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37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37A
KR20150068837A KR1020130154957A KR20130154957A KR20150068837A KR 20150068837 A KR20150068837 A KR 20150068837A KR 1020130154957 A KR1020130154957 A KR 1020130154957A KR 20130154957 A KR20130154957 A KR 20130154957A KR 20150068837 A KR20150068837 A KR 2015006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inlet
water
additi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526B1 (ko
Inventor
안혁진
송성호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526B1/ko
Priority to EP14197654.8A priority patent/EP2886700B1/en
Priority to US14/569,056 priority patent/US9816220B2/en
Priority to CN201410768691.XA priority patent/CN104711832B/zh
Publication of KR2015006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가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유입된 물에 기화열을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분사장치; 및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에 용해되는 첨가제를 수용하고, 첨가제와 만나는 물이 들어오는 교환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유압(fluid pressure)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교환홀을 개방하는 첨가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첨가제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fluid pressure)에 따라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첨가제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팀분사장치는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이를 분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의 스팀분사장치는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고, 용기 내에서 물이 상변화를 일으켜 스팀이 생성될때까지 가열하는 과정을 거친후, 생성된 스팀을 용기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노즐 측으로 유도하여 분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물을 가열할 경우 스팀분사장치 내부 유로상에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다. 스케일은 내부 유로에 적층되어 결국에는 유로를 막아 스팀의 분사력을 약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스케일은 스팀분사장치의 열 배출 능력을 약화시켜 스팀분사장치의 열변형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스팀발생장치에 형성되는 스케일의 양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둘째, 스팀발생장치에 물을 공급할때만 첨가제를 공급하는 것이다.
셋째, 물에 용해되는 첨가제의 양을 일정하는 유지하는 것이다.
넷째, 별도의 구동부 없이 유압만으로 스팀발생장치에 첨가제를 공급하는 것이다.
다섯째, 첨가제의 충전이 쉬운 첨가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유입된 물에 기화열을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분사장치; 및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에 용해되는 첨가제를 수용하고, 첨가제와 만나는 물이 들어오는 교환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유압(fluid pressure)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교환홀을 개방하는 첨가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스팀발생장치로 유동하는 물에 첨가제를 공급하여 스케일 발생량이 줄어든다.
둘째, 스팀발생장치를 향해 물이 유동할때만 첨가제가 공급되므로 첨가제 사용량이 감소된다.
셋째, 물과접촉하는 면적이 일정하므로 용해되는 물에 용해된 첨가제의 농도가 일정해진다.
넷째, 유압만으로 구동되므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 없어 소비전력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된다.
다섯째, 카트리지 타입으로 형성되어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팀분사장치를 포함한 의류 처리 장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스팀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스팀분사장치의 유로형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5b의 B-B를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노즐의 분사 직경에 따른 분사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를 통해 첨가제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 9는 첨가제 공급장치의 복원원리를 표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O-O 단면도이다.
도 12는 물의 유동경로를 블록도로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의류 처리 장치의류 처리 장치수용부와수용부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의류 처리 장치란, 의류가 수용된 일정한 공간 내에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수용부와 수용부 내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장치가 구비된 통상의 건조기, 급수를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능과 함께 건조기능을 구비한 건조겸용 세탁기뿐 아니라 캐비닛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주름 제거 및 항균처리를 수행하는 리프레셔(refresher)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류 처리 장치를 건조 공기를 함께 공급하는 통상의 건조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4)을 포함한다. 수용부(4)의 내주면에는 리프터(6)가 구비되어, 수용부(4)이 회전됨에 따라 의류를 퍼 올렸다가 떨어뜨린다.
케이싱은 캐비닛(30)과, 캐비닛(30)의 전방에 장착되고 중앙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32)와, 캐비닛 커버(32)의 상측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40)과, 캐비닛(30)의 후방에 장착되고 캐비닛(30) 내부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통기홀(34h)이 형성된 백 패널(34)과, 캐비닛(30)의 상부를 덮는 탑 플레이트(36)와, 캐비닛(30)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38)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32)에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8)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0)에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다이얼 등의 입력수단과,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컨트롤 패널(40)의 배면부에는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30)에는 스팀분사장치(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수용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닛(30)에 의해 드로워(71)가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로워(71) 내에 물 수용부(72)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싱 내에서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각각 프론트 서포터(10)와 리어 서포터(8)가 구비고, 수용부(4)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각각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8)에 의해 지지된다.
