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72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729A
KR20190009729A KR1020180164108A KR20180164108A KR20190009729A KR 20190009729 A KR20190009729 A KR 20190009729A KR 1020180164108 A KR1020180164108 A KR 1020180164108A KR 20180164108 A KR20180164108 A KR 20180164108A KR 20190009729 A KR20190009729 A KR 2019000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tub
water
sp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198B1 (ko
Inventor
이지홍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를 상기 터브에 연결하는 연결관;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로 물을 안내하는 제2급수관; 상기 세제공급부로 물을 안내하는 공급부 급수관; 챔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2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공급부 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 상기 제1급수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밸브; 상기 제3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밸브;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상부 또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터브로 안내하는 제2터브 급수관; 및 상기 제2터브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터브 급수관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사이펀 현상을 유발시켜 세제와 물을 터브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부를 포함하는 세제공급부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가진 세제공급부는 사이펀 형성부에 구비된 배출구가 막히거나 사이펀 형성부가 파손되면, 세제와 물의 혼합액이 터브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세제공급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저장부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고장나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곧바로 저장바디에 공급되므로 세제가 원하지 않는 시기에 터브에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물 공급과 세제공급부의 물 공급을 쉽게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터브로 공급되는 물과 세제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 현상을 유발하는 수단이 파손된 경우에도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로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공급부로 물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밸브가 파손된 경우에도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원하는 시기에 터브로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이 터브와 세제공급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통해 세제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를 상기 터브에 연결하는 연결관;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로 물을 안내하는 제2급수관; 상기 세제공급부로 물을 안내하는 공급부 급수관; 챔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2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공급부 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 상기 제1급수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3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하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상부 또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터브로 안내하는 제2터브 급수관; 및 상기 제2터브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터브 급수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밸브 하우징; 일단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은 상기 챔버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3유로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러;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러가 상기 제3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스프링;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3유로가 위치된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유로를 개방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세제투입구가 구비된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상기 세제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분리된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공급부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저장부 급수구;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연결관에 연통시키는 바디 제1관통홀; 상기 바디 제1관통홀에서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제1배출관;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상기 연결관에 연통시키는 제2배출관; 상기 제1배출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배출관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바디 제1관통홀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관; 액체가 상기 바디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액체가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공간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연통부는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보다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격벽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공간 연통부는 상기 격벽의 자유단이 상기 제1배출관의 자유단보다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급수구는 상기 저장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격벽과 함께 상기 제2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저장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격벽의 자유단보다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면에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드로워 커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관통홀; 상기 드로워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공급부의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체결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캐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드로워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드로워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저장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바닥면; 상기 커버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바닥면과 함께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 측면; 상기 커버 바닥면 또는 상기 커버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세제를 상기 제1공간으로 배출하는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급수구에서 배출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커버 급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공간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자유단은 상기 커버 측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부 급수구에서 배출된 물의 유속을 감속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1관통홀은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2배출관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배출관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캐비닛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체결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캐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제2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2세제공급부; 