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22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22B1
KR100947222B1 KR1020020083392A KR20020083392A KR100947222B1 KR 100947222 B1 KR100947222 B1 KR 100947222B1 KR 1020020083392 A KR1020020083392 A KR 1020020083392A KR 20020083392 A KR20020083392 A KR 20020083392A KR 100947222 B1 KR100947222 B1 KR 10094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t air
clothes dryer
air dischar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810A (ko
Inventor
안병환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 채집을 위한 필터체의 편리한 착탈과 더불어 상기 필터체의 이물질 채집량에 대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채집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으로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 드럼과; 상기 본체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건조 드럼의 내부 공간과 연통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는 열풍배출유로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열풍 유동 경로상에 임의의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부에는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일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 및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타단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구공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장착부 내의 제1연통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공기의 통과가 가능한 집진봉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의류 건조기, 필터 수납

Description

의류 건조기{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도 1 은 일반적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집진봉투가 장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봉투의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투입구
112. 개구공 113. 덮개부
120. 건조 드럼 130. 림부
140. 도어 150. 모터
160. 히터 170. 송풍팬
181. 열풍유입유로 182. 열풍배출유로
190. 집진봉투 191. 유입구
200. 장착부 201. 제1연통공
202. 제2연통공 210. 결합관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채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세탁 완료된 젖은 상태의 의류를 건조시키는 기기로서, 근래에 들어 그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도시한 도 1은 전술한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기존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의류 건조기는 크게 본체(10)와, 건조 드럼(20)과, 도어(40)와, 모터(50)와, 히터(60)와, 송풍팬(70)과, 열풍유입유로(81)와, 열풍배출유로(82) 그리고, 필터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체(10)는 전면으로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에는 림부(30)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건조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 인접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모터(50)는 양축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에 고정되어 건조 드럼(20) 및 송풍팬(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건조 드럼(20)과 상기 모터는 벨트(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60)는 열풍유입유로(8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유입유로(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 때, 상기 열풍유입유로(81)는 외부 공기를 건조 드럼(20) 내측으로 유입시켜 본체(1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배출유로(82)는 그 일단이 림부(30)를 통해 건조 드럼(20) 내부와 연통되고, 그 타단은 송풍팬(70)과 연통된다.
이 때, 상기 열풍배출유로(82)의 열풍 유입측에는 필터체(90)가 장착되어 상기 열풍배출유로(8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채집한다.
상기한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40)를 열고 건조 드럼(20) 내측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40)를 닫아 투입구(11)를 폐쇄한다.
이후, 건조 행정을 선택하면 히터의 발열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5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건조 드럼(20)이 회전됨과 더불어 송풍팬(70)이 구동된다.
따라서, 열풍유입유로(81)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측으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히터(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화되어 건조 드럼(20)의 내측으로 강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20)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은 송풍팬(70)의 송풍력에 의해 건조 드럼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젖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계속해서 열풍배출유로(8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배출유로(82)의 열풍 유입측에 장착된 필터체(90)를 통과하면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반복 수행에 의해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도어를 개방시켜 건조 드럼(20) 내측에 있는 건조 대상물을 배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각종 이물질이 채집되는 필터체는 림부를 관통하는 열풍배출유로의 열풍 유입측에 요입 장착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필터체를 탈거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
둘째,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전에는 상기 필터체의 포화 여부를 파악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체의 포화 여부를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유로의 막힘 등에 의한 송풍팬의 부하가 증가되었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고온 저습한 분위기에서 정전기의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넷째, 필터체의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의 비산이 발생되어 실외나 이물질이 비산되어도 상관 없는 장소 등에서 상기 필터체의 청소를 수행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물질 채집량에 대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채집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전면으로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 드럼과; 상기 본체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건조 드럼의 내부 공간과 연통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는 열풍배출유로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열풍 유동 경로상에 임의의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부에는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일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 및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타단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구공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장착부 