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87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75A
KR20220049875A KR1020200133538A KR20200133538A KR20220049875A KR 20220049875 A KR20220049875 A KR 20220049875A KR 1020200133538 A KR1020200133538 A KR 1020200133538A KR 20200133538 A KR20200133538 A KR 20200133538A KR 20220049875 A KR20220049875 A KR 2022004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ub
guide rail
senso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875A/ko
Priority to EP21190983.3A priority patent/EP3985154A1/en
Priority to US17/406,673 priority patent/US20220120023A1/en
Publication of KR2022004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가 마련된 터브 커버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 가능한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 커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A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보조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소형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드로워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량의 세탁물을 수시로 세탁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였다.
한편, 보조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된 터브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너비에 비해 낮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 의류, 또는 세제가 상기 터브의 상부에 구비된 터브투입구로 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9-0120654호(공개일: 2019.10.28)에 개시된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식 결합되어 터브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메인의류처리장치가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된 상기 힌지식 도어는 상기 메인의류처리장치의 프론트 도어와 충돌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상기 힌지식 도어는 드로워가 캐비닛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경우 제대로 열릴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반출할 때,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힌지식 도어는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할 때,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반드시 인출한 후 상기 힌지식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를 건조시킬 때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를 건조시킬 때,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로 인해 이동이 방해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에 걸려 넘어짐에 따라 부상의 위험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터브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된 터브투입구를 완전히 차폐하는 경우에만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터브투입구를 완전히 차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상부에 프론트 로드 타입의 메인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의류처리장치의 프론트 도어와 충돌할 우려가 없는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드로워가 캐비닛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대로 열릴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터브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터브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반출할 때, 추가 고정부재가 필요없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할 때, 드로워를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가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통해 열림과 닫힘이 감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가 마련된 터브 커버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 가능한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 커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투입구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절곡부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기 제1절곡부를 지나면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투입구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절곡부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2절곡부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2절곡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도어가 안착되는 도어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안착부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일부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센서 노출부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센서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접촉부, 및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도어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접촉부가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이드 돌출부,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소정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 돌출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가 마련된 터브 커버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 가능한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투입구를 덮으며,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한 상태를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센서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접촉부, 및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도어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 접촉부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도어 접촉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 돌출부도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 돌출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도어 접촉부를 밀어내어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프론트 로드 타입의 메인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된 도어는 상기 메인의류처리장치의 프론트 도어와 충돌할 우려가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는 드로워가 캐비닛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경우 제대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반출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는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고정부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할 때, 상기 드로워의 인출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터브의 건조를 위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터브를 건조시킬 때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를 건조시킬 때,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로 인해 이동이 방해되어 불편함이 초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에 걸려 넘어짐에 따라 발생 가능한 부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 함에 따라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식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 터브 커버 및 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 도어 안착부 및 센서 안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출부 및 감지 돌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물을 저장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30)과, 상기 터브(120)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120)은 높이가 너비보다 작게 구비되는 박스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120)은 상기 터브(120)를 수용하는 캐비닛(1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높이가 너비보다 짧게 구비되는 박스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120)은 상기 터브(120)를 수용하며 상기 캐비닛(110)에 인출가능 하게 구비되는 드로워(120)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를 배제하고 일반적인 캐비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캐비닛(110)에 인출 가능한 드로워(120)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로 이루어진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20)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121)와,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드로워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전방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컨트롤부(129)를 포함하는 전방패널(12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패널(125)은 상기 전방패널(1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120)가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드로워 잠금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 내주면에는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드로워 가이드레일(1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120)의 후방에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레일(11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 가이드레일 결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130)와, 상기 터브(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상부 또는 상부면에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터브투입구(137)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은 상기 터브투입구(137)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드럼투입구(14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 또는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터브(120)와 드럼(140)는 너비보다 높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20)와 드럼(140)은 높이가 직경보다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부에 메인의류처리장치 또는 다른 보조의류처리장치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130)는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12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상기 드로워(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121)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커버(123)는 상부면에 상기 터브투입구(137)와 연통할 수 있는 개방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29)는 상기 전방패널(125)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드로워(1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29)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알림사항이 있을 때 알람을 