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76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766A
KR20220049766A KR1020200133269A KR20200133269A KR20220049766A KR 20220049766 A KR20220049766 A KR 20220049766A KR 1020200133269 A KR1020200133269 A KR 1020200133269A KR 20200133269 A KR20200133269 A KR 20200133269A KR 20220049766 A KR20220049766 A KR 2022004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ipe
tub
dra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766A/ko
Priority to EP21186573.8A priority patent/EP3985163A1/en
Priority to CN202110823282.5A priority patent/CN114369919B/zh
Priority to US17/383,946 priority patent/US20220120019A1/en
Priority to AU2021250958A priority patent/AU2021250958B2/en
Publication of KR2022004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D06F21/08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출원은 전방면에 구비된 인출구,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바디 후방면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며, 자유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과 분리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하는 복합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다른 장치(세탁기, 건조기, 또는 복합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의류의 세탁을 실행하는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드로워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급수관이나 배수관이 캐비닛 내부에서 꼬이는 위험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내부에 급수관과 배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특허공개번호 10-2015-0138017).
종래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지지부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지지바, 일단은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된 제2지지바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종래 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가 연결축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진동(드럼의 회전에 의한 진동, 드로워의 이동에 의한 진동 등)을 캐비닛으로 전달하는 수단이 될 뿐아니라, 상기 드로워의 진동이 상기 연결축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연결축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거나(등록특허 10-1932471호), 터브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배기관을 통해 터브 내부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이 구비되거나(공개특허 10-2020-0069732호),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펌프의 소음을 줄이는 펌프 배기관이 구비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수단, 터브 배기관, 및 펌프 배기관이 모두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될 뿐 통합된 구조로 설계되지 못했다.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드로워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캐비닛과 드로워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드로워의 이동 시 급수유로나 배수유로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엉키거나 접히는 것을 최소화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급수유로와 배수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되 상기 드로워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세제가 저장된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터브 내부의 공기나 펌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가 하나의 바디에 설계됨으로써 각 유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로워 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에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며, 자유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과 분리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전방면에 구비된 인출구,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바디 후방면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며, 자유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과 분리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배수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평면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평면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자유단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바디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고정단, 및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후방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고정단, 및 상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자유단보다 높은 지점 또는 상기 제1자유단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자유단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며,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액체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지지부 유로; 및 상기 후방커버를 관통하는 고정관을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펌프와 상기 지지부 유로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지지부 유로의 출구와 상기 고정관을 연결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부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지지부 유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이 장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고정바디 또는 상기 고정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부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수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 급수원에 연결하는 급수원 연결부; 상기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유로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연결관 제어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원은 제1온도의 물이 공급되는 제1급수원, 및 상기 제1온도와 다른 온도의 물이 공급되는 제2급수원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원 연결부는 상기 제1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원 연결부, 및 상기 제2급수원에 연결된 제2급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급수원 연결부에 연결된 제1연결관, 및 상기 제2급수원 연결부에 연결된 제2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 제어부, 및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관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연결관 제2체결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드로워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캐비닛과 드로워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드로워의 이동 시 급수유로나 배수유로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엉키거나 접히는 것을 최소화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급수유로와 배수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되 상기 드로워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세제가 저장된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터브 내부의 공기나 펌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가 하나의 바디에 설계됨으로써 각 유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캐비닛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드로워, 터브, 드럼, 급수부, 및 배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드로워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급수유로, 배수유로, 유로지지부, 및 디스펜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유로지지부에 구비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1지점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2지점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터브 커버, 도어, 및 가스켓의 결합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터브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슬라이드, 도어 가이드, 및 스토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가스켓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과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3),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5), 상부커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 커버(16) 및 제2측면 커버(17),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 제1측면 커버(16) 및 제2측면 커버(17)는 하나의 금속판의 마주보는 양단을 절곡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2)의 출입을 위한 인출구(113)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구(113)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개방면으로 구성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커버들(15, 16, 17)이 진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드로워(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커버들(15, 16, 17, 18)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 후방프레임(12), 및 프레임 연결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프레임(12)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14)는 상기 전방프레임(11)의 바닥면과 상기 후방프레임(12)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은 프레임 제1바디(111) 및 제1지지프레임(1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제1바디(111)는 상기 상부커버(15)의 전방이고정되는 면, 상기 제1측면 커버(16)의 전방이 고정되는 면, 및 제2측면 커버(17)의 전방이 고정되는 면이 구비된 C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는 상기 프레임 제1바디(11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프레임 제1바디(111)와 제1지지프레임(112)이 결합하면 중앙에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인출구(113)는 상기 프레임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12)은 프레임 제2바디(121) 및 제2지지프레임(1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제2바디(121)는 상기 상부커버(15)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 상기 제1측면 커버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 