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36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369A
KR20220041369A KR1020200124477A KR20200124477A KR20220041369A KR 20220041369 A KR20220041369 A KR 20220041369A KR 1020200124477 A KR1020200124477 A KR 1020200124477A KR 20200124477 A KR20200124477 A KR 20200124477A KR 20220041369 A KR20220041369 A KR 2022004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storage
wall
storag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심혜현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369A/ko
Priority to EP21198631.0A priority patent/EP3974574A1/en
Priority to US17/484,781 priority patent/US11866878B2/en
Publication of KR2022004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저장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프레임은 상기 저장프레임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외벽부 및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탄성부는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과정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관련문헌 KR 10-2020-0091245에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 문헌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세탁제를 터브로 공급하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세탁제를 저장하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저장용기, 저장용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저장용기에 저장된 세탁제를 흡입하여 하우징 하측으로 토출하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 문헌에 개시된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며 본채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하우징이 별도의 구성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세제 저장 용량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사용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의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제공급장치에서 저장유닛에 별도의 세제저장통을 이용하여 세제를 저장하지 않고, 저장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저장프레임에 직접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세제저장통을 제거하여 저장되는 세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제 저장공간을 구분하는 프레임격벽부에 걸림돌출부가 마련되고, 저장유닛과 마주하는 고정유닛에 걸림돌출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걸림탄성부가 마련되어 세제저장공간을 최대로 확보함과 동시에, 걸림탄성부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저장유닛을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저장유닛의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에 세제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저장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프레임은 상기 저장프레임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외벽부 및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탄성부는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과정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된다.
상기 프레임외벽부는 상기 저장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외벽, 상기 저장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격벽부는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후방외벽을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격벽부에 의해 상기 세제저장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는 상기 프레임외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격벽부,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를 연결하는 전방격벽 및 상기 후방외벽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를 연결하는 후방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후방격벽에 마련될 수 있다. 후방격벽에 걸림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탄성부가 과도하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단은 상기 후방외벽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외벽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걸림돌출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방접촉부,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탄성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후방접촉부 및 상기 전방접촉부와 상기 후방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최대돌출지점을 포함하는 최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최대돌출지점은 상기 최대돌출부보다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입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는 상기 후방격벽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연장되는 수평연장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장구간에 의해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의 탄성력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입 및 인출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의 후면은 상기 후방외벽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후방외벽과 일체를 이루며 형성됨으로써, 걸림돌출부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외벽부는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후방외벽을 연결하는 제1측방외벽 및 제2측방외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은 상기 제1측방외벽과 상기 프레임격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저장공간, 상기 제2측방외벽과 상기 프레임격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저장공간 및 상기 보조저장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3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분되는 세제저장공간에 다양한 세제를 별도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제1덮개, 상기 제2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제2덮개, 상기 제1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덮개가 결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덮개가 결합되는 제2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여 저장된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후방격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후방격벽 상에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사이의 공간에 걸림돌출부를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세제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전방격벽 및 상기 후방격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방격벽 보다 상기 후방격벽 상에서 서로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전방격벽에는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를 인접시킴으로써 세제저장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탄성부는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최대돌출지점이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저장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최대한 인접시켜 세제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와 이격되고, 상기 저장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프레임격벽부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이 의도치 않게 탈거되어 저장된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제한부는 상기 걸림돌출부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주로 제한된 인출거리에 한해서 인입 및 인출되므로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탄성부가 과도하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제한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돌출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과정에서 걸림돌출부와 스토퍼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제한부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상기 일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세제 저장 용량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사용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의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로부터 저장유닛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출부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걸림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이 인입되기 전 상태의 걸림돌출부와 