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718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718A
KR20190082718A KR1020190079314A KR20190079314A KR20190082718A KR 20190082718 A KR20190082718 A KR 20190082718A KR 1020190079314 A KR1020190079314 A KR 1020190079314A KR 20190079314 A KR20190079314 A KR 20190079314A KR 20190082718 A KR20190082718 A KR 2019008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louver
door
mo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608B1 (ko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85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9953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6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718A/ko
Priority to KR1020210110332A priority patent/KR102370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외부 공간으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처리 공간으로 토출하도록 외기를 안내하는 외기 유로가 기설정된 덕트; 상기 덕트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ⅰ상기 외부 공간과 상기 외기 유로 사이의 외기 유입 유로 및 ⅱ상기 처리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 사이의 배기 유출 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과 유로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하는 루버 부재; 소정의 무빙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루버 부재를 작동시키는 무빙 부재; 및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무빙 부재를 상기 무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무빙 방향을 가로지르는 소정의 주동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무빙 방향으로 상기 무빙 부재를 밀어주는 주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써,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처리실 내에 의류가 걸리는 옷걸이봉을 구비하여, 의류가 매달린 상태에서 처리실 내로 스팀을 제공하거나 처리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 부품들의 기능과 다양한 공기 유로의 조합에 의한 더욱 다양한 기능 발휘의 가능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 처리 장치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효율적인 구조로 유로의 변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제어 및 작동 성능이 효율적인 외기 유출입의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고, 내측으로 내부공간과, 상기 처리공간을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내측단과 상기 본체 외부를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외측단을 연결하는 연통유로가 형성된 도어; 상기 연통유로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과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을 연통시키는 통과유로가 형성된 루버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루버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루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 루버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빙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부재를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처리공간을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도어 이너 프레임; 및 상기 도어 이너 프레임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도어 이너프레임과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의 단부에는, 상기 루버부재가 배치되는 연통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과유로의 양단에는, 상기 연통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에 배치되는 아우터 개구부와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에 배치되는 이너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루버부재가 상기 연통유로를 폐쇄할 때, 상기 아우터 개구부와 상기 이너 개구부 중 하나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도어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이너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이 형성된다.
루버부재는, 내부에 상기 통과유로를 형성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는 루버 베이스; 상기 루버 베이스에서 상기 루버 회전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루버 축부; 및 상기 루버 베이스에서 상기 루버 축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무빙부재와 연결되는 전달돌기를 포함한다.
무빙부재는, 상기 무빙부재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돌기와 연결되는 전달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리세스는, 상기 루버 회전축 및 상기 좌우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전달 돌기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처리공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공간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처리하는 기계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처리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는 외기개폐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기개폐모듈 각각에는, 상기 연통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기개폐모듈 각각의 연통유로에는, 상기 루버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기계실의 전방면에는, 상기 외기개폐모듈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기계실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연결구가 형성된다.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가 보다 다양하고 가변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의류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기 유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 주변의 공기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개폐 모듈의 구조를 통해, 하나의 모터로 한 쌍의 루버 부재를 쉽게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동 부재 및 상기 무빙 부재의 구조를 통해, 서로 이격된 통과 유로의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부재 및 상기 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루버 부재에게 원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주동 부재의 움직임을 통해 한 쌍의 무빙 부재의 서로 다른 각각의 운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주동 부재가 상기 중동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는 서로 멀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동 부재가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주동 부재에 상기 주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의 반력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무빙 부재가 상기 주동 부재에 밀착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유도하여, 상기 주동 부재가 상기 무빙 부재를 정확한 위치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무빙 부재가 상기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쉽게 복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탑부를 통해서, 상기 주동 부재가 상기 주동 방향으로 이동시 걸림없이 자연스럽게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15)가 열린 상태의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처리 공간(10s)의 일부가 보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어(15) 및 개폐 모듈(100, 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통과 유로(127)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의 어느 한 루버 부재(120b)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을 상측에 바라본 개념도로서, 도 8은 통과 유로(127)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고, 도 9는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도 1의 도어(15)를 라인 S3-S3'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개폐 모듈(100, 100') 및 밸브 모듈(70)의 작동에 따른 공기 유로의 변경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덕트(40) 및 도어(15)를 상하로 자른 단면 개념도가 도시된다. 도 11a는 제 1내기 유로(Pa)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1b는 제 2내기 유로(Pb)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1c는 외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 5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구동 어셈블리(160) 및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 13a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3b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는, 도 5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4에서, 탄성 부재(162')는 개념적으로 양단의 연결 관계만 도시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구동 어셈블리(160') 및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 15a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5b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2 및 도 14의 어느 한 루버 부재(120) 및 어느 한 무빙 부재(150, 150')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a는 무빙 부재(150, 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6b는 무빙 부재(150, 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기설정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힌지축(Oh), 루버 회전축(Os), 제 1루버 회전축(Os1), 제 2루버 회전축(Os2), 주동 회전축(Oa) 및 전달 회전축(Ob)'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바닥에 놓이거나 외부의 벽에 고정되는 케비닛(10)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에서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로가 기설정된 덕트(4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덕트(40)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0)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95)를 구비하는 필터 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40)에는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외기 유로(Pc)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내기 유로(Pa, 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40)에는,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하도록 외기(Outer Air)를 안내하는 외기 유로(Pc)가 기설정된다. 상기 덕트(40)에는, 처리 공간(10s)으로부터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하도록 내기(Inner Air)를 안내하는 내기 유로(Pa, Pb)가 기설정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내기 유로(Pa, Pb)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하는 밸브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외기 유입 및/또는 배기의 유출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하는 개폐 모듈(100, 100')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케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한다. 케비닛(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패널(11)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2)과, 후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3)를 포함한다. 케비닛(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 1사이드 패널(12a)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 2사이드 패널(12b)을 포함할 수 있다.
케비닛(10)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비닛(10a)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비닛(10b)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에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5)를 포함한다. 도어(15)는 처리 공간(10s)의 개구된 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처리 공간(10s)은 외부와 격리된다. 도어(15)의 열림 상태에서 처리 공간(10s)은 외부로 노출된다.
케비닛(10) 중 도어(15)가 아닌 부분을 본체(11, 12, 13, 14)라 지칭할 수 있다. 본체(11, 12, 13, 14)는 탑 패널(11), 사이드 패널(12), 리어 패널(13) 및 베이스(14)를 포함한다.
도어(15)는 소정의 힌지축(O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15)는 일측에 배치된 힌지축(Oh)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하며 처리 공간(10s)을 여닫도록 구비된다. 도어(15)는, 양측(+X, -X) 중 후술할 아우터 개구부(127a)가 배치되는 일 영역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힌지축(O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가 도어(15)의 양측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양측의 아우터 개구부(127a) 중 어느 하나(루버 부재(120b)의 아우터 개구부(127a))를 기준으로 반대측에 상기 힌지축(Oh)이 배치될 수 있다. 힌지축(O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15)의 내부에는, 처리공간(10s)을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내측단(121a)과 본체(11, 12, 13, 14) 외부를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외측단(121b)을 연결하는 연통유로(121)가 형성된다. 루버 부재(120)는, 연통유로(12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연통유로(121)는 내부 공간(15s)과 연통된다. 내부공간(15s)의 단부에는, 루버 부재(120)가 배치되는 연통유로(121)가 형성된다.
