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198A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198A
KR20080003198A KR1020070024490A KR20070024490A KR20080003198A KR 20080003198 A KR20080003198 A KR 20080003198A KR 1020070024490 A KR1020070024490 A KR 1020070024490A KR 20070024490 A KR20070024490 A KR 20070024490A KR 20080003198 A KR20080003198 A KR 20080003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semiconductor device
terminal
chips
form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310B1 (ko
Inventor
도시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42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wire connectors, e.g. wirebond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73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connectors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6Disposition
    • H01L2224/0557Disposition the external layer being disposed on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2Disposition
    • H01L2224/130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being disposed on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401Structure
    • H01L2224/1403Bump connectors having different sizes, e.g. different diameters, heights or wid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41Disposition
    • H01L2224/14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01L2224/14181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01Structure
    • H01L2224/1703Bump connectors having different sizes, e.g. different diameters, heights or wid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1Disposition
    • H01L2224/17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01L2224/17181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7Bump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53Bump and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57Bump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Wire or wire-like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7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27Special adaptation of electrical connections, e.g. rewiring, engineering changes, pressure contacts,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2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at least one device in the stack being rotated or off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the devices having the same size and there being no auxiliary carrier between th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8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the devices decreasing in size, e.g. pyramidical st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96Structural 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1Log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46Mixed devices
    • H01L2924/1461M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을 서로 적층시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각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2 칩은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제1 칩의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제1 칩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및 제2 칩의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칩과 제2 칩을 서로 접합시킨 후에도, 제1 칩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칩과 제2 칩의 외부 단자에 동일한 측으로부터 테스트 프로브 등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칩과 제2 칩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SiP 칩을 별도의 패키지에 밀봉하는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논리칩 웨이퍼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논리칩의 웨이퍼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메모리 칩의 웨이퍼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P : 외부 단자
EAL, EAM : 소자 형성 영역
ETL, ETM : 외부 단자
IBP : 범프
ICTL, ICTM : 상호 접속 단자
IJOIN, IJOIN2 : 내부 중계 단자
LOG : 논리칩
MBP : 마이크로 범프
MEM : 메모리 칩
TEST : 테스트 회로
OJOIN : 외부 중계 단자
PBRD : 패키지 기판
PKG : 패키지
PTL, PTM : 단자
THJ, THL, THM : 스루홀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칩·온·칩(chip on chip) 기 술 등을 채용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등의 시스템 제품에서는 취급하는 데이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품에 마운트되는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도 증가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시스템 제품에 탑재되는 반도체 장치로서, 논리(컨트롤러) 및 메모리를 하나의 칩에 집적하는 시스템온칩(SoC : System on Chip)과, 논리칩 및 메모리 칩을 적층하여 하나의 패키지에 수납하는 시스템인패키지(SiP : System in Package)가 있다. SoC는 반도체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비용도 높다. 이에 비해, SiP는 기존의 반도체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각각 제조된 복수의 반도체 칩을 패키징하여 구성되므로 새로운 반도체 프로세스를 개발할 필요가 없고, 제조비용은 비교적 저렴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SiP을 이용한 시스템 제품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SiP에는 기생 LCR을 작게 하며, 데이터 전송율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 범프 등에 의해 칩 사이를 접속하는 칩·온·칩(CoC) 기술이 채용되는 경향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2, 3, 4, 5, 6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916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916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941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219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4037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소61-42942호 공보
CoC에서는 기생 LCR을 지극히 작게 하기 위해, 소자가 형성되는 면을 서로 대향하여 칩끼리 마이크로 범프 등으로 접속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CoC를 조립한 후, 칩 사이즈가 작은 반도체 칩(스몰 칩)의 표면은 칩 사이즈가 큰 반도체 칩(라지 칩)에 덮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스몰 칩의 외부 단자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단자에 직접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라지 칩을 통하지 않고, 스몰 칩을 단독으로 테스트할 수 없다. 또한, 라지 칩을 통하지 않고, 스몰 칩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칩을 서로 적층시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각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칩을 서로 적층시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각 칩에 독립된 전원을 공급하여 각 칩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제1 칩은 제1 소자 형성 영역과, 제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1 상호 접속 단자와, 제 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외부 단자를 갖는다. 제2 칩은 제2 소자 형성 영역과,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2 상호 접속 단자와,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2 외부 단자를 갖는다. 제2 칩은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제1 칩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칩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칩과 제2 칩을 서로 접합시킨 후에도, 제1 칩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칩과 제2 칩의 외부 단자에 동일한 측으로부터 테스트 프로브 등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칩과 제2 칩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칩에 독립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 칩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웨이퍼 상태의 제1 칩 상에, 다이싱된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이 선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전체의 테스트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이 결과, 테스트 패턴 등을 삭감할 수 있으며,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가 선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반도체 장치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칩 및 제2 칩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칩은 외주부의 일부가 제2 칩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갖는다. 제2 칩은 외주부의 일부가 제1 칩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갖는다. 제1 및 제2 돌출부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단자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칩 을 서로 접합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칩에 독립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 칩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제1 칩은 소자 형성 영역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다. 배선층은 제1 칩 상에 배치되어, 상호 접속부 및 외부 접속부를 갖는다. 제2 칩은 배선층 상에 배치되며, 소자 형성 영역을 가지고, 제1 칩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단자를 갖는다. 배선층의 상호 접속부는 제1 및 제2 칩의 소자 형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배선층의 외부 접속부는 제2 외부 단자에 접속되어, 제1 칩의 소자 형성 영역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2 칩의 외주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칩과 제2 칩을 서로 접합시킨 후에도, 제1 외부 단자 및 외부 접속부에 접속된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제1 칩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외부 단자와 외부 접속부를 동일한 측에서 테스트 프로브 등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칩과 제2 칩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칩에 독립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및 제2 칩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웨이퍼 상태의 제1 칩 상에 배선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다이싱된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이 선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외부 단자(외부 접속부)를 이용하고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전체의 테스트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이 결과, 테스트 패턴 등을 삭감할 수 있고,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품의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가 선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 장치(SEM)는 칩·온·칩(이하, CoC라고도 칭함) 기술을 이용하여, 논리칩(LOG)(제1 칩) 상에 메모리 칩(MEM)(제2 칩)을 접합시켜 시스템·인·패키지(이하, SiP라고도 칭함)를 구성하고, SiP 칩(CoC 칩)을 패키지(PKG) 내에 밀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논리칩(LOG)은 도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메모리 칩(MEM)보다 길고, 메모리 칩(MEM)에 중복하지 않는 위치(도면의 좌우 양방향)에 복수의 외부 단자(ETL)를 갖고 있다. 메모리 칩(MEM)은 논리칩(LOG)의 중복하는 위치에 2개의 외부 단자(ETM)를 갖고 있다.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상호 접속되는 복수의 상호 접속 단자(ICTL, ICTM)를 각각 갖고 있다.