상기 제2세제공급부에 연결된 제2공급부 급수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4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하나의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4유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형성하는 직선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유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형성하는 직선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제공급부는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세제를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세제공급부는 세탁이 완료된 후 게시되는 헹굼에 필요한 세제를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브로 공급되는 물과 세제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이펀 현상을 유발하는 수단이 파손된 경우에도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로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공급부로 물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밸브가 파손된 경우에도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원하는 시기에 터브로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이 터브와 세제공급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통해 세제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급수부 및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역류방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세탁하는 제1처리장치(A)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의류의 세탁하거나 의류를 건조하는 제2처리장치(B)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를 세탁하는 제1처리장치(A)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B)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6)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제1처리장치(A)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2)를 수용하는 공간(벽에 형성된 공간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2)가 삽입 가능한 인출구(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은 너비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는 상기 인출구(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인출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드로워 패널(23),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인출구(11)를 폐쇄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인출구(11)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로워 패널(2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231, 도 1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기 인출구(11)를 통해 캐비닛(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터브(4)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2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25)에는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커버 제1관통홀(251)과 커버 제2관통홀(253)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 제1관통홀(2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커버 제2관통홀(253)은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터브(4)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43)에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43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급수관 연결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커버 제1관통홀(25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 연결부(433)은 커버 제2관통홀(25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431)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터브 투입구(431)는 상기 터브 커버(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4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4)는 터브지지부(47)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지지부(47)는 상기 터브 바디(4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4)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6)은 상부면에 드럼 투입구(6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6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63)는 상기 터브 투입구(4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터브 투입구(431)를 통해 터브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의류는 드럼 투입구(63)를 통해 드럼 바디(61)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61)의 바닥면과 원주면 등에는 상기 드럼 바디(61) 내부를 터브 바디(4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6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61)는 구동부(67)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67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73),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6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675)은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고, 상기 드럼 투입구(63)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75)이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한다는 것은, 회전축과 터브 바디의 바닥면 사이의 각도가 오차범위(설계나 조립 시 요구되는 공차) 내에서 90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처리장치(A)는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4)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수부는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는 배수펌프(493),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493)로 안내하는 터브 제1배수관(491), 상기 배수펌프(493)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터브 제2배수관(49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 제2배수관(495)은 주름관(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 관 또는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구조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A)에는 상기 터브 바디(41)에 세제를 공급하는 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제1처리장치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수단은 세제공급부(7)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세제공급부(7, 제1세제공급부) 및 제2세제공급부(8)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세제공급수단이 제1세제공급부(7) 및 제2세제공급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세제공급부를 통해 터브 바디에 공급되는 세제는 옷감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의류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세탁 시 의류에 공급되는 세탁세제, 옷감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의류의 헹굼 시 의류에 공급되는 사용되는 헹굼세제, 표백제와 같이 옷감을 희게 만들기 위해 의류에 공급되는 물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제공급수단이 제1세제공급부(7) 및 제2세제공급부(8)로 구비될 경우, 제1처리장치(A)에 구비된 급수부(3)는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31), 상기 터브 바디(41)로 물을 안내하는 제2급수관(33), 상기 세제공급부(7, 제1세제공급부)로 물을 안내하는 공급부 급수관(35, 제1공급부 급수관), 상기 제2세제공급부(8)로 물을 안내하는 제2공급부 급수관(3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제공급수단이 제1세제공급부(7)만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3)는 상기 제1급수관(31), 제2급수관(33) 및 공급부 급수관(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 