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9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895B1 KR101989895B1 KR1020130021850A KR20130021850A KR101989895B1 KR 101989895 B1 KR101989895 B1 KR 101989895B1 KR 1020130021850 A KR1020130021850 A KR 1020130021850A KR 20130021850 A KR20130021850 A KR 20130021850A KR 101989895 B1 KR101989895 B1 KR 101989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ly
- cabinet
- passage
- accommodation space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구비된 제1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구비된 제2캐비닛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캐비닛 내부를 구분하는 격벽과,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 및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공기를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격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로 이동시키는 공급팬이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물)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수용공간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수용공간으로 재공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분리하여,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탁물을 건조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데 상기 배기팬은 제1수용공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이었다. 즉, 구동부의 회전 시 제1수용공간 및 배기팬이 함께 회전하였다.
한편,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제2수용공간을 통과한 뒤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에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방식이었는데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제1수용공간과 배기팬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제2수용공간에만 공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에도 세탁물이 없는 제1수용공간이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의심케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수용공간에 저장된 세탁물만을 건조할 경우 열풍이 제1수용공간을 거쳐야만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저하(건조시간 증가, 열풍온도 저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수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된 다수의 수용공간에 동시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특정 수용공간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이 각 수용공간 별로 분리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구비된 제1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구비된 제2캐비닛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캐비닛 내부를 구분하는 격벽과,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 및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공기를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및 상기 격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로 이동시키는 공급팬이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구비된 가열유로와,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공급유로와, 상기 제2수용공간과 상기 가열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공급팬이 구비되는 배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배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유로로 유입시키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공급댐퍼,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공급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을 상기 제1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덕트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연결유로, 상기 덕트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바디로 안내하는 제2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연결유로 및 상기 덕트바디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1배기댐퍼, 상기 제2연결유로 및 상기 덕트바디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2배기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덕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1연결유로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바디로 이동시키는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기팬과 상기 제1연결유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공간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 및 상기 배기팬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이 구비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에 연통시키는 제1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제2연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에 연통시키는 제2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배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통시키는 배기유로 고정홀, 상기 제2공급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통시키는 공급유로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2공급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에 확산시키는 확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되 상기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페이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되 상기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페이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격벽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며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 및 상기 배기유로 고정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 고정홀에 연결되는 배기유로 연결관,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연결관,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공급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홀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1공급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확산판의 중심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제2공급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은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에는 세탁물을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랙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는 랙바디, 상기 랙바디에서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과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랙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랙바디 관통홀, 상기 랙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디를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은 다수의 상기 랙바디 관통홀을 서로 구분시키는 리브, 상기 리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랙바디의 상부와 상기 랙바디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리브관통홀, 상기 바디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랙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격벽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랙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격벽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랙경사부와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수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된 다수의 수용공간에 동시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특정 수용공간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이 각 수용공간 별로 분리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캐비닛, 공급부 및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캐비닛 격벽, 격벽, 드로워 및 제2캐비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캐비닛, 공급부 및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확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캐비닛, 공급부 및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캐비닛 격벽, 격벽, 드로워 및 제2캐비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캐비닛, 공급부 및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확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세탁대상, 건조대상)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구비된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2)과 분리되어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구비된 제2캐비닛(5)으로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캐비닛(1)의 전방패널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1)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11)는 제1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상기 제1캐비닛(1)의 후방패널에는 제1캐비닛(1)의 내부와 제1캐비닛(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기유입구(12) 및 배출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구(12)는 외기(outside air)가 제1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이고, 상기 배출구(13)는 덕트바디(81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제1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드럼(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의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방지지부(17) 및 후방지지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17)는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바디(171), 상기 지지부바디(1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관통홀(173), 상기 지지부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전방플랜지(1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관통홀(173)은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므로 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물은 바디관통홀(173)을 통해 드럼(2)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관통홀(173)에는 상기 도어(15)를 향해 연장되는 중공관(hollow pipe) 형태의 안내관(17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관(1731)은 바디관통홀(173)의 원주면 및 투입구(11)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제1캐비닛(1)의 전방패널과 지지부바디(17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15)가 제1캐비닛(1)의 전방패널에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도어(15)의 하부에 위치한 안내관(1731)의 길이는 도어(15)의 상부에 위치한 안내관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플랜지(175)는 상기 바디관통홀(173)의 원주면을 따라 지지부바디(171)의 표면에서 드럼(2)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2)의 전방 내주면은 상기 전방플랜지(175)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된다.
