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421B1 - 고밀도 극세 직물 - Google Patents

고밀도 극세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421B1
KR100977421B1 KR1020080064918A KR20080064918A KR100977421B1 KR 100977421 B1 KR100977421 B1 KR 100977421B1 KR 1020080064918 A KR1020080064918 A KR 1020080064918A KR 20080064918 A KR20080064918 A KR 20080064918A KR 100977421 B1 KR100977421 B1 KR 10097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yarn
denier
warp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38A (ko
Inventor
김일한
김지한
김충향
김종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Priority to KR102008006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421B1/ko
Priority to EP09773723A priority patent/EP2312027A4/en
Priority to CN2009801260234A priority patent/CN102124153A/zh
Priority to JP2011516144A priority patent/JP2011526661A/ja
Priority to US13/002,443 priority patent/US20110111666A1/en
Priority to PCT/KR2009/003582 priority patent/WO2010002187A2/ko
Publication of KR2010000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8Scaffolding threads, i.e. threads removed after wea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polyvinyl alcohol, or of their acetals or ket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극세사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가공으로 시레(cire)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밀도 극세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한 올의 섬도가 5데니어 이상 100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0.1데니어 이상 1.5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고, 상기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며,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 어느 한쪽에 나일론 고신축사, 나일론소재의 부분배향사 또는 나일론 소재의 신도가 25%이상인 스핀드로얀, 또는 PVA계 수용성 섬유가 추가로 혼섬되거나 배열되어 수축된 k값이 2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극세 직물을 제조한다.
극세, 나일론, 알레르겐, 고밀도, 진드기, 시레, cire

Description

고밀도 극세 직물{A HIGH DENSITY MICRO FABRIC}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은 이불 패드 등의 침구류 및 그 커버지, 가구 등의 커버, 각종 패딩재의 커버, 의료용품의 커버, 유아용품의 커버, 유아 놀이 용품의 커버, 공기 정화기, 진공 청소기의 에어 필터, 또는 꽃가루나 황사 예방 마스크의 필터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유해한 생활 알레르겐의 하나인 집 먼지 진드기 및 그 분비물의 차단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전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기술한 용도에 한하지 않은 산업상 광범위하게 응용 가능한 신규 고밀도 극세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의 알레르겐(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막기 위한 미세 공극 직물을 얻기 위해 그 동안 경사에 폴리에스터, 위사에 폴리에스터+나일론 또는 경사에 폴리에스터, 위사에 폴리에스터 성분을 주로 사용하며, 경사와 위사 전부 또는 위사에 단섬도 0.3d 이하의 굵기의 극세사를 사용하여 직조 후 올간의 공극을 막는 방법으로 물리적 압착방법인 시레(cire) 가공을 하여 얻는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극세사 생산 태동기인 1980년대부터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직조한 직물이 의류용 또는 침구용으로 생산되어 해외에 수출되어 온 것이 주지 의 사실이다. (예를 들어 효성의 '하이데나' 등)
극세사 직물에 있어서의 공극이란 극세사 한 올내의 모노 필라멘트간의 공극(A)과 직조 공정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기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인 극세사 올과 올간의 공극(B)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한 올내의 모노 필라멘트간의 공극(A)은 직조시에 발생되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 장력에 의해서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들이 중첩되어지므로 비록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직경이 10μm이라도 중첩된 모노필라멘트간의 공극은 3μm이하로 매우 작게 형성되어지므로 일반적으로 공극(A)보다는 직조시 경사와 위사가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공극인 올과 올간의 공극(B)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극(B)은 가능한 경사와 위사의 올수가 많도록 직조함에 따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생활 알레르겐의 주된 원인의 하나인 집 먼지 진드기의 크기는 성체가 200~600μm, 알이 40~60μm, 분비물의 크기가 10~40μm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 올의 섬도가 10μm 정도의 실을 사용하여 공극(A)을 진드기 분비물보다 작게 하고, 적절한 섬도를 가진 실로 고밀도로 제직하여 공극(B)을 분비물보다 작게 하며 공극(A)과 공극(B)은 일시적이 아닌 영구적 형성으로서, 변형이 일어나선 안 된다.
