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88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881B1
KR101894881B1 KR1020170027928A KR20170027928A KR101894881B1 KR 101894881 B1 KR101894881 B1 KR 101894881B1 KR 1020170027928 A KR1020170027928 A KR 1020170027928A KR 20170027928 A KR20170027928 A KR 20170027928A KR 101894881 B1 KR101894881 B1 KR 10189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etergent
water
flow path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이찬호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터브연결관, 세제가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부의 상부 또는 상기 제1저장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 사이펀 현상(siphon)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제1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2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제공급부는 세제가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부, 각 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다수의 유로, 각 저장부를 터브에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관으로 구비되었다. 상기 다수의 저장부들은 지면(ground)에 나란한 평면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저장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세제공급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 및 저장부의 수에 상당한 유로 및 연결관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저장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서로 적층되어 구비됨으로써 세제저장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구비됨에도 하나의 연결관으로 세제를 터브에 공급 가능한 세제저장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터브연결관; 세제가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부의 상부 또는 상기 제1저장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 사이펀 현상(siphon)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제1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2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저장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 상기 제2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저장부에 연통하는 제1세제공급구 및 상기 제2저장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2세제공급구가 구비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과 함께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3격벽; 상기 제3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연결하는 격벽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격벽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유로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2저장부를 연결하는 급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세제공급구로 세제를 안내하는 세제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저장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배출관; 상기 제2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 상기 배출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를 상기 제1저장부 내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배출관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연결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제1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터브연결관, 상기 제1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연결관이 고정되는 배출구, 또는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연결관이 고정되는 고정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지름은 상기 드럼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상기 제1급수유로에서 분지되며,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는 제2급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유로는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결하는 분지관; 상기 연결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세제공급구 및 상기 제2세제공급구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출입하는 터브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제공급구 및 상기 제2세제공급구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저장을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서로 적층되어 구비됨으로써 세제저장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구비됨에도 하나의 연결관으로 세제를 터브에 공급 가능한 세제저장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제1세제공급부 및 제2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2)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2)가 삽입되는 출입구(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은 너비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는 상기 출입구(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드로워 패널(23),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출입구(11)를 폐쇄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출입구(11)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로워 패널(2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기 출입구(11)를 통해 캐비닛(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터브(3)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2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25)에는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251)과 제2관통홀(2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2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253)은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331),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터브 관통홀(3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25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관통홀(333)은 드로워 커버의 제2관통홀(25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터브 바디(3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3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35)에 의해 개폐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3)는 터브지지부(37)를 통해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에는 드로워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31)에는 터브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드로워 브라켓에 안착되고, 상기 터브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터브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지지부(37)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4)은 상부면에 투입구(4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3)는 상기 터브 투입구(3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터브 투입구(3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투입구(43)를 통해 드럼 바디(4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바닥면과 원주면 등에는 드럼 바디(41) 내부를 터브 바디(3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는 구동부(47)에 의해 터브 바디(3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47)는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47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73),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475)은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43)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75)이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한다는 