나아가 상기 전방지지부(17)에는 후술할 배출부(8)가 결합되는 배출부 연결홀(177)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부 연결홀(177)은 안내관(17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의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후방지지부(19) 역시 제1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바디(191), 상기 지지부바디(191)에 구비되어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랜지(193)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후방지지부(19)에는 후술할 공급부(7)가 결합되는 공급부 연결홀(19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부 연결홀(195)은 지지부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2)의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 및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제1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바디관통홀(173), 안내관(1731) 및 배출부 연결홀(177)은 원통형상의 터브 전방면에 구비되고, 공급부 연결홀(195)은 터브의 후방면에 구비되게 될 것이며, 드럼(2)은 터브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것이다. 또한, 드럼의 원주면에는 터브와 드럼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물의 건조만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드럼(2)은 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3)는 제1캐비닛(1)에 구비된 드럼모터(31), 상기 드럼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33) 및 제2회전축(35), 드럼(2)의 원주면과 제1회전축(33)을 연결하는 벨트(3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5)은 덕트바디(811)를 관통하여 배기팬(83)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럼모터(31)로 드럼(2)과 배기팬(83)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5)은 제1캐비닛(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캐비닛(1)을 지지하는 받침대(pedestal)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캐비닛(5)은 캐비닛 격벽(4)에 의해 제1캐비닛(1)과 분리된다. 제1캐비닛(1)은 바닥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캐비닛(5)은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 격벽(4)은 제1캐비닛(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2캐비닛(5)의 상부면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캐비닛(5)은 전방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캐비닛(5)의 내부는 격벽(51)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격벽(51)의 하부공간(격벽(51)과 제2캐비닛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제2수용공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수용공간은 제2캐비닛(5)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51)의 상부공간(격벽(51)과 캐비닛 격벽(4) 사이의 공간)은 드로워(6)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이 구비되는 기계실(machining room, M)이 된다.
상기 드로워(6)는 격벽(51)의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로워바디(61), 제2캐비닛(5)의 개방된 전방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로워바디(61)를 제2캐비닛(5)에서 인출 가능하게 하는 드로워패널(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바디(61)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세탁물의 수용공간(611)이 되고, 상기 드로워패널(63)에는 드로워바디(61)의 인출을 위한 핸들(63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 및 드로워(6,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8), 드럼(2) 및 드로워(6)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드로워(6)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팬(75)이 구비된 공급부(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8)는 배기덕트(81), 상기 배기덕트(81)에 구비되는 배기팬(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81)는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드로워바디(61)를 거쳐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기덕트(81)는 배출부 연결홀(177)과 배출구(13)를 연결하되 제1캐비닛(1)의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바디(811, 도 2 참고), 상기 캐비닛 격벽(4)을 관통하여 덕트바디(811)와 드로워바디(61)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결유로(813) 및 제2연결유로(81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팬(83)은 상기 덕트바디(811) 내부에 구비되되 배출부 연결홀(177)과 제1연결유로(81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기팬(83)은 덕트바디(8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모터(31)의 제2회전축(35, 도 2참고)에 의해 회전하므로 드럼모터(31)의 작동 시 드럼(2) 내부의 공기는 덕트바디(811)로 유입될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51)에는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 제2연결유로 고정홀(513), 배기유로 고정홀(515) 및 공급유로 고정홀(5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 제2연결유로 고정홀(513), 배기유로 고정홀(515) 및 공급유로 고정홀(517)은 격벽(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드로워바디(61) 내부공간(수용공간, 611)은 상술할 고정홀들을 통해 격벽(51)의 상부공간과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유로(813) 및 제2연결유로(815)가 캐비닛 격벽(4)을 관통하여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 및 제2연결유로 고정홀(513)에 각각 고정되면 드로워 수용공간(611)은 덕트바디(811)와 연통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81)에는 