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59B1 -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59B1
KR102035059B1 KR1020170144003A KR20170144003A KR102035059B1 KR 102035059 B1 KR102035059 B1 KR 102035059B1 KR 1020170144003 A KR1020170144003 A KR 1020170144003A KR 20170144003 A KR20170144003 A KR 20170144003A KR 102035059 B1 KR102035059 B1 KR 10203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mposite material
water
tempera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789A (ko
Inventor
박종철
양석곤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우일염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우일염직(주)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1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ester and amide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구성, 견뢰성 및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실용성이 높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염색이 가능한 PET 원사를 제직 설계시 접목하여 실용적인 고감성의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using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구성, 견뢰성 및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실용성이 높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스포츠, 레저 등이 패션과 접목해 다양해지고 생활에 필수품이 되어지고 있다. 여기에 가방은 필수적인 패션아이템이며 레저와 접목해 실용성과 장식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적 감각의 실용성 아웃도어를 의미하는 아우트로(outro, 메트로 아웃도어웨어)라는 개념이 등장하며 의류제품, 모자, 가방, 신발 및 기타 소모품 등으로 개념을 넓히고 있다. 매년 국내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아웃도어용 제화 및 잡화용품 판매액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 아웃도어 시장규모가 2010년 3조 2500억, 2014년 8조원으로 매년 20~30% 내외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어 판로 전망이 밝다. 또한 국민소득(2015년 기준, 인당 27천불)이 증가됨에 따라 고급 아웃도어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시장 전망이 높은 실정이다.
아웃도어 제품 중 가방은 2000년대부터 패션아이템으로 추가되었으며, 가방산업은 2000년까지 연평균 20~30% 수출 증가로 인하여 급속한 성장을 하였으나 인건비 상승, 원부자재 가격의 인상, 브랜드파워의 열세 등으로 인하여 수출은 2000년 332,203천 US$에서 2004년 99,859,000 US$로 최근 5년간 69.9%가 감소되었으며 고가품 시장에서는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스페인 등의 유명브랜드 제품 수입이 증가되었다.
실용성 있는 가방지로 아웃도어용 백팩, 레포츠 및 스포츠 용품(골프, 낚시, 테니스) 가방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나, 다양한 소비자의 특색에 따른 패션지향 그리고 실용적 측면, 가격적 측면들이 다르며, 소비자들의 가방 소재선택 패턴이 색상, 품질, 디자인, 실용성 등에 강조되면서 이에 맞춘 실용성 높은 가방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N/P 교직물 가방지는 멜란지 효과 또는 터치감 등으로 인하여 패션 아이템용 가방지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컬러효과 및 멜란지 또는 빈티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우수하지만 내구성이 낮고 원가적 측면에서 이점이 없어 다양한 영역의 소재로 확대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용적이고 고감성(high-sensitive)인 컬러가방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단계(S10); 상기 제직단계(S10) 이후 직물을 NaOH 농도 pH 12.5 내지 13.0 및 93℃ 내지 97℃의 온도로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20); 상기 전처리단계(S20) 이후 염료, 조제 및 분산제로 40℃ 내지 95℃의 온도에서 90분 내지 110분 동안 pH 4.0 내지 4.5의 농도로 염색하는 염색단계(S30); 상기 염색단계(S30) 이후 염색된 직물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세하는 수세단계(S40); 상기 수세단계(S40) 이후 고착제를 사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5분 내지 25분간 직물을 수세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S50); 상기 탈수단계(S50)를 거친 직물을 심색제를 사용하여 120℃ 내지 130℃의 온도로 30m/분 내지 40m/분으로 건조가공하는 1차 가공단계(S60); 상기 1차 가공단계(S60)를 거친 직물을 발수제 및 농색가공제를 사용하여 20m/분 내지 25m/분의 속도에서 155℃ 내지 165℃의 온도로 가공 하는 2차 가공단계(S70); 상기 2차 가공단계(S70)를 거친 직물을 147℃ 내지 152℃의 온도로 5m/분 내지 10m/분의 속도에서 코팅제를 도포하는 3차 가공단계(S80); 및 상기 3차 가공단계(S80)를 거친 직물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90);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제직단계(S10)에서의 제직은 플레인(PLAIN), 트윌(TWILL) 및 주자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제직단계(S10)에서 제직되는 직물의 중량은 340g/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염색단계(S30)에서 사용되는 염료는 다이아닉스 옐로우 ACE(Dianix Yellow ACE) 0.46~0.47%, 다이아닉스 레드 ACE(Dianix Red ACE) 0.64~0.65%, 닐로산 레드 N-2RBL(Nylosan Red N-2RBL) 0.1% 내지 0.2%, 닐로산 블루 N-BLN(Nylosan Blue N-BLN) 2.0% 내지 2.1%, 다이아닉스 블루 ACE(Dianix Blue ACE) 0.62~0.63%, 도롤안 블랙 MSRL(Dorolan Black MSRL) 3.0~3.1%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염료일 수 있다.
