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78A -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 Google Patents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78A
KR20230092478A KR1020210181898A KR20210181898A KR20230092478A KR 20230092478 A KR20230092478 A KR 20230092478A KR 1020210181898 A KR1020210181898 A KR 1020210181898A KR 20210181898 A KR20210181898 A KR 20210181898A KR 20230092478 A KR20230092478 A KR 2023009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ccommodating
shoe care
door
inn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남보현
송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478A/ko
Priority to PCT/KR2022/019472 priority patent/WO2023113320A1/ko
Publication of KR2023009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7/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using a combination of proces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F26B3/00 and F26B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7/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using a combination of proces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F26B3/00 and F26B5/00
    • F26B7/005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using a combination of proces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F26B3/00 and F26B5/00 using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and heat, e.g. generated by the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를 형성한다. 신발 관리기는 캐비닛 및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비닛은 수용공간 및 메인개구를 형성한다. 메인개수는 수용공간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개구한다. 도어는 메인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캐비닛과 도어는 함께 수용부를 형성한다. 수용부는 수용저부, 수용연장부 및 수용측부를 포함한다. 수용저부는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된다. 수용저부는 물품이 안착 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수용연장부는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다. 수용연장부는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한다. 수용저부보다 높은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SHOES CARE DEVICE AND SHOES CARE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에 의하여 신발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땀이 차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거나,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젖을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착용은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신발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악취를 풍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관리기(1)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신발관리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3724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살균 처리 장치는 본체, 자외선 방출 모듈, 탈취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신발을 본체의 살균 챔버 내에 위치시키고, 자외선 방출 모듈을 작동 시켜 신발의 세균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 챔버 내의 공기는 송풍관으로 흡입되고 탈취 모듈을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탈취 모듈은,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숯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취 칼럼을 포함하고, 탈취 칼럼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취 모듈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신발 살균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습기 또는 냄새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공기가 신발 살균 처리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653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위생처리용 신발장(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장은 본체, 원적외선 방사부, 순환팬, 공기순환통로, 위생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문헌 2에 의하면, 신발장에 신발을 보관함과 아울러 신발을 보관하는 동안에 원적외선과 필터에 의해서 신발에 대해 제습, 살균 및 탈취 등의 위생처리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생필터부는, 숯 등과 같이 흡착성이 좋은 재료가 충진되어 있어서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습기를 흡착하고 세균을 걸러주는 한편 악취발생물질을 포획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2에 의하면, 신발장 내에서 순환팬에 의하여 공기가 순환되고, 이러한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위생필터부가 배치되어 공기 중의 세균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에서는 습기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위생필터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신발 관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발에 대한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신발 관리기의 경우, 신발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는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관리기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신발의 관리를 위하여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제를 포함하는 장치를 설계 및 제조할 때, 제습제의 제습 효율을 어떻게 더욱 높일 수 있을지,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 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재의 재생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제거 내지는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 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제의 재생시 의도하지 않은 곳에 물기가 남게되지 않는지, 한정된 공간에서 구성의 배치가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 사용편의성이 우수한지 등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점들을 두루 고려한 신발 관리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제조비용의 절감, 각 구성의 제조 및 조립 편의성, 유지관리의 편의성 등도 신발 관리기의 개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상면은 각종 물품을 일시적 또는 일정 기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각종 물품은 상면을 형성하는 가전제품과 연관된 가전제품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신발 관리기의 상면은 단순한 평면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상면에 올려진 물품이 도어를 여는 과정이나, 외력 또는 기울어짐에 의해 쉽게 전도되거나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올려진 물품이 신발 관리기 도어의 위쪽에 위치한 경우, 물품에 의해 신발 관리기 도어의 개폐가 간섭될 우려가 있다.
신발 관리기를 통해 처리한 신발은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보관되거나 전시될 수 있다. 이때, 신발 관리기를 통해 처리한 신발은 내부가 보이는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시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20-0002534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 함)는 "신발 전시 케이스(case for displaying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전시 케이스는 본체, 발광부, 음이온 발생부, 송풍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문헌 3에 의하면, 전면 및 측면이 개방되어 신발 전시 케이스에 보관된 신발의 식별이 용이하고, 발광부를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불빛을 조성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 3에서는 신발 관리기 상면에 적층되거나, 신발 관리기 도어의 개폐가 간섭되는 것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신발 관리기에 신발 전시 케이스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종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관리기 및 신발 전시 케이스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신발 관리기 및 신발 전시 케이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물품의 적층이 가능하면서도, 신발 관리기의 상면을 구성하는 캐비닛과 도어의 상면이 인테리어적인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물품을 적층하더라도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으며,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적층된 물품의 전도 및 낙하가 방지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고,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적층하더라도 신발 관리기와 비져블 신발 관리기의 개폐구조가 서로 간섭받지 않을 수 있는 신발 관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캐비닛 및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은 이너캐비닛 및 외부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은 수용공간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개구하는 메인개구를 가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은 외부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상판은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는 메인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는 캐비닛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는 상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판에 제2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오목홈의 내면에 힘을 가해 도어를 당기며 열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수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노즐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 송풍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 및 수직방향과 평행한 기준면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과 도어는 함께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상판은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면판은 도어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상판과 상면판은 함께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는 수용저부, 수용연장부 및 수용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저부는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저부에 신발 관리기를 포함하는 물품이 안착될 수 있다. 수용저부는 물품이 안착 가능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연장부는 도어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연장부는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보다 높은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측부는 제1 수용측부 및 제2 수용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와 연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는 제11 수용측부, 제12 수용측부 및 제13 수용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직각인 수평방향일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로부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직각인 수직방향일 수 있다.
제12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 수용측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2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로부터 제2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는 수용저부로부터 제2 방향의 다른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어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와 연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는 제21 수용측부, 제22 수용측부 및 제23 수용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로부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로부터 제2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로부터 제2 방향의 다른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와 수용연장부는 제2 오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오목홈의 내면에 힘을 가해 도어를 당기며 열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연장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여는 작용력이 가해지는 제2 수용측부의 면적이 제3 방향의 아래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의 경사도는 제1 수용측부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비져블 신발 관리기는 신발을 전시하도록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비져블 신발 관리기는 본체, 이동체 및 투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전시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는 본체의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는 본체에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체는 투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은 전시공간과 접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는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하여 전시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이동체는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시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본체의 저면에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를 수용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적층할 수 있다. 삽입부는 안착부, 삽입저부 및 삽입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는 수용저부에 안착 가능할 수 있다. 안착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들은 삽입저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저부는 안착부에 의해 수용저부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삽입저부는 수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삽입측면부는 제1 삽입측면부, 제2 삽입측면부, 제3 삽입측면부 및 제4 삽입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로부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11 수용측부의 상단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용저부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 삽입측면부는 제11 수용측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로부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13 수용측부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는 삽입저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12 수용측부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2 수용측부 또는 제13 수용측부로 밀리는 경우, 제3 삽입측면부 및 제4 삽입측면부는 제12 수용측부 또는 제13 수용측부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시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보다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전시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에 삽입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체의 저면에 이격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는 본체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는 삽입부를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삽입부는 이격연장부에 의해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와 삽입측면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체 및 본체는 도어의 위쪽에서 제2 수용측부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에 쉽게 삽입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수용저부, 수용연장부 및 수용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용저부보다 높은 높이를 형성함으로써, 수용저부에 안착된 각종 물품은 수용저부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용연장부는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수용연장부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저부와 수용연장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용저부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1 수용측부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저부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저부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수용저부의 바깥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은 수용저부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제1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 수용측부쪽으로 다소 밀리더라도,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측부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도어와 반대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용연장부는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수용저부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21 수용측부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연장부를 거쳐 수용저부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21 수용측부로 밀리는 경우,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저부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은 수용부의 바깥쪽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21 수용측부는 수용연장부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수용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이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21 수용측부로 밀리더라도, 비져블 신발 관리기 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를 여는 작용력이 가해지는 제2 수용측부의 면적이 아래쪽으로 증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2 수용측부와 넓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여는 작용력이 접촉면에서 분산되어, 손가락 표면의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쉽게 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평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의 경사도는 제1 수용측부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제21 수용측부에 가해지는 작용력은 도어의 회전축과 직각인 수평방향 성분이 커짐으로써, 사용자는 도어를 쉽게 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수용측부 및 제2 수용측부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 높이를 형성함으로써, 도어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의 수용측부를 갖는 일체의 오목한 부분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신발 관리기 상면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본체의 저면에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삽입부가 형성됨으로써,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 수용측부로 밀리는 경우, 제1 삽입측면부와 제1 수용측부는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는 수용저부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전시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수용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체보다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에 삽입하여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동체 및 본체는 도어의 위쪽에서 제2 수용측부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 사이의 틈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는 방향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와 이동체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에 쉽게 삽입하여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동체 및 본체는 도어의 위쪽에서 제2 수용측부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됨으로서, 이동체는 삽입부 및 수용부보다 위쪽에서 전후방향으로 전시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적층하더라도, 비져블 신발 관리기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및 외부캐비닛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는 이너캐비닛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신발 관리기에 도어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외부캐비닛 및 이너캐비닛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밸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팀의 이동을 고려한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스팀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D-D'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a에서, 신발 관리기에 도어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메인선반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E-E'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에서, 신발 관리기에 도어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건조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b는 댐퍼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건조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외부캐비닛 및 이너캐비닛이 제거된 모습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 부분에서 섬프 및 배수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기계실의 전방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배수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착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모듈챔버 및 메인선반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메인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메인선반을 Ac-A'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메인선반을 Bc-B'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메인선반에 신발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보조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의 내부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보조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보조선반 및 노즐덕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보조선반의 Cc-C'c 단면에 노즐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보조선반에 신발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컨트롤 패널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을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의 고정유아이구간 및 변동유아이구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의 변형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b는 도 34a의 컨덴서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c는 도 34b의 컨덴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5은 본 발명의 신발 관리기에서 모듈하우징의 제1 모듈챔버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 및 제습제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버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신발 관리기에서 모듈하우징의 제3 모듈챔버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유입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연결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신발이 메인선반 상측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2의 경우보다 큰 사이즈의 신발이 메인선반 상측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에는 모듈하우징 내부에서 공기의 개략적인 흐름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에는 제습제덮개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제습제덮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건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9a 및 도 49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 내부에서 내부리브가 형성되지 않을 때 공기의 속도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0a 및 도 50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 내부에서 내부리브가 형성될 때 공기의 속도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평면도상 제습부의 전체 영역을 6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51b는 도 51a의 각 영역에서 질량흐름률(mass flow rat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과 모듈하우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4은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5a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5b은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6a 및 도 56b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7a 및 도 57b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8b는 도 58a의 금형이 형폐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 모듈하우징 및 건조공기덕트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1a는 신발 관리기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로서 모듈하우징과 이너캐비닛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1b는 신발 관리기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로서 모듈하우징과 이너캐비닛의 결합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과 모듈하우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3a는 이너캐비닛의 하측과 제1 벽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3b는 이너캐비닛의 하측과 제1 벽 부분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64는 도 1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4에는 이너캐비닛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5는 도 4c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5에는 이너캐비닛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관리장치의 이너캐비닛의 내부상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관리장치의 이너캐비닛의 내부상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7a는 도 65에 도시된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덕트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b는 도 65에 도시된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도 4c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8은 제2 관리장치의 이너캐비닛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세트의 신발 관리기 및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0은 도 69의 신발 관리 세트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1은 도 69의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2a는 도 69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2b는 도 72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의 전시공간을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3은 도 69의 신발 관리 세트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의 저면과, 신발 관리기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4는 도 70의 신발 관리 세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5a는 도 74의 신발 관리 세트를 X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4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5b는 도 74의 신발 관리 세트를 X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4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6은 도 69의 신발 관리기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7은 도 69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8은 도 70의 신발 관리 세트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79a는 도 78의 신발 관리 세트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8의 C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9b는 도 78의 신발 관리 세트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8의 D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과 제2 방향(Y)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어(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및 외부캐비닛(2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외부캐비닛(20), 도어(30),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메인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정면을 이룰 때, 외부캐비닛(20)은 신발 관리기(1)의 상측면, 좌측면, 우측면, 배면 및 저면을 이룰 수 있다.
메인프레임(5)은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룰 수 있다. 메인프레임(5)은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메인프레임(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및 제2 외부측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및 제2 외부측판(23)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및 제2 외부측판(23)은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뒷판(21)은 세로로 세워진 벽면을 이룬다. 외부뒷판(21)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외부뒷판(21)은 외부캐비닛(20)에서 제1 방향(X)의 뒤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외부뒷판(21)은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방향(X)의 뒤쪽 면을 이룰 수 있다. 외부뒷판(21)은 신발 관리기(1)의 외부 뒷면 전체를 이룰 수 있다.
제1 외부측판(22)과 제2 외부측판(23)은 각각 세로로 세워진 벽면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벽면을 이룬다.
제1 외부측판(22)은, 수평방향인 제1 방향(X)과 평행하고 연직의 면인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 위치한다. 제2 외부측판(23)은, 상기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제1 외부측판(22)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제1 외부측판(22)은 외부캐비닛(20)의 좌측 벽면을 이룰 수 있고, 제2 외부측판(23)은 외부캐비닛(20)의 우측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기계실(50)의 외측벽면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기계실(50)을 위한 별도의 캐비닛이 구비되지 않을 때, 외부캐비닛(20)은 기계실(50)과 그 외부를 구분하는 벽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메인프레임(5)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외부캐비닛(20)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및/또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힌지회전축(31)은 연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1개의 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2개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가 2개로 구비될 때, 각 도어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신발 관리기(1)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하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은 외부캐비닛(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간은 수용공간(101)을 이루고, 이러한 수용공간(101)에 신발(S)이 수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발(S)이 하나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서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메인프레임(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을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다.
이너캐비닛(100)은 어느 한쪽으로 개구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너캐비닛(100)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메인개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개구(140)는 이너캐비닛(100)에서 제1 방향(X)의 앞쪽이 개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메인개구(140)를 통하여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 신발을 위치시키거나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신발을 인출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메인개구(140)는 도어(3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뒷판(110), 제1 내부측판(120), 제2 내부측판(130) 및 내부상판(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뒷판(110), 제1 내부측판(120), 제2 내부측판(130) 및 내부상판(115)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단일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부뒷판(110)은 세로로 세워진 벽면을 이룬다. 내부뒷판(110)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내부뒷판(110)은 이너캐비닛(100)에서 제1 방향(X)의 뒤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내부뒷판(110)은 외부뒷판(21)과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은 각각 세로로 세워진 벽면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는 벽면을 이룬다.
제1 내부측판(120)은, 수평방향인 제1 방향(X)과 평행하고 연직의 면인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 위치한다. 제2 내부측판(130)은, 상기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제1 내부측판(120)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제1 내부측판(120)은 이너캐비닛(100)의 좌측 벽면을 이루고, 제2 내부측판(130)은 이너캐비닛(100)의 우측 벽면을 이룬다.
제1 내부측판(120)은 제1 외부측판(22)과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내부측판(130)은 제2 외부측판(23)과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너캐비닛(100)은 그 하측 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은 그 하부가 개구되어 이루어진 하측개구(150)를 포함한다. 이너캐비닛(100)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때, 하측개구(150)는 이너캐비닛(100)의 하부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이루도록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53 및 도 54 참조)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하부 전체가 개구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이너캐비닛(100)의 하측개구(150)가 모듈하우징(200)에 의해 차폐되도록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상부면이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신발 관리기(1)가 사용된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너캐비닛(100)의 내측(101, 고내)에는 메인선반(40)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그 상부면에 신발(S)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다수 개의 막대(bar)가 서로 이격된 그릴(gril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1개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대체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이너캐비닛(100)의 바닥 위에 놓일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모듈커버(202)의 상측에 안착된다.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모듈커버(202)의 상측에 적층되는 형태로 놓일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에서 분리 가능하고, 메인선반(40)이 이너캐비닛(100)에서 인출되면 모듈하우징(200)의 상부면이 노출된다.
메인선반(40)은 평면도상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선반(40)의 크기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인선반(40)이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놓일 때,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바닥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에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일부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고, 이때 기계실(50)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메인프레임(5)에 고정되거나 이너캐비닛(100) 또는 외부캐비닛(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는 이너캐비닛(100)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신발 관리기(1)에 도어(30)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 관리기(1)에서 관리장치(2a, 2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는, 2개로 구분된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관리장치'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상술한 이너캐비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서로 구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1 이너캐비닛(100a)으로 칭하여 질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이너캐비닛(100b)로 칭하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이너캐비닛(100)'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이너캐비닛(100a)' 및 '제2 이너캐비닛(100b)'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닫히면,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메인개구(140)를 닫고, 또한 제2 관리장치(2b)의 메인개구(140)를 닫는다. 즉,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동시에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서로 차단된(서로 연통되지 않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서로 개별적인 신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송풍부(31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흡입구(203) 및 노즐(82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가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변환유로(F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댐퍼(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너캐비닛(100)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 사이의 공간에,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종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유로(F10)의 일부가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재생유로(F20)의 일부가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뒷판(21)과 내부뒷판(110) 사이에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건조공기덕트(3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뒷판(21)과 내부뒷판(110) 사이에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컨덴서(4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부(330)는 그 전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일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기를 연결유로(F10) 내부로 흡입하여 제습제(331)를 이용하여 제습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 구조를 갖는다.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이러한 순환 기류 구조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모듈하우징(200)에는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듈하우징(200)의 입구를 이룬다. 이러한 흡입구(203)는 메인선반(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선반(40)은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는데 있어 방해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선반(40)이 판 형태로 이루어질 때, 메인선반(40)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복수 개의 구멍(45)이 형성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의 사이에 관리장치(2a, 2b)의 일부인 모듈하우징(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내부에는, 이너캐비닛(100), 모듈하우징(200) 및 기계실(50)이 구비된다.
이너캐비닛(100), 모듈하우징(200) 및 기계실(50)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가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할 때, 제1 관리장치(2a)는 제2 관리장치(2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관리장치(2a), 제2 관리장치(2b) 및 기계실(50)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각각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제1 관리장치(2a)의 모듈하우징(200),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제2 관리장치(2b)의 모듈하우징(200), 기계실(50) 순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관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신발(S))을 주로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고, 모듈하우징(200)과 기계실(50)은 신발 관리기(1)의 작동을 위한 구성들을 주로 수용하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송풍부(310), 제습부(330)(및 제습제(331)) 및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50)에는, 제어부(10), 섬프(600),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를 이루는 구성들 중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 구성들은,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외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메인프레임(5)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기계실(5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기계실(5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기계실(50)은 제1 벽(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을 이룬다. 제1 벽(51)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벽(51)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앞쪽 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기계실(50)의 좌측벽을 이루거나 기계실(50)의 우측벽을 이룰 수 있다.
기계실(50)은 제2 벽(52) 및 제3 벽(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벽(52)과 제3 벽(53)은 기계실(50)에서 대향되는 양쪽 벽면을 이룬다. 제2 벽(52) 및 제3 벽(53)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쪽 벽을 이룰 때, 제2 벽(52)은 기계실(50)의 좌측벽을 이루고, 제3 벽(53)은 기계실(50)의 우측벽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은 이너캐비닛(1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벽(52) 및 제3 벽(53)은 각각 외부캐비닛(2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7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의 물을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급수통(60)과 제1 워터펌프(61)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배수통(70)과 제2 워터펌프(71)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제1 벽(51)과 함께 기계실(50)의 한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면을 이룰 때,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전방에서 노출될 수 있고, 제1 벽(51)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벽(51)의 외측으로 급수통(60)과 배수통(70)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급수통(60)에 물을 주입하거나 배수통(70)에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제1 벽(51)에서 착탈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60)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70)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제1 벽(51)의 외측방향으로 기계실(5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계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로 입력되는 정보, 신발 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각각 서로 다른 상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관리장치(2a)에서의 신발(예컨대, 운동화)과 제2 관리장치(2b)에서의 신발(예컨대, 구두)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30)는, 제1 벽(51)과 같은 쪽에서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의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앞쪽 면을 이룰 때,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앞쪽 면을 이루고, 도어(30)는 제1 벽(51)의 바로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을 개폐하고, 나아가 기계실(50)의 앞쪽 면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서로 같은 쪽에서 형성되고, 도어(30)가 개방되는 경우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이 노출되고 신발 관리기(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신발 관리기(1)의 좌우 양쪽 및 뒤쪽이 다른 물품 또는 구조물 등에 의하여 막혀 있는 경우에도, 신발 관리기(1)의 앞쪽 부분에서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신발 관리기(1)에서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어(30)의 외측에는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3)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33)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33)과 연계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부(10))이 구비된다. 제어부(1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을 동시에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만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계실(50)은 도어에 의해 차폐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는, 상기 도어와 별도로 기계실(50)을 개폐하도록 기계실(50)의 전용 도어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외부캐비닛(20) 및 이너캐비닛(100)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밸브(7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팀의 이동을 고려한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스팀밸브(71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신발 관리기(1)에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기계실(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1개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때,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2개 이상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공기'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일 수 있다.)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S)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신발을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신발의 오물제거,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신발(S)이 수용되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내부공간 및 그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히터(700a)를 구비하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5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급수통(60)과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이너캐비닛(1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거친 후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스팀밸브(71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스팀밸브(710)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스팀밸브(710)는 기계실(5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는 제2 관리장치(2b)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밸브(710)는,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됨에 있어서, 스팀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작동하며, 스팀밸브(710)의 작동은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밸브하우징(711), 밸브입구(712), 제1 밸브출구(713), 제2 밸브출구(714), 밸브디스크(715) 및 밸브모터(7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스팀밸브(710)에서, 밸브입구(712), 제1 밸브출구(713), 제2 밸브출구(714)를 제외한 다른 출입구는 막개에 의하여 막힐 수 있고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밸브하우징(711)은 스팀밸브(710)의 몸체를 이루고, 그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밸브입구(712)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하우징(7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된다. 밸브입구(712)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밸브입구(712)를 통하여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의 내부)로 스팀이 유입될 수 있다.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는 각각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하우징(7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된다.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는 스팀밸브(710)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출구이다. 제1 밸브출구(713)는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과 연결되고, 제2 밸브출구(714)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과 연결된다.
