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891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891A
KR20080029891A KR1020070097947A KR20070097947A KR20080029891A KR 20080029891 A KR20080029891 A KR 20080029891A KR 1020070097947 A KR1020070097947 A KR 1020070097947A KR 20070097947 A KR20070097947 A KR 20070097947A KR 20080029891 A KR20080029891 A KR 2008002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029B1 (ko
Inventor
이봉재
박정훈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303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2989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A)와,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B)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리 섬유,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 플라스틱 성형품, 휨 특성, 유동성, 내충격성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유동성, 휨 특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에 유리 섬유를 보강하면,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가지는 우수한 성형성은 유지하면서도 인장 강도 및 굴곡 강도가 보다 향상되며, 특히, 우수한 굴곡 탄성률과 내열도를 나타냄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거나 지속적인 열을 견뎌야 하는 부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는 자동차 및 전자 제품의 부품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섬유의 첨가에 따라 유동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 성형을 위하여 사출 작업 온도를 높여야 하는 단점을 가진 다. 또한, 이러한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할 경우, 수지 흐름에 따른 유리 섬유 배향으로 사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수축률 차이가 나타나 이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이 휘어지거나 뒤틀어져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를 첨가하기 전에 비하여 내충격성이 크게 감소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파괴가 우려되는 부품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유리 섬유 첨가에 따르는 이러한 내충격성 저하의 문제를 보강하기 위하여,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충격보강제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첨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첨가된 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압출공정에서 유리섬유의 파괴가 심해져 원하는 내충격성의 향상을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유동성, 휨 특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A)와,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B)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고,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열가소성 수지(A)와,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섬유(B)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유리 섬유(단면의 어스팩트비 = 0.9~1.1)가 아닌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리 섬유의 첨가에 따른 유동성 감소폭이 현저히 작고, 수지의 흐름에 따른 유리 섬유의 배향 효과가 적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이 휘거나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리섬유의 첨가에 따르는 내충격성 저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열가소성 수지
우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압출 또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페닐설파이드계 수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를 둘 이상 공중합하거나 혼합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둘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는,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ABS 수지 또는 ABS/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고려하여, 상 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또는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이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압출 또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어,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 디히드릭페놀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릭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 반응을 진행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히드릭페놀은 비스페놀로 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비스페놀 중에서도 비스페놀 A, 예를 들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비스페놀 A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디히드릭페놀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비스페놀 A 외에 사용 가능한 다른 디히드릭페놀로는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 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및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제조 방법과 이렇게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적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어,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가지 달린(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또는 실리콘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지 달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또는 트리멜리틱산 등의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록시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00∼8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이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종래부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폴리카보네이 트계 수지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 종의 수지 외에 2 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을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의 디히드릭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지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1
상기 식에서, m은 2-4의 정수이고, n은 50-300의 정수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 방법과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적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 촉매 및 각종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고, 200∼2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저분자량의 에스테르 축합 부산물을 계 외로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러한 에스테르 반응은 상기 저분자량 에스테르 축합 부산물의 이론 유출량의 95% 이상이 유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종결함 이 통상적이다.
