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1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913A
KR20220049913A KR1020200133620A KR20200133620A KR20220049913A KR 20220049913 A KR20220049913 A KR 20220049913A KR 1020200133620 A KR1020200133620 A KR 1020200133620A KR 20200133620 A KR20200133620 A KR 20200133620A KR 20220049913 A KR20220049913 A KR 2022004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
impeller
drain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김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913A/ko
Publication of KR2022004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수용된 물을 상기 터브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 상기 터브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회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제1 배수관와 결합되는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배수관를 통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의류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중 소량의 세탁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해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본래의 의류처리장치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들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처리장치 내의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는 필수적이다. 펌프는 터브와 연결되는 챔버, 임펠러가 수용되는 임펠러 하우징 및 모터가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펌프 내부에 물이 잔존하여 물이 얼게되는 경우 챔버나 임펠러 하우징이 파손될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펌프가 동파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펌프의 하우징을 차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는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수용된 물을 상기 터브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 상기 터브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회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제1 배수관와 결합되는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배수관를 통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부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선과 상기 배출관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배출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선이 서로 꼬인 위치(Skew position)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배수관은,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터브 연결부, 일측이 상기 터브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브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벨로우즈부 및 상기 벨로우즈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 및 상기 공급부는 끼움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잔수 배출관과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외측으로 잔수를 배출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에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배수관은 탄성체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제2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수관과 상기 제2 배수관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임펠러 하우징의 노출면이 커져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펌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의 하우징을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도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방면(11)에 인출구(111)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인출구(111)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2)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3), 상기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된 드로워 패널(2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23)는 상기 드로워 바디(23)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2)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은 상기 인출구(111)를 개폐하는 수단(캐비닛 도어)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21)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1)으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핸들)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5)의 상부면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2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51)은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수단(급수밸브, 펌프),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는 수단(구동부)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수단이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251)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23)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연통하는 투입구(231), 상기 드로워 커버(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할 급수관(51)이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2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너비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다른 처리장치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251) 및 상기 투입구(231)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너비가 드로워 바디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터브 바디(31)의 너비는 터브 바디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터브 지지부(37)를 통해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37)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에서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1브라켓(371),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브라켓(371)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제2브라켓(373), 일단(상단)은 상기 제1브라켓(371)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제2브라켓(373)에 연결된 지지바(3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터브 지지부(37)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331) 및 급수구(3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상기 투입구(2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39)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9)는 상기 투입구(2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도어(39)는 상기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터브 투입구(33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333)에는 후술할 급수관(51)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드럼(4)은 상기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4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 또는 상부면에 관통홀이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를 터브(3)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연통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 바디(41)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3)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471), 상기 스테이터(471)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73), 및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41)와 상기 로터(473)를 연결하는 회전축(47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75)은 상기 투입구(231)에 대해 직각을 형성(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상단에는 밸런서(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서(411)는 상기 드럼 바디(41)가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바디에 발생된 진동을 감쇠하는 수단이다. 상기 밸런서(411)는 상기 드럼 바디(41)의 상단에 고정된 밸런서 하우징, 상기 밸런서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연통하는 하우징 관통홀(412, 드럼 투입구),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순환유로(413), 및 상기 순환유로(413)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 받는다.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급수구(333)와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51),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과 후술할 펌프(8)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61), 상기 펌프(8)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는 상기 제2배수관(65)이 관통하는 캐비닛 관통홀(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또는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배수관(61)과 제2배수관(6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펌프(8)가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펌프(8)는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83),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81) 및 상기 제2배수관(65)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83) 내부의 물을 상기 제2배수관(65)으로 배출하는 배출관(84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8)는 모터(81) 및 하우징(8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83)은 제1 배수관(61)와 결합될 수 있다.
모터(81)는 터브(3)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모터(81)는 외관을은 형성하는 모터 하우징(811)을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811)은 모터(81)가 구동될 때 필요한 구성들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모터 하우징(81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쉘(shell)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터 하우징(811)은 제2 하우징 결합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결합부(812)는 하우징(83)과 모터(81)를 체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83)이 제2 하우징 결합부(812)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 하우징(811)은 하우징(83)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하우징(811) 내에서 회전축이 인출되어 임펠러(82)와 연결될 수 있다. 임펠러(82)는 모터(8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터브(3) 내의 물이 원활하게 펌프(8) 내부로 유입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모터(81)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임펠러(82)가 회전되고, 임펠러(82)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배수관(61)를 통해 터브(3) 내의 물이 하우징(83)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수관(61)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면을 기준으로 터브(3)의 하측에 구비되어 터브(3)에 수용된 물을 터브(3) 외측으로 배출한다.
