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841A -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 Google Patents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841A
KR20230040841A KR1020210170888A KR20210170888A KR20230040841A KR 20230040841 A KR20230040841 A KR 20230040841A KR 1020210170888 A KR1020210170888 A KR 1020210170888A KR 20210170888 A KR20210170888 A KR 20210170888A KR 20230040841 A KR20230040841 A KR 2023004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housing
inlet
do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049B1 (ko
Inventor
이희용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ublication of KR2023004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는, 전면에 피건조물이 통과하는 투입구 및 공기가 통과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와 연통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투입구 및 흡기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도어가 결합 해제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Dehumidification module and dryer equipped with the same}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건조기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실내를 제습하는데 사용되는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가 개시된다.
의류 건조기는 의류 세탁 후 젖은 상태의 피건조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자연 건조보다 피건조물의 옷감을 보다 더 살려줄 수 있으며, 생활 먼지나 보푸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는 하우징 본체, 하우징 본체 내부에 회전하는 드럼,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 장치,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을 통과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습 장치, 지지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회전하는 드럼에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고 제습 장치를 통과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2735호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의류 건조기에 장착되어 의류 건조 이외에도 실내를 제습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제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는, 전면에 피건조물이 통과하는 투입구 및 공기가 통과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와 연통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투입구 및 흡기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도어가 결합 해제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건조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및 상기 토출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는 제1본체부재; 및 상기 제1본체부재의 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부와 상기 열교환기가 연통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 또는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복수 개의 상기 체결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1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결합부분에 체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체결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구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체결부재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관통구로 형성된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은, 도어에 의해 투입구가 개폐되는 건조기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기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건조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는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복수 개 지점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건조기의 도어 결합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건조기의 열교환기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에 의하면, 의류 건조기에 장착되어 의류 건조 이외에도 실내를 제습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이 건조기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을 구비한 건조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건조기(10)는 하우징(100), 도어(200), 열교환기(300) 및 제습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전면에 피건조물이 통과하는 투입구 및 공기가 통과하는 흡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 중심부에는 드럼이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의 개구는 투입구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투입구의 하측에는 흡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에는 흡입필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흡기구는 투입구로부터 하우징 내부를 지나 열교환기까지 연장된 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0)는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일측이 하우징(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부분(S1)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를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도어(200)의 타측은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 사용이 완료되어 피건조물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200)의 타측을 체결 해제하여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기구와 연통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습모듈(400)은 투입구 및 흡기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습모듈(400)은 도어(200)가 개방 상태일 때, 투입구와 흡기구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모듈(400)은 도어(200)가 하우징(100)의 결합부분(S1, S2)으로부터 결합 해제 상태일 때 하우징(100)의 투입구와 흡기구에 장착되고, 도어(200) 대신 상기 결합부분(S1, S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0)는 열교환기(300)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300)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4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40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4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400)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이 건조기(10)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습모듈(400)은 본체부(410), 흡입부(420) 및 토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0)는 하우징(100)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420)는 본체부(4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420)는 본체부(4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부(420)는 흡기구와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건조기(10)의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토출부(430)는 본체부(4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430)는 본체부(4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부(420)는 드럼 내부 또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하여 건조기(10)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토출부(430)는 토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토출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430)를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흡입부(420) 및 토출부(430)는 본체부(410) 상에서 이격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4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부(420) 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체부(410)는 제1본체부재(4101) 및 제2본체부재(4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부재(4101)에는 흡입부(420) 및 토출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본체부재(4101)는 투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본체부재(4101)는 투입구보다 지름 또는 둘레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본체부재(4101)는 투입구를 통과하지 않고 투입구 주변의 하우징(100)에 가장자리가 접촉하도록 결합 수 있다.
제2본체부재(4102)는 제1본체부재(4101)의 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본체부재(4102)의 하방돌출부분은 투입구의 하측에 형성된 흡기구에 장착되어 흡입부(420)와 열교환기(30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2본체부재(4102)는 기존 건조기(10)의 사용 시 흡기구에 장착되어 있던 필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흡기구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제습모듈(400)은 체결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40)는 본체부(410)의 복수 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440)는 제1본체부재(4101) 또는 제2본체부재(4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440)는 하우징(100)에 대한 도어(200)의 결합부분(S1, S2)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0)는 열교환기(300)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체결부(440)는 제1체결부재(4401) 및 제2체결부재(44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체결부재(4401)는 제1본체부재(4101)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제1체결부재(4401)는 도어(200)의 결합부분(S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결합부분(S1)에는 도어락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락스위치는 결합부분(S1)에 제1체결부재(4401)가 체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락스위치는 기존의 도어(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투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데, 도어(200) 대신 결합부분(S1)에 제1체결부재(4401)가 체결되면, 도어락스위치는 도어(200)의 닫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인식하여 건조기(10)가 작동 가능한 상태임을 신호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재(4402)는 제2본체부재(4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재(4402)는 흡기구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분(S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결합부분(S2)에는 리드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리드스위치는 결합부분(S2)에 제2체결부재(4402)가 체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체결부재(4401)와 유사하게, 결합부분(S2)에 제2체결부재(4402)가 체결되면, 리드스위치는 기존의 도어(200)가 닫힌 상태로 인식하여 건조기(10)가 작동 가능한 상태임을 신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부(410)는 자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재는 제1본체부재(4101)에 적어도 두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자석부재는 제습모듈(4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탈부착하기 위한 자석이며, 제습모듈은 자력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석부재는 하우징(100)과 체결부(440) 사이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440)의 제1체결부재(4401) 및 제2체결부재(4402)와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은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장착되더라도 건조기(10)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할 수 있다. 또한, 리드스위치와 도어락스위치의 이중 감지를 통해 드럼 회전구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은 필터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450)는 본체부(410)에 슬라이드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450)는 제2본체부재(4102)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450)는 흡입부(420) 및 하우징(100)의 흡기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450)는 외부로부터 흡입부(420) 및 흡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중간에서 여과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은 핸들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460)는 본체부(410)의 중앙에 관통구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46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관통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460)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습모듈(400)을 하우징(100)에 장착하거나, 장착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을 구비한 건조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를 이용하면 화살표 방향과 따라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10)의 도어(200)를 개방하고, 하우징(100)에 전술한 제습모듈(400)을 장착시키면 건조기(10)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건조기(10)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습한 공기는 제습모듈(400)의 흡입부(4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건조한 공기는 다시 하우징 내부를 통해 이동하고 토출부(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흡입부(420) 및 토출부(43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흡입부(420)로 유입되는 공기와 토출부(4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고온 건조 공기가 다시 흡입부(420)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모듈(400)을 구비한 건조기(10)는 의류 건조 이외에도 실내를 제습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건조기
100: 하우징
200: 도어
300: 열교환기
400: 제습모듈
410: 본체부
4101: 제1본체부재
4102: 제2본체부재
420: 흡입부
430: 토출부
440: 체결부
4401: 제1체결부재
4402: 제2체결부재
450: 필터부
460: 핸들부