국내특허등록제10-0365188-0000호에서는 공극(B)을 물리적 압착 방법인 시레 가공을 통해서 줄이려고 하였으나, 반복되는 세탁과 인체와의 마찰에 의해 시레 가공전 공극의 크기로 공극이 환원될 수 있으며, 시레 가공 특성상 직물이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극세사 한 올의 섬도에 따라 경사와 위사의 수가 적절히 결정되어져야 하나, 한 올의 섬도가 100데니어 이하를 사용하여 명세서에 기술된 대로 직조한다면 공극(B)을 줄이기가 쉽지 않다.
특허공개공보제10-2002-0035012호에서는 제직 후 평균공극의 크기가 (A)인지, (B)인지 기술이 명확하지 않으며, 고밀도라고는 하지만 이에 따른 커버팩터 등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극세섬유의 한 올의 섬도가 규정되어 있지 않아서 모호한 면이 있다. 또한 물리적 압착방법인 시레 가공을 하여서 공극(B)을 막으려고 시도함으로써 국내특허등록제10-0365188-0000호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공개공보제10-2002-0013679호에서는 극세사의 소재가 폴리에스터를 주소재로 하고 있으며, 나일론이 30%이하로 사용되어진 고밀도 극세 직물이라고 하였으나, 나일론이 30%이하 함유된 극세사 직물이 한 올의 섬도가 100데니어 이하일 경우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공극(B)을 4μm이하로 직조하기가 어려우며, 극세사 한 올의 섬도를 규정하지 않아서 모호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모노필라멘트 섬도가 0.3데니어 이하라도 극세사 한 올의 섬도가 50데니어일 경우에는 명세서의 방법대로 직조할 경우 공극(B)의 크기는 4μm이상의 크기가 된다. 따라서 공극(B)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시레 가공 등 물리적 압착 방법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상생활의 알레르겐 방지 기능이 있는 고밀도 극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아래의 3가지 요소가 검토되어져야 한다. 제1요소로 극세사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굵기에 의한 공극(A)이 진드기 분비물의 크기인 10μm보다 충분히 작아야 하며, 제2요소로 극세사 올과 올간의 공극(B)이 진드기 최소 분비물 크기인 10μm보다 충분히 작아야 하는 고밀도이어야 하고, 제3요소로는 후가공인 시레가공이 아닌 직물 자체의 형성으로 공극(B)의 크기를 줄여 영구적이고 촉감이 좋게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2요소와 제3요소이며, 제1요소는 직조에 의한 모노필라멘트들의 중첩에 의해 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제1요소로 모노필라멘트 굵기에 의한 공극(A)을 진드기 분비물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극세사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나일론의 경우 0.97데니어(10μm)이하, 폴리에스터의 경우 1.04데니어(10μm)이하가 바람직하며, 나일론의 경우 섬도가 0.7데니어 이하, 폴리에스터의 경우 섬도가 0.8데니어 이하의 정도가 더욱 좋으며 이는 직조에 의해서 모노필라멘트들은 필연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아래에 규정한 k값을 만족시킬 경우 공극(A)의 크기는 3μm이하의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모노필라멘트의 섬도를 0.1데니어 이하로 할 경우 섬유의 표면적이 넓어져 염색 가공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이 심해질 수 있다. 또한 각 모노필라멘트의 섬도를 1.5데니어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직물의 촉감이 딱딱하게 될 수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2요소로서 일반적으로 고밀도 직물이란 경사와 위사의 올수를 일반 직물의 밀도보다 높게 직조한 직물을 말하는 것으로 얼마나 높게 직조할 경우에 고밀도라고 정의하는지는 현재까지 내려진 게 없으며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기도 하다. 따라서 비형상 용어인 고밀도란 단어보다는 커버팩터 k1 (예를 들어 어느 한 단위면적이 섬유로 100% 채워질 경우 k1수치가 1이라고 한다면) 로 표현하고자 한다.
