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735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735A
KR20050012735A KR10-2004-7017556A KR20047017556A KR20050012735A KR 20050012735 A KR20050012735 A KR 20050012735A KR 20047017556 A KR20047017556 A KR 20047017556A KR 20050012735 A KR20050012735 A KR 2005001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passage
rotor
moisture absorp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416B1 (ko
Inventor
이케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칸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칸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칸쿄
Publication of KR2005001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2Details of the casing o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24F2203/106Electrical r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10Nuclear fu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율을 향상하고,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의 저감화를 꾀하고,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습기(1)는 흡습로터(2)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39)를 가진 로터 케이스(31)와,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5)와, 재생용 개구부(39)의 통과 후의 재생용 공기의 열을 재생용 개구부(39)의 통과 전의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열회수용 열교환기(7)와, 제습팬(3)을 가진 제습통로(X)와, 재생팬(4)을 가진 재생통로(Y)를 구비하고, 제 2통로부(9)의 하류부에 재생용 개구부(39)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고,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에 재생용 개구부(39)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습로터(2)의 회전방향을 설정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예를 들면 도 6에 그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부터, 원반형상의 흡습로터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한 제습기(1)가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083,304호). 제습기(1)는 제습해야 할 공기인 제습용 공기를 제습팬(3)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습기(1) 안으로 도입해 흡습로터(2)에 통과시켜서 제습하고, 그 제습 후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제습통로(X)와, 제습기(1) 안에서 흡습로터(2)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공기를 순환시켜서 흡습로터(2)를 재생하는 재생통로(Y)를 갖고 있다.
이 재생통로(Y)는 재생용 공기를 폐순환시키기 위한 재생팬(4)과, 흡습로터(2)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5)와, 흡습로터(2)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냉각해서 결로시키는 냉각용 열교환기(6)를 갖고 있다. 또, 재생통로(Y)에는 흡습로터(2)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의 온도를 이용해서 흡습로터(2)에 통과되기 전의 재생용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열회수용 열교환기(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열회수용 열교환기(7)에 의해 가열히터(5)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가열히터(5)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에너지 절약을 꾀하고 있다.
흡습로터(2)는 로터 케이스(31) 안에 수용되어 있고, 예를 들면 3분간에 1회전 정도의 대단히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로터 케이스(31)에는 제습통로(X)의 통로 도중에 개재해서 흡습로터(2)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서 개구하는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통로(Y)의 통로 도중에 개재해서 소정 각도 범위 외에 걸쳐서 개구하는 재생용 개구부(39)가 개구 형성되어 있고, 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와 흡습로터(2)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각각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습용 공기는 제습통로(X)에 의해 제습기(1) 안에 흡입되면, 제습용 개구부(38)를 통과해서 그 때에 흡습로터(2)에 흡습되어서 제습되고, 그리고 외부에 배출된다. 한편, 흡습로터(2)의 수분을 흡습한 부분은 흡습로터(2)의 회전에 의해 제습용 개구부(38)로부터 재생용 개구부(39) 안으로 진입함으로써, 재생용 공기에 의해 재생되어 흡습한 수분을 발산한다. 흡습로터(2)로부터 발산된 수분은 수증기가 되어서 재생통로 안을 유동하고, 냉각용 열교환기에서 냉각되어 결로수로서 드레인 팬(drain pan)에 적하하며 저수 탱크(26)에 모아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흡습로터를 통과하는 제습용 공기와 재생용 공기의 방향이 대향하고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방향을 동일방향으로 한 형태도 알려져 있다. 도 7의 형태도, 도 6에 도시된 형태와 그 제습원리 및 동작은 같지만, 이 방법이, 제습영역(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흡습로터 안의 영역)의 입구와 재생영역(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흡습로터 안의 영역)의 입구의 압력차, 및 제습영역의 출구와 재생영역의 출구의 압력차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습용 공기와 재생용 공기의 방향이 대향하고 있을 경우보다도 작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제습기(도 6 및 도 7)에 의하면, 어느 한 시점에 있어서, 흡습로터(2)는 재생용 개구부(39) 안에 있어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의 쪽이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보다도 재생용 개구부(39) 안에 있어서의 체류 시간이 길고, 가열된 재생용 공기에 장시간 내버려져 있다. 따라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 쪽이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보다도 고온이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흡습로터와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제습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 본체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 로터 케이스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국면을 설명하기 위한, 로터 케이스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제습기의 제습회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제습기의 또 하나의 제습회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한 변형예의 흡습로터 및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
종래의 제습기에서는 이러한 재생용 개구부(39) 안에서 위치에 의해 온도차가 생기고 있고, 통과하는 위치에 의해 재생용 공기의 온도도 달라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는 모두가 혼합된 상태로 열회수용 열교환기(7)에 유입된다.
