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72B1 -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72B1
KR100879572B1 KR1020070078726A KR20070078726A KR100879572B1 KR 100879572 B1 KR100879572 B1 KR 100879572B1 KR 1020070078726 A KR1020070078726 A KR 1020070078726A KR 20070078726 A KR20070078726 A KR 20070078726A KR 100879572 B1 KR100879572 B1 KR 10087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valve
cooling water
hot wate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조
안승표
송성호
김양환
김동현
김양호
엄윤섭
위재혁
김정윤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4492 priority patent/WO2009020309A1/en
Priority to US12/672,239 priority patent/US9080271B2/en
Priority to DE112008002131.7T priority patent/DE112008002131B4/de
Priority to DE112008004297.7T priority patent/DE112008004297B3/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 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급수라인; 및 상기 급수라인의 개폐상태 또는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외부에 존재하는 온수공급원 및 냉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 및 냉수를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 또는 제습 후 생성되는 고온의 폐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하는 것이 가능해 져 온수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온수를 만들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급수라인, 급수 제어수단, 냉각수

Description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WASHING-DRYING SYSTEM HAVING WASHER AND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WATER SUPPLY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의 건조 또는 제습을 수행한 후 배출되는 고온의 폐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라인 구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 시스템은 세탁기와 건조기로 이루어져 한 쌍의 제품군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건조 겸용 세탁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의류처리 시스템은 세탁과 건조를 한 곳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한 쌍의 제품군으로 출시되어 동일한 공간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이다.
의류처리 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 위치의 공간적 제약으로 세탁기와 건조기를 상하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건조기로 들어가는 냉수라인은 세탁기로 들어가는 냉수라인을 분지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건조기와 세탁기가 독립적으로 작동하였다.
건조기는 제습 또는 건조를 위한 냉수라인과 습공기와 열교환하여 생성된 폐 수(냉각수)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라인으로 구성되며, 세탁기는 온수공급원과 냉수공급원에 직접 연결되고 세탁기 내에 설치된 배수펌프를 통해 세탁 폐수를 배출하였다.
특히, 수냉식 제습 모듈을 구비한 덕트리스 건조기를 사용한 의류처리 시스템이라면, 덕트리스 건조기의 본질상 제습에 이용된 냉각수 내지 폐수는 수온이 40℃를 넘는 깨끗한 온수가 된다.
여기서, 의류처리 시스템의 세탁기와 건조기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덕트리스 건조기의 냉각수를 세탁기의 세탁수로 재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전체 의류처리 시스템에서 소비하는 물의 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수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분지하여 세탁기와 건조기에서 사용하는 관계로 세탁기와 건조기가 동시에 운전될 경우, 건조기로 공급되는 냉수의 량이 감소하며 이로 인해 건조기의 제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로 공급되는 세탁수(냉수)의 일부를 건조기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에 필요한 물이 감소하여 세탁시간이 늘어나며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피건조물을 건조한 후 생성되는 폐수 내지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함으로써,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건조를 수행한 후 버려지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함으로써 온수를 생성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건조기에 공급되는 냉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며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넷째 목적은,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냉각수를 세탁기로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째 목적은, 건조기와 세탁기가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된 의류처리 시스템 뿐만 아니라, 건조기 단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급수 제어수단을 구비한 건조-세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 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급수라인; 및 상기 급수라인의 개폐상태 또는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 제어수단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며, 외부의 급수원과 상기 제1본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제어수단;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수단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제1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제어수단을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기 제2제어수단과 연동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연동되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제어 수단은 상기 급수원 중 냉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2본체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로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밸브; 상기 급수원 중 온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4밸브; 및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폐수)를 외부로 내보내거나 상기 제1본체에 공급하는 제5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 수단은 상기 냉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2본체를 거쳐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5밸브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와 상기 제4밸브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본체에 공급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제어수단 및 상기 제2제어수단을,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로 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급수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밸브 또는 상기 제5밸브는 상기 제2본체의 온(on)/오프(off)와 연동되어 온(on)/오프(off)되고, 상기 제4밸브는 상기 제2본체의 온(on)/오프(off)와 연동되어 오프(off)/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제어가 상기 제2본체의 가동 여부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가 상기 제2본체의 급수 또는 배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싱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온도센싱수단에서 측정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와 세탁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라면 건조 작동 초기에 배수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낮은 온도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하기 보다는 외부의 온수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직접 