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490A - 차량의 트렁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490A
KR20060048490A KR1020050054439A KR20050054439A KR20060048490A KR 20060048490 A KR20060048490 A KR 20060048490A KR 1020050054439 A KR1020050054439 A KR 1020050054439A KR 20050054439 A KR20050054439 A KR 20050054439A KR 20060048490 A KR20060048490 A KR 2006004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partition member
vehicle
pair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603B1 (ko
Inventor
야스히로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수납 상태를 얻을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차량의 후방에 마련된 트렁크(R)와, 차량의 차폭 방향(Y)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트렁크(R)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트렁크 트림(6))과, 한 쌍의 측벽을 서로 걸치도록 해당 한 쌍의 측벽에 계합된 뒷 카고 보드(13)(트렁크 구획 부재)와, 트렁크 구획 부재의 재치면에 핸들(조작 부재)(48)을 가지며, 핸들(48)의 조작에 연동하여, 뒷 카고 보드(트렁크 구획 부재)(13)의 양측부가 한 쌍의 측벽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벽과 트렁크 구획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장치(4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 구조{TRUNK STRUCTURE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가 적용된 왜건 차의 개략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왜건 차의 트렁크의 내측도면.
도 3은 도 1의 왜건 차의 트렁크의 내측면 사시도로서 (a)는 상 플로어 면 형성시, (b)는 하 플로어 면 형성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로 이용하는 뒷 카고 보드의 개략 분해도.
도 5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이용하는 뒷 카고 보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주요부의 사시도, (b)는 축받이재 주위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로 이용하는 뒷 카고 보드의 후단연의 회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로 이용한 뒷 카고 보드상의 해제 장치의 작동 설명도로서 상측은 해제시, 하측은 계합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이용하는 뒷 카고 보드의 이동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의 전후 카고 보드가 상 플로어 면(f1)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의 뒷 카고 보드만이 하 플로어(f2)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의 전후 카고 보드가 하 플로어면(f2)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의 뒷 카고 보드가 시트 백에 현가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담당하는 해제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담당하는 해제 장치의 분해도 사시도이고, 2 점차차선으로 스위치 부재를 퇴각 위치로부터 다운 위치로 전환한 때의 캠 부재의 이동 상태를 병기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이용하는 해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스위치 부재의 저면도, (b)는 본체의 저면도.
도 16은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 이용하는 해제 장치의 주요부의 저면 사시도.
도 17은 종래 차량의 트렁크 구조의 개략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트렁크 트림 7 : 쿼터 트림
13 : 뒷 카고 보드(트렁크 구획 부재) 27 : 하단 구멍 받이부
28 : 상단 단형상 받이부 33 : ㄷ자형상 핀
41 : 커버부재 42 : 코일 스프링
43 : 해제 장치 48 : 핸들(조작 부재)
54 : 스위치 부재(구동 부재) f1 : 상 플로어 면
f2 : 하 플로어 면 x : 전후 방향(X)
Y : 차폭 방향(Y)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차체 후부의 트렁크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트렁크 구획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차량의 후부에 형성된 트렁크는 각종 크기의 짐이 수용됨에 의해, 트렁크 용량을 보다 크게 확보하는 데는 트렁크 플로어를 보다 낮게 하는 것이 유효하고, 한편, 짐이 없는 경우에는 트렁크 공간의 미관을 유지하고, 탑승원의 거주성(居住性)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트렁크 플로어를 플랫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렁크 플로어는 이용 목적에 따라 플로어 면의 높이가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개2001-328488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리어 시트 백과 테일 게이트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분할된 패키지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패 키지 트레이는 좌우 양단부를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차폭 방향 길이가 변화하고, 상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 제3302571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의 차폭 방향(Y)에서 서로 대하는 좌우 측벽(100)을 이루는 쿼터 트림(110)의 일부에 좌우 비대칭의 돌출량(A1, A2)의 선반 받이 단부(120)를 형성하고, 좌우의 선반 받이 단부(120) 사이에 판형상의 카고 보드(130)를 걸치도록 배설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고 보드(130)는 그 좌우 한쪽이 인상된 다음(부호 up 참조), 동 카고 보드가 좌우 방향으로 뺏다 끼웠다 함으로써 높이를 조정하고, 플로어 면을 상단 위치(fa)와 하단 위치(fb)로 이동할 수 있고, 트렁크 공간을 가변 조정하도록 한다.