따라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고온의 재생용 공기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저온의 재생용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버려 재생용 공기 전체의 온도가 낮아지며, 이에 기인해서 열회수용 열교환기(7)에 의한 열회수율이 낮아졌다. 이 때문에, 가열히터(5)에 보내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곤란해서,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율을 향상시켜,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연구의 결과,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구성과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개량함으로써, 또는 흡습로터를 재생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소정의 위치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고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고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장거리 이동시켜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고, 한편,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비교적 저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단거리 이동시켜 비교적 단시간만 열교환을 행하게 함으로써,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상도하며,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원반 형상의 흡습로터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흡습로터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흡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를 가진 로터 케이스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에 칸막이를하고, 상기 제 2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을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칸막이벽부를 가진 열회수용 열교환기와,
상기 제습용 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고, 상기 제습용 개구부를 통과시킨 후에 다시 외부에 배출하는 제습팬을 가진 제습통로와,
상기 제 1통로부, 상기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 상기 제 2통로부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상기 재생용 공기를 유동시키는 재생팬을 가진 재생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설정한 제습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원반 형상의 흡습로터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흡습로터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흡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를 가진 로터 케이스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에 칸막이를 하고, 상기 제2 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을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칸막이벽부를 가진 열회수용 열교환기와,
상기 제습용 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고, 상기 제습용 개구부를 통과시킨 후에 다시 외부에 배출하는 제습팬을 가진 제습통로와,
상기 제 1통로부, 상기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 상기 제 2통로부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상기 재생용 공기를 유동시키는 재생팬을 가진 재생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도하고,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상기 재생통로 안에 설치한 것을 설정한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대로,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구성과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개량함으로써, 또는 흡습로터를 재생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소정의 위치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고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고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장거리 이동시켜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고, 한편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비교적 저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단거리만 이동시켜 비교적 단시간만 열교환을 행하게 함으로써,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나아가서는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습기는, 상기한 대로, 열회수용 열교환기(흡습로터의 재생 후의 재생용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해서 흡습로터 재생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기를 편의적으로 「열회수용 열교환기」라고 한다. 간편함을 위해, 이 열교환기를 「제 1열교환기」라고 하기도 한다)의 구성과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개량함으로써, 또는, 흡습로터를 재생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소정의 위치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고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고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제 1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장거리 이동시켜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고, 한편 흡습로터의 재생영역 중 비교적 저온영역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에는 제 1열교환기 안의 한쪽 통로를 단거리만 이동시켜 비교적 단시간만 열교환을 행하게 함으로써, 제 1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 효율을 향상시킨 점에 특징이 있고, 그 밖의 점은 종래의 제습기와 마찬가지로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습기의 제습회로도, 예를 들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제습기의 제습회로와 마찬가지로 우수하다. 단, 제습회로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교환기의 배치나 개수를 바꾼 여러가지의 형태가 공지되어 있고(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083,304호), 이들 제습회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우선, 본원 발명의 특징부분을 도 4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이외에 예고 없이 문맥상 그렇지 않은 것이 명확할 경우를 제외하고, 흡습로터에 대해서 제습용 공기가 흡입되는 쪽을 「전」,「전면」,「전방」,「앞쪽」 등이라고 하고, 흡습로터에 대하여 제습용 공기가 배출되는 쪽을 「후」,「후면」,「후방」,「뒤쪽」 등이라고 하며, 앞쪽 및 뒤쪽과 직행하는 쪽을 「측면」, 「측방」등으로 한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제습기(상세한 것은 후술)의 로터 케이스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기는 원반 형상의 흡습로터(2)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흡습로터(2)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38)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흡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39)를 가진 로터 케이스(31)를 구비한다. 흡습로터(2)는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열회수용 열교환기(제 1열교환기)(7)는 상기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8)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9)에 칸막이를 하고, 상기 제 2통로부(9)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을 상기 제 1통로부(8)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칸막이벽부를 가진 열회수용 열교환기(7)이다. 또한, 제 1열교환기(7)의 사시도는 도 2에 잘 묘사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통로부(8)는 복수의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구성하는 각각의 원통 형상의 벽이, 이 예에 있어서의 상기 「칸막이벽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 2통로부(9)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8) 사이의 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는, 상기 로터 케이스(31)의 상기 흡습로터(2)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위치에 제 1열교환기(7)를 배치하고, 상기 제 1통로부(8)가 상기 흡습로터(2)의 후면측에서 전면측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통로부(9)가 상기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상기 칸막이벽부를 형성한 예이다.
