 상세를 도 11에 나타낸다.
드라이브회로(1)는 직류의 전원전압(Vdd), 로직회로, p형 채널 MOSFET(PM1∼PM3), n형 채널 MOSFET(NM1∼NM3)으로 이루어진다. 파워 MOSFET(M1)의 게이트용 량은 크기 때문에, PWM 신호를 버퍼가 되는 CMOSFET(PM1∼PM3, NM1∼NM3)으로 증폭하여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를 구동한다. 로직회로에는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전압이 저하한 경우에 셧다운되는 기능이나, 상하 아암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 과전압 및 과전류로부터 파워 MOSFET(M1)을 보호하는 기능 등이 포함된다.
파워 MOSFET(M1)을 온하는 경우, 드라이브회로(1)의 최종 출력단의 p형 채널MOSFET(PM3)이 온(on), n형 채널 MOSFET(NM3)을 오프(off)하고,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전원전압(Vdd)까지 상승한다. 한편, 파워 MOSFET(M1)을 오프하는 경우, 드라이브회로(1)의 최종 출력단의 p형 채널 MOSFET(PM3)이 오프, n형 채널 MOSFET(NM3)를 온하고,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소스전위까지 저하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591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8-14976호 공보
그러나, 실제의 회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나 회로 기판의 배선에 의한 기생 저항(Rs1∼Rs3)이나 기생 인덕턴스(Ls1∼Ls3)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위칭시에 파워 MOSFET(M1)의 게이트전압은 온시의 전원전압(Vdd), 또는 오프시의 소스전압으로부터 어긋난다.
파워 MOSFET(M1)이 오프상태이고, 드레인전압이 상승하면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의 용량(Cgd)을 거쳐,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용량(Cgs)이 충전되어 게이트전압이 상승하고, 이것이 문턱값을 넘으면 파워 MOSFET(M1)이 오점호(誤点弧)된다. 기생 저항(Rs1∼Rs3)과 기생 인덕턴스(Ls∼Ls3)가 충분히 작으면 게이트전압의 변동은 작기 때문에, 오점호는 억제된다. 또, M1의 드레인전압의 상승이 완만하여도, 게이트전압의 변동은 작기 때문에, 오점호는 억제된다.
다음에, 도 13과 도 14를 이용하여, 인버터의 동작 중에 오점호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도 13은 M1, M2, M3이 오프, M4가 온되어 있고, 전류는 D2, 인덕터(14), M4의 경로를 환류한다(모드 1의 상태). 도 14는 M1이 온되고, 전류는 M1, 인덕터(14), M4를 흐르고(모드 2), 인덕터(14)에는 직류의 전원전압(Vin)이 인가된다. M1이 온되면 M2의 드레인은 전원전압(Vin)까지 상승하나, 회로의 기생 인덕턴스 때문에, 과도적으로 M2의 드레인은 전원전압(Vin) 이상으로 상승한다. 그때, M2의 게이트전압은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의 용량(Cgd)을 거쳐 상승하고, 이것이 문턱값을 넘으면 M2가 오점호하여, M1과 M2에 관통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15는 도 14의 회로에서, M1과 M2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Vgs),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전압(Vds), 드레인전류(Id)를 나타낸다. 여기서, 내장 다이오드(D2)의 전류는 M2의 드레인전류(Id)에 포함시켰다. 모드 1(도 13)일 때, M1과 M2의 게이트전압(Vgs)은 제로이고, 전류는 다이오드(D2)에 흐르고 있다. M1이 온되면(모드 2), 다이오드(D2)에 흐르는 전류는 저하하고, M2의 드레인전압(Vds)은 상승하나, 그때에 M2의 게이트전압(Vgs)의 상승(15)이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게이트전압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음전압의 전원을 사용하여, 파워 MOSFET이 오프일 때, 게이트를 마이너스로 인가하는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음전압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은, 인버터의 드라이브회로의 비용 및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음전압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오프일 때에 게이트를 마이너스로 인가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으나(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이 수단에서는 온일 때에 인가되는 게이트전압이 드라이버회로의 전원전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온 저항이 증가하여 도통손실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전압의 전원만으로, 도통손실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오점호를 방지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력변환기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와,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 이브회로에 있어서,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3 스위치와,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제 4 스위치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5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소스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온하고, 상기 제 2, 제 4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와는 상보(相補)의 타이밍으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전압의 전원만으로, 오프상태에 있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를 음전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드라이버회로의 비용, 크기,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오점호를 방지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M1)을 기술한 예를 나타낸다. 파워 MOSFET(M1)에 내장된 다이오드(Dl), 상기 파워 MOSFET(M1)의 드라이브회로(1), 직류의 전원전압(Vdd), 5개의 스위치(SW1∼SW5), 콘덴서(Cin)로 구성된다. 제 1 스위치(SW1)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2 스위치(SW2)는 상기 제 1 스위치(SW1)의 다른 단자와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제 3 스위치(SW3)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4 스위치(SW4)는 상기 제 3 스위치(SW3)의 다른 단자와 제 5 스위치(SW5)에 접속되고, 상기 제 5 스위치(SW5)는 상기 제 4 스위치(SW4)의 다른 단자와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콘덴서(Cin)는 상기 제 1 스위치(SW1)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제 4 스위치(SW4)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상기 제 3 스위치(SW3)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소스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다.
