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9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99A
KR20230001299A KR1020210084021A KR20210084021A KR20230001299A KR 20230001299 A KR20230001299 A KR 20230001299A KR 1020210084021 A KR1020210084021 A KR 1020210084021A KR 20210084021 A KR20210084021 A KR 20210084021A KR 20230001299 A KR20230001299 A KR 2023000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protrusion
detergent
cas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99A/ko
Publication of KR2023000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및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덮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케이스의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공급장치에서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캐비닛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단순히 저장유닛에 세제를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저장유닛이 캐비닛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세제의 보충 이후 저장유닛을 다시 캐비닛에 인입시키는 과정이 요구되는 등,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의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터브 및 드럼의 크기나 기타 다양한 구성 배치 등을 이유로 설계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수치적 특성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동에 대응하여 적어도 저장유닛에 세제를 보충하기 용이한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장유닛의 인출거리가 증가될수록 저장유닛의 고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저장유닛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세제공급장치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의 설계적 변경 사항을 최소화하면서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저장유닛의 인출거리가 변동되더라도 각 구성의 추가 설계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설계적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세제공급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유닛을 이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수치적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출거리 변동에도 공용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공급장치의 위치 또는 캐비닛의 수치 변경에 대응하여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공급장치의 프론트케이스 및 어퍼케이스 등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타 구성은 인출거리와 무관하게 공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캐비닛의 전장이 증가되더라도, 캐비닛으로부터 제한된 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저장유닛의 세제컵과 인출제한바가 세제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는 공급케이스 및 저장유닛을 포함하고, 공급케이스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이 공급케이스에 수용된다.
공급케이스는 프론트케이스, 어퍼케이스 및 로워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는 프론트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세제개구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는 프론트케이스를 통과한 저장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며, 어퍼케이스는 로워케이스의 상방에서 상기 로워케이스의 내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퍼케이스는 전단부가 프론트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 및 어퍼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케이스는 저장유닛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어퍼케이스의 전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프론트케이스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의 전단부가 프론트케이스의 내부까지 연장됨에 따라, 공급케이스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인출된 저장유닛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의 전단부에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프론트케이스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전단부상에 마련됨에 따라,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설계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및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캐비닛은 세제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고, 터브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며, 드럼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 또는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한다. 세제공급장치는 저장유닛, 프론트케이스 및 어퍼케이스를 포함한다.
저장유닛은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고,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을 포함한다.
어퍼케이스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덮고, 상기 어퍼케이스의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후방벽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도록 돌출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어 인출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컵의 개방된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인출제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인출제한바에 구비되어 상기 타단부와 함께 위치가 변화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출제한바는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인출제한바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한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에 가까울수록 상기 저장유닛에 더 가까워지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돌출된 거리가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된 거리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출제한바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벽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제한가이드돌기 사이에 돌기홈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를 지나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 또는 상기 저장유닛을 지지하는 전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단부를 하방으로 지지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의 측벽에는 상기 저장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출부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돌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서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저장유닛을 수용하는 로워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로워케이스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 또는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덮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제공급장치의 설계적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세제공급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유닛을 이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수치적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출거리 변동에도 공용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프론트패널과 패널보강부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조작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캐비닛 내부의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의 프론트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어퍼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의 로워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퍼케이스의 걸림돌기에 의해 인출거리가 제한된 저장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출거리가 제한된 상태의 저장유닛 및 어퍼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의 인출제한바 및 제한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의 인출거리가 제한된 상태에서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세제컵 및 인출제한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개구를 통해 공급케이스의 내부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 외부로 인출된 저장유닛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후술할 드럼(30) 및 터브(2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육면체 형태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캐비닛(10)이 형성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널은 프론트패널(15), 사이드패널, 어퍼패널, 로워패널 및 리어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널은 서로 결합되어 함께 상기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에는 세제개구(16) 및 의류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개구(16)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저장유닛(140)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하고, 의류개구(17)는 사용자가 캐비닛(10) 내부의 드럼(30)으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은 세제개구(16)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이란 캐비닛(10)을 기준으로 프론트패널(15)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프론트패널(15)은 세제개구(16)가 형성된 패널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에서 캐비닛(10)을 기준으로 세제개구(16)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에는 의류개구(17)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40)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0)가 마련된다. 