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08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086B1
KR102316086B1 KR1020200077182A KR20200077182A KR102316086B1 KR 102316086 B1 KR102316086 B1 KR 102316086B1 KR 1020200077182 A KR1020200077182 A KR 1020200077182A KR 20200077182 A KR20200077182 A KR 20200077182A KR 102316086 B1 KR102316086 B1 KR 10231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tub
inlet
cabinet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348A (ko
Inventor
이동수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0224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25083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0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1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투입구가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드로워 바디에서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로 이동시키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장치, 또는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는데 세탁물을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비교적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빼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이는 받침대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이나 세탁에 필요한 악세사리의 보관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뿐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두 개의 장치가 결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세탁기능도 수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이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바디,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터브 투입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드로워 바디에서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로 이동시키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공급부에 연통하는 유로연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투입구 커버, 상기 투입구 커버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공급되며 상기 유로연통부에 착탈 가능한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투입구의 일부영역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로연통부가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로연통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제공급부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세제공급부에서 배출된 세제 및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로 안내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부 바디; 상기 공급부 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며 상기 유로연통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수용부로 배출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일부영역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지지부; 상기 도어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세제 및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급부 바디에 구비되는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연통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연통하는 제1유로연통부, 상기 제2저장부에 연통하는 제2유로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유로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유로, 상기 제2유로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에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공급하는 제1급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연통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연통하는 제3유로연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제3유로연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열된 세탁수를 상기 제3유로연통부에 공급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공급부 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연통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홀;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세제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홀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안내하는 수용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급부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착탈바디; 상기 착탈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연통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착탈바디로 유입시키는 홀; 상기 착탈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착탈바디 내부의 세제를 상기 공급부 바디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에서 상기 착탈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착탈바디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안내하는 수용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 바디는 상기 공급부 바디가 지지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배출관을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에서 상기 투입구 커버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실링부; 상기 투입구 커버의 외주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부와 상기 제2실링부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방향에 위치된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기 투입구 커버의 외주면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의 외부에 고정된 펌프;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을 외기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배수관을 상기 연통부로 안내하는 제1프레임; 상기 드로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관을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프레임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연통부에 상기 제1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연결축;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드로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드로워 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두 개의 장치가 결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세탁기능도 수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처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터브지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제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투입구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배수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1처리장치(T),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T) 및 제2처리장치(L)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터브(미도시),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제1드럼(미도시), 상기 제1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부(미도시), 상기 제1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제1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는 제1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제1터브에는 상기 제1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터브 투입구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도어(11)의 개방 시 세탁물을 제1드럼에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1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제1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제1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1터브로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기 공급유로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1처리장치(T)는 제1터브가 불필요한 대신 열풍공급장치는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제1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L)는 제1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제2처리장치(L)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제1처리장치(T)의 제1캐비닛(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제1캐비닛에 구비된 제1도어(11)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때 편리함). 다만, 상기 캐비닛(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캐비닛(1)의 상부면이나 측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캐비닛(2)에는 개구부(21)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개구부(21)를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의 하부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개구부(21)는 제1도어(11)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즉,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핸들(331)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핸들(331)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된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51),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부(7)가 투입구(351)의 중심을 향해 인출될 수 있도록 세제공급부(7)를 지지하는 수용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351)는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원형의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수용부(353)는 상기 투입구(351)의 일부 영역이 폐쇄되도록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지지부(357)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7)는 플레이트(palte)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353)는 지지부(357)의 하부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세제저장부(7)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57)에는 수용부(353) 내부에 위치된 세제공급부(7)에 세탁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유로연통부(354, 355, 3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연통부(354, 355, 356)는 지지부(357)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353)는 세제공급부(7)에서 배출되는 세제와 세탁수가 터브(4)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부(353)는 세제공급부(7)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으로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세제공급부(7)에서 배출된 세제 및 세탁수가 세제공급부(7)의 바닥면과 수용부(35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터브(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53)는 수용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수용부 배출관(358)을 통해 세제공급부(7)에서 배출된 세제 및 세탁수가 터브(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개방된 상부면에 구비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드로워 커버(35)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브 바디(41)의 개방된 상부면에 고정되는 커버 바디(431), 상기 커버 바디(4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3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터브 투입구(437)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투입구(437)는 터브 커버(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5)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터브 커버(43)는 터브 투입구(437)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지지부(4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지지부(439)에는 상기 수용부(353)에서 배출되는 세탁수 및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부(4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433)는 도어 지지부(439)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353)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터브 바디(41)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부(353) 내부와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연통시키는 호스(B, 도 7 참고)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4)는 터브 바디(41)와 드로워 바디(31)를 연결하는 터브지지부(6)에 의해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에 결합하는 구 형상(sphere)의 드로워 피벗(61), 터브 바디(41)에 결합하는 구 형상의 터브 피벗(62), 상기 드로워 피벗(61)과 터브 피벗(62)을 연결하는 로드(63,rod), 상기 드로워 피벗(61)을 드로워 바디(31)에 고정시키는 드로워 체결부(65), 터브 피벗(62)을 터브 바디(41)에 고정시키는 터브 체결부(6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피벗(61)은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된 드로워 브라켓(311)에 지지되고, 상기 터브 피벗(62)은 터브 바디(41)에 구비된 터브 브라켓(411)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 체결부(65)는 상기 드로워 브라켓(311)에 결합하고, 상기 터브 체결부(67)는 터브 브라켓(411)에 결합한다.
