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98A - 고밀도 대직 기포 - Google Patents

고밀도 대직 기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98A
KR20060095998A KR1020067006047A KR20067006047A KR20060095998A KR 20060095998 A KR20060095998 A KR 20060095998A KR 1020067006047 A KR1020067006047 A KR 1020067006047A KR 20067006047 A KR20067006047 A KR 20067006047A KR 20060095998 A KR20060095998 A KR 20060095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tissue
less
bubble
l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635B1 (ko
Inventor
도끼오 오꾸노
미요꼬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 B60R2021/23547Weaving one piece we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의 외주가 풍통 조직 및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접합띠로 둘러싸이고, 상기 접합띠는 풍통 조직이 이중 대직부의 경계측을 차지하고, 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비팽창부를 향해 2/2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1 조직, 세폭 대직부, 3/3 사자직 조직인 제2 조직으로 구성되고, 10g/㎡이상의 실리콘 수지 코팅층을 가지는 고밀도 대직 기포를 개시한다. 이 고밀도 대직부는 보풀, 주름의 발생을 억제해서 제직할 수 있고, 또한 코팅 불균일이 없고, 기밀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진다.
이 고밀도 대직 기포는 경량이며, 팽창시의 가스 누설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또한 고속 전개 가능한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승객 보호에 이용하는 롤·오버 대응의 사이드 커튼용 에어백에 특히 유용하다.
이중 대직부, 풍통 조직, 사자직 조직, 접합띠, 세폭 대직부, 실리콘 수지 코팅층, 고밀도 대직 기포, 열 가소성 합성 섬유

Description

고밀도 대직 기포{HIGH­DENSITY HOLLOW WEAVE GROUND FABRIC}
본 발명은 자동차 등 교통기관용 안전 장치의 하나인 에어백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되는 고밀도 대직 기포(袋織其布)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통기관의 측면 충돌시에 승객을 측면 보호하는데 아주 적합한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 커튼 에어백용 고밀도 대직 기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등의 교통기관에 있어서, 충돌시에 있어서의 승객의 안전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각종 에어백의 장착률이 향상하고 있다. 에어백이란, 교통기관이 정면 충돌이나 측면 충돌시에 받는 충격을 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팽창 가능한 대체(袋體)에 유입시켜 에어백을 급속히 전개·팽창시켜, 그 팽창한 대체가 가지는 쿠션성에 의해 승객과의 충격을 완화시켜 인체를 보호하는 대체이다.
에어백은 우선 운전석에, 이어서 조수석, 특히 그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어 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승객의 안면 및 상반신의 보호용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최근에는 측방으로부터의 충돌이나 교통기관의 전복(이하, 롤 오버라고 칭한다)에도 대응할 수 있는 커튼형 에어백도 개발되어 있다.
이 커튼형 에어백은 차내 측벽의 루프 레일을 따라 프런트 필러측으로부터 리어 필러측까지의 영역에 수납되고, 충돌시에 측면 창을 따라 팽창, 전개되도록 설계되어 팽창 가능한 대부(袋部)가 복수 개소에서 형성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커튼형 에어백에는 수납성이 뛰어날 것(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을 것), 그리고 승객 머리와 측면 유리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에는 승객 머리와 유리 사이에 순간적으로 비집고 들어가 머리를 지킬 필요가 있어 팽창·전개 속도가 빠를 것이 요구된다. 또한 롤 오버 대응을 상정해서, 전개되고 나서 몇 초 정도는 어느 정도의 내압 유지가 요구된다고 하는 팽창한 에어백 내압이 즉시로는 저하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커튼형 에어백은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봉제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대직(袋織) 가능한 직기를 이용해서 고밀도로 직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직성된 에어백은 팽창시의 버스트나 공기 누출이 없거나 또는 적다고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직성된 고밀도 대직 기포는 팽창하는 이중 대부와 그 이중 대부를 구획하는 홑겹 직부를 포함하는데,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경계 영역의 직 구조에 따라서는 고밀도 대직 기포 위에 실 보풀 등의 결점이 미가공 직물거나 직 주름 등의 직물 강도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었다.
종래의 커튼형 에어백은 봉제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복수매의 포를 재단한 후 봉제해서 제작되고 있었는데, 이 경우, 미싱바늘구멍으로의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해서 밀봉제를 봉제 개소에 끼우고, 다시 내 버스트성을 얻기 위해서 굵은 미싱사로 꿰매기 때문에 수납성이 부족하고, 또 복잡한 형상이기 때문에 봉제가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1-254446호에는 대직부 외주를 홑겹 직부로 막은 자루 모양의 고밀도 직물을 제작해서 에어백으로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대직부의 팽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홑겹 직부의 폭을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홑겹 직부에 있는 실의 크리프율은 이중 대직부에 있는 실의 크리프율보다 크고, 또한 직물의 커버 팩터도 크기 때문에,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주름이나 보풀 등이 발생하여 팽창·전개시에 수 초간에 걸쳐 공기 누출을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에어백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표면을 실리콘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으로 코팅할 때에 받는 열이나 장력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3-1685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4-193646호 공보에는 원형의 이중 대직부의 외주를 2종류의 직 조직을 포함하는 홑겹 직부로 둘러싸서 접합띠를 형성하여 접합부의 강력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원형의 접합띠를 복수의 직 조직으로 구성함으로써 접합부 자체의 강력은 향상하지만, 여전히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경계 영역으로부터의 공기 누출을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3-16850호 공보에는 원형의 이중 대직부의 외주를 2개의 홑겹 직부로 둘러싸서 접합띠를 만들어 접합부의 강력을 높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홑겹 직부의 직 조직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없고, 홑겹 직부의 폭도 여전히 크고, 커튼형 에어백용으로서 제직했을 경우에는 날실 보풀의 발생이나 코팅 가공시의 주름 발생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표 2003-510469호 공보에는 이중 대직부의 외주에 사자직(斜子織) 조직에 의한 복수의 홑겹 직부를 형성하여 발 어긋남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홑겹 직부의 직 조직이 2/2 사자직 조직만이고, 사용하는 실의 섬도 등의 영향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아, 고밀도 대직 기포에서는 직 구조가 심하게 실에 가해지는 부담이 큰 2/2 사자직 조직이 복수개 늘어선 경우,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경계 영역에서의 주름이 발생하고, 부피가 커져 수납성에 뒤떨어지고, 또 주름에 기인하는 코팅 불균일에 의해 내 공기 누출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3-267176호 공보에는 이중 대직부에 인접해서 반전 대(袋)조직(풍통 조직)을 형성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반전 대조직보다 외주에 위치하는 홑겹 직부에 관해서는 복수 종류의 사자직 조직을 이용하는 기재는 없어 내 공기 누출성이라고 하는 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충분한 성능을 얻지 못하고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접합띠 부근에 있어서의 기포직물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8은 그 직물의 직 조직도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2/2 사자직 조직을 2개 평행하게 늘어놓음으로써 접합띠를 형성하고 있는데, 전개·팽창했을 때의 실의 어긋남이라고 하는 점에 대해서는 2/2 사자직 조직은 타이트한 구조를 형성하여 내 공기 누출성에는 유효하다. 그러나, 고밀도 대직 기포에 있어서는 또한 그 외측에 2/2 사자직 조직이라고 하는 타이트한 조직이 있으면, 2/2 사자직 조직으로 끼워진 대부나 2/2 사 자직 조직의 외측에서 주름이 발생하여 코팅 불균일이 발생하는 등에 의해 내 공기 누출성이 저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보풀이나 주름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직성이나 내 공기 누출성을 만족시키는 고밀도 대직 기포는 아직 얻지 못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고속의 팽창·전개가 가능하고, 공기 누출이 극히 적고, 또 제직 시에는 날실에 가해지는 장력 부하가 적기 때문에 날실 보풀 등의 발생이 없고, 또한 코팅 가공시의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경계에서의 주름 발생이 극히 적어 직물 품질이 뛰어나고, 팽창·전개 후의 공기 유지율이 큰, 특히 커튼형 에어백에 아주 적합한 고밀도 대직 기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접합띠를 구성하는 조직의 종류나 그 조합, 나아가서는 홑겹 직부의 폭에 관해서 예의 검토를 한 결과, 대직 에어백의 외주에, 특정의 직 조직을 가지는 접합띠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하는 발명에 따른 고밀도 대직물 기포에 기인해서 해결된다.
