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945A -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945A
KR20030035945A KR1020020065378A KR20020065378A KR20030035945A KR 20030035945 A KR20030035945 A KR 20030035945A KR 1020020065378 A KR1020020065378 A KR 1020020065378A KR 20020065378 A KR20020065378 A KR 20020065378A KR 20030035945 A KR20030035945 A KR 2003003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itting
sheet
loaded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079B1 (ko
Inventor
마쯔시마아끼라
우찌다야스히로
이즈미마꼬또
가와니시미노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8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82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730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311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Abstract

용지 수납 장치는 장치 주 본체 내에 제공되고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부 및 용지 적재부 상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용지 적재부 상에 제공되고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적재된 용지의 에지와 인접하도록 구성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장치 주 본체에 대해 상부 및 하부 측면 상의 조절 부재 상에서 위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설정 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SHEET CONTAINING APPARATUS, SHEET FEE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지 수납 장치, 이를 갖춘 용지 급송 장치 및 용지 급송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용지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복사기 및 이들의 복합 기기와 같이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급송 장치에 의해 화상 형성부에 급송될 용지를 수납하기 위한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용지수납 장치의 일예에는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 적재 수단, 용지의 측면 에지를 조절하기 위해 용지 급송 방향에 직각인 방향(이하 용지의 가로 방향으로 칭함)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측면 조절 부재 및 용지 급송 방향에서의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적재된 용지가 급송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적재된 용지의 후단 에지와 인접하도록 구성된 후단 에지 조절 부재가 제공되며, 측면 조절 부재 및 후단 에지 조절 부재는 용지의 크기에 순응하는 각각의 소정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용지 위치 설정 및 이동 조절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용지 수납 장치의 조절 부재용 위치 설정 방법의 공지된 예는 조절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삽입 구멍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시스템 및 각각의 조절 부재의 용지 조절 방향이 미끄럼 가능하게 조절되고 레버 등에 의해 작동되는 조절 수단을 각각의 조절 판의 바닥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삽입 구멍 내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위치 설정이 용지 조절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미끄럼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 부재를 갖춘 종래의 용지 수납 장치에서, 삽입 시스템의 경우에 크기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때에는 조절 부재를 삽입 구멍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 재삽입시킬 필요가 있어서, 시간 및 노력의 큰 소모를 초래한다.
반대로, 미끄럼 시스템에 있어서는, 조절 부재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조절 부재의 위치를 단독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미끄럼 시스템에 있어서는, 용지 조절 방향에 대한 위치 설정 수단이 용지 적재 수단 아래에 위치하므로, 용지와 인접하는 조절 부재의 인접부의 상부가 외향으로 개방되도록 편향되기 쉽다. 그러므로, 용지 적층제를 삽입시킬 때 조절 부재의 인접부가 용지 적층제에 의해 가압되고 그 상부가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우에, 조절 부재 상에서 용지 적층제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용지 위치의 불안정에 기인한 용지의 어긋난 급송 또는 미급송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 전술된 문제점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조절 부재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적재된 용지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되게 하는 용지 수납 장치 및 이러한 용지 수납 장치를 갖춘 용지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주 본체 내에 제공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적재된 용지의 에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제공되는 조절 부재 및 장치 주 본체에 대한 상부 및 하부측 상에서 조절 부재의 위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용지 저장부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용지 적재 테이블,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용지 적재 테이블 상에 적재된 용지의 에지와 인접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조절 부재 및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잠금 핀을 포함하고, 끼워 맞춤 구멍이 용지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 내에 형성되고 잠금 핀은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지며, 끼워 맞춤 구멍이 조절 부재가 적재 테이블 상에 적재된 용지와 인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잠금 핀이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지는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송 장치의 일예를 구성하는 데크(deck)형 용지 급송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2는 용지 수납 장치의 사시설명도.
