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8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88A
KR20170002888A KR1020150092782A KR20150092782A KR20170002888A KR 20170002888 A KR20170002888 A KR 20170002888A KR 1020150092782 A KR1020150092782 A KR 1020150092782A KR 20150092782 A KR20150092782 A KR 20150092782A KR 20170002888 A KR20170002888 A KR 2017000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rum
unit
tub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철
박동우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88A/ko
Priority to EP16818203.8A priority patent/EP3317451B1/en
Priority to PCT/KR2016/006943 priority patent/WO2017003170A1/en
Priority to US15/740,901 priority patent/US20180340285A1/en
Publication of KR2017000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을 위해 서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세탁장치 및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일정 양 이상의 의류를 처리(세탁, 건조 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 때문에 두 대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한 사용자는 두 대의 의류처리장치를 지면에 나란히 배치시켜 사용해야만 했는데, 이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될 공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등)이 구비된 다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뿐만 아리라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염(移染, migration)의 위험이 있는 의류는 서로 구분해서 세탁 가능하고, 세탁이 완료된 의류들은 동시에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의 세탁을 위해 구비되는 세탁장치 및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며, 전방면에 의류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에 연결되되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수직한 제1드럼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 상기 제2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에 연결되되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수직한 제2드럼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의 높이는 상기 건조장치의 높이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드럼 구동부; 상기 제1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드럼 구동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할 경우,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드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동일하지 않도록 상기 제1드럼 구동부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탁장치는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드럼 구동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상기 제1캐비닛이 안착한 경우에만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드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을 연결하여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드럼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건조장치 캐비닛에 연결하는 캐비닛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정된 제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회전축;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에서 기 설정된 기준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용부는 상기 제3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3터브, 상기 제3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3드럼, 상기 제3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3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3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제1투입구보다 낮고 상기 제3투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이 구비된 다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뿐만 아리라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염 위험이 있는 의류는 서로 구분해서 세탁 가능하고, 세탁이 완료된 의류들은 동시에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접속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건조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건조장치에 구비된 도어 및 힌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도어에 구비된 회전축 전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1, 3), 상기 세탁장치의 측면에 위치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7)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기 세탁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처리장치(1, 3)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세탁장치가 지면(ground)에 안착하는 제2처리장치(3), 상기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처리장치(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 상기 제1캐비닛(1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13),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15, 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11)에는 제1개방면(111)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드로워(13)는 제1개방면(111)을 통해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거나 제1캐비닛(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은 너비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드로워(13)는 상부면이 개방된 제1드로워 바디(131), 상기 제1드로워 바디의 개방면에 구비되는 제1드로워 커버(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드로워 바디(1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드로워 커버(135)는 제1드로워 바디(1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제1드로워 바디(131)에 고정된다.
상기 제1드로워 바디(131)의 전방면에는 제1드로워 패널(133)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드로워 패널(133)은 제1캐비닛의 개방면(111)을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제1드로워 바디(131)를 제1캐비닛(11)에서 인출하거나 제1캐비닛(11)으로 삽입시키는 수단이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로워 패널(133)에는 제1처리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컨트롤패널(133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컨트롤패널(133a)에는 상기 제1수용부(15, 17)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제1급수부, 제1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제1구동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제1제어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패널(133a)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1)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입력부(133b), 상기 제1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1표시부(133c,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로워 커버(135)에는 상기 제1드로워 커버(1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1드로워 바디(1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커버 제1관통홀(137, 제1관통홀) 및 제2커버 제2관통홀(139, 제2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13) 내부에 구비되는 제1수용부(15, 17)는 상기 제1드로워 바디(1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15),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1드럼(1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15)는 제1터브지지부(151)에 의해 제1드로워(13)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터브(15)의 상부면에는 제1터브 내부를 제1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투입구(153)가 구비되고, 상기 제1투입구(153)는 제1도어(15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도어(155)는 제1터브(15)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제1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1도어(155)는 제1드로워 커버(135)에 구비된 제1관통홀(137)을 통해 제1드로워(13)의 외부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드로워(13)를 제1캐비닛(11)에서 인출시킨 뒤 제1도어(155)를 열어 제1터브(15)에 의류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터브(15)의 상부면에는 제1터브로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제1유입구(15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유입구(157)는 후술할 제1급수관(S11)에 연결된다.