울릴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터브(13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너비에 비해 낮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130)에 공급되는 물이나 의류, 세제가 상기 터브투입구(137)로 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덮으며, 상기 터브(13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브(130)는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131), 및 상기 터브 바디(1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137)가 마련된 터브 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에는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덮으며, 상기 터브 커버(133)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135)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상에는 상기 도어(135)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135)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밸브(163), 상기 배수펌프(173) 및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드로워(1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3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160)와, 상기 터브(130)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6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1)과, 상기 급수관(161)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급수밸브(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상기 터브(130)의 하부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175)과, 상기 배수관(175)의 물을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73)와, 상기 배수펌프(173)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을 캐비닛(110)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61)과 상기 배출관(171)은, 후술되는 가이드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120)가 상기 캐비닛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급수관(161)과 상기 배출관(171)의 동작이 상기 가이드부(200)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부(200)에 대해서는 도6을 참조로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30)를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20)에서 지지하고, 상기 터브(13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90)는 댐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9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90)는 상기 터브(13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90)는 상기 터브(13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9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2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91)와, 상기 터브(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92)와, 상기 제1지지부(191)와 상기 제2지지부(192)를 연결하는 연결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91)는 상기 제2지지부(192)보다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93)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19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부(19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12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2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30)의 일측에는 상기 터브(13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166)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터브(1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140)을 상기 터브(130)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터브(13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151)와, 상기 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53)와,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회전축(15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상기 터브투입구(137)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147)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투입구(147)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의 편심을 방지하는 밸런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내주면에 상기 터브(130)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15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14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15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중공(145)으로 배출하는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140)과 별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121)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는 드로워 인출 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인출 감지센서(136)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구비된 영구자석(119)과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인출 감지센서(13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메인의류처리장치가 적층되었는지 여부를 더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30)와 상기 드럼(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3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 터브 커버 및 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 도어 안착부 및 센서 안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포함된 터브 커버(133) 및 도어(135)는 상기 터브 바디(131)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13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드로워 커버(12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123)는 터브 커버(133)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1231) 및 상기 하부 커버(12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1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커버(1231)의 가운데 부분과 상기 상부 커버(1232)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도어(135)를 노출시키는 드로워 투입구(12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투입구(137)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프레임(1350)과, 상기 도어 프레임(13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3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윈도우(1351)와, 상기 도어 프레임(1350) 및 윈도우(1351)가 상기 터브 투입구(137)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도어(135)를 상기 터브 커버(133)에 고정시킬 수 있는 도어 결합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52)에는 상기 도어(135)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핸들(1353)이 구비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개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브 커버(133)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일면 즉, 상부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137)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에 의해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을 따라 올바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레일(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137)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가이드레일(132)의 개수는 1개 이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13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35)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터브투입구(137)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5)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터브투입구(137)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5)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터브투입구(137)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양단 중 전방에 위치한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35)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절곡부(1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기 제1절곡부(1325)를 지나면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 즉, 상기 제1절곡부(1325)까지 슬라이딩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은 상기 제1절곡부(132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도어(13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터브 커버(133)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일면 즉, 상부면 상에서 상기 터브투입구(137)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 이외에도,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에 의해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을 따라 올바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레일(1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137)의 후방에 1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가이드레일(134)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양단 중 전방에 위치한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35)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절곡부(1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기 제2절곡부(1345)를 지나면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 즉, 상기 제2절곡부(1345)까지 슬라이딩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은 상기 제2절곡부(134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도어(135)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35)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도어(135)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은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135)의 상태에 따라 세탁, 급수, 알림신호 송출 등 적절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 커버(133)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센서 결합부(139)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139)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137)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 및/또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 커버(133)는,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에 위치하여 소정 높이만큼 하강할 때, 상기 도어(135)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도어(135)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보조 수용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용부(138)는 후술되는 도어(135)의 보조 