내의 제1연통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공기의 통과가 가능한 집진봉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크게 본체(110)와, 건조 드럼(120)과, 열풍배출유로(182)와, 장착부(200) 그리고, 집진봉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의류 건조기는 림부(130)와, 도어(140)와, 모터(150)와, 히터(160)와, 송풍팬(170) 그리고, 열풍유입유로(181)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본체(110)는 전면으로 투입구(111)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개구공(11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개구공(112)은 상기 투입구(111)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투입구(11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유입측(182a)이 림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건조 드럼(1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열풍 배출측(182b)은 상기 본체(110)의 하측 후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 외부와 연통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배출측(182b)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본체(110)의 상측 후방 혹은, 어느 한 측면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00)는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유동 경로상에 임의의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110)의 개구공(1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부(200)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는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일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201) 및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타단으 로 상기 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연통공(202)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연통공(201)과 연통되는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일단은 열풍 유입측(182a)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통공(202)과 연통되는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타단은 열풍 배출측(182b)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봉투(190)는 상기 본체(110)의 개구공(112)을 통해 상기한 장착부(200) 내의 공간상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봉투(190)는 열풍배출유로(182)의 일단을 유동하면서 상기 장착부(200)의 공간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집진봉투(190)를 통과한 후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타단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한 집진봉투(190)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의 통과는 불가능하지만 공기의 통과는 가능한 종이 재질의 봉투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집진봉투(190)에는 유입구(19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91)는 상기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상에 형성된 제1연통공(201)과 연통된다.
이 때, 상기 제1연통공(201)이 형성된 부위에는 결합관(210)이 상기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집진봉투(190)의 유입구(191) 내부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집진봉투(190)의 유입구(191)가 상기 제1연통공(201)으로부터 어긋남이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집진봉투(190)의 유동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제1연통공(201)에 상기 집진봉투(190)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결합관(210)을 이용하여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개구공(112)에는 상기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부(113)가 구비되며, 이 때의 덮개부(113)는 그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도어(140)를 열고 건조 드럼(120) 내측에 건조 대상물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140)를 닫아 투입구(111)를 폐쇄하고, 계속해서 건조 행정을 선택하면 히터(160)의 발열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150)의 구동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건조 드럼(120)이 회전됨과 더불어 송풍팬(170)이 구동된다.
따라서, 열풍유입유로(181)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10) 내측으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히터(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화되어 건조 드럼(120)의 내측으로 강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120)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은 송풍팬(170)의 송풍력에 의해 건조 드럼(120)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젖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이후, 상기 열풍은 림부(130)에 관통 형성된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유입측(182a)을 통해 상기 열풍배출유로(182) 내부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안내를 받아 본체(110)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본체(110)의 하측 후방으로 연결된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배출 측(182b)을 통해 상기 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그 유동 과정에서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이 유동하는 경로상에 형성된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장착부(200) 내부에 집진봉투(19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풍배출유로(182)를 유동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열풍은 제1연통공(201)을 통해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연통공(201)과 연통된 집진봉투(190)의 유입구(191)를 통과하여 상기 집진봉투(19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열풍은 상기 집진봉투(19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은 걸러져 상기 집진봉투(190) 내부에 잔존하게 되고, 상기 열풍만이 상기 집진봉투(190)를 통과하여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한다.
계속해서 상기 장착부(2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열풍은 제2연통공(202)을 통해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타단 즉, 열풍 배출측(182b)이 위치된 부위로 유동하게 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건조 드럼(120) 내부의 각종 건조 대상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다면 도어(140)를 개방시켜 건조 드럼(120) 내측에 있는 건조 대상물을 배출하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본체(110)에 형성된 개구공(112)을 차단하는 덮개부(113)를 통해 집진봉투(190)의 부풀어오른 정도를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집진봉투(190)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만일, 상기 부풀어오른 정도의 관측을 통해 집진봉투(190)를 교체하고자 한다면 단순히 상기 덮개부(113)를 개방한 다음 상기 집진봉투(190)를 장착부(200)로부터 인출하고, 새로운 집진봉투를 상기 장착부(200) 내에 장착한 후 상기 덮개(113)를 닫으면 된다.
