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478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478A
KR20040090478A KR1020040025702A KR20040025702A KR20040090478A KR 20040090478 A KR20040090478 A KR 20040090478A KR 1020040025702 A KR1020040025702 A KR 1020040025702A KR 20040025702 A KR20040025702 A KR 20040025702A KR 20040090478 A KR20040090478 A KR 2004009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nder
code
switch
actua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498B1 (ko
Inventor
하세가와히로야스
오오타키기요가즈
후나야마도모유키
이와모토고지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9060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9047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9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재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저감 할 수가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설치된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보안 시스템 및 스위치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차량 도난방지 등의 이유로부터, 종래의 메카니컬 키를 대신하여, ID 코드를 포함한 ID 코드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는 차량의 소유자(운전자)에 의해 휴대된다. 이 휴대기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ID 코드 신호에 의해, 차량의 엔진을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스마트이그니션(smart ignition)" 기능이 제안되어 있다. 일례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2-188505 호에는 스마트 이그니션 기능을 갖춘 차량용의 엔진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스마트 이그니션 기능을 갖춘 차량에서는, 예를 들면, 푸시버튼 식의 점화 스위치와 휴대기가 삽입되는 휴대기 슬롯이,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시, 소유자는, 예를 들어 의복의 주머니 등에 휴대기를 넣은 채로, 휴대기로부터 자동 송신되는 ID 코드 신호에 의해 차량과의 상호통신을 행하고 있다. 이 때, 휴대기로부터 송신되는 ID 코드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와 차량에 미리 설정된 ID 코드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서 차량의 엔진을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소유자가 이 상태로 점화 스위치를 가압하면, 스타터 모터가 구동되어 차량의 엔진이 시동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 전지의 전압저하 등에 의해, 휴대기로부터 ID 코드 신호가 자동 송신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소유자는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해서 휴대기 슬롯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유자가 휴대기 슬롯에 휴대기를 삽입하면, 휴대기 내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는 휴대기 슬롯으로부터 송신되는 구동 전파를 수신한다. 트랜스폰더는 그 후 트랜스폰더용의 ID 코드(트랜스폰더 코드)를 포함한 트랜스폰더 신호를 차량에 송신한다. 차량은 차량의 ID 코드와 트랜스폰더 코드를 비교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휴대기 슬롯은 평상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기의 배터리가 고갈되었을 때와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되는것이다. 그럼에도, 휴대기 슬롯은, 휴대기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기구를 갖추기 위해, 차량 측에 어느 정도의 탑재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 차량 시스템의 컴퓨터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보다 많은 기능을 구비해 가고 있다. 이것은 탑재되는 전기 전자 부품의 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한정된 공간 내에 휴대기 슬롯의 탑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고 있었다. 게다가, 휴대기 슬롯은, 휴대기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기구나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하는 코일 안테나 등 다수의 부품으로부터 구성되고 있다. 이것은 스마트 이그니션 기능을 갖춘 장치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의 탑재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차량 실내로부터 본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위치 장치의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코일 안테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표면을 갖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코일 안테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일 안테나는 조작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표면을 갖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조작표면을 둘러싸는 링을 가지는 스위치 홀더는 조작 스위치를 보관 유지한다. 코일 안테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일 안테나는 링 내에서 조작 스위치의 조작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사용을 위한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휴대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를 가진다.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사용을 위한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안 시스템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요구 신호 출력 유닛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기는 제1 ID 코드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트랜스폰더를 포함한다.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제1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제2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제1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휴대기는 요구 신호 출력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제3 ID 코드를 포함하는 ID 코드 신호를 송신한다. 제1 판정 유닛은 휴대기로부터 송신된 ID 코드 신호 내에 포함된 제3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제4 ID 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 제어 유닛은 제1 판정 유닛이 제3 ID 코드와 제4 ID 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 제2 판정 유닛은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 내에 포함된 제1 ID 코드가 제2 ID 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2 제어 유닛은 제2 판정 유닛이 제1 ID 코드와 제2 ID 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 코일 안테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도록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액추에이터는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ID 코드와 일치하면 구동 가능하게 된다. 트랜스폰더는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수신한다.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 방법은, 조작 스위치의 근방에 휴대기가 유지되는 동안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유사한 부재번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35) 및 보안 시스템(1)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시스템(1)은, 차량(2)에 탑재된 차량 컨트롤러(10)와, 차량(2)과는 별개인 휴대기(20)를 포함한다. 이 휴대기(20)는 차량(2)의 소유자(운전자)에게 소지되는 것이다. 차량 컨트롤러(10)는 요구 신호 및 트랜스폰더(transponder) 구동 전파를 송신한다. 휴대기(20)는 ID 코드 신호 및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한다.