힌지축(Oh)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예로 샤프트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부품이 도어(15)와 본체(11, 12, 13, 14)를 연결하며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어(15) 및 본체(11, 12, 13, 14) 중 어느 하나에서 힌지축(Oh)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 케비닛(10a)과 도어(15)의 내측면은 처리 공간(10s)을 정의한다.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내부 케비닛(10a)과 도어 이너 프레임(15a)은 처리 공간(10s)을 정의한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에 공기(예를 들어, 열풍), 스팀, 방향제 및/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펼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에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수용된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순환 및 필터링을 통해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케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시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를 제습시키거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기계실(18)을 구비한다. 기계실(18)은 본체(11, 12, 13, 14)에 형성된다. 기계실(18)은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덕트(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팬(50) 및 열교환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밸브 모듈(7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필터 모듈(9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로부터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이 기계실(18)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터 모듈(90)을 덮어주는 커버(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25)와 필터 모듈(90) 사이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 12, 13, 14)는 도어(15)의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마주보는 도어 대향면(16)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 대향면(16)은 기계실(18)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대향면(16)은 처리 공간(10s)의 개구부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대향면(16)은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는 닫힘 상태에서 도어 대향면(16)을 덮어줄 수 있다.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 대향면(16)은 도어(15)에 접촉할 수 있다.
도어 대향면(16) 상에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의 전방면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는 닫힘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덮어줄 수 있다.
도어 대향면(16) 상에 외기 유로(Pc)의 상류측 말단(45)이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유로(Pc)의 상류측 말단(45)은 외기 연결구(45)라 지칭할 수 있다. 도어(15)는 닫힘 상태에서 외기 연결구(45)를 덮어줄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열림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 도 7(a) 및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할 외기 개폐 모듈(100a)이 도어(15)에 배치된 경우, 도어(15)의 닫힘 상태 및 후술할 외기 유입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외기 유입 유로(127)의 하류측 말단(127b)과 외기 유로(Pc)의 상류측 말단(45)이 서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공간(Ou)의 외기가 외기 유입 유로(127)를 거쳐 외기 유로(Pc)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도어(15)는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처리 공간(10s)을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도어 이너 프레임(15a)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5)는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15)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프레임(15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아우터 프레임(15b)는 외부 공간(Ou)을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어(15)는 도어(15)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도어 사이드 프레임(15c)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사이드 프레임(15c)에 개스킷이 배치되어,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15)와 본체(11, 12, 13, 14) 사이를 막아줄 수 있다. 도어 사이드 프레임(15c)은 도어 이너 프레임(15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도어 이너 프레임(15a)과 도어 아우터 프레임(15b)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사이드 프레임(15c)은 상기 갭(g)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는 도어(15)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측면부(15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측면부(15d)는 도어 아우터 프레임(15b)과 도어 이너 프레임(15a)의 사이를 막아주며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측면부(15d)는 상기 갭(g)을 막아주며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의 양 측에 도어 측면부(15d)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의 양 측 중 적어도 힌지축(Oh)이 배치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도어 측면부(15d)가 형성된다. 도어 측면부(15d)는 함몰되어 힌지축(Oh)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측면부(15d)의 상기 홈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 측면부(15d)의 상기 홈은 사용자가 도어(15)를 열고 닫기위해 손을 걸어 잡을 수 있는 핸들 기능을 발휘한다. 도어(15)는 도어 이너 프레임(15a)과 도어 아우터 프레임(15b)의 사이에 도어 내부 공간(15s)을 형성한다. 도어 측면부(15d)는 외부 공간(Ou)과 도어 내부 공간(15s)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내부 공간(15s)에 개폐 모듈(100, 100')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 및 무빙 부재(150, 1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행거 모듈(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케비닛(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모듈(30)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31)를 포함한다. 일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걸림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을 직접 걸수 있도록 후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행거 바디(31)는 행거 유동부(33)를 통해 케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의 상측면에 복수의 걸림 홈(미도시)이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행거 바디(31)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행거 유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때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케비닛(1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바디(31)에 고정된다. 행거 유동부(33)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39)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에 연결되어, 진동 유닛(39)의 진동을 행거 바디(31)에 전달한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과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미도시)을 형성하고, 진동 유닛(39)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의 상기 돌기부는 행거 바디(31)의 상기 슬릿에 삽입된 채 상기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상기 슬릿에 대해 상대 운동함으로써, 행거 바디(31)에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 덕트(4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내지 도 11c에는, 공기 흐름 방향(Af)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도시되며, 각 구간별로 화살표의 종류를 달리하여 도시된다.
덕트(40)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덕트(40)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내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덕트(40)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내기를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덕트(40)를 통해, 외부 공간(Ou)의 외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로 외기가 공급될 때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Ou)으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 공간(Ou)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Exhaust Air)라 지칭할 수 있다.
덕트(4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쳐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방향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첨가시킨 공기를 덕트(40)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덕트(40)는 상기 복수의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덕트(40)에 기설정된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서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상기 복수의 유로는 2개로 기설정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 개폐 모듈(100, 100') 및 밸브 모듈(70)에 의해서,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한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한 선택 유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외기의 유출입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기 유로(Pa, P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공기가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내기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내기 유로(Pb) 또는 외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어느 한 필터부(95)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추가로 구비된 별도의 필터부(예를 들어, 상기 보조 필터)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무관하다. 즉, 공기가 필터부(95)를 우회한다는 것은, 공기가 상기 별도의 보조 필터를 통과하는 것까지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다.
도 11a를 참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기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 1내기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기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 2내기 유로(P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외기 유로(Pc)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구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덕트(40)는, 내기 유로(Pa, Pb)의 일부 및 외기 유로(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하는 공유 구간(P0)을 형성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상기 제 1내기 유로(Pa)의 일부와 상기 필터링 유로(Pa, 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처리 공간(10s)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덕트(40)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 구간(P1)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40)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게 안내하는 필터 통과 구간(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도 9 및 도 11c를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 유로(127)를 구비할 수 있다. 통과 유로(127)는 케비닛(10)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공기의 유출입 통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케비닛(10)의 내부란 처리 공간(10s) 및 기계실(18)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통과 유로(127)는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9를 참고하여, 통과 유로(127)는, 외부 공간(Ou)과 외기 유로(Pc) 사이의 외기 유입 유로(127)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는 외기 개폐 모듈(100a)의 통과 유로(127)를 지칭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를 통해 외부 공간(Ou)의 외기가 흡입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는 외기가 외기 유로(Pc)로 유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는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9를 참고하여, 통과 유로(127)는 처리 공간(10s)과 외부 공간(Ou) 사이의 배기 유출 유로(127)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입 유로(127)는 배기 개폐 모듈(100b)의 통과 유로(127)를 지칭할 수 있다. 배기 유출 유로(127)를 통해 외부 공간(Ou)으로 배기가 토출될 수 있다. 배기 유출 유로(127)는 배기가 처리 공간(10s)에서 외부 공간(Ou)으로 배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배기 유출 유로(127)는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출 유로(127)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여, 상기 제 1내기 유로(Pa)는, 상기 내기 유입 구간(P1),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밸브(70a)가 열리고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내기 유입 구간(P1)과 공유 구간(P0)을 연결하는 제 1입구(미도시)는 열리고, 내기 유입 구간(P1)과 필터 통과 구간(P2)을 연결하는 제 2입구(미도시)는 닫힌다. 이 경우,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를 차단한다. 외기 개폐 모듈(100a)은 외기 유입 유로(127)를 차단하고, 배기 개폐 모듈(100b)은 배기 유출 유로(127)를 차단한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내기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제 1입구를 통해 내기 유입 구간(P1)에서 공유 구간(P0)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도 11b를 참고하여, 상기 제 2내기 유로(Pb)는, 상기 내기 유입 구간(P1),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입구는 닫히고 상기 제 2입구는 열린다. 이 경우,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를 차단한다. 이 경우, 외기 개폐 유로(100a)는 외기 유입 유로(127)를 차단하고, 배기 개폐 모듈(100b)는 배기 유출 유로(127)를 차단한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내기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제 2입구를 통해 내기 유입 구간(P1)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외기 유로(Pc)는,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는 모두 닫힌다. 이 경우,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를 열어준다. 이 경우, 외기 개폐 유로(100a)는 외기 유입 유로(127)을 열어주고, 배기 개폐 모듈(100b)는 배기 유출 유로(127)을 열어준다. 외부 공간(Ou)에서 외기 유입 유로(127)로 외기가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를 통해 외기 유입 유로(127)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배기 유출 유로(127)을 통해 외부 공간(Ou)으로 배출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내기 유로(Pa, Pb)는 밸브 모듈(70)이 내기 유로(Pa, Pb)를 열어주고 개폐 모듈(100, 100')이 통과 유로(127)를 차단할 때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밸브 모듈(70)은 복수의 내기 유로(Pa, Pb) 중 적어도 하나를 열어줄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여, 외기 유로(Pc)는 밸브 모듈(70)이 내기 유로(Pa, Pb)를 차단하고 개폐 모듈(100, 100')이 통과 유로(127)를 열어줄 때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개폐 모듈(100, 100')은 복수의 통과 유로(127) 중 적어도 하나를 열어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통과 유로(127)는 개폐 모듈(100, 100')에 의해서 차단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은 외기 개폐 모듈(100a)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유출 유로(127)는 배기 개폐 모듈(100b)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내기 유로(Pa, Pb)가 선택된 상태(도 11a 및 도 11b 참고)에서, 통과 유로(127)는 닫힘 상태(도 7 및 도 9 참고)가 된다.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부터 내기 유로(Pa, Pb)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외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도 11c 참고)에서, 통과 유로(127)는 열림 상태(도 7 및 도 9 참고)가 된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외기 유입 유로(127)를 통해 외부 공간(Ou)으로부터 외기 유로(Pc)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는 배기 유출 유로(127)를 통해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할 루버 부재(120)는 통과 유로(127)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 유로(127)를 형성하는 루버 부재(120) 및 배기 유출 유로(127)를 형성하는 루버 부재(120)는 같은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통과 유로(127)의 양단은 각각 아우터 개구부(127a) 및 이너 개구부(127b)를 형성할 수 있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는 외부 공간(Ou)을 마주보게 형성된다.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이너 개구부(127b)는 본체(11, 12, 13, 14)를 마주보게 형성된다.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 및 이너 개구부(127b) 중 적어도 하나는 막힌다.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 및 이너 개구부(127b)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15)에 의해 막힘으로써,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가 된다. 루버부재(120)가 연통유로(121)를 폐쇄할 때, 아우터 개구부(127a)와 이너 개구부(127b) 중 하나는 내부공간(15s)을 향한다.