메모리 칩(MEM)은 예컨대, 테스트 회로(TEST)를 갖고 있다. 테스트 회로(TEST)는, 예컨대 BIST(Built-In Self-Test) 회로이다. 테스트 회로(TEST)는 외부 단자(ETM)에서 받는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시작하고, 메모리 칩(MEM)의 내부 회로(메모리 어레이와 그 제어 회로)를 테스트한다. 테스트 회로(TEST)는 논리칩(LOG)에 의해 메모리 칩(MEM)이 액세스되는 통상 동작 모드 중에 동작이 금 지된다. 예컨대, 외부 단자(ETM)의 한 쪽의 전압 레벨이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낼 때, 메모리 칩(MEM)은 통상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외부 단자(ETM)의 한쪽의 전압 레벨이 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테스트 모드로 이행하며, 메모리 칩(MEM)의 동작 테스트를 실시한다. 외부 단자(ETM)의 다른 쪽은, 예컨대 2 종류의 테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외부 단자(ETM)는 테스트 단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테스트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테스트가 한 종류인 경우, 테스트 단자[외부 단자(ETM)]의 수는 1개이더라도 좋다. 혹은, 테스트의 종류가 많은 경우, 테스트 단자의 수를 3개 이상으로 늘려도 좋다. 또한,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는 외부 단자(ETM)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테스트 회로(TEST)는 BIST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 칩(MEM)에, 불량을 구제하기 위한 용장 메모리 셀(용장 워드선 또는 용장 비트선)과, 통상 메모리 셀(통상 워드선 또는 통상 비트선)을 용장 메모리 셀로 대체하기 위한 퓨즈가 형성되는 경우, 테스트 회로(TEST)는 테스트에 의해 불량이 판정된 메모리 셀을 용장 메모리 셀로 대체하기 위해, 퓨즈를 프로그램하는 용장 회로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면의 단면 A-A',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소자 형성 영역(EAL, EAM)을 서로 대향하여 SiP 칩에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소자 형성 영역(EAL, EAM)은 트랜지스터나 저항 등의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하, 소자 형성 영역(EAL, EAM)이 형성되는 면을 표면이라 칭하고,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 칭한다. 상호 접속 단자(lCTL)는 소자 형성 영역(EAL)에 형성 되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호 접속 단자(ICTM)는 소자 형성 영역(EAM)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호 접속 단자(lCTL, ICTM)는 마이크로 범프(MBP) 등(도전성의 접속 부재)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면 우측의 단면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칩(LOG)의 외부 단자(ETL)는 논리칩(LOG)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ETL)는 소자 형성 영역(EAL)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논리칩(L0G)의 회로는 메모리 칩(MEM)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외부 단자(ETL)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금선(WB) 등에 의해 패키지(PKG)의 단자(PTL)에 본딩되어 있다.
도면 좌측의 단면 A-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는 메모리 칩(MEM)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ETM)는 스루홀(THM)을 통해 소자 형성 영역(EAM)의 테스트 회로(TEST)에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THM)은 소자 형성 영역(EAM)으로부터 외부 단자(ETM)까지 관통하고 있고, 예컨대, 도전성의 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외부 단자(ETM)는 금선(WB) 등에 의해 패키지(PKG)의 단자(PTM)에 본딩되어 있다. 단자(PTL, PTM)는 패키지 기판(PBRD)의 하부에 형성되는 범프(BP)에 접속되어 있다. 범프(BP)는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이며,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시스템 기판의 단자에 접속된다.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 및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는 SiP 칩에 조립되는 상태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도면의 단면 A-A', B-B'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 칩(MEM)을 웨 이퍼 상태의 논리칩(LOG)에 접합시킨 상태로 외부 단자(ETM)에 테스트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다. 논리칩(LOG)은 외부 단자(ETL)를 이용하고 단독으로 테스트 가능하다. 이 때문에, 메모리 칩(MEM) 및 논리칩(LOG)의 테스트를 단독이면서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SiP에 조립된 후,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다. SiP에 조립된 상태로 메모리 칩(MEM)의 표면이 논리칩(LOG)에 완전히 덮어지는 경우에도, 즉, 메모리 칩(MEM)이 논리칩(LOG)보다 작은 경우에도, 외부 단자(ETM)를 소자 형성 영역(EAM)으로 접속하는 스루홀(THM)을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다.
외부 단자(ETL)는 논리칩(LOG)을 동작시키기 위해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혹은, 논리칩(LOG)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호 접속 단자(ICTL, ICTM)는 논리칩(LOG)이 메모리 칩(MEM)을 액세스할 때에,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록 데이터 신호를 메모리 칩(MEM)에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며, 판독 데이터 신호를 메모리 칩(MEM)으로부터 받기 위해서 사용된다.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교환은 논리칩(LOG)의 메모리 제어 회로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메모리 칩(MEM)은 통상 동작 모드 중에, 상호 접속 단자(ICTL, ICTM)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SiP 칩을 별도의 패키지(PKG)에 밀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단면 A-A', B-B'는 도 1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는 도 1과는 반대로, 패키지 기판(PBRD) 측에 메모리 칩(MEM)이 배치되고, 외부 단자(ETL, ETM) 상 에 각각 범프(IBP)가 형성된다. 외부 단자(ETL, ETM)는 범프(IBP)를 통해 패키지 기판(PBRD)의 단자(PTL, PTM)에 접속된다. 또한, 외부 단자(ETL) 상에 형성된 범프(IBP)의 형상은 실제로는 거의 구형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메모리 칩(MEM)과 논리칩(LOG)은 서로 다른 웨이퍼 프로세스(제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메모리 칩(MEM)이 형성된 웨이퍼는 제조 후에 다이싱되어, 개별 메모리 칩(MEM)으로 분리된다. 예컨대, 메모리 칩(MEM)의 메모리 용량은 비교적 작고, 칩 사이즈도 작다. 또한, 메모리 칩(MEM)은 기존 세대의 웨이퍼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 때문에, 웨이퍼 제조 후의 메모리 칩(MEM)의 수율은 예컨대 98%이다. 거의 모든 메모리 칩(MEM)이 양품이므로, 메모리 칩(MEM)의 다이싱 전의 프로브 테스트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조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SiP 칩의 상태에서 메모리 칩(MEM)을 단독으로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SiP 칩에 조립한 후에 메모리 칩(MEM)을 테스트함으로써, 테스트에 필요한 총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이싱된 메모리 칩(MEM)은 웨이퍼 상태의 논리칩(LOG) 상에 접합되어지고, 복수의 SiP 칩이 형성된다(CoC 마운트). 웨이퍼 상태의 SiP 칩은 프로브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외부 단자(ETM)를 이용하여 메모리 칩(MEM)을 단독으로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단자(ETL, ETM)를 사용하여, 논리칩(LOG)과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래는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CoC 기술을 채용한 SiP에서는, 메모리 칩(MEM)과 논리칩(LOG)의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할 수 없었다.
