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78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78B1
KR102124478B1 KR1020130129762A KR20130129762A KR102124478B1 KR 102124478 B1 KR102124478 B1 KR 102124478B1 KR 1020130129762 A KR1020130129762 A KR 1020130129762A KR 20130129762 A KR20130129762 A KR 20130129762A KR 102124478 B1 KR102124478 B1 KR 10212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hole
storage
liquid deterg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338A (ko
Inventor
정성운
배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78B1/ko
Priority to US14/526,776 priority patent/US9879370B2/en
Priority to EP14191116.4A priority patent/EP2868797B1/en
Priority to CN201410598281.5A priority patent/CN104594000B/zh
Publication of KR2015004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저장부 및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가 구비된 저장바디,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유로바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급수유로로 공급하는 액상세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 중 특히 세탁기는 세탁을 위하여 세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세탁기에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종래 세제공급장치는 종류가 서로 다른 다수의 세제를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세제저장공간을 구비하고, 각 세제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제를 세탁대상물이 저장된 터브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유로를 구비하였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세제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세탁대상물의 세탁이 필요할 때마다 세제공급장치에 일정량의 세제를 투입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세제공급장치는 세제저장공간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세제공급유로가 필요한 구조였다. 세제저장공간과 세제공급유로의 수는 세제공급장치가 저장 가능한 세제의 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증가하고, 세제저장공간과 세제공급유로의 수가 증가되면 세제공급장치의 부피가 증가되고 세제공급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세제공급장치는 외부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이 세제저장공간으로 유입될 때 세제가 물과 함께 터브로 공급하는 방식이었다. 즉, 저장된 세제는 세제저장공간 내부에서 물과 희석된 뒤 터브로 이동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종래 세제공급장치는 세제저장공간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장기간 보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정량의 세제를 세탁대상물에 공급 가능한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세제가 공통의 유로를 통해 세탁대상물에 공급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저장부 및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가 구비된 저장바디;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유로바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급수유로로 공급하는 액상세제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유로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커버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에 연통하는 바디관통홀이 구비된 밸브바디; 상기 제2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액상세제를 상기 바디관통홀로 안내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바디관통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관통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밸브바디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리브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은 항상 개방하되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상기 바디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수의 공급과 액상세제의 공급이 교번적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급수부와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유로에 세탁수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유로에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급수유로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결관 및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제1저장부 내부의 세제를 상기 지지바디로 배출시키는 배출홀, 상기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세제를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하는 착탈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에 연통하는 바디관통홀이 구비된 밸브바디,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지지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액상세제를 상기 바디관통홀로 안내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관통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밸브바디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리브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은 항상 개방하되 세탁수가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면 상기 바디관통홀을 폐쇄시키는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저장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저장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저장바디 커버; 상기 저장바디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리드(l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장기간 보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 일정량의 세제를 세탁대상물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세제가 공통의 유로를 통해 세탁대상물에 공급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에 세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제공급장치에 구비된 지지바디와 저장바디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세제공급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세제공급장치에 구비된 액상세제 공급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액상세제 공급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세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세제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D)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수용부(2, 3)에 저장된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1)가 구비되며, 투입구(11)는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의류수용부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21)를 포함하며, 터브지지부(25)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터브투입구(21)와 투입구(11) 사이에는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3)이 구비된다.
드럼(3)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터브(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드럼(3)은 터브투입구(21)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31), 드럼(3) 내부를 터브(2)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드럼(3)은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모터(35)에 의해 회전하는데, 모터(35)는 터브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51),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53), 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353)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부는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171), 배수관(171)에 구비되는 배수펌프(173)로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는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을 세제공급장치(D)에 공급하는 급수관(151), 상기 급수관(1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15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장치(D)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지지바디(5), 세제가 저장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가 구비되며 지지바디(5)에 의해 지지되는 저장바디(6), 급수관(151)이 공급하는 물을 어느 하나의 저장부에 공급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 유로바디(7), 나머지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급수유로로 공급하는 액상세제 공급부(9)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세제공급장치(D)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인 동시에 세제를 터브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세제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될 필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는 유로를 통해 나머지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디(5)는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바디(5)의 바닥면에는 배출홀(51)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51)은 터브공급관(53)을 통해 터브(2)에 연결된다.
저장바디(6)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저장바디(6)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가 구비된다.