밸브디스크(715)는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의 내부)에 구비되고 스팀밸브(710) 내부에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밸브디스크(715)는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와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하우징(711)의 내부에서,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 사이에 위치한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서로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또한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서로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는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밸브홀(715a)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홀(715a)은 밸브디스크(715)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회전축(715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홀(715a)은 밸브회전축(715b)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모터(716)는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되고 또한 밸브모터(716)는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축(715b)에 결합되어 밸브디스크(715)를 회전시킨다.
제어부(10)는 밸브모터(716)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밸브모터(716)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디스크(715)가 회전하고, 밸브디스크(715)의 회전 정도에 따라 밸브디스크(715)는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 내부)의 유로를 열거나 닫는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정도에 따라,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밸브홀(715a)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때 밸브디스크(715)에 의해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서로 연통이 차단될 수 있고, 또는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밸브홀(715a)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때 밸브디스크(715)에 의해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서로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정도에 따라, 밸브입구(712)가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 모두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밸브입구(712)가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 모두와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밸브디스크(715)는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를 개방하면서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닫을 수 있고, 또한,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를 닫고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팀밸브(710)는,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만이 서로 연통되거나,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만이 서로 연통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으로 모두 공급될 수 있고, 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압력강하 없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에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만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2개의 이너캐비닛(100) 각각의 수용공간(101)으로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거나 열고,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도록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거나 열고,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도록,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10)에 의해 스팀밸브(710)가 제어됨으로써,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의 사용상태에 따라 스팀의 공급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D-D'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E-E'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b는 댐퍼(35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건조모듈(DM)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는 공기를 제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제습부(330)는 그 자체로 다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는 그 부피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공극을 통하여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습부(330)가 복수 개의 제습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복수 개의 제습제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습제(dehumidify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제(331)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데시컨트(desiccant), 흡습제(absorbent) 또는 흡착제(adsorbent)로 칭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미세 다공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실리카겔,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AL2O3),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거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3~10 옹스트롬(Å)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tunnel 또는 open channel)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로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를 가열하는 경우, 제올라이트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대량의 증기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올라이트의 특성에 따라,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를 가열하여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수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제습 기능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제올라이트를 재생시킬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수mm 내지 수십mm 정도의 크기(직경)를 가지는 작은 알갱이(또는 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습제(331)는, 이러한 알갱이들(또는 돌들)이 조합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알갱이들(또는 돌들)은 서로 뭉쳐지거나 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부(330)는 제습바디(330a) 및 제습제(3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바디(330a)는 소정의 용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바디(330a)는 대체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가 제습바디(330a)를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제습바디(330a)에는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제습관통홀(3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습관통홀(332)은 그 단면의 모양이 원형,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관통홀(332)은 그 단면이 육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바디(330a)에서 제습관통홀(332)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바디(330a)는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바디(330a)는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331)는 제습바디(330a)에 코팅될 수 있다. 제습제(331)는 제습바디(330a)의 외부 및 내부에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제습관통홀(332)이 형성된 면에 제습제(331)가 코팅될 수 있다.
제습바디(330a)가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제습제(331)로서 제올라이트가 각 섬유에 먼저 코팅되고, 제올라이트가 코팅된 섬유가 제습바디(330a)의 형태를 이루도록 가공되면서 제습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코팅과 관련하여,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004826호)이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7321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41521호 등이 재료의 표면에 제올라이트를 코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30)는, 제습제(331)가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질 때, 겔화된 제올라이트 전구물질이 제습바디(330a) 또는 이를 이루는 소재에 코팅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습제(331)(제올리아트)의 코팅은, 공지되거나 가능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제(331)의 코팅과 관련하여 특정한 제조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송풍부(310) 내부에 송풍팬(313)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310)가 연결유로(F10)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송풍부(310)의 작동시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또한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수용공간(101)에서도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이 발생된다.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송풍팬(313)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연결유로(F10)로 흡입할 수 있고,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부(3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도록 작동한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건조공기덕트(370) 및 노즐덕트(810)를 거친 후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송풍부(310)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건조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제습부(330) 및 송풍부(310)의 일측에는 가열부(320)가 구비된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흡입구(203)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게 된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하고,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열부(320)는 제습부(33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제습부(330)를 이루는 제습제(331)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330)로 바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습부(330)가 가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가열부(320)가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제습제(331)에 의한 제습 또는 제습제(331)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모듈하우징(2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제습부(33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장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전기 히터(3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열부(320)는 히터(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321)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체가 발열하면서 그 주변에 열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321)는 발열체로서 니크롬선(Nichrome wir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의 히터(321)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리 형태의 히터(321) 중앙과 주변을 공기가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320)의 히터(321)는 제2 모듈챔버(213)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320)의 히터(321)는 원형의 고리형태, 또는 사각의 고리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히터(321)가 고정되는 히터플랜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플랜지(322)는 금속성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플랜지(322)는 제2 모듈챔버(213)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평한 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플랜지(322)는 제2 모듈챔버(213)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제2 방향(Y))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판의 형태 또는 판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플랜지(322)는 외부플랜지(322a)와 내부플랜지(3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플랜지(322a)는 제2 방향(Y)을 따라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플랜지(322a)의 내부에는 제2 모듈챔버(213)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된다.
내부플랜지(322b)는 외부플랜지(322a)의 내부에 고정된다. 내부플랜지(322b)는 서로 교차하는 2개 이상의 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플랜지(322b)에 가열부(320)의 히터(321)가 고정될 수 있다.
히터플랜지(322)는 가열부(320)의 히터(321)를 고정하고, 제2 모듈챔버(213)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부(310), 가열부(320), 제습부(330) 및 모듈하우징(200)은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상기 셋트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을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은, 모듈하우징(200),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A(DM1)'를 이루고, 다른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B(DM2)'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건조모듈'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 A(DM1)와 건조모듈 B(DM2)는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모듈 A(DM1)가 흡습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건조모듈 A(DM1)가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흡습모드'는 제습부(330)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재생모드'는 제습부(330)를 가열하여 제습부(330)에 흡착된 습기가 분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가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듈하우징(20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그 내부에 다른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인 모듈챔버(210)를 구비한다. 즉, 모듈챔버(210)는, 모듈하우징(200)의 외부공간과 구별되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200)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루고, 이에 따라 모듈챔버(210)는 모듈하우징(200) 외부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모듈챔버(210)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된다.
모듈하우징(200)은 모듈케이스(201) 및 모듈커버(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케이스(201) 및 모듈커버(202)는 각각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조 후 서로 조립되어 모듈하우징(200)을 이룰 수 있다.
모듈케이스(201)는 대체로 하측으로 오목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챔버(210)를 형성한다.
모듈케이스(201)는 상측을 향하여 개구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듈개구(201a)를 포함한다.
평면도상, 모듈개구(201a)의 면적은 모듈챔버(210)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챔버(210)는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챔버(210)는 흡입모듈챔버(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모듈챔버(211),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 간의 구별을 위하여,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모듈격벽(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격벽(220)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공기가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흡입모듈챔버(211)는 모듈하우징(20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첫번째 공간이다.
제1 모듈챔버(212)는 송풍부(310)가 수용되는 공간이고, 제2 모듈챔버(213)는 가열부(320)가 수용되는 공간이며, 제3 모듈챔버(214)는 제습부(33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모듈챔버(211),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는, 평면도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챔버(210)의 공기는 흡입모듈챔버(211),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차례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송풍부(310)가 작동할 때,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는 흡입모듈챔버(211),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차례로 이동한다.
모듈케이스(201)는 건조공기출구(231) 및 습공기출구(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공기출구(231)는 제3 모듈챔버(214)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개구된 구멍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공기출구(231)는 제3 모듈챔버(214)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건조공기출구(231)는 모듈케이스(201)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공기출구(231)는 건조공기덕트(370) 및 노즐덕트(810)를 통하여 수용공간(10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습공기출구(232)는 제3 모듈챔버(214)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개구된 구멍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공기출구(232)는 제3 모듈챔버(214)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습공기출구(232)는 모듈케이스(201)의 일측 테두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습공기출구(232)는 컨덴서(400)로 연결될 수 있다.
건조공기출구(231)와 습공기출구(232)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건조공기출구(231)와 습공기출구(232)는 모듈하우징(200)의 어느 하나의 꼭지점 부분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입모듈챔버(211)는 제1 모듈챔버(212)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흡입모듈챔버(211)의 바닥면은 제1 모듈챔버(212)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모듈챔버(211)로 유입된 공기는 경사면을 이루는 흡입모듈챔버(211)의 바닥면에 부딪혀 제1 모듈챔버(212)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흡입모듈챔버(211)로 유입된 응축수가 경사면을 이루는 흡입모듈챔버(21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모듈챔버(212)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송풍부(310)는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모듈하우징(200)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모듈챔버(212) 내부에서 공기가 제1 모듈챔버(212)의 하측에서부터 송풍부(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케이스(201)는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응축수배출홀(233)은 모듈케이스(201)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응축수배출홀(233)은 컨덴서(400)와 인접한 모듈케이스(201)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면과 같거나 낮도록 이루어지며 컨덴서(400)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면 중에서 제1 응축수배출홀(233)은 가장 낮은 부분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면은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거나 적어도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응축수배출홀(233)이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듈챔버(212)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1 응축수배출홀(233) 쪽으로 이동하고,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통하여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응축수배출홀(233)은 모듈하우징(200)과 컨덴서(400)가 서로 연통되는 구멍이므로, 컨덴서(400) 내부의 공기가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통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컨덴서(400) 내부로부터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통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이동하며 다시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컨덴서(400)를 포함한다. 평면도상, 제2 모듈챔버(213)와 컨덴서(400) 사이에 제1 모듈챔버(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모듈챔버(213)와 컨덴서(400) 사이에 제1 모듈챔버(212)가 위치함으로써, 컨덴서(400)와 가열부(320) 간의 직접적인 열교환이 차단되고 제2 모듈챔버(213) 내부에서 가열부(320)가 가열될 때 이러한 열이 컨덴서(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부(330)의 재생시 가열부(320)의 히터(321)에 의한 공기의 가열과 컨덴서(400) 내부에서 공기의 냉각에 따른 응축이 각각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모듈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3 모듈챔버(214) 내부에서 공기가 제3 모듈챔버(214)의 상측에서부터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케이스(201)는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응축수배출홀(234)은 모듈케이스(201)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응축수배출홀(234)은 컨덴서(400)와 인접한 모듈케이스(201)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과 같거나 낮도록 이루어지며 컨덴서(400)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 중에서 제2 응축수배출홀(234)은 가장 낮은 부분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은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거나 적어도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응축수배출홀(234)은 습공기출구(232)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응축수배출홀(234)이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모듈챔버(214)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2 응축수배출홀(234) 쪽으로 이동하고,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통하여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2 응축수배출홀(234)은 모듈하우징(200)과 컨덴서(400)가 서로 연통되는 구멍이므로, 컨덴서(400) 내부의 공기가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통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컨덴서(400) 내부로부터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통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습공기출구(232)로 바로 이동하며 다시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모듈커버(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모듈케이스(201)의 상측에서 모듈개구(201a)를 차폐하면서 모듈케이스(201)에 결합된다. 모듈커버(202)는 모듈케이스(2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2)와 모듈케이스(201) 중, 어느 하나에 복수 개의 걸림턱(292)이 돌출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턱(292)이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 개의 걸림홈(29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292)과 걸림홈(291)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고 모듈하우징(200)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되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모듈케이스(201)의 내부에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수용된 상태에서, 모듈커버(202)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를 차폐하며 모듈케이스(20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부(330)가 모듈하우징(20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발 관리기(1)의 구조는, 제습부(330) 및 신발 관리기(1) 전체의 유지 및 관리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제습부(330)는, 재생에 의하여 반복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제습부(330)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부(330)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커버(202)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경계면을 이룰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대체로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대체로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듈커버(202)는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커버(202)는 그 상부면이 제1 방향(X)(신발 관리기(1)의 앞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커버(202)의 상측면에 메인선반(40)이 밀착되게 안착되며, 모듈커버(202)의 상부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질 때 모듈커버(202)의 상측에 안착된 메인선반(40) 또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므로, 메인선반(40)의 상부면에 묻은 물(예컨대, 응축된 물)은 경사진 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덮개(2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인 모듈커버(202)의 일부를 이룬다. 그리고 제습제덮개(241)는 이너캐비닛(100)의 모듈커버(202)에서 착탈되거나, 모듈커버(202)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2)에는, 제습제덮개(241)에 상응하는 모양 및 크기의 개구인 제습제출입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는 이러한 제습제출입구(24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는 이러한 제습제출입구(240)에 꼭 맞게 결합될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는 그 적어도 일부가 모듈커버(20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제덮개(241)가 모듈커버(202)에서 완전히 분리되면서 모듈커버(202)의 제습제출입구(240)가 개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제덮개(24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모듈커버(202)의 제습제출입구(24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제출입구(240)를 통하여 제습부(330)를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제습제출입구(240) 및 제습제덮개(241)는 평면도상 제3 모듈챔버(214)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습제출입구(240) 및 제습제덮개(241)는 제3 모듈챔버(214)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덮개(241)가 개방된 상태에서 평면도상 제1 모듈챔버(212) 및 제2 모듈챔버(213)는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가 모듈커버(202)에서 열리면, 모듈커버(202)의 제습제출입구(240)를 통하여 모듈커버(20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3 모듈챔버(214)가 노출되게 되며, 제습부(330)를 모듈케이스(201) 내부에 안착시키거나 모듈케이스(201)로부터 제습부(330)를 바로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습제덮개(241)의 크기 및 모양과 제습제출입구(240)의 크기 및 모양은, 제습부(33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제습제덮개(241)는 사각형 모양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덮개(241)의 길이는 제습부(330)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방향(Y)에서 제습제덮개(241)의 길이는 제습부(330)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평면도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모듈커버(202)에서 제습제덮개(241)를 열면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습부(330)를 모듈하우징(200)에서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제습부(33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습제덮개(241)가 열린 상태에서 제3 모듈챔버(214)만이 노출되고, 제1 모듈챔버(212) 및 제2 모듈챔버(213)는 노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1 모듈챔버(212)에 수용되는 송풍부(310) 및 제2 모듈챔버(213)에 수용되는 가열부(320)는 노출되지 않는다. 즉, 송풍부(310) 및 가열부(320)가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는 않으므로, 송풍부(310) 및/또는 가열부(320)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는 제습부(330)를 이격되게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241)와 제습부(330)의 사이의 공간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시작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모듈커버(202)의 상부면)에서 상하로 관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3)에는, 격자형태, 매쉬형태 등의 망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3)는 제2 방향(Y)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의 가장자리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3)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모듈커버(202)의 앞쪽부분 또는 뒤쪽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에서 상대적으로 도어(30)와 가까운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에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커버(202)의 상부면은 흡입구(203)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2)에서 흡입구(203)가 형성된 부분이 가장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2) 또는 메인선반(40) 위에 물기가 있는 경우 이러한 물은 중력에 의해 모듈커버(202)의 표면을 따라 흘러 흡입구(203)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모듈챔버(210)가 구비되고 모듈챔버(210)는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포함한다.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는, 평면도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평면도상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의 건조를 위한 주요 수단 및 제습부(330)의 재생을 위한 주요 수단인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함께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챔버(210)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는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케이스(201)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모듈하우징(200)은 그 바닥 부분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 부분이 서로 조립되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바닥에 어떠한 틈 등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모듈하우징(200)에서 응축수가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듈하우징(200)의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지점에 습기가 남아있는 경우, 이러한 습기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거나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챔버(210)의 공기는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차례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모듈챔버(214)와 건조유로(F10b)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습부(330)에 의한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또한 제습부(330)의 재생시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습부(330)로 바로 이동하여 제습부(330)의 재생효율이 우수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은 흡입모듈챔버(211)를 포함하고, 흡입모듈챔버(211)의 바닥면은 제1 모듈챔버(212)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20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흡입모듈챔버(211)의 바닥면에 부딛혀 제1 모듈챔버(212)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고, 또한 흡입구(203)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1 모듈챔버(212)로 이동하여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컨덴서(400)를 포함하고 모듈케이스(201)는 제1 응축수배출홀(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듈케이스(201)는 제2 응축수배출홀(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응축수가 컨덴서(4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며, 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를 포함한다.
스팀유입구(204)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유입구(204)는 모듈하우징(200)에 형성된다.
스팀유입구(204)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모듈하우징(2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모듈하우징(200)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모듈케이스(201) 및 모듈커버(202)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모듈하우징(200)의 후방에서 좌우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모듈하우징(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모듈챔버(214)가 형성되는 위치의 바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모듈챔버(214)와 스팀유입구(204)는 서로 차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모듈하우징(200)에서 모듈커버(202)는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을 이루며, 모듈하우징(200)이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면, 스팀유입구(204)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의 후방에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모듈하우징(2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스팀유입구(204)가 모듈하우징(200)의 후방에 형성되면서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에서 스팀유입구(204) 까지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스팀의 공급에 필요한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스팀유입구(204)로 스팀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유로(F10)는 흡입구(203)로부터 노즐(820)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즉,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노즐(820)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203) 및 노즐(820)을 제외한, 연결유로(F10)의 일 부분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 부분은 이너캐비닛(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203)를 통하여 연결유로(F10)로 이동하고, 연결유로(F10)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공기 흐름이 반복되면서 신발 관리기(1)에서 순환 기류가 이루어진다.
노즐(820)에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마지막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820)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여러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신발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에 배치된다.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습부(330)를 거치게 되며, 제습부(330)가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로 구분될 수 있다.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할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흡입구(203)와 연결되는, 연결유로(F10)의 상류 구간을 이룬다. 변환유로(F10a)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모듈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가 변환유로(F10a)를 이룰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다습한 공기가 이동하면서 건조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한편,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제습제(331))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노즐(82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F10)의 하류 구간을 이룬다. 건조공기덕트(370),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이 형성하는 유로가 건조유로(F10b)를 이룰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건조유로(F10b)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면, 건조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건조공기덕트(370)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 벽면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건조공기덕트(370)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에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건조공기덕트(370)와 이너캐비닛(100)(내부뒷판(110)) 사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유로가 건조유로(F10b)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건조공기덕트(370)는 그 하측 부분이 모듈하우징(200)의 건조공기출구(231)와 연통되고 그 상측 부분이 노즐덕트(810)와 연통되며,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와 노즐덕트(810)의 내부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습한 공기는 변환유로(F10a)로 유입된 후 제습부(330)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로 전환되며 건조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결유로(F10)를 순환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재생유로(F2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제습제(331)의 재생시,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331)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건조유로(F10b)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331)의 재생 시에는 제습부(330)를 통과한 공기가 노즐(820)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는 유로이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의 건조유로(F10b)와 다른 경로를 이루도록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섬프(600)로 이어진다.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섬프(600)를 연결하는 구간일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400)는 재생유로(F20)를 이룬다. 제습제(331)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4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섬프(600)로 이동하여 섬프(60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수통(70)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7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재생유로(F20)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면,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기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350)는 댐퍼 밸브(damper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모듈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200)에는, 연결유로(F10)의 통로로서 건조유로(F10b)의 입구를 이루는 건조공기출구(231)가 형성되고, 또한 재생유로(F20)의 입구를 이루는 습공기출구(232)가 형성된다.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제습제(331)를 거친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댐퍼(350)의 작동에 따라 제습제(331)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유로(F10b)를 차단하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거나, 또는 재생유로(F20)를 차단하면서 건조유로(F10b)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공기출구(231) 및 습공기출구(23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공기출구(231) 및 습공기출구(232)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공기출구(231)와 습공기출구(2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막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막으면서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제습제(331)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막으면서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는 경우 제습제(331)를 거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350)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350a)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의 힌지축(350a)은 제3 방향(Z)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신발 관리기(1)는, 댐퍼(350)의 힌지축(350a)을 중심으로 댐퍼(350)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댐퍼모터(3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모터(351)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댐퍼(350)를 양방향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고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할 때,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203), 모듈하우징(200)(송풍부(310) 및 제습부(330)), 건조공기출구(231), 건조공기덕트(370),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고 순환한다.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고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할 때, 모듈하우징(200)(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습공기출구(232), 컨덴서(40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변환유로(F10a) 및 재생유로(F20)를 이동하고 순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닫고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도록 댐퍼모터(3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열고 습공기출구(232)를 닫도록 상기 댐퍼모터(35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가 댐퍼모터(351)를 제어함으로써, 댐퍼(350)는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 건조유로(F10b)를 열고 재생유로(F20)를 닫을 수 있고,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 건조유로(F10b)를 닫고 재생유로(F20)를 열 수 있다.
이러한 댐퍼모터(351)의 제어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는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는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는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재생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고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너캐비닛(100), 연결유로(F10), 송풍부(31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서 스팀의 공급정도, 제습부(330)에 의한 제습의 정도, 및 연결유로(F10)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 정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서로 다른 조건으로 신발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각각 모듈하우징(200), 송풍부(310), 가열부(320), 제습부(330) 및 건조유로(F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관리장치(2a)에서 이동하는 공기 및 응축수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이동하는 공기 및 응축수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서 의도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스팀제너레이터(700)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제너레이터(700)의 효율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신발 관리기(1)의 효율적 공간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중 어느 하나에서 신발의 건조가 이루어질 때 다른 하나에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발의 효율적인 관리와 신발 관리기(1)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각각 개별적인 재생유로(F20) 및 댐퍼(35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가열부(320)(히터(321))와 댐퍼(35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 건조유로(F10b)를 열고 재생유로(F20)를 닫도록, 그리고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 건조유로(F10b)를 닫고 재생유로(F20)를 열도록, 댐퍼(3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수용공간(101)으로부터 모듈챔버(210)로 유입되어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가,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꺼졌을 때) 건조유로(F10b)를 따라 이동하고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321)가 켜졌을 때)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도록,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잇다.