프로브 테스트 후, 웨이퍼 상태의 SiP 칩이 다이싱되고 프로브 테스트로 양품이라고 판정된 SiP 칩만이 패키징되어, SiP[반도체 장치(SEM)]가 완성된다. 그리고, SiP는 최종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접속함으로써, SiP으로 조립할 수 있었던 상태이더라도,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논리칩(LOG)을 통하지 않고 직접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 칩(MEM)의 불량 해석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가 제조 공정만으로 실시된 경우, 외부 단자(ETM)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로 접속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외부 단자(BP)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패키지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SEM)의 개발 시에 사용하는 시작용의 패키지에만, 외부 단자(ETM)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접속하여도 좋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논리칩(LOG)의 웨이퍼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의 칩은 메모리 칩(MEM)이며 논리칩(LOG) 상에 마운트되어 있다. 도면 중의 4개의 SiP 칩을 둘러싸고 있는 굵은 사각 프레임(PRB)은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사각 프레임(PRB) 내의 논리칩(LOG) 중 어느 하나가 불량품일 경우에도, 항상 4개의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가 동시에 실시된다. 다시 말해,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 공정에 있어서, 모든 논리칩(LOG)이 테스트된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칩(LOG)의 웨이퍼 프로세스 후의 프로브 테스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특히, 논리칩(LOG)의 수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논리칩(LOG)의 프로브 테스트를 생략한 쪽이 테스트에 필요한 총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에서는, 논리칩(LOG)에 메모리 칩(MEM)을 접합시킨 후에도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을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L, ETM)에 동일한 측으로부터 테스트 프로브 등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제2 칩)의 다이싱 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된다. 그 외의 공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5의 흐름은 웨이퍼 제조 후의 메모리 칩(MEM)의 수율이 제1 실시형태에 비해 낮을 때에 채용된다. 메모리 칩(MEM)의 수율이 낮은 원인으로서, 칩 사이즈가 큰 것, 또는, 웨이퍼 프로세스의 세대가 새로운 것 등이 있다. 웨이퍼 소트 공정에서는 웨이퍼 상태의 메모리 칩(MEM)의 프로브 테스트가 실시되며, 메모리 칩(MEM)은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그리고, 메모리 칩(MEM)이 다이싱된 후, 정상적으 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MEM)(양품)만이 웨이퍼 상태의 논리칩(LOG)(제1 칩) 상에 접합되고, 제1 실시형태(도 3)와 동일하게 복수의 SiP 칩이 형성된다(CoC 마운트).
이상,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 제조 후의 메모리 칩(MEM)의 수율이 낮을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MEM)만을 논리칩(LOG)에 접합시킴으로써 SiP 칩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제2 칩)의 다이싱 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되며, 논리칩(LOG)(제1 칩)의 웨이퍼 프로세스 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된다. 그 외의 공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6의 흐름은 웨이퍼 제조 후의 메모리 칩(MEM) 및 논리칩(LOG)의 수율이 제1 실시형태에 비해 낮을 때에 채용된다. 웨이퍼 소트 공정에서는 웨이퍼 상태의 메모리 칩(MEM)[또는 논리칩(LOG)]의 프로브 테스트가 실시되며, 칩은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MEM)(양품)만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논리칩(LOG) 상에 접합되고, 제1 실시형태(도 3)와 동일하게 복수의 SiP 칩이 형성된다(CoC 마운트). 또한, 메모리 칩(MEM)의 수율이 높을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메모리 칩(MEM)의 웨이퍼 소트 공정을 생략하여도 좋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논리칩(LOG)의 웨이퍼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의 칩은 논리칩(LOG) 상에 마운트된 메모리 칩(MEM)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불량의 논리칩(LOG)(도면 중 X 표시가 있는) 상에는, 메모리 칩(MEM)은 마운트되지 않는다.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는 SiP 칩마다 하나씩 실시된다.
이상,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논리칩(LOG) 상에만 메모리 칩(MEM)을 마운트하고, 불량의 논리칩(LOG)에 대응하는 SiP 칩을 제외하는 SiP 칩만 프로브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프로브 테스트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면의 단면 A-A',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칩(MEM)(제2 칩)의 외부 단자(ETM)는 소자 형성 영역(EAM)에 형성되어 있다. SiP 칩에 있어서, 메모리 칩(MEM)의 소자 형성 영역(EAM)은 논리칩(LOG)(제1 칩)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칩(MEM)은 상호 접속 단자(ICTM)를 소자 형성 영역(EAM)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THM)을 갖고 있다.
이상,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메모리 칩(MEM)에 있어서의 도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제1 실시형태에 비해 길다. 이 때문에, 메모리 칩(MEM)(제2 칩)을 논리칩(LOG)(제1 칩)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의 일부(도면 좌측의 ETL)는 메모리 칩(MEM)에 의해 덮어진다. 외부 단자(ETL)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접속하기 위해, 도면의 단면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칩(MEM)은 내부 중계 단자(IJOIN), 스루홀(THJ) 및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갖고 있다.
내부 중계 단자(IJOIN)는 소자 형성 영역(EAM)에 형성되며, 마이크로 범프 (MBP)에 의해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에 접속된다. 외부 중계 단자(OJOIN)는 메모리 칩(MEM)의 이면에 형성되며, 스루홀(THJ)을 통해 내부 중계 단자(IJOIN)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단자(ETL)는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통해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된다.