차량 컨트롤러(10)는, 차량 송신회로(13), 차량 수신회로(14),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를 포함한다. 차량 송신회로(13), 차량 수신회로(14), 및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 각각은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 송신회로(13)에는 송신 안테나(13a)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에는, 송수신 안테나로서의 코일 안테나(17)가 접속되어 있다. 차량 수신회로(14)에는, 휴대기(20)로부터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4a)가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요구신호 출력 유닛, 제1 판정 유닛, 제2 판정 유닛, 제1 제어 유닛, 및 제2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요구 신호 출력 유닛으로서의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차량 송신 회로(13)를 이용하여 휴대기(20)에 요구 신호를 제공한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소유자의 차량(2)에 대하여 고유의 ID 코드(각 차량에 따라서 상이한 ID 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도시 생략)를 가진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요구신호를 차량 송신회로(13)에 간헐적으로 출력한다. 차량 송신 회로(13)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로부터 송신되는 요구 신호를 소정 주파수의 전파로 변환해, 송신 안테나(13a)를 통하여 차량(2)에 송신한다. 또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트랜스폰더 구동신호를 스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에 제공한다.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로부터 송신되는 전자 트랜스폰더 구동 신호를 소정 주파수의 전파로 변환해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생성한다.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는 코일 안테나(17)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소정 영역에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한다.
차량 수신회로(14)는 수신 안테나(14a)를 통하여 휴대기(20)로부터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한다. 차량 수신회로(14)는 휴대기(20)로부터 수신되는 ID 코드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복조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한다. 차량 수신회로(14)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에 수신신호를 송신한다.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는 코일 안테나(17)를 통하여 휴대기(20)로부터의 송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트랜스폰더 신호 송수신 회로(15)는 휴대기(20)로부터 수신된 트랜스폰더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복조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하고 그 수신신호를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에 제공한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 측에는, 차량 실내에 설치된 점화 스위치(30)(조작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의 출력 측에는, 엔진 스타터(18)(액추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엔진 스타터(18)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로부터 시동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엔진(작동 장치)을 자동적으로 시동시키는 장치이다.
제1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ID 코드와 휴대기(20)로부터 수신된 ID 코드 신호(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를 비교하여 이들 2개의 ID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개의 ID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제1 제어 유닛으로서기능하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제공되는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의 조작을 유효화한다. 여기서, "점화 스위치(30)의 조작을 유효화한다"는 것은, 점화 스위치(30)의 푸시버튼(36)이 가압될 때, 정지중인 차량(2)의 엔진 구동, 혹은 구동중인 엔진의 정지가 가능해지는 것을 말한다.
2개의 ID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가 입력되어도,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의 조작을 무효화한다. 여기서, "점화 스위치(30)의 조작을 무효화한다"는 것은, 점화 스위치(30)의 푸시버튼(36)이 가압되어도, 정지중인 차량(2)의 엔진 구동, 혹은 구동중인 엔진의 정지를 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제2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트랜스폰더용의 ID 코드(이하, 단지 트랜스폰더 코드라고 한다)와, 트랜스폰더(25)로부터 송신되는 트랜스폰더 신호에 포함되는 트랜스폰더 코드를 비교하여 그들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제2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에 의한 조작을 유효화한다.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가 입력되어도,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912)는 점화 스위치(30)의 조작을 무효화한다.