도 7(a) 및 도 9를 참고하여, 외기 유입 유로(127) 상의 공기의 흐름 방향(Af)은 아우터 개구부(127a)로부터 이너 개구부(127b) 방향이다. 도 7(b) 및 도 9를 참고하여, 배기 유출 유로(127) 상의 공기의 흐름 방향(Af)은 이너 개구부(127b)로부터 아우터 개구부(127a) 방향이다.
케비닛(10)의 측면부에는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는 케비닛(10)의 상기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면에서 의류 처리 장치(1)를 바라볼 때 아우터 개구부(127a)가 시각적으로 가려져 말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비닛(10)의 측면부는 다른 물체(다른 가구나 벽체 등)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데, 케비닛(10)의 측면부의 상기 홈에 아우터 개구부(127a)를 배치함으로써, 케비닛(10)의 측면부가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상기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배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케비닛(10)의 측면부는, 본체(11, 12, 13, 14)의 측면부일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의 측면부일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 참고)
도 7 및 도 9를 참고하여, 아우터 개구부(127a)는,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도어(15)의 측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측 방향(X축 방향)으로 외부 공간(Ou)을 마주본다. 예를 들어, 도어(15)의 측면부의 일영역은, 도어(15)의 측면부 중 상기 도어 측면부(15d)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외기 유입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도어(15)의 측면부에 외기 유입 유로(127)의 아우터 개구부(127a)가 배치된다. 배기 유출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도어(15)의 측면부에 배기 유출 유로(127)의 아우터 개구부(127a)가 배치된다. 만약 정면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개구부가 배치되면 정면 방향으로 공기가 송풍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불쾌감을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측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개구부가 형성되면 의류 처리 장치(1)의 상측면에 쌓인 먼지가 날리거나 케비닛(10) 내부로 흡입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본체(11, 12, 13, 14)의 후면이나 측면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개구부가 형성되면 측방 및 후방에 배치된 다른 물체(다른 가구 또는 벽체 등)에 의해 외기 흡입 및/또는 배기 토출이 간섭받게 된다. 도어(15)의 측면부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노출되는 부분으로써, 도어(15)의 측면부에 측 방향으로 아우터 개구부(127a)를 배치함으로써, 주변으로 다른 물체에 의해 외기 흡입 및/또는 배기 토출이 간섭받을 확률이 최소화되면서도, 사용자에게 직접 송풍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상측면에 쌓인 먼지가 흡입/날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여,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일 영역에 아우터 개구부(127a) 대신 배치되는 노출 차단부(125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루버 부재(120)가 소정의 루버 회전축(Os)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통과 유로(127)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고, 노출 차단부(125a)는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변경된다. 노출 차단부(125a)는 함몰되어 힌지축(Oh)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홈에 손을 걸어 잡고 도어(15)를 쉽게 여닫을 수 있다. 즉, 노출 차단부(125a)가 통과 유로(127)를 차단하는 동시에 도어(15)의 핸들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여,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홈은 도어(15)의 상기 홈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측면부(15d)에 형성된 상기 홈 및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홈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 측면부(15d)의 상기 홈을 손으로 잡거나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홈을 손으로 잡아 도어(15)를 여닫을 수 있으며, 도어 측면부(15d)의 상기 홈 및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홈의 경계 지점을 손으로 잡아 도어(15)를 여닫을 때에도 불편함이 없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여,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너 흡입구(41)가 구비된다. 이너 흡입구(4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흡입구(41)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와 내부 케비닛(10a)의 사이에 이너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내기 유로(Pa, Pb)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 토출구(44)가 구비된다. 이너 토출구(44)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토출구(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에 방사형 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내기 유로(Pa, Pb) 내의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외기 유로(Pc) 내의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내기 유로(Pa, Pb)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부터 덕트(4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 흡입구(41) 및 이너 토출구(44)는 각각 처리 공간(10s) 바닥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c를 참고하여,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외기 유입 유로(127)을 통과한 공기가 외기 연결구(45)를 거쳐 외기 유로(Pc)내로 유입된다. 외기 유입 유로(127) 및 외기 연결구(4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덕트(40) 내부로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배면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외기 유입 유로(127)의 이너 개구부(127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5)에 배치된 복수의 외기 유입 유로(127)에 대응하여, 복수의 외기 연결구(45a, 45b)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루버 부재(120a, 120b)는 각각 외기 유입 유로(127)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가 형성하는 한 쌍의 외기 유입 유로(127)가 구비된다. 한 쌍의 외기 유입 유로(127)의 각각의 이너 개구부(127b)에 대응하여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사이에 두며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커버(25)는 상기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하며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상기 내기 유로(Pa, Pb)로 공기가 유입되는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는 커버(25)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25)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케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팬(50)은 덕트(40)를 이동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한다. 팬(50)은 덕트(40) 내에 배치된다. 팬(50)은 공유 구간(P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팬(50)으로 덕트(40) 내의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팬(50)은 덕트(4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50)은 이너 흡입구(41)보다 이너 토출구(4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전방에서 후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다가 상측으로 꺾여 이너 토출구(44)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팬(50)은 공유 구간의 상측으로 꺾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50)은 원심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열교환 모듈(60)은 내기 유로(Pa, Pb) 상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덕트(40)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후술할 공유 구간(P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60)로 덕트(40) 내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은 덕트(40) 내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모듈은 증발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기(61) 및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은,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및 상기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냉매 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덕트(40) 내의 공기는 먼저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수 발생으로 열용량이 작아진 공기는 제 2열교환기(63)를 거치며 가열된다. 이에 따라,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기 전의 공기에 비해 제 2열교환기(63)를 거친 후의 공기가, 낮은 습도 및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열교환 모듈(60)은 처리된 공기가 처리 전 공기보다 냉각되게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열교환 모듈(60)의 작동 여부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팬(50)을 작동시켜, 덕트(40) 상을 흘러가며 별도의 가열 처리가 되지 않은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열교환 모듈(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의 제 1열교환기(6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부(28) 내로 수집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부(28)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모듈(7)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미도시)와, 발생된 증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키는 스팀 분사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기는 기계실(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분사구(2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 분사구(21)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의 후방에 배치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스팀 모듈(7)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공급수 저장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 내의 물은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하여 증기로 변화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공급수 저장부(29)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는 키, 버튼, 다이얼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처리를 위한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에 수용된 의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부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덕트(40) 내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공기의 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4)는 처리 공간(10s)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감지하는 의류 인식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는 습도 및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서버, 단말기 및/또는 충전대 등과 통신하게 구비된 통신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방향제를 공급하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정전기 방지제를 공급하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통신부(5)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 또는 통신부(5)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센싱부(4)로부터 감지된 환경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센싱부(4)가 감지한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30,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습도가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의 습도보다 낮다는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할 환기 모드를 선택하도록 의류 처리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출력부(6)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팬(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열교환 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개폐 모듈(100, 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개폐 모듈(100, 1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개폐 모듈(100, 100')을 작동시켜, 외기 유로(Pc) 및 내기 유로(Pa, Pb)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2)는 밸브 모듈(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을 제어할 수 있다.
