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012A -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012A
KR20120015012A KR1020100077190A KR20100077190A KR20120015012A KR 20120015012 A KR20120015012 A KR 20120015012A KR 1020100077190 A KR1020100077190 A KR 1020100077190A KR 20100077190 A KR20100077190 A KR 20100077190A KR 20120015012 A KR20120015012 A KR 2012001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passage
drum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699B1 (ko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6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연통되어 덕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통로와, 상기 덕트의 타측에 연동되어 덕트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제2통로와,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한 의류건조기와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 Dryer}
본 발명은 두 개의 댐퍼를 이용하여 순환유로식, 혼합유로식, 개방유로식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옷감을 건조하는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제10-2008-0074380호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순환식 의류건조기이거나, 배기식 의류건조기으로 구성되었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120)과, 건조 후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고온다습한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150)를 포함하는 히트펌프(미도시)와, 상기 열교환부(150)를 빠져나온 공기의 일부를 상기 본체(11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덕트(161)와, 상기 배기덕트(161)를 빠져나간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를 상기 드럼(120)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덕트(114)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순환유로식과 개방유로식과 혼합유로식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구가 없었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의 외부에 두 개의 댐퍼를 설치하고, 빠른 시간 내에 적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옷감을 건조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연통되어 덕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통로와, 상기 덕트의 타측에 연동되어 덕트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제2통로와,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제1통로에 설치되는 제1댐퍼는 상기 제1통로를 차단하여 제1통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1통로를 열고 상기 덕트를 차단하여 제1통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제2통로에 설치되는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제2통로를 차단하여 제2통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2통로를 열어서 덕트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댐퍼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댐퍼의 회전 각도는 증발기입구의 온도 또는 드럼 출구의 습도 또는 외기도입풍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단계 이후,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단계 이후,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1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순환유로식 건조단계 또는 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개방유로식 건조단계 또는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기량만큼의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혼합유로식 건조단계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건조기 및 건조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덕트와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마련하고, 제1통로 및 제2통로 내부에 제1댐퍼 및 제2댐퍼를 설치하여 증발기 입구의 온도 또는 드럼 출구의 습도 또는 외기도입 풍량 등의 조건에 따라 제1댐퍼 및 제2댐퍼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적은 전기에너지를 소비하여 옷감을 건조할 수 있어서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건조 조건에 따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완료 판단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100)는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15)와, 상기 덕트(15)의 일측에 연통되어 덕트(15)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통로(60)와, 상기 덕트(15)의 타측에 연동되어 덕트(15)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제2통로(70)와, 상기 제1통로(60) 및 제2통로(70)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80)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건조기(100)의 전방의 일부에는 상기 댐퍼(80)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건조기(100)에는 상기 드럼(10)의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고온건조한 공기가 상기 덕트(15)를 통해 원활히 순환하게 하는 팬(50)과 히터(55)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펌프는 증발기(20)와, 응축기(30)와, 압축기(40)와, 냉매밸브(45)로 구성되고, 공기를 건조하면서 가열도 하게 된다.
상기 제1통로(60)는 상기 덕트(15)와 수직하도록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제2통로(7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통로(60)는 파이프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덕트(15)에 연결되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통로(70)는 상기 덕트(15)의 수직하도록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제1통로(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통로(70)는 파이프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덕트(15)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통로(60) 및 제2통로(70)는 파이프의 형태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통로(6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제2통로(70)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60) 및 제2통로(70)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80)는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80)는 제1통로(60) 및 제2통로(7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덕트(80)의 순환로를 차단하거나, 외기를 유입하거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80)는 힌지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미닫이식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통로를 차단하거나 열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댐퍼(65)는 상기 제1통로(60)의 입구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댐퍼(65)는 상기 제1통로(60)를 차단하여 제1통로(6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15)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1통로(60)를 열고 상기 덕트(15) 내부를 차단하여 제1통로(60)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댐퍼(75)는 상기 제2통로(70)와, 상기 의류건조기(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2댐퍼(75)는 상기 제2통로(70)를 차단하여 제2통로(7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15)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2통로(70)를 열어서 덕트(15)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댐퍼(80)의 회전 각도는 증발기입구의 온도 또는 드럼 출구의 습도 또는 외기도입풍량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첫번째는 시간에 따른 바람막이 댐퍼의 개방각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운전 시작시, 0 - T1 구간에는 댐퍼가 90도인 부분이고, 순환유로로 건조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T1 - T2 구간에는 댐퍼의 각도가 점점 작아지고, T2 - T3 구간에는 댐퍼의 개방 속도가 점점 느려지면서 각도가 작아진다.
