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68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689A
KR20210093689A KR1020200007594A KR20200007594A KR20210093689A KR 20210093689 A KR20210093689 A KR 20210093689A KR 1020200007594 A KR1020200007594 A KR 1020200007594A KR 20200007594 A KR20200007594 A KR 20200007594A KR 20210093689 A KR20210093689 A KR 20210093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unit
cup
protrusion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689A/ko
Priority to US17/142,903 priority patent/US11535972B2/en
Priority to EP21151504.4A priority patent/EP3851569B1/en
Priority to CN202110073986.5A priority patent/CN113136704B/zh
Publication of KR2021009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우징, 터브, 드럼 및 저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프레임,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바 및 상기 저장프레임의 개방된 상기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에 수용되고,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세제컵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컵은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걸림바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상방 이탈이 제한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은 저장프레임 및 상기 저장프레임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저장프레임과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저장프레임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저장유닛에서 저장프레임과 별개로 제조되어 저장프레임상에 배치되는 구성은 사용자가 쉽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저장프레임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저장유닛의 취급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구성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프레임과 별개로 제조되어 저장프레임상에 놓여지는 구성을 포함하는 저장유닛에서 각 구성간의 의도치 않은 분리가 발생되어 저장유닛의 사용 및 취급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의한 구성간 분리가 용이하고 저장유닛의 취급에서 의도치 않은 구성간 분리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에 대한 효율적인 인출거리가 구현되어 사용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인 구성간배치가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저장유닛에 세제컵이 안착될 수 있다. 세제컵은 저장유닛의 저장프레임상에 놓여질 수 있고, 세제공급장치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 과정 등에서 저장유닛의 취급에 따라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컵에 이탈방지돌기가 마련되고, 저장프레임에는 이탈방지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바가 마련되어 상기 세제컵이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는 세제컵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제컵의 전단부를 들어올려 이탈방지돌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세제컵을 저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걸림바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에서 저장유닛의 위에 배치되는 디스펜서유닛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걸림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는 스토퍼와 걸림돌기간의 이격거리만큼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토퍼와 걸림돌기간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설정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저장유닛이 일부만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컵 등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설정인출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프레임, 상기 저장프레임의 개방된 상기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에 수용되고,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프레임의 상기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세제컵 및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세제컵의 상방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탈방지돌기가 걸림바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세제컵이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세제수용벽이 마련되고, 상기 세제수용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수용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세제수용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컵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부보다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광폭부의 후방벽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세제컵의 전단부를 들어올려 이탈방지돌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세제컵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면은 상기 광폭부의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및 상기 걸림바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저장유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인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유닛을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스토퍼와 걸림돌기에 의해 설계적으로 제한되는 인출 거리만큼 하우징으로부터 저장유닛을 인출시켜 상기 저장유닛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후방에 위치되는 세제수용후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으로부터 상기 광폭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전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바의 상기 전단부, 상기 세제수용부 및 상기 세제컵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스토퍼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의 상기 전단부가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돌기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함입되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관통홈이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스토퍼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세제수용측벽 및 상기 세제컵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세제수용측벽과 연결되는 세제수용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수용영역에서 상기 세제수용전방벽과 상기 세제컵 사이에 마련되고, 상면에 개방되어 세제가 유입 및 수용되는 세제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은, 상기 세제컵과 상기 세제수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컵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는 전방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수용영역에서 상기 세제수용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바닥면에는 세제가 유출되는 세제유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세제유출부는 상기 세제컵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세제컵은 하부에 세제가 배출되는 컵배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차단부는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제수용부가 상기 세제유출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세제컵은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가 유입 및 수용되고,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세제수용측벽과 연결되는 세제수용후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으로부터 상기 세제컵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수용후방벽과 상기 세제컵 사이를 이격시키는 후방이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을 마주하는 후면에 상기 후방이격돌출부를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후방이격돌출부와 접촉되는 후방이격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컵의 상기 하면을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세제컵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컵다리는, 상기 세제컵다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세제컵의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다리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컵은 효과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강성이 증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구성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사용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공간활용성이 우수한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유닛이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유닛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걸림돌출부 및 걸림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처짐방지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처짐방지돌출부 및 처짐방지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프레임에 결합된 세제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컵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프레임에 결합된 세제컵을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세제컵이 저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C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프레임에 결합된 세제컵의 후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컵의 세제컵다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7의 A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D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토퍼 및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걸림바가 하방으로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의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의 캡부재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7은 도 7의 저장유닛을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캡의 상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캡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캡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에 결합된 세제캡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의 세제투입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의 센서점검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저장통이 결합된 저장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 및 공급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의 전방샤워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의 전방샤워홈 및 샤워수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에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과 터브를 연결하는 터브연결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디스펜서유닛의 급수부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볼록부 및 오목부가 배치되는 발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오목부 및 제2오목부가 배치되는 발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볼록부 및 제2볼록부가 배치되는 발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배치되는 발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2는 의류처리장치(1)를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세제공급장치(100)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개구부(15)가 구비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0) 및 상기 개구부(15) 내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부를 갖는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전면부에 도어(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4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드럼(30)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어(40)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의 일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들과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하우징(10) 또는 드럼(3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개구부(15)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의 후방에는 세제공급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5)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우징(10)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15)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5)는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모서리 영역, 예컨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 일측에서 조작부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는 개구부(1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300),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유닛(20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300)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300)에 저장되는 세제를 세탁 단계에서 드럼(30)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세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가루 형태 또는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위에서부터 디스펜서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다시 저장유닛(300) 또는 공급케이스(4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에는 세탁 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세제가 내부에 저장되며,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수용되어 안착되고,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상기 저장유닛(300)에 저장된 세제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터브(2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전방의 손잡이부(305), 저장프레임(390) 및 상기 저장프레임(390)에 안착되는 세제저장통(310)과 세제컵(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의 정의는 하우징(10)에서 개구부(15)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를 향하는 방향은 전방에 해당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개구부(15)에서 하우징(10)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에서 도어(40)와 개구부(15)가 서로 다른 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개구부(15)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는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개구부(15)를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개구부(15)를 통한 하우징(10) 내부에는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장유닛(300)은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개구부(15)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저장유닛(300)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설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모습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의 전방에 마련되고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305)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300)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와 적층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305)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면, 저장유닛(300)은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저장유닛(300)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저장유닛(300)이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저장프레임(390), 세제저장통(310),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은 세제저장통(310)이나 세제컵(700) 등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과 세제컵(700) 등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도 8과 같이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이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이동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공급케이스(400)에는 저장프레임(39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레일(404)이 마련될 수 있고, 저장프레임(390)은 슬라이딩레일(404)상에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프레임(390)의 전방에는 손잡이부(305)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305)는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저장프레임(390)보다 크게 마련되어 개구부(15)를 차폐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은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390)상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이 2개 구비되어 저장프레임(390)상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저장프레임(39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수용부(340)가 구비된다. 세제수용부(340)는 저장프레임(390)의 일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세제수용부(340)는 저장프레임(39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세제수용부(340)에는 세제저장통(310)과 별개로 세제가 수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제저장통(310)에 저장되는 세제를 제1세제로 구분하고, 세제수용부(340)에 저장되는 세제를 제2세제로 구분하며, 후술하는 세제컵(700)에 수용되는 세제를 제3세제로 구분한다.
제1세제, 제2세제 및 제3세제는 저장되는 대상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뿐, 반드시 그 특성이 상이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이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세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세제수용부(340)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로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한 상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유닛(300)이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수용부(3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세제컵(700)은 저장프레임(39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7에는 저장프레임(390)에 결합된 세제컵(7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된 세제컵(700)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컵(700)은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가 투입될 수 있다. 세제컵(700)에 투입되는 세제는 구분을 위해 제3세제로 정의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저장통(310),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에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세제를 투입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제저장통(310)에는 액상 세제를 투입할 수 있고, 세제수용부(340)에는 가루 세제를 투입할 수 있으며, 세제컵(700)에는 세제의 한 종류로서 섬유유연제를 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제1세제, 제2세제, 제3세제가 반드시 서로 다른 성격의 세제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제1,2,3세제를 같은 종류의 것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세제저장통(310),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 중 어느 하나에만 세제를 저장시킬수 도 있다.
세제컵(700)은 세제수용부(340)와 이웃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면이 개방된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불필요하게 이격된 세제수용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저장유닛(300)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더라도 세제수용부(340)와 이웃하는 세제컵(700)은 상기 세제수용부(340)와 함께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기 용이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수용부(340) 및 상기 세제컵(700)은 상기 세제저장통(31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3개의 세제수용공간을 이용하면서 공간 활용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저장통(310)은 세제의 저장공간이 가장 넓게 마련될 수 있고, 세제저장통(310)의 제1세제와 구분되는 제2세제 및 제3세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을 구비하더라도, 저장프레임(390) 내부에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은 세제저장통(310)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저장통(3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세제저장통(310)은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구비된 상황에서도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면서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에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에 제2세제 및 제3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반드시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 외부로 완전히 인출시켜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에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일부만 인출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제저장통(310)이 하우징(10) 내부에 인입된 길이가 길어져 세제저장통(310)의 분리가 불편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저장통(310)이 대략 저장프레임(3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이 세제저장통(31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을 일부만 인출시키더라도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세제저장통(310)의 분리 및 이용에도 편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프레임(390)은 후단부(399)의 폭(W3)이 전단부(398)의 폭(W2)보다 더 좁게 마련되고, 상기 전단부(398)와 상기 후단부(399)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세제수용부(340)가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프레임(39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단부(398)에서 후단부(399)를 향하면서 적어도 일부에서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단부(399)와 전단부(398) 사이에서 폭이 감소되는 폭변화부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단부(399)의 폭(W3)이 전단부(398)보다 좁게 마련됨에 따라, 후단부(399)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은 후술하는 후방샤워부(267)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은 전단부(398)와 후단부(399) 사이에 세제수용부(34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저장프레임(390)은 중앙부에 세제수용부(340)가 위치될 수 있다. 세제수용부(340)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부(398)의 폭(W2)이 상기 세제수용부(340)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단부(399)의 폭(W3)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 폭(W3)은 하우징(10)의 개구부(15)의 폭(W1)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 폭(W2)은 개구부(15)의 폭(W1)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개구부(15)의 폭(W1)은 상기 7에 도시된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 폭(W3)보다 넓고, 전단부(398) 폭(W2)과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 폭(W2)은 개구부(15)의 폭(W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저장유닛(300)을 개구부(15) 내로 삽입할 때 저장유닛(300)과 개구부(15) 사이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부로 인입이 종료된 저장유닛(300)은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개구부(15)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가 개구부(15)를 향하며 상기 개구부(15) 측으로 이동되는데,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의 폭(W3)이 개구부(15)의 폭(W1)보다 좁게 마련됨으로써, 저장프레임(390)과 개구부(15) 사이에 여유공간이 확보되고 사용자는 손쉽게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를 개구부(15)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가 개구부(15) 내부로 삽입된 상황에서, 저장프레임(390)의 인입이 진행되면 결국 개구부(15)측에는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가 위치하게 되는데,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는 개구부(15)와 대응되는, 예컨대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프레임(390)은 양측부에 각각 상기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측벽(6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측벽(630)은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320) 및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출부(320)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처짐방지돌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측벽(630)은 저장프레임(390)의 양측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측방향은 전후방향을 정의하는 하우징(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양측방향의 정의는 디스펜서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 등에서도 공유될 수 있다.
예컨대, 양측방향은 하우징(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과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예컨대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하방향은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상면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과 동일하고,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과 동일하며, 저장유닛(300)의 상하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의 상하방향과 동일하게 정의된다.
한편, 프레임측벽(630)은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프레임측벽(630)은 저장프레임(390)의 양측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저장프레임(390)의 내부를 측방향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측벽(630)에는 걸림돌출부(320) 및 처짐방지돌출부(520)가 포함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20)와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처짐방지돌출부(520)가 걸림돌출부(3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20) 및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320) 및 처짐방지돌출부(520)는 하우징(10) 내부의 타구성관의 관계에서 접촉 또는 가압관계를 가지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출부(320)는 저장프레임(39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저항 감각이나 댐핑 감각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저장프레임(39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저장프레임(390)이 자중 등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유닛에 마련되는 걸림탄성부(220)와 걸림돌출부(32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고정유닛에 마련되는 처짐방지탄성부(5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고정유닛에 마련되는 처짐방지탄성부(510)와 처짐방지돌출부(5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방에 위치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유닛은 처짐방지탄성부(510) 및 걸림탄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처짐방지탄성부(510)는 상기 고정유닛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짐방지돌출부(520)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으며, 걸림탄성부(220)는 상기 처짐방지탄성부(510)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림돌출부(320)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유닛은 저장유닛(3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유닛(200)일 수 있으나,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은 저장유닛(300)과 달리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15)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으며,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20)는 저장프레임(390)의 프레임측벽(630)에서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을 마주보는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저장유닛(300)에서 걸림돌출부(320)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걸림탄성부(220)와 접촉된 걸림돌출부(320)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돌출부(320)의 돌출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으로부터 저장유닛(300)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고정유닛으로서 디스펜서유닛(200)이 마련되고,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는 걸림탄성부(22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걸림돌출부(320)와 접촉된 걸림탄성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림돌출부(320)가 전후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탄성부(220)는 전후방향을 따라 걸림돌출부(320)와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유닛(300)의 인입 또는 인출 과정에서 걸림탄성부(220)는 적어도 일부가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의 돌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출부(320) 및 걸림탄성부(220)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중앙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탄성을 가지며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돌출부(320)보다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의 소재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탄성부(220)와 걸림돌출부(320)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할 때, 걸림탄성부(220)는 적어도 일부, 예컨대 하방으로 돌출되는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전후방향 또는 저장유닛(300)의 인입방향을 따라 걸림돌출부(32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인입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가 걸림탄성부(220)보다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탄성부(22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되고, 걸림탄성부(220)를 지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부(220)는 걸림돌출부(32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어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탄성부(220)는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돌출부(320)는 걸림탄성부(220)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면 도 9와 같이 걸림돌출부(320)는 걸림탄성부(220)를 지나 걸림탄성부(220)의 후방에 위치된다. 걸림탄성부(220)는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이후 걸림돌출부(320)가 지나가면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05)를 이용하여 개구부(15)로부터 저장유닛(300)을 인출하고 저장유닛(300)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가 저장된 저장유닛(300)은 다시 개구부(15)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걸림돌출부(320)와 걸림탄성부(220)간의 접촉 관계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인입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잡이부(305)를 파지하고 저장유닛(300)을 후방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와 걸림탄성부(220)간의 접촉에 따른 저항감 등을 인지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소정의 압력이 전해지며, 걸림돌출부(320)가 걸림탄성부(220)를 지나가면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힘이 감소되고,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이 온전하게 인입상태에 도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걸림탄성부(220)의 복원력이 걸림돌출부(320)에 전달됨에 따라, 걸림돌출부(320)가 걸림탄성부(220)를 지나도록 이동된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의 말단까지 인입되도록 걸림탄성부(220)가 걸림돌출부(320)에게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한 반력을 느끼며 저장유닛(300)을 개구부(15)에 인입시키다가 상기 반력이 사라지고 오히려 인입을 유도하는 힘이 제공되어 저장유닛(300)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인입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과 별개로 제조될 수 있고,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체에 해당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고정유닛의 소재보다 변형이 용이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걸림탄성부(220)를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과 별개로 제조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고정유닛과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걸림탄성부(220)를 제조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펜서유닛(200)이 고정유닛에 해당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고정유닛이 디스펜서유닛(200)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펜서유닛(200)의 제조는 열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디스펜서유닛(200)을 이루는 소재는 열처리 이후 탄성이 감소하고 강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유닛(200)과 함께 걸림탄성부(220)를 성형하는 경우, 걸림탄성부(220) 또한 상기 열처리 과정에 의해 탄성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펜서유닛(200)과 별개로 걸림탄성부(220)를 제조하고 디스펜서유닛(2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디스펜서유닛(200)의 제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성형 과정에 의한 소재의 특성 변화를 피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20)는 최대돌출지점이 상기 걸림돌출부(320)의 최대돌출지점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상기 걸림돌출부(320)를 지지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의 최대돌출지점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걸림탄성부(220)에서 고정유닛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된 지점을 의미하고, 걸림돌출부(320)의 최대돌출지점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저장유닛(300)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된 지점을 의미한다.