흡습로터(2)는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고 있으므로, 도 4 중 H로 나타내는 영역, 즉,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에 있는 흡습로터의 부분은 재생용개구부(39) 속으로 들어가고 나서의 시간이 길고, 재생영역 중에서도 고온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 중 C로 나타내는 영역, 즉,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은 재생용 개구부(39) 속으로 들어가고 나서의 시간이 짧고, 재생영역 중에서는 비교적 저온이다. 따라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의 온도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의 온도보다도 높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재생영역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는 로터 케이스(31)의 후방에 마련된 하류 커버부재(50)(도 3참조)에 부딪쳐서 도 4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흐른다. 즉, 제 1열교환기(7)의 흡습로터(2)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로부터 제 2통로부(9) 안으로 유입되고, 제 2통로부(9) 안을 상기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제 2통로부(9)로부터 유출된다.
그렇게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고온의 재생용 공기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보다도 제 2통로부(9) 안을 장거리에 걸쳐서 통과한다. 따라서, 보다 고온의 재생용 공기로부터 보다 많은 열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열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 쪽이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고온의 재생용 공기보다도 제 2통로(9) 안을 장거리 통과하는 부분도 존재하지만, 전체로서 보면,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고온의 재생용 공기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비교적 저온의 재생용 공기보다도 제 2통로부(9)안을 장거리에 걸쳐서 통과하므로,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이것은 실험적으로도 확인되고 있다(실험 데이터는 후술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국면의 특징부분을 도 5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형태도,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하고 있어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 5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정류판(53)(도 5 중 이점쇄선으로 도시)이 로터 케이스(31)의 후방에 마련된 하류 커버부재(50)(도 3참조) 안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재생용 개구부(39)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9)의 하류부에 유도하고, 재생용 개구부(39)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9)의 상류부에 유도하는 정류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습로터(2)를 통과한 재생용 공기는, 도 5 중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흐르고,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는 그 전량이 제 2통로부(9)의 하류부에 유도되며,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는 그 전량이 제 2통로부(9)의 상류부에 유도되므로, 도 4에 도시된 형태보다도 제 1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바람직한 구체예의 회로도는 도 7에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습기(1)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습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습기 본체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로터 케이스(31)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한편, 종래와 같은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습기(1)는 프론트 커버(21)와 리어 커버(22)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길고 횡으로 넓은 형태의 케이스(23)를 갖고 있고, 그 케이스(23) 안에는 제습기 본체(3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케이스(23)의 전면에는 제습기(1) 안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4)가 개구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3)의 상부에는 제습기(1) 안에서 제습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급구(25)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3)의 하부에는 저수 탱크(26)가 전방으로의 인출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3) 안에는 로터 케이스(31)와 팬 케이스(32)를 구비하고, 흡습로터(2), 제습팬(3), 재생팬(4), 냉각용 열교환기(6), 열회수용 열교환기(7), 드레인 팬(34)을 갖는 제습기 본체(30)가 수용되어 있다.
로터 케이스(31)는 프론트 커버(21)에 대향 배치되는 평판부(35)와, 평판부(35)의 후면측에서 흡습로터(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로터 수용부(36)를 갖고 있다. 흡습로터(2)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서 공기가 삽입 통과 가능한 하니콤(honeycomb)재에 제올라이트(zeolite), 실리카겔(silica gel), 염화 리튬, 염화 칼슘 등의 제습제를 표면이나 내부에 유지시킨 것을 링(ring)형상의 프레임체 안에 수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중심이 로터 케이스(31)에 지지되어 있다. 흡습로터(2)는 도시하지 않은 감속기구를 통해서 로터 모터(37)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의 회전속도(예를 들면 약 3분간 대략 1회전하는 회전속도. 회전속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1분간당 1/10회전 또는 1회전 정도)로, 전면측에서 보아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도 4참조).
그리고, 로터 케이스(31)에는 제습용 공기가 통과되는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용 공기가 통과되는 재생용 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용 개구부(39)는 로터 케이스(3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흡습로터(2)의 전면(2a)과 후면(2b)이 각각 일부 노출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제습용 개구부(38)는 흡습로터(2)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 회전영역의 약 3분의 2의 범위)에 걸쳐서 개구하고, 재생용 개구부(39)는 그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 회전영역의 약 3분의 1)에 이르며, 제습용 개구부(38)에 대해서 흡습로터(2)의 회전방향에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 케이스(31)의 상부에는 열회수용 열교환기(7)를 수용하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이 형성되어 있다. 열회수용 열교환기(7)는 대치하는 지지벽(41)의 사이에 복수개의 병설되는 파이프(칸막이벽부)(42)를 관통시켜서 유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은 이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파이프(42)에 의해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8)[파이프(42) 안]와,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9)[파이프(42) 사이]에 칸막이되어 있고, 제 2통로부(9)에 통과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이 제 1통로부(8)에 통과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 부호(43)는,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상부를 폐쇄해서 제 2통로부(9)와 후술하는 냉각용 열교환기(6)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하는 덮개부이다.