드로워 브라켓(311)과 터브 브라켓(411)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브라켓(411)은 구 형상(sphere)의 터브 피벗(62)이 수용되는 안착면(413), 상기 브라켓(411)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면(413)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드(63)가 삽입되는 절개면(415), 상기 터브 체결부(67)에 구비된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홀(41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지지부(6)는 진동에 의해 터브(4)가 드로워 바디(31) 내부에서 유동하게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터브(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지지부(6)는 터브 바디(41)의 외주면에 서로 9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4 개의 터브지지부)될 수도 있고, 서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3개의 터브지지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체결부(65) 및 터브 체결부(67)는 후크 및 후크홀 방식이 아닌 나사산(thread) 및 나선홈(thread groove) 구조로 구비(도 4 (b) 참고)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술한 터브지지부(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지지부(6)는 드로워 브라켓(311)에 결합하는 드로워 피벗(61), 터브 브라켓(411)에 결합하는 터브 피벗(62), 상기 드로워 피벗(61)과 터브 피벗(62)을 연결하는 로드(63), 상기 로드(63)를 각 피벗(61, 62)에 결합하는 로드 고정부(68)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드로워 피벗(61)과 터브 피벗(62) 역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피벗(62)은 로드(63)가 수용되는 로드 결합부(621), 상기 로드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터브 브라켓(411)에 연결되는 브라켓 결합부(62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 결합부(623)는 구 형상 또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브라켓(411)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623)의 외주면이 수용 가능한 형상의 안착면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 고정부(68)는 너트(681) 및 와셔(683, washer)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와셔(683)와 피벗(61, 62)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지지체(6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지지부(6)는 터브 바디(41)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의 진동 및 터브 바디(41)의 높이방향 진동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터브 바디(41)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드럼(5)은 구동부(M)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M)는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Q),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R),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5)과 로터(R)를 연결하는 회전축(S)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4)에 공급되는 세제유로 상에 구비되어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공급부(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수용부(353)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7)는 수용부(353)에서 투입구(351)의 중심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53)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부 바디(71), 상기 공급부 바디(71)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세제공급부(7)가 서로 다른 종류의 세제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는 공급부 바디(71)에 구비되는 제1저장부(73) 및 제2저장부(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 바디(71)는 격벽(711)을 통해 분리되는 제1수용공간(713)과 제2수용공간(7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713)과 제2수용공간(715)은 세제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세제를 저장하는 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수용공간(713)과 제2수용공간(715)이 세제를 저장하는 수단이 착탈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면 세제를 저장하는 수단을 청소할 때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2수용공간(717)은 세제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수용공간(713)은 세제가 저장되는 착탈바디(73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수용공간(75)이 세제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저장부(75)는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커버(755), 상기 제2커버(755)에 구비되며 유로연통부(354, 355, 356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연통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제2수용공간(717)으로 유입시키는 제2홀(757), 상기 제2수용공간(717)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717) 내부의 세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관(7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저장부(75)는 사이펀 현상(Siphone)을 이용하여 제2수용공간(717)에 저장된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터브(4)로 모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관(753)은 제2수용공간(717)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커버(755)를 향해 연장되어야 하며 상기 제2커버(755)에는 상기 제2배출관(753)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커버(755)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717)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수용관(759)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수용관(759)는 상기 제2수용공간(717)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제2배출관(753)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수용공간(717)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저장부(73)는 상기 제1수용공간(71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착탈바디(733), 상기 착탈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커버(737), 상기 제1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연통부(354, 355, 356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연통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착탈바디(733)로 유입시키는 제1홀(738), 