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79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79A
KR20220069779A KR1020210034627A KR20210034627A KR20220069779A KR 20220069779 A KR20220069779 A KR 20220069779A KR 1020210034627 A KR1020210034627 A KR 1020210034627A KR 20210034627 A KR20210034627 A KR 20210034627A KR 20220069779 A KR20220069779 A KR 2022006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inet
unit
dry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창배
이연주
차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06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23809A4/en
Priority to CN202180077654.2A priority patent/CN116457524A/zh
Priority to PCT/KR2021/014980 priority patent/WO2022108146A1/ko
Priority to US17/563,666 priority patent/US20220162795A1/en
Publication of KR2022006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건조기는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드럼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개시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열풍(고온 건조한 공기)을 드럼 내로 송풍하여 드럼에 수용되어 있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기의 일반적인 예로서, 세탁을 마친 젖어있는 빨래를 대상물로 하는 의류 건조기(Clothing Dryer)가 많이 사용된다.
통상 가정에서는 의류 건조기는 집 안에 별도로 구획된 세탁실이나 다용도실에 설치하여 사용되는데, 이러한 세탁실이나 다용도실은 창문이 없거나 협소하여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세탁실이나 다용도실의 습도가 높으면 그 곳에 설치된 건조기가 부식될 염려도 있고, 그 곳을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건조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온도를 상승시킨 다음 다시 드럼으로 보내 순환시킬 수 있다. 즉, 건조기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므로, 본체 내부에는 폐쇄형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제습기는 습기를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제습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온도를 상승시킨 다음 제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제습기 내부에는 개방형 유로가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 조절을 위해 추가로 제습기를 설치할 수 있겠으나, 세탁실이나 다용도실의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제습기의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별도의 제습기를 구매해야 한다는 자체가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뿐만 아니라 주위 공간을 제습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건조기가 제습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장착되어야 하는 제습 유닛의 장착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모드로부터 실내 제습을 위한 제습 모드로 전환이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후방에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측방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및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입구로부터 상기 유입구로 이어지는 유로의 중간에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아웃렛 포트가 상기 인렛 포트보다 상기 수직선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유로에 곡선 구간이 형성되도록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가이드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유로를 상하 영역으로 구분하는 배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렛 포트는 상기 아웃렛 포트의 우측에 배치되고, 우하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렛 포트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고, 좌상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아웃렛 포트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흡입 필터 및 상기 아웃렛 포트를 통해 배출될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배출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건조기가 제습 유닛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렛 포트가 차지하는 면적과 상기 아웃렛 포트가 차지하는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 및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유닛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커버는 닫히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및 상기 제습 유닛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게 되는 제1위치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3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 내부의 유닛 수용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상기 유닛 수용부에 장착하거나 분리 가능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1유로를 제공하는 필터 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유닛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유로와,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3유로를 제공하는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에는 제1식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습 유닛에는 제2식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식별부에 대응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식별부에 대응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유닛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에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커버는 닫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를 구획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제2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습 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기는 건조 기능뿐만 아니라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기는 제습 유닛의 장착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기는 건조 모드 및 제습 모드 간의 전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필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기의 필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전면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전면 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에 따른 전면 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가이드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가이드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좌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 2)는 의류, 신발, 잡화 등을 건조 및/또는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필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기의 필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X축에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고, Y축에 따른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고, Z축에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11), 상면(12), 측면(13), 후면(14), 하면(15)을 포함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건조기(1)의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회수용 물통(16)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수용 물통(16)은 캐비닛(10)의 전면(11)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수용 물통(16)은 후술할 냉매 사이클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건조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7)는 캐비닛(10)의 전면(11)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7)는 회전 스위치(17a), 디스플레이(17b) 및 버튼(17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위치(17a)는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며 건조기(1)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b)는 건조기(1)의 동작 상태 및/또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b)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17c)은 사용자가 이를 누름으로써 건조기(1)의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작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베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0)는 캐비닛(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면(15)을 형성할 수 있다. 하면(15)에는 캐비닛(10)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19)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기(1)는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은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의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은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1)는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는 베이스(60) 상에 안착되는 구동모터(31),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32), 풀리(32)와 드럼(20)을 연결하여 구동모터(31)의 동력을 드럼(20)으로 전달하는 벨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20)은 드럼 내부(23)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 및 드럼 내부(23)로부터 드럼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1)는 드럼(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구(22)는 드럼(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구(21)는 드럼(20)의 후방측 개구이며, 상기 유출구(22)는 드럼(20)의 전방측 개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의 전방측 개구는 드럼의 입구일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유입구(21)를 통해 드럼(20)에 유입되어 드럼(2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된 공기는 유출구(22)를 통해 드럼(20)을 빠져나올 수 있다.
드럼(2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24)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24)는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시켜 건조 대상물이 드럼(20) 내부의 공간에 부유된 상태에서 열풍에 접촉하게 한다.