(1)100dtex 이상, 500dtex 이하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구성된 전개·팽창 가능한 2층의 대대(大袋)부와 그 외주에 있는 접합띠와 비팽창·전개부를 포함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로서, 접합띠의 일부 이상이 대대측으로부터 2/2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1 조직, 세폭 대직부, 3/3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2 조직으로 구성되고, 10g/㎡이상의 실리콘 수지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2)제1 조직은 하나 이상의 풍통 조직과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3)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가 한면당 1900, 2400 이하, 실 개수가 2개 이상, 4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2)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4)2/2 사자직 조직의 실 개수가 4개 이상, 16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5)3/3 사자직 조직의 실 개수가 3개 이상, 15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6)열가소성 섬유가 400dtex 이하의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7)열가소성 장섬유가 250dtex 이하의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8)합성 섬유가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9)제1 조직부에 2개 이상, 6개 이하의 연속된 풍통 조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10)비팽창 대직부가 일부 이상이 부분 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9)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11)고밀도 대직 기포가 140g/㎡이하의 실리콘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0)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12)합성 섬유의 단사 섬도가 0.5dtex 이상, 4.5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1)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13)50g/㎡이하의 실리콘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2)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
(14)(1) 내지 (13)기재의 고밀도 대직 기포를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15)전개 8초 후의 내압 유지율이 7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g/㎡이상, 140g/㎡이하의 실리콘 코팅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16)50g/㎡이하의 실리콘 수지 코팅층을 가지고, 풍통 조직 및 사자직 조직을 접합띠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기재의 커튼형 에어백.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접합띠 부근에 있어서의 직물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로 나타내어지는 실시예의 대직 직물의 이중 대직부와 접합띠부를 형성하는 직물 조직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형 에어백 제작용의 고밀도 대직 기포의 평면 시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2/2 사자직 조직의 직 조직도이다.
도 5는 3/3 사자직 조직의 직 조직도이다.
도 6은 이중 대직 조직의 직 조직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형 에어백용 고밀도 대직 기포의 대직부의 주연의 접합띠 부근에 있어서의 직물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밀도 대직 기포의 이중 대직부와 접합띠부를 형성하는 직물 조직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고밀도 대직 기포
2:접합띠
3: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
5:유체 도입부
6:부분 결절부(비전개·팽창부)
7 내지 20:실
A:경계부
a:하나의 풍통 조직부
b:2/2 사자직 조직부
c, c':세폭 대직부
d:3/3 사자직 조직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는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와 그의 외주에 형성된 접합띠를 가지고, 또한 해당 접합띠는 적어도 2/2 사자직 조직, 세폭 대직부, 3/3 사자직 조직을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커튼형 에어백용 대직 기포의 평면 시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에어백용 대직 기포(1)는 유체 도입부(5)로부터 유체가 도입되어 팽창하는 상포와 하포를 갖춘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3)와, 해당 이중 대직부(3)의 외주에 설치된 접합띠(2)와, 또한 그의 외주에 설치된 홑겹 직부(6)를 가지고, 자동차등의 충돌시에는 유체 도입부(5)로부터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3)에 유체가 도입되고, 해당 이중 대직부(3)가 전개·팽창해서 승객을 보호한다. 크기는 도 3의 상하 방향은 1.5 내지 3m(차의 전후방향), 좌우는 0.5 내지 1.5m(차의 상하 방향)이다.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를 구성하는 날실 및 씨실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일론 66,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1O, 나일론 612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 혼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 혼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및 이것과 방향족 에테르의 공중합체 등으로 대표되는 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섬유, 비닐론 섬유, 고강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염화 비닐계 및 염화 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계를 포함하는 불소계 섬유, 폴리술폰 섬유,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섬유(PPS), 폴리에테르케톤계 섬유(PEEK), 폴리알킬케톤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에테르아미드 섬유, 고강도 레이온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실리콘 카바이트 섬유(Sic)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이용된다. 이들 중, 강도나 경제적인 면에서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고, 승객과의 내충격성이 작은 폴리아미드 섬유, 특히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사조에는 원사 제조 공정이나 후 가공 공정에서의 공정 통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열 안정제, 내광안정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평활제, 안료, 발수제, 발유제, 산화 티탄 등의 은폐제, 광택 부여제, 난연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증점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꼬임 가공, 숭고 가공, 권축 가공, 권회 가공 등의 가공을 할 수 있다.
고밀도 대직 기포를 구성하는 날실이나 씨실은 모두 총 섬도가 100dtex 이상, 500dtex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50dtex 이상, 400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dtex 이하이다. 총 섬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전개·팽창시의 강력하게 견딜 수 있음과 함께, 기포가 유연해져서 수납성이 향상되고, 고속 전개도 가능해진다. 총 섬도가 100dtex 미만에서는 전개시의 기계 강도가 부족하여 대체로서의 버스트 현상을 미가공 직물기 쉬워진다. 또 총 섬도가 500dtex를 초과하면, 제직 시에 날실 보풀이 다발하기 쉬워 제직성이나 수납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 전개시의 속도도 느려지기 쉽다.