[특허 문헌 1]
특개2001-328488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 제 3302571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기술의 경우, 전후 한 쌍의 트렁크 구획 부재인 패키지 트레이의 상하 이동시에는, 일단 짐받이면상의 짐을 내리지 않고 이동 조작할 수 없어 이동 조작성이 나쁘다. 한편, 특허 문헌 2의 트렁크 구획 부재인 카고 보드(130)의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 받이 단부(120)에 양단이 계지된 판형상의 카고 보드(130)를 상하 이동시키는 데는, 카고 보드(130)를 기울이고 나서 한쪽의 선반 받이 단부(120)로부터 인출하고, 재차, 다른 선반 받이 단부(120)에 대해 선반 받이 단부(130)를 기울이고 나서 삽입, 장착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2도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일단, 카고 보드(130)의 짐받이면상의 짐을 내리지 않는 한, 카고 보드(130)의 이동 조작을 행할 수 없고 이동 조작성이 나쁘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기술과 같이 좌우 비대칭의 돌출량(A1, A2)의 선반 받이 단부(120)에 대해 카고 보드(130)를 좌우 방향으로 빼고 끼우는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좌우 측벽을 이루는 선반 받이 단부(120)의 차량 중앙측으로의 돌출량(A1, A2)이 비교적 크게 되고, 차폭 방향(Y)의 공간 폭(B)이 그 만큼 작게 되고, 트렁크 공간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하고, 대용량의 짐을 수용하고자 하는 요망을 충족시키는데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목적으로 하는 점은, 짐을 짐받이면으로부터 내리지 않고, 트렁크 구획 부재에 실은 채로, 용이하게 트렁크 구획 부재의 상하 위치를 전환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항에 관한 차량의 트렁크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 마련된 트렁크와, 상기 차량의 차폭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고 상기 트렁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서로 걸치도록 해당 한 쌍의 측벽에 계합 된 트렁크 구획 부재와,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윗면에 조작 부재를 가지며, 해당 조작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항의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분할된 앞측 구획 부재와 후측 구획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해제 장치는, 해당 앞측 구획 부재 또는 해당 후측 구획 부재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항의 발명은, 제 2항에 기재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후측 구획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항의 발명은, 제 3항에 기재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앞측 구획 부재를 재치 가능한 선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항의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윗면에 차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고, 해당 조작 부재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를 승강할 때의 손잡이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항의 발명은, 제 5항에 기재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로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좌우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크 구멍에 계합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를 차폭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와, 상기 핀 부재에 계합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당 핀 부재를 상기 로크 구멍에서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가 차체 후부에 적용된 왜건 차(C)를 도시하였다.
이 왜건 차(C)는 프런트 시트(1) 및 리어 시트(2)가 배열 구비된 차실(FR)과, 그 후방에 연속하여 리어 시트(2)의 시트 백(3)과 테일 게이트(4) 사이에 확보되는 트렁크(카고 룸)(R)을 구비하고, 테일 게이트(4)의 개방시에 트렁크(R)에 대해 짐(M1)(도 11 참조)의 출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트렁크(R)은 그 차량 전후 방향(X)의 앞부(前部)가 프런트 커버부재(5) 및 그 상측에 위치하는 리어 시트 백(3)으로 구획되고, 그 차폭 방향(Y)의 서로 대하는 좌우 측벽이 트렁크 트림(6) 및 그 하방의 쿼터 트림(7)으로 형성되고, 후부가 테일 엔드 커버(8) 및 그 위쪽의 테일 게이트(4)로 구획된다. 또한, 트렁크(R)의 플로어는 타이어 하우스부(9)를 구비한 플로어 부재(11)로 형성되고, 상하 2단의 플로어 면(f1, f2)에 전환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상측의 기준 플로어 면(f1)이 앞측 구획 부재 및 후측 구획 부재인 한 쌍의 전후 카고 보드(12, 13)가 후술하는 상위치(도 3(a) 참조)에 지지됨으로써 확보되고, 하측의 하 플로어 면(f2) 이 플로어 부재(11)의 부근(도 2, 도 3(b) 참조)에 한 쌍의 전후 카고 보드(12, 13)가 지지됨으로써 확보된다. 또한, 기준 플로어 면(f1)은 리어 시트 백(3)이 전방으로 쓰러진 때에, 그 리어 시트 백(3)의 윗면과 거의 동일 높이로 연속하도록 형성된다(도 9의 2점쇄선 참조).
좌우 측벽을 이루는 트렁크 트림(6) 및 그 하방의 쿼터 트림(7)은 모두 수지 성형되고,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차체 후부 외벽 부재의 내벽측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 중, 트렁크 트림(6)은 도시하지 않은 후륜의 뒤 상방을 덮는 상팽출부(14)와 그 후방에 형성되는 상 오목형상부(15)와 그들의 상방에서 후단 창(16)의 주연을 덮는 이너 커버부(17)와, 그들의 후방에 계속되는 게이트 커버부(18)를 가지고, 일체 형성되어 있다.
쿼터 트림(7)은 트렁크 트림(6)의 하방 형상을 연속시키도록 형성되고, 상팽출부(14)에 연속하는 하팽출부(19)와, 그 후방에 형성된 하 오목형상부(21)를 구비한다. 하팽출부(19)의 주요부로는 전단부 형성 부재(22)가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하 오목형상부(21)의 전후 연부에는 각각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이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전후 가이드 레일(23, 24) 및 하 오목형상부(21)의 전후 연부(wf, wr)는 동일한 수직 평면으로서 형성되고, 이것이 트렁크(R)에서 좌우 서로 대하여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뒷 카고 보드(13)의 상하 이동 조작시에 뒷 카고 보드(13)의 좌우 단부가 수직 평면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서로 대하는 좌우의 전단부 형성 부재(22)에는 앞카고 보드(12)의 좌우단을 상하 위치로 전환하여 지지하는 상하 굴곡 단부(221, 2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 굴곡 단부(221, 2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동일 형상으로 단차(H0)만큼 떨어져서 형성되고, 각각이 차체 중앙에의 돌출량(E1)(도 3(a) 참조)의 앞측부(e1)와 그보다 작은 돌출량(E2)의 후측부(e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하 굴곡 단부(221, 222)에 좌우단이 계지되는 앞카고 보드(12)는,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판(長板)형상으로 수지 성형되고, 길이 방향인 차폭 방향(Y)에서의 중앙 후연(後緣) 부근으로 보드 인출 조작용의 손걸이 부재(25)를 일체적으로 부착한다. 게다가, 앞 카고 보드(12)는 그 좌우단이 상하 굴곡 단부(221, 222)를 따른 형상을 하도록 굴곡하여 노치되고, 즉, 후측보다 앞측이 크게 노치된 굴곡 계합 테두리(121)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굴곡 계합 테두리(121)를 갖는 앞카고 보드(12)는 상하 굴곡 단부(221, 222)로 필요에 따라 이동된다. 그때, 보드 인출 조작용의 손걸이 부재(25)에 조작자가 손을 걸고, 상하 굴곡 단부(221, 222)의 한쪽에서 앞 카고 보드(12)를, 후방으로 인출하고, 그리고 나서, 앞 카고 보드(12)를 다른 쪽의 상하 굴곡 단부(221, 222)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넣도록 압입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상하 위치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 오목형상부(21)의 전후 연부(wf wr)에 마련된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은 경질 수지로 성형되고, 각각이 전후 연부에 도시하지 않은 체결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특히, 전후 연부(wf wr)와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트렁크 대향면은 동일면을 하도록 형성된다.
