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00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005B1
KR102397005B1 KR1020150092775A KR20150092775A KR102397005B1 KR 102397005 B1 KR102397005 B1 KR 102397005B1 KR 1020150092775 A KR1020150092775 A KR 1020150092775A KR 20150092775 A KR20150092775 A KR 20150092775A KR 102397005 B1 KR102397005 B1 KR 10239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oor
sealing body
tub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82A (ko
Inventor
이지홍
김우성
김홍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005B1/ko
Priority to TW105118996A priority patent/TWI624573B/zh
Priority to EP16176923.7A priority patent/EP3112522B1/en
Priority to PCT/KR2016/007040 priority patent/WO2017003220A1/en
Priority to US15/198,255 priority patent/US10364523B2/en
Priority to CN201610512706.5A priority patent/CN106319823B/zh
Priority to JP2017510496A priority patent/JP6353161B2/ja
Priority to BR112017003936-2A priority patent/BR112017003936B1/pt
Priority to CA2956138A priority patent/CA2956138C/en
Priority to RU2017107193A priority patent/RU2672628C2/ru
Priority to AU2016285191A priority patent/AU2016285191B2/en
Priority to MX2017001968A priority patent/MX2017001968A/es
Publication of KR2017000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82A/ko
Priority to ZA2017/00607A priority patent/ZA201700607B/en
Priority to SA517380994A priority patent/SA517380994B1/ar
Priority to US16/525,134 priority patent/US11118296B2/en
Priority to US16/797,171 priority patent/US11118297B2/en
Priority to US17/411,359 priority patent/US11732394B2/en
Priority to KR1020210137843A priority patent/KR102397004B1/ko
Priority to KR1020210137844A priority patent/KR102397003B1/ko
Priority to KR1020220055742A priority patent/KR102537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 상기 터브 커버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투입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며, 단면이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탑 로딩 방식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한편, 종래 탑 로딩 방식의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터브를 캐비닛에서 인출시키는 드로워에 구비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와 같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릴 경우 드로워가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실링이 되지 않아 상기 터브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가 상기 터브 밖으로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작은 충격 및 진동에도 열릴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서 도어가 열릴 경우 제어부 또는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방법이 없어 그대로 상기 도어가 열린 체로 세탁행정이 수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투입구를 밀폐하는 를 두어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였다. 이때, 상기 투입구가 폐곡선 형상(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 중공 바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에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중공 바 형상의 (단면이 O자 형상인 )는 직선 형상으로만 제작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공 바 형상의 를 폐곡선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면이 O자 형상인 를 일정한 길이로 자른 뒤 양 단을 접착제와 같은 수단으로 접착해야만 했다. 그런데, 의 일부 영역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면, 접착제로 접착된 영역의 탄성력과 타 영역의 탄성력과 달라져 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힌지로 회전하는 후방 부분과 상기 도어의 전방 부분에 구비된 의 두께가 동일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에서 원활하게 분리되는 것을 도울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릴 때 이를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도어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도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알릴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가 폐곡선 형상(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 중공 바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 양단에 별도의 접착면을 구비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 양단을 접착할 필요가 없어 의 전체영역의 탄성력을 일정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겨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힌지로 회전하는 후방 부분과 상기 도어의 전방 부분에 구비된 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에서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쉽게 열리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 상기 터브 커버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투입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과 상기 힌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은 서로 다르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는 단면이 'O'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은 상기 힌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는 단면이 'C'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은 상기 힌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부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 상기 터브 커버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투입구;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투입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를 밀폐시키며, 단면이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링부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링바디; 상기 실링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투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링바디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바디고정부; 상기 실링바디가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삽입부를 상기 투입구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링바디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힌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두께는 상기 힌지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두께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 중 상기 힌지에 평행한 영역에 구비된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한 때 상기 도어에 잔류하는 물을 상기 투입구로 안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터브 