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95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958A
KR20170128958A KR1020160059713A KR20160059713A KR20170128958A KR 20170128958 A KR20170128958 A KR 20170128958A KR 1020160059713 A KR1020160059713 A KR 1020160059713A KR 20160059713 A KR20160059713 A KR 20160059713A KR 20170128958 A KR20170128958 A KR 20170128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accommodation space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완식
김동현
박주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958A/ko
Priority to EP17170982.7A priority patent/EP3246458B1/en
Priority to US15/595,390 priority patent/US10329081B2/en
Priority to CN202210001740.1A priority patent/CN114293351A/zh
Priority to CN201710341457.2A priority patent/CN107385829B/zh
Publication of KR2017012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58A/ko
Priority to US16/411,658 priority patent/US11225752B2/en
Priority to US17/561,179 priority patent/US118982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부, 및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 기계실을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연통된 실내의 공기를 제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제습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와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주름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및 의류에 밴 냄새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옷들이 보관된 소위 '옷방(dress room)'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 옷방에는 많은 옷이 보관되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지 않아 습기가 찰 수 있다. 특히, 습도가 높은 장마철이나 여름철 등에는 습기로 인해 옷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습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습장치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와 제습장치를 동시에 구비하기에는 공간적, 비용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실내 제습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소음이 적고, 제습 동작에 따른 실내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된 실내의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는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 및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며 열교환을 통해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및 상기 순환덕트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순환하도록 하는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교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driving frequency)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량(opening degree)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비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턱트의 일단에 연통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턱트의 타단에 연통하고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 공급부에 연통하고 상기 수분 공급부에서 발생한 수분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급수탱크에 연결된 수분 공급관, 상기 수분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부, 및 상기 스팀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제공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 지지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 및 개방 각도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어가 일정한 개방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대한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실내 공기를 제습할 때, 실내의 온도 상승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무빙행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2의 기계실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9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습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9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무빙행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 (referesher)뿐만 아니라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제거를 위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refresh)라 함은 의류에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건조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1), 캐비닛(1)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11),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부(3),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는 의류 지지부(5), 및 의류 수용부(3)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공기 공급부(71) 및 의류 수용부(3)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73)가 구비된 기계실(7)을 포함한다.
한편, 기계실(7)은 필요에 따라 공기 공급부(71)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계실(7)에 공기 공급부(71) 및 수분 공급부(73)가 모두 구비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캐비닛(1)은 내부에 수용공간(31)을 형성하되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의류는 캐비닛(1)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수용공간(31)에 출입할 수 있다.
도어(11)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캐비닛(1)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는 힌지, 링크 등일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00)가 실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에는 도어(11)가 열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연결부재(15)는 도어(11)가 일정한 개방 각도를 유지하도록 도어(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11)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21, 도 9 참조),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조작부(23, 도 9 참조), 및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경고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의류 수용부(3)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기계실(7)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35), 기계실(7)로부터 수용공간(31)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배출부(36), 및 기계실(7)로부터 수용공간(31)으로 수분이 공급되는 수분 배출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31)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가 개방되면 수용공간(31)은 실내와 연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된 방의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35)와 공기 배출부(36)는 기계실(7)의 공기 공급부(71. 