걸림탄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걸림돌출부와 걸림탄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제한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제한부와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의류처리장치(1)를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세제공급장치(100)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세제개구부(15)가 구비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0) 및 상기 세제개구부(15)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갖는 조작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도어(40)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의 일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들과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캐비닛(10) 또는 드럼(3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세제개구부(15)가 구비될 수 있고, 세제개구부(15)를 통해 도달 가능한 캐비닛의 내부에는 세제공급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5)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 1에는 세제개구부(15)가 조작부와 측방향(Y)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는 세제개구부(15)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개구부(15)에 인입된 상기 저장유닛(300)에서 상기 전후방향(X)으로 연장된 일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펜서유닛(200)이 상기 고정유닛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유닛이라 함은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을 의미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300)에 저장되는 세제를 세탁 단계에서 드럼(30)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세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위에서부터 디스펜서유닛(200), 저장유닛(300) 및 공급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세제가 저장되고 전후방향(X)을 따라 상기 세제개구부(15)에 인입될 수 있으며, 전방의 손잡이부(305)와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이란 상기 세제개구부(15)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제개구부(15)에서 캐비닛(10)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세제개구부(15)에서 캐비닛(10)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캐비닛(10)에서 도어(40)와 세제개구부(15)가 서로 다른 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세제개구부(15)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세제개구부(15)로부터 인출되는 저장유닛(300)을 캐비닛(10)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손잡이부(305)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세제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300)은 디스펜서유닛(200) 및 공급케이스(400)와 적층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캐비닛(10)의 외부 또는 세제개구부(15)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305)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면, 저장유닛(300)은 슬라이딩되면서 세제개구부(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저장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덮개부가 탈거된 상태의 저장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저장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에 세제개구부(15)가 마련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0) 및 상기 터브(20)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며, 상기 세제개구부(15)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저장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이 개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저장프레임(310),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마련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둘레에 마련되는 덮개안착부(320) 및 상기 덮개안착부(3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개방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덮개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개구부(15)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상기 세제개구부(1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을 관통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술한다. 그러나 상기 세제개구부(15)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출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유닛(300)이 차지하는 공간 전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세제개구부(15)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에 상기 인출제한부(37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거리보다 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제한부(370)를 조작하여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에서 완전히 탈거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5)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손잡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홈에 손가락을 지지하여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305)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유닛(30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인출된 저장유닛(300)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에서 탈거하여 손쉽게 세척 또는 보수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은 세탁에 필요한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의해 세제저장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 내부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공간(S)에는 별도의 저장용기가 안착되지 않고 직접 세제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일면에 세제가 직접 접촉되며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저장되는 세제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일측에 관통 결합되는 세제밸브(380)를 통해 상기 터브(2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밸브(380)에는 펌프가 결합되어 기 설정된 용량만큼 세제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되는 세제량은 저장되는 의류의 무게, 세탁수의 양, 세탁 코스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펌프에는 다양한 용도 및 형태의 펌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공간(S)에 저장되는 세제는 복수회의 세탁과정에서 일정량만큼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에 저장된 세제가 1회의 세탁행정에서 전부 상기 터브(20)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세제저장공간(S)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덮개부(3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350)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에는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둘레를 따라 덮개안착부(320) 마련된다.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둘레를 따라 덮개안착부(320)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안착부(320)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덮개부(350)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세제저장용기를 포함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세제를 분리되게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닥면(311), 상기 프레임바닥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을 형성하는 프레임외벽부(330),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분리하는 프레임격벽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바닥면(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외벽부(330) 및 프레임격벽부(340)에 의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이 서로 다른 세제를 저장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는 상기 세제저장공간(S)을 가로지르며 상기 프레임외벽부(3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은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고 상부에 저장되는 세제를 모두 가둘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상기 프레임격벽부(340)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은 세제를 저장하지 않고, 투입되는 즉시 상기 터브(20)로 저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안착부(320)는 상기 프레임외벽부(330)와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안착부(320)는 상기 프레임외벽부(330) 및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350)는 상기 