상기 제1드럼(17)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드럼(17)은 상기 제1터브(15)의 외부에 구비된 제1드럼 구동부(173, 제1구동부)에 의해 제1터브(15)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17)의 지름은 상기 제1드럼의 높이(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세탁장치(1, 3)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데, 각 세탁장치에 구비된 투입구(153, 353)는 지면(G, gorund)에 나란한 평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각 세탁장치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사용자가 제1투입구(153)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드럼(17)의 지름을 상기 제1드럼(17)의 높이보다 길게 한 것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상부에 위치한 세탁장치의 투입구(153)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세탁장치(1, 3)의 높이는 후술할 건조장치(7)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처리장치(3)가 지지되는 지면(G)에서 상기 제1투입구(153)까지의 높이는 건조장치(7)에 구비된 컨트롤패널(713)과 동일한 높이 또는 컨트롤패널(713)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173)는 제1터브(15)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173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733), 상기 제1터브(15)를 관통하여 제1드럼(17)의 바닥면과 상기 로터(1733)를 연결하는 제1드럼 회전축(17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드럼 회전축(1735)은 제1드로워(13)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13)는 상기 제1드로워가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된 때 제1구동부(17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드로워 바디(1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구동부(173)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멍이 없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드럼(17)의 외주면에는 제1드럼(17)의 내부를 제1터브(15)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1드럼관통홀(171)이 구비된다.
상기 제1터브(15)는 제1급수부(S1)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제1터브(15)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는 제1배수부(D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급수부(S1)는 급수원과 상기 제1유입구(157)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S11), 제1제어부(C1)에 의해 제1급수관(S11)을 개폐하는 밸브(S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S11)은 제2관통홀(139)을 통해 상기 제1드로워 커버(135)를 관통하는데, 제1드로워의 운동범위를 고려할 때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수부(D1)는 상기 제1터브(15) 내부의 세탁수를 제1캐비닛(1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D11), 상기 제1배수관(D11)에 구비되어 제1터브(3)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펌프(D13,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 역시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처리장치(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의 높이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조절부는 제1캐비닛(1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디(191), 상기 제1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조절바디(193), 상기 제1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처리장치(3)에 접촉하는 제1접촉바디(19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바디(193)는 수나사(external thread)로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바디(191)는 상기 수나사가 결합되는 암나사(internal thread)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조절부(19)는 상기 제1조절바디(193)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접촉바디(195)와 제1고정바디(19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19)는 상기 제1캐비닛(11)의 바닥면에 3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설치자는 제1캐비닛(11)의 수평이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3)는 제2캐비닛(31),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로워(33),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35, 3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캐비닛(31)은 상기 제1처리장치(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전방면에는 상기 제2드로워(33)가 삽입되는 제2개방면(311)이 구비된다.
상기 제2드로워(33)는 제2드로워 바디(331), 상기 제2드로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드로워 커버(335), 상기 제2드로워 바디(331)에 고정되는 제2드로워 패널(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드로워 패널(333)에는 제2컨트롤패널(333a)이 구비되며, 상기 제2컨트롤패널(333a)에는 제2제어부(C2)에 의해 제어되는 제2입력부(333b) 및 제2표시부(333c)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컨트롤패널(333a), 제2입력부(333b) 및 제2표시부(333c)의 기능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컨트롤패널, 제1입력부 및 제1표시부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드로워 커버(335)에는 제2드로워(33)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커버 제1관통홀(337, 제3관통홀) 및 제2커버 제2관통홀(339, 제4관통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35, 37)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35)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3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브(35)는 제2터브 지지부(351)를 통해 제2드로워 바디(331)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2터브(35)의 상부면에는 제2투입구(353) 및 제2유입구(357)가 구비된다.
상기 제2투입구(353)는 상기 제3관통홀(337)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투입구(353)는 제2터브(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도어(35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유입구(357)는 상기 제2터브(35)로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2유입구(357)에는 후술할 제2급수관(S21)이 연결된다.