극세사 올과 올간의 공극(B)은 극세사 한 올의 섬도와 인치당 올의 개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아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k 1 = ( Na x √( Da ) x 10.81 + Nb x √( Db ) x 9.82 + Nc x √( Dc ) x 9.37) / 25400
k1 = 커버팩터
Na = 나일론의 1 인치당 올의 수, Da = 나일론의 한 올의 섬도(데니어)
Nb = 폴리에스터의 1 인치당 올의 수, Db = 폴리에스터의 한 올의 섬도(데니어)
Nc = 면의 1 인치당 올의 수, Dc = 면의 한 올의 평균 섬도(데니어)
제2요소로서 올간의 공극(B)은 한 올의 섬도가 낮아질수록 같은 커버팩터라도 공극(B)이 비례해서 낮아진다. 따라서 가능한 세섬도의 실을 사용하여야 공극(B)을 줄일 수 있으며, 한 올의 섬도에 따른 커버팩터의 공극계수는 다음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k 2 = 10 / (c x √( Da )) + 10 / (c x √( Db )) + 10 / (c x √( Dc ))
k2 = 공극계수
c = 소재상수; 나일론 = 10.81, 폴리에스터 = 9.82, 면 = 9.37
Da = 나일론의 한 올의 섬도
Db = 폴리에스터의 한 올의 섬도
Dc = 면의 한 올의 섬도
또한, 본 발명의 고안자들은 k1과 k2를 곱한 수치(k)가 올간의 공극(B)과 연관이 있고, k값에 100을 곱한 수치가 22이상이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k = ( k 1 x k 2 ) x 100 ≥ 22
경사와 위사에 사용되는 실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0.3데니어 이하이고, 한 올당 섬도가 100데니어 이상의 경우에는 k1값인 커버팩터가 90% 정도로 상당히 높더라도 k2의 수치가 낮아서 올간의 공극(B)이 커지므로, 이 경우 이론적으로는 k1의 Na, Nb, Nc값, 즉 1인치당 올수를 더욱 올려서 k값이 22이상이 되게 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이런 수준의 고밀도 직조는 불가능하여 k값이 22미만이 되므로 할 수 없이 시레 가공 등 물리적 압착 방법을 사용하여 공극을 막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본 고안자들의 주장이다. 또한 경사와 위사에 사용되는 실의 한 올당 데니어가 5데니어 미만의 경우에는 직조시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서 실이 절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본 고안자들의 주장이다.
경사와 위사의 어느 한쪽에 사용되는 극세사의 한 올당 섬도가 100데니어 이 하인 경우에는 k2값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유리하게 된다. 실례로 경사에 40데니어 섬도의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사용하고, 위사에 120데니어 이하의 섬도의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사용하되 나일론 성분이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이 되게 하여 95℃이상에서 염색하여서 폴리에스터보다 열수축률이 높은 나일론의 급격한 수축에 의해 k값이 22이상의 고밀도 직물을 얻을 수 있다. k1값을 더 높게 직조하기 위해서는 고수축성 나일론, 나일론 부분배향사(POY) 또는 절단 신도가 25%이상인 나일론 스핀드로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섬시키거나 배열시키는 방법이 좋으며, 가장 높은 수축률을 얻기 위해서는 PVA계 수용성 실을 경사 또는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 모두에 추가로 혼섬시키거나 배열시켜 직조 후 정련공정이나 염색공정 등에서 PVA섬유를 제거시키면 PVA섬유가 녹으면서 급격한 수축을 일으켜서 k수치가 상당히 높은 초고밀도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되며 공극(B)은 3.0μm이하가 되게 된다. 또한 직물의 흡습성 개선을 위해서는 면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경사 또는 위사 중 양쪽에 일부, 어느 한쪽에 전부 또는 일부에 면을 사용할 경우 나일론을 30% 이상 함유시키거나 또는 고수축의 나일론이나, 나일론 부분배향사나, 신도가 25% 이상인 나일론 스핀드로얀 중에서 하나를 혼섬 또는 배열시키거나 PVA계 섬유를 혼섬 또는 배열시켜서 직조 후 정련, 염색 가공에 의해 용해 제거함으로써 k값도 충족하며, 흡습성도 개선되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 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되고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 직물의 단위 면적당 코튼의 중량비는 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경사 또는 위사 중 양쪽에 일부, 어느 한쪽에 전부 또는 일부에 면을 사용할 경우 나일론이 30% 미만 함유될 경우나 절단 신도 25% 미만인 나일론 스핀드로얀을 혼섬시키거나 배열시킬 경우 정련 공정이나 염색 공정에서 충분히 수축되지 않아서 k2값이 너무 낮아 k값이 22가 넘지 않게 되는 불만족스런 결과를 얻게 되었다.