상기 에스테르 반응이 종결되면 관내 온도를 250∼280℃로 상승시키면서 관내 압력을 1mmHg 이하로 감소시켜 폴리에스테르의 축중합을 유도한다. 이렇게 축중합을 진행시키다가 적당한 교반 하에서 반응을 중단하고, 질소를 가하여 진공을 파괴한 후 반응물을 토출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산 성분으로는 주로 테레프탈산 또는 저급 알킬에스테르화물을 사용하거나, 이들과 소량의 이소프탈산, 오르쏘 프탈산 또는 지방족 디카본산이나 이들의 저급 알킬에스테르화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의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과 소량의 1,6-헥산디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등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촉매로는 주로 안티몬의 산화물이나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또는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등의 유기 티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유기 주석 화합물의 단독이나 이들과 유기 티탄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알칼리 금속이나 아세테이트화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티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또는 리튬아세테이트 등을 공촉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주된 반응물 및 촉매 이외에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또는 각종 첨가제 등의 부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의 일 예의 구성에 대해 설 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종래부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의 10-60 중량부에,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의 40-90 중량부를 가하여, 이들을 그라프트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비닐 단량체의 40-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 10-6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 첨가한 포화 고무, 이소플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삼원 공중합체(EPDM)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엔계 고무 중에서도 부타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 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티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안화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를 사용해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상기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 또는 괴상 중합시킴으로서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0.1-0.5 ㎛의 평균 입경을 가진 고무 입자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의 일 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종래부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상술한 수지 외에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비닐 단량체의 30-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30-50 중량부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1-20 중 량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5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t-부틸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레이미드 단량체로는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N-디클로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N-트리말레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메틸 말레인산, 무수 1,2-디메틸 말레인산, 무수에틸말레인산 또는 무수페닐말레인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클로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나, 이들 중에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는, 상술한 방향족비닐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및 기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고, 암모니아 혹은 1급 아민과 반응시켜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무수물 산기를 일부 이미드화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분자 사슬 중에 무수물 산기를 갖는 고분자 물질과 아민 화합물과의 이미드화 반응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61-26936 또는 특개소 62-845 등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고분자 물질과 아미드 화합물을 반응시켜 목적하는 이미드기를 갖는 상기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의 일 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종래부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의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4 가지 수지 이외에도 종래부터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되던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적 종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에 따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와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함량의 40-9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리 섬유가 충분한 분산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리 섬유에 의한 굴곡 강도 및 내열도의 보강이 부족할 수 있다.
(B) 유리섬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면의 어스팩트비라 함은, 하기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섬유의 단면에서 가장 긴 직경(a)과 가장 작은 직경(b)의 비율로 정의된다.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2
어스팩트비 = a/b
종래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보강하기 위한 유리 섬유로서, 소정 길이, 예를 들어, 3-6 mm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원형으로서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0.9~1.1이고, 단면의 직경이, 예를 들어, 10-20 ㎛인 유리 섬유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 바람직하게는,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2 내지 8인 유리 섬유를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유리 섬유는 상기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점을 제외하고, 종래에 사용되던 유리 섬유와 동일한 길이, 예를 들어, 3-6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유리 섬유의 첨가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감소폭이 현저히 작아지고, 수지의 흐름에 따른 유리 섬유의 배향 효과가 적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이 휘거나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유동성 및 휨 특성을 가지는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리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의 반응을 막고 함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리 섬유의 표면에는 소정의 물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전체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과 충격 강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리 섬유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는 물질의 종류 및 이러한 물질의 종류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및 충격 강도 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와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기초 수지 함량의 10-6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를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굴곡 강도나 내열도가 저하될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유리 섬유의 분산성이 낮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 및 유리섬유와 함께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주쇄 부분을 이루는 물질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며, 기타의 폴리올레핀도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주쇄의 70~100 중량%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충격보강을 위 해 바람직하다.
또한, 가지 부분을 이루는 작용기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부분적인 상용성이 있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기와 에틸렌글리콜 등의 변성 에스테르기 및 아릴레이트기, 아크릴로니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지 부분의 함량은 전체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5~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4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지 부분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작아 박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가지 부분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보강제로서의 역할이 감소되어 내충격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와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7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굴곡 강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주된 세 가지 성분 외에, 목적하는 용도나 효과에 맞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또는 알루미나 등의 무기계 충진제를 더 포함시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또는 열변형 온도 등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광안정제, 활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종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성형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성형품은, 상기 유리 섬유의 첨가에 따른 장점, 즉, 인장 강도 및 굴곡 강도가 보다 향상되며, 특히, 우수한 굴곡 탄성률과 내열도를 나타냄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거나 지속적인 열을 견뎌야 하는 부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그대로 보유한다.