이러한 제어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듈챔버(210) 내부의 공기의 이동 경로가 가열부(3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변경되어 신발의 건조 및 제습부(330)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스팀밸브(710)와 가열부(320)(히터(321))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거나 열고,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고,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거나 열고,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도록,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의 스팀의 공급 여부와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가열부(320)의 작동 여부가 연동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신발의 건조 및 제습부(330)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1 센서(361) 및 제2 센서(3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9 참조)
제1 센서(361)는 모듈하우징(200)의 제2 모듈챔버(213)에 설치되고 제2 센서(362)는 모듈하우징(200)의 제3 모듈챔버(214)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361)는 제2 모듈챔버(213)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센서(362)는 제3 모듈챔버(214)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361)는 제습부(330)를 거치기 전의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고, 제2 센서(362)는 제습부(330)를 거친 후의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0)는, 제1 센서(361)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모듈챔버(213)의 온도 및/또는 습도와 제2 센서(362)에 의해 측정되는 제3 모듈챔버(214)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비교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온도/습도의 상태 및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건조모듈(DM)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센서(361)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모듈챔버(213)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센서(362)에 의해 측정되는 제3 모듈챔버(214)의 온도 및 습도를 파악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습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습부(330)에 의한 제습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제습부(330)의 재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될 때, 제1 센서(361)에 의해 파악되는 제2 모듈챔버(213)의 습도와 제2 센서(362)에 의해 파악되는 제3 모듈챔버(214)의 습도의 변화량(예컨대, 습도의 감소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0)는 흡습모드가 중단되고 재생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제1 센서(361)에 의해 파악되는 제2 모듈챔버(213)의 습도와 제2 센서(362)에 의해 파악되는 제3 모듈챔버(214)의 습도의 변화량(예컨대, 습도의 증가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0)는 재생모드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331)에 흡착된 수분량을 측정 가능한 제3 센서(363)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0)는 제3 센서(363)에 의해 측정되는 수분량이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재생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는 제3 센서(363)에 의해 측정되는 수분량이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모든 가열부(3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센서(36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제(3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습제(331)에 흡착된 수분량을 측정 가능한 수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331)에 흡착된 수분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기준치 이하로 될 때까지 우선적으로 모든 제습제(331)를 재생시키므로, 신발의 리프레쉬를 위한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중에도 항상 제습제(331)가 제습에 적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외부캐비닛(20) 및 이너캐비닛(100)이 제거된 모습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 부분에서 섬프(600) 및 배수통(7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기계실(50)의 전방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배수통(7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배수통(70)의 착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연결유로(F10), 송풍부(310), 제습부(330), 가열부(320), 재생유로(F20), 섬프(60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수통(70)은 제1 배수유입홀(72) 및 제1 수위제한홀(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흡입구(203)와 노즐(82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배출된 후 다시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모듈챔버(210)로 흡입된 후 송풍되어 제습부(3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되며,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의 공기 유로일 수 있다.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에 배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부분으로,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를 연결유로(F10)에서 송풍시킬 수 있다.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에 배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는 부분으로, 제습제(331)는 가열됨으로써, 제습제(331)에 흡착된 수분이 분리되어 제습 기능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제습제(331)가 재생될 수 있다.
가열부(320)는 연결유로(F10)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부분으로, 제습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제습부(330)를 가열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는 유로로서,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모듈챔버(210)는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송풍시키고, 제습부(330)가 송풍되는 공기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습부(330)를 가열 가능한 부분이다.
이 경우, 제습부(330)는 가열됨으로써, 제습부(330)에 흡착된 수분이 분리되어 제습 기능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제습부(330)가 재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듈챔버(210)는 제습부(330),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댐퍼(3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모듈챔버(210)는 흡입구(203)와 노즐(820)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연결유로(F10) 및 제습부(330)를 통과하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어 송풍되는 재생유로(F20)의 일부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01)의 공기는 모듈챔버(210)로 송풍되어 제습부(3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결유로(F10)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습부(330)의 가열 여부에 따라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모듈챔버(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습부(330)가 재생되는 상태인지에 따라 제어부(10)에서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흡입구(203)와 노즐(820)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부분으로,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즉,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모듈챔버(210)로 흡입된 후 송풍되어 제습부(3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되며,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의 공기 유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모듈챔버(210)에 제습부(330)가 배치되어 송풍되는 공기 중의 수분 및 세균을 포집할 뿐만 아니라, 모듈챔버(210)에서 제습부(330)를 가열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각각 배치된 흡입구(203)와 노즐(820)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연결유로(F10)가 형성되므로, 신발의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섬프(60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섬프(600)는 신발 관리기(1)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섬프(600)는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섬프(600)에 집수된 응축수는 별도의 배관 등을 통해 배수통(70)으로 이동되거나, 즉시 신발 관리기(1)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구성 상에서 재사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배수유입홀(72)은 섬프(600)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입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배수통(70)으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수유입홀(72)은 배수통(70)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까지는 배수통(7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 이상으로 배수통(7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경우, 물이 배수통(70)의 외부로 흘러 넘칠 우려가 있다. 특히,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에 근접한 높이까지 배수통(7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배수통(70)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 발생 시 물넘침을 일으키므로,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적절히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수통(70)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것을 확인하여 배수통(70)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배수통(70) 내부 수위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 적절하게 물이 배출되지 않아 배수통(70)의 외부로 물이 흘러 넘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수통(70) 외부로 넘친 물은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 누수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오염 및 세균증식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배수통(70)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경우, 물을 다시 섬프(600)로 재유입시켜 배수통(70) 내부의 수위를 적절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수위제한홀(73)은 제1 배수유입홀(72)의 하부에 형성되어 섬프(6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배수통(70) 내부의 수위가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에 도달하면, 물이 제1 배수유입홀(72)을 통해 다시 섬프(60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유입홀(72)을 통해 배수통(7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까지 배수통(7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70) 내부의 수위가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에 도달하면 물이 제1 배수유입홀(72)을 통해 배출되어 배수통(70) 내부의 수위는 제1 배수유입홀(72)이 형성된 높이를 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와 연결되어 배수통(70)으로 물이 유입되는 제1 배수유입홀(72)의 하부에 섬프(600)와 다시 연결되는 제1 수위제한홀(73)이 형성되어, 배수통(70)에서 수용 가능한 수위 이상의 물은 섬프(600)로 배출시키므로, 배수통(70)을 통한 물의 배출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기계실(50)을 더 포함하고, 섬프(60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일부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50)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메인프레임(5)에 고정되거나 이너캐비닛(100) 또는 외부캐비닛(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50)에는, 제어부(10), 섬프(600),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은 관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신발(S))을 주로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어, 기능상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만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 및 배수통(70)이 이너캐비닛(100) 하측의 기계실(50)에 배치되므로, 신발 관리기(1)에서 물의 배출이 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너캐비닛(100)에 배치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제1 배수유입홀(72)로 압송하는 워터펌프(71)를 더 포함하고, 섬프(600)는 기계실(5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600)에서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배수통(70)과 제2 워터펌프(71)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워터펌프(71)를 통한 물의 압송에 따라, 배수통(70)이 섬프(600)보다 낮게 배치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섬프(600)를 배수통(70)보다 낮게 배치하더라도 섬프(600)에서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물의 배출 경로상 응축수를 수용하는 섬프(600)는 신발 관리기(1)에서 가장 낮은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수통(70) 또한 신발 관리기(1)에서 가장 낮은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배수통(70)의 수위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고 경우에 따라 배수통(7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배수통(70)을 낮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섬프(600)는 신발 관리기(1)에서 가장 낮은 곳에 배치되도록 하고, 배수통(70)은 섬프(600)보다는 높은 곳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워터펌프(71)의 압송을 통해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기계실(50)의 바닥면에 설치된 섬프(600)로부터 물을 압송하여 배수통(70)으로 이동시키므로,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을 수용하는 섬프(600)를 가장 낮은 곳에 배치하면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전방면에 형성된 제1 벽(51)에 설치되어 제1 벽(5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50)은 제1 벽(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앞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벽(51)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통(70)은 제1 벽(51)과 함께 기계실(50)의 한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면을 이룰 때,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전방에서 노출될 수 있고, 제1 벽(51)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기계실(50) 전방면의 제1 벽(51)으로부터 외측으로 배수통(70)이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기계실(50) 내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배수통(70)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배수통(70)은 제1 벽(5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70)은 제1 벽(51)의 외측방향으로 기계실(5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수통(70)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70)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통(70)에 저장된 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배수통(70)을 제1 벽(51)으로부터 분리한 후, 물을 버릴 수 있다. 또한, 배수통(70)에 대한 청소가 필요하거나 배수통(70)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배수통(70)을 제1 벽(51)으로부터 분리한 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기계실(50) 전방면의 제1 벽(51)에서 배수통(70)이 착탈되므로, 배수통(70)에 저장된 물의 배출 및 배수통(70)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배수통(70)은 제1 벽(51)으로부터 기계실(50)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하우징(55)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50) 중 제1 벽(51)의 후방에는 수용하우징(5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하우징(55)은 배수통(70)의 하부면 및 후방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 벽(51)에 장착되는 배수통(7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수용하우징(55)은 배수통(7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벽(51)의 후방을 커버하므로, 신발 관리기(1)의 전방에서 기계실(50)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배수통(70)이 수용되는 수용하우징(55)이 제1 벽(51)으로부터 기계실(50)의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므로, 배수통(70)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통(70)의 분리 시에도 기계실(50)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수용하우징(55)은, 후방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제1 배수유입홀(72)과 연결 가능한 제2 배수유입홀(56) 및 제2 배수유입홀(56)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수위제한홀(73)과 연결 가능한 제2 수위제한홀(5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하우징(55)에 형성된 제2 배수유입홀(56)은 배수통(70)에 형성된 제1 배수유입홀(72)과 연결되어 섬프(600)로부터 배수통(70)으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수용하우징(55)에 형성된 제2 수위제한홀(57)은 배수통(70)에 형성된 제1 수위제한홀(73)과 연결되어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물이 재유입되는 통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수용하우징(55)에 제2 배수유입홀(56) 및 제2 수위제한홀(57)이 형성되므로, 수용하우징(55)에 수용된 배수통(70)과 섬프(600)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수용하우징(55)은, 제2 배수유입홀(56)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배수유입홀(72)에 삽입 가능한 배수유입관(58)을 더 포함하고, 배수통(70)은, 제1수위제한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수위제한홀(57)에 삽입 가능한 수위제한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수유입관(58)이 제2 배수유입홀(56)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배수유입홀(7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위제한관(74)이 제1 수위제한홀(7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수위제한홀(5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통(70)을 수용하우징(55)에 장착하는 경우에, 제1 배수유입홀(72)에 대한 배수유입관(58)의 삽입 및 제2 수위제한홀(57)에 대한 수위제한관(74)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배수통(70)을 일정 부분 기울인 상태로, 기계실(50)의 전방면으로부터 수용하우징(55)에 배수통(70)을 장착하게 된다.
이 경우, 배수유입관(58)과 수위제한관(74)이 모두 수용하우징(55)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면, 기울인 상태의 배수통(70)에서 제1 배수유입홀(72)과 제1 수위제한홀(73)이 배수유입관(58)과 수위제한관(74)에 정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배수유입관(58)과 수위제한관(74)이 모두 배수통(7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도, 기울인 상태의 배수통(70)에서 배수유입관(58)과 수위제한관(74)이 제2 배수유입홀(56)과 제2 수위제한홀(57)에 정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배수유입관(58)과 수위제한관(74)은 각각 수용하우징(55)과 배수통(70)에 하나씩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수용하우징(55)에 대한 배수통(7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배수유입관(58)이 제2 배수유입홀(56)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수위제한관(74)이 제1 수위제한홀(73)로부터 돌출 형성되므로, 수용하우징(55)에 대한 배수통(7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수용하우징(55)은, 제2 수위제한홀(57)의 후방측을 커버하여 제2 수위제한홀(57)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 가능하고, 하단부가 섬프(600)와 연결되는 연결커버(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위제한홀(57)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섬프(60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연결커버(59)에 일정 부분 임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커버(59)의 내부는 일정한 공간을 가지므로, 해당 공간의 부피만큼 물이 일정 부분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커버(59)의 하부를 통해 섬프(600)로 물이 흘러갈 수 있으므로,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재유입되는 물이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고 연결커버(59)에서 일정 부분 완충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연결커버(59)가 제2 수위제한홀(57)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며 섬프(600)로 전달하므로,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재유입되는 물에 대한 완충 공간이 일정 부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섬프(600)는 상면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커버(59)는 섬프(600) 상면의 돌출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커버(59)의 하부가 섬프(600) 상면의 돌출 부분과 정렬되어, 해당 부분을 통해 연결커버(59)로부터 섬프(600)로 물이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프(600)와 배수통(70)은 배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섬프(600)가 기계실(5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 배수통(70)이 섬프(60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재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섬프(600) 상면에 연결커버(59)의 하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커버(59)의 하부를 섬프(600) 상면의 돌출 부분과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배관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의 편리성 및 구조적 간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의 상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연결커버(59)와 연결되므로, 수용하우징(55)과 섬프(60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배수통(7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수통(70) 내부에 수위감지센서(75)가 설치되어 배수통(7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위감지센서(75)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설정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배수통(70)의 관리가 필요한 상태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위감지센서(75)는 마그네틱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수위감지센서(75)가 고장 등의 이유로 정상작동 되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물이 재유입되도록 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70)으로부터 섬프(600)로 물이 재유입되어 섬프(600)의 수위 용량도 한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배수 에러 등에 따라 신발 관리기(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배수통(7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75)가 설치되므로, 배수통(70)에서 물의 배출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의 일부를 이루고, 재생유로(F20)를 따른 공기가 유입되어 응축되도록 이루어지는 컨덴서(400)를 더 포함하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섬프(600)로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부(330)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4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섬프(600)로 이동하여 섬프(60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출될 수 있다.
컨덴서(400)는 전체적으로 금속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 상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는 컨덴서(400)를 포함하므로, 제습부(330)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을 응축시켜 섬프(600)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덴서(400)는 섬프(6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덴서(400)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면서 섬프(60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제습제(331)의 재생시 수증기의 응축 및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컨덴서(400)로부터 섬프(600)까지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응축수가 컨덴서(400)와 섬프(600)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배수통(70)과 나란하게 제1 벽(51)에 설치되어 제1 벽(5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급수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7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의 물을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급수통(60)과 제1 워터펌프(61)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통(60)은 제1 벽(51)과 함께 기계실(50)의 한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면을 이룰 때, 급수통(60)은 기계실(50)의 전방에서 노출될 수 있고, 제1 벽(51)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기계실(50) 전방면의 제1 벽(51)으로부터 외측으로 급수통(60)이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기계실(50) 내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급수통(60)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급수통(60)은 제1 벽(5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급수통(60)은 제1 벽(51)의 외측방향으로 기계실(5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급수통(60)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60)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통(60)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급수통(60)을 제1 벽(51)으로부터 분리한 후, 물을 채울 수 있다. 또한, 급수통(60)에 대한 청소가 필요하거나 급수통(60)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급수통(60)을 제1 벽(51)으로부터 분리한 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기계실(50) 전방면의 제1 벽(51)에서 급수통(60)이 착탈되므로, 급수통(60)으로 물의 공급 및 급수통(60)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챔버(210) 및 메인선반(4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메인선반(40)을 Ac-A'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메인선반(40)을 Bc-B'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에 신발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닫힌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흡입구(203), 연결유로(F10), 송풍부(310), 제습부(330) 및 메인선반(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흡입 가능한 부분으로,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203)를 통하여 연결유로(F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면에 신발이 안착 가능한 부분으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서 신발은 메인선반(40)에 안착된 상태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신발의 바닥면은 오염의 정도가 크다는 점에서, 신발의 바닥면이 이너캐비닛(100)과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너캐비닛(10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오염의 정도가 큰 신발의 바닥면에 대한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신발의 바닥면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이 최대한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이 신발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커버하는 메인선반(40)의 상면에 신발이 안착되므로, 이너캐비닛(100)이 신발의 바닥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선반(40)에 이물질이 집적되어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거나 메인선반(40)의 오염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메인선반(40)을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선반(40)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메인선반(40)을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에서 메인선반(40)이 착탈되므로, 메인선반(40)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메인이격리브(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의 상면에는 메인이격리브(42)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면은 메인이격리브(4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만약, 평면 형상의 메인선반(40)의 상면에 신발이 안착된다면,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대부분 밀착되게 된다. 이 경우, 신발의 바닥면에는 공기의 접촉이 어려우므로, 신발의 바닥면에 대한 처리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선반(40)과 신발 사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물의 이동이나 증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기 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의 상면에 메인이격리브(42)가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사이에 공기 또는 물의 이동을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이격리브(42)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의 메인선반(4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과 나란하지 않도록 사선 방향으로 메인이격리브(4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바닥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 구조는 신발의 바닥면에서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이격리브(42)가 메인선반(40) 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이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의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가 메인이격리브(42)와 맞물린다면 상대적으로 신발과 메인선반(40)의 상면이 많이 접촉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접촉 면적이 많을수록 신발 관리기(1)의 기능 및 유지관리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와 메인이격리브(42)가 최대한 나란하지 않도록, 메인이격리브(42)를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이격리브(42)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이격리브(42)는 이너캐비닛(100)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을 향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신발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되는 신발은 한 쌍이 비교적 같은 환경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한 쌍의 신발에 대하여 요구되는 처리 또한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신발을 하나의 메인선반(40)에 동시에 안착시켜 이에 대한 균일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이격리브(42) 역시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을 향하여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이격리브(42)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한 쌍의 신발을 메인선반(40)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는데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은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메인이격리브(42)는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으로 갈수록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에는 일반적으로 도어(30)가 설치되며, 이너캐비닛(100) 중 전방측이 상대적으로 수분에 덜 취약하다는 점에서,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은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이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메인선반(40) 역시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선반(40)의 상면에 존재하는 물 역시 이너캐비닛(100)이 전방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인이격리브(42)가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으로 갈수록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메인이격리브(4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물이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 상의 물이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메인이격리브(42)가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 상에서 물이 특정 부분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흡입구(203)를 커버하는 부분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 개의 구멍(45)이 형성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에는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듈하우징(200)의 입구를 이룬다. 이러한 흡입구(203)는 메인선반(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선반(40)은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는데 있어 방해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선반(40)이 판 형태로 이루어질 때, 메인선반(40)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복수 개의 구멍(4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선반(4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물 역시 구멍(45)을 통해 흡입구(203)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출구를 형성할 필요 없이 원활하게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 중 흡입구(203)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관통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 상에서 이동되는 물이 흡입구(2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의 물은 전방측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에서 상대적으로 도어(30)와 가까운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흡입구(203)는 모듈커버(202)에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커버(202)의 상부면은 흡입구(203)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2)에서 흡입구(203)가 형성된 부분이 가장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2) 또는 메인선반(40) 위에 물기가 있는 경우 이러한 물은 중력에 의해 모듈커버(202)의 표면을 따라 흘러 흡입구(203)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선반(40) 역시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물이 중력에 의해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을 따라 흡입구(203)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흡입구(203)가 형성된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을 향하여 메인선반(40)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메인선반(40) 상에서 이동되는 물이 흡입구(203)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신발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면에 가이드리브(41a, 41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에는 가이드리브(41a, 4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리브(41a, 41b)는 사용자에게 신발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리브(41a, 41b)에 신발의 일부분(특히, 뒷꿈치 부분)을 맞추어 놓은 것으로서, 처리를 위한 신발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41a, 41b)는 노즐(820)의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리브(41a, 41b)에 맞추어 배치된 신발의 상면으로 노즐(82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에 가이드리브(41a, 41b)가 형성되어 신발의 위치를 가이드 하므로, 처리를 위한 신발의 안착 위치가 적절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가이드리브(41a, 41b)는 이너캐비닛(100)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을 향하여 대칭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41a, 41b)가 신발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경우, 한 쌍의 신발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리브(41a, 41b) 역시 한 쌍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가이드리브(41a, 41b)가 대칭된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한 쌍의 신발에 대한 처리시에도 신발의 안착 위치가 적절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가이드리브(41a, 41b)는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41a, 41b)가 보다 큰 규격의 신발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가이드리브(41a, 41b)가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신발의 앞꿈치 또는 뒷꿈치(특히, 뒷꿈치가 바람직함)에 맞추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신발의 앞꿈치 또는 뒷꿈치는 모두 일정 부분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가이드리브(41a, 41b) 역시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리브(41a, 41b)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이드리브(41a, 41b)에 맞추어지는 신발의 전후 방향의 위치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의 위치 까지도 일정 부분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리브(41a, 41b)를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함몰부(81) 역시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가이드리브(41a, 41b)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신발의 곡면 형상을 반영하여 최적의 구조로 신발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가이드리브(41a, 41b)는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41a, 41b)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30)에 가까운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발의 규격이 다양함에 따라 보다 큰 규격의 신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최대한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가이드리브(41a, 41b)가 이너캐비닛(100)의 전방측에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신발의 안착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둘레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된 메인차수리브(4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의 둘레면은 나머지 부분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선반(40)의 상면에 존재하는 물은 메인차수리브(43)에 의해 막혀 메인선반(40)의 둘레면 밖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의 둘레면을 따라 메인차수리브(43)가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 상에서 이동되는 물이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차수리브(43)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선반(40)이 이너캐비닛(10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차수리브(43)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메인차수리브(43)에 도달된 후 메인선반(40)의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메인차수리브(43)를 통해 흡입구(203)로 유도되어 불필요한 부분으로 누출되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에 메인차수리브(43)가 밀착되므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메인선반(40)의 상면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을 향하여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은 중앙부가 양 측면보다 높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선반(40)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물은 양 측면으로 흘러갈 수 있으므로, 메인선반(40) 상에 잔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평평하게 형성되는 신발의 바닥면을 고려할 때, 메인선반(40)의 상면이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의 중앙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부분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에는 일정 부분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오염 및 세균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선반(40)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사이에도 역시 일정 부분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오염 및 세균증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이러한 이격공간이 없다면, 메인선반(40)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사이에 존재하는 물의 이동이나 증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메인선반(40)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사이에도 공기 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메인선반(40)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메인선반(40)과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사이에서 잔수 등에 의한 오염 및 세균증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더 포함하고,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에 가까워질수록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도어배수면(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부분으로,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신발 관리기(1)는 하나의 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 다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도어(30)의 내부면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도어(30)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0)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이너캐비닛(100) 바닥면에 형성된 흡입구(2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나, 흡입구(203)로 유도되지 않은 응축수는 도어(30)와 이너캐비닛(100)의 틈새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에 가까워질수록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도어배수면(8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도어배수면(8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어배수면(8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배수면(80)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의 내부면 상에 도어배수면(80)이 돌출 형성되어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을 향하여 유도하므로, 도어(30) 내부면의 응축수가 도어(3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배수면(80)은 메인차수리브(43)의 상부에서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배수면(80)이 메인선반(40) 중 전방측의 메인차수리브(43) 상부를 지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배수면(80)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으로 유도되는 경우, 이러한 응축수가 메인차수리브(43)의 바깥쪽으로 유도된다면 메인선반(40)과 도어(30) 사이의 틈새로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어배수면(80)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메인차수리브(43) 안쪽의 메인선반(40) 상면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흡입구(203)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배수면(80)이 메인차수리브(43)의 상부를 지나도록 돌출 형성되므로, 도어(30) 내부면의 응축수가 메인선반(40)의 상면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신발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면에 가이드리브(41a, 41b)가 형성되고, 도어배수면(80)은 가이드리브(41a, 41b)의 형상을 따라 일부분이 함몰된 함몰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배수면(80)이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서 도어(30)로부터 이너캐비닛(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 중 전방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41a, 41b)와 간섭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어배수면(80)이 가이드리브(41a, 41b)의 상부까지 돌출 형성된다면, 도어배수면(80)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가이드리브(41a, 41b)에 맞추어 배치된 신발의 상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리브(41a, 41b)가 형성된 부분은 도어배수면(80)이 함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가이드리브(41a, 41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도어배수면(80)에 함몰부(81)가 형성되므로, 신발이 놓여진 부분의 상부로 응축수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함몰부(81)의 상부에는 도어배수면(80)의 나머지 부분까지 연장된 배수리브(8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81)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리브(82)가 형성되어, 함몰부(81)의 상부로 유도된 응축수는 배수리브(82)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81)의 상부로 유도된 응축수는 배수리브(82)를 따라 함몰부(81)가 형성되지 않은 횡방향으로 유도되고, 함몰부(8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흡입구(203)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배수면(80) 중 함몰부(81)의 상부에는 배수리브(82)가 형성되므로, 도어배수면(80) 상의 응축수는 함몰부(8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30)의 내부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 및 노즐덕트(8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보조선반(900)의 Cc-C'c 단면에 노즐덕트(81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에 신발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흡입구(203), 연결유로(F10), 송풍부(310), 제습부(330) 및 보조선반(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 내에는 선반거치대(910)가 형성되고, 이러한 선반거치대(910) 상에 보조선반(900)을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선반(900)은 선반거치대(910)에 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신발이 안착 가능한 부분으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공간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 내에서 보조선반(900)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 상에 각각 신발을 수용하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내에 형성된 선반거치대(910)에 보조선반(900)을 거치하여 사용하므로, 하나의 이너캐비닛(100) 내에서도 복수의 신발에 대한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선반거치대(91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보조선반(900)은 선반거치대(910)로부터 이너캐비닛(100)의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900)에 이물질이 집적되어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거나 보조선반(900)의 오염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보조선반(900)을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선반(900)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보조선반(900)을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선반거치대(910)에서 보조선반(900)이 착탈되므로, 보조선반(900)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보조이격리브(90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반(900)의 상면에는 보조이격리브(902)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면은 보조이격리브(90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만약, 평면 형상의 보조선반(900)의 상면에 신발이 안착된다면,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대부분 밀착되게 된다. 이 경우, 신발의 바닥면에는 공기의 접촉이 어려우므로, 신발의 바닥면에 대한 처리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선반(900)과 신발 사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물의 이동이나 증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기 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선반(900)의 상면에 보조이격리브(902)가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사이에 공기 또는 물의 이동을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이격리브(902)는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의 보조선반(90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과 나란하지 않도록 사선 방향으로 보조이격리브(90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바닥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 구조는 신발의 바닥면에서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이격리브(902)가 보조선반(900) 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이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의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가 보조이격리브(902)와 맞물린다면 상대적으로 신발과 보조선반(900)의 상면이 많이 접촉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접촉 면적이 많을수록 신발 관리기(1)의 기능 및 유지관리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 구조와 보조이격리브(902)가 최대한 나란하지 않도록, 보조이격리브(902)를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이격리브(902)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둘레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된 보조차수리브(90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반(900)의 둘레면은 나머지 부분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900)의 상면에 존재하는 물은 보조차수리브(903)에 의해 막혀 보조선반(900)의 둘레면 밖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선반(900)의 둘레면을 따라 보조차수리브(903)가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 상에서 이동되는 물이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이너캐비닛(100)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면을 향하여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선반(40)과 유사하게, 보조선반(900)은 중앙부가 양 측면보다 높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900)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물은 양 측면으로 흘러갈 수 있으므로, 보조선반(900) 상에 잔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평평하게 형성되는 신발의 바닥면을 고려할 때, 보조선반(900)의 상면이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선반(900)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의 중앙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선반(900)의 상면과 신발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일단이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고 타단에 노즐(820)이 결합되어 공기가 노즐(820)로 이동되는 통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덕트(810)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부토출구(8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덕트(810)의 상면 중 일부에는 상부토출구(811)가 형성되어, 노즐덕트(810)의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부토출구(811)를 통해 수용공간(101)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노즐(820)이 배치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노즐(820)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신발에 삽입 가능하도록 노즐덕트(8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연결유로(F10)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신발로 분사될 수 있다.