프론트 서포터(10)의 중앙부는 의류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50)가 형성되고, 프론트 서포터(10)의 배면에는 수용부(4)의 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전방 지지돌기(54)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10)의 하부에는 프론트 가이드 롤러(5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용부(4) 전단의 내주면은 전방 지지돌기(54)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프론트 가이드 롤러(56)에 의해 지지된다.
리어 서포터(8)의 전면에는 수용부(4)의 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후방 지지돌기(60)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리어 가이드 롤러(6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용부(4) 후단의 내주면은 후방 지지돌기(60)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리어 가이드 롤러(64)에 의해 지지된다.
수용부(4)의 하측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42)가 구비되고,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수용부(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리어 서포터(8)와 건조히터(42) 사이에 연통되게 건조덕트(14)가 구비되고, 수용부(4)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는 린트덕트(16)가 연통되게 구비된다.
건조덕트(14)에는 수용부(4) 내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44)이 형성된다. 송풍기(22)의 작동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공기가 수용부(4) 내에서 린트덕트(16), 송풍기(22) 및 배기덕트(20)를 따라 유동된다. 특히, 이러한 공기의 유동과정에서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덕트(14)를 따라 유동된 후, 통공(144)을 통해 수용부(4) 내로 토출된다.
또한, 린트덕트(16)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18)에 의해 정화되고, 린트덕트(16) 내부의 공기를 케이싱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케이싱의 후면에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배기덕트(20)와 린트덕트(16) 사이에는 송풍기(22)가 연결되고, 송풍기(22) 및 수용부(4)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와, 모터(24)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수용부(4)을 회전시키는 전동벨트(26)가 구비된다.
도 4는 스팀분사장치를 포함한 의류 처리 장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스팀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스팀분사장치의 유로형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5b의 B-B를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팀분사장치(100)는 수용부(4) 내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물을 토출구(121)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160)와, 유로형성부(16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열을 가하는 스팀생성히터(130)와, 스팀생성히터(130)의 가열작용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물 수용부(72)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와는 다르게, 유로형성부(160)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수원과 연결된 급수호스가 유입구(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구(140)와 급수호스 사이에는 급수 단속을 위한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40)는 물 공급관(74)을 통해 물 수용부(72)와 연결되고, 물 수용부(72)로부터 유로형성부(160) 측으로 물을 압송하는 펌프(73)가 구비된다.
유로형성부(160)와 노즐(17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결합된다는 것은 유로형성부(160)와 노즐(170)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을 이루는 경우는 물론이고, 유로형성부(160)와 노즐(170)이 사출성형 등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나, 유로형성부(16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노즐(170)의 위치가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종래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고 이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호스 등을 통하여 노즐까지 이송하는 구조는, 스팀이 호스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응축됨으로써 노즐을 통해 응축수가 분사되었고, 이는 피건조물을 다시 젖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로형성부(160)를 통해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유로형성부(160)와 일체로 형성된 노즐(1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로형성부(16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노즐(170)에 이르는 과정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 수용부(72)는 드로워(71)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는 드로워(71)를 인출하고 물 수용부(72)에 형성된 투입구(72a)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동성을 고려하여 소형화가 이루어진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에는 외부수원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것 보다는 물 수용부(72)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구조가 유리하다.
유로형성부(160)는 유입구(140)로부터 토출구(121)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 본체(110)와, 유로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로 본체(110)와 커버(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본체(110)에는 물 공급관(74)과 연결되는 유입구(140)가 형성되어, 유입구(140)를 통해 유로 본체(1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된다.
스팀생성히터(130)는 유로 본체(110) 내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생성히터(130)의 발열 작용에 따라 물이 가열되며 스팀이 생성된다. 스팀생성히터(130)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 상에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에 매립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스팀생성히터(130)가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스팀생성히터(130)의 절연을 위한 별도의 절연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유로 본체(110)는 스팀생성히터(130)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생성히터(1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2 개의 단자(131, 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들은 유로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로 본체(110)는 내측으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에는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151, 152)들이 돌출형성된다. 유로형성리브들(151, 152)은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유로 본체(110)의 측면부(118, 119)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은 유로 본체(110)의 우측부(1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유로 본체(110)의 좌측부(119)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유로형성리브(152)를 포함하고, 유입구(140)와 노즐(170) 사이에서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제 2 유로형성리브(152)는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제 1 유로형성리브(151)의 단부는 좌측부(119)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유로형성리브(152)는 우측부(118)와 소정의 간격 이격된다. 유입구(140)를 통해 공급된 물은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안내되며 노즐(170)을 향해 진행되는 중에 그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된다.
