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75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758A
KR20210131758A KR1020200050259A KR20200050259A KR20210131758A KR 20210131758 A KR20210131758 A KR 20210131758A KR 1020200050259 A KR1020200050259 A KR 1020200050259A KR 20200050259 A KR20200050259 A KR 20200050259A KR 20210131758 A KR20210131758 A KR 2021013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ves
sensing
detergent
storage unit
suppl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758A/ko
Priority to EP21169561.4A priority patent/EP3901355B1/en
Priority to US17/238,927 priority patent/US11603622B2/en
Publication of KR2021013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우징, 터브, 드럼 저장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케이스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인입감지부 및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입감지부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처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용될 수 있다.
저장유닛에는 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세제공급장치는 저장유닛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제공급장치에는 저장유닛의 인입 상태를 확인하거나, 물의 공급상태를 확인하거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 전기를 이용하고 회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적 구성품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고, 세제공급장치에서는 세제와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등, 의류처리장치 내부는 다량의 물이 이용됨에 따라 물의 응결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상기 응결된 물이 상기 전기적 구성품에 침투되어 부식 또는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적 구성품에 대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전기적 구성품에 대한 내수성을 확보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적 구성품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전기적 구성품의 내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처마부를 포함한다. 처마부는 세제공급장치에서 저장유닛의 인입상태를 감지하는 인입감지부에 물이 낙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처마부는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인입감지부의 상방에서 인입감지부를 향해 물이 낙하되는 경로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입감지부로 낙하되는 물은 처마부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처마부에는 상방에서 낙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영역은 처마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처마상부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며, 처마부는 처마상부리브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우징, 터브, 드럼, 저장유닛 및 공급케이스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터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드럼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장유닛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며,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며, 공급케이스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된다.
상기 공급케이스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인입감지부 및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입감지부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처마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마부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처마패널 및 상기 처마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처마패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처마패널상의 물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처마상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테두리 중 일부에 상기 처마상부리브가 마련되어 차폐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어 물이 배수되는 배수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 및 상기 처마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공급케이스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후방벽보다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배수영역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벽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은 타측 단부가 상기 후방벽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일측 단부가 상기 터브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처마패널상의 물이 상기 배수영역으로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배수영역은 상기 처마패널의 상기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인입감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인입감지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처마부는 상기 처마패널에서 상기 일측 단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처마하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케이스는 후방벽에 상기 인입감지부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후방벽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감지케이스 및 상기 감지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벽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공급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감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저장유닛에 의해 가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저장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공급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감지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돌기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제1단자부 및 상기 감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단자부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되는 제2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의 접촉 여부를 통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적 구성품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전기적 구성품의 내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처마부를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처마부를 C-C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에 결합되는 인입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형태의 인입감지부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인입감지부의 제2형태의 인입감지부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를 상방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개구부(15)가 구비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0) 및 상기 개구부(15) 내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부를 갖는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전면부에 도어(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40)는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드럼(30)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어(40)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의 일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들과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하우징(10) 또는 드럼(3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개구부(15)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의 후방에는 세제공급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5)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우징(10)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15)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5)는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모서리 영역, 예컨대 상기 전면부의 상단부 일측에서 조작부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는 개구부(1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300), 상기 저장유닛(3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저장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유닛(20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300)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300)에 저장되는 세제를 세탁 단계에서 드럼(30)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세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가루 형태 또는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도 3와 같이 위에서부터 디스펜서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다시 