상기 착탈바디(733)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제1수용공간(713)에 구비된 제1배출구(715)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관(7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장부(73) 역시 사이펀 현상(Siphone)을 이용하여 착탈바디(733)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4)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관(735)은 착탈바디(733)의 바닥면에서 제1커버(737)를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737)에는 제1배출관(735)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커버(737)에서 상기 착탈바디(733)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수용관(739)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관(739) 역시 착탈바디(733)로 유입된 세탁수가 제1배출관(73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착탈바디(733)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2처리장치(L)는 캐비닛(2)에 구비된 급수부(23)를 통해 상기 세제저장부(7)에 세탁수를 공급하고, 세제저장부(7)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와 함께 터브(4)로 이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23)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유로연통부(354, 355, 356)에 착탈 가능한 유로(236, 237, 238)가 구비된 투입구 커버(235), 급수원(water source)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유로(236, 237, 238)에 공급하는 급수밸브(231, 232, 도 10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L)가 가열되지 않은 세탁수(냉수)만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유로연통부는 제1저장부(73)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연통부(354)와 제2저장부(75)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연통부(355)로 구비되고, 상기 유로는 제1유로연통부(354)에 연결되는 제1유로(236)와 제2유로연통부(355)에 연결되는 제2유로(237)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L)가 가열된 세탁수(온수)도 세탁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유로연통부는 제1저장부(73) 또는 제2저장부(75)에 온수를 공급하는 제3유로연통부(3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제3유로연통부(356)에 연결되는 제3유로(238)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급수밸브는 제1급수관(S1, 도 10 참고)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제1유로(236)와 제2유로(237)에 공급하는 제1급수밸브(231, 도 10 참고), 제2급수관(S2)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제3유로(238)에 공급하는 제2급수밸브(2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밸브(231)는 제1유로(236)에 연결되는 제1관(233)과 제2유로(237)에 연결되는 제2관(234)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제1관(233)과 제2관(234)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제1관(233)과 제2관(234)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two-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각 유로연통홀(354, 355, 35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 유로(236, 237, 238)에는 탄성관(C)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으로 삽입될 때 유로연통홀(354, 355, 356)과 유로(236, 237, 238)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관(C)은 각 유로(236, 237, 238)의 끝에 결합되는 별도의 호스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각 유로(236, 237, 238)가 탄성재질로 구비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로(236), 제2유로(237) 및 제3유로(238)가 구비되는 투입구 커버(235)는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투입구(351)를 개방하고,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있으면 투입구(351)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L)에는 터브 투입구(437)를 개폐하는 도어(45)가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세탁과정에서 세탁수가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투입구(351)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구(351)의 외주면에는 투입구 커버(235)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실링부(352)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 커버(235)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구(35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실링부(239)가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의 출입 방향을 고려할 때 제1실링부(352)는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 중 드로워(3)의 인출방향(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 방향)을 향하는 일부 영역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239)는 드로워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기 투입구 커버(235)의 외주면 일부 영역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링부(352)와 제2실링부(239)는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삽입된 경우 서로 결합되어 투입구(35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기둥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9)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배수부(9)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부(9)는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에 고정된 펌프(9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상기 펌프(91)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911, 도 3 참고), 상기 펌프(91)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92), 상기 배수관(92)을 외기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연결관(911)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과 펌프(91)를 연결하고, 상기 펌프(91)는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통부(93)는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92)은 펌프(91)와 연통부(93)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921), 상기 연통부(93)로 공급된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9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관(921)은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하부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과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 연결된 형태가 되고, 상기 연통부(93)는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상부를 따라 연장된 부분에 연결된다.