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494A -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494A
KR20030001494A KR1020027015321A KR20027015321A KR20030001494A KR 20030001494 A KR20030001494 A KR 20030001494A KR 1020027015321 A KR1020027015321 A KR 1020027015321A KR 20027015321 A KR20027015321 A KR 20027015321A KR 20030001494 A KR20030001494 A KR 2003000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film
thickness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543B1 (ko
Inventor
코이케카쯔히코
시노자키테쯔노리
오카무라토모유키
키타가와토시히사
후쿠다신
사이고히로아키
모로하시마코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9Optic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913Anti-reflection, anti-glare, viewing angle and contrast improving treatment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8Passive shielding means of vessels
    • H01J2329/869Electromagne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8Passive shielding means of vessels
    • H01J2329/8695Mechanical shielding, e.g. against water or abra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9Optical compon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the vessel
    • H01J2329/892Anti-reflection, anti-glare, viewing angle and contrast improv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10T442/126Including a preformed film, foil,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9Coating or impregnation provides protection from radiation [e.g., U.V., visible light, I.R., micscheme-change-itemave, high energy particle, etc.] or heat retention thru radiation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비용저감을 도모하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설치했을 경우, 내충격성 등의 안전기준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특정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특정의 두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한다. 특정의 영률과 특정의 두께의 투명 점착층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한다. 특정의 영률과 특정의 두께의 투명 수지층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한다. 특정의 침입도와 특정의 두께의 충격 흡수층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AMINATED BODY}
근년, 사회가 고도화함에 따라, 광일렉트로닉스 관련 부품, 기기는 현저하게 진보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는, 종래의 텔레비전 장치용에 부가해서, 컴퓨터 모니터 장치 및 정보 단말장치 용도에 눈부시게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디스플레이의 대형 또한 박형화, 또는 휴대 용도를 목적으로 한 소형·경량화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휴대 용도를 목적으로 한 소형화를 추진함으로써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부상한다.
디스플레이의 시인면(視認面)은 통상 유리판으로 되어 있다. 유리판은 그 면적이 커질수록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아 갈라지기 쉬워진다. 또한, 휴대해서외부에서 가지고 다니는 일이 많아질수록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을 기회가 증가하여, 갈라지기 쉬워진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일본의 전기 용품 단속법에 따라 규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브라운관의 보호에 관해서는, 최대부 직경(직사각형의 경우는, 대각선 길이)의 공칭 치수가 160㎜를 넘는 브라운관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는, 브라운관을 캐비넷에 정상적으로 넣은 상태에서, 브라운관의 앞면에, 직경이 50㎜, 중량이 500g인 강구(steel ball)를 높이 1,400㎜로부터 진자 형상으로 떨어뜨렸을 때에, 이하에 적합할 필요가 있다. 즉, (1) 보호판이 접합 유리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는, 앞면에 파편이 흩날리지 않을 것, (2) 보호판이 보강 유리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는, 금, 균열 등의 이상을 일으키지 않을 것, (3) 브라운관이 보호판을 가지지 않는 것에 있어서는, 앞면에 파편이 흩날리지 않을 것 등이다.
브라운관의 기계적 강도에 관해서는, 최대부 직경(직사각형의 경우는, 대각선길이)의 공칭 치수가 160㎜를 넘는 브라운관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는, 브라운관(보호판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는, 보호판을 포함함)을 기계적 방법 또는 열충격법에 의해 파괴했을 때, 브라운관의 전방 900㎜ 및 1,500㎜ 거리에 마련한 장벽간에 비산한 유리의 파편의 중량은, 단편으로 15g이하, 총중량으로 45g이하이며, 또한, 중량이 1g을 넘는 파편은, 브라운관 전방 1,500㎜ 거리에 마련한 장벽을 넘지 않는 것이다.
기계적 강도를 가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UL(Underwriters Laboratories Inc.)규격에 의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일례로서는 낙하 시험을 들 수 있다. 이 시험에서는 표시 소자를 판 위에 750㎜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판은, 두께 20㎜의 단단한 나무의 판이다. 두께 20㎜의 판을 2매 합해서 얻어진, 맞댐판을 콘크리트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판을 설치한다.
대형 또한 박형화를 실현할 수가 있는 디스플레이로서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가세해, 최근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 주목을 끌고 있어 차세대의 대형 디스플레이로서 기대되고 있다.
PDP는, 통상, 그 시인면에 광학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 필터는, PDP 본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단(즉, 차폐)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그 광학 필터는 PDP 본체의 발광색을 바람직한 색조로 변경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가 많다.
광학 필터는, 유리판 또는 수지판으로 이루어진 투명 지지 기재에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PDP는, 광학 필터의 투명 지지 기재가 앞면 보호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본의 전기 단속법으로 정해져 있는 안전성 기준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PDP를 시장에 보급시키기 위해서, 제조비를 큰 폭으로 저하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 광학 필터에 대해서도 비용 저감이 요구되고, 투명 지지 기재의 재료비, 낱장공급(sheet-feeding) 방식에 의한 제조비 등이 검토 사항으로 된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통상, 시인면에 편광판, 위상차판 및 반사방지 기능을 가지는 필름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이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을 가지므로, 지금까지의 LCD는 일본의 전기 단속법으로 정해져 있는 안전기준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LCD의 화면 크기는 20인치까지가 일반적이지만,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대한 시장 요구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LCD의 새로운 대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으로 되는 유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갈라지기 쉬워져, 지금까지의 수법의 상태로는, 디스플레이가 일본의 전기 단속법 등으로 규정되는 안전성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소형 휴대단말 용도의 LCD는, 빈번하게 가지고 다니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떨어뜨리거나 부딪치거나 함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기회가 많다. 이들은, 시인면에 설치된 편광판 및 반사 방지 기능 필름이 가지는 보호 기능에 의해, 어느 일정한 크기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은 가지고 있지만, 불충분하다. 실제, 휴대단말 메이커가, 유저로부터 받는 불평의 대부분은, LCD가 갈라진다고 하는 현상에 기인하고 있다.
유기 EL디스플레이(OELD) 및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에 관해서도, LCD의 경우와 같이, 대형화를 도모하면 유리 기판이 갈라지고 쉬워지기 때문에, 일본의 전기 단속법으로 규정된 안전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어렵다. 소형 휴대단말 용도에 있어서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분열이 문제가 된다. 특히 OELD, FED의 경우는, LCD가 가지고 있던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보호 부재가 감소하고 있어, LCD에 비해 유리 기판이 갈라지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설치했을 경우, 내충격성 등의 안전기준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디스플레이(OELD), 전계방출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설치했을 경우, 기계적 강도의 보강, 파손에 대한 보호, 전자파의 차폐, 근적외선의 차폐, 색조의 변경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적층체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투명 도전막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OELD에 장비한 상태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OELD에 장비한 상태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PDP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OELD에 장비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충격시험으로 얻어진 파라미터가 특정의 범위를 가지는 적층체 및 투명 점착층과 투명 수지층과 필요에 따라서 충격 흡수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에 있어서,
투명 점착층의 영률(즉, 신장 탄성률)이 특정의 범위에 있는 것;
투명 수지층의 영률이 특정의 범위에 있는 것;
충격 흡수층의 침입도가 특정의 범위에 있는 것; 및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이 합계 2층 이상이며, 그 JIS-A경도가 특정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중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적층체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고 하는 식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이하에 나타낸 사항에 의해 특정되는 발명에 의해 해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투명 점착층과 투명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두께가 3.5㎜이하인 적층체에 있어서,
중량이 530g 내지 550g의 범위에 있는 강구를 10㎝의 높이로부터 낙구시키는 낙구 충격시험에 있어서의 응력-시간 곡선에 있어서, 충격 응력 발생으로부터 제 1의 피크까지의 사이 T(μs)와, 제 1의 피크시의 충격 응력 F(kN)와의 사이에,
T/F ≥ 200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적층체가 충격 흡수층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 이상의 투명 점착층과, 1층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적층체에 있어서,
(I)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2내지 1×1O6Pa, 두께가 10 내지 500㎛임;
(II)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3내지 1×1O8Pa , 두께가 10 내지 3,000㎛임;
(III)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고, 해당 충격 흡수층의 적어도 1층의 침입도가 50 내지 200임; 및
(IV)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을 합계 2층 이상 가지고, 그 중, JIS-A 경도의 비가 1.1이상인 관계에 있는 2층이 존재함
중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이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이,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투명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격 흡수층이, 실리콘계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의 각각의 JIS-A경도가 0 내지 9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0.01 내지 30Ω/□의 면저항을 가지는 투명 도전층 또는 금속메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반사 방지 기능, 방현기능, 오염방지기능, 정전 방지 기능, 편광 기능 및 위상차형성 기능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이, 전자파의 전체 영역, 근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적어도 1개 전자파를 필터링하는 필터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적층체를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적층체는, 투명 점착층과, 투명 수지층과, 필요에 따라서 충격 흡수층으로 형성되고, 중량이 530g 내지 550g의 범위내에 있는 강구를 10㎝ 높이로부터 낙구시키는 낙구 충격시험에 의해 평가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필터는 상기 충격시험에 의해 얻어진 응력-시간 곡선에 있어서 충격 응력 발생으로부터 제 1의 피크까지의 시간 T(μs)와, 제 1의 피크시의 충격 응력 F(kN)와의 사이에 이하의 관계:
T/F ≥ 200
을 충족시키고 있다.
측정은, 스톤테이블 등의 딱딱하고 안정적인 수평면 위에 압축형 로드셀(정격용량: 20kN; 정격출력: 1160*10-6strain)(닛케이전측사 제품; LC-20KNG702)을 고정하고, 로드셀위의 중앙부에 5㎝평방의 샘플 필름을 고정하고, 실온하, 530 내지 550g의 강구를 10㎝ 높이로부터 낙하시켜서 실시한다. 그 때의 응력과 시간이란, 상기 로드셀과, 동변형계(dynamic strain meter)(AS2102형; NEC 산에이사 제품), 고속 DC앰프(AP11-103형; NEC 산에이사 제품) 및 서멀 닷 레코더(RA1200형; NEC 산에이사 제품)를 접속해서 측정한다.
통상, 내충격성을 높이려면 충격 응력을 저감하는 것이 큰 요인이라고 생각되지만, 응력 뿐만 아니라 충격의 발생시간도 고려한 상기 "T/F"값도, 내충격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내충격성 파라미터 "T/F"값은 200이상, 바람직하게는 23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이상이다.
상기 "T/F"값이 200 미만이 되면, 후술하는 PDP 패널 등의 표시부재에 장착 사용할 때에 상기 부재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져, 실용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있다. 또한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적층체는 매우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어, 상술한 일본의 전기 용품 단속법이나 UL규격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의 적층체는, 투명 점착층과, 투명 수지층과, 필요에 따라서 충격 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I) 투명 점착층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2내지 1×1O6Pa, 두께가 10 내지 500㎛임;
(II)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3내지 1×1O8Pa , 두께가 10 내지 3,000㎛임;
(III) 충격 흡수층의 적어도 1층의 침입도가 50 내지 200임; 및
(IV)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이 합계 2층 이상이며, 각 층의 JIS-A경도의 비가 1.1이상임
중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하, 제 1, 제 2의 적층체의 각 층에 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투명 점착층)
투명 점착층의 영률은 1×1O2내지 1×1O6Pa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투명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투명 점착층은 낮은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표시 소자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시인면의 유리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갈라진 유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시인면에 전달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명 점착층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충격력을 완화해서, 상쇄시키도록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투명 점착층의 탄성을 가능한 한 낮게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갈라진 유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리조각이 투명 점착층과의 사이에 가지고 있는 밀착력을 넘어, 유리가 튀어 나가려고 하지 않게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그를 위해서는, 점착제 자체가 변형되어, 유리조각이 튀어 나가려고 하는 힘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도록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점으로부터도 투명 점착층의 탄성을 가능한 한 낮게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층의 탄성으로서는, 영률이 1×1O2내지 1×1O6Pa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O2내지 1×1O5Pa,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1O2내지 1×1O4Pa이다.
투명 점착층의 영률이 너무 큰, 즉 1×1O6Pa 보다도 크게 되면, 표시 소자에 대해서 시인면 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표시 소자 전체에 기계적 강도가 가해졌을 때에, 상기 투명 점착층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시인면의 기판 유리가 깨지기 쉬워지거나 비산하기 쉬워진다.
한편, 투명 점착층의 영률이 너무 작은, 즉 1×1O2Pa 보다도 작아지면, 투명 점착층 자체가 파단하기 쉬워져, 갈라진 유리의 비산 방지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층은 가능한 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한"이란, 두께 100㎛의 경우에 가시광선시감 평균 투과율이 50%이상인 것을 말한다.
투명 점착층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상술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으면 특히 지장은 없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비닐계 점착제 등이다. 그 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는, 원래 탄성이 낮은 재료를 원료로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지우고 있는 것 같은 낮은 영률의 층을 제작하기 쉽고, 또 투명성이 높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투명 점착제의 두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이다. 두께가 너무 두꺼운, 즉 500㎛ 보다도 크게 되면 투명성을 잃게 된다. 또한 두께가 너무 얇은, 즉 1O㎛보다도 작아지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없다.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는 염가이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 폴리머를 주원료로 하고, 아크릴계 점착제는 기본 구성의 모노머 종류를 용액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용액 중합은 통상, 에스테르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톤류 등의 유기용제중에서 아크릴 모노머를 과산화물, 아조계의 촉매를 이용해서 중합한다. 최종 용도나 요구되는 성능에 의해, 용제나 모노머 조성 농도 등이 정해진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비가교형과 가교형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비가교형은 도공·건조해서 그대로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타입으로,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비가교형은, 일반적으로는 응집성 부족으로 되어, 탄성을 얻기 어렵다.
응집성을 부여하고, 탄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공중합 모노머의 종류와 양적 변화와, 외부로부터 다른 폴리머나 페놀 수지 등의 수지류를 첨가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바람직한 응집성, 점착성 및 접착성을 겸비하도록 설계된다.
응집성의 부여에는, 중합도보다도 오히려 공중합 모노머에 의존하는 것이 현저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중합 모노머중, 응집 성분과 개질 성분과의 선택으로 되어, 쌍방의 밸런스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는 응집 성분은 아세트산 비닐이 적합한 모노머이며, 개질 성분으로서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시산함유 모노머가 선택된다.
또한, 응집성을 부여하기 위한 타입으로서, 가교형이 있다. 가교형에 있어서는, 가교도를 변화시켜 응집성, 점착성 및 접착성의 밸런스를 취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종래 이용되고 있는 배합예를 예시하면, 아세트산 비닐, 옥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무수 말레산이다.
여기서 응집성을 좌우하는 성분은, 아세트산 비닐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 성분의 함유 비율을 저하시켜, 응집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낮은 투명 점착층을 얻을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는, 내열성이 높으므로 내열성이 필요한 용도에 있어서 특히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적 특성, 내수성, 내습성 및 내후성이 양호한 데다가, 저표면 에너지, 고표면 에너지의 어느 피착체에도 잘 접착한다.