저장유닛(300) 또는 공급케이스(4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에는 세탁 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세제가 내부에 저장되며,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수용되어 안착되고,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상기 저장유닛(300)에 저장된 세제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터브(2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전방의 손잡이부(305), 저장프레임(340) 및 상기 저장프레임(340)에 안착되는 세제저장통(306)과 세제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의 정의는 하우징(10)에서 개구부(15)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를 향하는 방향은 전방에 해당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개구부(15)에서 하우징(10)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에서 도어(40)와 개구부(15)가 서로 다른 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개구부(15)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서 개구부(15)의 후방에는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장유닛(300)은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의 전방에 마련되고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305)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300)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와 적층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305)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면, 저장유닛(300)은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스토퍼 등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되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인출거리의 제한은 선택적이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유닛(300)을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하거나 완전히 인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은 저장프레임(340), 세제저장통(306) 및 세제수용영역(307)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수용영역(307)에는 세제수용부 및 세제컵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40)은 세제저장통(306)이나 세제컵 등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340)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가 세제저장통(306)과 세제컵 등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프레임(340)이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이동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케이스(400)에는 저장프레임(34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레일이 마련될 수 있고, 저장프레임(340)은 슬라이딩레일상에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프레임(340)의 전방에는 손잡이부(305)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305)는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저장프레임(340)보다 크게 마련되어 개구부(15)를 차폐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06)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306)은 저장프레임(34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저장통(306)은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세제저장통(306)은 저장프레임(3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프레임(340)상에 설치될 수 있고, 세제저장통(306)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저장프레임(34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수용영역(307)이 마련될 수 있다. 세제수용영역(307)에는 세제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고, 세제수용부는 저장프레임(340)의 일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수용부는 저장프레임(34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제수용벽에 의해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세제수용부에는 세제저장통(306)과 별개로 세제가 수용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제저장통(306)에 저장되는 세제를 제1세제로 구분하고, 세제수용영역(307)에서 세제수용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제2세제로 구분하며, 세제수용영역(307)에서 세제컵에 수용되는 세제를 제3세제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세제, 제2세제 및 제3세제는 저장되는 대상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뿐, 반드시 그 특성이 상이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이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세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세제수용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로 세제가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한 상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유닛(300)이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세제컵은 저장프레임(340)에서 상기 세제수용영역(307)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제수용영역(307)은 세제컵이 설치됨으로써 세제컵 및 세제수용부로 구분될 수 있다.
세제컵은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가 투입될 수 있다. 세제컵에 투입되는 세제는 구분을 위해 제3세제로 정의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저장통(306), 세제수용부 및 세제컵에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세제를 투입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제저장통(306)에는 액상 세제를 투입할 수 있고, 세제수용부에는 가루 세제를 투입할 수 있으며, 세제컵에는 세제의 한 종류로서 섬유유연제를 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제1세제, 제2세제, 제3세제가 반드시 서로 다른 성격의 세제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제1,2,3세제를 같은 종류의 것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세제저장통(306), 세제수용부 및 세제컵 중 어느 하나에만 세제를 저장시킬 수도 있다.
세제컵은 세제수용부와 이웃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면이 개방된 세제수용부와 세제컵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불필요하게 이격된 세제수용영역(307)을 이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세제수용부와 세제컵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세제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공급케이스(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공급케이스(400)는 후방측에 처마부(500)가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하우징(10), 터브(20), 드럼(3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방에 개구부(15)가 마련되고, 터브(2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며, 드럼(30)은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며,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고, 공급케이스(40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케이스(400)는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부(500)를 포함한다.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고, 처마부(500)는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입감지부(600)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도 5에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를 참고할 때, 공급케이스(400)에는 인입감지부(600)가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는 처마부(500)가 마련된다. 인입감지부(600)는 처마부(500)에 의해 상면이 차폐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공급케이스(400)의 외측에 결합되고,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가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인입감지부(600)의 일부가 공급케이스(400) 내부에 위치되고, 저장유닛(300)과의 접촉 여부를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저장유닛(30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일 수도 있고, 적외선센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입감지부(600)가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한다는 것은 인입감지부(600) 자체가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인입감지부(600)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조건에 따라 제어부 등이 직접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에 따라 단순히 전기적 신호의 발생 여부가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입감지부(600)가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을 직접 판단하는 것과 더불어 인입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인입감지부(600)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이 인입된 것은 저장유닛(300)이 올바른 인입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저장유닛(300)은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0)의 개구부(15)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고, 저장유닛(300)의 인입 시 사용 의도와 