건조 대상물을 드럼(2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전면에 제1개구(또는 투입구)(25)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구(25)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제1개구(25)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 하부에는 베이스(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60)에는 냉매 사이클을 이루는 열교환기(70), 압축기(73), 팽창장치(74) 등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60)에는 팬(80), 구동모터(31), 풀리(32) 등이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60) 상부에는 상기 열교환기(70) 등을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 커버(75)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커버(75)는 베이스(60)와 함께 덕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팬(80)은 베이스(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팬(80)은 송풍력을 발생시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80)은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팬(80)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회전축(83) 및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80)은 후술할 제습 유닛(100, 20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80)은 드럼(20)과 제습 유닛(100,200)을 잇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80)은 드럼의 입구와 후술할 제습 유닛(100, 200)의 유입구(112, 212)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80)은 드럼의 입구로부터 제습 유닛(100, 200)의 유입구(112, 212)로 이어지는 유로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팬(80)의 토출측(82)은 제습 유닛(100, 200)의 유입구(112, 21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팬(80)의 송풍력에 의해 제습 유닛(100, 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제습 유닛 내부의 배출 유로(180, 280)를 따라 캐비닛(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결국, 팬(80)은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하여 제습된 공기가 캐비닛(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80)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라면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80)은 베이스(60) 상에서 열교환기(70)의 후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캐비닛(10)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고 응축시키기 위한 냉매 사이클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사이클은 열교환기(70), 압축기(73), 팽창장치(74)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70)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으며, 증발기(71) 및 응축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73)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72)로 유입된다. 응축기(72)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고,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팽창장치(74)는 응축기(7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상태의 냉매를 저압 상태로 팽창시킨다. 증발기(71)는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의 열을 빼앗을 수 있다.
건조기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고 건조 모드로 동작시킬 경우에, 드럼(20)에서 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71)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에서 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71)를 지나면서 냉각되므로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할 수 있다. 이때,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71)에서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회수용 물통(16)으로 이동하거나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71)를 지나 저온 건조해진 공기는 응축기(72)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71)에서 배출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72)를 지나면서 가열되므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유입구(21)를 통해 드럼(20)으로 유입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유출구(2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된 공기는 다시 증발기(71)를 통과할 수 있다. 정리하면, 공기는 캐비닛(10) 내부를 순환하면서 드럼(2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 모드에서 건조기(1)의 캐비닛(10) 내부에는 폐쇄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폐쇄형 유로란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기(70) 및 드럼(20)을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도 2의 화살표 참조)일 수 있다. 폐쇄형 유로는 캐비닛(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캐비닛(10)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기의 흐름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기(1)는 열교환기(7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캐비닛(10)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65)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습 유닛(100, 200)과 필터 유닛(50)은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 유닛(100, 200)과 필터 유닛(50)은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에 형성되는 유닛 수용부(6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유닛 수용부(61)에는 제습 유닛(100, 200) 또는 필터 유닛(5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습 유닛(100, 200)과 필터 유닛(50)은 서로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 수용부(61)에 제습 유닛(100, 200)이 장착된 경우, 건조기(1)는 주위 공간을 제습하기 위한 제습 모드(제습 운전)를 수행할 수 있다. 유닛 수용부(61)에 필터 유닛(50)이 장착된 경우, 건조기(1)는 의류 등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모드(건조 운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개구(65)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0) 전면에는 유닛 커버(40)가 마련될 수 있다.
유닛 커버(40)가 제2개구(65)를 닫은 상태에서, 유닛 커버(40)의 전면과 캐비닛(10)의 전면(11)이 연결되면서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결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 필터 유닛(50)이나 제습 유닛(100, 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면, 사용자는 제2개구(65)를 통해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장시간 건조기를 사용하다 보면 열교환기에 린트 등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제2개구(65)를 통해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유닛 커버(40)는 결합 돌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41)는 유닛 커버(4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결합 돌기(41)와 대응하는 결합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41)와 결합홈(63)이 결합되면, 유닛 커버(40)는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10)이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유닛 커버(40)가 결합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캐비닛(10)과 유닛 커버(40)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닛 커버(40)는 캐비닛(10)에 대해 회전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하는 결합 힌지(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힌지(42)는 유닛 커버(40)에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결합 힌지(42)와 대응하는 결합 힌지 장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힌지(42)는 결합 힌지 장착부(62)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제습 유닛(100, 200) 또는 필터 유닛(50)이 장착되는 공간 즉, 유닛 수용부(61)가 개폐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50)은 건조기(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50)은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은 유닛 수용부(61)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은 폐쇄형 유로 상에서 공기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필터 유닛(50)은 건조기(1)의 건조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은 베이스(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유닛(50)은 바디(5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은 바디(51) 전방(front side)에 결합되는 전방 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51)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디(5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8),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59)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구(59)는 후방(rear side)에 마련될 수 있으며, 유입구(58)는 측방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서 유입구(58)가 좌측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우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20)으로부터 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유입구(58)를 통해 필터 유닛(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50) 내부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유출구(59)를 통해 유출되어 열교환기(7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디(51) 내부에는, 유입구(58)와 유출구(59)를 연통시키며, 유로(50a)를 형성하는 격벽(55)이 마련될 수 있다. 