실리콘 점착제의 구성은, 고무형상 실리콘과 수지형상 실리콘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점착제의 건조 필름은 점착성을 나타내지만, 낮은 응집성이다. 이 때문에, 가교가 필요하고, 이것에 의해 적당한 탄성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정한다. 통상 250℃에서의 가열, 또는 과산화 벤조일과 같은 과산화물을 가하여 150 내지 170℃에서 5 내지 15분 가열한다.
실리콘계 점착제의 종래 이용되고 있는 배합예를 나타내면, (a)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수지, (b) 페닐 비닐 실록산 수지, (c) 디메틸 디페닐 시클로 테트라 실록산 및 (d) 클로로플라틴산이다.
여기서 응집성을 좌우하고, 그 밖의 부재의 가교도, 그리고 투명 점착제의 탄성을 좌우하는 부제는, (d) 클로로플라틴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낮은 투명 점착제를 얻기 위해서는, (d) 클로로플라틴산의 함유량을 종래와 비교해서, 저하시키면 된다.
(투명 점착제의 형태 및 층 형성 방법)
투명 점착제의 형태는, 크게 나누어 시트형상의 형태와 액상의 형태로 나눌수 있다. 시트형상 점착제는, 통상, 감압형이며, 붙여진 한쪽의 부재에 점착제를 라미네이트한 후에, 또 한쪽의 부재를 라미네이트하는 일에 의해 2개의 부재의 접합을 실시한다.
액상 점착제는, 도포 접합 후에 실온 방치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타입이며, 액상 점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바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그라비야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을 들 수 있고, 점착제의 종류, 점도, 도포량 등으로부터 고려해서 선정된다.
투명 점착제를 이용해서 접합을 실시한 후에는, 접합시에 비집고 들어간 기포를 탈포시키거나 투명 점착제에 고용시키고, 또한, 부재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압, 가온 조건하에서 양생을 행해도 상관없다. 이 때, 가압 조건으로서는, 일반적으로 0.001에서 2㎫정도이며, 가온 조건으로서는, 각 부재의 내열성에도 의존하나, 일반적으로는 약 실온 이상, 약 80℃이하이다.
(투명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 탄성 및 두께에 의해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의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은, 1×1O3내지 1×1O8Pa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 탄성 및 두께로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은, 표시 소자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시인면의 유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갈라진 유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져,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역할을 완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수지층은, 투명 도전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하거나 색소를 함유시키거나 이용해서 적층체의 기재로 된다.
투명 수지층은, 투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두께 100㎛의 경우에, 가시광선 시감 평균 투과율이 50%이상인 것이다.
투명 수지층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그것을 전달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명 수지층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충격력을 완화하여, 상쇄하도록 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그를 위해서는, 투명 수지층의 면에 수직인 방향의 탄성을 목적에 맞추어 제한하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수지층의 면에 수직인 방향의 탄성으로서는, 영률이 1×1O3내지 1×1O8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O3내지 7×1O7Pa,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1O3Pa 내지 5×1O7Pa이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영률이 너무 큰, 즉 1×1O8Pa 보다도 크면, 표시 소자에 대해서 시인면 측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표시 소자 전체에 기계적 강도가 가해졌을 때에, 상기 투명 수지층에 있어서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여, 시인면의 기판 유리가 깨지기 쉬워지거나 비산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의 영률이 너무 작은, 즉 1×1O3Pa 보다도 작으면, 투명 수지층 자체가 파단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투명 수지층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상술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특히 지장은 없다. 구체적으로 재료를 예시하면,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화합물의 부가 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리덴 등의 비닐리덴 화합물, 불화 비닐리덴/트리 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 화합물 또는 불소계 화합물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폴리에테르,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부티랄의 기타 투명한 엘라스토머로서 실리콘 고무, 우레탄고무, 아크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연질 폴리염화비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등의 엘라스토머, 에틸렌계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혼합물의 가교체 등의 에틸렌계 투명 조성물,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다. 다만, 투명 수지층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재료에는 본래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실리카 등의 충전재, 가소제로서의 오일, 내열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성 등을 높일 목적으로 플라즈마 처리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이다. 두께가 너무 얇은, 즉 1O㎛ 보다도 작으면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없다. 한편, 두께가 너무 두꺼운, 즉 3,000㎛ 보다도 크면 광투과성이 부족한 일이 있다. 또한, 공정도 고려했을 경우, 너무 얇으면 광학 필터로서 이용할 경우에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고, 너무 두꺼우면 재료의 종류에도 의존하나 가요성이 제한되는 일이 있다.
두께가 50 내지 250㎛인 투명한 수지층은, 이른바 투명 고분자 필름이며, 가교성을 가지고 있어, 투명 도전막을 롤-투-롤(roll-to-roll)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또한, 길이가 긴 대면적의 투명 적층체를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두께가 250㎛이상인 투명 수지층은, 이른바 투명 고분자 시트이며, 낱장공급 방식에 의해, 도전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등을 형성할 수가 있다. 탄성이 낮은 경우는 롤-투-롤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의 표면을, 스퍼터링 처리,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등의 에칭 처리나, 프라임코팅 처리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층의 투명 수지층에 대한 밀착성을 미리 향상시켜도 된다. 또한, 투명 수지층과 투명 도전층과의 사이에 임의의 금속 등의 무기물층을 형성해도 좋고, 투명 도전막을 막형성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서 용제 세정 또는 초음파 세정 등의 방진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투명 적층체의 내찰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 쪽의 주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가 복수의 투명 수지층을 가지는 경우, 적어도 1개는, 상기의 특성을 지닐 필요가 있지만, 그 외의 층은 충격 흡수 능력을 좌우하는 파라미터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격 흡수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층은, 적층체 또는 광학 필터를 설치한 표시소자의 화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힘을 완화하여, 표시 소자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다.
(충격 흡수 능력 및 투명성)
충격 흡수층은, 적당한 충격 흡수 능력 및 투명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적당한 충격 흡수 능력을 가진다"란, 그 침입도(JIS K2207-1991-50g하중)의 값이, 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투명성을 가진다"란, 두께 100㎛의 경우에 있어서의 시감 평균 투과율의 값이, 40%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충격 흡수층의 두께는, 너무 얇으면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너무 두꺼우면 충분한 광투과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충격 흡수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이다.
충격 흡수층의 재료는, 상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재료이면 특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매우 적합한 재료로서,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 등의 겔을 들 수 있다.
이들 겔중, 특히 실리콘은, 겔상태로 이용함으로써, 그 침입도 및 시감 평균 투과율이 매우 적합한 값을 나타내는 충격 흡수층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겔내에 공기를 봉입해 두면, 충격 흡수 능력이 향상되어, 보다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충격 흡수층을 투명 수지층 위에 고정하는 경우, 통상, 점착제 등을 이용해서 이들 층을 함께 붙인다. 여기서 점착제 등은,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투명성을 가진다"란, 두께 25㎛의 상태에 있어서의 시감 평균 투과율이 50%이상인 것을 말한다. 또한, 점착제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구성내에서의 투명 수지층끼리의 접합, 혹은 광학 필터와 표시 소자의 화면과의 접합을 위해서 이용되는 투명 점착층을 이용할 수가 있다. 투명 점착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충격 흡수층에는, 반사 방지층 또는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특히 적층체 또는 광학 필터를 표시소자에 설치한 결과, 가장 표면이 되는 면에 충격 흡수층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사 방지층 또는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 및 방현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적층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는, 투명 수지층, 투명 점착층 및 필요에 따라서 충격 흡수층을 적층해서 구성되고, 충격 흡수층, 투명 수지층 및 투명 점착층은 각각 1층씩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각각 복수의 층이 존재해도 상관없다. 복수의 충격 흡수층이 존재할 경우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얻어진 효과는 충격 흡수층이 1층인 경우보다도 큰 경우가 있다.
이 때, 투명 수지층 및/또는 투명 점착층이 합계 2층 이상(A층, B층) 사용되는 경우, 그 JIS-A경도(JIS-K6301 규격)는, A층의 JIS-A경도(Ha)와 B층의 JIS-A경도(Hb)와의 사이에,
Ha/Hb ≥ 1.1
의 관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Ha/Hb ≥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Ha/Hb ≥ 1.25의 관계가 있다.
또한, Ha 및 Hb값은 0 내지 98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5이다.
유연한 재료의 경도 평가방법으로서, JIS-A경도 외에, 쇼어 A경도도 있다. JIS-A경도와 쇼어 A경도와는 거의 동일한 값이 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Hc 및 Hd값으로서 쇼어 A경도의 값을 이용해도 실질적으로 문제는 없다.
A층과 B층과의 위치 관계는 임의이지만, 경도가 높은 A층이 충격을 받기 쉬운 쪽, 예를 들면 표시장치에 장착했을 경우, 사람쪽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적층체는,
(I) 투명 점착층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2내지 1×1O6Pa, 두께가 10 내지 500㎛임;
(II)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3내지 1×1O8Pa , 두께가 10 내지 3,000㎛임;
(III) 충격 흡수층의 적어도 1층의 침입도가 50 내지 200임; 및
(IV)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이 합계 2층 이상이며, 각 층의 JIS-A경도의 비가 1.1이상임,
중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소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는, 표시 소자의 부재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적용 가능한 표시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디스플레이(OEL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등이다.
PDP의 경우는, 전자파 차폐 또는 색조 조정을 목적으로 한 광학 필터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LCD의 경우는,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및 방현성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OELD 및 FED의 경우는, 반사 방지 필름 및 방현성 필름으로서 주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대표예로서 PDP용 광학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PDP용 광학 필터)
PDP는, 통상 디스플레이 앞면부에 광학 필터를 장비하고 있다. 이것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원리상, 강한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장치 밖으로 방출하기 때문이다. 전자파는, 계기에 장해를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전자파가 인체에도 장해를 미칠 가능성도 있다라는 보고도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자파 방출에 관해서는, 법적으로 규제되는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일본에서는, VCCI(Voluntary Contro1 Council for Interference by data processing equipment electronic office machine)에 의한 규제가 있고, 미국에서는,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에 의한 제품 규제가 있다.
근적외선은, 무선 전화나 적외선 방식의 리모트 콘트롤러 등의 오동작을 일으킨다. 특히 문제가 되는 파장은, 800 내지 1,000nm이다. 이러한 전자파 및 근적외선의 방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광학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 광학 필터는, 필터 전체면에 걸쳐서 도전성이 있고, 게다가 투명성이 뛰어날 필요가 있다. 이들 요구를 충족시켜, 실용화된 광학 필터는, 크게 2종류로 나눌 수가 있다. 그중 1개는, 금속메시 타입으로 불리고 있는 것으로, 기재 전체면에 가늘게 금속을 격자모양으로 배치시킨 것이다. 이것은, 도전성이 뛰어나, 뛰어난 전자파 차폐 능력을 가지지만, 근적외선 반사능력 및 투명성이 뒤떨어진다. 또 하나는, 투명막타입으로 불리고 있는 것으로, 투명 도전성 박막을 기재 전체 면에 배치한 것이다. 투명 도전성 박막 타입의 광학 필터는, 금속메시 타입의 광학필터와 비교해서, 전자파 차폐 능력이 뒤떨어지지만, 근적외선 차폐 능력 및 투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용 필터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박막 타입 광학 필터는, 투명 지지 기재와 투명 도전성 박막 필름을 투명 점착제를 개재하여 접합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시장치 자체의 경량화나 안전성의 면으로부터, 투명 지지 기재로서는, 투명 고분자 성형체가,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투명 고분자 성형체는, 열이나 습기의 영향을 받아 변형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유리가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반사율 저감 기능, 방현기능 또는 조색(color toning) 기능을 가진 광학 필름을 투명 도전성 필름에 조합시켜서 접합한 것도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종래의 것과는 달리, 투명 지지 기재를 가지지 않는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광학 필터의 전자파 차폐 능력은, 광학 필터의 면저항값이 낮을수록 뛰어나다. 투명 도전성 박막 타입 광학 필터에 관해서는, 저항이 낮은 금속박막층을 적층해서, 투명 도전성 박막을 얻는 것이 통상 행해진다. 그 중에서도, 순수물질 중에서 가장 비저항이 낮은 은으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투과율 상승 및 금속박막층의 안전성 향상의 목적으로, 금속박막층을 투명고굴절률 박막층사이에 끼워넣어, 투명 도전성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전자파 차폐에 이용하는 광학 필터에 있어서는, 외부 전극을 이용해서, 투명 도전성 박막층과 외부와의 도통을 얻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학 필터의 구성은, 필요한 기능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필터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에 모든 기능을 부여해도 되고,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층을 복수개 조합시켜도 상관없다. 광학 필터의 기능이 1층의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에 형성되는 경우, 투명 점착층은 광학 필터를 PDP의 시인면에 붙이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광학 필터가 2매 이상의 투명 고분자 필름을 조합시켜서 구성되는 경우, 투명 점착제는 광학 필터를 PDP시인면에 붙이기 위한 투명 점착층 또는 각 고분자 필름끼리를 붙이기 위해서 이용된다.
광학 필터의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A/B/H/E/I, A/B/H/E/C/F/I, A/B/E/H/C/F/I, A/B/H/E/C/F/D/G/I, A/B/E/H/C/F/D/G/I 등.
이들 예에 있어서, (A)는 PDP의 시인면, (B), (C) 및 (D)는 투명 점착층, (E), (F) 및 (G)는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 (H)는 투명 도전성 박막, (I)는 반사 방지막이다.
1개의 투명 점착층만 이용해도, 두께가 어느 일정치 이상이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투명 점착층 모두에, 낮은 탄성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투명 점착층을 이용하면, 각각의 투명 점착층의 두께가 작아도, 내충격성에 관해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개의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만 이용해도, 두께가 어느 일정 이상이면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투명 수지층 모두에, 낮은 탄성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투명 수지층을 이용하면, 각각의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작아도, 내충격성에 관해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PDP용 광학 필터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어느 것의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에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이란, 단층 또는 다층 박막으로 이루어진 투명 도전층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필름의 주면상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투명 적층체라고 한다. 고분자 필름은, 상술한 투명 수지층외에, 영률이 1×1O8이상인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한 예로서 2축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 셀룰로스 등을 들 수가 있다.
단층의 투명 도전층으로서는, 상술한 도전성 메시, 도전성 격자모양 패턴막, 금속박막 또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이 있다.
다층의 투명 도전층으로서는,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 박막을 적층한 다층 박막이 있다.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 박막을 적층한 다층 박막은, 이하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즉, 은 등의 금속박막은, 도전성을 가짐과 동시에, 금속의 자유전자에 의해 근적외선 반사 특성을 가진다. 또한, 고굴절률 투명 박막은, 금속박막에 있어서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의 반사를 방지한다고 하는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다층 박막은, 도전성, 근적외선 차단능력, 가시광선 투과율의 어느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자파 차폐능력 및 근적외선의 차단능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얻기 위해서는, 전자파 흡수를 위한 높은 도전성을 가지고, 근적외선 반사를 위한 반사계면을 많이 가지는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 박막을 적층한 다층 박막이 매우 적합하다.