도3은 도어가 개방된 용지 급송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4는 도어가 폐쇄된 용지 급송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5는 용지 적재 테이블 아래에 제공된 조절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
도6은 후단 에지 조절 부재의 위치 설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7은 후단 에지 조절 부재의 위치 설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8a, 도8b 및 도8c는 용지 크기의 변화가 용지 수납 장치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을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설명도.
도9a 및 도9b는 용지 크기의 변화가 용지 수납 장치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을 도시한 저면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2: 용지 급송 데크
3: 용지 수납 장치
5: 용지 적재 테이블
6: 권취 축
7: 용지 공급 롤러
8: 급송 롤러
9: 방해 롤러
10: 이송 롤러
22: 작동 레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수납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송 장치의 일예를 구성하는 데크형 용지 급송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는 용지 수납 장치의 사시설명도이다. 도3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용지 급송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4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용지 급송 장치를 도시한 외향 사시설명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1을 참조하여 전체적으로 설명된다.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1) 아래에 장착된 데크형 용지 급송 장치(이하에서 "용지 급송 데크"로 칭함)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A는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1) 내에 제공되어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따라 화상 형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A)에는 토너 화상를 형성하기 위한감광 드럼(14), 화상 신호에 따라 감광 드럼(14)에 빛을 조사시키기 위한 레이저 스캐너(12) 및 감광 드럼(14)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S) 등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롤러(15)가 제공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A)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작동이 시작될 때, 화상 신호에 따른 빛은 레이저 스캐너(12)에 의해 먼저 감광 드럼(14)에 적용되고, 잠상이 이러한 빛의 조사를 통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잠상이 토너 카트리지 내에 내장된 토너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토너 화상(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14) 상에 형성된다.
토너 화상 형성 작동과 동시에, 용지(S)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지 급송 데크(2)로부터 급송될 때, 용지(S)는 이송 롤러(11)에 의해 이송되고, 정합 롤러(11a)에 의해 감광 드럼(14) 상에 형성된 화상과 동기식으로 감광 드럼(14) 및 이송 롤러(15)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사부에 있어서,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15)에 적용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용지(S)에 전사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S)는 정착 수단(16)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정착 수단(16) 내에서 가열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용지는 배출 롤러(17)에 의해 장치의 상부 내에서 배출부(18)로 배출된다.
(용지 급송 데크)
이어서, 용지 급송 데크(2)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급송 데크(2)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용지(S)를 수납하는 용지 저장부(장치 주 본체, 3a) 내에 제공되고, 용지 적층제(Sa)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 적재 수단과 이하에서 설명될 조절 부재(19, 20, 21, 도2 참조)를 구비한 용지 적재 테이블(5)을 갖춘 용지 수납 장치(3),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에 적재된 용지 적층제(Sa) 중 맨 위의 용지(S1)를 내보내기 위한 용지 공급 수단을 구비한 용지 공급 롤러(7), 용지 공급 롤러(7)에 의해 보내어진 용지(S)가 급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급송 롤러(8), 급송 롤러(8)에 의해 급송된 용지가 복귀되는 방향으로 토크 리미터(도시 생략)를 통해 소정의 토크로 회전되는 방해 롤러(9) 및 급송 롤러(8) 및 방해 롤러(9)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어 급송된 용지(S)를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1)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10)를 포함한다. 급송 롤러(8) 및 방해 롤러(9)는 방해 분리식 분리 롤러 쌍(8, 9)을 구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적재 테이블(5)은 와이어(4a, 4b, 4c, 4d)에 의해 현가되고, 와이어 권취 축(6)에 의해 와이어(4a, 4b, 4c, 4d)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수직(상승 및 하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급송 데크(2)에는 용지 적층제(Sa)를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에 적재시킬 때에 개방되도록 구성된 도어(2A)가 제공된다. 도어(2A)는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1)의 전방 측면 상에 배열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1)의 작동 측면으로부터 용지(S)를 끼워 넣거나 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A)가 개방될 때에는, 와이어 권취 축(6)이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4a, 4b, 4c, 4d)는 풀어지고, 용지 적재 테이블(5)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부로 하강한다.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으로 용지 적층제(Sa)의 적재가 완료되고 도어(2A)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될 때에는, 와이어 권취 축(6)이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4a, 4b, 4c, 4d)가 감겨지고 용지 적재 테이블(5)은 상승한다.