날실이나 씨실의 각각의 단사 섬도는 0.5이상, 4.5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가 0.5 미만에서는 기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개수가 너무 많아져서 제직 시의 날실 보풀 발생이 다발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4.5dtex를 초과하면, 직성한 기포가 너무 딱딱해지고, 또, 전개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날실 및 씨실의 단사 단면의 형상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원형을 비롯해서 삼각, 6각, 편평 등의 이형 단면사 등 중 어느 것일 수 있는데, 강도를 최대한으로 발휘시키는 점에서는 원단면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대직 기포에 있어서의 직 밀도와 섬도는 이중 대직부의 커버 팩터(CF)가 1900 이상, 2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홑겹 접합띠로 한정하면, 홑겹이기 때문에 CF는 배가 되어 3800 이상, 4800 이하가 된다. 또한 기포의 CF는 하기 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단, 직성 시의 실 개수는 이중 대직 기포부의 실 개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CF=(2.54㎝당의 날실 개수)×√(날실 총 섬도(dtex))+(2.54㎝당의 씨실 개수)×√(씨실 총 섬도(dtex))
예를 들면 이중 대직부 편면의 날실의 2.54㎝당의 개수가 71개이며, 날실의 총 섬도가 235dtex, 씨실의 2.54㎝당의 개수가 71개이며, 씨실의 총 섬도가 235dtex인 경우에는 커버 팩터는 2177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밀도 대직 기포를 구성하는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는 상포과 하포가 통상, 평조직으로 구성된다. 또 접합띠는 이중 대직부로부터, 적어도 2/2의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조직, 세폭 대직부, 3/3 사자직 직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사자직 조직이란, 날실과 씨실이 특정 개수의 부침(浮沈)을 기본 단위로 해서 이것을 종횡으로 전개한 조직을 말하고, 매트 조직, 바스켓 조직 등이라고도 한다.
접합띠에 형성하는 사자직 조직은 에어백 형상의 설계가 용이해지는 점에서, n/n 사자직과 같이 날실과 씨실의 개수가 같은 수만큼 부침하는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최대의 특징은 접합띠를 이중 대직 조직에 가까운 쪽은 2/2 사자직 조직, 세폭 직부를 개재시키고, 먼 쪽은 3/3 사자직 조직으로 하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주름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전개·팽창 후의 높은 내압 유지성, 특히 내 습열 후의 내압 유지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놀랄 만한 특징은 현재로서는 이하와 같은 메카니즘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즉 이중 대직부가 팽창·전개했을 경우에는 이중 대직부에 가까운 쪽의 2/2 사자직 조직은 타이트한 조직이기 때문에, 실 어긋남은 일어나지 않고, 고압력의 공기를 일시적으로 받아내지만, 그 공기의 일부가 2/2 사자직 조직부를 형성하는 섬유 사이를 통과해서 외주측으로도 새어 버리고, 세폭 대직부를 통과해서 그 외측의 3/3 사자직 조직부에 이른다. 그러나, 3/3 사자직 조직은 2/2 사자직 조직보다 성긴 구조이기 위해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코팅제가 침투하기 쉬워 3/3 사자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끼리 강고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에, 섬유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4/4 사자직 조직 이상의 성긴 구조의 방직 조직에서는 코팅제의 침투성은 좋아지지만, 코팅 불균일이 미가공 직물기 쉬워지는 경우나, 실의 올라오는 개수가 많아지므로 코팅제가 침투해도 조직을 구성하는 실을 완전히 고정할 수 없는 경우가 생겨 공기 누출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4개 이상의 사자직 조직으로 했을 경우, 올라오는 실 개수가 많아 공기 누출의 원인이 되기 쉽고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대직부의 먼 쪽은 3/3 사자직 조직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내 습열 후의 내 공기 누출성(백 내압 유지율)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구성의 특징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3/3 사자직 조직이 2/2 사자직 조직이 있으면, 코팅제의 침투가 양호하기 때문에, 내 습열 후에도 내 공기 누출성이 양호하다. 또, 2/2 사자직 조직을 2개 배열하는 접합띠에 비해, 2/2 사자직 조직과 3/3 사자직 조직을 조합한 접합띠가, 날실의 부침 구조가 3/3 사자직 조직에 의해 완화되어 날실 장력이 부분적으로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제직성도 양호해진다.
2/2 사자직 조직과 3/3 사자직 조직의 사이에 있는 세폭 대직부는 이중 대직부와 마찬가지로 CF는 1900 이상, 2400 이하이며, 실 개수는 2개 이상, 4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폭 대직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밀도 제직 시의 날실 보풀 발생을 억제하여 제직성을 향상시키고, 또 기포에 있어서의 주름을 완화시켜 평탄한 대직 기포를 얻을 수 있다.
2/2 사자직 조직에 있어서의 실 개수는 4개 이상, 20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개 이하이다. 주름 발생 방지의 점에서는 8개 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3 사자직 조직에 관해서는 실 개수가 3개 이상, 24 이하의 3을 배수로 하는 임의의 개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15개 이하, 12개 이하가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접합띠 부근에 있어서의 직물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2는 그 직물의 직 조직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접합띠 부근은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대대부), 풍통 조직부, 2/2 사자직 조직, 세폭 대직부, 3/3 사자직 조직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이중 대직부와 2/2 사자직 직부의 사이에 설치된 풍통 조직부에 있어서, 해당 이중 대직부의 상포를 구성하는 실(14), 실(15)과 하포를 구성하는 실(16), 실(17)이, 파선 A를 경계로 상하 역으로 되도록 직성된다. 풍통 조직부에서 실의 위치가 바뀐 직후의 실(파선 A의 우측의 실)은 실(19)과 실(20)의 4개의 실이 상포와 하포를 2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이러한 실은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좋지만, 접합띠에서의 내 공기 누출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2개 내지 12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 조직 설계상으로는 4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통 조직에서는 실의 역전 부분(파선 A부분)에 있어서, 상포와 하포의 실이 교착하기 때문에 밀도가 조밀해지고, 따라서, 공기의 통과성이 극히 낮아 내 공기 누출성이 양호해진다.
또 풍통 조직부는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에 인접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풍통 조직의 구조상, 수많은 복수의 실에 의해 균일하게 하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 1개에 걸리는 힘이 약해져서 실 파손이나 발 어긋남 등의 공기 누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풍통부를 연속해서 2개 이상 형성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직성 시의 직 주름을 방지하여 더욱 평탄한 대직 기포를 얻을 수 있다. 풍통부의 연속한 수는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이며, 6개를 초과해도 직성 상 특별히 문제는 되지 않지만, 결절띠의 폭이 커져, 대직 기포의 외관 형상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이다. 전개·팽창 가능한 이중 대직부의 실이 예를 들면 180도 방향으로 길게 늘린 상태가 되었을 경우, 풍통 조직의 존재에 의해 상포의 실(14)이나 실(15)은 아래쪽으로, 하포의 실(16)이나 실(17)은 위쪽으로 끌려가기 때문에, 파선 A부분에서의 실에 걸리는 부하가 균일해지고, 또 해당 경계부에서는 실이 조밀하게 교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내 공기 누출성에 유리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이중 대직부측에 3/3 사자직 조직의 홑겹 직 조직을 형성했을 경우에는 그 경계 부분에서 3개의 올라오는 실이 미가공 직물고, 실의 자유도가 커져 실 어긋남도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 누출이나 발 어긋남이 미가공 직물기 쉬워진다. 풍통 조직의 접합띠로서의 형성 폭은 횡사로서 1 내지 12개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접합띠에 있어서, 2/2의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1 조직에는 하나 이상의 풍통 조직과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되는 것이 전개·팽창시에 조직 어긋남이 더욱 일어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고, 조직의 순번은 이중 대직부로부터 풍통 조직, 그 다음에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풍통 조직이란, 이중직 대부의 상포와 하포를 구성하는 실이 그 위치가 완전하게 바뀌는 조직을 말한다. 또한 접합띠의 풍통 조직과 사자직 조직의 사이에 부분 결절 조직 등의 이중 대직 조직을 존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팽창·전개부는 일부 이상에 또는 전체에 부분 결절 조직부를 포함하는 이중 대직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결절 조직이란, 이중 대직을 기본으로 한 대직인데, 대직의 상하포가 군데군데에서 홑겹부가 존재하는 조직이며, 상하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 등을 위해서 형성하기 때문에, 점이나 선, 또는 거북이 등 무늬나 사선 등의 임의의 점이나 선으로 홑겹부를 만들 수 있다.