도 2는 상기 5개의 스위치(SWl∼SW5)의 온, 오프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 1 스위치(SW1), 제 3 스위치(SW3), 제 5 스위치(SW5)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온하고, 제 2 스위치(SW2), 제 4 스위치(SW4)는 상기 SW1, 상기 SW3, 상기 SW5와는 상보의 타이밍으로 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도 2의 타이밍으로 스위치(SW1∼SW5)를 온, 오프하였을 때의 파워 MOSFET(M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파워 MOSFET(M1)이 온되는 타이밍으로, 제 1 스위치(SW1), 제 3 스위 치(SW3), 제 5 스위치(SW5)는 온, 제 2 스위치(SW2), 제 4 스위치(SW4)는 오프되어 있다.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 상기 제 3 스위치(SW3)의 경로에서 전원전압(Vdd)까지 충전된다. 한편, 콘덴서(Cin)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 상기 제 1 스위치(SW1), 상기 제 5 스위치(SW5)의 경로에서 양의 전원전압(Vdd)까지 충전된다.
도 4는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되는 타이밍으로, 제 2 스위치(SW2), 제 4 스위치(SW4)는 온, 제 1 스위치(SW1), 제 3 스위치(SW3), 제 5 스위치(SW5)는 오프되어 있다.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상기 제 4 스위치(SW4), 상기 콘덴서(Cin), 상기 제 2 스위치(SW2)의 경로에서 음의 전원전압(-Vdd)까지 충전된다.
즉, 상기 파워 MOSFET(M1)이 온상태이고, 게이트에는 양의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기 때문에, 온 저항은 증가하지 않고, 도통손실은 증가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상태이고, 게이트에는 음의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기 때문에, 스위칭시, 게이트전압이 문턱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상하 아암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콘덴서(Cin)의 용량의 적정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일 때의 음의 전원전압(-Vdd)은 상기 콘덴서(Cin)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콘덴서(Cin)의 용량은 M1의 게이트용량보다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일 때의 게이트 음전압의 절대값을 전원전압(Vdd)의 9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덴서(Cin)의 용량은 상기 M1의 게이트용량의 10배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드라이브회로(1)는 직류의 전원전압(Vdd), 로직 인버터(2), p형 채널 MOSFET(PM1, PM2), n형 채널 MOSFET(NM1∼NM3), 다이오드(D2), 콘덴서(Cin)로 구성되고, PWM의 로직신호는 로직 인버터(2)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다.