커버(120)는 유로 본체(110)를 덮는 것으로, 유로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유로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본체(11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누설되지 않도록 커버(120)와 유로 본체(110)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0)는 유로 본체(110)를 덮는 판체부(122)와, 판체부(112)에 형성된 토출구(121)로부터 연장되어 유로 본체(110)에서 생성된 스팀을 노즐(170)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관(123)의 단부에 노즐(170)이 결합된다.
한편, 유로 본체(110)에는 다수개의 체결부(116, 11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에는 유로 본체(1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다양한 설치 구조를 고려하여 각 체결공의 개구방향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체결부(116)에 형성된 체결공과 제 2 체결부(117)에 형성된 체결공의 개구방향이 서로 다르다.
한편,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제 2 유로형성리브(152) 사이에는 다수개의 전열돌기(155)가 바닥부(11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열돌기(155)들은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스팀생성히터(130) 발열시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가 가열되고, 유로형성리브들(151, 152)과 전열돌기(155)가 함께 가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스팀생성히터(130)로부터 전달된 열이 발열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빠른 속도로 스팀으로 상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유로 본체(110), 특히, 바닥부(113)를 열전도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및 전열돌기(155)에 의한 가열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물의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는 구조는, 물의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충분한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더구나 전열돌기(155)에 의한 가열 효과를 고려하면 노즐(170)에 도달하기까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을 일정한 곳에 모아두고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시, 본 실시예에는 이동 중인 물에 열이 가해지고, 그로인한 상변화가 거의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팀 분사에 필요한 시간을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유로형성부(16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중에 가열되기 때문에 수류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갈수록 증압이 이루어져, 노즐(170)을 통해 고압으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특히, 토출구(121)에서는 스팀에 의한 증압 뿐만 아니라, 유입구(140)에서 토출구(121)로의 물의 유동에 따른 수류압이 더해져, 노즐(170)의 분사압이 더욱 세진다.
노즐(1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토출구(121) 또는 노즐(170)의 입구에서의 온도는 대략 섭씨 70도(이하, 온도의 단위는 섭씨임.), 바람직하게는 70도 이하이고, 수용부(4) 내의 온도는 30도 내지 40도로 유지된다. 의류에 닿는 스팀의 온도가 너무 고온이면 의류의 직접적인 손상은 물론이고, 의류에 묻은 얼룩의 변성으로 인한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70)을 통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스팀의 분사가 이루어지면서도 수용부(4) 내의 온도는 30도 내지 40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노즐(170)의 분사압은 분사구의 직경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노즐(170)의 분사구 직경을 다르게 하며 측정된 분사압은, 분사구의 직경이 1.5 mm 보다 큰 경우에는 노즐(170)로부터 분사된 물이 의류를 충분한 세기로 타격하지 못하거나 의류에까지 미치지 못하였고, 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사 유량이 의류를 처리하기에 부족하였다. 또한, 분사구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스케일(scale)에 의한 분사구의 폐색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며, 따라서, 이러한 여러가지 영향을 고려하여 노즐(170) 분사구의 직경은 대략 1.5 내지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즐(170)은 분당 70 내지 120cc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로 정의되는 협소한 유로를 따라 물이 이동되고, 그 이동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물이 유입구(140)로부터 노즐(170)로 이동되는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와 하류를 구분할 시, 하류 측에 속하는 물일수록 흡열 시간이 많아 스팀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할 것이나, 이에 더불어 상류측에 속하는 물도 바닥부(113)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급속하게 스팀이 생성되고, 이와 더불어 물의 유동에 따른 유압 또한 작용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노즐(170)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스팀은 매우 고압을 유지하고, 수용부(4) 내의 의류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100)는 짧은 시간 안에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함으로써, 스팀 분사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4); 유입된 물에 기화열을 공급하여 수용부(4)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분사장치(100); 및 스팀분사장치(100)를 향해 유동하는 물에 용해되는 첨가제를 수용하고, 첨가제와 만나는 물이 들어오는 교환홀(361)이 형성되며, 스팀분사장치(100)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유압(fluid pressure)에 의해 이동하여 교환홀(361)을 개방하는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포함한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유입된 물에 기화열을 전달하여 가열한다. 물은 스팀분사장치(100) 내부에서 기화되어 스팀으로 상변화한다. 스팀은 노즐(270)을 통해 수용부(4)로 분사된다. 첨가제는 스팀분사장치(100)으로 물과 함께 유동한다.