상기 제2드럼(37)은 제2드럼 구동부(371,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터브(35)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제2드럼(37)의 구조 및 상기 제2구동부(371)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처리장치의 제1드럼(17) 및 제1구동부(173)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동부(371) 역시 스테이터, 로터 및 제2드럼 회전축(373)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드럼 회전축(373)은 제2터브를 관통하여 제1드럼의 바닥면과 로터를 연결한다. 상기 제2드럼 회전축(373)은 제2드로워(33)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터브(35)는 제2급수부(S2)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제2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는 제2배수부(D2)를 통해 제2캐비닛(3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급수부(S2) 및 제2배수부(D2)의 구조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급수부(S1) 및 제1배수부(D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급수부(S2)는 급수원과 상기 제2유입구(357)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S21) 및 상기 제2급수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급수관(S21)은 상기 제4관통홀(339)을 통해 상기 제2드로워 커버(335)를 관통하게 되며, 제2드로워의 동작범위를 고려할 때 상기 제2급수관(S21)은 신축 가능한 구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배수부(D2)는 제2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제2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에 구비되는 펌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배수관 역시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캐비닛(31)의 바닥면에는 제2처리장치(3)의 높이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39)는 제2캐비닛(31)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391), 상기 제2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조절바디(393), 상기 제2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L)가 설치되는 설치 면(지면 등)에 접촉하는 제2접촉바디(39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디(391), 제2조절바디(393), 제2접촉바디(395)의 구조는 제1조절부에 구비된 제1고정바디(191), 제1조절바디(193) 및 제1접촉바디(19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처리장치(1)는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는 제1드로워(13)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수용부(15, 17)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수용부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에서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제2처리장치에서 인출하려면, 사용자는 제2드로워(33)를 제2캐비닛(31)에서 인출해야만 하는데, 상기 제2드로워(33)가 제2캐비닛(31)에서 인출되면 제2처리장치(3)의 무게중심이 제2캐비닛(31)의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제2처리장치(3)의 후방면이 지면(G)에서 분리되는 문제(제2드로워의 전방면이 지면에 충돌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에 발생 가능한 상술한 문제는 상기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의 상부면(315)에 위치되어 있으면 해결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1)를 제2처리장치(3)의 상부면에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 제1처리장치(1)가 안착 될 수 있다는 점만으로 상술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 제1처리장치(1)가 위치된 경우라도, 제1처리장치의 높이와 제2처리장치의 높이의 합이 제2처리장치의 너비방향 길이보다 길면 제1드로워(13)를 제1캐비닛(11)에서 인출했을 때 세탁장치(1, 3) 전체가 쓰러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닛 지지부(8), 상기 제1처리장치가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제2처리장치(3)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상기 캐비닛 지지부(8)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캐비닛 지지부(8)는 제1캐비닛(11)과 제2캐비닛(31)을 결합하는 수단(제1지지부, 81), 제2처리장치(3)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탁장치(1, 3) 전체를 지지하는 수단(제2지지부, 83), 제2처리장치(3)의 후방에 위치하여 세탁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수단(제3지지부, 85), 제1처리장치(1)의 배면을 지면이나 벽에 연결하는 수단(제4지지부, 87), 세탁장치(1, 3)를 건조장치(7)에 연결하는 수단(캐비닛 연결부, 8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81, 제1처리장치 지지부)는 제1캐비닛(11)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817), 제2캐비닛의 상부면(315)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817)에 결합하는 제2연결부(81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81)는 캐비닛들(11, 31)을 결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제1조절부(19)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81)는 제2캐비닛의 상부면(353)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연결부(819)가 위치하는 바디(811),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부의 제1접촉바디(195)가 수용되는 조절부 수용부(813)를 더 포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817)와 제2연결부(819)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811)에는 상기 제1연결부(817)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수용부(8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815)는 상기 바디(811)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지지부(81)를 통해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에 고정되면, 제2처리장치(3)의 무게 때문에 상기 제1드로워(13)가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되더라도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에서 낙하할 가능성은 크게 줄어 들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처리장치(1)의 무게가 상기 제2처리장치(3)의 무게와 동일하거나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보다 무거운 경우(제1처리장치에만 의류가 투입된 경우 등), 상술한 제1지지부(81)는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에서 추락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세탁장치(1, 3) 전체가 쓰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제2지지부(83), 제3지지부(85), 제4지지부(57) 및 캐비닛 연결부(89)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2지지부(83)는 상기 제2캐비닛(31)의 전방에 위치된 제2조절부(39)에서 상기 제1드로워(13)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 또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83)는 제2캐비닛(31)에서 상기 제1드로워(13)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2캐비닛(31)이 설치되는 설치 면(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면, 지면 등)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83)는 상기 제2캐비닛(31)의 전방에 위치된 제2조절부(3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조절부(39)에 구비된 제2접촉바디(395)가 상기 제1드로워(13)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2캐비닛(31)의 전방면에서 상기 제2지지부(83)의 자유단까지의 거리(Z1, 도 2 참고)는 제2캐비닛(31)의 전방면에서 상기 제1드럼 회전축(1735)까지의 거리(Z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드로워(13)의 무게중심이 제1드럼 회전축(1735) 부근에 형성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3지지부(85)는 상기 제2캐비닛(31)의 후방에서 상기 제1드로워(13)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851), 상기 지지바디(851)에 구비되며 상기 제2조절바디(393)가 수용되는 슬릿(853), 상기 지지바디(851)를 상기 제2처리장치(3)가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8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51)는 상기 슬릿(853)을 통해 상기 제2조절부(39)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857)는 관통홀(855)에 삽입되어 설치 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바디(851)를 설치 면에 고정한다.