도 7 참조)와 각각 연결되고, 수분 배출부(37)는 기계실(7)의 수분 공급부(73, 도 7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의류 수용부(3)는 수용공간(31)으로 방향물질을 공급하는 방향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방향부(33)가 기계실(7)의 상면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수용부(3)는 수용공간(31)에 수용된 의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부(도시되지 않음), 및 수용공간(31)에 수용된 의류로부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지지부(5)는 및 수용공간(31)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에 움직임을 주는 무빙행어(MH)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행어(MH)는 옷걸이(200)의 고리(H)가 수용되는 수용홈(511)이 구비된 행어바(51), 및 행어바(5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바(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53)는 수용공간(31)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행어바(51)의 양단은 지지바(53)에 연결됨으로써 옷걸이(200) 및 의류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MH)는 행어바(51)를 수용공간 내부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은 행어바(51)가 x축 또는 Z축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행어바(51)가 X-Z평면 내에서 운동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구체적인 구동예를 개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55)는 행어바(51)가 y축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5)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51), 모터(551)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행어바(51)의 수평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변환부(553), 모터(551)에서 발생한 동력을 동력 변환부(553)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553), 및 상술한 각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1)의 외부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59)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9)에는 지지바(53)가 고정되는 지지바 고정홀(593)이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바(53)의 일단은 지지바 고정홀(593)에 고정되고 지지바(53)의 타단은 수용공간(31)의 상부면에 구비된 수용공간 관통홀(311)을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수용공간(31) 내부에 공급된 수분이나 공기가 수용공간 관통홀(311)을 통해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 관통홀(311)에는 실링부재(3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553)는 모터회전축(552)에 결합되는 주동풀리(5531), 주동풀리(5531)와 벨트(5535)나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종동풀리(5533), 종동풀리(5533)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55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5537)은 지지프레임(59)에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동력 변환부(555)는 회전축(5537)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5551), 회전축(553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 결합부(5551)에서 연장되는 회전암(5553), 회전암(5553)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축(553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롯 삽입부(5555), 및 행어바(51)에 구비되어 슬롯 삽입부(5555)가 수용되는 슬롯(555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암(5553) 및 슬롯 삽입부(5555)는 지지 프레임(59)에 구비된 변환부 관통홀(591)에 삽입되며, 수용공간(3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한 슬롯(5557)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슬롯(5557)은 행어바(5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행어바(51)는 z축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557)이 행어바(5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행어바(51)는 x축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빙행어(MH)는 동력 변환부(55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환부 커버(5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무빙행어(MH)는 모터(551)가 회전하면 종동풀리(5533)가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5533)에 결합된 회전축(5537)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슬롯 삽입부(5555)는 회전암(5533)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고, 축결합부(5551)를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어바(51)에 구비된 슬롯(5557)은 행어바(5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길이(L)는 슬롯 삽입부(5555)의 회전궤적(O)이 가지는 지름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5557)은 슬롯 삽입부(5555)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x축을 따라 왕복하게 될 것이므로, 슬롯(5557)이 고정된 행어바(51)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x축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동력 변환부(555)의 슬롯 삽입부(5555)는 모터(551)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궤도(O)를 따라 원운동하며, 슬롯(5557)은 슬롯 삽입부(5555)가 제공하는 힘(F) 중 행어바(51)와 나란한 방향의 힘 성분(Fx)에 의해서만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슬롯에 결합된 행어바(51)는 x축을 따라 왕복하게 된다.
한편, 슬롯(5557)의 길이(L)는 슬롯 삽입부(5555)의 회전궤적(O)이 가지는 지름보다 작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행어바(51)가 x-z평면 내에서 왕복운동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무빙행어(MH)의 구조는 행어바(51)가 동력 전달부(553)를 통해 모터(551)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나, 행어바(51)는 모터(551)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동력 변환부(555)의 축결합부(5551)는 모터회전축(552)에 직접 결합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동력 전달부(553)는 모터회전축(552)에 결합된 주동기어, 및 회전축(5537)이 고정되며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되는 종동기어를 통해 동력 변환부(555)에 모터(551)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기계실(7)은 캐비닛(1) 내부에 수용공간(31)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 열풍, 수분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7)은 의류 수용부(3)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31)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steam, mist)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7)에는 수분 생성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75), 및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77)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탱크(75) 및 배수탱크(77)는 기계실(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는 제1 및 제2 핸들(751, 771)을 사용하여 급수탱크(75) 및 배수탱크(77)를 기계실(7)로부터 분리하거나 기계실(7)에 결합할 수 있다. 