유압은 스팀분사장치(100)을 향해 유동하는 물의 압력이다. 유압은 첨가제 공급장치(300)을 이동시킨다. 첨가제 공급장치(300)는 교환홀(361)이 형성된다. 물은 교환홀(361)을 통해 첨가제 수용공간(350s)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 공급장치(300)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311)와 스팀분사장치(100)를 향해 물이 배출되는 출구(313)가 형성된 하우징(310); 및 첨가제가 수용되고, 교환홀(361)이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입구(311)에서 출구(313)방향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35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입구(311)와 출구(313)가 형성된다. 물은 입구(311)로 유입되어 출구(313)로 배출된다. 카트리지(350)는 하우징(310) 내부에 삽입된다. 카트리지(350)는 유압에 의해 이동한다. 카트리지(350)는 교환홀(361)이 형성된다. 카트리지(350)는 첨가물을 포함한다. 첨가물은 후술할 스케일 저감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교환홀(361)로 유입된 물은 첨가물을 용해시킨다. 첨가물이 용해된 수용액은 교환홀(361)을 통해 배출된다. 수용액은 교환홀(361)을 통해 외부로 확산된다. 카트리지(350)는 하우징(3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교환홀(361)은 유압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으로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첨가제 공급장치(300)는 유압 외에 별도의 구동력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또한, 스팀분사장치(100) 내부에 스케일 발생이 감소하므로 균일한 스팀 분사가 가능해 진다. 스케일은 스팀분사장치(100) 내부의 유로를 좁게하거나 폐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팀분사장치(100)가 계속 가열되므로 열변형 또는 화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첨가제 공급장치(300)가 스케일 저감물질을 함께 배출하므로 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를 통해 첨가제 공급장치(300)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 9는 첨가제 공급장치(300)의 복원원리를 표현한 것이다. 도 12는 물의 유동경로를 블록도로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 8내지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는, 첨가제 공급장치(300)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200)를 더 포함하고, 첨가제 공급장치(300)는 급수밸브(200)가 개방되면 스케일 저감물질을 배출한다.
급수밸브(200)를 개방하면 첨가제 공급장치(300)로 물이 공급된다. 급수밸브(200)를 개방하면 첨가제 공급장치(300)에 미치는 유압이 증가한다. 하우징(310)은 카트리지(350)가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후술할 탄성부재가 배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유압이 증가하면 카트리지(350)는 출구(313) 방향으로 이동한다. 입구 형성부(321)와 입구 대향부(365)는 서로 이격된다.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유압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할 정도로 높아지면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유압이 감소하면 카트리지(350)는 입구(3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입구 형성부(321)와 입구 대향부(365)는 서로 접한다.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 교환홀(361)은 차폐된다.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유압을 극복하면 교환홀(361)은 폐쇄된다. 탄성부재는 출구(313) 대향면과 출구 형성부(3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310) 및 카트리지(350)는 카트리지(350)의 왕복운동 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압이 카트리지(350)에 미치는 중력을 극복할 정도로 높아지면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카트리지(350)에 미치는 중력이 유압을 극복하면 교환홀(361)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는, 급수밸브(200)와 스팀분사장치(100) 사이에 배치된다. 물 수용부는 펌프와 연결된다. 펌프는 급수밸브(200)로 물을 압송한다. 급수밸브(200)는 첨가제 공급장치(300)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한다. 급수밸브(200)는 첨가제 공급장치(300)에 가해지는 유압을 조절한다.