상기의 개선된 방법으로 생산된 고밀도 극세 직물을 이용하는 물건과 관련하여, 상기의 고밀도 극세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직물과 기타의 재료들이 하나 이상 구성되어 2층 이상 적층하여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의 적층 고착 방법으로 섬유자수, 섬유누비, 섬유 퀼팅, 섬유 봉제, 섬유 문양 형성시 220℃ 이하에서 융착되는 성분이 0.1% 이상 함유되어 있는 실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상기 형성시 발생되는 봉목이 후가공에 의해서 실의 융착되는 성분으로 막혀질 수 있는 부분을 일부라도 포함하여 구조물을 만들 수도 있고, 상기 구조물의 다른 적층 고착 방법으로 초음파로 융착되어진 섬유 자수, 섬유 누비, 섬유 퀼팅, 섬유 봉제, 섬유 문양을 일부라도 포함하여 구조물을 만들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의 고밀도 극세 직물을 이용하여 이불, 패드, 베개 등 침구류 및 그 커버지, 의류, 아동용 완구용 소재 또는 완구용 커버지, 마스크용 필터, 공기 정화기, 진공 청소기의 필터, 커튼류, 가구용 커버류 등 생활 용품 커버 등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의 고밀도 극세 직물은 어떠한 물리적 압착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A)과 공극(B)이 3μm이하로 발현되므로, 제품의 반복되는 세탁에 의한 공극의 확대 현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촉감도 시레 가공에 의한 딱딱한 촉감이 아닌 아주 부드러운 실키조의 제품이 발현되어질 수 있어 특히 항 알레르겐 유아용 침구 등에 적용하기 적당하다.
[실시예 1]
경사에 나일론 단섬도 0.94데니어의 48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섬도가 45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고, 위사에는 폴리에스터 단섬도 0.94데니어의 48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45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가 1인치당 150본, 위사 밀도가 1인치당 90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 면적당 중량비가 62.5%였으며, k1값은 0.66이고 k2값은 0.290이며, k값은 19.2였고, 공극(B)은 15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95℃에서 2시간 염색가공을 하였더니, 경사 밀도가 175, 위사 밀도가 122가 되었고, 이때 k1값은 0.816, k값은 23.6이 되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공히 3μm이하로 시레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 였으며, 촉감도 부드러웠고, 세탁 5회 후에도 공극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2]
경사와 위사를 상기 실시예1 대로 사용하되, 위사에 섬도가 10데니어, 필라멘트수가 12인 나일론 부분배향사를 추가로 혼섬시켜 직조를 하였다. 경사는 모든 조건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위사는 혼섬 후 한 올당 섬도 55데니어 필라멘트수가 60으로 1인치당 85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면적당 중량비가 66.5%였으며, k1값은 0.67이며, k2값은 0.272, k값은 18.08이었고, 공극(B)은 16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95℃에서 2시간 염색가공을 하였더니, 경사 밀도는 180, 위사 밀도는 130이 되었고, 이때 k1값은 0.89가 되었고, k값은 24.0이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공히 3μm이하로 시레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였으며, 촉감도 부드러웠고, 세탁 5회 후에도 공극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3]
경사와 위사를 상기 실시예1 대로 사용하되, 위사에 섬도가 5데니어, 필라멘트수가 10인 PVA계 수용성 섬유를 추가로 혼섬시켜 직조를 하였다. 경사는 모든 조건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위사는 혼섬후 한 올당 섬도가 50데니어 필라멘트수가 58로서 1인치당 85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면적당 중량비가 59.1%였으며, k1값은 0.67이며, k2값은 0.272, k값은 18.08이었고, 공극(B)은 13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95℃에서 2시간 염색가공을 하였더니, PVA계 섬유는 물에 의해 용해 제거되므로 원단의 수축이 크게 일어나서 경사 밀도는 190, 위사 밀도는 140이 되었고, 이때 k1값은 0.94가 되었고, k값은 25.5이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공히 3μm이하로 시레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였으며, 촉감도 부드러웠고, 세탁 5회 후에도 공극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4]