특히, 노즐(820)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신발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820)은 신발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방향으로 개방된 하부토출구(8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820)의 단부에는 하부토출구(821)가 형성되어, 노즐(820)의 단부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토출구(821)를 통해 하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덕트(810)의 일단에 형성된 노즐덕트힌지축(813)이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어, 노즐덕트(810)가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820)의 사용 여부에 따라,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힌지 회전하며 각도가 조절되어 이너캐비닛(100)의 내부 공간 상의 다양한 위치에 노즐(820)을 배치시킬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형성된 노즐힌지축(825)에 결합되어, 노즐(820)이 노즐힌지축(82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만약,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변경되어 노즐덕트(810)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태인 경우, 노즐(820) 역시 노즐덕트(810)와 일체로 경사진 상태라면 신발의 상면으로 노즐(820)이 삽입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는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노즐(820)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는 경사지지 않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선반(900)은 노즐덕트(81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절개부(90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반(900)의 중앙부는 일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형상의 절개부(90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덕트(810)는 보조선반(900)이 선반거치대(910)에 거치되는 경우 절개부(90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조선반(900)의 절개부(901)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방벽을 향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보조선반(900)을 이너캐비닛(100)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벽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 때, 노즐덕트(810)는 보조선반(900)의 절개부(901)에 삽입되고, 절개부(901)의 폭은 노즐덕트(810)의 외경에 대응되므로, 보조선반(900)의 거치 과정에서 노즐덕트(81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내에 보조선반(900)을 거치할 때 노즐덕트(810)가 보조선반(900)의 절개부(901)에 삽입되므로, 노즐덕트(81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보조선반(900)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가 절개부(901)에 삽입되어 노즐(820)의 상면이 보조선반(900)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토출구(811)는 보조선반(9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토출구(821)는 보조선반(9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거치대(910) 상에 보조선반(900)이 거치되어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경우, 상부의 공간에는 상부토출구(811)가 배치되고, 하부의 공간에는 하부토출구(82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 복수의 신발을 수용하는 경우, 보조선반(900)의 상부에 수용된 신발은 상부토출구(81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중심으로 처리가 수행되고, 보조선반(900)의 하부에 수용된 신발은 하부토출구(8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중심으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내에 보조선반(9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부토출구(811)가 보조선반(900)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고 하부토출구(821)가 보조선반(900)의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므로, 보조선반(900) 상부와 하부 각각에 신발을 배치하여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에 힌지 결합되는 노즐몸체부(822) 및 노즐몸체부(822)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에 하부토출구(821)가 형성되는 노즐돌출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은 보조선반(900)의 하면과 자력에 의한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노즐(820)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가해지거나,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노즐을 지지하는 부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노즐(820)이 하방향으로 쳐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조선반(900)의 하면에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노즐(820)을 보조선반(900)의 하면에 홀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몸체부(822)와 보조선반(9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고, 노즐몸체부(822)와 보조선반(900)은 자력에 의해 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몸체부(822)의 상면과 보조선반(900)의 하면이 자력 부착되므로, 보조선반(900)의 하면과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절개부(901)의 전방측 하면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즐덕트(810)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덕트(810)의 상면과 보조선반(900)의 하면이 밀착되기 위해서, 노즐덕트(8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부(901)의 전방측 하면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900)의 하면과 노즐덕트(810)의 상면 사이에 유격이 최소화되어, 보조선반(900)과 노즐덕트(810)가 보다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의 상면과 밀착되는 절개부(901)의 전방측 하면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의 하면과 노즐덕트(810)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820)은, 노즐몸체부(822)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노즐손잡이(826)를 더 포함하고, 보조선반(900)은, 노즐손잡이(826)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손잡이홈(90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4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몸체부(822)에는 노즐손잡이(826)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노즐덕트(810)를 만지지 않고서도,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손잡이(826)가 형성된 부분이 보조선반(900)에 의해 덮여있다면 사용자가 노즐손잡이(826)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노즐손잡이(826)를 파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노즐손잡이(826)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보조선반(900) 부분에 손잡이홈(904)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노즐손잡이(826)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노즐손잡이(826)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손잡이(826)의 상부에 대응되는 보조선반(900) 부분에 손잡이홈(904)이 형성되므로, 노즐손잡이(826)를 통한 노즐의 각도 변경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를 더 포함하고, 도어(30)는 보조선반(90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면에 형성되어, 보조선반(900)을 수납 가능한 수납홈(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면에는 수납홈(35)이 형성되어, 사용중이지 않은 상태의 보조선반(900)을 수납홈(35)에 수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선반(900)은 하나의 이너캐비닛(100) 내에서 여러 개의 신발에 대한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의 신발에 대한 처리시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선반(900)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는 것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는 점에서, 신발 관리기(1) 내에 보조선반(900)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의 내부면에 수납홈(35)이 형성되어 보조선반(900)을 수납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상태의 보조선반(900)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수납홈(35)은 보조선반(900)이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가 보조선반(9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35)의 하부에는 보조선반(900)과 일정 부분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면을 따라 응축수가 흘러내리는 경우, 수납홈(35) 내에 응축수가 잔류될 우려가 있다. 특히, 보조선반(900)과 수납홈(35)이 모두 밀착되어 있는 경우, 그 사이에 잔류된 응축수에 의해 세균 및 곰팡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홈(35)의 하부는 보조선반(900)과 일정 부분 이격되도록 하여, 수납홈(35)의 하부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공기의 순환 시 증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수납홈(35) 내에 수납된 보조선반(900)을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경우, 보조선반(900)과 수납홈(35)이 모두 밀착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보조선반(900)을 수납홈(35)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수납홈(35)의 하부는 보조선반(900)과 일정 부분 이격되도록 하여, 해당 부분으로 보조선반(900)이 밀려들어가면 보조선반(900)의 상부가 수납홈(3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선반(900)을 수납홈(3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수납홈(35)의 하부가 보조선반(900)과 일정 부분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보조선반(900)과 수납홈(35) 사이에 수분이 잔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홈(35)으로부터 보조선반(900)을 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수납홈(35)과 자력에 의한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 중이지 않은 상태의 보조선반(900)은 수납홈(35)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필요가 있으며, 도어(30)의 개폐에 따른 진동 및 충격에서도 보조선반(900)이 의도치 않게 수납홈(35)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납홈(35)에 보조선반(900)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사용 중이지 않은 상태의 보조선반(900)을 수납홈(35)에 홀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홈(35)과 보조선반(9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고, 수납홈(35)과 보조선반(900)은 자력에 의해 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선반(900)과 수납홈(35)이 자력 부착되므로, 보조선반(900)이 수납홈(35)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선반(900)은, 절개부(901)가 하부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납홈(35)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절개부(901)가 형성되어 ㄷ자 형상의 평면을 갖는 보조선반(900)은, 절개부(901)의 개방면이 하부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수납홈(35)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900)에 형성된 손잡이홈(904)은 상부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보조선반(900)이 수납홈(35)에 수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홈(35)의 하부는 보조선반(900)과 일정 부분 이격되도록 하여, 수납홈(35)의 하부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공기의 순환 시 증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개방면적이 큰 절개부(901)가 수납홈(3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납홈(35)의 하부가 보조선반(900)과 보다 많은 부분에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납홈(35)으로부터 보조선반(900)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다 편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절개부(901)가 아래로 가도록 수납홈(35)에 보조선반(900)을 수납하므로, 수납홈(35)의 하부와 보조선반(900) 사이에 이격공간이 보다 많이 확보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홈(904)을 통해 보조선반(900)을 수납홈(3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트롤 패널(33)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3)을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33)의 고정유아이구간(38) 및 변동유아이구간(39)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33)의 변형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연결유로(F10), 송풍부(310), 제습부(330), 도어(30) 및 컨트롤 패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패널(33)은 고정유아이구간(38) 및 변동유아이구간(39)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33)은 사용자에 의하여 신발 관리기(1)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도어(30)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3)을 조작하여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에 대한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패널(33)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33)과 연계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부(10))이 구비된다. 제어부(1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33)에는 유아이(UI, user interface)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3)에 배치된 유아이를 조작하여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에 대한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아이는 그 특성상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종류가 변경될 필요는 없는 것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이는 그 특성상 여러 종류로 변경되면서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것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 패널(33)에 배치되는 유아이는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이러한 각 유아이를 해당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유아이구간(38)은 도어(30)의 전방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표시 여부의 변경이 가능한 제1 제어유아이(38a, 38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유아이(38a, 38b)는 그 특성상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종류가 변경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서, 컨트롤 패널(33)에서 항상 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유아이구간(38)은 도어(30)의 전방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가 그 위치의 확인이나 조작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변동유아이구간(39)은 도어(30)의 전방면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표시 여부 및 종류의 변경이 가능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그 특성상 여러 종류로 변경되면서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현재 구현 중인 유아이의 상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서 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변동유아이구간(39) 역시 도어(30)의 전방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면, 사용자가 그 위치의 확인이나 조작을 하기 위해 자세를 숙이거나 낮춰야 하는 등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변동유아이구간(39)은 도어(30)의 전방면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한 상태로 그 위치의 확인이나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33)에 형성되는 고정유아이구간(38) 및 변동유아이구간(39)에 유아이의 특성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신발 관리기(1)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변동유아이구간(39)은, 고정유아이구간(38)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33)의 하단부에 고정유아이구간(38)이 형성되고, 컨트롤 패널(33)의 상단부에 변동유아이구간(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유아이구간(38)에 배치되는 제1 제어유아이(38a, 38b)는 컨트롤 패널(33)에서 항상 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더라도 사용자가 특별한 불편함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변동유아이구간(39)에 배치되는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사용자가 현재 구현 중인 유아이의 상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서 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눈높이에 가까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고정유아이구간(38)의 상부에 변동유아이구간(39)이 배치되도록 컨트롤 패널(33)이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조작이 복잡한 변동유아이구간(39)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변동유아이구간(39)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도어(30)의 전방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할 때, 신발 관리기(1)는 주로 바닥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발 관리기(1)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3)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눈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동유아이구간(39)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 및 조작하기 위해서는 변동유아이구간(39)의 경사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의 상부가 도어(30)의 전방면으로부터 후퇴되는 형상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조작이 복잡한 변동유아이구간(39)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은 연결 부위가 절곡된 일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유아이구간(38)은 도어(30)의 전방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변동유아이구간(39)은 도어(30)의 전방면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기 위해서는,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은 연결 부위가 절곡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을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결합시킨다면,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의 절곡된 연결 부위에 별도의 연결프레임 등이 개재될 필요가 있다.
즉,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은 구성을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하여 그 제작이 번거로울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프레임 등에 의해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인상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일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고정유아이구간(38)과 변동유아이구간(39)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조를 보다 간결하게 하여 컨트롤 패널(33)의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제어유아이(38a, 38b)는, 신발 관리기(1)의 전원 여부를 선택 가능한 전원유아이 및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여부를 선택 가능한 작동유아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유아이는 신발 관리기(1)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 관리기(1)의 사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유아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전원유아이는 종류가 변경될 필요는 없으며 항상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작동유아이는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시작/중지 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역시 신발 관리기(1)의 사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유아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작동유아이 역시 종류가 변경될 필요는 없으며 항상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유아이 및 작동유아이는 고정유아이구간(38)에 배치하여 표시 여부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고정유아이구간(38)에 전원유아이 및 작동유아이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조작이 단순한 전원유아이 및 작동유아이는 표시 여부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신발 관리기(1)의 행정 종류를 선택 가능한 행정유아이, 신발 관리기(1)에 수용되는 신발의 재질 종류를 선택 가능한 재질유아이 및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시간 종류를 선택 가능한 시간유아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행정유아이는 신발 관리기(1)에서 신발에 대하여 어떠한 행정을 수행할 지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구현 중인 유아이의 상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서 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재질유아이는 신발 관리기(1)에서 처리되는 신발의 재질을 선택하여 그에 맞는 최적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현재 구현 중인 유아이의 상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서 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시간유아이는 신발 관리기(1)에서 수행되는 신발에 대한 처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현재 구현 중인 유아이의 상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서 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행정유아이, 재질유아이 및 시간유아이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 배치하여 표시 여부 및 종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 행정유아이, 재질유아이 및 시간유아이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조작이 복잡한 행정유아이, 재질유아이 및 시간유아이는 표시 여부 및 종류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고정유아이구간(38)은,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1 제어유아이(38a, 38b)의 표시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유아이구간(38)은 제1 제어유아이(38a, 38b)의 표시 여부가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터치 시 제1 제어유아이(38a, 38b)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한편, 고정유아이구간(38)에 배치되는 제1 제어유아이(38a, 38b)는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별도의 물리 버튼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터치 및 물리적 압력의 유무를 적절히 조합하여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고정유아이구간(38)이 터치 방식에 의하여 조작되므로, 표시 여부가 변경되는 방식의 고정유아이구간(38)을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변동유아이구간(39)은,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의 표시 여부가 변경되고,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동유아이구간(39) 역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의 표시 여부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터치 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변동유아이구간(39)은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의 종류도 변경되므로, 일정한 면적의 화면 상에 여러 종류의 유아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이 터치 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조작되므로, 표시 여부 및 종류가 변경되는 방식의 변동유아이구간(39)을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은 복수로 배치되고, 연결유로(F10)는 각각의 이너캐비닛(100)마다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캐비닛(100)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캐비닛(100)이 상하로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이 전후 또는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 배치된 이너캐비닛(100) 내에는 연결유로(F1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서 독립적으로 신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이너캐비닛(100)이 배치되고, 각각의 이너캐비닛(100)마다 연결유로(F10)가 형성되므로, 하나의 신발 관리기(1)에서 각각의 이너캐비닛(100)마다 독립적으로 신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변동유아이구간(39)은,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가 표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유아이구간(39)은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설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설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변동유아이구간(39)에서 복수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설정 상태를 모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유아이가 표시되므로,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 표시되는 유아이를 선택하여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독립제어(이를 '듀얼케어'로 명명할 수도 있음)가 이루어지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아이의 종류를 변경하여 각각의 이너캐비닛(100)마다 독립적으로 신발에 대한 처리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 표시되는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유아이가 독립적으로 조작되므로,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서 독립적인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복수의 이너캐비닛(100)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되고, 변동유아이구간(39)은, 상하로 분할되어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유아이구간(39) 중 상부에 표시되는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상측에 배치된 이너캐비닛(100)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변동유아이구간(39) 중 하부에 표시되는 제2 제어유아이(39a, 39b, 39c)는 하측에 배치된 이너캐비닛(100)의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동유아이구간(39) 상에서 상하 분할된 표시 내용을 확인하여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이너캐비닛(10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변동유아이구간(39)이 상하로 분할되어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유아이가 표시되므로, 변동유아이구간(39)을 통해 상하배치된 각각의 이너캐비닛(100)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제너레이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팀제너레이터(700)를 통해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스팀의 고온에 의한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행정유아이는, 건조행정 및 스팀행정을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거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 특정 재질의 신발은 스팀의 접촉이 불리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동유아이구간(39)에 배치된 행정유아이를 조작하여 건조행정 및 스팀행정을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동유아이구간(39)에서 건조행정 및 스팀행정을 선택 가능하므로, 신발에 대한 다양한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트롤 패널(33)은, 도어(3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눈높이에 가까운 도어(30)의 상단부에 컨트롤 패널(3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자세를 적게 숙이거나 낮추더라도 용이하게 컨트롤 패널(33)을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의 상단부에 컨트롤 패널(33)이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33)이 보다 사용자에게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400)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b는 도 34a의 컨덴서(4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c는 도 34b의 컨덴서(4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컨덴서(400)는 재생유로(F20)의 일부를 이룬다.
컨덴서(400)는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사출성형, 프레스성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구리, 구리합금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컨덴서하우징(410), 유로가이드벽(440), 컨덴서입구(450), 및 응축수배출구(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컨덴서연통구(4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덴서(400)는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컨덴서(400)는 내부뒷판(110)과 외부뒷판(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제1 내부측판(120)과 제1 외부측판(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제2 내부측판(130)과 제2 외부측판(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컨덴서(400)가 제1 내부측판(120)과 제1 외부측판(22)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컨덴서(400)의 두께(cd3, 제2 방향(Y)에서 컨덴서(400)의 크기)는, 제1 내부측판(120)과 제1 외부측판(22)의 간격의 0.5~1배일 수 있다. 컨덴서(400)의 폭(cd2, 제1 방향(X)에서 컨덴서(400)의 크기) 및 상하방향의 높이(cd1)는 각각, 컨덴서(400)의 두께(cd3, 제2 방향(Y)에서 컨덴서(400)의 크기)의 10배 이상이고 40배 이하일 수 있다.