걸림돌출부(320)는 최대돌출지점의 전방에 경사진 전방가압부(352)가 위치되고, 최대돌출지점의 후방에 평탄가압부(352)가 위치되며, 평탄가압부(352)의 후방에 후방가압부(352)가 위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의 후방가압부(352)에 의해 걸림탄성부(220)가 가압될 수 있고, 이후 걸림돌출부(320)의 평탄가압부(352)에 걸림탄성부(220)의 최대돌출지점이 지지되면서 변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부(220)에 의한 반력이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20)의 최대돌출지점이 걸림탄성부(220)의 최대돌출지점을 지나가면, 걸림돌출부(320)의 전방가압부(352)가 걸림탄성부(220)를 지지하면서 걸림탄성부(220)는 점차 복원되어 간다.
걸림탄성부(220)는 최대돌출지점의 전방에 전방경사부가 위치되고, 최대돌출지점의 후방에 후방경사부가 위치될 수 있다.
전방경사부는 걸림탄성부(220)의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저장유닛(300)과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전방경사부는 최대돌출지점을 향할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방경사부는 전방경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후방경사부는 최대돌출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개구부(15)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320)는 상기 전방경사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탄성부(220)를 탄성변형시키며,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출부(320)는 상기 후방경사부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경사부는 상기 후방경사부보다 더 길고 완만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5에는 전방경사부의 길이 L1이 후방경사부의 길이 L2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부(2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의 반력을 걸림돌출부(320)에 제공하여 인입 과정이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의 반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저장유닛(300)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에 완전히 인입되면 걸림돌출부(320)는 걸림탄성부(22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유닛(300)의 인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을 인출하는 경우, 저장유닛(300)의 인출이 시작됨과 함께 즉각적으로 걸림탄성부(220)에 의한 반력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인출 상황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저장유닛(300)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은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기 일면을 향해 개방되는 관통홀(215)을 가지며, 상기 걸림탄성부(220)는 중앙부가 상기 관통홀(215)을 관통하며 상기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관통홀(215)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고정유닛을 관통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중앙부가 관통홀(215)을 관통하며 저장유닛(300)의 일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의 최대돌출지점은 상기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가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으로부터 직접 돌출되는 경우보다 걸림탄성부(220)가 디스펜서유닛(200)의 관통홀(215)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경우, 걸림탄성부(220)의 전체 돌출 길이가 증가되고 탄성 변형에 유리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는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중앙부가 상기 관통홀(215)을 관통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즉, 걸림탄성부(220)는 스트랩 또는 일자 형태의 부재가 절곡 또는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탄성부(220)는 걸림돌출부(320)와의 접촉면 반대측으로 빈 공간을 가짐으로써 걸림돌출부(320)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고 탄성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 즉 고정유닛은 상기 관통홀(215)의 후방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탄성부(220)는 상기 후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35)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체결홈은 관통홀(21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걸림탄성부(220)는 전단부가 체결홈과 결합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235)는 체결홈과 중첩되는 걸림탄성부(220)의 단부를 관통하며 체결홈에 삽입되면서 걸림탄성부(220)와 디스펜서유닛(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235)는 볼트 등과 같이 길이를 가지며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고, 체결홈에 대해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체결부(230) 및 캡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30)는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235)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중앙에 상기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부재(235)에 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체결부재(235)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의 길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캡부(221)는 상기 걸림탄성부(220)의 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캡부(221)는 걸림탄성부(220)에서 체결홈에 중첩되는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캡부(2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체결부(2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부(230)는 캡부(22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내부에 체결부(230)가 삽입된 캡부(221)는 상면이 체결부재(235)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캡부(221)는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부(230)가 내부로 삽입되고 체결부재(235)에 의해 상기 체결부(2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결부(230)와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걸림탄성부(220)의 전단부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후단부는 상기 캡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20)의 전단부가 고정유닛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면 중앙부의 탄성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걸림탄성부(220)의 캡부(221)가 전단부에 마련된 경우라면 후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탄성부(220)가 걸림돌출부(32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되는 경우, 걸림탄성부(220)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단부는 걸림탄성부(22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어 걸림탄성부(220)의 돌출 높이 변화량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걸림탄성부(220)는 후단부가 고정되고 전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단부(222)를 형성하는 경우,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보다 인출과정에서 더 큰 변형량을 수용할 수 있다.
즉, 걸림탄성부(220)는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에 더 큰 반력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저장유닛(300)의 인입 과정에서 반력이 감소되어 부드러운 인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입된 저장유닛(300)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인출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에 의한 변형량을 더 많이 허용할 수 있어 인출 시의 반력을 크게 제공하고 저장유닛(300)의 안정적인 인입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부(23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238)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탄성부(220)의 상기 전방의 슬라이딩단부(222)에 의해 중앙부가 상기 전후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238)는 걸림탄성부(220)의 슬라이딩단부(222)를 둘러싸면서 위치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부(238)를 이용하여 걸림탄성부(220)의 전단부가 슬라이딩영역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디스펜서유닛(200)의 외부에서 바라본 처짐방지탄성부(51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처짐방지탄성부(510)와 처짐방지돌출부(520)가 확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4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처짐방지탄성부(510)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8에는 처짐방지돌출부(520)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처짐방지돌출부(52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처짐방지탄성부(510)로부터 후방으로 설정인출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처짐방지탄성부(510)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탄성부(220)와 같이 저장유닛(3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며 탄성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다.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저장유닛(300)의 상면에 마련되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저장유닛(300)의 무게 중심이 개구부(15)의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유닛(300)은 자중에 의해 전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처짐방지탄성부(510) 및 처짐방지돌출부(520)가 마련됨에 따라, 저장유닛(300)이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처짐방지돌출부(520)가 처짐방지탄성부(510)를 가압하며 상호 밀착되면서 저장유닛(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처짐방지탄성부(510)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처짐방지돌출부(520)를 가압 및 지지함으로써 저장유닛(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설정인출거리란,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을 상기 개구부(15)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더라도 저장유닛(300)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저장유닛(300)의 인출거리를 의미한다.
처짐방지탄성부(510)는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위치하여 인출상태의 저장유닛(300)에서 처짐방지돌출부(520)와 중첩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에 유리하다.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저장유닛(300)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설정인출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인출과정에서 상기 처짐방지돌출부(520)가 처짐방지탄성부(510)와 물리적으로 중첩되는 인출거리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적인 설정인출거리에 해당된다.
도 7에는 저장유닛(300)의 전단부로부터 처짐방지돌출부(520)까지의 이격거리 P가 표시되어 있다. 해당 거리 P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인출거리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개구부(15)로부터 상기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되면 상기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상기 처짐방지탄성부(51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처짐방지탄성부(510)에 의해 가압 및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처짐방지돌출부(520)와 처짐방지탄성부(510)가 중첩되어 발생되는 저항력 또는 반력을 인지함으로써 사용의 적절성이 고려된 설정인출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상기 걸림돌출부(320) 및 상기 걸림탄성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위치되는 처짐방지탄성부(510)는 걸림탄성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탄성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짐방지돌출부(520)가 불필요하게 걸림탄성부(220)와 접촉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저장유닛(300)의 인출거리를 설정인출거리로 제한하기 위해 걸림돌기(353) 및 스토퍼(250)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353)는 저장유닛(300)으로부터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스토퍼(250)는 고정유닛에 마련되어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돌기(353)가 스토퍼(2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 저장유닛(300)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고, 걸림돌기(353)와 스토퍼(250)가 접촉된 상태에서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처짐방지탄성부(510)의 하방에 위치되어 가압될 수 있다.
다시 도 7 및 8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프레임(390)의 상기 양측부에 마련되는 상기 처짐방지돌출부(5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걸림돌출부(320)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프레임(390)은 후단부(399)의 폭(W3)이 전단부(398)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되고, 프레임측벽(630) 또한 상기 저장프레임(390)의 폭 변화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처짐방지돌출부(520)는 걸림돌출부(3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프레임(390) 양측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처짐방지돌출부(520) 사이의 거리는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 폭(W1)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출부(320)는 처짐방지돌출부(520)의 후방에 위치되며 한 쌍의 걸림돌출부(320) 사이의 거리는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 폭(W3)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처짐방지돌출부(520)는 프레임측벽(630)상에서 저장프레임(390)의 전단부(398) 폭(W2)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지점에 마련될 수 있고, 걸림돌출부(320)는 저장프레임(390)의 후단부(399) 폭(W3)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결국, 처짐방지돌출부(520)와 걸림돌출부(320)는 전후방향으로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처짐방지탄성부(510) 및 걸림탄성부(220) 또한 폭이 상이하게 마련되고,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돌출부(320)가 처짐방지탄성부(510)와 접촉되는 불필요한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세제컵(700)이 분리된 저장프레임(390)의 세제수용영역(65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세제컵(700)이 결합된 저장프레임(390)의 세제수용영역(6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프레임(390)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세제수용벽(640)이 마련되고, 상기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영역(6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의 일부 공간에는 상기 세제수용부(340)가 형성되며,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세제컵(700)이 설치될 수 있다.
세제수용벽(640)은 저장프레임(39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저장프레임(390)의 바닥면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제수용벽(64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폐단면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일 수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세제수용벽(640)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프레임(390) 내부에는 상기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세제수용영역(6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프레임(390) 내부공간은 세제수용벽(640) 내부의 세제수용영역(650)과 세제수용벽(640) 외부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에서 세제수용벽(640) 외부의 공간에는 세제저장통(31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2개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저장프레임(39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을 가로지르며 양측의 세제저장통(310)을 고정하는 저장통고정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수용영역(650)은 상면이 개방되고,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므로 내부의 세제 등이 세제수용벽(640)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컵(700)이 세제수용영역(650)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영역(650)은 일부 공간이 세제수용부(340)를 형성하고, 나머지 공간에 세제컵(7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구획 및 정의되는 세제수용영역(650) 내에 세제컵(700)과 세제수용부(340)과 함께 마련되고, 세제수용부(340)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세제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며, 세제컵(700)은 자체의 외벽에 의해 세제수용부(340)와 분리되므로 세제수용영역(650)을 공유하면서도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에는 각각 구분되는 세제, 예컨대 세제수용부(340)에는 제2세제가 저장되고 세제컵(700)에는 제3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밀폐된 세제수용영역(650)을 형성하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상기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으로부터 세제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제3세제가 누출되더라도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누출된 제3세제는 세제수용영역(650)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저장유닛(300)의 사용성과 관리성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수용벽(640)은 상기 세제컵(7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세제수용측벽(643) 및 상기 세제컵(7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세제수용측벽(643)과 연결되는 세제수용전방벽(6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수용부(340)는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에서 상기 세제수용전방벽(641)과 상기 세제컵(7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세제수용부(340)는 세제컵(7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할 때, 저장프레임(390)은 세제컵(700)과 세제수용부(340) 사이에 전방차단부(6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차단부(642)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컵(700)의 전방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컵(700)과 세제수용부(340)는 세제수용영역(650)을 공유하고,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에는 전방차단부(642)가 마련되어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에 설치된 세제컵(7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세제수용부(340)를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차단부(642)는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차단부(642)는 양단부가 세제컵(70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세제수용측벽(64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세제컵(7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세제수용영역(650)에 세제컵(700)이 설치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8에는 세제수용영역(650)에 마련되는 세제유출부(64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컵(700)은 하부에 상기 제3세제가 배출되는 컵배출부(705)가 마련되고,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에서 상기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바닥면(647)에는 상기 제2세제 및 상기 제3세제가 유출되는 세제유출부(64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유출부(648)는 상기 컵배출부(705)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차단부(642)는 상기 세제수용바닥면(647)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제수용부(340)와 상기 세제유출부(648)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컵(700)은 하부에 컵배출부(705)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컵(7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 예컨대 제3세제는 상기 컵배출부(705)를 통해 세제컵(7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컵배출부(705)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며 세제컵(700)의 하방으로 세제를 배출할 수 있다.