및 상기 제2측면 커버의 후방이 고정되는 면이 구비된 C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22)은 상기 프레임 제2바디(12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1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을 연결하되 상기 제1측면 커버(16)가 위치된 방향에 고정된 제1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을 연결하되 상기 제2측면 커버(17)가 위치된 방향에 고정된 제2프레임 연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18)는 상기 후방프레임(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22)에는 상기 캐비닛(1)이 안착되는 면에 접촉하는 레그(leg)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에는 안착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9)는 상기 상부커버(15)에 다른 의류처리장치(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나 수납장치가 안착될 경우, 각 장치를 상기 상부커버(15)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안착부(19)는 상부커버(15)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는 안착바디(191), 상기 안착바디에 구비된 레그 체결부(1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 체결부(193)는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되는 장치(별도의 의류처리장치 등)의 바닥면에 구비된 레그를 안착바디(191)에 결합하는 수단으로, 상기 레그 체결부(193)는 상기 안착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안착바디 관통홀, 또는 상기 안착바디(191)의 표면이 상기 상부커버(15)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안착바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인출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3)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3),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로워 패널(25, 도 1 참고)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기 인출구(113)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개방면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고정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드로워 지지부(131, 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인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1측면(제1측면 커버를 향하는 면)은 드로워 제1지지부(131)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2측면(제2측면 커버를 향하는 면)은 드로워 제2지지부(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제1지지부(131)는 상기 전방프레임(11)과 상기 후방프레임(12)에 고정된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1측면에 고정된 제1슬라이딩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로워 제2지지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11)과 상기 후방프레임(12)에 고정된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제2측면에 고정된 제2슬라이딩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패널(25)은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인출구(113)를 개방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으로 삽입되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에 의해 상기 인출구(113)가 개방된다는 것은 상기 인출구(113)가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노출됨을 의미하고, 상기 인출구(113)가 폐쇄된다는 것은 상기 인출구(113)가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인출구가 밀폐되거나 인출구의 가장자리를 드로워 패널이 밀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상기 드로워 패널(25)의 일면에는 컨트롤패널(251)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251)에는 입력부(253)와 표시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53)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이고, 상기 표시부(254)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커버(2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1커버(231), 상기 제1커버에 고정되는 제2커버(2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23)에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커버 관통홀(237)이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 관통홀(237)은 상기 제1커버를 관통하는 제1관통홀(237a), 및 상기 제2커버(236)를 관통하는 제2관통홀(237b)이 결합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36)에는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공급구가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세제공급구가 제1세제공급구(236a), 및 제2세제공급구(236b)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세제공급구(236a) 및 상기 제2세제공급구(236b)는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된 때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에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제1세제공급구(236a)는 상기 제2커버(236)의 우측 전방(우측에 위치된 공간 중 드로워 패널이 위치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세제공급구(236b)는 상기 제2커버(236)의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커버(231)에는 상기 세제공급구로 유입된 세제를 상기 수용부(3)로 안내하는 세제유로(232, 233, 234, 235)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유로는 상기 수용부(3)와 상기 제1커버(231)를 연결하는 배출유로(232, 233), 상기 제1세제공급구(236a)로 투입된 세제를 상기 배출유로로 안내하는 제1세제유로(234), 상기 제2세제공급구(236b)로 투입된 세제를 상기 배출유로로 안내하는 제2세제유로(2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32)는 상기 제1커버(2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232), 상기 배출구(232)와 상기 수용부(3)를 연결하는 배출관(23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세제유로(234)의 일단 및 상기 제2세제유로(235)의 일단은 상기 제1커버(231)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23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의 진동이 상기 드로워 커버(23)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233)은 주름관(corrugate pi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세제유로(234)와 제2세제유로(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저장부(23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세제저장부(239)가 상기 제2세제유로(235)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제저장부(239)는 상기 제2세제공급구(236b)를 통해 상기 드로워 커버(23)에 착탈 가능한 저장바디(2391), 상기 저장바디(239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워터트랩(2393), 상기 저장바디(2391)로 물을 공급하는 저장바디 급수구(23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391)는 상부면에 상기 제2세제공급구(236b)에 연통하는 저장바디 투입구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2세제공급구(263b)로 투입된 세제는 상기 저장바디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2391)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워터트랩(2393)은 사이펀(syphon) 현상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2391) 내부의 물과 세제를 상기 제2세제유로(235)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트랩(2393)은 상기 저장바디(2391)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인 때 물과 세제를 상기 제2세제유로(235)로 배출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워터트랩(2393)이 상기 저장바디(2391)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저장바디 배출관, 및 상기 저장바디 배출관의 자유단을 감싸도록 구비된 캡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 급수구(2392)는 급수부(6, 7)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세제유로(234)와 제2세제유로(235)가 외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세제유로와 제2세제유로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수용부(3)로 공급될 수 있다. 드로워의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물이나 세제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부(3)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세제유로(234)에는 제1이물질 제거부(23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세제유로(235)에는 제2이물질 제거부(23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부(2341)는 상기 제1커버(231)에서 제2커버(236)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상기 제1세제유로(234)의 너비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구비되고, 상기 제2이물질 제거부(2351)는 상기 제1커버(231)에서 제2커버(236)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상기 제2세제유로(235)의 너비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a),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a)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31),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커버(33)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바디(31)는 터브 지지부(315)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지지부(315)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구비된 제1브라켓(211)과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브라켓(314)을 연결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에는 세제가 공급되는 세제공급구(311)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구(311)에는 상기 배출관(233)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31), 상기 터브 바디(3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332),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334)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331)는 상기 도어(4)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도어(4)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터브 커버(33)는 상기 투입구(331)가 형성된 투입구 형성바디, 및 상기 투입구 형성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 바디(31)의상단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구(332)는 상기 원통바디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구(332)가 투입구 형성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3b)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양 및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급수구(332)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배기구(334) 역시 상기 