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861A -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861A
KR20040009861A KR1020020044220A KR20020044220A KR20040009861A KR 20040009861 A KR20040009861 A KR 20040009861A KR 1020020044220 A KR1020020044220 A KR 1020020044220A KR 20020044220 A KR20020044220 A KR 20020044220A KR 20040009861 A KR20040009861 A KR 2004000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s
data
bit
output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468B1 (ko
Inventor
박철성
노용환
조윤진
양향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468B1/ko
Priority to US10/602,111 priority patent/US6909661B2/en
Priority to DE10335012A priority patent/DE10335012B4/de
Priority to JP2003278265A priority patent/JP4767483B2/ja
Priority to CNB03155508XA priority patent/CN100520959C/zh
Publication of KR200400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468B1/ko
Priority to US11/123,996 priority patent/US7151710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12Data reordering during input/output, e.g. crossbars, layers of multiplexers, shifting or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11C11/4087Address decoders, e.g. bit - or word line decoders; Multiple lin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가지며, 3행*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매트들을 포함한다. 각 매트는 메모리 블록들을 가지며, 각 메모리 블록은 8의 배수가 되는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블록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 대신에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갖는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함 없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대응하는 n-비트 데이터 (n은 9의 배수)를 읽을 수 있다.

Description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ATA INPUT/OUTPUT ORGANIZATION OF A MULTIPLE OF 9}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 (data input/output organization)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 (1)는 4행과 2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8개의 매트들 (MAT0-MAT7)을 포함한다. 매트들 (MAT0-MAT7)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 (BLK0-BLK7), 메인 로우 디코더 회로 (main row decoder circuit) (MRD), 섹션 로우 디코더 회로들 (section row decoder circuits) (SRD), 열 디코더 & 열 게이트블록 (Y-DEC & Y-GATE), 그리고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로우 디코더 회로 (MRD)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메인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섹션 로우 디코더 회로들 (SRD) 각각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 (BLK)의 섹션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블록 (Y-DEC & Y-GATE)은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열들 중 일부 (예를 들면, X9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의 경우 9개의 열들)를 선택하고 선택된 열들을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은, 읽기 동작시, 선택된 열들을 통해 선택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 (MDL) (도 2에서, 데이터 버스는 9개의 데이터 라인들 (MDL0-MDL8)로 구성됨)로 전달한다.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은, 쓰기 동작시, 데이터 버스 (MDL) 상의 기입 데이터를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회로 (Y-DEC & Y-GATE)를 통해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선택된 열들로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들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 (BLK)은 9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IO0-IO8)로 이루어져 있다.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회로 (Y-DEC & Y-GATE)는 열 선택 회로로,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IO0-IO8) 각각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즉, 9개의 열들이 선택된다. 읽기 동작시, 감지 증폭기들 (SA0-SA8)은 대응하는 선택된 열들을 통해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IO0-IO8)로부터 1-비트 데이터를 각각 감지하고, 그렇게 감지된 9개의 데이터 비트들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 (MDL0-MDL8)로 각각 전달된다.