급수밸브(200)를 개방하면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구동시키고, 스팀의 분사를 개시할 수 있다. 급수밸브(200)를 폐쇄하면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정지시키고, 스팀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수밸브(200)의 조작만으로 스팀의 분사와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모두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311)와 물이 배수되는 출구(313)가 형성된 하우징(310); 및 하우징(310) 내부에 삽입되고, 첨가제가 충전되며, 물이 유입되는 교환홀(361)이 형성되고,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유압에 의해 하우징(310) 내부에서 이동되어 교환홀(361)이 개방되는 카트리지(35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입구(311)와 출구(313)가 형성된다. 물은 입구(311)로 유입되어 출구(313)로 배출된다. 카트리지(350)는 하우징(310) 내부에 삽입된다. 카트리지(350)는 유압에 의해 이동한다. 카트리지(350)는 교환홀(361)이 형성된다. 카트리지(350)는 첨가물을 포함한다. 첨가물은 후술할 스케일 저감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교환홀(361)로 유입된 물은 첨가물을 용해시킨다. 첨가물이 용해된 수용액은 교환홀(361)을 통해 배출된다. 수용액은 교환홀(361)을 통해 외부로 확산된다. 카트리지(350)는 하우징(3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교환홀(361)은 유압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력 없이 유압만으로 첨가제 공급장치(300)를 가동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이 줄어든다.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를 통해 첨가제 공급장치(300)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350)는, 입구(311)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입구 대향부(365)와 출구(313)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출구 대향부(375)와 입구 대향부(365)와 출구 대향부(375)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카트리지부(367)로 형성되고, 하우징(310)은, 입구 대향부(365)를 향해 배치되고 입구(311)가 형성된 입구 형성부(321)와 출구 대향부(375)를 향해 배치되고 출구(313)가 형성된 출구 형성부(331)와 입구 형성부(321)와 출구 형성부(33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하우징부(323)로 형성된다.
입구 대향부(365)는 입구(311)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출구 대향부(375)는 출구(313) 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출구 대향부(375)와 부?친다. 입구 대향부(365)와 출구 대향부(375) 사이에는 중간 카트리지부(367)가 형성된다. 중간 카트리지부(367)는 원통형일 수 있다.
입구 형성부(321)는 입구 대향부(365)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입구 대향부(365)는 이동하여 입구 형성부(321)와 서로 접할 수 있다. 입구 대향부(365)와 입구 형성부(321)가 서로 접하면 교환홀(361)은 차폐된다. 입구 대향부(365)와 입구 형성부(321)가 서로 이격되면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입구 형성부(321)와 출구 형성부(331) 사이에는 중간 하우징부(323)가 배치된다. 중간 하우징부(323)의 개략적인 형상은 중간 카트리지부(367)와 동일할 수 있으나 크기는 서로 다르다. 카트리지(350) 내부에는 첨가제 수용공간(350s)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환홀(361)은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다. 교환홀(361)은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다. 출구 대향부(375)는 입구(311)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교환홀(361)은 입구 형성부(321)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교환홀(361)로 유입될 수 있다. 교환홀(361)로 유입된 물은 첨가제와 희석될 수 있다. 첨가제와 희석된 수용액은 교환홀(361)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구 대향부(365)에는 카트리지(3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된다. 공기 유동홀(363)은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다. 입구 대향부(365)는 입구(311)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동홀(363)은 입구 형성부(321)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동홀(363)은 교환홀(361)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유동홀(363)은 카트리지(350) 내부에서 발생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유동홀(363)에서 배출된 수용액 또는 공기는 물과 함께 출구(313)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간 카트리지부(367)와 중간 하우징부(323) 사이에는 물이 유동하는 중간유로(340)가 형성된다. 중간 카트리지부(367)와 중간 하우징부(323)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한다. 중간 유로를 유동하는 물은 첨가제 수용액과 혼합된 물이다. 중간유로(340)에서 배출된 물은 출구(313)로 향한다. 중간 하우징(310)의 내경은 중간 카트리지(350)의 외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310)은, 카트리지(350)가 입구(311)와 출구(313) 사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카트리지(350)가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후술할 탄성부재가 배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도 9는 첨가제 공급장치(300)의 복원원리를 표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350)를 하우징(310)의 내벽과 접하도록 밀어 교환홀(361)을 차폐하고, 유압에 의해 밀려 교환홀(361)을 개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유압이 증가하면 카트리지(350)는 출구(313) 방향으로 이동한다. 입구 형성부(321)와 입구 대향부(365)는 서로 이격된다.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유압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할 정도로 높아지면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유압이 감소하면 카트리지(350)는 입구(3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입구 형성부(321)와 입구 대향부(365)는 서로 접한다. 입구 대향부(365)에 형성된 교환홀(361)은 차폐된다.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유압을 극복하면 교환홀(361)은 폐쇄된다. 탄성부재는 출구(313) 대향면과 출구 형성부(3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는 도 10의 O-O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350)는 유압이 증가하면 상측으로 이동되어 교환홀(361)이 개방되고, 유압이 감소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교환홀(361)이 폐쇄된다.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310) 및 카트리지(350)는 카트리지(350)의 왕복운동 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압이 카트리지(350)에 미치는 중력을 극복할 정도로 높아지면 교환홀(361)은 개방된다. 