제 1 p형 채널 MOSFET(PM1)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1 n형 채널 MOSFET(NM1)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PM1의 드레인단자에,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제 2 p형 채널 MOSFET(PM2)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2 n형 채널 MOSFET(NM2)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PM2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n형 채널 MOSFET(NM2)의 소스단자는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자에 접속되고, 제 3 n 형 채널 MOSFET(NM3)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채널 MOSFET(NM3)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Cin)는 상기 제 1 p형 채널 MOSFET(PM1)의 드레인단자와 상기 제 2 n형 채널 MOSFET(NM2)의 소스단자에 접속되고,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p형 채널 MOSFET(PM2)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채널 MOSFET(NM3)의 게이트단자는 로직 인버터(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 1 p형 채널 MOSFET(PM1)의 게이트단자, 제 1 n형 채널 MOSFET(NM1)의 게이트단자, 제 2 p형 채널 MOSFET(PM2)의 게이트단자, 제 2 n형 채널 MOSFET(NM2)의 게이트단자는 로직 인버터(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6과 도 7을 이용하여 도 5의 회로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파워 MOSFET(M1)이 온인 경우이고, 로직 인버터(2)에는 온신호가 입력되고, 제 1 p형 채널 MOSFET(PM1), 제 2 p형 채널 MOSFET(PM2), 제 3 n형 채널 MOSFET(NM3), 다이오드(D2)가 온, 제 1 n형 채널 MOSFET(NM1), 제 2 n형 채널 MOSFET(NM2)이 오프가 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와 콘덴서(Cin)는 양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된다.
도 7은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인 경우로서, 로직 인버터(2)에는 오프신호가 입력되고, 제 1 n형 채널 MOSFET(NM1), 제 2 n형 채널 MOSFET(NM2)가 온, 제 1 p형 채널 MOSFET(PM1), 제 2 p형 채널 MOSFET(PM2), 제 3 n형 채널 MOSFET(NM3), 다이오드(D2)가 오프가 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음의 전원전압(-Vdd)으로 인가된다.
도 7에서, 상기 다이오드(D2)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3 n형 채널 MOSFET(NM3)의 소스가 드레인에 대하여 양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n형 채널 MOSFET의 기생 다이오드를 거쳐, 상기 제 3 n형 채널 MOSFET(NM3)에 전류가 흐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드라이브회로(1)는 직류의 전원전압(Vdd), 로직 인버터(2), p형 JFET(PJF1, PJF2), n형 JFET(NJF1∼NJF3), 콘덴서(Cin)로 구성되고, PWM의 로직신호는 로직 인버터(2)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JFET란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itor의 것으로, JFET는 MOSFET과 같은 기생 다이오드가 없기 때문에, 소자구조를 연구함으로써, n형 JFET의 소스가 드레인에 대하여 양전압이 되어도 블록킹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제 2 실시 예에서는 필수가 되는 다이오드(D2)가 불필요하게 된다.
제 1 p형 JFET(PJF1)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1 n형 JFET(NJF1)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PJF1의 드레인단자에,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제 2 p형 JFET(PJF2)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2 n형 JFET(NJF2)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PJF2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n형 JFET(NJF2)의 소스단자는 제 3 n형 JFET(NJF3)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NJF3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의 전원전압(Vdd)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콘덴서(Cin)는 상기 PJF1의 드레인단자와 상기 NJF2의 소스단자에 접속되고,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p형 JFET(PJF2)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JFET(NJF3)의 게이트단자는 로직인버터(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 1 p형 JFET(PJF1)의 게이트단자, 제 1 n형 JFET(NJF1)의 게이트단자, 제 2 p형 JFET(PJF2)의 게이트단자, 제 2 n형 JFET(NJF2)의 게이트단자는 로직 인버터(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파워 MOSFET(M1)이 온인 경우, 로직 인버터(2)에는 온신호가 입력되고, 제 1 p형 JFET(PJF1), 제 2 p형 JFET(PJF2), 제 3 n형 JFET(NJF3)이 온, 제 1 n형 JFET(NJF1), 제 2 n형 JFET(NJF2)가 오프가 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와 콘덴서(Cin)는 양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된다.
상기 파워 MOSFET(M1)이 오프인 경우, 로직 인버터(2)에는 오프신호가 입력 되고, 제 1 n형 JFET(NJF1), 제 2 n형 JFET(NJF2)가 온, 제 1 p형 JFET(PJF1), 제 2 p형 JFET(PJF2), 제 3 n형 JFET(NJF3)가 오프가 되고, 상기 파워 MOSFET(M1)의 게이트는 음의 전원전압(-Vdd)으로 인가된다.