상기 제2조절부(39)에 제2접촉바디(395)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3지지부(85)는 지지바디(851)의 길이방향(Z)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지지바디(8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8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859)는 상기 제2접촉바디(39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플랜지들(859) 사이의 간격은 제2접촉바디(395)의 너비방향 길이(X축 방향 길이)보다 넓게 구비되고, 각 플랜지(859)의 높이는 상기 제2첩촉바디(395)의 높이방향 길이(Y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제3지지부(85)는 제2조절부에 구비된 제2접촉바디(395)에 고정되되 상기 제1드로워(13)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디(851), 상기 지지바디를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857)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지지부(87)는 제1처리장치(1)의 후방면을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벽이나 지면)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4지지부(87)는 상기 제1캐비닛(11)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871), 상기 와이어(871)를 설치 면이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8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 연결부(89)는 세탁장치(1, 3)를 건조장치(7)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캐비닛(11)의 배면을 건조장치(7)의 배면에 연결하는 캐비닛 제1연결부(891), 제2캐비닛(31)의 배면을 건조장치(7)의 배면에 연결하는 캐비닛 제2연결부(8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캐비닛 지지부를 통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드로워(13)가 제1캐비닛(11)에서 인출될 때 세탁장치(1, 3) 전체가 넘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캐비닛 지지부(8)가 제1지지부(81), 제2지지부(83), 제3지지부(85), 제4지지부(87) 및 캐비닛 연결부(89)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캐비닛 지지부(8)는 제1지지부(81), 제2지지부(83), 제3지지부(85), 제4지지부(87) 및 캐비닛 연결부(89) 중 어느 하나 만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 지지부(8)는 제1지지부(81)와 제2지지부(83), 제3지지부(85), 제4지지부(87) 및 캐비닛 연결부(89) 중 어느 하나의 결합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제2처리장치(3)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9, 제2처리장치 접속부)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9)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전력공급이 요구되는 구성요소, C2, 333c, 371, S2, D2, 333b 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회로(L1)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L1)는 제2처리장치(3)의 구성요소들 중 제2제어부(C2) 및 제2표시부(333c)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어부(C2)는 제2회로(L2)를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표시부(333c)는 제3회로(L3)를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접속부(9)는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의 상부면(315)에 안착하면 상기 제1회로(L1)를 폐쇄하고, 제1처리장치(1)가 제2처리장치(3)의 상부면(315)에서 분리되면 제1회로(L1)를 개방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9)는 제2캐비닛의 상부면(3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817)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91),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로(L1)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93), 상기 회로연결부(93)를 상기 제1회로(L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91)는 가압부 관통홀(P1)을 통해 제2캐비닛의 상부면(315)을 관통하며, 상기 가압부 관통홀(P1)에 삽입된 가압부(91)는 상기 제1지지부(81)에 구비된 수용부(815)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817)를 수용부(815)에 삽입하면, 상기 회로연결부(93)는 제1회로(L1)를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접속부(9)는 제2처리장치(3)에 2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리장치(3)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접속부(9)는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회로(L5)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회로(L5)는 전원(P)을 제1회로(L1), 제2회로(L2) 및 제3회로(L3)에 연결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부(9)는 상기 제2제어부(C2)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제어회로(L4)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접속부(9)만 도시하였지만,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1처리장치(1)에도 제2처리장치 접속부(9)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접속부(제1처리장치 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경우, 제1처리장치(1)의 상부에는 다른 세탁장치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처리장치(1)에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미도시)에 구비된 가압부를 눌러주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1)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의 가압부를 눌러주는 위치고정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는 가압부(91)가 관통하도록 구비된 가압부 관통홀(P1)이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고정부(P2)는 상기 가압부 관통홀(P1)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91)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회로연결부(93)가 제1회로(L1)를 폐쇄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상부면에 제1처리장치(1)를 위치시키는 특징은 다음과 같은 불리한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처리장치에는 제1드럼 회전축(1735)에 의해 회전하는 제1드럼(17)이 있고, 상기 제2처리장치에는 제2드럼 회전축(373)에 의해 회전하는 제2드럼(37)이 있기 때문에 제1드럼(17)과 제2드럼(37)의 회전방향이 동일할 경우 결합된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가 함께 쓰러질 위험이 있다.
한편, 제1드럼(17)과 제2드럼(37)의 회전방향이 다르다 하더라도 제1드럼(17)의 회전중심과 제2드럼(37)의 회전중심이 다르면 각 드럼의 회전 시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에 발생하는 진동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드럼의 회전중심과 제2드럼 회전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 드럼(17, 37)의 회전방향이 일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 드럼 회전축(1735, 373)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두 드럼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드럼 회전축(1735)과 제2드럼 회전축(373)은 지면에 수직한 하나의 직선상에 배치(수직선상에 배치)되면 된다.