X18, X36, 또는 X72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읽기 동작이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1)는 각 매트의 메모리 블록들 (BLK) 각각이 9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IO0-IO8)로 구성된 매트 구조를 갖는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X72 싱글 데이터 레이트 (single data rate: SDR) 또는 X36 더블 데이터 레이트 (double data rate: DDR)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방식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X72 SDR 읽기 동작시 각 매트에서는 9-비트 데이터가 동시에 읽혀지고, 그렇게 읽혀진 72-비트 데이터가 동시에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X36 DDR 읽기 동작시 각 매트에서 9-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는 점은 X72 SDR 읽기 동작과 같다. 반면에, 그렇게 읽혀진 72-비트 데이터 중 절반 (32-비트 데이터)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 (rising/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 (32-비트 데이터)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 (falling/rising edge)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X36 SDR 또는 X18 DDR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X36 SDR 읽기 동작시 각 매트에서는 9-비트 데이터가 동시에 읽혀진다. 36-비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8개의 매트들 (MAT0-MAT7) 중 절반만이 선택되어야 한다. 매트 선택은, 도 4b에 도시된바와 같이, 멀티플레싱 방식을 통해 수행된다. 8개의 매트들 (MAT0-MA7) 중 4개의 매트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4개의 멀티플렉서들 (MUX0-MUX3)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멀티플렉서 (MUX0)는 매트들 (MAT0, MAT2)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된 매트로부터 9-비트 데이터가 출력된다. 멀티플렉서 (MUX1)는 매트들 (MAT1, MAT3)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된 매트로부터의 9-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 (MUX2)는 매트들 (MAT4, MAT6)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된 매트로부터의 9-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 (MUX3)는 매트들 (MAT5, MAT7)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된 매트로부터의 9-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멀티플렉싱 방식을 통해 32-비트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된다. X18 DDR 읽기 동작의 경우, 32개의 데이터 비트들 중 절반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X18 SDR 또는 X9 DDR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X18 SDR 읽기 동작은 도 4b에 도시된 멀티플렉싱 구조에서 2개의 멀티플렉서들 (MUX4, MUX5)을 더 필요로 한다. 도 4c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구조에 따르면, 2단 멀티플렉싱 방식을 통해 18-비트 데이터가 출력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X9 DDR 읽기 동작의 경우, 18개의 데이터 비트들 중 절반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매트 (또는 선택된 매트)에서는 항상9-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그러한 까닭에,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성능 또는 동작 특성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 (X9, X18, X36, 또는 X72)에 따라 가변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멀티플렉싱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X72 SDR/X32 DDR 읽기 동작 모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매트 선택이 수행된다. 반면에, X36/X18 SDR과 X18/X9 DDR 읽기 동작 모드에서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선택이 멀티플렉싱 방식을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멀티플렉싱 방식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성능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 (X9, X18, X36, 또는 X72)에 따라 가변되게 한다. 즉,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관계없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일정한 (균일한) 성능 또는 동작 특성을 얻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관계없이 일정한 동작 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레이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의의 매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A는 X72 싱글 데이터 레이트 또는 X36 더블 데이터 레이트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X36 싱글 데이터 레이트 또는 X18 더블 데이터 레이트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C는 X18 싱글 데이터 레이트 또는 X9 더블 데이터 레이트 읽기 동작에 따른 데이터 출력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레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임의의 매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 구조에서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단위의 액세스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5에서 중앙에 위치한 매트를 제외한 나머지 매트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9는 도 5에서 중앙에 위치한 매트의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및 리던던시 회로의 레이아웃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3개의 행들과 3개의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들 각각은 8의 배수로 구성되는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을 갖는다.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로/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들 중 하나로/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가능한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외부로부터/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로/로부터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로/로부터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3개의 행들과 3개의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과; 그리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매트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각 매트는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과; 상기 메모리 블록은 열을 기준으로 8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구분되며; 상기 메모리 블록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상기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각각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선택된 열들을 통해 상기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감지 증폭기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로부터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로부터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가지며, 3행*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매트들을 포함한다. 각 매트는 메모리 블록들을 가지며, 각 메모리 블록은 8의 배수가 되는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블록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 대신에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는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함 없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대응하는 n-비트 데이터 (n은 9의 배수)가 읽혀지게 한다.