다만, 조작부(50)는 필요에 따라 어퍼패널이나 사이드패널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40)는 프론트패널(15)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40)에 의해 프론트패널(15)의 의류개구(17)는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조작부(5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화면출력부(55)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부(53) 및 다이얼(56)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조작부(50)와 전기적 및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등 전기/전자적인 제어가 요구되는 대상과 전기적 및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50)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황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드럼(30)은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은 외주면상에 터브(20)측과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브(20)에 저장되는 물이 드럼(30) 내부로 제공되어 의류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거나 캐비닛(10) 외측에 마련되어 터브(20) 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세제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제뿐만 아니라 섬유의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유연제 및 섬유의 색상을 개선하기 위한 표백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세제는 가루 형태의 세제는 물론 액상 형태의 세제 등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것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140)을 포함하고, 저장유닛(140)은 프론트패널(15)의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 내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패널(15)의 의류개구(17)는 의류도어(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의류의 세탁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의류도어(40)를 조작하여 의류개구(17)를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의류개구(17)에는 의류가 투입될 수 있고, 상기 의류개구(17)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20)의 터브개구(22) 및 드럼(30)의 드럼개구(32)를 통과하여 드럼(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서 고정되고, 의류개구(17)를 향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의 이탈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통해 프론트패널(15)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는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댐퍼를 통해 캐비닛(10)상에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배치되고, 드럼(30)에서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7)를 향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7),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는 나란하게 정렬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은 외주면상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터브(2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 드럼(3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을 통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구동부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드럼(30)으로 전달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의 회전축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의류개구(17)가 프론트패널(15)에 마련되는 프론트 로더 타입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의류개구(17)가 어퍼패널에 형성되는 탑 로더 타입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프론트 로더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에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부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급수밸브의 제어를 통해 세탁과정 등에서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세제공급장치(100)와 별개로 터브(20) 내부로 물을 직접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와 물을 함께 터브(20) 또는 드럼(30)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부는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으로부터 프론트패널(15)을 분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프론트패널(15)상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패널(15)에는 의류개구(17) 및 세제개구(16)가 마련된다. 의류개구(17)는 의류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세제개구(16)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저장유닛(140)이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저장유닛(140)은 전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쥐어질 수 있는 손잡이부(143)가 마련될 수 있고,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면 손잡이부(143)의 전면은 프론트패널(15)과 함께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패널(15)의 후방에는 프론트패널(15)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조작부(50) 및 세제공급장치(100) 등이 고정될 수 있는 패널보강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프론트패널(15)에 결합되거나 어퍼패널 및 사이드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캐비닛(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캐비닛(10)의 전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에 해당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프론트패널(15)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세제공급장치(100) 및 조작부(5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프론트패널(15)의 패널플랜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패널플랜지부는 프론트패널(15)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패널플랜지부의 상부측에 상기 패널보강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패널플랜지부의 상부측은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추가연장부를 가질 수 있으며, 패널보강부(150)는 상기 추가연장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패널보강부(150)에는 조작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50)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출력부(55) 및 사용자가 조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부(53)와 다이얼(5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은 상기 패널보강부(150)와 결합되는 상기 화면출력부(55), 버튼부(53) 및 다이얼(56) 등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56)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화면출력부(55)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5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조작부(5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부(50)는 프론트패널(15)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조작부(50)는 프론트패널(15)의 전면과 패널보강부(1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의 내부란 프론트패널(15)의 전면과 전술한 패널플랜지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의 내부는 프론트패널(15)의 전면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의 내부는 어퍼패널, 사이드패널 및 로워패널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부(50)는 패널보강부(150)의 전면상에 결합되어 프론트패널(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50)는 패널보강부(150)에 결합되는 조작하우징(5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하우징(51)은 버튼부(53), 다이얼(56) 및 화면출력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52)는 조작하우징(51)의 내부에 구비되고, 버튼부(53) 및 화면출력부(55)와 연결될 수 있다. 조작하우징(51)의 내부에는 기판부(52)가 수용된 이후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러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53)는 기판부(52)에 결합되는 버튼하우징(54)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하우징(54)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판부(52)에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프론트패널(15)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53)는 사용자에 의해 전달되는 물리력이나 전기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53)는 물리적으로 이동되는 기계식 또는 물리적인 이동은 없으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식일 수 있다.