그런데, VCCI에 있어서는, 업무용도의 규제치를 나타내는 등급(Class) A에서는 방사전계강도 50dBμV/m미만이며, 가정용도의 규제치를 나타내는 등급 B에서는 40dBμV/m미만이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방사전계강도는 20 내지 90㎒ 대역내에서, 대각 20인치형 정도에서 40dBμV/m, 대각 40인치형 정도에서 50dBμV/m를 초월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대로는 가정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방사전계강도는, 그 화면의 크기 및 소비 전력이 클수록 강하고, 차폐 효과가 높은 전자파 차폐재가 필요하다.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과 낮은 가시광선 반사율에 가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전자파 차폐능력을 가지려면 , 투명 도전층이, 면저항 0.1 내지 30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Ω/□의 저저항인 도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반사율"이란, 투과율 및 반사율의 파장 의존성으로부터 JIS (R-3106)에 따라 계산되는 것이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발하는 강한 근적외선을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까지 차단하려면 , 디스플레이용 필터의 근적외선 파장 영역 800 내지1,000nm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을 20%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구성부재 수의 저감의 요구 및 색소를 이용한 근적외선 흡수의 한계로부터, 투명 도전층 자체가 근적외선의 차단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투명 도전층에서 근적외선을 차단하려면 , 금속의 자유전자에 의한 반사를 이용할 수가 있다.
금속박막층은 두껍게 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아지고, 얇게 하면 근적외선의 반사가 약해진다. 그러나, 주어진 두께의 금속박막층을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사이에 둔 적층구조를 1층 이상 중첩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게 하고, 또한 전체적인 금속박막층의 두께를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층수 및/또는 각각의 층의 두께를 제어함에 따라서 가시광선 투과율, 가시광선 반사율, 근적외선의 투과율, 투과색 및 반사색을 주어진 범위에서 변화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으면 화면에의 조명기구 등의 투영이 크게 되어, 표시부 표면의 반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해, 시인성과 콘트라스트가 저하하게 된다. 또한, 반사색으로서는, 백색, 청색, 자색계 등의 눈에 띄지 않는 색이 바람직하다. 이런 일 등으로부터, 투명 도전층은, 광학적으로 설계, 제어하기 쉬운 다층 적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PDP용 광학 필터에 있어서는, 고분자 필름의 한 쪽의 주면상에 다층 박막의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투명 적층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투명 도전층은, 고분자 필름의 한 쪽의 주면상에,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 및 금속박막층(b)의 순서로, (a) / (b)를 반복 단위로 해서 2 내지 4회 반복 적층되고, 또 그 위에 적어도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을 적층해서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층의 면저항이 0.1 내지 30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특성에 의해, 투명 도전층은, 전자파 차폐능력을 위한 저저항성, 근적외선의 차단능력, 투명성 및 가시광선 반사율이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박막"이란, 특히 기재가 없는 한, 금속박막층을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사이에 둔 적층구조를 1단 이상 중첩한 다층적층의 투명 도전막을 말한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층에 있어서, 반복 적층수는 2회 내지 4회가 매우 적합하다. 즉, 고분자 필름(A)의 주면상에 투명 도전층을 적층한 본 발명의 투명 적층체는, (A) / (a) / (b) / (a) / (b) / (a), 또는, (A) / (a ) / (b) / (a) / (b) / (a) / (b) / (a), 또는, (A) / (a) / (b) / (a) / (b) / (a) / (b) / (a) / (b) / (a)의 층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반복 적층수가 5회 보다 많으면, 생산 장치의 제한 및 생산성의 문제가 크게 되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와 가시광선 반사율의 증가가 생기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반복 횟수가 1회이면, 저저항성과 근적외선의 차단능력과, 가시광선 반사율을 동시에 충분한 것으로 하는 일을 할 수 없다.
또한, 반복 적층수가 2회 내지 4회인 다층 박막에 있어서, 근적외선의 차단능력과, 가시광선 투과율과, 가시광선 반사율을 동시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매우 적합한 특성으로 하려면, 그 면저항이 1 내지 5Ω/□인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또, 장래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강도가 저하하는 일도 상정된다. 그 경우는, 광학 필터의 면저항이 5 내지 15Ω/□에서도 충분한 전자파 차단 특성을 얻는 일이 생기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더욱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강도가 저하하는 일도 상정된다. 그 경우는, 광학 필터의 면저항이 15 내지 30Ω/□에서도 충분한 전자파 차단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금속박막층(b)의 재료로서는, 은이, 도전성, 적외선 반사성 및 다층 적층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은은 화학적, 물리적 안정성이 부족해, 환경중의 오염물질, 수증기, 열, 광 등에 의해 열화하기 때문에, 은에 금, 백금, 팔라듐, 구리, 인듐, 주석 등의 환경에 안정적인 금속을 1종 이상 가한 합금, 또는 이들 환경에 안정적인 금속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금 및 팔라듐은 내환경성, 광학 특성이 뛰어나 매우 적합하다.
은을 포함한 합금중의 은의 함유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은박막의 도전성 및 광학 특성과 크게 변함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중량%이상, 100중량%미만 정도이다. 그러나, 은에 다른 금속을 첨가하면, 그 뛰어난 도전성 및 광학 특성이 저해되므로, 복수의 금속박막층을 가지는 경우는, 가능하면 적어도 1개의 층은 은을 합금으로 하지 않고 이용하거나, 기재로부터 보아서 최초의 층 및/또는 최외층에 있는 금속박막층만을 합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도전성 및 광학 특성 등으로부터 광학설계적 또는 실험적으로 요구되어 투명 도전층이 요구 특성을 가지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전성 등으로부터 박막이 섬 형상 구조가 아니라, 연속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고, 두께는 4n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박막층이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문제가 되므로 30nm이하가 바람직하다. 금속박막층이 다수 있는 경우는, 각 층이 모두 동일한 두께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모두 은, 혹은, 마찬가지로 은을 포함한 합금이 아니어도 된다.
금속박막층의 형성에는, 스퍼터링, 이온 도금, 진공 증착, 도금 등, 종래 공지의 방법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을 형성하는 투명 박막으로서는, 가시 영역에 있어서 투명성을 가지고, 금속박막층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선반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재료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시광선에 대한 굴절률이 1.6이상, 바람직하게는 1.8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상인 굴절률이 높은 재료가 이용된다. 이러한 투명 박막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인듐, 티탄, 지르코늄, 비스무트, 주석, 아연, 안티몬, 탄탈, 세륨, 네오듐, 란탄, 트리움, 마그네슘, 갈륨 등의 산화물, 또는, 이들 산화물의 혼합물, 혹은 황화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물 혹은 황화물은, 금속과, 산소 원자 혹은 황 원자와의 화학량론적인 조성에 엇갈림이 있어도, 광학 특성을 크게 바꾸지 않는 범위라면 지장없다. 그 중에서도,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인듐 혹은 산화 인듐과 산화 주석과의 혼합물(ITO)은, 투명성 및 고굴절률에 부가해서, 막형성 속도가 빠르고, 금속박막층과의 밀착성 등이 양호하므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의 두께는, 고분자 필름("투명 기재"라고도 한다)의 광학 특성, 금속박막층의 두께나, 광학 특성 및 투명 박막층의 굴절률 등으로부터 광학설계적 또는 실험적으로 요구되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nm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nm이다. 또한 복수의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을 가지는 경우에는, 각 층은 동일한 두께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동일한 투명 박막 재료가 아니어도 된다.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의 형성에는, 스퍼터링, 이온 도금, 이온 빔 어시스트, 진공 증착, 또는 습식 도공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투명 도전층의 내환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도전층의 표면에, 도전성 및 광학 특성을 현저하게 해치지 않을 정도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임의의 보호층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금속박막층의 내환경성 및 금속박막층과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과의 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박막층과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과의 사이에, 도전성 및 광학 특성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 임의의 무기물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들 무기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구리, 니켈, 크롬, 금, 백금, 아연, 지르코늄, 티탄, 텅스텐, 주석, 팔라듐 등, 혹은 이들 금속의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을 들 수 있다.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nm 내지 2nm정도이다.
소망한 광학 특성의 투명 도전층을 얻으려면, 얻으려고 하는 전자파 차폐능력에 필요한 도전성, 즉, 금속박막 재료 및 그 두께를 감안해서, 고분자 필름 및 박막 재료의 광학 정수(굴절률 및 소광계수)를 이용한 벡터법, 허용(admittance)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 광학 설계를 행하고, 각 층의 박막 재료, 층수 및 막두께 등을 결정한다. 이 때, 투명 도전층 위에 형성되는 인접층을 고려하면 된다. 이것은 고분자 필름 위에 형성된 투명 도전층에의 광의 입사 매질이, 공기 또는 진공 등의 굴절률이 1인 입사 매질과 다르기 때문에 투과광색(및 투과율, 반사광색 및 반사율)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투명 도전층 위에 기능성 투명층을 형성할 때에 투명 점착층을 개재할 경우는, 투명 점착층의 광학 정수를 고려한 설계를 실시한다. 또한, 투명 도전층 위에 기능성 투명층을 직접 배치할 경우에는, 투명 도전층과 접하는 재료의 광학 정수를 고려하는 설계를 실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의 설계를 행하는 것에 의해,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에서는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보아서 최하층과 최상층이 그 사이의 층보다도 얇고, 금속박막층(b)에서는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보아서 최하층이 그 외의 층보다도 얇고, 굴절률 1.45 내지 1.65 및 소광계수 거의 0인, 두께 10 내지 50㎛인 점착제가 인접층일 때, 투명 적층체의 반사가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고, 인접층 형성에 의한 계면반사의 증가가 2%이하로 된다.
특히, 반복 횟수가 3회, 즉, 합계 7층으로 이루어진 투명 도전층에서는, 3층인 금속박막층(b) 중의 2번째의 금속박막층, 즉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보아서 4번째의 층이 다른 층보다 두꺼우면, 상기 점착제가 인접층일 때에, 투명 적층체의 반사가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광학 정수는 엘립소메트리(타원 편광 해석법) 또는 압베 굴절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또한, 광학 특성을 관찰하면서, 층수, 막두께 등을 제어해서 막형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의 투명 도전층은 금속메시층인 것도 바람직하다.
단층의 금속메시층은, 고분자 필름 위에 구리 메시층을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은, 고분자 필름 위에 구리박을 붙이고, 그 후 메시 형상으로 가공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구리박은, 압연구리나, 전계구리도 사용할 수 있지만, 금속층은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그 구멍 지름은, 0.5 내지 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이다. 구멍 지름이 5㎛보다도 크게 되면 패터닝의 장해가 될 우려가 있고, 또한, 0.5㎛보다도 작아지면 광선투과율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구리박의 다공도로서는, 0.01 내지 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다공도"란, 체적을 R로 하고, 구멍 용적을 P로 한 때에, P/R로 정의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체적 O.1cc에 대응하는 구리박의 구멍 용적을, 수은 다공도로 측정한 바 O.001cc였다고 하면, 다공도는 1%라고 할 수가 있다. 이용되는 구리박은, 각종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조면화 처리, 산세정, 아연/크로메이트 처리 등이다.
구리박의 두께는 3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이다. 이 두께 보다도 두꺼우면 에칭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이 두께 보다도 얇으면 전자파 차폐능력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광투과 부분의 개구율은 60%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이상, 90%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상, 85% 이하이다. 개구부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원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형태가 있고, 이러한 개구부의 형상은 모두 다르며, 면내에 줄지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 부분의 개구부의 대표적인 크기는 1변 또는 직경이 5 내지 2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이다. 이 값이 너무 큰, 즉 200㎛보다도 크면 전자파 차폐능력이 저하하는 한편, 이 값이 너무 작은, 즉 5㎛보다도 작으면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한,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의 금속의 폭은 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즉 피치가 1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폭 보다도 가는, 즉 피치가 1O㎛보다도 작으면 가이 극히 곤란하게 된다. 한편, 이 폭 보다도 굵은, 즉 피치가 50㎛보다도 크면 화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준다.
광투과 부분을 가지는 금속층의 실질적인 시트 저항이란, 상술한 패턴보다도 5배 이상 큰 전극을 이용해, 상술한 패턴의 반복 단위 보다도 5배 이상의 전극 간격을 가진 4-단자법에 따라 측정한 시트 저항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개구부의 형상이 1변 100㎛인 정방형으로 금속층의 폭이 20㎛를 가지고 규칙적으로 정방형을배열할 수 있는 것이면, 직경 1㎜의 전극을 1㎜간격으로 배열해서 측정할 수가 있다. 혹은, 패턴 형성한 필름을 책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에 전극을 형성하고, 그 저항을 측정해서 R로 하고, 길이방향의 길이를 a,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실질적인 시트 저항 =R×b/a를 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값은, 0.01Ω/□ 내지 0.5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Ω/□ 내지 0.3Ω/□이다. 0.01Ω/□보다도 작은 값을 얻으려고 하면 막이 너무 두꺼워지고, 또한, 개구부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0.5Ω/□보다도 큰 값으로 하면 충분한 전자파 차폐능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구리박을 고분자 필름에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으로서는, 투명한 접착제를 이용한다. 접착제의 종류로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이 있지만, 특히 접착제에 한정은 없다. 2액계 및 열경화 타입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내약품성이 뛰어난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구리박과 붙일 수도 있고, 구리박에 접착제를 붙여도 된다.
광투과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인쇄법 혹은 포토레지스트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인쇄법으로는 인쇄 레지스트 재료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법으로 마스크층을 패턴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전체면 인쇄법, 전사법 등으로, 금속박 위에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전체 형성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해서 노광 현상해서 레지스트의 패터닝을 실시한다. 레지스트 패터닝을 완성시킨 후, 개구부로 하는 금속부분을 습식 에칭으로 제거함으로써, 소망한 개구 형상과 개구율의 광투과 부분을 가지는 금속메시층을 얻을 수 있다.
(조색)
또한, 광학 필터는,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발광색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또, 액정 패널용 필터에 있어서 투명 도전층을 지니지 않고, 조색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광학 필터의 투과색에 있어서, 황록 내지 녹색미가 강하면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해, 더욱 색순도가 낮아져, 백색 표시도 녹색조로 것이 되는 일이 있다. 이것은, 황록 내지 녹색인 550nm전후의 파장의 광이 가장 시감도가 높은 것에 의한다.