따라서, 적재된 용지 적층제(Sa)의 최상부의 용지(S1)가 용지 공급 롤러(10)에 의해 급송되고 분리 롤러 쌍(8, 9)의 닙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용지 적재 테이블(5)은 용지 표면 감지 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한 상승 및 하강을 통해 높이가 제어된다.
도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9 및 20은 서로 대향되고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의 용지(S)의 가로 방향 운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기 위해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에 제공된 판형 측면 조절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9는 용지 급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용지의 가로 방향으로 칭함)으로 기준 급송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은 측향 가압 판(도시 생략)을 갖춘 비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를 나타낸다. 용지를 조절하는 비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20)의 측면 상에, 측향 가압 판이 제공되어,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에의해 가압됨으로써,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의 용지(S)가 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19)에 대해 가압되어서, 용지(S)의 가로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도면 부호 21은 용지가 끼워지는 방향에 대해 깊은 쪽에 제공되어 용지 적층제의 후단 에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후단 에지 조절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부호 22는 작동 수단을 구비한 작동 레버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이러한 작동 레버(22)를 이동시킬 때, 측면 조절 부재(19, 20) 및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작동 레버(22)와 일체식으로 이동함으로써, 적재될 용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편지지 크기의 용지, A4 크기의 용지 및 규정 크기의 3 종류의 용지를 용지 적재 테이블(5) 상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크기에 대한 표시(M)가 제공된다. 이들 표시에 대한 작동 레버(2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측면 조절 판(19, 20) 및 후단 에지 조절 판(21)을 저장될 용지의 크기에 따른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적재될 용지의 크기는 상기 용지 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절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
도5는 용지 적재 테이블(5) 아래에 제공된 조절 부재(19, 20, 21)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5에 있어서, 작동 레버(22)는 용지 저장부(3a) 도어(2A) 측면 상에서 개구 전방 에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면 부호 23은 연결 부재로서 기능하는 기판 부재를 나타낸다. 기판 부재(23)는 기울어져 형성되는 슬릿부(24c)의 중개를 통해 작동 레버(22)에 결합된다. 작동 레버(22)가 슬릿부(24c)에 의해 도5에서의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기판 부재(23)는 작동 레버(22)가 이동하는 방향에 직각 방향인,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이러한 기판 부재(23)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판 부재(23)가 작동 레버(22)의 작동 시에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이러한 이동과 일체식으로 슬릿(도시 생략)을 따라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용지 급송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작동 레버(22)가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의 역방향(용지 급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기판 부재(23)에는 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19) 및 비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20)와 결합되는 슬릿부(24a, 24b)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기판 부재(23)가 이동할 때, 슬릿부(24a, 24b)가 이동하고, 슬릿부의 구성에 따라, 서로 대향되어 제공된 2개의 측면 조절 부재(19, 20)가 도5의 화살표 "c" 및 화살표 "d"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레버(22)가 작동될 때,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두 개의 측면 조절 부재(19, 20)는 서로로부터 가까이 또는 멀리 이동함으로써, 두 개의 측면 조절 부재(19, 20) 및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후단 에지 조절 부재 상의 위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에는,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이 제공된다. 후단 에지 조절 부재 및 측면 조절 부재(19, 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22) 상에 제공된 잠금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를 고정/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6 및 도7은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용 위치 설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잠금 레버(30)는 받침점(P)에서 작동 레버(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 부호 31은 위치 설정 수단 및 잠금 레버(3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를 나타내고, 잠금 레버(30)와의 결합은 기판 부재(23) 내에 형성되는 슬릿부(24c)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릿부(3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동 레버(22)가 이동되는 위치와는 별개로, 잠금 레버(30)가 도6의 화살표 "e"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결 부재(31)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면 부호 33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결 부재(31)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스프링)를 나타낸다. 