제2급수관, 제1공급부 급수관(35) 및 제2공급부 급수관(37)은 커넥터(5)를 통해 연결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511a)가 구비된 하우징(511),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관(31)이 연결되는 제1유로(512),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관(33)이 연결되는 제2유로(513),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부 급수관(35)이 연결되는 제3유로(514),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37)이 연결되는 제4유로(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은 일단은 급수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유로(512)에 고정된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된 제1밸브(311, 도 2 참고)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311)가 제1급수관(31)을 개방하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유로(512)를 통해 챔버(511a)로 공급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1밸브(311)는 상기 커넥터(5)에 구비되어 제1유로(51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급수관(33)은 상기 제2유로(513)와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급수관 연결부(43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챔버(511a) 내부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2유로(513) 및 제2급수관(33)을 통해 터브 바디(4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1공급부 급수관(35)은 일단은 상기 제3유로(5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 연결된다. 상기 제3유로(514)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제2밸브(517)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밸브(517)가 제3유로(514)를 개방하면, 상기 챔버(511a) 내부의 물은 상기 제3유로 및 제1공급부 급수관(35)를 통해 제1세제공급부(7)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2밸브(517)는 상기 챔버(511a)의 외부에 고정된 밸브 하우징(517a), 일단은 상기 밸브 하우징(517a)의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자유단은 상기 챔버(511a) 내부에서 왕복하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피스톤(517b), 상기 제3유로(514)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에 고정된 실러(517c), 상기 실러(517c)가 제3유로(514)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517b)을 가압하는 스프링(517e),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517e)을 이동시켜 상기 실러(517c)가 상기 제3유로(514)에서 분리되게 하는 코일(517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17e)는 밸브 하우징(517a)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517b)을 상기 제3유로(514)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37)은 일단은 상기 제4유로(51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세제공급부(8)에 연결된다. 상기 제4유로(515)에 별도의 밸브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세제공급부(8)는 상기 제1밸브(311)가 상기 제1급수관(31)을 개방할 때 항상 물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4유로(515)를 개폐하는 별도의 밸브(제3밸브)가 더 구비된다면, 상기 제2세제공급부(8)는 제1밸브 및 제3밸브가 제1급수관 및 제4유로를 개방한 때 물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제공급부(7, 세제공급부)는 드로워 커버(25)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체결홀(255, 제1체결홀)을 통해 드로워(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세제공급부(7)는 상기 체결홀(25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된 저장부(71, 제1저장부), 상기 체결홀(255)에 지지되어 상기 저장부(71)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체결홀(255)에 삽입되어 상기 저장부(71)에 고정되는 커버(74, 제1커버), 상기 저장부(71)와 상기 터브 바디(41)를 연결하는 연결관(77, 제1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1)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11, 제1저장바디)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바디(711)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저장바디(711)가 개방면으로 구비된 바디 상부면(712, 제1바디 상부면), 상기 체결홀(255)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 바닥면(713, 제1바디 바닥면), 상기 바디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바디 바닥면(713)과 함께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 측면(714, 제1바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상부면(712)은 상기 체결홀(255)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고, 상기 체결홀(255)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711) 내부를 드로워 커버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71)는 상기 저장바디(711) 내부 공간을 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S1, 제1바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공간(S2, 제1바디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715, 제1격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715)은 상기 바디 바닥면(713)에서 상기 커버(74)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은 상기 바디 바닥면(713)을 관통하는 바디 제1관통홀(713a, 제1바디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바디 바닥면(713)을 관통하는 바디 제2관통홀(713b, 제1바디 제2관통홀)을 통해 터브 바디(4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1관통홀(713a)에는 제1배출관(717, 제1바디 제1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 제2관통홀(713b)에는 제2배출관(716, 제1바디 제2배출관)이 연결된다. 상기 제1배출관(717)은 상기 바디 바닥면(713)에서 상기 바디 상부면을 향해 돌출된 관으로, 상기 제1공간(S1) 내부의 액체는 상기 제1배출관(717)을 통해 상기 바디 제1관통홀(713a)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배출관(716)에는 상기 연결관(77)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바디 제1관통홀(713a)은 상기 제1공간(S1)을 상기 제2배출관(716)에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디 제1관통홀(713a)은 상기 제1공간(S1)에서 배출되는 액체(세제와 물의 혼합액)를 상기 제2배출관(716)을 거치지 않고 상기 연결관(77)에 직접 공급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공간(S1)은 바디 측면(714)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저장부 급수구(718, 제1저장부 급수구)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는 제1공급부 급수관(35)을 통해 급수원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74, 제1커버)는 상기 체결홀(255)에 삽입되는 커버 바디(741, 제1커버 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41)는 상기 저장바디(7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바닥면(743, 제1커버 바닥면), 상기 커버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바닥면과 함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측면(744, 제1커버 측면), 상기 커버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743, 744)으로 세제를 유입시키는 세제투입구(742, 제1세제투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741)가 체결홀(255)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홀(255)에는 가이드(257, 제1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57)는 상기 체결홀(255)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공간(S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커버 측면(744)은 상기 가이드(257)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측면(744)은 상기 가이드(257)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체결홀(25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57)는 상기 체결홀(255)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체결홀(255)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255)의 중심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닥면(743)과 커버 측면(744)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연통홀(745, 제1연통홀)를 통해 제1공간(S1)에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세제투입구(742)를 통해 상기 커버 바디(741)의 저장공간(743, 744)으로 유입된 세제는 상기 연통홀(745)을 통해 제1공간(S1)으로 이동한다. 