상기 염색단계(S30)에서 사용되는 조제는 균염제(New bon MG) 0.5g/l, 버퍼(Buffer) 1g/l이고, 분산제(Sunsolt RM-3405)는 0.3%(owf)일 수 있다.
상기 수세단계(S40)는 pH 6.5 내지 7.0에서 수세단계(S40)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S50)에서 고착제는 음이온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콜산 및 물이 포함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1차 가공단계(S60)에서 상기 심색제는 아크릴에스테스테르 중합체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상기 심색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가공단계(S70)에서 상기 발수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플루오르알킬아크릴레이크 공중합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상기 발수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80 중량% 내지 9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가공단계(S70)에서 상기 농색가공제는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알킬 에톡실레이트(Alkyl ethoxylate) 및 물(water)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카바미딘 화합물(Carbamidine compound) 및 물(water)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혼합된 조성물인 것이고, 상기 조성물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3차 가공단계(S80)에서 상기 코팅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 톨루엔 = 75중량% : 25중량%로 배합하고, 점도 15,000cP 내지 20,000cP인 것일 수 있다.
상기 3차 가공단계(S80)에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량이 직물 무게의 10 중량% 내지 15 중량%로 1mm 내지 1.5mm 두께의 필름 형태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염색이 가능한 PET 원사를 제직 설계시 접목하여 3tone color의 고감성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마모성 50,000RUBS 이상, 세탁견뢰도 4-5급, 일광견뢰도 4-5급, 마찰견뢰도 4-5급, 발수도 5급, 필링 4-5급, 심색도 10이하(조건 : black color시), 내수압 1,800mmH2O 이상의 공인시험 평가 성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구성, 견뢰성 및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실용성이 높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은 경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단계(S10); 상기 제직단계(S10) 이후 직물을 NaOH 농도 pH 12.5 내지 13.0 및 93℃ 내지 97℃의 온도로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20); 상기 전처리단계(S20) 이후 염료, 조제 및 분산제로 40℃ 내지 95℃, 90분 내지 110분 및 pH 4.0 내지 4.5의 농도로 염색하는 염색단계(S30); 상기 염색단계(S30) 이후 염색된 직물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세하는 수세단계(S40); 상기 수세단계(S40) 이후 고착제를 사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5분 내지 25분간 직물을 수세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S50); 상기 탈수단계(S50)를 거친 직물을 심색제를 사용하여 120℃ 내지 130℃의 온도로 30m/분 내지 40m/분으로 건조가공하는 1차 가공단계(S60); 상기 1차 가공단계(S60)를 거친 직물을 발수제 및 농색가공제를 사용하여 20m/분 내지 25m/분의 속도에서 155℃ 내지 165℃의 온도로 텐더가공 하는 2차 가공단계(S70); 상기 2차 가공단계(S70)를 거친 직물을 147℃ 내지 152℃의 온도로 5m/분 내지 10m/분의 속도에서 코팅제를 도포하는 3차 가공단계(S80); 및 상기 3차 가공단계(S80)를 거친 직물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90);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직단계(S10)는 나일론사 : PET사 : 저온융착PET사 = 50 : 50 : 3(가닥수 비율)으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는 제직 단계이다. 상기 제직단계(S10)에서, 상기 저온융착PET사는 100℃ 미만에서 염색이 가능한 원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직단계(S10)에서의 제직은 플레인(PLAIN), 트윌(TWILL) 및 주자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직되는 직물의 중량은 34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직단계(S10) 이후에는 직물을 NaOH 농도 pH 12.5 내지 13.0 및 93℃ 내지 97℃의 온도로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전처리단계(S20)에서는 직물무게 17kg 내지 30kg을 기준으로 물(water) 250L 내지 300L에서 NaOH 농도 pH 12.5 내지 13.0을 유지하고, 93℃ 내지 95℃의 온도로 60분간 전처리한다.