급수탱크(75) 및 배수탱크(77)의 상부에는 급수구(753, 도 7 참조) 및 배수구(77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로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71) 및 수분 공급부(73)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의 기계실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계실(7) 내부에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는 공기 공급부(71), 및 수용공간(31)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7)의 상면에는 수용공간(31)과 기계실(7) 내부를 연통하는 공기 흡입부(35), 공기 배출부(36) 및 수분 배출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35) 및 공기 배출부(36)는 공기 공급부(71)와 연결되고, 수분 배출부(37)는 수분 공급부(7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35)를 통해 공기 공급부(71)로 제공되고, 공기 공급부(71)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31) 및 이와 연통된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35)를 통해 공기 공급부(71)로 제공되고, 공기 공급부(71)에서 제습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실내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부(35)는 기계실(7)의 상면 전방, 즉, 도어(1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35)로 보다 쉽게 유입될 수 있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습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부(36) 및 수분 배출부(37)는 기계실(7)의 상면 후방, 즉, 캐비닛(1)의 후벽면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계실(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및 수분이 도어(11)의 표면에서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공기 흡입부(35), 공기 배출부(36) 및 수분 배출부(37)의 위치 및 크기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위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분 공급부(73)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31) 내부로 수분(water), 스팀(steam) 또는 미스트(mist)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분 공급부(73)가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분 공급부(73)는 급수탱크(75)에 연결된 수분 공급관(731), 수분 공급관(731)에 구비된 펌프(733), 수분 공급관(731)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부(735), 및 생성된 스팀을 수분 배출부(37)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73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생성부(735) 내부에는 히터(736)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71)는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순환덕트(711),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713), 및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열교환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덕트(711)의 일단은 공기 흡입부(35)와 연결되며, 타단은 공기 배출부(36)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부(35)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부(715)를 거치면서 제습 및 가열되고, 이후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블로워(713)는 공기 흡입부(35)와 열교환부(715)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 흡입부(35)와 열교환부(715) 사이에 양압(정압, positive pressure)를 발생시킴으로써 열교환부(715)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블로워(713)는 열교환부(715)와 공기 배출부(36)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블로워(713)가 열교환부(715) 후방에 음압(부압, negative pressure)를 발생시킴으로써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부(715)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며,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성되는 경우, 열교환부(715)는 팽창밸브(V),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냉매관(717)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밸브(expansion Valve, V)는 순환덕트(711)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를 증발 가능한 압력까지 감압하여 증발기(E)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밸브(V)는 전자식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 LEV)일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선형 팽창 밸브는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도량(opening degree)을 조절함으로써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증가시키면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감소시키면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도 감소시킬 수 있다.
증발기(evaporator, E)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며,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중의 수분은 응축수의 형태로 제거될 수 있다. 응축된 수분은 응축수 회수부(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배수탱크(77)에 수용될 수 있다.
압축기(compressor, P)는 순환덕트(711)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C)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P)는 인버터형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형 압축기는 직류 전압을 원하는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여 압축기의 모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변환된 교류 주파수 값을 압축기의 운전주파수(driving frequency)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운전주파수를 높이면 냉매를 더 많이 압축할 수 있으나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소음이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운전주파수를 낮추면 소음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냉매의 압축비는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응축기(C)에서의 공기 가열 능력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응축기(condenser, C)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증발기(E) 후방에 구비되며, 순환덕트 내부의 공기로 열을 전달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가열되어 수용공간(31)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응축기(C)를 지나 공기 배출구(56)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응축기(C)를 지나 공기 배출구(56)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는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압축기(P)를 제1 운전주파수로 운전하고,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압축기(P)를 상기 제1 운전주파수보다 낮은 제2 운전주파수로 운전하면 응축기(C)를 지나 공기 배출구(56)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1)를 개방하고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에 실내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가 감소함으로써 압축기 모터의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715)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 형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어(11)가 폐쇄된 경우, 즉, 수용공간(31) 내부의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경우에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고 수용공간(31)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수용공간(31)으로 열풍 대신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도어(11)가 