유로(50a)는 폐쇄형 유로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격벽(55)에는 격벽 돌기(55a)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 돌기(55a)는 열교환기(7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여 유동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 유닛(50)의 바디(51) 후방에는 필터부재(57)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재(57)는 열교환기(7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재(57)는 필터 프레임(57a) 및 필터 프레임(57a)에 장착되는 필터(57b)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57b)는 모직물(천), PET 및 스틸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의 전방 커버(52)의 전면에는 고정부재(53)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53)는 필터 유닛(50)을 건조기(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52)의 전면에는 파지홈(56)이 마련될 수 있다. 파지홈(56)은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필터 유닛(50)을 건조기(1)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유닛(50)에는 제1식별부(54)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부(54)는 전방 커버(52)의 상부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이 장착되는 건조기(1)에는 제1식별부(54)를 감지하는 제1센서(410a, 도 19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부(54)는 자석일 수 있다. 제1식별부(54)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의 관련 부분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에 필터 유닛(50)을 장착한 경우, 건조기(1)는 건조 동작(건조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410a)가 제1식별부(54)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컨트롤러)(400)는 건조 모드를 수행하도록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에서, 필터 유닛(50)은 필수 구성이 아닐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필터 유닛(50)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건조기(1)는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 2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습 유닛(100, 200)은 캐비닛(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습 유닛(100, 200)은 필터 유닛(50) 대신에 건조기(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습 유닛(100, 200)과 필터 유닛(50)은 서로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제습 모드 또는 건조 모드)에 따라 제습 유닛(100, 200) 또는 필터 유닛(50)을 건조기(1)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유닛(50)이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제습 유닛(100, 200)은 유닛 수용부(6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습 유닛(100, 200)은 베이스(60)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유닛(100, 200)은 베이스(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 유닛(100, 200)은 베이스(6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제습 유닛(100, 200)을 건조기(1)에 장착함에 따라, 건조기(1)는 개방형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개방형 유로란 외부의 공기가 건조기(1)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기(70) 및 드럼(20)을 통과한 후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도 6의 화살표 참조)일 수 있다. 또는, 개방형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건조기(1)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기(70)를 통과한 후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일 수 있다. 개방형 유로의 양단(후술할 인렛 포트(121) 및 아웃렛 포트(122))은 각각 캐비닛(10)의 외부와 연통되며, 공기의 흐름은 개방 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유닛(50)을 탈거하고 제습 유닛(100, 200)을 건조기(1)에 장착하는 경우, 폐쇄형 유로가 개방형 유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는 제습 동작(제습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건조기는 건조 모드에서 제습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100)은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습 유닛(100)은 인렛 포트(121) 및 아웃렛 포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포트(121) 및 아웃렛 포트(122)는 바디(110)의 전방(front side)에 마련될 수 있다. 인렛 포트(121)는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웃렛 포트(122)는 공기가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렛 포트(121)를 통해 외부의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으며, 아웃렛 포트(122)를 통해 고온 건조한 공기가 건조기(1)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웃렛 포트(122)는 인렛 포트(121)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렛 포트(121)와 아웃렛 포트(122)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포트(121)와 아웃렛 포트(122)는 동일 평면(예를 들어, 도 8에서 Y-Z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건조기(1)의 전면을 향해 바라볼 때, 아웃렛 포트(122)는 좌측에 인렛 포트(121)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건조기(1)의 드럼(20)을 기준으로 열교환기(70)가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의 전면을 향해 바라볼 때 드럼(20)의 오른쪽에 열교환기(70)가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아웃렛 포트(122)는 드럼(20)에 가깝게 배치되고 인렛 포트(121)는 드럼(20)에서 멀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려면, 아웃렛 포트(122)는 건조기(1)의 중심 쪽에 가깝게 배치되고 인렛 포트(121)는 건조기(1)의 측방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구(25)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P)에 대하여, 아웃렛 포트(122)가 인렛 포트(121)보다 상기 수직선(P)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습 유닛(100)은 폭(W1)이 넓고 높이(H1)는 낮은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폭(W1)을 이등분하여 각각 인렛 포트(121)와 아웃렛 포트(122)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제습 유닛(100)의 전면에서 인렛 포트(121)가 차지하는 면적과 아웃렛 포트(122)가 차지하는 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대등하게 형성된다.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의 제1측에는 배출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111)는 바디(110)의 후방(rear side)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1)는 인렛 포트(12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기(7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출구(111)는 인렛 포트(121)와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기(70)는 배출구(1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111)는 열교환기(7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습 전의 공기로서, 다습한 공기일 수 있다.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의 제2측에는 유입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112)는 바디(11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유입구(112)는 바디(110)의 좌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유로, 베이스 구조 등을 변경함으로써, 유입구(112)는 바디(110)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드럼(20)의 우측에 제습 유닛(100)이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제습 유닛(100)의 좌측에 유입구(112)를 마련함으로써 원활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구(112)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아웃렛 포트(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아웃렛 포트(122)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기로서, 드럼(20)을 관통하여 배출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건조기(1)가 제습 모드로 작동될 경우, 드럼(20) 내부는 비어 있는 상태가 정상이므로, 드럼(20)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는 드럼(20)의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습도의 변화는 없다.