한편, 상기 두 드럼(17, 37)의 회전방향이 일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가 서로 통신 가능해야 하는데, 도 5는 각 제어부(C1, C2)가 제1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제1통신부(C11)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통신부(C21)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나머지 하나의 제어부에서 전송하는 드럼의 회전방향을 확인 가능하므로 두 드럼(17, 37)이 동시에 회전할 때 두 드럼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의 측면에 위치하는 건조장치(7)는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이염(migration)의 가능성이 있는 의류는 제1처리장치(1)와 제2처리장치(3)에 나눠서 세탁하되 세탁이 완료된 의류는 하나의 건조장치(7)에서 건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이염현상은 의류에 존재하는 염료가 세탁 중 다른 의류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세탁과 달리 건조 시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되어 세탁된 의류를 하나의 건조장치(7)에서 동시에 건조하여도 이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장치(7)는 제1캐비닛(11)과 제2캐비닛(31)의 측면에 위치하는 캐비닛(71, 건조장치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72, 건조장치 드럼),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부(74)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71)은 건조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717),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72)으로 의류가 투입되는 통로가 되는 투입구(715), 상기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713, 건조장치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713)에는 후술할 건조부(74), 구동부(73)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건조장치의 제어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투입구(153)나 제2투입구(353)에서 인출된 의류가 건조장치의 투입구(715)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상기 건조장치의 투입구(715)는 제1투입구(153)와 제2투입구(353)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715)는 상기 제1투입구(153)보다는 낮고 상기 제2투입구(353)보다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1)의 높이와 제2처리장치(3)의 높이를 합한 값이 상기 건조장치(7)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사용자가 제1투입구(153)를 통해 의류를 제1드럼(17)에 투입하거나 제1드럼 내부의 의류를 외부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장치(1)의 높이와 제2처리장치(3)의 높이를 합한 값은 상기 건조장치(7)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건조장치(7)의 높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세탁장치의 높이는 건조장치의 높이 이하로 구비될 수 있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장치의 드럼(72)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바디(7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721)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바디(721)의 전방에 위치된 개방면은 전방지지부(727)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드럼바디(721)의 후방에 위치된 개방면은 후방지지부(7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727)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지지바디(727a), 제1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715)와 드럼(72)을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727b), 상기 바디관통홀(727b)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개방된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랜지(727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729)는 상기 캐비닛(71)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바디(729a), 상기 제2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72)의 개방된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랜지(729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74)는 상기 전방지지부(727)를 통해 상기 드럼(7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742, 744)와, 상기 후방지지부(729)를 통해 상기 드럼(7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41, 74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부(727)에는 상기 공기배출부로 상기 드럼(7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727c)이 더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729)에는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72)로 유입시키는 유입홀(729b)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유입홀(729b)에 연결되는 공급덕트(741), 상기 공급덕트(741)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7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배출홀(727c)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7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742),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72) 내부의 공기를 배출덕트(742)로 이동시키는 팬(744)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건조부(74)는 상기 드럼(72)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뒤 공기를 상기 상기 드럼(72)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덕트(742)는 상기 공급덕트(741)에 연결(공급덕트의 자유단은 상기 배출덕트에 연결)되어야 하고, 상기 열교환부(743)는 배출덕트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유닛, 제습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유닛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742) 및 상기 팬(744)은 구동부(건조장치 구동부, 731, 733, 73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모터(731),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의 제1자유단에 고정된 풀리(733), 상기 풀리의 원주면을 상기 드럼(72)의 원주면에 연결하는 벨트(7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71)의 전방면에 구비된 상기 투입구(715)는 도어(75, 건조장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도어(75)는 힌지부(76, 77, 78)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A1, A2)을 통해 상기 캐비닛(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7과 도 8 참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75)는 상기 투입구(715)를 개폐하는 도어바디(751), 상기 도어바디(751)에 구비되어 후술할 회전축 전환부(79)를 제어하는 핸들(7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753)은 상기 도어바디(75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수용홈(75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53)은 수용홈(755)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바디(753a), 핸들바디(753a)를 도어바디(7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753b), 핸들바디(753a)의 회전여부에 따라 후술할 회전축 전환부(79)를 작동시키는 전환부 가압부(7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전환부(79)는 도어바디(751)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 회전축(A1, A2)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751)를 상기 캐비닛(71)에 결합시키는 힌지부(76, 77, 78)는 제1축(765)이 구비된 제1힌지(765), 제4축(783)이 구비된 제3힌지(78), 제1축(765)과 함께 제1회전축(A1)을 형성하는 제2축(777) 및 제4축(783)과 함께 제2회전축(A2)을 형성하는 제3축(778)이 구비된 제2힌지(7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76)는 상기 캐비닛(71)과 도어바디(75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765)이 고정되는 제1힌지바디(761), 프론트패널(717)과 도어바디(75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76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축 착탈부(76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바디(761)에는 제1축(765)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76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착탈부(762)는 도어바디(751)에 구비되는 하우징(764), 하우징(764)에 구비되어 제1축(765)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축 수용부(76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764)에는 도어바디(751)의 너비방향(Y)을 따라 하우징(764)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768, 도 10 참고)이 구비되는데 그 기능은 후술한다.
상기 제2힌지(77)는 제2축(777)이 구비된 도어지지부(771), 제3축(778)을 통해 도어지지부(771)를 프론트패널(7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결합부(772)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772)는 프론트패널(717)에 고정되는 결합부 바디(774), 제3축(778)을 통해 결합부 바디(77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77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지지부(771)는 회전판(776)에 고정되는 지지부 바디(773), 지지부 바디(77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2축(777)이 지지되는 제2축지지부(7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751)는 제2축(77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777)은 제1힌지(76)의 제1축(765)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제1회전축(A1)은 제1축(765)과 제2축(777)에 의해 형성된다.