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상기 휠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되어 기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또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는 장치,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빛을 발산하는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링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바디의 단면이 C자 형상이 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실링바디가 형성하는 면 중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실링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릴 때 이를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도어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링부가 상기 도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알릴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가 폐곡선 형상(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 중공 바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 양단에 별도의 접착면을 구비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 양단을 접착할 필요가 없어 의 전체영역의 탄성력을 일정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힌지로 회전하는 후방 부분과 상기 도어의 전방 부분에 구비된 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에서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쉽게 열리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드로워, 터브 및 드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실링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일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2)의 전방면에는 드로워(3)가 삽입되는 출입구(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구(21)는 캐비닛(2)의 일면에 구비되는 개방면(211), 상기 개방면(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2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는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캐비닛(2)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면(211)을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는 핸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상기 개방면(211)을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상기 플랜지(213)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13)는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정된 기준위치에 위치시키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상기 캐비닛(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31)에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331a), 제어명령을 비롯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33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31b)는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는 장치,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빛을 발산하는 장치(램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기 개방면(211)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터브(4)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3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351)과 제2관통홀(3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3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353)은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4)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3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공급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351)의 하부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공급구(433)는 드로워 커버의 제2관통홀(353)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431)는 터브 바디(4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4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53) 또는 터브 커버(43)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45)에 의해 개폐된다.
도 3은 도어(45)가 터브 커버(43)에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도어(45)는 힌지(453)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55), 상기 프레임(451)을 상기 터브 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핸들(4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경우, 사용자가 터브 바디(4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455)는 투명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457)은 핸들 축(457b)을 통해 프레임(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457)은 고정부(47)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47)는 핸들(457)과 터브 커버(43)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체결부(471, 예: 후크), 핸들(457)과 터브 커버(43)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471)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체결부(473, 예: 후크 수용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431)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터브 바디(4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451)과 상기 터브 커버(43)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45)가 투입구(431)를 폐쇄한 때 프레임(451)과 투입구(43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45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실링부(459)는 상기 프레임(451)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451)과 상기 투입구(431)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실링바디(491), 상기 실링바디(491)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431)에 삽입되는 삽입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491)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실링바디(491)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투입구(431)가 폐곡선 형상(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바디(491)가 중공 바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바디(491)에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중공 바 형상의 실링바디(단면이 O자 형상인 실링바디)는 직선 형상으로만 제작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공 바 형상의 실링바디(491)를 폐곡선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면이 O자 형상인 실링바디를 일정한 길이로 자른 뒤 양 단을 접착제와 같은 수단으로 접착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링바디(491)의 일부 영역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면, 접착제로 접착된 영역의 탄성력과 타 영역의 탄성력과 달라져 실링부(49)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되는 실링부(49)는 O자 형상의 