상기 전처리단계(S20) 이후 염료, 조제 및 분산제로 40℃ 내지 95℃의 온도에서 90분 내지 110분 동안 pH 4.0 내지 4.5의 농도로 염색하는 염색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염색단계(S30)는 상기 전처리단계(S20)와 동일하게 직물무게 17kg 내지 30kg을 기준으로 물(water) 250L 내지 300L의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단계(S30)에서 염색의 배합은 O.W.F(on the weight of fiber) 기준으로 다이아닉스 옐로우 ACE(Dianix Yellow ACE) 0.46~0.47%, 다이아닉스 레드 ACE(Dianix Red ACE) 0.64~0.65%, 닐로산 레드 N-2RBL(Nylosan Red N-2RBL) 0.1% 내지 0.2%, 닐로산 블루 N-BLN(Nylosan Blue N-BLN) 2.0% 내지 2.1%, 다이아닉스 블루 ACE(Dianix Blue ACE) 0.62~0.63%, 도롤안 블랙 MSRL(Dorolan Black MSRL) 3.0~3.1%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색단계(S30)에서 사용되는 균염제(New bon MG) 0.5g/l, 버퍼(Buffer) 1g/l이고, 분산제(Sunsolt RM-3405)는 0.3%(owf)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단계(S40)는 염색단계(S30) 이후 염색된 직물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세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세단계(S40)는 상기 전처리단계(S20) 및 염색단계(S30)와 동일하게 직물 무게 17kg 내지 30kg 기준으로 물(water) 250L 내지 300L의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단계(S40)는 염색된 직물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세하되 pH가 6.5 내지 7.0이 되면 수세단계(S40)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단계(S40) 이후 고착제를 사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5분 내지 25분간 직물을 수세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탈수단계(S50)에서 음이온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디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콜산이 포함되는 혼합물을 5% 농도로 물(water)에 희석하여 직물무게 17kg 내지 30kg 기준으로 물(water) 250L 내지 300L와 함께 65℃내지 75℃의 온도로 15분 내지 25분 동안 수세 후 탈수한다.
상기 탈수단계(S50)를 거친 직물은 1차 가공, 2차 가공 및 3차 가공을 수행한다.
상기 1차 가공단계(S60)는 상기 탈수단계(S50)를 거친 직물을 심색제를 사용하여 120℃ 내지 130℃의 온도로 30m/분 내지 40m/분으로 건조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가공에서는 넷 드라이어(NET DRYER)를 사용하여 1차 가공을 수행한다. 상기 1차 가공단계(S60)에서 사용되는 심색제는 물(water)에 3 중량% 내지 4 중량%의 함유량으로 희석시킨 아크릴에스테스테르 중합체 화합물이고, 상기 심색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가공단계(S70)는 상기 1차 가공단계(S60)를 거친 직물을 발수제 및 농색가공제를 사용하여 20m/분 내지 25m/분의 속도에서 155℃ 내지 165℃의 온도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가공에서는 텐더(TENDER)를 사용하여 2차 가공을 수행한다. 상기 2차 가공에서 사용되는 발수제는 물(water)에 3 중량% 내지 6 중량%의 함유량으로 희석시킨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플루오르알킬아크릴레이크 공중합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혼합물을 약품에 침지시켜 80 중량% 내지 9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가공에서 사용되는 농색가공제는 물(water)에 3% 내지 4%의 함유량으로 희석시킨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알킬 에톡실레이트(Alkyl ethoxylate)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상기 조성물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가공단계(S80)는 상기 2차 가공단계(S70)를 거친 직물을 147℃ 내지 152℃의 온도로 5m/분 내지 10m/분의 속도에서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3차 가공에서는 코팅기계(COATING MACHINE) 또는 핫멜트 기계(HOTMELT MACHINE)를 사용하여 3차 가공을 수행한다. 상기 3차 가공단계(S80)에서 상기 코팅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 톨루엔 = 75 중량% : 25 중량%로 배합하고, 점도 15,000cP 내지 20,000cP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팅제의 도포량이 직물 무게의 10 중량% 내지 15 중량%로 1mm 내지 1.5mm 두께의 필름 형태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가공단계(S80)를 거친 직물은 검사하는 검사단계(S90)를 수행한다. 