제1연결유로(813)와 상기 덕트바디(811)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1배기댐퍼(817), 제2연결유로(815)와 덕트바디(811)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2배기댐퍼(8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댐퍼(817) 및 제2배기댐퍼(819)는 덕트바디(8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배기댐퍼(817)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연결유로(813)와 덕트바디(811)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제2배기댐퍼(819)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연결유로(815)와 덕트바디(811)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7)는 제1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2, 제1수용공간) 및 드로워(6, 제2수용공간)에 공기(가열된 공기,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711, 713, 715, 718), 상기 격벽(51)에 구비(기계실(M)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6) 내부의 공기를 공급덕트(71)로 이동시키는 공급팬(75)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7)가 가열된 공기(열풍)를 드럼(2)이나 드로워(6)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711, 713, 715, 718)에는 히터(73)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73)가 고정되는 가열유로(711), 상기 가열유로(711)와 드로워(6) 내부를 연결하는 배기유로(713, 드로워 배기유로) 및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 상기 가열유로(711)와 드럼(2)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공급유로(718, 제1공급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유로(711)는 개방면(7111), 상기 개방면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7113) 및 제2배출구(7115)가 구비된 덕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공급유로(718)는 상기 제1배출구(7113)와 공급부 연결홀(195)을 연결하여 가열유로(711)를 통과한 공기를 드럼(2)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드로워 배기유로(713)는 캐비닛 격벽(4)을 관통하여 배기유로 고정홀(515)과 상기 개방면(7111)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공급유로(715)는 캐비닛 격벽(4)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배출구(7115)와 공급유로 고정홀(517)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드로워(6) 내부의 공기(수용공간(611) 내부의 공기)는 드로워 배기유로(713)를 통해 가열유로(711)로 공급되고, 가열유로(711) 내부의 공기는 드로워 공급유로(715)를 통해 드로워(6)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배기유로(713, 배기유로)에는 가열유로(711) 내부를 가열유로(711)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입구(7135)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덕트(71)에는 상기 흡입구(7135)와 드로워 배기유로(71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제1공급댐퍼(717), 상기 제1배출구(7113)와 상기 제2배출구(7115)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제2공급댐퍼(7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댐퍼(717)는 드로워 배기유로(7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흡기구(7135)와 드로워 배기유로(71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1공급댐퍼(717)는 가열유로(7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방면(7111)과 상기 드로워 배기유로(71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공급댐퍼(719)는 가열유로(711) 또는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배출구(7113)와 제2배출구(7115)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제2공급댐퍼(719)가 제1배출구(7113)와 제2배출구(7115)를 동시에 개방하는 위치까지 회전되도록 상기 제2공급댐퍼(719)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팬(75)은 드로워(6) 내부의 공기를 가열유로(711)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공급팬(75)은 드로워 배기유로(713) 내부에 구비되어 배기유로 고정홀(515)의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751), 상기 기계실(M)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751)를 회전시키는 팬모터(753)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가 배기팬(83)과 공급팬(75)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드로워(6) 만으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 드럼(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7 (a)는 드럼(2, 제1수용공간)에만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b)는 드럼(2, 제1수용공간)과 드로워(6, 제2수용공간)에 열풍을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7 (c)는 드로워(6, 제2수용공간)에만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드럼(2)에만 열풍을 공급할 경우, 제1배기댐퍼(817)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연결유로(813)를 폐쇄하고, 제2배기댐퍼(819)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연결유로(815)를 폐쇄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흡입구(7135)는 개방되고 드로워 배기유로(713, 배기유로)는 폐쇄되도록 제1공급댐퍼(717)를 제어하고,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는 폐쇄되고 드럼공급유로(718)는 개방(제1배출구(7113)는 개방되고, 제2배출구(7115)는 폐쇄)되도록 제2공급댐퍼(719)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미도시)는 드럼모터(31)를 회전시켜 드럼(2)과 배기팬(83)을 회전시킨다.
드럼모터(31)에 의해 배기팬(83)이 회전하면 드럼(2) 내부의 공기는 덕트바디(811)를 통해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드럼(2) 내부의 기압이 낮아진다.