경사에 나일론 단섬도 0.88데니어의 34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섬도가 30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고, 위사에는 폴리에스터 단섬도 0.42데니어의 72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30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가 1인치당 170본, 위사 밀도가 1인치당 100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 면적당 중량비가 62.9%였으며 k1값은 0.57이며, k2값은 0.355, k값은 20.2였고, 공극(B)은 16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120℃에서 40분간 정련 가공을 하였더니, 경사 밀도가 212, 위사 밀도가 128이 되었고, 이때 k1값은 0.72, k값은 25.5가 되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공히 3μm이하로 시레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였으며, 촉감도 부드러웠고, 세탁 5회 후에도 공극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5]
경사에 나일론 단섬도 0.88데니어의 34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섬도가 30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고, 위사에는 코튼 평균 단섬도 1데니어의 평균 50 파이버 수를 가진 1올당 50데니어인 극세면을 사용하여 경사 밀도가 1인치당 170본, 위사 밀도가 1인치당 90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 면적당 중량비가 51.7%였으며 k1값은 0.64이며, k2값은 0.315, k값은 20.0였고, 공극(B)은 17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110℃에서 1시간 염색가공을 하였더니, 경사 밀도가 212, 위사 밀도가 120이 되었고, 이때 k1값은 0.82, k값은 25.7이 되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공히 3μm이하로 시레 가공을 하지 않아도 공극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였으며, 촉감도 부드러웠고, 세탁 5회 후에도 공극의 크기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1]
경사에 폴리에스터 단섬도 0.94데니어의 48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섬도가 45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고, 위사에는 폴리에스터 단섬도 0.94데니어의 48필라멘트수를 가진 1올당 45데니어인 극세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가 1인치당 150본, 위사 밀도가 1인치당 90본의 직물을 직조하였다. 이때 나일론은 단위 면적당 중량비가 0%였으며 k1값은 0.62이며, k2값은 0.303, k값은 18.8였고, 공극(B)은 15μm이었다. 이 직조된 천을 120℃에서 1시간 염색가공을 하였더니, 경사 밀도가 162, 위사 밀도가 98이 되었고, 이때 k1값은 0.674, k값은 20.4가 되었으며 공극(A)과 공극(B)은 10μm에서 14μm가 되어서 진드기 분비물의 투과가 예상되었다.

Claims (8)

  1. 경사와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한 올의 섬도가 5데니어 이상 100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0.1데니어 이상 1.5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고, 상기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며,
    상기 경사 또는 상기 위사 어느 한쪽에 나일론 고신축사, 나일론소재의 부분배향사 또는 나일론 소재의 신도가 25%이상인 스핀드로얀이 추가로 혼섬 또는 배열되거나, 또는 정련 공정이나 염색 공정에서 물에 의해 용해 제거될 수 있는 PVA계 수용성 섬유가 추가로 혼섬되거나 배열되어
    수축된
    k값이 2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극세 직물.
  2. 경사와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한 올의 섬도가 5데니어 이상 100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0.1데니어 이상 1.5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 고 상기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이며,
    수축된
    직물의 단위 중량당 나일론 성분의 중량비가 30% 이상이며
    k값이 2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극세 직물.