상기 검사단계(S90)에서의 직물 검사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물 검사방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으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제조조건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경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제직 후, 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에서 NaOH 농도 pH 12.5를 유지하고, 95℃의 온도로 60분간 전처리 하였다. 동일 조건(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으로 전처리 이후 40~95℃(40℃→55℃ : 5분간 상승, 55℃ : 2분간 유지, 55℃→65℃ : 3분간 상승, 65℃ : 5분간 유지, 65℃→75℃ : 3분간 상승, 75℃ : 5분간 유지, 75℃→85℃ : 3분간 상승, 85℃ : 5분간 유지, 85℃→95℃ : 3분간 상승, 95℃ : 40분간 유지, 95℃→60℃ : 10분간 하강)의 온도에서 84분 동안 pH4.5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염색하였다. 염색 배합은 O.W.F 기준으로 Dianix Yellow ACE 0.06%, Dianix Red ACE 0.7%, Nylosan Red N-2RBL 0.2%, Nylosan Blue N-BLN 2.1%의 명칭을 가진 염료를 사용하고, 조제로는 균염제(New bon MG) 0.5g/l, Buffer (Green acid pH3.5) 1g/l, 분산제(Sunsolt RM-3405) 0.3% O.W.F의 명칭을 가진 조제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직물은 동일 조건(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으로 4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수세하되 pH 6.5~7.0이 되면 작업을 종료하였다.
고착하기 위해서 고착제로는 음이온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디에틸렌클리콜, 글리콜산이 혼용된 화합물을 5%를 water에 희석하여 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과 함께 70℃로 20분간 수세 후 탈수하였다.
이후, 탈수된 직물은 1차 가공, 2차 가공, 3차 가공을 실시한다. 1차 가공에서는 NET DRYER, 2차 가공에서는 TENTER, 3차 가공에서는 COATING MACHINE를 각각 사용하였다. 발수제인 폴리에테르폴리올, 플루오르알킬아크릴레이크 공중합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혼용된 화합물을 3%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켜 약품에 침지시켜 80% PICK UP을 실시하며 2차 가공단계에서만 사용하였다. 심색제인 아크릴에스테스테르 중합체 화합물을 3%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켜 약품에 침지시켜 80% PICK UP으로 1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농색가공제인 Polydimethyl silozane, Alkyl ethoxylate, water로 혼용된 화합물을 3%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킨 약제물과 Carbamidine compound를 0.5%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킨 약제물 mix 처리된 약제물에 침지시켜 80% PICK UP으로 2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코팅제 배합은 폴리우레탄 수지 : 톨루엔 = 75% : 25%로 배합하여 점도 15,000~20,000 cP의 성능을 가지도록 배합하여 3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그리고 가공 조건값은 120℃의 온도로 건조시간 30m/분으로 건조가공을 1차 가공하였다. 1차 가공된 직물은 20m/분의 속도에서 155℃의 온도로 텐터 가공하여 2차 가공하였다. 그 후 150℃의 온도로 5m/분의 속도에서 코팅제 도포량이 직물 무게에 15%로 1.5mm 두께의 필름 형태로 고르게 도포되도록 3차 가공한 후, 검사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으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제조조건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경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제직 후, 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에서 NaOH 농도 pH 12.5를 유지하고, 95℃의 온도로 60분간 전처리 하였다. 동일 조건(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으로 전처리 이후 40~95℃(40℃→55℃ : 5분간 상승, 55℃ : 2분간 유지, 55℃→65℃ : 3분간 상승, 65℃ : 5분간 유지, 65℃→75℃ : 3분간 상승, 75℃ : 5분간 유지, 75℃→85℃ : 3분간 상승, 85℃ : 5분간 유지, 85℃→95℃ : 3분간 상승, 95℃ : 40분간 유지, 95℃→60℃ : 10분간 하강)의 온도에서 84분 동안 pH4.5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염색하였다. 염색 배합은 O.W.F 기준으로 Dianix Yellow ACE 0.47%, Dianix Red ACE 0.65%, Dianix Blue ACE 0.63%, Dorolan Black MSRL 3.1%의 명칭을 가진 염료를 사용하고, 조제로는 균염제(New bon MG) 0.5g/l, Buffer (Green acid pH3.5) 1g/l, 분산제(Sunsolt RM-3405) 0.3% O.W.F의 명칭을 가진 조제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직물은 동일 조건(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으로 4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수세하되 pH 6.5이 되면 작업을 종료하였다.