원통바디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3b)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6),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3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6)는 구동부(38)를 통해 상기 터브(3a)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데, 상기 구동부(38)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8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83),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6)의 바닥면과 상기 로터(383)를 연결하는 회전축(3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6)의 원주면과 바닥면 등에는 드럼 관통홀(36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은 상기 드럼 관통홀(361)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6)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드럼 바디(36) 내부의 물이나 이물질은 상기 드럼 관통홀(361)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37)는 상기 도어(4)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3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331)는 상기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커버 관통홀(23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커버 관통홀(237)의 하부에 위치된 도어(4)는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4)를 열어 상기 투입구(331)를 개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드럼(3b)으로 의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상기 드로워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a)는 급수부(6, 7)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3a)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8)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8)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방면(212,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에 연결된 펌프(81),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84, 85, 8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81)는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고정된 하우징(811),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임펠러,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1)은 하우징 연결관(83)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에 연결된다. 즉, 상기 하우징 연결관(83)은 상기 배수구(313)와 상기 하우징(811)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1)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1)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81)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배기구(8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배기구(812)에는 하우징 배기관(813)이 연결되는데, 상기 하우징 배기관(8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하우징 배기구(812)는 상기 하우징(81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하우징 내부의 물이 하우징 배기구(812)를 통해 배출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커버(18)에는 배수유로를 고정하는 고정부(82)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82)는 상기 후방커버(18)에 고정된 고정바디(821), 상기 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관(8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하우징(811)과 상기 고정관(822)을 연결하는 배수관(84, 85), 및 상기 고정관(822)에서 하수구를 향해 연장되는 배수관(86)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원 연결부(6), 및 상기 급수원 연결부(6)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터브(3a)와 상기 세제유로(232, 233, 234, 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디스펜서(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원 연결부(6)는 상기 후방커버(18)와 상기 바디 후방면(212) 사이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된 연결유로(61, 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수원이 제1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원, 및 제2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원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급수원에 연결된 제1연결관(61) 및 상기 제2급수원에 연결된 제2연결관(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원은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수도시설(수도꼭지 등)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급수원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수도시설(수도꼭지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61)은 제1급수원 연결부(611)를 통해 제1급수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관(62)은 제2급수원 연결부(621)를 통해 상기 제2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급수원 연결부(611) 및 상기 제2급수원 연결부(621)는 상기 후방커버(18)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커버(18)에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들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원 연결부들(611, 621)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7)는 상기 드로워 커버(23)의 후방(후방커버가 위치된 방향)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 제어부(63)를 통해 상기 제1연결관(61) 및 제2연결관(6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는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드로워(2)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7)는 상기 드로워 커버(23)에 고정된 유로바디(7a), 상기 유로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유로커버(7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7a)에는 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급수유로(71, 72), 및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유로와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유로(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커버(7b)에는 상기 배기유로(73) 내부의 공기를 상기 디스펜서(7)의 외부로 배출하는 커버 관통홀(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연결관(61) 및 제2연결관(62) 각각에 연결된 제1급수유로(71), 상기 제1연결관(61)에만 연결되며 상기 제1급수유로(71) 및 배기유로(73)와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급수유로(7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제어부(63)는 상기 제1연결관(61)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급수유로(71), 상기 제2급수유로(72)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연결관 제어부(631, 631a, 632, 632a), 및 상기 제2연결관(62)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급수유로(71)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연결관 제어부(633, 633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1연결관(61)을 상기 제1급수유로(71)에 연결하는 제1제어관(631a), 상기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제어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631), 상기 제1연결관(61)을 상기 제2급수유로(72)에 연결하는 제2제어관(632a), 및 상기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제어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6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2연결관(62)을 상기 제1급수유로(71)에 연결하는 제3제어관(633a), 및 상기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3제어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밸브(6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제1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1급수원 연결부(611)나 후방커버(18)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2급수원 연결부(621)나 후방커버(18)에 고정된 반면, 본 출원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연결관 제어부(631, 631a, 632, 632a) 및 제2연결관 제어부(633, 633a)가 드로워에 고정된다. 상기 제어부(C), 상기 제1연결관 제어부(631, 631a, 632, 632a) 및 제2연결관 제어부(633, 633a)가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고정되면, 상기 제어부(C)와 상기 각 밸브들(631, 632, 633)을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엉키는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1급수유로(71)에는 제1유로 제1배출구(713) 및 제1유로 제2배출구(715)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유로 배출구(713)에는 상기 제1세제유로(234)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급수관(714)이 고정되고, 상기 제1유로 제2배출구(715)에는 상기 터브(3a)로 물을 공급하는 터브 급수관(333)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제1배출구(713) 및 제1유로 제2배출구(715)는 상기 유로바디(7a)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유로커버(7b)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제1유로 제1배출구(713) 및 제1유로 제2배출구(715)가 상기 유로바디(7a)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급수유로(71)는 상기 제1유로 제1배출구(713)가 구비된 유로 제1형성부(71a), 상기 유로 제1형성부(71a)와 상기 제1제어관(631a)를 연결하는 유로 제2형성부(71b), 및 상기 유로 제1형성부(71a)와 상기 제3제어관(633a)를 연결하는 유로 제3형성부(71c)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급수유로(71)에는 제1온도의 물과 제2온도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제2배출구(715)는 상기 유로 제2형성부(71b)와 상기 유로 제3형성부(71c)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관(631a)에서 공급되는 물도 상기 터브 급수관(333)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제어관(633a)에서 공급되는 물도 상기 터브 급수관(333)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로바디(7a)에는 상기 제1유로 제2배출구(715)를 감싸는 C자 형상의 유로 가이드(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77)는 상기 유로바디(7a)의 바닥면에서 상기 유로커버(7b)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유로 가이드(77)의 제1자유단은 상기 유로 제2형성부(71b)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77)의 제2자유단은 상기 유로 제3형성부(71c)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77)는 상기 유로 제2형성부(71b)와 유로 제3형성부(71c)로 유입된 물 중 일부는 상기 제1유로 제2배출구(713)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1유로 제2배출구(715)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디스펜서(7)는 상기 제1세제유로(234) 및 터브(3a)로 물을 동시에 공급 가능하다(급수시간 단축 가능).