앞 가이드 레일(23)은 도 2,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홈 폭(g)으로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앞 홈(26)을 형성된다. 동 앞 홈(26)의 홈 깊이(tf)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깊이(tf1, tf2)의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段)형상 받이부(28)와 이들을 연속시키는 얕은 바닥의 만곡형상부(d)를 구비한다. 또한, 만곡형상부(d)의 하단은 로크 구멍인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보다 연속적으로 홈 깊이가 저감하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뒷 카고 보드(13)가 강제적으로 끌어올린 경우에 후술하는 앞핀부(331)가 퇴각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뒷 가이드 레일(2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부터 상방을 향하여 두갈래 형상으로 늘어나는 뒷 홈(29)을 형성된다. 뒷 홈(29)의 홈 깊이(tr)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홈(26)의 홈 깊이(tf)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즉, 홈 깊이(tf1, tf2)의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 및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와, 이들을 연속시키는 얕은 바닥의 만곡형상부(d)를 구비하고, 특히 상방일수록 앞측으로 분기하는 부위는 얕은 바닥의 만곡형상 분기부(31)(도 2 참조)를 이루고, 상단은 약간 홈 깊이를 늘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얕은 바닥의 만곡형상 분기부(31)의 형상은,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에 후술하는 뒷 카고 보드(13)의 ㄷ자형상 핀(33)의 앞핀부(331)를 계합시킨 상태에서, 동 뒷 카고 보드(13)의 후연측을 회동시킨 때에(도 6 참조), ㄷ자형상 핀(33)의 뒷핀부(332)가 그리는 궤적(c)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즉, 뒷 카고 보드(13)가 상위치 또는 하위치에 있어도 앞핀부(331)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상의 ㄷ자형상 핀(33)의 전후핀부(331, 332)는 전후홈(26, 29)에 따라 활주할 수 있다.
ㄷ자형상 핀(33)이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로 전환하고 이동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뒷 카고 보드(13)는 두꺼운 장판형상으로 수지 성형된다. 도 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의 앞단 테두리는 앞 카고 보드(12)의 후연부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후단연은 테일 엔드 커버(8)의 내벽면에 따른 형상으로, 좌우 측연부는 쿼터 트림(7)의 전후 연부 및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트렁크 대향면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q는 하 오목형상부(21)를 덮는 옆 덮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는 보드 본체(34)의 전후연 부근에서 저벽면(fd)에 전후 감합홈(35, 36)을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전후 감합홈(35, 36)에는 보강 부재인 브래킷(37)이 끼워 부착된다. 전후의 브래킷(37)은 금속성이고 홈부(372)를 갖는 햇트형 단면(斷面)의 직선형상 부재이고, 그들의 각 플랜지부(371)의 복수 개소가 보드 본체(34)측에 나사 고정되고, 이들 전후 브래킷(37)이 뒷 카고 보드(13)의 강성을 강화한다.
또한, 도 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는 보드 본체의 저벽면(fd)이고, 좌우 측연 부근에, ㄷ자형상 핀(33)을 수용 지지한다. ㄷ자형상 핀(33)은 전후 감합홈(35, 36)의 방향인 차폭 방향(Y)을 항하여 활주 가능한 한 쌍의 전후핀부(331, 332)와, 한 쌍의 전후핀부(331, 332)를 일체 결합하고 보드 본체(34)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중간부(333)를 구비하고, 전체는 개략 ㄷ자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ㄷ자형상 핀(33)을 수용하는 핀받이 오목부(38)는 그 전후단이 전후 감합홈(35, 36)으로 끼워진 내측영역에 형성되고, 전후 감합홈(35, 36)에 겹쳐지는 전후 핀받이 오목부(381, 382)와 이들을 연속시키는 중간부(383)를 구비한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측연 부근의 전후 핀받이 오목부(38)에는 축받이재(39)에 활주 가능하게 덮인 전후핀부(331, 332)가 배열 구비된다. 금속상태 커버부재(41)는 브래킷(37)의 단부에 중첩되고, 용착되어, 브래킷(37)과 함께 뒷 카고 보드(13)의 보드 본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전후핀부(331, 332)에는 코일 스프링(42)이 각각 바깥으로 끼워지고(外嵌), 각 코일 스프링(42)은 커버부재(41)의 일단과 전후핀부(331, 332) 형상의 돌기부(J) 사이에 압축 변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42)이 한 쌍의 전후핀부(331, 332)를 차폭 방향(Y)으로 외측으로 돌출하여 가세한다.