버튼부(53)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사용자의 손 등이 접촉되어 전기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로 전달될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5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버튼부(53)가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버튼부(53)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도 4에는 전원버튼부(53) 및 시작버튼부(53)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튼부(53)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50)는 화면출력부(55)를 포함하고, 화면출력부(55)는 다이얼(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출력부(55)는 기판부(52)에 결합되는 출력하우징(57)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이얼(56)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감지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55)는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출력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5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이얼(56)은 화면출력부(55)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화면출력부(55)의 다이얼(56)을 회전시켜 제어부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회전감지부(58)는 출력하우징(57)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다이얼(56)과 연결되어 다이얼(56)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감지부(58)는 자력발생체를 포함하고 고정체와 회전체가 구비되는 엔코더에 해당할 수 있다.
회전감지부(58)의 회전체는 다이얼(56)과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56)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이얼(56)을 회전시키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감지부(58)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론트패널(15)의 내부에 조작부(50)가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론트패널(15)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부(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패널(15)의 패널플랜지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조작부(5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세제개구(16)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공급장치(100)는 프론트패널(15)의 세제개구(16)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유닛(140)은 세제개구(16)를 통해 인입되어 세제공급장치(100)의 공급케이스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저장유닛(1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급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케이스는 프론트케이스(110), 로워케이스(120) 및 어퍼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10), 로워케이스(120) 및 어퍼케이스(130)는 함께 공급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세제공급장치(10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140)과 공급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유닛(140)은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저장유닛(140)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14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는 세제개구(16)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는 프론트케이스(110), 로워케이스(120) 및 어퍼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10)는 공급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고, 로워케이스(120) 및 어퍼케이스(130)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10)는 세제개구(16)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10)는 프론트패널(15)의 내부에서 세제개구(16)의 후방에 배치되어 저장유닛(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즉, 프론트케이스(110)는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140)의 전단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저장유닛(14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는 세제개구(16)를 향하는 전면과 어퍼케이스(130)를 향하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상기 프론트케이스(110) 또는 패널보강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케이스(110)와 로워케이스(120) 사이에는 패널보강부(150)가 위치될 수 있다. 패널보강부(150)는 저장유닛(1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서 로워케이스(1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는 로워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로워케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어퍼케이스(130)는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140)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어퍼케이스(130)는 급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어퍼케이스(130)는 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로워케이스(120)의 내부 및 저장유닛(140)으로 공급하는 급수유닛에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는 캐비닛(10)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급수밸브 및 급수호스를 통해 어퍼케이스(130)로 물을 전달할 수 있으며, 어퍼케이스(130)로 전달되는 물은 로워케이스(120)의 내부 및 저장유닛(140)으로 공급될 수 있고, 로워케이스(120)는 후술할 드레인홀(122)을 통해 물과 세제를 터브(20)를 향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의 프론트케이스(1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프론트케이스(11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케이스(110)는 개구둘레벽(111)과 후방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둘레벽(111)은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저장유닛(140)의 전단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구둘레벽(111)에는 프론트케이스(110)와 결합되기 위한 개구결합부(1111)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15)은 세제개구(16)의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개구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결합부(1111)는 상기 개구플랜지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개구플랜지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케이스(110)는 개구결합부(1111)를 통해 프론트패널(15)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벽(112)은 개구둘레벽(111)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벽(112)은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14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은 캐비닛(1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전단부에 대응될 수 있는 일부가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가 후방벽(112)을 관통하여 로워케이스(1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케이스(110)는 