다층 박막은, 가시광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반사율을 중시하면, 일반적으로 투과 색조가 뒤떨어진다. 전자파 차폐능력, 즉 도전성과, 근적외선의 차단능력이 클수록, 금속박막의 총막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금속박막의 총막두께가 크게 됨에 따라, 투과색이 녹색 내지 황녹색이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이용하는 광학 필터는 그 투과색이 뉴트럴 회색 또는 블루 회색인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녹색 투과가 강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하는 사실, 적색 또는 녹색 발광색에 비해 청색 발광이 약한 사실, 표준 백색보다 약간 높은 색온도의 백색이 선호되는 사실 등에 의한다. 부가해서, 광학 필터의 투과 특성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백색 표시의 색도 좌표가 극히 흑체 궤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박막을 투명 도전층(B)에 이용했을 경우는, 다층 박막의 색조를 보정해서 광학 필터의 투과색을 뉴트럴 회색 또는 블루 회색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색조를 보정하려면 가시 파장 영역에 흡수가 있는 색소를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투명 도전층(B)의 투과색에 녹색미가 있는 경우, 적색의 색소를 이용해서 회색으로 보정하고, 투과색에 황색미가 있는 경우는 파랑 내지 보라색의 색소를 이용해서 보정한다.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희가스의 직류 또는 교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자외광으로 여기 발광하는 (Y, Gd, Eu)BO3등의 적색(R) 발광 형광체, (Zn, Mn)2SiO4등의 녹색(G) 발광 형광체, (Ba, Eu)MgAl10O17:Eu 등의 청색(B) 발광 형광체가, 화소를 구성하는 표시셀에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는, 색순도 외에 방전 셀에의 도포성, 잔광 시간의 짧음, 발광 효율, 내열성 등을 지표로 선정되고 있어, 실용화 되고 있는 형광체는 그 색순도로 개량을 필요로 하는 것이 많다. 특히 적색 발광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은, 파장 580nm에서 700nm정도까지 걸친 몇 개의 발광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적 강한 단파장쪽의 발광 피크는 노랑 내지 오렌지색의 발광이므로, 적색 발광이 오렌지에 가까운 색순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희가스에 Xe와 Ne와의 혼합 가스를 이용했을 경우, Ne-여기 상태의 발광 완화에 의한 오렌지색 발광도 마찬가지로 색순도를 저하시켜 버린다. 또한, 녹색 발광 및 청색 발광에 관해서도, 그 피크 파장의 위치 및 발광의 브로드함이 색순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
색순도의 높이는, 예를 들면, 국제 조명 위원회(CIE)가 정한 가로축 색도 x, 세로축 색도 y로 색상과 채도를 나타내는 좌표계에 있어서, RGB 3색을 정점으로 한 삼각형의 넓이로 표시하는 색재현 범위의 넓이로 나타낼 수가 있다. 색순도의 낮음으로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광의 색재현 범위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서 정하고 있는 RGB 3색의 색도가 나타내는 색재현 범위보다 통상 좁다.
또한, 표시 셀 사이에서의 발광의 스며나옴에 부가해서, 각 색의 발광이 넓은 범위에 걸쳐서 불필요한 광을 포함하고 있어 필요한 발광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은, 색순도 만이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를 내리는 요인으로도 되고 있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 등에 의한 외광이 존재하는 밝은 조건하에 있어서는 어두울 때에 비해 콘트라스트가 나빠진다. 이것은, 기판 유리, 형광체 등이 외광을 반사하여, 불필요한 광이 필요한 광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일어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비는, 어두울 때에는 100 내지 200, 주위 조도 100lx정도의 밝을 때는 10 내지 30이며, 그 향상이 과제로 되고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가 낮은 것도 색재현 범위를 좁게 하고 있는 요인이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앞면에 뉴트럴 밀도(ND) 필터와 같이, 가시 파장 영역 전체의 투과율을 내려, 기판 유리나 형광체에 있어서의 외광 반사 등의 투과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시광선 투과율이 현저하게 낮으면 휘도 및 화상의 선명함이 저하하게 되고, 또한 색순도의 개선은 그다지볼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은,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내리는 원인으로 되는 불요 발광 및 외광 반사를 저감함에 따라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색소를 이용함으로써, 광학 필터를 뉴트럴 회색 또는 뉴트럴 블루로 조색하는 것만이 아니라,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내리는 원인으로 되는 불요 발광 및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적색 발광이 오렌지에 가까운 것은 현저하고, 그 원인인 파장 580nm 내지 605nm의 발광을 저감함에 따라서 적색 발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에 있어서, 불요 발광 및 외광 반사의 저감은, 파장 570nm 내지 605nm에 흡수극대를 가지는 색소를 차폐체에 함유시킴으로써 실시할 수가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의해, 적색의 발광 피크가 있는 파장 615nm 내지 640nm의 광선투과를 현저하게 해쳐 버리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색소는 브로드한 흡수 범위를 가지고 있어, 소망의 흡수 피크를 가지는 색소여도, 그 끝부분의 흡수에 의해 매우 적합한 파장의 발광까지 흡수해 버리는 일이 있다. Ne에 의한 발광이 존재하는 경우는, 오렌지색 발광의 저감을 실시할 수도 있기 때문에, RGB 표시 셀로부터의 발광의 색순도가 향상한다.
또한,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초록 발광은 브로드하며, 그 피크 위치는, 예를 들면, NTSC 방식에서 요구되는 녹색 보다도 약간 장파장측, 즉 황록쪽에있는 일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파장 570nm 내지 605nm에 흡수극대를 가지는 색소의 단파장측의 흡수에 의해, 녹색 발광의 장파장측을 흡수해서 깎아내, 더욱 불요 발광을 깎아 내는 것 및/또는 피크를 쉬프트시키는 것에 의해 색순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적색 발광, 더욱 부가해서 녹색 발광의 색순도 향상에는, 파장 570nm 내지 605nm에 흡수극대를 가지는 색소를 이용함으로써, 파장 570nm 내지 605nm에 있어서의 광학 필터의 최저 투과율이, 필요한 적색 발광의 피크 위치에서의 투과율에 대해서 80% 이하인 것이 매우 적합하다.
청색 발광의 색순도가 낮은 경우는, 적색 발광 및 녹색 발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요 발광을 저감하고, 또한, 그 피크 파장을 쉬프트시켜, 청록색 발광을 흡수하는 색소를 이용하면 된다. 또, 색소에 의한 흡수는, 외광의 형광체에의 입사를 저감하는 것에 의해서, 형광체에서의 외광 반사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또한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에 색소를 함유시키는 수법으로서는,
(1) 투명한 수지에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혼련시킨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
(2) 수지 또는 수지 모노머/유기계 용매의 수지 농후액에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분산·용해시켜, 캐스팅법에 의해 제작한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
(3) 수지 바인더와 유기계 용매에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가해서 얻어진 도료를 투명한 기재 위에 코팅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 및
(4) 1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색소를 함유하는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함유"란, 기재 또는 도막 등의 층 또는 점착제의 내부에 함유되는 것은 물론, 기재 또는 층의 표면에 도포한 상태도 의미한다.
색소는, 가시 영역에 소망의 흡수 파장을 가지는 일반의 염료 또는 안료이면 되고, 그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소는, 예를 들면, 안트라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푸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크산텐계, 피로메텐계 등의 일반적으로 시판도 되고 있는 유기 색소를 들 수 있다. 색소의 종류 및 농도는, 색소의 흡수 파장 및 흡수 계수, 투명 도전층의 색조, 광학 필터에 요구되는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및 분산시키는 매체 또는 도막의 종류 및 두께로부터 결정지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도전층(B)에 다층 박막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능력에 가세해 근적외선의 차단능력도 가지고 있지만, 보다 높은 근적외선의 차단능력이 필요할 경우 또는 투명 도전층이 근적외선의 차단능력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 근적외선의 차단능력을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색소에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1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근적외선 흡수색소로서는, 투명도전층의 근적외선 차단능력을 보충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발하는 강한 근적외선을 충분히 실용적으로 될 정도로 흡수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근적외선 흡수색소의 농도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근적외선 흡수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디티올계 화합물 또는 디이미늄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은 패널표면의 온도가 높고, 특히 환경의 온도가 높은 때에는 광학필터의 온도도 올라가므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색소는, 내열성, 예를 들면, 80℃에서 분해 등에 의해서 현저하게 열화되지 않는 내열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색소에 따라서는, 내열성 뿐만 아니라 내광성이 부족한 것도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광 혹은 외광의 자외선 및 가시광선에 의한 색소의 열화가 문제로 될 경우에는,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부재, 혹은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색소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저감하는 것,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한 현저한 열화가 없는 색소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열, 광 및 습도, 그리고, 이들을 복합한 환경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색소가 열화하면 광학필터의 투과특성이 변화되어 버린다.
실제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온도가 70℃에서 80℃까지의 범위로 되는 것은 일본국 공개특허 평 8-220303호에 명백히 기재되어 있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광은, 예를 들면, 300cd/㎡로 기재되어 있고(후지쯔주식회사, Image Site, 카탈로그 AD 25-000061C Oct., 1997M), 입체각을 2π로 해서, 이것을 20,000시간 조사하면, 2π×20,000×300=38,000,000(lx·시간)으로 되므로, 실용상 수천만(lx·시간)정도의 내광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색소를 매체 혹은 도막중에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색소의 적절한 용매에의 용해성도 중요하다. 다른 흡수파장을 지닌 색소 2종류이상을 1개의 매체 혹은 도막에 함유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필터는, 컬러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시인성을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우수한 투과 특성 및 투과율을 가지고,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1종 이상 함유시키는 색소의 적어도 1개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인 경우에는, 특히 저감하고 싶은 570 내지 605nm의 불요 발광의 파장과 같거나 또는 가까운 파장에 주요 흡수 파장을 가지고, 또한, 흡수 파장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발광을 흡수해 버리는 것에 의한 휘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에 의해, 뛰어난 투과 특성, 투과율, 발광색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능력이 뛰어난 광학 필터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에 있어서는, 상술의 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 (1) 내지 (4)는, 색소를 함유하는 고분자 필름(A), 색소를 함유하는 후술하는 투명 점착층 (C) 또는 (D), 색소를 함유하는 후술하는 기능성 투명층(E), 색소를 함유하는 상술의 하드 코트층(F)중의 적어도 1층에 있어서 실시할 수가 있다. 색소를 함유하는 후술하는 기능성 투명층(E)은, 색소를 함유하고 또한 각 기능을 가지는 막, 색소를 함유하고 또한 각 기능을 가지는 막이 고분자 필름 위에 형성된 것, 각 기능을 가지는 막이 색소를 함유하는 기재에 형성된 것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흡수 파장을 가지는 색소 2 종류 이상을 하나의 매체 또는 도막에 함유시켜도 되고, 또한 색소층을 2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먼저, 수지에 색소를 혼련하고, 가열 성형하는 (1)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수지 재료로서는, 플라스틱판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가능한 한 투명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화합물의 부가 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리덴 등의 비닐리덴 화합물, 불화비닐리덴/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 화합물 또는 불소함유 화합물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폴리에테르류,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부티랄 등을 들 수가 있지만, 이들의 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작방법으로서는, 이용하는 색소 및 베이스 고분자에 따라, 가공 온도, 필름화 조건 등이 다소 다르지만, 통상, 하기의 방법이 있다:
(i) 베이스 고분자의 분체 혹은 펠릿에 색소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150 내지 350℃로 가열, 용해시킨 후, 성형해서 플라스틱판을 제작하는 방법;
(ii) 압출기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
(iii) 압출기에 의해 원반을 제작하고, 30 내지 120℃에서 2 내지 5배로, 1축연신 또는 2축연신해서 1O 내지 200㎛ 두께의 필름으로 하는 방법.
또한, 혼련 할 때에 가소제 등의 통상의 수지 성형에 이용하는 첨가제를 부가해도 된다. 색소의 첨가량은, 색소의 흡수 계수, 제작하는 고분자 성형체의 두께, 목적의 흡수 강도, 목적의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베이스 고분자 성형체의 중량에 대해서 1ppm 내지 20%이다.
상기 (2)의 캐스팅법에서는, 수지 또는 수지 모노머를 유기계 용매에 용해시킨 수지 농후액에, 색소를 첨가·용해시키고, 필요하면 가소제, 중합 개시제 또는 산화 방지제를 가해서, 필요로 하는 면상태를 가지는 금형이나 드럼상에 흘려 넣어, 용제 휘발/건조 또는 중합/용제 휘발/건조시킴으로써, 플라스틱판, 고분자 필름을 얻는다.
통상, 수지 또는 수지 모노머로서는, 지방족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방향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족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비닐 알콜 수지, 폴리비닐계 변성 수지(PVB, EVA 등) 혹은 그 들의 공중합 수지의 수지 모노머를 이용한다. 이용하는 용매로서는, 할로겐계, 알콜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탄화수소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에테르계 용매, 혹은 그들의 혼합물계 등을 들 수 있다.
색소의 농도는, 색소의 흡수 계수, 판 또는 필름의 두께, 목적의 흡수 강도,목적의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수지 모노머의 중량에 대해서, 통상, 1ppm 내지 20%이다.
또한, 수지 농도는, 도료 전체에 대해서, 통상, 1 내지 90%이다.
도료화해서 코팅하는 상기 (3)의 방법으로서는, 색소를 바인더 수지 및 유기계 용매에 용해시켜서 도료화하는 방법, 또는 미착색의 아크릴 에멀젼 도료에 색소를 미분쇄(50 내지 500nm)한 것을 분산시켜서 아크릴 에멀젼계 수성 도료로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자의 방법에서는, 통상, 지방족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방향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족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비닐 알콜 수지, 폴리비닐계 변성 수지(PVB, EVA 등) 혹은 그들의 공중합 수지를 바인더 수지로서 이용한다. 용매로서는, 할로겐계, 알콜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탄화수소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에테르계 용매 혹은 그들의 혼합물계 등을 이용한다.
색소의 농도는, 색소의 흡수 계수, 코팅의 두께, 목적의 흡수 강도, 목적의 가시광선 투과율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바인더 수지의 중량에 대해서, 통상, 0.1 내지 30%이다.
또한, 바인더 수지 농도는, 도료 전체에 대해서, 통상, 1 내지 50%이다.
후자의 아크릴 에멀젼계 수계 도료의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착색의 아크릴 에멀젼 도료에, 색소를 미분쇄(50 내지 500nm)한 것을 분산시켜서 얻을 수 있다. 도료중에는, 산화 방지제 등의 통상 도료에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첨가물을 부가해도 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도료는, 투명 고분자 필름, 투명 수지, 투명 유리 등의 위에 바코터, 블레이드코터, 스핀코터, 리버스코터, 다이코터 혹은 스프레이건 등의 종래 공지의 코팅을 해서, 색소를 함유하는 기재를 제작한다.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층을 구비하거나 코팅면을 보호하도록 코팅면에, 광학 필터의 다른 구성 부재를 접합시켜도 된다.
색소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4)에서는,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VB),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EVA) 등, 폴리비닐 에테르, 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등의 시트형상 또는 액상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에, 색소를 10ppm 내지 30% 첨가해서 이용한다.