덮개안착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적어도 일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외벽부(330)는 상기 저장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외벽(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외벽(331)은 상기 저장유닛(3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부(305)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손잡이부(305)가 상기 프레임외벽부(33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305)와 상기 전방외벽(33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외벽부(330)는 상기 저장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외벽(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외벽(332)은 상기 전방외벽(331)을 마주하며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외벽(332)은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외벽부(330)는 상기 전방외벽(331)과 상기 후방외벽(332)을 연결하는 제1측방외벽(333) 및 제2측방외벽(3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방외벽(333)과 상기 제2측방외벽(334)은 서로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외벽(331), 후방외벽(332), 제1측방외벽(333), 제2측방외벽(334)은 상기 프레임바닥면(3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세제저장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저장공간(S)은 상기 프레임바닥면(311)과 상기 프레임외벽부(33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는 상기 프레임외벽부(330)와 이격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격벽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3저장공간(S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의 하면의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바닥면(3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는 상기 전방외벽(331)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를 연결하는 전방격벽(341) 및 상기 후방외벽(332)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를 연결하는 후방격벽(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격벽(341), 보조저장격벽부(343), 후방격벽(34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공간(S)은 상기 전방격벽(341), 보조저장격벽부(343), 후방격벽(342)에 의하여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방외벽(333)과 상기 프레임격벽부(34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저장공간(S1), 상기 제2측방외벽(334)과 상기 프레임격벽부(34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저장공간(S2),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에 의해 둘러싸인 제3저장공간(S3)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에 저장되는 세제는 투입되는 즉시 상기 터브(20)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제2저장공간(S2)에 잔류하다 상기 후방외벽(332)에 관통 형성되는 세제밸브(380)를 통해 복수회의 세탁과정에서 기 설정된 용량만큼 상기 터브(2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과 상기 제2저장공간(S2)에는 서로 다른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과 상기 제2저장공간(S2)에는 액체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액체세제의 종류로는 일반적인 세탁 과정에 사용되는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과 제2저장공간(S2)에 저장되는 세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세제밸브(380)를 통해 상기 터브(2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액체류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예로서, 상기 제1저장공간(S1)에는 세탁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S2) 섬유유연제가 저장되어 세탁행정에서는 제1저장공간(S1)에서 상기 터브(20)로 세탁세제가 공급되고 마지막 헹굼행정에서는 제2저장공간(S2)에서 상기 터브(20)로 섬유유연제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에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에 필요한 세제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이용할 때 마다 세제를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이용에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프레임(310)과 별도로 마련되는 세제저장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세제저장용기가 차지하던 공간에 대응하여 더욱 많은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세제 주입 주기가 길어지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350)는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의 개방된 상면을 각각 차폐하는 제1덮개(351) 및 제2덮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상기 제2저장공간(S2)의 상면이 개방된 채로 사용될 경우, 저장된 세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진동이나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351) 및 상기 제2덮개(352)는 상기 제1저장공간(S1)과 제2저장공간(S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여 폐쇄된 제1저장공간(S1) 또는 제2저장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과정이나,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상기 제2저장공간(S2)에 세제를 투입하고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 하는 과정에서 세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351) 및 제2덮개(3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제가 외부로 누설되어 상기 저장유닛(300) 및 의류처리장치(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오염된 부분을 청소하는데 드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는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과 분리되도록 상기 제3저장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은 상기 덮개부(350)에 의해 상면이 차폐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3저장공간(S3)은 항상 상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에는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과 다른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프레임바닥면(311)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에 저장된 세제는 제1저장공간(S1) 및 제2저장공간(S2)과 달리 관통홀을 통해 상기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형태의 세제가 투입될 수 있다. 예를들면, 표백제나 중성세제 등 일반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사용 빈도가 낮은 세제가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인출하여 필요한 용량만큼 상기 제3저장공간(S3)에 투입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3저장공간(S3)에 투입되는 세제는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상기 제2저장공간(S2)에 저장된 세제와 동일할 수도 있고, 가루형태의 세제에 해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액체류의 세제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세제를 제3저장공간(S3)에 투입하여 세탁 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공간(S3)에 투입된 세제는 상부에서 급수를 받을 수 있도록 상부에 급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는 디스펜서유닛(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에서 배출된 세탁수와 함께 상기 제3저장공간(S3)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터브(2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저장공간(S3)을 마련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상기 제2저장공간(S2)에 저장된 세제와 별도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세제를 세탁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저장공간(S3)은 상면이 개방되어 별도로 덮개를 탈거하는 과정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덮개안착부(320)는 제1덮개가 결합되는 제1안착부(321) 및 제2덮개가 결합되는 제2안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351)와 상기 제2덮개(352)는 서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상기 제1저장공간(S1)과 상기 제2저장공간(S2)의 개방된 상면을 각각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는 상기 제1저장공간(S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S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는 것은, 상기 제1저장공간(S1)을 형성하는 상기 제1측방외벽(333), 전방외벽(331), 후방외벽(332) 그리고 프레임격벽부(340)의 상단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를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폐단면을 형성한다는 것은 상기 제1안착부(321)가 상기 제1저장공간(S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기점과 종점이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안착부(321)가 상기 제1측방외벽(333)과 상기 전방외벽(331)의 연결지점을 기점으로 연장될 경우에 상기 제1안착부는 기점에서 상기 전방외벽(331)을 따라 연장되고, 전방외벽(331)과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와 