고밀도 대직 기포에 이용하는 직물을 대직 직기를 이용해서 제직할 때에, 접합띠가 날실 방향으로 연속하는 경우, 그 후방의 날실은 다른 날실보다도 장력이 커지기 쉽다. 이것은 홑겹 직부와 대부나 부분 결절부의 날실의 먹어 들어가는 양이 다르기 때문이며, 해당 접합띠가 날실 방향으로 연속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날실 부분에는 먹어 들어가는 양을 같게 하기 위해서, 홑겹 직부의 조직 에어백에 제공하는 기포 이외의 곳이나, 비팽창 대직부(전개한다) 이외의 곳에 홑겹 직부를 형성하여 날실의 장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에 유체가 도입되어 이중 대직부가 전개할 때에는 해당 대부에 공기가 들어가 평평한 대직물이 입체적으로 되기 때문에 직물이 부상하여 대직물의 투영 면적이 전체적으로 작은 형체가 되고, 최대 팽창시에는 이중 대직부와의 팽창의 경계는 180도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상태가 되어, 비전개부도 대측으로 순간적으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이때, 특히 곡선부에서는 압축이나 인장의 힘을 받는다. 풍통 조직과 2/2 사자직 조직과 3/3 사자직 조직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해당 이중 대직 조직의 단부를 전개에 의해 확대할 수 있는데, 그때 풍통 조직부에서의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풍통 조직에 연속해서 2/2 사자직 조직을 배치함으로써 기밀성과 동시에 대직 기포의 주름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낳고, 또 기포의 유연성에 의해 팽창시의 압축이나 인장을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완전한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고밀도 대직 기포에 이용하는 날실은 무호사나 호부사 등으로 충분하다. 또 무호사의 경우,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해 10개/m이상, 40개/m이하의 범위의 교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m이상, 35개/m이하이다. 또 날실에는 300T/m이하, 바람직하게는 50T/m이상, 100T/m이하의 꼬임을 가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직을 준비할 때에 간단한 오일링이나 왁싱에 의해 실에 평활성이나 집속성을 줄 수 있고, 아크릴, 아크릴과 PVA의 병용, 폴리아크릴산 또는 실리콘을 베이스로 처방한 풀제로 풀먹임을 행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0.5 내지 3%owf의 풀부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실로서는 날실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교락이 날실보다 적은 것이어도 좋고, 5개/m이상, 50개/m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젯 룸 등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교락이 50개/m를 넘는 것은 공기에 실리기 어려워 고속화할 수 없고, 또 교락이 5개/m미만인 것은 노즐로부터의 압축 공기에 의해 흐트러짐이 생겨 비주성이 나빠져 절결점이 생겨 버린다. 레피아 룸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교락은 특별하게는 구애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의 생산에는 예를 들면 에어 젯 룸, 레피아 룸, 프로젝타일 룸, 다상 직기 등의 직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밀도 대직 기포는 고밀도 직물이기 때문에, 직조할 때에는 직전을 안정시키는 점에서 전면 템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면 템플의 템플바에는 요철이나 홈을 만들어 포의 움직임을 더욱 억제하여 직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직물의 양단에는 증사를 이용해서 포의 느슨해짐을 보정할 수 있다. 날실의 오르내림을 제어하는 기계는 쟈가드 장치나 도비 장치 등을 이용해서 생산되는데, 전자 쟈가드 장치가 생산성이나 디자인 변경에 대한 신속성에서 유리하고 바람직하다. 쟈가드의 구수는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2000 내지 14000구 등의 구수가 많은 전자 쟈가드가 복잡한 형상의 디자인 작성에 고정밀도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를 에어백으로서 제품화할 때, 공기 투과성 저감이나 발 어긋남 방지, 버스트 방지를 위해서 실리콘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코팅제를 직물의 양면에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량은 얇은 편이 수납성은 뛰어나지만, 내 공기 누출성 등의 특성을 고려하면, 10g/㎡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140g/㎡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g/㎡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g/㎡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직 시의 직 주름을 억제한 고밀도 대직 기포를 이용함으로써, 코팅 시에 이중 대직부와 접합띠부 사이의 주름에 기인하는 코팅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어 코팅 후의 내 공기 누출 성능이 뛰어난 기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팅 전 처리로서 통상의 정련-열 세트 공정이나 세트 공정만, 또는 캘린더 처리 등에 의해 경위의 치수나 직물 표면을 원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밀도 대직 기포는 통기도가 0.5㎤/㎠·s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5㎤/㎠·s를 초과하면, 실리콘 코팅이 균일하지 않고, 커튼형 에어백으로서 필요한 내압 유지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서 통기도란 JIS L1096 8.27.1 A법(프라질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실리콘 코팅에는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리콘 고무는 예를 들면 이하의 조성물이다.
(a)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 내지 200,000mPa·s이며, 말단 부위에 SiC 결합한 비닐기를 가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 내지 70중량부
(b)SiH기를 가지는 오르가노 수소 폴리실록산 0.1 내지 30중량부
(c)지방족 불포화 기에 SiH기의 부가를 촉진하는 능력이 있는 촉매 0.01 내지 10중량부
(d)유기용제 0 내지 80중량부
(여기서 (a)+(b)+(c)=100중량부이다.)
이 조성물 중의 (a)는 주제이며, 말단 부위의 비닐기는 부가 반응함으로써 실리콘 고무를 형성한다.
이 조성물 중의 (b)는 가교제이며, SiH기를 가지는 오르가노 수소 폴리실록산이다. 오르가노 수소 폴리실록산은 폴리실록산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O: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1의 Si(OR)4 대 SiH(OR)3의 비를 가진다. 이 오르가노 수소 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Si-결합한 수소):(Si-결합한 지방족 불포화기)가 10:1 내지 1:1의 범위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이 조성물 중의 (c)는 촉매이며, 이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또는 활성탄과 같은 담체 위에, 미세하게 분포한 백금 또는 백금 할로겐화물 등이다.