개폐 모듈(100, 100') 및 밸브 모듈(70)가 작동하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선택 유로'가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 유로란, 제어부(2)에 의해 복수의 유로 중 현재의 모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1a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제 1내기 유로(Pa)이고, 도 11b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제 2내기 유로(Pb)이고, 도 11c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외기 유로(Pc)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상기 밸브 모듈(7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하나의 선택 유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모듈(70)의 작동은 상기 밸브 모듈(70)의 개폐를 의미할 수 있다.
밸브 모듈(70)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상기 제 1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는 내기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는 공유 구간(P0)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상기 제 2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입구는 내기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입구는 필터 통과 구간(P2)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는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는 필터 모듈(9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 사이에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 모듈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모듈(70)는, 상기 제 1내기 유로(Pa)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밸브(7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상기 제 1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제 1내기 유로(Pa)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입구를 연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제 2내기 유로(Pb)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입구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외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입구를 닫는다.
상기 밸브 모듈(70)는, 상기 제 2내기 유로(Pb)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2밸브(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상기 제 2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제 2내기 유로(Pb)가 선택될 때 상기 제 2입구를 연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제 1내기 유로(Pa)가 선택될 때 상기 제 2입구를 닫는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외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상기 제 2입구를 닫는다.
밸브 모듈(70)은, 내기 유로(Pa, Pb)를 차단할 때 외기 유로(Pc)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밸브 모듈(70)의 유로 개폐와 무관하게, 개폐 모듈(100, 100')의 통과 유로(127) 개폐에 따라 외기 유로(Pc)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다. 밸브 모듈(70)은 내기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잇다.
제 1밸브(70a)는, 덕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상기 제 1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덕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상기 제 2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밸브 작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작동부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작동부는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필터 모듈(90)은 덕트(40)가 형성하는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다. 필터 모듈(9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덕트(40)에 형성된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이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덕트(40) 내의 필터 통과 구간(P2)에 필터부(95)가 배치된다. 필터 모듈(90)은 제 2내기 유로(Pb) 및 외기 유로(Pc)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90)은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통과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9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95)는, 상기 보조 필터와 기능이 다르다. 필터부(95)는, 상기 보조 필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까지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5)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소모성으로서 교체가 필요하다. 상기 HEPA 필터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미세 먼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걸러준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0.3μ정도의 입자로 99.97% 이상의 여과율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유리섬유나 아스베스트 섬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물로 씻을 수 없고, 솔이나 브러쉬 등으로 털어서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HEPA에 소정치 이상의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제 2내기 유로(Pb) 또는 외기 유로(P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HEPA 필터의 고성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 1내기 유로(P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팀 모듈(7)을 통해 처리 공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HEPA에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필터부(95)를 지지하는 필터 바디부(91)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부(91)에 필터부(95)는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95)를 교체하기 위하여, 필터 바디부(91)를 덕트(40)로부터 인출한 뒤, 필터부(95)를 필터 바디부(91)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필터 바디부(91)가 덕트(40)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 모듈(90)을 손으로 잡기위해 제공되는 필터 핸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핸들은 필터 바디부(91)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 핸들은 필터 바디부(9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 및 상기 보조 필터를 탈거시키면, 상기 필터 핸들이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 필터는 필터 모듈(90)과 커버(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필터 모듈(9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커버(25)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상기 보조 필터의 탈거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덕트(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상기 내기 유로(Pa, Pb)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보조 필터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되 상기 필터부(95)와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HEPA 필터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필터는 메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필터부(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만 걸러낼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는 증기가 통과해도 무방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상기 보조 필터로 제 1내기 유로(Pa) 및 제 2내기 유로(Pb)에 모두 보조 필터링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5)를 열고, 커버(25)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25)를 탈거한 뒤, 후술할 상기 보조 필터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 및 도 12 내지 도 16b를 참고하여, 개폐 모듈(100, 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제 2실시예의 구성의 도면 부호 중 제 1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의 도면 부호 뒤에 따옴표(')가 도시된다.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한다.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개폐 모듈(100, 100')의 루버 부재(120)가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루버 부재(120)에 형성된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는 루버 부재(120)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통과 유로(127)의 차단 여부가 변경된다.
개폐 모듈(100, 100')은 케비닛(10)에 배치된다. 개폐 모듈(100, 100')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 유로(127)는 도어(15)에 배치된다. 외기는 도어(15)를 관통하여 외기 유로(Pc)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는 도어(15)를 관통하여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
복수의 개폐 모듈(100a, 100b)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모듈(100, 100')은, 외기 유입 유로(127)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하는 외기 개폐 모듈(100a)을 포함한다. 개폐 모듈(100, 100')은, 배기 유출 유로(127)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도록 작동하는 배기 개폐 모듈(100b)을 포함한다.
외기 개폐 모듈(100a)의 루버 부재(120)는 외기 유입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배기 개폐 모듈(100b)의 루버 부재(120)는 배기 유출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외기 개폐 모듈(100a)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개폐 모듈(100b)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개폐 모듈(100a) 및 배기 개폐 모듈(100b)은 도어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외기 개폐 모듈(100a)은 배기 개폐 모듈(100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외기 개폐 모듈(100a)은 기계실(18)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의 닫힘 상태에서, 배기 개폐 모듈(100b)은 처리 공간(10s)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는,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가 모두 열림 상태가 되거나 모두 닫힘 상태가 되도록, 외기 개폐 모듈(100a) 및 배기 개폐 모듈(100b) 제어한다.
개폐 모듈(100, 100')은, 통과 유로(127)의 차단 여부가 변경되게 작동하는 루버 부재(120)를 포함한다. 개폐 모듈(100, 100')은 소정의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함에 따라 루버 부재(120)를 작동시키는 무빙 부재(150, 150')를 포함한다. 개폐 모듈(100, 10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8, 168')를 구비하는 구동 어셈블리(160, 160')를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상기 모터(168, 168')의 구동력을 변환하여 무빙 부재(150, 150')를 상기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킨다.