상기 후방외벽(332)의 연결부에서 다시 후방외벽(332)을 따라 연장되어 마지막으로는 상기 제1측방외벽(333)을 따라 기점으로 회귀하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장된 제1안착부(321)에 상기 제1덮개가 결합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S1)의 개방된 상면이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저장공간(S1)에 저장된 세제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덮개(352)가 결합되는 제2안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2측방외벽(334), 후방외벽(332), 프레임격벽부(340), 전방외벽(331)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안착부(321)와 동일하게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 및 상기 제2안착부(322)에 상기 제1덮개(351) 및 상기 제2덮개(352)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을 차폐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격벽(341) 및 상기 후방격벽(342) 모두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안착부(321) 및 상기 제2안착부(322)에 상기 제1덮개(351) 및 상기 제2덮개(352)가 각각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안착부(321)와 상기 제2안착부(322)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격벽(341) 및 상기 후방격벽(342)에는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방격벽(341)에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덮개안착부(320)가 마련되어,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321)를 구성하고, 일부는 상기 제2안착부(322)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안착부(321)를 구성하는 부분이 상기 저장유닛(300)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에 존재한다면, 상기 제1안착부(321)는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좌측부분을 따라 상기 후방격벽(34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격벽(341)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부(321) 및 제2안착부(322)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격벽(342)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안착부(321) 및 상기 제2안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이 도시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펜서유닛은 고정유닛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에 세제개구부(도 5 참고)가 형성되는 캐비닛(도 1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도 1 참고),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도 1 참고),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310)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저장유닛(300)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저장유닛(3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탄성부(210)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프레임(310)은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저장공간(S)을 둘러싸는 프레임외벽부(330) 및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S)을 구획하며,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출부(360)를 포함하는 프레임격벽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출부(360)가 프레임외벽부(330)에 마련되지 않고 프레임격벽부(340)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걸림돌출부(360)에 사용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고, 저장유닛(300)에 더욱 많은 세제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세제 보충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외벽부(330)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외벽(331),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외벽(3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는 상기 전방외벽(331)과 상기 후방외벽(33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340)가 상기 전방외벽(331)과 상기 후방외벽(332)을 연결할 경우 상기 세제저장공간(S)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를 따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공간에 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격벽부(340) 상에 마련되는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프레임격벽부(34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넓은 면적 상에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탄성부(210)의 탄성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격벽부(340)는 상기 프레임외벽부(330)와 이격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격벽부(343), 상기 전방외벽(331)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를 연결하는 전방격벽(341) 및 상기 후방외벽(332)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343)를 연결하는 후방격벽(342)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후방격벽(342)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격벽(342) 상에 걸림돌출부(360)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접촉하여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가압하는 걸림탄성부(210)도 상기 고정유닛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유닛(300)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탄성부(210)가 후방에 마련되는 경우 간섭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출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7의 B를 따라 걸림돌출부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탄성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8의 C를 따라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 는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돌출부와 걸림탄성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후단은 상기 후방외벽(332)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후단이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외벽(332)의 후방측과 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고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만약, 걸림돌출부(360)가 후방외벽(332)과 연결되지 않고 후방격벽(342) 상에서만 돌출되게 형성될 경우 걸림돌출부(360)는 충분히 지지되지 않아 외부의 지속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후방외벽(332)과 연결되는 형태로 제작될 경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출부(360)와 후방외벽(332)이 일면을 형성할 경우 금형이 단순하게 설계될 수 있어 제작에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경사면(364)이 형성되는 전방접촉부(361),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후방접촉부(362) 및 상기 전방접촉부(361)와 상기 후방접촉부(362)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최대돌출지점(366)을 포함하는 최대돌출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돌출부(363)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저항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를 기준으로 저장유닛(3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대돌출부(363)가 상기 걸림탄성부(210)를 최대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가 최대로 변형되는 지점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305)를 통해 저항감을 최대로 느낄 수 있다. 상기 저항감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인출 또는 인입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전방접촉부(361)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방격벽(342)에서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높이가 증가되어 경사면(3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64)이 형성될 경우 저장유닛(300)의 인출 과정에서 걸림탄성부(210)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걸림탄성부(210)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걸림탄성부(210)가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탄성력이 감소하고, 늘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전방접촉부(361)에 경사면(364)이 형성될 경우 걸림탄성부(210)가 변형되더라도 걸림돌출부(36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걸림탄성부(210)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걸림돌출부(360)와의 결합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362)는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접촉 가능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362)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과정에서 걸림탄성부(210)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최초로 