잠금 레버(30)가 화살표 "e"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힘이 제거될 때, 연결 부재(31)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잠금 레버(3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1)는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 내에 제공된 캠(34)에 연결되고, 캠(34)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두 개의 잠금 핀(35a, 35b)에 연결된다. 잠금 핀(35a, 35b)이 끼워 맞춤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상부 끼워 맞춤 구멍 "hu"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 "hd"이 용지 저장부(3a)의 천정판부(3b) 및 바닥판부(3c)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부 끼워 맞춤 구멍 "hu"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 "hd"는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가 편지지 크기의 용지, A4 크기의 용지 및 규정 크기의 용지의 3가지 타입의 용지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가 조절되는 위치는 이러한 용지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끼워 맞춤 구멍은 다양한 용지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30)가 작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31)는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33)에 의해 가압되어, 잠금 핀(35a, 35b)은 각기 상부 끼워 맞춤 구멍 "hu"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 "hd" 내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가 잠겨진다. 그리고, 잠금 레버(30)가 작동되고, 연결 부재(31)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캠(34)은 도7의 화살표 "f"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34)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잠금 핀(35a, 35b)은 각기 화살표 "g" 및 화살표 "h"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서, 천정판부(3b) 및 바닥판부(3c)를 포함하는 상부 끼워 맞춤 구멍 "hu"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 "hd"와의 잠금 핀(35a, 35b)의 끼워 맞춤 결합이 각각 해제되어, 잠금이 취소된다.
(후단 에지 조절 부재용 이동 안내부의 구성)
또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36)이 제공되고, 피니언 기어(36a, 37b)가 이러한 회전축(36)의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또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천정판부(3b) 및 바닥판부(3c) 내에는, 피니언 기어(37a, 37b)와 맞물리도록 래크부(38a, 38b)가 제공되며, 래크부(38a, 38b)는 용지 이송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상 및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의 천정 및 바닥에 제공되는 피니언 기어(37a, 37b) 및 래크부(38a, 38b)로 인해,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가 수직 방향으로 어떠한 기울기 또는 편향 없이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바닥판부(3c) 내에 형성된 상부 끼워 맞춤 구멍 "hu"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 "hd"와 바닥에 제공되는 잠금 핀(35a, 35b)의 천정판부(3b)의 결합은 천정부와 바닥부 사이에서 어떠한 위상 쉬프팅 없이 잠금 레버(30)의 작동을 통해 잠금/해제될 수 있고,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심지어 많은 양의 용지가 적재되는 경우에도 편향되지 않는다. 그 결과,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의 상부에서 정확한 용지 적층제의 위치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단 에지 조절 부재의 천정 및 바닥에는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피니언 기어(37a, 37b) 및 천정과 바닥 사이의 위상 정합을 이루기 위해 동일한 위상 정합 기구를 제공하도록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래크부(38a, 38b)가 제공되고, 또한, 두 개의 위치 설정용 핀이 상부 및 하부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를 견고하게 잠그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단 에지 조절 부재(21)는 용지의 중량 등에 의해 편향되지 않는다. 또한, 심지어 용지 적층제가 용지 저장부(3a)에 순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용지의 후단 에지를 신뢰성있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어긋난 급송 및 미급송 등을 완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용지를 안정된 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미끄럼 조절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
도8a, 도8b 및 도8c는 비기준측 측면 조절판(20)에 대한 지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기준측 측면 조절판(19)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9a 및 도9b는 용지 수납 장치(3)의 저면도이다.
도8a, 도8b, 도8c,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부재(23)에는 두 개의 측면 조절판(19, 20) 및 급송 데크의 프레임(26a, 26b) 사이에 위치한 아암 부재(25a, 25b)가 제공되고, 인접 부재인 이들 아암 부재(25a, 25b)는 기판 부재(23)가 이동할 때 급송 데크 주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26a, 26b)과 두 개의 측면 조절판(19, 20) 사이로 이동한다.