도 6 내지 도 9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루버 부재(1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루버 부재(120a, 120b)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는 도어(15)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는 제 1루버 부재(120a)와 제 2루버 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루버 부재(120a)와 제 2루버 부재(120b)는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통과 유로(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서 차단 여부가 변경되는 복수의 통과 유로(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서 차단 여부가 변경되는 복수의 외기 유입 유로(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서 차단 여부가 변경되는 복수의 배기 유출 유로(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서 차단 여부가 변경되는 상기 한 쌍의 통과 유로(127)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통과 유로(127)는 도어(15)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는 상기 한 쌍의 통과 유로(127)에 대응한다. 상기 한 쌍의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제 1루버 부재(120a) 및 제 2루버 부재(12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루버 부재(120a)와 제 2루버 부재(120b)는 상기 한 쌍의 통과 유로(127)가 동시에 열리거나 동시에 닫히게 작동된다.
루버 부재(120)는 케비닛(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 부재(120)는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과 유로(127)를 개폐할 수 있다. 루버 부재(120)는 소정의 루버 회전축(Os)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루버 부재(120a)는 소정의 제 1루버 회전축(Os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루버 부재(120b)는 소정의 제 2루버 회전축(Os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루버 회전축(Os, Os1, Os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루버 회전축(Os, Os1, Os2)은 힌지축(Oh)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루버 회전축(Os1) 및 제 2루버 회전축(Os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 부재(120)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루버 부재(120)의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대응하는 통과 유로(127)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게 동작하는 회전 방향을 루버 회전 방향(Mp2)으로 정의하고, 대응하는 통과 유로(127)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게 동작하는 회전 방향을 루버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Mr2)으로 정의한다.
상기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는 루버 부재(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일 예로, 통과 유로(127)의 전체 구간이 루버 부재(120)에 형성되어, 루버 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통과 유로(127)의 전체 구간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과 유로(127)의 일부 구간이 루버 부재(120)에 형성되어, 루버 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통과 유로(127)의 상기 일부 구간만 일체로 회전되고 통과 유로(127)의 나머지 구간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일 예 및 다른 예 어느 경우에서든지,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통과 유로(127)의 전체 구간이 도어(15)를 관통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통과 유로(127)는 차단된다.
루버 부재(120)는,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차단부(125)를 포함한다. 차단부(125)는 루버 부재(120)와 일체로 운동하는 통과 유로(127)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차단부(125)는 통과 유로(127)에 해당하는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부(125)는 루버 회전축(Os)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차단부(125)가 형성하는 통과 유로(127)의 일단은 아우터 개구부(127a)이고 타단은 이너 개구부(127b)이다. 차단부(125)가 회전함에 따라 차단부(125)가 형성하는 통과 유로(127)가 일체로 회전하고, 아우터 개구부(127a) 및 이너 개구부(127b) 중 적어도 하나가 도어(15)에 의해 막혀지면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가 되고, 아우터 개구부(127a) 및 이너 개구부(127b)가 각각 외부 공간(Ou)과 케비닛의 내부(처리 공간 또는 외기 유로)를 대향하면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가 된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아우터 개구부(127a)는 도어(15)의 상기 갭(g)에 위치하여 외부 공간(Ou)을 대향하게 된다. 외기 개폐 모듈(100a)의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이너 개구부(127b)는 외기 연결구(45)를 마주보게 된다. 배기 개폐 모듈(100b)의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이너 개구부(127b)는 처리 공간(10s)을 마주보게 된다.
차단부(125)는 상기 노출 차단부(125a)를 포함한다. 통과 유로(127)의 열림 상태에서, 노출 차단부(125a)는 도어(15)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통과 유로(127)의 닫힘 상태에서, 노출 차단부(125a)는 외부 공간(Ou)으로 노출될 수 있다.
루버 부재(120)는 차단부(125)를 지지하는 루버 베이스(123)를 포함한다. 차단부(125)는 루버 베이스(123)에 고정될 수 있다. 루버 베이스(123)는 차단부(125)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루버 베이스(123)는 차단부(125)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1베이스(123a)를 포함한다. 루버 베이스(123)는 차단부(125)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 2베이스(123b)를 포함한다. 루버 베이스(123)는 차단부(125)와 일체로 회전한다. 차단부(125)의 루버 회전축(Os, Os1, Os2) 방향 양단 중 일단은 제 1베이스(123a)가 지지하고 타단은 제 2베이스(123b)가 지지한다.
루버 베이스(123)는 통과 유로(127)의 루버 회전축(Os, Os1, Os2) 방향 양단을 구획한다.
루버 베이스(123)는, 노출 차단부(125a)와 루버 베이스(123)의 경계상에 배치되는 모서리(123c1)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123c1)는 노출 차단부(125a)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123c1)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123c1)는 노출 차단부(125a)의 상기 함몰된 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을 포함한다.
루버 베이스(123)는, 아우터 개구부(127a)와 루버 베이스(123)의 경계상에 배치되는 모서리(123c2)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123c12는 아우터 개구부(127a)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123c2)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123c2)는 상기 노출 차단부(125a)의 함몰된 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123c2)는 상기 모서리(123c1)에 대응하는 형상의 곡선을 포함한다.
루버 부재(120)는 루버 베이스(123)의 루버 회전축(Os, Os1, Os2) 상에 배치되는 루 루버 축부(121)를 포함한다. 루버 축부(121)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예로 샤프트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부품인 루버 축부가 루버 부재(120)와 도어(15)를 연결하며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루버 부재(120) 및 도어(15) 중 어느 하나에서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서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 부재(120)의 제 1축부(121a)에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도어(15)의 홈에 삽입되고, 루버 부재(120)의 제 2축부(121b)에는 홈이 형성되어 도어(15)의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형성된 돌기가 제 2축부(121b)의 홈에 삽입된다.
루버 축부(121)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연장 방향 양단 중 일단에 배치되는 제 1축부(121a)와 타단에 배치되는 제 2축부(121b)를 포함한다. 제 1축부(121a)는 제 1베이스(123a)에 배치된다. 제 2축부(121b)는 제 2베이스(123b)에 배치된다. 제 1축부(121a)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돌출된 회전용 돌기를 형성한다. 제 1축부(121a)는 도어(15)의 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2축부(121b)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함몰된 회전용 홈을 형성한다. 도어(15)의 돌기(미도시)는 제 2축부(121b)의 상기 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무빙 부재(150, 15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는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에 대응한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는 제 1무빙 부재(150a, 150a')와 제 2무빙 부재(150b, 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를 각각 작동시킨다. 제 1무빙 부재(150a, 150a')는 제 1루버 부재(120a)를 작동시키고, 제 2무빙 부재(150b, 150b')는 제 2루버 부재(120b)를 작동시킨다. 제 1무빙 부재(150a, 150a')와 제 2무빙 부재(150b, 150b')는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케비닛(10)에 대해 직선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소정의 방향으로 운동하여, 루버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직선 운동의 양 방향 중,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의 통과 유로(127)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게 동작하는 방향을 무빙 방향(Mp1)으로 정의하고,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의 통과 유로(127)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게 동작하는 방향을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정의한다.
무빙 방향(Mp1)은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무빙 방향(Mp1)과 루버 회전축(Os, Os1, Os2)은 수직하게 기설정될 수 있다. 무빙 방향(Mp1)은 주동 부재(161, 1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어느 한 무빙 부재(150, 150')의 방향(Mp1) 및 방향(Mr1)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의 각각의 무빙 방향(Mp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의 각각의 상기 방향(Mr1)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가 각각의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할 때,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는 서로 멀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무빙 방향(Mp1)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는 구동 어셈블리(160, 1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시단부(151, 151')를 포함한다. 무빙 부재(150, 150')는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로 동력을 전달하는 종단부(155)를 포함한다. 무빙 부재(150, 150')는 시단부(151, 151’)와 종단부(155)를 서로 연결하며 연장되는 연장부(153)를 포함한다.