로터 케이스(31)의 앞부분에는 가열히터(5)와 냉각용 열교환기(6)가 부착되어 있다. 가열히터(5)는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한다.
도면 중에서 부호44는, 상류 커버부재이다. 이 상류 커버부재(44)는 로터 케이스(31)의 전방측에서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용 개구부(39)의 사이를 칸막이를 하고,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제 1통로부(8)와 재생용 개구부(39)의 상류측 사이를 연통하는 것이며, 가열히터(5)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냉각용 열교환기(6)는 대치하는 지지벽(45)의 사이에 복수개의 병설되는 파이프(46)(칸막이벽부)를 관통시켜서 유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제습용 개구부(38)의 전방 위치에서 파이프(46)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습용 개구부(38)를 통과하기 전의 제습용 공기가 통과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용 열교환기(6)의 상부는 연통로를 통해서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제 2통로부(9)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 냉각용 열교환기(6)는 파이프(46)가 연직 방향보다도 약간 경사진 자세상태(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약 15도의 경사각)로 로터 케이스(31)에 부착되어 있고, 파이프(46) 안에서 결로한 결로수의 표면장력을 언밸런스(unbalance)로 해서 적극적으로 흘러 내리게 해, 파이프(46) 안에 결로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냉각용 열교환기(6)의 하부에는 파이프(46) 안에서 결로해서 낙하하는 결로수를 모으는 드레인 팬(34)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34)은 드레인 팬(34) 안에고인 물을 저수 탱크(26)에 유도하기 위한 드레인 구멍(47)과, 드레인 팬(34) 안에 유입된 공기를 다시 재생팬(4)에 공급하기 위한 덕트(duct)(48)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드레인 구멍(47)은 도시하지 않은, 공기를 유통시키는 일 없이 결로수를 저수 탱크(26)에 회수하는 수단을 갖는다.
로터 케이스(31)의 뒷부분에는 하류 커버부재(50)와 팬 케이스(32)가 부착되어 있다. 하류 커버부재(50)는 로터 케이스(31)의 후방측에서 제습용 개구부(38)와 재생용 개구부(39) 사이를 칸막이를 하고, 재생용 개구부(39)의 하류측과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제 2통로부(9) 사이를 연통하는 것이다.
팬 케이스(32)는 로터 케이스(31)의 뒷부분에 중첩해서 부착함으로써, 로터 케이스(31)와 연동해서 제습팬 수용실(49)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제습팬 수용실(49) 안에는 제습팬(3)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제습팬 수용실(49)의 상부에는 케이스(23)의 공급구(25)에 연속해 제습팬 수용실(49)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 중에 속이 비어있는 큰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습팬(3)의 회전 구동에 의해 흡입구(24)로부터 케이스(23) 안으로 외부의 제습용 공기를 흡입하고, 그 제습용 공기를 냉각용 열교환기(6)의 파이프(46) 사이를 통과시키고, 제습용 개구부(38)를 통과시켜서 흡습로터(2)에 흡습시키며, 제습 후의 공기를 제습팬 수용실(49) 안으로 유입시켜, 제습팬 수용실(49) 상부의 배출구(51)로부터 공급구(25)를 지나서 케이스(23)의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이상의 경로에 의해 제습통로(X)(도 6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팬 케이스(32)의 뒷부분에는 팬 케이스(32)와 팬 커버(33)의 연동에 의해 재생팬 수용실(52)이 형성되어, 그 재생팬 수용실(52) 안에 수용되는 형태로 재생팬(4)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습팬(3)과 재생팬(4)은 팬 케이스(32) 앞쪽과 뒤쪽에서 같은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팬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스(32) 상부의 U자형의 부분은 하류 커버부재(50)를 덮어서 단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하류 커버부재(50)는 아니다.
그리고, 재생팬 수용실(52)의 상부는 재생팬(4)에 의해 보내진 재생용 공기가 제 1통로부(8)를 통과해서 상류 커버부재(44) 안으로 유입되도록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재생팬 수용실(52)의 하부에는 드레인 팬(34)의 덕트(48)의 선단이 연통 개구하고 있다(도 3참조).
따라서, 도면 중에 큰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재생팬(4)의 회전 구동에 의해 재생팬 수용실(52) 안의 재생용 공기가 재생팬 수용실(52)의 상부에 송출되어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제 1통로부(8)를 통과해서 로터 케이스(31)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이동하고, 상류 커버부재(44)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류 커버부재(44) 안에서 가열히터(5)에 의해 가열된 후에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해서 흡습로터(2)의 전면(2a)측으로부터 후면(2b)측으로 유동하고, 하류 커버부재(50) 안을 상승해서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하면으로부터 열회수용 열교환기(7) 안으로 유입되고,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의 제 2통로부(9) 안[파이프(42)사이]을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르도록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통과하고, 제 2통로부(9)의 하류부(9b)로부터 유출된다.