저장공간(743, 744)으로 공급된 세제가 제1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커버 바닥면(743)은 상기 연통홀(74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투입구(742)는 상기 커버 바디(74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방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 바디(74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는 저장바디(711)에 구비된 제1배출관(717)과 함께 사이펀 유도부를 형성하는 사이펀 형성관(746, 제1사이펀 형성관)이 더 구비된다. 상기 사이펀 형성관(746)은 상기 제1배출관(717)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S1) 내부의 수위가 제1배출관(717)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제1공간(S1) 내부의 액체(세제와 물의 혼합액)를 바디 제1관통홀(713a)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도 8은 상기 사이펀 형성관(746)이 상기 커버 바닥면(743)에서 상기 바디 바닥면(713)을 향해 돌출된 관(pipe)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바닥면(743)은 제1바닥면(745a), 상기 제1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펀 형성관(746)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닥면(743b), 상기 제1바닥면과 제2바닥면을 연결하고 상기 연통홀(745)이 형성되는 연결면(74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면(743a)은 연통홀(74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면(743b)는 상기 연결면(743c)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바디(711)에는 스페이서(719)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페이서(719)는 상기 사이펀 형성관(746)의 내주면과 상기 제1배출관(717)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사이펀 형성관(746)의 하단과 상기 바디 바닥면(71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구비한 제1세제공급부(7)는 사이펀 유도부가 파손된 경우(바디 제1관통홀이 막힌 경우, 사이펀 형성관이 파손된 경우 등)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4)에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공간(S1)으로 물이 공급될 경우,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세제는 물과 함께 연통홀(745) 및 세제투입구(742)를 거쳐 캐비닛(1)의 내부로 누출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세제공급부(7)는 상기 격벽(715)에 구비되어 제1공간(S1)을 제2공간(S2)과 연통시키는 공간 연통부(제1공간 연통부)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 연통부는 상기 격벽(715)의 자유단이 상기 제1배출관(717)의 자유단보다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742)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S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격벽(715)의 상단이 상기 커버(74)에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 바닥면(713)에서 상기 커버(74)를 향해 연장된 판(board)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간 연통부는 상기 격벽(7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관통홀은 상기 제1배출관(717)의 자유단보다는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742)보다는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공간 연통부(S3)가 격벽(715)에 구비되면, 상기 바디 제1관통홀(713a)을 통해 제1공간(S1) 내부의 액체가 제1공간(S1)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제1공간(S1) 내부의 액체는 제2공간(S2)으로 이동하고, 제2공간(S2)으로 이동한 액체는 바디 제2관통홀(713b) 및 제2배출관(716)을 통해 터브 바디(41)로 공급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는 사이펀 유도부가 파손되었더라도 세제를 터브 바디로 공급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세제공급부(7)는 세제가 커버 바닥면(743)을 따라 연통홀(745)로 공급됨으로써 제1공간(S1)에 저장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커버 바닥면(743)에 세제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닥면(743)에 세제가 잔류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는 상기 커버 바닥면(743)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급수구(748, 제1커버 급수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급수구(748)는 상기 커버 측면(74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커버 바닥면(743)과 커버 측면(744)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공급되는 물 중 일부는 상기 커버 급수구(748)을 통해 커버 바디(74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 바디(74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커버 바닥면(743)을 세척한 뒤 상기 연통홀(745)을 통해 제1공간(S1)으로 공급될 것이므로, 본 발명은 커버에 세제가 잔류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에 따라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수압이 높은 경우,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을 통해 상기 제1공간(S1)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높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커버(74)를 체결홀(255)에서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세제를 제1세제공급부(7)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257)의 자유단은 상기 커버 측면(744)과 격벽(715)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257)는 가이더가 상기 커버 측면(744)에 투영될 경우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체결홀(255)에서 상기 제1공간(S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세제공급부(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77)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로 세제를 공급하고, 본 발명에 구비된 드럼 바디(61) 및 터브 바디(41)는 바닥면의 직경이 높이보다 길게 각각 설정되기 때문에, 드럼 바디(61)의 회전 시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이 연결관(77)을 통해 제1세제공급부(7)로 역류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역류방지부(78) 및 제2역류방지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77)은 일단은 상기 제2배출관(716)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 바디(4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세제유입관(711, 제1세제유입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역류방지부(78)는 상기 제2배출관(716)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역류방지부(79)는 상기 세제유입관(41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역류방지부들(78, 79)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역류방지부들(78, 79)이 제2배출관(716)과 세제유입관(411)에 각각 구비되면, 상기 역류방지부들(78, 7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관(77)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조립이 훨씬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역류방지부(78, 제1저장부 제1역류방지부)는 상기 제2배출관(716)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제1연통관(781), 상기 제1연통관(781) 내부로 액체(세제와 물의 혼합액)를 유입시키는 실링부(783), 상기 제1연통관(781) 내부의 액체를 상기 연결관(77)으로 배출시키는 제1연통관 배출구(785), 상기 제1연통관(781)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볼(787), 상기 제1연통관 배출구(785)에 구비되어 상기 볼(787)이 안착되는 지지부(7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관(781)은 마주보는 양면(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통관 배출구(785)는 상기 제1연통관(781)의 개방된 일면이 될 것이다.