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배수관(921)의 위치는 드로워 바디(31) 배면과 캐비닛(2)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프레임 어셈블리(95, 97, 99)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펌프(91)에서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하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배수관(921)이 수용되는 제2프레임(97),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배수관(921)을 연통부(93)로 안내하는 제1프레임(95),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프레임 회전축(9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95)과 제2프레임(97)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되 내부에 제1배수관(92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97)은 드로워 회전축(971)을 통해 드로워 바디(31)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95)은 캐비닛 연결축(951)을 통해 연통부(93, 캐비닛(2)에 고정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부(93)는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에 고정되는 연통부 바디(931), 상기 캐비닛 연결축(951)을 통해 연통부 바디(931)와 제1프레임(95)을 연결하는 브라켓(932), 연통부 바디(931)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배수관(921)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933), 연통부 바디(931)에 고정되며 제1연결관(933)과 제2배수관(923)을 연결시키는 제2연결관(935), 상기 제1연결관(933) 또는 제2연결관(9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933, 935) 내부로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통관(93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통관(937)이 외기를 연결관(933, 935)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관(933, 935) 내부의 수압이 높으면 연통관(937)을 폐쇄하고, 연결관 내부의 수압이 낮아지면 연통관(937)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미도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제2처리장치(L)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드로워 패널(33)에 구비된 핸들(331)을 이용하여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드로워(3)에 구비된 투입구(351)는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되지만 캐비닛(2) 내부에 고정된 투입구 커버(235)는 캐비닛(2)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때 제1프레임(95)은 캐비닛 연결축(95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되고, 제2프레임(97)은 프레임 회전축(9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제1배수관(921)은 제1프레임(95)과 제2프레임(97)에 의해 지지되므로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더라도 제1배수관(921)은 펌프(91)와 연통부(93)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투입구(351)의 하부에는 터브(4)에 구비된 도어(45)가 위치해 있고, 도어(45)의 하부에는 드럼(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351) 방향으로 도어(45)를 열어 터브 바디(41) 내부에 구비된 드럼(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이 드럼(5)에 공급되면 사용자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세제공급부(7)를 투입구(351)의 중심을 향해 인출시킨 후 세제공급부(7)에 세제를 투입한다.
세제공급부(7)의 제1저장부(73)에는 세탁행정에 필요한 세제가 저장되고, 제2저장부(75)에는 헹굼행정에 필요한 섬유 유연제가 공급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7)에 세제공급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 경우, 제2프레임(97)은 프레임 회전축(99)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고, 제1프레임(95)은 캐비닛 연결축(95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95)과 제2프레임(97)에 지지된 제1배수관(921)은 꼬임 없이 드로워 바디(31)의 배면과 캐비닛(2)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되면 투입구(351)는 투입구 커버(235)에 의해 폐쇄될 뿐만 아니라 제1실링부(352)와 제2실링부(239)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되면, 투입구 커버(235)에 구비된 각 유로(236, 237, 238)는 각 유로연통부(354, 355, 367)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이더(G)의 안내를 받아 각 유로연통부(354, 355, 367)에 연결된다.
온수를 이용하여 세탁하는 경우, 제2처리장치(L)는 제2급수밸브(232), 제3유로(238), 제3유로연통부(356)을 통해 세제공급부(7)의 제1저장부(73)에 온수를 공급한다.
그러나, 냉수를 이용하여 세탁하는 경우, 제1급수밸브(231)는 제1관(233)만을 개방하여 제1유로(236) 및 제1유로연통부(354)를 통해 제1저장부(73)에만 냉수를 공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73)에 공급된 세탁수는 제1배출관(735) 및 제1배출구(715)를 통해 세제와 함께 터브 커버(43)로 배출되고, 터브 커버(43)로 배출된 세제 및 세탁수는 유입부(433)을 통해 터브 바디(41)에 저장된다.
드럼(5)에는 관통홀(51)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터브 바디(41)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관통홀(51)을 통해 세탁물에 공급된다.
터브 바디(41)에 세탁수가 급수되면 제2처리장치(L)는 구동부(M)를 통해 드럼(5)을 회전시키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고,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펌프(91)를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게 된다.
펌프(91)가 작동하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는 제1배수관(921), 연통부(93) 및 제2배수관(923)을 거쳐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된다.
펌프(91)는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연통부(93)는 드로워 바디(31)이 배면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터브 바디(41)에서 배출된 세탁수는 드로워 바디(31)의 배면 하부에서 드로워 바디 배면 상부를 거쳐 제2배수관(923)으로 이동한다.
연통부(93)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 및 배수관(92) 내부의 세탁수는 펌프(91)의 작동 시 사이펀 현상에 의해 하수구(미도시)로 완전히 배출된다.
그러나, 제1배수관(921)에 연통부(93)가 구비되어 있으면 펌프(91)의 작동이 중단될 때 제1배수관(92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므로 제1배수관(921) 내부의 세탁수는 터브 바디(41) 방향으로 이동하여 터브 연결관(911, 터브 바디(41)와 펌프(91)를 연결하는 관)에 잔류하게 된다.