이용하여 세탁을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 냉수공급원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 상기 냉수공급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 상기 온수공급원과 상기 제1본체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제1본체를 연결하는 냉각수관; 상기 냉각수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본체의 외부로 연결되는 건조측 배수관; 및 상기 제1본체의 외부로 연결되는 세탁측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수공급원과 상기 제3밸브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제1본체에 냉수를 공급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건조측 냉수급수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제5밸브를 연결하는 냉각수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5밸브를 연결하는 냉각수공급관; 상기 제5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측 배수관; 상기 온수공급원과 상기 제4밸브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및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온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2본체로 직접 온수를 공급하는 세탁측 온수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본체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빠져나온 공기를 상기 케이싱로부터 배기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본체는 열교환부를 구비한 수냉식 건조기이기 때문에 작동과정에서 고온의 냉각수가 생성되고, 이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함으로써 온수세탁에 사용되는 온수를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피건조물의 습공기로부터 생성되는 냉각수는 별도의 물받이에 모은 후 소비자에 의해 외부로 버려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3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냉수공급원에서 공급된 냉수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싱단계; 및 상기 온도센싱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5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본체가 온수세탁을 수행하게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4밸브는 닫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2본체가 작동한 후 소정시간 경과 후 수행되며,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온수공급원에서 상기 제1본체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건조 작동의 초기에 생성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온수세탁을 수행할 정도로 충분히 따뜻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 작동 초기에는 온수공급원의 온수를 직접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를 구비한 의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온수공급원 및 냉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 및 냉수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제2본체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이며, 이 때,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 중에서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급수라인 및 상기 급수라인의 연결 내지 개폐를 조절하는 급수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피건조물을 건조 또는 제습 후 생성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를 수행한 후 버려지는 폐수인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함으로써 온수를 만들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에 공급되는 냉수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며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수세탁을 위해 수온 등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 단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급수 제어수단을 구비함 으로써 의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건조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은 하부에 배치되며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100)와, 제1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제2본체(200)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도 있으며, 구김 방지 등의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본체(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싱(110)과, 그 내부에 설치된 제1드럼(미도시), 상기 제1드럼으로 세탁물을 넣기 위한 제1도어(120)를 포함하여 제1케이싱(110)에는 운전코스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제1컨트롤패널(15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본체(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싱(210)과, 제2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된 제2드럼(미도시), 제2드럼을 개폐하여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제2도어(211) 그리고 건조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제2컨트롤패널(2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본체(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에 사용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본체(200)는 제2케이싱(210)과, 케이싱(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드럼(220)과, 제2드럼(2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240)와, 제2드럼(22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250)와, 열교환부(250)를 빠져나온 건조 공기를 제2케이싱(210)의 뒷쪽으로 배기하는 배기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케이싱(210)의 전면에는 의류를 제2드럼(120)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도어(211)가 설치된다. 케이싱(210) 내부에는 제2드럼(220)을 회전시키는 벨트(231)와, 덕트리스 건조기 즉 제2본체(200) 내 공기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순환덕트(214) 내 설치된 팬(233)과 이러한 벨트(231)와 팬(23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5)가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235)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벨트(231)와 팬(233)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순환덕트(214)에는 제2드럼(2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고온 고습의 공기 중 포함된 보풀이나 실밥 등과 같은 린트(Lint)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240)는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밸브(미도시)와 상기 밸브에서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와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미도시)와, 발생된 열풍이 제2드럼(220)에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연소기와 제2드럼(220)을 연결하는 열풍공급덕트(245)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공급부(240)에는 화염전류를 검출하여 이 화염전류의 수치를 통해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화염의 가장자리로 연장 설치되는 플레임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250)는 핀과 튜브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제2드럼(220)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의 물에 의해 냉각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 때, 저온의 물은 외부의 냉수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냉수이며, 이 냉수가 고온 다습한 공기와 열교환하면 어느 정도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가 된다.