상기 실링부(783)는 상기 제1연통관(781)의 개방된 상부면에 결합하는 실링바디(783a), 상기 실링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기 제1연통관 유입구(78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83a)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통관(781)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787)과 상기 제1연통관(781) 내주면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유로형성부(78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61)의 회전으로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연결관(77) 및 제1연통관 배출구(785)를 통해 제1연통관(781)으로 유입되면, 상기 볼(787)은 상기 제1연통관 유입구(783b)를 폐쇄하여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제1세제공급부(7)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 제1연통관 배출구(785)를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제1연통관(781)으로 역류하지 않으면, 자중에 의해 볼(787)은 지지부(789)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볼(787)이 지지부(789)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유로형성부(788)에 의해 상기 제1연통관(781)과 상기 볼(787)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공간(S1)으로 물이 공급되면 세제는 제1배출관(717), 제1연통관 유입구(783b) 및 연결관(77)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에 공급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역류방지부(79, 제1저장부 제2역류방지부)는 상기 세제유입관(4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연통관(791), 상기 제2연통관 내부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2연통관 유입구(793), 상기 제2연통관(791)으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세제유입관(411)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통관 배출구(794), 상기 제2연통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연결관(77)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고, 상기 연결관(77) 내부의 액체가 상기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는 차단판(79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관(791) 역시 마주보는 양면(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판(796)은 축(797)을 통해 상기 제2연통관(79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통관(791)에는 상기 차단판(796)이 상기 터브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판(796)을 지지하는 스토퍼(7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만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밸브(517)가 파손된 상태(실러의 마모 등)에서 상기 제1밸브(311)가 제1급수관(31)을 개방할 때 적은 양의 물이 공급부 급수관(35)으로 유입되는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 급수관(35)으로 누수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세제저장부(7)에 저장된 세제를 원하는 시기에 터브(4)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 구비된 저장부 급수구(718)는 상기 저장바디(71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격벽(715)과 함께 상기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저장바디(7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공급되는 물이 격벽(715)의 자유단을 넘어 제1공간(S1)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는 상기 격벽(715)의 자유단보다 높고 상기 세제투입구(742)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공급되는 물이 격벽(715)의 자유단을 넘어 제1공간(S1)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은,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낮을 경우,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세제공급부(7)는 제2밸브(517)에 경미한 손상이 발생하여 적은 양의 물이 공급부 급수관(35)으로 누수되더라도 제1세제공급부(7)에 저장된 세제가 원치않는 시기에 터브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격벽(715)의 자유단은 상기 저장부 급수구(718)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바디 제2관통홀(713b)이 위치된 방향을 향할 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공간(S2)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제2세제공급부(9)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세제공급부(8)는 상술한 제1세제공급부(7)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세제공급부(8) 역시 드로워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체결홀(256, 도 1 참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커버(84), 상기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되어 상기 제2체결홀(256)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부(81),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41)로 안내하는 제2연결관(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81)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바디(81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저장바디(811)는 개방면으로 구비된 제2바디 상부면, 상기 제2체결홀(256)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바디 바닥면(813), 상기 제2바디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 바닥면(813)과 함께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바디 측면(8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81)는 상기 제2저장바디(811) 내부 공간을 세제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 제1공간(S4) 및 상기 제2저장부 제1공간과 분리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저장부 제2공간(S5)으로 구분하는 제2격벽(8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815)에는 제2공간 연통부(S6)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공간 연통부(S6)의 기능은 공간 연통부(S3, 제1공간 연통부)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저장부 제1공간(S4)은 상기 제2바디 바닥면(813)을 관통하는 제2바디 제1관통홀(813a)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부 제2공간(S5)은 상기 제2바디 바닥면(813)을 관통하는 제2바디 제2관통홀(813b)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 제1관통홀(813a)에는 제2바디 제1배출관(817)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디 제2관통홀(813b)에는 제2바디 제2배출관(816)이 연결된다. 