세제수용영역(650)에는 세제유출부(648)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유출부(648)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둘러싸인 세제수용바닥면(647)에 마련될 수 있고, 하방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며 세제수용영역(650) 내부의 세제를 공급케이스(400)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세제유출부(648)는 세제컵(70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배출부(705)를 통해 세제컵(700)으로부터 세제수용영역(650)으로 배출되는 제3세제는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저장프레임(390)의 외부, 즉 공급케이스(400)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세제수용부(340)와 세제컵(700)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방차단부(642)는 세제수용바닥면(647)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세제수용부(340)는 전방차단부(642)를 지나 세제컵(700) 하방에 위치되는 세제유출부(648)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부(340)에 수용되는 제2세제는 세제컵(700) 하방에 위치되는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공급케이스(400)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세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세제수용영역(650)을 형성하고, 세제수용영역(650)의 일부는 세제수용부(340)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세제컵(700)이 설치되며,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제2세제와 세제컵(700)의 제3세제가 함께 세제수용영역(650)에 마련되는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공급케이스(400)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세제수용부(340)는 세제수용바닥면(647)에 형성되는 세제유출부(648)와 연통되는 점에 따라, 제2세제가 세제수용부(340)에 투입됨과 동시에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세제는 액상 세제 대신 가루 세제일 수 있고, 세제컵(700)의 제3세제는 세제컵(700)은 액상 세제, 예컨대 섬유유연제일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측으로 유출되는 세제는 후술하는 공급케이스(400)의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터브(20)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세제컵(700)에 이탈방지돌기(71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되는 걸림바(3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컵(700)은 저장프레임(390)의 상기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7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프레임(390)에 마련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710) 및 상기 세제컵(700)의 상방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바(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돌기(710)는 세제컵(700)으로부터 저장프레임(390)의 상면 또는 세제컵(700)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이탈방지돌기(710)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710)는 세제컵(70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걸림바(350)는 저장프레임(390)에 마련되고, 저장프레임(390)에 결합된 세제컵(700)의 이탈방지돌기(710)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바(350)는 걸림돌기(3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300)의 인출 거리를 설정인출거리로 제한할 수 있다. 걸림바(350)에 의한 저장유닛(300)의 인출 거리 제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세제컵(700)은 개방된 상면을 제외하고 내부가 밀폐되는 컵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세제수용영역(650) 등에 안착될 수 있는데, 걸림바(350)가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됨에 따라,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 또는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세제컵(700)이 놓여진 저장유닛(300)은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0) 외부로 완전히 인출 및 분리되어 취급될 수 있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도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취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저장유닛(300)이 별도로 취급되는 상황에서, 예컨대 저장프레임(390)의 개방된 상면이 지면측을 향하는 경우 등에서,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세제컵(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세제컵(700)에 이탈방지돌기(710)를 마련하고 저장프레임(390)에 걸림바(350)를 마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710)는 세제컵(700)의 측벽 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걸림바(350)는 저장프레임(390)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되는 걸림바(350)가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어 세제컵(700)의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는 이탈방지돌기(710)를 걸림바(350)의 하방에서 이동되도록 조절하면서 세제컵(700)을 분리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취급 과정에서 저장프레임(390)의 개방된 상면이 지면측을 향하는 경우라도, 세제컵(700)의 이탈방지돌기(710)는 걸림바(350)에 의해 저장프레임(390)의 상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바(350)는 세제수용벽(640)에 마련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710)를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컵(700)은 세제수용영역(650)에 삽입 설치되므로 이탈방지돌기(710) 또한 세제수용영역(650) 내부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걸림바(350)는 세제수용벽(640)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하면, 세제컵(700)은 전단부(701)가 후단부(702)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부(702)보다 상기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부(70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돌기(710)는 상기 광폭부(703)의 후방벽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세제컵(700)은 폭의 차이가 발생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을 전단부(701)로 정의하고 후방을 후단부(702)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는, 전단부(701)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과 후단부(702)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이 중앙부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세제컵(700)의 광폭부(703)는 측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702)보다 상기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세제컵(700)의 전단부(701)는 광폭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컵(700)에서 광폭부(703)를 제거하면 상기 세제컵(700)은 직사각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광폭부(703)에서 후방을 향하는 후방벽에 상기 이탈방지돌기(71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돌기(710)는 광폭부(703)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바(350)는 상기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을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수용벽(640)으로부터 연장되어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컵(700)은 단순히 저장프레임(390)의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예컨대 저장프레임(390)이 상면이 지면을 향하는 경우에서 이탈방지돌기(710)가 걸림바(350)에 접촉되어 세제컵(700)의 이탈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도 14와 같이 저장프레임(390)에 설치된 세제컵(700)이 상기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컵(700)은 전단부(701)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돌기(710)는 세제컵(70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세제컵(700)의 전단부(701)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세제컵(7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710)가 세제컵(700)의 최전방에 위치되는 경우, 이탈방지돌기(710)가후방으로 돌출되더라도 이탈방지돌기(710)에 의해 세제컵(700)의 전단부(701)를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어 세제컵(700)의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돌기(710)가 세제컵(70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세제컵(700) 전체가 상기 이탈방지돌기(710)로부터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므로 세제컵(700)의 이탈 방지 능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컵(700)의 전단부(701) 폭을 후단부(702)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광폭부(703)를 마련하고, 광폭부(703)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방지돌기(710)가 돌출됨에 따라, 세제컵(700)에서 이탈방지돌기(710)의 전방측 부위를 들어올려 임의적으로 세제컵(700)을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폭부(703)의 후방벽은 세제컵(700)의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위치되어 세제컵(700)이 의도치않게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면(712)은 상기 광폭부(703)의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710)는 세제컵(70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세제컵(700)의 전단부(701)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세제컵(700)이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탈방지돌기(710)에서 상기 걸림바(350)를 향하는 상면(712)이 광폭부(703)의 후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이탈방지돌기(710)의 전방측에 해당되는 세제컵(700)의 전단부(701)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허용되도록 한다.
예컨대, 세제컵(700)이 전체로서 저장프레임(390)의 상면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면(712)이 경사지게 마련된다 하더라도 걸림바(350)에 의해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부 이동이 제한되므로 세제컵(7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세제컵(700)의 전단부(701)를 들어올리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컵(700)의 후단부(70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세제컵(700)의 전단부(701)가 상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면(712)이 하방으로 경사지므로 상기 걸림바(350)와의 거리가 지속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세제컵(700)의 회동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도 16에는 도 12의 C영역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세제수용영역(650)에 마련되는 후방이격돌출부(646)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수용벽(640)은, 상기 세제컵(7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세제수용후방벽(645)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은, 상기 세제컵(70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과 상기 세제컵(700)의 상기 후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후방이격돌출부(646)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이격돌출부(646)는 세제수용후방벽(64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후방이격돌출부(646)는 세제수용후방벽(645)으로부터 세제컵(7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에 의해, 상기 세제컵(700)은 최소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의 돌출거리만큼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과 이격될 수 있다.
세제컵(700)은 세제수용벽(640)에 의해 둘러싸인 세제수용영역(650)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는데, 사용과정에서 세제가 과도하게 투입되거나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액체가 누출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물 또는 세제일 수 있다.
세제컵(700)과 세제수용벽(640)이 밀착된 경우에는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으로 누출되는 액체가 세제컵(700)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세제수용벽(640)을 넘어 세제수용영역(650)의 외부로 침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컵(700)의 후면과 세제수용후방벽(645) 사이에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후방이격돌출부(646)를 마련함으로써, 세제컵(700)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체가 세제컵(700)과 세제수용후방벽(645) 사이로 유입되어 세제수용영역(650)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는 세제수용영역(650)에 배치된 세제컵(7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후방이격돌출부(646)에 의해 세제컵(700)과 세제수용후방벽(645)이 상호 이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세제컵(7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누출되고 세제컵(700)과 세제수용후방벽(645) 사이로 수집되는 액체의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후방이격돌출부(646)는 세제수용후방벽(645)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이거나, 세제수용후방벽(645)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리브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컵(700)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을 마주하는 후면에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를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와 접촉되는 후방이격리브(7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후방이격리브(707)가 형성된 세제컵(70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후방이격리브(707)는 세제컵(70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후방이격리브(70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와 전후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세제컵(700)은 후방이격리브(707)가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와 접촉될 수 있다. 세제컵(700)은 후방이격리브(707)에 의해 세제수용후방벽(645)과의 이격거리가 더 확보될 수 있고, 후방이격돌출부(646)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세제컵(700) 후면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후방이격리브(707)는 세제컵(700)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후방이격돌출부(646)가 세제컵(700)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태인 경우, 상기 후방이격리브(707)는 후방이격돌출부(646)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전체로서 상기 후방이격돌출부(646)를 마주볼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후방이격돌출부(646) 및 후방이격리브(707)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8에는 세제컵(70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컵(700)은 세제컵다리(7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컵다리(715)는 상기 세제컵(7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세제수용바닥면(647)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컵(700)의 상기 하면을 상기 세제수용바닥면(647)으로부터 시킬 수 있다.즉, 세제컵(700)은 상기 세제컵다리(715)에 의해 지지되어 세제컵(700)의 하면이 세제수용바닥면(647)으로부터 이격되고, 세제컵(700)의 하면과 세제유출부(648)간의 이격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등이 효율적으로 세제유출부(648)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컵다리(715)는 다리보강리브(7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보강리브(716)는 상기 세제컵다리(715)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세제컵(700)의 상기 하면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컵다리(715)는 세제컵(7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다리보강리브(716)는 세제컵(700)으로부터 측방향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컵다리(715)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리보강리브(716)가 세제컵다리(715)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리보강리브(716)는 세제컵다리(715)와 함께 세제컵(7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컵다리(715)에 전달되는 부하가 분산되는 세제컵(700) 하면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세제컵(700) 하면 또는 세제컵다리(715)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도 7의 A영역을 확대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도 20의 D영역을 확대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250)와 걸림돌기(353)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고정유닛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50) 및 상기 걸림바(35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는 걸림바(350)에 마련된 걸림돌기(353)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 및 21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마련된 스토퍼(2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50)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353)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53)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353)가 상기 스토퍼(250)에 접촉되어 인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250)는 고정유닛,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걸림돌기(353)는 걸림바(3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250)와 걸림돌기(353)는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300)에 마련된 걸림돌기(353)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스토퍼(250)에 접촉되고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돌기(353)가 스토퍼(2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저장유닛(300)의 인출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353)가 스토퍼(2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저장유닛(300)의 인출거리가 전술한 본 발명의 설정인출거리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스토퍼(250)는 걸림돌기(353)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스토퍼(250)와 걸림돌기(353)간의 이격거리는 처짐방지돌출부(520)와 처짐방지탄성부(510)간의 이격거리와 대응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적인 설정인출거리에 해당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의 손잡이부(305)를 파지하여 저장유닛(300)을 인출하는 경우, 저장유닛(300)의 걸림돌기(353)가 디스펜서유닛(200)의 스토퍼(250)에 접촉되면 저장유닛(300)의 인출이 제한되고, 사용자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저장유닛(300)을 사용하여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353)가 스토퍼(2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저장유닛(300)의 처짐방지돌출부(520)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처짐방지탄성부(51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어 저장유닛(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50)와 처짐방지탄성부(510)는 디스펜서유닛(200), 즉 고정유닛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걸림돌기(353)와 처짐방지돌출부(520)는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돌기(353) 및 스토퍼(250)가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인출거리만큼만 저장유닛(300)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세제공급장치(10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스토퍼(250)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서 전술한 걸림탄성부(220) 및 처짐방지탄성부(510)와는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토퍼(250)는 걸림탄성부(220)는 처짐방지탄성부(510)와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353)는 걸림돌출부(320)와는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출부(320)는 저장프레임(390)의 측벽상에 마련될 수 있고, 걸림돌기(353)는 측방향을 기준으로 저장프레임(390)의 중앙측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250)와 걸림돌기(353)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스토퍼(250)는 걸림돌기(353)를 마주보며걸림돌기(353)가 접촉되는 편평면을 가질 수 있고, 걸림돌기(353) 또한 스토퍼(250)를 마주보며 스토퍼(250)가 접촉되는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바(350)는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으로부터 상기 광폭부(703)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71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전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걸림바(350)는 광폭부(703)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이탈방지돌기(710)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세제수용후방벽(645)으로부터 광폭부(703)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걸림바(350)는 후단부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645)에 고정될 수 있고, 광폭부(703)의후방벽을 향하는 전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하며 가압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바(35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사이에는 걸림돌기(353)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350)는 탄성 변형되어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걸림바(350)의 전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3에는 도 22의 걸림바(350) 전단부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유닛(300)은 걸림바(350)의 전단부 하방에 상기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하방 이동될 수 있는 변형공간(35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공간(359)은 광폭부(703)의 후방에 해당되고, 세제컵(700) 후단부(702)의 측방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변형공간(359)에는 이탈방지돌기(71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돌기(710)는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하방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걸림바(35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350)는 상기 전단부 상면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35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352)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단부가 상기 변형공간(359)을 향해 이동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가압부(352)에는 사용자가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공간(359)의 폭은 걸림바(350)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즉, 광폭부(703)의 폭은 걸림바(350)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가압되어 하방 이동되면, 걸림바(3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53) 또한 하방 이동된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돌기(353)와 스토퍼(250)가 중첩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완전히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걸림돌기(353)가 상기 스토퍼(2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바(350)의 상기 전단부, 상기 세제수용부(340) 및 상기 세제컵(700)은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53)와 스토퍼(250)가 접촉되면 저장유닛(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이고, 이 때 걸림바(350)의 전단부,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돌기(353)와 스토퍼(250)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되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저장유닛(300)을 인출한 상황에서,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고, 필요 시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바(350) 전단부를 가압하여 걸림돌기(353)를 하방 이동시키고 저장유닛(300)을 완전히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바(350)는 상기 걸림돌기(353)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벤딩되는 벤딩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및 2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벤딩부(356)가 도시되어 있다. 벤딩부(356)는 절곡되거나 휘어진 형태로 마련되어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강성을 가진채로 형태를 유지하면서, 가압부(352)가 가압되면 상기 벤딩부(356)가 변형을 일으켜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벤딩부(356)는 걸림바(35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달리 탄성이 높은 소재로 마련되거나, 전체로서 일체로 성형되되 휘어진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20 및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또는 디스펜서유닛(200)은 가이드돌기(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55)는 상기 스토퍼(250)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2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350)의 상기 전단부가 상기 스토퍼(25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돌기(353)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함입되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관통홈(354)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353)는 상기 관통홈(354)이 상기 가이드돌기(255)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스토퍼(250)에 접촉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인출 과정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걸림바(350)의 전단부는 사용환경에 따라서 의도치 않게 스토퍼(250)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저장유닛(300)을 인출하지 못하게 되고, 세제저장통(310) 또는 세제수용부(340)가 개구부(15)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스토퍼(250)가 접촉되어 저장유닛(300)의 인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가이드돌기(255) 및 관통홈(354)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55)는 스토퍼(250)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관통홈(354)은 상기 가이드돌기(255)와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353)는 관통홈(354)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255)는 스토퍼(2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걸림바(350)가 의도치 않게 전단부가 상기 스토퍼(250)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바(350)의 전단부는 스토퍼(250)에 도달하기 전 가이드돌기(255)에 의해 높이가 스토퍼(250) 이하로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250)에 도달한 걸림바(350)의 전단부는 가이드돌기(255)에 의해 스토퍼(25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스토퍼(250)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한편, 걸림돌기(353)는 중앙에 관통홈(354)이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55)에 의해 관통홈(354)이 관통되는 상태로 전방 이동되므로, 가이드돌기(255)에 의한 이동의 제한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걸림돌기(353)가 스토퍼(250)에 도달하게 되면, 관통홈(35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걸림돌기(353)가 가이드돌기(255)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스토퍼(250)와 중첩되어 접촉되며, 따라서 설정인출거리에서 걸림돌기(353)는 온전히 스토퍼(250)와 접촉되고 저장유닛(300)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돌기(255)는 상기 가이드돌기(255)는 상기 스토퍼(25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점차 감소되어 하면이 경사질 수 있다. 도 20 및 21에는 경사진 하면을 가지는 가이드돌기(255)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돌기(255)가 후방을 향할수록 돌출된 길이 또는 높이가 감소되게 하면이 경사짐에 따라서, 의도치 않게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가이드돌기(255)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진 하면을 따라 걸림바(350)의 전단부가 자연스럽게 스토퍼(25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유도되므로, 걸림바(350)의 의도치 않은 중첩 상황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4에는 세제저장통(31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에는 세제저장통(310)의 캡부재(330) 및 케이스(339)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은 각각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앙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세제수용부(340) 및 상기 세제컵(70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저장통(310),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의 배치는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는 세제투입홀(312)이 마련되는 세제투입부(313)일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가 세제투입부(313)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전술한 설정인출거리만큼만 인출하더라도 세제투입홀(312)에 세제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는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밸브(380)가 구비되는 세제배출부(317)일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 내부의 세제, 예컨대 제1세제는 세제밸브(380)를 통해 세제저장통(3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의 중앙부는 연결부(315)일 수 있다. 즉, 연결부(315)는 세제투입부(313)와 후술하는 세제배출부(317)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5)에 해당되는 중앙부는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은 중앙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입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은 중앙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벽이 멀어지도록 마련되어 전단부 및 후단부보다 상기 중앙부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은 중앙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은 저장프레임(390)에서 세제수용영역(650)일 수 있다. 상기 세제수용영역(650)에는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과 함께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마련되면서 저장프레임(390)의 중앙측에 상기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이 배치되고, 세제저장통(310)은 세제수용부(340) 및 세제컵(70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저장프레임(390)의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가 상호 분할된 복수의 세제 저장 공간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는 세제저장통(310)은 서로 동일한 세제가 저장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세제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세제저장통(310)에는 제1세제, 세제수용부(340)에는 제2세제, 세제컵(700)에은 제3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세제저장통(310)에는 서로 다른 제11세제 및 제12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세제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300)의 활용 방식 중 하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와 같이 구분된 세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액상 세제, 가루세제, 섬유유연제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세제를 구분하여 상기한 복수의 세제 저장 공간에 각각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은 도 24와 같이 케이스(339) 및 캡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39)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캡부재(330)는 상기 케이스(339)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339) 및 캡부재(330)는 저장프레임(390)과 대응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캡부재(33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는 케이스(339)의 측벽 단부가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5) 내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는 세제저장통(3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세제수용전방벽(641)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수용전방벽(641)의 전방에는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 즉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부(313)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6에는 세제저장통(310)에서 세제투입부(313)측의 캡부재(330)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7에는 도 7의 저장유닛(300)을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는 세제저장통(310)에서 돌출된 파지부(332)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 내지 2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중앙부보다 상기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부(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저장통(310)은 전단부에 해당되는 세제투입부(313)가 중앙부에 해당되는 연결부(315)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따라서 세제투입부(313)는 연결부(315)보다 폭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위는 세제수용영역(650), 즉 세제수용전방벽(64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돌출부위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부(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332)는 상기 돌출부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세제수용영역(650), 즉 세제수용부(340)의 개방된 상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파지부(33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후술할 내용과 같이 파지부(332)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렌지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에 파지부(332)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프레임(390)에 결합된 세제저장통(31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지부(332)를 파지하여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332)는 상기 캡부재(330)로부터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상기 상면을 향해 상기 케이스(339)의 상기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3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재(330)는 플렌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렌지부(333)는 상기 케이스(339)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플렌지부(333)는 상기 캡부재(330)에서 상기 케이스(339)의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돌출 부위에 해당될 수 있다. 플렌지부(333)는 캡부재(330)의 테두리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테두리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렌지부(333)는 캡부재(330)로부터 세제수용전방벽(641)과 세제수용측벽(643)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렌지부(333)에는 파지부(332)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332)는 세제수용전방벽(641)의 상방을 넘어 세제수용부(34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332)에는 플렌지부(333)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331)가 마련될 수 있다. 파지부(332)는 플렌지부(333)의 일부로서 마련됨에 따라, 케이스(33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사용자는 세제저장통(310)으로부터 캡부재(330)를 분리시키기 위해 파지부(332)를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부(332)는 케이스(339)의 상면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게 마련된다.