돌출부(1357)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부(138)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투입구(137)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부(138)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 사이에서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 커버(133)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도어(135)가 안착되는 도어 안착부(1331), 및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과 상기 도어 안착부(13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131)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안착부(1331)는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도어 결합부(135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결합부(1352)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홈(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1352)는 상기 도어 결합홈(1332)에 삽입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 커버(133)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안착부(1331)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수용부(138)를 노출시키는 보조 수용부 노출홈(13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안착부(1331)는 상기 센서 결합부(139)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 노출부(13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의 일부는 상기 센서 결합부(139)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1336)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부(139), 상기 센서 결합부(139)에 결합되는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 및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센서 노출부(1336)는 각각 상기 터브투입구(137)의 후방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안착부(1331)는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후방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레일 노출부(1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안착부(1331)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 노출부(1334)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측방향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안착부(1331)가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은 상기 도어 안착부(1331)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출부 및 감지 돌출부를 각각 도시한 도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도어(135)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7(a)은 도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7(b)는 도어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8은 도7(b)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7(a)를 참조하면, 도어(135)는 도어 프레임(1350), 윈도우(1351), 도어 결합부(1352) 및 핸들(1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1350)은 상부 도어 프레임(1350a)과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윈도우(1351)는 상기 상부 도어 프레임(1350a)과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1352) 및 상기 핸들(1353)은 상기 도어 프레임(13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35)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가이드 돌출부(1355) 및 제2가이드 돌출부(1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5)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보조 돌출부(13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돌출부(1357)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서 보조 수용부(138)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7(b)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도어(135)는 상기 도어(135)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1336)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노출부(1336)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1331)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의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 돌출부(13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돌출부(1358)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5)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돌출부(1358)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1336)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감지 돌출부(1358)는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도어 프레임(1350b)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노출부(133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돌출부(1358)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 및/또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 돌출부(1357)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9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여 도어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9는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11은 본 발명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 커버(133) 상에서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차폐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 즉, 상기 제1절곡부(1325)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결합부(1352)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결합홈(1332)에 삽입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 커버(13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돌출부(1357)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보조 수용부 노출홈(1338)을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1331)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 수용홈(138)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 즉, 상기 제2절곡부(1345)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 커버(133) 상에서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덮도록 위치하되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까지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1325)에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결합부(1352)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결합홈(13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도어 결합부(1352)와 상기 도어 결합홈(1332)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5)가 상기 터브 커버(133)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돌출부(1357)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 수용부 노출홈(1338)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까지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절곡부(1345)에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35)는 상기 터브 커버(133) 상에서 상기 터브투입구(137)를 개방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타단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결합부(1352)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 결합홈(13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도어 결합부(1352)와 상기 도어 결합홈(1332)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결합부(1352)는 상기 터브투입구(137)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돌출부(1357)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보조 수용부 노출홈(1338)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돌출부(1357)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 즉,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타단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2를 기초로 하여 도어(135)의 상태에 따른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12(a)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12(b)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터브 커버(133)의 상기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1360) 및 상기 센서 바디(1360)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센서 바디(136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135)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접촉부(1365), 및 상기 센서 바디(1360)와 상기 도어 접촉부(136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1360)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부재(13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135)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135)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1절곡부(1325)로 슬라이딩되어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면 상기 감지 돌출부(1358)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135)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135)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1355)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132)의 상기 일단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135)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135)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135)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135)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상기 제2절곡부(1345)로 슬라이딩되어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면 상기 감지 돌출부(1358)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135)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135)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1356)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134)의 상기 일단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135)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135)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힐 때, 상기 도어 접촉부(1365)가 상기 도어(135)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부재(1363)를 상기 센서 바디(1360)의 내부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도어(135)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돌출부(1358)는 상기 도어(135)가 완전히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도어 접촉부(1365)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소정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도어 