상기 제2바디 제2배출관(816)에는 상기 제2연결관(87)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바디 제1관통홀(813a)은 상기 제2저장부 제1공간(S4)을 상기 제2바디 제2배출관(816)에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 제1공간(S4)은 제2바디 측면(814)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저장부 급수구(818)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제2저장부 급수구(818)는 제2공급부 급수관(37)를 통해 급수원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저장부 급수구(818)는 상술한 제1세제공급부의 저장부 급수구(718)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저장바디(71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격벽(815)과 함께 상기 제2저장부 제2공간(S5)을 형성하는 제2저장바디(8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부 급수구(818)는 상기 제2격벽(815)의 자유단보다 높고 상기 제2세제투입구(842)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버(84)는 상기 제2체결홀(256)에 삽입되는 제2커버 바디(8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바디(841)는 상기 제2저장바디(8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커버 바닥면(843), 상기 제2커버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커버 바닥면과 함께 제2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2커버 측면(844), 상기 제2커버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843, 844)으로 세제를 유입시키는 제2세제투입구(8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 바디(841)가 제2체결홀(256)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체결홀(256)에는 제2가이드(2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258)는 상기 제2체결홀(256)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저장부 제1공간(S4)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커버 측면(844)은 상기 제2가이드(258)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체결홀(25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258)의 형상 및 기능은 상술한 제1세제공급부(7)의 제1가이드(257)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저장공간(843, 844)은 제2연결면(843c)에 구비된 제2연통홀(845)를 통해 제2저장부 제1공간(S4)에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제2세제투입구(842)를 통해 상기 제2커버 바디(841)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세제는 상기 제2연통홀(845)을 통해 제2저장부 제1공간(S4)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커버 바닥면(843)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커버 바닥면(743)의 구조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세제공급부(8)에는 제2저장바디(811)에 구비된 제2바디 제1배출관(817)에 결합하여 사이펀 현상을 유도하는 제2사이펀 형성관(846)이 구비된다. 상기 제2사이펀 형성관(846)의 기능과 형상은 제1사이펀 형성부(746)의 기능 및 형상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세제공급부(8)에는 상기 제2커버 바닥면(843)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커버 급수구(848)가 구비되는데, 이는 제1세제공급부의 커버 급수구(748)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관(87)은 상기 제2바디 제2배출관(816)과 터브 바디에 구비된 제2세제유입관(412)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 제2배출관(816)에는 제2저장부 제1역류방지부(8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세제유입관(412)에는 제2저장부 제2역류방지부(8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 제1역류방지부(88)와 상기 제2저장부 제2역류방지부(89)는 앞서 설명한 제1역류방지부(78) 및 제2역류방지부(79)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처리장치(A)가 제2처리장치(B)의 상부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도 1에 도시된 제2처리장치와 도 11에 도시된 제2처리장치(B)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제2처리장치(B)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제1처리장치(A)의 캐비닛(1)을 지지 가능한 제2캐비닛(91),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2터브(92),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럼(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91)의 전방면에는 제2도어(913)에 의해 개폐되는 제2캐비닛 투입구(9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터브(9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터브(92)의 전방면에는 제2터브 투입구(921)가 구비된다. 누수의 방지를 위해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911)와 제2터브 투입구(921)는 가스켓(92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92)는 제2터브 지지부(923)를 통해 제2캐비닛(9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92)는 제2급수부(926)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2터브(92) 내부에 저장된 물은 제2배수부(927)를 통해 제2캐비닛(9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터브 급수관(926)은 제2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제2터브 급수관 밸브(929)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드럼(94)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에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911) 및 제2터브 투입구(921)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9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94)의 내부공간은 제2드럼 관통홀(943)를 통해 제2터브(92)의 내부공간과 연통한다. 상기 제2드럼(94)은 제2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스테이터(945), 제2로터(946), 상기 제2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과 상기 제2로터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94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947)은 상기 제2캐비닛(91)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A)가 제2처리장치(B)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경우(도 1), 상기 제1처리장치(A)은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가 제2처리장치(B)의 상부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될 경우,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A)는 상기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6), 및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1세제공급부(7) 및 제2세제공급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가 구성될 경우, 제1처리장치(A)에는 드로워(2)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는 도어(45)의 상부에 위치하는 캐비닛 투입구(13),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15)가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각 세제공급부들(7, 8)이 장착되는 제1체결홀(255) 및 제2체결홀(256)도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체결홀(255) 및 제2체결홀(256)은 캐비닛(1)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체결홀 도어(미도시) 및 제2체결홀 도어(19)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급수관(31)의 단면적이 공급부 급수관(35)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상기 제1밸브(311)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상기 제2밸브(517)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큰 경우, 상기 제1밸브(311)와 제2밸브(517)는 다음과 같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 물을 공급할 경우, 제어부는 상기 공급부 급수관(35)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밸브(517)를 먼저 제어한 뒤 상기 제1급수관(31)이 개방되도록 제1밸브(311)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급수관(31)의 단면적이 공급부 급수관(35)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제1밸브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제2밸브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클 경우, 상기 제1급수관(31)이 먼저 개방되면 제2밸브(517)에 전력을 공급해도 수압 때문에 상기 제2밸브(517)가 공급부 급수관(35)를 개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세제공급부(7)에 대한 물 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311)를 통해 상기 제1급수관(31)을 먼저 폐쇄한 뒤 제2밸브(517)가 공급부 급수관(35)을 폐쇄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패널 25: 드로워 커버 255: 제1체결홀