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없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가변적으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에 의해서 야기되는 문제점들 (예를 들면, 전류 소모,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른 특성 및 성능 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예를 들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가 다른 형태들의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면, DRAM, FLASH 메모리 장치, FRAM, EEPROM, ROM,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3행*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 (MAT0-MAT8)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가 72M의 메모리 용량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매트들 (MAT0-MAT8) 각각에는 8M의 메모리 용량이 할당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매트들 (MAT0-MAT8) 각각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매트들 (MAT0-MAT8)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메모리 블록들 (BLK)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매트가 8M의 메모리 용량을 갖는 경우, 각 메모리 블록 (BLK)은 1M의 메모리 용량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매트 (예를 들면, MAT0)는 메인 로우 디코더 회로 (MRD), 섹션 로우 디코더 회로들 (SRD),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블록 (Y-DEC & Y-GATE), 그리고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을 더 포함한다. 메인 로우 디코더 회로 (MRD)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메인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섹션 로우 디코더 회로들 (SRD) 각각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 (BLK)의 섹션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블록 (Y-DEC & Y-GATE)은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열들 중 일부 (X9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의 경우, 8개의 열들)를 선택하고,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은, 읽기 동작시, 선택된 열들을 통해 선택된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감지한다. 그렇게 감지된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 (MDL)로 전달된다.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블록 (SA & WD)은, 쓰기 동작시, 데이터 버스 (MDL) 상의 기입 데이터를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회로 (Y-DEC & Y-GATE)를 통해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선택된 열들로 전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데이터 버스 (MDL)는 8개의 데이터 라인들 (MDL0-MDL7)로 구성되고, 각 메모리 블록 (BLK)은 8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 구조에서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단위의 액세스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보여주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각 매트에 속하는 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 및 기입 드라이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 (120)는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과 어드레스 신호들 (A1-A3)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을 발생한다.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의 선택적인 활성화에 따라 매트들 (MAT0-MAT3, MAT5-MAT8) 각각에서는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그리고,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의 선택적인 활성화에 따라 매트 (MAT4)에서는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예를 들면, X9 SDR 읽기 동작시에 인에이블 신호 (EN7)이 활성화되는 경우, 매트들 (MAT3, MAT5)에서는 각각 4-비트 데이터가 읽혀지고 매트 (MAT4)에서는 1-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따라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멀티플렉싱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9-비트 데이터가 읽혀져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X18 SDR 읽기 동작시에 인에이블 신호 (EN0, EN4)이 활성화되는 경우, 매트들 (MAT0, MAT2, MAT6, MAT8)에서는 각각 4-비트 데이터가 읽혀지고 매트 (MAT4)에서는 2-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18-비트 데이터가 읽혀져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임의의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매트들 (MAT0-MAT3, MAT5-MAT8) 중 하나 (예를 들면, MAT0)에 속하는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 및 그것의 주변 회로들이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 블록 (BLK)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IO0-IO7)로 구분된다. 섹션 로우 디코더 회로 (SRD)는 행 선택 회로로, 행 방향을 따라 메모리 블록 (BLK)에 배열된 섹션 워드 라인들 (미도시됨) 중 적어도하나를 선택한다.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회로 (Y-DEC & Y-GATE)는 열 선택 회로로, 메모리 블록 (BLK)의 열들 중 일부 (예를 들면, 8개의 열들)를 선택한다. 즉, 하나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당 하나의 열이 선택된다. 열 디코더 & 열 게이트 회로 (Y-DEC & Y-GATE)에 의해서 선택된 열들은 대응하는 감지 증폭기들 (SA0-SA7)에 각각 연결된다. 좌측에 위치한 4개의 감지 증폭기들 (SA0-SA3)은 인에이블 신호 (EN0, EN2, EN4, 또는 EN6)에 의해서 제어되고, 우측에 위치한 4개의 감지 증폭기들 (SA4-SA7)은 인에이블 신호 (EN1, EN3, EN5, 또는 EN7)에 의해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인에이블 신호 (EN0)가 활성화되고 인에이블 신호 (EN1)가 비활성화될 때, 감지 증폭기들 (SA0-SA3)은 감지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 증폭기들 (SA4-SA7)은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4-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인에이블 신호들 (EN0, EN1)이 활성화될 때, 감지 증폭기들 (SA0-SA7)은 모두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8-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매트들 (MAT0-MAT3, MAT5-MAT8) 각각에서는 최소 4-비트 데이터가 읽혀지거나 최대 8-비트 데이터가 읽혀질 것이다.
도시의 편의상 도 8에는 기입 드라이버들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지 증폭기들 (SA0-SA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됨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도 7에 도시된 임의의 메모리 블록 및 그것의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매트 (MAT4)에 속하는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 및 그것의 주변 회로들이 도시되어 있다. 감지 증폭기들 (SA0-SA7)을 제어하는 방식을 제외하면,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다. 중앙에 배치된 매트 (MAT4)의 각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감지 증폭기들 (SA0-SA7)은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 구조에 따르면, 매트들 (MAT0-MAT3, MAT5-MAT8)과 달리, 매트 (MAT4)에서는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시의 편의상 도 9에는 기입 드라이버들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지 증폭기들 (SA0-SA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됨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도 7에 도시된 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 회로 (120)는 어드레스 신호들 (A1, A2, A3)과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을 발생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6개의 OR (G11-G16), 3개의 인버터들 (INV11-INV13), 그리고 8개의 AND 게이트들 (G17-G24)을 포함한다. 모드 선택 신호 (DR7236)는 X72 SDR 또는 X36 DDR 읽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고, 모드 선택 신호 (DR3618)는 X36 SDR 또는 X18 DDR 읽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며, 모드 선택 신호 (DR1809)는 X18 SDR 또는 X9 DDR 읽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모드 선택 신호들은 옵션 회로를 이용하여 내부적으로 프로그램되거나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아래의 표 1은 각 동작 모드에 따른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의 로직 상태들을 보여준다.