무빙 부재(150, 150')의 양단부 중 일단은 시단부(151, 151’)를 형성하고 타단은 종단부(155)를 형성한다. 무빙 부재(150, 150')의 양단부 중, 구동 어셈블리(160, 160')에 가까운 방향에 시단부(151, 151’)가 배치되고,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에 가까운 방향에 종단부(155)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의 각각의 시단부(151, 151’)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여, 개폐 모듈(100, 100')은 무빙 부재(150, 150') 및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전달 돌기(130)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전달 리세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 부재(120) 및 무빙 부재(150, 150') 중 어느 하나에는, 대응하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과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된 전달 돌기(130)가 형성된다. 루버 부재(120) 및 무빙 부재(150, 15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달 돌기(130)가 삽입되는 전달 리세스(1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 부재(120)에 전달 돌기(130)가 형성되고 무빙 부재(150, 150')에 전달 리세스(140)가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무빙 부재(150, 150')의 종단부(155)에 전달 돌기(130)가 형성되고 루버 부재(120)의 루버 베이스(123)에 전달 리세스(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달 리세스(140)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 및 상기 무빙 방향(Mp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달 돌기(13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연장 방향은 Z축 방향이고, 상기 무빙 방향(Mp1)은 X축 방향이고, 전달 리세스(140)의 길이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전달 리세스(140)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리세스(140)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가 상기 방향(Mp1, Mr1)으로 직선 운동시, 루버 부재는 상기 회전 방향(Mp2, Mr2)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전달 돌기(130)는 전달 리세스(140)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 리세스(140)에 대해 상대 운동한다. 전달 돌기(130)가 전달 리세스(140)를 따라 상기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함으로써, 무빙 부재(150, 150')는 휨 현상 없이 직선 운동하면서 루버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의 운동 궤적은 대응하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으로부터 이격되게 기설정된다. 무빙 부재(150, 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전달 돌기(130) 및 전달 리세스(140)의 연결 지점은 대응하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위치보다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기설정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 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전달 돌기(130) 및 전달 리세스(140)의 연결 지점은 대응하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의 위치보다 무빙 방향(Mp1)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기설정될 수 있다.
도 16a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이 때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의 통과 유로(127)는 닫힘 상태이다. 도 16b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이 때 대응하는 루버 부재(120)의 통과 유로(127)는 열림 상태이다.
도 16a의 상태에서,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 전달 리세스(140)를 따라 전달 돌기(130)가 상대 이동하면서, 전달 돌기(130)가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루버 회전 방향(Mp2)으로 회전한다.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 루버 부재(120)는 루버 회전 방향(Mp2)으로 회전한다. 루버 부재(120)는 루버 회전 방향(Mp2)으로 회전시, 통과 유로(127)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된다.
도 16b의 상태에서,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시, 전달 리세스(140)를 따라 전달 돌기(130)가 상대 이동하면서, 전달 돌기(130)가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루버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Mr2)으로 회전한다.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시, 루버 부재(120)는 루버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Mr2)으로 회전한다. 루버 부재(120)는 루버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Mr2)으로 회전시, 통과 유로(127)는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다.
도 12 내지 도 15b를 참고하여,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하나의 모터(168, 168')의 구동력을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에 전달하게 구비된다.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모터(168, 168')의 구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150a’, 15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응하는 상기 한 쌍의 루버 부재(120a, 120b)의 통과 유로(127)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무빙 부재(150, 150')에 접촉하여 무빙 부재(150, 150')를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키는 주동 부재(161, 161’)를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상기 모터(168, 168')를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160, 160')는 상기 모터(168, 168’)의 구동력을 주동 부재(161, 16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63, 16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비닛(10)은 개폐 모듈(100, 100')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지지부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부는 구동 어셈블리(160, 160')를 지지한다. 상기 모듈 지지부는 무빙 부재(150, 150')가 무빙 방향(Mp1) 및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만 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상기 모듈 지지부는 루버 부재(120)가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b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60)는, 모터(16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를 서로 멀어지게 하거나 서로 가까워지게 하는 주동 부재(161)를 포함한다. 주동 부재(161)는 소정의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상기 주동 회전축(Oa)은 상기 무빙 방향(Mp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 회전축(Oa)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주동 회전축(Oa)은 무빙 방향(Mp1)에 수직하기만 하면 Z축 방향 또는 그 밖의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어(15)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동 회전축(Oa)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주동 부재(161)의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대응하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되게 동작하는 회전 방향을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정의하고, 대응하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되게 동작하는 회전 방향을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정의한다. 상기 주동 부재(161)는, 모터(16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주동 회전 방향(Ap) 또는 상기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 운동하게 구비된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회전축(Oa)의 연장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판형의 회전 바디(161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161a)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부재(161)는 회전 바디(161a)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회전 축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부(161b)는 주동 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주동 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예로 샤프트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부품이 도어(15)와 주동 부재(161)를 연결하며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어(15) 및 주동 부재(161) 중 어느 하나에서 주동 회전축(Oa)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축부(161b)에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부(161b)의 홀에 케비닛(10)에 연결된 샤프트(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주동 부재(161)는 동력 전달부(163)의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161c)를 포함한다. 종동부(161c)는 회전 바디(16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기어이를 포함한다. 종동부(161c)는 후술할 제 2기어(163b)의 주동 기어부(163b1)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주동 부재(161)는 무빙 부재(150)와 접촉하여 무빙 부재(150)에 동력을 전달해주는 캠 홈(161d)을 형성한다. 캠 홈(161d)은 회전 바디(161a)에 형성될 수 있다. 캠 홈(161d)은 홈 또는 홀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캠 홈(161d)은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갈수록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캠 홈(161d)은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갈수록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연장된다. 캠 홈(161d)은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갈수록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점점 가까워지게 연장된다.
캠 홈(161d)은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약 270도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캠 홈(161d)은, 주동 회전 방향(Ap)의 말단인 제 1지점과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의 말단인 제 2지점가 서로 연결되어 연장된다. 후술할 캠 돌기(151a)는 캠 홈(161d)에 삽입되어, 주동 부재(161)가 회전할 때 캠 홈(161d)을 따라 상대 이동한다. 캠 돌기(151a)가 캠 홈(161d)의 상기 제 1지점에 위치할 때, 무빙 부재(150)는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가 된다. 캠 돌기(151a)가 캠 홈(161d)의 상기 제 2지점에 위치할 때, 무빙 부재(150)는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가 된다.
주동 부재(161)는 복수의 상기 캠 홈(161d)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 부재(161)는,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기 캠 홈(161d1, 161d2)을 형성한다. 한 쌍의 상기 캠 홈(161d1, 161d2)은, 제 1무빙 부재(150a)의 캠 돌기(151a)가 삽입되는 제 1캠 홈(161d1)과, 제 2무빙 부재(150b)의 캠 돌기(151a)가 삽입되는 제 2캠 홈(161d2)을 포함한다. 제 1캠 홈(161d1) 및 제 2캠 홈(161d2)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1캠 홈(161d1) 및 제 2캠 홈(161d2)은 루버 회전축(Os, Os1, Os2)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되게 형성된다.
구동 어셈블리(160)는 주동 회전축(O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모터축(168a)을 구비한 모터(16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축(168a)은 측방으로 돌출된다.
구동 어셈블리(160)는 모터(168)의 구동력을 주동 부재(161)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주동 부재(161)를 회전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상기 모터축(168a)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 1기어(16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163a)는 모터축(168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기어(163a)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주동 부재(161)의 기어이와 맞물려 주동 부재(161)를 회전시키는 제 2기어(16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어(163b)는 상기 제 1기어(163a)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 2기어(163b)는 소정의 전달 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달 회전축(Ob)은 주동 회전축(O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기어(163b)의 전달 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주동 부재(161)를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전달 정회전 방향(Tp)으로 정의하고, 주동 부재(161)를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전달 역회전 방향(Tr)이라 정의한다.