단면보다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바디(491)가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는 것은 실링바디의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실링바디(491)는 개구부(499)를 통해 실링바디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기 때문에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499)는 상기 실링바디(491)가 형성하는 면 중 상기 투입구(431)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499)가 상기 투입구(4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면 도어(45)의 개방 시 도어에 잔류하는 세탁수가 상기 터브(4)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개구부(499)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실링바디(491)의 단면이 C자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투입구(431)가 폐곡선 형상으로 구비되더라도 투입구(431)의 형상과 동일한 폐곡선 형상의 실링바디(491)를 접착 없이 성형할 수 있어 접착면이 구비된 실링바디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바디(491)의 단면이 C자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핸들의 고정부(47)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힌지(453)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L3)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고정부(47)를 분리시키기만 하면 도어(45)가 투입구(43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실링바디(491)의 단면이 O자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술한 효과는 상기 핸들의 고정부(47)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지름(R1)이 상기 힌지(453)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실링바디의 지름(R2)보다 길게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실링바디(491)는 바디고정부(493)를 통해 도어의 프레임(4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95)는 상기 투입구(431)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431)를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삽입부(495) 중 상기 힌지(453)에 평행한 영역에 구비된 삽입부의 길이(L4)는 나머지 영역에 구비된 삽입부의 길이(L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5)가 상기 투입구(431)를 개방한 때 상기 도어(45)에 잔류하는 물을 상기 투입구(431)를 통해 터브 바디(4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실링부(49)에는 상기 실링바디(491)가 상기 투입구(431) 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삽입부(495)를 상기 투입구(431)에 밀착시키는 돌출부(4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497)는 상기 실링바디(491)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495)와 상기 실링바디(491)의 하부에 위치된 자유단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4)는 터브지지부(6)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61), 터브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63),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5)는 제1지지부(61)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651),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653),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바(bar, 6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651)는 상기 제1지지부(61) 내부에 안착하되 제1지지부(61)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653)는 상기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되 제2지지부(63)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제1연결부(651) 및 제2연결부(653)가 구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각 지지부(61, 63)에 접촉되는 면이 반구 형상으로 구비된 연결부(651, 653)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655)는 상기 캐비닛(2)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캐비닛의 높이방향 Z에 나란하게 구비, 드로워의 바닥면에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터브지지부(6)가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655)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바(655)가 Z축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터브 커버(43)와 상기 드로워 커버(35)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터브지지부(6)는 상기 터브 바디(41)가 드로워 바디(31) 내부에서 진동하더라도 상기 터브 커버(43)가 드로워 커버(35)에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바(655)가 드로워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지지부(61)와 제2지지부(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지지부(6)가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제1지지부(61)와 제2지지부(63) 모두 드로워 바디(31)에서 분리될 수 없도록 구비되면, 상기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고정하는 작업자는 제2지지부(63)가 제1지지부(61)에 간섭되지 않도록 드로워 바디(31)에 터브 바디(41)를 삽입한 뒤 제2지지부(63)가 제1지지부(61)를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터브 바디(41)를 회전시켜야만 제1연결부(651)를 제1지지부(6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터브지지부의 바(655)가 드로워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특징은 터브 바디(41)의 외주면과 드로워 바디(31)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S)을 최소화시켜 의류처리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 제1연결부(651)와 제1지지부(61)의 조립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상기 제1지지부(61)가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4)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5)은 상부에 개방면(53, 드럼 개방면)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개방면(53)은 상기 투입구(4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투입구(4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 개방면(53)을 통해 드럼 바디(51)로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57)과 원주면(55)에는 드럼 바디(51) 내부를 터브 바디(4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구동부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되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M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57)과 로터(M3)를 연결하는 회전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M3)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7)를 통해 터브(4)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8)를 통해 터브(4)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7)는 터브 커버에 구비된 공급구(433)에 연결된 제1급수관(71),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에 연결된 제2급수관(73), 상기 터브 커버(43)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71)은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제2관통홀(353)을 통해 공급구(433)와 연결관(75)을 연결하며, 터브(4)의 진동 시 제1급수관(71)이 연결관(75)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고).