도8a, 도8b 및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적층제와 인접하는 용지 인접 표면의 대향하는 측면 상의 비기준측 측면 조절 부재판(20)의 배면의 상부에 있어서, 아암 부재(25a) 상에 제공되는 돌기부(251)와 인접하는 인접부를 구성하는 리브 형태(27)가 제공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리브 형태가 기준측 측면 조절 판(19)의 배면의 상부에 제공된다.
여기서, 리브 형태(27)는 예를 들면, 기준측 측면 조절 판(19) 및 비기준측 측면 조절 판(20)이 기판 부재(23)의 이동과 함께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지지 크기(LTR)의 용지를 조절하는 위치로부터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4 크기의 용지를 조절하는 위치로 이동할 때, 리브 형태(27)가 기판 부재(23)와 함께 이동된 아암 부재(25a)의 돌기부(251)와 인접하도록 하는 형태(계단부)를 가진다.
그리고, 기준측 측면 조절 판(19) 및 비기준측 측면 조절 판(20)이 A4 크기의 용지를 조절하는 도8b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기판 부재(23)와 함께 이동된 아암 부재(25a) 및 리브 형태(27, 예를 들면, 돌출하는 계단부)가 서로 인접함으로써, 두 개의 측면 조절 판(19, 20)은 아암 부재(25a, 25b)에 의해 배면 측면으로부터 지지된다. 아암 부재(25a, 25b)가 프레임(26a, 26b)과 인접하기 때문에, 위치 설정이 두 개의 측면 조절 판(19, 20) 상에서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심지어 많은 양의 용지가 적재되는 경우에도, 두 개의 측면 조절 판(19, 20)이 배면 측면을 향해 편향될 위험은 없어진다. 그 결과, 두 개의 측면 조절 판(19, 20)의 상부에서도 위치 설정이 용지 적층제 상에서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조절 판의 작동)
이어서, 적재되는 용지를 변화시킬 때 세 개의 조절 판(19, 20, 21)의 작동이 설명된다. 여기서, 적재된 용지가 편지지 크기(215.9mm 폭 ×279.4mm 길이)로부터 A4 크기(210mm 폭 ×297mm 길이) 및 규정 크기(215.9mm 폭 ×355.6mm 길이)로 변화될 때의 작동이 설명된다.
도5는 편지지 크기의 용지가 적재될 때 3개의 조절 판(19, 20, 21)의 각각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 급송 위치와 후단 에지 조절 판(21) 사이의 거리는 대략 279.4mm로 설정되고, 측면 조절 판(19, 20) 사이의 거리는 대략 216mm로 설정된다.
A4 크기의 용지가 적재될 때, 사용자는 후단 에지 조절 판(21)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도5의 화살표 "e"에 표시되는 방향으로 잠금 레버(30)를 회전시키고, 도9a에 도시된 A4 크기의 위치로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작동 레버(22)를 이동시킨다. 작동 레버(22)가 이렇게 이동될 때, 후단 에지 조절 판(21)은 기판 부재(23)에 의해 도5의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에 후단 에지 조절 판(21)의 이동량은 대략 17.6mm 이고, 후단 에지 조절 판(21)이 전술된 것처럼 이동할 때, 후단 에지 조절 판(21) 상에 형성된 잠금 핀(35a, 35b)은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 내로 끼워진다. A4 크기의 용지가 적재될 때, 용지의 선단 에지는 용지 급송 위치에서 설정된다.
작동 레버(22)가 전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두 개의 측면 조절 판(19, 20)은 기판 부재(23) 내에 제공된 슬릿(24a, 24b)의 형태에 순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어서 용지 크기가 A4 크기로 설정될 때, 두 개의 조절 판(19, 20) 모두는 편지지 크기의 위치로부터 대략 3mm 만큼 내향으로 이동하고, 측면 조절 판(19, 20) 사이의 거리는 대략 210mm가 된다.