상기 열교환부(250)의 입구는 순환덕트(214)에 의해 제2드럼(220)과 연결되고, 그 출구는 배기덕트(261)와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부(250)의 핀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열교환부(250)의 튜브 내부에는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튜브의 양측단은 저온의 물을 공급 및 회수하는 물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열교환부(250)의 하부에는 냉각과정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냉각수를 채집하는 물받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부(260)는 일단이 열교환부(2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싱(210)의 후측으로 노출된 배기덕트(261); 및 노출된 배기덕트(261)를 덮어 배기되는 공기를 측면으로 배기하는 백커버(26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피건조물을 건조 내지 제습시키는 제2본체(200)는 건 조과정에서 흡수된 습공기는 열교환부(250)에서 열교환되어 냉각수로 변환된다. 이 러한 냉각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열교환부(250)로 공급된 냉수는 대개 수온이 40℃가 넘는 냉각수가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는 대부분 깨끗한 물이다. 따라서, 이러한 냉각수는 제1본체(100)로 공급되어 제1본체(100)의 온수세탁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250)에는 외부의 냉수공급원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데 외부로부터의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 사이의 급수를 위해서 급수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라인의 개폐 등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수단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의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연결하는 급수라인 및 급수 제어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은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에 형성된 급수라인 및 급수라인의 개폐상태 또는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 제어수단은 제2본체(200)에 형성되며 외부의 급수원(CWS,WWS)과 제1본체(1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제어수단 및 제1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수단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제1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제어 수단은 급수원(CWS,WWS) 중 냉수공급원(CWS; Cool Water Source)에서부터, 제2본체(200)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250)로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밸브(270)와, 상기 급수원(CWS,WWS) 중 온수공급원(WWS; Warm Water Source)에서부터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4밸브(280) 및 열교환부(250)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내보내거나 제1본체(100)로 공급하는 제5밸브(2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 수단은 냉수공급원(CWS)에서부터 제2본체(200)를 거쳐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밸브(170) 및 제5밸브(290)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와 제4밸브(280)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1본체(100)에 공급하는 제2밸브(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원(CWS, WWS), 제2본체(200) 그리고 제1본체(100) 사이에는 급수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라인의 열림 내지 닫힘은 상기 제어수단 즉 밸브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제2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본체(20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밸브(270,280,2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2본체(200)가 본격적으로 건조행정을 시작하는 시점에 마이컴(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제3밸브(27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3밸브(270)는 개방된다.
상기 급수라인은, 냉수공급원(CWS)과 열교환부(250)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CWL)과, 냉수공급관(CWL)에서 분지되어 제1본체(100)에 연결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L1)과, 온수공급원(WWS)과 제1본체(100)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WWL)과, 열교환부(250)와 제1본체(100)를 연결하는 냉각수관(L5)과, 냉각수관(L5)에서 분지되어 제2본체(200)의 외부로 연결되는 건조측 배수관(DL2) 및 (100)제1본체의 외부로 연 결되는 세탁측 배수관(DL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건조측 배수관(DL2)는 제2본체(200)를 거처 제1본체(100)로 연결된 후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급수라인을 좀더 상술하면, 상기 냉수공급원(CWS)에서 제2본체(200)의 열교환부(250)로 공급되는 냉수는 냉수공급원(CWS)과 제3밸브(270)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CWL)과, 제3밸브(270)와 열교환부(250)를 연결하는 건조측 냉수급수관(L2)을 통해 열교환부(250)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냉수공급관(CWL)은 제2본체(200)와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1본체(100)에 직접 연결하고 제1본체(100)에 연결된 냉수공급관(CWL)에서 분지하여 제2본체(200)의 열교환부(250)로 냉수를 공급하도록 배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본체(100)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제3밸브(270)와 제1밸브(170)를 연결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L1)이 형성된다. 즉, 세탁측 냉수급수관(L1)은 제3밸브(270)에서 제1본체(100)쪽으로 분지된다. 