제3힌지(78)는 도어바디(751)와 프론트패널(717)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축(783), 도어바디(751)와 프론트패널(717)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4축(78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축 착탈부(78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제4축(783)은 도어바디(751)에 구비되고, 제4축 착탈부(782)는 프론트패널(717)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4축(783)은 도어바디(751)에 고정된 제3힌지 바디(78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4축 착탈부(782)는 제4축(783)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축 수용부(784), 제4축 착탈부(782)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전환부 수용부(786, 78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축 수용부(784)는 상기 제3축(778)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제4축 수용부(784)에 삽입된 제4축(783)은 제3축(778)과 함께 제2회전축(A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환부 수용부는 제4축 착탈부(782)에서 돌출된 돌출부(786), 상기 돌출부(786)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돌출부 관통홀(78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 수용부(786, 788)는 후술할 회전축 전환부(79)의 제2전환부(792)가 결합되는 공간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751) 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75)의 회전축(A1, A2)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회전축 전환부(79)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 전환부(79)는 핸들(753)에 의해 도어바디(751)의 너비방향(Y)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1전환부(791), 제1전환부(791)에 의해 도어바디(751)의 높이방향(Z)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전환부(79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791)는 도어바디(751)의 너비방향(Y)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791e)은 하우징(764)을 관통하여 제1축수용부(766)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791f)은 제2전환부(792)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전환부(791)에는 핸들의 전환부 가압부(757)에 접촉하는 접촉부(79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촉부(797)는 제1전환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촉부 바디(7971) 및 상기 접촉부 바디에 구비되는 경사면(79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바디(753a)를 가압하면, 상기 경사면(7973)은 전환부 가압부(757)에 의해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792f)을 향해 이동할 것이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791e)은 제1축(765)이 제1축수용부(766)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제1축수용부(766)를 개방할 것이다(도 10 참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환부(792)는 도어바디(751)의 높이방향(Z)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2전환부(792)는 전환부 수용부에 구비된 돌출부 관통홀(788)에 삽입되는 제1자유단(792e, 제3자유단),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791f)에 접촉하는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792f, 제4자유단)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753)을 통해 제1전환부(791)에 입력되는 외력이 제2전환부(792)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791f)과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792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환부 경사면(79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75)가 상기 투입구(715)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75)가 제1회전축(A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축 전환부(79)에는 제1전환부(791)를 제1축 착탈부(76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791e)을 상기 제1축 착탈부(76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전환부 지지부(7991), 상기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792e)이 전환부 수용부(786, 78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전환부 지지부(79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상태가 되면 건조장치의 도어(75)는 지면에 수직한 제1회전축(A1)을 통해 회전 가능하고(도 8의 상태), 도 10의 상태가 되면 도어(75)는 지면에 나란한 제2회전축(A2)을 통해 회전 가능하다(도 7의 상태).
한편, 상기 건조장치(7)는 상기 도어(75)가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75)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도어(75)가 상기 투입구(715)에서 기 설정된 기준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기준각도는 0도 내지 9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각도가 90도로 설정되면, 상기 도어(75)는 제1처리장치나 제2처리장치에서 배출된 의류를 지지하는 선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각도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예: 30도 내지 60도)로 설정된다면, 상기 건조장치의 도어(75)는 의류를 상기 투입구(715)로 안내하는 가이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도어바디(75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75)가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프론트패널(717)에 접촉하여 도어(75)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경사면(759, 도 10 (b) 참고)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75)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각도로 상기 투입구(715)를 개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각도는 30도 내지 60도로 설정되고, 제2각도는 9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장치가 제1처리장치(1), 제2처리장치(3) 및 제3처리장치(5)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3처리장치(5)는 상술한 제2처리장치(3)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처리장치(5) 역시 제2처리장치(3)를 지지하는 제3캐비닛(51), 상기 제3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제3드로워(53), 상기 제3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55, 5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캐비닛(51)은 전방면에 구비된 제3개방면(511)을 포함하고, 상기 제3드로워(53)는 상기 제3개방면에 삽입되는 제3드로워 바디(531), 상기 제3개방면을 개폐하는 제3드로워 패널(533), 상기 제3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드로워 커버(5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나 제2처리장치(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드로워 패널(533)에는 제3컨트롤패널(533a)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3컨트롤패널(533a)에는 제3입력부(533b) 및 제3표시부(533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드로워 커버(535)에는 제3커버 제1관통홀(537, 제5관통홀)과 제3커버 제2관통홀(539, 제6관통홀)이 구비된다.
상기 제3수용부는 상기 제3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3터브(55), 상기 제3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3드럼(5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터브(55)는 제1처리장치(1)나 제2처리장치(3)의 터브(15, 35) 구조와 동일하고, 상기 제3드럼(57) 역시 제1처리장치(1)나 제2처리장치(3)의 드럼(17, 37)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터브(55)는 제3터브 지지부(551)를 통해 제3드로워(53)에 고정되고, 제3터브(55)의 상부면에는 제3터브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3투입구(553), 상기 제3투입구(553)를 개폐하는 제3도어(555)가 구비된다.