휴대기(20)는 휴대기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는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로부터 송신되는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그 요구 신호가 소유자의 차량(2)에 의해 송신되어졌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요구신호가 소유자의 차량(2)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것으로 식별했을 경우에만,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는 차량 컨트롤러(10)에 ID 코드 신호를 송신한다. ID 코드 신호에는, 소유자의 차량(2)과 그 이외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ID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 ID 코드는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휴대기(20)는 휴대기 송신 회로(23) 및 휴대기 수신 회로(24)를 포함하며, 그것들 각각은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에 접속되어 있다. 휴대기 송신 회로(23)에는 ID 코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23a)가 접속되어 있다. 휴대기 수신 회로(24)에는 차량(2)으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24a)가 접속되어 있다.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는 휴대기 송신 회로(23)에 ID 코드 신호를 제공한다. 휴대기 송신 회로(23)는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는 전자 ID 코드 신호를 소정 주파수의 전파로 변환하여, 송신 안테나(23a)를 통하여 이 전파를 송신한다. 휴대기 수신 회로(24)는 차량(2)으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펄스 신호에 복조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하고, 그 수신 신호를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에 제공한다.
휴대기(20)는 트랜스폰더(25)를 포함한다. 트랜스폰더(25)는, 휴대기 마이크로컴퓨터(22)의 전원으로서 기능하는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경우의 비상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트랜스폰더(25)는 차량 컨트롤러(10)에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한다. 트랜스폰더 신호는 소유자의 차량(2)과 그 이외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트랜스폰더 코드를 포함한다. 소정의 조건 하에서, 차량 컨트롤러(10)는 전자계로서의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발생시킨다. 전자계가 발생되어 있는 통신 영역 내에 트랜스폰더(25)가 위치되면, 트랜스폰더(25)에 설치된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랜스폰더(25)는 코일의 기전력을 이용하여 트랜스폰더 코드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전방에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이 인스트루먼트 패널(3)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점화 스위치(30)는 푸시 버튼(36)을 가압함으로써 교대로 온오프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38)는 푸시버튼(36)의 표면(조작면) 상에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35)는 점화 스위치(30), 베즐(33; bezel), 및 스위치 홀더(34)를 포함한다.
점화 스위치(30)는 푸시 버튼(36), 연장부재(37), 및 스위치(도시 생략)를포함한다. 연장부재(37)는 푸시 버튼(36)과 스위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푸시 버튼(36)이 가압되면, 연장부재(37)는 푸시 버튼(36)과 함께 이동되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점화 스위치(30)는 대략 원통형인 베즐(33)의 내측에 배열되어 있다. 베즐(33)은 수지로 만들어진다. 베즐(33)의 표면은 장식 도금이 행해져 있다. 더욱이, 베즐(33)은 외측으로 절곡된 외주부(33a)를 가진다.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은 베즐(33)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푸시 버튼(36)이 베즐(33)의 외주부(33a)에 의해 둘러싸이게 한다. 베즐(33)의 외주부(33a)는 스위치 홀더(34)의 외주면(34a)에 걸어맞춰진다. 스위치 장치(35)는 베즐(33)의 외주부(33a) 및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이 인스트루먼트 패널(3)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스위치 홀더 34는 베즐(33) 및 점화 스위치(30)를 유지시킨다. 스위치 홀더(34)는 베즐(33)이 끼워맞춰지는 환형 링(40)을 가진다. 환형 코일 안테나(17)는 링(40)의 내측에 배열된다. 코일 안테나(17)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의 외부 림(rim)을 따라 배치된다. 코일 안테나(17)는, 코일 안테나의 축선 C2 및 점화 스위치(30)의 축선 C1이 대략 동일한 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안테나(17)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 부근에 형성되는 통신 가능 영역에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한다. 휴대기(20)의 트랜스폰더(25)가 통신 가능 영역에 배치되면,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는 트랜스폰더(25) 내의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기판 하우징(41)은 축선 C1을 따라서 링(40)의 일단으로부터 뻗어있으며 점화 스위치(30)에 인접되어 있다. 회로기판(42)은 기판 하우징(41) 내에 배치된다. 회로기판(42)은, 예를 들어 점등회로 및 복조회로 등을 가진다. 점등회로는 디스플레이부(38)의 LED의 점등을 제어한다. 복조회로는 휴대기(20)의 트랜스폰더(25)로부터 송신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 증폭 및 복조한다.