상기 제2급수유로(72)는 상기 제2제어관(632a)을 통해 제1온도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며(제1연결관에 연결), 상기 제2급수유로(72) 내부의 물은 제2유로 배출구(722)를 통해 상기 배출된다. 상기 제2유로 배출구(722)는 상기 유로바디(7a)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유로커버(7b)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로 배출구(722)에는 상기 제2세제유로(235)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 급수관(723)이 고정된다. 상기 제2세제유로(235)에 세제저장부(239)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유로 급수관(723)은 상기 제2유로 배출구(722)와 상기 저장바디 급수구(2392)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73)는 상기 제1급수유로(71)와 제2급수유로(72) 사이에 위치하여 두 급수유로(71, 72)를 구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73)에는 터브 연통홀(731)이 구비되며, 상기 터브 연통홀(731)은 터브 배기관(335)을 통해 상기 터브 배기구(33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3a) 내부의 공기는 상기 터브 배기구(334), 터브 배기관(335), 터브 연통홀(731), 배기유로(73), 및 커버 관통홀(75)을 통해 캐비닛(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터브(3a)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으로 배출되면,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잔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터브와 드럼의 위생적 관리가 가능함).
나아가, 상기 배기유로(73)에는 하우징 연통홀(7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연통홀(733)은 하우징 배기관(813, 도 5 참고)을 통해 상기 펌프의 하우징 배기구(8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의 하우징(811)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배기관(813), 하우징 연통홀(733), 배기유로(73) 및 상기 커버 관통홀(75)을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펜서(7)에는 세제가 저장된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71, 72),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71), 및 터브의 공기 및 펌프의 공기를 배기하는 유로(73)가 모두 구비된다. 따라서, 본 출원은 각 유로(71, 72, 73)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피의 최소화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 급수관(714)과 제2유로 급수관(723)은 상기 드로워 커버(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231)에는 상기 제1유로 급수관(714)이 수용되는 제1장착홈(231a), 및 상기 제2유로 급수관이 수용되는 제2장착홈(231b)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장착홈과 상기 제2장착홈은 상기 제2커버(236)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되는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61, 62)나 배수유로(84, 85, 86)가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엉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지지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지지부(9)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18)와 상기 바디 후방면(2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91), 및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18)와 상기 바디 후방면(212)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92)의 자유단은 상기 제1지지부(91)의 자유단과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부(92)의 자유단과 상기 제1지지부(91)의 자유단이 연결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유로지지부(9)를 따라 캐비닛에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들(91, 92)을 연결하는 부분이 진동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드로워의 인출이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로지지부(9)가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유로(61, 62)와 상기 배수유로(84, 85, 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지지부(91) 및 상기 제2지지부(9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연결유로(61, 62)도 상기 제1지지부(91) 및 상기 제2지지부(92)에 고정되고, 상기 배수유로(84, 85, 86)도 상기 제1지지부(91) 및 상기 제2지지부(92)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91)는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92)는 상기 고정부(8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91)의 고정단(제1고정단)은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91)의 자유단(제1자유단)은 상기 후방커버(18)와 바디 후방면(2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92)의 고정단(제2고정단)은 상기 고정부(8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및 상기 제2지지부(92)의 자유단(제2자유단)은 상기 상기 후방커버(18)와 상기 바디 후방면(2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유단은 상기 제1자유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제2자유단은 제1자유단보다 높은 지점 또는 상기 제1자유단보다 낮은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91)는 연결유로(61, 62) 및 배수유로(84, 85)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바디(911), 상기 제1지지바디를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연결하는 제1지지부 회전축(9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 회전축(913)을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된 제1지지바디(911)는 상기 바디 후방면(212)의 너비 방향(X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회전축(913)은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는 상기 제1지지부 회전축(9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축 지지부(317)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바디 후방면(212)에 고정될 경우, 상기 제1지지바디(911)에는 제1고정단(91a, 제1지지부 회전축)이 구비된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바디(911a), 및 상기 경사바디에서 상기 제1자유단(91b)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911b, 바디 후방면의 너비 방향에 평행한 영역)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 내부에 삽입된 때(제1지지바디가 바디 후방면에 접촉된 때), 상기 제1지지바디가 상기 제어부(C)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92)는 연결유로(61, 62) 및 배수유로(84, 85)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지지바디(921), 상기 제2지지바디(921)를 상기 고정부(8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지지부 회전축(9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921)는 상기 후방커버(18)의 너비 방향(X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 회전축(922)은 상기 드로워 패널(25)이 상기 인출구(113)를 폐쇄하면 상기 제2지지바디(921)가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 회전축(922)은 상기 제2고정단(92a)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82)에는 상기 제2지지부 회전축(9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축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82)는 상기 고정바디(8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부 회전축(922)이 결합하는 제2축 지지부(8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유단(92b)에는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9231)와 액체가 배출되는 출구(9232)가 구비된 지지부 유로(9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유로(84, 85, 86)는 상기 펌프의 하우징(811)과 상기 지지부 유로의 입구(923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84), 상기 지지부 유로의 출구(9232)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고정관(822)을 연결하는 제2배수관(85), 및 상기 고정관(822)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구나 지면(ground, 상기 캐비닛(1)이 안착된 면)으로 안내하는 제3배수관(8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수관(85)은 길이 방향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주름관, 또는 길이 방향 신축이 용이한 재질(고무 등)로 제작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회전 시 상기 제2배수관(85)에 입력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배수관(85)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제1배수관(84)도 주름관 또는 길이 방향 신축이 용이한 재질의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85)으로 이동한 물이 상기 제1배수관(84)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유로의 출구(9232)에는 체크밸브(92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9233)는 상기 출구(9232)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되, 상기 출구(923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는 한 어떤 구조를 가진 밸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바디(911)에는 상기 제1배수관(84)이 고정되는 배수관 고정부(915)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배수관(85)이 상기 제2지지바디(921)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관 고정부(915)는 상기 제1지지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후방커버(18)를 향하는 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바디(911)와 제1배수관(84)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배수관 고정부(915)는 상기 제1배수관(84)의 하부 공간(제1배수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원주면)을 지지하는 U자 형상의 브라켓로 구비될 수 있다(제1배수관의 처짐을 최소화 가능한 구조). 