도 27에는 케이스(339)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세제수용부(340)의 개방된 상면상에 위치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331)가 형성된 파지부(332)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파지부(332)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331)가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파지부(332)를 파지하는 것이 유리해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파지부(332)를 파지할 때 손가락이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331)에 걸려져 효과적으로 파지부(332)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32)는 세제수용부(3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세제수용부(340)에 수용된 세제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저장통(310) 및 세제수용부(340)는 저장프레임(390)과 함께 개구부(15)로부터 인출되거나 개구부(15)로 인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운동에 의해 상면이 개방된 세제수용부(340)는 내부의 세제가 관성이나 충격으로 외부로 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캡부재(330)의 플렌지부(333) 및 파지부(332)가 세제수용부(340)의 상부까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세제수용부(340)로부터 비산되거나 튀어오르는 세제의 이동을 차단하고, 세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지부(332)는 연장된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331)가 형성되므로, 상기 돌기(331)가 세제수용부(340)로부터 튀어오르는 세제의 운동을 억제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예컨대, 파지부(332)를 향해 튀어오르는 세제는 파지부(332)의 연장면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 못하고 다시 세제수용부(340)로 복귀되지만, 복귀과정에서 여전히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복귀되는 세제가 세제수용부(340) 내부의 세제에 충격을 가하거나 운동력을 전달하여 또 다른 세제의 비산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지부(332)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331)가 마련됨으로써, 파지부(332)의 연장면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한 세제가 파지부(332)의 돌기(331)에 의해 다시 한번 이동이 억제되면서 속도가 크게 감소되고, 따라서 비산된 세제가 다시 세제수용부(340)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운동력이 크게 감소되고 안정적인 복귀가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수용부(340)는 전방 및 측방에 상기 세제저장통(310)이 위치되고, 상기 플렌지부(333)는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상면 중 전방 및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플렌지부(333)는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부에 상기 파지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세제수용부(340)의 전방과 측방에 각각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가 세제수용부(340)의 전방과 측방에 모두 위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플렌지부(333)는 세제수용부(340)의 전방측에 파지부(332)가 형성되므로,세제수용부(340)의 전방으로 세제가 튀어오르는 상황이 파지부(332)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전후방향을 따라 개구부(15) 내부에서 이동되므로, 세제는 전방측으로 튀어오르기 용이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수용부(340)의 상면중 전방과 측방에 위치되는 플렌지부(333)에서 세제수용부(340)의 전방측에 상기 파지부(332)를 배치하여 세제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으로부터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황이나 완전히 인출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세제수용부(34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파지부(332)를 파지하므로 효율적으로 세제저장통(310)의 케이스(339)에서 캡부재(330)를 분리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도 24에는 캡부재(330)에 결합되는 세제캡(720)이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세제캡(720)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는 세제캡(720)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0에는 세제캡(720)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1에는 세제저장통(310)의 캡부재(330)에 결합된 세제캡(720)의 단면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2에는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홀(312)을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8 내지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은 내부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세제투입홀(312)을 포함하고, 세제캡(720)은 세제투입홀(312)이 차폐되도록 세제저장통(310)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세제투입홀(312)을 통해 내부의 저장공간이 개방되며, 사용자는 세제투입홀(312)을 통해 세제를 상기 저장공간측으로 투입할 수 있다. 세제투입홀(312)의 위치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부재(330)에 세제투입홀(312)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투입홀(312)은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 즉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부(313)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1 및 32를 참고하면, 세제저장통(310)은 캡지지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지지부(760)는 상기 세제투입홀(312)을 둘러싸고 상기 세제캡(7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1 및 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캡(72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후술할 캡플렌지부(726)를 상방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 캡지지부(76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캡지지부(760)는 캡부재(33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캡부재(330)에 결합될 수 있다. 캡지지부(760)는 세제투입홀(312)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은 세제투입홀(3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폐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2에는 원형 단면의 세제투입홀(312)에 대응되도록 원 형상의 링 형상을 가지는 캡지지부(760)가 도시되어 있다.
캡지지부(760)는 캡부재(330)의 외면 일부에 해당될 수도 있고, 캡부재(330)의 외면으로부터 단차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외면과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1 및 32에는 캡부재(330)의 외면으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캡지지부(76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세제캡(720)은 캡몸체부(723) 및 캡플렌지부(726) 및 플렌지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캡몸체부(723)는 적어도 일부가, 예컨대 캡몸체부(723)의 단부는 세제투입홀(3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캡몸체부(723)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캡몸체부(723)의 단면 형상은 세제투입홀(3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세제투입홀(312)에 삽입되는 캡몸체부(723)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캡몸체부(723)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세제투입홀(31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캡몸체부(723)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예컨대 도 31과 같이 세제캡(720)이 세제저장통(3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는 하단부가 세제저장통(3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플렌지부(726)는 캡몸체부(723)로부터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어 세제캡(7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캡플렌지부(726)는 세제저장통(3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캡지지부(760)상에 위치되어 캡지지부(7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캡플렌지부(726)의 단면 형상은 캡지지부(760)와 대응될 수 있다. 도 28 내지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략 원형 링 형상을 가지는 캡플렌지부(726)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플렌지부(726)가 세제저장통(310)의 캡지지부(760)상에 지지됨으로써, 세제캡(720)이 세제저장통(310)에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통기부는 세제캡(720)에 마련되어 세제저장통(310) 내부의 저장공간과 세제저장통(31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기부는 플렌지연장부(730), 통기공간(747) 및 개방홈(749)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는 캡플렌지부(726)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는 캡플렌지부(726)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캡몸체부(723)의 반대측을 향하는, 즉 외부를 향하는 외측단부(732)가 캡플렌지부(726)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고, 캡몸체부(723)를 향하는 내측단부(731)는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는 캡플렌지부(726) 내부에 형성되는 홀 또는 캡플렌지부(726)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는 외측단부(732)에서 내측단부(731)까지 연통되며, 외측단부(732)가 캡플렌지로부터 외부로 개방되고, 내측단부(731)가 저장공간과 연통됨에 따라, 저장공간은 플렌지연장부(730)를 포함하는 통기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어 통기된다.
도 28에는 세제캡(720)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캡플렌지부(726)에 마련되는 플렌지연장부(73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는 플렌지연장부(730)를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 즉 플렌지연장부(730)의 연장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를 참고할 때, 플렌지연장부(730)의 외측단부(732)는 반경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내측단부(731)는 캡몸체부(723)를 마주보며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와 저장공간이 연통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는 캡몸체부(723)측에서 개방될 수 있고, 캡몸체부(723)와 세제저장통(310)의 캡부재(33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내측단부(731)가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캡몸체부(723)의 내부에 저장공간을 향해 개방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되고,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가 상기 캡몸체부(723) 내부의 홀 또는 홈과 연통되어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도 있다.
도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내용과 같이 캡플렌지부(726)의 하면에 홈 형태의 플렌지연장부(73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투입홀(312)을 차폐하는 세제캡(720)에 플렌지연장부(730)를 마련하고,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부와 저장공간을 연통시킴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제가 플렌지연장부(73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에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세제저장통(310)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세제저장통(310) 내부의 세제에 유동이 발생되어 플렌지연장부(7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여지가 있다.
예컨대, 전후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세제는 세제저장통(310)의 내측면에 부딪혀 상승 또는 비산하게 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승 유동되거나 비산되는 세제가 플렌지연장부(73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캡(720)에 플렌지연장부(730)를 마련하고,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세제투입홀(312)을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저장공간의 세제가 상승 유동 또는 비산되더라도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렌지연장부(73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렌지연장부(730)는 세제캡(720)의 캡플렌지부(726)에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플렌지연장부(730)가 마련되더라도 상하방향으로 직접 저장공간입 개방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세제의 외부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컨대, 캡플렌지부(726)는 세제투입홀(312)과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따라서 캡플렌지부(726)에 형성되는 플렌지연장부(730) 또한 대체로 세제투입홀(312)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제캡(720)의 캡플렌지부(726)에 플렌지연장부(73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플렌지연장부(730) 및 세제투입홀(312)과의 관계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접 저장공간이 개방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저장공간에 내부에서 상승 또는 비산되는 세제가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도 29 내지 3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상기 캡플렌지부(726)에서 상기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일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캡지지부(760)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렌지연장부(730)는 캡플렌지부(726)에서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일면상에 마련되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캡(720)이 하방으로 상기 세제투입홀(312)에 결합되고,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캡플렌지부(726)에서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하면상에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플렌지연장부(730)는 캡지지부(7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세제캡(720)의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입된 홈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연장부(730)는 상기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9 내지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플렌지부(726)의 하면에 플렌지연장부(730)가 홈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상방으로 만입되며, 하면이 개방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플렌지연장부(730)가 홈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는 캡몸체부(723)측에서 상기 캡몸체부(723)와 캡지지부(760)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고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캡플렌지부(726)에서 상기 세제투입홀(3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플렌지연장부(730)의 수는 다양할 수 있고, 세제투입홀(3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플렌지연장부(730)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및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플렌지연장부(730)가 상기 세제캡(720)에서 캡몸체부(72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렌지연장부(730)를 복수개로 마련하여 서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세제캡(720)이나 캡지지부(760)의 변형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플렌지연장부(730)가 막히더라도, 나머지 플렌지연장부(730)에 의해 저장공간과 외부간의 통기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9 및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캡(720)에 마련되는 캡실러(7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 및 3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캡(720)은 캡실러(740)를 더 포함하고, 캡실러(740)는 상기 캡플렌지부(726)의 상기 일면과 상기 캡지지부(76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캡몸체부(723)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캡플렌지부(726)와 상기 캡지지부(76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연장부(7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개방면이 상기 캡실러(7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캡실러(740)는 캡플렌지부(726) 및 캡지지부(760)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실러(740)의 중앙에는 세제투입홀(312) 및 캡몸체부(723)가 위치될 수 있다. 캡실러(740)는 캡플렌지부(726)에서 캡지지부(760)를 향하는 일면과 캡지지부(7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플렌지부(726)와 캡지지부(760) 사이는 캡실러(740)에 의해 실링되고 세제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캡실러(740)는 캡플렌지부(726)와 캡지지부(760) 사이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며, 캡플렌지부(726)가 캡지지부(760)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캡플렌지부(726)는 캡실러(740)를 통해 캡지지부(76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지지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캡실러(740)는 캡몸체부(723)와 별개로 마련되어 캡몸체부(723)사에 결합될 수 있다. 캡실러(740)는 캡몸체부(723) 또는 캡플렌지부(726)보다 탄성이 높고 변형성이 높은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캡실러(740)는 캡플렌지부(726)와 캡지지부(760) 사이에서 압축 및 변형되어 캡플렌지부(726)와 캡지지부(76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한편, 홈 형상을 가지는 플렌지연장부(730)에서 개방면은 상기 캡실러(740)를 마주보게 되고, 상기 개방면은 반경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캡실러(7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도 29 및 30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렌지연장부(730)는 접착방지리브(7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방지리브(737)는 상기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으로부터 상기 캡실러(740)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실러(740)를 상기 함입면(735)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렌지연장부(730)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플렌지연장부(730)에서 캡지지부(7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컨대 상방으로 함입되는 플렌지연장부(730)는 내측의 함임면을 가지고 외측으로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9 및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플렌지부(726)의 하면에 플렌지연장부(730)가 형성되고, 플렌지연장부(730)는 상방으로 함입된 함입면(735)을 가지며, 하면이 개방면을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접착방지리브(737)는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으로부터 캡실러(74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접착방지리브(737)는 플렌지연장부(730)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캡실러(740)와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캡(720)이 세제저장통(310)에 결합되는 상황에서, 캡실러(740)는 캡플렌지부(726)와 캡지지부(760)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캡실러(740)의 일부가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에 접촉 또는 접착될 여지가 있다.