먼저,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이 모두 로직 하이 레벨을 가지면, X72 SDR 또는 X36 DDR 읽기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은 어드레스 신호들 (A1-A3)의 로직 상태들에 관계없이 모두 로직 하이 레벨을 갖는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가 로직 로우 레벨이고 모드 선택 신호들 (DR3618, DR1809)가 로직 하이 레벨일 때, X36 SDR 또는 X18 DDR 읽기 동작이 수행된다. 어드레스 신호 (A1)가 로직 로우 레벨이면, 어드레스 신호들 (A2, A3)의 로직 상태들에 관계없이, 인에이블 신호들 (EN2, EN3, EN6, EN7)은 활성화되는 반면에 인에이블 신호들 (EN0, EN1, EN4, EN5)은 비활성화된다. 또한, 어드레스 신호 (A1)가 로직 하이 레벨이면, 어드레스 신호들 (A2, A3)의 로직 상태들에 관계없이, 인에이블 신호들 (EN0, EN1, EN4, EN5)은 활성화되는 반면에 인에이블 신호들 (EN2, EN3, EN6, EN7)은 비활성화된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이 각각 로직 로우 레벨이고 모드 선택 신호 (DR1809)가 로직 하이 레벨일 때, X18 SDR 또는 X9 DDR 읽기 동작이 수행된다.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의 로직 상태들은 어드레스 신호 (A3)와 무관하게결정될 것이다. 어드레스 (A2A1)가 "00"일 때 인에이블 신호들 (EN3, EN7)가 활성화되고, 어드레스 (A2A1)가 "01"일 때 인에이블 신호들 (EN1, EN5)가 활성화된다. 어드레스 (A2A1)가 "10"일 때 인에이블 신호들 (EN2, EN6)가 활성화되며, 어드레스 (A2A1)가 "11"일 때 인에이블 신호들 (EN0, EN4)가 활성화된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이 모두 로직 로우 레벨일 때, X9 SDR 읽기 동작이 수행된다. 어드레스 (A3A2A1)가 "000"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7)가 활성화되고, 어드레스 (A3A2A1)가 "001"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5)가 활성화되고, 어드레스 (A3A2A1)가 "010"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6)가 활성화되며, 어드레스 (A3A2A1)가 "011"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4)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A3A2A1)가 "100"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3)가 활성화되고, 어드레스 (A3A2A1)가 "101"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1)가 활성화되고, 어드레스 (A3A2A1)가 "110"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2)가 활성화되며, 어드레스 (A3A2A1)가 "111"일 때 인에이블 신호 (EN0)가 활성화된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X9, X18, X36 또는 X72 SDR 읽기 동작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X72 SDR 읽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은 모두 로직 하이 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것이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이 모두 로직 하이 레벨이기 때문에, 어드레스 신호들 (A3A2A1)의 로직 상태들과 무관하게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은 모두 활성화된다. 인에이블 신호들 (EN0-EN7)이 모두 활성화됨에 따라, 매트들 (MAT0-MAT8) 각각의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감지 증폭기들이 모두 활성화된다. 매트들 (MAT0-MAT8)에서는 각각 8-비트 데이터가 읽혀질 것이다. 즉, 72-비트 데이터가 읽혀진다. 그렇게 읽혀진 72-비트 데이터는 SDR 모드에서 한번에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DDR 모드에서, 그렇게 읽혀진 72-비트 데이터 중 절반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X36 SDR 읽기 동작은 모드 선택 신호들 (DR3618, DR1809)을 로직 하이 레벨로 그리고 모드 선택 신호 (DR7236)를 로직 로우 레벨로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어드레스 신호 (A1)가 로직 로우 레벨이면, 인에이블 신호들 (EN2, EN3, EN6, EN7)이 활성화된다. 매트들 (MAT1, MAT3, MAT5, MAT7) 각각의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감지 증폭기들이 모두 활성화되어 매트들 (MAT1, MAT3, MAT5, MAT7)에서 각각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매트 (MAT4)의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감지 증폭기들 중 4개의 감지 증폭기들이 활성화되어 매트 (MAT4)에서 4-비트 데이터가 출력된다. 즉,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36-비트 데이터가 매트들 (MAT1, MAT3, MAT4, MAT5, MAT7)에서 출력된다. 그렇게 읽혀진 32-비트 데이터는 SDR 모드에서 한번에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DDR 모드에서, 그렇게 읽혀진 32-비트 데이터 중 절반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어드레스 신호 (A1)가 로직 하이 레벨인 경우, 인에이블 신호들 (EN0, EN1, EN4, EN5)이 활성화된다.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에 따라, 매트들 (MAT0, MAT2, MAT6, MAT8)에서는 각각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되고 매트 (MAT4)에서는 4-비트 데이터가 출력된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를 로직 로우 레벨로 그리고 모드 선택 신호 (DR1809)를 로직 하이 레벨로 설정함으로써 X18 SDR 읽기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 (A3A2A1)에 따라 2개의 인에이블 신호들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 신호들 (A2, A1)이 모두 로직 로우 레벨일 때, 인에이블 신호들 (EN3, EN7)이 활성화된다. 이는 매트들 (MAT1, MAT3, MAT5, MAT7) 각각에서 4-비트 데이터가 출력되게 그리고 매트 (MAT4)에서 2-비트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즉,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18-비트 데이터가 매트들 (MAT1, MAT3, MAT4, MAT5, MAT7)에서 출력된다. 그렇게 읽혀진 18-비트 데이터는 SDR 모드에서 한번에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DDR 모드에서, 그렇게 읽혀진 18-비트 데이터 중 절반은 클록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클록 신호의 하강/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외부로 출력될 것이다. 어드레스 신호들 (A2A1)의 다른 조합의 경우, 18-비트 데이터가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5개의 매트들에서 읽혀질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모드 선택 신호들 (DR7236, DR3618, DR1809)이 모두 로직 로우 레벨로 설정되면, X9 SDR 읽기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어드레스 (A3A2A1)가 "000"이면, 인에이블 신호 (EN7)이 활성화된다. 