이 경우, 상기 제1배수관(84)은 상기 배수관 고정부(915)에 착탈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유로지지부(9)에는 상기 제1지지바디(91)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61, 62)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931, 933), 및 상기 제2지지바디(921)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61, 62)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932, 9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61)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 및 상기 제1지지바디(91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62)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 및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212)을 향하는 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연결관 제어부(63)가 드로워의 후방면(212,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 및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될 때 연결관들(61, 62)의 비틀림을 최소화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 및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는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들(61, 62)이 고정된 제1지지바디(911)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 및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931)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933)는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나머지 하나의 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바디(92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61)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2체결부(932), 및 상기 제2지지바디(9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62)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2체결부(9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932) 및 제2연결관 제2체결부(934)는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하부면(제1지지바디를 향하는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들(61, 62)이 고정된 제2지지바디(921)의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932)는 상기 제2연결관 제2체결부(934)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들(61, 62)을 상기 제2지지바디(92)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932) 및 제2연결관 제2체결부(934)는 C자 형상의 브라켓(barcket)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의 개방구간은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후방면(212)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932) 및 제2연결관 제2체결부(934)는 상기 지지바디(921)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바디(9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212)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자유단은 반시계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자유단은 시계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자유단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내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자유단도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내에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자유단은 시계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자유단은 반시계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자유단이 회전하는 평면이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자유단이 회전하는 평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제1지지바디(911)의 자유단이 회전하는 평면이 상기 제2지지바디(921)의 자유단이 회전하는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제1지지부는 제2지지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제2지지부(92)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커버(18)에 고정된 고정부(8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제2지지부(92)는 상기 캐비닛의 제1측면 커버(16)나 제2측면 커버(17), 상기 후방프레임(12) 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지지부(91)는 드로워 커버(23)나 드로워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연결유로(61, 62) 및 배수유로(84, 85)가 상기 유로지지부(9)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드로워의 이동 시 각 유로가 캐비닛(1) 내부에서 엉키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지지바디의 자유단과 제2지지바디의 자유단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도 최소화 가능하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2)를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도어(4)를 개방해야만 상기 드럼(3b)으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인출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도 드로워, 드로워에 내부에 구비된 터브, 터브 내부에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는 터브의 상부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된 구조였다.
힌지를 통해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의 자유단은 터브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자유단이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보다 높은 지점까지 회전되어야만 했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를 개방한 채로 드로워를 캐비닛 내부에 삽입할 수 없다.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의 드로워는 캐비닛에서 인출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로 드로워를 캐비닛에 삽입할 수 없다는 것은, 투입구를 개방시켜 터브 및 드럼을 건조시킬 때 받드시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된 상태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터브와 드럼에 잔류하는 물을 증발시키고자 할 때 이물질이 투입구를 통해 터브나 드럼으로 유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항상 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의 전방공간을 드로워가 인출되는 공간으로 비워두어야 하는 불편함, 및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장치(드로워 지지부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단점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도어(4)는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투입구(331)를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터브 커버(33)와 상기 드로워 커버(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 지점으로 설정된다.
도 11과 도 12는 상술한 방식으로 투입구(331)의 개방과 폐쇄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은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하여 투입구(331)를 폐쇄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지점(P2)에 위치하여 투입구(331)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는 도어(4), 상기 도어가 상기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되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벗어나지 않게 하는 도어 가이드(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는 상기 터브 커버(33)와 상기 드로워 커버(2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어 프레임(41, 42),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는 패쇄부(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은 상기 터브 커버(3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점에 도어가 위치된 때 의류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투입구(331)가 80% 이상 개방되는 지점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는 프레임 관통홀(4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폐쇄부(43)는 상기 프레임 관통홀(421)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4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에서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331)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폐쇄부(43)는 상기 투입구(331)의 형상에 대응하는 바닥면을 가진 기둥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3a)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폐쇄부(43)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쇄부는 윈도우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프레임 관통홀(4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관통홀(421a)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을 관통하는 커버 프레임 관통홀(421b)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쇄부(43)는 상기 투입구(331)에 삽입되는 폐쇄부 바디, 상기 폐쇄부 바디가 상기 프레임 관통홀(421)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41)과 상기 커버 프레임(42) 사이에 고정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을 상기 터브 커버(3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도어 락(45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락(455)은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 구비되는 락 바디(456), 및 상기 터브 커버(33)에 구비되어 상기 락 바디(456)가 결합하는 락 체결부(45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 핸들(45)이 구비될 경우, 상기 락 바디(456)는 상기 핸들(4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45)은 도어 프레임(41, 42)의 전방에 위치하는 핸들바디(45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41)과 커버 프레임(42)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바디를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핸들 축(4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락 바디(456)는 상기 핸들바디(451)에서 상기 터브 커버(33)를 향해 돌출된 후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 체결부(459)는 상기 터브 커버(3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331)의 전방에 위치된 영역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면(도어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도어 락(455)은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전방 