상기 제3투입구(553)는 제3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5관통홀(537)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3도어(555)는 상기 제5관통홀(537)을 통해 상기 제3드로워(53)의 외부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터브(55)는 제3급수부(S3)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는데, 상기 제3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제3터브(55)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3유입구(557)를 연결하는 제3급수관(S31), 상기 제3급수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S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급수관(S31)은 상기 제6관통홀(539)을 통해 제3드로워 커버(535)를 관통하며, 제3드로워(53)의 작동범위를 고려할 때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는 제3배수부(D3)를 통해 제3캐비닛(51)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제3배수부는 제3배수관(D31), 상기 제3배수관에 구비되는 제3펌프(S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투입구(553)은 제3캐비닛(51)의 바닥면에 대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드럼(57)은 제3드럼 구동부(571, 제3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3드럼 구동부(571)는 상술한 제1구동부(173)나 제2구동부(371)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터, 로터 및 제3드럼 회전축(5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드럼 회전축(573)은 상기 제3캐비닛(5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3)는 상기 제3캐비닛(51)의 상부면(513)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 지지부(82)를 통해 제3처리장치(5)에 결합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 지지부(82)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처리장치 지지부(8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도 3에 게시된 제2지지부(83), 제3지지부(85)는 제3처리장치(5)에 구비된 제3조절부(59)에 구비되어야 하고, 제4지지부(87)는 제3캐비닛(51)의 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조절부(59)의 구조는 제2조절부(39)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게시된 캐비닛 연결부(89)는 제3캐비닛(51)의 후방면을 건조장치(7)의 후방면에 연결하는 캐비닛 제3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3처리장치(5)에는 제3캐비닛의 상부면에 제2처리장치(3)가 안착된 경우에만 제3제어부가 제3처리장치(5)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3처리장치 접속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처리장치 접속부의 기능 및 구조는 제2처리장치 접속부(9)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3개의 세탁장치(1, 3, 5)가 구비될 경우, 건조장치에 구비된 투입구(715)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투입구(153)보다 낮고 제3처리장치에 구비된 제3투입구(553)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각 세탁장치에서 인출된 의류를 건조장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제1처리장치 11: 제1캐비닛
13: 제1드로워 15: 제1터브 153: 제1투입구
155: 제1도어 17: 제1드럼 1735: 제1드럼 회전축
S1: 제1급수부 D1: 제1배수부 19: 제1조절부
3: 제2처리장치 31: 제2캐비닛 33: 제2드로워
35: 제2터브 353: 제2투입구 355: 제2도어
37: 제2드럼 373: 제2드럼 회전축 S2: 제2급수부
D2: 제2배수부 39: 제2조절부 7: 건조장치
71: 캐비닛 72: 드럼 74: 건조부
75: 도어 759: 각도조절부 76: 제1힌지
765: 제1축 762: 제1축 착탈부 766:제1축수용부
77: 제2힌지 777: 제2축 778: 제3축
78: 제3힌지 783: 제4축 782: 제4축 착탈부
79: 회전축 전환부 791:제1전환부 792: 제2전환부
8: 캐비닛 지지부 81: 제1지지부 82: 제2처리장치 지지부
83: 제2지지부 85: 제3지지부 87: 제4지지부
9: 접속부 91: 가압부 93: 회로연결부
95: 탄성지지부

Claims (16)

  1. 의류의 세탁을 위해 구비되는 세탁장치 및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며, 전방면에 의류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에 연결되되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수직한 제1드럼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 상기 제2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에 연결되되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수직한 제2드럼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의 높이는 상기 건조장치의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드럼 구동부;
    상기 제1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드럼 구동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드럼 회전축과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할 경우,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드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동일하지 않도록 상기 제1드럼 구동부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세탁장치는
    상기 제2드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드럼 구동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상기 제1캐비닛이 안착한 경우에만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드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을 연결하여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드럼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와 상기 제2드럼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한 제2연결부;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건조장치 캐비닛에 연결하는 캐비닛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정된 제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회전축;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에서 기 설정된 기준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용부는 상기 제3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3터브, 상기 제3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3드럼, 상기 제3캐비닛의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3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3투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제1투입구보다 낮고 상기 제3투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92782A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82A KR20170002888A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EP16818203.8A EP3317451B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6943 WO2017003170A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740,901 US20180340285A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82A KR20170002888A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88A true KR20170002888A (ko) 2017-01-09

Family

ID=5760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782A KR20170002888A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40285A1 (ko)
EP (1) EP3317451B1 (ko)
KR (1) KR20170002888A (ko)
WO (1) WO20170031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9A1 (ko) * 2022-07-04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629B1 (ko) * 2018-06-26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99107B1 (ko) *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092478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0529A (en) * 1948-08-09 1951-10-09 Joseph A Dolan Washing machine
JPS5778889A (en) * 1980-11-05 1982-05-17 Hitachi Ltd Washing machine with drier
US4462225A (en) * 1983-05-04 1984-07-31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leveling and locating structure