제습 유닛(100)은 흡입 필터(140) 및 배출 필터(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필터(140)와 배출 필터(150)는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흡입 필터(140)는 제습 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고, 배출 필터(150)는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될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흡입 필터(140)는 인렛 포트(121)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11)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필터(140)는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디(110)에는 흡입 필터(140)의 장착을 위한 필터 레일(117)이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필터(140)는 필터 프레임(141) 및 필터 프레임(141)에 장착되는 필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필터(140)는 인렛 포트(121)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 시, 열교환기(7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42)는 모직물(천), PET 및 스틸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필터(150)는 아웃렛 포트(12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배출 유로(18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필터(150)는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디(110)에는 배출 필터(150)의 장착을 위한 필터 레일(118)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필터(150)는 필터 프레임(151) 및 필터 프레임(151)에 장착되는 필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필터(150)는 유입구(112)를 통해 바디(110) 내부로 수용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 공기를 배출 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52)는 모직물(천), PET 및 스틸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 유닛(100)은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130)는 바디(110)의 내부를 유입 유로(170)와 배출 유로(180)로 구획할 수 있다.
유입 유로(170)는 인렛 포트(121)로부터 배출구(111)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입 유로(170)는 바디(110) 내부에서 배출구(111)와 인렛 포트(121)가 연통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인렛 포트(121)를 통해 바디(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유로(170)를 따라 배출구(111)를 통과하여 열교환기(7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제습 전의 공기는 유입 유로(170)를 따라 열교환기(70)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 유로(180)는 유입구(112)로부터 아웃렛 포트(122)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배출 유로(180)는 바디(110) 내부에서 유입구(112)와 아웃렛 포트(122)가 연통되는 통로일 수 있다. 유입구(112)를 통해 바디(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유로(180)를 따라 아웃렛 포트(122)를 통과하여 캐비닛(1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70)를 통과하여 건조된 제습 후의 공기는 배출 유로(180)를 따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130)는 만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유입 유로(170)와 배출 유로(180)가 원활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소정 부분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만곡부(132)는 배출 유로(180) 상에 곡선 구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바디(110)의 후방을 향하여 유입 유로(170)가 확장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130)가 만곡부(132)를 포함함으로써, 공기는 원활하게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30)는 배출 유로(180)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리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리브(131)는 가이드(130)로부터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리브(131)는 배출 유로(180)를 상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출 리브(131)는 유입구(112)를 통해 바디(110) 내부로 수용된 공기를 아웃렛 포트(122)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출 리브(131)는 제습 후의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출 리브(131)는 배출 유로(18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와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180) 상에 배출 필터(150)가 마련되는 경우, 배출 유로(180)를 따라 아웃렛 포트(122)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배출 필터(150)의 저항에 의해 유입구(112) 측으로 방향을 바꿔 유동할 수 있다. 즉,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제습 후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출 리브(131)는 유입구(112)로부터 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아웃렛 포트(122) 측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와류를 억제할 수 있다. 결국, 제습 후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바,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다습한 공기, 즉, 제습 전의 공기는 인렛 포트(121)를 통해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바디(110) 내부에 마련된 유입 유로(170)를 따라 배출구(111)를 통과할 수 있다. 배출구(111)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70)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11)를 통과한 공기는 증발기(71) 및 응축기(72)를 관통하면서, 증발기(71) 및 응축기(72)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70)를 관통한 공기는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온'이라는 의미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라는 의미로, 절대적으로 뜨겁다는 의미는 아니다. 열교환기(70)를 거치면서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드럼(20)의 유입구(21), 드럼 내부(23) 및 유출구(22)를 통과하여, 제습 유닛(100)의 유입구(112)를 통해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드럼(20)의 유출구(22)와 제습 유닛(110)의 유입구(112)를 연결하는 유로에 팬(80)이 배치될 수 있다. 팬(80)은 제습된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바디(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유로(180)를 따라 아웃렛 포트(122)를 통과하여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제습 전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건조기(1) 내부에서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하여 제습되며, 제습 후의 공기가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습 동작(제습 모드)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전면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습 유닛(100)은, 제2개구(65)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121)와, 유입구(112)로 유입된 공기가 제2개구(65)를 통해 배출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 유닛(100)의 바디(110)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에 인렛 포트(121) 및 아웃렛 포트(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는 제습 전, 후의 공기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인렛 포트(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제습 전의 공기)와 아웃렛 포트(122)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제습 후의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제습 전, 후의 공기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예들을 설명한다.