컨덴서(400)는 제1 내부측판(120) 및/또는 제1 외부측판(2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컨덴서(400)는 제1 내부측판(120)의 외측면에 밀착되거나 제1 외부측판(2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외부측판(22)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외부측판(22)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는 제1 외부측판(22)에 밀착되거나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컨덴서(400)를 이동하는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컨덴서(400)는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컨덴서(400)는 기계실(50)의 내부에 구비되지 않고 기계실(50)의 제약된 공간을 벗어나 위치한다.
또한 컨덴서(400)는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의 제1 내부측판(120)과 외부캐비닛(20)의 제1 외부측판(22)의 사이에 컨덴서(400)가 배치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과 외부캐비닛(20)의 외부뒷판(21) 사이에 건조공기덕트(3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어느 한쪽 벽면의 면적(예컨대, 제1 내부측판(120)의 면적)에 상당하는 크기로 컨덴서(4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덴서(400)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덴서(400)의 상하높이(cd1)는 이너캐비닛(100)의 상하높이(h11 or h12)의 0.5~1배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컨덴서(400)의 폭(cd2)은 이너캐비닛(100)의 제1 내부측판(120)의 폭(제1 방향(X)에서의 크기)의 0.5~1배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발 관리기(1)에서 기계실(50)의 상하높이가 비교적 낮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너캐비닛(100)의 상하높이(h11 or h12)보다 기계실(50)의 상하높이(h2)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계실(50) 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고, 기계실(50)에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여러 부품들이 수용되기 때문에 각 부품들의 배치 및 설계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과 달리, 기계실(50) 내부에 컨덴서(400)를 배치할 경우, 컨덴서(400)의 형상 및 위치 등이 제약되고, 컨덴서(40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덴서(400)가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기계실(50)의 상하높이가 비교적 낮게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각 부품의 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덴서(400)가 이너캐비닛(100)과 외부캐비닛(20)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컨덴서(400)를 비교적 얇고 넓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컨덴서(400)의 열교환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신발 관리기(1)의 외부 공기와 컨덴서(400) 간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덴서(400)를 지나는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가 제1 내부측판(120)과 제1 외부측판(22)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컨덴서(400)는 모듈하우징(2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컨덴서(400)는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는 섬프(600)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듈하우징(200)의 제3 모듈챔버(214) 내부의 수증기는 자연스럽게 상승하면서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되고, 컨덴서(400)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면서 섬프(60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습제(331)의 재생시 수증기의 응축 및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컨덴서하우징(410)은 컨덴서(4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컨덴서하우징(410) 내부에는 컨덴서(400)의 내부의 공간인 응축공간(420)이 구비된다.
컨덴서입구(450)는 컨덴서(4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컨덴서(400)의 입구를 이루고, 아울러 응축공간(420)의 입구를 이룬다.
컨덴서입구(450)는 습공기출구(232)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습공기출구(232)와 컨덴서입구(450)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내부측판(120)을 중심으로 내측과 외측에 위치하면서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입구(450)를 통하여 컨덴서(400)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컨덴서(40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응축되고, 컨덴서(4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응축수배출구(470)는 컨덴서(400)의 내부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이루고, 아울러 응축공간(420)의 출구를 이룬다.
컨덴서(400)의 응축수배출구(470)는 섬프(600)와 연결되고, 컨덴서(400) 내부의 응축수는 섬프(600)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응축수배출구(470)는 컨덴서(4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응축수배출구(470)는 응축공간(420)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공간(420)의 하단은 응축수배출구(470)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수배출구(470)는 섬프(600) 쪽으로 연결된다. 응축수의 이동을 위한 응축수배출구(470)와 섬프(6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로가이드벽(440)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로가이드벽(440)은 컨덴서하우징(410)의 내부(응축공간(420))에 구비되고,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로가이드벽(44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수증기 및 응축수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복수 개의 유로가이드벽(440)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벽(440)은, 응축공간(420)에서 컨덴서입구(450)로부터 컨덴서출구(460)로 이어지는 경로인 컨덴서유로(430)를 형성한다. 컨덴서유로(430)는, 컨덴서(400)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또는 물)의 이동통로로서, 컨덴서입구(450)와 컨덴서출구(460)를 연결한다. 또한 컨덴서유로(430)는, 컨덴서(400)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또는 물)의 이동통로로서, 컨덴서입구(450)와 응축수배출구(470)를 연결한다.
컨덴서유로(430)는 도입구간(431) 및 응축구간(4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로가이드벽(440)이 서로 이격되면서, 유로가이드벽(440)의 사이에 응축구간(432)이 구비될 수 있다.
응축구간(432)은, 응축공간(420)의 최상측에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면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축구간(432)을 이루는 유로가이드벽(440)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1~10°일 수 있다. 응축구간(432)을 이루는 유로가이드벽(440)은 대체로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되되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 경사지거나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축구간(432)을 이루는 유로가이드벽(440)의 길이는 30~400㎜일 수 있고, 유로가이드벽(440)의 폭은 5~20㎜일 수 있으며, 유로가이드벽(440)의 간격은 10~50㎜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응축공간(420)에서 수증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응축구간(4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증기와 컨덴서(400) 간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증기와 컨덴서(400)의 열교환 및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로가이드벽(440)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응축공간(420)에서 형성된 응축수는 유로가이드벽(440)의 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컨덴서(400) 내부에서 고이지 않고 중력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컨덴서(400) 내부에 잔수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입구간(431)은, 컨덴서입구(450)에서 상측을 향하여 응축구간(432)의 상단 시작지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컨덴서출구(460)는 컨덴서(400)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컨덴서(400)의 출구를 이룬다.
컨덴서출구(460)는 컨덴서(400)의 하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컨덴서출구(460)는 응축구간(43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컨덴서출구(460)는 응축수배출구(470)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덴서(400) 내부의 응축수는 응축수배출구(470)를 통하여 배출되고 컨덴서(400) 내부의 공기는 컨덴서출구(46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덴서(400)의 내부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가 컨덴서출구(460)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덴서출구(460)는 제1 응축수배출홀(233)과 상응하는 위치 및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컨덴서출구(460)와 제1 응축수배출홀(233)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컨덴서(400)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응축수배출구(470)를 통하여 섬프(600)로 이동하고, 응축되지 않은 공기는 컨덴서출구(460)를 통하여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변환유로(F10a)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재생유로(F20)의 컨덴서(400)로 유입되고, 컨덴서(400)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섬프(600)로 이동하며, 컨덴서(400) 내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공기는 다시 변환유로(F10a)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가 모듈하우징(200)과 컨덴서(400)를 순환하면서 응축이 이루어진다.
컨덴서연통구(465)는 응축공간의 하측에서 모듈하우징(200)의 제3 모듈챔버(214)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즉, 컨덴서(400)의 내부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가 컨덴서연통구(465)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연통구(465)는 응축수배출구(470)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덴서연통구(465)는 제2 응축수배출홀(234)과 상응하는 위치 및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컨덴서연통구(465)와 제2 응축수배출홀(234)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모듈챔버(214) 내부의 응측수는 제2 응축수배출홀(234) 및 컨덴서연통구(465)를 통하여 컨덴서(400) 내부로 유입되고 응축수배출구(470)를 통하여 섬프(600)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컨덴서연결부(4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연결부(490)는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를 직접 연결하는 유로를 이룰 수 있다.
컨덴서연결부(490)는 파이프, 호스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섬프(600)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의 하측에 배치될 때,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 내부의 응축수는 컨덴서연결부(490)를 통하여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 내부로 이동한 후 섬프(600)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연결부(490)와의 연결을 위하여, 컨덴서(400)에는 컨덴서연결구(491)가 형성될 수 있다. 컨덴서연결구(491)는 컨덴서(40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컨덴서연결구(491)는 컨덴서(400)의 응축공간(420)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컨덴서연결구(491)는 컨덴서(400)의 응축수배출구(470)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섬프(600)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의 하측에 배치될 때, 컨덴서연결부(490)는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의 응축수배출구(470)와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의 컨덴서연결구(491)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에는 컨덴서연결구(491)가 형성되지 않거나,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의 컨덴서연결구(491)를 별도의 마개로 막을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컨덴서(400) 내부의 응축수는 컨덴서연결부(490)를 통하여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 내부로 이동한 후 섬프(6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상하로 배치될 때,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와 섬프(600)를 연결하는 유로(호스 등)를 제1 관리장치(2a)의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유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응축수의 배출에 필요한 유로(호스 등)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의 컨덴서(400)만 섬프(600)와 직접 연결하여 모든 컨덴서(400)의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신발 관리기(1)의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아울러,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400)를 거치는 공기 중에서 수증기는 대부분 응축되어 응축수배출구(470)를 통하여 섬프(600)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공기중에서 응축된 일부의 작은 액적들은 응축수배출구(47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도 35은 본 발명의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의 제1 모듈챔버(212)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송풍부(310)는 송풍팬(313), 송풍하우징(311) 및 송풍모터(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팬(313)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고 연직방향인 제3 방향(Z)의 회전축(313a)(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의 송풍모터(314)는 송풍팬(313)을 회전시킨다.
송풍하우징(311)은 송풍팬(313)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송풍하우징(311)은,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을 중심으로 대체로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하우징(311)은,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을 중심으로, 원형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나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하우징(311)의 저면에 송풍부(310)의 입구(311a)가 형성되고, 공기가 송풍하우징(311)의 저면 아래에서 송풍하우징(311)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하우징(311)의 수평방향의 크기는 송풍하우징(311)의 상하방향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하우징(311)의 수평방향의 크기는 송풍하우징(311)의 상하방향의 크기의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송풍팬(313)이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하높이가 비교적 낮은 모듈하우징(200)을 갖는 경우에도, 송풍하우징(311)의 직경 및 송풍팬(313)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송풍부(310)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송풍하우징(311)은,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 상에서 제1 모듈챔버(212)와 연통되고, 그 테두리에서 송풍덕트(312)와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 송풍덕트(312)는 송풍부(310)의 출구(311b)를 이룬다.
따라서, 제1 모듈챔버(212)에서 송풍하우징(311) 아래쪽의 공기는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 부근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송풍하우징(311) 내부로 유입되고, 송풍하우징(311) 내부의 공기는 송풍팬(313)의 회전에 따라 송풍하우징(311)의 테두리쪽으로 가압되면서 송풍하우징(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송풍덕트(312) 쪽으로 이동한다.
송풍하우징(311)은 송풍하우징(311)의 출구(311b)를 이루는 송풍덕트(312)를 포함한다. 송풍덕트(312)는 송풍하우징(311)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송풍덕트(312)는 대체로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송풍덕트(312)는 제2 모듈챔버(213)까지 연장될 수 있고, 송풍부(310)에서 송풍덕트(3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모두 제2 모듈챔버(213)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팬(313)의 회전시 송풍하우징(311) 내부의 공기가 송풍덕트(312)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송풍하우징(311) 및 송풍덕트(312)는 서로 함께,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을 중심으로 한 나선형의 통로를 이룰 수 있다.
송풍팬(313)의 회전방향을 따라,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으로부터 반경방향의 거리가, 송풍하우징(311)에서 송풍덕트(312)에 걸쳐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으로부터 송풍하우징(311) 및 송풍덕트(312)의 바깥쪽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듈챔버(213)는 송풍덕트(312)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제3 모듈챔버(214) 및 건조공기출구(231)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방향은, 송풍하우징(311)에서 송풍팬(3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공기의 이동방향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송풍팬(313)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고, 송풍팬(313)의 회전축(313a)으로부터 송풍하우징(311) 및 송풍덕트(312)의 바깥쪽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면서 나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제3 모듈챔버(214) 및 건조공기출구(231)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하우징(311) 및 송풍팬(313)을 거친 공기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공기출구(231) 또는 습공기출구(232)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유로(변환유로(F10a))의 형성방향을 따라 공기의 자연스러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310) 및 송풍덕트(312)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3 모듈챔버(214)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제습부(330)으로 충분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듈챔버(214)를 이동하는 공기가 제습부(330)를 원활하게 통과하면서도 제습부(330)를 거치는(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모듈챔버(212) 내부에서 공기가 제1 모듈챔버(212)의 하측에서부터 송풍부(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풍부(310)는 제1 모듈챔버(212)의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듈챔버(212)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응축수가 제1 모듈챔버(212)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듈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송풍부(310)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제3 모듈챔버(214) 및 건조공기출구(231)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방향은, 송풍하우징(311)에서 송풍팬(3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공기의 이동방향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송풍하우징(3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3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송풍하우징(311)에서부터 제2 모듈챔버(213), 제3 모듈챔버(214) 및 건조공기출구(231)를 향하여 소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에서 원활한 공기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의도하지 않게 유로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30) 및 제습제하우징(34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버(202)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의 제3 모듈챔버(214)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30)는 소정의 두께 및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는 대체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부(330)는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습부(330)의 길이(ZD1) 및 폭(ZD2) 각각은 제습부(330)의 두께(ZD3)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부(330)의 길이(ZD1) 및 폭(ZD2)은 각각 제습부(330)의 두께(ZD3)의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습부(330)의 길이(ZD1)는 제습부(330)의 폭(ZD2) 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333)과 하부면(3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습부(330)의 상부면(333)과 제습부(330)의 하부면(334)은, 제습부(330)의 두께방향에서 대향하는 양쪽 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에는 복수 개의 제습관통홀(332)이 구비된다. 제습관통홀(332)은 제습부(330)의 상부면(333)과 하부면(334)을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는 제습제하우징(340)에 수용된 상태에서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습제하우징(340)은 제습부(33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습부(330)가 제습제하우징(3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하우징(340)의 테두리벽은 제습부(330)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340) 내부에서 제습부(330)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습제하우징(340)은 상측이 개구되고, 또한 하측이 개구된다. 다만, 제습제하우징(340)의 하측에는, 제습부(330)가 하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습부(330)를 지지하는 지지대(341)가 형성된다. 지지대(341)는 격자 또는 망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341) 간의 간격(개구)은, 제습부(330)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습관통홀(332) 보다 충분히 크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가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될 때, 제습부(330)는 그 상부면(333)과 하부면(334)이 수평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제3 모듈챔버(214)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습부(330)의 상부면(333)과 하부면(334)이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듈챔버(214)에 제습부(330)가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위쪽 공간에는 제습부(330)를 관통하기 전의 공기가 위치하고,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아래쪽 공간에는 제습부(330)를 관통한 후의 공기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위쪽 공간을 '제1 유로(F10aa)',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아래쪽 공간을 '제2 유로(F10ab)'로 정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제3 모듈챔버(214)에 제습부(330)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제습관통홀(332) 또한 경사지게 배치된다.
모듈커버(202)에는 커버격벽(24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격벽(242)은 제습제출입구(240)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커버격벽(242)은 대체로 삼각형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격벽(242)은 그 하단 테두리가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격벽(24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격벽(242) 간의 거리는 제습부(330)의 길이와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격벽(242)의 하단 테두리 및 커버격벽(242)의 제1 방향(X)의 앞쪽 테두리에는 하부걸림부(243)가 형성될 수 있고, 제습제하우징(340)의 상단 테두리에는 하부걸림부(243)의 상측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상부걸림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제하우징(340)의 내부에 제습부(3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하우징(340)을 커버격벽(242) 부분에 안착시키면, 제습제하우징(340)의 상부걸림부(342)가 커버격벽(242)의 하부걸림부(243) 상측에 안착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커버격벽(242)은 그 하단테두리가 제습부(330)의 상측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제1 유로(F10aa)와 제2 유로(F10ab)의 직접적인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2)에 커버격벽(242)이 구비됨으로써, 제1 유로(F10aa)의 공기는 제습부(33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제2 유로(F10ab)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습부(330)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제습부(33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습관통홀(332)이 형성됨으로써, 제3 모듈챔버(214)를 지나는 공기와 제습제(331)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습부(330)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놓이지 않고,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놓이게 됨으로써, 제습부(330)가 수평방향으로 놓이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제습부(330)의 상부면의 크기가 좀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부(330)의 전체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제1 유로(F10aa)에서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제2 유로(F10ab)로 향하는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경사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제2 모듈챔버(213), 제1 유로(F10aa) 및 제2 유로(F10ab)로 이동하는 경로에서 급격한 방향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공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자연스러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모듈챔버(214)에서 불필요한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챔버(213)의 공기가 제1 유로(F10aa)에서 제2 유로(F10ab)로 이동하면서 제3 모듈챔버(214)에 습기(작은 물방울 내지는 응축수)가 유입되거나 발생될 수 있는데, 제습부(330)의 하부면이 자연스럽게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에서 이격되고 제3 모듈챔버(214) 내부에서 공기가 제3 모듈챔버(214)의 상측에서부터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작은 물방울 내지는 응축수가 제습부(330)에 묻거나 스며들지 않고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컨덴서(400) 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부(330)는, 제2 방향(Y)을 따라 그 단면(section)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부(330)는, 제2 방향(Y)을 따라 그 두께가 변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모듈챔버(212) 및 제2 모듈챔버(213)는 제3 모듈챔버(214)의 앞에 형성된다. 즉, 제습부(330)의 길이방향이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때, 제1 모듈챔버(212) 또는 제2 모듈챔버(213)가 제3 모듈챔버(214)의 길이확보에 방해되지 않고, 송풍부(310) 또는 가열부(320)가 제습부(330)의 길이확보에 방해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습부(330)의 전체 길이(ZD1)는 송풍부(310) 및 가열부(320) 각각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습부(33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제습부(330)의 전체 부피를 비교적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습부(330)의 단위시간당 제습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습부(330)의 길이(ZD1)는 이너캐비닛(100) 및 모듈하우징(200) 각각의 길이의 1/2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모듈챔버(214) 내부에서 공기가 제3 모듈챔버(214)의 상측에서부터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습부(330)는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3 모듈챔버(214) 내부에서 공기가 제습부(33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고 제습부(33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제3 모듈챔버(214)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듈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3 모듈챔버(214)에 구비되는 제습부(330)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듈챔버(213)에서 제3 모듈챔버(214)로 공기가 이동함에 있어서 제습부(33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습부(33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습부(330)의 면적 내지는 용적을 좀 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습부(330)의 단위시간당 제습량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세퍼레이터(7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유입구(723)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연결구(722)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팀세퍼레이터(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로부터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대부분 기체 상태이나, 이동 과정에서 응축되어 액체 상태인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지점에 습기가 남지 않도록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은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스팀 중의 응축수가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의 내측면에 흡착되어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스팀 중의 응축수가 그대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급되더라도, 스팀 형태로 신발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므로 신발의 관리(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 처리,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스팀 중의 응축수가 스팀유입구(204)로 유입되기 이전에 스팀유입구(204)에 설치된 스팀세퍼레이터(720)를 통해 스팀 중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 세퍼레이팅연결구(722), 세퍼레이팅유입구(723) 및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소정의 내부 공간(721a)을 형성하는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평면도상 스팀유입구(204)가 이루는 구멍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부 면적을 이루고,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스팀유입구(204)의 하측에서 스팀유입구(204)를 커버하면서 모듈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스팀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스팀밸브(71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밸브(710)를 거친 후 세퍼레이팅유입구(723)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연결구(72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하측에서 연직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상하방향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이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어 응축수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으로 흐르더라도 응축수가 세퍼레이팅유입구(72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팅배출구(724)로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스팀이 배출되는 출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스팀은 스팀유입구(204)로 이동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서 연직방향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팀유입구(204)와 바로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섬프(600)와 연결되고,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응축수는 섬프(600)로 이동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연결구(72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하측에서 연직방향 하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은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은 제2 방향(Y) 또는 제2 방향(Y)의 반대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제2 방향(Y)의 앞쪽 끝 또는 뒤쪽 끝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된 스팀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일 수 있고, 상온(ordinary temperature, 예컨대, 20±5℃) 이상의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상승하려는 성질이 강하므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된 스팀 중 일부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 내부에서 냉각되어 응축되고, 응축수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을 따라 흐를 수 있으며,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외부로 배출되고 섬프(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에 세퍼레이팅연결구(722)와 세퍼레이팅배출구(724)가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스팀과 응축수가 함께 존재할 경우 각각 개별적은 경로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상측에 형성되면서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스팀과 응축수의 각각의 성질에 맞게 수증기와 응축수가 서로 반대쪽 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며,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에 잔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선반(4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신발(S)이 메인선반(40) 상측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2의 경우보다 큰 사이즈의 신발(S)이 메인선반(40) 상측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선반(40)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에 놓여 사용되고, 메인선반(40)이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에 놓일 때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이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커버(202)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 메인선반(40)은 모듈하우징(200)의 상측(모듈커버(202)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은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을 이루고 제1 방향(X)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메인선반(40)은 그 상부면에 한 켤레의 신발(S)이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대체로 얇고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신발이 놓여지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는, 사용자가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신발(S)을 안착시킬 때, 신발(S)의 전후방향이 제1 방향(X)과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하게끔 신발(S)을 메인선반(40) 위에 놓을 수 있도록, 신발(S)의 안착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메인선반(4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각각, 신발(S)의 전단 또는 후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각각, 신발(S)의 전단 테두리 또는 후단 테두리 모양에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오목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각각 원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각각,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가 메인선반(40)에 형성될 때,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메인선반(4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의 돌출높이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의 돌출높이는 3~20mm 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리브(41a)와 상기 제2 가이드리브(41b)가 서로 다른쪽에 위치한다.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01)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될 때 스팀유입구(204)는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유입구(204)는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형성되거나 바닥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스팀유입구(204)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01)의 뒤쪽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기준면(RP)이 신발 관리기(1)의 좌우를 양분하는 중심면일 때 기준면(RP)은 스팀유입구(204)를 가로지른다.