저항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최대돌출지점(211)은 상기 최대돌출부(363)보다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가압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경우에도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최대돌출부(363)가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최대돌출지점(21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이 걸림돌출부(360)는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탄성부(210)의 탄성력 보다 큰 힘을 가할 경우 저장유닛(300)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저장유닛(300)을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접촉부(362)는 상기 후방격벽(342)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연장되는 수평연장구간(3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장구간(365)은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접촉 가능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가 상기 수평연장구간(365)과 접촉하는 구간에서 사용자는 동일한 저항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평연장구간(365)의 후단이 상기 걸림돌출부의 최대돌출지점(211)을 지나는 순간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 사용자가 느끼는 저항감이 소멸하고,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이 얼마나 인출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362)의 후면은 상기 후방외벽(332)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고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만약, 후방접촉부(362)가 후방외벽(332)과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 걸림돌출부(360)는 충분히 지지되지 않아 외부의 지속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반면, 후방접촉부(362)의 후면이 상기 후방외벽(332)의 후면과 연장되어 일면을 형성할 경우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후방격벽(342)과 후방외벽(332)에 동시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후방접촉부(362)의 후면이 후방외벽(332)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면을 형성할 경우 금형이 단순하게 설계될 수 있어 제작에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와 상기 제2안착부(322)는 상기 후방격벽(34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후방격벽(342) 상에서 상기 제1안착부(321)와 상기 제2안착부(3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제1안착부(321)와 제2안착부(32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제1안착부(321) 또는 제2안착부(322)에 결합되는 제1덮개(351) 또는 제2덮개(352)에 일정부분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탄성부(210)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36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1)와 상기 제2안착부(322)는 상기 전방격벽(341) 및 상기 후방격벽(34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방격벽(341) 보다 상기 후방격벽(342) 상에서 서로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60)가 형성되지 않는 전방격벽(341)에는 제1안착부(321)와 제2안착부(322)를 후방격벽(342)에서 보다 인접하게 마련으로써 세제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세제저장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세제 투입 주기가 감소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300)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유닛(300)을 향해 돌출되는 최대돌출지점(211)이 상기 제1덮개(351)와 상기 제2덮개(3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최대돌출지점(211)이 제1덮개(351)와 제2덮개(352)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저장유닛(3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저장유닛(300)과 고정유닛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즉, 저장유닛(300)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세제저장용량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세제저장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는 주기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저장프레임에 구비되는 인출제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고정유닛의 배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저장유닛 인출 과정에서 스토퍼에 인출제한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이격되고, 상기 저장프레임(310)을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스토퍼(220)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제한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제한부(370)는 상기 걸림돌출부(36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인출제한부(370)에 의해 제한되는 거리 내에서 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출부(360)가 인출제한부(370) 전방에 위치할 경우 걸림돌출부(36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탄성부(210)는 저장유닛(300)이 제한거리 내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경우에도 저장유닛(30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될 소지가 있다.
그러나 걸림돌출부(360)가 인출제한부(370)의 후방에 마련될 경우에 상기 걸림탄성부(210)가 저장유닛(30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인출제한부(370)가 걸림돌출부(360)의 전방에 마련되면 걸림탄성부(2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제한부(37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인출제한부(370)와 마주하게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토퍼(22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제한부(370)와 걸림돌출부(360)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중첩될 경우, 스토퍼(220)가 걸림돌출부(360)와 간섭되어 움직임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인출제한부(370)와 걸림돌출부(360)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경우 스토퍼(2200와 걸림돌출부(36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유닛(300)에 인출제한부(37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인출제한부(370)는 저장유닛(300)이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개구부(1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토퍼(220)는 디스펜서유닛(200)에 마련되며, 저장유닛(300)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220)는 디스펜서유닛(20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전술한 걸림탄성부(210)와는 전후방향(X)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토퍼(220)는 걸림탄성부(210)와 측방향(Y)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출제한부(370)는 저장유닛(300)에 마련되며, 디스펜서유닛(200)을 향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인출제한부(370)는 걸림돌출부(360)와는 전후방향(X)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출부(360)는 저장프레임(310)의 후방격벽(342)에 마련될 수 있고, 인출제한부(370)는 후방격벽(342)과 중첩되지 않는 보조저장격벽부(343)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220)는 전후방향(X)을 따라 인출제한부(37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스토퍼(220)는 인출제한부(370)와 중첩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300)이 세제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스토퍼(220)는 걸림부(371)보다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220)와 걸림부(371)간의 이격거리는 기 설정된 인출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닛(300)이 세제개구부(15)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유닛(300)의 손잡이부(305)를 파지하여 저장유닛(300)을 인출하는 경우, 인출제한부(370)의 걸림부(371)가 디스펜서유닛(200)의 스토퍼(220)에 접촉되면 저장유닛(300)의 인출이 제한되고, 사용자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된 저장유닛(300)을 사용하여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출제한부(370)는 후단부가 저장유닛(300)에 고정될 수 있고, 전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출제한부(370)는 탄성 변형되어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단부가 상하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인출제한부(370)의 전단부(372)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인출제한부(370)의 전단부(372) 및 후단부 사이에는 걸림부(37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371)가 스토퍼(220)에 접촉되어 저장유닛(300)의 인출이 제한된 경우, 걸림부(371)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인출제한부(370)의 전단부(372)는 세제개구부(1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인출제한부(370)의 전단부(372)를 가압하기 용이하게 된다.