일 예로, 인렛 포트(121)에는 제1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은 후방 상측일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제습 유닛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는 우하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렛 포트(121)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 중 인접하는 유입 가이드 리브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 각각은 상방을 향하는 제1면(127a), 하방을 향하는 제2면(127b), 전방을 향하는 제3면(127c) 및 후방을 향하는 제4면(127d)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면(127a)이 제2면(127b)보다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측방(예를 들어, A-A 선)에서 바라볼 때, 제3면(127c)이 제4면(127d)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웃렛 포트(122)에는 제2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방향은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방향은 전방 상측일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제습 유닛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는 좌상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아웃렛 포트(122)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 중 인접하는 유출 가이드 리브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 각각은 상방을 향하는 제1면(128a), 하측을 향하는 제2면(128b), 전방을 향하는 제3면(128c) 및 후방을 향하는 제4면(128d)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2면(128b)이 제1면(128a)보다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측방(예를 들어, B-B 선)에서 바라볼 때, 제4면(128d)이 제3면(128c)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와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127)와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128)의 형상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커버(120)는 돌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유닛(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23)는 캐비닛(10)의 전면(11)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의 유닛 커버(40)가 닫히지 않게 되고, 사용자는 유닛 커버(4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123)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이 장착된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요컨대,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이 장착된 채로 사용자가 제습 모드가 아닌 건조 모드로 동작시키려고 하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사용자가 제습 유닛(100)을 파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돌출부(123)를 파지한 상태에서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3)는 일종의 핸들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3)의 위치는 제습 유닛(100)의 전면부 어딘가에 있을 수 있는데, 본 개시에 따르면 돌출부(123)가 인렛 포트(121)와 아웃렛 포트(12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핸들로서 기능하기에 더 유리할 수 있다.
전면 커버(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서(160)가 마련될 수 있다. 픽서(160)는 제습 유닛(100)을 건조기(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 내부에는 픽서(160)와 대응하는 고정홈(64)이 형성될 수 있다. 픽서(160)가 고정홈(64)에 끼움 체결됨에 따라, 제습 유닛(100)은 건조기(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0)는 바디(110)와 결합하기 위해 커버 장착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장착부(125)는 전면 커버(12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바디(110)는 전면 커버(120)와 결합하기 위해 바디 장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장착부(114)는 바디(11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바디 장착부(114)에는 복수의 장착 돌기(115)가 형성되며, 커버 장착부(125)에는 복수의 장착 돌기(115)와 대응하는 복수의 장착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장착부(114) 및 커버 장착부(125)가 결합됨에 따라, 장착 돌기(115)는 장착홀(116)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습 유닛(100)은 실링 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190)는 바디(1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외면과 전면 커버(12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90)는 바디(11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건조기(1)는 필터 유닛(50) 또는 제습 유닛(100)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센서는 필터 유닛(50)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410a) 및 제습 유닛(100)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41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19 참조).
필터 유닛(50)은 제1식별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식별부(54)는 전방 커버(52)에 마련될 수 있다. 제습 유닛(100)은 제2식별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식별부(124)는 전면 커버(1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부(54)와 제2식별부(124)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서(410a)는 제1식별부(54)에 대응하고, 상기 제2센서(410b)는 제2식별부(124)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식별부(54)와 제2식별부(120)는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50)을 건조기(1)의 장착한 경우 제1식별부(54)의 위치는, 제습 유닛(100, 200)을 건조기(1)의 장착한 경우 제2식별부(124)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부(54)는 전방 커버(52)의 상부 우측에 마련되며, 제2식별부(124)는 전면 커버(120)의 상부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는 감지 위치에 따라 필터 유닛(50)의 장착 여부 및/또는 제습 유닛(100)의 장착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센서(410a)가 제1식별부(54)를 감지한 경우, 건조기(1)에 필터 유닛(50)이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400)는 건조 운전(건조 모드)을 수행하도록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센서(410b)가 제2식별부(124)를 감지한 경우,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이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400)는 제습 운전(제습 모드)을 수행하도록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컨트롤러(400)는 제2센서(410b)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습 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건조기(1)에 필터 유닛(50)을 장착한 채로 제습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건조기(1)에 제습 유닛(100)을 장착한 채로 건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제습 기능이나 건조 기능이 충분히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건조기(1)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필터 유닛(50)이 장착된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습 모드로 작동되지 않고, 제습 유닛(50)이 장착된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건조 모드로 작동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1)는 드럼(20)에 수용되는 건조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420, 도 1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대상물이 드럼(20) 내부에 남아있는 경우, 건조 대상물은 개방형 유로 상에 방해물로서 작용하는 바, 제습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제습 운전 시 전력이 크게 소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센서(420)가 건조 대상물을 감지하는 경우, 컨트롤러(400)는 제습 모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420)가 건조 대상물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7b)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건조 대상물의 유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센서(420)는 무게 감지 센서(미도시) 및 습기 감지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 센서가 비어 있는 드럼(20)의 무게를 초과하는 무게를 감지하는 경우, 드럼(20)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습기 감지 센서가 드럼(20) 내부에서 소정 기준 이상의 습기를 감지하는 경우, 드럼(20) 내부에 건조되지 않은 건조 대상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무게 감지 센서 및/또는 습기 감지 센서가 건조 대상물을 감지함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제습 운전(제습 모드)이 동작하지 않도록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가이드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가이드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유닛(200)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전면 커버(120)와 결합을 위한 바디 장착부(214) 및 장착 돌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장착부(214)는 전술한 바디 장착부(1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장착 돌기(215)는 장착 돌기(11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디(210)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디(210)의 후방에는 흡입 필터(14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210)와 전면 커버(120) 사이에는 실링 부재(19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습 유닛(200)은 폭(W2)이 넓고 높이(H2)는 낮은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폭(W2)을 이등분하여 각각 인렛 포트(121)와 아웃렛 포트(122)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제습 유닛(200)의 전면에서 인렛 포트(121)가 차지하는 면적과 아웃렛 포트(122)가 차지하는 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대등하게 형성된다.