보드 본체(34)는 좌우 핀받이 오목부(38)의 각 중간 위치에 ㄷ자형상 핀(33)과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 또는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즉, ㄷ자형상 핀(33)을 차폭 방향(Y) 내측으로 인입하여 변위시키는 해제 장치(43)를 좌우에 각각 장착한다.
도 7, 도 13,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장치(43)는 좌우 측연 부근의 상부 플로어 면(f1)에 거의 동일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고리형상 플랜지(44)를 계지시켜 끼워 부착되는 본체(45)와, 본체(45)의 윗면측의 고리형상 오목부(46)(도 14 참조)에 끼워 부착되고, 핸들 축(47)을 통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조작 부재)(48)과, 핸들(48)의 중앙 직사각형 구멍(51)에 돌출하는 상태로 끼워부착되는 상단 돌기부(52)를 구비한 스위치 부재(53)와, 보드 본체(34)의 좌우단에 지지되는 좌우의 ㄷ자형상 핀(33)과, 스위치 부재(53)의 차폭 방향(Y)의 활주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X)으로 변위함으로써 핸들(48)의 상하 요동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서 ㄷ자형상 핀(33)의 중간부(333)를 차체 중앙측으로 인입하여 변위시키는 캠 부재(54)를 구비한다. 또한, 캠 부재(54)는 핸들(조작 부재)(48)의 조작에 연동하여 ㄷ자형상 핀(33)을 로크 구멍에서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이룬다.
도 13,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축(47)을 통하여 본체(45)에 피보팅(樞支)된 핸들(48)은 주부(主部)측에 대해 핸들 축(47)의 반대측 윗면(481)을 하방으로 가압(p1)함으로써 주부(482)측을 지레 작동시켜 상방으로 요동(r1)시킬 수 있다. 이 반대측 윗면(481)의 이측(裏側)에는 한 쌍의 조작편(483)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조작편(483)은 캠 부재(54)를 전환 이동 조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핸들 축(47)에는 코일감기(弦卷) 스프링(55)이 바깥으로 끼워지고, 동 코일감기 스프링(55)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세된다.
본체(45)는 윗면측의 고리형상 오목부(46) 및 그 중측 전체를 개략 덮는 기판부(56)를 구비하고, 게다가, 기판부(56)의 차폭 방향(Y) 양단의 하방에는 소정 간극을 사이에 두고 기판부(56)측과 평행한 한 쌍의 서로 대하는 판형상 가이드 레일(57)(도 16 참조)이 연장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56)는 그 중앙 팽출부(561)에 안내 돌기 부(562) 및 직사각형 가이드 구멍(563)을 형성된다. 안내 돌기부(562)는 개략 직사삭형을 하고, 이것과 직사각형 가이드 구멍(563)에 스위치 부재(53)의 대향 오목부(531) 및 대향 돌벽(突壁)(532)이 활주접촉하고, 스위치 부재(53)를 차폭 방향(Y)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3,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3)는 동 부재를 퇴각 위치(P0)와 차폭 방향(Y) 외측의 다운 위치(P1)로 슬라이드 시키는 조작력을 부여하는 계지 오목부(533)를 윗면에 형성된 주부(534)를 구비한다. 도 15,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부(534)는 그 이면측이고 전후 방향(X)의 양측단에 가이드 돌기부(535)가 한 쌍 형성되고, 동 가이드 돌기부(535)가 기판부(56)측에 차폭 방향(Y)을 향하여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긴 홈(58)에 끼워 맞춤으로써, 차폭 방향(Y)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게다가, 가이드 돌기부(535)는 돌기(k)를 형성되고, 동 돌기(k)가 긴 홈(58)측의 2개의 계합 홈(n)에 전환 계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스위치 부재(53)는 퇴각 위치(P0)와 다운 위치(P1)로 전환하여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2개의 계합 홈(n)은 기판부(56)측의 탄성 지지부에 형성되고, 돌기(k)와 계합 홈(n)의 계합 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위치 부재(53)의 이면의 일부에는 일단이 기판부(56)의 돌기부(59)에 계합하여 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로 가압한 되돌림 스프링(61)이 부착된다. 게다가, 스위치 부재(53)는 그 이면의 되돌림 스프링(61)과 간섭하지 않는 하향면상에 후술하는 이동 규제 핀(62)이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후술하는 이동 규제 홈(63)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4,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5)의 기판부(56)에 평행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됐다. 한 쌍의 판형상 가이드 레일(57)에는 동 레일에 끼워 맞추는 유감(遊嵌) 홈(유동가능하게 끼우는 홈)(64)을 전후 방향(X) 양단에 형성한 캠 부재(54)가 장착된다. 캠 부재(54)는 양단에 유감 홈(64)이 형성되고, ㄷ자형상 핀(33)의 중간부(333)에 맞닿는 L형 계합부(651)를 갖는 주(主)테두리(65)와, 주테두리(65)의 양단 배부(背部)에서 차폭 방향(Y)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부(66) 및 한 쌍의 돌기(66)부 사이에 배열 구비되는 중간 돌기부(67)와, 주테두리(65)의 스위치 부재(53)와의 대향면(도 14에서 상방)에서 돌출하는 탄성 지지편(68)과, 탄성 지지편(68)의 선단에 돌출 마련되는 이동 규제 핀(62)을 구비한다. 또한, 한 쌍의 돌기부(66)는 핸들(48)측의 한 쌍의 조작편(483)에 대향할 때에 가압력을 받아서 L형 계합부(651)에 계합하는 ㄷ자형상 핀(33)의 중간부(333)를 계합 위치(Q1)(도 7 참조)로부터 해제 위치(Q2)로 인입 작동시킬 수 있다.