카트리지(350)에 미치는 중력이 유압을 극복하면 교환홀(361)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310)은, 입구(311)가 형성되고 카트리지(350)가 수용되는 하우징(310) 본체; 및 출구(313)가 형성되고 하우징(310) 본체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하우징(310) 캡을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320)는 입구 형성부(321)와 중간 하우징부(323)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캡(330)은 출구 형성부(331)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320)와 하우징 캡(330)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320)와 하우징 캡(330)은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320)와 하우징 캡(330)에는 실링부재(380)가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380)는 오링일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우징 캡(330)과 하우징 본체(320)를 포함하므로 카트리지(350)의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350)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교환홀(361)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360); 및 카트리지 본체(360)를 덮는 카트리지 캡(370)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360)는 입구 대향부(365)와 중간 카트리지부(367)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360)의 내부에는 첨가제가 충전된다. 첨가제는 교환홀(361)을 통해 유입된 물에 용해된다. 교환홀(361)은 입구(311) 방향에 형성된다. 카트리지 캡(370)은 출구(313)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다. 카트리지 캡(370)은 출구(313) 대향면을 포함한다. 카트리지(350)는 카트리지 본체(360)와 카트리지 캡(370)을 포함하므로 첨가제의 충전이 용이하다.
첨가제는 수중의 용해 물질을 제거한다. 첨가제는 수중에 포함된 칼슘염, 마그네슘염을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 첨가제는 수중에 포함된 경도성분을 제거하여 연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첨가제는 스케일 저감물질이다. 카트리지는 첨가제 수용공간(360s)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350)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되고, 공기유동홀은 교환홀(36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카트리지(350)에는 공기 유동홀(363)이 형성된다. 카트리지(350) 내부의 공기는 공기 유동홀(363)을 통해 카트리지(350)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는 카트리지(350) 내부에서 상승한다. 공기 유동홀(363)은 교환홀(361)보다 높은 곳에 형성된다. 교환홀(361)과 공기 유동홀(363)은 위치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교환홀(361)과 공기 유동홀(363)이 서로 위치를 교환하면 기능도 서로 바뀐다. 바람직하게는, 확산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교환홀(361)과 공기 유동홀(363)의 위치는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간 카트리지부(367)와 중간 하우징부(3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카트리지(350)의 회전을 억제하는 가이드 레일(325)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25)이 중간 카트리지(350)에 형성되면, 가이드홈은 중간 하우징부(323)에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25)이 중간 하우징부(323)에 형성되면 가이드홈은 중간 카트리지(350)에 형성된다. 카트리지(350)는 가이드 레일(325)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25)은 입구(311)와 출구(313)를 연장한 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압이 증가하면 카트리지(350)는 가이드 레일(325)을 따라 출구(313)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압이 감소하면 카트리지(350)는 가이드 레일(325)을 따라 입구(311)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325)은 카트리지(350)의 회전을 방지한다. 교환홀(361)과 공기배출홀은 크기가 서로 다르거나 위치가 사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325)은 첨가제의 용해 정도 및 수용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의류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유입된 물에 기화열을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로 분사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분사장치; 및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에 용해되는 첨가제를 수용하고, 첨가제와 만나는 물이 들어오는 교환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유압(fluid pressure)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교환홀을 개방하는 첨가제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공급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스팀분사장치를 향해 물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첨가제가 수용되고, 상기 교환홀이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방향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입구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입구 대향부와 상기 출구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출구 대향부와 상기 입구 대향부와 상기 출구 대향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카트리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 대향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입구가 형성된 입구 형성부와 상기 출구 대향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된 출구 형성부와 상기 입구 형성부와 상기 출구 형성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하우징부로 형성된 첨가제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홀은 상기 입구 대향부에 형성되는 첨가제 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대향부에는 상기 카트리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첨가제 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카트리지부와 상기 중간 하우징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하는 중간유로가 형성된 첨가제 공급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카트리지부와 상기 중간 하우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을 억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첨가제 공급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홀은 상기 교환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첨가제 공급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하도록 밀어 상기 교환홀을 차폐하고, 유압에 의해 밀려 상기 교환홀을 개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첨가제 공급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유압이 증가하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교환홀이 개방되고, 유압이 감소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교환홀이 폐쇄되는 첨가제 공급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 및
    상기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첨가제 공급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교환홀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덮는 카트리지 캡을 포함하는 첨가제 공급장치.