또한,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가 첨가됨에 따라, 종래의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해, 상기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감소폭이 현저히 작아지고, 그 제조 과정에서 플라스틱 성형품이 휘거나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현저히 줄어든다. 아울러,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리섬유의 첨가에 따르는 내충격성 저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플라스틱 성형품은 정밀한 치수 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정밀 전기전자 부품이나 자동차 정밀 부품 등의 다양한 제품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성 및 휨 특성의 저하가 작고,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정밀한 치수 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정밀 전기전자 부품 및 자동차 정밀 부품 등의 다양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A) 열가소성 수지((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A2)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A3)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ABS 수지), (B) 유리 섬유 및 (C) 충격보강제 ((C1)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2)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성분 사양은 다음과 같다.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이 22,000g/mol인 비스페놀-A형 선형 폴리카보네이트로서, 일본 TEIJIN사의 PANLITE L-1225WX를 사용하였다.
(A2)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비중 1.31g/㎤, 융점 226℃, 고유 점도 1.10인 삼양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TRIBIT 1700을 사용하였다.
(A3) ABS 수지
g-ABS 수지(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SAN(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g-ABS 수지는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58 중량부가 되도록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스티렌 29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3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큐멘히드로퍼옥시드 0.4 중량부, 메르캅탄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를 부가시켜 5시간 동안 75℃로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ABS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생성 중합체 라텍스에 1% 황산용액을 첨가하고, 응고시킨 후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SAN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71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9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17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연쇄이동제 0.4 중량부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75℃에서 5시간 동안 현탁중합하여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의 SAN 공중합체 수지를 얻었다.
(B1) 유리 섬유 (어스팩트비 = 4.0)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로는 길이가 3mm이며, 단면의 가장 긴 직경이 28㎛, 가장 작은 직경이 7㎛로서,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 4.0인 Nitto Boseki사의 CSG 3PA-820을 사용하였다.
(B2) 유리 섬유 (어스팩트비 = 1.0)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0.9~1.1인 통상적인 유리 섬유로는,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이고, 길이가 3mm이며, 단면이 직경 10㎛의 원형을 띄는 Vetrotex사의 P952를 사용하였다.
(C1)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의 충격보강제로 많이 사용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인 MRC사의 C-223A를 사용하였다.
(C2)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
주쇄가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이고, 가지가 메틸아크릴레이트로 중량비가 24인 DuPont사의 Elvaloy 1224 AC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은 하기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4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고, Φ=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는 메인 피더(Main Feeder)에 첨가하고 유리 섬유는 사이드 피더(Side Feeder)에 첨가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10℃에서 3 시간 이상 건조한 후, 10 oz 사출기에서 성형 온도 280∼320℃ 및 금형 온도 80∼100℃ 하에서 사출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물성 시편을 제조하기 전에, 압출 가소도계(Extrusion Plastometer)로 열가소성 수지의 유량비(유동성)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1238에 따라, 용융 유량비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는 250℃이었고, 10kg의 추를 사용하였으며, 10분 동안 흘러나오는 수지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제 사출 조건에서 수지가 나타내는 유동장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1mm 두께의 시편 금형을 80℃로 유지한 후 10oz 사출기에서 95%의 힘으로 사출을 실시하여 시편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용 유동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실용 유동장의 길이는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인 유리 섬유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1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비율로 표시되었다.
그리고, 일정한 무게의 추를 이용해 플라스틱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256에 따라, 상기 제조된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1/8")를 측정하였다.