사용자는 세제개구부(15)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인출제한부(370)의 전단부(372)를 가압함으로써 걸림부(371)를 스토퍼(22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고, 설정인출거리에 따른 인출 제한을 해제하면서 저장유닛(300)을 완전히 세제개구부(15)로부터 인출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덮개부(350)는 덮개베이스(353)에 형성되는 세제홀(358)을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세제캡(359)을 더 포함하고, 세제캡(359)은 인출제한부(37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350)로 차폐된 세제저장공간에 세제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350)를 탈거하지 않고 세제홀(358)을 통해 세제를 주입할 수 있다. 세제홀(358)이 개방된 채로 유지될 겨우 세제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세제홀(358)은 세제캡(359)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300)을 전부 인출하지 않고 세제 주입에 필요한 거리만큼만 인출하여 세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세제홀(358) 및 세제캡(359)은 인출제한부(37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에 세제를 공급하는 일례로,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을 인출제한부(370)에 의해 제한되는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하고,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세제캡(359)을 개방하여 세제를 주입한 뒤 세제캡(359)을 다시 결합하고 저장유닛(300)을 다시 인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덮개부(350)를 저장프레임(310)에서 탈거하는 빈도를 확연히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손잡이(357)를 조작하는 빈도도 낮아지므로 덮개손잡이(357)는 상기 인출제한부(370) 후방에 배치하여 의도치 않게 덮개부(350)가 탈거되어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세제저장공간(S)에 세제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프레임(310)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탄성부(210) 및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접촉되는 걸림돌출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펜서유닛(2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유닛(200)은 고정유닛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한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 또는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상기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되어 형태가 변형되거나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가 상기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변형될 경우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특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을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360)가 상기 걸림탄성부(210)와 접촉하고, 걸림탄성부(210)가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저장유닛(300)의 손잡이부(305)를 파지하는 사용자는 해당 탄성력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저장유닛(300)의 인입이 완료되어 인입 가능한 최대 거리만큼 인입될 경우 상기 탄성력이 소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저장유닛(300)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이 충분히 인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과정에서 세제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와 상기 걸림탄성부(210)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저장유닛(300)이 적절히 인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저장유닛(300)을 정위치에 결합 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걸림탄성부(210)의 돌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출부(360) 및 걸림탄성부(210)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중앙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탄성부(210)는 탄성을 가지며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돌출부(360)보다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탄성부(210)는 고정유닛의 소재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는 적어도 일부, 예컨대 하방으로 돌출되는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전후방향 또는 저장유닛(300)의 인입방향을 따라 걸림돌출부(36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은 걸림돌출부(360)가 걸림탄성부(210)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인출될 수 있고, 인입과정에서 걸림돌출부(360)가 걸림탄성부(21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6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탄성부(21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돌출부(360)가 걸림탄성부(210)를 지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걸림탄성부(210)는 걸림돌출부(36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어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될 수 있다.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탄성부(210)는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돌출부(360)는 걸림탄성부(210)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저장유닛(300)이 세제개구부(15)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면 걸림돌출부(360)는 걸림탄성부(2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10)는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될 수 있고, 반력으로 걸림돌출부(360)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돌출부(360)와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05)를 이용하여 세제개구부(15)로부터 저장유닛(300)을 인출하고 저장유닛(300)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가 저장된 저장유닛(300)은 다시 세제개구부(15)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걸림돌출부(360)와 걸림탄성부(210)간의 접촉 관계를 통해 저장유닛(300)의 인입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잡이부(305)를 파지하고 저장유닛(300)을 후방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걸림돌출부(360)와 걸림탄성부(210)간의 접촉을 인지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소정의 압력이 전해지며, 걸림돌출부(360)의 최대돌출지점(366)이 걸림탄성부(210)의 최대돌출지점(211)을 통과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압력이 감소되고, 사용자는 저장유닛(300)의 인입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되었던 걸림탄성부(210)가 복원되며 걸림돌출부(360)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돌출부(360)가 걸림탄성부(210)에 의해 가압되면 저장유닛(300)은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저장유닛(300)의 인입 과정 중에, 사용자는 인입 방향과 반대방향의 반력이 증가하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특정 순간이 지나면 인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즉, 특정 순간 이후에는 사용자가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걸림탄성부(210)에 의해 저장유닛(300)을 인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탄성부(210)는 고정유닛과 별개로 제조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고정유닛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걸림탄성부(210)는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10)는 걸림돌출부(36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체에 해당될 수 다. 