  3. 경사와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한 올의 섬도가 5데니어 이상 100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인 경우 0.1데니어 이상 1.5데니어 이하이고 코튼인 경우 3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되고 상기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되며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나일론 고신축사, 나일론 소재의 부분배향사 또는 나일론 소재의 신도가 25%이상인 스핀드로얀이 추가로 혼섬 또는 배열되거나, 또는 정련 공정이나 염색 공정에서 물에 의해 용해 제거될 수 있는 PVA계 수용성 섬유가 추가로 혼섬되거나 배열되어
    수축된
    직물의 단위 면적당 코튼의 중량비가 1% 이상이며
    k값이 2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극세 직물.
  4. 경사와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한 올의 섬도가 5데니어 이상 100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의 양쪽 또는 한쪽의 상기 한 올내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인 경우 0.1데니어 이상 1.5데니어 이하이고 코튼인 경우 3데니어 이하이고,
    상기 경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되고 상기 위사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복합사 또는 코튼이거나 또는 이들 소재들과 코튼이 혼섬되거나 배열되며,
    수축된
    직물의 단위 중량당 나일론 성분의 중량비가 30% 이상이고
    직물의 단위 중량당 코튼의 중량비가 1%이상이며
    k값이 2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극세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직물과 기타의 재료들이 하나 이상 구성되어 2층 이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6. 제5항의 적층 고착 방법에 섬유 자수, 섬유 누비, 섬유 퀼팅, 섬유 봉제, 섬 유 문양 형성시 220℃ 이하에서 융착되는 성분이 0.1% 이상 함유되어 있는 실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상기 형성시 발생되는 봉목이 후가공에 의해서 실의 융착되는 성분으로 막혀질 수 있는 부분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7. 제5항의 적층 고착 방법에 있어서 초음파로 융착되어진 섬유 자수, 섬유 누비, 섬유 퀼팅, 섬유 봉제, 섬유 문양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직물로 구성된 이불, 패드, 베개 등 침구류 및 그 커버지, 의류, 아동용 완구용 소재 또는 완구용 커버지, 마스크용 필터, 공기 정화기, 진공 청소기의 필터, 커튼류, 가구용 커버류 등 생활 용품 커버 등 구조물.
KR1020080064918A 2008-07-04 2008-07-04 고밀도 극세 직물 KR10097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18A KR100977421B1 (ko) 2008-07-04 2008-07-04 고밀도 극세 직물
EP09773723A EP2312027A4 (en) 2008-07-04 2009-07-01 HIGH DENSITY ULTRA-FIN FABRICS
CN2009801260234A CN102124153A (zh) 2008-07-04 2009-07-01 高密度超细织物
JP2011516144A JP2011526661A (ja) 2008-07-04 2009-07-01 高密度極細織物
US13/002,443 US20110111666A1 (en) 2008-07-04 2009-07-01 High density ultra-fine fabrics
PCT/KR2009/003582 WO2010002187A2 (ko) 2008-07-04 2009-07-01 고밀도 극세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18A KR100977421B1 (ko) 2008-07-04 2008-07-04 고밀도 극세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38A KR20100004638A (ko) 2010-01-13
KR100977421B1 true KR100977421B1 (ko) 2010-08-24

Family

ID=4146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18A KR100977421B1 (ko) 2008-07-04 2008-07-04 고밀도 극세 직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11666A1 (ko)
EP (1) EP2312027A4 (ko)
JP (1) JP2011526661A (ko)
KR (1) KR100977421B1 (ko)
CN (1) CN102124153A (ko)
WO (1) WO201000218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21B1 (ko) 2013-11-25 2015-02-04 김경만 감촉이 우수한 니트 직물의 조직구조
KR20190048789A (ko) * 2017-10-31 2019-05-09 우일염직(주)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532775E (pt) * 2011-06-07 2013-11-28 Gessner Ag Substrato têxtil feito de múltiplos e diferentes materiais descartáveis e/ou recicláveis, utilização de um tal substrato têxtil, e método para reutilização de um tal substrato têxtil