그래프에서 보면 T1 - T2 구간의 기울기보다 T2 - T3 구간의 기울기가 더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T1 - T2 사이의 개방속도가 T2 - T3의 개방속도보다 더 빠르게 구성되는 것이다.
두번째는 시간에 따른 외기도입의 풍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운전 시작시, 순환유로식으로 건조되므로 시간당 도입되는 외기의 풍량은 매우 작다가, 시간이 지나고 의류가 건조될수록 혼합유로식 또는 개방유로식의 건조단계를 거치면서 풍량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세번째는 시간에 따른 드럼 출구의 습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운전 시작시, 드럼에 젖은 의류가 투입되므로 습도가 매우 높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옷감이 건조될수록 습도는 점점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 이후,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 이후(S20),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제3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0)에서 건조 운전이 시작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의 회전 각도는 90도가 되도록 구성한다.(S10)
즉, 도 3의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제1댐퍼(65)는 상기 제1통로(60)측에 수직 설정되고, 상기 제2댐퍼(75)는 상기 제2통로(70)측에 수직 설정되어 상기 제1통로(60) 및 제2통로(60)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10)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덕트(15)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10)의 입구로 유입된다.(S10)
상기 제1단계 이후(S10),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했다고 판단이 되면, 도 3의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는 회전하면서 임의 각도로 개방된다.(S20)
이때, 상기 드럼(10)의 출구에서 배출되어 덕트(15) 내에서 순환되고 있던 공기는 제1통로(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제2통로(7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덕트(15)를 통해 드럼(10)의 입구로 가게 된다.(S20)
상기 제2단계 이후(S20),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에 도달했다고 판단이 되면, 도 3의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는 회전하면서 수평 설정된다.(S30)
이때, 상기 제1댐퍼(65)는 상기 덕트(15)의 순환로를 차단하게 된다.(S30)
상기 제2댐퍼(75)는 상기 덕트(15)의 일측에 수평 설정된다.(S30)
이때, 상기 드럼(10)의 출구에서 배출되어 상기 덕트(15)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는 제1통로(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제2통로(7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덕트(15)를 통해 드럼(10)의 입구로 가게 된다.(S30)
모든 건조 과정이 끝나고 건조가 완료됐다고 판단되면 종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계(S10) 및 제2단계(S20) 및 제3단계(S3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지만, 세 가지 단계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제어방법은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순환유로식 건조단계와,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개방유로식 건조단계와,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혼합유로식 건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 가지 단계 중 적어도 두 단계 이상의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의류를 건조한다.
즉, 댐퍼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조건에 따라 적어도 두 단계 이상의 건조단계를 결합하여 옷감을 건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환유로식 건조단계로 의류를 건조한 다음에 혼합유로식 건조단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식 건조단계에서는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가 수직 설정되어 덕트(15) 내부로 공기가 순환된다.
이어서 상기 댐퍼(80)가 회전되는 조건에 따라 혼합유로식의 건조단계로 건조시,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가 임의의 각도로 개방되면서 일부의 공기는 덕트(15)의 내부로 순환하거나 제1통로(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제2통로(70)를 통해 덕트(15) 내부로 유입되어 드럼(10)의 입구로 도달한다.