터브 연결관(911, 도 3 참고)에 세탁수의 일부가 잔류하게 되면 배수관(92)을 통해 하수구에서 유입되는 악취가 터브 바디(4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배수관(921) 내부에서 세탁수가 얼어 제1배수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제2처리장치(L)는 세탁물에 잔류하는 오물과 세제를 제거하기 위한 헹굼행정을 수행한다.
헹굼행정에서 제1급수밸브(231)는 냉수가 세제공급부(7)의 제2저장부(75)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공급되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제2저장부(75)에 저장된 섬유 유연제는 터브 바디(41)에 공급된다.
터브 바디(41)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제2처리장치(L)는 드럼(5)을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오물과 세제의 제거 후 배수부(9)를 통해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다만, 적어도 2회 이상의 헹굼행정이 실시되어야 할 경우, 제1급수밸브(231)는 첫 번째 헹굼행정은 제1저장부(73) 및 제1유로(236)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세탁수를 공급하고, 두 번째 헹굼행정은 제2저장부(75) 및 제2유로(237)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관(233)과 제2관(234)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제2처리장치(L)는 드럼(5)을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며, 이로써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L: 제2처리장치
캐비닛2 23: 급수부 231: 제1급수밸브
232: 제2급수밸브 235: 투입구 커버 236: 제1유로
237: 제2유로 238:제3유로 239: 제2실링부
3: 드로워3 31: 드로워 바디 311: 드로워브라켓
33: 드로워 패널 35: 드로워 커버 351: 투입구
352: 제1실링부 353: 수용부 357: 지지부
358: 수용부 배출관 유로연통부354,355,356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31: 커버 바디
433: 유입부 437: 터브 투입구 439: 도어 지지부
45: 도어 5: 드럼 6: 터브지지부
7: 세제공급부 71: 공급부 바디 711: 격벽
713: 제1수용공간 715: 제1배출구 717: 제2수용공간
73: 제1저장부 733: 착탈바디 735: 제1배출관
737: 제1커버 738: 제1홀 739: 제1수용관
75: 제2저장부 753: 제2배출관 755: 제2커버
757: 제2홀 759: 제2수용관 9: 배수부
91: 펌프 911: 터브 연결관 92: 배수관
921: 제1배수관 923: 제2배수관 93: 연통부
95: 제1프레임 97: 제2프레임 99: 프레임 회전축

Claims (22)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드로워 커버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터브 투입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바디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 커버에 형성된 급수홀을 포함하는 급수부;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드로워 배면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드로워 배면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수용되며,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드로워 커버에 대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면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투입구 커버; 및
    상기 투입구 커버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급수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 커버를 관통하는 유로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급수홀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커버는 상기 급수홀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투입구의 일부영역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급수홀이 구비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에서 상기 투입구 커버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1 실링부; 및
    상기 투입구 커버의 외주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2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부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방향에 위치된 상기 투입구의 외주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실링부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기 투입구 커버의 외주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일부영역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지지부;
    상기 도어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홀로부터 안내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에서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홀은 상기 세제공급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급수홀로부터 안내되는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커버는,
    상기 급수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제공급부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세제공급부에서 배출된 세제 및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로 안내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체; 및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 2 고정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의류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 또는 상기 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수관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외부에 고정된 펌프;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의 일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는 상기 펌프의 고정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프레임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축 회전 가능하게 하는 캐비닛 연결축;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축 회전 가능하게 하는 드로워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회전축의 일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기 캐비닛 연결축과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끝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회전축의 타측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드로워 연결축과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끝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77182A 2013-08-28 2020-06-24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82A KR102316086B1 (ko) 2013-08-28 2020-06-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41A KR20150025083A (ko)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77182A KR102316086B1 (ko) 2013-08-28 2020-06-24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241A Division KR20150025083A (ko) 2013-08-28 2013-08-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348A KR20200081348A (ko) 2020-07-07
KR102316086B1 true KR102316086B1 (ko) 2021-10-25

Family

ID=716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182A KR102316086B1 (ko) 2013-08-28 2020-06-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66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660B1 (ko) * 2002-04-1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박스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탑커버
KR101365555B1 (ko) * 2006-12-08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KR101435811B1 (ko) * 2007-11-2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348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26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809921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KR102421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1B1 (ko) 의류처리장치
JP6198781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40046181A (ko) 의류처리장치
US98851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117870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5004933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0459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84078A (ko) 세탁장치
KR2017000339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2004983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318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20120026376A (ko) 세탁물 처리기기
TWI541406B (zh) Drum washing machine
KR10129950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8895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70059439A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