후방벽(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연장부(113)는 후방벽(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방연장부(113)는 개구둘레벽(111)에 의해 둘러싸이는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연장부(113)는 개구둘레벽(111)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연장부(113)의 연장된 길이는 개구둘레벽(111)의 연장된 길이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연장부(113)는 제1연장부(1131) 및 제2연장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1131)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저장유닛(1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연장부(1132)는 제1연장부(11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저장유닛(14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연장부(1131)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인출거리가 증가되는 저장유닛(140)과 더불어 어퍼케이스(130)를 상방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연장부(1132)는 슬라이딩홈(1132)을 포함하여 인출거리가 증가되는 저장유닛(14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어퍼케이스(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어퍼케이스(13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퍼케이스(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워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면상에 마련될 수 있고, 로워케이스(120)의 내부와 저장유닛(14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는 저장유닛(14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세제급수부(136)를 포함할 수 있고, 로워케이스(1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샤워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135)는 전방샤워부(1351) 및 후방샤워부(1352)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샤워부(1351)는 로워케이스(120) 내부의 전방측으로, 후방샤워부(1352)는 로워케이스(120) 내부의 후방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급수부(136)를 통해 저장유닛(140)으로 공급되는 물은 저장유닛(140)의 세제와 함께 로워케이스(1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샤워부(135)를 통해 로워케이스(12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로워케이스(120) 내부에 존재하는 세제 등과 함께 로워케이스(120)의 드레인홀(122)을 통해 터브(20)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어퍼케이스(130)는 전단부(1301)에 걸림돌기(133)가 마련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는 적어도 어퍼케이스(130)의 전단과 걸림돌기(133)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는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33)는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서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므로, 걸림돌기(133)가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황에 비교하여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의 로워케이스(1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로워케이스(12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워케이스(120)는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저장유닛(140)을 수용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저장유닛(14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면은 전술한 어퍼케이스(1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10), 로워케이스(120) 및 어퍼케이스(130)는 서로 결합되어 저장유닛(140)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의 측면에는 저장유닛(140)이 슬라이딩되어 공급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32)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측벽상에 슬라이딩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돌출부(142)가 슬라이딩홈(1132)에 삽입되어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 즉 캐비닛(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드레인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은 내부의 세제 중 적어도 일부가 어퍼케이스(130)의 세제급수부(136)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함께 로워케이스(12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세제와 물은 드레인홀(122)을 통해 로워케이스(120)로부터 배출되어 터브(20)에 제공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물과 세제가 드레인홀(122)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드레인홀(122)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드레인홈(12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어퍼케이스(130)의 샤워부(135)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로워케이스(1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세제 등을 세척하며 드레인홀(122)로 유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130)의 샤워부(135)를 통해 로워케이스(120)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로워케이스(120) 내부의 세척을 진행하여 위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의 저장유닛(14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저장유닛(14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유닛(140)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의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통(148)이 결합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은 상기 내부공간이 상면이 개방되고, 세제저장통(148)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장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세제저장통(148)은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세제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제홀을 차폐하기 위해 세제저장통(14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캡(148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40)은 의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세제저장통(148) 외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세제수용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수용부(147)는 상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상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140)은 세제저장통(148)과 세제수용부(147)가 서로 구획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저장통(148)과 세제수용부(147)에 각각 세제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는 저장프레임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한 쌍의 세제저장통(148)이 결합되고, 상기 세제저장통(148)에 의해 둘러싸이는 세제수용부(147)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유닛(140)은 전단부에 손잡이부(143)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의 