캠 부재(54)는 유감 홈(64)을 통하여 한 쌍이 서로 대하는 판형상 가이드 레일(57)에 차폭 방향(Y)으로 활주 가능(도 14의 2점쇄선 참조)하게 더구나 전후 방향(X)으로도 소정량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캠 부재(54)는 기판부(56)측에 지지된 굴곡 스프링(69)에 의해 차폭 방향(Y) 외측으로 가압력을 받고 있다. 또한, 캠 부재(54)의 중간 돌기부(67)는 기판(56)측의 전후 방향(X)의 돌출 핀(71)에 바깥에 끼워지는 가압 스프링(72)의 가압력을 받아서 전후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지만, 그 이동은 이동 규제 핀(62)이 스위치 부재(53)의 하향면상의 이동 규제 홈(63)(도 15 참조)에 계합함으로써 규제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53)의 하향면상의 이동 규제 홈(63)은 기점(p1)에서 차폭 방향(Y)으로 늘어나는 직선형상로(r1)와, 직선형상로(r1)의 중간 점(p2)에서 굴곡하여 연장하는 분기로(r2)와, 분기로(r2)의 선단(p3)에서 차폭 방향(Y)으로 늘어나고 경사면(s)에 달하는 가압 가이드 로(r3)와, 경사면(s)을 넘은 위치(p4)에서 중간점(p2)으로 되돌아오는 되돌림 로(r4)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 규제 홈(63)이 형성된 스위치 부재(53)가 되돌림 스프링(61)의 가압력을 받아서 퇴각 위치(P0)에 지지된 상태에서, 굴곡 스프링(69)에 의해 캠 부재(54)가 차폭 방향(Y) 외측으로 가압력을 받은 기준 상태(도 16 참조)에 있어서, 캠 부재(54)측의 이동 규제 핀(62)은 직선형상로(r1)의 기점(p1)에 지지된다.
이 때, 핸들(조작 부재)(48)측의 한 쌍의 조작편(483)은 캠 부재(54)의 중간 돌기부와는 대향하지 않는 비대향 위치(B0)(도 14의 2점차선 참조)에 지지되고, 핸들(48)은 공작동(空作動)한다.
한편, 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P0)로부터 차폭 방향(Y) 외측의 다운 위치(P1)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스위치 부재(53) 이면의 이동 규제 홈(63)이 차폭 방향(Y)으로 빗나간다. 이 경우, 캠 부재(54)의 이동 규제 핀(62)은 s1 방향으로 이동하여 중간점(p2)과 대향하고, 그 때 캠 부재(54)는 가압 스프링(72)의 가압력를 받아서 분기로(r2)측으로 이동하고(s2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부재(54)의 한 쌍의 돌기부(66)도 전후 방향(X)으로 빗나간다. 이 작동에 의해, 캠 부재(54)의 한 쌍의 돌기부(66)는 핸들(48)의 한 쌍의 조작편(483)과 대향하는 대향 위치(B1)로 이동(s2 방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P0)로부터 다운 위치(P1)(도 13 참조)로 전환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54)를 비대향 위치(B0)로부터 대향 위치(B1)로 이동시키고, 핸들(48)의 인상 요동 조작이 이루어지면, 한 쌍의 조작편(483)이 한 쌍의 돌기부(66)를 통하여 ㄷ자형상 핀(33)의 중간부(333)를 가압하고, 계합 위치(Q1)로부터 해제 위치(Q2)(도 7 참조)로 인입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캠 부재(54)가 해제 위치(Q2)에 달한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54)의 이동 규제 핀(62)은 가압 가이드 로(r3)로부터 경사면(s)을 올라가고, 올라간 위치(p4)에 달한다. 이 후, 핸들(48)의 조작이 해제되면, 캠 부재(54)는 굴곡 스프링(69)에 의해 차폭 방향(Y) 외측으로 가압력을 받아서 다운 위치(P1)로부터 퇴각 위치(P0)로 되돌아오고, 동시에 캠 부재(54)의 이동 규제 핀(62)은 올라간 위치(p4)로부터 되돌림 로(r4)를 통하여 중간점(p2)을 경유하여 기점(p1으로 되돌아온다. 이 작동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54)는 가압 스프링(7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대향 위치(B1)로부터 비대향 위치(B0)로 되돌아오게 되고, 다음의 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P0)로부터 다운 위치(P1)로 전환하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은 핸들(48)이 공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해제 장치(43)는 뒷 카고 보드(13)의 좌우 2개소에 배열 구비되고, 뒷 카고 보드(13)의 좌우단에 장착되는 좌우의 ㄷ자형상 핀(33)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4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차체 중앙측, 즉 해제 위치(Q2)로 인입 조작하도록 한다.