이상,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MEM)의 사이즈가 크고, SiP에 조립한 상태로,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가 메모리 칩(MEM)으로 덮어지는 경우에도, 외부 단자(ETL)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의 구조와,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메모리 칩(MEM)(제2 칩)은 제5 실시형태(도 9)와 동일하게 논리칩(LOG)(제1 칩)의 외부 단자(ETL)를 메모리 칩(MEM)을 통해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해, 내부 중계 단자(lJOIN), 스루홀(THJ) 및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갖고 있다. 또한, 메모리 칩(MEM)은 내부 중계 단자(IJOIN)를 내부 회로 또는 내부 중계 단자(IJOIN2)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SW)를 갖고 있다.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위치 회로(SW) 및 내부 중계 단자(IJOIN2)는 내부 중계 단자(IJOIN)마다 형성되어 있다. 내부 중계 단자(IJOIN2)는 마이크로 범프(MBP)를 통해 논리칩(LOG)의 상호 접속 단자(ICTL)에 접속되는 상호 접속 단자 (ICTM)로서 기능한다. 또한, 내부 중계 단자(IJOIN2)에 접속되는 상호 접속 단자 (ICTL)는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ETL)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을 테스트할 때에, 스위치(SW)는 메모리 칩(MEM)의 내부 회로에 접속된다. 이 경우, 외부 중계 단자(OJOIN)는 메모리 칩(MEM)을 액세스하는 테스트 단자(예컨대, 테스트 커맨드 단자, 테스트 어드레스 단자, 테스트 데이터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테스트 회로(TEST)의 BIST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세한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논리 칩(LOG)을 테스트할 때, 그리고 반도체 장치(SEM)를 동작시킬 때, 스위치(SW)는 내부 중계 단자(IJOIN2)에 접속된다. 이 경우, 외부 중계 단자(OJOIN)는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위치(SW)는 도시하지 않은 테스트 패드에 소정의 전압 레벨을 인가했을 때에만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내부 회로에 접속하여, 그 이외에는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내부 중계 단자(IJOIN2)에 접속한다.
또한,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칩[이 예에서는, 논리칩(LOG)]에 스위치 회로(SW)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논리칩(LOG)에 있어서 CoC 칩 상태로 메모리 칩(MEM)의 외측에 노출하는 외부 단자(ETL)에서 받은 신호를 논리칩(LOG)의 내부 회로 또는 메모리 칩(MEM)의 내부 회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를, 스위치 회로(SW)를 통해 메모리 칩(MEM)의 내부 회로 또는 논리칩(LOG)에 접속함으로써, 적은 수의 단자로 메모리 칩(MEM)의 상세한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 및 논리칩(LOG)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제1 칩)은 도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논리칩(LOG)(제2 칩)보다 길고, 논리칩(LOG)에 중복하지 않는 위치(도면의 좌우 양방 향)에 2개의 외부 단자(ETM)를 갖고 있다. 논리칩(LOG)은 메모리 칩(MEM)에 중복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단자(ETL)를 갖고 있다. 외부 단자(ETL)는 제어 신호의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외부 단자(ETL)는 스루홀(THL)을 통해 소자 형성 영역(EAL)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에서는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이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에 접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도 1)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상,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논리칩(LOG)이 메모리 칩(MEM)보다 작은 경우에도, 스루홀(THL)을 형성함으로써,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특히, 논리칩(LOG)으로의 전원을 메모리 칩(MEM)을 통하지 않고 공급할 수 있으므로, 논리칩(LOG)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칩(MEM)은 금속 배선층의 수가 적으므로, 논리칩(LOG)용의 전원 배선을 추가하는 경우, 전원 저항이 높게 되고, 동작 마진이 낮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에서는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이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에 접합되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제4 실시형태(도 8)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논리칩(LOG)(제2 칩)은 메모리 칩(MEM)(제1 칩)에 중복하는 위치에 복수의 외부 단자(ETL)를 갖고 있다. 외부 단자(ETL)는 제어 신호의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외부 단자(ETL)는 스루홀(THL)을 통해 소자 형성 영역(EAL)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4 및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에서는,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제2 칩)이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제1 칩)에 접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5 실시형태(도 9)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의 한 쪽(도면 좌측의 ETM)은 논리칩(LOG)에 형성된 내부 중계 단자(IJOIN), 스루홀(THJ) 및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통해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된다.
이상,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5 및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제5, 제8 및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메모리 칩(MEM)(제1 칩)은 제8 실시형태(도 13)의 메모리 칩(MEM)에 비해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다. 이 때문에, SiP 칩에 조립한 상태에서,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의 한 쪽(도면 좌측의 ETM)은 논리칩(LOG)(제2 칩)에 의해 덮어져 버린다. 외부 단자(ETM)를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접속하기 위해, 논리칩(LOG)은 제9 실시형태(도 13)와 동일하게 내부 중계 단자(IJOIN), 스루홀(THJ) 및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갖고 있다. 또한, 단면 A-A',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칩(LOG)의 소자 형성 영역(EAL)은 SiP 칩에 조립한 상태로, 메모리 칩(MEM)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논리칩(LOG)은 상호 접속 단자(ICTL)를 소자 형성 영역(EAL)에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THL)을 갖고 있다.
이상,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5 및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제6, 제7 및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9 실시형태(도 13)의 논리칩(LOG)에 제6 실시형태(도 10)의 스위치 회로(SW)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위치 회로(SW) 및 내부 중계 단자(IJOIN2)는 내부 중계 단자 (IJOIN)마다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SW)는 논리칩(LOG)(제2 칩)의 외부 중계 단자(IJOTN)를 논리칩(LOG)의 내부 회로 또는 메모리 칩(MEM)(제1 칩)의 외부 단자(ETM)(ICTM)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외부 중계 단자(OJOIN)를 외부 단자(ETM)(ICTM)에 접속하기 위해, 스위치 회로(SW)의 출력에 접속된 내부 중계 단자(IJOIN2)는 마이크로 범프(MBP)를 통해 메모리 칩(MEM)의 상호 접속 단자(ICTM)에 접속되는 상호 접속 단자(ICTL)로서 기능한다. 또한, 내부 중계 단자(IJOIN2)에 접속되는 상호 접속 단자(ICTM)는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ETM)로서 기능한다.
또한,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칩[이 예에서는, 메모리 칩(MEM)]에 스위치 회로(SW)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메모리 칩(MEM)에 있어서, CoC 칩 상태로 메모리 칩(MEM)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외부 단자(ETM)에서 받는 신호를 메모리 칩(MEM)의 내부 회로 또는 논리칩(LOG)의 내부 회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6 및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9 실시형태(도 13)의 SiP 칩이 별도의 패키지(PKG)에 밀봉된다. 이 예에서는, 도 13과는 반대로, 패키지 기판(PBRD)측에 논리칩(LOG)이 배치되고, 외부 단자(ETL, ETM) 상에 각각 범프(IBP)가 형성된다. 외부 단자(ETL, ETM)는 범프(IBP)를 통해 패키지 기판(PBRD)의 단자(PTL, PTM)에 접속된다. 이상, 제1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9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논리칩(LOG)(제1 칩)이 칩 트레이 (CTRY)에 수납된 후, 칩 트레이(CTRY) 상에서, 논리칩(LOG)에 메모리 칩(MEM)(제2 칩)이 접합된다. 칩 트레이(CTRY)에 수납되는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정 상적으로 동작하는 양품이다. 도면 중, 논리 웨이퍼(LWAF) 및 메모리 웨이퍼 (MWAF) 내의 X 표시가 있는 칩은 불량품이며, 표시가 없는 칩은 양품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제1 실시형태의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이 사용된다.