또한, 플라스틱의 각종 굴곡 특성을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790에 따라, 상기 제조된 시편의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6"×6" 크기에 1/16" 두께를 가진 필름 게이트(Film Gate) 금형을 80℃로 유지하고 10oz 사출기에서 95%의 힘으로 사출을 실시한 후, 외력을 가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온도 23℃ 수분 50%인 항온 항습실에 방치하여 시편의 뒤틀어진 정도(휨 특성)를 측정하였다. 상기 뒤틀어진 정도는, 사각형 시편의 세 꼭지점을 바닥에 밀착시킨 후 뒤틀어짐으로 높이 올라간 나머지 한 꼭지점의 높이를 측정하여 mm 단위로 표시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한 유량비, 실용 유동장, 충격 강도, 굴곡 강도 및 휨 특성을 각각 하기 표 1 내지 4에 표시하였다. 또한, 표 1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SEM 사진을 각각 도 1 및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의 SEM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비교예 2는 각각 어스팩트비가 4와 1인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적절한 수준의 분산성을 확보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3
[표 2]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4
[표 3]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5
[표 4] ABS계 수지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6
상기 표 1을 보면,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4인 유리 섬유와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첨가한 실시예 1~4의 경우 유동성, 내충격성 및 휨 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단면 어스펙트비가 1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비교예 1~4의 경우 유동성과 휨 특성의 저하가 나타났다.
한편,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 대신에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5~8의 경우 유동성, 내충격성, 휨 특성이 모두 저하되며 굴곡강도도 저하되는 결과를 볼 수 있고,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9~11의 경우 내충격성의 저하가 커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3~4를 참조하면,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4인 유리 섬유로 보강된 실시예 1∼4의 열가소성 수지는 유동성이 크게 향상되고 뒤틀어진 정도가 크게 줄어들어 휨 특성 역시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반면, 어스팩트비가 1인 유리 섬유로 보강된 비교예 1~4의 열가소성 수지는 유동성이 감소하고 동일한 유리 섬유 함량에서도 뒤틀어지는 정도가 크게 늘어 휨 특성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도 1은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2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SEM 사진이고,
도 2는 표 1에 기재된 비교예 2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SEM 사진이다.

Claims (15)

  1. 열가소성 수지(A) 40∼90 중량% 및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섬유(B) 10∼6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가지 달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또는 실리콘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70037389-PAT00007
    상기 식에서, m은 2-4의 정수이고, n은 50-300의 정수이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의 10-60 중량부와,
    방향족비닐 단량체의 40-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단량체 10-60 중량%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의 40-90 중량부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비닐 단량체의 30-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30-50 중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1-20 중량부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5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B)는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2 내지 8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의 가지 부분은 아크릴레이트기, 변성 에스테르기, 아릴레이트기 및 아크릴로니트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 부분은 전체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C)의 5∼50 중량%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부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70~100 중량%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무기계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난연제, 활제, 안료 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
  15. 열가소성 수지 기재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고, 단면의 어스팩트비가 1.5 이상인 유리 섬유 및 폴리올레핀을 주쇄로 하는 가지형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KR1020070097947A 2006-09-29 2007-09-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100903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91 2006-09-29
KR20060095291 200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891A true KR20080029891A (ko) 2008-04-03
KR100903029B1 KR100903029B1 (ko) 2009-06-18

Family

ID=3923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47A KR100903029B1 (ko) 2006-09-29 2007-09-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4322B2 (ko)
EP (1) EP2079781B1 (ko)
JP (1) JP2010505025A (ko)
KR (1) KR100903029B1 (ko)
CN (1) CN101522764B (ko)
TW (1) TWI355401B (ko)
WO (1) WO200803901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88B1 (ko) * 2011-12-29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9890281B2 (en) 2014-12-24 2018-02-13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laser direct structuring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WO2019132591A1 (ko) * 2017-12-29 2019-07-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1292910B2 (en) 2017-12-29 2022-04-05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mica-fill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WO2022075579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5401B (en)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US7687567B2 (en) * 2007-08-17 2010-03-30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00071000A (ko) * 2008-12-18 2010-06-28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20100160529A1 (en) * 2008-12-18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288561B1 (ko) 2009-12-11 2013-07-22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035116B1 (ko) * 2010-01-26 2011-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평 유리섬유 강화 내충격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BR112013004292B8 (pt) 2010-08-23 2022-10-04 Cryovac Inc Acondicionamento vedado por calor refratário