수용공간(101)은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양쪽이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의 뒤쪽끝을 기준으로, 스팀유입구(204)까지의 거리를 BD1,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상기 제2 가이드리브(41b)까지의 거리를 BD2,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의 앞쪽끝까지의 거리를 BD3이라고 할 때, BD1은 상기 BD3의 1/10 이하이고, BD2는 상기 BD3의 9/10~10/10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에서, 스팀유입구(204)가 가장 뒤쪽 부분에 형성될 때, 제1 가이드리브(41a) 및 제2 가이드리브(41b)는 가장 앞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 따르면, 우선 신발이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신발을 수용공간(101)에 인입하거나 이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편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분산되어 신발(S)을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고,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연결유로(F10)를 통하여 순환하면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의 신발은 앞쪽 및 뒤쪽이 둥글게 이루어지거나 앞쪽 및 뒤쪽을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한 켤레의 신발(S)을 서로 나란하게 놓을 경우, 한 켤레의 신발(S)의 전단 또는 후단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스팀유입구(204)가 수용공간(101)의 뒤쪽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한 켤레의 신발이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놓일 때, 신발이 스팀유입구(204)를 가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팀이 각 신발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스팀유입구(204)가 수용공간(101)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경우, 스팀유입구(204)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이 어느 하나의 신발에 더 많이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균일한 신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유입구(204)를 통하여 고온의 스팀이 토출될 경우에도 이러한 스팀이 신발(S)의 바닥으로 바로 토출되어 한 켤레의 신발의 불균일한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신발이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놓을 때 어느 하나의 신발이 제1 가이드리브(41a)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신발이 제2 가이드리브(41b)에 지지되면서 수용공간(101)의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기준면(RP)을 기준으로 2개의 신발이 서로 다른 쪽에 위치하게 되고, 스팀유입구(204)는 기준면(RP)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도 42 참조)
신발의 사이즈가 매우 클 때(예컨대, 제1(X)방향을 기준으로 신발이 길이가 메인선반(40)의 길이보다 길 때), 한 켤레의 신발은 제1 방향(X)의 뒤쪽을 향하여 서로 벌어지게 대각선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도 43 참조) 이 경우, 스팀유입구(204)는 한 켤레의 신발(S)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의 사이즈가 매우 큰 경우에 신발에 의해 스팀유입구(204)가 가려지거나 신발이 스팀유입구(204)와 매우 근접하여 배치될 가능성을 최소화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스팀유입구(204)가 수용공간(101)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경우, 관리되는 신발의 사이즈가 매우 크다면, 스팀유입구(204)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이 어느 하나의 신발에 더 많이 공급될 수 있고, 또는 스팀유입구(204)가 신발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고온의 스팀이 스팀유입구(204)로부터 토출될 때 이에 의하여 신발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203)는 모듈하우징(200)의 상부면에서 제1 방향(X)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선반(40)에는, 흡입구(203)의 바로 위에서 상하로 관통된 선반구멍(45)이 형성된다.
선반구멍(45)에는 격자형태, 매쉬형태 등의 망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구멍(45)은 복수 개로 구분된다.
복수 개의 선반구멍(45)은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선반구멍(45) 전체가 이루는 모양은 메인선반(40)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도상 선반구멍(45)이 형성되는 영역은 흡입구(203)가 형성되는 영역과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는 제1 방향(X)에서 선반구멍(45)보다 앞쪽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메인선반(40)의 전후방향 전체 영역을 신발이 안착되는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고, 메인선반(40)의 상측면에 묻은 응축수 등이 메인선반(40) 상부면을 따라 흘러 선반구멍(45) 및 흡입구(203)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선반(40)은 복수 개의 메인이격리브(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이격리브(42)는 메인선반(4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다. 메인이격리브(42)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X)과 경사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메인이격리브(42)의 돌출 높이는, 제1 가이드리브(41a)와 제2 가이드리브(41b)의 돌출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메인이격리브(42)가 이격됨으로써 메인이격리브(42) 사이에는 틈(공간 내지는 골)이 반복하여 형성된다.
메인이격리브(42)는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이격리브(42)는, 메인선반(40)의 테두리(메인차수리브(43)) 부분을 제외하고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신발이 메인선반(40) 상측에 안착될 때, 신발(S)의 저면의 일부는 메인이격리브(42)에 접촉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메인이격리브(42)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메인이격리브(42) 사이에는 복수의 틈이 형성되며, 신발(S)의 관리 과정에서 스팀 또는 공기는 이러한 틈들을 통하여 신발의 저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틈들이 형성됨으로써, 메인선반(40) 상부면의 응축수는 신발에 의해 그 흐름이 차단되지 않으면서 흐를수도 있다.
메인선반(40)은, 테두리를 이루며 상측으로 돌출된 메인차수리브(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차수리브(43)는 메인선반(40)의 테두리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평면도상 메인선반(40)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때, 메인차수리브(43)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메인차수리브(43)는 제1 방향(X)의 좌우 양쪽에서 이너캐비닛(100)에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차수리브(43)가 형성됨으로써, 메인선반(40) 상측의 응축수는 메인차수리브(43)를 넘어 메인선반(40)의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고, 메인선반(40) 상측에 머무르거나 선반구멍(45) 쪽으로 흘러 이동할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제1 방향(X)에서 메인선반(4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그 상단이 메인선반(40)의 바닥보다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바닥바(2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바(295)의 상부면에 스팀유입구(204)가 형성된다.
바닥바(295)는 수용공간(101)의 바닥면의 가장 뒤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바닥바(295)는 제2 방향(Y)을 따라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바(295)는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이너캐비닛(100)과 메인차수리브(43) 사이에 개재된다. 바닥바(295)는 이너캐비닛(100)과 메인차수리브(43) 사이에서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바(295)는 모듈하우징(2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바(295)는 모듈하우징(200)과 별도로 이루어진 후 모듈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닥바(295)는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커버(20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팀유입구(204)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모듈하우징(200) 뒤쪽 부분에 형성되고, 모듈하우징(200) 및 바닥바(295)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바(295)의 상부면은 메인차수리브(43)의 상부면보다 높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제1 내부측판(120)은,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리브(41a)가 위치하는 쪽의 벽면을 이룬다.
이너캐비닛(100)의 제2 내부측판(130)은, 기준면(RP)을 기준으로 제2 가이드리브(41b)가 위치하는 쪽의 벽면을 이룬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은,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벽면을 이루고,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가이드리브(41a)는 제1 내부측판(120)보다 기준면(RP)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제2 가이드리브(41b)는 제2 내부측판(130)보다 기준면(RP)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통의 사이즈의 신발의 경우에 한 켤레의 신발(S)이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나란하게 놓일 수 있고, 매우 큰 사이즈의 신발의 경우에 한 켤레의 신발(S)이 제1 방향(X)의 뒤쪽을 향해 벌어지는 형태로 놓일 수 있다.
제2 방향(Y)에서 스팀유입구(204)의 길이(BD5)는,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 사이의 간격(BD4)의 1/15~1/5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Y)에서 스팀유입구(204)의 길이(BD5)는,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 사이의 간격(BD4)의 1/5~1/3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 따르면, 신발의 관리과정에서 신발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등은 메인선반(4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메인선반(40)을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하여 메인선반(40)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기(1)의 용이한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메인선반(40)은 제1 방향(X)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메인선반(40)에는 선반구멍(45)이 형성되며, 메인선반(40)의 상부면의 응축수는 선반구멍(45)을 통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후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신발 관리기(1)는 바닥바(2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선반(40)은 메인차수리브(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스팀유입구(204)는 바닥바(295)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바닥바(295)의 상부면은 메인차수리브(43)의 상부면보다 높거나 같고, 메인차수리브(43)는 제1 방향(X)의 좌우 양쪽에서 이너캐비닛(100)에 밀착되거나 근접한다. 따라서, 스팀유입구(204)에서 스팀이 토출되는 방향이 신발을 바로 향하는 방향이 아니므로, 스팀에 의해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01)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메인선반(40)의 테두리인 메인차수리브(43) 안쪽에 위치하거나 재생유로로 이동하게 되며, 신발 관리기(1)에서 응축수의 용이한 관리가 이루어진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에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개략적인 흐름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에는 제습제덮개(241)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DM)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제습제덮개(241)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건조모듈(DM)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9a 및 도 49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되지 않을 때 공기의 속도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0a 및 도 50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될 때 공기의 속도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평면도상 제습부(330)의 전체 영역을 6개의 영역(1 내지 6으로 표시되고, 각 영역이 일점쇄선으로 구분됨)으로 구획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51b는 도 51a의 각 영역에서 질량흐름률(mass flow rat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b에서 ①번 그래프는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고, ②번 그래프는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된 경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2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격벽(220)을 포함한다. 모듈격벽(220)은, 공기가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차례로 이동하도록,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를 서로 구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리브(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리브(25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측에 구비된다.
각 내부리브(250)는 모듈하우징(2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또는 전부의 내부리브(250)는 모듈케이스(20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또는 전부의 내부리브(250)는 모듈커버(20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의 내부리브(250)는 제습제덮개(24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내부리브(25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측에서 판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내부리브(2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기가 각 내부리브(250)가 형성하는 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각 내부리브(250)는 연직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리브(250)의 면이 연직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내부리브(250)는 제1 내부리브(251)를 포함한다. 제1 내부리브(251)는 송풍부(310)의 출구(311b)의 테두리에서 가열부(320)의 입구(320a)의 테두리 쪽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플랜지(322)의 외부플랜지(322a)는 제2 방향(Y)을 따라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외부플랜지(322a)에서 제2 방향(Y)의 앞쪽이 가열부(320)의 입구(320a)를 이루고 제2 방향(Y)의 뒤쪽이 가열부(320)의 출구(320b)를 이룬다.
제1 내부리브(251)는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때 2개의 제1 내부리브(251)는 서로 이격되어 송풍부(310)의 출구(311b)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1 내부리브(251)는 가열부(320)의 입구(320a)쪽을 향하여 서로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에서 가열부(320)로 공기가 이동할 때 제1 내부리브(251)는 와류를 방지하고 수두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리브(250)는 제2 내부리브(252)를 포함한다. 제2 내부리브(252)는 가열부(320)의 출구(320b) 앞에 형성된다. 제2 내부리브(252)는 제2 방향(Y)에서 제1 방향(X)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룬다. 따라서, 가열부(320)의 출구를 지난 공기는 제2 내부리브(252)에 부딪혀 제3 모듈챔버(214) 및 제습부(330) 쪽으로 그 이동방향이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제2 내부리브(252)가 형성됨으로써, 가열부(320)에서 제습부(330) 쪽으로 공기의 이동방향이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고 수두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챔버경사면(2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경사면(213a)은, 제2 모듈챔버(213)의 바닥면에서 제습부(330)쪽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바닥면을 이룬다. 제2 내부리브(252)에 부딪혀 제3 모듈챔버(214)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챔버경사면(213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습부(33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내부리브(250)는 제3 내부리브(253)를 포함한다. 제3 내부리브(25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내부리브(253)는 제2 모듈챔버(213)와 제3 모듈챔버(2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리브(253)는 챔버경사면(213a)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리브(253)는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3 내부리브(253)는 제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제3 내부리브(253)는 제2 방향(Y)을 향할수록 그 길이(제1방향(X)의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내부리브(253)는 제2 모듈챔버(213)에서 제3 모듈챔버(214)로 이동하는 공기가 제1 방향(X)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돕고, 제습부(330)의 제2 방향(Y)의 전체 영역에서 공기가 균일하게 제습부(330) 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330)는 제2 모듈챔버(213)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제습부(330)와 제습제덮개(241)가 서로 이격되면서 제습부(330)의 상측에는 공간(제1 유로(F10aa))이 구비된다.
내부리브(250)는 제4 내부리브(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내부리브(254)는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제4 내부리브(254)는 제1 유로(F10aa)에 배치된다.
제4 내부리브(254)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제4 내부리브(254)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하여 이격된다.
내부리브(250)는 제5 내부리브(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내부리브(255)는 제3 모듈챔버(214)에서 제습부(3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제5 내부리브(255)는 제1 유로(F10aa)에 배치된다.
제5 내부리브(255)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제5 내부리브(25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하여 이격된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5 내부리브(255)는 제4 내부리브(254)의 뒤에 위치한다. 즉, 제2 모듈챔버(213)에서 제3 모듈챔버(214)로 이동하는 공기는 제4 내부리브(254)를 먼저 거친 후 제5 내부리브(255)를 거칠 수 있다.
제4 내부리브(254)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5 내부리브(255)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가장 앞에 위치하는 제5 내부리브(255)는 가장 앞에 위치하는 제4 내부리브(254)보다 앞에 위치하고, 가장 뒤에 위치하는 제5 내부리브(255)는 가장 뒤에 위치하는 제4 내부리브(254)보다 뒤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한다.
평면도상, 제5 내부리브(255)의 길이는 제4 내부리브(254)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제5 내부리브(255)는 제5-1 내부리브(255a)와 제5-2 내부리브(255b)로 구분될 수 있다. 제5-1 내부리브(255a)는 제1 열을 이룬다. 제5-2 내부리브(255b)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5-1 내부리브(255a)의 뒤에 위치하며 제2 열을 이룬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습부(330)의 후단에서 가장 앞에 위치하는 제5 내부리브(255)까지의 길이는, 제습부(330)의 후단에서 전단까지의 길이의 1/2~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는 모듈커버(20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커버(202)는 제습제출입구(240) 및 제습제덮개(2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는 제습제덮개(24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4 내부리브(254)는 제습부(330)의 상측에서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저항하는 면을 이룬다. 제4 내부리브(254)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부(330)의 앞쪽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와 제습부(330)의 뒤쪽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공기 간의 유속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5 내부리브(255)는 제습부(330)의 상측에서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저항하는 면을 이룬다. 제5 내부리브(255)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부(330)의 앞쪽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와 제습부(330)의 뒤쪽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공기 간의 유속의 편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챔버(213)로부터 제3 모듈챔버(214)로 진입한 공기는 제5 내부리브(255)에 의하여 제2 방향(Y)을 따라 넓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모듈챔버(214)의 공기는 제습부(33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속도로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49a 및 도 50a에서, 파란색(이미지가 흑백으로 표시될 경우, 어두운 색) 부분은 상대적으로 유속이 낮은 부분을 나타낸다. 도 49a에서 좌측 아래쪽 부분의 유속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유속이 낮고 제습부(330)의 평면도상 영역별로 유속의 편차가 다소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50a의 경우는 도 49a의 경우와 비교할 때 제습부(330)의 평면도상 영역별로 유속의 편차가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49b 및 도 50b에서, 붉은색(이미지가 흑백으로 표시될 경우, 어두운 색) 부분은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른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시뮬레이션 결과, 도 49a 및 도 49b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도 50a 및 도 50b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될 때),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풍량이 약 0.7%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내부리브(250)가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내부리브(250)가 형성될 때 모듈하우징(20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이 약 0.7% 증가하였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송풍부(310)의 출구(311b) 대비 제습부(330)의 입구(제1 유로(F10aa))의 압력손실을 확인한 결과, 도 49b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도 50b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될 때) 약 9%의 압력손실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제1 내부리브(251), 제2 내부리브(252) 및 제3 내부리브(253)가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제1 내부리브(251), 제2 내부리브(252) 및 제3 내부리브(253)가 형성될 때 모듈하우징(20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손실이 약 9% 감소하였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습부(330)의 입구(제1 유로(F10aa)) 대비 제습부(330)의 출구(제1 유로(F10ab))의 압력손실을 확인한 결과, 도 49a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도 50a의 경우(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내부리브(250)가 형성될 때) 약 27%의 압력손실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될 때 모듈하우징(20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손실이 약 9% 증가하였으며, 제3 모듈챔버(214)에서 공기가 제습부(330)를 관통할 때 유속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때 도 5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되지 않을 때(①)는 제습부(330)의 각 영역별 질량흐름률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고,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될 때(②) 제3 모듈챔버(214)의 각 영역별 질량흐름률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을 알 수 있다.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되지 않을 때(①)는 제습부(330)의 3번영역에서 질량흐름률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4번영역에서 질량흐름률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될 때(②)는 제습부(330)의 3번영역에서 질량흐름률이 낮아지고 4번영역에서 질량흐름률은 높아지는 등, 각 영역별 편차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되지 않을 때보다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될 때, 제습부(330)의 각 영역에서 유동 균일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제3 모듈챔버(214)에서 공기가 제습부(330)의 각 영역을 균일하게 통과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내부리브(254) 및 제5 내부리브(255)가 형성됨으로써 제습부(330)의 효율적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리브(250)에 의하여 모듈챔버에서의 공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듈챔버에서 불필요한 수두손실(head loss), 와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a, 100b)과 모듈하우징(20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4은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이너캐비닛(100)'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이너캐비닛(100a)' 및 '제2 이너캐비닛(100b)'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은 이너캐비닛(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이너캐비닛(100)의 하단에 결합된다.
모듈하우징(20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하우징(200)이 제1 방향(X)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너캐비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너캐비닛(100)은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를 포함하고, 모듈하우징(200)은 슬라이더(260, 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260, 270)는 슬라이딩가이드(160, 170)의 형성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슬라이더(260, 270)는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서로 슬라이드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하우징(200)을 이너캐비닛(100)의 바로 밑에 형성하여 연결유로(F10)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습부(330)에 의한 수용공간(101)의 공기의 신속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간결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의 모듈챔버(210)에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함께 수용되고, 모듈하우징(20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건조모듈(DM)이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가 제1 이너캐비닛(100a)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가 제2 이너캐비닛(100b)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모듈하우징(200)에서, 모듈케이스(201)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모듈케이스(20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챔버(210)로 이동하며,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의 건조를 위한 주요 수단 및 제습부(330)의 재생을 위한 주요 수단인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함께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챔버(210)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로 유입될 수 있고,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또는 제습부(330)를 거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듈하우징(200)에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하우징(200)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의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각각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챔버에 수용된 후 각 챔버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면, 각 챔버의 결합 부분에서 누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고, 또한, 이너캐비닛(100)과의 결합시 결합이 번거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은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모듈하우징(200)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이너캐비닛(100) 또는 기계실(50)의 다른 공간을 침범할 필요가 없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 또는 기계실(50)의 내부에 모듈하우징(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둘 필요가 없다. 또한, 모듈하우징(200)에 의하여 기계실(50)의 상하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챔버(210)는, 송풍부(310)가 수용되는 제1 모듈챔버(212)와, 가열부(320)가 수용되는 제2 모듈챔버(213)와, 제습부(330)가 수용되는 제3 모듈챔버(214)를 포함한다. 제1 모듈챔버(212), 제2 모듈챔버(213) 및 제3 모듈챔버(214)는 평면도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0)의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너캐비닛(100) 및/또는 기계실(50)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5a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5b은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6a 및 도 56b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7a 및 도 57b는 도 53에 도시된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a, 100b)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IM1, IM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8b는 도 58a의 금형(IM1, IM2)이 형폐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a, 100b), 모듈하우징(200) 및 건조공기덕트(37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버(20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1a는 신발 관리기(1)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로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1b는 신발 관리기(1)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로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의 결합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이너캐비닛(1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를 포함하는 이너캐비닛(100)이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을 갖는 사출물의 사출성형을 위해서는,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의 분리시 사출물을 탄성변형시켜 분리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분할 금형을 포함하도록 하거나, 금형에 슬라이드 코어(sliding core) 등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을 일체로 성형할 때, 이너캐비닛의 구조에 언더컷(외측 언더컷, 또는 내측 언더컷)이 형성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거나 사출성형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은 언더컷이 없거나 언더컷이 최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출성형에 의해 이너캐비닛(100)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a)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b)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a, 100b)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할 때, 이너캐비닛(100a, 100b)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금형(IM1)과, 이너캐비닛(100a, 100b)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금형(IM2)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금형(IM1)과 제2 금형(IM2)이 서로 형폐되고, 이후 제1 금형(IM1)과 제2 금형(IM2) 사이의 캐비티(CV)에 성형재료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며, 이후 제1 금형(IM1)과 제2 금형(IM2)을 형개하면서 금형(IM1, IM2)으로부터 사출물(이너캐비닛(1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a, 100b)은 제1 방향(X)으로 개구된 메인개구(140)를 가지므로, 제1 금형(IM1)과 제2 금형(IM2)은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에서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메인개구(140)의 형성방향인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가이드(160, 170)의 형성시 언더컷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가이드(160, 170)가 일체화된 이너캐비닛(100)이 사출성형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이너캐비닛(100b)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3 참조)
슬라이더(260, 270)는 모듈케이스(201) 또는 모듈커버(202)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260, 270)는 모듈케이스(201) 또는 모듈커버(20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60, 270)가 모듈커버(202)와 일체로 이루어질 때, 모듈커버(202)가 모듈케이스(201)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 간의 더욱 용이하고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커버(202)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260, 270)를 포함하는 모듈커버(202)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260, 270)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모듈커버(202)의 좌우 양쪽 테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2)에 슬라이더(260, 27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모듈커버(202)의 좌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더(260)와 모듈커버(202)의 우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더(270)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서 제1 방향(X)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캐비닛(100)에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너캐비닛(100)의 좌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160)와 이너캐비닛(100)의 우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170)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하부레일(161, 171)과 상부레일(162, 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레일(161, 171)은 제1 방향(X)을 따라 평행하거나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레일(161, 171)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레일(162, 172)은 하부레일(161, 171)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 방향(X)을 따라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레일(162, 172)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레일(161, 171)과 상부레일(162, 172)이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부레일(161, 171)과 상부레일(162, 172)의 성형시 언더컷을 배제할 수 있고, 슬라이딩가이드(160, 170)가 일체로 이루어진 이너캐비닛(100)을 용이하게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하부레일(161, 171)과 상부레일(162, 172)이 조합된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제1 방향(X)의 전방을 향하여 상하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의 이러한 구조는, 사출성형에 의해 이너캐비닛(100)을 성형할 때 금형(IM1, IM2)의 형개 및 금형(IM1, IM2)으로부터 사출물(이너캐비닛(100))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서 제1 방향(X)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60, 270) 또한 모듈하우징(200)의 제1 방향(X)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더(260, 270)는 모듈커버(202)와 일체로 이루어지 수 있고, 이때, 슬라이더(260, 270)는 모듈커버(202)의 후방에서부터 전방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260, 270)는 하부슬라이더(261, 271) 및 상부슬라이더(262, 2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슬라이더(261, 271)와 상부슬라이더(262, 272)가 조합된 슬라이더(260, 270)는 제1 방향(X)의 전방을 향하여 상하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슬라이더(261, 271)는 하부레일(161, 171)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슬라이더(261, 271)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슬라이더(261, 271)는 하부레일(161, 171)의 상측에 접촉하고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다.