저장바디(6)는 지지바디(5)의 개방된 전방면을 통해 지지바디(5)에 삽입되며, 지지바디(5)에 삽입된 저장바디(6)는 캐비닛(1)에 구비된 캐비닛 관통홀(19)을 통해 지지바디(5)에서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디(5)에 구비되는 제1저장부는 제1세제 저장부(61, 분말세제 저장부)와 제2세제 저장부(62, 섬유유연제 저장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세제 저장부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저장부는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와 액상세제 제2저장부(64)로 구비될 수도 있고, 액상세제 제1저장부(63)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61, 62)와 제2저장부(63, 64)는 저장바디(6)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격벽(65)에 의해 서로 구분되고, 제1세제 저장부(61)와 제2세제 저장부(62)는 제1격벽(65)에서 저장바디(6)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격벽(66)에 의해 서로 구분되며,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와 액상세제 제2저장부(64)는 제1격벽(65)에서 저장바디(6)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3격벽(67)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저장바디(6)가 상술한 구조로 구비될 경우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장치(D)는 서로 다른 4종류의 세제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서로 다른 4종류의 세제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
제1세제 저장부(61)는 제1배출부(611)를 통해 지지바디(5)에 연통하고, 제2세제 저장부(62)는 제2배출부(621)을 통해 지지바디(5)에 연통한다.
따라서, 제1세제 저장부(61)에 저장된 세제는 제1배출부(611)를 통해 지지바디(5)로 이동하고, 지지바디(5)로 이동한 세제는 배출홀(51) 및 터브공급관(53)을 통해 터브(2)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세제 저장부(62)에 저장된 세제는 제2배출부(621), 배출홀(51) 및 터브공급관(53)을 통해 터브(2)로 이동할 수 있는데, 제2배출부(621)는 사이펀(siphon) 현상을 통해 지지바디(5)로 세제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배출부(621)는 제2세제 저장부(62) 상부면에 고정되는 배출바디(6211), 제2세제 저장부(62)의 바닥면에서 배출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배출관(6215), 상기 배출관(6215)의 외주면이 수용되도록 배출바디(6211)에서 배출관(6215)을 향해 연장되는 수용관(6213, 배출관의 외주면과 수용관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바디(6211)에 구비된 유입구(6217)를 통해 물이 제2세제 저장부(62)로 공급되면, 제2세제 저장부(62)에 저장된 세제와 물은 제2세제 저장부(62) 내부의 수위가 배출관(6215)의 높이가 될 때까지는 지지바디(5)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세제 저장부(62) 내부의 수위가 배출관(6215)의 높이 이상이 되면, 제2세제 저장부(62) 내부의 모든 세제와 물은 사이펀 현상에 의해 지지바디(5)로 이동할 것이다(세제가 제2세제 저장부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함).
한편, 액상세제 제1저장부(63)는 제1착탈관(631)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액상세제 제2저장부(64)는 제2착탈관(641)을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저장바디(6)는 지지바디(5)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지지바디(5)에는 저장바디(6)의 위치에 따라 제1착탈관(631)과 제2착탈관(641)에 착탈되는 연결관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은 지지바디(5)에 저장바디(6)가 삽입된 경우 제1착탈관(631)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55), 지지바디(5)에 저장바디(6)가 삽입된 경우 제2착탈관(641)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5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에 저장된 세제는 제1착탈관(631)과 제1연결관(55)을 통해 지지바디(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액상세제 제2저장부(64)에 저장된 세제는 제2착탈관(641)과 제2연결관(57)을 통해 지지바디(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저장바디(6)에는 제2저장부(63, 64)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저장바디 커버(6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 커버(68)에는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와 액상세제 제2저장부(64)에 연통하는 두 개의 주입구(685)가 구비되며, 각 주입구(685)는 제1리드(681)와 제2리드(683)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바디(6)가 캐비닛 관통홀(19)을 통해 지지바디(5)에서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되면, 제1저장부(61, 62)의 상부면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나 제2저장부(63, 64)의 상부면은 저장바디 커버(68)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바디(6)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시킨 뒤 제1저장부(61, 62)에 원하는 분말세제나 섬유유연제 등을 공급할 수 있고, 제1리드(681)와 제2리드(683)를 통해 원하는 제2저장부(63, 64)에 액상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디(5)의 개방된 상부면에는 유로바디(7)가 고정되며, 저장바디(6)는 지지바디(5)와 유로바디(7)가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유로바디(7)에는 급수관(151)이 공급하는 물을 제1저장부(61, 62)로 안내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된다.