그로부터, 냉각용 열교환기(6) 안으로 유입되고, 파이프(46) 사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통과하는 제습용 공기에 의해 냉각한 후에 덕트(48)를 통과해서 다시 재생팬 수용실(52)에 되돌려진다. 이상의 폐순환로에 의해 재생통로(Y)(도 6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습기(1)에 의하면, 제습기(1)의 운전개시에 의해,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는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흡습로터(2)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7A)로부터 제 2통로부(9) 안으로 유입되고, 제 2통로부(9) 안을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라서 유동해서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7B)로부터 유출된다.
흡습로터(2)는 제 2통로부(9) 안을 유동하는 재생용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그 회전방향이 설정되어 있다(도면 중에서는 반시계 회전). 따라서, 재생용 개구부(39)에 있어서 흡습로터(2)의 회전방향 전방 위치에 위치하는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는 측면부(7A)로부터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측으로 유입되고, 제 2통로부(9) 안을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르도록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길이방향에 소정 거리에 걸쳐서 유동한 후에 제 2통로부(9)의 하류부(9b)로부터 유출된다. 한편, 재생용 개구부(39)에 있어서 흡습로터(2)의 회전방향 후방 위치에 위치하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는 측면부(7A)로부터 제 2통로부(9)의 하류부(9b)측으로 유입되고, 금방 빠져 나간다.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은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보다도 재생용 개구부(39) 안에 있어서의 체류 시간이 기므로, 가열된 재생용 공기에 장시간 내버려져 있고,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보다도 고온이 되어 있다. 또한, 수분량이 적어지고 있으므로 가열히터(5)의 열에 의한 증발량도 적고, 기화열이 빼앗기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는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하는 것보다도 온도가 높다.
따라서, 고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로부터 하류부(9b)까지 장거리에 걸쳐서 통과시킬 수 있고, 또한 저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9)의 하류부(9b)로부터 유입시켜서 금방 유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통로부(8)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 즉 가열히터(5)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에 대해서 보다 고온의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재생용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열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가열히터(5)의 가열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높일 수 있고, 제습기(1)의 제습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제 2실시의 형태)
도 5는 제 2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로터 케이스(31)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한편, 제 1실시의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에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류판(53)을 재생통로(Y)의 하류 커버부재(50) 안에 설치한 것이다.
정류판(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로터(2)의 회전 중심 근처 위치로부터 흡습로터(2)의 외주를 향해서 연장되고,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 부근까지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며, 하류 커버부재(50) 안을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측과 그 이외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포함하는 부분측에 칸막이를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만을 제 2통로부(9)의 상류부(9a)를 향해서 적극적으로 유도해서 상류부(9a)에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고,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 공기가 제 2통로부(9)에 도달하기 전에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 이외의 부분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와 혼합해서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습로터(2)의 회전방향과, 제 2통로부(9)를 흐르는 재생용 공기의 흐름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반대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류판(53)으로 하류 커버부재(50) 안을 2실로 칸막이를 하는 것만으로,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상류부(9a)에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류 커버부재(50) 및 정류판(53)의 구조를 단순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2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습용 개구부(38)에 비해서 열회수용열교환기(7)의 제 2통로부(9)가 짧은(작은)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제습용 개구부(38)와 열회수용 열교환기(7)가 긴(큰) 경우에도 정류판(53)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재생용 개구부(39)의 소정 각도 범위가 18O°이고, 열회수용 열교환기(7)가 그 외주부분을 반 도넛(doughnut) 형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습기(1)의 경우에는 재생용 개구부(39)로부터 하류 커버부재(50)를 지나서 열회수용 열교환기 수용실(40)에 이르기까지의 통로 용적이 크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정류판(53)을 재생통로(Y) 안에 설치함으로써,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재생 공기를,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와 서로 혼합될 일 없이 상류부(9a)에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습로터(2)를 수직으로 세운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제습기(1)를 예로 설명했지만, 흡습로터(2)를 수평으로 눕힌 레이아웃을 갖는 것으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제 1 및 제 2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통로부(8)와 제 2통로부(9)가 서로 직교하도록 칸막이 된 열회수용 열교환기(7)를 사용했을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제 1통로부(8)와 제 2통로부(9)가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칸막이 된 열회수용 열교환기(7)를 사용하고, 제 1통로부(8) 안의 재생용 공기와 제 2통로부(9) 안의 재생용 공기가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형태의 일예를 도 8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8 중 아래쪽의 도면은 위쪽의 도면의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에 의하면, 재생통로(Y)는 재생용 공기가 제 1통로부(8) 안을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해서 흡습로터(2)의 후면(2b)측으로부터 전면(2a)측으로 유동하고, 가열히터(5)로 가열된 후에 재생용 개구부(39)를 통과해서 흡습로터(2)의 전면(2a)측으로부터 후면(2b)측으로 유동하고,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측면부(7A)로부터 제 2통로부(9) 안으로 유입되며, 제 2통로부(9) 안을 