또한, 이들 방법에서는, 색소 함유의 광학 필터의 내광성을 올리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를 색소와 함께 함유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와 농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
전자파 차폐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는, 기기의 케이스 내부에 금속층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도전성 재료를 사용해서 전자파를 차단한다. 디스플레이와 같이 투명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창 형상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층에 의해 부여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는 광학 필터를 설치한다. 전자파는 투명 도전층에 있어서 흡수된 후, 광학 필터에 전하를 야기하므로, 접지를 취함으로써 광학 필터로부터전하가 나가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광학 필터가 안테나로 되어서 전자파를 발진해 버려, 전자파 차폐능력이 저하한다. 따라서, 광학 필터와 디스플레이 본체의 접지부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투명 도전층(B)위에 투명 점착층(D) 및 기능성 투명층(E)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명 점착층(D) 및 기능성 투명층(E)은, 도통부를 남기도록 투명 도전층(B)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통부를 이용해서 전극을 형성한다. 도통부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학 필터와 디스플레이 본체와의 사이에, 전자파가 누설되는 틈새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도통부에 도전재료를 부여해서 전극을 형성해도 좋다. 부여하는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통부를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극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한 광학 필터를 구성하는 층의 각각에 도전성 재료를 접촉시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에서는, 적어도 투명 도전성층과 그것을 보호하기 위한 층이 층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적당한 도전성 재료가 투명 도전층의 각 층과 접촉하고 있는 한, 소망의 전극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투명 도전층 위에 형성되는 투명 점착층의 단부가 투명 도전층의 단부 보다도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가 있으면,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이용해서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투명 점착층의 단부와 투명 도전층의 단부와의 사이의 틈새 부분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비집고 들어가, 투명 도전층과 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투명 도전층과 그 위에 접합되어 있는 투명 점착층과의 사이에 구리 테이프와 같은 도전성 테이프를 끼워 넣고, 그 도전성 테이프의 일부분을 도통부로서의 전자파 차폐체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전극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외부로 인출된 도전성 테이프가 실질적으로 전극이 된다.
또한, 투명 도전층으로부터 적층체의 가장 표면까지 뻗어 있는 틈새를 마련해서 전극을 형성해도 좋다. 표면으로부터 보이는 틈새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어도 되고,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해당 틈새는 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표면으로부터 보이는 개개의 틈새의 크기에도 특히 제한은 없다. 다만, 너무 크면 해당 틈새가 시인 부분과 중첩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틈새의 형성 위치는, 시인 부분을 피하는 위치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필연적으로 단부로부터 가까운 위치가 된다. 형성하는 틈새의 수에도 특히 제한은 없지만, 둘레 전체에 걸쳐서 가능한 한 많이 형성되어 있는 편이 전류의 방출 효율이 상승하므로 바람직하다. 틈새는 투명 도전층과 적층체의 가장 표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나, 형성하는 전극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관점으로부터, 투명 도전층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새를 메우는 부재에 관해서도 특히 제한은 없다. 금속부재로 메워도 되고, 금속성 페이스트로 메워도 된다. 이 경우, 틈새를 메우는 부재가 실질적으로 전극이 된다.
전극은 투명 도전층(B)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즉,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인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윤곽모양으로, 도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둘레 전체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소정의 전자파 차단 능력은 있으므로, 장치로부터의 전자파 발생량과 허용 전자파 누설량을 종합적으로 고려 함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마주 보는 변에만 도전재료를 부여해서 전극을 형성하는 설계로 하면, 롤-투-롤 방식으로 전극을 형성하거나 롤 상태인 채로 전극을 형성하거나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매우 생산 효율이 좋은 광학 필터를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이 수법은, 앞서 표시한 바와 같은, 전극으로서 도전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직사각형의 마주 보는 2변 이외의 부분에 부가해서 또 다른 부분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거나, 마주 보는 2변에 있어서의 일부분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해도 특히 문제는 없다.
전극 형성 과정에 있어서, 도통부를 가리는 것은, 내환경성 및 내찰상성이 열등한 투명 도전층(B)의 보호로도 역할한다. 도통부를 가리기 위해서 이용하는 재료는, 도전성, 내식성 및 투명 도전막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은, 금, 구리, 백금, 니켈, 알루미늄, 크롬, 철, 아연, 카본 등의 단체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 합성 수지와 이들 단체 또는 합금의 혼합물, 또는, 붕규산 유리와 이들 단체 또는 합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 형성에는 도금법, 진공 증착법, 스퍼터법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페이스트 등을 사용할 경우, 인쇄법, 도공법 등 기타 종래 공지의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도전성 재료는 전기를 도통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통상은,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성의 재료를 페이스트형상으로 한 것이 이용된다.
도통부를 가리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페이스트형태의 것이면 각 층의 측면에 도포해서 건조시키거나 해서 실시한다. 롤 상태의 필름의 측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해도 되고, 롤-투-롤방식으로 계속 풀어내면서 측면에 도포해도 상관없다. 또한, 테이프형태의 도전성 재료도 이용할 수가 있다.
도포방법으로서는, 효율 및 정밀도의 관점으로부터, 스크린 인쇄법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틈새를 금속부재로 메워서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는, 전자파 차폐체 자체에 미리 가공을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나사구멍을 형성한 금속성의 접지를 표시장치의 외주 부분에 미리 준비해 둔 후, 금속성의 접지 부분을 포함해서, 표시장치의 표시부분에 전자파 차폐체를 붙인 후에, 전자파 차폐체를 관통하도록 해서 금속성 접지의 나사구멍에 도전성의 나사를 끼워맞춤하면 된다. 이 경우 도전성의 나사가 실질적으로 전극의 역할을 완수한다. 이 수법을 이용하면 전자파 차폐체를 롤-투-롤 방식으로 생산성 높게 제작할 수 있고, 전자파 차폐체의 둘레 전체 부분에 걸쳐서 전극을 형성하는 일도 용이해진다.
(반사 방지층)
반사 방지층은, 기재위에 형성하고, 기재 표면의 광선반사율을 저감하기 위한 층이다.
반사 방지층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가지 유형이 있다. 첫번째 유형의 반사방지층은, 예를 들면, 가시광선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1.5 이하, 매우 적합하게는, 1.4 이하로 낮은, 불소계 투명 고분자 수지나 불소화 마그네슘, 실리콘계 수지나 산화 규소의 박막 등을, 예를 들면 1/4 파장의 광학 막두께로 단층으로 형성한 것이다. 두번째 유형의 반사방지층은, 굴절률이 다른, 금속산화물, 불소화물, 규화물, 붕화물, 탄화물, 질화물, 황화물 등의 무기 화합물,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등의 유기 화합물의 박막을 2층 이상 다층 적층해서 형성한 것이다. 단층으로 형성한 반사방지층은, 제조가 용이하지만, 반사 방지성이 다층 적층에 비해 뒤떨어진다. 다층 적층한 것은, 넓은 파장 영역에 걸쳐서 반사 방지능을 가지고, 기재 필름의 광학 특성에 의한 광학 설계의 제한이 적다. 이들 무기 박막의 형성에는,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이온빔어시스트법, 진공 증착법 또는 습식 도공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상기의 반사 방지층이 기재위에 형성된 필름이 반사 방지 필름이다.
(방현층)
방현층은, 기재 위에 형성하고, 기재속을 통과하는 투과광 및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방현하기 위한 층이다.
방현층은 O.1 내지 1O㎛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표면에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또는 광경화형 수지에, 실리카, 멜라민, 아크릴 등의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의 입자를 분산시켜 잉크화한 것을, 바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그라비야 코트법, 다이코트법, 롤 코트법 등에 의해 투명 고분자 필름 위에 도포 경화시킨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1 내지 40㎛이다. 또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또는 광경화형 수지를 기재에 도포하고, 소망의 헤이즈 또는 표면 상태를 가지는 형으로 가압 경화하는 일에 의해서도 방현층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유리판을 불화수소산 등으로 에칭하는 방법으로, 기재 필름을 약제 처리함에 따라서도 방현층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처리 시간, 약제의 에칭성에 의해, 헤이즈를 제어할 수가 있다. 헤이즈는 예를 들어 ASTM 규격 D1003-61로 측정되고, 표면 요철에 의한 산란의 정도가 많을 수록 헤이즈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방현층에 있어서는, 적당한 요철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작성 방법은, 상기에 든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현층의 헤이즈는, 0.5% 내지 20%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다. 헤이즈가 너무 작으면 방현능이 불충분하고, 헤이즈가 너무 크면 평행광선투과율이 낮아져, 디스플레이 시인성이 나빠진다.
상기의 방현층이 형성된 필름이 방현성 필름이다.
(편광판)
편광판은, 광중에서 한 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성분만을 인출하기 위한 광학 요소이며, LCD 소자에 있어 불가결한 것이다. 필름상태인 경우가 많아, 편광필름으로 불리는 일도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LCD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 알콜(PVA)을 도포한 고분자 필름에 요드를 도핑한 것인 것이 많다. 이 필름을 1축연신해 필름중의 요드 분자의 방향을 정렬시킨다. 이 때, 요드는 필름의 고분자와 함께 배향되어, 결과적으로 요드 분자가 동일방향으로 배열된다.
자연광은, 어떠한 때라도,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어, 편광 필름안의 요드 분자의 길이축방향과 평행(세로)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과 수직(가로)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상기 광에 대해 중간적인 각도로 진동하는 광도 있다. 요드 분자의 길이축방향과 평행으로 진동하는 광과 수직으로 진동하는 광만을 재검토해 보면, 요드의 경우, 이 분자의 전자 밀도의 편향에 의해, 분자의 길이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광흡수 계수가 크게 차이가 난다. 분자의 길이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거의 100% 투과하지만, 분자의 길이 축에 평행으로 진동하는 광은 거의 투과하지 않고, 요드에 흡수된다. 따라서 편광 필름을 통과할 수 있는 광은 요드 분자의 길이축과 수직인 광뿐이며, 그 외는 모두 요드에 흡수된다. 이렇게 해서, 자연광으로부터, 하나의 방향 밖에 진동하지 않는 직선 편광(평면 편광)을 얻을 수 있다.
(크기)
본 발명에 있어서, 대형 표시 소자에 관해서는, 그 화면 크기가 21인치 이상인 경우에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크기는 대각의 길이로 정의한다. 또한 크기가 37인치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고, 또한 크기가 42인치 이상인 경우에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화면 크기가 21인치보다 작은 표시 소자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일본의 전기 단속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안전성 조건을 채울 수가 있다. 그러나, 화면 크기가 21인치보다 작은 표시 소자에 있어서도, 본 발명과 같이, 그 낮은 탄성률로 특징지워진 투명 점착층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전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형 휴대단말용 표시소자에 관해서는, 모든 화면 크기에 관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소형 휴대단말용으로 이용되고로 있는 표시 소자는 작은 것으로 그 화면 크기가 1인치 정도이고, 이 경우에도, 낙하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표시 소자의 기판 유리가 깨지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특정되는 표시 소자는, 이 분열이 매우 생기기 어려워, 효과적이다. 또, 최근에는 소형 휴대단말에 대비할 수 있었던 표시 소자의 화면 크기가 보다 커지고 있다. 화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표시 소자의 기판 유리는 보다 갈라지고 쉬워지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는 것은보다 효과적이다.
(분석 방법)
본 발명에 의한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지고 있는 투명 점착층의 영률의 측정에는, 통상 이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수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점착층을 노출시킨 후, 이와 같이 노출된 층의 표면의 단위면적에 하중을 걸어 하중의 중량과 상기 투명 점착층의 변형량으로부터 영률을 구할 수가 있다.
광학 필터의 층 구성 및 각 층 상태는, 단면의 광학 현미경 측정,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측정 혹은 투과형 전자현미경 측정(TEM)을 이용해서 조사할 수가 있다.
투명 도전막의 표면 원자 조성은, 오거 전자 분광법(AES), 형광 X선법( XRF), X선마이크로분석법(XMA), 러더포드 백산란분석법(RBS), X선광전자 분광법(XPS), 자외광 발광 분광법(UPS), 적외 흡수 분광법(IR), 라만 분광법, 2차 이온 질량분석법(SIMS), 이온 산란 분광법(ISS)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막중의 원자 조성 및 막두께는, 오거 전자 분광법(AES)이나 2차 이온 질량 분석(SIMS)을 깊이 방향으로 실시함에 따라서 조사할 수가 있다.
투명 도전막 위에 방현성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등을 미리 접합하고 있는 경우는, 전자의 2개의 막을 벗겨, 투명 도전막표면을 노출시킨 후에, 상술한 수법을 이용해서 조사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고분자, 색소의 조성 및 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색소를 적당한 용매에 녹인 다음, 조성 또는 구조 분석 수법을 이용해서 조사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핵자기 공명법(NMR), 적외선 분광법(IR), 라만 분광법, 질량분석법(MAS)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이들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특색과 이점은,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투명 도전막의 제작)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중의 투명 도전층(B)을 구성하는 박막은, 기재의 한 쪽의 주면에 마그네트론 DC스퍼터링법에 의해 막형성한다. 박막의 두께는, 막형성 조건으로부터 구한 값이며, 실제로 측정한 막두께는 아니다.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으로서 ITO 박막을 이용하는 경우, 타겟으로 산화 인듐·산화 주석 소결체(조성비 In2O3:SnO2=9O:1O중량%)를, 스퍼터 가스에 아르곤-산소 혼합 가스(전체 압력 266 mPa 및 산소 분압 5mPa)를 이용해서 막형성한다.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a)으로서 산화 주석 박막을 이용할 경우, 타겟으로 산화 주석 소결체를, 스퍼터 가스에 아르곤-산소 혼합 가스(전체 압력 266mPa 및 산소 분압 5mPa)를 이용해서 막형성한다.
금속박막층(b)으로서 은박막을 이용할 경우, 타겟으로 은을, 스퍼터 가스에 아르곤 가스(전체 압력 266mPa)를 이용해서 막형성한다.
금속박막층(b)으로서 은-팔라듐 합금 박막을 이용할 경우, 타겟으로 은-팔라듐 합금(팔라듐 1O중량%)을, 스퍼터 가스에 아르곤 가스(전압 266mPa)를 이용해서 막형성한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면저항은, 4탐침측정법(프로브 간격 1㎜)에 의해 측정한다. 또한, 표면의 가시광선 반사율(Rvis)은, 먼저 측정 대상물로부터 작은 조각을 잘라내, 그로부터 투명 점착층을 없애고 고분자 필름(A)측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문지른 후, 윤지우기용 흑색스프레이해서 이 면의 반사성을 없애고, 반사 적분구(광선입사각도 6˚)를 이용한 분광 광도계(U-3400; (주) 히타치 제작소 제품)에 의해 가시 영역의 전체 광선반사율을 측정하고, 여기서 구해진 반사율로부터 JIS R 3106에 따라 가시광선 반사율(Rvis)을 계산한다.
(영률의 측정)
투명 점착층의 영률은, 단면적 1×1O-6㎡의 스테인레스제의 측정봉을 이용해서, 일정한 하중을 걸어, 측정봉의 선단을 투명 점착층의 표면에 꽉 누름으로써 측정한다. 걸린 하중의 크기(F)와 측정봉이 투명 점착층내에 비집고 들어간 양(D)과의 관계로부터 영률(G)을 구한다. 관계식은, F=G×D이다.
(침입도)
JIS K 2207-1991-50g 하중에 따라 구한다.