이 조성물은 유기용제를 가해 도프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용제를 가하지 않고 조성물인 채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실리콘 조성물에는 공지의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실리카 등의 충전제, 안료 및 안정제 등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실리콘 코팅량은 10g/㎡이상, 140g/㎡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g/㎡이하이다.
140g/㎡이하로 함으로써 기밀성이 뛰어난 고밀도 대직 기포를 얻을 수 있고, 10Og/㎡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g/㎡이하로 함으로써 경량으로 기밀성이 뛰어난 사이드커튼에 아주 적합한 고밀도 대직 기포를 얻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dtex 이하의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를 이용해서 140g/㎡이하의 실리콘 코팅을 한 고밀도 기포로서, 팽창·전개 후 8초 후의 내압 유지율을 70%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리콘 코팅은 통상의 플로팅 나이프 코터, 롤 온 나이프 코터, 콤마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롤 코터 등의 코팅기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실리콘 수지막을 래미네이트 할 수 있지만 직물과 실리콘의 접착성이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측정 방법, 평가 방법 등은 이하와 같다.
(1)제직성(직기 정지 회수)
직기로서는 드르니에사제 에어 젯 룸 LWV(240㎝폭), 쟈가드로서 스토브리사제 전자 쟈가드 LX1600(3072구)를 이용하고, 하네스는 3개 멜빵으로 해서 700rpm의 속도로 제직을 실시했을 경우의 제직성을 조사했다. 또, 섬도에 따라서는 직기는 스르저사제 레피아 룸 G6200(140㎝폭), 쟈가드로서 스토브리사제 전자 쟈가드 CX960(4096구)를 이용하고, 하네스는 1개 멜빵으로 해서 480rpm의 속도로 제직을 실시했을 경우를 조사했다. 날실 끊어짐, 날실 보풀 발생, 및 날실이 상하로 개구 하지 않는 것(개구 불량)에 의해 씨실이 직물 폭을 비주하지 않는 것 등에 의한 직기 정지의 날실 요인과, 씨실이 비주 도중에 그 선단부가 얽히거나 절곡되어 씨실이 직물폭을 비주하지 않는 것 등에 의한 직기 정지의 씨실 요인의 직기 정지수를 카운트했다. 이 날실 요인에 의한 직기 정지수가 3회/100m·대 이상, 10회/10Om·대 이하인 경우, 또는 씨실 요인에 의한 직기 정지수가 10회/100m·대 이상, 30회/100m·대 이하를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제직성은 합격으로 하고, 날실 요인에 의한 직기 정지수가 11회/100m·대 이상, 또는 씨실 요인에 의한 직기 정지수가 31회/10Om·대 이상인 경우를 문제 있음으로 했다.
(2)가공반의 주름 및 코팅 불균일
가공반을 검반기에 걸고, 속도 10m/분의 속도로 감으면서, 직물 생산에 관해서 5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5명의 검사원에 의해 가공반의 주름 정도 및 코팅 불균일을 조사했다. 주름에 관해서는 5명의 평가를 평균해서 4급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3급 이상 4급 미만을 과제는 남지만 합격, 3급 미만을 문제 있음으로 했다. 주름의 판정은 5급:직물 상의 홉겹부와 대부 사이에는 주름이 없고 평탄, 4급:주름이 조금 보이지만 경미, 3급:주름이 보인다, 2급:주름이 보이고 코팅의 요철도 알 수 있음, 1급:주름이 있고 코트의 요철도 확실히 알 수 있음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코팅 불균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5명의 평가를 평균해서 4급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3급 이상 4급 미만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으로 하고, 3급 미만을 문제 있음으로 했다. 코팅 불균일의 판정은 5급:직물 위에는 코팅 불균일이 없음, 4급:코팅 불균일이 조금 보이지만 경미, 3급:코팅 불균일이 조금 보임, 2급:코팅 불균일이 보임, 1급:심한 코팅 불균일이 있음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또한 가공반이란, 미가공 직물을 상법에 따라 정련하여 코팅 처리를 한 직물을 말한다.
(3)백 내압 유지율
코팅 처리를 한 대직 에어백을, 내압 100kPa 용량 300L의 탱크 선단에 금속제의 튜브를 통해 연결하고, 해당 탱크 선단 부근에 부착한 밸브를 전자 밸브를 이용해서 순식간에 열고, 그 후, 대직 에어백측의 튜브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대직 에어백의 내압을 조사했다. 8초 후의 내압 유지율이 초기의 50%이상 있는 경우를 합격으로 하고, 30%이상, 50% 미만의 경우를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으로 하고, 30% 미만의 경우를 문제 있음으로 한다. 측정수는 10으로 하고, 최소의 내압 유지율의 값이 1점에서도 30%를 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문제 있음으로 한다.
(4)섬도
JIS L 1073에 의해 측정한다.
(5)가공반 표면의 요철
코팅한 가공반을 표면 조도계로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두께를 측정했다. 표면 조도계의 바늘은 이중 대직부로부터 접합띠의 방향으로, 홑겹 직부가 바늘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에 위치하도록 바늘을 움직인다. 즉, 이중 대직부에서 5㎜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접합띠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이중 대직부의 두께 평균과 접합띠에 있는 홑겹 직부의 두께의 평균을 측정하고, 이중 대직부와 홑겹 직부의 두께의 차이(δ)를, 이중 대직부의 두께(d)로 나눈 값(δ/d)을 50회, 장소를 바꾸어 측정하고, 그것들을 평균한 값이 0.05 미만을 합격으로 하고, 0.05이상이고 0.1 미만의 경우는 과제가 남지만 합격으로 하고, 0.1 이상의 경우를 요철이 있어 문제 있음으로 판단했다. 또한 접합띠에 2개 이상의 홑겹 직부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홑겹 직부의 두께를 측정해서 큰 쪽을 채용하고 있다.
(6)소프트성
내압 100kPa, 용량 300L의 탱크로부터 공기를 넣어 부풀린 백을 5명의 검사 원에 의해 손으로 눌렀을 때의 백의 단단함을 조사했다. 5명의 평가를 평균해서 3급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2급 이상 3급 미만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으로 하고, 2급 미만을 문제 있음으로 했다. 백 단단함의 판정은 5급:소프트, 4급:약간 소프트, 3급:소프트라고도 단단하다고도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2급:약간 단단함, 1급:단단함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7)내 습열 접착성
IS05981의 A법에 준해서 습열 조건은 80℃×95%RH×200시간으로 했다. 내습 열처리 후의 기포를 상기 (3)의 백 내압 유지율에 따라 평가했다.