일례로서, 푸시 버튼(36)이 처음으로 가압되면, 악세사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푸시 버튼(36)이 두 번째로 가압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푸시 버튼(36)이 세 번째로 가압되면, 엔진이 정지된다. 디스플레이부(38)의 LED는, 예컨대 "ACC(악세사리)"나 "ON(이그니션 온)" 등 차량(2)의 전기 계통의 기능 포지션이 교체되면 점등된다. 이것은 소유자가 기능 포지션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기능 포지션이 "ACC"나 "ON" 이면, LED가 점등된다. 기능 포지션이 "OFF"(엔진 정지) 이면, LED는 점등되지 않는다.
커넥터(46)는 기판 하우징(41)의 일단으로부터 뻗어있다. 커넥터(46)를 통하여, 스위치 장치(35)는 LED에 대한 점등신호나 복조된 트랜스폰더 신호와 같은 신호를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에 제공한다. 스위치 홀더(34)의 링(40) 및 기판 하우징(41)은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 휴대기(20)를 소지하는 소유자가 차량(2) 내부의 소정 영역 내로 들어오면, 차량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되는 요구 신호에 응답해 휴대기(20)로부터 ID 코드 신호가 자동 송신된다. 차량(2)의 차량 컨트롤러(10)는 휴대기(20)로부터 송신된 ID 코드 신호를 수신한다. 그 다음,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2개의 ID 코드를 비교한다. 그 비교의 결과에 근거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개의 ID 코드끼리가 일치하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에 의한 조작을 유효화시킨다. 이 경우,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를 제공한다. 이 시동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스타터(18)는 정지된 차량(2)의 엔진을 시동시킨다. 혹은, 점화 스위치(30)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엔진 스타터(18)에 정지 신호를 제공한다. 이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스타터(18)는 구동중인 차량(2)의 엔진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휴대기(20)의 전지가 고갈되면 휴대기(20)로부터 ID 코드 신호가 자동 송신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유자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에 대하여 휴대기(20)를 맞닿게 하고 휴대기(20)로 푸시 버튼(36)을 가압한다. 이 때, 휴대기(20)의 트랜스폰더(25)는 코일 안테나(17)로부터 출력된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의 통신 영역 내에 배치된다.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는 트랜스폰더(25) 내의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 다음 휴대기(20)는 코일로부터의 기전력을 이용하여 트랜스폰더 코드를 포함한 트랜스폰더 신호를 차량 컨트롤러(10)에 제공한다.
휴대기(20)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가 차량 컨트롤러(10)에 입력되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를 비교한다. 이 비교의 결과에 근거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엔진 스타터(18)에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하면, 차량 마이크로컴퓨터(12)는 점화 스위치(30)에 의한 조작을 유효화하여 정지중인 차량(2)의 엔진을 구동, 혹은 구동중인 차량(2)의 엔진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보안 시스템(1) 또는 스위치 장치(35)는 이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은 코일 안테나(17)의 내부 림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안테나(17)의 내부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는 점화 스위치(30)를 효율 좋게 배치할 수가 있게 하여 점화 스위치(30) 및 코일 안테나(17)가 점유하는 공간을 절감시킨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35)는 차량(2) 내의 탑재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인스트루먼트 패널(3) 상에 설치된 스위치 장치(35)의 외관이 개선된다. 소유자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에 대하여 휴대기(20)를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휴대기(2O)에 설치된 트랜스폰더(25)에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휴대기(20)와 차량 컨트롤러(10)는 트랜스폰더 신호에 의한 상호통신이 가능해지고, 점화 스위치(30)에 의한 조작을 유효화 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휴대기(20)를 보관 유지하는 슬롯과 같은 보관 유지 기구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35)의 부품점수를 큰 폭으로 줄일 수가 있고, 스위치 장치(35)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2) 스위치 장치(35)는, 점화 스위치(30), 베즐(33), 및 스위치 홀더(34)가 함께 조립된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스위치 장치(35)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35)의 탑재 공간을 보다 한층 작게 할 수가 있다.