제습 유닛(200)의 바디(210)의 제1측에는 배출구(21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211)는 바디(2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1)는 인렛 포트(121)를 통해 바디(2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기(7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출구(211)는 인렛 포트(121)와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기(70)는 배출구(2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211)는 열교환기(7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습 전의 공기로서, 다습한 공기일 수 있다.
제습 유닛(200)의 바디(210)의 제2측에는 유입구(2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2)는 바디(21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유입구(212)는 바디(210)의 좌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구(212)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유입구(212)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가 아웃렛 포트(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아웃렛 포트(122)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하여 제습된 공기로서, 고온 건조한 공기일 수 있다.
전술한 제습 유닛(100)과 달리, 제습 유닛(200)은 바디(2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31)을 포함하고, 바디(210)는 회전축(231)에 대응하는 결합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회전축(231)이 결합홀(2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소정 범위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의 구성으로서, 바디(210)가 회전축을 포함하고, 가이드(230)가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30)는 유입 유로(270)와 배출 유로(280)를 구획하는 제1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배출구(211)와 인렛 포트(121)를 연통시킴으로써 유입 유로(27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유입구(212)와 아웃렛 포트(122)를 연통시킴으로써 유입 유로(270)와 구획되는 배출 유로(280)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 유로(270)는 전술한 유입 유로(17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배출 유로(280)는 전술한 배출 유로(18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30)는 배출구(211)와 유입구(212)를 연통시킴으로써 유로(230a)를 형성하는 제2위치(P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30)는 제2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서, 배출구(211)와 인렛 포트(121)의 연통을 차단하고 유입구(212)와 아웃렛 포트(122)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유로(230a)는 폐쇄형 유로의 일부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유닛(50)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50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상기 제1위치(P1)와 상기 제2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3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230)는 제1위치(P1)로부터 회전하여 제2위치(P2)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230)는 제2위치(P2)로부터 회전하여 제1위치(P1)로 전환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230)가 제1위치(P1)에 위치한 경우, 건조기(1) 내부에는 개방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형 유로의 양단(즉, 인렛 포트(121) 및 아웃렛 포트(122))은 각각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가이드(230)가 제1위치(P1)에 위치한 경우, 건조기(1)는 제습 운전(제습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230)가 제2위치(P2)에 위치한 경우, 건조기(1) 내부에는 폐쇄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230)가 제2위치(P2)에 위치한 경우, 건조기(1)는 건조 운전(건조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습 유닛(200)은 가이드(230)의 회전에 따라 운전 모드(건조 모드 또는 제습 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모드 및 실내 제습을 위한 제습 모드 간의 전환이 용이하다.