256: 제2체결홀 257: 제1가이드 258: 제2가이드
4: 터브 41: 터브 바디 411: 제1세제유입관
412: 제2세제유입관 43: 터브 커버 431: 터브 투입구
45: 도어 6: 드럼 7: 제1세제공급부
71: 제1저장부 711: 제1저장바디 712: 제1바디 상부면
713: 제1바디 바닥면 713a: 제1바디 제1관통홀 713b: 제1바디 제2관통홀
714 : 제1바디 측면 715: 제1격벽 717: 제1바디 제1배출관
719: 스페이서 716: 제1바디 제2배출관 718: 제1저장부 급수구
74: 제1커버 741: 제1커버바디 742: 제1세제투입구
77: 제1연결관 78: 제1역류방지부 79: 제2역류방지부
8: 제2세제공급부 81: 제2저장부 84: 제2커버
87: 제2연결관 3: 급수부 31: 제1급수관
33: 제2급수관 35: 제1공급부 급수관 37: 제2공급부 급수관
311: 제1밸브 5: 커넥터 511: 하우징
511a: 챔버 512: 제1유로 513: 제2유로
514: 제3유로 515: 제4유로 517: 제2밸브
517a: 밸브 하우징 517b: 피스톤 517c: 실러
517d: 코일 517e: 스프링

Claims (10)

  1. 전방면에 인출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및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가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
    상기 터브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드로워 커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관통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드로워 커버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노출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를 상기 터브 바디에 연결하는 연결관;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로 물을 안내하는 제2급수관;
    상기 세제공급부로 물을 안내하는 공급부 급수관;
    챔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급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2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공급부 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
    상기 제1급수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밸브;
    상기 제3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관이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세제유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 급수관은 상기 터브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 급수관은 상기 세제공급부의 측면을 통해 상기 세제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세제공급부의 바닥면에서 배출되는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 직격은 상기 터브 바디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유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액체가 상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것은 막되,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액체가 상기 터브 바디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드로워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된 세제투입구;
    상기 드로워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상기 세제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분리된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공급부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저장부 급수구;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연결관에 연통시키는 바디 제1관통홀;
    상기 바디 제1관통홀에서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제1배출관;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을 상기 연결관에 연통시키는 제2배출관;
    상기 제1배출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배출관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바디 제1관통홀로 이동시키는 사이펀 형성관;
    액체가 상기 바디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액체가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공간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드로워 커버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노출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세제공급부;
    상기 제2세제공급부로 물을 안내하는 제2공급부 급수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공급부 급수관으로 안내하는 제4유로;
    상기 제2세제공급부를 상기 터브 바디에 연결하는 제2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와 상기 제2세제공급부는 상기 드로워 커버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노출되는 영역의 좌측공간과 우측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관이 연결되는 제2세제유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164108A 2018-12-18 2018-12-18 의류처리장치 KR10199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08A KR101992198B1 (ko) 2018-12-18 2018-12-1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08A KR101992198B1 (ko) 2018-12-18 2018-12-18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21A Division KR101932471B1 (ko) 2017-07-19 2017-07-19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80A Division KR102111618B1 (ko) 2019-06-17 2019-06-1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729A true KR20190009729A (ko) 2019-01-29
KR101992198B1 KR101992198B1 (ko) 2019-06-24

Family

ID=6532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108A KR101992198B1 (ko) 2018-12-18 2018-12-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2144A (zh) * 2020-04-20 2020-07-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剂的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931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58605A (ko) * 2013-11-18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931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58605A (ko) * 2013-11-18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2144A (zh) * 2020-04-20 2020-07-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剂的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198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47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2447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88160B1 (ko) 프론트 로딩 타입 드럼 세탁기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TWI637091B (zh) 洗衣處理裝置
KR102551727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700288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70059433A (ko) 드럼 세탁기의 펌프 유닛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73188B1 (ko) 배수펌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9297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7502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72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68837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115760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61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8595B1 (ko) 의류처리장치
WO2012086343A1 (ja) 洗濯機
KR102503946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