(3) 소유자는 단순히 휴대기(20)를 푸시 버튼(36)에 대하여 맞닿게 하고 휴대기(20)로 푸시 버튼(36)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정지중인 차량(2)의 엔진을 구동, 혹은 구동중인 엔진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소유자는, 트랜스폰더 신호에 의한 휴대기(20)와 차량 컨트롤러(10) 사이의 상호통신 및 푸시 버튼(36)을 가압하는 2개의 조작을 대략 동시에 동일한 위치에서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소유자는 차량(2)의 엔진을 손쉽게 구동 혹은 정지시킬 수가 있다.
(4) 회로 기판(42)은 스위치 홀더(34)의 기판 하우징(41) 내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42)에는, 디스플레이부(38)에 있어서의 LED의 점등제어를 행하기 위한 점등 회로, 및 트랜스폰더(25)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복조하는 복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점등 회로 및 복조 회로를 동일한 회로기판(42) 상에 형성한다. 2개의 회로를 2개의 다른 기판에 형성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단일의 회로기판(42)의 수용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스위치 장치(35)를 한층 더 소형화시킨다.
(5) 장식 도금이 행해진 베즐(33)의 외주부(33a)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의 외부 림으로부터 노출된다. 베즐(33)의 외주부(33a)로 인하여, 점화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은 눈에 띄게 된다. 이것은, 소유자가 차량(2)의 엔진을 구동, 혹은 정지시킬 때,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혹은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하는 코일 안테나(17)는 스위치 홀더(34)의 링(40)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으로서, 스위치 홀더(34)의 링(40)의 내부표면에 코일 안테나(17)에 상응하는 환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내에 코일 안테나(17)를 배치시켜도 좋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베즐(33)의 외주부(33a)에 코일 안테나 하우징을 마련하고, 이 코일 안테나 하우징 내에 코일 안테나(17)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즐(33) 표면의 장식 도금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화 스위치(30)에 코일 안테나 하우징을 마련하고, 이 코일 안테나 하우징 내에 코일 안테나(17)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푸시 버튼식 점화 스위치(30) 대신에 터치식 점화 스위치(3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35)는, 점화 스위치(30), 베즐(33), 및 스위치 홀더(34)를 포함한다. 그 밖의 구성으로서, 스위치 장치(35)는 베즐(33)을 포함하지 않고, 점화 스위치(30) 및 스위치 홀더(34)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42) 및 커넥터(46)는 점화 스위치(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 하우징(41)을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 장치(55)를 한층 더 소형화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2)의 소유자는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에 대하여 휴대기(20)를 맞닿게 하고 휴대기(20)로 푸시 버튼(36)을 가압하고 있었다. 그 밖의 방법으로서, 소유자가 푸시 버튼(36) 부근에 휴대기(20)를 유지시키면서 손가락으로 푸시 버튼(36)을 가압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2)의 소유자는, 휴대기(20)가 ID 코드 신호를 자동 송신하지 못할 때(휴대기(20)의 배터리가 고갈되었을 때), 점화 스위치(30)의 푸시 버튼(36)에 휴대기(20)를 맞닿게 하고 휴대기(20)로 푸시 버튼(36)을 가압한다. 소유자는 휴대기(20)가 ID 코드 신호를 자동 송신할 때(휴대기(20)의 배터리가 고갈되지 않았을 때) 이러한 스위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할 때에만 차량(2) 엔진을 구동 혹은 정지시키고 있었다. 그 밖의 구성으로서, 2개의 트랜스폰더 코드끼리가 일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점화 스위치(30)를 조작하면 구동중인 차량(2)의 엔진이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안 시스템(1)은, ID 코드 신호에 근거해 차량(2)의 엔진을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스마트 이그니션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고, 조작 스위치는 점화 스위치(30)에 상응한다. 그 밖의 구성으로서, 보안 시스템(1)은, ID 코드 신호에 근거해 차량(2)의 문을 자동적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고, 조작 스위치는 도어 스위치에 상응할 수있다. 더욱이 보안 시스템(1)은 임의의 차량 내부의 전기부품을 구동시키는 작동 시스템이나, 차량(2) 이외의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시스템(1)은 주택의 문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 락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8)는 상이한 색을 가지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어, 상이한 색을 가지는 LED가 전기 시스템의 각 기능 포지션에 따라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색 LED는 기능 포지션이 "ACC" 일 때 점등되게 할 수 있고, 적색 LED는 기능 포지션이 "ON" 일 때 점등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실시형태들은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등가물 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의 탑재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이 스위치 장치는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일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를 보관 유지하는 스위치 홀더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코일 안테나는 스위치 홀더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는 액추에이터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트랜스폰더는 ID 코드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홀더 내에 배치되는 단일의 회로 기판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점등 회로 및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를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 회로를 포함하는 단일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는 액추에이터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트랜스폰더는 ID 코드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스위치 장치는,
    조작 스위치 내에 배치되는 단일의 회로 기판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점등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등 회로 및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를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복조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 회로를 포함하는 단일의 회로 기판과;