위와 같이 캡실러(740)가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임면에 접촉되는 경우, 플렌지연장부(7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막히게 되고, 저장공간과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착방지리브(737)를 마련하고, 접착방지리브(737)를 통해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에 캡실러(740)가 접촉 또는 접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에는 플렌지연장부(730)의 함입면(735)으로부터 돌출된 접착방지리브(737)를 반경방향, 즉 접착방지리브(737)와 플렌지연장부(730)의 연장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0에는 플렌지연장부(730)의 개방면을 통해 접착방지리브(737)를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0 및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캡(720)은 실러고정부(7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러고정부(745)는 상기 캡플렌지부(726)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캡몸체부(723)로부터 상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캡몸체부(723)를 둘러싸도록 연장될수 있다.
실러고정부(745)는 캡몸체부(723)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또는 플렌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몸체부(723)로부터 돌출되는 링 형상의 플렌지 형태를 가지는 실러고정부(745)가 도시되어 있다.
실러고정부(745)는 캡플렌지부(726)와 이격 배치되며, 캡플렌지부(726)보다 저장공간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캡(720)은 하방으로 세제투입홀(312)에 삽입 및 고정되고, 실러고정부(745)는 캡플렌지부(726)보다 하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캡플렌지부(726)와 실러고정부(745) 사이에서 캡실러(74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캡실러(740)는 내측삽입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삽입부(742)는 상기 캡플렌지부(726)와 상기 실러고정부(745)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캡실러(740)는 캡몸체부(723)를 향하는 내측부가 내측삽입부(742)를 형성할 수 있다. 캡실러(740)의 내측삽입부(742)는 캡몸체부(723)를 마주보며, 캡플렌지부(726)와 실러고정부(745) 사이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삽입부(742)는 상기 캡몸체부(723)와 이격되어 상기 상기 캡몸체부(723)와의 사이에 통기공간(74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연장부(730)의 상기 내측단부(731)는 상기 통기공간(747)과 연통되고, 상기 통기공간(747)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캡플렌지부(726)와 실러고정부(745) 사이에 삽입되는 캡실러(740)의 내측삽입부(742)는 캡몸체부(723)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삽입부(742)와 캡몸체부(723) 사이에 형성되는 통기공간(747)은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와 연통됨과 동시에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연장부(730)는 내측단부(731)에서 저장공간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즉,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는 통기공간(747)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면에 해당되어 상기 통기공간(747)과 연통될 수 있다.
통기공간(747)은 캡몸체부(723)의 형상이나 실러고정부(745)에 형성되는 개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은 통기공간(747)과 연통되고, 통기공간(747)은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와 연통되며,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는 세제캡(720)의 외부로 개방되는 외측단부(732)와 연통됨으로써, 저장공간과 외부간에 공기가 공유될 수 있다.
한편, 도 30 및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러고정부(745)에는 상기 캡몸체부(723)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통기공간(747)을 상기 저장공간측으로 개방시키는 개방홈(749)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렌지연장부(730)는 상기 통기공간(747) 및 상기 개방홈(749)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실러고정부(745)의 개방홈(749)은 실러고정부(745)의 외주면으로부터 캡몸체부(723) 또는 세제투입홀(312)의 중앙을 향해 함입될 수 있다. 개방홈(749)은 통기공간(747)을 향하는 일면 및 저장공간을 향하는 타면이 모두 개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기공간(747)이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개방홈(749)이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함입되는 깊이는 내측삽입부(742)가 캡플렌지부(726) 및 실러고정부(745) 사이에 삽입된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즉, 개방홈(749)에 의해 저장공간이 통기공간(747)을 향해 세제캡(720)의 삽입방향을 따라 직접 노출되는 노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 외부의 공기는 플렌지연장부(730), 통기공간(747) 및 개방홈(749)을 통해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공간과 세제저장통(310) 외부간의 공기 유동 경로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지지부(760)와 세제투입홀(312)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캡지지부(760)와 연결되는 캡고정플렌지(765)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은 캡고정플렌지(7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고정플렌지(765)는 상기 세제투입홀(312)을 둘러싸도록 연장되고, 상기 캡지지부(76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세제캡(720)은 캡고정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캡고정다리는 캡고정플렌지(765)에 의해 지지되어 세제캡(720)이 세제투입홀(312)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캡고정다리는 캡몸체부(723)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제캡(720)이 고정되도록 적어도 일부, 예컨대 후술할 다리걸림부(753)가 캡고정플렌지(765)에 지지될 수 있다.
캡고정다리는 다리연장부(751) 및 다리걸림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연장부(751)는 상기 캡몸체부(723)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리걸림부(753)는 상기 다리연장부(751)로부터 상기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캡몸체부(72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고정플렌지(765)에서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는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고정플렌지(765)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캡지지부(760)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캡(720)이 세제저장통(3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삽입 결합되는 경우, 캡고정플렌지(765)는 캡지지부(760)보다 하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고정플렌지(765)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캡고정플렌지(765)의 외경은 캡지지부(76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고, 후술할 내용과 같이 캡고정플렌지(765)는 캡연결부(763)를 통해 캡지지부(76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지지부(760)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캡지지부(760)의 내측에 위치되는 캡고정플렌지(765)가 도시되어 있다.
다리연장부(751)는 세제캡(720)의 캡몸체부(723)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리연장부(751)는 캡몸체부(723)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돌출되는 바 또는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리연장부(751)는 캡몸체부(723)의 측면 또는 캡몸체부(723)에서 저장공간을 향하는 단부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리연장부(751)는 캡몸체부(723)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캡몸체부(723) 하면의 둘레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리걸림부(753)는 다리연장부(751)로부터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걸림부(753)는 다리연장부(751)로부터 캡고정플렌지(76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리걸림부(753)는 다리연장부(75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리걸림부(753)는 캡플렌지부(726)를 향하는 일면이 캡고정플렌지(765)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캡고정플렌지(765)는 저장공간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다리걸림부(753)가 접촉될 수 있다. 다리걸림부(753)가 캡고정플렌지(765)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은 세제캡(720)의 삽입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세제캡(720)은 다리걸림부(753)가 캡고정플렌지(765)에 의해 상기 삽입방향으로 지지되고, 캡플렌지부(726)가 캡지지부(760)에 의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세제저장통(3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캡(720)이 세제투입홀(312)을 향해 하방으로 삽입 및 결합될 수 있고, 다리연장부(751)는 캡몸체부(72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리걸림부(753)는 다리연장부(751)의 하단부로부터 세제투입홀(31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지지부(76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캡고정플렌지(765)의 하면에 다리걸림부(753)의 상면이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다리연장부(751)는 캡몸체부(723)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다리연장부(751)의 양측으로 공기의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실러(740)와 캡몸체부(723) 사이의 통기공간(747)은 실러고정부(745)의 개방홈(749)을 통해 저장공간측으로 개방되고, 다리연장부(751)를 지나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도 31에는 세제저장통(31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을 향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세제저장통(310) 외부의 공기는 플렌지연장부(730)의 외측단부(732), 플렌지연장부(730)의 내측단부(731), 캡실러(740)와 캡몸체부(723) 사이의 통기공간(747), 실러고정부(745)의 개방홈(749) 및 다리연장부(751)의 양측을 지나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 경로는 저장공간의 공기가 세제저장통(310) 외부로 유출되는 경로와 동일하다.
한편, 도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저장통(310)은 캡연결부(7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연결부(763)는 상기 캡지지부(76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몸체부(723)를 둘러싸며 상기 캡지지부(760)와 상기 캡고정플렌지(765)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캡연결부(763)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캡몸체부(723)와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연결부(763)는 캡지지부(760)에서 저장공간을 향하는 일면, 예컨대 도 31에서 캡지지부(760)의 하면으로부터 저장공간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캡연결부(763)는 캡지지부(760)에서 캡몸체부(723)를 향하는 내측단 또는 내경부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연결부(763)는 바 또는 빔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도 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캡연결부(763)가 원통 형상으로 가지며 캡지지부(76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원통 형상 또는 세제캡(720)의 삽입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는 링 형상의 캡연결부(763)는 캡몸체부(723)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저장공간을 향하는 일단부에 캡고정플렌지(765)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캡지지부(760)가 연결될 수 있다. 캡연결부(763)에 의해 캡고정플렌지(765)는 캡지지부(760)로부터 저장공간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캡연결부(763)의 내주면은 캡몸체부(723)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캡연결부(763)는 중앙에 배치되는 캡몸체부(723)와 이격될 수 있다. 캡연결부(763)와 캡몸체부(723)간의 이격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고정플렌지(765)에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다리연장부(751)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는 다리통과홈(7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통과홈(767)은 상기 세제캡(720)의 삽입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상기 캡몸체부(723)는 상기 세제투입홀(312)에 삽입되면서 상기 다리고정부가 상기 다리통과홈(767)을 통과할 수 있다.
다리통과홈(767)은 세제캡(72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다리걸림부(753)의 출입구에 해당될 수 있다. 다리통과홈(767)은 캡고정플렌지(765)의 내주면으로부터 캡몸체부(723)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될 수 있고, 저장공간을 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의 타면이 개방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리통과홈(767)의 단면 형상은 다리걸림부(753)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고, 다리걸림부(753)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걸림부(753)는 세제캡(720)이 세제투입홀(31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다리통과홈(767)의 개방된 일면 및 타면을 통과하며 저장공간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캡(720)의 다리걸림부(753)가 캡고정플렌지(765)의 다리통과홈(767)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세제캡(720)을 세제투입홀(312)에 삽입시킬 수 있고, 다리걸림부(753)가 다리통과홈(767)을 통과한 상태에서 세제캡(720)을 세제투입홀(3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다리걸림부(753)가 캡고정플렌지(765)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은 상면에 상기 세제투입홀(312)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제저장통(31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771)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다리(771)로부터 상기 하면과 나란하게 돌출되고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다리보강리브(77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저장통(310)의 상면에 세제투입홀(312)이 형성될 수 있고,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는 지지다리(77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다리(771)는 저장프레임(390)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세제저장통(3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다리(771)는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3및 34에는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 마련된 지지다리(771)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다리(771)의 돌출된 높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지지다리(771)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세제저장통(310)의 길이방향, 즉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다리(771)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지지다리(771)에는 다리보강리브(773)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리보강리브(773)는 지지다리(771)로부터 세제저장통(310)의 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리보강리브(773)는 지지다리(771)와 함께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다리보강리브(773)는 세제저장통(310)의 하면 및 지지다리(771)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다리(771)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보강리브(773)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다리(771)에는 세제저장통(310) 및 세제저장통(310)에 저장되는 세제, 예컨대 제1세제의 하중이 전달되며, 지지다리(771)에 다리보강리브(773)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771) 및 지지다리(771)가 돌출되는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한편, 도 34에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는 상기 제1세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센서(610)가 설치되고, 상기 잔량감지센서(610)의 센서단자(612)가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상기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는 잔량감지센서(610)가 설치될 수 있고, 잔량감지센서(610)는 세제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잔량감지센서(610)은 세제저장통(310)의 세제 잔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잔량 미만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잔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세제량에 해당될 수 있다.
잔량감지센서(610)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컨대, 잔량감지센서(610)는 세제저장통(310)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의 전류 또는 전압에 따라 세제의 존부 및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잔량감지센서(610)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별개로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잔량감지센서(610)는 센서단자(612)를 포함하며, 잔량감지센서(610)의 측정값을 상기 센서단자(612)를 통해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제어부 등에 전달될 수 있다.
센서단자(612)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이 저장프레임(39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면, 하우징(10) 내부에 미리 구비된 수용단자와 상기 센서단자(612)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량감지센서(610)가 세제저장통(31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잔량감지센서(610)의 센서단자(612)가 세제저장통(310)의 후면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5에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 즉 세제배출부(317)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상기 후단부에는 내부로부터 상기 잔량감지센서(610)를 노출시키는 센서점검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점검홀(614)은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센서점검홀(614)은 세제저장통(310)의 캡부재(330)에서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점검홀(614)은 잔량감지센서(6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잔량감지센서(610)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세제저장통(310) 내부의 잔량감지센서(6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점검홀(614)은 홀마개가 결합되어 차폐될 수 있으며, 홀마개는 적어도 일부가 센서점검홀(614)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센서점검홀(614)로부터 홀마개를 분리하여 세제저장통(310) 내부측에서 잔량감지센서(610)를 확인할 수 있다.
잔량감지센서(610)는 전극 등과 같이 세제의 저장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극 등은 세제저장통(3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잔량감지센서(610)의 사용과정에서 세제의 잔여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잔량감지센서(610)에 점착되는 경우, 잔량감지센서(610)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에 센서점검홀(614)을형성하고, 사용자는 센서점검홀(614)을 통해 잔량감지센서(610)를 확인하거나 청소수단을 투입하여 잔량감지센서(610)를 청소할 수 있다.