상기와 같이, 순환유로식 건조단계로 의류를 건조한 다음에 개방유로식 건조단계를 구성하여 의류를 건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30 단계 이후에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종료하고, 건조가 완료되지 않았을 땐 전단계로 돌아가서 건조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었지만, 건조 완료의 판단은 어느 한 구간에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판단 조건이 있는 곳(α)은 모두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완료를 판단하는 모든 단계에서 판단을 한 후,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종료하고, 건조가 완료되지 않았을 땐 각 판단 단계(β)로 돌아가 건조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증발기 입구의 온도 또는 드럼 출구의 습도 또는 외기도입 풍량 등의 조건에 따라 제1댐퍼(65) 및 제2댐퍼(75)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적은 전기에너지로 옷감을 건조할 수 있어서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드럼 15 : 덕트 20 : 증발기 30 : 응축기
40 : 압축기 45 : 냉매밸브 50 : 팬 60 : 제1통로
65 : 제1댐퍼 70 : 제2통로 75 : 제2댐퍼 80 : 댐퍼 100 : 의류건조기

Claims (9)

  1. 의류를 건조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일측에 연통되어 덕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통로;
    상기 덕트의 타측에 연동되어 덕트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제2통로;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에 설치되는 제1댐퍼는 상기 제1통로를 차단하여 제1통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1통로를 열고 상기 덕트를 차단하여 제1통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에 설치되는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제2통로를 차단하여 제2통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덕트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게 하거나 상기 제2통로를 열어서 덕트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회전 각도는 증발기입구의 온도 또는 드럼 출구의 습도 또는 외기도입풍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6.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이후,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이후, 두 개의 댐퍼를 제어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후,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증발기 입구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1단계;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9. 건조되는 드럼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덕트 내부로 순환하면서 상기 드럼의 입구로 유입되는 순환유로식 건조단계; 또는 순환하는 공기는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개방유로식 건조단계; 또는 일부의 공기는 덕트 내부로 순환하거나 덕트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기량만큼의 외기는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혼합유로식 건조단계;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20100077190A 2010-08-11 2010-08-11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133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190A KR101337699B1 (ko) 2010-08-11 2010-08-11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190A KR101337699B1 (ko) 2010-08-11 2010-08-11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012A true KR20120015012A (ko) 2012-02-21
KR101337699B1 KR101337699B1 (ko) 2013-12-06

Family

ID=4583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190A KR101337699B1 (ko) 2010-08-11 2010-08-11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69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46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989105B1 (ko) * 2017-12-08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19112388A1 (ko) * 2017-12-08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68272A (ko) * 2017-12-08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82718A (ko) * 2017-12-08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19206383A1 (de) * 2018-04-27 2019-10-31 Lavatec Laundry Technology Gmbh Trockn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rockners
JP2020014745A (ja) * 2018-07-27 2020-01-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乾燥機
CN111676676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
CN111676675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WO2021045408A1 (ko) * 2019-09-04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2249080B1 (ko) * 2020-10-15 2021-05-07 엠씨테크놀로지(주)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KR20210109496A (ko) * 2019-07-02 2021-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21213530A1 (zh) * 2020-05-20 2021-10-2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CN114232298A (zh) * 2021-11-30 2022-03-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烘干设备及控制方法
WO2023008786A1 (ko) * 2021-07-29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CN116043486A (zh) * 2023-02-16 2023-05-02 广东善思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的控制方法及清洁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65B1 (ko) 2014-12-08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613963B1 (ko) 2014-12-08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999533B1 (ko) * 2017-12-08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023B1 (ko) * 2005-06-16 200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46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989105B1 (ko) * 2017-12-08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19112388A1 (ko) * 2017-12-08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68272A (ko) * 2017-12-08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82718A (ko) * 2017-12-08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11670279A (zh) * 2017-12-08 2020-09-1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1732399B2 (en) 2017-12-08 2023-08-22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O2019206383A1 (de) * 2018-04-27 2019-10-31 Lavatec Laundry Technology Gmbh Trockn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rockners
US11976409B2 (en) 2018-04-27 2024-05-07 Lavatec Laundry Technology Gmbh Dry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yer
JP2020014745A (ja) * 2018-07-27 2020-01-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乾燥機
KR20210109496A (ko) * 2019-07-02 2021-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21045408A1 (ko) * 2019-09-04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WO2021213530A1 (zh) * 2020-05-20 2021-10-2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CN111676676B (zh) * 2020-05-20 2023-08-01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热泵干衣机
CN111676675B (zh) * 2020-05-20 2023-08-04 合肥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CN111676675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CN111676676A (zh) * 2020-05-20 2020-09-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热泵干衣机
KR102249080B1 (ko) * 2020-10-15 2021-05-07 엠씨테크놀로지(주)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WO2023008786A1 (ko) * 2021-07-29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232298A (zh) * 2021-11-30 2022-03-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烘干设备及控制方法
CN116043486A (zh) * 2023-02-16 2023-05-02 广东善思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的控制方法及清洁设备
CN116043486B (zh) * 2023-02-16 2023-11-21 广东善思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的控制方法及清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699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699B1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100879572B1 (ko)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JP4236678B2 (ja) 洗濯乾燥機
JP5824639B2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6563183B2 (ja)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7505A (ja) 衣類処理装置
US1018420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7819A (ko) 의류처리장치
JP2008173330A (ja) 衣類乾燥機
US1109843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JP2011087623A (ja) 衣類乾燥機
CN100374641C (zh) 滚筒式洗衣干衣机
US9194072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1427B1 (ko) 의류건조기
JP2005230322A (ja) 衣類乾燥機
KR20150024552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924108A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100595234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
CN110924102A (zh) 衣物处理设备
JP2004194942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WO2023170998A1 (ja) 洗濯乾燥機
JP2023165561A (ja) 洗濯乾燥機
JP7403114B2 (ja) ガス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