고착하기 위해서 고착제로는 음이온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디에틸렌클리콜, 글리콜산이 혼용된 화합물을 5%를 water에 희석하여 직물 무게 17kg 기준으로 water 250L과 함께 70℃로 20분간 수세 후 탈수하였다.
탈수된 직물은 1차 가공, 2차 가공, 3차 가공을 실시하였다. 1차 가공에서는 NET DRYER, 2차 가공에서는 TENTER, 3차 가공에서는 COATING MACHINE 또는 HOTMELT MACHINE를 사용하였다. 발수제인 폴리에테르폴리올, 플루오르알킬아크릴레이크 공중합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혼용된 화합물을 6%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켜 약품에 침지시켜 80% PICK UP을 실시하며 2차 가공단계(S70)에서만 사용하였다. 심색제인 아크릴에스테스테르 중합체 화합물을 4%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켜 약품에 침지시켜 80% PICK UP으로 1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농색가공제인 Polydimethyl silozane, Alkyl ethoxylate, water로 혼용된 화합물을 4%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킨 약제물과 Carbamidine compound를 1%의 함유량으로 water에 희석시킨 약제물 mix 처리된 약제물에 침지시켜 70~80% PICK UP으로 2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코팅제 배합은 폴리우레탄 수지 : 톨루엔 = 75% : 25%로 배합하여 점도 값이 15,000~20,000 cP의 성능을 가지도록 배합하여 3차 가공에만 적용하였다.
그리고 가공 조건값은 120℃의 온도로 건조시간 30m/분으로 건조가공을 1차 가공하였다. 1차 가공된 직물은 20m/분의 속도에서 160℃의 온도로 텐터 가공하여 2차 가공하였다. 그 후 COATING MACHINE 또는 HOTMELT MACHINE에 따라 150℃ 범위의 온도로 5m/분 범위의 속도에서 코팅제 도포량이 직물 무게에 15%로 1.5mm 두께의 필름 형태로 고르게 도포되도록 3차 가공한 후, 검사하였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경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고, 위사로 나일론사, PET사 및 저온융착PET사를 50:50:3의 비율의 가닥수로 배열하여, N/P 교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단계(S10);
    상기 제직단계(S10) 이후 직물을 NaOH 농도 pH 12.5 내지 13.0 및 93℃ 내지 97℃의 온도로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20);
    상기 전처리단계(S20) 이후 염료, 조제 및 분산제로 40℃ 내지 95℃의 온도에서 90분 내지 110분 동안 pH 4.0 내지 4.5의 농도로 염색하는 염색단계(S30);
    상기 염색단계(S30) 이후 염색된 직물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세하는 수세단계(S40);
    상기 수세단계(S40) 이후 고착제를 사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5분 내지 25분간 직물을 수세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S50);
    상기 탈수단계(S50)를 거친 직물을 심색제를 사용하여 120℃ 내지 130℃의 온도로 30m/분 내지 40m/분으로 건조가공하는 1차 가공단계(S60);
    상기 1차 가공단계(S60)를 거친 직물을 발수제 및 농색가공제를 사용하여 20m/분 내지 25m/분의 속도에서 155℃ 내지 165℃의 온도로 가공 하는 2차 가공단계(S70);
    상기 2차 가공단계(S70)를 거친 직물을 147℃ 내지 152℃의 온도로 5m/분 내지 10m/분의 속도에서 코팅제를 도포하는 3차 가공단계(S80); 및
    상기 3차 가공단계(S80)를 거친 직물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90);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단계(S10)에서의 제직은 플레인(PLAIN), 트윌(TWILL) 및 주자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단계(S10)에서 제직되는 직물의 중량은 340g/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단계(S30)에서 사용되는 조제는 균염제(New bon MG) 0.5g/l, 버퍼(Buffer) 1g/l이고, 분산제(Sunsolt RM-3405)는 0.3%(ow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단계(S40)는 pH 6.5 내지 7.0에서 수세단계(S40)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S50)에서 고착제는 음이온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콜산 및 물이 포함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공단계(S60)에서 상기 심색제는 아크릴에스테스테르 중합체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상기 심색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공단계(S70)에서 상기 발수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플루오르알킬아크릴레이크 공중합물,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상기 발수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80 중량% 내지 9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공단계(S70)에서 상기 농색가공제는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알킬 에톡실레이트(Alkyl ethoxylate) 및 물(water)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카바미딘 화합물(Carbamidine compound) 및 물(water)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혼합된 조성물인 것이고, 상기 조성물에 직물을 침지시켜 70 중량% 내지 80 중량% 픽업(PICK UP)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가공단계(S80)에서 상기 코팅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 톨루엔 = 75중량% : 25중량%로 배합하고, 