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76B1 - 액체세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세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76B1
KR101636076B1 KR1020090062340A KR20090062340A KR101636076B1 KR 101636076 B1 KR101636076 B1 KR 101636076B1 KR 1020090062340 A KR1020090062340 A KR 1020090062340A KR 20090062340 A KR20090062340 A KR 20090062340A KR 101636076 B1 KR101636076 B1 KR 10163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liquid detergent
deterg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746A (ko
Inventor
윤형태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액체세제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는 노즐부; 및 세제공급부와 노즐부 사이에 구비되어 노즐부의 제1위치 이동시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으며, 노즐부의 제2위치 이동시 노즐부에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펌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세탁시에 사용자가 일일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62340
세탁기, 액체세제, 급수

Description

액체세제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본 발명은 액체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액체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기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세탁, 헹굼, 탈수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의 형태에 따라 세탁조가 세워져 있는 탑로딩(Top-loading) 방식 세탁기와 세탁조가 누워있는 드럼(Drum) 방식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드럼 세탁기는 탑로딩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고 포 꼬임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드럼 방식의 세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는 본체(1) 내에 스프링(6)과 댐퍼(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터브(2)와, 터브(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과, 드럼(3)에 축 연결된 구동부(4)를 포함한다. 구동부(4)는 로터(미도시)와 스테이터(미도시)로 구성되며, 로터의 구동력을 드럼(3)에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축이 로터에 연결된다.
드럼(3)의 상부에는, 급수관로(10)에 연결되는 세제통(8)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제통(8)의 내부에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제통 서랍(9)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1)의 전면에는 도어(5)가 드럼(3)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세탁을 수행하기 전 세제통 서랍(9)에 분말로 된 세제와 표백제 및 섬유유연제 등을 투입한 후,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해 세탁물의 종류나 세탁시간 등을 설정하여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세탁에서 헹굼 및 탈수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세탁수에 희석이 잘 되며 유화작용이 뛰어난 액체세제가 널 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세제를 세탁기에 투입하고자 할 경우, 드럼세탁기의 특성상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도어(5)를 개방하여 세제를 투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탁수가 공급되기 전 세탁물에 직접 투입하든지 아니면 부득이하게 세제통(8)을 통해 투입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세탁기에 따르면, 액체세제가 세탁물에 직접 투입될 경우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세제통을 통해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에 분말세제를 위한 구조적인 특성상 세제 투입량이 정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즉, 세제통은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분말세제가 적당량 희석되어 드럼으로 투입되는 구조이나, 액체세제의 경우 그 유동성으로 인해 세탁수에 희석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드럼에 직접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통은 분말세제를 위한 것으로 세탁수에 의한 분말세제의 희석량과 액체세제의 희석량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원하는 세제 투입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액체세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는: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는 노즐부; 및 상기 세제공급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은 액체세제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펌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노즐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은 액체세제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노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노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노즐부에 액체세제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세제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노즐부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노즐부에 연동되어 이동되며,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유로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스템;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볼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밸브는, 상기 노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노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과 마찰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노즐부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부를 이동시키는 노즐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조작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편심되게 회전되며, 외주면이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상기 노즐부를 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 공급장치에 따르면,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세탁시에 사용자가 일일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체세제 공급장치는 고가의 대형 모터 대신 저가의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액체세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이 감소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 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세탁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미도시)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액체세제 공급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미도시)의 내부에 액체세제를 투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세제공급부(110)와, 노즐부(120) 및 펌프부(130)를 포함한다.
세제공급부(110)는 내부에 세제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세제가 액체세제, 액체 섬유유연제, 액체 표백제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세제공급부(110)는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액체세제를 수용하고, 수용한 액체세제를 후술할 펌프부(130)로 공급한다.
이러한 세제공급부(110)는 액체세제를 수용하는 수용부(111)와 개방된 수용부(111)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11)의 일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펌프부(130)와 인접한 수용부(111)의 측부에는 유출구(112)가 형성된다. 수용부(111)에 수용된 액체세제는 유출구(112)를 통해 펌프부(130)로 공급된다.
아울러, 덮개부(115)는 캐비닛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덮개부(115)는 수용부(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는 캐비닛의 상부 로 노출된 덮개부(115)를 개방하여 수용부(111)에 액체세제를 주입할 수 있다.
노즐부(120)는 제1위치(a) 또는 제2위치(b)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노즐부(120)는 펌프부(130)와 연결되어 펌프부(130)를 매개로 세제공급부(110)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120)의 상부에는 누름면(122)이 형성되며, 노즐부(120)의 내부에는 펌프부(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분출공(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부(120)는 제1위치(a) 또는 제2위치(b)로 이동하며 세제공급부(110)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1위치(a)는 노즐부(120)의 상부 방향 이동이 완료되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되며, 제2위치(b)는 노즐부(120)의 하부 방향 이동이 완료되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노즐부(120)에는 연결관부(125)가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120)에 투입되는 액체세제는 연결관부(125)를 통해 터브 내부로 투입된다. 연결관부(125)의 일측은 노즐부(120)와 연결되며, 연결관부(125)의 타측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0)에 연결된다.