개방된 경우, 즉,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를 제습하되,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경우보다 더 낮은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P)의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로, 도어(11)의 개방 정도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습 능력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11)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수용공간(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때, 도어(11)의 개폐 여부 및 개방 각도(θ)는 개폐 감지 수단(1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 감지 수단(13)은 캐비닛(1)에 설치되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 131) 및 도어(11)에 설치되는 영구자석(133)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위치(131)는 접점 부분이 비활성 가스가 충전된 유리관 속에 봉입된 스위치로서, 영구자석(133)의 접근에 따라 상기 접점이 온되거나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캐비닛(1)과 도어(11) 사이의 거리(D)는 증가하게 되고, 개폐 감지 수단(13)이 이를 감지함으로써 도어(11)의 개방 각도(θ)를 파악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도어(11)의 개방 각도(θ)에 따른 제습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어의 개방 각도(°) 제습량(L/h)
15 0.369
30 0.393
45 0.400
60 0.416
90 0.435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11)의 개방 각도(θ)가 증가할수록 제습량도 증가하고, 개방 각도(θ)가 최대(90°)가 되면 제습량 역시 최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11)가 거의 닫힌 경우, 예를 들어, 도어(11)가 15°개방된 경우에도 도어(11)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 비하여 약 85%의 제습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어(11)의 개방 각도(θ)가 증가할수록 기계실(7)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은 실내로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량 및 소음 문제를 적절히 고려하여, 도어(11)의 개방 각도(θ)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연결부재(15)는 도어(11)가 일정한 개방 각도(θ)를 유지하도록 도어(1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도어(1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 수단(13),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717),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718), 무빙행어(MH)를 구동하는 구동부(55),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는 공기 공급부(71), 수용공간(31)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73),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 패널(2), 및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9)를 포함한다.
개폐 감지 수단(13)은 도어(11)의 개방 각도(θ)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9)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717)는 증발기(E) 전방의 냉매관(717)에 설치되며,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718)는 순환덕트(711)의 후단에 설치되며,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온도센서(717, 718)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들은 제어부(9)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21), 및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1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조작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3)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가동 여부, 가동 시간, 가동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 모드는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용공간(31) 내부의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건조 모드, 및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된 제어 정보들은 제어부(9)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9)는 개폐 감지 수단(13)으로부터 도어(11)의 개폐 여부 및 개폐 각도(θ)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온도 센서(717)로부터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온도 센서(718)로부터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부(23)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는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구동부(55), 공기 공급부(71) 및 수분 공급부(7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표시부(21)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1)는 수신된 정보들을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습 모드를 선택하였으나 도어(11)가 열려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경고부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경고부는 표시부(21)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부저 등의 형태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23)를 통해 건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와 제습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9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도어(11)가 닫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0).
상기 건조 모드는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수납된 의류에 대하여 리프레쉬 등을 수행하는 행정이므로, 도어(1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11)가 닫혀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110). 이때, 도어(11)가 닫혀 있는지 여부는 개폐 감지 수단(13)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도어(11)가 닫혀 있는 것이 확인되면, 열교환부(715)를 작동시킨다(S120, S130, S140).
구체적으로, 블로워(713)를 가동하고, 팽창밸브(V)는 기 설정된 제1 개도량으로 개방하고, 압축기(P)는 기 설정된 제1 운전주파수로 운전한다. 이때, 상기 제1 개도량 및 상기 제1 운전주파수는 의류처리장치의 성능,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동 시간 등의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운전주파수는 약 75Hz일 수 있다.
열교환부(715)의 동작에 따라,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 흡입부(35)를 통해 공기 공급부(7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공기 공급부(71)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습 및 가열되고,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31)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분 공급부(73)를 가동시켜 수용공간(31)에 수분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증발기(E)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Tr) 정보 및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 정보를 이용하여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S150, S160, S170).
구체적으로, 증발기(E) 전방의 냉매관(717)에 설치된 제1 온도센서(717)를 이용하여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를 검출하고, 순환덕트(711)의 후단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718)를 이용하여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검출한다. 검출된 온도 정보들은 제어부(9)로 송신된다.