    조작 스위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점등 신호 및 복조 신호는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이 스위치 장치는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표면을 갖춘 조작 스위치;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조작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일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조작자에 의한 사용 및 액추에이터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이 스위치 장치는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차량 컨트롤러의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스위치 장치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표면을 갖춘 조작 스위치;
    조작표면을 둘러싸는 링을 가지는, 조작 스위치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스위치 홀더;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링 내에서 조작 스위치의 조작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일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조작자에 의한 사용을 위한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서, 이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휴대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일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조작자에 의한 사용을 위한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요구 신호 출력 유닛;
    제1 ID 코드를 포함하는 트랜스폰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휴대기로서,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제1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제2 ID 코드와 일치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보안 시스템은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여 트랜스폰더가 제1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휴대기는 요구 신호 출력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제3 ID 코드를 포함하는 ID 코드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기;
    휴대기로부터 송신된 ID 코드 신호 내에 포함된 제3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제4 ID 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유닛;
    제1 판정 유닛이 제3 ID 코드와 제4 ID 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제1 제어 유닛;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트랜스폰더 신호 내에 포함된 제1 ID 코드가 제2 ID 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유닛;
    제2 판정 유닛이 제1 ID 코드와 제2 ID 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제2 제어 유닛; 및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일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도록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휴대기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송신된 ID 코드가 사전에 정해진 ID 코드와 일치하면 구동 가능하게 되고, 트랜스폰더는 ID 코드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수신하고, 트랜스폰더 구동 전파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는 조작 스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방법은,
    조작 스위치의 근방에 휴대기가 유지되는 동안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는 가압되는 조작표면을 가지며, 상기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는 조작 스위치의 조작표면에 대하여 휴대기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휴대기로 조작 스위치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40025702A 2003-04-16 2004-04-14 스위치 장치 KR100966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1938A JP4705317B2 (ja) 2003-04-16 2003-04-16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JP-P-2003-00111938 2003-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478A true KR20040090478A (ko) 2004-10-25
KR100966498B1 KR100966498B1 (ko) 2010-06-29

Family

ID=3290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5702A KR100966498B1 (ko) 2003-04-16 2004-04-14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7266B2 (ko)
EP (1) EP1469428B2 (ko)
JP (1) JP4705317B2 (ko)
KR (1) KR100966498B1 (ko)
CN (1) CN100469625C (ko)
DE (1) DE602004030741D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94B1 (ko) * 2007-07-10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시동 시스템의 버튼 구조
KR200448170Y1 (ko) * 2008-06-19 2010-03-18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KR100966733B1 (ko) * 2008-04-30 2010-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WO2011052916A2 (ko) * 2009-10-28 2011-05-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493B2 (ja) * 2003-11-04 2008-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idコード管理装置
DE102004019919B3 (de) * 2004-04-21 2006-02-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und ein dazu zu verwendener Schlüssel
JP4548205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85659A1 (en) * 2005-10-14 2007-04-19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nsor system with activation alert
US20070120642A1 (en) * 2005-11-28 2007-05-3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Vehicle with passive key fob having presence detection arrangement with key fob
US20080012382A1 (en) * 2006-01-11 2008-01-17 Evans Gregg S Integration of buttons into a reaction injection molded automotive instrument panel skin
US20070241862A1 (en) * 2006-04-12 2007-10-18 Dimig Steven J Transponder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DE102006032137A1 (de) * 2006-07-12 2008-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mit einer Drucktaste zum Anlassen eines Verbrennungsmotors eines Kraftfahrzeuges