펌프부(130)는 세제공급부(110)와 노즐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펌프부(130)는 노즐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즉, 펌프부(130)는 노즐부(120)의 제1위치(a) 이동시 세제공급부(110)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으며, 노즐부(120)의 제2위치(b) 이동시 세제공급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세제를 노즐부(120)에 투입한다. 이러한 펌프부(130)는 하우징(140)과, 제1개폐부(150) 및 제2 개폐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40)은 세제공급부(110)와 노즐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하우징(140)에는 세제공급부(110)로부터 액체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구(14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40)은 세제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부분으로서, 세제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액체세제는 노즐부(120)로 투입되기 전, 이 하우징(14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140)은 연결부(170)에 의해 세제공급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70)는 하우징(140)을 세제공급부(110)에 결합시키는 한편, 세제공급부(110)의 유출구(112)와 하우징(140)의 유입구(142)를 연결시키는 연결로를 제공한다.
제1개폐부(150)는 유입구(142)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제1개폐부(150)는 하우징(140)의 내부, 구체적으로 유입구(1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개폐부(150)는 유입구(142) 주변에 형성된 걸림턱(143)에 안착되는 볼밸브(부호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폐부(150)에 따르면, 유입구(142)는 볼밸브에 의해 폐쇄되며, 이처럼 볼밸브에 의해 폐쇄된 유입구(142)는 노즐부(120)의 제2위치(b) 이동시 볼밸브가 하우징(140)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개방된다.
제2개폐부(160)는 노즐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우징(160)을 개폐한다. 이러한 제2개폐부(160)는 샤프트(162)와, 스템(164)과, 피스톤(166) 및 탄성부재(168)를 포함한다.
샤프트(162)는 노즐부(120)와 연결되어 노즐부(120)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샤프트(162)는 하우징(140)의 내부에 삽입되며, 노즐부(1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62)의 내부에는 노즐부(120)와 연통되는 유로(F)가 형성된다.
샤프트(162)의 일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샤프트(162)의 하단에는 스템(164)이 구비된다. 이 스템(164)과 샤프트(162) 사이에는, 하우징(140) 내부와 유로(F)를 연통시키는 유입공(163)이 형성된다.
샤프트(162)의 외측에는, 피스톤(166)이 구비된다. 이 피스톤(166)은 샤프트(162)의 이동에 따라 유입공(163)을 개폐하도록 하우징(14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샤프트(162)와 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스톤(166)은 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이 하우징(140) 내측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소정의 마찰력이란, 피스톤(166)의 내측면과 샤프트(162)의 외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이지만, 노즐부(120) 또는 스템(164)에 의한 걸림력에 의해 피스톤(166)이 샤프트(16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마찰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166)은,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샤프트(162)의 이동시 샤프트(162)의 이동 방향에 반하여 그 이동을 일정 부분 억제하면서 유입공(163)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탄성부재(168)는 하우징(1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위치(b)로 이동된 노즐 부(120)를 제1위치(a)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168)는 일측이 하우징(140)의 걸림턱(143)에 지지되며, 타측이 스템(164)의 하부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68)는 제2위치(b)로 이동된 노즐부(12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샤프트(162) 및 스템(164)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즐부(120)를 제1위치(a)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노즐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노즐조작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조작부(180)는 구동부(182)와 캠부(184)를 포함한다.
구동부(182)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동부(18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82)의 모터에 요구되는 구동력은 노즐부(120)를 제2위치(b)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꾸어 말하면 탄성부재(168)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구동부(182)는 고가의 대형 모터 대신 저가의 소형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캠부(184)는 구동부(182)에 의해 편심되게 회전되며, 외주면이 노즐부(120)의 누름면(122)에 접촉된다. 이러한 캠부(184)에 따르면, 캠부(184)의 단경부(s) 측이 누름면(122)에 접촉될 경우 노즐부(120)는 제1위치(a)에 위치되며, 캠부(184)가 회전하여 캠부(184)의 장경부(l) 측이 누름면(122)에 접촉될 경우 노즐부(120)는 캠부(184)에 눌려 제2위치(b)로 이동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체세제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20)가 제1위치(a)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조작부(180)가 동작되어 캠부(184)의 장경부(l) 측과의 접촉에 의해 누름면(122)이 눌려지면, 노즐부(120)는 제1위치(a)에서 제2위치(b)로 이동된다. 여기서는, 하우징(140)의 내부는 세제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액체세제가 체류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노즐부(120)가 제2위치(b)로 이동되면, 노즐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샤프트(162) 및 스템(164)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62) 및 스템(164)이 이동할 때, 피스톤(166)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66)은 하우징(140)과 마찰하여 그 이동이 일정 부분 억제되어 샤프트(162) 및 스템(164)보다 적은 거리를 이동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던 유입공(163)을 개방한다. 이때, 유입구(142)는 제1개폐부(15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세제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어 하우징(140) 내부에 체류해 있던 액체세제는 유입공(163)을 통해 샤프트(162) 내부에 형성된 유로(F)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로(F) 내부로 유입된 액체세제는 노즐부(120)에 투입되어 분출공(124)을 통해 연결관부(125)로 투입된다. 연결관부(125)로 투입된 액체세제는 급수관(10)을 통해 터브에 투입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조작부(180)가 동작되어 캠부(184)의 단경부(s) 측이 누름면(122)과 접촉되면, 노즐부(120)에 대한 누름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62) 및 스템(164)은 탄성부재(16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노즐부(120)는 샤프트(162)의 이동에 따라 제1위치(a)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162) 및 스템(164)이 이동할 때, 피스톤(166)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66)은 하우징(140)과 마찰하여 그 이동이 일정 부분 억제되어 샤프트(162) 및 스템(164)보다 적은 거리를 이동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던 유입공(163)을 폐쇄한다.
이때, 제1개폐부(150)의 볼밸브는, 제2개폐부(160)가 개방되었을 때 액체세제가 하우징(140) 내부로부터 노즐부(120)로 투입됨에 따라 생성된 진공압에 의해 상승되어 유입구(142)를 개방하며, 이에 따라 세제공급부(110) 및 연결부(170)에 수용된 액체세제는 개방된 유입구(142)를 통해 하우징(14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세제 투입은 노즐조작부(180)의 동작, 즉 캠부(184)의 회전이 계속되고, 이에 따라 노즐부(120)의 제1위치(a) 이동과 제2위치(b) 이동이 반복되면서 계속될 수 있다.
아울러, 펌프부(130)는 노즐부(120)의 이동시마다 일정량의 액체세제를 투입하게 되므로, 노즐조작부(180)의 동작을 제어하면, 즉 캠부(184)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노즐부(120)의 이동 회수 및 이에 따른 펌프부(130)의 세제 투입 회수를 조절하면,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터브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함으로써, 세탁시에 사용자가 일일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원하는 양의 액체세제를 적시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체세제 공급장치(100)는 고가의 대형 모터 대신 저가의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액체세제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이 감소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드럼 방식의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드럼 방식의 세탁기가 아닌 다른 세탁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드럼 방식의 세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세제 공급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체세제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액체세제 공급장치 110 : 세제공급부
111 : 수용부 112 : 유출구
115 : 덮개부 120 : 노즐부
122 : 누름면 124 : 분출공
125 : 연결부 130 : 펌프부
140 : 하우징 142 : 유입구
150 : 제1개폐부 160 : 제2개폐부
162 : 샤프트 163 : 유입공
164 : 스템 166 : 피스톤
168 : 탄성부재 170 : 연결부
180 : 노즐조작부 182 : 구동부
184 : 캠부