도 9는 본 발명을 3상 인버터의 드라이브회로에 적용한 실시예이고, 인버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는, 마이크로컴퓨터(21), 드라이버 IC(22), 스위칭부(23), 모터(24)가 있다. 상기 스위칭부(23)는 U상, V상, W상의 3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은 상 아암의 파워 MOSFET(MU1, MV1, MW1) 및 그 내장 다이오드(DU1, DV1, DW1), 하 아암의 파워 MOSFET(MU2, MV2, MW2) 및 그 내장 다이오드(DU2, DV2, DW2)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21)는 모터(24)의 위치나 속도 등의 정보를 검출하고, 드라이버 IC(22)에 상기 파워 MOSFET을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 아암의 파워 MOSFET의 소스전위는 플로팅이 되기 때문에, 상 아암의 파워 MOSFET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레벨 시프트와 플로팅의 전원이 필요하게 되나, 도 9에서는 부트스트랩용 다이오드(DbU, DbV, DbW)를 경유하여 부트스트랩 콘덴서(CbU, CbV, CbW)에 충전한 전하로 상 아암을 구동한다. 소스전위가 플로팅이 되는 상 아암의 파워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는 수단으로서, 도 9에서 나타낸 부트스트랩 외에, 포토커플러를 사용하는 방법 등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브회로를 상 아암 또는 하 아암의 출력단에 실시하면, 스위칭시에 오프상태에 있는 파워 MOSFET의 게이트전압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하 아암의 단락을 방지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을 예로 설명하 였으나, IGBT 등의 다른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력변환기에 사용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타이밍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온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오프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온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오프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온시의 구성도,
도 9는 3층 인버터의 구성도,
도 10은 단상 인버터의 구성도,
도 11은 종래의 드라이브회로의 구성도,
도 12는 기생소자를 고려한 드라이브회로의 구성도,
도 13은 단상 인버터의 환류 모드의 구성도,
도 14는 단상 인버터의 전압 인가 모드의 구성도,
도 15는 단상 인버터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11, 12, 13 : 드라이브회로 2 : 로직 인버터
14 : 인덕터
15 : 오점호시의 게이트전압의 상승
21 : 마이크로컴퓨터 22 : 드라이버 IC
23 : 스위칭부 24 : 모터
Vin, Vdd : 전원전압
M1, M2, M3, M4, MU1, MU2, MV1, MV2, MW1, MW2 : 파워 MOSFET
D1, D2, D3, D4, DU1, DU2, DV1, DV2, DW1, DW2 : 다이오드
PM1, PM2, PM3 : p형 채널 MOSFET
NM1, NM2, NM3 : n형 채널MOSFET
Vd : 드레인전위 Vs : 소스전위
Rs1, Rs2, Rs3 : 기생저항 Ls1, Ls2, LS3 : 기생 인덕턴스
Cgd : 게이트 - 드레인간 용량 Cgs : 게이트 - 소스간 용량
SW1, SW2, SW3, SW4 : 스위치 Cin, CO : 콘덴서
PJF1, PJF2 : p형 JFET NJF1, NJF2, NJF3 : n형 JFET
DbU, DbV, DbW : 부트스트랩 다이오드
CbU, CbV, CbW : 부트스트랩 콘덴서
RU1, RU2, RV1, RV2, RW1, RW2 : 게이트저항

Claims (18)

  1. 전력변환기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와,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3 스위치와,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제 4 스위치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5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소스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온하고,
    상기 제 2, 제 4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와는 상보(相補)의 타이밍으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lstor)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4. 제 2항에 있어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용량이,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용량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6. 전력변환기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와,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제 1 p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는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1 n 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제 1 p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 되고, 상기 제 1 n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제 2 p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2 n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제 2 p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에, 상기 제 2 n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는 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에 접속되고, 제 3 n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자에, 상기 제 3 n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콘덴서는 상기 제 1 p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와 상기 제 2 n형 채널 MOSFET의 소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p형 채널 MOS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채널 MOSFET의 게이트단자는 로직 인버터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 1 p형 채널 MOSFET의 게이트단자, 제 1 n형 채널 MOSFET의 게이트단자, 제 2 p형 채널 MOSFET의 게이트단자, 제 2 n형 채널 MOSFET의 게이트단자는 상기 로직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7. 