제1저장부(61, 62)가 제1세제 저장부(61) 및 제2세제 저장부(62)로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유로는 제1세제 저장부(61)로 물을 안내하는 제1유로(77), 제2세제 저장부(62)로 물을 안내하는 제2유로(79)로 구비된다.
제1유로(77)와 제2유로(79) 각각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구비된 급수관(151)은 제1유로(77)에 연결되는 제1급수관(미도시), 제2유로(79)에 연결되는 제2급수관(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급수관(미도시)은 제1급수관 연결부(71)와 급수밸브(15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제2급수관(미도시)은 제2급수관 연결부(73)와 급수밸브(15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은 급수밸브(153)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급수밸브(153)는 two way 밸브로 구비될 수 있음).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온수를 터브(2)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급수부는 온수가 공급되는 급수원에 연결된 온수 급수밸브(미도시), 온수 급수밸브와 제3급수관 연결부(75)를 연결하는 제3급수관(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급수관 연결부(75)는 제1유로(77)와 제2유로(79)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1유로(77)와 제2유로(79)는 유로바디(7)의 상부면에 구비되는데, 제1유로(77)는 제1급수관 연결부(71)에서 제1세제 저장부(61)를 향해 구비되고, 제2유로(79)는 제2급수관 연결부(73)에서 제2세제 저장부(62)를 향해 구비된다.
즉, 제1유로(77)의 일단에는 제1급수관 연결부(71) 및 제3급수관 연결부(75)가 구비되고, 제1유로(77)의 타단에는 제1세제 저장부(61)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771)이 구비된다. 상기 홀(771)은 유로바디(7)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제1유로(77)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제1세제 저장부(61)로 공급된다.
한편, 제1유로(77)에 구비되는 홀(771)은 제1세제 저장부(61)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유로바디(7)의 영역 내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로(77)를 통해 이동하는 물이 제1세제 저장부(61)의 전 영역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제가 제1세제 저장부(61) 내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홀(771)은 제1세제 저장부(61)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홀(hole)로 구비되는 제1공급부, 제1공급부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구비되는 제2공급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79)의 일단에는 제2급수관 연결부(73)가 구비되고, 제2유로(79)의 타단에는 제2세제 저장부(62)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791)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2유로(79)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제2배출부(621)의 유입구(6217)를 통해 제2세제 저장부(62)로 공급된다.
한편, 유로바디(7)의 상부에는 제1유로(77)와 제2유로(79)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8)가 구비되며, 커버(8)에는 제2저장부(63, 64)에 저장된 세제를 급수유로(77, 79)로 이동시키는 액상세제 공급부(9)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에는 커버 관통홀(81)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 관통홀(81)은 제1유로(77)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유로(79)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제1유로(77)의 상부에 커버 관통홀(81)이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커버 관통홀(81)의 원주면에는 커버(8)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83)가 구비되며, 플랜지(83) 내부에는 커버(8)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85, 87)가 구비된다.
리브는 커버 관통홀(81)의 지름방향을 따라 커버 관통홀(81)의 원주면에서 플랜지(83)를 향해 연장되는 제1리브(85), 제1리브(85)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리브(8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세제 공급부(9)는 플랜지(83)에 고정되는 밸브바디(91), 지지바디(5)에 고정되어 각 액상세제 저장부(63, 64)에 연통하는 펌프(98, 99), 펌프와 밸브바디(91)를 연결하는 공급관(95, 9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저장부가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와 액상세제 제2저장부(64)로 구비될 경우, 펌프는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에 저장된 세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펌프(98) 및 액상세제 제2저장부(64)에 저장된 세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펌프(99)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관은 제1펌프(98)와 밸브바디(91)를 연결하는 제1공급관(95) 및 제2펌프(99)와 밸브바디(91)를 연결하는 제2공급관(9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펌프(98)는 제1연결관(55)에 삽입되는 펌프유입구(981) 및 제1공급관(95)이 연결되는 펌프배출구(983)를 포함하고, 제2펌프(99)는 제2연결관(57)에 삽입되는 펌프유입구(991) 및 제2공급관(97)이 연결되는 펌프배출구(99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91)는 플랜지(83)의 개방된 상부면에 고정되는데, 밸브바디(91)에는 플랜지(83)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911)이 구비된다.