기판 부재(23)가 작동 레버(22)의 이러한 작동을 통해 이동할 때, 기판 부재(23)에 장착되는 아암 부재(25a, 25b)는 프레임(26a, 26b) 및 측면 조절 판(19, 20)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도8b에 도시된 A4 크기의 위치에서, 측면 조절 판(19, 20) 상에 제공된 리브 형태(27)는 하부 기판 부재(23)의 슬릿(24a, 24b)의 형태와 유사하게 편지지 크기의 경우와 비교할 때 3mm 만큼 오프셋되어, 측면 조절 판(19, 20)이 대략 3mm 만큼 내향으로 이동시에, 측면 조절 판(19, 20) 상에 제공되는 리브 형태(27)의 돌출 계단부 및 아암 부재(25a, 25b)는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 때에, 아암 부재(25a, 25b)의 대향 측면은 프레임(26a, 26b)과 일정하게 접촉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측면 조절 부재(19, 20)는 아암 부재(25)를 통해 프레임(26a, 26b)에 의해 배면 측면를 향한 편향에 대해서 조절되어, 용지(S)가 삽입될 때, 심지어 측면 조절 판(19, 20)이 용지(S)의 중량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측면 조절 판(19, 20)은 편향되지 않고, A4 크기의 용지를 정확하게 적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4 크기로부터 규정 크기로 변화시킬 때, A4 크기의 위치로부터 규정 크기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 레버(22)는 도9a에 도시된 화살표 "i"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작동 레버(22)의 이러한 작동을 통해, 후단 에지 조절 판(21)은 58.6mm 만큼 이동하고, 측면 조절 판(19, 20)은 3mm 만큼 외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심지어 측면 조절 판(19, 20)이 이렇게 이동되는 경우에도, 비기준측 측면 조절 판(20)이 용지(S)의 중량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아암 부재(25a)는 비기준측 측면 조절 판의 리브 형태(27)와 인접함으로써 또한 규정 크기의 용지도 정확하게 위치 설정을 행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절 판(19, 20, 21)은 위치 설정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 부재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적재된 용지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되게 하는 용지 수납 장치 및 이러한 용지 수납 장치를갖춘 용지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4)

  1. 용지 수납 장치의 주 본체 내에 제공되고 그 위에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과,
    상기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적재된 용지의 에지와 인접하도록 구성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용지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에 대한 상부 및 하부 측면 상에서 상기 조절 부재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수단은
    상기 주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위치 내에서 상기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끼워 맞춤부와,
    상기 조절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설정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용지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워 맞춤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부재를 상기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이고, 상기 위치 설정 부재는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핀을 상기 끼워 맞춤 구멍과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작동 수단을 갖고, 상기 작동 수단은
    작동 수단의 작동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핀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과 끼워 맞춤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 핀은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내의 상기 용지 적재 수단 내에 용지를 삽입시키기 위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도어를 갖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주 본체의 심부측에 배열되며, 상기 위치 설정 부재를 상기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상기 작동 수단은 도어 측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기어가 상기 조절 부재의 대향하는 단부에 동축으로 제공되고, 서로 동일한 위상 및 동일한 형태의 래크부가 상기 주 본체 내에 제공되며, 상기 래크부는 상기 기어와 각기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조절 부재의 상부 및 하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래크는 각기 상기 주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9. 용지 저장부 내에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적재 테이블과,
    용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용지 적재 테이블 상에 적재된 용지의 에지와 인접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조절 부재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잠금 핀과,
    용지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 핀이 끼워지는 끼워 맞춤 구멍을 포함하는 용지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은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용지 적재 테이블 상에 적재된 용지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잠금 핀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 내로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핀을 상기 끼워 맞춤 구멍과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갖고, 상기 작동 수단은