한편, 가이드(230)는 만곡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30)는, 유입 유로(270)와 배출 유로(280)가 스무스(smooth)하게 형성되도록 소정 부분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30)가 제1위치(P1)에 위치한 경우, 가이드(230)는 배출 유로(280) 상에 곡선 구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30)는 바디(210)의 후방을 향하여 유입 유로(270)가 확장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230)가 만곡부(234)를 포함함으로써, 공기는 원활하게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230)는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230)는 회전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230)는 자동으로 건조기(1)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폐쇄형 유로에서 개방형 유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가이드(230)가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함에 따라, 건조기(1)는 건조 모드에서 제습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30)는 건조기(1)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형 유로에서 폐쇄형 유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가이드(230)는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함에 따라, 건조기(1)는 제습 모드에서 건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230)는 자동으로 회전 가능한 바, 사용자는 용이하게 건조 모드 또는 제습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1)에 제습 유닛(20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도, 가이드(230)가 제2위치(P2)에 위치한 경우, 건조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건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습 유닛(200)을 건조기(1)로부터 탈착한 후, 필터 유닛(50)을 다시 건조기(1)에 장착할 필요가 없다. 즉, 별도의 부품(예를 들어, 필터 유닛(50)) 등을 장착 및/또는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건조기(1)는 자동으로 유로 전환이 가능한 바, 사용자는 건조 모드 또는 제습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건조기(1)의 가이드 센서(430, 도 19 참조)는 가이드(2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센서(430)는 가이드(230)가 제1위치(P1)에 있는 경우와 제2위치(P2)에 있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센서(430)는 가이드(230)의 양측단(232, 233)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위치(P1)에 있는 경우와 제2위치(P2)에 있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건조 모드 또는 제습 모드를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건조기(10)의 운전 모드 전환에 따른 딜레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건조기(2)에 제습 유닛(3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은 필터 유닛(50) 대신에 건조기(2)에 장착될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은 캐비닛(10)의 전면(11)에 마련되는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 유닛(300)은 유닛 수용부(6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유닛(300)은 베이스(6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 유닛(300)은 베이스(6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제습 유닛(300)을 건조기(2)에 장착함에 따라, 건조기(2)의 캐비닛(10) 내부에는 개방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형 유로란 외부의 공기가 건조기(2)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기(70) 및 드럼(20)을 통과한 후 건조기(2)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도 20의 화살표 참조)일 수 있다. 또는, 개방형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건조기(2)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기(70)를 통과한 후 건조기(2)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일 수 있다. 개방형 유로의 양단(후술할 인렛 포트(301) 및 아웃렛 포트(302))은 각각 외부와 연통되며, 공기의 흐름은 개방 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유닛(300)을 건조기(2)에 장착하는 경우, 캐비닛(10) 내부에 개방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2)는 제습 동작(제습 모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건조기(2) 하나만으로도 건조 기능 및 제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건조기와 제습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2)는, 공간 확보 및 비용 절감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습 유닛(300)은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 전방에는 인렛 포트(301) 및 아웃렛 포트(302)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301)는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웃렛 포트(302)는 공기가 제2개구(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렛 포트(301)를 통해 외부의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2) 내부로 흡입될 수 있으며, 아웃렛 포트(302)를 통해 고온 건조한 공기가 건조기(2)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의 바디(310)의 일부에는 배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311)는 바디(110)의 후면(313)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3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구(311)는 인렛 포트(30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열교환기(7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출구(311)는 인렛 포트(30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포트(30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습 전의 공기로서, 다습한 공기일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의 바디(310)의 다른 일부에는 유입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2)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구(3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구(312)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312)는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가 아웃렛 포트(3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아웃렛 포트(302)와 연통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하여 제습된 공기로서, 고온 건조한 공기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70)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한 후 드럼(20)을 통과하여 드럼(20)의 유출구(22)로부터 유출된 공기일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은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0)는 바디(3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330)는 바디(310) 내부를 유입 유로(370)와 배출 유로(380)로 구획할 수 있다. 가이드(330)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유로(370)와 배출 유로(380)는 스무스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유입 유로(370)는 바디(310) 내부에서 배출구(311)와 인렛 포트(301)가 연통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인렛 포트(301)를 통해 바디(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유로(370)를 따라 배출구(311)를 통과하여 열교환기(7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습 전의 공기는 유입 유로(370)를 따라 열교환기(70)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 유로(380)는 바디(310) 내부에서 유입구(312)와 아웃렛 포트(302)가 연통되는 통로일 수 있다. 유입구(312)를 통해 바디(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유로(380)를 따라 아웃렛 포트(302)를 통과하여 캐비닛(1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70)를 통과하여 건조된 제습 후의 공기는 배출 유로(380)를 따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330)는 바디(310) 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제습 유닛(300)의 인렛 포트(301)와 아웃렛 포트(302)가 마련되는 영역을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 상부 코너를 제1코너(391)로 정의하고, 우측 상부 코너를 제2코너(392)로 정의하고, 좌측 하부 코너를 제3코너(393)로 정의하고, 우측 하부 코너를 제4코너(394)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각선 방향은 제1코너(391)와 제4코너(394)를 잇는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각선 방향은 제2코너(392)와 제3코너(393)를 잇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각선 방향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정 부분이 만곡될 수 있다.