전력변환기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와,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제 1 p형 JFET의 소스단자는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1 n형 JFET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제 1 p형 J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n형 JFET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제 2 p형 JFET의 소스 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되고, 제 2 n형 JFET의 드레인단자는 상기 제 2 p형 J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n형 JFET의 소스단자는 제 3 n형 J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JFET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콘덴서는 상기 제 1 p형 JFET의 드레인단자와 상기 제 2 n형 JFET의 소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p형 JFE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소스단자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n형 JFET의 게이트단자는 로직 인버터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 1 p형 JFET의 게이트단자, 제 1 n형 JFET의 게이트단자, 제 2 p형 JFET의 게이트단자, 제 2 n형 JFET의 게이트단자는 상기 로직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8. 주단자 사이에 상 아암의 반도체 전력 스위칭소자와 하 아암의 반도체 전력 스위칭소자를 직렬 접속한 아암과, 상기 아암의 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한 인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전력 스위칭소자로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브회로는,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직류전원의 플러스측에 접속 된 제 3 스위치와,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제 4 스위치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제 5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제 4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는 상기 제 3 스위치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소스는 상기 직류전원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온하고,
    상기 제 2, 제 4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5 스위치와는 상보의 타이밍으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용량이,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용량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13. 전력변환기의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와,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를 구동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는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가 온상태이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에는 양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콘덴서를 충전하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가 오프상태이고,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에는 음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콘덴서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기의 스위칭시, 상기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전압을 문턱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콘덴서를 충전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콘덴서를 방전하는 제 2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2 스위치와는 상보의 타이밍으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16. 제 13항에 있어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파워 MOSFET(Metal 0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17. 제 13항에 있어서,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로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용량이,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용량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KR1020080067355A 2007-07-12 2008-07-11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 KR100984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82738 2007-07-12
JP2007182738A JP4682173B2 (ja) 2007-07-12 2007-07-12 電圧駆動型半導体素子のドライブ回路及びインバ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85A true KR20090006785A (ko) 2009-01-15
KR100984316B1 KR100984316B1 (ko) 2010-09-30

Family

ID=3996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355A KR100984316B1 (ko) 2007-07-12 2008-07-11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82098B2 (ko)
EP (1) EP2015439B1 (ko)
JP (1) JP4682173B2 (ko)
KR (1) KR100984316B1 (ko)
CN (1) CN101345472B (ko)
TW (1) TW200924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33A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맵스 입력 절연형 스위칭 소자용 게이트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964B2 (ja) * 2007-07-12 2012-04-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ドライバic、およびシステムインパッケージ
JP2009200891A (ja) * 2008-02-22 2009-09-0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ゲート駆動回路
CH700419A2 (de) * 2009-02-05 2010-08-13 Eth Zuerich Jfet-serieschaltung.