것은, 회전축과 터브 바디의 바닥면 사이의 각도가 설계나 조립 시 요구되는 공차를 오차범위로 가지는 90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급수유로(61)를 통해 터브(3)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69)를 통해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1급수유로(61)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611), 터브 커버에 구비된 터브 관통홀(333)에 연결된 제2급수관(615), 상기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제1급수관(611)이 커넥터(C)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1급수관(611)은 주름관(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 관 또는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구조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611)은 급수밸브(6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즉, 상기 급수밸브(61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상기 제2급수관(615)은 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된 제2관통홀(253)을 통해 터브 관통홀(333)과 커넥터(C)를 연결하며, 터브(3)의 진동 시 제2급수관(615)이 커넥터(C)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급수유로(61)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터브 관통홀(333)을 연결하는 하나의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69)는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는 배수펌프(691),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69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93), 상기 배수펌프(691)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9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수관(695)은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3)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D)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세제공급부(D)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로워 패널(2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D)가 드로워 패널(23)에 구비될 경우, 상기 세제공급부(D)는 드로워 패널(2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컨트롤패널(231)이 위치된 드로워 패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사용자 접근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공급부(D)가 드로워 바디(21)에 구비될 경우, 상기 세제공급부(D)는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된 때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상기 세제공급부(D)가 드로워 커버(25)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관통홀(251)과 드로워 패널(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세제공급부(D)는 제1세제공급부(7) 및 제2세제공급부(8)로 구비된다. 상기 제1세제공급부(7)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73) 및 상기 제1저장부(73)를 터브 바디(31)와 연결하는 터브연결관(7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세제공급부(8)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부(73)의 상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83) 및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물과 세제를 제1저장부(73)로 이동시키는 배출유로(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부(73)는 상기 터브연결관(733)을 통해 터브 바디(31)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73)는 액상 세제 및 분말 세제를 저장 가능한 공간이 된다. 그러나, 상기 제2저장부(83)에 저장된 세제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제1저장부(73)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저장부(83)는 액상 세제를 저장 가능한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세제공급부(D)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급수유로(61)에서 분지된 제2급수유로(65)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제2급수유로(65)가 제1급수유로(61)에서 분지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C)는 제1급수관(611)과 제2급수관(615)을 연결하며 고정부(618) 등을 통해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된 연결관(612), 상기 제2급수유로(67)를 상기 연결관(612)에 연결하는 분지관(61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612)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612) 내부로 유입되는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614)으로 안내하는 가이더(6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유로(65)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제1유로(77)와 제2유로(79)를 통해 제1저장부(73)와 제2저장부(83)로 각각 공급되는데,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에 대한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제공급부(7)는 상기 제1저장부(73)가 형성되는 제1바디(71)로 구비되고, 상기 제2세제공급부(8)는 상기 제1바디(7)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저장부(83)가 구비되는 제2바디(8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71)에는 상기 제1저장부(73)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출구(7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연결관(733)은 상기 배출구(731)와 터브 바디(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고정관(311, 도 2 참고)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연결관(733)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73)가 터브 바디(31)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드럼 바디(41)의 회전 시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저장부(73)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기 드럼 바디의 지름이 드럼 바디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에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이 상기 제1저장부(7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7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735)는 상기 제1저장부(73)의 물은 상기 터브 바디(31)로 이동시키되 상기 터브 바디(31)의 물은 상기 제1저장부(73)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35)는 상기 터브연결관(733), 배출구(731), 또는 상기 고정관(3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71)에는 상기 제1저장부(73)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유로(74, 제1세제유로), 상기 제1저장부(73)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77), 및 상기 제2저장부(83)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79)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세제유로(74)는 상기 제1저장부(73)로 세제를 안내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1세제유로(74)가 상기 제1저장부(73)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세제유로(74)는 상기 제1저장부(7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는 상기 제2급수유로(6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유로(75)를 통해 제2급수유로(65)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유로(75)는 상기 제1바디(7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75)를 통해 제2급수유로(65)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는 각각 상기 연결유로(7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유로(77)는 연결유로(75)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제2유로(79)는 제1유로(77)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제1유로(77) 및 제2유로(79)는 유로형성부에 의해 제1바디(71)에 구비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는 제1바디(71)에 구비되어 제1유로(77)를 형성하는 제1격벽(761) 및 제2격벽(763), 상기 