상부슬라이더(262, 272)는 상부레일(162, 17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슬라이더(262, 272)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커버(202)를 포함한 모듈하우징(200)이 제1 방향(X)의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여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결합이 완료됐을 때 상부슬라이더(262, 272)는 상부레일(162, 172)의 하측에 접촉한다. 즉, 모듈하우징(200)이 이너캐비닛(100)의 뒤쪽에 위치하여 결합이 완료되기 전에 상부슬라이더(262, 272)는 상부레일(162, 172)과 이격된다.
슬라이더(260, 270)가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를 따라 슬라이딩결합되어, 모듈하우징(200)이 이너캐비닛(100)과 결합이 완료되면 모듈커버(202)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개구(150)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너캐비닛(100)에서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너캐비닛(100)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160)와 제2 슬라이딩가이드(17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가이드(160)는 제1 내부측판(120)의 하단에서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가이드(170)는 제2 내부측판(130)의 하단에서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의 하측개구(150)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160)와 제2 슬라이딩가이드(170)의 사이에서 개구된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60, 27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모듈하우징(200)(모듈커버(202))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슬라이더(260, 270)는 제1 슬라이더(260)와 제2 슬라이더(27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가이드(160)와 제2 슬라이딩가이드(170)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고, 제1 슬라이더(260)와 제2 슬라이더(270)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a, 100b)과 모듈하우징(200)의 결합시, 모듈하우징(200)이 제1 방향(X)의 가장 앞으로 이동했을 때 상부레일(162, 172)과 상부슬라이더(262, 272)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상부레일(162, 172)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0)이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 간의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지고,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 간의 상하방향 유격 및 전후방향 유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슬라이딩가이드(160, 170) 및 슬라이더(260, 270)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이너캐비닛(100)의 좌우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의 안정적이고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전방프레임(180) 및 고정가이드(1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프레임(180) 및 고정가이드(181)는 이너캐비닛(100)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이너캐비닛(100)에 형성된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이너캐비닛(100)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의 정면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모듈하우징(200)의 전단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내부측판(120)의 전단과 제2 내부측판(130)의 전단을 서로 연결한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내부측판(120)의 전단의 하측과 제2 내부측판(130)의 전단의 하측을 서로 연결한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이너캐비닛(100)에 테두리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전방프레임(180)에 둘러싸이는 영역이 메인개구(140)에 해당된다.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a)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b)은 각각의 전방프레임(180)이 서로 연결된다.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이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이루어질 때, 제1 이너캐비닛(100a)의 전방프레임(180)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의 전방프레임(180)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2 이너캐비닛(100b)의 전방프레임(180)은 제1 벽(5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가이드(181)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전방프레임(180)의 배면에 형성된다. 고정가이드(181)는 제1 방향(X)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가이드(181)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가이드(181)는 제2 방향(Y)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커버(202)는 고정리브(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리브(280)는 제1 방향(X)에서 모듈커버(202)의 전단에서 제1 방향(X)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리브(280)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리브(280)는 제2 방향(Y)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가이드(181)와 고정리브(280)는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가이드(181)와 고정리브(280) 중 어느 하나가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때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리브(280)가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때, 고정가이드(181)는 제1 방향(X)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리브(280)가 고정가이드(181)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하우징(200)의 슬라이더(260, 270)가 이너캐비닛(100)의 슬라이딩가이드(160, 170)를 따라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의 결합이 완료될 때, 고정리브(280)와 고정가이드(181)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의 개방시 이너캐비닛(100)은 전방프레임(180) 부분이 가장 앞에서 노출되는데, 전방프레임(180)에 어떠한 분할라인(예컨대, 이너캐비닛(100)들이 서로 결합되는 분할라인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미감이 우수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천장을 이루는 내부상판(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b)은, 천장을 이루고 제1 방향(X)의 앞쪽부분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며 전방프레임(180)에 연결되는 내부상판(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상판(115)은 제1 영역(115a) 및 제2 영역(1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a)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b) 각각에서, 내부상판(115)은 제1 영역(115a) 및 제2 영역(1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제1 영역(115a)은 상대적으로 뒤쪽부분 및 중간부분을 이루고, 제2 영역(115b)은 상대적으로 앞쪽부분을 이룬다.
제1 영역(115a)은 평평한 면을 이룬다. 제1 영역(115a)은 내부상판(115)의 상당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5a)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5a)은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15a)은 제2 영역(115b)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게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115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영역(115a)의 앞에서 앞쪽으로 연장된다. 제2 영역(115b)은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며 전방프레임(180)에 연결되는 영역을 이룬다.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보다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앞쪽에서 볼 때 전방프레임(180)의 폭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제1 관리장치(2a)에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모듈하우징(200)이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영역(115a) 및 제2 영역(115b)을 포함하는 내부상판(115)의 이러한 구조는, 사출성형에 의해 이너캐비닛(100)을 성형할 때 언더컷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금형(IM1, IM2)의 형개 및 금형(IM1, IM2)으로부터 사출물(이너캐비닛(100))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제1 이너캐비닛(100a)의 전방프레임(180)은 제2 이너캐비닛(100b)의 내부상판(11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너캐비닛(100a)의 전방프레임(180)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의 내부상판(115)은, 제2 방향(Y)의 전체 구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부측판(120)은 내부상판(115)의 일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내부측판(130)은 내부상판(115)의 타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부측판(120)과 제2 내부측판(130)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부측판(120)과 수직면이 이루는 각도 및 제2 내부측판(130)과 수직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5도 이하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부측판(120) 및 제2 내부측판(130) 각각은,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된 선반거치대(910)를 포함한다.
선반거치대(910)는, 제1 방향(X)을 향할수록 상하폭(ht)이 좁아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부측판(120)에 형성되는 선반거치대(910) 및 제2 내부측판(130)에 형성되는 선반거치대(910)는 이너캐비닛(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선반거치대(910)가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제1 방향(X)을 향할수록 상하폭(ht)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너캐비닛(100)의 사출성형시 선반거치대(910)가 언더컷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금형(IM1, IM2)의 형개 및 금형(IM1, IM2)으로부터 이너캐비닛(10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상하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의 일체감을 향상시키고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미감 및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및 모듈하우징(200),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및 모듈하우징(20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고, 상하방향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모듈하우징(2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결합된다. 즉,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 사이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모듈하우징(200)이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2 이너캐비닛(100b)의 하단에 제2 관리장치(2b)의 모듈하우징(200)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이러한 결합구조는, 복수 개의 이너캐비닛(100)이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공간의 낭비없이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모듈하우징(200)이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됨으로써,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너캐비닛(100) 또는 그 내부의 부품의 수리,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모듈하우징(200)을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이동시켜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모듈하우징(2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모듈하우징(200)을 이루는 모듈커버(202)에는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3)가 관통형성되고, 이너캐비닛(100)은 그 하부가 개구되어 이루어진 하측개구(150)를 포함하며, 모듈하우징(200)이 이너캐비닛(100)과 결합되면 모듈커버(202)가 하측개구(150)를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커버(202)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의 저면에 복잡한 구조가 요구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을 포함한 이너캐비닛(100) 전체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조비용이 증가하거나 그 제조가 곤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의 저면의 구조 및 흡입구(203) 등은 언더컷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때, 이러한 곤란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모듈커버(202)가 이너캐비닛(100)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이너캐비닛(100)을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면, 이너캐비닛(100)의 제조를 위한 금형(제1 금형(IM1) 및 제2 금형(IM2))이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형폐 및 형개되면서 이너캐비닛(100)을 성형하여야 하는데, 모듈커버(202)의 저면에 어떠한 구조물을 형성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모듈커버(202)를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구(203) 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곤란하여 질 수 있다. 특히,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이 서로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과 별도로 형성되는 모듈하우징(200)의 모듈커버(202)가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이루게됨으로써, 모듈커버(202)의 하부면에 연결유로의 형성을 위한 비교적 복잡한 구조가 요구될 경우에도 모듈커버(20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너캐비닛(100)도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 모듈하우징(200)을 이너캐비닛(100)에 결합함으로써 이너캐비닛(100)의 바닥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너캐비닛(100a)과 제2 이너캐비닛(100b)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너캐비닛(100a, 100b)을 먼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 후 이너캐비닛(100a, 100b)이 모듈하우징(200)과 결합되면서 각 이너캐비닛(100a, 100b)의 바닥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상판(115), 제1 내부측판(120) 및 제2 내부측판(130)이 메인개구(140)의 형성방향인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되고, 이너캐비닛(100a, 100b)과 일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가이드(160, 170) 및 선반거치대(910)가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상판(115), 제1 내부측판(120), 제2 내부측판(130), 슬라이딩가이드(160, 170) 및 선반거치대(910)는 모두 제1 방향(X)에서 상대이동하는 제1 금형(IM1) 및 제2 금형(IM2)을 기준으로 언더컷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사출성형에 의해 서로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성에 유리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신발 관리기(1)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을 줄이고 재료비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듈하우징(200)의 앞 부분은 전방프레임(180)에 의해 가려지고, 도어(30)를 개방했을 때 이너캐비닛(100)과 일체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180)이 가장 앞쪽에서 노출되므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이 일체감있게 결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미감이 우수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건조공기덕트(370)를 포함한다. 모듈커버(202)에서 흡입구(203)는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형성되고, 건조공기덕트(370)는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한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0)을 이너캐비닛(100)에 먼저 결합 후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 및 모듈하우징(200)에 결합할 수 있고,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3a는 이너캐비닛(100)의 하측과 제1 벽(51)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3b는 이너캐비닛(100)의 하측과 제1 벽(51) 부분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제1 벽(51)에는 제1 방향(X)으로 관통된 구멍인 물통개구(54)가 형성된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통개구(54)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이 물통개구(54)에 배치될 때 물통개구(54)는 급수통(60) 및 배수통(7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과 제1 벽(51)은 동일평면을 이루고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상부수용하우징(55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수용하우징(55a)은, 물통개구(54)의 테두리에서 제1 벽(51)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부수용하우징(55a)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벽(51)의 뒤쪽으로 연장되고,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이 수용되는 물통수용공간(55c)을 형성한다.
상부수용하우징(55a)의 상부는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상부수용하우징(55a)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의 상측을 덮도록 이루어어진다.
신발 관리기(1)는 하부수용하우징(5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수용하우징(55b)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의 하측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하부수용하우징(55b)과 상부수용하우징(55a)이 조합되어 수용하우징(55)을 이룬다. 하부수용하우징(55b)은 상부수용하우징(55a)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수용하우징(55a)과 함께 물통수용공간(55c)을 형성한다.
제1 벽(51) 및 상부수용하우징(55a)이 이너캐비닛(100)의 전방프레임(180)과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미감이 우수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고, 상부수용하우징(55a)에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부수용하우징(55a)의 상부가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짐으로써,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전방프레임(180)의 폭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모듈하우징(200)이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64는 도 1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4에는 이너캐비닛(100)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5는 도 4c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5에는 이너캐비닛(100)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 도어(30), 노즐덕트(810), 노즐(820), 노즐손잡이(826) 및 노즐연결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01)에 신발(S)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은 수용공간(101)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X)으로 개구하는 메인개구(140)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신발 관리기(1)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뒷판(110), 제1 내부측판(120), 제2 내부측판(130) 및 내부상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뒷판(110), 제1 내부측판(120), 제2 내부측판(130) 및 내부상판(115)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뒷판(110)은 수용공간(101)의 후방에서 벽면(경계면)을 형성한다. 즉, 내부뒷판(110)은 수용공간(101)의 후방에서 세로로 세워진 벽면(경계면)을 이룬다. 내부뒷판(110)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내부상판(115)은 수용공간(101)의 천장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상판(115)은 제1 영역(115a) 및 제2 영역(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5a)과 제2 영역(115b)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전방프레임(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내부상판(115)의 앞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은 메인개구(14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의 정면은 제1 방향(X)과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리장치(2a, 2b)는 이너캐비닛(100) 및 건조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관리장치(2a)는 이너캐비닛(100) 및 건조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리장치(2b)는 이너캐비닛(100) 및 건조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는 서로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는 제2 관리장치(2b)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각각의 전방프레임(18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상판(115)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10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상판(115)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영역(115a)은 내부뒷판(110)의 상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을 의미한다. 제1 방향(X)으로 갈수록, 제1 영역(115a)의 높이는 증가할 수 있다. 제1 방향(X)의 단위거리 당 제1 영역(115a)의 높이 증가분은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영역(115a)은 수평면과 θ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은 제1 영역(115a)에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리장치(2a)를 기준으로, 제1 영역(115a)의 저면은 수평면과 θ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영역(115a)은 수평면과 δ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은 제1 영역(115a)에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리장치(2b)를 기준으로, 제1 영역(115a)의 저면은 수평면과 δ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θ1과 δ1은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영역(115a)과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영역(115a)은 동일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영역(115a)은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를 기준으로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서 메인개구(140)를 바라볼 때, 제1 영역(115a)의 저면은 제2 방향(Y)을 따라 높낮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영역(115a)은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리장치(2b)를 기준으로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서 메인개구(140)를 바라볼 때, 제1 영역(115a)의 저면은 제2 방향(Y)을 따라 높낮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영역(115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영역(115a)의 앞에서 연장된 영역을 의미한다. 제2 영역(115b)은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1 방향(X)으로 갈수록, 제2 영역(115b)의 높이는 증가할 수 있다. 제1 방향(X)의 단위거리 당 제2 영역(115b)의 높이 증가분은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은 수평면과 θ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은 제2 영역(115b)에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리장치(2a)를 기준으로, 제2 영역(115b)의 저면은 수평면과 θ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115a)은 제2 영역(115b)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게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의 경사도는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영역(115a)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θ2는 θ1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의 경사면을 연장한 가상면(이하 '제1 가상면(IP1)')에 일치하는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와 연결된 전방프레임(18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은 α1일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이 제2 영역(115b)을 형성하지 않고 제1 영역(115a)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와 연결된 전방프레임(18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은 α2일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일점쇄선은 제1 영역(115a)을 연장한 가상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의 상단을 기준으로, α2는 α1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리장치(2a)의 내부상판(115)이 제2 영역(115b)을 형성함으로써,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α2-α1의 각도만큼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수평면과 δ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은 제2 영역(115b)에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리장치(2b)를 기준으로, 제2 영역(115b)의 저면은 수평면과 δ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115a)은 제2 영역(115b)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게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의 경사도는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영역(115a)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δ2는 δ1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의 경사면을 연장한 가상면(이하 '제2 가상면(IP2)')에 일치하는 경우,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와 연결된 전방프레임(18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은 β1일 수 있다.
한편,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이 제2 영역(115b)을 형성하지 않고 제1 영역(115a)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와 연결된 전방프레임(18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은 β2일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일점쇄선은 제1 영역(115a)을 연장한 가상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80)의 상단을 기준으로, β2는 β1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리장치(2b)의 내부상판(115)이 제2 영역(115b)을 형성함으로써,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β2-β1의 각도만큼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과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동일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보다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클 수 있다. 즉, δ2는 θ2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제2 관리장치(2b)는 제1 관리장치(2a)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을 바라보기 위해 무릎이나 허리를 다소 굽히더라도, 사용자의 시선과 수용공간(101) 간 높이차는, 사용자의 시선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을 바라볼 때 사용자의 시선과 수용공간(101) 간 높이차보다 클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이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보다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더 큼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과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 간 높이차가 사용자의 시선과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간 높이차보다 크더라도, 수용공간(101)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다.
제1 방향(X)과 δ2의 사잇각을 형성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의 길이는, 제1 방향(X)과 θ2의 사잇각을 형성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은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를 기준으로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서 메인개구(140)를 바라볼 때, 제2 영역(115b)의 저면은 제2 방향(Y)을 따라 높낮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리장치(2b)를 기준으로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서 메인개구(140)를 바라볼 때, 제2 영역(115b)의 저면은 제2 방향(Y)을 따라 높낮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7a는 도 65에 도시된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덕트(810)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b는 도 65에 도시된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820)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즐덕트(810)는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덕트(810)는 내부뒷판(1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노즐덕트(810)는 내부뒷판(110)으로부터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의 일단은 내부뒷판(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의 일단은 노즐덕트힌지축(813)을 통해 내부뒷판(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의 일단은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노즐(82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는 강제 송풍된 공기가 노즐(820)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820)은 신발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정하면, 노즐(820)의 적어도 일부는 신반 안쪽에 삽입될 수 있다. 노즐(820)이 분사한 공기는 수용공간(101) 내에서 신발의 안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몸체부(822) 및 노즐돌출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몸체부(822)는 노즐덕트(8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몸체부(822)는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형성된 노즐힌지축(82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820)은 노즐힌지축(82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노즐돌출부(823)는 노즐몸체부(822)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노즐돌출부(823)는 아래쪽 단부에 하부토출구(821)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돌출부(823)의 하부 일부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토출구(821)를 통해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몸체부(822)에 노즐손잡이(826)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손잡이(826)는 노즐몸체부(822)의 제1 방향(X) 앞쪽 면에서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힘을 가하여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손잡이(826)는 기준면(RP)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노즐손잡이(826)는 수용공간(101)의 가운데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일단은 내부뒷판(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일단에 제1 연결힌지축(8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연결체(830)는 제1 연결힌지축(8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타단은 노즐(8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타단에 제2 연결힌지축(8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연결체(830)는 제2 연결힌지축(8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의 특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의 특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노즐몸체부(822)를 기준으로,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는 경우,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의 위치는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 간 거리(Ld)와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 간 거리(Lc)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노즐힌지축(825) 간 거리(Le)와 제1 연결힌지축(831)과 제2 연결힌지축(832) 간 거리(Lf)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힌지축(813), 노즐힌지축(825), 제1 연결힌지축(831) 및 제2 연결힌지축(832)은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한 평행사변형의 각 꼭지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덕트(810)와 노즐연결체(830)는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몸체부(822)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820)은 일정한 방향 즉, 아래쪽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손잡이(826)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손잡이(826)를 잡은 손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손잡이(826)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노즐(820)이 상승하도록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노즐덕트(810)를 회전시켜,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을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노즐덕트(810)의 각도 조절에 의해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이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영역(115a)과 노즐(820)은 자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15a)과 노즐몸체부(822) 중 어느 하나는 제1 자성체(M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15a)과 노즐몸체부(822) 중 다른 하나는 제2 자성체(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는 서로 자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성체(M1) 및 제2 자성체(M2)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자성체(M1) 및 제2 자성체(M2)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1 자성체(M1) 및 제2 자성체(M2) 중 다른 하나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5a)이 제1 자성체(M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몸체부(822)가 제2 자성체(M2)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자력에 의해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을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손잡이(826)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이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시킬 때마다,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는 항상 일정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은 제1 영역(115a)의 하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을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노즐몸체부(822)의 상면은 내부상판(115)의 하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 외부 충격 및 중력에 의한 노즐몸체부(822)의 유동은 물론, 이에 따른 고장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신발을 처리할 경우,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노즐(820)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노즐덕트(810)를 회전시켜, 노즐돌출부(823)의 적어도 일부를 신발 안쪽에 삽입시킬 수 있다.
노즐(820)의 상면이 내부상판(115)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노즐(820)은 제1 영역(115a)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즐손잡이(826)는 제2 영역(115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노즐몸체부(822)의 앞쪽 면은 제1 영역(115a)과 제2 영역(115b)의 경계 바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손잡이(826)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영역(115b)의 경사면을 연장한 가상면 즉, 제1 가상면(IP1) 및 제2 가상면(IP2)을 기준으로 제1 방향(X) 앞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제1 가상면(IP1) 및 제2 가상면(IP2)에 일치하거나 가상면보다 낮은 경우, 노즐손잡이(826)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의 위치를 즉각 확인하여 노즐손잡이(826)를 파지하고,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면(IP1) 및 제2 가상면(IP2)은 신발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신발을 처리할 경우,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노즐(820)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의 각도 조절에 의해 노즐손잡이(826)가 이동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노즐손잡이(826)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제2 영역(115b)의 경사면을 연장한 가상면 즉, 제1 가상면(IP1) 및 제2 가상면(IP2)을 기준으로 제1 방향(X) 앞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의 각도 조절에 의해 노즐손잡이(826)가 이동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노즐손잡이(826)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노즐손잡이(826)를 파지하고,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8은 도 4c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8은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어(30)는 메인개구(14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1개의 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쪽 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는 전면판(30a) 및 후면판(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30a)은,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30b)은,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01)을 폐쇄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30b)에 패킹(37)이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패킹(37)은 메인개구(140)의 둘레를 따라 후면판(30b)과 이너캐비닛(100)의 전면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패킹(37)은 이너캐비닛(100)의 전면과 후면판(30b) 사이의 틈을 제거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 사용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물방울이 되어 벽면에 부착되는 결로현상(frostiness)이 이너캐비닛(100)의 내면, 그리고 후면판(30b)에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의 제2 영역(115b)은 수평면과 θ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리장치(2b)의 제2 영역(115b)은 수평면과 δ2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115b)에 맺힌 수분은 제2 영역(115b)의 경사면을 따라 제1 영역(115a)의 경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에 발생한 수분이 후면판(30b)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후면판(30b)에 맺히는 수분의 양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영역(115a)은 수평면과 θ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영역(115a)은 수평면과 δ1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15a)의 경계쪽으로 이동한 수분은 제1 영역(115a)의 경사면을 따라 내부뒷판(110)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상판(115)에 발생한 수분이 신발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결로발생에 의한 신발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세트(1000)의 신발 관리기(1) 및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0은 도 69의 신발 관리 세트(1000)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신발 관리기(1)의 상면에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1은 도 69의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어(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세트(1000)는 신발 관리기(1) 및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처리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강제 순환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캐비닛(3) 및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3)은 이너캐비닛(100) 및 외부캐비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수용공간(101)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X)으로 개구하는 메인개구(140)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너캐비닛(100)은 2개의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수용공간(10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신발 관리기(1)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
외부캐비닛(20)은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제2 외부측판(23) 및 외부상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제2 외부측판(23) 및 외부상판(24)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외부뒷판(21), 제1 외부측판(22), 제2 외부측판(23) 및 외부상판(24)은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상판(24)은 캐비닛(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상판(24)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방향(Z)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외부상판(24)은 외부캐비닛(20)에서 제3 방향(Z)의 위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메인개구(14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캐비닛(3)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힌지회전축(31)은 연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는 전면판(30a), 후면판(30b), 제1 측면판(30c), 제2 측면판(30d) 및 상면판(30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30a)은,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30b)은,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01)을 폐쇄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판(30b)에 패킹(37)이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패킹(37)은 메인개구(140)의 둘레를 따라 후면판(30b)과 이너캐비닛(100)의 전면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30)의 상면과 캐비닛(3)의 상면은 패킹(37)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면판(30c) 및 제2 측면판(30d)에 오목한 홈(이하 '제1 오목홈(30h1)')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오목홈(30h1)의 내면에 힘을 가해 도어(30)를 당기며 열 수 있다. 상면판(30e)에 오목한 홈(이하 '제2 오목홈(30h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오목홈(30h2)의 내면에 힘을 가해 도어(30)를 당기며 열 수 있다.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노즐(82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820)은 수용공간(101)에 구비될 수 있다. 노즐(820)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 송풍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도 72a는 도 69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2b는 도 72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의 전시공간(1111)을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는 신발을 전시하도록 내부에 전시공간(1111)을 형성할 수 있다.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는 본체(1110), 이동체(1120) 및 투시창(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10)는 전시공간(1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110)는 대략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시공간(1111)은 대략 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10)는 전시공간(1111)의 6개 면 중 3개 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1110)는 전시공간(1111)의 6개 면 중 제1 방향(X)의 뒤쪽 면, 제3 방향(Z)의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10)의 상부에 조명(1112), 팬(1113) 및 히터(1114)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1112)은 전시공간(1111)을 조명(1112)할 수 있다. 팬(1113)이 강제 송풍한 공기는 송풍구(1115)를 통해 전시공간(1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전시공간(1111)의 공기는 환기구(1116)를 통해 팬(1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팬(1113)이 강제 송풍한 공기는 전시공간(1111)을 순환할 수 있다.