[실시예 1]
총 섬도 235dtex, 단사 섬도 3.3dtex, 무꼬임, 교락수 32개/m, 교락강도 27%, 유제 부착량 1.0wt%의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를 날실과 씨실로 이용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26.6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36개/2.54㎝, 바디(筬)의 공간율 66.8%, 제직 시의 날실 장력을 0.25cN/dtex로 해서 상기의 레피아 룸과 전자 쟈가드를 이용해서 미가공 직물을 만들었다.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했다. 계속해서 이 미가공 직물을 이용해서 정련-세트 공정을 거치고, 또한 코팅은 하기 실리콘 수지를 한 면에 대해서 50g/㎡의 양을 롤 온 나이프로 발라 양면을 도포해서 완성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실리콘 수지의 조제:
(1)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처리한 실리카 11중량부 및 25℃에서 150,000mPa·s의 점도를 가지는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33중량부를 혼련기 안에서 혼합하고, 다음에 비닐 말단 시클로헥산올 0.03중량부와 백금계 촉매 0.07중량부를 교배 하면서 첨가했다.
(2)헥사메틸디실라잔으로 처리한 실리카 11중량부 및 25℃에서 150,00OmPa·s의 점도를 가지는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33중량부를 혼련기 안에서 혼합하고, 다시 25℃에서 약 1,00OmPa·s의 점도를 가지는 오르가노 수소 실록산 8중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했다.
(3)(1)에서 얻은 혼합물 44중량부와, (2)에서 얻은 혼합물 52중량부와, 25℃에서 약 20mPa·s의 점도를 가지는 오르가노 수소 실록산 1.5중량부와, 테트라에톡시실란 0.9중량부와, 백금계 촉매 0.9중량부를 혼련기 안에서 혼합해서 액상 실리콘 조성물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얻은 고밀도 대직 기포의 다른 한쪽의 면에 롤 온 나이프 코터에 의해 상기의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50g/㎡ 코팅하고, 건조기 내에서 180℃, 1분간, 열처리했다. 다시 한번 한쪽 면에도 마찬가지로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50g/㎡ 코팅하고, 건조기 내에서 180℃, 1분간, 열처리하여 고밀도 대직 기포를 얻었다.
얻어진 기포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제직 시의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코팅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없고 양호했다. 또, 접합띠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20.0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3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169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은 매우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3]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47.4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60개/2.54㎝, 씨실 밀도가 142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315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극히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의 주름과 코팅 불균일은 약간 있지만 허용할 수 있는 범위였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은 매우 양호하고, 인체 충격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 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4]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12.2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2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093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극히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의 주름과 코팅 불균일은 매우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은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을 유지하고 있다. 소프트성은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5]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12.2개/2.54㎝로 하고,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20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28개/2.54㎝, 씨실 밀도가 129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1970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의 주름과 코팅 불균일은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은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을 유지하고 있다. 소프트성은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1]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08.9개/2.54㎝로 하고,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16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22개/2.54㎝, 씨실 밀도가 124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188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의 주름과 코팅 불균일은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은 불합격 레벨이었다.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며,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57.5개/2.5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76개/2.54㎝, 씨실 밀도가 141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날실 보풀이 다발하여 제직이 상당히 곤란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430이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날실 요인에 의한 직기의 정지가 매우 많고, 미가공 직물도 날실 보풀이 매우 많이 있고, 가공반은 주름이 많고 코팅 불균일도 있어 불량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약간 나쁘고, 내압 유지율은 불합격이며, 내 습열 접착성도 불합격이지만,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은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6]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풍통 조직, 그 다음에 실 개수 4개의 대직을 개재시켜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도 1 참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7]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풍통 조직, 그 다음에 실 개수 4개의 대직을 개재시켜 재차 풍통 조직, 또한 실 개수 4개의 대직을 개재시켜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 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8]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극히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대체로 양호하고, 인체 충격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9]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1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극히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0]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2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1]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20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대체로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은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2]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3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매우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3]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15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 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이며,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3]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대체와 3/3 사자직 조직은 없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이 불합격이며, 인체 충격성은 작고,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다.
[실시예 14]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21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 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이며,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5]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0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6]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 직, 실 개수 52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5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1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은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이며,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7]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2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은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 양호하고, 코팅 불균일도 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4]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풍통 조직, 그 다음에 실 개수 3개의 대직을 개재시켜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은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양호했지만, 내압 유지율은 나빴다.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며,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5]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8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도 7 참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은 양호했지만,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을 볼 수 있었지만 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 레벨이었지만, 내압 유지율은 나빴다.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며,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8]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양을 한 면에 대해서 15g/㎡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은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이며,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9]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양을 한 면에 대해서 135g/㎡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 양호하고, 코팅 불균일도 대체로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대체로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은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0]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양을 한 면에 대해서 45g/㎡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6]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양을 한 면에 대해서 5g/㎡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 양호하고, 코팅 불균일도 대체로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이 불합격 레벨이었다.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며,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1]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양을 한 면에 대해서 160g/㎡로 한 것 이외에는 실 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3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은 양호하고, 코팅 불균일도 대체로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 레벨이며, 내압 유지율은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2]
날실 및 씨실의 단사 섬도를 2.7dtex/f로 하고, 직기를 에어 젯 룸으로 하고, 날실에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풀제 2%owf를 부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6개/2.54㎝, 씨실 밀도가 145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2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매우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매우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3]
날실 및 씨실의 단사 섬도를 6.5dtex/f로 하고, 직기를 에어 젯 룸으로 하고, 날실에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풀제 2%owf를 부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7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46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이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이나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4]
날실 및 씨실의 단사 섬도를 1.1dtex/f로 하고, 직기를 에어 젯 룸으로 하고, 날실에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풀제 2%owf를 부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3개/2.54㎝, 씨실 밀도가 144개/2.54㎝인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00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는 있으나 제직성은 합격 레벨이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은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5]
날실 및 씨실의 단사 섬도를 7.8dtex/f로 하고, 직기를 에어 젯 룸으로 하고, 날실에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풀제 2%owf를 부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48개/2.54㎝, 씨실 밀도가 146개/2.54㎝인 가공반 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54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는 있으나 제직성은 합격 레벨이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충분하지 않지만 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대체로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23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6]
총 섬도 175dtex, 단사 섬도 3.3dtex의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를 날실과 씨실로 이용해서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46.7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58개/2.54㎝, 바디의 공간률 51.9%, 제직 시의 날실 장력을 0.25cN/dtex로 하고, 상기의 에어 젯 룸과 전자 쟈가드를 이용해서 미가공 직물을 만들었다. 날실에는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풀제 2%owf를 부착시켰다.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했다. 계속해서 이 미가공 직물을 이용해서 정련-세트 공정을 거치고, 또한 코팅은 실리콘 수지를 한 면에 대해 45g/㎡의 양을 콤마 코터로 바르고, 양면을 도포해서 마무리하여 날실 밀도가 165개/2.54㎝, 씨실 밀도가 165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183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 성은 매우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없고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175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7]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110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86.7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94개/2.54㎝, 바디의 공간률을 52.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206개/2.54㎝, 씨실 밀도가 204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150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있으나 제직성은 대체로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거의 없고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110dtex이기 때문에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8]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350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08.4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108개/2.54㎝, 바디의 공간률을 5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20개/2.54㎝, 씨실 밀도가 114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 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189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없어 제직성은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거의 없고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9]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470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100.5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93개/2.54㎝, 바디의 공간률을 53.8%,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14개/2.54㎝, 씨실 밀도가 98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9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은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거의 없고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30]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470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접합띠로서는 이중 대직부측으로부터 풍통 조직, 그 다음에 실 개수 4개의 대직을 개재시 켜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2/2 사자직 조직, 실 개수 4개를 이용한 세폭 대직부, 실 개수 6개를 이용한 3/3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된 접합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114개/2.54㎝, 씨실 밀도가 98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98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적어 제직성은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도 거의 없고 양호했다. 또, 현계부의 요철률도 양호하고, 내압 유지율도 양호하고, 소프트성도 작고, 내 습열 접착성도 뛰어나고,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7]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78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218.2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234개/2.54㎝, 바디의 공간률을 5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250개/2.54㎝, 씨실 밀도가 246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191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가 많아 제직성은 불합격 레벨이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은 대체로 양호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양호하지만, 내압 유지율이 불합격 레벨이며,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어도 뛰어나고, 고속 전개성도 뛰어나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8]
날실 및 씨실의 총 섬도를 940dtex, 단사 섬도를 3.3dtex/f로 하고, 직기 상의 날실 밀도를 69.0개/2.54㎝, 직기 상의 씨실 밀도를 68개/2.54㎝, 바디의 공간률을 52.5%로 하고, 또한 직기를 레피아 룸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날실 밀도가 76개/2.54㎝, 씨실 밀도가 71개/2.54㎝인 고밀도 대직 기포의 가공반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는 한 면에서 2254이다.