흡습로터(2)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제 2통로부(9)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통로부(8)와 제 2통로부(9)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열회수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통로부(8) 안의 재생용 공기와 제 2통로부(9) 안의 재생용 공기가 칸막이벽(54)을 통해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므로, 제 2통로부(9) 안의 재생용 공기가 갖는 열을 제 1통로부(8) 안의 재생용 공기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열회수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제 1통로부와 제 2통로부를 각각 1개의 통로로서 묘사하고 있지만, 도 1∼5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제 1통로부를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제 2통로부를 복수의 파이프 사이의 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측면부(7A)는 2개의 개구를 갖고,상류측의 개구에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고온공기가 유입되고, 하류측의 개구에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저온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2개의 개구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제 2통로부(9)가 흡습로터(2)를 따라서 연장되므로, 재생용 개구부(39)와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측면부(7A)가 가까이 있으면, 상류측의 개구에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H)을 통과한 고온공기가 유입되고, 하류측의 개구에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C)을 통과한 저온공기가 유입되고, 재생용 개구부(39)와 열회수용 열교환기(7)의 측면부(7A)가 떨어져 있어서 고온공기와 저온공기가 혼합된다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류판(53)을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제습기에 의하면,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입시켜,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입시키도록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설정했으므로,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보다도 장시간, 재생용 개구부 안에 체류해서, 고온에서 건조하고 있는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고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1통로부의 상류부에 유입시켜,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저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상류부로부터 하류부까지 장거리에 걸쳐서 통과시키고, 또한, 저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하류부로부터 유입시켜서 제 2통로부를 금방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높여서 제습기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에 의하면, 재생통로 안에 설치한 정류판에 의해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도하고,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도하므로, 고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입시켜서 상류부로부터 하류부까지 장거리에 걸쳐서 통과시킬 수 있고, 또한, 저온의 재생용 공기를 제 2통로부의 하류부로부터 유입시켜 제 2통로부를 금방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열회수용 열교환기에 의한 열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흡습로터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열히터의 소비 전력당의 제습량을 높이고, 제습기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을 실증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습기를 제작하고, 도 4에 있어서의 로터의 회전방향을 반시계 방향(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계 방향(비교 예)으로 해서, 그 제습량을 측정했다. 한편, 흡습로터의 지름은 25cm, 두께는 1.3cm, 흡습로터의 회전속도는 1분간 당 1/3회전이었다.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낸다.
표1
로터 회전방향 제습량(g/h) 히터 전력(Wh) 제습효율(g/Wh)
반시계 방향(본 발명) 295.0 437.5 0.674
시계 방향(비교예) 261.2 436.5 0.598
실험분위기:25℃ 60%RH 제습용 공기풍량:330m3/h 재생용 공기풍량:20m3/h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습효율이 비교예보다 13% 증가되고, 본 발명에 의해 제습효율이 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0)

  1. 원반 형상의 흡습로터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흡습로터의 로터 회전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흡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를 가진 로터 케이스;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에 칸막이를 하고, 상기 제 2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을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칸막이벽부를 가진 열회수용 열교환기;
    상기 제습용 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고, 상기 제습용 개구부를 통과시킨 후에 다시 외부에 배출하는 제습팬을 가진 제습통로; 및
    상기 제 1통로부, 상기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 상기 제 2통로부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상기 재생용 공기를 유동시키는 재생팬을 가진 재생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기 흡습로터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위치에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연정되도록 상기 칸막이벽부를 설치하고, 재생용 공기가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해서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가열히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해서 다시 상기 흡습로터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향해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상기 흡습로터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2통로부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 안을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통로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재생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상기 제 2통로부 안을 흐르는 재생용 공기의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기 흡습로터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위치에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통로부 및 제 2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상기 칸막이벽부를 설치하고, 재생용 공기가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해서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가열히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해서 다시 상기 흡습로터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향해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상기 흡습로터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2통로부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 