이는 매트들 (MAT3, MAT5)에서 각각 4-비트 데이터가 출력되게 하고 매트 (MAT4)에서 1-비트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즉,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9-비트 데이터를 매트들로부터 읽을 수 있다. 어드레스 신호들 (A3A2A1)의 다른 조합의 경우, 9-비트 데이터가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3개의 매트들에서 읽혀질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및 리던던시 회로의 레이아웃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2열의 매트들 (MAT1, MAT4, MAT7)이 이등분되고, 이등분된 매트들 사이에 주변 회로 및 리던던시 회로가 배열되는 어레이 구조를 갖는다.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 어드레스 및 제어 패드들, 데이터 입출력 회로들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즉, 칩의 에지 영역을 따라 배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블록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 대신에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는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함 없이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읽혀지게 한다. 이에 따라, 따라서,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방식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들 즉,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특성이 변화하는 것, 데이터 라인 멀티플렉싱 구조로 인한 전류 소모 및 동작 속도 저하, 등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3개의 행들과 3개의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과;
    상기 매트들 각각은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매트들로/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X9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매트들 각각에서 하나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로/로부터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로/로부터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열의 매트들은 각각 2등분되며,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 생기는 결함 셀(들)을 대체하기 위한 리던던시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3개의 행들과 3개의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과; 그리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매트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매트는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과;
    상기 메모리 블록은 열을 기준으로 8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구분되며;
    상기 메모리 블록의 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상기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 각각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선택된 열들을 통해 상기 메모리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감지 증폭기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매트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로부터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로부터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열의 매트들은 각각 2등분되며,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 생기는 결함 셀(들)을 대체하기 위한 리던던시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트의 메모리 블록은 상기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기입 드라이버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입 드라이버들은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로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의 기입 드라이버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로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 각각의 기입 드라이버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3개의 행들과 3개의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9개의 매트들과; 그리고
    상기 매트들 각각은 각각이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을 갖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과;
    상기 메모리 블록들 각각은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구분되며;
    상기 메모리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의 행들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행 선택기들과;
    상기 메모리 블록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의 열들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열 선택기들과;
    상기 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부터 데이터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 증폭기들과;