    잠금 레버의 작동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핀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과 끼워 맞춤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 핀은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저장부 내의 상기 용지 적재 테이블 내에 용지를 삽입시키기 위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도어를 갖고, 상기 조절 부재는 용지 저장부의 심부측에 배열되며, 상기 잠금 핀을 상기 끼워 맞춤 구멍과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상기 잠금 레버는 도어 측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조절 부재 내에 제공되고, 피니언 기어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고, 래크부가 상기 조절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용지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 내에 제공되며, 상기 래크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수납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지 수납 장치와 용지 수납 장치 내에 저장된 용지를 내보내기 위한 용지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4. 제13항에 따른 용지 급송 장치 및 상기 용지 급송 장치에 의해 급송된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65378A 2001-10-26 2002-10-25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490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8695A JP2003128270A (ja) 2001-10-26 2001-10-26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328695 2001-10-26
JP2001328696 2001-10-26
JPJP-P-2001-00328696 2001-10-26
JP2002173030A JP3913117B2 (ja) 2001-10-26 2002-06-13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173030 2002-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45A true KR20030035945A (ko) 2003-05-09
KR100490079B1 KR100490079B1 (ko) 2005-05-17

Family

ID=2734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378A KR100490079B1 (ko) 2001-10-26 2002-10-25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1848B2 (ko)
EP (1) EP1306327B1 (ko)
KR (1) KR100490079B1 (ko)
CN (1) CN1213347C (ko)
DE (1) DE602152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9006B2 (en) * 2002-08-29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58258B2 (ja) * 2003-07-24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外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04002646A1 (de) * 2004-01-17 2005-08-04 Nexpress Solutions Llc Vorrichtung zur Ausrichtung eines Stapels von Bögen
JP4446862B2 (ja) * 2004-11-09 2010-04-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給紙装置
US20060244197A1 (en) * 2005-04-29 2006-11-02 Ecr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imaging plates and/or delivering imaging plates to an imaging system
JP4659661B2 (ja) * 2006-03-31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5288B2 (ja) * 2006-06-29 2011-04-2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収納装置
JP4773983B2 (ja) * 2007-01-26 2011-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62158A (ja) * 2007-09-07 2009-03-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78463B2 (ja) * 2008-11-06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78478B2 (ja) * 2008-11-28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56204B1 (ko) * 2009-01-05 2015-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급지유닛
JP2011032062A (ja) * 2009-08-03 2011-02-1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32063A (ja) * 2009-08-03 2011-02-1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のシート分離方法
JP5693308B2 (ja) 2011-03-16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3983B2 (ja) 2011-03-30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32123B2 (ja) 2011-04-08 2015-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17084B2 (ja) 2011-10-21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5327B2 (ja) 2012-11-05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53404B2 (ja) 2013-07-12 2017-06-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137983A (ja) * 2015-01-29 2016-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94370B2 (ja) 2015-03-3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40382B2 (en) 2015-04-13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01494B1 (en) * 2016-05-04 2017-07-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wo axis media guide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JP6758942B2 (ja) 2016-06-17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CN107244570A (zh) * 2017-06-16 2017-10-13 深圳市海和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打印机
JP2021038080A (ja) 2019-09-05 2021-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31549B1 (de) * 1977-03-04 1979-12-27 Frank Fichte Vorrichtung zum seitlichen ausrichten des bogenstapels
US4697803A (en) * 1984-05-15 1987-10-06 Sanyo Electric Co., Ltd. Sheet member feeding cassette
US4780740A (en) * 1985-04-02 1988-10-25 Kentek Information Systems, Inc. Paper feeding cassette for a printing apparatus
DE3536859A1 (de) * 1985-10-16 1987-04-16 Jagenberg Ag Einrichtung zum stapeln von boegen
JPH0640196Y2 (ja) * 1986-11-20 1994-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整合機能付紙葉収納装置
US4786042A (en) * 1987-04-01 1988-11-22 Xerox Corporation Adjustable size sensing sheet cassette
JPH02100930A (ja) * 1988-10-04 1990-04-12 Minolta Camera Co Ltd ユニバーサル用紙カセット
US5215303A (en) * 1990-07-06 1993-06-01 Konica Corporation Sheet alignment device for a copy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standby position