JP5747445B2 (ja) * 2009-05-13 2015-07-15 富士電機株式会社 ゲート駆動装置
TW201112590A (en) * 2009-09-22 2011-04-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ing circuit for power MOSFET
JP5383426B2 (ja) * 2009-10-23 2014-01-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異常検出時急速放電回路
KR101829309B1 (ko) 2010-01-22 2018-02-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5130310B2 (ja) 2010-03-17 2013-01-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圧駆動型半導体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及び電力変換装置
WO2012029872A1 (ja) * 2010-09-02 2012-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インバータ回路、バッファ回路、レベルシフタ、フリップフロップ、ドライバ回路、表示装置
US8258852B2 (en) * 2010-11-18 2012-09-0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Bootstrapped high-side driver control without static DC current for driving a motor bridge circuit
US8487664B2 (en) * 2010-11-30 2013-07-16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switch
CN102594317B (zh) * 2011-01-10 2014-07-23 曹先国 具有电压极性转换的功率开关
JP5616980B2 (ja) * 2011-01-14 2014-10-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素子の駆動装置
JP5644686B2 (ja) * 2011-06-13 2014-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JP5961944B2 (ja) * 2011-08-18 2016-08-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
JP5780914B2 (ja) * 2011-10-24 2015-09-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753483B2 (ja) * 2011-12-01 2015-07-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dc−dcコンバータ
KR20130086847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의 전력을 이용하여 리키지 전력 소모를 줄이는 저전력 회로
JP5561352B2 (ja) 2012-02-22 2014-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回路
JP5959901B2 (ja) 2012-04-05 2016-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駆動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101297460B1 (ko) * 2012-04-24 2013-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 장치
JP5811961B2 (ja) * 2012-07-24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素子駆動回路
CN103715986B (zh) * 2012-09-28 2017-09-08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压电器件驱动电路
JP2014166085A (ja) * 2013-02-27 2014-09-08 Aisin Seiki Co Ltd ゲート駆動回路及びモータ駆動回路
JP5733330B2 (ja) * 2013-03-22 2015-06-10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回路
JP6295514B2 (ja) * 2013-03-26 2018-03-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の制御回路、集積回路装置、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及び電子機器
EP3057233B1 (en) * 2013-10-10 2018-03-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Power-supply control device
CN103944361A (zh) * 2014-04-04 2014-07-23 国家电网公司 一种大功率抗干扰的场效应管高速驱动电路
JP6337615B2 (ja) * 2014-05-27 2018-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Rc−igbt駆動回路
JP6229604B2 (ja) 2014-06-30 2017-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制御回路
DE112014006834B4 (de) 2014-08-25 2020-01-02 Hitachi, Ltd. Ansteuerschaltung, Leistungswandler und Motorsystem
CN104506028B (zh) * 2015-01-13 2017-05-10 山东大学 一种SiC MOSFET半桥电路驱动器以及半桥电路驱动方法
WO2016143023A1 (ja) * 2015-03-09 2016-09-15 株式会社安川電機 ゲートドライブ回路、インバータ回路、及びモータ制御装置
US9698768B2 (en) * 2015-07-14 2017-07-0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ing transistor
DE112015006702T5 (de) * 2015-07-15 2018-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uerungsschaltung
JP6572076B2 (ja) * 2015-09-25 2019-09-04 ニチコン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
JP6477442B2 (ja) 2015-11-24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回路及び電力変換回路
CN106817020B (zh) * 2015-12-01 2019-02-1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
WO2017101061A1 (zh) * 2015-12-17 2017-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自举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
US10069485B2 (en) * 2017-02-02 2018-09-04 Ixys, Llc High-speed MOSFET and IGBT gate driver
EP3364534B1 (en) * 2017-02-17 2019-09-1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te drivers
KR102284188B1 (ko) * 2017-07-25 2021-08-02 한국전기연구원 SiC MOSFET용 게이트 구동회로
JP6855998B2 (ja) * 2017-10-18 2021-04-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の半導体スイッチ装置及び車載用電源装置
US11482918B2 (en) * 2017-12-12 2022-10-25 Rohm Co., Ltd. Gate drive circuit
JP6583475B2 (ja) * 2018-05-01 2019-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パワーデバイス駆動回路
JP6770559B2 (ja) * 2018-08-29 2020-10-14 株式会社Subaru 電力変換装置および車両
DE102018126779B4 (de) 2018-10-26 2020-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ate-Treiber-Schaltung mit Spannungsinvertierung für ein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