다시 도 3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상기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잔량감지센서(610)의 설치부위를 지나도록 연장되는 후면보강리브(616)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 소재로 성형될 수 있고,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는 잔량감지센서(610)가 구비되므로 하중이 증가되어 손상 및 변형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면보강리브(616)가 마련될 수 있다. 후면보강리브(616)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잔량감지센서(610)와 저장유닛(300)의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고, 나머지가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후면보강리브(616)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잔량감지센서(610) 또는 잔량감지센서(610)의 설치부위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보강리브(616)에 의해 세제저장통(310)의 후면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리보강리브(773)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4에는 세제밸브(380)가 결합되는 밸브홀(397)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6에는 세제밸브(380)가 결합되고 저장프레임(390)에 삽입된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 및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는 상기 제1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밸브(380)가 설치되고, 상기 세제밸브(380)의 후단부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세제밸브(380)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 마련되는 밸브홀(397)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밸브홀(397) 및 세제밸브(380)는 상기 후면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의 제1세제는 세제밸브(380)를 통해 세제저장통(3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제밸브(380)는 일부가 밸브홀(397)을 통해 세제저장통(3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가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밸브(380)는 전단부가 세제저장통(310) 내부로 삽입되고 후단부가 세제저장통(3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면, 하우징(10) 내부에 미리 구비된 세제펌프의 유입포트가 세제밸브(38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내부의 제1세제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3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에서 상단부에 센서단자(612)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세제밸브(380)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프레임(390)의 후면이 상기 센서단자(612) 및 상기 세제밸브(380)에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상기 센서단자(612) 및 상기 세제밸브(38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은 저장프레임(3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단자(612) 및 세제밸브(380)가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면 수용단자 및 유입포트가 센서단자(612) 및 세제밸브(38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프레임(390)의 후면에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센서단자(612) 및 상기 세제밸브(38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홀딩부(620)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90)의 후면은 센서단자(612) 및 세제밸브(380)와 대응되는 부위가 개방될 수 있고, 저장프레임(390)의 후면에는 센서단자(612)와 세제밸브(38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홀딩부(620)가 마련될 수 있다.
홀딩부(620)는 저장프레임(390)의 폭방향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저장프레임(390)의 후면은 도 48에 도시된 것처럼 홀딩부(620)의 상부측과 하부측이 모두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부(332)를 쥐고 세제저장통(310)을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경우, 홀딩부(620)에 의해 세제밸브(38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부(313)가 세제배출부(317)보다 먼저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분리되고, 통기홀을 통해 세제가 누출되는 것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도 3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이 표시되는 잔량표시부(780)가 마련될 수 있다.
잔량표시부(780)는 숫자 또는 문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세제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의 파지부(332)를 파지하여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세제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잔량표시부(780)는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부(313)가 세제배출부(317)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잔량표시부(780)가 상기 저장공간의 최하단으로부터 상기 잔량표시부(780)의 높이에 대응되는 세제 잔량을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저장프레임(390)으로부터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 즉 세제저장통(310)의 세제투입부(313)는 세제저장통(310)의 후단부, 즉 세제저장통(310)의 세제배출부(317)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에 마련되는 파지부(332)를 파지하여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게 되면,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이 사용자를 향하며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은 저장공간의 최하단이 될 수 있다.
이 때,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 마련된 잔량표시부(780)는 저장공간의 최하단, 즉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잔량표시부(780)까지의 높이에 대응되는 세제량을 표시할 수 있다.
잔량표시부(780)에는 세제 잔량의 기준이 되는 눈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눈금에 해당되는 세제 잔량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잔량 표시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일 수 있으며,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을 하방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에 의해 읽힐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량표시부(78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이웃하는 어느 한 쌍의 잔량표시부(780)는 각각의 세제 잔량 표시가 미리 결정된 1회소모량만큼 차이를 가지도록 이격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잔량표시부(78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잔량표시부(780)는 세제저장통(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통(310)의 길이방향은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린 경우 저장공간의 높이방향일 수 있다.
이웃하는 한 쌍의 잔량표시부(780)간의 이격거리는 세제의 1회소모량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세탁 과정이 진행될 때 소모되는 세제의 1회소모량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한 쌍의 잔량표시부(780)는 서로간의 세제 잔량 표시가 상기 1회소모량만큼 차이를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도 33를 참고하면, 저장공간의 최하단, 즉 세제저장통(310)의 후면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잔량표시부(780)가 가지는 높이 H1과 이웃하는 잔량표시부(780)의 높이 H2간의 높이 차이는 세제의 상기 1회소모량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저장통(310)의 저장공간에 세제가 최대로 충전된 상태로부터 수회의 세탁 과정이 진행되면,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세제의 계면은 복수의 잔량표시부(780) 중 어느 하나의 눈금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인접할 수 있고, 사용자는 향후의 세탁 가능 횟수 또는 세제의 보충 시기를 파악할 수 있어 저장유닛(300)의 효과적인 활용과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잔량표시부(780)는 상기 세제저장통(310)에서 상기 하면의 제1투명도보다 높은 제2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세제 잔량을 나타내는 문자가 각인될 수 있다.
플라스틱 등으로 마련되는 세제저장통(310)은 후면은 미리 결정되는 제1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투명도는 빛이 투과되는 정도에 비례할 수 있고 빛이 반사되는 정도에 반비례할 수 있다.
한편, 잔량표시부(780)는 세제 잔량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제1투명도보다 높은 제2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3에는 각 잔량표시부(780)의 표시영역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세제저장통(310)에서 잔량표시부(780)와 나머지 부분의 투명도 차이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저장통(310)의 하면에는 에칭 또는 기타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제1투명도를 가질 수 있고, 잔량표시부(780)에는 상기 표면 처리를 생략함으로써 제1투명도보다 높은 제2투명도를 형성할 수 있다.
잔량표시부(780)의 세제 잔량 표시는 문자 또는 숫자일 수 있고, 세제 잔량 표시는 세제저장통(310)에 각인된 형태일 수 있다. 잔량표시부(780)의 표시영역은 제1투명도보다 높은 제2투명도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잔량표시부(780)의 인식율이 높아지고, 문자의 식별력 또한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 3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7의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을 상방에서 바라본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 모습에 해당된다.
도 38에는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9에는 공급케이스(400)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7 내지 3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세제수용부(340) 및 상기 세제수용부(340)와 연통되는 세제유출부(648)를 포함하고,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300)이 수용되고, 하부에는 상기 세제유출부(648)로부터 유출된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드레인홀(40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방에 위치되고, 하면에 물이 낙하되는 급수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260)는 상기 세제수용부(34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수용부(340)로 물을 공급하는 세제급수부(261) 및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위치되고,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에 물을 공급하는 전방샤워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의 세제수용부(340)는 내부의 세제가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유출되는 세제는 공급케이스(4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될 수 있고,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공급케이스(4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삽입되어 공급케이스(4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케이스(400)의 개방된 상면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이 위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상에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300)은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의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유출되는 세제는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상에 존재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는 하부에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드레인홀(402)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 내부에 존재하는 세제는 상기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공급케이스(400) 외부로 배출되며, 세제드레인홀(402)은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제공급장치(100)로부터 터브(20)로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유닛(200)은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 저장유닛(300) 및 디스펜서유닛(200)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은 하방으로 물을 낙하시키는 급수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260)는 디스펜서유닛(200) 내부의 물이 낙하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물이 낙하되어 저장유닛(300)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7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마련되는 급수부(26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 즉 디스펜서유닛(200)에서 하면의 상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공급호스(280)와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공급호스(280)로부터 전달받은 물은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급수부(260)로 전달되며, 급수부(260)는 상기 유로를 통해 전달된 물을 복수의 개구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부(260)는 세제급수부(261) 및 전방샤워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급수부(261)는 저장유닛(300)의 세제수용부(340)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수용부(340)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고, 세제급수부(261)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세제수용부(3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수용부(340)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하우징(1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고 세탁이 진행되면, 세제급수부(261)는 물을 낙하시키고, 세제급수부(261)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세제수용부(3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수용부(340)에 제공되며, 세제수용부(340)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는 물과 함께 저장프레임(390)의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외부, 즉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전방샤워부(265)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샤워부(265)는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인출하여 세제수용부(340)에 세제를 투입하고, 다시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 내부로 인입시켜 세탁을 준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저장유닛(300)은 세제수용부(340)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세제수용부(340)에 저장된 세제 중 일부가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저장유닛(3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세탁 진행 전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유출되는 세제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 상태, 즉 저장유닛(300)의 위치에 따라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 잔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저장유닛(300)을 전술한 설정인출거리 등과 같이 일정량만큼 인출한 상태에서 세제수용부(340)에 세제를 투입하는 경우, 세제수용부(340) 내부로부터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의도치 않게 누출되는 세제는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세제유출부(648)보다 전방측에 위치된다.
나아가, 세제공급장치(100)의 사용과정에서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 이물질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 예컨대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에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의 세제수용부(340)보다 전방측에 존재하는 세제 등은 세제급수부(261)로부터 물에 배출되더라도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에 전방샤워부(265)를 마련하고,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통해 공급케이스(400) 내부의 전단부를 세척할 수 있다.
도 38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급수부(260) 중 세제급수부(261) 및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낙하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전방샤워부(265)는 세제급수부(261)의 전방에 위치되고,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로 물을 공급하여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가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케이스(400)는 전방샤워홈(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은 상기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전단부(411)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입되어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샤워부(265)는 상기 전방샤워홈(403)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방샤워홈(403)으로 물이 낙하됨으로써 상기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 39에는 공급케이스(400)에 형성되는 전방샤워홈(403)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0 및 41에는 도 39의 전방샤워홈(403)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9 내지 41을 참고하면, 전방샤워홈(403)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에 형성되며, 전방샤워홈(403)은 전방샤워부(265)와 대응되도록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샤워홈(403)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에서 전단부(411)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은 공급케이스(400)의 내부로부터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함입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전방샤워홈(403)은 상면이 개방된다.
한편, 전방샤워부(265)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서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샤워부(265)는 전방샤워홈(403)의 상방에 위치되어 전방샤워홈(403)의 개방된 상면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의 개방된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전방샤워홈(403)을 따라 유동하여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부(265)의 물을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측방향을 따라 멀어지도록 함입된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로 제공하므로,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4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부(265)가 마련되더라도 저장유닛(300)에 불필요한 물이 제공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의 사용성 및 관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을 상방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을 다양할 수 있으며, 단면적이 전방샤워부(265)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의 단면 형상은 전방샤워부(265)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전방샤워홈(403)은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를 향할수록 함입된 깊이가 얕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샤워홈(403)으로 유입된 물은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에 가까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전방샤워홈(403)으로부터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9 내지 41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샤워홈(403)은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상기 측벽(410)으로부터 상기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샤워홈(403)은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되는 깊이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의 두께에 제한받지 않게 되고, 전방샤워부(265) 및 전방샤워홈(403)의 개방된 상면이 저장유닛(300)의 상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40 및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케이스(400)는 슬라이딩레일(40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404)은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상기 측벽(410)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유닛(300)이 지지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샤워홈(403)의 상기 상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레일(404)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상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레일(404)은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상에서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404)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도 40 및 41에는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에서 상면이 저장유닛(300)을 마주하도록 단차진 형태의 슬라이딩레일(404)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의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300)은 양측부가 상기 슬라이딩레일(404)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전방샤워홈(403)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레일(404)보다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전방샤워홈(403)은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404)보다 더 외측으로 함입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의 상면이 저장유닛(300)의 양측부가 각각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레일(404)보다 측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므로, 전방샤워홈(403)의 상방에 위치되는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전방샤워홈(403)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호스(28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2를 참고하면, 복수의 공급호스(280)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급호스(2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 외부의 수도로부터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입을 단속하는 복수의 호스밸브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공급호스(280)는 복수의 호스밸브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될 수 있다.
또한, 전방샤워부(265) 및 세제급수부(261)는 상기 복수의 공급호스(280) 중 서로 다른 공급호스(280)에서 제공되는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공급호스(280) 중 어느 하나는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샤워부(265)에 연결되는 유로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공급호스(280) 중 다른 하나는 디스펜서유닛(200) 내부에서 상기 세제급수부(261)에 연결되는 유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부(265)가 세제급수부(26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와 다른 공급호스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므로 전방샤워부(26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공급호스(280)로부터 전방샤워부(265) 및 세제급수부(261)로 물이 분기되어 전달되는 경우, 전방샤워부(265) 및 세제급수부(261)에 형성되는 수압은 공급호스(280)에서 제공되는 수압보다 낮게 되어 저장유닛(300) 또는 공급케이스(400)로 급수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공급호스(280)가 세제급수부(261)로 물을 제공하고, 세제급수부(261)로 제공된 물이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다시 전방샤워부(265)로 전달되는 경우, 세제급수부(261)를 경유하면서 낮아진 수압이 상기 전방샤워부(265)에 제공될 수 있어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부(265) 및 세제급수부(261)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280)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전방샤워부(265) 및 세제급수부(261)에서 충분한 수압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급호스(280)에 대한 종류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다시 도 40 및 4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샤워수리브(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상기 전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는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 측벽(410) 또는 상기 바닥부(401)와 상기 측벽(410)의 연결부위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는 공급케이스(4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컨대 대략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샤워수리브(405)의 연장방향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워수리브(405)는 전방샤워홈(403)과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는 일단부가 대략 전방샤워홈(403)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경우에 따라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서 충분한 면적을 세척하지 못한 채 공급케이스(400)의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배출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홈(403)과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 사이에서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샤워수리브(405)를 마련함으로써,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된 물이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서 충분한 면적에 도달될 수 있도록 유동을 확산 또는 가이드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에서 일단부는 대략 전방샤워홈(403)을 향할 수 있으나, 복수의 샤워수리브(405)가 마련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샤워수리브(405)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샤워수리브(405)를 향할수도 있다.
도 40 및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워수리브(405)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메인리브(4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리브(406)는 일단부가 상기 샤워홈의 단부를 향하고 타단부가 상기 바닥부(40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메인리브(406)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바닥부(401)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수리브(405)는 서브리브(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리브(407)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리브(406)의 상기 타단부를 마주하고, 타단부가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401)의 중앙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공급케이스(4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메인리브(406)에 의해 1차적으로 유동이 가이드되고, 서브리브(407)에 의해 2차적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서브리브(407)는 일단부가 메인리브(406)의 타단부를 마주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리브(406)를 따라 유동된 물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서브리브(407)는 타단부가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중앙측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리브(406)를 따라 유동된 물을 다시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는 하우징(10) 내부의 다양한 구성품에 의해 구체적인 형상이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벽(410) 또는 바닥부(401)가 편평한 면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적 제약에 의해 메인리브(406)의 위치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리브(406)와 함께 유기적으로 물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서브리브(407)를 구비함으로써 설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전방샤워홈(403)에 하나의 메인리브(406)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메인리브(406)의 타단부측에 복수의 서브리브(407)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리브(407)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할수록 서로 멀어지는 부채꼴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메인리브(406)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복수의 서브리브(407)를 이용하여 더 넓은 면적으로 확산 유동시킬 수 있다.