JPH04104480A (ja) * 1990-08-21 1992-04-06 Toyo Takasago Kandenchi Kk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4350024A (ja) * 1991-02-13 1992-12-04 Konica Corp 画像記録装置の給紙トレー
US5188351A (en) * 1991-10-04 1993-02-23 Hewlett-Packard Company Multi-size paper cassette having a sheet size indicator
JP2785547B2 (ja) * 1991-10-15 1998-08-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サイズ検出装置
JPH05278870A (ja) * 1992-04-01 1993-10-26 Konica Corp ユニバーサル給紙カセット
JPH0624578A (ja) * 1992-07-06 1994-02-01 Copyer Co Ltd シート積載装置
JPH06156762A (ja) * 1992-11-27 1994-06-03 Xerox Corp 大容量二重トレイ可変シートサイズのシート供給装置
JP2567333B2 (ja) * 1993-03-26 1996-12-25 三田工業 株式会社 複写紙カセット
KR0140628B1 (ko) * 1994-06-24 1998-07-15 김광호 급지카세트
JP3110662B2 (ja) * 1994-11-07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714839B1 (de) * 1994-11-28 1998-08-05 Elpatronic Ag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oder Umrüstung einer Zargenschweissmaschine sowie ein modulares Magazin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5539512A (en) * 1995-07-28 1996-07-23 Hewlett-Packard Company Multi-range media size visual indicator
JPH10157857A (ja) * 1996-11-27 1998-06-16 Konica Corp ユニバーサルカセ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1159921A (ja) * 1997-08-28 1999-03-02 Canon Inc シート材収納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63451A (ja) * 1998-03-18 1999-09-28 Copyer Co Ltd ユニバーサルカセット
JP2000034022A (ja) * 1998-07-21 2000-02-02 Canon Inc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19328A (ja) * 1999-01-27 2000-08-08 Canon Inc シート収納カセットと該カセ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309431A (ja) * 1999-04-23 2000-11-07 Canon Inc シート収納庫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318843A (ja) 1999-05-10 2000-11-21 Canon Inc シート積載カセットとこのカセ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06886B2 (ja) * 1999-07-02 2007-04-18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
US6302390B1 (en) * 1999-12-20 2001-10-16 Xerox Corporation Sheet stacking tray with stacking guides system for a wide range of sheet sizes
TW510626U (en) * 2001-07-02 2002-11-11 Avision Inc Connecting rod type paper plate structure
US6619656B2 (en) * 2002-01-25 2003-09-16 Hewlett-Packard Company, L.P. Paper tray with automatically adjusting guides
US6612564B1 (en) * 2002-03-29 2003-09-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tray for imaging apparatus
US6688592B1 (en) * 2002-07-30 2004-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per tray for a printing mechanism
US6669188B1 (en) * 2002-08-06 2003-12-30 Xerox Corporation Multi-positional, rotatable/large substrate backstop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347C (zh) 2005-08-03
DE60215284D1 (de) 2006-11-23
DE60215284T2 (de) 2007-04-05
KR100490079B1 (ko) 2005-05-17
EP1306327A2 (en) 2003-05-02
US6871848B2 (en) 2005-03-29
CN1414433A (zh) 2003-04-30
US20030080497A1 (en) 2003-05-01
EP1306327B1 (en) 2006-10-11
EP1306327A3 (en)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079B1 (ko) 용지 수납 장치, 용지 수납 장치가 제공된 용지 급송 장치및 화상 형성 장치
EP1295824B1 (en) Sheet containing device and sheet feeder hav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3932B2 (ja) シート給紙装置
JP2010083645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96173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72188B2 (en) Sheet storing apparatus,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853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9211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913117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43717A (ja) 積載装置、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115212A (ja) シート収納装置、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18845A (ja) カセット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3860987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03128270A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01232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97076A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333916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110187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1407A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18843A (ja) シート積載カセットとこのカセ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0117388A (ja) 給紙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2009149421A (ja) 給紙トレイと該給紙トレイを装着した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2960A (ja) 給紙装置
JPH04148732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JP2018154491A (ja) シート供給機構、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