제 2기어(163b)는 제 1기어(163a)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하는 종동 기어부(163b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부(163b2)는 전달 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기어이를 포함한다. 종동 기어부(163b2)는 헬리컬 기어를 형성하여, 웜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제 2기어(163b)는 주동 부재(161)의 종동부(161c)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하는 주동 기어부(163b1)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기어부(163b1)는 전달 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기어이를 포함한다. 주동 기어부(163b1)의 위치는 종동 기어부(163b2)의 위치에 비해 전달 회전축(Ob)에 가까울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빙 부재(150)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할 때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무빙 부재(150)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할 때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할 때 서로 멀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할 때 서로 가까워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방향(Mp1)은 주동 회전축(O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는, 캠 홈(161d)에 삽입되는 캠 돌기(151a)를 포함한다. 캠 돌기(151a)는 시단부151)에 형성될 수 있다. 캠 돌기(151a)는 무빙 방향(Mp1)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캠 돌기(151a)는 루버 회전축(Os, Os1, Os2)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캠 돌기(151a)는, 무빙 부재(150)와 일체로 무빙 방향(Mp1) 또는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하되, 캠 홈(161d)에 대해서는 캠 홈(161d)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한다.
도 13a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b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a의 상태에서, 모터축(168a)이 정방향으로 회전시, 제 1기어(163a)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 2기어(163b)가 전달 정회전 방향(Tp)으로 회전한다. 제 2기어(163b)가 전달 정회전 방향(Tp)으로 회전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시, 캠 홈(161d)이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한다. 캠 홈(161d)이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시, 캠 돌기(151a)는 캠 홈(161d)에 대해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상대 회전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시, 무빙 부재(150)는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한다. 캠 돌기(151a)가 캠 홈(161d)의 상기 제 2지점에 위치하면, 모터축(168a)은 더 이상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된다.
도 13b의 상태에서, 모터축(168a)이 역방향으로 회전시, 제 1기어(163a)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 2기어(163b)가 전달 역회전 방향(Tr)으로 회전한다. 제 2기어(163b)가 전달 역회전 방향(Tr)으로 회전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시, 캠 홈(161d)이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한다. 캠 홈(161d)이 주동 회전 방향의 역회전 방향(Ar)으로 회전시, 캠 돌기(151a)는 캠 홈(161d)에 대해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상대 회전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회전 방향(Ap)으로 회전시, 무빙 부재(150)는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한다. 캠 돌기(151a)가 캠 홈(161d)의 상기 제 1지점에 위치하면, 모터축(168a)은 더 이상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5b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160')는, 모터(16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주동 부재(161')를 포함한다. 주동 부재(161')는 소정의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무빙 방향(Mp1)으로 무빙 부재(150')를 밀어준다. 상기 주동 방향(Bp)은 무빙 방향(Mp1)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 방향(Bp)은 상측(+Z) 방향이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주동 부재(161')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주동 부재(161')의 직선 운동 양 방향 중,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되게 동작하는 방향을 주동 방향(Bp)으로 정의하고,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되게 동작하는 방향을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정의한다. 주동 부재(161')는 모터(16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의 주동 방향(Bp) 또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주동 부재(161')는 동력 전달부(163')의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161c')를 포함한다. 종동부(161c')는 스크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은 주동 부재(161')의 표면에서 주동 방향(Bp)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은 주동 부재(161')의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부재(161')는 회전되지 않게 구속되되 상기 주동 방향(Bp) 또는 상기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 홈은 후술할 상기 스크류 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스크류 기어가 회전할 때 상기 스크류 기어는 상기 스크류 홈과 상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홈으로부터 상기 스크류 기어가 빠져나오는 동작을 하거나 상기 스크류 홈에 상기 스크류 기어가 들어가는 동작을 한다. 상기 스크류 홈으로부터 상기 스크류 기어가 빠져나오는 동작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Bp)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크류 홈에 상기 스크류 기어가 들어가는 동작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도 14 및 도 15a 참고)에서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의 사이에 삽입되는 탑부(161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의 한 쌍의 슬라이딩부(151b')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틈을 형성하고, 탑부(161a')는 상기 틈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자연스럽게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61b')를 포함한다. 탑부(161a')와 베이스부(16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61b')에 상기 종동부(161c')가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부재(161')는 전체적으로 베이스부(161b')에서 탑부(161a')로 갈수록 무빙 방향(Mp1)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동 부재(161')와 어느 한 무빙 부재(150')의 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Bp)과 무빙 방향(Mp1)의 사이 방향을 마주보며 무빙 부재(150')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압부(161d')를 포함한다. 가압부(161d')의 상기 경사면은 무빙 방향(Mp1)으로 갈수록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낮아지는 표면을 가진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무빙 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1b')는 주동 부재(161')에 대해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대 이동한다. 무빙 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1b')는 주동 부재(161')에 대해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대 이동시, 무빙 부재(150')는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와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의 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동 부재(161')는,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기 가압부(161d1', 161d2')를 형성한다. 제 1가압부(161d1')는, 탑부(161a')에서 제 1무빙 부재(150a')의 무빙 방향(Mp1)으로 갈수록 탑부(161a')로부터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멀어지는 제 1경사면(161d1')을 포함한다. 제 2가압부(161d2')는, 탑부(161a')에서 제 2무빙 부재(150b')의 무빙 방향(Mp1)으로 갈수록 탑부로부터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멀어지는 제 2경사면(161d2')을 포함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제 1무빙 부재(150a')의 슬라이딩부(151b')는 제 1경사면(161d1')을 따라 비스듬히 상대 이동하고, 제 2무빙 부재(150b')의 슬라이딩부(151b')는 제 2경사면(161d2')을 따라 비스듬히 상대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서로 멀어지며 이동한다.
구동 어셈블리(160')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 탄성 변형되게 구비된 탄성 부재(162')를 더 포함한다. 탄성 부재(162')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시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162')는 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주동 부재(161')와 어느 한 무빙 부재(150')의 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성 부재(162')의 일단은 무빙 부재(150')에 고정된다.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시 탄성 부재(162')는 탄성 인장된다.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무빙 부재(150')를 무빙 방향(Mp1)으로 탄성 부재(162')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밀어주어,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시, 무빙 부재(150')는 탄성 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하게 된다.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시, 무빙 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1b')는 가압부(161d')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주동 부재(161')와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의 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성 부재(162')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를 서로 당겨준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가 서로 점점 멀어질수록, 탄성 부재(162')는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를 더 큰 힘으로 당겨줄 수 있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한다.
구동 어셈블리(160')는 주동 방향(Bp)으로 돌출된 모터축(168a')을 구비한 모터(16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축(168a')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구동 어셈블리(160')는 주동 부재(16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63')는, 모터(168')의 구동력에 의해 주동 방향(Bp)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기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기어(163')는 모터축(168')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 기어(163')는 모터축(168')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 기어(163')는 주동 부재(161')의 상기 스크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홈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빙 부재(150')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할 때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무빙 부재(150')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할 때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할 때 서로 멀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는 주동 부재(')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가까워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방향(Mp1)은 주동 방향(Bp)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무빙 부재(150')는 가압부(161d')에 접촉하는 슬라이딩부(151b')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51b')는, 가압부(161d')의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슬라이딩부(151b')는 시단부(151')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51b')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과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의 사이 방향을 바라보는 빗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a를 참고하여, 한 쌍의 무빙 부재(150a', 150b')가 각각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에서, 제 1무빙 부재(150a')의 슬라이딩부(151b')의 주동 방향(Bp)의 말단부는 제 2무빙 부재(150b')의 슬라이딩부(151b')의 주동 방향(Bp)의 말단부에 접촉할 수 있다.
무빙 부재(150')는 탄성 부재(162')의 말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62')의 일단은 제 1무빙 부재(150a’)의 탄성부재 지지부(152')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162')의 타단은 제 2무빙 부재(150b’)의 탄성부재 지지부(15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a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b는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최대한 이동 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a의 상태에서, 모터축(168')이 정방향으로 회전시, 스크류 기어(163')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스크류 기어(163')가 주동 부재(161')의 상기 스크류 홈으로부터 인출된다. 스크류 기어(163')의 정방향 회전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Bp)으로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Bp)으로 이동시, 가압부(161d')의 경사면을 따라 무빙 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1b')가 슬라이딩되면서,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Mp1)으로 이동한다. 상기 모듈 지지부는 주동 부재(161')의 주동 방향 최대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부재(161')가 상기 리미트 구조에 접촉하면, 모터축(168')은 더 이상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된다.