또한,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제2급수관(73)이 연결관(75)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2급수관(73) 역시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관(73)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는 급수밸브(77)에 의해 개폐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급수부(7)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하나의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8)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배수펌프(8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8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83), 상기 배수펌프(81)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수관(85)은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45)가 열리면,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캐비닛(2) 내부에서 도어(45)가 열리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도어(45)가 캐비닛의 출입구(21)에 간섭되어 드로워(3)가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더(95)는 캐비닛(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953, 955)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상기 휠의 최하단까지의 거리(H2)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상기 출입구(21)까지의 거리(H1)보다 짧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953, 955)은 캐비닛(2)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캐비닛(2)에 고정되는 케이스(9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입구(21)가 개방면(211)과 플랜지(213)로 구비될 경우, 상기 가이더(95)는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상기 도어(45)가 상기 플랜지(21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 커버(35)에서 상기 휠의 최하단까지의 거리(H2)는 상기 드로워 커버(35)에서 상기 플랜지(213)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은 상기 드로워(3)의 인출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휠(953) 및 제2휠(9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휠(953)은 제1축(9531)을 통해 케이스(9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출입구(21) 방향에 위치된 제2휠(955)은 제2축(9551)을 통해 상기 케이스(9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에서 각 휠(953, 955)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서로 도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드로워(3)의 상부면에서 제2휠(953, 출입구(21)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휠)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드로워(3)의 상부면에서 제1휠(955)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드로워(3)의 상부면에서 제2휠(953)의 최하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제1체결부(471)를 제2체결부(473)에 결합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마다 상기 가이더(95)에 의해 도어(45)가 터브 커버(43)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어(45) 때문에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45)가 캐비닛(2) 내부에서 투입구(431)를 개방하면,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투입구(431)를 통해 터브 바디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도어(45)가 투입구(43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부(97)는 상기 캐비닛(2)과 상기 도어(4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발생부(973),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력발생부(973)가 제공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1자력감지부(97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제1자력발생부(973)는 도어(45)에 고정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자력감지부(971)는 케이스(951)에 고정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1위치감지부(97)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제1자력감지부(991)가 감지한 자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자기력 미만이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도어(45)는 투입구(431)를 폐쇄한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자력감지부(971)가 감지한 자기력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자기력 이상이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도어(45)가 투입구(431)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한다.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도어(45)가 투입구(431)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표시부(331b) 등을 통해 도어가 캐비닛(2) 내부에서 개방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문자신호, 기호, 소리신호, 램프발광 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위치감지부(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감지부(99)는 상기 드로워(3)와 캐비닛(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력발생부(993), 상기 드로워(3)와 캐비닛(2)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력발생부(993)가 제공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자력감지부(99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력감지부(991) 및 상기 제2자력발생부(993)는 상기 드로워 패널(33)이 출입구(21)를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5는 제2자력발생부(993)는 드로워 커버(35)의 전방에 고정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자력감지부(991)는 케이스(951)에 고정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드로워(3)가 캐비닛(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되면, 드럼(5)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자력감지부(99)가 감지한 자기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자기력보다 작으면 표시부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문자신호, 기호, 소리신호, 램프발광 등)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부(331a)를 통해 제어명령의 실행을 지시하더라도 상기 제2자력감지부(99)가 감지한 자기력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준자기력 이상이 될 때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2: 캐비닛 21: 출입구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5: 드로워 커버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31: 투입구 433: 공급구
45: 도어 451: 프레임 453: 힌지
455: 윈도우 457: 핸들 47: 고정부
49: 실링부 491: 실링바디 493: 바디고정부
495: 삽입부 497: 돌출부 5: 드럼
51: 드럼 바디 6: 터브지지부 7: 급수부
8: 배수부 95: 가이더 951: 케이스
953: 제1휠 955: 제2휠 97: 제1위치감지부
99: 제2위치감지부

Claims (21)

  1. 터브 바디;
    상기 터브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투입구가 형성된 터브 커버;
    상기 터브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바디고정부;
    상기 바디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도어와 상기 터브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바디; 그리고,
    상기 실링바디로부터 상기 터브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터브 커버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터브 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를 밀폐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의 단면은 상기 투입구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C자 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의 단면은 상기 투입구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부분에 의해 폐곡선을 형성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바디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에 인접한 상측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 주위의 상기 터브 커버와 접촉하는 하측부; 그리고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바디의 하측부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실링바디의 하측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 주위의 상기 터브 커버와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투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바디의 하측부의 단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실링바디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실링바디로부터 돌출된 길이보다 긴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실링바디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실링바디의 상측부와 상기 실링바디의 하측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바디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터브 커버에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상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상기 투입구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를 마주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은,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터브 커버에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의 단면에서 상기 상측부의 길이는 상기 하측부의 길이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그리고,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 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바디 중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부분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실링바디 중 상기 힌지와 인접한 부분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터브 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바디 중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부분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실링바디 중 다른 부분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고정부는 상기 실링바디의 상측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도어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바디의 상측부는 상기 도어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 커버의 경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고정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 커버의 경계의 외측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고정부는, 상기 실링바디의 상측부에서 상기 도어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도어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고정부의 제1 부분은 상기 실링바디의 상측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단면에서 상기 바디고정부는 T자 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92775A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KR10239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75A KR102397005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TW105118996A TWI624573B (zh) 2015-06-30 2016-06-16 洗衣處理裝置
EP16176923.7A EP3112522B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X2017001968A MX2017001968A (es) 2015-06-30 2016-06-30 Aparato para tratamiento de ropa.