도 40에는 메인리브(406)를 포함하는 샤워수리브(405)가 도시되어 있고, 도 41에는 메인리브(406) 및 서브리브(407)를 포함하는 샤워수리브(405)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리브(407)가 마련되는 것은 해당 위치에서의 공급케이스(400) 내측면 형상 등 설계적인 측면과 실제 물의 확산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에 복수의 전"?샤워홈?* 마련되는 경우, 각 전방샤워홈(403)별로 샤워수리브(405)의 배치 여부 및 서브리브(407)를 포함하여 배치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0 및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누수방지리브(4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수방지리브(408)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워수리브(405) 및 상기 전방샤워홈(403)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물이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누수방지리브(408)는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을 향하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전방샤워홈(403) 및 샤워수리브(405)보다 전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누수방지리브(408)의 돌출높이와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누수방지리브(408)의 일단부가 전방샤워홈(403) 및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 샤워수리브(405)의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되고 샤워수리브(405)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은 누수방지리브(408)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 및 샤워수리브(405)는 공급케이스(400)의 전단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전방샤워홈(403)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공급케이스(400) 전방에 위치되는 하우징(10)의 개구부(15)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예컨대 공급케이스(400)의 대략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방샤워홈(403) 및 샤워수리브(405)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누수방지리브(408)를 마련함으로써, 공급케이스(400) 전단부를 세척하기 위한 샤워수가 개구부(15)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401)의 중앙에 하방으로 만입되는 세제수유동홈(409)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수유동홈(409)은 상기 바닥부(401)의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세제드레인홀(40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세제드레인홀(402)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은 세제드레인홀(40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은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에서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컨대 하방으로 함입된 홈의 형상일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은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로부터 세제드레인홀(402)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에서 세제드레인홀(402)의 전방에 존재하는 물 또는 세제가 상기 세제수유동홈(409)을 따라 세제드레인홀(402)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은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에서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공급케이스(4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를 향하는 대신 세제드레인홀(402)측, 즉 후방으로 유동되어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공급케이스(400)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전단부에서 전방샤워홈(403)을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한 세척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의 중앙측에 하방으로 만입되는 세제수유동홈(409)을 마련하고, 전방샤워홈(403)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제수유동홈(409)으로 유입되어 공급케이스(400) 바닥부(401)에 대한 세척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의 함입된 깊이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공급케이스(400) 측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세제수유동홈(409)의 폭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세제수유동홈(409)의 깊이 또는 폭의 결정에는 복수의 실험을 통한 통계적인 결과가 반영될 수 있다.
샤워수리브(405)는 상기 세제수유동홈(409)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공급케이스(400)의 바닥부(401)를 향하는 타단부가 상기 세제수유동홈(409)을 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드레인홀(402)은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상기 바닥부(401)에 마련되며, 상기 전방샤워부(265) 및 상기 세제유출부(648)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디스펜서유닛(200)의 급수부(260)는 전방샤워부(265), 세제급수부(261)와 함께 세제컵급수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컵급수부(263)는 하우징(10)에 완전히 인입된 저장유닛(300)의 세제컵(700)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컵급수부(263)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의 세제유출부(648)는 세제컵(70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고, 세제컵급수부(263)는 세제컵(700)의 상방에 위치되며, 도 38에는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세제드레인홀(402)이 세제컵급수부(263)보다 후방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드레인홀(402)은 전방샤워부(265)는 물론 하우징(10)에 인입된 저장유닛(300)의 세제유출부(648)보다 후방에 위치됨으로써, 전방샤워부(265)를 통해 공급케이스(400)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함께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유출되는 세제가 온전히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공급케이스(4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3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부(260)는 후방샤워부(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샤워부(267)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후방샤워부(267)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케이스(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8에는 후방샤워부(267)를 통해 낙하되는 물의 유동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세제저장통(310)의 세제밸브(380)와 세제펌프의 유입포트가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세제밸브(380) 및 유입포트의 연결지점에서는 의도치 않은 세제의 누출이 발생될 수 있고, 기타 이물질이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전방샤워부(265)를 마련하고,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후방샤워부(267)를 마련함으로써, 세제드레인홀(402)을 기준으로 공급케이스(400)의 전방 및 후방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
후방샤워부(267)는 전방샤워부(265)와 마찬가지로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형성되는복수의 개구를 통해 물이 낙하되며, 저장유닛(3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의 사이에 세제급수부(26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38에는 전방샤워부(265), 세제급수부(261) 및 후방샤워부(267)의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즉,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는 급수부(260)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전방샤워부(265), 디스펜서유닛(200)의 중앙측에 세제급수부(261) 및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후방샤워부(26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상기 측벽(410)의 후단부(412)는 상기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후방샤워부(267)는 상기 측벽(410)의 상기 후단부(412)와 상기 저장유닛(300) 사이의 이격공간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8에는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후단부(412)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은 전단부의 폭(W2)보다 후단부의 폭(W3)이 더 좁게 형성되며,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은 저장유닛(300)과 대응되도록 전단부(411)와 후단부(412) 사이에서 폭이 좁아지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후단부(412)는 다시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과 저장유닛(30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후방샤워부(267)는 상기 이격공간의 상방에 위치되며, 후방샤워부(267)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상기 이격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은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좁을 폭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은 후단부(412)가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더라도 공급케이스(400) 전체의 폭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설계적으로 유리하다.
예컨대, 저장유닛(300)의 후단부가 전단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경우,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후단부(412)가 저장유닛(300)의 후단부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격되는 경우,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의 폭은 공급케이스(400) 전단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공급케이스(400)의 폭 증가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의 후단부의 폭(W3)이 전단부의 폭(W2)보다 좁게 마련되어 개구부(15)를 통한 저장유닛(3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저장유닛(300)의 후단부와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후단부(412) 사이에서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유리하도록 하여 후방샤워부(267)가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은 상기 저장유닛(300)과 대응되도록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단부(293)가 상기 전단부(291)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후방샤워부(267)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서 상기 측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7에는 저장유닛(300)과 대응되도록 후단부(293)의 폭이 전단부(29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케이스(400), 저장유닛(300) 및 디스펜서유닛(200)은 전단부(291)의 폭보다 후단부(293)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는 전단부의 폭보다 후단부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공급케이스(400)의 후단부가 결국 저장유닛(300)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돌출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공급케이스(400)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폭감소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폭감소부의 폭은 저장유닛(300)의 후단부 폭(W3)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유닛(200)은 후단부(293)가 전단부(291)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샤워부(267)가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디스펜서유닛(200)은 공급케이스(400)와 대응되도록 전단부(291)와 후단부(293) 사이에 폭이 감소되는 폭감소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7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펜서유닛(200)이 공급케이스(400)와 대응되도록 후단부(293) 폭이 전단부(291) 폭보다 좁게 마련되어 도 3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측벽(410)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방샤워부(267)가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공급케이스(400) 측벽(410)의 후단부(412)와 저장유닛(300)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호스(280)는 세제용 공급호스(281)와 샤워용 공급호스(28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세제급수부(261)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상기 전방샤워부(265) 및 상기 후방샤워부(267)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밸브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될 수 있고,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를 통해 디스펜서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세제급수부(261)로 전달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는 세제급수부(261)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제급수부(261)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용 공급호스(281)가 디스펜서유닛(200)의 일측,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연결되며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제용 유로(285)를 통해 상기 세제용 공급호스(28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세제급수부(261)로 전달될 수 있다.
세제용 유로(285)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유로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유로벽의 상부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상면이 위치될 수 있다. 세제용 유로(285)는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세제용 공급호스(281)로부터 상기 세제급수부(26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내용과 같이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샤워용 유로(287) 및 세제컵(700) 유로 등 또한 상기 세제용 유로(285)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유로벽을 가지며 디스펜서유닛(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유로는 각각의 유로벽을 가지며, 상호간의 유로벽 중 일부를 공유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유로간의 물이 서로 공유되지 않도록 유로벽에 의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일측,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는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로부터 후방샤워부(267) 및 전방샤워부(265)로 연장되는 샤워용 유로(287)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는 포함하여 샤워부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급수부(261)로 물을 공급하는 세제용 공급호스(281)와 별개로 샤워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용 공급호스(283)가 마련됨에 따라, 세제급수부(261) 및 샤워부의 수압과 물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 및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모두 하우징(10) 외부의 수도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호스밸브에 연결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물의 유동이 단속될 수 있다.
각 호스밸브는 하우징(10) 외부로부터의 수도와 병렬적인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각 호스밸브는 각각의 개폐에 따른 공급호스(280)의 단속에 대해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의 급수부(260)는 세제컵급수부(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프레임(390)에는 세제컵(700)이 마련될 수 있고, 세제컵급수부(263)는 상기 세제컵(7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컵(70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급호스(280)는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상기 세제컵급수부(263)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컵(700)은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컵급수부(263)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공급받아 세제컵(700)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 예컨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될 수 있는 제3세제가 물과 함께 컵배출부(7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컵(700)의 컵배출부(705)로부터 배출되는 세제는 세제수용영역(650)에서 세제컵(700)의 하방에 위치되는 세제유출부(648)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공급케이스(400)의 세제드레인홀(402)을 통해 터브(20) 내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세제컵급수부(263)는 세제급수부(26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세제용 공급호스(281) 및 샤워용 공급호스(283)와 구분되는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연결되고,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는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로부터 세제컵급수부(263)로 연장되는 세제컵용 유로(286)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는 급수부(260)가 세제급수부(261), 세제컵급수부(263) 및 샤워부를 포함하면서, 세제급수부(261)를 위한 세제용 공급호스(281), 세제컵급수부(263)를 위한 세제컵용 공급호스(282) 및 샤워부를 위한 샤워용 공급호스(283)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각각의 급수부(260)에 제공되는 물의 유량 및 수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급수부(260)간의 작동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워부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워용 유로(287)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내부에서 상기 후방샤워부(267)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샤워부(265)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방샤워부(265)는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를 통해 상기 후방샤워부(267)로 공급된 물을 상기 샤워용 유로(287)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샤워부(267)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위치될 수 있고,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후방샤워부(267)의 후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후방샤워부(267)는 디스펜서유닛(200)에서 샤워용 공급호스(283)가 결합되는 연결포트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후방샤워부(267)와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 사이에 추가적인 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샤워용 공급호스(283)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1차적으로 후방샤워부(267)에 전달되는 것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샤워용 유로(287)는 후방샤워부(267)와 전방샤워부(265)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 위치되는 전방샤워부(265)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위치되는 후방샤워부(267)의 전방에 위치되고, 샤워용 유로(287)는 상기 후방샤워부(267)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샤워부(265)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샤워용 공급호스(283)에서 제공되는 물은 후방샤워부(267), 샤워용 유로(287) 및 전방샤워부(265)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샤워용 공급호스(283)를 통해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에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세제급수부(261) 및 세제컵급수부(263) 등에 수압 감소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2를 참고하여 도 37의 디스펜서유닛(20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샤워부(265) 및 상기 후방샤워부(267)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의 상기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후방샤워부(267)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세제용 공급호스(281)는 한 쌍의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 사이에서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7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디스펜서유닛(200)의 양측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방샤워부(265)는 디스펜서유닛(200)의 전단부(291)에서 양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후방샤워부(267)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서 양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케이스(400)는 바닥부(401)의 양측부로 샤워수가 공급되어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 후방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서 양측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샤워용 공급호스(283)는 디스펜서유닛(200) 후단부(293)의 양측단에 각각 마련되는 후방샤워부(267)의 후방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샤워용 공급호스(283)가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서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므로, 복수의 공급호스(280) 중 상기 샤워용 공급호스(283)를 제외한 나머지, 예컨대 세제용 공급호스(281)나 세제컵용 공급호스(282)는 상기 한 쌍의 샤워용 공급호스(283) 사이에서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세제용 공급호스(281)는 온수용 공급호스와 냉수용 공급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용 유로(287)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후방샤워부(267)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스펜서유닛(200)의 후단부(293)에서 양측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후방샤워부(267)는 서로 다른 샤워용 유로(28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샤워부(267)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샤워용 유로(287)는 디스펜서유닛(200) 전단부(291)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샤워부(26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샤워용 유로(287)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와 대응되도록 디스펜서유닛(200)의 양측부에 마련되며, 세제용 유로(285) 및 세제컵용 유로(286) 등은 한 쌍의 샤워용 유로(28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3에는 하우징(10) 내부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샤워부(265)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2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샤워부(265)로부터 상기 터브(20)로 물을 전달하는 터브연결호스(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연결호스(284)의 일단부는 전방샤워부(265)와 연통되도록 디스펜서유닛(2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터브(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샤워부(265)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는 터브연결호스(284)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연결호스(284)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제공되는 물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세탁 과정의 진행 초기에는 세탁을 위한 세탁수의 보충에 활용될 수 있고, 세탁 과정의 진행 중간에는 터브(20) 내부로 분사되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키는 아토마이징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호스(284)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물의 유동 경로를 고려할 때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에서도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즉, 터브연결호스(284)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황에서 공급케이스(400)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에 의해 내부가 세척될 수 있다.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는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고 공급케이스(400)로 물을 공급하므로, 상기 터브연결호스(284)를 이용하여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제급수부(261) 및 세제컵급수부(263)와 별개로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펜서유닛(200)에 복수의 전방샤워부(265)가 마련되는 경우, 터브연결호스(284)는 상기 복수의 전방샤워부(265) 모두와 연결될 수도 있고, 도 43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전방샤워부(265)에 연결될 수도 있다.
터브연결호스(284)가 어느 하나의 전방샤워부(265)에 연결되는 경우, 터브연결호스(284)는 복수의 전방샤워부(265) 중 상기 터브(20)와 가깝게 위치된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펜서유닛(200)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샤워부(265) 중 터브(20)측을 향하는 하나의 전방샤워부(265)에 상기 터브연결호스(284)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4에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마련되는 급수부(260)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마련되는 급수부(260)는 물이 배출되는 표면(269)이 발수 처리되어 상기 표면(269)으로부터 물의 제거가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260)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며 물이 낙하되며,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상기 급수부(260)에서 물이 낙하되는 표면(269)이 위치될 수 있다. 급수부(260)의 표면(269)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이용이 종료된 상황 등에서 물이 잔존하지 않도록 발수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발수 처리는 급수부(260)의 표면(269)에서 물이 떨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면(269)에는 소수성의 물질이 코팅되어 발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표면(269)에 불규칙한 패턴을 형성하여 물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물의 접촉력이 감소되도록 발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260)는 공급케이스(400) 또는 저장유닛(300)을 향해 물을 낙하시키므로, 급수부(260)의 표면(269)에는 상기 급수부(26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일부가 물의 접착력에 의해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잔존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수부(260) 표면(269)에 잔존하는 물에 의해 곰팡이 등과 같은 비위생적인 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유닛(300) 또는 공급케이스(4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60)를 마련하고, 상기 급수부(260)에서 하방을 향하는 표면(269)을 발수 처리함으로써, 상기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에 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면서도 급수부(260)의 표면(269)으로부터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위생성과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부(260)는 상기 표면(269)에 발수패턴(270)이 형성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발수패턴(270)을 형성하여 발수 처리할 수 있다. 발수패턴(270)이 형성되는 표면(269)은 물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물의 접촉력이 감소되면서 상기 물이 급수부(260)의 표면(269)으로부터 분리되고 낙하되어 상기 표면(269)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발수패턴(270)은 디스펜서유닛(200)의 제조 과정, 예컨대 사출 과정에서 형성되거나 사출된 디스펜서유닛(200)을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출 과정을 통해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발수패턴(270)을 형성하는 경우, 사출을 위한 금형에는 상기 발수패턴(270)이 레이저 가공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세밀하고 섬세한 발수패턴(270)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접착된 물이 발수패턴(270)을 이루는 볼록부(271) 등의 사이로 침투되어 접촉면적이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되는 불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5 내지 4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수패턴(270)이 가질 수 있는 형상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부(260)의 상기 표면(269)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71)와 상방으로 함입되는 오목부(275)가 번갈아가며 반복 배열되어 상기 발수패턴(27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수패턴(270)의 볼록부(271)는 급수부(260)의 표면(269)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오목부(275)는 상방으로 함입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5 및 48에는 볼록부(271)의 돌출방향이 도면상의 상방으로 표현되어 있다. 즉, 볼록부(271)는 급수부(260)의 표면(26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지만 도 45 및 48에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볼록부(271)가 상방으로 돌출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발수패턴(270)에서 볼록부(271)는 물과 접촉되고, 오목부(275)는 볼록부(271)의 사이에서 물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단면적에서 발수패턴(270)이 형성된 경우는 발수패턴(27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대략 오목부(275)의 면적만큼 물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표면(269)과의 접촉력이 감소되고, 상기 표면(269)에 대한 접촉각이 증가되며, 상기 표면(269)으로부터의 분리가 유도되어 상기 표면(269)에서 제거가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부(260)의 상기 표면(269)은 물과의 접촉각이 120도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형성되는 발수패턴(270)은 물의 접촉각이 12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각이란, 공기 속에 있는 고체면상에 액체가 있을 때, 고체, 액체, 기체 세 가지 상의 접촉점에서의 절선과 고체면이 이루는 각 중, 액체를 포함한 쪽의 각을 의미한다.