JP4279865B2 (ja) * 2006-10-06 2009-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02006059460B4 (de) * 2006-12-14 2018-01-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Zündsteuer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Passive-Go-System
DE102006059461A1 (de) * 2006-12-14 2008-06-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m Starten eines Kraftfahrzeugs und nachrüstbarer Passive-Go-Bausatz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A2571594A1 (en) * 2006-12-15 2008-06-15 Fortin Auto Radio Inc. Interface emulating the starting of a vehicle having an electronic starting system
DE102007040604B4 (de) * 2007-06-22 2018-11-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altvorrichtung und Sicherheitssystem
KR100916343B1 (ko) * 2007-07-30 2009-09-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동버튼을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DE102008035243B4 (de) * 2008-07-29 2016-12-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US8344886B2 (en) 2008-07-31 2013-01-01 Amtech Systems, LLC RFID vehicle tag with manually adjustable data fields
US8514080B2 (en) * 2008-07-31 2013-08-20 Amtech Systems, LLC RFID tag with occupancy status recall
JP2010037835A (ja) * 2008-08-06 2010-02-18 Asahi Denso Co Ltd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5038267B2 (ja) * 2008-09-01 2012-10-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スタータースイッチ装置
JP5239725B2 (ja) * 2008-10-14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8542092B2 (en) * 2009-01-29 2013-09-24 Trw Automotive U.S. Llc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JP5187903B2 (ja) * 2009-02-16 2013-04-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361462B2 (ja) * 2009-03-11 2013-12-0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並びに、制御システム
JP2010218787A (ja) * 2009-03-16 2010-09-30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US20110018684A1 (en) * 2009-07-23 2011-01-27 Wayne Hua Wang Remote keyless ignition system and method
JP2011027085A (ja) * 2009-07-29 2011-02-10 Honda Lock Mfg Co Ltd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US20110063076A1 (en) * 2009-08-28 2011-03-17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JP5130278B2 (ja) * 2009-12-09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駆動源搭載機器の盗難防止装置
KR101349471B1 (ko) * 2010-12-09 2014-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JP5467533B2 (ja) * 2011-02-17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始動システム
CN102729951B (zh) * 2011-03-30 2014-11-2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无钥匙启动开关装置
KR101298260B1 (ko) * 2012-03-23 2013-08-22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시동 스위치 장치
JP6230536B2 (ja) 2012-07-25 2017-11-1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WO2014017325A1 (ja) * 2012-07-25 2014-01-30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US8799657B2 (en) 2012-08-02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of reconstructing a secret code in a vehicle for performing secure operations
KR101327020B1 (ko) * 2012-09-21 2013-1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JP5502975B2 (ja) * 2012-12-05 2014-05-2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JP6017349B2 (ja) * 2013-02-28 2016-10-26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CN104340138A (zh) * 2013-08-06 2015-02-11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装饰件的车辆开关装置及含有该开关装置的安全系统
KR20150002590U (ko) * 2013-12-24 2015-07-0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버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6176733B2 (ja) * 2014-05-23 2017-08-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JP2016117424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スイッチ
CN104608740B (zh) * 2014-12-24 2018-07-06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无钥匙启动装置
CN104599356A (zh) * 2014-12-24 2015-05-06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通信部件与开关集成装置和集成方法
SE538924C2 (en) * 2015-06-25 2017-02-21 Scania Cv Ab Start / stop switch system, primarily intended for a vehicle
JP6095747B1 (ja) * 2015-10-05 2017-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スイッチ装置
JP6607573B2 (ja) 2016-08-10 2019-11-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215358B2 (ja) * 2019-06-28 2023-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起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899A (en) 1987-07-14 1989-01-20 Suzuki Motor Co Decorative plating
US5823028A (en) 1993-06-08 1998-10-2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Cylinder lock and key device
US5632168A (en) 1994-04-07 1997-05-27 Honda Lock Mfg. Co., Ltd. Key lock device
DE4435894C2 (de) 1994-10-07 1999-09-16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und Sicherungssystem zur Sicherung eines Kraftfahrzeuges
US5734330A (en) * 1994-10-11 1998-03-31 Calsonic Corporation Anti-theft car protection device
ES2112152B1 (es) * 1995-04-03 1998-10-01 Talleres Escoriaza Sa Cerradura electronica autonoma con lector de proximidad.