공간(프레임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고 X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드로워 패널에 가까운 공간)을 상기 투입구(331)의 전방 공간(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X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드로워 패널에 가까운 공간)에 위치된 터브 커버(33)에 고정하게 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가이드(5)는 상기 도어(4)가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51), 제2가이드(52), 및 제3가이드(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51)와 제2가이드(52)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31)의 좌측(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Z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공간)과 우측(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Z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2측면 커버에 가까운 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가이드(53)는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공간(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X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바디 후방면에 가까운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51)와 상기 제2가이드(5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53)는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51), 제2가이드(52) 및 제3가이드(53)는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는 상기 도어 가이드(5)에 결합하는 슬라이드(47)가 구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47)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51)에 연결되는 제1슬라이드(471),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드(52)에 연결되는 제2슬라이드(47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에 구비되어 상기 제3가이드(53)에 연결되는 제3슬라이드(4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471)와 상기 제2슬라이드(473)은 상기 폐쇄부(4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좌측(프레임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고 Z축에 평행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1측면 커버에 가까운 방향)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슬라이드(473)는 상기 폐쇄부(4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에 구비될 수 있다. 각 슬라이드(471, 472, 473)는 베이스 프레임(41)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서 돌출되어 각 가이드(51, 52, 53)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43)가 투입구(3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경우, 각 가이드(51, 52, 53)는 슬라이드를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착탈경로, 및 슬라이드를 상기 착탈경로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이송경로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51)는 상기 제1슬라이드(471)를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착탈경로(513), 및 상기 제1슬라이드(471)를 상기 제1착탈경로(513)의 끝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이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이송경로(5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드(52)는 상기 제2슬라이드(472)를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착탈경로(523), 및 상기 제2슬라이드(472)를 상기 제2착탈경로의 끝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이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이송경로(5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53)는 상기 제3슬라이드(473)를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3착탈경로(533), 및 상기 제3슬라이드(473)를 상기 제3착탈경로(533)의 끝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이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3이송경로(5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지점(P1, 도 11참고)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폐쇄부(43)가 상기 터브 커버(3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4)의 이동에 요구되는 힘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착탈경로(513), 제2착탈경로(523), 및 제3착탈경로(533)는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착탈경로(513), 제2착탈경로(523), 및 제3착탈경로(533)는 상기 투입구(311)에서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을 향할수록 상기 터브 커버(33)에서 멀어지는 기울기를 가진 경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착탈경로(513)의 경사각, 제2착탈경로(523)의 경사각, 및 제3착탈경로(533)의 경사각도는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이송경로(511), 제2이송경로(521), 및 제3이송경로(531)는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이동방향(드로워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드럼(3b)의 회전 시 상기 터브(3)가 진동할 수 있고, 상기 터브의 진동 시 상기 폐쇄부(43)가 투입구(331)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4) 및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지점(P1)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및 스토퍼 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체결부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4)가 제1지점(P1)에 도달하면 상기 스토퍼에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8)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21a)에 구비된 제1스토퍼(481) 및 제2스토퍼(482)로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체결부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스토퍼(48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스토퍼 체결부(338), 및 상기 제2스토퍼(48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스토퍼 체결부(33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48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후방 공간 중 상기 제3슬라이드(473)와 제1슬라이드(471)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토퍼(48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후방 공간 중 상기 제3슬라이드(473)와 제2슬라이드(472)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도 13 참고).
이 경우, 상기 제1스토퍼 체결부(338)은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 공간 중 상기 제3가이드(53)와 상기 제1가이드(51)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토퍼 체결부(339)은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 공간 중 상기 제3가이드(53)와 상기 제2가이드(52)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되어야 한다(도 14 참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 체결부(339)에는 상기 제2스토퍼(482)를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스토퍼 가이드(3391)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스토퍼 체결부(338)에는 상기 제1스토퍼(481)를 상기 드로워 커버(23)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터브 커버(3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스토퍼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 가이드의 경사각도 및 제2스토퍼 가이드(3391)의 경사각도는 상기 착탈경로들(513, 523, 533)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가 제1지점(P1)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331)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 락의 락 바디(456)는 상기 락 체결부(459)에 고정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471)는 제1착탈경로(513)의 최하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2슬라이드(472)는 제2착탈경로(523)의 최하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3슬라이드(473)는 제3착탈경로(533)의 최하점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481)는 상기 제1스토퍼 가이드의 최하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스토퍼(482)는 제2스토퍼 가이드(3391)의 최하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전방 영역은 상기 도어 락(45)을 통해 상기 투입구(331)의 전방에 위치된 터브 커버(33)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양측 공간은 상기 제1슬라이드(471), 제1가이드(51), 제2슬라이드(472) 및 제2가이드(52)에 의해 투입구(331)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후방 영역은 상기 제3슬라이드(473), 제3가이드(53), 제1스토퍼(481), 제1스토퍼 체결부(338), 제2스토퍼(482) 및 제2스토퍼 체결부(339)에 의해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에 고정된다. 이는 도어(4)가 6개의 체결점을 통해 터브 커버(33)에 고정됨을 의미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는 핸들에 구비된 도어 락, 도어의 후방에 구비된 2개의 힌지를 통해 터브 커버에 고정되었다. 이는 종래 도어가 총 3개의 체결점을 통해 터브 커버에 고정됨을 의미하였다. 본 출원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체결점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체결점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의 진동에 의해 도어(4)가 투입구(331)를 개방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디(451)를 회전시키면, 상기 락 바디(456)는 상기 락 체결부(459)에서 분리된다. 상기 락 바디(456)가 락 체결부(459)에서 분리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의 전방 영역은 상기 터브 커버(33)에서 분리되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을 드로워 바디의 후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도어(4)는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가 제2지점(P2)에 위치하면, 상기 투입구(331)는 개방될 것이다.