제2격벽(763)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격벽(763)과 함께 제2유로(79)를 형성하는 제3격벽(76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77)와 연결유로(75)는 공급홀(771)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는 제2격벽(76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관통홀(764)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벽관통홀(764)은 제어부(미도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유로제어부(9)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유로제어부(9)는 제1바디(71)에 고정되는 하우징(91),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95)은 상기 제1유로(77) 내부의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는 피스톤(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95)이 상기 격벽관통홀(764)를 폐쇄하는 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95)이 상기 격벽관통홀(764)를 개방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95)은 스프링(99)과 코일(97)에 의해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스프링(99)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94)을 제1지점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코일(97)은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95)을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격벽(761, 763, 765)의 상부에는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유로커버(767)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바디(81)가 제1바디(7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2바디(81)의 바닥면이 상기 제1유로(77)와 상기 제2유로(79)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유로커버(767)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바디(71)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저장부(83)가 구비되는 제2바디(81)에는 상기 제1저장부(73)로 세제를 투입하는 제1세제공급구(811), 상기 제2저장부(83)로 세제를 투입하는 제2세제공급구(8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세제공급구(811)는 상기 제1세제유로(7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바디(8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세제공급구(811) 및 제1세제유로(74)를 통해 상기 제1저장부(73)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83)는 상기 제1저장부(73)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저장부(73)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2저장부(83)의 개방된 상부면이 상기 제2세제공급구(812)가 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D)가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 중 상기 드로워 패널(23)과 제1관통홀(2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제제공급구(811) 및 제2세제공급구(812) 역시 상기 드로워 패널(23)과 제1관통홀(2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바디(21)를 캐비닛(1)에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제1세제공급구(811) 및 제2세제공급구(812)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를 캐비닛(1)으로 삽입하거나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때 각 저장부(73, 83)에 저장된 세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1세제공급구(811) 및 제2세제공급구(812)를 개폐하는 공급부 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83)가 상기 제1저장부(73)의 내부에 위치되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세제를 터브에 공급 가능할 뿐 아니라 부피가 최소화된 세제공급부(D)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저장부(83)의 단면적(바닥면에 나란한 제2저장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1저장부(73)의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유로(79)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2저장부(8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81)에는 제2저장부(8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유로(79)와 제2저장부(83)를 연결하는 급수구(831)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장부(83) 내부의 세제와 물을 상기 제1저장부(73)로 이동시키는 배출유로(84)는 상기 제2저장부(83)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배출관(841), 상기 제2저장부(83)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841)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842), 상기 배출관(841)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83) 내부의 물을 상기 관통홀(842)로 안내하는 n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관(8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841)과 상기 수용관(843) 사이에 n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841)에는 스페이서(8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845)는 상기 수용관(843)의 내주면과 배출관(841)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수용관(843)의 하단과 상기 제2저장부(83)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83)가 수용 가능한 양보다 많은 양의 물이나 세제가 제2저장부(83)에 공급되어 물이나 세제가 제2저장부(83)를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바디(81)에는 상기 제2저장부(8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와 제1저장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833, 8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연통홀이 제2저장부(83)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연통홀(833), 상기 제1연통홀이 구비된 면의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 제2연통홀(83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연통홀(833) 및 제2연통홀(835)은 상기 배출관(841)의 자유단(최상단)보다는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세제공급구(812)의 면적이 작을 경우, 사용자가 제2저장부(83)로 세제를 투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바디(81)에는 세제를 상기 제2세제공급구(812)로 안내하는 세제유로(814, 제2세제유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제유로(814)는 상기 제2바디(8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유로(77)와 제2유로(79)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공급부(D)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바디(21)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제1세제공급구(811)와 제2세제공급구(812)를 통해 제1저장부(73)와 제2저장부(83)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가 유로제어부(9)를 통해 격벽관통홀(764)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급수밸브(613)를 통해 제1급수관(611)을 개방하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 중 일부는 상기 제2급수관(615)을 통해 터브 바디(31)로 공급되고,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급수유로(65), 연결유로(75), 제1유로(77)를 통해 상기 제1저장부(73)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1저장부(73)로 공급된 물은 제1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연결관(733)을 통해 터브 바디(31)로 이동시킬 것이다.
상기 제1저장부(73)에 투입된 세제는 제1급수유로(61)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물을 급수할 때 터브 바디(31)에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세탁 시 필요한 세제가 상기 제1저장부(73)에 투입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한편, 제어부가 유로제어부의 코일(97)에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95)은 격벽관통홀(764)을 개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가 상기 급수밸브(613)를 개방하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 중 일부는 상기 제2급수관(695)을 통해 터브 바디(31)에 공급되고,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급수유로(65) 및 연결유로(75)를 거쳐 제1유로(77)에 공급된다.