US9131790B2 (en) 2013-08-15 2015-09-15 Aavn, Inc.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CN104018246A (zh) * 2013-06-14 2014-09-03 营口三鑫合纤有限公司 一种具有超高收缩率的涤锦复合超细纤维的制备方法
CN103349818B (zh) * 2013-08-03 2015-06-24 李先强 隐形呼吸过滤器
US11168414B2 (en) 2013-08-15 2021-11-09 Arun Agarwal Selective abrading of a surface of a woven textile fabric with proliferated thread count based on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US10808337B2 (en) 2013-08-15 2020-10-20 Arun Agarwal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US10443159B2 (en) 2013-08-15 2019-10-15 Arun Agarwal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US11359311B2 (en) 2013-08-15 2022-06-14 Arun Agarwal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CN103696081A (zh) * 2013-12-04 2014-04-02 苏州新米纺织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超细丝聚酯乙烯面料
CN103668690A (zh) * 2013-12-25 2014-03-26 苏州曼诚纺织有限公司 一种棉绢混纺面料
CN103911727A (zh) * 2014-02-18 2014-07-09 江苏鸿顺合纤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透气功能的锦纶纤维织物
US9384314B2 (en) 2014-02-28 2016-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tion of warpage of multilayered substrate or package
CN104018269B (zh) * 2014-05-26 2015-07-08 河南新野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发热复合面料
US20160160406A1 (en) 2014-05-29 2016-06-09 Arun Agarwal Production of high cotton number or low denier core spun yarn for weaving of reactive fabric and enhanced bedding
EP3042989A1 (en) * 2015-01-09 2016-07-13 VF International SAGL Woven fabric
CN104831452A (zh) * 2015-05-13 2015-08-12 枣庄海扬王朝纺织有限公司 一种吸光发热牛仔布及其生产方法
CN105011652B (zh) * 2015-08-29 2016-07-13 潘灿兴 一种安神保暖透气棉被
CN105568492A (zh) * 2015-12-21 2016-05-11 常熟市金羽纤维制品厂 防水透湿透气毛巾布复合面料
CN106835433A (zh) * 2017-04-05 2017-06-13 安徽福仕达网带有限公司 一种宽幅加强型双层滤布的生产方法
US10738396B2 (en) * 2017-04-17 2020-08-11 Sachin JHUNJHUNWALA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 yarn package
US20190323152A1 (en) * 2018-04-18 2019-10-24 Vijayaragavan Ranganathan Ultra soft fabric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ame
AU2018423498B2 (en) * 2018-05-16 2020-12-24 Sachin JHUNJHUNWALA A twill fabric comprising cotton warp and polyester weft
US11225733B2 (en) 2018-08-31 2022-01-18 Arun Agarwal Proliferated thread count of a woven textile by simultaneous insertion within a single pick insertion event of a loom apparatus multiple adjacent parallel yarns drawn from a multi-pick yarn package
US11047072B2 (en) * 2018-12-06 2021-06-29 Vishal Pacheriwala Woven fabric, a composition of the woven fabric and a weaving method thereof
US20200248345A1 (en) * 2019-02-06 2020-08-06 Sobel Westex Terry fabric having surfaces with varying pile weights
US11795588B2 (en) * 2021-07-30 2023-10-24 Vishal Pacheriwala Fabric made of multi-filament polyester warp yarns of yarn size of 75 denier or above and cellulose fiber weft yar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9A (ko) * 2000-08-14 2002-02-21 김동회 유해성 미생물 및 그로부터 유발되는 초미세 부산물차단용 고밀도 초극세 공극 직물
JP2003082577A (ja) * 2001-09-10 2003-03-19 Hiraoka & Co Ltd 水中崩壊性繊維布帛複合体及びその印刷物
KR100565368B1 (ko) * 2004-03-05 2006-03-28 김동회 면섬유가 혼합된 카바용 고밀도 직물
US20070007756A1 (en) * 2003-09-29 2007-01-11 Tokio Okuno High-density hollow weave groun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747A (en) * 1984-02-16 1986-04-15 Teijin Limited Dust-proof fabric