전단부는 손잡이부(143)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43)는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후방벽(112)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43)는 단면적이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벽(112)의 관통홀(1121)보다 크게 마련되어 후방벽(112)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이 차단되고, 손잡이부(143)가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손잡이부(143)는 전면이 프론패널의 전면과 함께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상에 사용자에 의해 쥐어쥘 수 있는 그립홈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40)의 측벽, 즉 저장프레임의 측벽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출부(142)는 프론트케이스(110) 및 로워케이스(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32)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40)에는 인출제한바(146)와 제한돌기(1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어퍼케이스(130)의 걸림돌기(133)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저장유닛(14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돌게와 접촉됨으로써 저장유닛(140)의 전방이동이 제한되어 인출제한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인출제한바(1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인출제한바(146)는 일단부가 저장프레임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출제한바(146)의 상기 자유단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한돌기(14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돌기(133)와의 접촉을 회피시켜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에는 세제수용부(147)에 인출제한바(146)가 마련되고, 인출제한바(14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3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인출제한바(146)와 제한돌기(145)의 형상 및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한돌기(145) 및 인출제한바(146)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가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어퍼케이스(130) 및 저장유닛(140)의 단면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가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어퍼케이스(130)의 길이가 연장됨으로써,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증가시키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및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세제개구(16)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15)을 포함하고,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며, 드럼(30)은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20) 또는 드럼(3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140), 프론트케이스(110) 및 어퍼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저장유닛(140)은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16)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10)는 상기 세제개구(16)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140)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140)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14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140)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는 상기 후방벽(112)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140)은 캐비닛(10)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세제가 저장되거나 관리될 수 있다. 다만, 저장유닛(140)에 세제를 저장하는 과정마다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저장유닛(140)을 캐비닛(10) 외부에서 임시 보관할 필요가 있고 다시 세제개구(16)에 정렬시켜 캐비닛(10) 내부로 인입시키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유닛(140)이 공급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유닛(140)을 공급케이스상에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어퍼케이스(130)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33) 등을 이용하여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민감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상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거리는 필요에 따라 증가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 편의성을 위해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증가시키거나, 프론트패널(15)의 내부 구성이 변경되어 프론트패널(15)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는 경우, 세제공급장치(100) 또한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안정적으로 증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내부에서 저장유닛(140)을 덮는 어퍼케이스(130)의 길이를 증가시켜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가 후방벽(112)을 통과하여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증가되더라도 어퍼케이스(130)에 의해 저장유닛(14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케이스(130)는 전술한 걸림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상기 전단부(1301)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14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어퍼케이스(130)로부터 저장유닛(14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어퍼케이스(1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물리적 접촉을 통해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저장유닛(14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기(133)는 저장유닛(140)의 측벽이나 돌기 등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140)이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 걸림돌기(133)는 후방에 위치된 저장유닛(140)의 측벽이나 돌기 등과 접촉될 수 있고, 저장유닛(140)은 걸림돌기(133)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걸림돌기(133)에 의해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효과적으로 제한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에 걸림돌기(133)가 마련됨으로써, 저장유닛(140)의 인출제한거리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출제한거리란 캐비닛(1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140)이 걸림돌기(133)에 의해 전방 이동이 제한되기까지의 인출거리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돌기(133)에 의한 인출제한거리는 다양한 이유로 설계적인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조작부(50)는 프론트패널(15)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조작부(50)의 부피 등에 따라 프론트패널(15)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는 경우, 사용편의성을 위해 저장유닛(140)의 인출제한거리 또한 증가될 필요가 있다.