이 때, 세탁측 냉수급수관(L1)의 분지위치가 중요한데, 세탁측 냉수급수관(L1)은 냉수공급관(CWL)에서 분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세탁측 냉수급수관(L1)이 건조측 냉수급수관(L2)에서 분지되면 제3밸브(270)에 의해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에 선택적으로 냉수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온수공급원(WWS)에서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공급원(WWS)과 제4밸브(280)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WWL)과, 제4밸브(280)와 제2밸브(180)를 연결하는 세탁측 온수급수관(L3)을 통과하여 제1본체(1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온수공급원(WWS)에서 공급되는 온수는 제2본체(200)에서는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2본체(200)를 통과하여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제1본체(100)를 공급되는 온수를 단속하는 제4밸브(280)를 제2본체(200)에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데, 이는 제2본체(200)의 작동 여부와 연동하여 제4밸브(280)를 개폐하여 제1본체(100)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제2본체(200)가 작동할 경우에는 열교환부(250)에서 배출되는 따뜻한 냉각수를 제1본체(100)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온수공급원(WWS)으로부터 제1본체(100)로 온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온수세탁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를 위해 제4밸브(280)를 제2본체(200)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온수공급관(WWL)을 직접 제1본체(100)에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온수공급관(WWL)은 제1본체(100) 또는 제2본체(200)에 선택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4밸브(280)는 전원이 인가되면 닫히는 특성이 있으므로, 제2본체(200)가 꺼져 있는 경우에는 제4밸브(280)가 열리게 되고 제2본체(200)가 켜져 있는 경우에는 마이컴(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제2본체(200)의 열교환부(250)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하거나 이를 단속하는 급수라인 및 제어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본체(200)가 건조를 수행하는 중에 열교환부(250)에서 생성된 폐수 즉, 냉각수는 열교환부(250)와 제5밸브(290)를 연결하는 냉각수관(L5)을 흐른다. 냉각수관(L5)을 통해 제5밸브(290)까지 도달된 냉각수는 제5밸브(29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수되거나 제1본체(1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제5밸브(290)에는 건조 측 배수관(DL2)과, 제1본체(100)의 제2밸브(180)로 연결되는 냉각수급수관(L4)이 더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냉각수를 건조측 배수관(DL2)으로 보낼 것인가, 제1본체(100)의 제2밸브(180)로 보낼 것인가의 결정은 냉각수의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냉각수의 온도가 40℃를 넘으면 온수세탁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를 제2밸브(180)로 보내도록 제5밸브(290)가 작동하며, 만약 냉각수의 온도가 40℃를 넘지 않으면 온수세탁에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므로 건조측 배수관(DL2)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도록 제5밸브(290)가 작동한다.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해 열교환부(250)의 출구 측에 온도센싱수단(295)가 설치된다. 제5밸브(290)는 온도센싱수단(295)에서 감지한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예를 들면 40℃) 이상이면 냉각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하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싱수단(295)은 서모스탯(thermostat), 서미스터(thermistor) 또는 바이메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밸브(290)는 제2본체(200)가 작동한 후 소정시간 경과 후 작동되어 냉각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온도센싱수단(295)은 일정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밸브(270) 또는 제5밸브(290)는 제2본체(200)의 온(on)/오프(off)와 연동되어 온(on)/오프(off)되며, 제4밸브(280)는 제2본체(200)의 온(on)/오프(off)와 연동되어 오프(off)/온(on)된다. 따라서, 제5밸브(290)는 제4밸브(280)와 정반대로 작동한다. 즉, 제2본체(200)가 켜지면 제5밸브(290)도 켜지 지만 제4밸브(280)는 꺼진다.
만약, 제1본체(100)와 관계없이 제2본체(200)만 단품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5밸브(290)의 출구단을 마개로 막은 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밸브(170)와 제2밸브(180)를 연결하는 수온조절밸브(190)를 더 형성함으로써 제1본체(10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10은 제1케이싱, 130은 제1드럼, 210은 제2케이싱, 220은 제2드럼이며 DL1은 세탁측 배수관이다. 이 때, 세탁측 배수관(DL1)에는 배수펌프(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를 상하가 아닌 좌우로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를 연결하는 급수라인이 일실시예에 비하여 길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1본체(100')의 급수라인의 연결부는 상부에 있지만 제2본체(200')의 급수라인 연결부는 하부에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 시스템은 급수라인이 길어지더라도 의류처리 시스템을 상하로 배치할 수 없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만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인 120'은 제1도어, 150'는 제1컨트롤패널, 211'는 제2도어 그리고 212'는 제2컨트롤패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 또는 급수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에서 운전 모드에 따른 밸브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보면,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의 운전여부, 운전상태에 따른 밸브들(170,180,270,280,290)의 개폐상태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제2본체(200)에 전원이 켜지게 되면 제2본체(20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밸브(270,280,29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본체(200)의 건조 동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에 마이컴(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제3밸브(27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개방된다. 냉수 공급관(CWL)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3밸브(270)를 거쳐 열교환부(250)로 냉수가 공급되어 건조 내지 제습이 수행된다.