안을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통로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재생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흡습로터의 회전방향을, 상기 제 2통로부 안의 재생용 공기의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1통로부 안의 재생용 공기가 상기 제 2통로부 안의 재생용 공기의 유동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도하고, 상기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상기 재생통로의 상기 재생용 개구부보다도 하류측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원반 형상의 흡습로터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흡습로터의 로터 회전 영역의 소정 각도 범위에 개구 형성되어 제습해야 할 제습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습용 개구부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외의 각도 범위에 형성되어 상기 흡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용 개구부를 가진 로터 케이스;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1통로부와,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가 통과하는 제 2통로부에 칸막이를 하고, 상기 제 2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의 열을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하는 재생용 공기에 전달하는 칸막이벽부를 가진 열회수용 열교환기;
    상기 제습용 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고, 상기 제습용 개구부를 통과시킨 후에 다시 외부에 배출하는 제습팬을 가진 제습통로; 및
    상기 제 1통로부, 상기 가열히터, 상기 재생용 개구부, 상기 제 2통로부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상기 재생용 공기를 유동시키는 재생팬을 가진 재생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하류부에 유도하고, 상기 재생용 개구부의 로터 회전방향 전방영역 부분을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2통로부의 상류부에 유도하는 정류판을, 상기 재생통로 안에 설치한 것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기 흡습로터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위치에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상기 칸막이벽부를 설치하고, 재생용 공기가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해서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가열히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해서 다시 상기 흡습로터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향해서 유동하고, 상기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상기 흡습로터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2통로부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 안을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통로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재생통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기 흡습로터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위치에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통로부 및 제 2통로부가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상기 칸막이벽부를 설치하고, 재생용 공기가 상기 제 1통로부를 통과해서 상기 흡습로터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가열히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재생용 개구부를 통과해서 다시 상기 흡습로터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를 향해서 유동하고, 상기 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상기 흡습로터를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2통로부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통로부 안을 상기 흡습로터의 외주를 따르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서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통로부로부터 유출되도록 상기 재생통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로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냉각해서 결로시켜, 상기 재생용 공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상기 재생통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기 제습용 개구부보다도 전방 위치에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습용 개구부를 통과하기 전의 제습용 공기를 사용해서 상기 제 2통로부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의 재생용 공기를 상기 제 1통로부보다도 상류측 위치에 되돌리고, 상기 재생통로를 폐순환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047017556A 2002-05-10 2003-05-09 제습기 KR100970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5569 2002-05-10
JP2002135569A JP3445790B1 (ja) 2002-05-10 2002-05-10 除湿機
PCT/JP2003/005817 WO2003095903A1 (fr) 2002-05-10 2003-05-09 Deshumidifica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735A true KR20050012735A (ko) 2005-02-02
KR100970416B1 KR100970416B1 (ko) 2010-07-15

Family

ID=2867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556A KR100970416B1 (ko) 2002-05-10 2003-05-09 제습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33538B2 (ko)
EP (1) EP1515096A4 (ko)
JP (1) JP3445790B1 (ko)
KR (1) KR100970416B1 (ko)
CN (1) CN100529560C (ko)
CA (1) CA2490686A1 (ko)
TW (1) TWI230244B (ko)
WO (1) WO20030959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78B1 (ko) * 2006-05-02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231321B1 (ko) * 2006-04-27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450556B1 (ko) * 2008-05-07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기
KR101535143B1 (ko) * 2008-08-27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230040841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6704C (zh) * 2004-12-03 2008-11-26 三芳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激光图型制作层的人工皮革及其制作方法
WO2006135169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1891379A2 (en) * 2005-06-13 2008-02-2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101158578B1 (ko) * 2005-06-13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EP1899657B1 (en) * 2005-06-15 2014-03-0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100682269B1 (ko) 2005-10-05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WO2007049902A2 (en) * 2005-10-24 2007-05-03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20070107281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20100281905A1 (en) * 2008-01-10 2010-11-11 Masayuki Takatsuka Dehumidifier