접촉각이 증가될수록 물방울은 원형에 가까워지며, 이에 따라 급수부(260) 표면(269)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력이 감소되어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물의 접촉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발수패턴(27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발수패턴(270)의 형성에는 볼록부(271)의 형상, 오목부(275)의 형상, 볼록부(271) 및 오목부(275)의 폭, 볼록부(271) 및 오목부(275)의 높이 또는 깊이, 볼록부(271) 및 오목부(275)의 배치 형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인자를 변경하며 진행되는 복수의 실험 결과를 통해 물의 접촉각이 120도 이상이 되는 발수패턴(270)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복수의 실험 등을 통한 통계적인 결과에 기초하여 물의 접촉각이 120도 이상이 되는 발수패턴(270)을 결정하고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5 내지 4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수패턴(270)은 상기 볼록부(271)와 상기 오목부(275)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격자 형태는 일 평면상에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일정한 단위 형상이 반복하여 배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수패턴(270) 중 제1패턴(270a)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패턴(270a)은 볼록부(271)와 오목부(275)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볼록부(271)는 급수부(260) 표면(269)에서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오목부(275)는 볼록부(27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5의 오목부(275)는 최대 함입 지점이 4개의 볼록부(27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부(271)는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높이가 증가될수록 단면적이 감소되어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볼록부(271)는 돌출된 단부가 구의 일부 형상을 가지거나 원뿔의 일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볼록부(271)가 전체로서 돌출될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볼록부(271)가 돌출높이가 증가될수록 단면적이 감소되어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물과의 접촉면적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물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볼록부(271)의 구체적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반드시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볼록부(271)가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도 4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발수패턴(270)이 가질 수 있는 제2패턴(27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4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275)는 제1오목부(276) 및 제2오목부(27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오목부(276)는 상기 표면(269)과 나란한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제2오목부(277)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75)는 상기 제1오목부(276) 및 상기 제2오목부(277)가 격자 형태를 가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볼록부(271)는 상기 오목부(275)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오목부(275)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후방향일 수 있고, 제2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의 측방향일 수 있다. 즉, 발수패턴(270)의 제2패턴(270b)에서는, 오목부(275)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오목부(276) 및 디스펜서유닛(2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오목부(277)를 포함할 수 있고, 볼록부(271)가 사방으로 상기 제1오목부(276) 및 제2오목부(277)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다만,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후방향 및 측방향 외에도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제2패턴(270b)은 오목부(275)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목부(275)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수패턴(270)이 가질 수 있는 제3패턴(270c)이 도시되어 있다. 도 4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부(271)는 제1볼록부(272) 및 제2볼록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볼록부(272)는 상기 표면(269)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볼록부(273)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볼록부(271)는 상기 제1볼록부(272) 및 상기 제2볼록부(273)가 격자 형태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오목부(275)는 상기 볼록부(271)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볼록부(27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컨대, 발수패턴(270)의 제3패턴(270c)에서는 볼록부(271)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볼록부(272) 및 디스펜서유닛(20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볼록부(273)를 포함할 수 있고, 오목부(275)가 사방으로 상기 제1볼록부(272) 및 제2볼록부(273)에 의해 포위되는 홈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디스펜서유닛(200)의 전후방향 및 측방향 외에도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제3패턴(270c)의 경우 볼록부(271)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물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71)는 도 4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볼록부(272) 및 상기 제2볼록부(273)가 교차하는 교차부위(274)의 돌출높이가 상기 교차부위(27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록부(271)와 오목부(275)를 가지는 발수패턴(270)에 의해 급수부(260)의 표면(269)과 물 또는 물방울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고 접촉력을 낮춤과 동시에, 볼록부(271) 내에서도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부분들을 형성함으로써, 물이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접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예컨대, 볼록부(271) 내에서도 제1볼록부(272) 및 제2볼록부(273)간의 교차부위(274)가 상대적인 돌출부에 해당될 수 있고, 교차부위(27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대적인 함입부에 해당될 수 있으며, 물이 상기 발수패턴(270)에 접착되는 것을 방해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수패턴(270)은 상기 상기 볼록부(271)와 상기 오목부(275)가 상기 표면(269)에 나란한 제1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될 수도 있다.
도 4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수패턴(270)이 가질 수 있는 제4패턴(270d)이 도시되어 있다. 발수패턴(270)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따라 반복 배열되는 격자 형태 대신, 제4패턴(270d)과 같이 제1방향만으로 반복 배열되는 요철 형태 또는 웨이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48에 도시되는 발수패턴(270)의 제4패턴(270d)은 상기 볼록부(271) 및 상기 오목부(275)가 상기 표면(269)에 나란하고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볼록부(271) 및 오목부(275)는 급수부(260)의 표면(269)에 나란한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반복 배열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제4패턴(270d)에서 제시되는 제1방향으로 반복되는 요철 형태의 발수패턴(270)은 제2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발수패턴(270)은 세제급수부(261), 세제컵급수부(263) 및 샤워부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샤워부는 전방샤워부(265) 및 후방샤워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급수부(261)는 비산방지리브(2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산방지리브(268)는 상기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되고, 세제급수부(261)의 표면(269)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제급수부(261)는 저장유닛(300)의 세제수용부(340)로 물을 공급하며, 이 과정에서 세제급수부(261)로부터 비산되는 일부의 물이 저장유닛(300)에서 세제수용부(340) 외의 다른 부분에 전달될 수 있고,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서 발수패턴(270)이 형성되지 않은 급수부(260) 외의 부분에 전달되어 접착될 수 있다.
세제급수부(261)에서 세제수용부(340)를 벗어나 낙하되는 물이나 비산되는 물, 또는 세제수용부(340)로부터 튀어오르는 물 등이 저장유닛(300)에서 세제수용부(340) 외의 부분에 전달되면 사용자는 세탁 과정 전후로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 외부로 인출할 때 저장유닛(300)이 젖어 있는 상태로 이용하게 되어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유닛(200)에서 발수패턴(270)이 형성된 급수부(260)의 표면(269) 외의 부분에 물이 튀는 경우, 해당 부위에서 물이 증발 전까지 지속하여 존재할 수 있고, 곰팡이 등이 발생될 수 있어 위생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제급수부(261)의 표면(269)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비산방지리브(268)를 마련함으로써, 세제급수부(261)를 벗어나 물이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리브(268)는 세제급수부(261) 외에 세제컵급수부(263)나 샤워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세제컵급수부(263)에 비산방지리브(268)가 마련되는 경우, 비산방지리브(26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세제급수부(261) 및 세제컵급수부(263) 전체의 표면(269)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44에 도시된 것처럼 비산방지리브(268)는 세제급수부(261)의 둘러와 세제컵급수부(263)의 둘레를 따라 함께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하우징
15 : 개구부 20 : 터브
30 : 드럼 40 : 도어
100 : 세제공급장치 200 : 디스펜서유닛
215 : 관통홀 220 : 걸림탄성부
221 : 캡부 222 : 슬라이딩단부
230 : 체결부 235 : 체결부재
238 : 가이드부 250 : 스토퍼
255 : 가이드돌기 260 : 급수부
261 : 세제급수부 263 : 세제컵급수부
265 : 전방샤워부 267 : 후방샤워부
268 : 비산방지리브 269 : 급수부의 표면
270 : 발수패턴 270a : 제1패턴
270b : 제2패턴 270c : 제3패턴
270d : 제4패턴 271 : 볼록부
272 : 제1볼록부 273 : 제2볼록부
275 : 오목부 276 : 제1오목부
277 : 제2오목부 280 : 공급호스
281 : 세제용 공급호스 282 : 세제컵용 공급호스
283 : 샤워용 공급호스 284 : 터브연결호스
285 : 세제용 유로 286 : 세제컵용 유로
287 : 샤워용 유로 300 : 저장유닛
305 : 손잡이부 310 : 세제저장통
312 : 세제투입홀 313 : 세제투입부
315 : 연결부 317 : 세제배출부
320 : 걸림돌출부 330 : 캡부재
331 : 파지부의 돌기 332 : 파지부
333 : 플렌지부 340 : 세제수용부
350 : 탄성걸림바 352 : 가압부
353 : 걸림돌기 354 : 관통홈
356 : 벤딩부 359 : 변형공간
380 : 세제밸브 390 : 저장프레임
397 : 밸브홀 400 : 공급케이스
402 : 세제드레인홀 403 : 전방샤워홈
404 : 슬라이딩레일 405 : 샤워수리브
406 : 메인리브 407 : 서브리브
408 : 누수방지리브 409 : 세제수유동홈
510 : 처짐방지탄성부 520 : 처짐방지돌출부
610 : 잔량감지센서 612 : 센서단자
614 : 센서점검홀 616 : 후면보강리브
620 : 홀딩부 630 : 프레임측벽
640 : 세제수용벽 641 : 세제수용전방벽
642 : 전방차단부 643 : 세제수용측벽
645 : 세제수용후방벽 646 : 후방이격돌출부
647 : 세제수용바닥면 648 : 세제유출부
650 : 세제수용영역 700 : 세제컵
703 : 광폭부 705 : 컵배출부
707 : 후방이격리브 710 : 이탈방지돌기
715 : 세제컵다리 716 : 다리보강리브
720 : 세제캡 723 : 캡몸체부
726 : 캡플렌지부 730 : 플렌지연장부
737 : 접착방지리브 740 : 캡실러
742 : 내측삽입부 745 : 실러고정부
747 : 통기공간 751 : 다리연장부
753 : 다리걸림부 760 : 캡지지부
763 : 캡연결부 765 : 캡고정플렌지
767 : 다리통과홈 771 : 지지다리
773 : 다리보강리브 780 : 잔량표시부

Claims (15)

  1.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프레임;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바; 및
    상기 저장프레임의 개방된 상기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에 수용되고,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세제컵;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컵은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걸림바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프레임으로부터 상방 이탈이 제한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프레임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세제수용벽이 마련되고, 상기 세제수용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수용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세제수용벽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컵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부보다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광폭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광폭부의 후방벽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면은 상기 광폭부의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바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저장유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바의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인출 거리가 제한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후방에 위치되는 세제수용후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으로부터 상기 광폭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전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바의 상기 전단부, 상기 세제수용부 및 상기 세제컵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스토퍼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바의 상기 전단부가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돌기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함입되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관통홈이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세제수용측벽; 및
    상기 세제컵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세제수용측벽과 연결되는 세제수용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수용영역에서 상기 세제수용전방벽과 상기 세제컵 사이에 마련되고, 상면에 개방되어 세제가 유입 및 수용되는 세제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프레임은,
    상기 세제컵과 상기 세제수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컵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는 전방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용영역에서 상기 세제수용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바닥면에는 세제가 유출되는 세제유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세제유출부는 상기 세제컵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세제컵은 하부에 세제가 배출되는 컵배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차단부는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제수용부가 상기 세제유출부와 연통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컵은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가 유입 및 수용되고,
    상기 세제수용벽은, 상기 세제컵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세제수용측벽과 연결되는 세제수용후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으로부터 상기 세제컵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수용후방벽과 상기 세제컵 사이를 이격시키는 후방이격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수용후방벽을 마주하는 후면에 상기 후방이격돌출부를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후방이격돌출부와 접촉되는 후방이격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컵은, 상기 세제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세제컵의 상기 하면을 상기 세제수용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세제컵다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컵다리는, 상기 세제컵다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세제컵의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다리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07594A 2020-01-20 2020-01-20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94A KR20210093689A (ko) 2020-01-20 2020-01-20 의류처리장치
US17/142,903 US11535972B2 (en) 2020-01-20 2021-01-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151504.4A EP3851569B1 (en) 2020-01-20 2021-01-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110073986.5A CN113136704B (zh) 2020-01-20 2021-01-20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94A KR20210093689A (ko) 2020-01-20 2020-01-2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89A true KR20210093689A (ko) 2021-07-28

Family

ID=7418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94A KR20210093689A (ko) 2020-01-20 2020-01-2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35972B2 (ko)
EP (1) EP3851569B1 (ko)
KR (1) KR20210093689A (ko)
CN (1) CN113136704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043A (ko) 1998-01-06 1999-08-05 구자홍 드럼세탁기용 세제통의 결합구조
KR101099353B1 (ko) * 2005-01-25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 박스 장착 구조
KR101155481B1 (ko) 2005-06-29 201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세제공급기구
KR101252168B1 (ko)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80027677A (ko) 2006-09-25 2008-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992137B1 (ko) 2012-11-26 201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체감지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102124478B1 (ko) 2013-10-30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51818B1 (ko) 2014-06-23 2020-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2493966B1 (ko) * 2016-02-16 2023-02-01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CN108221286A (zh) 2016-12-14 2018-06-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KR102568673B1 (ko) 2017-02-02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954153B1 (ko) 2017-07-19 2019-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1569A1 (en) 2021-07-21
US20210222341A1 (en) 2021-07-22
US11535972B2 (en) 2022-12-27
CN113136704B (zh) 2022-12-06
CN113136704A (zh) 2021-07-20
EP3851569B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388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937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688A (ko) 의류처리장치
US202401509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9368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69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731A (ko) 의류처리장치
JP7248713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08188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17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187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175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