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29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293A
KR20160106293A KR1020150028982A KR20150028982A KR20160106293A KR 20160106293 A KR20160106293 A KR 20160106293A KR 1020150028982 A KR1020150028982 A KR 1020150028982A KR 20150028982 A KR20150028982 A KR 20150028982A KR 20160106293 A KR20160106293 A KR 2016010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abinet
fastening
drum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최훈
이훈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293A/ko
Priority to PCT/KR2016/001985 priority patent/WO2016140472A1/en
Priority to US15/555,294 priority patent/US10689789B2/en
Priority to EP16759108.0A priority patent/EP3265600B1/en
Publication of KR2016010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장치의 전방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수용부를 통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가 캐비닛 내부에서 진동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구동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체결부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제2체결부가 위치되는 높이와 다른 하나의 제2체결부가 위치되는 높이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드로워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개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 상기 개방면을 개폐하며 상기 드로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드로워 바디에서 분리되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구동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에 착탈 가능한 플런저(plunger);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체결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체결부에서 분리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수용부를 통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가 캐비닛 내부에서 진동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착탈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L)와 제2처리장치(T)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L) 및 제2처리장치(T)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L)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고, 제2처리장치(T)는 상기 제1처리장치(L)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1), 상기 제2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15), 상기 제2터브(1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16), 상기 제2터브(15)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부(17), 상기 제2터브(15)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2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1)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제2처리장치 투입구(19)가 구비되며,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19)는 제2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처리장치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19)는 제2터브(15)에 구비된 제2터브 투입구 및 제2드럼(16)에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를 통해 제2드럼(16)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처리장치 도어(11)를 개방함으로써 제2드럼(16)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2드럼(16)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제2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2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2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2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2터브(15)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어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2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2처리장치(T)에서 제2터브(15)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처리장치(T) 내부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고, 상술한 제2열풍공급장치는 제2드럼(16)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L)는 제2캐비닛(1)을 지지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제1처리장치(L)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캐비닛(2)은 제2처리장치(T)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L)가 상기 제2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1처리장치(L)에 의해 제2처리장치 도어(11)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제2처리장치(T)에 투입하거나 제2처리장치(T)에서 인출할 때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2처리장치(T)의 하중에 의해 제1처리장치(L)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감쇄될 뿐만 아니라 드로워(3)가 인출될 때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제2처리장치(T)가 기울어지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에는 개방면(21)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방면(21)은 제2처리장치 도어(11)가 위치된 방향(제2처리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3)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캐비닛의 개방면(21)을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2)으로 인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제1처리장치(L)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급수부, 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구동부),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열풍공급장치, 수분공급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L)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332), 상기 입력부(332)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333,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53),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부(4, 5)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구(35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4, 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터브지지부(48)에 의해 드로워(3)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48)는 상기 터브(4)의 원주면이 상기 드로워(3)에 지지될 수 있도록 터브와 드로워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지지부(48)에는 진동의 감쇄를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터브(4) 내부를 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도어(49)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9)는 터브(4)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49)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투입구(353)를 통해 드로워(3)의 외부로 인출(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킨 뒤 도어(49)를 열어 터브(4)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드로워(3)에 구비된 급수구(355)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터브(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47)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47)는 상기 급수구(355)와 터브(4)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급수구(355)의 하부에 위치하되 터브(4)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hole)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5)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4)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6)에 의해 터브(4)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는 터브(4)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6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63)에는 상기 터브(4)를 관통하여 드럼(5)의 바닥면에 고정된 구동축(53)이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3)은 드로워(3)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의 외주면에는 드럼(5)의 내부를 터브(4)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관통홀(51)이 구비된다.
수용부가 터브(4)와 드럼(5)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L)가 세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L)가 의류의 건조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캐비닛(2) 내부에는 터브(2)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제1처리장치(L)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제2열풍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처리장치(L)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수용부는 드럼(5)만으로 구비되고,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는 드럼(5)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L)는 급수부(7)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부(7)는 급수원(미도시)과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제어부에 의해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8)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부(8)는 터브(4)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83), 상기 배수관(83)에 구비되어 터브(4)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펌프(81,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6)는 터브(4)에 고정되고, 터브(4)는 터브지지부(48)를 통해 드로워(3)에 고정되므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처리장치(L)는 구동부(6)에 의해 드럼(5)이 회전할 때 드럼이나 터브에서 발생된 진동이 드로워(3)로 전달 가능한 구조이다.