접촉부(1365)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감지 돌출부(1358)와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도어 접촉부(1365)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에 포함된 상기 감지 돌출부(1358)가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도어 접촉부(1365)에 접촉한 상태를 상기 도어(135)가 닫힌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5)에 포함된 상기 감지 돌출부(1358)가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도어 접촉부(1365)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135)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 접촉부(1365)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1363)가 상기 센서 바디(136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상기 도어(135)가 닫힌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1363)가 상기 센서 바디(136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135)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는 상기 도어(135)가 닫힐 때 상기 도어(135)와 함께 상기 감지 돌출부(1358)가 하강하면서 상기 도어 접촉부(1365)를 밀어내어 상기 이동 부재(1363)를 상기 센서 바디(1360)의 내부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3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프론트 로드 타입의 메인의류처리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포함된 도어(135)는 상기 메인의류처리장치의 프론트 도어와 충돌할 우려가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도어(135)는 드로워(120)가 캐비닛(1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대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반출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도어(135)는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고정부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터브(13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할 때, 상기 드로워(120)의 인출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135)를 슬라이딩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터브(130)의 건조를 위해 상기 드로워(120)를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터브(130)를 건조시킬 때 상기 드로워(120)를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30)를 건조시킬 때, 상기 드로워(120)를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120)로 인해 이동이 방해되어 불편함이 초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드로워(120)에 걸려 넘어짐에 따라 발생 가능한 부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135)가 슬라이딩 함에 따라 상기 도어(135)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5)가 터브(130)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식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도어(135)의 열림과 닫힘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20 드로워
130 커버

Claims (22)

  1.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가 마련된 터브 커버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 가능한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 커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투입구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절곡부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기 제1절곡부를 지나면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1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일단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투입구를 차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절곡부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2절곡부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제2절곡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도어가 안착되는 도어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 노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일부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노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센서 노출부를 통해 상기 도어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의 일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센서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접촉부, 및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도어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접촉부가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터브 커버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이드 돌출부,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상기 센서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제2가이드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소정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 돌출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와,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 가능한 터브투입구가 마련된 터브 커버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 가능한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투입구를 덮으며,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터브 커버의 일면에 안착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가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한 상태를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스위치부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센서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접촉부, 및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도어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 접촉부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부면에서 도어 접촉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감지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감지 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될 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지 돌출부도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 돌출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도어 접촉부를 밀어내어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센서 바디의 내부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3538A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38A KR20220049875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EP21190983.3A EP3985154A1 (en) 2020-10-15 2021-08-12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17/406,673 US20220120023A1 (en) 2020-10-15 2021-08-19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38A KR20220049875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75A true KR20220049875A (ko) 2022-04-22

Family

ID=7731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38A KR20220049875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20023A1 (ko)
EP (1) EP3985154A1 (ko)
KR (1) KR20220049875A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942B1 (ko) * 1991-10-21 1995-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삶는 세탁기의 덮개 잠금장치
JP2005000583A (ja) * 2003-01-20 2005-01-0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EP3135800B1 (en) * 2006-12-08 2018-08-01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20090052458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DE112011101196B4 (de) * 2010-04-05 2020-06-18 Lg Electronics Inc.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äsche und Verfahren zu ihrer Steuerung
EP2700743B1 (en) *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2082700B1 (ko) *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KR102344059B1 (ko) * 2015-01-05 202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4805654B (zh) * 2015-04-27 2018-03-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组件、波轮洗衣机以及复式洗衣机
KR102397005B1 (ko) * 2015-06-30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01639B1 (ko) *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3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836924B (zh) * 2018-01-15 2023-01-13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20190120654A (ko) 2018-04-16 2019-10-24 권재철 소변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체크가 가능한 배변패드
KR102470209B1 (ko) * 2018-04-27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가이드 및 드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7B1 (ko) *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19005564B3 (de) * 2019-05-10 2020-09-1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KR2022004976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1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220396909A1 (en) * 2021-06-15 2022-12-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5154A1 (en) 2022-04-20
US20220120023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7186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EP2700743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EP256531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33202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KR10259844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252734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US20180266040A1 (en) Washing machine
KR2009009694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230635A1 (en) Clothing processing device
KR201501376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8B1 (ko) 의류처리장치
EP4290003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45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4A (ko) 의류처리장치
EP2241665A1 (en) Laundry machine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8522B1 (ko) 세탁장치
KR101904937B1 (ko) 세탁장치
KR202300012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181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41885A (ko) 세탁장치
KR20220161812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