점도 15,000cP 내지 20,00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가공단계(S80)에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량이 직물 무게의 10 중량% 내지 15 중량%로 1mm 내지 1.5mm 두께의 필름 형태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KR1020170144003A 2017-10-31 2017-10-31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KR10203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3A KR102035059B1 (ko) 2017-10-31 2017-10-31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3A KR102035059B1 (ko) 2017-10-31 2017-10-31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89A KR20190048789A (ko) 2019-05-09
KR102035059B1 true KR102035059B1 (ko) 2019-10-22

Family

ID=6654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003A KR102035059B1 (ko) 2017-10-31 2017-10-31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731B (zh) * 2019-05-30 2020-09-08 青岛新维纺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先织后染”常压同浴染多色织物的制备工艺
KR102127987B1 (ko) * 2019-11-19 2020-06-29 진효동 커튼용 직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91B1 (ko) 2007-06-29 2008-09-17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흡한속건사를 이용한 방진복용 직물의 제조방법
KR100977421B1 (ko) 2008-07-04 2010-08-24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고밀도 극세 직물
KR101577046B1 (ko) 2014-06-17 2015-12-11 김해봉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복합소재 원단의 염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91B1 (ko) 2007-06-29 2008-09-17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흡한속건사를 이용한 방진복용 직물의 제조방법
KR100977421B1 (ko) 2008-07-04 2010-08-24 주식회사 텍스랜드앤넥스코 고밀도 극세 직물
KR101577046B1 (ko) 2014-06-17 2015-12-11 김해봉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복합소재 원단의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89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0554B (zh) 一种彩色仿牛仔风格面料的生产方法
US20180105978A1 (en) Ring dyed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5970688B (zh) 一种锦纶56纤维面料的酸性浴染色方法
Holme Coloration of technical textiles
KR102035059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Choi et al. Coloration of poly (lactic acid) with disperse dyes. 1. Comparison to poly (ethylene terephthalate) of dyeability, shade and fastness
CN101424053B (zh) 染色方法
JP4873754B2 (ja) 染色されたオレフィン糸及び前記糸を使用した繊維布地
US20060150610A1 (en) Yarns spun from olefin and cotton fiber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01424054B (zh) 一种染色方法
KR102165956B1 (ko)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 섬유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US6451234B1 (en) Process for producing dyed textile materials having high levels of colorfastness
JP2000054263A (ja) セリシン定着糸を用いる先染め後練り方式の絹織編物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絹織編物
US6544300B1 (en) Process for making dyed textile materials having high colorfastness, and materials made therefrom
CN106519197B (zh) 染色性能改善的聚酯组合物
CN101403197A (zh) 一种彩色纱线
Wiraningtyas et al. Dyeing of woven yarn using areca fruit extract at IKM Nari-Nari Bima City
Miah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liquor ratio of acid and neutral (powder) enzyme on denim garments
Greer et al. Indigo Denims: The Practical Side.
Ahmadi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Trade-Washing on the Color Quality of Silk Yarn
US20060179581A1 (en) Method of achieving a permanent "stone-wash" effect on textile fibre materials
Umamaheswari et al. Enzymatic desizing of hemp cotton fabrics
Baig The exhaust dyeing of acrylic fibers with vat dyes
US20190100872A1 (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 For Preserving A Look Of A Garment
Zhang et al. Testing Chinese ink as a natural dyestuff on silk and cotton fabrics: The foundation for a collection of wearable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