    의류 처리 장치급수밸브(200)급수밸브(200)의류 처리 장치급수밸브(200)의류 처리 장치
KR1020130154957A 2013-12-12 2013-12-12 의류 처리 장치. KR10211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57A KR102110526B1 (ko) 2013-12-12 2013-12-12 의류 처리 장치.
EP14197654.8A EP2886700B1 (en) 2013-12-12 2014-12-12 Fabric treatment apparatus
US14/569,056 US9816220B2 (en) 2013-12-12 2014-12-12 Fabric treatment apparatus
CN201410768691.XA CN104711832B (zh) 2013-12-12 2014-12-12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57A KR102110526B1 (ko) 2013-12-12 2013-12-12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37A true KR20150068837A (ko) 2015-06-22
KR102110526B1 KR102110526B1 (ko) 2020-05-13

Family

ID=5227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57A KR102110526B1 (ko) 2013-12-12 2013-12-12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16220B2 (ko)
EP (1) EP2886700B1 (ko)
KR (1) KR102110526B1 (ko)
CN (1) CN104711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453B (zh) * 2015-10-22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冷凝水盒和具有其的干衣机
US11293131B2 (en) 2018-03-30 2022-04-05 Midea Group Co., Ltd. Appliance with hand held steam accessory
CN113439137A (zh) * 2019-01-17 2021-09-24 捷普有限公司 用于模块化制造的装置、系统和方法
CN115110287B (zh) * 2021-03-19 2023-11-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物护理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143Y1 (ko) * 1999-12-02 2000-05-15 김동주 세제 자동 공급장치
KR20060103002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500A1 (en) 2005-03-25 2008-1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20060124982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투입 구조
WO2008016262A2 (en) * 2006-08-02 2008-02-0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7665332B2 (en) *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841219B2 (en) *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895770B2 (en) 2006-12-15 2011-03-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0921461B1 (ko) * 2007-11-02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EP2055824B1 (en) * 2007-11-02 2014-07-30 LG Electronics Inc. Dryer
US20100000112A1 (en) 2008-07-02 2010-01-07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dryer dosing sensing
IT1391186B1 (it) * 2008-08-01 2011-11-18 Eltek Spa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una macchina di lavaggio
CN201258407Y (zh) * 2008-08-15 2009-06-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波纹管的洗衣机洗涤剂投放装置
KR101970247B1 (ko) 2012-09-04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143Y1 (ko) * 1999-12-02 2000-05-15 김동주 세제 자동 공급장치
KR20060103002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6700B1 (en) 2017-08-30
EP2886700A1 (en) 2015-06-24
US9816220B2 (en) 2017-11-14
CN104711832B (zh) 2017-04-12
CN104711832A (zh) 2015-06-17
US20150167229A1 (en) 2015-06-18
KR102110526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400B1 (ko) 스팀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101959308B1 (ko) 세탁물 처리방법
KR101932471B1 (ko) 의류처리장치
JP6378429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50068837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921460B1 (ko) 건조기
KR20060124225A (ko) 세탁 장치
KR10170831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EP2860298B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EP2860299A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KR20070015286A (ko) 세탁기의 증기 역류 방지 장치
EP2860297A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46270B1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EP2860300B1 (en) Washing machine
EP2832911B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EP2832914B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CN219951483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15366447U (zh) 一种衣物处理装置
EP2832915B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832913B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KR20080002476A (ko)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90075024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12835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