제어부(9)는 수신된 온도 정보들을 이용하여, 열교환부(715)가 설정된 상태로 운전 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된 온도들이 설정된 값과 다른 경우에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9)는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가 기 설정된 제1 온도(T1)보다 높은 경우에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기 설정된 수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밸브(V)의 개도량이 감소하면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가 상기 제1 온도(T1)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증가시켜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T1)는, 예를 들면, 약 17℃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는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가 기 설정된 제2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기 설정된 수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가 감소하면 냉매의 압축비가 감소하고, 냉매가 응축기(C)에서 공기로 전달 가능한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가 상기 제2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는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증가시켜 공기 배출부(36)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T2)는, 예를 들면, 약 6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9)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부(715)가 설정된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조가 완료되면(S180), 압축기(P)를 정지시키고, 팽창밸브(V)를 닫고, 블로워(713)의 가동을 중단시킨다(S190). 이 경우에 있어서,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수용공간(31)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설정된 가동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고,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다시 수용공간(3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715)의 동작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에 대한 제습량 및 가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제습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9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도어(11)가 열려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0).
상기 제습 모드는 실내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므로, 도어(11)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11)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경고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210). 이때, 도어(11)가 열려 있는지 여부는 개폐 감지 수단(13)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도어(11)가 열려 있는 것이 확인되면, 열교환부(715)를 작동시킨다(S220, S230, S240).
구체적으로, 블로워(713)를 가동하고, 팽창밸브(V)는 기 설정된 제2 개도량으로 개방하고, 압축기(P)는 기 설정된 제2 운전주파수로 운전한다. 이때, 상기 제2 개도량 및 상기 제2 운전주파수는 의류처리장치의 성능,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동 시간 등의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개도량은 상기 건조 모드의 상기 제1 개도량보다 더 작을 수 있고, 상기 제2 운전주파수는 상기 건조 모드의 상기 제2 운전주파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부(71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운전주파수는 약 47Hz일 수 있다.
열교환부(715)의 동작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부(35)를 통해 공기 공급부(7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공기 공급부(71)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습되고,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다시 실내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 모드에 비하여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가 더 작기 때문에, 실내로 복귀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증발기(E)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Tr) 정보 및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 정보를 이용하여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S250, S260, S270).
구체적으로, 증발기(E) 전방의 냉매관(717)에 설치된 제1 온도센서(717)를 이용하여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를 검출하고, 순환덕트(711)의 후단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718)를 이용하여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검출한다. 검출된 온도 정보들은 제어부(9)로 송신된다.
제어부(9)는 수신된 온도 정보들을 이용하여, 열교환부(715)가 설정된 상태로 운전 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된 온도들이 설정된 값과 다른 경우에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9)는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가 기 설정된 제3 온도(T3)보다 높은 경우에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기 설정된 수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밸브(V)의 개도량이 감소하면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Tr)가 상기 제3 온도(T3)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을 증가시켜 증발기(E)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 및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3 온도(T3)는, 예를 들면, 약 8℃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는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가 기 설정된 제4 온도(T4)보다 높은 경우에는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기 설정된 수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가 감소하면 냉매의 압축비가 감소하고, 냉매가 응축기(C)에서 공기로 전달 가능한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공기 배출부(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가 상기 제4 온도(T4)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는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증가시켜 공기 배출부(36)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Ta)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4 온도(T4)는, 예를 들면, 약 4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9)는 팽창밸브(V)의 개도량 및 압축기(P)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부(715)가 설정된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습이 완료되면(S280), 압축기(P)를 정지시키고, 팽창밸브(V)를 닫고, 블로워(713)의 가동을 중단시킨다(S290). 이 경우에 있어서, 제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실내의 온도, 습도 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설정된 가동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실내의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715)의 동작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에 대한 제습량 및 가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1: 캐비닛 11: 도어