상기 투입구(331)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331)가 개방된 상태의 드로워(2)를 캐비닛(1)으로 삽입하거나 캐비닛에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지 않고도 터브와 드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4)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2지점(P2)에 위치된 도어(4)의 후방은 상기 도어의 전방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이송경로(511), 상기 제2이송경로(521), 및 상기 제3이송경로(5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제3이송경로(531)가 상기 터브 커버(33)의 후방을 향할수록 상기 드로워 커버(23)를 향해 경사(A)진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도어 가이드(5)가 제1가이드(51), 제2가이드(52), 및 제3가이드(53)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도어 가이드(5)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슬라이드는 제1슬라이드 및 제2슬라이드 만으로 구비됨), 제3가이드 만으로 구비(슬라이드는 제3슬라이드 만으로 구비됨)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4)가 투입구(33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지만,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드럼의 회전하는 상태, 터브로 급수가 진행되는 상태, 터브의 물이 배수되는 상태 등)에는 상기 투입구(331)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가 투입구(33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위치감지부(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5는 상기 위치감지부(49)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감지부(49)는 상기 도어 프레임(41, 42)에서 상기 터브 커버(33)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495, 도 13 참고), 및 상기 터브 커버(33)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가압부(495)에 접촉하는 신호발생부(491, 493, 도 15 참고)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도어(4)가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가압부(495)에 접촉하는 접촉부(491), 및 상기 접촉부가 가압부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폐쇄하는 스위치(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신호발생부(491, 493)는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센서 장착부(496)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신호발생부(491, 493)는 상기 도어가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C)에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구(331)의 밀폐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가스켓(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5)의 고정을 위해,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가스켓(35)이 지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홈(336), 및 상기 가스켓(35)이 장착홈)33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 커버(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36)은 상기 투입구(331)를 감싸는 링 형상의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 커버(34)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36)에는 상기 가스켓(35)을 상기 장착홈에 고정하는 고정돌기(3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커버(34)에는 상기 투입구(331)에 연통하는 투입구 연통홀(345)이 구비된다. 상술한 제1스토퍼(481), 제2스토퍼(482), 신호발생부(491, 493) 및 락 체결부(459)는 상기 가스켓 커버(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481), 제2스토퍼(482), 센서장착부(496) 및 락 체결부(459)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치들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 커버(34)에는 상기 제1스토퍼(481)와 제2스토퍼(482)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커버 제1관통홀(341) 및 커버 제2관통홀(342), 상기 신호발생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커버 제3관통홀(343), 및 상기 락 체결부(459)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커버 제4관통홀(344, 락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35)은 상기 장착홈(336)에 안착되는 체결바디(351), 상기 체결바디(3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31)에 연통하는 체결바디 관통홀(352), 및 상기 체결바디(351)에서 상기 투입구(33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실링바디(3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351)에는 상기 고정돌기(337)가 결합하는 다수의 체결홀(353)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홀(353)은 상기 체결바디(351) 중 상기 투입구(3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3개의 전방 관통홀, 상기 체결바디(351) 중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된 3개의 후방 관통홀, 및 상기 전방 관통홀과 상기 후방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33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좌측 관통홀 및 우측 관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337)는 상기 전방 관통홀들에 삽입되는 3개의 전방 고정돌기, 상기 후방 관통홀들에 삽입되는 3개의 후방 고정돌기, 상기 좌측 관통홀에 삽입되는 좌측 고정돌기, 및 상기 우측 관통홀에 삽입되는 우측 고정돌기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실링바디(355)는 상기 도어(4)가 제1지점(P1)에 위치한 때 상기 폐쇄부(43)와 상기 투입구(331)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가스켓(34)은 상기 도어(4)가 제1지점(P1)에 위치한 때 상기 가스켓(34)을 가압하여 상기 투입구(331)를 밀폐시킨다. 즉, 도어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실링바디(355)는 상기 폐쇄부(43)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투입구(33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폐쇄부(43)의 외주면과 상기 투입구(331) 사이의 간격을 메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도 투입구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되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는 핸들에 구비된 도어 락, 도어의 후방에 구비된 2개의 힌지를 통해 터브 커버에 고정되었다. 이는 가스켓을 변형시켜 투입구를 밀폐하는데 필요한 외력이 3개의 지점을 통해 가스켓에 공급됨을 의미하고, 외력이 입력되는 각 지점 간의 간격이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스켓으로 외력을 공급하는 지점간의 간격이 넓으면, 상기 가스켓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기 투입구(331)를 통해 터브의 물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게시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슬라이드(47), 도어 가이드(5), 도어 락(455), 스토퍼(48), 및 스토퍼 체결부(338, 33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최소 4개 지점, 최대 6개 지점에서 상기 가스켓(35)을 눌러줄 수 있다.