Claims (12)

  1.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는 노즐부; 및
    상기 세제공급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은 액체세제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세제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노즐부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노즐부에 연동되어 이동되며,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유로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스템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노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과 마찰하여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 내측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노즐부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노즐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은 액체세제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노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액체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노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노즐부에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는, 상기 노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를 이동시키는 노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작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편심되게 회전되며, 외주면이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상기 노즐부를 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공급장치.
KR1020090062340A 2009-07-08 2009-07-08 액체세제 공급장치 KR10163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40A KR101636076B1 (ko) 2009-07-08 2009-07-08 액체세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40A KR101636076B1 (ko) 2009-07-08 2009-07-08 액체세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46A KR20110004746A (ko) 2011-01-14
KR101636076B1 true KR101636076B1 (ko) 2016-07-04

Family

ID=4361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340A KR101636076B1 (ko) 2009-07-08 2009-07-08 액체세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478B1 (ko) * 2013-10-30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5Y1 (ko) * 2002-01-03 2002-07-12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47B1 (ko) * 2001-07-06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5Y1 (ko) * 2002-01-03 2002-07-12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46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165B1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US20110174021A1 (en) Washing machine
US10815605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ulk dispensing assembly
US2009009503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7009915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9425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20090101680A (ko) 의류처리장치
EP3158123B1 (en) Detergent feed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101577443B1 (ko) 세탁기
KR20130081114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101233243B1 (ko) 세탁기
KR101646248B1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8035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KR101636076B1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06036B1 (ko) 세탁기
US11066774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for treating chemistries
KR10158649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529912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1461392B1 (ko) 통합 세제케이스를 갖는 세탁기
US11346039B2 (en)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3486364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treating chemistry dispenser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1256144B1 (ko) 세탁기
KR2023005956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