제4밸브(280)는 전원이 인가되면 닫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제2본체(200)가 꺼져 있는 경우에는 열려 있게 되며, 제2본체(200)가 켜져 있으면 마이컴의 지배를 받는다. 따라서, 제2본체(200)는 사용하지 않고 제1본체(100)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4밸브(280)는 열려 있게 되며 이는 제1본체(100)의 온수공급관(WWL)과 제1밸브(170)가 연결되어 온수세탁을 할 수 있다.
제5밸브(29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닫혀 있는 특성을 지니며 제2본체(200)가 작동하는 동안 온수세탁시 온도센싱수단(295)에서 센싱한 값에 의해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어 열교환부(250)의 말단부를 열어 세탁시 온수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절수 효과와 동시에 온수공급관(WWL)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그로 인한 에너지 절감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5밸브(290)와 정반대로 작동하는 제4밸브(280)의 동작으로 필요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첫째, 의류처리 시스템에서 제1본체(100)만을 사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모드인 경우(즉, 제2본체(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2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관계로 제3밸브(270)는 닫혀 있게 되며 제3밸브(280)와 동일한 특성을 지닌 제5밸브(290)도 닫혀 있게 된다. 그러나, 정반대의 특성을 지닌 제4밸브(280)는 열려 있게 된다.
제1본체(100)만 사용하여 냉수세탁을 하려면 제1본체(100)의 제1밸브(170)를 개방하며, 이로 인해 냉수공급관(CWL)을 따라 냉수공급원(CWS)에서 공급되는 냉수는 제2본체(200)의 열교환부(250)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제1본체(100)로 급수된다.
또한, 제1본체(100)만 사용하여 온수세탁을 하려면 제1본체(100)의 제1밸브(170)는 닫히고 제2밸브(180)가 열리기 때문에 제1본체(100)를 단품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온수세탁을 할 수 있다.
둘째, 의류처리 시스템에서 제1본체(100)는 사용하지 않고 제2본체(200)만 사용하여 건조를 수행하는 모드인 경우, 제3밸브(270)를 마이컴이 열어주고, 열교환부(25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온도센싱수단(295)에서 감지하여 그 센싱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면 제5밸브(290)를 조절하여 냉각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한다. 그러나, 제1본체(100)가 꺼져 있기 때문에 제2밸브(180)가 닫혀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냉각수는 건조측 배수관(DL2)을 통해 배수된다.
셋째,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가 모두 작동하는 모드인 경우, 제2본체(200)가 켜져 있음으로 인해 제3밸브(270)가 열려 열교환부(250)의 출구측으로 일정시간 경과 후, 일정온도 이상의 냉각수가 배수되며, 이에 따라 제4밸브(280)는 개폐되고 이와 정반대로 작동하는 제5밸브(290)는 폐개된다.
즉,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를 모두 사용하고 제1본체(100)에서 온수세탁을 수행한다면, 제2본체(200)의 작동 초기에는 제4밸브(280)가 열리고 제5밸브(290)는 닫혀 온수세탁에 사용할 정도로 충분히 따뜻하지 않은 냉각수가 제1본체(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어 온수세탁에 이용할 수 있으면 제4밸브(280)를 닫아 온수공급원(WWS)의 온수가 제1본체(10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5밸브(290)를 열어 냉각수를 제1본체(100)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온수세탁시 절수효과 및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냉수세탁 및 온수세탁 두 가지의 경우 모두, 도 5에 도시된 밸브의 개폐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넷째,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가 모두 꺼져 있는 운전 모드인 경우, 밸브의 대부분이 닫혀 있으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제1본체(100)와 관계없이 제2본체(200)만 단품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5밸브(290)의 출구측에 마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온수공급관(WWL)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서 제4밸브(28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할 경우의 급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의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를 모두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1본체(100)의 온수세탁을 수행할 경 우의 급수 제어방법은,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와, 제3밸브(270)를 조절하여 냉수공급원(CWS)에서 공급된 냉수를 제2본체(200)의 열교환부(250)로 공급하는 단계(S20)와, 냉수가 열교환부(250)를 통과하여 생성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싱단계(S30) 및 온도센싱단계(S30)에서 측정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으면, 제5밸브(290)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1밸브(170) 또는 제4밸브(280)는 닫혀 있다.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S40)는, 제2본체(200)가 작동한 후 소정시간 경과 후 수행되며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제4밸브(280)를 개방하여 온수공급원(WWS)에서 공급된 온수를 제1본체(100)에 직접 공급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S40)는, 제2본체(200)에서 배수되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제2본체(20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제2본체(200)를 거친 후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를 제1본체(100)로 공급하는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100)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200)를 구비한 의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온수공급원(WWS) 및 냉수공급원(CWS)으로부터 공급된 온수 및 냉수가 제2본체(200)를 거친 후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의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냉수는 냉수공급원(CWS)으로부터 제2본체(200)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관(CWL)에서 분지되어 제1본체(100)로 공급된 다.