US4531387A (en) * 1983-12-27 1985-07-30 The Maytag Company Combination appliance with sliding door
US4510778A (en) * 1983-12-27 1985-04-16 The Maytag Company Control system for a combined appliance
US4680948A (en) * 1985-01-10 1987-07-2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ryer mounting bracket assembly
US4844565A (en) * 1988-01-11 1989-07-04 Unisys Corporation Quick-release spacer-latching-connector assembly
DE9402368U1 (de) * 1994-02-12 1994-05-05 Bauknecht Hausgeräte GmbH, 70563 Stuttgart Vorrichtung zum kippsicheren Verbinden von zwei übereinandergesetzten Haushaltmaschinen
US5951130A (en) * 1997-10-09 1999-09-14 Maytag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stacked appliances
US5926886A (en) * 1997-11-13 1999-07-27 Maytag Corporation Installation system for stacked appliances
DE19838631A1 (de) * 1998-08-26 2000-03-02 Benjamin Blumenschein Sockelgestell für Haushaltsgeräte
US7624600B2 (en) 2000-07-25 2009-12-01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CN1218082C (zh) * 2000-10-12 2005-09-07 Lg电子株式会社 抽屉式洗衣机及其洗涤衣物方法
NZ512503A (en) * 2000-11-13 2002-11-26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locking method thereof
KR100855675B1 (ko) * 2001-12-28 2008-09-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 및 건조기 겸용 백스플래쉬
KR100640230B1 (ko) * 2002-04-17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건조기의 백스플래쉬 장착구조
KR100480728B1 (ko) * 2002-11-26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패널
US8567091B2 (en) * 2002-12-24 2013-10-29 Lg Electronics Inc Automatic dryer control based on load information
US20040263032A1 (en) * 2003-06-28 2004-12-30 Cho Han Ki Stand for home appliance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US7685846B2 (en) * 2003-12-29 2010-03-30 Lg Electronics Inc. Assembly for stacking washers and dryers
KR101010689B1 (ko) * 2004-02-0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TW200535367A (en) * 2004-04-20 2005-11-01 Bobst Sa Device for positioning and assembling successive frames
DE602005019816D1 (de) * 2004-06-14 201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gglied für Waschmaschine oder Trockner
DE202004010585U1 (de) 2004-07-05 2004-09-30 Barski, Olaf Trommelwaschmaschine in Frontlader-Bauweise
US20060117810A1 (en) * 2004-10-22 2006-06-08 Kendall James W Modular Laundry system with segmented work surface
KR101114335B1 (ko) * 2004-11-11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건조기의 전원공급방법
US7685848B2 (en) * 2005-05-23 2010-03-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7775223B2 (en) * 2005-11-29 2010-08-17 Maytag Corporation Flexible utility link for a drawer-type dishwasher
EP1977033B1 (en) * 2005-12-23 2018-02-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KR101276816B1 (ko) * 2006-09-05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US7624745B2 (en) * 2006-04-20 2009-12-01 Maytag Corporation Drawer-type dishwasher having modular support body
KR101265623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CA2661211C (en) * 2006-08-23 2013-03-05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08023925A2 (en) * 2006-08-23 2008-02-28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machine
KR101276818B1 (ko) * 2006-08-3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314599B1 (ko) * 2006-09-05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WO2008084934A2 (en) * 2007-01-10 2008-07-17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8266930B2 (en) * 2007-01-10 2012-09-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KR100873142B1 (ko) * 2007-04-13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EP2155947B1 (en) * 2007-05-17 2017-10-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35796B1 (ko) *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KR100879572B1 (ko) * 2007-08-06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KR100925735B1 (ko) * 2007-09-0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EP2063012B1 (en) *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2063014B1 (en) *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14628B1 (ko) * 2007-12-0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8592022B2 (en) * 2009-03-06 2013-11-26 Jennifer Lynn Cardinell Washer and dryer gap bridging device
KR101599859B1 (ko) * 2009-04-28 2016-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8637A (ko) * 2009-04-29 2010-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0660A (ko) * 2010-04-01 201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US8820861B2 (en) * 2010-1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01574B1 (ko) 2011-03-21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052373B1 (ko) * 2013-02-28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29115B1 (ko)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102701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제어장치 및 상기 전력제어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486960B1 (ko) * 2015-06-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6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9A1 (ko) * 2022-07-04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7451A1 (en) 2018-05-09
EP3317451B1 (en) 2021-12-01
US20180340285A1 (en) 2018-11-29
WO2017003170A1 (en) 2017-01-05
EP3317451A4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710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87566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0288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111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2078B1 (ko) 의류처리장치
AU2016385317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US1066256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257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10629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EP4101972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10100956A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207312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009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20298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