프론트패널(15)의 전후방향 길이 등이 증가되는 경우, 저장유닛(140)이 걸림돌기(133)에 의해 제한되는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저장통(148)의 세제캡(1481)이나 세제수용부(147)가 캐비닛(10) 외부로 충분히 노출되지 않는다면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가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위치되도록 어퍼케이스(130)의 길이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걸림돌기(133)가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에 마련되어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걸림돌기(133)에 의한 인출제한거리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어퍼케이스(130)는 저장유닛(140)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바, 걸림돌기(133)가 어퍼케이스(130)에 마련됨으로써 걸림돌기(133)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140)의 인출제한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걸림돌기(133)가 프론트케이스(110)의 개구둘레벽(111)에 마련되는 경우, 개구둘레벽(111)과 저장유닛(140)과의 이격거리만큼 걸림돌기(133)가 돌출되어야 하므로 걸림돌기(133)의 강성 확보에 불리하고 설계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33)는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상기 후방벽(112)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33)는 세제개구(16)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140)에 마련되는 인출제한바(146) 및 제한돌기(145)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면, 상기 저장유닛(140)은 상기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133)와 중첩되도록 돌출되는 제한돌기(145)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한돌기(145)가 상기 걸림돌기(133)와 접촉되어 인출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저장유닛(14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어퍼케이스(130)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저장유닛(140)이 캐비닛(10)에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33)의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 즉 저장유닛(140)의 인출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돌기(133)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한돌기(145)는 저장유닛(14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돌기(133)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133)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가 걸림돌기(133)와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133)에 의해 걸려지면, 저장유닛(140)은 제한돌기(145)와 걸림돌기(133)간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저장유닛(14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33)는 어퍼케이스(1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된 저장유닛(140)에서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는 세제컵(1473) 및 인출제한바(146)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140)은 세제컵(147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제컵(1473)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140)은 상기 제한돌기(145)가 상기 걸림돌기(133)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컵(1473)의 개방된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세제컵(1473)은 세제수용부(147)에 안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세제컵(1473)은 세제수용부(147)에서 나머지 공간과 구획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세제수용부(147)의 세제컵(1473)과 나머지 공간에 서로 다른 세제를 필요에 따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제컵(1473)은 세제수용부(147)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세제컵(1473)과 세제수용부(147)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세제수용부(147) 및 세제컵(1473)에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세제컵(1473)에 액상세제를 저장하고, 세제수용부(147)에서 세제컵(1473)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서 가루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유닛(140)이 걸림돌기(133)에 의한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컵(1473)의 개방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세제개구(16)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유닛(140)이 인출제한거리만큼만 캐비닛(10)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세제컵(1473) 내부에 편리하게 세제를 저장시키고 다시 저장유닛(140)을 캐비닛(10) 내부로 인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유닛(140)은 인출제한바(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제한바(146)는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145)는 상기 인출제한바(146)에 구비되어 상기 타단부와 함께 위치가 변화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출제한바(146)는 상기 제한돌기(145)가 상기 걸림돌기(133)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인출제한바(146)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걸림돌기(133)에 의한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 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인출제한바(146)는 일단부가 저장유닛(140)상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하여 위치가 변화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도 11 내지 13에는 인출제한바(146)에서 후방을 향하는 일단부, 즉 후단부가 저장유닛(140)상에 고정되고, 타단부, 즉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단을 형성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출제한바(146)의 후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한돌기(145)는 인출제한바(146)에 마련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인출제한바(14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인출제한바(14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인출제한바(146)의 전단 및 후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돌기(145)는 인출제한바(146)에 마련됨에 따라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와 함께 위치가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인출제한바(146)에서 자유단을 형성하는 타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한돌기(145) 또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에는 인출제한바(146) 및 제한돌기(145)가 하방으로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돌와 제한돌기(145)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140)이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제한바(146)의 자유단은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140)이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한돌기(145) 또한 하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133)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 조작을 통해 제한돌기(145)가 걸림돌기(133) 아래에 위치되면 더 이상 걸림돌기(133)에 의한 물리적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저장유닛(140)이 인출제한거리를 넘어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돌기(133)에 의해 제한돌기(145)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어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제한된 상태에서,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장유닛(140)의 인출제한 여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케이스(130)는 