13: 도어 센서 15: 연결부재
2: 디스플레이 패널 3: 의류 수용부
31: 수용공간 33: 방향부
35: 공기 흡입부 36: 공기 배출부
37: 수분 배출부 5: 의류 지지부
51: 행어바 53: 지지바
55: 구동부 551: 모터
553: 동력 전달부 555: 동력 변환부
557: 변환부 커버 559: 지지 프레임
7: 기계실 71: 공기 공급부
711: 순환덕트 713: 블로워
715: 열교환부 717: 냉매관
73: 수분 공급부 75: 급수탱크
77: 배수탱크 9: 제어부
100: 의류처리장치 200: 옷걸이

Claims (15)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된 실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는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 및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며, 열교환을 통해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및
    상기 순환덕트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순환하도록 하는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driving frequency)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량(opening degree)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비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및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턱트의 일단에 연통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턱트의 타단에 연통하고,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 공급부에 연통하고, 상기 수분 공급부에서 발생한 수분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급수탱크에 연결된 수분 공급관;
    상기 수분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부; 및
    상기 스팀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제공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지지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 및 개방 각도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어가 일정한 개방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59713A 2016-05-16 2016-05-16 의류처리장치 KR20170128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13A KR20170128958A (ko) 2016-05-16 2016-05-16 의류처리장치
EP17170982.7A EP3246458B1 (en) 2016-05-16 2017-05-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595,390 US10329081B2 (en) 2016-05-16 2017-05-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210001740.1A CN114293351A (zh) 2016-05-16 2017-05-16 衣物处理设备
CN201710341457.2A CN107385829B (zh) 2016-05-16 2017-05-16 衣物处理设备
US16/411,658 US11225752B2 (en) 2016-05-16 2019-05-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561,179 US11898299B2 (en) 2016-05-16 2021-1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13A KR20170128958A (ko) 2016-05-16 2016-05-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58A true KR20170128958A (ko) 2017-11-24

Family

ID=5870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13A KR20170128958A (ko) 2016-05-16 2016-05-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329081B2 (ko)
EP (1) EP3246458B1 (ko)
KR (1) KR20170128958A (ko)
CN (2) CN10738582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62A (ko) * 2018-03-13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0050637A1 (ko) * 2018-09-06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32400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제어방법
KR20220089895A (ko) * 2020-12-22 2022-06-2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23362A (ko) * 2019-07-02 2022-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230040841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US11629452B2 (en) 2017-12-08 2023-04-18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3191492A1 (ko) * 2022-03-29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1805S1 (en) * 2016-03-04 2020-01-07 Hermann Thaler Storage furniture
KR20180056037A (ko) * 2016-11-18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913162B2 (en) * 2017-11-28 2024-02-27 Electrolux Professional AB (publ) Tumble dryer
KR20190116093A (ko)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575480A1 (en) * 2018-06-01 2019-12-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0009355A1 (ko) * 2018-07-03 2020-01-09 코웨이 주식회사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을 건조시키는 방법
US20200011003A1 (en) * 2018-07-09 2020-01-09 Procom Heating, Inc. Closet apparel drying, dehumidifying and sanitizing unit
WO2020028397A1 (en) * 2018-07-30 2020-02-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Steam cabinet
RU2768560C1 (ru) 2018-09-06 2022-03-24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20220056632A1 (en) * 2018-09-14 2022-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N111254642A (zh) * 2018-11-30 2020-06-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护理设备的控制方法及衣物护理设备
CN109303425A (zh) * 2018-12-17 2019-02-05 雅棣木业江苏有限公司 一种防静电无尘衣柜
JP2020103367A (ja) * 2018-12-26 2020-07-0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衣類処理装置
KR102636141B1 (ko) * 2019-02-28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10326902B (zh) * 2019-03-15 2021-05-25 木里木外家具启东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衣柜
CN109907517A (zh) * 2019-04-12 2019-06-21 山西能源学院 一种自动除湿衣柜
CN110973863B (zh) * 2019-11-30 2021-10-15 周口师范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配送装置
CN112471774B (zh) * 2020-12-18 2021-12-24 山东大唐宅配家居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家居的多功能鞋柜
WO2022211322A1 (ko) * 2021-04-01 2022-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N113142816B (zh) * 2021-04-27 2022-10-04 嘉兴市裕胜家居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衣柜
CN113331588B (zh) * 2021-04-27 2022-08-23 惠州金海涛家具有限公司 一种家用衣柜的挂衣提升机构