걸림탄성부(210)는 고정유닛의 소재보다 변형이 용이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걸림탄성부(210)를 고정유닛과 별개로 제조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고정유닛과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걸림탄성부(2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의 제조는 열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고정유닛을 이루는 소재는 열처리 이후 탄성이 감소하고 강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고정유닛과 함께 걸림탄성부(210)를 성형하는 경우, 걸림탄성부(210) 또한 상기 열처리 과정에 의해 탄성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유닛과 별개로 걸림탄성부(210)를 제조하고 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고정유닛의 제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성형 과정에 의한 소재의 특성 변화를 피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상기 걸림돌출부(360)는 상기 후방격벽(342)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안착부(321)와 상기 제2안착부(3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360)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저장되는 세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덮개부(350)는 상기 프레임바닥면(311)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덮개베이스(353) 및 상기 덮개베이스(35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안착부(320)가 삽입되는 결합삽입부를 포함하는 덮개결합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베이스(353)는 상기 제1저장공간(S1) 및 상기 제2저장공간(S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베이스가 상기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안착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베이스(353)의 둘레를 따라 상기 덮개안착부(3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결합부(35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결합부(354)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함몰되는 결합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삽입부에 상기 덮개안착부(32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덮개부(350)가 상기 세제저장공간(S)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결합삽입부는 상기 덮개안착부(3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삽입부(3541)는 상기 덮개안착부(320)와 여러 면에서 접촉하여 접촉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덮개부(35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켜서 의도치 않게 상기 덮개부(350)가 탈거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S1) 도는 제2저장공간(S2)에 저장된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프레임(310)은 전방측에 전방외벽(331)이 마련되고, 후방측에 후방외벽(332)이 마련되며,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결합부(354)는 상기 제1측방외벽(333) 또는 상기 제2측방외벽(334)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격벽부(340)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덮개손잡이(3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350)를 상기 저장프레임(310)에서 탈거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손잡이(357)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상기 덮개손잡이(357)는 상기 저장프레임(31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다른 구조물에 방해받지 않고 상기 덮개손잡이(357)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방외벽(333)과 상기 제2측방외벽은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결합부(354)를 지지하는 결합리브(3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손잡이(357)는 상기 결합리브(335)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는 제1측방외벽(333)과 제2측방외벽(334)에서 프레임격벽부(3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는 상기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는 상기 덮개결합부(354)와 접촉되도록 상기 덮개안착부(320)가 형성되는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의 일 지점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덮개결합부(354)의 결합삽입부에 상기 덮개안착부(320)가 삽입되는 경우 덮개결합부(354)의 아래쪽은 상기 결합리브(335)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에 상기 덮개결합부(354)가 지지되는 경우 덮개부(350)의 착탈 과정에서 상기 덮개안착부(320)에 가해지는 굽힙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35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저장프레임(310)과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의도치 않게 상기 덮개부(350)가 저장프레임(310)에서 탈거되어 세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가 연장되어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상기 결합리브(335)에 접촉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덮개손잡이(357)를 파지할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리브(335)가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을 따라 연장되더라도, 덮개손잡이(357)와 이격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35)와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이격되기 위해서 상기 덮개부(35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리브(335)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덮개결합부(354)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335)는 제1측방외벽(333) 또는 제2측방외벽(334)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배치되는 지점 직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손잡이(357)와 결합리브(335)가 이격되게 형성될 경우 결합리브(335)에 의에 덮개부(350)의 결합력이 강화되고, 저장프레임(310)의 안정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사용자도 손쉽게 덮개손잡이(357)를 파지하여 덮개부(350)를 저장프레임(310)에서 탈거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20)와 인출제한부(370)는 사용자가 세제를 공급하거나 상기 저장유닛(300)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상기 저장유닛(300)이 탈거되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손잡이(357)는 상기 인출제한부(370)보다 후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손잡이(357)는 상기 덮개결합부(354)에 형성되는데, 상기 저장유닛(300)의 일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쉽게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저장프레임(310)에서 탈거되어 세제가 누설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인출제한부(370)에 의하여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될 경우에 추가적인 인출제한부(370) 조작없이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완전히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유닛(300)의 일부는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덮개손잡이(357)를 상기 인출제한부(370) 보다 후방에 형성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인출제한부(370)를 조작하지 않고는 상기 덮개손잡이(357)에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손잡이(357)가 임의로 조작되어 덮개부(350)가 탈거되고,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다시 참고하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213) 및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제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제한부(214)는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상기 일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걸림탄성부(210)의 양단이 중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저장유닛(30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변형량이 감소될 수 있다. 걸림탄성부(210)의 변형량이 클수록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 걸림탄성부(210)의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걸림탄성부(210)의 일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결합부(213)에 결합시킬 경우 걸림탄성부(210)의 탄성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탄성부(2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걸림탄성부(210)의 일단이 과도하게 슬라이딩될 경우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걸림돌출부(360)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닛(300)이 완전히 인입된 경우, 걸림탄성부(210)가 걸림돌출부(3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일단부가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슬라이딩제한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213) 및 슬라이딩제한부(214)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저장유닛(300)을 더욱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탄성부(2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저장유닛(30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리브부(392)에 의해 상기 잔량감지센서(390)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저장공간(S1) 또는 제2저장공간(S2) 각각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세제 공급 필요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00: 세제공급장치