JP3058892B2 (ja) * 1990-05-10 2000-07-04 ユニチカ株式会社 高密度布帛の製造方法
DE29618614U1 (de) * 1996-10-25 1997-01-16 Westfaelische Textil Ges Kling Textilgewebe zum Schutz der Haut vor einem Kontakt mit Milbenallergenen
JP2734452B2 (ja) * 1997-01-06 1998-03-30 東レ株式会社 寝装資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68697B1 (ko) 1998-08-12 2006-05-25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벤조트리아졸기함유폴리에스테르,그것의제조방법,그것을포함하는자외선흡수제및합성수지조성물
JP2001211979A (ja) * 2000-02-07 2001-08-07 Toyobo Co Ltd 寝床内快適性に優れた蒲団側地
KR100365188B1 (ko) * 2001-12-22 2002-12-20 알러지씨앤씨 주식회사 고밀도 극세 공극 직물
KR20020035012A (ko) 2002-01-09 2002-05-09 김동회 내세탁성 고밀도 극세 공극직물
JP4086708B2 (ja) * 2003-04-30 2008-05-1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花粉捕捉シート
JP4598610B2 (ja) * 2005-06-22 2010-12-15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花粉付着防止シート
WO2007086167A1 (ja) * 2006-01-24 2007-08-02 Kaytay Knit Co., Ltd. 防塵衣服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88758A1 (ja) * 2006-01-31 2009-06-25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繊維、それからなる布帛および繊維製品
US8193105B2 (en) * 2006-10-19 2012-06-05 Cleanbrands, Llc Allergen barrier fabr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9A (ko) * 2000-08-14 2002-02-21 김동회 유해성 미생물 및 그로부터 유발되는 초미세 부산물차단용 고밀도 초극세 공극 직물
JP2003082577A (ja) * 2001-09-10 2003-03-19 Hiraoka & Co Ltd 水中崩壊性繊維布帛複合体及びその印刷物
US20070007756A1 (en) * 2003-09-29 2007-01-11 Tokio Okuno High-density hollow weave ground fabric
KR100565368B1 (ko) * 2004-03-05 2006-03-28 김동회 면섬유가 혼합된 카바용 고밀도 직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21B1 (ko) 2013-11-25 2015-02-04 김경만 감촉이 우수한 니트 직물의 조직구조
KR20190048789A (ko) * 2017-10-31 2019-05-09 우일염직(주)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KR102035059B1 (ko) 2017-10-31 2019-10-22 다이텍연구원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1666A1 (en) 2011-05-12
EP2312027A4 (en) 2012-02-29
WO2010002187A2 (ko) 2010-01-07
EP2312027A2 (en) 2011-04-20
CN102124153A (zh) 2011-07-13
KR20100004638A (ko) 2010-01-13
JP2011526661A (ja) 2011-10-13
WO2010002187A3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421B1 (ko) 고밀도 극세 직물
EP1704272B1 (en) Looped fabric comprising bamboo loops and terry made there from
TWI510687B (zh) Gauze fabric, clothing and bedding
JP2002155448A (ja) 耐久性がある快適な通気性アレルゲンバリヤー布
TWI601860B (zh) Fabric and clothing
WO2017104338A1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US20160201233A1 (en) Gauze fabric
JP5229890B2 (ja)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2016191163A (ja) 衣類
TWI735032B (zh) 多重紗布織物
US20170233905A1 (en) Textile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JPH07238434A (ja) 組織と原料糸の組み合わせによる立体構造織物とその製造方法
JP3144077U (ja) 抗菌性マスク
JP2004339652A (ja) 立体編物積層体
KR101523999B1 (ko) 표리가 분리된 이중직물로된 항먼지 침장지.
JP5945622B2 (ja) 布団カバー
JP2673342B2 (ja) 織物地
JP7388937B2 (ja) 通気性織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衣服
JP7189575B2 (ja) 織物
JP2018193043A (ja) 車両用座席
CN217705043U (zh) 一种复合阻燃面料
EP2363518A1 (en) Allergy protecting fabric, us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11241259A (ja) 不織布、ワイピングクロスおよび表皮材
JP2006200068A (ja) 縫製品
JP6773575B2 (ja) 布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