다음에, 상술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있어서의, 복수의 트렁크 양태로의 전환 조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R)가 상부 플로어 면(f1)을 형성하는 경우, 앞 카고 보드(12)는 그 좌우단을 전단부 형성 부재(22)의 상 굴곡 단부(221)에 계지되고, 그 앞 카고 보드(12)의 후단연에는 뒷 카고 보드(13)의 전단이 맞대어 있다. 뒷 카고 보드(13)는 그 좌우단에서 한 쌍의 ㄷ자형상 핀(33)을 계합 위치(Q1)로 돌출 지지하고, 각 ㄷ자형상 핀(33)의 전후핀부(331, 332)가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각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에 각각 계합된다. 이로써, 뒷좌석측 리어 시트 백(3)이 기립 위치로부터 앞으로 쓰러진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고 하면, 리어 시트 백(3)의 윗면, 전후 카고 보드(12, 13)의 윗면이 플랫하게 되고, 차실(FR)과 트렁크(R)를 연속시키는 큰 상부 플로어 면(f1)을 형성할 수 있고, 차실(FR)을 확대하여 유효 이용 할 수 있다. 게다가, 리어 시트 백(3)의 윗면에 까지 달하는 큰 재치면에 큰 짐을 용이하게 재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서는 ㄷ자형상 핀(33)의 활주에 의해 용이하게 높이를 조정하고, 트렁크(R)에 안이한 요철 형상을 만드는 일 없이 이용성이 높은 크고 넓은 트렁크(R)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카고 보드(13)의 상부 플로어 면(f1)을 짐받이면으로 하고 거기에 짐(M)을 올려놓은 채 하위치로 이동시킨다고 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해제 장치(43)상의 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P0)로부터 다운 위치(P1)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로써 한 쌍의 좌우의 핸들(조작 부재)(48)을 끌어올리는 요동 조작하고, 한 쌍의 조작편(483)이 캠 부재(54)의 한 쌍 의 돌기부(66)를 통하여 ㄷ자형상 핀(33)의 중간부(333)를 계합 위치(Q1)로부터 해제 위치(Q2)로 인입 작동시키고,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각 상단 단형상 받이부(28)로부터 퇴각시킨다. 이로써 비계합 상태로 되었던, 뒷 카고 보드(13)를 그 짐받이면에 짐(M)을 실은 수평상인채 지지하면서 하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좌우 측단을 좌우 각각의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을 따라 하방으로 용이하게 강하 이동하고,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에 대향시킨다. 이 상태에서 좌우 핸들(48)을 놓으면, 좌우의 ㄷ자형상 핀(33)의 전후핀부(331, 332)가 대향하는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에 코일 스프링(42)의 탄성력으로 돌출하여 계합된다.
이와 같이, 여기서는 좌우 핸들(48)을 해제 장치의 해제 조작 부재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뒷 카고 보드(13)의 승강용의 손잡이로서도 겸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뒷 카고 보드(13)의 승강용의 손잡이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한 쌍의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측벽 측부재)과 뒷 카고 보드(트렁크 구획 부재)(13)의 계합을 해제하는 동시에 뒷 카고 보드의 승강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측벽에 마련한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록 구멍)에의 ㄷ자형상 핀(33)의 계합을 코일 스프링(가세 부재)(42)에 의해 행하고, 계합 해제를 해제 장치(42)의 핸들(구동 부재)(48)로 행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뒷 카고 보드(13)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이동 조작성이 좋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는 앞 카고 보드(12)에 대해 단차(H0)만큼 강하하고, 뒷측의 하 플로어 면(f2)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앞 카고 보드(12)의 하방 공간을 측방측으로 개구시키고, 앞 카고 보드(12)에 짐(M)을 재치한 채라도, 앞 카고 보드(12)의 하방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앞 카고 보드(12)의 손걸이 부재(25)에 조작자가 손을 걸고, 상 굴곡 단부(221)에서 후방으로 인출하고, 게다가, 앞 카고 보드(12)를 하 굴곡 단부(222)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도록 압입 조작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카고 보드(12)를 하 위치로 전환하고, 이 앞 카고 보드(12)와 뒷 카고 보드(13)로 하 플로어 면(f2)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트렁크 높이(Hr)를 이루는 큰 트렁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전후 카고 보드(12, 13)에 의한 하 플로어 면(f2)이 큰 짐받이면을 형성하고, 충분히 큰 짐(M1)의 재치, 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속하여, 좌우의 핸들(48)과 함께 뒷 카고 보드(13)를 트렁크 공간 상방까지 인상하고, 뒷 카고 보드(13) 이면에 미리 부착하여 둔 좌우 한 쌍의 훅(731)부의 스트랩(73)을 리어 시트 백(3)의 헤드 레스트(301)의 지지 기둥(302)에 계지시키고, 도 12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를 시트 백(3)의 배면 대향역으로 회동 지지한다.
이로써, 타이어 하우스(9)의 저벽이 상방을 향하여 완전히 개방되고, 저벽(9)상에 예를 들면 폴리 탱크(M2)와 같은 세로 방향 재치를 필요로 하는 용기를 안정하게 재치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백(3), 앞 카고 보드(12) 및 뒷 카고 보드(13)로 둘러싸이는 공 간(A)에도 물건을 둘 수 있다. 특히, 구르기 쉬운 물품의 경우 시트 백(3)과 뒷 카고 보드(13)가 지지 부재로서 유효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앞 카고 보드(12)와 뒷 카고 보드(13)로 상하 플로어 면(f1, f2)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 카고 보드(13)측을,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에 계합하는 앞핀부(331)를 지점으로 상방으로 요동시키고, 뒷 카고 보드(13)의 하방 공간에 대해 짐(M)을 출입하고, 재차, 뒷 카고 보드(13)측을 닫는다는 간이한 짐(M)의 출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뒷 카고 보드(13)가 하 플로어 면(f2)에 지지되어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좌우의 조작 부재인 핸들(48)을 그대로(스위치 부재(53)를 퇴각 위치(P0)인 채로 한다) 끌어올리고, 공작동 상태에서 요동 조작한다. 그 상태에서, 뒷 카고 보드(13)의 후단연를 상방으로 요동시키면, ㄷ자형상 핀(33)의 뒷 핀부(332)는 돌출 상태에 있지만, 뒷 가이드 레일(24)의 뒷 홈(29)의 두 갈래 형상으로 늘어나는 만곡형상 분기부(31)가 얕은 바닥의 만곡형상부(d)(도 7 참조)를 구비함으로써, 여기에 활주접촉하는 뒷 핀부(332)의 퇴각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뒷 카고 보드(13) 하방에의 간이한 짐(M) 출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는, 뒷 카고 보드(13)의 좌우단의 ㄷ자형상 핀(33)이 계합 위치(Q1)와 해제 위치(Q2) 사이에서 활주하여, 전후 핀부(331, 332)를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각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로 전환하여 계합시킴으로써 뒷 카고 보드(13)의 높이 위치를 상하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해제 장치(43)에 의해 구멍부인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와 계합하는 ㄷ자형상 핀(33)을 해제할 수 있고, 뒷 카고 보드(13)의 장착 위치의 이동 조작을 용이화 할 수 있다.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는, 선반부인 상하 굴곡 단부(221, 222)에 앞 카고 보드(12)를 재치한다는 간소한 지지 구조를 채택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을 도모하기 쉽다.