바디관통홀(911)은 제1관(913) 및 제2관(915)에 연결되는데, 제1관(913)에는 제1공급관(95)이 연결되고, 제2관(915)에는 제2공급관(97)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펌프(98)를 통해 액상세제 제1저장부(63)에서 배출된 세제는 제1공급관(95), 제1관(913), 바디관통홀(911)을 통해 제1유로(77)로 공급되고, 제2펌프(99)를 통해 액상세제 제2저장부(64)에서 배출된 세제는 제2공급관(97), 제2관(915), 바디관통홀(911)을 통해 제1유로(77)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구비한 세제공급장치(D)는 제1유로(77)로 물이 공급되면 제1유로(77) 내부의 물이 바디관통홀(911)로 역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상세제 공급부(9)에는 바디관통홀(91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밸브(93)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밸브(93)는 플랜지(83) 내부에 구비되되 리브(85, 87)에 의해 커버 관통홀(81)과 소정거리 이격된 볼(ball)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로(77)를 따라 공급되는 물이 커버 관통홀(81)을 통해 플랜지(83)로 유입되면 볼은 바디관통홀(911)을 폐쇄하게 되므로 제1유로(77) 내부의 물이 바디관통홀(91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볼은 리브(85, 87)에 의해 커버 관통홀(81)과 소정거리 이격되므로 항상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펌프(98, 99)를 통해 바디관통홀(911)로 공급되는 액상세제는 제1리브(85)와 제2리브(87) 사이에 형성된 공간, 커버 관통홀(81)을 통해 제1유로(77)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유로(77)를 통한 물공급과 펌프(98, 99)를 통한 액상세제의 공급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제1유로(77)를 통한 물공급과 펌프(98, 99)를 통한 액상세제의 공급은 교번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제1유로(77)를 따라 물이 공급되는 동안 액상세제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펌프(98) 및 제2펌프(99)가 공급하는 액상세제의 압력이 제1유로(77) 내부의 압력보다 커야 할 것이다.
한편, 제1유로(77)를 통한 물의 공급과 펌프(98, 99)를 통한 액상세제의 공급이 교번적으로 진행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밸브(153)를 제어하여 제1유로(77)에 물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시키는 한편 제1유로(77)로 물이 공급되지 않을 때 펌프(98, 99)를 작동시켜 액상세제를 제1유로(77)에 공급하게 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본 발명은 제2저장부(63, 64)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제1저장부(61, 62)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유로(77, 79)를 활용하여 터브(2)에 공급하므로 유로바디(7) 및 저장바디(6)에 제2저장부(63, 64)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에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로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또한, 각 유로(77, 79)에 공급된 액상세제는 각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과 함께 터브(2)로 이동하므로 본 발명은 액상세제가 각 유로(77, 79) 내에서 응고되어 유로를 막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D: 세제공급장치 5:지지바디 51: 배출홀
53: 터브공급관 55: 제1연결관 57: 제2연결관
6: 저장바디 61: 제1세제 저장부 611: 제1배출부
62: 제2세제 저장부 621: 제2배출부 63: 액상세제 제1저장부
631: 제1착탈관 64: 액상세제 제2저장부 641: 제2착탈관
65: 제1격벽 66: 제2격벽 67: 제3격벽
68: 저장바디 커버 681: 제1리드 683: 제2리드
685: 주입구 7: 유로바디 71: 제1급수관 연결부
73: 제2급수관 연결부 75: 제3급수관 연결부 77: 제1유로
79: 제2유로 8: 커버 81: 커버 관통홀
83: 플랜지 85: 제1리브 87: 제2리브
9: 액상세제 공급부 91: 밸브바디 911: 바디관통홀
913: 제1관 915: 제2관 93: 밸브
95: 제1공급관 97: 제2공급관 98:제1펌프
99: 제2펌프 991: 펌프유입구 993: 펌프배출구

Claims (1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부; 및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저장부 및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저장바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세탁수를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바디;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급수유로로 공급하는 액상세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세제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제1저장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유로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커버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에 연통하는 바디관통홀이 구비된 밸브바디;
    상기 제2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제2저장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액상세제를 상기 바디관통홀로 안내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바디관통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관통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밸브바디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리브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은 항상 개방하되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상기 바디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세탁수의 공급과 액상세제의 공급이 교번적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급수부와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유로에 세탁수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유로에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급수유로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결관 및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제1저장부 내부의 세제를 상기 지지바디로 배출시키는 배출홀, 상기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세제를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하는 착탈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에 연통하는 바디관통홀이 구비된 밸브바디,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지지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액상세제를 상기 바디관통홀로 안내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관통홀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밸브바디가 고정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상세제 공급부는 상기 리브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은 항상 개방하되 세탁수가 상기 커버관통홀로 유입되면 상기 바디관통홀을 폐쇄시키는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저장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저장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저장바디 커버;