구동부(6)의 작동에 따른 드럼(5)이나 터브(4)의 진동이 드로워(3)에 전달되면, 드로워(3)와 캐비닛(2)의 충돌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동부(6)의 회전 중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구동부(6)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드로워(3)를 상기 캐비닛(2)에 고정시키는 착탈부(9)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착탈부(9)는 사용자가 외력을 입력함으로써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분리시키는 핸들 등의 장치와 달리 제어부(37)가 제공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드로워(3)를 상기 캐비닛(2)에 고정한다.
도 3은 드로워 커버(35)를 제외한 드로워(3)와 캐비닛(2)의 결합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9)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95), 상기 드로워(3)에 구비되어 제어부(37)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95)에 결합하는 제2체결부(9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91)는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는 바디(911),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95)에 결합하는 플런저(plunger, 915), 상기 플런저(915)를 상기 바디(91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917), 전류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플런저(915)를 상기 바디(911) 내부로 이동시키는 코일(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913)은 제어부(37)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919)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어부(37)는 구동부(6)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상기 코일(913)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스위치(919)를 제어(제2체결부가 제1체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6)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913)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스위치(919)를 제어(제2체결부가 제1체결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체결부(91)는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드로워 바디(31)에서 분리된 때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캐비닛의 개방면(21)을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는 수단이므로,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개방면(21)이 구비된 캐비닛(2)의 일면을 형성하도록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드로워 바디(31)에서 분리된 때 제2체결부(91)가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면, 드로워 커버(35)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제2체결부(91)를 수리하거나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체결부(95)는 상기 캐비닛(2)에 고정되는 지지바디(951),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915)가 삽입되는 체결홀(95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상기 제1체결부(95)는 상기 플런저(915)가 결합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체결부(95)는 지지바디(951) 및 상기 지지바디(95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결홈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제1체결부(95)의 구조를 도 3과 같이 한정할 필요도 없다. 즉, 상기 제1체결부(95)는 상기 캐비닛(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플런저(915)가 삽입되는 체결홀이나 체결홈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체결부의 지지바디(951)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L)는 드럼(5)에 의류를 공급하는 도어(49)는 터브(4)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드럼(5)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는 터브(4)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드럼(5)을 회전시키는 구동축(53)이 터브(4)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드럼(5)의 바닥면에 연결되므로 제1처리장치(L)의 주 진동원인 드럼(5)의 진폭(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거리변화)은 드럼(5)의 바닥면에서 드럼의 상부를 향할수록 증가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L)의 구조가 상기 드럼(5)의 바닥면에서 드럼의 상부를 향할수록 진폭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착탈부(9)는 구동부(6)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서 진동하는 현상이나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착탈부(9)는 드로워(3)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구동부(6)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2 참고).