달리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저장유닛(300)이 인입과정에서 충분히 이동되지 않아 올바른 인입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즉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경우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하면 세제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미리 파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입감지부(600)는 저장유닛(300)이 완전한 인입 상태에 해당하는지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공급케이스(400)는 내부에 저장유닛(300)이 수용되므로, 공급케이스(400)의 내부에는 인입감지부(6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설계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입감지부(600)는 공급케이스(400)의 외측에 결합되어 공급케이스(400) 내부의 저장유닛(300)이 온전히 인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인입감지부(600)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거나 금속 소재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입감지부(600)는 저장유닛(300)의 인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기적 또는 전파상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제공급장치(100)는 디스펜서유닛(200) 등을 통해 물을 사용하고,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에는 복수의 물 공급호스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100)의 하방에는 다량의 물이 수용되는 터브(20)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에는 다량의 물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높은 습도 등에 의한 물의 응결이 쉽게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치 않은 물의 누출이 발생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 내부에서 의도치 않게 존재하는 물은 인입감지부(600)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는 물 공급호스에서 물이 누출되거나 응결되어 인입감지부(600)로 낙하될 수도 있고, 하우징(10)의 상부벽의 내면상에 물이 응결되어 낙하되면서 인입감지부(600) 내부로 침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물이 인입감지부(600)상에 낙하되면, 인입감지부(600)는 물의 침투로 인해 부식 또는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이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과정상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 감지를 방해하게 되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처마부(500)를 마련하여 인입감지부(600)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처마부(500)는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부(500)는 공급케이스(400)의 외측에서 상기 공급케이스(400)에 결합되거나 공급케이스(40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처마부(500)는 상방에서 바라볼 때 인입감지부(600)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처마부(500)는 상방에서 바라볼 때 인입감지부(600)를 전체로서 가리도록 마련되거나 인입감지부(600)의 일부를 가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처마부(500)는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서 상기 인입감지부(600)로 낙하되는 물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즉, 인입감지부(600) 상방에서 인입감지부(600)를 향해 낙하되는 물은 처마부(500)에 충돌되어 상기 처마부(500)상에 잔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구성품에 해당되는 인입감지부(600)가 공급케이스(400)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처마부(5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입감지부(600)로 물이 낙하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처마부(500)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케이스(400)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인입감지부(60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처마부(500)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부(500)는 처마패널(510) 및 처마상부리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처마상부리브(520)는 상기 처마패널(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처마패널(51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처마패널(510)상의 물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대략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을 상방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는 처마패널(510)이 도시되어 있다.
처마패널(510)은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인입감지부(600)로 낙하되는 물이 인입감지부(600)에 우선하여 상기 처마패널(510)에 충돌 및 수집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의 형태일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단면적이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600)를 상방에서 바라볼 때 전체로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처마상부리브(520)는 처마패널(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처마상부리브(520)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처마상부리브(520)는 처마패널(510)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처마상부리브(520)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처마상부리브(520)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폐단면을 형성하거나, 처마패널(510)의 테두리 중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은 테두리 중 일부에서 상기 처마상부리브(520)가 제거되어 후술할 배수영역(540)이 형성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의 상면상에 낙하된 물은 처마상부리브(520)에 의해 처마패널(510)의 외측으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처마상부리브(520)가 없는 경우, 처마패널(510)상에 존재하는 물이 유동되어 처마패널(510)의 테두리를 넘어 외부로 누출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물의 일부가 처마패널(510) 하방에 위치되는 인입감지부(600)에 침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처마상부리브(520)를 구비함으로써, 처마패널(510)상에 낙하된 물이 처마부(500)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마패널(510)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처마상부리브(52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테두리 중 일부에 상기 처마상부리브(520)가 마련되어 차폐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어 물이 배수되는 배수영역(5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마패널(510)의 테두리 중 처마상부리브(520)가 마련된 영역은 상기 처마상부리브(520)에 의해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의 테두리 중 일부는 처마상부리브(520)에 의해 측방에서 바라볼 때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차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마패널(510)은 배수영역(54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영역(540)은 상기 처마상부리브(520)가 존재하지 않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수영역(540)은 처마패널(510)의 테두리에서 처마상부리브(520)가 제거될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처마부(500)에 정의된 배수영역(540)이 표시되어 있다. 배수영역(540)은 처마상부리브(52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처마패널(510)상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배수영역(540)을 통해 처마부(500) 외측으로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처마패널(510)의 테두리상에 처마상부리브(520)를 마련함으로써 처마패널(510)상의 물이 무분별하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처마상부리브(520)가 존재하지 않는 배수영역(540)을 설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처마패널(510)상의 물을 설계적으로 의도한 부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영역(540)은 하방에 물의 침투에 강건하거나 무관한 구성이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처마부(500)의 배수영역(540) 하방에는 다양한 종류의 호스 또는 터브(20)와 같이 물의 접촉에 기능적 또는 내구적으로 영향이 없거나 적은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입감지부(600) 및 상기 처마부(500)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513)가 상기 후방벽(420)보다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일측 단부(513)에 상기 배수영역(540)이 위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부(50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마련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부(50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부(50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라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처마부(500)가 상기 후방벽(420)과 일체로 성형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처마패널(510)은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보다 축방향으로 더 도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은 공급케이스(400)의 후방측에서 일측 단부(513)가 상기 공급케이스(40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514)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위치될 수 있다.