상기 제1유로(77)로 공급된 물 중 일부는 상기 제1저장부(73)에 공급되고, 상기 제1유로(77)로 공급된 물 중 나머지 일부는 제2유로(79) 및 급수구(831)을 거쳐 제2저장부(83)에 공급된다. 상기 제2저장부(83)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2저장부(83) 내부의 수위(세제 및 물의 수위)가 배출관(841)의 최상단보다 높아지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제1저장부(73)로 이동한 뒤 터브연결관(733)을 통해 터브 바디(31)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저장부(83)에 저장된 세제는 유로제어부(9)를 통해 터브 바디(31)로 공급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저장부(83)에는 세탁 시 필요한 세제가 투입될 수도 있고, 헹굼 시 필요한 세제가 투입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200)는 제1처리장치(110)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150)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110)는 제2처리장치(15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에 터브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200)가 넘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5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와 달리 드로워(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11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는 터브 투입구(331) 및 드럼의 투입구(43)에 연통하는 캐비닛 투입구(13)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투입구(13)는 캐비닛(1)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도어(1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세제공급부(D)에 구비된 제1세제공급구(811) 및 제2세제공급구(812)는 캐비닛(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제1세제공급구(811) 및 제2세제공급구(812)는 캐비닛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공급부 도어(8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 구조 및 세제공급부(D)의 세제공급부(811, 812)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제1처리장치(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150)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도 6은 상기 제2처리장치(150)가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150)는 제1처리장치(110)의 캐비닛(1)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51),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2터브(52),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럼(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51)의 전방면에는 제2도어(513)에 의해 개폐되는 제2캐비닛 투입구(5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터브(5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터브(52)의 전방면에는 제2터브 투입구(521)가 구비된다. 누수의 방지를 위해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511)와 제2터브 투입구(521)는 가스켓(5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52)는 제2터브 지지부(522)를 통해 제2캐비닛(51) 내부에 고정되고, 제2터브 급수관(525)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터브 급수관(525)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급수밸브(526)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제2터브 급수관(525)는 제2터브 세제공급부(524)를 거쳐 제2터브(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터브 세제공급부(524)는 제2캐비닛(5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52) 내부에 저장된 물은 제2터브 배수펌프(527) 및 제2터브 배수관(528)을 통해 제2캐비닛(5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드럼(5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에 상기 제2터브 투입구(511) 및 제2캐비닛 투입구(511)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5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53)의 내부공간은 제2드럼 관통홀(532)를 통해 제2터브(52)의 내부공간과 연통한다.
상기 제2드럼(53)은 제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스테이터(533), 제2로터(534), 상기 제2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과 상기 제2로터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5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535)은 상기 제2캐비닛(51)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제1처리장치(110) 및 제2처리장치(150)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200)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처리장치(110)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처리장치(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150)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되었고, 제2처리장치(150)는 도 6을 통해 설명되었으므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구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출입구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패널
25: 드로워 커버 251: 제1관통홀 253: 제2관통홀
3: 터브 31: 터브 바디 311: 고정관
33: 터브 커버 331: 터브 투입구 333: 터브 관통홀
35: 도어 4: 드럼 41: 드럼 바디
43: 투입구 47: 구동부 61: 제1급수유로
611: 제1급수관 613: 급수밸브 615: 제2급수관
65: 제2급수유로 69: 배수부 7: 제1세제공급부
71: 제1바디 73: 제1저장부 731: 배출구
733: 터브연결관 735: 체크밸브 74: 제1세제유로
75: 연결유로 77: 제1유로 771: 공급홀
79: 제2유로 761: 제1격벽 763: 제2격벽
764: 격벽관통홀 765: 제3격벽 767: 유로커버
8: 제2세제공급부 81: 제2바디 811: 제1세제공급구
812: 제2세제공급구 814: 제2세제유로 83: 제2저장부
831: 급수구 833: 제1연통홀 835: 제2연통홀
84: 배출유로 841: 배출관 842: 관통홀
843: 수용관 845: 스페이서 85: 공급부 도어
9: 유로제어부

Claims (15)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부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한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 세제를 안내하며, 상기 제1저장부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1세제유로;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터브연결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1저장부에 삽입되는 제2저장부;
    상기 제2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급수구;
    사이펀 현상(siphon)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저장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세제유로에 연통하는 제1세제공급구;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로 세제를 유입시키는 제2세제공급구;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저장부가 상기 제1저장부에 삽입되면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과 함께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3격벽;
    상기 제3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연결하는 격벽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격벽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유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세제공급구로 세제를 안내하는 세제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저장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배출관;
    상기 제2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
    상기 배출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를 상기 제1저장부 내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배출관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연결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제1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터브연결관, 상기 제1저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연결관이 고정되는 배출구, 또는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연결관이 고정되는 고정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지름은 상기 드럼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상기 제1급수유로에서 분지되며,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는 제2급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유로는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결하는 분지관;
    상기 연결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제공급구 및 상기 제2세제공급구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출입하는 터브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제공급구 및 상기 제2세제공급구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패널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27928A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28A KR101894881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28A KR101894881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881B1 true KR101894881B1 (ko) 2018-09-04

Family

ID=6359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28A KR101894881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29A1 (en) * 2019-12-02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847A (ko)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70003359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0934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00047626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
KR20100065589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847A (ko)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70003359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0934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00047626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
KR20100065589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29A1 (en) * 2019-12-02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767631B2 (en) 2019-12-02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78B1 (ko) 의류처리장치
US111932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9281116B (zh) 衣物处理装置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288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66169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5526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2B1 (ko) 의류처리장치
EP343164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siphon
KR201801011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1161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72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8595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12001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12002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725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322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