상기 착탈부(9)는 드로워(3)의 상부면을 캐비닛(2)의 상부면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의 양측면을 캐비닛(2)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착탈부의 제1체결부(95)는 캐비닛(2)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제2체결부(91)는 드로워 커버(35, 드로워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도 3의 경우), 제1체결부(95)는 캐비닛(2)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체결부(91)는 드로워(3)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L)에 구비된 터브지지부(48)는 터브(4)의 외주면을 드로워(3)에 연결시키는 수단이므로, 드럼(5)의 회전 시 상기 터브(4)는 드로워(3)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터브(4)가 드로워(3)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에서 진동하면, 진동의 형태에 따라 드로워(3)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작용하는 힘이 다른 하나의 측면에 작용하는 힘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제1체결부(95)는 캐비닛(2)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구비시키고, 제2체결부(91)는 드로워(3)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시키면 터브(4)가 드로워(3)의 바닥면과 나란한 평면에서 진동할 때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1체결부(95)는 캐비닛(2)에 구비되고 제2체결부(91)는 상기 드로워(3)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구동부(6)를 비롯한 표시부(333)등을 제어하는 제어부(37, 드로워에 구비됨이 바람직함)에 의해 제2체결부(91)가 작동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제2체결부(91)는 드로워(3)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95)는 캐비닛(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드로워(3)의 일측면(좌측면)에 위치된 착탈부와 상기 드로워(3)의 타측면(우측면)에 위치된 착탈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각각의 착탈부(9)는 구동부(6)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착탈부(9)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을 캐비닛(2)에 결합시키는 것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워 바디(31)의 측면 전방을 캐비닛(2)에 결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장치는 조립 공차가 요구되고, 상기 조립 공차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할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L)의 경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에 비해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에 결합되는 부품이 더 많다. 즉, 드로워 바디(31)의 전방에는 드로워 패널(31)이 구비되지만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에는 급수부(7) 및 배수부(8)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에 조립된 각 부품의 조립 공차의 합은 드로워 바디(31)의 전방에 구비된 부품의 조립 공차의 합보다 커질 가능성이 크다.
조립 공차의 합이 증가한다는 것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두 부품이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착탈부(9)는 드로워(3)의 후방보다는 드로워(3)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탈부(9) 중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부품(91 또는 95)은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고정되는 영역 부근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어부(37)가 스위치(919)를 제어하여 코일(913)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플런저(915)가 제1체결부(95)에서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경우이다. 제2체결부(91)의 플런저(915)가 제1체결부(95)에서 분리되면,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37)는 구동부(6)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제2체결부(91)가 제1체결부(95)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2체결부(91)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L: 제1처리장치 T: 제2처리장치
2: 캐비닛 21: 개방면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31: 컨트롤패널
35: 드로워 커버 353: 투입구 37: 제어부
4: 터브 5: 드럼 6: 구동부
7: 급수부 8: 배수부 9: 착탈부
95: 제1체결부 951: 지지바디 953: 체결홀
91: 제2체결부 911: 바디 913: 코일
915: 플런저 917: 탄성지지부 919: 스위치

Claims (1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구동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체결부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2체결부가 위치되는 높이와 다른 하나의 제2체결부가 위치되는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드로워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개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 상기 개방면을 개폐하며 상기 드로워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패널이 상기 드로워 바디에서 분리되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드럼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구동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에 착탈 가능한 플런저(plunger);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체결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체결부에서 분리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28982A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KR20160106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2A KR20160106293A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01985 WO2016140472A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555,294 US10689789B2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6759108.0A EP3265600B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2A KR20160106293A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93A true KR20160106293A (ko) 2016-09-12

Family

ID=5684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982A KR20160106293A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9789B2 (ko)
EP (1) EP3265600B1 (ko)
KR (1) KR20160106293A (ko)
WO (1) WO2016140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234B1 (ko) * 2016-10-31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30102A (ko) 2019-09-09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002A (en) 1973-08-10 1974-1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Safety mechanism for laundry appliances with door latch for actuating main switch
AU760902B2 (en) * 2000-10-12 2003-05-22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GB2444933A (en) 2006-12-22 2008-06-25 Lee Clarkson Locking device with radially acting detent
CN101974838A (zh) 2007-01-10 2011-02-16 Lg电子株式会社 底座洗衣机
KR101319879B1 (ko) 2007-01-10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 장치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KR20090052458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14627B1 (ko) 2007-12-0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102014786B1 (ko) 2013-01-16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KR102255385B1 (ko)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5600A1 (en) 2018-01-10
EP3265600B1 (en) 2021-09-01
EP3265600A4 (en) 2018-12-05
WO2016140472A1 (en) 2016-09-09
US20180347098A1 (en) 2018-12-06
US10689789B2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5008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6144B1 (ko) 세탁기
KR2018009000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37652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1497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7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KR2016001497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EP3569756B1 (en) Washing machine
KR2016010629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75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AU201920609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90020562A (ko) 세탁기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21280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