또한,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서는, 후측 구획 부재인 뒷 카고 보드(13)를 하방으로 강하 이동시켰지만, 역으로, 앞 카고 보드(12)를 선반부인 상하 굴곡 단부(221, 222)에 지지시키는 일 없이, 전후 가이드 레일(23, 24)과 같은 부재에 지지시키고, ㄷ자형상 핀(33) 및 해제 장치(43)를 장비시켜서, 하방으로 강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후 카고 보드(12, 13)를 각각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짐받이면에 짐(M)을 재치한 상태인채로 전후 카고 보드(12, 13)를 상하 이동시키고, 보다 다양한 수납 형태로 짐(M)을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매우 편리성이 향상하는 것이다.
상술한 점에 있어서, 뒷 카고 보드(13)는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의 각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에 2단으로 전환하여 높이 조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전후 가이드 레일(23, 24)에 각 하단 구멍형상 받이부(27)와 상단 단형상 받이부(28) 이외에 중간 단형상 받이부(도시 생략)를 마련하여 3단으로 높이 조정할 수 있는 카고 보드 구조로 하여도 좋고, 이 경우도, 도 1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상하 공간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술한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차량의 트렁크 구조는 왜건 차의 후부 트렁크에 적용되고 있지만, 그 밖의 후부 트렁크를 구비한 상용차, 원박스 카 등의 다종의 차량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 조작 수단에 연동하는 해제 장치가 한 쌍의 측벽과 트렁크 구획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고, 트렁크 구획 부재를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짐을 실은 채로 승강 조작하고, 상하 위치를 전환 조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앞측 구획 부재 또는 해당 후측 구획 부재의 어느 한쪽의 트렁크 구획 부재상의 물품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다른쪽의 트렁크 구획 부재를 이동시켜 트렁크를 다양한 수납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렁크 구획 부재가 판형상 부재로 간소한 형상을 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을 도모하기 쉽고, 이동 조작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앞측 구획 부재를 선반부에 재치한다는 간소한 지지 구조를 채택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을 도모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수단이 승강용의 손잡이를 겸하기 때문에, 별도 손잡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한 쌍의 측벽과 트렁크 구획 부재의 계합을 해제 하는 동시에 트렁크 구획 부재의 승강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측벽에 마련한 로크 구멍에의 핀 부재의 계합을 가세 부재에 의해 행하고, 계합 해제를 조작 수단과 연동하는 구동 부재로 행하여, 트렁크 구획 부재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이동 조작성이 좋다.

Claims (9)

  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된 트렁크와,
    상기 차량의 차폭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고 상기 트렁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서로 걸치도록 해당 한 쌍의 측벽에 계합된 트렁크 구획 부재와,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윗면에 조작 부재를 가지며, 해당 조작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측벽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분할된 앞측 구획 부재와 후측 구획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해제 장치는 해당 앞측 구획 부재 또는 해당 후측 구획 부재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후측 구획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앞측 구획 부재를 재치 가능한 선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윗면에 차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고, 해당 조작 부재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를 승강할 때의 손잡이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로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의 좌우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크 구멍에 계합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를 차폭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와, 상기 핀 부재에 계합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당 핀 부재를 상기 로크 구멍으로부터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전방에 마련된 뒷좌석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상기 트렁크를 구성하는 바닥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뒷좌석 시트측에 계지됨으로써 해당 트렁크 구획 부재를 소정 개방도로 지지 가능한 지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 시트와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 사이에서 차량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제 2 트렁크 구획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구획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계합하고 적어도 상단과 하단으로 위치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해당 트렁크 구획 부재가 하단에 위치한 때 해당 트렁크 구획 부재를 소정 개방도로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
KR1020050054439A 2004-07-22 2005-06-23 차량의 트렁크 구조 KR100663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4742A JP4140571B2 (ja) 2004-07-22 2004-07-22 車両の荷室構造
JPJP-P-2004-00214742 2004-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490A true KR20060048490A (ko) 2006-05-18
KR100663603B1 KR100663603B1 (ko) 2007-01-02

Family

ID=3507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39A KR100663603B1 (ko) 2004-07-22 2005-06-23 차량의 트렁크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19077B1 (ko)
JP (1) JP4140571B2 (ko)
KR (1) KR100663603B1 (ko)
CN (1) CN1323866C (ko)
DE (1) DE602005003406T2 (ko)
TW (1) TWI2755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169B1 (fr) * 2006-03-31 2009-12-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loisonnement d'un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FR2915939A1 (fr) * 2007-05-09 2008-11-14 Renault Sas Dispositif de support d'objets dans un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42883A1 (de) * 2007-09-08 2009-03-12 Volkswagen Ag Laderaum für ein Fahrzeug