드럼(2) 내부의 기압이 낮기 때문에 제1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7135), 가열유로(711) 및 드럼공급유로(718)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되며, 공기가 가열유로(711)를 통과하는 동안 히터(73)가 작동하면 드럼(2)에 열풍이 공급될 것이다.
공기가 드럼(2)으로 공급되는 동안 드럼(2)은 벨트(37)에 의해 회전되므로 드럼(2)에 수용된 세탁물은 보다 쉽게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73)는 제1캐비닛(1)에 구비된 외기유입구(12) 및 드로워 배기유로(713)에 구비된 흡입구(7135)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받게 될 것이다.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과 드로워(6)에 열풍을 동시에 공급할 경우, 제1배기댐퍼(817)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연결유로(813)를 개방하고, 제2배기댐퍼(819)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연결유로(815)를 개방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흡입구(7135)는 개방되고 드로워 배기유로(713, 배기유로)는 폐쇄되도록 제1공급댐퍼(717)를 제어하고, 드로워 공급유로(715)는 폐쇄하되 드럼공급유로(718)는 개방되도록 제2공급댐퍼(719)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미도시)는 드럼모터(31)를 회전시켜 드럼(2)과 배기팬(83)을 회전시킨다.
드럼모터(31)에 의해 배기팬(83)이 회전하면 드럼(2) 내부의 공기는 덕트바디(811)로 유입된 뒤 제1연결유로(813)를 통해 드로워 수용공간(611)으로 공급되며, 드로워의 수용공간(611) 내부의 공기는 제2연결유로(815)를 통해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드럼 내부의 공기 배출로 인해 드럼(2) 내부의 기압이 낮기 때문에 제1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7135), 가열유로(711) 및 드럼공급유로(718)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급되며, 공기가 가열유로(711)를 통과하는 동안 히터(73)가 작동하면 드럼(2)과 드로워(6)에 열풍이 공급될 것이다.
한편, 도 7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6)에만 열풍을 공급할 경우, 제1공급댐퍼(717)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흡입구(7135)는 폐쇄시키고 드로워 배기유로(713, 배기유로)는 개방한다.
또한, 제2공급댐퍼(719)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로워 공급유로(715)는 개방하되 드럼공급유로(718)는 폐쇄시키며, 제2배기댐퍼(819)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연결유로(815)를 개방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는 제1연결유로(813)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배기댐퍼(817)를 제어하여도 무방하지만 제1연결유로(813)가 개방되어 있으면 드로워의 수용공간(611)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가 드럼(2)으로 이동하여 드럼(2) 내주면에서 응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연결유로(813)가 폐쇄되도록 제1배기댐퍼(817)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미도시)는 팬모터(753)를 회전시킨다(드럼모터는 회전하지 않음).
팬모터(753)가 회전하면 드로워 수용공간(611) 내부의 공기는 드로워 배기유로(713)를 통해 가열유로(711)로 이동하며, 가열유로(711)를 통과한 공기는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를 통해 드로워 수용공간(611)으로 재공급된다.
공기가 가열유로(711)를 통과하는 동안 히터(73)가 작동하면 드로워 수용공간(611)에 열풍이 공급되며, 드로워 수용공간(611)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제2연결유로(815) 및 덕트바디(81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공기가 드로워 수용공간(611)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 격벽(4)에는 격벽관통홀(41, 도 6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격벽(51)에 의해 격벽(51)의 상부공간과 드로워(6) 내부가 밀폐된 구조라면 상기 격벽(51)에도 격벽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배기팬(83)과 별도로 제어되는 공급팬(75)을 구비한 것은 드로워(6)에만 공기를 공급할 경우 드럼(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공급팬(75)이 구비되지 않아도 배기팬(83)과 각 댐퍼(717, 719, 817, 819)의 제어만으로 드로워(6)에 저장된 세탁물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도 7 (b)의 경우).
그러나, 드로워(6)에만 세탁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공급팬(75)이 없으면 드럼(2)에 세탁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드럼의 회전 및 드럼에 열풍을 공급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로워(6)에 저장된 세탁물만을 건조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100)를 작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드럼(2)이 회전함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의 고장을 의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공급팬(75)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드럼(2)과 드로워(6)에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도 7 (b)의 경우, 드로워(6)로 공급되는 공기는 드럼에 저장된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습도가 높다.