도 18은 제1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 3,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공정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 프로세스를 완료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웨이퍼 소트 공정에서 각각 프로브 테스트가 실시되어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웨이퍼는 웨이퍼 소트 공정 후에 다이싱되며, 개별의 논리칩(LOG) 및 개별의 메모리 칩(MEM)으로 분리된다. 그 후, 칩 트레이(CTRY) 상에서 논리칩(LOG)에 메모리 칩(MEM)이 마운트된다(CoC 마운트). 다음으로, 칩 트레이(CTRY) 상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SiP 칩은 프로브 테스트가 동시에 실시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프로브 테스트에서 양품이라고 판정된 SiP 칩만이 패키징되어, SiP[반도체 장치(SEM)]가 완성된다. 그리고, SiP는 최종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이상, 제1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칩 트레이(CTRY)를 이용하여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양품의 논리칩(LOG), 메모리 칩(MEM)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복수의 SiP 칩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 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SiP 칩에 조립한 상태에서 논리칩(LOG)은 외주부의 일부가 메모리 칩(MEM)의 외주부에서 돌출하는 돌출부(PRJL)를 갖는다. 메모리 칩(MEM)은 외주부의 일부가 논리칩(LOG)의 외주부에서 돌출하는 돌출부 (PRJM)를 갖는다.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는 돌출부(PRJL)에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는 돌출부(PRJM)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ETL, ETM)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여,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외부 단자(ETL, ETM)는 소자 형성 영역(EAL, EAM)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칩(MEM)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단자(ETM)에 접속된 테스트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상호 접속 단자(ICTL, ICTM)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논리칩(LOG)의 소자 형성 영역(EAL)과 메모리 칩(MEM)의 소자 형성 영역(EAL)은 단면 A-A', B-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P 칩에 조립한 상태로 서로 대향한다.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는 금선(WB) 등에 의해 패키지(PKG)의 단자 (PTL)에 본딩되어 있다.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는 범프(IBP)를 통해 패키지 기판(PBRD)의 단자(PTM)에 접속된다. 돌출부(PRJL, PRJM)에 외부 단자(ETL, ETM)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SiP 칩을 패키지(PKG)에 밀봉할 때에, 외부 단자(ETL, ETM)를 패키지(PKG)의 단자(PTL, PTM)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상,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ETL, ETM)를 패키지(PKG)의 단자(PTL, PTM)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에 독립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단자(ETL, ETM)를 패키지(PKG)의 단자(PTL, PTM)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패키지(PKG)의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개발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1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는 복수의 메모리 칩(MEM)이 논리칩(LOG)에 접합되는 점이 제14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14 실시형태(도 19)와 동일하다. 즉, 외부 단자(ETL, ETM)는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메모리 칩(MEM)은 외부 단자(ETM)에 접속된 테스트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이상,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1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칩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제1 칩) 상에 칩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제2 칩)을 접합시켜 SiP 칩을 형성한다.
논리칩(LOG)은 소자 형성 영역(EAL)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단자(ETL) 및 상호 접속 단자(lCTL)를 갖고 있다. 외부 단자(ETL)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 칩(MEM)은 소자 형성 영역(EAM)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단자(ETM) 및 상호 접속 단자(ICTM)를 갖고 있다. 외부 단자(ETM)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단자(ETM)는 메모리 칩(MEM)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BIST 회로의 기동 단자(테스트 단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고, 메모리 칩(MEN)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커맨드 단자, 테스트 어드레스 단자 및 테스트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외부 단자(ETL, ETM)에 의해,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은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 상에 배선층 (WLYR)이 형성된다. 배선층(WLYR)은 상호 접속부(ICN)와 외부 접속부(ECN)를 갖고 있다.
상호 접속부(ICN)는 메모리 칩(MEM)의 상호 접속 단자(ICTM) 및 외부 단자(ETM) 상에 형성된다. 외부 접속부(ECN)는 메모리 칩(MEM)의 도시하지 않은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소자 형성 영역(EAM)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ECN) 중, 논리칩(LOG)에 의해 덮어지는 부분은 마이크로 범프(MBP)를 통해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에 접속된다. 외부 접속부(ECN) 중, 논리칩(LOG)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PRJ)는 패키지(PKG)의 외부 단자(PTL)에 접속된다.
외부 접속부(ECN)에 의해,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를 논리칩(LOG)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등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논리칩(LOG)의 외부 단자(ETL)는 메모리 칩(MEM)으로 덮어짐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칩(MEM)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단자(PTL)에 접속 가능하다. 이에 따라, SiP 칩에 조립할 수 있었던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L(ECN), ETM]를 동일한 측(단면 A-A'의 위쪽)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을 동일한 측에서 테스트 프로브를 접촉시켜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MEM)을 통하지 않음으로써, 논리칩(LOG)의 전원 저항(전원 배선의 저항)을 낮출 수 있고, 논리칩(LOG)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제16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 3과 동일한 공정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 프로세스를 완료한 메모리 칩(MEM)은 배선층(WLYR)을 형성하기 위한 배선 프로세스가 실시된다. 그리고, 웨이퍼 상태의 메모리 칩(MEM) 상에, 다이싱된 논리칩(LOG)이 접합되고, 복수의 SiP 칩이 형성된다(CoC 마운트). 이 후의 공정은 도 3과 동일하다. 즉, 웨이퍼 상태의 SiP 칩은 프로브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된다. 이 때, 외부 단자[ETL(ECN), ETM]를 사용하여, 논리칩(LOG)과 메모리 칩(MEM)의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제1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칩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에 칩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을 접합시킨 후에도, 외부 단자(ETM), 외부 접속부(ECN)에 접속된 외부 단자(ETL)를 이용하여 메모리 칩(MEM)에 논리칩(LOG)을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단자(ETM)와 외부 접속부(ECN)를 동일한 측에서 테스트 프로브 등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메모리 칩(MEM)에 논리칩(LOG)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단자(ETM, ETL)를 이용하여, 메모리 칩(MEM)에 의한 논리칩(LOG)에 독립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메모리 칩(MEM) 및 논리칩(LOG)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 고 있다. 제1 및 제1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논리칩(LOG)의 다이싱 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된다. 그 외의 공정은 제1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는 도 21과 동일하다. 이상, 제1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2 및 제16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1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논리칩(LOG)(제2 칩)의 다이싱 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되고, 메모리 칩(MEM)(제1 칩)의 웨이퍼 프로세스 후에 웨이퍼 소트 공정이 삽입된다. 그 외의 공정은 제1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 소트 공정에서 불량이라고 판정된 메모리 칩(MEM)에도 배선 프로세스가 실시된다. 단, 논리칩(LOG)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MEM)에만 접합된다.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는 도 21과 동일하다. 이상, 제18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2 및 제16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제16 및 제18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 소트 공정에서 양품이라고 판정된 메모리 칩(MEM)에만 배선 프로세스가 실시된다. 그 외의 공정은 제18 실시형태(도 24)와 동일하다.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는 도 21과 동일하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CoC 마운트 후의 메모리 칩(MEM)의 웨이퍼(MWAF)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의 칩은 메모리 칩(MEM) 상에 마운트된 논리칩(LOG)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선층(WLYR)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MEM) 상에서만 형성된다. 배선층(WLYR)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토마스크(레티클)는 메모리 칩(MEM)의 크기와 대응한다. 이 때문에, 배선층(WLYR)의 포토리소그래프 공정에서 노광은 메모리 칩(MEM) 단위로 실시된다. 불량한 메모리 칩(MEM)(도면 중 X 표시가 있는) 상에는, 배선층(WLYR)은 형성되지 않고, 논리칩(LOG)은 마운트되지 않는다. SiP 칩의 프로브 테스트는 SiP 칩마다 하나씩 실시된다. 단, 불량한 메모리 칩(MEM)에 대응하는 프로브 테스트는 실시되지 않는다.