DE102019102311A1 (de) 2019-01-30 2020-07-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ate-Treiber-Schaltung mit Spannungsinvertierung für ein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
JP7151605B2 (ja) * 2019-04-16 2022-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器
JP7118027B2 (ja) * 2019-04-17 202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ドライバ
US10903829B2 (en) * 2019-06-18 2021-01-2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witched capacitor driving circuits for power semiconductors
KR102168634B1 (ko) * 2019-12-03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의 전력을 이용하여 리키지 전력 소모를 줄이는 저전력 회로
FR3123121A1 (fr) 2021-05-19 2022-11-25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Capteur de lumiere ambiante
JP7470084B2 (ja) 2021-09-10 2024-04-17 株式会社東芝 電子回路、電子システム及び駆動方法
CN114257068A (zh) * 2021-11-24 2022-03-29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SiC开关管驱动电路及驱动控制方法、开关电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183A (en) * 1974-06-05 1978-07-25 Rca Corporation Quasi-static inverter circuit
US4176289A (en) * 1978-06-23 1979-11-27 Electronic Memories & Magnetics Corporation Driving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JP3319797B2 (ja) * 1993-02-15 2002-09-03 松下電工株式会社 静電誘導サイリスタの駆動回路
JPH06351229A (ja) * 1993-06-08 1994-12-22 Sony Corp 出力電圧安定化機能付チャージポンプ式昇圧回路
JPH0814976A (ja) 1994-06-06 1996-01-19 Hitachi Ltd 空気流量測定装置
JP3432425B2 (ja) 1998-08-05 2003-08-04 株式会社東芝 ゲート回路
US6157204A (en) * 1998-08-05 2000-12-05 Micron Technology, Inc. Buffer with adjustable slew rate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adjustable slew rate
KR100433799B1 (ko) * 1998-12-03 2004-06-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전압구동형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구동회로
JP3568823B2 (ja) * 1999-05-24 2004-09-2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半導体素子のゲート制御回路
DE19962523A1 (de) * 1999-12-23 2001-08-02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leichspannungswandl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leichspannungswandlers
US6356137B1 (en) * 2000-06-26 2002-03-1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Voltage boost circuit with low power supply voltage
JP2002300016A (ja) * 2001-04-02 2002-10-11 Toshiba Corp ゲート駆動方法及びゲート駆動回路
JP2003023770A (ja) * 2001-07-06 2003-01-24 Sharp Corp スイッチドキャパシタ型安定化電源装置
TWI256771B (en) * 2002-03-27 2006-06-11 Ind Tech Res Inst Capacitance coupling acceleration device
JP4100134B2 (ja) * 2002-11-06 200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
JP4401801B2 (ja) * 2003-02-12 2010-01-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JP3733121B2 (ja) * 2003-03-27 2006-01-11 株式会社ディーブイイー 安定化電源回路
US6836173B1 (en) * 2003-09-24 2004-12-28 System General Corp. High-side transistor driver for power converters
JP2007215259A (ja) 2006-02-07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駆動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33A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맵스 입력 절연형 스위칭 소자용 게이트 드라이버
US9391601B2 (en) 2013-04-19 2016-07-12 Maps, Inc. Gate driver for isolated input swit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5472A (zh) 2009-01-14
TW200924381A (en) 2009-06-01
CN101345472B (zh) 2011-10-19
US20090033377A1 (en) 2009-02-05
EP2015439A3 (en) 2010-02-17
EP2015439B1 (en) 2012-06-20
JP4682173B2 (ja) 2011-05-11
TWI360946B (ko) 2012-03-21
JP2009021823A (ja) 2009-01-29
US7782098B2 (en) 2010-08-24
EP2015439A2 (en) 2009-01-14
KR100984316B1 (ko)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316B1 (ko) 전압구동형 반도체소자의 드라이브회로 및 인버터장치
KR101297545B1 (ko) 양방향 스위치회로 및 이를 구비한 전력변환장치
US9019000B2 (en) Driver circuit having a storage device for driving switching device
US8344764B2 (en) Circuit arrangement including voltage supply circuit
US10063224B2 (en) Driver circuit and semiconductor module having same
JP5975833B2 (ja) 電力変換装置
US20170207782A1 (en) Gate dr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s
CN109314509B (zh) 驱动装置
CN110022078B (zh) 电力变换装置
CN111971884A (zh) 栅极驱动电路和栅极驱动方法
JP2018007403A (ja) 電力変換装置
US9059697B2 (en) Drive circuit and drive method for driving normally-on-type transistor
US10333382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US20160276921A1 (en) Protec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10715055B2 (en) Power semiconductor circuit hav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low energy losses
JP5407349B2 (ja) スイッチ回路
JP5541349B2 (ja) 半導体装置
JP2019122116A (ja) 電力変換装置
JP4470616B2 (ja) 双方向スイッチの駆動電源回路
JP6679967B2 (ja) 半導体素子の駆動装置
JP2021185741A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