드로워(6)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으면 드로워(6)에 저장된 세탁물의 건조시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덕트바디(811)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유닛(85)은 덕트바디(811)에 구비되되 배출부 연결홀(177)과 제1연결유로(813)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851),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덕트바디(8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제(건조제, 8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습유닛(85)은 상기 하우징(8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덕트바디(811) 내부에 위치하는 제1관통홀(8511)과, 상기 하우징(8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덕트바디(8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관통홀(8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습제(853)는 회전축(855)를 통해 하우징(8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덕트바디(811) 내부의 공기는 제1관통홀(8511)을 통해 제습제(853)을 통과하고, 제1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제2관통홀(8513)을 통해 제습제(853)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습제(853)는 모터(856)의 회전축과 제습제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857)에 의해 하우징(851) 내부에서 회전하며, 제2관통홀(8513)에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858) 및 팬(859)에 의해 재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관통홀(8511)에 위치하여 덕트바디(81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853)는 모터(856) 및 벨트(857)에 의해 제2관통홀(8513)로 이동하고, 제습제(853)가 흡수한 수분은 제2관통홀(8513)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858) 및 팬(859)에 의해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로워(6) 내부의 공기 인출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연결유로(815)는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연결유로(815)의 단면적은 덕트바디(811)에서 격벽(51)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 및 제1연결유로(813)를 통해 드로워(6)에 공급되는 공기가 드로워(6)의 내부공간에 확산되는 것을 돕는 확산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부(53)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확산부(53)는 격벽(51)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과 공급유로 고정홀(517)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산부(53)는 격벽(51)의 하부(제1연결유로 고정홀(511)의 하부, 공급유로 고정홀(517)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판(531), 격벽(51)과 확산판(531)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되 확산판(53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페이서(534)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이나 공급유로 고정홀(517)을 통해 드로워(6)로 유입되는 공기는 확산판(531)에 충돌한 뒤 각 스페이서(53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드로워(6)의 수용공간(611)으로 확산되므로 드로워(6)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보다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산부(53)는 확산판(5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공급홀(532)을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도 10에 도시된 확산부(53)는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 및 공급유로 고정홀(517)을 통해 드로워(6)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나의 확산판(531)을 통해 드로워(6)의 수용공간(611)에 골고루 공급되는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53)는 격벽(51)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판(531), 상기 확산판(531)을 격벽(51)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스페이서(534), 상기 확산판(5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513)에 삽입되는 연결유로 연결관(533), 확산판(5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 고정홀(515)에 삽입되는 배기유로 연결관(535), 상기 확산판(5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공급홀(537, 53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531)은 격벽(51)과 동일한 넓이 또는 각 고정홀(511, 513, 515, 517)이 형성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51)에 고정된 확산판(531)은 드로워바디(61)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2캐비닛(5)의 내부에 위치(L)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534)는 각 고정홀(511, 513, 515, 517)을 감싸도록 상기 확산판(53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확산판(531)과 격벽(51)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홀은 확산판(53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공급홀(537), 확산판(531)의 가장자리에서 확산판(531)의 중심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제2공급홀(539)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유로(815)나 드로워 배기유로(713)를 통해 드로워(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연결유로 연결관(533)과 배기유로 연결관(535)에 의해 격벽(51)과 확산판(531) 사이의 공간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1연결유로(813) 및 드로워 공급유로(71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확산판(531)에 출돌한 뒤 공급홀(537, 539)을 통해 드로워(6)로 유입되므로 본 발명은 드로워(6)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보다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드로워(6)로 유입된 공기와 세탁물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바디(611)에는 경사부(613) 및 드로워 관통홀(6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613)는 드로워바디(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마주보는 모서리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드로워바디(61)의 