    상기 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 세그먼트들로 데이터를 각각 기입하는 복수 개의 기입 드라이버들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블록들 각각의 감지 증폭기들 및 기입 드라이버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버스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매트들로부터 각각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가변되도록, 상기 각 매트의 메모리 블록들의 감지 증폭기들/기입 드라이버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매트들 중 중앙에 위치한 매트가 1-비트, 2-비트,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매트의 메모리 블록들의 감지 증폭기들/기입 드라이버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나머지 매트들 각각이 4-비트 또는 8-비트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조에 따라 상기 나머지 매트들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의 감지 증폭기들/기입 드라이버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열의 매트들은 각각 2등분되며,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2등분된 매트들 사이에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 생기는 결함 셀(들)을 대체하기 위한 리던던시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X9의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매트들 각각에서 하나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2-0044220A 2002-07-26 2002-07-26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3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20A KR100437468B1 (ko) 2002-07-26 2002-07-26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602,111 US6909661B2 (en) 2002-07-26 2003-06-23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ata input/output organization in multiples of nine bits
DE10335012A DE10335012B4 (de) 2002-07-26 2003-07-23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mit mehreren Speicherfeldern und zugehöriges Datenverarbeitungsverfahren
JP2003278265A JP4767483B2 (ja) 2002-07-26 2003-07-23 半導体メモリ装置
CNB03155508XA CN100520959C (zh) 2002-07-26 2003-07-26 具有9的倍数位的数据输入/输出结构的半导体存储装置
US11/123,996 US7151710B2 (en) 2002-07-26 2005-05-0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ata input/output organization in multiples of nine b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20A KR100437468B1 (ko) 2002-07-26 2002-07-26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861A true KR20040009861A (ko) 2004-01-31
KR100437468B1 KR100437468B1 (ko) 2004-06-23

Family

ID=3043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220A KR100437468B1 (ko) 2002-07-26 2002-07-26 9의 배수가 되는 데이터 입출력 구조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09661B2 (ko)
JP (1) JP4767483B2 (ko)
KR (1) KR100437468B1 (ko)
CN (1) CN100520959C (ko)
DE (1) DE1033501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71B1 (ko) * 2007-05-31 2008-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604A (ja) * 2004-05-24 2005-12-08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FR2891653A1 (fr) * 2005-10-05 2007-04-06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criture par bloc dans une memoire
US7813212B2 (en) 2008-01-17 2010-10-1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Nonvolatile memory having non-power of two memory capacity
EP2478521A2 (en) * 2009-09-16 2012-07-25 Rambus Inc. Configurable memory banks of a memory device
US8595429B2 (en) * 2010-08-24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Wide input/output memory with low density, low latency and high density, high latency blocks
WO2012124063A1 (ja) * 2011-03-15 2012-09-2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EP3507803B1 (en) * 2016-09-02 2024-04-10 Rambus Inc. Memory component with input/output data rate al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99A (en) * 1979-07-09 1981-02-05 Toshiba Corp Parity check system
JPS56115800U (ko) * 1980-01-31 1981-09-04
JPS62194561A (ja) * 1986-02-21 1987-08-27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S6421651A (en) * 1987-07-17 1989-01-25 Fanuc Ltd Memory device
JPH01235100A (ja) * 1988-03-15 1989-09-20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3039557B2 (ja) * 1989-11-01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記憶装置
US5249158A (en) * 1991-02-11 1993-09-28 Intel Corporation Flash memory blocking architecture
JPH05128895A (ja) * 1991-10-31 1993-05-25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装置
JPH05274858A (ja) * 1992-03-30 1993-10-22 Sharp Corp メモリ基板
US5384745A (en) * 1992-04-27 1995-01-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636600A (ja) * 1992-07-16 1994-02-10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3073610B2 (ja) * 1992-09-22 2000-08-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988804B2 (ja) * 1993-03-19 1999-12-1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
KR0137105B1 (ko) * 1993-06-17 1998-04-29 모리시다 요이치 데이터 전송회로, 데이터선 구동회로, 증폭회로, 반도체 집적회로 및 반도체 기억장치
JP3304531B2 (ja) * 1993-08-24 2002-07-2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220586B2 (ja) * 1993-12-28 2001-10-2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530836A (en) * 1994-08-12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memory bank selection
US5506810A (en) * 1994-08-16 1996-04-09 Cirrus Logic, Inc. Dual bank memory and systems using the same
KR0140097B1 (ko) * 1994-11-30 1998-07-15 김광호 읽기변환쓰기기능을 가지는 메모리 모듈