얻어진 직물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며, 직기의 정지는 있으나 제직성은 대체로 양호하고, 가공반은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은 불합격 레벨이었다. 또, 경계부의 요철률은 불합격 레벨이며, 내압 유지율은 충분하지 않지만 어쨌든 합격 레벨이며, 소프트성은 작지만, 내 습열 접착성은 불합격 레벨이라는 결과가 되었다.
Figure 112006021854190-PCT00001
Figure 112006021854190-PCT00002
Figure 112006021854190-PCT00003
Figure 112006021854190-PCT00004
또한, 표 중의 *는 수치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합격 레벨에 있는 것. **는 문제가 되는 레벨인 것을 나타낸다. RL:레피아 룸, AJL:에어 젯 룸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용 기포로서 내압 유지율이 양호하고, 제직성이나 주름이나 코팅 불균일이라고 하는 품질도 양호한 고밀도 대직 기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인체를 측면으로부터 보호하는 커튼형 에어백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00dtex 이상, 500dtex 이하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구성된 전개·팽창 가능한 2층의 대대부와 그 외주에 있는 접합띠와 비팽창·전개부를 포함하고, 접합띠의 일부 이상이 대대측으로부터 2/2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1 조직, 세폭 대직부 및 3/3 사자직 조직을 포함하는 제2 조직으로 구성되며, 10g/㎡이상의 실리콘 수지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에 있어서, 제1 조직이 하나 이상의 풍통 조직과 2/2 사자직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폭 대직부의 커버 팩터가 한면당 1900 이상, 2400 이하이고, 실 개수가 2개 이상, 4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2 사자직 조직의 실 개수가 4개 이상, 16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3 사자직 조직의 실 개수가 3개 이상, 15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섬유가 400dtex 이하의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장섬유가 250dtex 이하의 합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섬유가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조직부에 2개 이상, 6개 이하의 연속된 풍통 조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팽창 대직부가 일부 이상에 부분 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밀도 대직 기포가 140g/㎡이하의 실리콘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섬유의 단사 섬도가 0.5dtex 이상, 4.5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g/㎡이하의 실리콘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대직 기포.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밀도 대직 기포를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전개 8초 후의 내압 유지율이 7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g/㎡이상, 140g/㎡이하의 실리콘 코팅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커튼형 에어백.
제15항에 있어서, 50g/㎡이하의 실리콘 수지 코팅층을 갖고, 풍통 조직 및 사자직 조직을 접합띠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형 에어백.
KR1020067006047A 2003-09-29 2004-09-29 고밀도 대직 기포 KR100829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7659A JP2005105437A (ja) 2003-09-29 2003-09-29 エアバッグ用袋織基布
JPJP-P-2003-00337659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98A true KR20060095998A (ko) 2006-09-05
KR100829635B1 KR100829635B1 (ko) 2008-05-19

Family

ID=3438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047A KR100829635B1 (ko) 2003-09-29 2004-09-29 고밀도 대직 기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90401B2 (ko)
EP (1) EP1669481B1 (ko)
JP (2) JP2005105437A (ko)
KR (1) KR100829635B1 (ko)
CN (1) CN1860266B (ko)
AT (1) ATE441748T1 (ko)
DE (1) DE602004022959D1 (ko)
TW (1) TWI267570B (ko)
WO (1) WO200503105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873A3 (en) * 2007-12-28 2009-08-27 Kolon Industries, Inc. An inflatable fabrics and an air-bag
KR101011237B1 (ko) * 2007-02-23 2011-0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및에어백의 제조방법
WO2012134228A3 (ko) * 2011-03-31 2012-12-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50986B1 (ko) * 2007-12-28 2014-01-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101352328B1 (ko) * 2007-12-28 2014-01-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에어백, 및 에어백의제조방법
KR102044007B1 (ko) * 2018-10-23 2019-11-12 이호숙 보온 이중 직물지 및 이를 이용한 패딩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2414A1 (en) * 2004-07-16 2008-02-2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Hollow Weave Fabric for an Air Ba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70063492A1 (en) * 2005-09-07 2007-03-22 Takata Corporation Airbag for inflating outside a vehicle
CN101283130B (zh) * 2005-10-07 2012-11-14 可隆株式会社 可用气体充气的双层织物
CN101389509B (zh) * 2005-12-12 2011-06-08 高地工业公司 涂覆有热塑性材料并热封接的气囊
DE102006021082A1 (de) * 2006-05-05 2007-11-15 Bst Safety Textiles Gmbh Nahtkonstruktion für ein Gewebe
US7759747B2 (en) * 2006-08-31 2010-07-20 Micron Technology, Inc. Tantalum aluminum oxynitride high-κ dielectric
JP5023761B2 (ja) * 2007-03-29 2012-09-12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
ITTO20080112A1 (it) * 2008-02-14 2009-08-15 Antica Valserchio S R L Tessuto costituito da almeno due falde intrecciate tra loro lungo un tratto comune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100977421B1 (ko) * 2008-07-04 2010-08-24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고밀도 극세 직물
JP6013710B2 (ja) * 2010-08-02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5772484B2 (ja) * 2011-10-14 2015-09-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エアバッグ
CN104160086B (zh) * 2012-03-09 2016-12-28 旭化成株式会社 气囊用基布
MX2015002395A (es) * 2012-08-28 2015-06-03 Toray Industries Tela recubierta y metodo para produccion de la misma.