제1 배수관(61)은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배수관이 탄성체로 구비되면 펌프(8) 내부의 물이 얼더라도 파손될 가능서을 줄일 수 있다. 제1 배수관(61) 및 제2 배수관(65)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펌프(8)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2 배수관(65)도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배수관(61)는 터브 연결부(611), 벨로우즈부(612) 및 제1 하우징 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연결부(611), 벨로우즈부(612) 및 제1 하우징 결합부(6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연결부(611)는 상술한 터브(3)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터브 연결부(611)는 터브(3)에 마련되는 연통홀과 연결되어 터브(3) 외측으로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612)는 터브 연결부(61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벨로우즈부(612)는 터브(3)가 드럼(2)의 회전 등에 의해 터브(3)가 과도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제1 하우징 결합부(613)가 하우징(83)과 분리되지 않도록 버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터브 연결부(611)의 길이 및 벨로우즈부(612)의 길이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결합부(613)는 하우징(83)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벨로우즈부(612)의 일측에는 터브 연결부(611)가 구비되고 벨로우즈부(612)의 타측에는 제1 하우징 결합부(6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결합부(613)에는 하우징(83)의 잔수 배출관(891)과 연결되어 드로워 바디(21)의 외측으로 잔수를 배출하는 연장관(895)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관(895)은 잔수 배출관(891)에 끼워지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83)은 공급부(832), 임펠러 하우징(833), 배출관(844), 공기 배출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공급부(832), 임펠러 하우징(833), 배출관(844) 및 공기 배출부(8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832)는 제1 배수관(61)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펌프(8)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하우징(83) 중 공급부(832)를 형성하는 부분은 제1 배수관(61)의 제1 하우징 결합부(613)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3)과 제1 하우징 결합부(613)은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공급부(832)와 임펠러 하우징(833)은 하우징(83)에 구비된 격벽(83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격벽(831)은 하우징(83)의 내측면에서 하우징(83)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83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공급부(832)가 구비되고 격벽(831)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임펠러 하우징(833)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격벽(831)을 기준으로 하우징(83) 중 제1 하우징 결합부(613)와 결합되는 측을 제1 부로 명명하고, 모터(81)와 연결되는 측을 제2 부로 명명하면, 제1 부는 공급부(832)를 형성하고, 제2 부는 임펠러(82)가 수용되는 임펠러 하우징(833)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급부(832)에는 잔수 배출관(891)이 구비될 수 있다. 잔수 배출관(891)은 상술한 격벽(831)에서 제1 하우징 결합부(613)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잔수 배출관(891)은 설치면은 기준으로 하우징(83)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수 배출관(891)은 하우징(83) 내에 배출되지 못한 물을 배출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시 설명하면, 펌프(8) 내부에 물이 잔존하게 되면 물이 얼어 펌프(8)가 동파되거나
임펠러 하우징(833)은 임펠러(8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임펠러 하우징(833)은 모터(81)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81)로부터 인출된 회전축(821)과 상기 회전축(82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82)가 임펠러 하우징(833)에 수용될 수 있다. 임펠러(82)가 회전됨에 따라 터브(3) 내의 물이 드로워 바디(21)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제1 배수관(61)로부터 공급부(832)로 물이 유입되고 공급부(832)로부터 임펠러 하우징(833) 측으로 물이 이동되어 배출관(844)을 통해 하우징(83)의 외측으로 물이 토출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8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와 격벽(831)에 의해 공급부(832)와 구분된다. 따라서, 임펠러 하우징(833) 중 드로워 바디(21)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극대화되어 동파 방지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83)은 드로워 바디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83)은 드로워 바디(21)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드로워 바디(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캐비닛(1) 내측의 공기와 열 교환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이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833)에는 배출관(844)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844)은 공급부(832)를 통해 하우징(83) 내부로 유입된 물을 하우징(83) 외측으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배출관(844)은 전술한 제2 배수관(65)과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83)은 공급부(832)의 중심을 지나며 공급부(83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선과 배출관(844)의 중심을 지나며 배출관(84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선이 서로 꼬인 위치(Skew position)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은 임펠러(82)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83)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물이 자연스럽게 하우징(83)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배출관(844)은 하우징(83)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배출관(844)은 하우징(83)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물이 회전되며 자연스럽게 하우징(83)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83)에는 공기 배출부(88)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88)는 하우징(83) 내의 공기를 하우징(83) 외측으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불필요하게 공기가 하우징(83)내에 잔류하는 경우 물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제1 배수관(61), 하우징(83) 및 모터(81)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배수관(61)과 하우징(83)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83)과 모터(81)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터브(3) 내의 물을 캐비닛(1)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나 다른 부재들이 필요없고,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82)가 수용되는 임펠러 하우징(833) 부분이 직접적으로 펌프(8)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 펌프(8) 내의 잔수가 얼어 펌프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드로워
3 터브
4 드럼
5 급수부
8 배수부

Claims (10)

  1.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수용된 물을 상기 터브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
    상기 터브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회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제1 배수관와 결합되는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임펠러 하우징;
    상기 임펠러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배수관를 통해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부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선과 상기 배출관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배출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선이 서로 꼬인 위치(Skew position)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관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터브 연결부;
    일측이 상기 터브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브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벨로우즈부; 및
    상기 벨로우즈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 및 상기 공급부는 끼움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잔수 배출관과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외측으로 잔수를 배출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관은 탄성체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제2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수관과 상기 제2 배수관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3620A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20A KR20220049913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20A KR20220049913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13A true KR20220049913A (ko) 2022-04-22

Family

ID=8145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20A KR20220049913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9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538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US10246811B2 (en) Washing machine
KR10236508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2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73188B1 (ko) 배수펌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3A (ko) 의류처리장치
EP3406788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device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20562A (ko) 세탁기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3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978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47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120010A1 (en) Balanc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070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2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