    상기 저장바디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리드(l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129762A 2013-10-30 2013-10-30 의류처리장치 KR10212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62A KR102124478B1 (ko) 2013-10-30 2013-10-30 의류처리장치
US14/526,776 US9879370B2 (en) 2013-10-30 2014-10-29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4191116.4A EP2868797B1 (en) 2013-10-30 2014-10-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410598281.5A CN104594000B (zh) 2013-10-30 2014-10-30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62A KR102124478B1 (ko) 2013-10-30 2013-10-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38A KR20150049338A (ko) 2015-05-08
KR102124478B1 true KR102124478B1 (ko) 2020-06-19

Family

ID=5184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762A KR102124478B1 (ko) 2013-10-30 2013-10-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9370B2 (ko)
EP (1) EP2868797B1 (ko)
KR (1) KR102124478B1 (ko)
CN (1) CN104594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8230B (zh) * 2014-03-04 2018-04-24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CN106592165B (zh) * 2015-10-16 2020-09-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102512289B1 (ko) * 2016-05-30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574627B (zh) * 2016-07-04 2020-11-06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涤剂添加装置和洗衣机
CN106436190B (zh) * 2016-08-31 2020-02-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自动投放系统和具有其的洗衣机
CN106400406B (zh) * 2016-08-31 2019-08-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自动投放系统和具有其的洗衣机
SG11201811583TA (en) * 2016-12-27 2019-01-30 Panasonic Ip Man Co Ltd Washing machine
CN106637835B (zh) * 2017-02-20 2019-08-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投放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US10584438B2 (en) * 2017-04-13 2020-03-1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dispenser having multiple lids
KR101929783B1 (ko) * 2017-07-19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518429A (zh) * 2017-09-19 2019-03-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贮水盒结构及洗衣机
KR102565746B1 (ko) * 2018-08-10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세탁기
EP3617379B1 (en) 2018-08-30 2021-08-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omprising an improved drawer
CN111411485A (zh) * 2019-01-07 2020-07-14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洗衣机
JP2021087611A (ja) * 2019-12-04 2021-06-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20210093690A (ko) * 2020-01-20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49950A1 (en) * 2020-01-20 2021-07-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93689A (ko) * 2020-01-20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4285A (ko) * 2020-01-21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6898A (ko) * 2020-10-08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4541100A (zh) * 2020-11-27 2022-05-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添加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20230059504A (ko) * 2021-10-26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0578A1 (en) * 2008-07-01 2010-01-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US20100186461A1 (en) * 2007-06-20 2010-07-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ically controlle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36154A (zh) 2003-04-11 2004-10-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
KR101252168B1 (ko)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200971438Y (zh) 2006-10-16 2007-11-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洗涤盒
KR101302125B1 (ko) * 2007-03-20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636076B1 (ko) * 2009-07-08 2016-07-0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액체세제 공급장치
EP2554738B1 (en) 2011-08-01 2018-04-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461A1 (en) * 2007-06-20 2010-07-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ically controlled washing machine
US20100000578A1 (en) * 2008-07-01 2010-01-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9370B2 (en) 2018-01-30
CN104594000B (zh) 2017-04-12
KR20150049338A (ko) 2015-05-08
CN104594000A (zh) 2015-05-06
EP2868797B1 (en) 2017-01-11
EP2868797A1 (en) 2015-05-06
US20150114047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7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1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21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3247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51727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58605A (ko) 세탁기
KR201700288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73188B1 (ko) 배수펌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15286A (ko) 세탁기의 증기 역류 방지 장치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RU2672030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EP343164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siphon
KR10211161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8595B1 (ko) 의류처리장치
WO2012086343A1 (ja) 洗濯機
KR1023185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1392B1 (ko) 통합 세제케이스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