또한,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는 제2본체(20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제2본체(200)를 거친 후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이거나, 제2본체(20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제2본체(200)를 거친 후 제1본체(100)로 공급되는 온수 중에서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100)는 프런트로드(front load) 방식 세탁기(즉, 드럼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기) 뿐만 아니라 탑로드(top load) 방식 세탁기(즉, 내조가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에 사용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의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연결하는 급수라인 및 급수 제어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에서 운전 모드에 따른 밸브의 개폐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할 경우의 급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제1본체 110,: 제1케이싱
120,120': 제1도어 130: 제1드럼
150,150': 제1컨트롤패널 170: 제1밸브
180: 제2밸브 200,200': 제2본체
210: 제1케이싱 211,211': 제2도어
240: 열풍공급부 250: 열교환부
260: 배기부 270: 제3밸브
280: 제4밸브 290: 제5밸브
CWS: 냉수공급원 WWS: 온수공급원
CWL: 냉수공급관 WWL: 온수공급관
L1: 세탁측 냉수급수관 L2: 건조측 냉수급수관
L3: 세탁측 온수급수관 L4: 냉각수급수관
L5: 냉각수관 DL1: 세탁측 배수관
DL2: 건조측 배수관

Claims (22)

  1.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
    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급수라인; 및
    상기 급수라인의 개폐상태 또는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제어수단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며, 외부의 급수원과 상기 제1본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제어수단;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수단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제1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수단은,
    상기 급수원 중 냉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2본체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로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밸브;
    상기 급수원 중 온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4밸브; 및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내보내거나 상기 제1본체에 공급하는 제5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수단은,
    상기 냉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2본체를 거쳐 공급되는 냉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5밸브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와 상기 제4밸브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본체에 공급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 또는 상기 제5밸브는 상기 제2본체의 온/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밸브는 상기 제2본체의 온/오프와 연동되어 오프/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싱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밸브는, 상기 온도센싱수단에서 측정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 냉수공급원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
    상기 냉수공급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
    상기 온수공급원과 상기 제1본체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제1본체를 연결하는 냉각수관;
    상기 냉각수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본체의 외부로 연결되는 건조측 배수관; 및
    상기 제1본체의 외부로 연결되는 세탁측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0.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은,
    상기 냉수공급원과 상기 제3밸브를 연결하는 냉수공급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제1본체에 냉수를 공급하는 세탁측 냉수급수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건조측 냉수급수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제5밸브를 연결하는 냉각수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5밸브를 연결하는 냉각수공급관;
    상기 제5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측 배수관;
    상기 온수공급원과 상기 제4밸브를 연결하는 온수공급관; 및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온수공급원에서부터 상기 제1본체로 직접 온수를 공급하는 세탁측 온수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빠져나온 공기를 상기 케이싱로부터 배기하는 배기부;를 포 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수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3. 제 11 항에 따른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3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냉수공급원에서 공급된 냉수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싱단계; 및
    상기 온도센싱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5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본체가 온수세탁을 수행하게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밸브는 닫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2본체가 작동한 후 소정시간 경과 후 수행되며,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온수공급원에서 상기 제1본체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제1본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의 급수 제어방법.