상기 4개의 지점은 1개의 도어 락(455), 3개의 슬라이드(471, 472, 473) 및 도어 가이드(51, 52, 53)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락(455)은 상기 가스켓(35) 중 상기 투입구(331)의 전방에 위치된 영역을 눌러주고, 상기 제3슬라이드(473) 및 제3가이드(53)는 상기 가스켓(35) 중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에 위치된 영역을 눌러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471), 제1가이드(51), 제2슬라이드(472) 및 제2가이드(52)는 상기 가스켓(35) 중 상기 투입구(331)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영역을 각각 눌러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투입구(331)로 물이나 공기나 누출될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6개의 지점은 상술한 4개 지점에 더해 상기 제1스토퍼(481), 제1스토퍼 체결부(338), 제2스토퍼(482), 및 제2스토퍼 체결부(339)가 상기 가스켓(35) 중 상기 투입구(331)의 후방에 영역을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35)을 6개의 지점에서 눌러주는 구조는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투입구(331)를 밀폐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효과의 구현을 위해, 상기 락 바디(456)와 상기 락 체결부(459)는 상기 락 바디(456)가 락 체결부(459)에 결합한 때 상기 실링바디(355)를 상기 폐쇄부(43)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착탈경로(513), 상기 제2착탈경로(523), 및 상기 제3착탈경로(533)는 상기 락 바디(456)가 상기 락 체결부(459)에 결합한 때 상기 실링바디(355)를 상기 폐쇄부(43)에 가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481, 482) 및 상기 스토퍼 체결부(338, 339)는 상기 락 바디(456)가 상기 락 체결부(459)에 결합한 때(스토퍼가 스토퍼 체결부에 결합한 때) 상기 실링바디(355)를 상기 폐쇄부(43)에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는 본 출원에 게시된 아이디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3: 인출구
19: 안착부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커버 25: 드로워 패널 3: 수용부
3a: 터브 31: 터브 바디 33: 터브 커버
331: 투입구 34: 가스켓 커버 35: 가스켓
3b: 드럼 36: 드럼 바디 37: 드럼 투입구
38: 구동부 4: 도어 41: 베이스 프레임
42: 커버 프레임 43: 폐쇄부 45: 핸들
456: 락 바디 459: 락 체결부 47: 슬라이드
471: 제1슬라이드 472: 제2슬라이드 473: 제3슬라이드
481: 제1스토퍼 482: 제2스토퍼 49: 위치감지부
5: 도어 가이드 51: 제1가이드 52: 제2가이드
53: 제3가이드 6: 급수원 연결부 61: 제2연결관
62: 제2연결관 7: 디스펜서 7a: 유로바디
7b: 유로커버 71: 제1급수유로 72: 제2급수유로
73: 배기유로 75: 커버 관통홀 77: 유로 가이드
8: 배수부 81: 펌프 82: 고정부
84: 제1배수관 85: 제2배수관 86: 제3배수관
9: 유로지지부 91: 제1지지부 92: 제2지지부

Claims (16)

  1. 전방면에 구비된 인출구,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바디 후방면이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드로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며, 자유단이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과 분리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배수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평면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평면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평행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1지지부의 자유단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자유단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바디 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고정단, 및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후방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고정단, 및 상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바디 후방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자유단보다 높은 지점 또는 상기 제1자유단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며,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액체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지지부 유로; 및
    상기 후방커버를 관통하는 고정관을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펌프와 상기 지지부 유로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지지부 유로의 출구와 상기 고정관을 연결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지지부 유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관이 장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고정바디 또는 상기 고정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부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수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 급수원에 연결하는 급수원 연결부;
    상기 바디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유로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연결관 제어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원은 제1온도의 물이 공급되는 제1급수원, 및 상기 제1온도와 다른 온도의 물이 공급되는 제2급수원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원 연결부는 상기 제1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원 연결부, 및 상기 제2급수원에 연결된 제2급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급수원 연결부에 연결된 제1연결관, 및 상기 제2급수원 연결부에 연결된 제2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 제어부는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 제어부, 및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급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연결관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연결관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디 후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관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연결관 제1체결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관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연결관 제2체결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3269A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69A KR20220049766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EP21186573.8A EP3985163A1 (en) 2020-10-15 2021-07-20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110823282.5A CN114369919B (zh) 2020-10-15 2021-07-21 衣物处理装置
US17/383,946 US20220120019A1 (en) 2020-10-15 2021-07-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1250958A AU2021250958B2 (en) 2020-10-15 2021-10-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69A KR20220049766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766A true KR20220049766A (ko) 2022-04-22

Family

ID=7699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69A KR20220049766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20019A1 (ko)
EP (1) EP3985163A1 (ko)
KR (1) KR20220049766A (ko)
CN (1) CN114369919B (ko)
AU (1) AU2021250958B2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0126A1 (en) * 1991-12-20 2006-03-28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Dishwasher
JP2000237497A (ja) * 1999-02-18 2000-09-0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1482110B1 (ko) * 2008-05-2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DE112011106122B9 (de) *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EP2700743B1 (en) *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2082700B1 (ko) *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6B1 (ko) * 2013-08-28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4389040B2 (en) * 2014-04-01 2019-03-2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ter supply assembly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KR102487097B1 (ko)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87095B1 (ko) *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2650B1 (ko) * 2014-05-30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A2893187C (en) * 2014-05-30 2017-02-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body guider to guide rotational movement of body along which a water supply channel is provided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K3256034T3 (da) * 2015-02-13 2021-11-15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Vaskesystem til vaskeanordning
AU2016226784B2 (en) * 2015-03-02 2018-11-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W201702453A (zh) * 2015-06-30 2017-01-16 Lg電子股份有限公司 洗衣處理裝置
KR102604592B1 (ko) * 2015-09-04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932471B1 (ko) 2017-07-19 2018-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620A (ko) *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038203A1 (zh) * 2018-08-20 2020-02-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用减震装置及抽拉式洗衣机
CN110846849B (zh) * 2018-08-20 2022-01-04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抽拉式洗衣机
KR102584733B1 (ko) 2018-09-30 2023-10-05 티씨엘 테크놀로지 그룹 코포레이션 퀀텀닷
KR20200069732A (ko) 2018-12-07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9919A (zh) 2022-04-19
AU2021250958B2 (en) 2023-06-29
EP3985163A1 (en) 2022-04-20
AU2021250958A1 (en) 2022-05-05
CN114369919B (zh) 2023-12-26
US20220120019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9338A (ko) 의류처리장치
KR2005011889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US20140053614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US1079398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118823A (ja) 衣類処理装置
KR2022004976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9A (ko) 의류처리장치
US8006522B2 (en) Liquid detergent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CN108265460B (zh) 衣物处理装置
KR2022004976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5A (ko) 의류처리장치
US1102852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0300824B (zh) 洗衣机
KR20070059432A (ko) 세탁기의 세제통 흔들림 방지 구조
US20180363224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fittings thereof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20562A (ko) 세탁기
RU241455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фронтальной загрузкой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702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