각 모서리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로워바디(61)로 유입된 공기는 경사부(613)에 의해 세탁물이 있는 드로워바디(61)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세탁물과 열교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로워 관통홀(615)은 드로워바디(6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드로워의 수용공간(611)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드로워 수용공간(611)를 빠져나간 뒤 드로워바디(61)와 제2캐비닛(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드로워바디(61)와 제2캐비닛(5)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는 드로워 관통홀(615)을 통해 드로워 수용공간(611)으로 재 유입되므로 본 발명은 드로워 수용공간(611)의 일부영역에 세탁물이 집중된 경우에도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관통홀(615)은 드로워바디(61)의 전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고, 드로워바디(61)의 측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 수용공간(611)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드로워바디(61)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랙(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6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이식 구조(folding type)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랙(65)은 세탁물이 지지되며 드로워바디(6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랙바디(651), 각 랙바디(651)를 서로 연결하는 랙바디 연결축(655), 상기 랙바디 연결축(533)에 구비되어 랙바디(651)와 드로워바디(61)의 바닥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지지부(657, 휠)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바디(651) 전체의 길이는 드로워바디(61)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고, 바디지지부(657)가 구비되지 않은 랙바디 연결축(655, 하나의 랙바디(651)와 다른 하나의 랙바디(651)의 결합부)은 격벽(51)을 향해 돌출되므로 각 랙바디(651)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제1연결유로(813)에는 공기를 드로워바디(61)의 전방면(드로워패널(63)이 구비된 방향에 위치된 드로워바디의 일면) 또는 후방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더(8131, 도 5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공기가 드로워바디의 전방면을 향해 공급될 경우 랙바디(651)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공기가 이동하여 세탁물의 건조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랙(65)은 랙바디(6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공기가 랙바디를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랙바디 관통홀(6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65)은 랙바디 연결축(655)를 통해 랙바디(6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 경사부(6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경사부(659)는 드로워바디(61)에서 격벽(51)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며 드로워바디(61)에 구비된 경사부(613)가 마주보는 양 모서리에만 구비될 경우(도 10 참고) 상기 랙 경사부(659)는 경사부(613)와 수직한 방향(드로워바디(61)의 전방모서리 및 후방모서리)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65)은 드로워바디(61)에 구비되는 랙바디(651), 상기 랙바디(651)가 드로워바디(61)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높이는 바디지지부(657), 상기 랙바디(651)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상기 격벽(51)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랙 경사부(659)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바디(651)는 리브(654)에 의해 서로 구분된 다수의 랙바디 관통홀(65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바디지지부(657)는 리브(654)에서 드로워바디(6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지지부(657)는 리브(654)의 너비만큼 이격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랙(65)은 리브(654) 및 바디지지부(657)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리브관통홀(656) 및 지지부 관통홀(6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에 수용된 세탁물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랙바디(651)에는 격벽(5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65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652)는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 또는 공급유로 고정홀(517) 중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유로(813) 또는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를 통해 드로워(6)로 공급되는 공기가 돌출부(652)에 의해 드로워바디(61)의 중심에서 드로워바디(61)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2는 랙바디(651)에 하나의 돌출부(652)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돌출부(6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유로 고정홀(511)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 공급유로 고정홀(517)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31)와 배기팬(83)을 회전시키는 배기팬 모터(39)가 분리되어 구비됨으로써 드로워(6)에 저장된 세탁물의 건조 시 드럼(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드로워 배기유로(713), 공급팬(75) 및 배기유로 고정홀(515)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다만, 제1연결유로(813)에는 드로워 히터(H)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덕트바디(811)에는 덕트바디 관통홀(8111), 상기 덕트바디 관통홀(8111)과 덕트바디(811)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제3공급댐퍼(8113)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드럼(2)에만 공기를 공급하려면, 제1배기댐퍼(817), 제2배기댐퍼(819) 및 제2공급댐퍼(719)는 제1연결유로(813), 제2연결유로(815) 및 드로워 공급유로(715, 제2공급유로)를 각각 폐쇄하고, 제3공급댐퍼(8113)는 덕트바디 관통홀(8111)을 폐쇄한 상태에서 드럼모터(31)와 배기팬 모터(39)를 작동시키면 된다.
드럼(2)에 열풍을 공급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가열유로(711)에 구비된 히터(73)를 작동시킨다.