인렛 포트(301)는 가이드(330)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 포트(301)는 격자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 포트(302)는 가이드(330)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렛 포트(302)는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320)는 제습 후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320) 중 인접하는 유출 가이드 리브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포트(301)와 아웃렛 포트(302)는 가이드(330)의 대각선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 포트(301)와 아웃렛 포트(302)는 동일 평면(예를 들어, 도 19에서 Y-Z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제습 유닛(300)은 폭(W3)이 넓고 높이(H3)는 낮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습 유닛(300)의 전면에서 인렛 포트(301)가 차지하는 면적과 아웃렛 포트(302)가 차지하는 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대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은 돌출 리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리브(340)는 가이드(33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리브(340)는 가이드(330)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돌출 리브(340)는 제습 후의 공기를 전방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제습 후의 공기는 제습 전의 공기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리브(340)는 유닛 커버(40)가 닫히지 않도록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리브(340)는 캐비닛(10)의 전면(11)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도 23, 도 25, 도 28,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제습 유닛(300)은 가이드 플랜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350)는 배출 유로(38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350)는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320)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랜지(350)는 배출 유로(380)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함에 따라 복수의 유출 가이드 유로(35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랜지(350)는 공기가 유입구(312)로부터 아웃렛 포트(302)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습 후의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결국, 제습 후의 공기가 다시 유입구(312)를 통하여 건조기(1) 내부로 유동하는 등의 문제(예를 들어, 와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습 유닛(30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서(360)가 장착될 수 있다. 픽서(360)는 제습 유닛(300)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픽서(360)는 제습 유닛(300)를 건조기(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 내부에는 픽서(360)와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픽서(360)가 고정홈에 끼움 체결됨에 따라, 제습 유닛(300)은 건조기(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0,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다습한 공기, 즉, 제습 전의 공기는 인렛 포트(301)를 통해 제습 유닛(300)의 바디(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디(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바디(310) 내부에 마련된 유입 유로(370)를 따라 유동하며 배출구(311)를 통과할 수 있다. 배출구(311)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70)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311)를 통과한 공기는 증발기(71) 및 응축기(72)를 관통하면서, 증발기(71) 및 응축기(72)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70)를 관통한 공기는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될 수 있다. 제습된 공기(제습 후의 공기)가 될 수 있다. 제습된 공기는 베이스(60) 상에 후방에 마련된 팬(80)의 송풍력에 의해 드럼(20)의 유입구(21)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20)으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 내부(23) 및 유출구(22)를 통과할 수 있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습 유닛(300)의 유입구(312)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312)를 통해 바디(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유로(380)를 따라 아웃렛 포트(302)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결국, 제습 유닛(300)을 건조기(2)에 장착함으로써,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제습 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가 건조기(2) 내부에서 열교환기(70)와 열교환하여 제습되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습 동작(제습 모드)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건조기
10: 캐비닛
20: 드럼
30: 도어
50: 필터 유닛
60: 베이스
100, 200, 300: 제습 유닛
121, 301: 인렛 포트
122, 302: 아웃렛 포트
130, 230, 330: 가이드
131: 배출 리브
340: 돌출 리브
170, 270, 370: 유입 유로
180, 280, 380: 배출 유로

Claims (20)

  1.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후방에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측방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및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입구로부터 상기 유입구로 이어지는 유로의 중간에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아웃렛 포트가 상기 인렛 포트보다 상기 수직선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유로에 곡선 구간이 형성되도록 만곡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유로를 상하 영역으로 구분하는 배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포트는 상기 아웃렛 포트의 우측에 배치되고,
    우하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렛 포트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입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고,
    좌상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아웃렛 포트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출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는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흡입 필터 및 상기 아웃렛 포트를 통해 배출될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배출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건조기가 제습 유닛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포트가 차지하는 면적과 상기 아웃렛 포트가 차지하는 면적은 동일한 건조기.
  11.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 및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건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유닛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커버는 닫히지 않는 건조기.
  14.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방에 마련되는 인렛 포트;
    상기 인렛 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방에 마련되는 아웃렛 포트; 및
    상기 제습 유닛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인렛 포트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아웃렛 포트로 연장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게 되는 제1위치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3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는 건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아웃렛 포트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건조기.
  17. 캐비닛;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개구;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 내부의 유닛 수용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개구;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상기 유닛 수용부에 장착하거나 분리 가능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1유로를 제공하는 필터 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유닛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유로와,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3유로를 제공하는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에는 제1식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습 유닛에는 제2식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식별부에 대응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식별부에 대응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유닛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에 상기 제습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커버는 닫히지 않는 건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를 구획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습 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210034627A 2020-11-20 2021-03-17 건조기 KR20220069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06942.5A EP4023809A4 (en) 2020-11-20 2021-10-25 DRYER
CN202180077654.2A CN116457524A (zh) 2020-11-20 2021-10-25 干燥机
PCT/KR2021/014980 WO2022108146A1 (ko) 2020-11-20 2021-10-25 건조기
US17/563,666 US20220162795A1 (en) 2020-11-20 2021-12-28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6628 2020-11-20
KR1020200156628 2020-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79A true KR20220069779A (ko) 2022-05-27

Family

ID=8179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627A KR20220069779A (ko) 2020-11-20 2021-03-17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7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359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359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9779A (ko) 건조기
CN109338685B (zh) 衣物烘干机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CN106029972B (zh) 衣物干燥机
EP1657349B1 (en) Dry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with was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41192B1 (ko) 의류 건조 장치
EP242337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990524B1 (en) Heat pump laundry dryer
US10214842B2 (en) Washing machine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US20180112348A1 (en) Clothes dryer
KR2022006979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7819A (ko) 의류처리장치
US20060137208A1 (en)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KR2016004973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0039A (ko) 의류 건조기
EP2843111B1 (en) Laundry drying machine
US20230235498A1 (en) Clothes dryer
CN116457524A (zh) 干燥机
EP4166709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162387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EP4023809A1 (en) Dryer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118859A (ko) 건조기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