US9913415B2 (en) 2013-03-13 2018-03-06 Federal-Mogul Powertrain Llc EMI shielding textile fabric, wrappable sleeve constructed therefro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EP2868799A1 (en) * 2013-10-30 2015-05-06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ir-bag
JP6130804B2 (ja) * 2014-03-28 2017-05-17 住商エアバッ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袋織基布
EP2930069B1 (en) * 2014-04-07 2017-09-13 Autoliv Development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ir-bags
JP2017519125A (ja) 2014-06-24 2017-07-13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エアバッグ用ポリエステル布地の製造方法
CN104055253A (zh) * 2014-07-02 2014-09-24 张家港市杨舍新米洋针织厂 一种耐化学腐蚀混纺面料
JP6428008B2 (ja) * 2014-07-14 2018-1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エアバッグ
EP3178030B1 (en) * 2014-08-06 2020-09-16 Waitak Labels Factory Limited Authentication devices
CN104988638A (zh) * 2015-06-25 2015-10-21 苏州迪盛织造整理有限公司 一种细旦高密锦纶管状面料及其制造方法
JP5831665B1 (ja) * 2015-08-12 2015-12-09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
WO2017079499A1 (en) 2015-11-06 2017-05-11 Invista North America S.Ar.L.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873401B2 (en) * 2016-02-26 2018-01-23 Autoliv Asp, Inc. Airbag fabric including aper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920342B2 (en) * 2016-10-21 2021-02-16 Jiaxing Deyong Textiles Co., Ltd. Loom, method for producing textile, and ultrahigh-density textile
CN106637592A (zh) * 2016-11-18 2017-05-10 王财农 一种高强度面料
CN113235205A (zh) 2017-05-02 2021-08-10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低渗透性和高强度织造织物及其制造方法
WO2019067655A1 (en) 2017-09-29 2019-04-04 Invista Textiles (U.K.) Limited INFLATABLE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INFLATABLE SAFETY DEVICES
CN109267209A (zh) * 2018-12-05 2019-01-25 浙江理工大学 窗帘布与挂钩布带纬向一体织造成型的织物组织设计方法
CN111621898A (zh) * 2020-05-20 2020-09-04 华懋(厦门)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气囊的一次成型编织物
CN113650379A (zh) * 2021-08-17 2021-11-16 华懋(厦门)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复合一次成型安全气囊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50A (ja) 1989-06-14 1991-01-24 Asahi Chem Ind Co Ltd 二重袋織エアーバッグとその織地
JPH0316852A (ja) 1989-06-14 1991-01-24 Asahi Chem Ind Co Ltd 袋織のエアーバッグ
JPH04193646A (ja) 1990-11-28 1992-07-13 Asahi Chem Ind Co Ltd 袋織エアーバッグ
JP2592021B2 (ja) * 1992-01-31 1997-03-19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コーティング用液状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3165312B2 (ja) * 1993-12-28 2001-05-14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用難燃性シリコーンゴムコーティング布
US6220309B1 (en) * 1999-09-24 2001-04-24 Milliken & Company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basket-woven attachment points between fabric panels
DE19945880A1 (de) * 1999-09-24 2001-03-29 Berger Seiba Technotex Verwaltungs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weben
JP2001097170A (ja) * 1999-09-30 2001-04-10 Nippon Plast Co Ltd 側部用エアバッグ
JP3785301B2 (ja) * 2000-02-22 2006-06-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エアバッグ
US6748980B2 (en) * 2000-12-11 2004-06-1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Base fabric for hollow-woven air bag and air bag
TW521051B (en) 2001-02-01 2003-02-21 Asahi Chemical Ind Silicone coating fabric and air bag
JP2002316610A (ja) 2001-04-18 2002-10-29 Toyobo Co Ltd 側面衝突用袋織エアバッグ
JP2002321585A (ja) 2001-04-25 2002-11-05 Toyobo Co Ltd 側面保護用袋織りエアバッグ
JP4643071B2 (ja) 2001-08-08 2011-03-0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側部用エアバッグ
JP3766806B2 (ja) * 2002-03-15 2006-04-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エアバッグ
US7077424B2 (en) * 2002-06-17 2006-07-18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20080042414A1 (en) * 2004-07-16 2008-02-2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Hollow Weave Fabric for an Air Ba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37B1 (ko) * 2007-02-23 2011-0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및에어백의 제조방법
WO2009084873A3 (en) * 2007-12-28 2009-08-27 Kolon Industries, Inc. An inflatable fabrics and an air-bag
KR101350986B1 (ko) * 2007-12-28 2014-01-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101352328B1 (ko) * 2007-12-28 2014-01-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에어백, 및 에어백의제조방법
WO2012134228A3 (ko) * 2011-03-31 2012-12-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44007B1 (ko) * 2018-10-23 2019-11-12 이호숙 보온 이중 직물지 및 이를 이용한 패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9481A1 (en) 2006-06-14
TWI267570B (en) 2006-12-01
JPWO2005031052A1 (ja) 2007-11-15
ATE441748T1 (de) 2009-09-15
JP2005105437A (ja) 2005-04-21
EP1669481B1 (en) 2009-09-02
US20070007756A1 (en) 2007-01-11
DE602004022959D1 (de) 2009-10-15
WO2005031052A1 (ja) 2005-04-07
CN1860266B (zh) 2014-01-29
EP1669481A4 (en) 2007-07-18
CN1860266A (zh) 2006-11-08
US7690401B2 (en) 2010-04-06
KR100829635B1 (ko) 2008-05-19
TW200512327A (en) 2005-04-01
JP4378349B2 (ja)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635B1 (ko) 고밀도 대직 기포
US7681602B2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by gas
BR112019022728A2 (pt) Tecido tecido com baixa permeabilidade e alta resistência e métodos para a produção do mesmo
JP4419378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899308B2 (en) Bag body
JP2010203023A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4354771B2 (ja) エアバッグ用袋織基布およびカーテン状エアバッグ
US20160193979A1 (en) Coated woven fabric
JP2002321585A (ja) 側面保護用袋織りエアバッグ
JP4553656B2 (ja) 高密度袋織基布の製織方法
JP2010013770A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4190740B2 (ja) 袋織りエアバッグ基布及び袋織りエアバッグ
JP4096299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及びそれを用いた袋織エアバッグ
JP4830210B2 (ja) 高密度織物
JP4769013B2 (ja) エアバッグ用袋織基布の製織方法
JP2000052902A (ja) エアバッグ
JP2013039893A (ja) エアバッグ
JP4629882B2 (ja) エアバッグ
JP2007023410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4081A (ja)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
JP2009127158A (ja)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2005014841A (ja) エアバック
JP627267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4277296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及びエアバック
JP626304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