제한가이드돌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가이드돌기(132)는 상기 걸림돌기(133)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저장유닛(14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인출제한바(146)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13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한가이드돌기(132)는 걸림돌기(133)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한가이드돌기(132)는 걸림돌기(133)와 같이 어퍼케이스(1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걸림돌기(133)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한돌기(145)가 인출제한바(146)에 마련될 수 있고, 인출제한바(146)의 타단은 제한돌기(145)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적으로 의도되지 않은 다양한 이유로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제한돌기(145)보다 먼저 걸림돌기(133)에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제한돌기(145)보다 앞서 걸림돌기(133)와 접촉되는 경우, 저장유닛(140)은 설계적으로 의도된 인출제한거리만큼 인출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인출제한바(146)가 세제개구(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인출제한바(146)를 조작하지 못할 여지가 있다.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한가이드돌기(132)는 제한돌기(145)가 걸림돌기(133)에 접촉되기 전에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먼저 걸림돌기(133)에 접촉되어 전방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가이드돌기(132)는 상기 걸림돌기(133)에 가까울수록 상기 저장유닛(140)에 더 가까워지는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저장유닛(140)으로부터 돌출된 거리가 상기 걸림돌기(133)가 돌출된 거리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출제한바(146)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133)에 접촉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면은 어퍼케이스(13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돌출된 거리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면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제한가이드돌기(132)와 접촉되는 인출제한바(146) 또는 제한돌기(145)는 하방으로 연속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에 의해 점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출제한바(146)의 타단부가 걸림돌기(133)에 걸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한가이드돌기(132)는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벽(112)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한가이드돌기(132)의 후단이 후방벽(112)보다 후방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한가이드돌기(132)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한가이드돌기(132) 전체가 후방벽(112)보다 후방에 위치되거나 후방벽(112)의 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케이스(130)는 상기 걸림돌기(133) 및 상기 제한가이드돌기(132) 사이에 돌기홈(131)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140)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제한돌기(145)는 상기 제한가이드돌기(132)를 지나 상기 돌기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133)와 접촉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30)는 걸림돌기(133)와 제한가이드돌기(132) 사이가 이격되어 돌기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홈(131)은 제한돌기(14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에 해당되며, 제한돌기(145)는 제한가이드돌기(132)와 접촉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이후 제한가이드돌기(132)를 지난 이후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돌기홈(131)에 삽입되고 걸림돌기(133)에 의해 전방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한가이드돌기(132)가 어퍼케이스(130)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걸림돌기(133) 이상일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퍼케이스(1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가 걸림돌기(133)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한가이드돌기(132)가 도시되어 있고, 제한가이드돌기(132) 및 걸림돌기(133) 사이에는 저장유닛(140)의 제한돌기(14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홈(131)이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케이스(110)는 상기 후방벽(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상기 전단부(1301) 또는 상기 저장유닛(140)을 지지하는 전방연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케이스(110)는 후방벽(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140)을 지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방연장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11에는 후방벽(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13)를 포함하는 프론트케이스(1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연장부(113)는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상기 전단부(1301)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단부(1301)를 하방으로 지지하는 제1연장부(1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가 증가될수록 저장유닛(140)의 무게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바, 저장유닛(140)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퍼케이스(130)의 전단부(1301)와 함께 전방연장부(113)의 제1연장부(1131)가 저장유닛(140)의 상방에 배치되어 저장유닛(140)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연장부(1131)는 저장유닛(140)과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고, 개구둘레벽(111)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1131)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개구둘레벽(111) 이하로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프론트케이스(110) 및 로워케이스(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32)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저장유닛(140)의 슬라이딩돌출부(14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유닛(140)의 측벽에는 상기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돌출부(142)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연장부(113)는 상기 저장유닛(140)의 측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출부(142)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돌출부(142)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1132)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부(1132)는 제1연장부(1131)와 함께 전방연장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연장부(1132)는 제1연장부(1131)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저장유닛(140)의 측벽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은 측벽상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돌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140)은 상기 슬라이딩돌출부(142)가 공급케이스 내부에서 지지 및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는 손잡이부(143)를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부(143)는 후면상에 전방으로 함입되어 프론트케이스(110)의 전방연장부(113)가 삽입되는 연장부수용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143)에 연장부수용홈(144)이 형성됨에 따라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 전방연장부(113)가 형성되더라도 저장유닛(140)이 물리적 간섭없이 공급케이스 내부에 완전히 인입될 수 있다.