이상, 제19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제3 및 제16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불량한 메모리 칩(MEM) 상에는 배선층(WLYR)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배선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SEM)의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칩(MEM)에 테스트 회로(TEST)를 형성하여,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를 테스트 단자로서 사용하는 예에 대해 진술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단자(ETM)는 테스트 단자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단자나 신호 단자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메모리 칩(MEM)에, 보다 많은 외부 단자(ETM)를 형성하여, 외부 단자(ETM)의 일부를 전원 단자로써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부 단자(ETL, ETM)를 이용하여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에 독립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논리칩(LOG) 및 메모리 칩(MEM)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호 접속 단자(ICTM)와는 별개로,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로서 커맨드 단자, 어드레스 단자, 데이터 단자 및 전원 단자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부 단자(ETM)는 테스트용의 테스트 커맨드 단자, 테스트 어드레스 단자, 테스트 데이터 단자로서 기능하므로, 테스트 회로(TEST)는 불필요하다. 또한, 이들 테스트 커맨드 단자, 테스트 어드레스 단자, 테스트 데이터 단자를 스루홀을 통해 논리칩(LOG)에 접속되는 상호 접속 단자(ICTM)(커맨드 단자, 어드레스 단자 및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여도 좋다. 이 경우, 논리칩(LOG)의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 테스트 회로(TEST)를 이용하지 않고 메모리 칩(MEM)을 직접 테스트할 수 있다.
전술한 제6 및 제11 실시형태(도 10, 도 15)에서는, SiP 칩을 조립한 상태에서, 소자 형성 영역(EAL, EAM)이 서로 대향하는 논리칩(LOG) 또는 메모리 칩(MEM)에 스위치 회로(SW)를 형성하는 예에 대해 진술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SiP 칩을 조립한 상태에서, 소자 형성 영역(EAL, EAM)이 동일한 측을 향하는 논리칩(LOG) 또는 메모리 칩(MEM)에 스위치 회로(SW)를 형성하여도 좋다.
전술한 제16 실시형태에서는, 칩 사이즈가 큰 메모리 칩(MEM) 상에 배선층(WLYR)을 형성하여, 칩 사이즈가 작은 논리칩(LOG)을 배선층(WLYR)을 통해 접합시키는 예에 대해 진술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 대, 칩 사이즈가 큰 논리칩(LOG)(제1 칩) 상에 배선층(WLYR)을 형성하여, 칩 사이즈가 작은 메모리 칩(MEM)(제2 칩) 상을 배선층(WLYR)을 통해 접합시켜도 좋다. 외부 단자(ETM)는 논리칩(LOG)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배선층(WLYR)의 돌출부(PRJ)를 통해 반도체 장치(SEM)의 외부 단자(BP)에 접속된다.
이 경우, 예컨대 메모리 칩(MEM)은 테스트 회로(TEST)(BIST 회로)를 갖고 있다. 메모리 칩(MEM)의 외부 단자(ETM)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테스트 회로를 기동하며, 또는 실시하는 테스트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테스트 단자이다. 메모리 칩(MEM)은 통상 동작 모드 중에, 상호 접속부(ICTL, ICTM)를 통해 논리칩(LOG)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메모리 칩(MEM)은 테스트 모드 중에, 테스트 회로(TEST)의 제어를 받아 동작한다.
또는, 외부 단자(ETM)로서 테스트 커맨드 단자, 테스트 어드레스 단자 및 테스트 데이터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칩(MEM)의 상세한 테스트를 논리칩(LOG)의 테스트와는 독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발명을 정리하여, 부기로서 개시한다.