EP2105352B1 (en) * 2008-03-26 2013-11-06 Fiat Group Automobiles S.p.A. Moveable cargo tray for the trunk of a motor vehicle
FR2936460B1 (fr) * 2008-10-01 2011-06-17 Renault Sas Plancher de coffre mobil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53190B4 (de) * 2008-10-24 2011-03-10 Audi Ag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FR2982217A3 (fr) * 2011-11-07 2013-05-10 Renault Sa Plancher de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multifonction
JP2013144493A (ja) * 2012-01-13 2013-07-25 Kyoraku Co Ltd 車両の荷室構造
CN102529825A (zh) * 2012-02-08 2012-07-04 中国嘉陵工业股份有限公司(集团) 全地形车用储物箱
DE102012101223C5 (de) * 2012-02-15 2019-02-28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Munitionskisten
ES2461466B2 (es) * 2012-11-16 2015-02-05 Seat, S.A. Sistema de regulación de altura de un piso de carga de un maletero
US9073488B1 (en) 2014-05-30 2015-07-0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278647B2 (en) 2014-05-30 2016-03-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096178B1 (en) 2014-05-30 2015-08-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CN104827981B (zh) * 2014-12-22 2018-02-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后备箱盖板支撑结构及有其的车辆
DE102015222481B3 (de) * 2015-11-13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triegelbare Gepäckbodeneinrichtung für einen Gepäckraum eines Kraftfahrzeuges
JP6681200B2 (ja) * 2016-01-18 2020-04-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構造
US10414342B2 (en) * 2017-02-21 2019-09-17 Currentwrx, LLC Rail system for vehicle shelving and canopies
CN107161089A (zh) * 2017-03-20 2017-09-15 蒋雷杰 一种安全货箱装置
DE102017128547A1 (de) * 2017-12-01 2019-06-06 Man Truck & Bus Ag 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und dessen Verwendung
WO2020164034A1 (en) * 2019-02-14 2020-08-20 Psa Automobiles Sa Removable trunk front trim cover
JP6878479B2 (ja) * 2019-02-21 2021-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JP2022112148A (ja) * 2021-01-21 2022-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室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4872A (en) * 1987-08-13 1989-02-17 Yokogawa Electric Corp Dc squid fluxmeter
JP2604949Y2 (ja) * 1993-12-15 2000-06-1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バン型車両における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JPH0999781A (ja) * 1995-10-06 1997-04-15 Mitsubishi Motors Corp フロアボードの固定構造
WO1997041755A1 (en) * 1996-05-03 1997-11-13 Onofrio Giulio D Seat back mounted cargo shelf
US5669537A (en) 1996-06-03 1997-09-2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ortable multi-position vehicle storage unit
JP3302571B2 (ja) * 1996-08-06 2002-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トランクフロアリッドの取付構造
JP4380023B2 (ja) 2000-05-18 2009-12-0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荷室構造
EP1296854B1 (de) * 2000-07-05 2005-09-14 BOS GmbH & Co. KG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JP4590808B2 (ja) * 2001-09-07 2010-12-0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リアパッケージトレイ構造
DE10201803B4 (de) * 2002-01-18 2010-04-15 Webasto Ag Höhenverstellbare Gepäckraumabdeckung
JP3861732B2 (ja) * 2002-04-01 2006-12-2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荷室構造
JP2003291732A (ja) * 2002-04-02 2003-10-15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荷室の仕切構造
JP2003341431A (ja) * 2002-05-27 2003-12-03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JP4441285B2 (ja) * 2004-02-09 2010-03-3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の仕切板支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3406D1 (de) 2008-01-03
JP4140571B2 (ja) 2008-08-27
DE602005003406T2 (de) 2008-09-25
TWI275506B (en) 2007-03-11
JP2006035904A (ja) 2006-02-09
KR100663603B1 (ko) 2007-01-02
TW200606050A (en) 2006-02-16
EP1619077A1 (en) 2006-01-25
CN1323866C (zh) 2007-07-04
EP1619077B1 (en) 2007-11-21
CN1724290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03B1 (ko) 차량의 트렁크 구조
US6546598B1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2002211497A (ja) 降下可能な荷物室を備えた荷物棚、特に飛行機の客室用の荷物棚
JPH06179600A (ja) 産業用リーチ形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CN107618444B (zh) 车辆的货物管理系统
WO2005070725A1 (en) Luggage compartment floor for a vehicle
CN101734200A (zh) 车辆用收纳装置
JP4488028B2 (ja) 荷室床板の支持構造
JP4140572B2 (ja) 車両の荷室構造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JP5131445B2 (ja) 車両用のスライドコンソール
KR101181184B1 (ko)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JP5372416B2 (ja) ローダー用レール装置
JP2003205787A (ja) 自動車用トランク構造
JP6310518B2 (ja) シート下収納装置
KR20200072919A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
US20240109495A1 (en) Rack system for a cargo space of a commercial vehicle
CN111204290A (zh) 车辆行李厢储物总成
JP6878479B2 (ja) 車両用荷室構造
JP4389352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JP4028507B2 (ja) 荷役運搬車両
JP2002114384A (ja) ローダ
CN219077117U (zh) 一种抽拉托盘
JP2006035906A (ja) ロック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