US5596740A (en) * 1995-01-26 1997-01-21 Cyrix Corporation Interleaved memory conflict resolution with accesses of variable bank widths and partial return of non-conflicting banks
JP3386924B2 (ja) * 1995-05-22 2003-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KR970006600A (ko) * 1995-07-28 1997-02-21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장치
US5748551A (en) * 1995-12-29 1998-05-05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with multiple internal banks and staggered command execution
JPH09330589A (ja) * 1996-06-07 1997-12-22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H1011993A (ja) * 1996-06-27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1050958A (ja) * 1996-08-05 1998-02-20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半導体記憶装置のレイアウト方法、半導体記憶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回路配置パターン
JP4057084B2 (ja) * 1996-12-26 2008-03-0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H10269765A (ja) * 1997-03-24 199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970396B2 (ja) * 1997-10-24 2007-09-05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11145420A (ja) * 1997-11-07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072743A (en) * 1998-01-13 2000-06-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 speed oper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emory blocks arranged about the center
JPH11203862A (ja) * 1998-01-13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11204749A (ja) * 1998-01-19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1219598A (ja) * 1998-02-03 1999-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4017248B2 (ja) * 1998-04-10 2007-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KR100275745B1 (ko) * 1998-10-19 2000-12-15 윤종용 가변적인 페이지 수 및 가변적인 페이지 길이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374632B1 (ko) * 1999-08-09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메모리셀 어레이 블락 제어방법
US6553552B1 (en) * 2000-01-27 2003-04-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design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architecture
KR100380409B1 (ko) * 2001-01-18 200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패드배열구조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2319299A (ja) * 2001-04-24 2002-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5339604A (ja) * 2004-05-24 2005-12-08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71B1 (ko) * 2007-05-31 2008-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0959C (zh) 2009-07-29
US7151710B2 (en) 2006-12-19
US20040016975A1 (en) 2004-01-29
JP2004063074A (ja) 2004-02-26
DE10335012A1 (de) 2004-02-12
JP4767483B2 (ja) 2011-09-07
US20050201184A1 (en) 2005-09-15
CN1489153A (zh) 2004-04-14
KR100437468B1 (ko) 2004-06-23
DE10335012B4 (de) 2008-10-02
US6909661B2 (en)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229B2 (en) Physically alternating sense amplifier activation
US20030179639A1 (en) Memory with address management
EP0389203A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presence of defective memory cells
US7324401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programmable address configurations
JPH09128970A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半導体データ処理装置
US5841710A (en) Dynamic address remapping decoder
US715171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ata input/output organization in multiples of nine bits
KR100276197B1 (ko) 로직 혼재 메모리
US20030156472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055202A (en) Multi-bank architecture for a wide I/O DRAM
US587513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oring data comprising of plural bi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0137149B1 (en) A high speed memory accessing means and method
US20090003117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714381A (ja) Dramリフレッシュ装置及び方法
US6618309B2 (en) Adjustable memory self-timing circuit
US6356474B1 (en) Efficient open-array memory device architecture and method
JPS59217290A (ja) 半導体メモリ
JPH0991991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KR102299020B1 (ko) 인공지능 동작을 위한 메모리 장치
US7502272B2 (en) Self-timing read architecture for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0193193B1 (ko) N-방향 셋트 관련 온-칩 캐시를 갖고 있는 고밀도 메모리 및 이를 사용하는 시스템
US6956786B2 (en) Random access memory with optional inaccessible memory cells
JP3026341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H026499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9120680A (ja) 集積度を高めた半導体メモ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