처마부(500)는 공급케이스(40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일측 단부(513)에 배수영역(5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마부(500)에서 상기 배수영역(540)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공급케이스(400)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처마부(5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의도치 않게 세제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 중 일부에 침범하여 손상이나 부식을 진행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벽(42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510)은 타측 단부(514)가 상기 후방벽(420)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 중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고, 처마패널(510)의 타측 단부(514)는 상기 후방벽(420)의 일측상에 마련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패널(510)의 타측 단부(514)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서 하우징(1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의 타측 단부(514)는 인입감지부(600)의 상방에 위치되고, 일측 단부(513)는 상기 타측 단부(514)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공급케이스(400) 후방벽(42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입감지부(600) 및 처마패널(510)이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위치됨에 따라 인입감지부(600)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고, 수집된 물을 세제공급장치(100) 외측으로 배출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일측 단부(513)가 상기 터브(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물이 수용되는 대상으로서 내수성이 강하며, 따라서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에 마련된 배수영역(54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터브(20)로 낙하되어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6의 처마부(500)를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처마부(500)를 C-C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처마패널(510)상의 물이 상기 배수영역(540)으로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마패널(510)상에 존재하는 물의 배수가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고, 처마패널(510)상에 잔존하여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패널(510)은 전단부(511)가 후단부(512)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배수영역(540)은 상기 처마패널(510)의 상기 전단부(51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전단부(511)가 후단부(512)보다 낮게 위치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적어도 상면의 전단부(511)가 후단부(512)보다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고, 상면 및 하면 모두의 전단부(511)가 후단부(512)보다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임의의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처마패널(510)은 상면이 곡면으로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처마패널(510)이 전방을 향할수록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경사짐에 따라, 처마패널(510)상에 수집된 물은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처마부(500)의 배수영역(540)은 상기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를 포함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측으로 집중되는 물은 배수영역(5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에 처마상부리브(520)가 제거되어 상기 배수영역(5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단부(511)측으로 집중된 물이 배수영역(540)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일측 단부(513)가 타측 단부(514)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은 타측 단부(514)로부터 일측 단부(513)를 향할수록 낮은 위치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처마패널(510)의 상면일 수 있으며, 처마패널(510)은 상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가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처마패널(510)상에 수집된 물은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즉, 처마패널(510)상에 수집된 물은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측에 집중되고, 상기 일측 단부(51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수영역(540)을 통해 처마부(5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수영역(540)이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를 포함하고,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영역(540)은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는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에 마련되고, 나머지는 처마패널(510)의 전단부(51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수영역(540)이 처마패널(510)에서 전단의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배수영역(540)이 형성되는 단부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에 처마상부리브(520)가 제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마패널(510)의 전단 중 일측에 위치되는 테두리와 처마패널(510)의 일측단 중 전방측에 위치되는 테두리에 처마상부리브(520)가 연속적으로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결합되는 인입감지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패널(510)은 상기 인입감지부(6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인입감지부(60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서 의도치 않은 물의 누출이 발생될 수도 있고, 높은 습도에 의한 물의 응결이 발생되어 물의 낙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처마패널(510)은 하면에서 물의 응결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고, 처마패널(510)의 하면에 응결된 물이 인입감지부(600)로 침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처마패널(510)이 전단부(511) 및 일측 단부(513)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나아가 처마패널(510)과 인입감지부(600)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처마패널(510)의 하면에 응결되는 물이 인입감지부(6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하면 응결된 물이 처마패널(510) 하면에서 전방의 일측으로 유동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마부(500)는 처마하부리브(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마하부리브(530)는 상기 처마패널(510)에서 상기 일측 단부(513)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에는 처마부(500)의 처마하부리브(530)를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처마하부리브(53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처마패널(510)의 하면에 응결되는 물은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 및 전단부(511)측으로 집중되더라도 물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물이 처마패널(510) 하면상에 점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잔존에 의해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되기 유리할 수 있고, 따라서 세제공급장치(100)의 전반적인 유지 보수에 대해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처마패널(510)의 일측 단부(513)에 위치되는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처마하부리브(530)를 형성하고, 처마패널(510)의 하면에 응결된 물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처마패널(510)의 하면에 존재하는 물이 처마하부리브(530)에 닿으면 상기 처마하부리브(530)를 따라 이동되고, 처마하부리브(530)에 의해 물과의 접촉면적을 줄어들게 되므로 물의 낙하가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케이스(400)는 후방벽(420)에 상기 