CN113940516B (zh) * 2021-10-18 2023-03-10 浙江爱智贞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智能浴室柜及其控制系统
CN114646093B (zh) * 2022-03-31 2023-10-31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JP2024029583A (ja) * 2022-08-22 2024-03-0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5562Y (zh) * 1994-07-14 1995-04-26 吴之春 干衣/除湿机
US5711159A (en) * 1994-09-07 1998-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efficient refrigerator control system
KR0182650B1 (ko) 1995-11-09 1999-05-15 김광호 세탁기의 램프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02260B1 (ko) * 1997-03-04 1999-06-15 우생윤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US6742284B2 (en) * 2001-01-08 2004-06-01 Advanced Dryer Systems, Inc. Energy efficient tobacco curing and drying system with heat pipe heat recovery
CN1227404C (zh) * 2002-08-26 2005-11-16 杨晚成 多功能干衣柜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7040039B1 (en) * 2004-12-23 2006-05-09 Richard Stein Clothes dryer with lint detector
CN101120215A (zh) * 2005-02-17 2008-02-06 夏普株式会社 冷却箱
CA2599353C (en) *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JP2008104625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101351042B1 (ko) * 2007-08-03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5029255B2 (ja) * 2007-09-26 2012-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後方監視装置
CN101849153B (zh) * 2007-11-06 2012-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冰箱
KR101467770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201254664Y (zh) * 2008-09-12 2009-06-10 广东长菱空调冷气机制造有限公司 一种热泵式干衣机
US9004369B2 (en) * 2010-03-24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ense control algorithm for atomizers in refrigerators
US8819958B2 (en) * 2010-11-08 2014-09-02 Whirlpool Corporation End of cycle detec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WO2012092445A2 (en) * 2010-12-30 2012-07-0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KR101887454B1 (ko) * 2012-01-11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삽입 감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의류건조기
JP5316668B1 (ja) * 2012-04-16 2013-10-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733160A (zh) * 2012-07-13 2012-10-17 吕行 冷凝式干衣机及其控制方法
WO2014152907A1 (en) * 2013-03-14 2014-09-25 Yale Security, Inc. Door closer
WO2014169457A1 (zh) * 2013-04-18 2014-10-23 Xiao Yousong 铰链
KR102083959B1 (ko) * 2013-04-25 202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165584B2 (en) 2013-07-09 2015-10-20 Seagate Technology Llc Air bearing surface having temperature/humidity compensation feature
KR102150312B1 (ko) * 2013-11-25 202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0379B1 (ko) * 2013-12-10 2021-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EP2940410B1 (en) * 2013-12-17 2019-01-02 Mayekawa Mfg. Co., Ltd. Sublimation defrost system for refrigeration devices and sublimation defrost method
KR102204004B1 (ko) * 2014-01-16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60024154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105986455B (zh) * 2015-02-11 2019-11-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变频热泵干衣机膨胀阀控制方法
CN105063958B (zh) * 2015-08-12 2018-11-23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及其电动门的防夹手控制方法
US10648125B2 (en) * 2015-12-18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9452B2 (en) 2017-12-08 2023-04-18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90107862A (ko) * 2018-03-13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0050637A1 (ko) * 2018-09-06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28313A (ko) * 2018-09-06 2020-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9336019B2 (en) * 2018-09-06 2022-11-03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132400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제어방법
KR20220123362A (ko) * 2019-07-02 2022-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220089895A (ko) * 2020-12-22 2022-06-2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40841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WO2023191492A1 (ko) * 2022-03-29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85829B (zh) 2022-01-21
CN114293351A (zh) 2022-04-08
US20190263586A1 (en) 2019-08-29
CN107385829A (zh) 2017-11-24
US20170327306A1 (en) 2017-11-16
EP3246458B1 (en) 2018-06-20
US11898299B2 (en) 2024-02-13
EP3246458A1 (en) 2017-11-22
US10329081B2 (en) 2019-06-25
US11225752B2 (en) 2022-01-18
US20220112652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95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3197B1 (ko) 의류처리장치
US93534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moving hanger bar
KR100782377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KR20220029629A (ko) 의류처리장치
US89667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arget relative humidity
CN102656311B (zh) 用于根据目标相对湿度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US9175433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1139622A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US2023028762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8327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763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5240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33368A (ko) 의류처리장치
EP409530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5631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