(부기 1)
제1 소자 형성 영역과, 상기 제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1 상호 접속 단자와, 상기 제 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제2 소자 형성 영역과,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2 상호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 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2 외부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상기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칩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칩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칩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칩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 단자까지 관통하는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3)
부기 2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도전성의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칩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 부재에 접속 되는 내부 중계 단자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외부 중계 단자와, 상기 내부 중계 단자와 상기 외부 중계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루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중계 단자를 통해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 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4)
부기 3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스루홀을 상기 제2 칩의 내부 회로 또는 상기 내부 중계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5)
부기 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2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까지 관통하는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6)
부기 5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도전성의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칩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 부재에 접속되는 내부 중계 단자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외부 중계 단자와, 상기 내부 중계 단자와 상기 외부 중계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 루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중계 단자를 통해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7)
부기 5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스루홀을 상기 제2 칩의 내부 회로 또는 상기 내부 중계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8)
부기 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칩의 한 쪽은 통상 동작 모드 중에 동작이 금지되며, 테스트 모드 중에 동작하여 내부 회로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회로를 구비하고, 통상 동작 모드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상호 접속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테스트 모드 중에 자신의 외부 단자에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9)
부기 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칩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10)
제1 상호 접속 단자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제2 상호 접속 단자 및 제2 외부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상기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칩에 접합되는 제2 칩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접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칩 상에, 다이싱된 상기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chip on chip)을 형성하며,
상기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을 선별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며,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칩·온·칩의 테스트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2)
부기 10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2 칩을 다이싱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2 칩 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3)
부기 10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칩·온·칩을 형성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1 칩을 선별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1 칩에만 상기 제2 칩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4)
부기 10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칩·온·칩을 웨이퍼 상태로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의 상기 선별을 실시하며,
칩·온·칩을 다이싱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5)
부기 10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1 칩을 다이싱하며,
다이싱된 복수의 제1 칩을 칩 트레이에 수납하고,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2 칩을 다이싱하며,
다이싱한 복수의 제2 칩을 칩 트레이에 수납된 제1 칩에 각각 접합시켜 칩·온·칩을 형성하고,
칩 트레이에 수납된 복수의 칩·온·칩을 동시에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 로 동작하는 칩·온·칩의 상기 선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6)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칩 및 제2 칩을 구비하며,
제1 칩은 제2 칩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외주부의 일부가 제2 칩의 외주부에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제2 칩은 제1 칩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외주부의 일부가 제1 칩의 외주부에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제1 및 제2 돌출부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17)
부기 16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칩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 소자 형성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소자 형성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18)
소자 형성 영역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 상에 배치되어 소자 형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칩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단자를 갖는 제2 칩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1 및 제2 칩의 상기 소자 형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호 접속부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칩의 상기 소자 형성 영역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2 칩의 외주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19)
부기 18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칩은 메모리 칩이며,
상기 제2 칩은 논리칩이고,
상기 논리칩은 복수의 상기 제2 외부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적어도 하나는 전원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20)
부기 18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칩은 논리칩이며,
상기 제2 칩은 메모리 칩이고,
상기 메모리 칩은 통상 동작 모드 중에 동작이 금지되며, 테스트 모드 중에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외부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내부 회로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칩의 상기 내부 회로는 통상 동작 모드 중에 상기 상호 접속부를 통해 상기 논리칩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테스트 모드 중에 상기 테스트 회로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부기 21)
소자 형성 영역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 상에 배치되어 소자 형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칩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단자를 갖는 제2 칩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가 상기 제1 칩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기 배선층의 외부 접속부에 접속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1 칩 상에 상기 배선층을 형성하며,
다이싱된 상기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을 형성하고,
상기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을 선별하고,
양품의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며,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22)
부기 2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칩·온·칩의 테스트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23)
부기 2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2 칩을 다이싱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2 칩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24)
부기 21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칩 상에, 상기 배선층을 형성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1 칩을 선별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1 칩에만 상기 제2 칩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25)
부기 23에 기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제1 칩 상에서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을 서로 적층시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각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각 칩에 독립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 칩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칩·온·칩 기술 등을 채용한 반도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제1 소자 형성 영역과, 상기 제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1 상호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제2 소자 형성 영역과,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에 접속되는 제2 상호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를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2 외부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상기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칩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칩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칩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칩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 단자까지 관통하는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2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 되며,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은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칩과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2 소자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까지 관통하는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칩의 한 쪽은, 통상 동작 모드 중에 동작이 금지되며, 테스트 모드 중에 동작하여 내부 회로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회로를 구비하고, 통상 동작 모드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상호 접속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테스트 모드 중에 자신의 외부 단자에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 상호 접속 단자 및 제 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제2 상호 접속 단자 및 제2 외부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호 접속 단자를 상기 제1 상호 접속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칩에 접합되는 제2 칩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는 서로 접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칩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칩 상에, 다이싱된 상기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을 선별하는 단계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칩·온·칩의 테스트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칩 및 제2 칩을 구비하며,
    제1 칩은 제2 칩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외주부의 일부가 제2 칩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제2 칩은 제1 칩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외주부의 일부가 제1 칩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제1 및 제2 돌출부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소자 형성 영역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 상에 배치되어 소자 형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칩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단자를 갖는 제2 칩을 구비하며,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1 및 제2 칩의 상기 소자 형성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호 접속부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칩의 상기 소자 형성 영역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2 칩의 외주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외부 접속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소자 형성 영역 및 제1 외부 단자를 갖는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 상에 배치되어 소자 형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칩보다 작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단자를 갖는 제2 칩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가 상기 제1 칩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기 배선층의 외부 접속부에 접속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웨이퍼 상태의 상기 제1 칩 상에, 상기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다이싱된 상기 제2 칩을 접합시켜 복수의 칩·온·칩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칩·온·칩을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칩·온·칩을 선별하는 단계와;