이 때, 상기 집진봉투(190)의 장착은 상기 장착부(200) 내의 결합관(210)을 상기 집진봉투(190)의 유입구(191)에 삽입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착부(200) 형성 위치 및 집진봉투(190)의 수납 방향은 본체(110)의 전방측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한 도 6은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배출측(182b)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본체(110)의 상측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200)를 상기 열풍 배출측(182b)이 형성된 부위인 상기 본체(110)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200)의 직상방인 본체(110)의 상면에는 개구공(112)을 형성하고, 집진봉투(190)는 상기 본체(110)의 개구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200)에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열풍배출유로(182)의 열풍 배출측(182b)이 본체(110) 외부와 연통됨을 고려한다면 상기 본체(110)의 후면인 상기 열풍 배출측(182b)에 개구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장착부(200)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200) 내에 집진봉투(190)가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작 과정은 단지 장착부(200)와 집진봉투(190)의 구비 위치만 틀릴 뿐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채집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의 포집량을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채집된 이물질의 배출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이 흩날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 채집 구조를 집진봉투로 구성함으로써 잦은 청소가 필요없이 적정 시기가 되었을 경우 새로운 집진봉투로 교체해주면 되기 때문에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면으로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 드럼과;
    상기 본체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건조 드럼의 내부 공간과 연통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는 열풍배출유로와;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열풍 유동 경로상에 임의의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부에는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일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연통공 및 상기 열풍배출유로의 타단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구공을 통해 상기 장착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장착부 내의 제1연통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공기의 통과가 가능한 집진봉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공에는 상기 장착부의 내부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그 내부의 관측이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본체 전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본체의 전면 중 투입구의 일측 하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부 공간상에 형성된 제1연통공에는 결합관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020083392A 2002-12-24 2002-12-24 의류 건조기 KR10094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392A KR100947222B1 (ko) 2002-12-24 2002-12-24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392A KR100947222B1 (ko) 2002-12-24 2002-12-24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810A KR20040056810A (ko) 2004-07-01
KR100947222B1 true KR100947222B1 (ko) 2010-03-11

Family

ID=3734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392A KR100947222B1 (ko) 2002-12-24 2002-12-24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30B1 (ko) * 2006-03-03 2013-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894A (ja) * 1993-01-13 1994-07-26 Tokyo Gas Co Ltd 衣類乾燥機におけるリント除去装置
JPH07694A (ja) * 1993-04-23 1995-01-06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02200395A (ja) * 2002-01-08 2002-07-16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894A (ja) * 1993-01-13 1994-07-26 Tokyo Gas Co Ltd 衣類乾燥機におけるリント除去装置
JPH07694A (ja) * 1993-04-23 1995-01-06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02200395A (ja) * 2002-01-08 2002-07-16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810A (ko)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20060031164A (ko) 건조 세탁기
KR100664507B1 (ko) 의류건조기
US920701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60040352A (ko) 린트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세탁기
CA2531591C (en) Clothes dryer with improved air flow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JP2011224228A (ja)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JPH07694A (ja) 衣類乾燥機
KR100640758B1 (ko) 필터가 구비된 드럼세탁기의 리프터
KR100575674B1 (ko) 흡입공기 여과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0947222B1 (ko) 의류 건조기
KR100446764B1 (ko) 의류 건조기의 필터 장착구조
AU2017202723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omprising a removable de-fluff filter
KR100947223B1 (ko) 의류 건조기
KR100734683B1 (ko) 의류 건조 장치
KR20040056807A (ko) 의류 건조기
KR100662763B1 (ko)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JP449414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62764B1 (ko)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JPS6070Y2 (ja) 乾燥機
CN218508055U (zh) 洗烘一体机
KR20040056812A (ko) 의류 건조기
KR100659658B1 (ko) 건조기의 필터장착구조
KR101265610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