KR101315028B1 (ko) 2011-04-15 2013-10-08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얼로이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 및 직물
KR101360892B1 (ko) 2011-06-21 2014-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성, 내열성, 내황변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549492B1 (ko) 2011-12-28 2015-09-0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황변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5220934B1 (ja) * 2012-04-10 2013-06-26 マグ・イゾベール株式会社 複合形成材料、表面処理したガラス短繊維及び複合形成材料の製造方法
US20140050815A1 (en) * 2012-08-14 2014-02-20 Ginar Technology Co., Ltd Injection molding means
CN102911431A (zh) * 2012-08-23 2013-02-06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低收缩率汽车保险杠专用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924805A (zh) * 2012-08-23 2013-02-13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抗应力发白的玻纤增强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924807A (zh) * 2012-08-23 2013-02-13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薄壁化汽车保险杠专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924806A (zh) * 2012-08-23 2013-02-13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低线性膨胀系数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28296B1 (ko) 2012-10-18 2013-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수지 조성물
ES2620120T3 (es) * 2012-10-24 2017-06-27 Lg Chem, Ltd. Composición de resina de policarbonato
KR101599956B1 (ko) * 2012-12-21 2016-03-04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4104485A1 (ko) 2012-12-28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40086738A (ko)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US20140191263A1 (en) * 2013-01-07 2014-07-1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mpositions for an led reflector and articles thereof
KR101922246B1 (ko) * 2013-02-06 2018-11-2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US10301449B2 (en) 2013-11-29 2019-05-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CN103756130A (zh) * 2013-12-20 2014-04-30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硬塑仪表板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90829B1 (ko) 2013-12-30 2016-12-2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636951B2 (en) 2014-06-27 2020-04-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EP3189103A1 (en) * 2014-09-05 2017-07-1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oxymethylene compositions, method for manufac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793319B1 (ko) 2014-12-17 2017-11-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49830B1 (ko) 2015-06-30 2018-04-1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광신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7100395A1 (en) 2015-12-11 2017-06-15 Ticona Llc Crosslinkable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
EP3387070A4 (en) 2015-12-11 2019-08-14 Ticona LLC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
KR101895112B1 (ko) * 2015-12-31 2018-09-04 롯데첨단소재(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8883600B (zh) 2016-03-24 2021-08-06 提克纳有限责任公司 复合结构体
US11332614B2 (en) * 2017-06-28 2022-05-17 Teijin Limited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11118053B2 (en) 2018-03-09 2021-09-14 Ticona Llc Polyaryletherketone/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
KR102252550B1 (ko) * 2018-09-28 2021-05-1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4172269A4 (en) * 2020-06-30 2024-03-13 Shpp Global Tech Bv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HYDROLYTIC AND HEAT STABILITY
CN112812485B (zh) * 2020-12-28 2022-10-2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sm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514A (en) * 1972-11-18 1977-08-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methyl methacrylate resins and a polycarbonate
JPS5433312B2 (ko) * 1974-02-28 1979-10-19
US4027073A (en) * 1974-06-25 1977-05-31 Dow Corning Corporation Pigment-free coating compositions
US4034013A (en) * 1975-11-13 1977-07-05 Rohm And Haas Company Impact and melt strength improvement of poly(alkylene terephthalate)
US4139600A (en) * 1977-04-22 1979-02-13 Mobil Oil Corporation Synthesis of zeolite ZSM-5
US4400333A (en) * 1977-05-25 1983-08-23 Neefe Charles W Production of oxygen permeable contact lenses
US4180494A (en) * 1977-08-15 1979-12-25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polyesters
DE2742177A1 (de) * 1977-09-20 1979-03-29 Bayer Ag Polyamidlegierungen