한편, 드럼(2)과 드로워(6)에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3공급댐퍼(8113)와 제2공급댐퍼(719)는 덕트바디 관통홀(8111)과 드로워 공급유로(715)를 각각 폐쇄하고, 제1배기댐퍼(817)와 제2배기댐퍼(819)는 제1연결유로(813)와 제2연결유로(815)를 각각 개방한 상태에서 드럼모터(31)와 배기팬 모터(39)를 작동시키면 된다.
드럼(2)과 드로워(6)에 열풍을 공급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가열유로(711)에 구비된 히터(73)만을 작동시킬 수도 있고, 가열유로(711)에 구비된 히터(73)와 제1연결유로(813)에 구비되 보조히터(H)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드로워(6)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제3공급댐퍼(8113)는 덕트바디 관통홀(8111)은 개방하되 배출부 연결홀(177)은 폐쇄되도록 제어되고, 제2공급댐퍼(719)는 드럼공급유로(718)가 폐쇄되도록 제어되며, 제1배기댐퍼(817)와 제2배기댐퍼(819)는 제1연결유로(813)와 제2연결유로(815)를 개방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가 배기팬 모터(39) 및 보조히터(H)만 작동시키면 공기가 덕트바디 관통홀(8111), 덕트바디(811), 제1연결유로(813)를 통과하여 드로워(6)로 공급되고, 드로워로 공급된 공기는 제2연결유로(815) 및 덕트바디(811)를 거쳐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한편,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도 도 2의 실시예가 구비한 건조효율 향상을 위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특징들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제1캐비닛 11: 투입구
17: 전방지지부 19: 후방지지부 2: 드럼
3: 구동부 31: 드럼모터 4: 캐비닛 격벽
5: 제2캐비닛 51: 격벽 511: 제1연결유로 고정홀
513: 제2연결유로 고정홀 515: 배기유로 고정홀 517: 공급유로 고정홀
53: 확산부 531: 확산판 533: 연결유로 연결관
535:배기유로 연결관 534: 스페이서 537: 제1공급홀
539: 제2공급홀 6: 드로워 61: 드로워바디
615: 드로워 관통홀 63: 드로워패널 65: 랙(rack)
651: 랙바디 652: 돌출부 653: 랙바디 관통홀
654: 리브 656: 리브관통홀 657: 바디지지부
658: 지지부 관통홀 659: 랙 경사부 7: 공급부
71: 공급덕트 711: 가열유로 7111: 개방면
7113: 제1배출구 7115: 제2배출구
713: 배기유로(드로워 배기유로) 7135: 흡입구
715: 드로워 공급유로(제2공급유로) 717: 제1공급댐퍼
719: 제2공급댐퍼 718: 드럼공급유로(제1공급유로)
73: 히터 75: 공급팬 751: 블레이드
753: 팬모터 8: 배출부 81: 배기덕트
811: 덕트바디 813: 제1연결유로 8131: 가이더
815: 제2연결유로 817: 제1배기댐퍼 819: 제2배기댐퍼
83:배기팬 85: 제습유닛
17: 전방지지부 19: 후방지지부 2: 드럼
3: 구동부 31: 드럼모터 4: 캐비닛 격벽
5: 제2캐비닛 51: 격벽 511: 제1연결유로 고정홀
513: 제2연결유로 고정홀 515: 배기유로 고정홀 517: 공급유로 고정홀
53: 확산부 531: 확산판 533: 연결유로 연결관
535:배기유로 연결관 534: 스페이서 537: 제1공급홀
539: 제2공급홀 6: 드로워 61: 드로워바디
615: 드로워 관통홀 63: 드로워패널 65: 랙(rack)
651: 랙바디 652: 돌출부 653: 랙바디 관통홀
654: 리브 656: 리브관통홀 657: 바디지지부
658: 지지부 관통홀 659: 랙 경사부 7: 공급부
71: 공급덕트 711: 가열유로 7111: 개방면
7113: 제1배출구 7115: 제2배출구
713: 배기유로(드로워 배기유로) 7135: 흡입구
715: 드로워 공급유로(제2공급유로) 717: 제1공급댐퍼
719: 제2공급댐퍼 718: 드럼공급유로(제1공급유로)
73: 히터 75: 공급팬 751: 블레이드
753: 팬모터 8: 배출부 81: 배기덕트
811: 덕트바디 813: 제1연결유로 8131: 가이더
815: 제2연결유로 817: 제1배기댐퍼 819: 제2배기댐퍼
83:배기팬 85: 제습유닛
Claims (19)
-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구비된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캐비닛 내부를 구분하는 격벽;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을 상기 제1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덕트바디 및 상기 덕트바디 내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바디 내의 공기를 상기 제1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출부;
공기를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격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로 이동시키는 공급팬이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구비된 가열유로;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공급유로;
상기 제2수용공간과 상기 가열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공급팬이 구비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배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유로로 유입시키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공급댐퍼;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공급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덕트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덕트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연결유로;
상기 덕트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바디로 안내하는 제2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연결유로 및 상기 덕트바디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1배기댐퍼;
상기 제2연결유로 및 상기 덕트바디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제2배기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1연결유로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바디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기팬과 상기 제1연결유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 및 상기 배기팬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이 구비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에 연통시키는 제1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제2연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에 연통시키는 제2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배기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통시키는 배기유로 고정홀;