도 15b의 상태에서, 모터축(168')이 역방향으로 회전시, 스크류 기어(163')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스크류 기어(163')가 주동 부재(161')의 상기 스크류 홈으로 인입된다. 스크류 기어(163')의 역방향 회전시, 주동 부재(161')는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한다. 주동 부재(161')가 주동 방향의 반대 방향(Br)으로 이동시, 탄성 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161d')의 경사면을 따라 무빙 부재(150')의 슬라이딩부(151b')가 슬라이딩되면서, 무빙 부재(150')가 무빙 방향의 반대 방향(Mr1)으로 이동한다. 스크류 기어(163')가 상기 스크류 홈에 끝까지 인입하면, 모터축(168')은 더 이상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된다.
이하, 도 4 및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복수의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는, 기설정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기설정된 순환 모드 및 환기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 내 각종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외기의 유출입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환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모드(제 1순환 모드,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내기 유로(Pa, Pb)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 및 개폐 모듈(100, 100')을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밸브 모듈(70)이 내기 유로(Pa, Pb)를 열고 개폐 모듈(100, 100')이 통과 유로(127)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내기 유로(Pa, Pb)가 선택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즉, 외기 개폐 모듈(100a)는 외기 유입 유로(127)를 닫고 배기 개폐 모듈(100b)은 배기 유출 유로(127)을 닫는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밸브 모듈(70)은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밸브(70a, 70b)를 열어준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외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 및 개폐 모듈(100, 100')을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밸브 모듈(70)이 내기 유로(Pa, Pb)를 차단하고 개폐 모듈(100, 100')이 통과 유로(127)를 열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될 때, 외기 유로(Pc)가 선택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가 열림되게 제어한다. 즉, 외기 개폐 모듈(100a)는 외기 유입 유로(127)를 열고 배기 개폐 모듈(100b)은 배기 유출 유로(127)를 연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밸브 모듈(70)은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모든 밸브(70a, 70b)를 닫아준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 모드는, 공기가 필터부(95)에 의해 필터링 되도록 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 1순환 모드와 제 2순환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부(3)의 입력을 통해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하나의 의류 처리 과정에서 시간 구간별로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센싱부(4)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제 1내기 유로(Pa)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 및 개페 모듈(100, 100')을 제어한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열리고 제 2밸브(70b)는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외기 개폐 모듈(100a) 및 배기 개폐 모듈(100b)이 각각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를 닫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순환 모드를 통해서, 스팀이 효율적으로 의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제 2내기 유로(Pb)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 및 개페 모듈(100, 100’)을 제어한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닫히고 제 2밸브(70b)는 열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외기 개폐 모듈(100a) 및 배기 개폐 모듈(100b)이 각각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를 닫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순환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순환 모드 및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각각 행거 모듈(30)의 진동 패턴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2)는, 상기 제 1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진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빨리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외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모듈(70) 및 개페 모듈(100, 100’)을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외기 개폐 모듈(100a) 및 배기 개폐 모듈(100b)가 각각 외기 유입 유로(127) 및 배기 유출 유로(127)를 열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함유된 습기나 냄새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 모드에서, 처리 공간(10s) 내의 먼지나 냄새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의류 처리 장치 2 : 제어부
7 : 스팀 모듈 10 : 케비닛
10s : 처리 공간 15 : 도어
15d : 도어 측면부 30 : 행거 모듈
40 : 덕트 50 : 팬
60 : 열교환 모듈 70 : 밸브 모듈
90 : 필터 모듈 100, 100' : 개폐 모듈
100a : 외기 개폐 모듈 100b : 배기 개폐 모듈
120 : 루버 부재 120a : 제 1루버 부재
120b : 제 2루버 부재 121 : 루버 축부
123 : 루버 베이스 125 : 차단부
125a : 노출 차단부 127 : 통과 유로
127a : 아우터 개구부 127b : 이너 개구부
130 : 전달 돌기 140 : 전달 리세스
150, 150' : 무빙 부재 150a, 150a' : 제 1무빙 부재
150b, 150b' : 제 2무빙 부재 151a : 캠 돌기
151b' : 슬라이딩부 152' : 탄성부재 지지부
160, 160' : 구동 어셈블리 161, 161' : 주동 부재
161d : 캠 홈 161a' : 탑부
161d' : 가압부, 경사면 162' : 탄성 부재
163, 163' : 동력 전달부 168, 168' : 모터
Pa, Pb : 내기 유로 Pc : 외기 유로
P0 : 공유 구간 P1 : 내기 유입 구간
P2 : 필터 통과 구간 Oh : 힌지축
Os, Os1, Os2 : 루버 회전축 Oa : 주동 회전축
Ob : 전달 회전축

Claims (11)

  1.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고, 내측으로 내부공간과, 상기 처리공간을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내측단과 상기 본체 외부를 향해 개구된 연통유로 외측단을 연결하는 연통유로가 형성된 도어;
    상기 연통유로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과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을 연통시키는 통과유로가 형성된 루버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루버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루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 루버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빙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부재를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처리공간을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도어 이너 프레임; 및
    상기 도어 이너 프레임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도어 이너프레임과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단부에는, 상기 루버부재가 배치되는 연통유로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유로의 양단에는, 상기 연통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에 배치되는 아우터 개구부와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에 배치되는 이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루버부재가 상기 연통유로를 폐쇄할 때, 상기 아우터 개구부와 상기 이너 개구부 중 하나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도어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이너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은 상기 처리공간을 향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연통유로 외측단은 상기 연통유로 내측단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루버부재는,
    내부에 상기 통과유로를 형성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는 루버 베이스;
    상기 루버 베이스에서 상기 루버 회전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루버 축부; 및
    상기 루버 베이스에서 상기 루버 축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무빙부재와 연결되는 전달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무빙부재는, 상기 무빙부재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돌기와 연결되는 전달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리세스는, 상기 루버 회전축 및 상기 좌우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전달 돌기보다 길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처리공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공간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처리하는 기계실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처리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는 외기개폐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기개폐모듈 각각에는, 상기 연통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개폐모듈과, 상기 외기개폐모듈 각각의 연통유로에는, 상기 루버부재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면에는, 상기 외기개폐모듈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기계실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연결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79314A 2017-12-08 2019-07-02 의류 처리 장치 KR10229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14A KR102294608B1 (ko) 2017-12-08 2019-07-02 의류 처리 장치
KR1020210110332A KR1023701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08A KR101999534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190079314A KR102294608B1 (ko) 2017-12-08 2019-07-02 의류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08A Division KR101999534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32A Division KR1023701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718A true KR20190082718A (ko) 2019-07-10
KR102294608B1 KR102294608B1 (ko) 2021-08-27

Family

ID=6725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14A KR102294608B1 (ko) 2017-12-08 2019-07-02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6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193A (ja) * 1983-02-15 1984-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衣類乾燥機
KR20110082375A (ko) * 2010-01-11 2011-07-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건조기용 댐퍼유닛
KR20120015012A (ko) * 2010-08-11 2012-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20120047443A (ko) * 2010-11-04 2012-05-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193A (ja) * 1983-02-15 1984-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衣類乾燥機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10082375A (ko) * 2010-01-11 2011-07-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건조기용 댐퍼유닛
KR20120015012A (ko) * 2010-08-11 2012-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 제어방법
KR20120047443A (ko) * 2010-11-04 2012-05-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608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6141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7012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294610B1 (ko) 의류 처리 장치
EP3722494B1 (en) Garment treatment device
AU2022201215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9891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9953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37012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82718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65548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62545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45185A (ko) 의류 처리 장치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