(강구 낙하 시험)
실시예 1 내지 7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표시 소자의 표시면 중심부분에, 직경이 50㎜, 중량이 500g인 강구를 높이1,300㎜에서 진자 형상으로 떨어뜨린다. 이 때에 표시부분의 기재 유리가 깨져, 그의 앞면에 비산했을 경우에는 "불합격", 앞면에의 비산을 일으키지 않았던 경우는 "합격"으로 한다. 또한 "합격"한 표시 소자 중에서의 우열은 유리의 균열의 정도에 의해 구별한다.
실시예 8 내지 30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표시 소자의 표시면 중심부분에, 직경이 50㎜, 중량이 500g인 강구를 높이 1,300㎜에서 진자 형상으로 떨어뜨린다. 갈라져 비산한 유리의 도달점까지의 거리를 조사했다. 가장 먼 곳까지 비산한 질량 1g이상의 유리의 도달점까지의 거리를 시험결과로 한다.
(낙하 시험)
실시예 1 내지 7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표시 소자를 판 위에 750㎜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판은, 두께 20㎜의 단단한 나무의 판이다. 두께 20㎜의 판을 2매 합해서 얻어진 맞댐판을 콘크리트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판을 설치한다.
표시장치의 전방 900㎜ 및 1,500㎜에 마련한 장벽간에, 단편으로 15g 이상, 총중량으로 45 g이상의 유리 파편이 비산하거나 중량이 1g을 넘는 파편이 표시장치의 전방 1,500㎜에 마련한 장벽을 초월해서 날았을 경우는 "불합격"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합격"으로 한다. 또한, "불합격", "합격" 각각의 것에 있어서도 유리파편의 비산 상황을 비추어서 판단을 실시한다.
실시예 8 내지 30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표시 소자를 판 위에 750㎜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판은, 두께 20㎜의 단단한 나무판이다. 두께 20㎜의 판을 2매 합해서 얻어진 맞댐판을 콘크리트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판을 설치한다.
표시장치의 전방 방향으로, 갈라져 비산한 유리의 도달점까지의 거리를 조사했다. 가장 먼 곳까지 비산한 질량 1g이상의 유리의 도달점까지의 거리를 시험결과로 한다.
표시장치의 전방 900㎜ 및 1,500㎜에 마련한 장벽간에, 단편으로 15g 이상, 총중량으로 45g이상의 유리 파편이 비산하거나 중량이 1g을 넘는 파편이, 표시장치의 전방 1,500㎜에 마련한 장벽을 넘어 날았을 경우는 "불합격"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합격"으로 한다. 또한, "불합격", "합격" 각각의 것에 있어서도, 유리조각의 비산 상황을 비추어서 우열의 판단을 실시한다.
투명 점착층의 영률에 관해서
(실시예 1)
(투명 도전막의 제작)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필름(두께: 188㎛)을 고분자 필름(A)으로 해서 그 한 쪽의 주면에, PET 필름으로부터 차례로, ITO박막(막두께: 40nm), 은박막(막두께: 11nm), ITO 박막(막두께: 95nm), 은박막(막두께: 14nm), ITO 박막(막두께: 90nm), 은박막(막두께: 12nm), ITO 박막(막두께: 40nm)의 합계 7층의 투명 도전층(B)을 형성하고, 면저항 2.2Ω/□의 투명 도전층(B)을 가지는 투명 적층체를 제작한다.
적층체(PET 필름/투명 도전층)의 단면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분자 필름(A) /투명 도전층(B)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투명 고분자 필름(10) 위에, 차례로, 고굴절률 박막층(20), 금속박막층(30), 고굴절률 박막층(20), 금속박막층(30), 고굴절률 박막층(20), 금속박막층(30) 및 고굴절률 박막층(20)이 적층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작)
중량비로 아세트산 비닐:옥틸 아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 20:70:10:7.5의 모노머 혼합액 100부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과 메틸렌클로라이드를 0.2:2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만든다. 상기 모노머 혼합액과 AIBN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가 일어나는 온도까지 가열한다. 환류는 74℃정도에서 생긴다. 환류가 일어나고 나서 5분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 55부를 혼합물에 가하기 시작한다. 이 작업은 3시간 이상에 걸쳐서 천천히 실시한다. 최종적으로 환류 온도는 50℃정도가 된다. 그 1시간 후에 톨루엔 75부를 혼합물에 가한다. 환류 온도는 65℃정도가 된다. 이 온도에 있어서, 혼합물을 또 6시간 가열한다. 이 단계에서 혼합물의 폴리머화가 종료하므로, 실온까지 냉각한다.
상술의 재료 혼합 비율로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 조성은, 아세트산 비닐:옥틸 아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 20:70:10:7.5정도가 된다. 얻어진 시료를 시료 a(아세트산 비닐 20중량%)라 한다.
계속해서 혼합하는 재료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중량 조성이 다른 시료를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세트산 비닐의 혼합 비율만이 변화하도록 해서, 중량 조성을 변화시킨다. 아세트산 비닐의 혼합 비율이 이하와 같은 시료를 준비한다: 시료 b(아세트산 비닐 18중량%), 시료 c(아세트산 비닐 15중량%), 시료 d(아세트산 비닐 10중량%), 시료 e(아세트산 비닐 5중량%), 시료 f(아세트산 비닐 3중량%) 및 시료 g(아세트산 비닐 2중량%).
(색소의 분산)
아세트산 에틸/톨루엔(50:50중량%) 용제에 유기 색소를 분산·용해시켜, 아크릴계 점착제의 희석액으로 한다. 아크릴계 점착제와 색소함유 희석액을 80:20중량%의 혼합비로 서로 혼합하여, 점착제 원액으로 한다. 또한, 점착제의 굴절률은 1.51이고, 소광계수는 O이다.
유기 색소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방사하는 불요 발광을 흡수시키기 위한 파장 595nm에 흡수극대를 가지는 미쯔이카가쿠(주)제의 색소 PD-319 및 백색 발광의 색도를 보정하기 위한 미쯔이카가쿠(주)제의 적색 색소 PS-Red-G를 이용해서, 각각 건조한 점착제 1중에 1150(중량)ppm, 105O(중량)ppm으로 함유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색소함유 희석액을 조정한다.
(점착층의 형성)
표면에 박리용이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OO㎛) 위에, 미리 준비한 점착제를 두께가 1OO㎛가 되도록, 점착제 원액을 그라비야 코트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도포면은 박리용이 처리면이다. 또, 점착층위에 표면이 박리용이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OO㎛)을 붙여, 더블택(double-tack) 상태로 한다. 점착층에 박리용이면이 접하도록 붙인다. 또한, 이 때 이용하는 박리용이층은 최초로 점착제를 도포하는 면인 박리용이층 보다도 박리용이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점착층의 양면에 위치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이형 필름으로서 기능하여, 박리용이성이 높은 쪽이, 최초로 벗겨지는 것으로 상정되고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에의 점착층 형성)
투명 도전층/PET 필름의 PET 필름면 위에 전술한 바에 의해 얻어지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다. 먼저 투명 점착층의 양면에 붙여 있는 2매의 이형 필름중 1매를 벗겨, 투명 적층체 위에 붙인다. 구성은, 투명 도전층/PET 필름/점착제/이형 필름이 된다.
(반사 방지 필름의 제작)
트리 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두께: 80㎛; 영률: 1,300㎫)의 한 쪽의 주면에, 다작용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광중합 개시제를 가하고, 또한, ITO 미립자(평균 입경: 10nm)를 분산시킨 코트액을 그라비야코터에 의해 도공하고, 자외선 경화에 의해 도전성 하드 코트막(막두께: 3㎛)을 형성하고, 그 위에 불소함유 유기 화합물 용액을 마이크로그라비야코터에 의해 도공하고, 90℃에서 건조·열경화시켜, 굴절률 1.4의 반사 방지막(막두께: 100nm)을 형성하고, 하드 코트성(JIS K 5400에 의거한 연필 경도: 2H), 가스배리어성(ASTM-E96에 의거, 1.8g/㎡·day), 반사 방지성(표면의 Rvis: 1.O%), 대전 방지성(표면 저항: 7×109Ω/□) 및 오염방지성을 가지는 기능성 투명층(E)으로서 반사 방지 필름을 얻는다. 반사 방지 필름의 다른 쪽의 주면에, 점착제와 같은 소재로 색소를 넣지 않은 점착제/희석액을 도공·건조시켜, 두께 25㎛의 투명 점착층(D)(점착제 2)을 형성하고, 또, 이형 필름을 라미네이트한다.
(광학 필터의 제작)
투명 도전막/PET 필름/점착제/이형 필름을 970㎜×570㎜의 크기로 재단하고, 유리제 지지판에 투명 도전층(B) 면을 위로 해서 고정한다. 또, 라미네이터를 이용해서, 투명 도전층(B)의 주변 가장자리부 20㎜가 노출되도록 도통부를 남기고, 안쪽에만 반사 방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다.
또한, 투명 도전층(B)의 노출한 도통부를 덮도록 주변 가장자리부의 폭 22㎜의 범위에, 은페이스트(MSP-600F; 미쯔이카가쿠사 제품)를 스크린 인쇄하고, 건조시켜, 두께 15㎛의 전극을 형성한다. 그 후, 얻어진 재료를 지지판으로부터 떼어, 투명 점착층(C) 면에 이형 필름을 가지는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광학 필터의 장비)
또, 상기 광학 필터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앞면(표시부: 920㎜×520㎜)에 낱장공급식 라미네이터를 이용해서 붙인 후, 60℃, 2×1O5Pa의 가압 가온 조건하에서 오토클레이브처리한다. 광학 필터의 전극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접지부를, (주) 테라오카 제작소 제품인 도전성 구리박 점착 테이프(510FR)를 이용해서 접속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얻는다. 상기 광학 필터의 단면을, 본 발명의 광학 필터와 그 장착 상태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 위에, 차례로,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투명 점착층(50), 투명 고분자 필름(10), 투명 도전층(60), 투명 점착층(70), 투명 고분자 필름(80) 및 반사 방지층(90)이 적층된다. 전극(100)은, 투명 점착층(70), 투명 고분자 필름(80) 및 반사 방지층(90)의 끝면을 덮도록, 투명 도전층(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충격성 시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광학 필터를 장비한 PDP의 내충격성을 강구 낙하 시험 및 낙하 시험에 의해 조사한다. 모두 합격했을 경우만 "합격"으로 하고, 그 이외는 "불합격"으로 한다. "합격", "불합격"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도, 각 시험 결과로부터 내충격성의 우열을 판단한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투명 점착층에 있어서 그 영률이 1×1O2내지 1×1O6Pa의 범위내에 있어서, 양호한 내충격성을 나타내, 내충격성 시험에 합격하는 PDP를 제공할 수가 있는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투명 점착층의 영률이 1×1O6Pa 보다도 큰 경우 및 1×1O2Pa 보다도 작은 경우는 충분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번호 아세트산비닐함유율(중량%)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A 20 2,000,000 불합격 불량
B 18 100,000 합격 양호
C 15 700,000 합격 양호
D 10 30,000 합격 매우 양호
E 5 1,000 합격 매우 양호
F 3 100 합격 양호
G 2 90 불합격 불량
(실시예 2)
탄성률에 의해 특징지워진 투명 점착층으로서 실리콘계의 투명 점착층을 제작해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리콘계 점착제의 제작)
이하에 나타내는 3종의 수지 및 촉매를 준비한다.
수지 P1
페닐 메틸 실록산(농도: 50몰%)과, 모노페닐 실록산(농도: 15몰%)과, 모노 메틸 실록산(농도: 25몰%)과, 디페닐 실록산(농도: 10몰%)과의 공중합체; 아연옥테이트 촉매(0.6중량%)를 함유; 실리콘과 결합한 수산기를 지님.
수지 P2
페닐 메틸 실록산(농도: 60몰%)과 페닐 비닐 실록산(농도: 40몰%)으로 이루어진 페닐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P3
페닐 메틸 실록산(50몰%)과, 수소화 메틸 실록산(50몰%)과의 공중합체.
촉매 A
클로로플라틴산(농도: 0.2중량%)을 분산한 크실렌 용액.
조제 h
수지 P1과 수지 P2와 수지 P3을 중량비 25:4.0:1.0으로 톨루엔중에서 혼합하여, 50% 혼합액을 제작한다. 이 혼합액에 촉매 A를 15방울 가한다. 얻어진 혼합액을 시료 h라 한다.
조제 i
촉매 A를 1방울 가한 점 이외에는 조제 h와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얻어진 혼합액을 시료 i라 한다.
조제 j
촉매 A를 가하지 않는 점 이외에는 조제 h와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얻어진 혼합액을 시료 j라 한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리콘계의 점착제를 이용해도, 실시예 1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투명 점착층의 영률을 종래 보다도 저하시킴으로써, 그 투명 점착층을 장비한 PDP가, 내충격성의 안전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번호 클로로플라틴산(적하수)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H 15 3,000,000 불합격 불량
I 1 700,000 합격 양호
J 0 30,000 합격 매우 양호
(비교예 1)
투명 점착층으로서 더블택 테이프(5510; 세키스이화학사 제품)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종래 이용되고 있는 투명 점착제를 장비한 PDP는, 내충격성이 부족하고, 그 투명 점착제의 영률은,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내충격성이 부족했던 시료와 동등하다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투명점착제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더블택 테이프(세키스이화학사 제품 5510) 2,000,000 불합격 불량
(실시예 3)
이하에 표시한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한다. 단, 기재 필름으로서 트리 아세틸 셀룰로스(TAC) 필름 대신에,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필름(두께: 188㎛; 영률: 4,000㎫)을 이용한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층 형성면의 반대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투명 도전막을 제작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점착제(시료 번호 e)를 제작하고, 거기에 색소를 분산시키고, 점착층을 형성한다.
반사 방지막/PET 필름/투명 도전막의 투명 도전막 위에 전술한 바에 의해 얻어지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다. 먼저, 투명 점착층의 양면에 붙여 있는 2매의 이형 필름중 1매를 벗겨, 투명 적층체 위에 붙여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구성은, 반사 방지막/PET 필름/투명 도전막/점착제/이형 필름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적층체를 970㎜×570㎜의 크기로 재단하여,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또, 상기 광학 필터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42인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앞면(표시부: 920㎜×520㎜)에 낱장공급식 라미네이터를 이용해서 붙인 후, 60℃, 2×10-5Pa의 가압 가온 조건하에서 오토클레이브 처리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앞면의 표시부분의 주위에는 외부와의 나사체결용 구멍을 미리 뚫어 둔다. 이 나사체결용 구멍은 PDP 외부에 도통하고, 접지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광학 필터는, 이 나사체결용 구멍을 덮어 가리도록 PDP에 붙일 수 있다. 광학 필터 표면에서부터 광학 필터를 관통하도록 나사체결용 구멍에 고정한다. 또한, 이용하는 나사는 도전성을 지닌 것이 필요하다. 상기 광학 필터의 단면을, 본 발명의 광학 필터와 그 장착 상태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 위에, 차례로,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투명 점착층(50), 투명 도전층(60), 투명 고분자 필름(10) 및 반사 방지층(90)이 적층된다. 전극(100)은, 각 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투명 도전층(6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PDP의 도전성 나사의 접촉에 의해 접지 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OELD(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에 장비한 상태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OELD(140) 위에, 차례로,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투명 점착층(50), 투명 고분자 필름(10) 및 반사 방지층(90)이 적층된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광학 필터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의 매수가 1매여도, 그 영률이 종래 보다도 낮은 투명 점착층을 이용함으로써, 그 광학 필터를 장비한 PDP의 내충격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1,000 합격 매우 양호
(실시예 4)
이하에 표시한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점착제로서,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실리콘계 점착제(시료 번호 c)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투명 점착층이, 실리콘계 점착제여도 실시예 3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30,000 합격 매우 양호
(실시예 5)
이하에 표시한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3에서 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점착제(시료 번호 d)를 제작하고, 점착층을 형성한다.