제2연장부(1132)는 슬라이딩돌출부(14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1132)은 슬라이딩돌출부(142)를 측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연장부(1132)에 슬라이딩홈(1132)이 마련됨으로써, 프론트케이스(110) 내부에서도 저장유닛(140)의 슬라이딩돌출부(142)를 지지하여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증가시키더라도 저장유닛(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100)는 로워케이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로워케이스(12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상기 어퍼케이스(1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저장유닛(14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1132)은 상기 제2연장부(1132) 및 상기 로워케이스(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홈(1132)은 제2연장부(1132)와 더불어 로워케이스(120)의 측벽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연장부(1132)의 슬라이딩홈(1132)과 로워케이스(120)의 슬라이딩홈(1132)은 모두 저장유닛(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제2연장부(1132)의 슬라이딩홈(1132)과 로워케이스(120)의 슬라이딩홈(1132)은 전후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유닛(140)의 슬라이딩돌출부(142)는 로워케이스(120)의 내부에서는 물론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서도 슬라이딩홈(1132)에 의해 지지되어 저장유닛(14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및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140), 프론트케이스(110) 및 어퍼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케이스(13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14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14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5 : 프론트패널 16 : 세제개구
17 : 의류개구 20 : 터브
22 : 터브개구 30 : 드럼
32 : 드럼개구 40 : 의류도어
50 : 조작부 51 : 조작하우징
52 : 기판부 53 : 버튼부
54 : 버튼하우징 55 : 화면출력부
56 : 다이얼 57 : 출력하우징
58 : 회전감지부 100 : 세제공급장치
110 : 프론트케이스 111 : 개구둘레벽
113 : 전방연장부 1131 : 제1연장부
1132 : 제2연장부 115 : 슬라이딩홈
120 : 로워케이스 122 : 드레인홀
123 : 드레인홈 130 : 어퍼케이스
131 : 돌기홈 132 : 제한가이드돌기
133 : 걸림돌기 135 : 샤워부
1351 : 전방샤워부 1352 : 후방샤워부
136 : 세제급수부 140 : 저장유닛
142 : 슬리이딩돌출부 143 : 손잡이부
144 : 연장부수용홈 145 : 제한돌기
146 : 인출제한바 147 : 세제수용부
1473 : 세제컵 148 : 세제저장통
1481 : 세제캡 150 : 패널보강부

Claims (15)

  1. 세제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 또는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덮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케이스의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후방벽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도록 돌출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어 인출거리가 제한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컵의 개방된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인출제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인출제한바에 구비되어 상기 타단부와 함께 위치가 변화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출제한바는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인출제한바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한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에 가까울수록 상기 저장유닛에 더 가까워지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돌출된 거리가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된 거리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출제한바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제한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벽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제한가이드돌기 사이에 돌기홈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제한가이드돌기를 지나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 또는 상기 저장유닛을 지지하는 전방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상기 전단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단부를 하방으로 지지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의 측벽에는 상기 저장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저장유닛의 측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출부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돌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서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저장유닛을 수용하는 로워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로워케이스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세제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 또는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세제개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나머지에 의해 관통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프론트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덮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84021A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1A KR20230001299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1A KR20230001299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99A true KR20230001299A (ko) 2023-01-04

Family

ID=8492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21A KR20230001299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79403A (ko) 세탁기
US8783071B2 (en) Washing machine
KR101636074B1 (ko) 드럼세탁기
JP201207568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40131809A (ko)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230001299A (ko) 의류처리장치
JP63789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3002045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37195B1 (ko) 의류처리장치
EP4365363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384258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718948B2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with improved drawer
KR2022004136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8A (ko) 의류처리장치
CN114293346B (zh) 衣物处理装置
KR20220041369A (ko) 의류처리장치
WO2022224679A1 (ja) 洗濯機
US2022011264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8641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77444B1 (ko) 세탁기
JP6271786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4008640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8522B1 (ko) 세탁장치
KR20220049875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