15: 세제개구부 20: 터브 200: 디스펜서유닛
210: 걸림탄성부 213: 슬라이딩결합부 214: 슬라이딩제한부
220: 스토퍼 30: 드럼 300: 저장유닛
305: 손잡이부 310: 저장프레임 311: 프레임바닥면
320: 덮개안착부 321: 제1안착부 322: 제2안착부
330: 프레임외벽부 331: 전방외벽 332: 후방외벽
333: 제1측방외벽 334: 제2측방외벽 335: 결합리브
340: 프레임격벽부 341: 전방격벽 342: 후방격벽
343: 보조저장격벽부 350: 덮개부 351: 제1덮개
352: 제2덮개 353: 덮개베이스 354: 덮개결합부
357: 덮개손잡이 358: 세제홀 359: 세제캡
360: 걸림돌출부 361: 전방접촉부 362: 후방접촉부
363: 최대돌출부 370: 인출제한부 380: 세제밸브
40: 도어 400: 공급케이스 S: 세제저장공간
S1: 제1저장공간 S2: 제2저장공간 S3: 제3저장공간

Claims (18)

  1. 전면에 세제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저장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프레임은,
    상기 저장프레임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외벽부; 및
    상기 저장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저장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탄성부는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과정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걸림돌출부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외벽부는,
    상기 저장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외벽;
    상기 저장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격벽부는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후방외벽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격벽부는,
    상기 프레임외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격벽부;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를 연결하는 전방격벽; 및
    상기 후방외벽과 상기 보조저장격벽부를 연결하는 후방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후방격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단은 상기 후방외벽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방접촉부;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탄성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후방접촉부; 및
    상기 전방접촉부와 상기 후방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최대돌출지점을 포함하는 최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최대돌출지점은 상기 최대돌출부보다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접촉부는 상기 후방격벽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연장되는 수평연장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접촉부의 후면은 상기 후방외벽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외벽부는 상기 전방외벽과 상기 후방외벽을 연결하는 제1측방외벽 및 제2측방외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저장공간은,
    상기 제1측방외벽과 상기 프레임격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저장공간;
    상기 제2측방외벽과 상기 프레임격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저장공간; 및
    상기 보조저장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3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제1덮개;
    상기 제2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제2덮개;
    상기 제1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덮개가 결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덮개가 결합되는 제2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후방격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후방격벽 상에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전방격벽 및 상기 후방격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방격벽 보다 상기 후방격벽 상에서 서로 더 멀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탄성부는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는 최대돌출지점이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와 이격되고, 상기 저장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프레임격벽부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제한부는 상기 걸림돌출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제한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돌출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탄성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제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제한부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상기 일단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걸림탄성부의 상기 일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24477A 2020-09-25 2020-09-25 의류처리장치 KR20220041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77A KR20220041369A (ko) 2020-09-25 2020-09-25 의류처리장치
EP21198631.0A EP3974574A1 (en) 2020-09-25 2021-09-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484,781 US11866878B2 (en) 2020-09-25 2021-09-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77A KR20220041369A (ko) 2020-09-25 2020-09-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69A true KR20220041369A (ko) 2022-04-01

Family

ID=7791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77A KR20220041369A (ko) 2020-09-25 2020-09-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6878B2 (ko)
EP (1) EP3974574A1 (ko)
KR (1) KR20220041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4033A1 (ko) * 2022-06-16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8394A (en) * 1970-09-01 1972-04-25 Kenneth H Gutner Drawer slide and guide assembly
TW576154U (en) * 2002-12-20 2004-02-11 Nan Juen Int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drawer rail
EP2379793B1 (en) * 2008-12-31 2016-08-10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tergent box
KR101375715B1 (ko) * 2009-11-24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748773B1 (ko) * 2011-01-04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2617888B1 (de) * 2012-01-23 2019-04-10 Miele & Cie. KG Wäschetrockner mit einem Kondensatbehälter
CN202744828U (zh) * 2012-07-27 2013-02-20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液体类洗涤剂自动投放装置
KR102637413B1 (ko) * 2019-01-21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방이 용이한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629745B1 (ko) 2019-01-22 2024-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245831B1 (ko) 2019-04-24 2021-04-28 권혁신 애완동물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4033A1 (ko) * 2022-06-16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6878B2 (en) 2024-01-09
US20220098783A1 (en) 2022-03-31
EP3974574A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09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86687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09878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2045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37195B1 (ko) 의류처리장치
EP398190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4258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3279206A (zh) 衣物处理装置
EP398190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8188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17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17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