US4303772A (en) * 1979-09-04 1981-12-01 George F. Tsuetaki Oxygen permeable hard and semi-hard contact lens composition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BR8006919A (pt) 1979-12-27 1981-06-30 Gaf Corp Composicao de moldagem de poliester
US4637792A (en) 1980-12-22 1987-01-20 Arkansas Patents, Inc. Pulsing combustion
JPS57125241A (en) 1981-01-28 1982-08-04 Denki Kagaku Kogyo Kk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US4393153A (en) * 1981-10-30 1983-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glass/mineral reinforced polyester blends
JPS58196250A (ja) 1982-05-12 1983-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樹脂組成物
EP0114288B1 (en) 1982-12-28 1989-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concentrate for polyester compositions and method of addition
JPH0689201B2 (ja) * 1985-02-19 1994-11-09 宇部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DE3518538A1 (de) * 1985-05-23 1986-11-27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traegliche polymermischungen
JPS62268612A (ja) 1986-05-19 1987-11-21 Nitto Boseki Co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成型体
US4745029A (en) * 1986-10-06 1988-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blends of polymethyl methacrylate and BPA polycarbonate
JP2505429B2 (ja) * 1986-10-17 1996-06-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 株式会社 射出成型用組成物
JPH0819320B2 (ja) * 1987-03-25 1996-02-2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成形用強化樹脂組成物
DE3719239A1 (de) * 1987-06-06 1988-12-15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carbonat-polymethacrylat-mischungen
US4788251A (en) * 1987-08-11 1988-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favorable melt viscosity properties
DE3837589A1 (de) * 1988-11-05 1990-05-10 Roehm Gmbh Uv-absorber-haltige methacrylatschutzschicht fuer polycarbonat
US5025066A (en) * 1988-11-14 1991-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and polyester blends modified with polyorganosiloxane graft polymers combined with diene rubber-based graft polymers
JP2610671B2 (ja) 1988-12-26 1997-05-14 ポリプラスチックス 株式会社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068285A (en) * 1989-03-08 1991-11-26 The Dow Chemical Company Molding compositions with acrylonitrile-styrene-acrylate rubber copolymers
US4906202A (en) * 1989-03-13 1990-03-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Deep well ignition cable terminal assembly
US5219915A (en) * 1989-04-11 1993-06-15 Basf Aktiengesellschaft Glas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ased on polyesters and graft polymers
US5189091A (en) * 1989-05-04 1993-02-23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aromatic polyester blends modified with a grafted olefin copolymer
US5369154A (en) * 1990-04-12 1994-11-29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aromatic polyester blends containing an olefinic modifier
US5308894A (en) * 1990-04-12 1994-05-03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aromatic polyester blends containing an olefinic modifier
JPH0423856A (ja) 1990-05-18 1992-01-28 Asa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124402A (en) * 1990-08-21 1992-06-23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solven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US5026066A (en) * 1990-10-03 1991-06-25 Kane John F Practice putting guide
US5200492A (en) * 1990-10-29 1993-04-06 Kuraray Co., Ltd. Polymer blends
JPH04359953A (ja) 1991-06-06 1992-12-14 Asa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を有する透明樹脂組成物
JPH04359954A (ja) 1991-06-06 1992-12-14 Asahi Chem Ind Co Ltd 透明樹脂組成物
EP0528462A1 (en) 1991-07-31 1993-02-24 ENICHEM S.p.A. Solvent-resistant polycarbonate-polyester blends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JPH0598136A (ja) 1991-10-03 1993-04-20 Omron Corp ポリマーブレンド
JPH05125260A (ja) * 1991-11-05 1993-05-21 Nippon G Ii Plast Kk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US5292809A (en) * 1992-06-01 1994-03-08 Enichem S.P.A. Blends of polycarbonate containing fluorinated-bisphenol A and polymethyl methacrylate
US5280070A (en) * 1992-06-01 1994-01-18 Enichem S.P.A. Polycarbonate-polymethyl methacrylate blends
US5284916A (en) * 1992-09-30 1994-02-08 Istituto Guido Donegani S.P.A. 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aromatic(alkyl)methacrylates and their blends with polycarbonates
JPH06122771A (ja) * 1992-10-13 1994-05-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3471830B2 (ja) * 1992-10-23 2003-12-0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441997A (en) * 1992-12-22 1995-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density polyester-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
JPH06313089A (ja) 1993-04-30 1994-11-08 Kuraray Co Ltd 重合体組成物
JP3564710B2 (ja) * 1993-06-29 2004-09-15 日東紡績株式会社 扁平な断面形状を有するガラス繊維の粉末を補強材と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26101A (ja) 1993-07-14 1995-01-27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FR2707976B1 (fr) 1993-07-22 1995-09-22 Vetrotex France Sa Fibres de verre destinées au renforcement de matrices organiques.