CN201610512706.5A CN106319823B (zh) 2015-06-30 2016-06-30 衣物处理装置
JP2017510496A JP6353161B2 (ja) 2015-06-30 2016-06-30 衣類処理装置
BR112017003936-2A BR112017003936B1 (pt) 2015-06-30 2016-06-30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CA2956138A CA2956138C (en) 2015-06-30 2016-06-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017107193A RU2672628C2 (ru) 2015-06-30 2016-06-3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AU2016285191A AU2016285191B2 (en) 2015-06-30 2016-06-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7040 WO2017003220A1 (en) 2015-06-30 2016-06-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198,255 US10364523B2 (en) 2015-06-30 2016-06-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ZA2017/00607A ZA201700607B (en) 2015-06-30 2017-01-2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A517380994A SA517380994B1 (ar) 2015-06-30 2017-02-27 جهاز معالجة غسيل
US16/525,134 US11118296B2 (en) 2015-06-30 2019-07-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6/797,171 US11118297B2 (en) 2015-06-30 2020-02-2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7/411,359 US11732394B2 (en) 2015-06-30 2021-08-2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210137843A KR102397004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37844A KR102397003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55742A KR102537143B1 (ko) 2015-06-30 2022-05-0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75A KR102397005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43A Division KR102397004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37844A Division KR102397003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55742A Division KR102537143B1 (ko) 2015-06-30 2022-05-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82A KR20170002882A (ko) 2017-01-09
KR102397005B1 true KR102397005B1 (ko) 2022-05-11

Family

ID=5629660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775A KR102397005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37843A KR102397004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37844A KR102397003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55742A KR102537143B1 (ko) 2015-06-30 2022-05-0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43A KR102397004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37844A KR102397003B1 (ko) 2015-06-30 2021-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55742A KR102537143B1 (ko) 2015-06-30 2022-05-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10364523B2 (ko)
EP (1) EP3112522B1 (ko)
JP (1) JP6353161B2 (ko)
KR (4) KR102397005B1 (ko)
CN (1) CN106319823B (ko)
AU (1) AU2016285191B2 (ko)
BR (1) BR112017003936B1 (ko)
CA (1) CA2956138C (ko)
MX (1) MX2017001968A (ko)
RU (1) RU2672628C2 (ko)
SA (1) SA517380994B1 (ko)
TW (1) TWI624573B (ko)
WO (1) WO2017003220A1 (ko)
ZA (1) ZA201700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005B1 (ko) * 2015-06-30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01639B1 (ko) *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1B1 (ko) 2016-11-11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339493B1 (en) * 2016-12-16 2020-11-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D878686S1 (en) * 2017-07-12 2020-03-17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CN110693439A (zh) * 2018-07-10 2020-01-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鞋机的控制方法及洗鞋机
CN111334987B (zh) * 2018-11-30 2022-07-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102599107B1 (ko) *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680359B2 (en) * 2019-12-12 2023-06-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KR20220049765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1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5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8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4592325A (zh) * 2020-12-03 2022-06-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585A (ja) * 2001-10-25 2003-05-0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1387472B1 (ko) * 2006-12-08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179B2 (ja) * 1995-12-28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US5915698A (en) * 1996-07-17 1999-06-29 Federal-Mogul Systems Protection Group, Inc. Resilient wire clips with multiple pair sections and crossed ends for attaching a tubular braided gasket to an oven door having groups of clip receiving apertures at variable intervals