히터(1114)는 팬(1113)이 강제 송풍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히터(1114)에 의해 전시공간(1111)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체(1120)는 턴테이블(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은 턴테이블(1121)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체(1120)의 하부는 본체(1110)의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1120)는 대략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1120)는 본체(1110)에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10)에 제1 방향(X)과 평행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1120)에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1120)는 투시창(1130)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1130)은 전시공간(1111)과 접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투시창(1130)은 대략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투시창(1130)은 전시공간(1111)의 6개 면 중 3개 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투시창(1130)은 전시공간(1111)의 6개 면 중 제1 방향(X)의 앞쪽 면, 제2 방향(Y)의 양쪽 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120)는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이동하여 전시공간(1111)을 폐쇄할 수 있다. 도 7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120)는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시공간(1111)을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10)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을 통해 신발을 전시공간(1111)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10)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을 통해 전시공간(1111)에 수용된 신발을 인출할 수 있다.
도 73은 도 69의 신발 관리 세트(1000)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의 저면과, 신발 관리기(1)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4는 도 70의 신발 관리 세트(1000)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5a는 도 74의 신발 관리 세트(1000)를 X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4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5b는 도 74의 신발 관리 세트(1000)를 X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4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6은 도 69의 신발 관리기(1)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신발 관리기(1)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4)는 제1 방향(X) 및 수직방향과 평행한 기준면(RP)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3)과 도어(30)는 함께 수용부(4)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상판(24)은 캐비닛(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면판(30e)은 도어(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상판(24)과 상면판(30e)은 함께 수용부(4)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4)는 수용저부(4a), 수용연장부(4b) 및 수용측부(4c)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저부(4a)는 캐비닛(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저부(4a)는 물품이 안착 가능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저부(4a)는 수평면(horizontal plane)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저부(4a)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은 일정한 부피를 가진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물품은 전자제품, 생활용품, 사무용품, 전시용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저부(4a)는 수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함에 따라, 각종 물품은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은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의미할 수 있다.
수용연장부(4b)는 도어(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가 수용공간(101)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30)의 상면과 캐비닛(3)의 상면은 패킹(37)에 의해 일정 간격(h1)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연장부(4b)와 수용저부(4a)는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h1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수용연장부(4b)는 수용저부(4a)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4a)와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수용연장부(4b)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저부(4a)와 수용연장부(4b)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수용측부(4c)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측부(4c)는 수용저부(4a)보다 높은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측부(4c)는 제1 수용측부(4c1) 및 제2 수용측부(4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4c1)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를 따라 캐비닛(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4c1)는 수용저부(4a)와 연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용측부(4c1)는 제11 수용측부(4c11), 제12 수용측부(4c12) 및 제13 수용측부(4c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4c11)는 수용저부(4a)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4c11)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1 수용측부(4c11)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1 수용측부(4c11)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저부(4a) 쪽 즉, 제1 방향(X)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1 수용측부(4c11)로 밀리는 경우, 제11 수용측부(4c11)는 수용저부(4a)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 수용측부(4c11)는 수용저부(4a)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수용측부(4c11)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멀어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1 수용측부(4c11)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저부(4a)와 제11 수용측부(4c11)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1 수용측부(4c11)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7은 도 69의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8은 도 70의 신발 관리 세트(1000)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79a는 도 78의 신발 관리 세트(1000)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8의 C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9b는 도 78의 신발 관리 세트(1000)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78의 D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2 수용측부(4c12)는 수용저부(4a)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 수용측부(4c12)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2 수용측부(4c12)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2 수용측부(4c12)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저부(4a) 쪽 즉,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2 수용측부(4c12)로 밀리는 경우, 제12 수용측부(4c12)는 수용저부(4a)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 수용측부(4c12)는 수용저부(4a)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수용측부(4c12)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2 수용측부(4c12)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저부(4a)와 제12 수용측부(4c12)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2 수용측부(4c12)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4c13)는 수용저부(4a)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4c13)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3 수용측부(4c13)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3 수용측부(4c13)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저부(4a) 쪽 즉,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3 수용측부(4c13)로 밀리는 경우, 제13 수용측부(4c13)는 수용저부(4a)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3 수용측부(4c13)는 수용저부(4a)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3 수용측부(4c13)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저부(4a)로부터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3 수용측부(4c13)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저부(4a)와 제13 수용측부(4c13)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3 수용측부(4c13)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4c2)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어(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4c2)는 수용연장부(4b)와 연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측부(4c2)는 제21 수용측부(4c21), 제22 수용측부(4c22) 및 제23 수용측부(4c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연장부(4b)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4c21)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연장부(4b)로부터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연장부(4b)는 수용저부(4a)와 인접한 면이 수용저부(4a)와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21 수용측부(4c21)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수용연장부(4b)를 거쳐 수용저부(4a) 쪽 즉,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21 수용측부(4c21)로 밀리는 경우,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저부(4a)와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부(4)의 바깥쪽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연장부(4b)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연장부(4b)로부터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멀어질수록 경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21 수용측부(4c21)로 다소 밀리더라도, 수용연장부(4b)와 제21 수용측부(4c21)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21 수용측부(4c21)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밀리는 경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4c22)는 수용연장부(4b)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4c22)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4c22)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연장부(4b)로부터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4c22)는 수용연장부(4b)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4c23)는 수용연장부(4b)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4c23)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3 수용측부(4c23)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수용연장부(4b)로부터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2 수용측부(4c22)는 수용연장부(4b)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30)는 수직방향의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캐비닛(3)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판(30e)에 제2 오목홈(30h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오목홈(30h2)의 내면에 힘을 가해 도어(30)를 당기며 열 수 있다. 제2 수용측부(4c2)와 수용연장부(4b)는 제2 오목홈(30h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연장부(4b)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를 개방시키는 작용력은 제2 수용측부(4c2)를 통해 도어(30)에 가해질 수 있다.
도 7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연장부(4b)는 제1 방향(X)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 수용측부(4c21)는 수용연장부(4b)의 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를 여는 작용력이 가해지는 제2 수용측부(4c2)의 면적이 제3 방향(Z)의 아래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2 수용측부(4c2)와 넓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를 여는 작용력이 접촉면에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를 열 때, 손가락 표면의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를 쉽게 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제21 수용측부(4c21)에 가해지는 작용력은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통해 제11 수용측부(4c11)에 가해지는 힘도 X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5a 및 도 7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4c2)의 경사도는 제1 수용측부(4c1)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1 수용측부(4c21)의 경사도는 제11 수용측부(4c11)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제21 수용측부(4c21)에 가해지는 작용력은 Z축 방향 성분보다 X축 방향 성분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0)를 쉽게 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을 통해 제11 수용측부(4c11)에 가해지는 힘은 X축 방향 성분보다 Z축 방향 성분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바닥면이 제11 수용측부(4c11)에 접촉한 상태에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의 전도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제1 수용측부(4c1) 및 제2 수용측부(4c2)는 수용부(4)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부(4)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의 수용측부(4c)를 갖는 일체의 오목한 부분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신발 관리기(1) 상면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1110)의 저면에 수용부(4)에 삽입 가능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삽입부(114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40)는 Z축의 아래쪽으로 수용부(4)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40)를 수용부(4)에 삽입시킴으로써, 신발 관리기(1)의 상면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적층할 수 있다.
삽입부(1140)는 안착부(1141), 삽입저부(1142) 및 삽입측면부(1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41)는 수용저부(4a)에 안착 가능한 구성으로서, 복수로 구비된다. 안착부(1141)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1141)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141)들은 삽입저부(1142)로부터 Z축의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안착부(1141)들은 다양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1141)들은 평면도상에서 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저부(1142)는 안착부(1141)에 의해 수용저부(4a)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삽입저부(1142)는 수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저부(1142)와 수용저부(4a)의 Z축 방향 간격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저부(1142)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6의 이점쇄선은 삽입저부(1142)의 가장자리를 의미할 수 있다.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저부(1142)의 길이는 수용저부(4a)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삽입저부(1142)의 길이는 수용저부(4a)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저부(1142)로부터 Z축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안착부(1141)들은 수용저부(4a)에 안착될 수 있다.
삽입측면부(1143)는 삽입저부(1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측면부(1143)는 삽입저부(1142)와 연결될 수 있다. 삽입측면부(1143)는 제1 삽입측면부(11431), 제2 삽입측면부(11432), 제3 삽입측면부(11433) 및 제4 삽입측면부(11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삽입부(114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삽입저부(1142)로부터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적어도 일부가 제11 수용측부(4c11)의 상단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제11 수용측부(4c11)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1 수용측부(4c11)로 밀리는 경우,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제11 수용측부(4c11)에 밀착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1 수용측부(4c11)로 밀리는 경우, 제1 삽입측면부(11431)와 제11 수용측부(4c11)는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삽입부(114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삽입저부(1142)로부터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멀어질수록 제3 방향(Z)의 위쪽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1 삽입측면부(11431)와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제2 방향(Y) 및 수직방향과 평행한 기준면(RP')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0에 도시된 상태에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Z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측면부(11431)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저부(4a)에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2 삽입측면부(11432)는 제11 수용측부(4c11)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1 수용측부(4c11)로 밀리는 경우, 제2 삽입측면부(11432)와 제11 수용측부(4c11)는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11433)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11433)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11433)는 삽입저부(1142)로부터 Z축 방향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삽입측면부(11433)는 적어도 일부가 제13 수용측부(4c13)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3 수용측부(4c13)로 밀리는 경우, 제3 삽입측면부(11433)는 제13 수용측부(4c13)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11434)는 삽입저부(1142)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11434)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11434)는 삽입저부(1142)로부터 Z축 방향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삽입측면부(11434)는 적어도 일부가 제12 수용측부(4c12)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수용저부(4a)에 안착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가 외력 또는 신발 관리기(1)의 기울어짐에 의해 제12 수용측부(4c12)로 밀리는 경우, 제4 삽입측면부(11434)는 제12 수용측부(4c12)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저부(4a)에 안착된 각종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또는 물품)는 수용저부(4a)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4 및 도 7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공간(1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4c2)의 적어도 일부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보다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1120)는 본체(1110)의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120)는 본체(1110)의 하부에서 본체(1110)보다 제1 방향(X) 앞쪽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시공간(1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수용측부(4c2)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체(1120)보다 제1 방향(X)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수용측부(4c2)와 이동체(1120)는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4c2)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30h2)에 삽입하여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다.
본체(1110)의 저면에 이격연장부(1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1150)는 본체(1110)의 저면에서 Z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1150)는 삽입부(1140)를 본체(1110)의 저면으로부터 Z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삽입부(1140)는 이격연장부(1150)에 의해 본체(1110)의 저면으로부터 Z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연장부(1150)와 삽입측면부(114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체(1120) 및 본체(1110)는 도어(30)의 위쪽에서 제2 수용측부(4c2)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측부(4c2)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간격)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측부(4c2)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간격)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는 방향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용측부(4c2)와 이동체(1120) 사이의 틈을 통해 손가락을 제2 오목홈(30h2)에 쉽게 삽입하여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1120) 및 본체(1110)는 도어(30)의 위쪽에서 제2 수용측부(4c2)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이동체(1120)는 삽입부(1140) 및 수용부(4)보다 위쪽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시공간(1111)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신발 관리기(1)의 상면에 적층하더라도,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는 도어(30)의 개방 및 폐쇄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 관리기(1)의 도어(30)와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의 이동체(1120)를 따로 개방시키거나,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를 신발 관리기(1)의 상면에 적층하더라도, 신발 관리기(1) 및 비져블 신발 관리기(1100)는 서로 간섭 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신발 관리기 2a : 제1 관리장치
2b : 제2 관리장치 3 : 캐비닛
4 : 수용부 4a : 수용저부
4b : 수용연장부 4c : 수용측부
4c1 : 제1 수용측부 4c11 : 제11 수용측부
4c12 : 제12 수용측부 4c13 : 제13 수용측부
4c2 : 제2 수용측부 4c21 : 제21 수용측부
4c22 : 제22 수용측부 4c23 : 제23 수용측부
10 : 제어부 20 : 외부캐비닛
21 : 외부뒷판 22 : 제1 외부측판
23 : 제2 외부측판 24 : 외부상판
30 : 도어 30a : 전면판
30b : 후면판 30c : 제1 측면판
30d : 제2 측면판 30e : 상면판
30h1 : 제1 오목홈 30h2 : 제2 오목홈
33 : 컨트롤패널 35 : 수납홈
37 : 패킹 38 : 고정유아이구간
38a, 38b : 제1 제어유아이 39 : 변동유아이구간
39a, 39b, 39c : 제2 제어유아이 40 : 메인선반
41a, 41b : 가이드리브 42 : 메인이격리브
43 : 메인차수리브 50 : 기계실
51 : 제1 벽 52 : 제2 벽
53 : 제3 벽 55 : 수용하우징
56 : 제2 배수유입홀 57 : 제2 수위제한홀
58 : 배수유입관 59 : 연결커버
60 : 급수통 61 : 제1 워터펌프
70 : 배수통 71 : 제2 워터펌프
72 : 제1 배수유입홀 73 : 제1 수위제한홀
74 : 수위제한관 75 : 수위감지센서
80 : 도어배수면 81 : 함몰부
82 : 배수리브 100, 100a, 100b : 이너캐비닛
101 : 수용공간 110 : 내부뒷판
115 : 내부상판 115a : 제1 영역
115b : 제2 영역 120 : 제1 내부측판
130 : 제2 내부측판 140 : 메인개구
150 : 하측개구 160, 170 : 슬라이딩가이드
161, 171 : 하부레일 162, 172 : 상부레일
180 : 전방프레임 181 : 고정가이드
200 : 모듈하우징 201a : 모듈개구
201 : 모듈케이스 202 : 모듈커버
203 : 흡입구 204 : 스팀유입구
210 : 모듈챔버 211 : 흡입모듈챔버
212 : 제1 모듈챔버 213 : 제2 모듈챔버
214 : 제3 모듈챔버 220 : 모듈격벽
231 : 건조공기출구 232 : 습공기출구
233 : 제1 응축수배출홀 234 : 제2 응축수배출홀
240 : 제습제출입구 241 : 제습제덮개
242 : 커버격벽 260, 270 : 슬라이더
261, 271 : 하부슬라이더 262, 272 : 상부슬라이더
310 : 송풍부 311 : 송풍하우징
312 : 송풍덕트 313 : 송풍팬
314 : 송풍모터 320 : 가열부
321 : 히터 322 : 히터플랜지
322a : 외부플랜지 322b : 내부플랜지
330 : 제습부 330a : 제습바디
331 : 제습제 332 : 제습관통홀
340 : 제습제하우징 341 : 지지대
342 : 상부걸림부 350 : 댐퍼
351 : 댐퍼모터 361 : 제1 센서
362 : 제2 센서 363 : 제3 센서
370 : 건조공기덕트 400 : 컨덴서
401 : 통기구 410 : 컨덴서하우징
420 : 응축공간 430 : 컨덴서유로
431 : 도입구간 432 : 응축구간
440 : 유로가이드벽 450 : 컨덴서입구
460 : 컨덴서출구 470 : 응축수배출구
480 : 컨덴서팬 500 : 미스트제거부
510 : 미스트하우징 511 : 미스트입구
512 : 제1 미스트출구 513 : 제2 미스트출구
520 : 미스트유로격벽 521 : 제1 경사면
522 : 제2 경사면 523 : 미스트제거돌기
530 : 미스트유로 600 : 섬프
700 : 스팀제너레이터 710 : 스팀밸브
711 : 밸브하우징 712 : 밸브입구
713 : 제1 밸브출구 714 : 제2 밸브출구
715 : 밸브디스크 715 : 밸브모터
720 : 스팀세퍼레이터 721 : 세퍼레이팅베이스
722 : 세퍼레이팅연결구 723 : 세퍼레이팅유입구
724 : 세퍼레이팅배출구 810 : 노즐덕트
811 : 상부토출구 812 : 노즐홈
813 : 노즐덕트힌지축 814 : 힌지축저항부
815 : 노즐실링부 820 : 노즐
821 : 하부토출구 822 : 노즐몸체부
823 : 노즐돌출부 824 : 보조토출구
825 : 노즐힌지축 826 : 노즐손잡이
830 : 노즐연결체 831 : 제1 연결힌지축
832 : 제2 연결힌지축 900 : 보조선반
901 : 절개부 902 : 보조이격리브
903 : 보조차수리브 904 : 손잡이홈
910 : 선반거치대 1100 : 비져블기
1110 : 본체 1111 : 전시공간
1112 : 조명 1113 : 팬
1114 : 히터 1115 : 송풍구
1116 : 환기구 1120 : 이동체
1121 : 턴테이블 1130 : 투시창
1140 : 삽입부 1141 : 안착부
1142 : 삽입저부 1143 : 삽입측면부
1150 : 이격연장부 2000 : 신발 관리 세트
11431 : 제1 삽입측면부 11432 : 제2 삽입측면부
11433 : 제3 삽입측면부 11434 : 제4 삽입측면부
DM, DM1, DM2 : 건조모듈 F10 : 연결유로
F10a : 변환유로 F10aa : 제1 유로
F10ab : 제2 유로 F10b : 건조유로
F20 : 재생유로 IP1 : 제1 가상면
IP2 : 제2 가상면 M1 : 제1 자성체
M2 : 제2 자성체 RP : 기준면
RP' : 전후기준면 X : 제1 방향
Y : 제2 방향 Z : 제3 방향

Claims (15)

  1. 신발을 처리하도록 공기가 강제 순환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신발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개구하는 메인개구를 갖는 캐비닛; 및
    상기 메인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과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물품이 안착 가능한 수용저부;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상기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수용연장부; 및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저부보다 높은 수용측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측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저부와 연결된 제1 수용측부;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연장부와 연결된 제2 수용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작용력은 상기 제2 수용측부를 통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신발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력이 가해지는 상기 제2 수용측부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수용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신발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용측부의 경사도는 상기 제1 수용측부의 경사도보다 큰,
    신발 관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측부 및 상기 제2 수용측부는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신발 관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수직방향과 평행한 기준면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형성하는,
    신발 관리기.
  7. 신발을 처리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강제 순환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적층 가능하고, 상기 신발을 전시하도록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하는 비져블 신발 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관리기의 상면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져블 신발 관리기의 저면에,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삽입부가 형성되는,
    신발 관리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수용공간을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개구하는 메인개구를 갖는 캐비닛; 및
    상기 메인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과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안착 가능한 수용저부;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저부와 인접한 면이 상기 수용저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수용연장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저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저부보다 높은 수용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측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저부와 연결된 제1 수용측부;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연장부와 연결된 제2 수용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작용력은 상기 제2 수용측부를 통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신발 관리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력이 가해지는 상기 제2 수용측부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수용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신발 관리 세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용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비져블 신발 관리기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신발 관리 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져블 신발 관리기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전시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전시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본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수용부보다 위쪽에서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전시공간을 개폐하는,
    신발 관리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의 위쪽에서 상기 제2 수용측부로부터 이격되는,
    신발 관리 세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저부에 안착 가능한 복수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의해 상기 수용저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는 삽입저부; 및
    상기 삽입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측부의 상단보다 낮은 삽입측면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KR1020210181898A 2021-12-17 2021-12-17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KR20230092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98A KR20230092478A (ko) 2021-12-17 2021-12-17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PCT/KR2022/019472 WO2023113320A1 (ko) 2021-12-17 2022-12-02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98A KR20230092478A (ko) 2021-12-17 2021-12-17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78A true KR20230092478A (ko) 2023-06-26

Family

ID=8677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898A KR20230092478A (ko) 2021-12-17 2021-12-17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2478A (ko)
WO (1) WO20231133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88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0629B1 (ko) * 2018-06-26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211862183U (zh) * 2020-01-08 2020-11-06 深圳市博瑞斯特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型烘干鞋柜
KR102493057B1 (ko) * 2020-03-05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CN214963588U (zh) * 2021-03-30 2021-12-03 南京林业大学 一种为运动爱好者设计的多功能模块化组合鞋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320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2724A (ko) 신발 관리기
KR102671608B1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478A (ko)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세트
KR20230092530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541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493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529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543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410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542A (ko) 신발 관리기
KR102637625B1 (ko) 신발 관리기
KR102664497B1 (ko) 신발 관리기
KR102609894B1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6638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6571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398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397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991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405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550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551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403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595A (ko) 신발 관리기
US20240148231A1 (en) Shoes care device
KR102603566B1 (ko) 신발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