DE69715695T2 (de) 1996-02-02 2004-02-26 General Electric Co. Schlagzähe Polycarbonat-/ Polyestermischungen mit hoher Wetterbeständigkeit
JP3316164B2 (ja) * 1996-06-28 2002-08-1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060538A (en) * 1997-01-30 2000-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 reinforced polycarbonate-polyester composition
JPH10219026A (ja) 1997-01-31 1998-08-18 Nitto Boseki Co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
US6545089B1 (en) 1997-09-04 2003-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carbonnate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degradation and improved thermal stability
JP4217284B2 (ja) * 1997-10-28 2009-01-28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ペレット
DE19750627A1 (de) 1997-11-14 1999-05-20 Basf Ag Schlagzäh modifizierte Polyester/Polycarbonat-Blends
JPH11181168A (ja) * 1997-12-17 1999-07-06 Sumitomo Bakelite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CN1290876C (zh) * 1998-03-12 2006-12-20 卢西特国际英国有限公司 聚合物组合物
DE19845317A1 (de) 1998-10-01 2000-04-06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Innenanwendungen
KR100559103B1 (ko) * 1998-11-30 2006-03-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US6329485B1 (en) * 1998-12-11 2001-12-11 Bausch & Lomb Incorporated High refractive index hydrogel compositions for ophthalmic implants
KR20000048033A (ko) 1998-12-17 2000-07-25 후루타 다케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JP3847482B2 (ja) 1999-03-17 2006-11-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4364339B2 (ja) * 1999-03-17 2009-11-1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品
JP2001049072A (ja) 1999-08-16 2001-02-20 Teijin Chem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486251B1 (en) * 2000-02-29 2002-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Special visual effect polycarbonate-polyester composition
JP2002080676A (ja) 2000-09-05 2002-03-19 Nippon Shokubai Co Ltd アクリル系樹脂層と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層からなる積層体のリサイクル方法
JP4357107B2 (ja) * 2000-10-05 2009-11-04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US20030032725A1 (en) * 2001-06-26 2003-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US6846855B2 (en) * 2001-05-01 2005-01-2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ized reinforcements, and materials reinforced with such reinforcements
US7317043B2 (en) * 2002-02-27 2008-01-08 Mitsubishi Rayon Co., Ltd. Impact modifi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7351766B2 (en) * 2002-02-28 2008-04-01 Mitsubishi Rayon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engineering plastic composition
AU2003217882A1 (en) * 2002-03-01 2003-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Aliphatic polyester-acrylic blend molding composition having good ductility and weatherability
WO2004011521A1 (ja) * 2002-07-29 2004-02-0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接着性フィルム
JP2004091692A (ja) * 2002-09-02 2004-03-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機構部品
JP2004155928A (ja) * 2002-11-07 2004-06-03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0511423B1 (ko) 2003-03-06 2005-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4899289B2 (ja) * 2003-04-07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性インク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61693A (ja) * 2003-12-03 2005-06-23 Polyplastics Co インサート成形品
US8034866B2 (en) * 2003-12-30 2011-10-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m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4606034B2 (ja) * 2004-02-03 2011-01-05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05307180A (ja) * 2004-03-23 2005-11-04 Techno Polym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7385013B2 (en) * 2004-05-12 2008-06-10 Toray Industries, Inc. Polymer alloy,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20060004154A1 (en) * 2004-07-02 2006-01-05 Derudder James L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60030647A1 (en) * 2004-08-05 2006-02-09 Thomas Ebel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449501B2 (en) * 2004-11-09 2008-11-11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composition containing microgel particles
US7718733B2 (en) * 2004-12-20 2010-05-1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Optically clear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s
JP2006249292A (ja) 2005-03-11 2006-09-21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817685B2 (ja) 2005-03-17 2011-11-16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914027B2 (ja) * 2005-06-08 2012-04-1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KR100709878B1 (ko) 2005-12-30 2007-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가지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성형품