DE19528093A1 (de) * 1995-07-31 1997-02-13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580923B2 (ja) 1995-12-21 2004-10-2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盗難防止装置
JP3229538B2 (ja) * 1996-02-15 2001-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H10140900A (ja) * 1996-09-13 1998-05-26 Tokai Rika Co Ltd 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塔載車両、及び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部材
WO1998011689A2 (de) * 1996-09-13 1998-03-19 Temic Telefunken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kryptologischen authentifizierung in einem radiofrequenz-identifikations-system
EP0846820A1 (de) 1996-12-06 1998-06-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lies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9836957C1 (de) * 1998-08-14 1999-09-30 Siemens Ag Diebstahlschut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Diebstahlschutzeinrichtung
DE19838992C2 (de) 1998-08-27 2001-09-20 Huf Huelsbeck & Fuerst Gmbh Zündanlaßschalter für Kraftfahrzeuge mit elektronischer Lenkungsverriegelung
US6181025B1 (en) 1999-05-21 2001-01-30 Lear Corporation Integral interrogator-coil circuit
DE19939733C2 (de) 1999-08-21 2001-10-1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JP3671792B2 (ja) * 2000-01-21 2005-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用盗難防止装置
JP4558136B2 (ja) * 2000-04-26 2010-10-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遠隔操作装置
EP1189306B1 (en) * 2000-09-19 2004-12-01 Land Rover A security system
DE10146037A1 (de) 2000-09-23 2002-06-13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377049B2 (ja) 2000-12-20 2009-1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制御装置
DE10233061A1 (de) 2001-07-25 2003-02-13 Marquardt Gmbh Zündschloß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4217520B2 (ja) * 2003-04-16 2009-02-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94B1 (ko) * 2007-07-10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시동 시스템의 버튼 구조
KR100966733B1 (ko) * 2008-04-30 2010-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KR200448170Y1 (ko) * 2008-06-19 2010-03-18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
WO2011052916A2 (ko) * 2009-10-28 2011-05-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WO2011052916A3 (ko) * 2009-10-28 2011-07-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KR200457863Y1 (ko) * 2009-10-28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US8653390B2 (en) 2009-10-28 2014-02-18 Alps Electric Korea Co., Ltd.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4806A (ja) 2004-11-11
DE602004030741D1 (de) 2011-02-10
EP1469428A1 (en) 2004-10-20
CN1537758A (zh) 2004-10-20
US7187266B2 (en) 2007-03-06
EP1469428B1 (en) 2010-12-29
KR100966498B1 (ko) 2010-06-29
US20040206610A1 (en) 2004-10-21
EP1469428B2 (en) 2018-11-28
JP4705317B2 (ja) 2011-06-22
CN100469625C (zh)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498B1 (ko) 스위치 장치
US7098791B2 (en) Security system and portable device usable therein
US8653390B2 (en)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hicle
US8542092B2 (en)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US6958675B2 (en) Vehicle remote controller
KR101025211B1 (ko) 스위치 장치
JP2011231615A (ja) 車両用携帯機
KR20100079607A (ko) 스마트키 시스템
JP2009121279A (ja) エンジン始動停止スイッチ装置
JP4829769B2 (ja) 車両用携帯機
JP4886059B2 (ja)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079603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50002590U (ko)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버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3151128B2 (ja) 車両用キー装置
JP5043789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00079605A (ko) 스마트키 시스템
JP3332748B2 (ja) キー装置
KR20000010472U (ko) 차량 원격제어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