    양품의 칩·온·칩의 각각을 패키징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패키징된 반도체 장치를 테스트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칩·온·칩의 테스트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024490A 2006-06-30 2007-03-13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93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1978A JP4910512B2 (ja) 2006-06-30 2006-06-30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6-00181978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98A true KR20080003198A (ko) 2008-01-07
KR100893310B1 KR100893310B1 (ko) 2009-04-15

Family

ID=3866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490A KR100893310B1 (ko) 2006-06-30 2007-03-13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741723B2 (ko)
EP (3) EP2637205A1 (ko)
JP (1) JP4910512B2 (ko)
KR (1) KR100893310B1 (ko)
CN (1) CN10109790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952A (ko) * 2010-07-26 201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20140099107A (ko) * 2013-02-0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키지 온 패키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3186B2 (ja) * 2007-12-14 2013-04-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605978B2 (ja) * 2008-02-26 2014-10-15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積層メモリ
TWI458054B (zh) * 2009-01-21 2014-10-21 Sony Corp 半導體裝置及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US8405197B2 (en) * 2009-03-25 2013-03-26 Stats Chippac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system with stacked configu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803332B2 (en) * 2009-09-11 2014-08-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elamination resistance of stacked dies in die saw
DE102009042400A1 (de) * 2009-09-21 2011-03-31 Epcos Ag Chip-Anordnung für eine größenoptimierte Gehäuseform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201860B1 (ko) 2010-10-29 2012-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와 그 테스트 방법 및 제조방법
KR20120056018A (ko) * 2010-11-24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범프들과 테스트 패드들이 십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반도체 장치
US9041221B2 (en) 2010-12-24 2015-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component implementing structure intermediate body, electronic component implementing structur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 implementing structure body
KR20120119960A (ko) 2011-04-21 201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범프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US9343430B2 (en) * 2011-09-02 2016-05-1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tacked wafer-level package device
JP5936968B2 (ja) * 2011-09-22 2016-06-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8957691B2 (en) * 2011-10-21 2015-02-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robe cards for probing integrated circuits
US9200973B2 (en) 2012-06-28 2015-12-01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 with air pressure sensor
US8633551B1 (en) * 2012-06-29 2014-01-21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 with mechanical fuse
US9429427B2 (en) 2012-12-19 2016-08-30 Intel Corporation Inductive inertial sensor architecture and fabrication in packaging build-up layers
US9952279B2 (en) 2012-12-21 2018-04-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testing
US20140252632A1 (en) * 2013-03-06 2014-09-11 Hans-Joachim Barth Semiconductor devices
KR102029682B1 (ko) * 2013-03-15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US9575117B2 (en) * 2013-04-18 2017-02-21 Advantest Corporation Testing stacked devices
KR102053349B1 (ko) 2013-05-16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US9331059B2 (en) * 2013-12-10 2016-05-03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 chip package and die
US9281254B2 (en) 2014-02-13 2016-03-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package
CN103985648B (zh) * 2014-05-23 2017-01-04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半导体的晶圆级封装方法和半导体封装件
KR20160034698A (ko) * 2014-09-22 2016-03-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CN105374726B (zh) * 2015-10-22 2018-02-27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 一种封装拾取芯片的定位方法
US10923462B2 (en) * 2018-05-01 2021-02-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Bifurcated memory die module semiconductor device
CN110660809B (zh) * 2018-06-28 2023-06-16 西部数据技术公司 包含分支存储器裸芯模块的垂直互连的半导体装置
JP2020155485A (ja) * 2019-03-18 2020-09-24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59983A (ko) * 2020-11-02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패키지, 메모리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그리고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30051863A1 (en) * 2021-08-10 2023-02-16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for wafer-on-wafer formed memory and logic
CN113793849A (zh) * 2021-09-02 2021-12-14 西安紫光国芯半导体有限公司 集成芯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2942A (ja) 1984-08-06 1986-03-01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563137A (ja) * 1991-08-30 1993-03-1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H06112401A (ja) 1992-09-25 1994-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チップ実装回路
JP3186941B2 (ja) * 1995-02-07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およびマルチチップ半導体モジュール
JP3718370B2 (ja) * 1999-05-19 2005-11-24 ローム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型半導体装置
JP3876095B2 (ja) 1999-05-19 2007-01-31 ローム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型半導体装置
US6294839B1 (en) * 1999-08-30 2001-09-2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packaging and testing die
JP3255896B2 (ja) * 1999-09-20 2002-02-12 ローム株式会社 チップ・オン・チップ構造の半導体装置
JP4245754B2 (ja) * 1999-11-02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939057B2 (ja) * 1999-11-04 2007-06-27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1257307A (ja) * 2000-03-09 2001-09-21 Sharp Corp 半導体装置
WO2001073843A1 (fr) 2000-03-29 2001-10-04 Rohm Co., Ltd. Dispositif semi-conducteur
JP2002176137A (ja) * 2000-09-28 2002-06-21 Toshiba Corp 積層型半導体デバイス
JP2002110902A (ja) * 2000-10-04 2002-04-12 Toshiba Corp 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装置
JP3854054B2 (ja) 2000-10-10 2006-12-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3839323B2 (ja) * 2001-04-06 2006-11-0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544901B (en) * 2001-06-13 2003-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JP3670625B2 (ja) * 2001-06-13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81690B2 (ja) * 2002-02-01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688249B2 (ja) * 2002-04-05 2005-08-2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310617B4 (de) * 2003-03-10 2006-09-21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s Bauteil mit Hohlraum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5039161A (ja) 2003-07-18 2005-02-10 System Fabrication Technologies Inc 半導体集積回路チップの三次元高密度実装方式
JP2005039160A (ja) 2003-07-18 2005-02-10 System Fabrication Technologies Inc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CN2636411Y (zh) * 2003-08-01 2004-08-25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多芯片封装结构
KR100547354B1 (ko) 2003-09-04 200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에지 본딩용 메탈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칩을 구비한bga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5109419A (ja) 2003-09-29 2005-04-21 System Fabrication Technologies Inc 三次元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5209239A (ja) * 2004-01-20 2005-08-04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587676B2 (ja) * 2004-01-29 2010-11-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チップ積層構成の3次元半導体装置
JP2006080145A (ja) * 2004-09-07 2006-03-23 Nec Electronics Corp チップオンチップ型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5184023A (ja) * 2005-01-14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5150771A (ja) * 2005-01-24 2005-06-09 Sharp Corp 配線基板、半導体装置およびパッケージスタック半導体装置
JP4216825B2 (ja) * 2005-03-22 2009-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パッケージ
US7364945B2 (en) * 2005-03-31 2008-04-29 Stats Chippac Ltd. Method of mounting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 an encapsulant cav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952A (ko) * 2010-07-26 201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20140099107A (ko) * 2013-02-0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키지 온 패키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10512B2 (ja) 2012-04-04
KR100893310B1 (ko) 2009-04-15
CN101097905A (zh) 2008-01-02
US20080001305A1 (en) 2008-01-03
EP2634804B1 (en) 2018-10-31
US7741723B2 (en) 2010-06-22
US20100255614A1 (en) 2010-10-07
CN101097905B (zh) 2011-04-06
JP2008010759A (ja) 2008-01-17
EP1876644A3 (en) 2012-01-25
EP2637205A1 (en) 2013-09-11
EP1876644A2 (en) 2008-01-09
EP1876644B1 (en) 2013-07-17
EP2634804A1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310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950231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s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tested apparatus
KR100843214B1 (ko) 메모리 칩과 프로세서 칩이 관통전극을 통해 연결된 플래너멀티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90922B1 (ko) 반도체 소자 패키지
JP4837560B2 (ja) 検査パッド構造を有する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99381B2 (en) High performance sub-system design and assembly
EP2575140B1 (en) Semiconductor chi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the same
KR101460355B1 (ko) 집적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EP2533277A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843213B1 (ko) 메모리 칩과 프로세서 칩이 스크라이브 영역에 배열된관통전극을 통해 연결된 다중 입출력 반도체 칩 패키지 및그 제조방법
TW200907380A (en) Semiconductor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testing method of the same
KR20140137668A (ko) 적층된 칩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4048A (ko) 반도체 웨이퍼 및 이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제조방법
US752180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hip stack on a rewiring plate
JP487363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100898A (ja) 半導体デバイス
US7714429B2 (en) Wafer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functional macro chips for chip-on-chip configuration
TWI459532B (zh) System-level package
US2003014158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412507Y1 (ko) 멀티 칩 패키지 구조
KR20230118347A (ko) 적층형 반도체 장치 및 그것의 테스트 방법
JPH1133025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9060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