KR100767428B1 (ko) 2006-04-14 2007-10-1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060739B2 (ja) * 2006-05-10 2012-10-31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成形品及び生分解速度制御方法
EP2019747A4 (en) 2006-05-25 2010-05-05 Arkema Inc ELASTIFICATOR COMPOSITION FOR TRANSPARENT THERMOPLASTS
JP2008013702A (ja) 2006-07-07 2008-01-24 Toray Ind Inc 液晶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TWI355401B (en)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US8557910B2 (en) * 2006-12-15 2013-10-15 Thierry Arpin Reinforced PCT compositions
CN101611096B (zh) * 2006-12-25 2012-03-28 三菱丽阳株式会社 流动性改进剂、芳香族聚碳酸酯系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KR101613321B1 (ko) * 2007-03-29 2016-04-18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KR100871436B1 (ko) * 2007-08-01 2008-12-03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이에 따른 수지 조성물
KR101004040B1 (ko) 2007-12-18 2010-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85819B1 (ko) * 2007-12-18 2009-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굴절률이 우수한 분지형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02352B1 (ko) * 2008-03-13 2009-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44388B1 (ko) 2008-03-21 2010-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86348B1 (ko) * 2008-04-14 2009-03-03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개선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88349B1 (ko) * 2008-12-17 2012-10-05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20100160529A1 (en) * 2008-12-18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266294B1 (ko) * 2008-12-19 2013-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170383B1 (ko) 2008-12-26 2012-08-01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174089B1 (ko) * 2009-06-12 2012-08-1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12673B1 (ko) 2009-07-31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8541506B2 (en) * 2009-12-30 2013-09-24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88B1 (ko) * 2011-12-29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9890281B2 (en) 2014-12-24 2018-02-13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laser direct structuring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WO2019132591A1 (ko) * 2017-12-29 2019-07-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1292910B2 (en) 2017-12-29 2022-04-05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mica-fill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WO2022075579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029B1 (ko) 2009-06-18
EP2079781B1 (en) 2013-04-24
WO2008039017A1 (en) 2008-04-03
TW200835732A (en) 2008-09-01
CN101522764A (zh) 2009-09-02
JP2010505025A (ja) 2010-02-18
US20090209696A1 (en) 2009-08-20
TWI355401B (en) 2012-01-01
EP2079781A4 (en) 2011-10-26
CN101522764B (zh) 2013-02-13
US8664322B2 (en) 2014-03-04
EP2079781A1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02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100709878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가지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성형품
WO2004052991A1 (en) High flow engineering theremoplastic composition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WO200808213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KR201100794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10105226A (ja) 樹脂成形体
KR1017996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용 성형품
US20230059191A1 (en)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200511299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796938B1 (ko) 저선팽창계수를 가지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N110964303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其制造的模制品
EP367436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US11459456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plating
JP728878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S622091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16946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210530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01871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7229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S63196642A (ja) 改良された耐薬品性の特性が付与されたビニル芳香族重合体をベースとするブレンド
KR100543896B1 (ko)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9980027070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984536B1 (ko) 대전방지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22034074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2021003835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