CN101275771B (zh) * 2008-04-02 2010-06-16 北京亚都空气污染治理技术有限公司 转轮除湿机的热回收装置和使用该装置的热回收方法
KR100947614B1 (ko) * 2008-05-07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EP2116783A3 (en) * 2008-05-07 2012-04-04 LG Electronic Inc. Dehumidifier having dehimidifying rotor
KR100958391B1 (ko) * 2008-05-07 201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JP5243363B2 (ja) * 2009-07-17 2013-07-24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除湿機
JP5502390B2 (ja) * 2009-07-28 2014-05-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除湿機
US8632627B2 (en) * 2010-08-10 2014-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dehydration system with desiccant transporter
CN103084156A (zh) 2011-11-04 2013-05-0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除湿装置及其通电脱附装置
JP5453490B2 (ja) 2011-12-21 2014-03-26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除湿と離脱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501727B1 (ko) * 2013-04-09 2015-03-12 주식회사 교원 하이브리드형 데시칸트 제습기 및 그 제습방법
CN103322621A (zh) * 2013-06-08 2013-09-25 绍兴康华环保科技有限公司 吸附式除湿机
JP2016176614A (ja) * 2015-03-18 2016-10-06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る除湿機
TWI656907B (zh) * 2016-12-28 2019-04-21 翁維嵩 分離流體的方法與設備及除濕機
USD835248S1 (en) * 2017-09-06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purifier
USD835249S1 (en) * 2017-09-06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purifier
JP7113205B2 (ja) * 2018-02-28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1624944S (ko) * 2018-04-26 2019-02-18
USD869626S1 (en) * 2018-06-03 2019-12-10 Rehau Limited Air purifier
JP1626392S (ko) * 2018-06-28 2019-03-11
USD870256S1 (en) * 2018-09-07 2019-12-17 Rht Limited Air purifier
USD924386S1 (en) * 2018-12-28 2021-07-06 Jianqiang Huang Dehumidifier
USD923769S1 (en) * 2018-12-28 2021-06-29 Jianqiang Huang Dehumidifier
USD915573S1 (en) * 2019-10-12 2021-04-06 Junwen Zheng Dehumidifier
USD951414S1 (en) * 2020-04-07 2022-05-10 Wellis Co. Ltd. Air sterilizing and cleaning apparatus
USD912796S1 (en) * 2020-10-16 2021-03-09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Air purifier
USD936197S1 (en) * 2020-12-09 2021-11-16 ShenZhen ChangLin Houseware Co., Ltd Dehumidifier
USD921865S1 (en) * 2021-01-12 2021-06-08 Zhongtao Han Humidifier
USD921869S1 (en) * 2021-01-12 2021-06-08 Zhongtao Han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720A (ja) * 1986-02-05 1987-08-08 Mitsubishi Heavy Ind Ltd 除湿装置
US4729774A (en) * 1986-03-10 1988-03-08 Gas Research Institute Nonuniform regeneration system for desiccant bed
TW317603B (ko) * 1994-11-24 1997-10-11 Kankyo Kijyutsu Kenkyusho Kk
JPH09108496A (ja) * 1995-10-23 1997-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付き衣類乾燥機
JP2819497B2 (ja) * 1996-07-29 1998-10-30 株式会社カンキョー 除湿装置
JPH10227484A (ja) * 1997-02-18 1998-08-25 Calsonic Corp 吸湿式除湿装置
SG104251A1 (en) 1998-01-26 2004-06-21 Kanky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ir
JPH11207134A (ja) * 1998-01-28 1999-08-03 Kankyo Co Ltd 除湿方法及び装置
JPH11259352A (ja) * 1998-03-13 1999-09-24 Toshiba Corp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の履歴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3857809B2 (ja) * 1998-04-27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機
JP3574325B2 (ja) * 1998-04-27 2004-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機
JP3045146B2 (ja) * 1998-07-07 2000-05-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湿装置
JP2000337661A (ja) * 1999-05-25 2000-12-08 Sharp Corp 空調機器
JP3438671B2 (ja) * 1999-09-28 2003-08-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湿度調節装置
TW536578B (en) * 2000-09-26 2003-06-11 Seibu Giken Kk Co-generation system and dehumidification air-conditio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21B1 (ko) * 2006-04-27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231278B1 (ko) * 2006-05-02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450556B1 (ko) * 2008-05-07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기
KR101535143B1 (ko) * 2008-08-27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230040841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45790B1 (ja) 2003-09-08
JP2003329269A (ja) 2003-11-19
CA2490686A1 (en) 2003-11-20
WO2003095903A1 (fr) 2003-11-20
CN1666068A (zh) 2005-09-07
TW200307111A (en) 2003-12-01
CN100529560C (zh) 2009-08-19
KR100970416B1 (ko) 2010-07-15
EP1515096A4 (en) 2006-05-24
US20060015974A1 (en) 2006-01-19
US7533538B2 (en) 2009-05-19
TWI230244B (en) 2005-04-01
EP1515096A1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416B1 (ko) 제습기
JP4337402B2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JP5011750B2 (ja) 除湿機
TW200821034A (en) Dehumidification method and dehumidifier system
JP3991869B2 (ja) 除湿装置並びに該装置の結露水処理方法
JP2008142656A (ja) 除湿装置
JP3045146B2 (ja) 除湿装置
CN101617175A (zh) 加湿装置和空调机
CN103212277A (zh) 一种除湿机
JP3933606B2 (ja) 除湿機
JP2003269746A (ja) 除湿装置
CN112577131A (zh) 一种除湿转轮
JP4329584B2 (ja) 除湿装置
KR200184583Y1 (ko) 대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JP2002058951A (ja) 吸湿素子及び除湿装置
JP2006223918A (ja) 除湿乾燥機
JPH11207134A (ja) 除湿方法及び装置
JP3960708B2 (ja) 除湿装置
KR20150001063A (ko) 제습기
JP3919379B2 (ja) 除湿装置
JP3916343B2 (ja) 除湿装置
JP2004000979A (ja) 除湿器
CN203220844U (zh) 一种除湿机
JP2007185657A (ja) 除湿装置
JP4688859B2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