Claims (9)

  1. 전면에 피건조물이 통과하는 투입구 및 공기가 통과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와 연통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투입구 및 흡기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습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도어가 결합 해제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동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는 토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및 상기 토출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가 분리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는 제1본체부재; 및
    상기 제1본체부재의 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본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부와 상기 열교환기가 연통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 또는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 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체결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1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도어의 결합부분에 체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체결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구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의 결합을 보강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관통구로 형성된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모듈을 구비한 건조기.
  9. 도어에 의해 투입구가 개폐되는 건조기에 장착되는 건조기용 제습모듈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투입구 및 흡기구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건조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는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복수 개 지점에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건조기의 도어 결합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건조기의 열교환기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게 하는, 건조기용 제습모듈.
KR1020210170888A 2021-09-16 2021-12-02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KR102600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18 2021-09-16
KR20210123918 202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41A true KR20230040841A (ko) 2023-03-23
KR102600049B1 KR102600049B1 (ko) 2023-11-08

Family

ID=8579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888A KR102600049B1 (ko) 2021-09-16 2021-12-02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735A (ko) 2002-05-10 2005-02-02 가부시키가이샤 칸쿄 제습기
JP2007068870A (ja) * 2005-09-09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130005724A (ko) * 2011-07-07 2013-01-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습 겸용 의류 건조기
KR20150092530A (ko) * 2014-02-05 2015-08-13 (주)씨엔티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KR20170128958A (ko)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735A (ko) 2002-05-10 2005-02-02 가부시키가이샤 칸쿄 제습기
JP2007068870A (ja) * 2005-09-09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130005724A (ko) * 2011-07-07 2013-01-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습 겸용 의류 건조기
KR20150092530A (ko) * 2014-02-05 2015-08-13 (주)씨엔티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KR20170128958A (ko)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049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936B1 (ko)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
KR100638938B1 (ko) 의류 건조기의 습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550843B1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CN101812795B (zh) 具备有门组件的衣物处理装置
KR100711351B1 (ko) 세탁기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20230040841A (ko)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KR101137319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리버서블 도어 구조
GB2226390A (en) Domestic laundry drying machine
JP2014030473A (ja) 衣類乾燥機
KR20060104630A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KR20030090495A (ko) 세탁건조기
JP2004215830A (ja) 脱水兼用洗濯機
KR20030032170A (ko) 의류 건조기의 필터 장착구조
JPS6070Y2 (ja) 乾燥機
JP2020039527A (ja) 衣類乾燥機
KR100638903B1 (ko) 의류 건조기의 배기구 개폐 구조
CN112301652B (zh) 衣物处理设备
KR101012359B1 (ko) 의류건조기의 필터케이스 구조
KR100638919B1 (ko) 외기 흡입구의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638927B1 (ko)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KR20060104631A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장착 구조
KR100638918B1 (ko) 외기 흡입구의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947222B1 (ko) 의류 건조기
KR20240069457A (ko)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