인입감지부(60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홈(4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홈(430)에 삽입 및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630)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홈(430)은 인입감지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결합홈(430)이 도시되어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슬라이딩결합부(630)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결합부(630)는 상기 슬라이딩결합홈(430)에 삽입 및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홈(430)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630)가 결합됨에 따라 인입감지부(60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630)는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0 및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케이스(400)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딩결합부(630)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결합부(630)는 인입감지부(600)의 전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감지부(600)는 슬라이딩결합부(630)가 상기 슬라이딩결합홈(430)에 결합되면 후단부측이 공급케이스(4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는 슬라이딩결합홈(430)에 결합된 슬라이딩결합부(630)가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공급케이스(400)에 슬라이딩결합부(630)가 결합되면, 슬라이딩결합홈(430)의 개방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공급케이스(4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공급케이스(400) 후방벽(420)에 결합된 인입감지부(600)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도 10 및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감지부(60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감지케이스(610) 및 감지돌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케이스(610)는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벽(4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슬라이딩결합부(630)는 상기 감지케이스(610)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상기 감지케이스(6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및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케이스(610)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케이스(6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결합부(630)가 도시되어 있다.
감지돌기(620)는 상기 감지케이스(6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벽(420)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공급케이스(4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감지돌기(620)가 상기 저장유닛(300)에 의해 가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돌기(620)는 감지케이스(6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감지돌기(620)는 공급케이스(400)의 후방벽(4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감지돌기(620)는 전단부가 공급케이스(4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돌기(620)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일 수도 있고, 가압되면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변위측정수단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300)이 공급케이스(400)에 수용되면 감지돌기(620)는 저장유닛(300)의 후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감지돌기(620)가 가압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저장유닛(300)의 온전한 인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돌기(620)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공급케이스(4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제1단자부(640) 및 제2단자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부(640)는 상기 감지케이스(610)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돌기(620)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단자부(650)는 상기 감지케이스(610) 내부에서 상기 제1단자부(64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제1단자부(640)와 상기 제2단자부(650)의 접촉 여부를 통해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감지부(600)의 제1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인입감지부(600)의 제2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감지돌기(620)는 인입감지부(600)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돌기(620)는 전단부가 완전히 인입된 저장유닛(3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감지돌기(620)의 전단부가 가압되면서 감지돌기(62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단자부(640)는 감지돌기(62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단자부(6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돌기(620)의 이동에 의해 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단자부(640)는 적어도 일부가 감지돌기(6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감지돌기(620)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0에는 일단부가 감지케이스(6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감지돌기(620)에 결합되어 상기 감지돌기(620)와 함께 적어도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단자부(640)가 도시되어 있다.
제2단자부(650)는 적어도 일부가 제1단자부(64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단자부(650)는 제1단자부(640)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단자부(64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단자부(640) 및 제2단자부(650)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 소재로 마련될 수 있고, 제1단자부(640) 및 제2단자부(650)가 접촉됨으로써 전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상기 제1단자부(640) 및 제2단자부(650)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감지케이스(610)의 내부에는 감지돌기(620)를 공급케이스(400)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감지돌기(620)는 저장유닛(3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저장유닛(300)이 인출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인입감지부(600)의 내부에는 변위전달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변위전달수단은 감지돌기(6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돌기(620)에 의해 가압되어 측방향을 따라 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변위전달수단은 감지돌기(620)에 의해 형성되는 변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변위전달수단은 감지돌기(620)에 의해 형성되는 변위를 제1단자부(640)로 전달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제1단자부(6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변위전달수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변위전달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감지돌기(620)가 저장유닛(300)에 의해 가압되면, 감지돌기(62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감지돌기(620)의 이동에 의해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며, 제1단자부(640)는 변위전달수단의 이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
제2단자부(650)는 제1단자부(640)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단자부(650)는 제1단자부(64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단자부(640)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자부(640)가 제2단자부(650)와 접촉되면 인입감지부(600)에서는 전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류는 저장유닛(300)의 인입을 알리는 전기적 신호에 해당될 수 있다.