반사 방지막/PET 필름의 PET 필름 위에 전술한 바에 의해 얻어지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다. 먼저, 투명 점착층의 양면에 붙여 있는 2매의 이형 필름중 1매를 벗겨, 투명 적층체 위에 붙여 새로운 적층체를 제작한다. 구성은, 반사 방지막/PET 필름/점착제/이형 필름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광학 필터를 60㎜×40㎜의 크기로 재단하고,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또, 상기 광학 필터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3인치형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의 앞면(표시부: 60㎜×40㎜)에 붙인다.
내충격성 시험의 합격 판단은 디스플레이 시인면의 유리 기판에 분열이 생겼는 지의 여부로 판단한다.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투명 점착층의 영률을 종래 보다도 저하시킴으로써, 그것을 장비한 소형 휴대 디스플레이가, 낙하에 의한 충격에 의해 갈라지기 어려운 것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1,000 합격 매우 양호
(실시예 6)
이하에 표시한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낮은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점착제로서,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실리콘계 점착제(시료 번호 c)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투명 점착층으로서 실리콘계 점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장비한 소형 휴대 디스플레이의 내충격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률(Pa) 내충격성 시험 종합평가
30,000 합격 매우 양호
(실시예 7)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작에 있어서, 시료 c를 제작했다.
점착층의 형성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를, 510㎛, 500㎛, 300㎛, 100㎛, 50㎛, 10㎛ 및 5㎛의 7종 준비했다.
투명 도전성 필름에의 점착층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에서 준비한 7종의 점착제를 투명 도전막/PET 필름의 PET 필름 면위에 접합시켜, 7종의 적층체를 준비했다. 구성은, 투명 도전막/PET 필름/점착제/이형 필름이다.
광학 필터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 필터 제작 후에 광학 필터의 시감 평균 투과율을 측정했다. 시감 평균 투과율(Tvis)이 30%보다 낮은 경우에는,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점착층의 두께가 1O㎛보다도 작은 경우는, 내충격성 시험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의 두께가 500㎛보다도 큰 경우는, 시감 평균 투과율이 30%보다도 작아져, 실용상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을 감안하면,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점착층 두께(㎛) 내충격성 시험 Tvis(%)
510 합격 29
500 합격 30
300 합격 55
100 합격 60
50 합격 70
10 합격 73
5 불합격 75
투명 수지층의 영률에 관해서
(실시예 8)
(투명 수지층의 작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 1203(유니티카(주) 제)을 290 내지 300℃에서 용융시켜, 압출기에 의해 두께 200㎛의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이 필름을 2축연신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을 제작한다.
상술의 PET 필름과 토모에가와 제지소 제품인 투명 점착제 시트(두께: 0.01㎜; 영률: 2.5㎫)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학 필터의 작성 및 PDP 앞면에의 접합을 실시한다.
상기 광학 필터의 단면을, 본 발명의 광학 필터와 그 장착 상태의 다른 예를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40) 위에, 차례로, 투명 점착층(250), 적절한 탄성 및 두께를 가지는 투명 수지층(210), 투명 도전층(260), 투명 점착층(270), 투명 수지층(280) 및 반사 방지층(290)이 적층된다. 전극(300)은, 투명 점착층(270), 투명 수지층(280) 및 반사 방지층(290)의 끝면을 덮도록, 투명 도전층(2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충격성 시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광학 필터를 장비한 PDP의 내충격성을 강구 낙하 시험에 의해 조사한다. 비산한 유리가 도달한 거리에 의해, 우열을 판단했다. 즉, 유리가 먼 곳까지 비산할 수록, 장비한 광학필터의 성능이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의 비산 거리가 0.5m이내인 경우에, 투명 수지층이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실시예 9)
투명 수지층의 PET를 연신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10)
탄성에 의해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두께: 100㎛;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 40㎫)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11)
탄성에 의해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EVA)(두께: 100㎛;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 12㎫)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12)
탄성에 의해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으로서 EVA(두께: 100㎛;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 4㎫)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실시예 13)
기재 필름으로서 EVA(두께: 200㎛;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 1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한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층 형성면의 반대면에 실시예 8에서 실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투명 도전막을 제작한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작하고, 거기에 색소를 분산시켜, 점착층을 형성한다.
반사 방지막/PET 필름/투명 도전막의 투명 도전막 위에 전술한 바에 의해 얻어지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다. 먼저, 투명 점착층의 양면에 붙여 있는 2매의 이형 필름중 1매를 벗기고, 얻어진 투명점착층을 투명 적층체 위에 붙여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구성은, 반사 방지막/PET 필름/투명 도전막/점착제/이형 필름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적층체를 970㎜×570㎜의 크기로 재단하고,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또, 상기 광학 필터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42인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앞면(표시부 920㎜×520㎜)에 낱장공급식 라미네이터를 이용해서 붙인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앞면의 표시부분이외의 주위에는 외부와의 나사체결용 구멍을 미리 뚫어 둔다. 이 나사체결용 구멍은 PDP 외부에 도통하고, 접지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광학 필터는, 이 나사체결용 구멍을 덮어 가리도록 PDP에 붙일 수 있다. 광학 필터 표면으로부터 광학 필터를 관통하도록, 나사체결용 구멍에 고정한다. 또한, 이용하는 나사는 도전성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광학 필터의 단면을, 본 발명의 광학 필터와 그 장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40) 위에, 차례로, 투명 점착층(250), 투명 도전층(260), 투명 수지층(210) 및 반사 방지층(290)이 적층된다. 전극(300)은, 각 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투명 도전층(26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PDP의 도전성 나사와의 접촉에 의해 접지된다.
(실시예 14)
탄성으로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으로서 EVA(두께: 200㎛; 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 4㎫)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에서 사용된 "구성층수"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전체 투명 수지층의 수이다. 표 9에서 사용된 유리의 "비산 거리"는, 강구 낙하 시험 후의 결과이다.
실시예 투명수지 영률(㎫) 구성층수 비산거리(m)
8 PET 1,000 2 3.3
9 PET 90 2 0.5
10 EPR 40 2 0.1
11 EVA 12 2 0.1
12 EVA 4 2 0.1
13 EVA 12 1 0.1
14 EVA 4 1 0.1
EP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VA: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실시예 15)
실시예 10의 필터 시트를 40㎜×30㎜의 크기로 절단하고, 2인치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치수: 40㎜×30㎜)의 시인면 위에 붙였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OELD(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에 장비한 상태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OELD(340) 위에, 차례로, 투명 점착층(250), 투명 수지층(210) 및 반사 방지층(290)이 적층된다.
이 소자의 내충격성을 낙하 시험에 의해 조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의 비산 거리가 0.5m이내인 경우에 투명 수지층이, 충격 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에 있어서 작성한 PET 필름을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에서 사용된 "재료"란, 탄성 및 두께로 특징지워진 투명 수지층의 재료를 가리킨다. 표 10에서 사용된 "영률"은 그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영률이다. 표 10에서 사용된 유리의 "비산 거리"는, 낙하 시험 후의 결과이다.
실시예 투명수지 영률(㎫) 비산거리(m)
15 EPR 40 0.4
16 EVA 4 0.2
다음에 충격 흡수층을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7)
(투명 도전층의 제작)
PET 필름(두께: 75㎛; 영률: 3,900㎫)과 토모에가와 제지소 제품인 투명 점착제 시트(두께: 0.01㎜; 영률: 2.5㎫)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투명 도전층의 작성을 실시한다.
(충격 흡수층의 준비)
실리콘의 겔상 물질(젤텍사 제품; 제품명: α겔; 두께 500㎛의 시트형상; 시감 평균 투과율: 83%; 침입도: 180)을 준비하고, 상기에서 반사 방지 필름을 작성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한 쪽의 주면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다. 또 한 쪽의 주면상에 투명 점착제(두께: 25㎛; 영률: 2.0㎫)를 접합한다.
전술한 투명 도전 필름 및 충격 흡수층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학 필터의 작성 및 PDP에의 접합을 실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학 필터와 그 장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40) 위에, 차례로, 투명 점착층(450), 투명 수지층(410), 투명 도전층(460), 투명 점착층(470), 투명수지층(480), 반사 방지층(490) 및 충격 흡수층(500)이 적층된다. 전극(510)은, 투명 점착층(470), 투명 수지층(480) 및 반사 방지층(490)의 끝면을 덮도록, 투명 도전층(4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충격성 시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한, 광학 필터를 장비한 PDP의 내충격성을 강구 낙하 시험에 의해 조사한다.
(실시예 18)
아래와 같은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충격 흡수층의 준비)에 있어서;
실리콘의 겔형상 물질(젤텍사 제품; 제품명: α겔; 두께 500㎛의 시트형상; 침입도: 180; 시감 평균 투과율: 83%)을 준비하고, 한 쪽의 주면상에 투명 점착제(두께: 25㎛; 영률: 2.0㎫)를 접합시킨다.
(광학 필터의 제작)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광학 필터의 색소함유 점착층과 상기 충격 흡수층의 투명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을 접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얻어진 구성은, 반사 방지층/TAC 필름/투명 점착층/투명 도전층/색소함유 점착층/충격 흡수층/점착층/세퍼레이터 필름이 된다.
또, 투명 도전층의 노출한 도통부를 덮도록 주변 가장자리부의 폭 22㎜의 범위에, 은페이스트(MSP-600F; 미쯔이카가쿠사 제품)를 스크린 인쇄하고, 건조시켜 두께 15㎛의 전극을 형성한다.
(광학 필터의 장비)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를 구비한 PDP의 단면도를 광학 필터의 단면도와 함께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40) 위에, 차례로, 충격 흡수층(500), 투명 점착층(450), 투명 수지층(410), 투명 도전층(460), 투명 점착층(470), 투명 수지층(480) 및 반사 방지층(490)이 적층된다. 전극(510)은, 투명 점착층(470), 투명 수지층(480) 및 반사 방지층(490)의 끝면을 덮도록, 투명 도전층(4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시예 19)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충격 흡수층을 2종류 준비했다.
(충격 흡수층 I의 준비)에 있어서;
실리콘의 겔형상 물질(젤텍사 제품; 제품명: α겔; 두께: 500㎛의 시트형상; 시감 평균 투과율: 83%; 침입도: 180)을 준비하고, 상술한 바에 있어서 반사 방지 필름을 작성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한 쪽의 주면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다. 또 한 쪽의 주면상에 투명 점착제(두께: 25㎛; 영률: 2.0㎫)를 접합한다. 이것을 충격 흡수층 I이라 한다.
(충격 흡수층 II의 준비)에 있어서;
실리콘의 겔형상 물질(젤텍사 제품; 제품명: α겔; 두께: 500㎛의 시트형상; 시감 평균 투과율: 83%; 침입도: 180)을 준비하고, 한 쪽의 주면상에 투명 점착제(두께: 25㎛; 영률: 2.0㎫)를 접합한다. 이것을 충격 흡수층 II라 한다.
(광학 필터의 제작)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광학 필터의 색소함유 점착층과 충격 흡수층 II의 투명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서 접합한다.
얻어진 적층체의 구성은, 반사 방지층/TAC 필름/투명 점착층/투명 도전층/색소함유 점착층/충격 흡수층/점착층/세퍼레이터 필름이 된다.
또, 투명 도전층의 노출한 도통부를 덮도록 주변 가장자리부의 폭 22㎜의 범위에, 은페이스트(MSP-600F; 미쯔이카가쿠사 제품)를 스크린 인쇄하고, 건조시켜 두께 15㎛의 전극을 형성한다.
충격 흡수층 I의 투명 점착제 측과 상기 적층체의 반사 방지 필름 측을 접합시킨다.
계속해서, 적층체를 지지판으로부터 벗겨내어, 투명 점착층면에 이형 필름을 가지는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제작한다.
상기 광학 필터를 구비한 PDP의 단면도를 광학 필터의 단면도와 함께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40) 위에, 차례로, 충격 흡수층(500), 투명 점착층(450), 투명 수지층(410), 투명 도전층(460), 투명 점착층(470), 투명 수지층(480), 반사 방지층(490) 및 충격 흡수층(500)이 적층된다. 전극(510)은, 투명 점착층(470), 투명 수지층(480) 및 반사 방지층(490)의 끝면을 덮도록, 투명 도전층(4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시예 20)
반사 방지 필름과 충격 흡수층 II를 이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해서 작성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충격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하였다. 이상, 실시예 17 내지 20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충격흡수층 흡수층수 충격흡수층위치 필터구성부재 내충격성 시험
17 실리콘겔 1 시인면측 투명도전필름+반사방지필름 합격
18 실리콘겔 1 패널면측 투명도전필름+반사방지필름 합격
19 실리콘겔 2 양면 투명도전필름+반사방지필름 합격
20 실리콘겔 1 시인면측 투명도전필름 합격
비교예 2 없음 불합격
표 11에서의 실시예 17 내지 20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내충격성 시험에 합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층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적층체를 이용한 광학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충격성 시험에 불합격이다.
(실시예 21)
(반사 방지 필름의 제작)
PET 필름(두께: 188㎛; 영률: 4,000㎫)위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반대면에 점착층(두께: 25㎛; 영률: 2.0㎫)을 형성했다.구성은, 반사 방지층/PET 필름/점착층이다.
(충격 흡수층의 준비)
실리콘의 겔형상 물질(젤텍사 제품; 제품명: α겔; 두께: 500㎛의 시트형상; 시감 평균 투과율: 83%; 침입도: 180)을 준비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 필름을 작성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한 쪽의 주면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다. 또 한쪽의 주면상에 투명 점착제(두께: 25㎛; 영률: 2.0㎫)를 접합시킨다.
(광학 필터의 제작)
40㎜×30㎜의 크기로 재단한 상기 반사 방지 필름과 충격 흡수층을 접합시킨다. 구성은, 반사 방지층/PET 필름/점착층/충격 흡수층/점착층/세퍼레이터이다.
이것을 2인치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치수 40㎜×30㎜)의 화면상에 붙인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를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와 함께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520) 위에, 차례로, 투명 점착층(50), 투명 수지층(10) 및 반사 방지층(90)이 적층된다.