US6105403A (en) * 1999-01-14 2000-08-22 Whirlpool Corporation Lid seal for an automatic washer
JP2000238827A (ja) * 1999-02-18 2000-09-05 Kyoko Mizoguchi 容 器
JP2001105888A (ja) * 1999-10-06 2001-04-17 Nishikawa Rubber Co Ltd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2002248950A (ja) * 2001-02-27 2002-09-03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US8016444B2 (en) * 2005-08-18 2011-09-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having lamp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326305B1 (ko) * 2005-09-01 2013-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2007130359A (ja) * 2005-11-14 2007-05-31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ITTO20060569A1 (it) 2006-07-31 2008-02-01 Indesit Co Spa "macchina di lavaggio, in particolare una lavabiancheria, comprendente un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a lunga autonomia"
CA2661211C (en) * 2006-08-23 2013-03-05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3135800B1 (en) * 2006-12-08 2018-08-01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1306712B1 (ko) * 2006-12-08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CN101974838A (zh) * 2007-01-10 2011-02-16 Lg电子株式会社 底座洗衣机
CN101302706A (zh) * 2007-04-20 2008-11-12 Lg电子株式会社 洗涤剂盒开、关检测装置及控制具有其的洗衣机的方法
KR101435796B1 (ko) *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KR101435813B1 (ko) *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10B1 (ko) * 2008-05-2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2267386A3 (en) 2009-06-22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E112011106122B9 (de) *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EP3480354B1 (en) * 2011-08-31 2020-05-13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340917B2 (en) * 2011-12-15 2016-05-17 Whirlpool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2700743B1 (en) *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WO2014042386A1 (en) 2012-09-17 2014-03-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auxiliary detergent supply module
KR102082700B1 (ko) *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JP6071586B2 (ja) * 2013-01-28 2017-02-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29115B1 (ko)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97005B1 (ko) * 2015-06-30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585A (ja) * 2001-10-25 2003-05-0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1387472B1 (ko) * 2006-12-08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43B1 (ko) 2023-05-26
CA2956138A1 (en) 2017-01-05
US11118296B2 (en) 2021-09-14
TWI624573B (zh) 2018-05-21
US20200190723A1 (en) 2020-06-18
MX2017001968A (es) 2017-05-04
US10364523B2 (en) 2019-07-30
EP3112522B1 (en) 2020-10-21
JP6353161B2 (ja) 2018-07-04
BR112017003936A2 (pt) 2018-03-13
KR102397004B1 (ko) 2022-05-12
RU2017107193A3 (ko) 2018-09-06
AU2016285191A1 (en) 2017-02-16
KR20210127691A (ko) 2021-10-22
US20190352832A1 (en) 2019-11-21
US20170002494A1 (en) 2017-01-05
WO2017003220A1 (en) 2017-01-05
CN106319823A (zh) 2017-01-11
KR102397003B1 (ko) 2022-05-12
SA517380994B1 (ar) 2021-09-21
RU2017107193A (ru) 2018-09-06
KR20210128976A (ko) 2021-10-27
EP3112522A1 (en) 2017-01-04
KR20220063140A (ko) 2022-05-17
CN106319823B (zh) 2018-10-23
BR112017003936B1 (pt) 2023-01-17
AU2016285191B2 (en) 2018-03-22
JP2017528210A (ja) 2017-09-28
US11118297B2 (en) 2021-09-14
KR20170002882A (ko) 2017-01-09
RU2672628C2 (ru) 2018-11-16
CA2956138C (en) 2019-09-24
TW201702454A (zh) 2017-01-16
US20210381154A1 (en) 2021-12-09
ZA201700607B (en) 2019-06-26
US11732394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0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639B1 (ko) 의류처리장치
TWI630302B (zh) 洗衣處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