인입감지부(600)는 제어부를 포함하거나 제어부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입감지부(600)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저장유닛(300)의 완전한 인입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과정상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하우징
15 : 개구부 20 : 터브
30 : 드럼 40 : 도어
100 : 세제공급장치 200 : 디스펜서유닛
300 : 저장유닛 305 : 손잡이부
306 : 세제저장통 307 : 세제수용영역
340 : 저장프레임 400 : 공급케이스
430 : 슬라이딩결합홈 500 : 처마부
510 : 처마패널 520 : 처마상부리브
530 : 처마하부리브 540 : 배수영역
500 : 인입감지부 510 : 감지케이스
520 : 감지돌기 530 : 슬라이딩결합부
540 : 제1단자부 550 : 제2단자부

Claims (14)

  1.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며,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케이스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인입감지부; 및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입감지부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처마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처마패널; 및
    상기 처마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처마패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처마패널상의 물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처마상부리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테두리 중 일부에 상기 처마상부리브가 마련되어 차폐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어 물이 배수되는 배수영역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감지부 및 상기 처마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공급케이스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후방벽보다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배수영역이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벽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마패널은 타측 단부가 상기 후방벽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인입감지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일측 단부가 상기 터브의 상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처마패널상의 물이 상기 배수영역으로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배수영역은 상기 처마패널의 상기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패널은 상기 인입감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인입감지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는,
    상기 처마패널에서 상기 일측 단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처마하부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케이스는 후방벽에 상기 인입감지부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공급케이스의 후방벽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감지케이스; 및
    상기 감지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벽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공급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감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저장유닛에 의해 가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저장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공급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감지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지돌기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제1단자부; 및
    상기 감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단자부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되는 제2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감지부는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의 접촉 여부를 통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50259A 2020-04-24 2020-04-24 의류처리장치 KR20210131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59A KR20210131758A (ko) 2020-04-24 2020-04-24 의류처리장치
EP21169561.4A EP3901355B1 (en) 2020-04-24 2021-04-2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7/238,927 US11603622B2 (en) 2020-04-24 2021-04-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59A KR20210131758A (ko) 2020-04-24 2020-04-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58A true KR20210131758A (ko) 2021-11-03

Family

ID=7562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59A KR20210131758A (ko) 2020-04-24 2020-04-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03622B2 (ko)
EP (1) EP3901355B1 (ko)
KR (1) KR20210131758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15591T1 (de) * 2006-05-26 2011-07-15 Electrolux Home Prod Corp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gewebeartikels mit einer ultraschallreinigungsvorrichtung
DE602007005925D1 (de) * 2007-02-14 2010-05-27 Electrolux Home Prod Corp Waschmaschine mit Flüssigwaschmittelausgeber
DE102009027876A1 (de) * 2009-07-21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KR20120082989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7354677B (zh) * 2013-07-03 2020-01-24 三星电子株式会社 洗涤剂供给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洗衣机
ITTO20130693A1 (it) * 2013-08-14 2015-02-15 Elbi Int Spa Struttura di cassetto per l'erogazione dosata di almeno un agente di lavaggio in una macchina lavatrice, in particolare una macchina lavabiancheria.
KR102233307B1 (ko) * 2014-04-30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68673B1 (ko) 2017-02-02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39603B1 (ko) 2018-11-01 2020-07-30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1355A1 (en) 2021-10-27
EP3901355B1 (en) 2023-12-20
US20210332522A1 (en) 2021-10-28
US11603622B2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6B1 (ko) 의류처리장치
WO2005118939A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210131758A (ko) 의류처리장치
JP5071236B2 (ja) 食器洗い機
US11530507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US2022009878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786341B1 (en)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371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7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688A (ko) 의류처리장치
CN117286686A (zh) 衣物处理装置
KR102443266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3040464A1 (en) Washing machine
CN113136704B (zh) 衣物处理设备
CN114293346B (zh) 衣物处理装置
JP7248713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300012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93690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05405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21009373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1757A (ko) 의류처리장치
WO2012084479A2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chemical dispenser
KR20090024466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 스위치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