상기 제2공급유로를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통시키는 공급유로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2공급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에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되 상기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페이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되 상기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페이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구비되는 확산판;
상기 격벽과 상기 확산판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며 상기 제1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 및 상기 배기유로 고정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 고정홀에 연결되는 배기유로 연결관;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연결관;
상기 확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공급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제1공급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확산판의 중심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제2공급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은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세탁물을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는 랙바디;
상기 랙바디에서 상기 제2연결유로 고정홀과 상기 공급유로 고정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랙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랙바디 관통홀;
상기 랙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디를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다수의 상기 랙바디 관통홀을 서로 구분시키는 리브;
상기 리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랙바디의 상부와 상기 랙바디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리브관통홀;
상기 바디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랙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격벽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랙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격벽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랙경사부와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850A KR101989895B1 (ko) | 2013-02-28 | 2013-02-28 | 의류처리장치 |
DE102014203071.4A DE102014203071B4 (de) | 2013-02-28 | 2014-02-20 |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
FR1451520A FR3002553B1 (fr) | 2013-02-28 | 2014-02-26 |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ge |
US14/192,366 US9752265B2 (en) | 2013-02-28 | 2014-02-2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201410068043.3A CN104018326B (zh) | 2013-02-28 | 2014-02-27 | 衣物处理装置 |
GB1403589.3A GB2511433B (en) | 2013-02-28 | 2014-02-28 |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supplementary laundry receiving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850A KR101989895B1 (ko) | 2013-02-28 | 2013-02-28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818A KR20140107818A (ko) | 2014-09-05 |
KR101989895B1 true KR101989895B1 (ko) | 2019-06-17 |
Family
ID=5175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1850A KR101989895B1 (ko) | 2013-02-28 | 2013-02-28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8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09047B (zh) * | 2019-10-24 | 2023-12-22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一种抽屉式衣物处理装置及复合洗衣机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199B1 (ko) * | 2006-07-28 | 2008-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합 의류 처리 장치 |
KR101599745B1 (ko) * | 2009-11-03 | 2016-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1850A patent/KR101989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818A (ko) | 201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23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27704B1 (ko) | 의류관리장치 | |
US9752265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0652459B1 (ko) | 일체형 세탁 건조기 | |
US9764053B2 (en) |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4146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2057314B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0808199B1 (ko) | 복합 의류 처리 장치 | |
EP2423376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US20100005681A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20120015012A (ko) |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 |
EP2990524B1 (en) | Heat pump laundry dryer | |
KR102348088B1 (ko) | 의류건조장치 | |
JP2007068870A (ja) | 衣類乾燥機 | |
KR20150009326A (ko) | 의류 건조장치 | |
KR2022016111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774208B1 (ko) | 복합 의류 처리 장치 | |
KR100774206B1 (ko) |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220069779A (ko) | 건조기 | |
KR20130083670A (ko) | 건조기 | |
JP2020010959A (ja) | 衣類乾燥機 | |
KR10198989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0476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00094681A (ko) | 건조기 | |
US11618991B2 (en) | Clothes car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