  17.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를 구비한 의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온수공급원 및 냉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 및 냉수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냉수는,
    상기 냉수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제2본체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제2본체에서 배수되는 냉각수 또는 상기 제2본체를 거친 후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 중에서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21. 세탁을 수행하는 제1본체와, 건조를 수행하는 제2본체를 구비한 의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제2본체에 설치된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온도센싱수단에 의해 그 온도가 측정되며, 상기 온도센싱수단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제1본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KR1020070078726A 2007-08-06 2007-08-06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KR1008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26A KR100879572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PCT/KR2008/004492 WO2009020309A1 (en) 2007-08-06 2008-08-01 Washing-drying system having washer and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water supply for the same
US12/672,239 US9080271B2 (en) 2007-08-06 2008-08-01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upply unit
DE112008002131.7T DE112008002131B4 (de) 2007-08-06 2008-08-01 Wasch-Trocknungssystem mit Waschmaschine und Trockner,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der Wasserversorgung desselben
DE112008004297.7T DE112008004297B3 (de) 2007-08-06 2008-08-01 Wasch-Trocknungssystem mit Waschmaschine und Trock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26A KR100879572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72B1 true KR100879572B1 (ko) 2009-01-22

Family

ID=4034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26A KR100879572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0271B2 (ko)
KR (1) KR100879572B1 (ko)
DE (2) DE112008004297B3 (ko)
WO (1) WO2009020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986A (ko) * 2020-02-28 2021-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2287A1 (en) * 2008-12-12 2012-02-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system with at least two household appliances and procedure
WO2011162553A2 (ko) * 2010-06-22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52A2 (ko) * 2010-06-22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WO2011162555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CN105734892B (zh) * 2014-12-12 2019-02-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补水控制方法
KR20170002888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85888A (ko) * 2016-01-15 201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9605A (ko) * 2016-01-27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9677A (ko) * 2016-01-27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648A (ko) * 2016-01-29 201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10055709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洗干一体机
CN110055712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洗干一体机
WO2019141083A1 (zh) * 2018-01-18 2019-07-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冷凝装置及具有其的衣物洗干一体机
WO2019141065A1 (zh) * 2018-01-18 2019-07-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洗干一体机
CN114836935B (zh) * 2019-10-10 2023-11-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KR20220083370A (ko) * 2020-12-11 2022-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5404635A (zh) * 2021-05-28 2022-11-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114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2조식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30084066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715997B1 (ko) * 2005-10-11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9744A (en) * 1963-07-11 1964-07-07 Gen Motors Corp Washer unit and dryer unit combined in a unitary cabinet
US3406413A (en) * 1966-10-25 1968-10-22 Foxboro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rinsing
DE2451339C2 (de) * 1974-10-25 1982-02-18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Kombination eines Waschvollautomaten mit einem Kondensationstrockner
JPH06277398A (ja) * 1993-03-30 1994-10-04 Hitachi Ltd 水冷式除湿型衣類乾燥機からの排水の再利用方法
DE19505596A1 (de) 1995-02-18 1996-08-22 Foron Waschgeraete Gmbh Waschmaschine mit Kalt- und Warmwasserzufluß
IT1308701B1 (it) * 1999-02-16 2002-01-10 Iar Siltal Spa Macchina di lavaggio combinata
DE60328210D1 (de) * 2003-12-23 2009-08-13 Candy Spa Haushalt-Waschmaschine und Trockner, die miteinander verbunden werden können, entsprechende gemeinsame Installation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m Waschen und Trocknen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114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2조식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30084066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715997B1 (ko) * 2005-10-11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986A (ko) * 2020-02-28 2021-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493055B1 (ko) * 2020-02-28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20230018501A (ko) * 2020-02-28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648423B1 (ko) * 2020-02-28 202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0309A1 (en) 2009-02-12
US9080271B2 (en) 2015-07-14
DE112008002131T5 (de) 2010-07-15
DE112008002131B4 (de) 2019-02-07
DE112008004297B3 (de) 2020-11-05
US20110185511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72B1 (ko)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JP4236678B2 (ja) 洗濯乾燥機
JP4679384B2 (ja) 洗濯乾燥機
KR100697070B1 (ko) 건조기와 세탁건조기와 그 제어 방법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US20090078007A1 (en) Laundry machine
JP5075771B2 (ja) 洗濯乾燥機
JPH08336693A (ja) 洗濯乾燥機
CN101173440B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干燥机干燥方法
JP2008104625A (ja) 衣類乾燥機
JP200032569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10019095A (ko) 에너지절약형 대형 의류 건조기
JP2011087623A (ja) 衣類乾燥機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245316A (ja) 洗濯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の乾燥方法
JP2008212169A (ja) 乾燥機
KR101295381B1 (ko) 의류처리장치
JP6092004B2 (ja) 衣類乾燥機
JP2015123348A (ja) 乾燥機
JP7431103B2 (ja) 洗濯乾燥機
KR10041343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627910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EP4074876A1 (en) Condensing system for combination washer/dryer appliance
JP2004194942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JP2004344238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