이 소자의 내충격성을 낙하 시험에 의해 조사했다.
(비교예 3)
충격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았던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이상, 실시예 21 및 비교예 3의 결과를 표 1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충격흡수층 흡수층수 충격흡수층위치 내충격성 시험
21 실리콘겔 1 시인면측 합격
비교예 3 없음 불합격
표 12에서의 실시예 2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충격 흡수층을 구비한 광학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 시험에 합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층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적층체 또는 광학 필터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내충격성 시험에 불합격이다.
다음에, 낙구 충격시험 평가를 실시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2)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작)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필름(폭: 564㎜; 길이: 500m; 두께: 75㎛; 영률: 3,900㎫)을 고분자 필름으로 해서 그 한 쪽의 주면에, PET 필름으로부터 차례로, ITO 박막(막두께: 40nm), 은박막(막두께: 10nm), ITO 박막(막두께: 95nm), 은박막(막두께: 12nm), ITO 박막(막두께: 90nm), 은박막(막두께: 9nm) 및 ITO 박막(막두께: 40nm)의 합계 7층의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면저항 2.3Ω/□의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했다. 투명 도전층과 반대쪽에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했다.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낸다.
(AG필름의 준비)
AG필름(일본 유지사 제품; 종목: PET75AG-HC/PU-V; AG 층의 반대면에 투명 점착층이 형성되고 있음; 폭: 558㎜; 길이: 500m; 두께: 75㎛)(기재층: PET 필름; 영률: 3,90O㎫)를 준비한다.
(EVA 시트의 준비)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미쯔이 듀퐁 폴리 케미컬사 제품; 아세트산 비닐 단위; 19중량% 함유; MFR=2.5g/10분; JIS-A경도= 89; 영률: 43㎫) 펠릿을 이용해서, 사출성형으로 폭 564㎜, 두께 0.23㎜, 0.36㎜, 0.93㎜, 1.3㎜, 2.1㎜ 크기의 시트를 제작한다. 이 시트의 한 면에 투명 점착층(색소 없음; 두께: O.O1㎜)을 접합시킨다.
(접합)
롤-투-롤 방식에 의해,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점착층 측과 2.1㎜두께의 EVA 시트의 점착층과 반대 쪽을 접합시킨다.
이어서, 롤-투-롤 방식에 의해, 상기 적층체의 투명 도전층 측과 AG필름의 점착층 측을 접합시킨다. 또한, 필름의 폭방향 위치에 관해서는, 각각의 필름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게 되는 위치로 하였다. 전체의 두께는 약 2.3㎜이다.
(절단)
상술의 적층체를 958㎜*564㎜크기로 절단한다.
(전극 형성)
적층체의 긴 변 부분에 6㎜의 폭에 걸쳐서, 스크린 인쇄법에 따라 은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필터 1을 얻었다. 도포는 AG필름 측에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의 장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X-42VP1; NEC사 제품) 앞면에 색소함유 투명 점착층을 개재하여,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장착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비치되어 있는 컨택트를, 디스플레이용 필터의 전극 부분에 접촉시켰다.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전극 모두를 덮도록 한다.
(전자파 차단 능력 평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작시켜서, 외부에 방출되는 전자파의 강도를 FCC 규격 Part15J에 의거하여 측정한다. 본 필터는 등급 A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낙구 충격시험)
스톤테이블 위에 압축형 로드 셀(정격용량: 20kN; 정격출력: 1160*10-6strain)(LC-20 KNG702; 닛케이전측사 제품)을 고정하고, 로드 셀위 중앙부에 상기 필터를 50㎜*50㎜크기로 자른 샘플을 고정하고, 실온하, 543g의 강구를 10㎝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그 때의 응력과 시간은, 상기 로드 셀, 동변형계(AS2102형; NEC 산에이사 제품), 고속 DC앰프(AP11-103형; NEC 산에이사 제품) 및 서멀 닷 레코더(RA1200형; NEC 산에이사 제품)를 접속해서 측정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동일한 샘플 필름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X-42VP1; NEC사 제품) 위에 고정하고, 543g의 강구를 10㎝의 높이로부터 낙하시켜도 PDP 패널은 파손되지 않는다.
(실시예 23)
EVA 시트 대신에 상품명 α젤(젤텍사 제품인 실리콘계 겔; 두께: 3㎜; 한 면에 투명 점착제 부여)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의 제작과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EVA, α젤 대신에 PET 시트(두께: 2㎜; 영률: 900㎫)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샘플 시트의 제작과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실시예 시트 1 시트 2 T/F PDP패널의 파손 전자파차폐효과
명칭 두께/㎜ 명칭 두께/㎜
22 EVA 2.1 - - 254 없음 등급 A
23 α젤 3.0 - - 1240 없음 실시안함
비교예 4 PET 2.0 - - 65 있음 등급 A
다음에 JIS-A경도가 다른 2종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낙구 충격시험 평가를 실시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4)
두께 1㎜의 α젤과 두께 0.23㎜의 EVA와 적층체를 접합시킨 샘플 시트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EBS) 시트의 준비)
쉘사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품명: 크레이톤 G1657; JIS-A경도: 55; 영률: 1.2㎫) 펠릿을 이용해서, 사출성형으로 폭 564㎜, 두께 0.36㎜, 0.54㎜, 1.02㎜크기의 시트를 제작한다. 이 시트의 한 면에 투명 점착층(색소 없음; O.O1㎜)을 접합시킨다.
(접합 및 낙구 충격시험)
두께 0.36㎜의 EVA 시트와, 두께 1㎜의 α젤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접합과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도시한다.
(실시예 26)
EVA 시트 두께를 0.23㎜로 하고, 크기를 가로 세로 각각 50㎜로 해서 전극 인쇄를 실시하지 않았던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EVA 시트 두께를 0.93㎜로 하고, SEBS 시트 대신에 상품명 α젤(젤텍사 제품인 실리콘계 겔; 크기: 50㎜*50㎜*0.3㎜; 한 면에 투명 점착제 부여; JIS-A경도<10)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EVA 시트 두께를 0.23㎜로 하고, α젤을 두께 1㎜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EVA 시트 두께를 0.36㎜로 하고, α젤을 두께 1㎜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EVA 시트 대신에 SEBS 시트(두께: 0.36㎜)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SEBS 시트를 두께 0.93㎜, α젤을 0.3㎜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7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EVA/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EPT) 공가교물 시트의 준비)
EVA 40부, 미쯔이 EPT(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르넨 공중합체) 60중량부, 실리카 25중량부 및 파라핀 오일 27중량부에 안정제, 실란커플링제, 과산화물, 그리고, 안정제를 첨가해서 혼련 후, 용융 프레스 성형으로 세로 150㎜, 가로 150㎜, 두께 0.54㎜와 1.17㎜의 시트를 얻었다(이후 EVT라고 칭함; JIS-A경도: 64; 영률: 1.2㎫). 이들 시트의 JIS-A경도는 모두 64였다. 이들 시트의 한 면에 상기의 점착제(색소 없음; 두께 O.O1㎜)를 붙였다.
(낙구 충격시험)
SEBS 대신에 두께 1.17㎜의 EVT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EVT를 두께 0.54㎜로 하고, α젤(젤텍사 제품인 실리콘계 겔; 크기: 50㎜*50㎜*0.5㎜; 한 면에 투명 점착제 부여; JIS-A경도<10)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α젤 대신에 두께 O.36㎜의 SEBS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0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해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SEBS를 두께 0.54㎜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31과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층 1 층 2 충격환화층두께(㎜) T/F 경도비 패널의 파손 전자파차폐효과
명칭 두께(㎜) 명칭 두께(㎜)
24 α젤 1.0 EVA 0.23 1.23 260 >8.9 없음 실시안함
25 EVA 0.36 SEBS 0.93 1.31 281 1.62 없음 등급 A
26 EVA 0.23 SEBS 0.93 1.18 255 1.62 없음 실시안함
27 EVA 0.94 α젤 0.3 1.26 242 >8.9 없음 실시안함
28 EVA 0.23 α젤 1 1.24 258 >8.9 없음 실시안함
29 EVA 0.36 α젤 1 1.37 281 >8.9 없음 실시안함
30 SEBS 0.36 α젤 1 1.37 297 >5.5 없음 실시안함
31 SEBS 0.93 α젤 0.3 1.24 319 >5.5 없음 실시안함
32 EVT 1.17 α젤 0.3 1.48 316 >6.4 있음 실시안함
33 EVT 0.54 α젤 0.5 1.05 280 >6.4 없음 실시안함
34 EVT 0.54 SEBS 0.36 0.92 243 1.16 없음 실시안함
35 EVT 0.54 α젤 0.54 1.10 283 1.16 없음 실시안함
비교예4 PET 2.0 - - 2.0 65 - 있음 등급 A
(실시예 36)
α겔의 두께를 0.5㎜, EVA의 두께를 0.36㎜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5에 도시한다.
(실시예 37)
α겔의 두께를 0.5㎜, EVT의 두께를 0.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 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5에 표시한다.
(실시예 38)
SEBS의 두께를 0.45㎜, EVT의 두께를 0.4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시트를 제작하여,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5에 표시한다.
실시예 층 1 층 2 충격환화층두께(㎜) T/F 경도비 패널의 파손 전자파차폐효과
명칭 두께(㎜) 명칭 두께(㎜)
36 α젤 0.5 EVA 0.36 0.86 260 >8.9 없음 실시안함
37 SEBS 0.5 α젤 0.5 1.0 263 >5.5 없음 실시안함
38 EVT 0.45 SEBS 0.45 0.90 252 1.16 없음 실시안함
비교예4 PET 2.0 - - 2.0 65 - 있음 등급 A
이상의 결과로부터, 1층 이상의 충격 완화층을 구비하고 T/F치가 200이상이면 패널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 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저감이 도모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적층체를 설치했을 경우, 내충격성 등의 안전기준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뛰어난 내충격성을 가지는 대형 표시장치 또는 소형 휴대단말용 표시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투명 점착층과 투명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두께가 3.5㎜이하인 적층체에 있어서,
    중량이 530g 내지 550g의 범위에 있는 강구를 10㎝의 높이에서부터 떨어뜨리는 낙구충격시험에 있어서의 응력-시간 곡선에 있어서, 충격 응력 발생으로부터 제 1의 피크까지의 사이 T(μs)와 제 1의 피크시의 충격 응력 F(kN)과의 사이에,
    T/F ≥ 200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제 1항에 있어서, 충격 흡수층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1층 이상의 투명 점착층과,
    1층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적층체에 있어서,
    하기의 (I) 내지 (IV)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I)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2내지 1×1O6Pa, 두께가 10 내지 500㎛임;
    (II)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3내지1×1O8Pa, 두께가 10 내지 3000㎛임;
    (III)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고, 해당 충격 흡수층의 적어도 1층의 침입도가 50 내지 200임; 및
    (IV)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또는 충격 흡수층을 합계 2층 이상 가지고, 그 중, JIS-A 경도의 비가 1.1이상인 관계에 있는 2층이 존재함.
  4. 제 1항에 있어서, 1층 이상의 투명 점착층과, 1층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하기의 (I) 내지 (IV)의 적어도 1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I)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2내지 1×1O6Pa, 두께가 10 내지 500㎛임;
    (II)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의 영률이 1×1O3내지 1×1O8Pa, 두께가 10 내지 3000㎛임;
    (III)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고, 해당 충격 흡수층의 적어도 1층의 침입도가 50 내지 200임; 및
    (IV)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 및/또는 충격 흡수층을 합계 2층 이상 가지고, 그 중, JIS-A 경도의 비가 1.1이상의 관계에 있는 2층이 존재함.
  5.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이,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제 4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점착층이,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투명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 4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투명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9. 제 3항에 있어서, 충격 흡수층이, 실리콘계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제 4항에 있어서, 충격 흡수층이, 실리콘계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1.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의 JIS-A경도가 0 내지 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 4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 및 충격 흡수층의 JIS-A경도가 0 내지 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 1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0.01 내지 30Ω/□의 면저항을 가지는 투명 도전층 또는 금속메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0.01 내지 30Ω/□의 면저항을 가지는 투명 도전층 또는 금속메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5. 제 1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반사 방지 기능, 방현기능, 오염방지기능, 정전방지기능, 편광 기능 및 위상차형성 기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6.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중의 적어도 1층이, 반사 방지 기능, 방현기능, 오염방지기능, 정전 방지 기능, 편광 기능 및 위상차형성 기능으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7. 제 1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은, 전자파의 전체 영역, 근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적어도 1개의 전자파를 필터링하는 필터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8. 제 3항에 있어서, 1층이상의 투명 수지층은, 전자파의 전체 영역, 근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적어도 1개의 전자파를 필터링하는 필터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9. 제 1항 기재의 적층체를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3항 기재의 적층체를 디스플레이 시인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27015321A 2001-03-15 2002-03-15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0540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4083 2001-03-15
JP2001074083 2001-03-15
JP2001081399 2001-03-21
JPJP-P-2001-00081399 2001-03-21
JPJP-P-2001-00115832 2001-04-13
JP2001115832 2001-04-13
JPJP-P-2001-00236440 2001-08-03
JP2001236440 2001-08-03
JPJP-P-2001-00323035 2001-10-22
JP2001323035 2001-10-22
PCT/JP2002/002457 WO2002074532A1 (fr) 2001-03-15 2002-03-15 Corps lamine et dispositif d'affichage utilisant ce corps lam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494A true KR20030001494A (ko) 2003-01-06
KR100540543B1 KR100540543B1 (ko) 2006-01-10

Family

ID=2753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321A KR100540543B1 (ko) 2001-03-15 2002-03-15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63739B2 (ko)
EP (1) EP1283106A4 (ko)
JP (1) JP3706105B2 (ko)
KR (1) KR100540543B1 (ko)
CN (1) CN1331664C (ko)
WO (1) WO200207453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87B1 (ko) * 2003-12-11 200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필터 제조 방법
KR100708980B1 (ko) * 2004-09-01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KR100748801B1 (ko) * 2003-03-10 2007-08-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01565B1 (ko) * 2004-12-22 2008-02-11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1034B1 (ko) * 2003-03-12 200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US8053071B2 (en) 2007-01-09 2011-11-08 Lg Chem, Ltd. Impact absorption layer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film having use of impact absorption comprising the same
US8227986B2 (en) 2008-04-14 2012-07-24 Samsung Sdi Co., Ltd. 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8471462B2 (en) 2010-05-28 2013-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119519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KR2018011951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0161C (en) * 2000-02-22 2015-11-24 Metacarta, Inc. Spatially co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JP2002341776A (ja) * 2001-05-16 2002-11-29 Nitto Denko Corp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JP3998975B2 (ja) * 2001-12-28 2007-10-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磁波遮蔽用シート
JP4181862B2 (ja) * 2002-11-28 2008-11-19 篠田プラズマ株式会社 発光管アレイ型表示装置
JP4646131B2 (ja) * 2003-02-03 2011-03-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透明導電性フィルム、透明導電板及びタッチパネル
KR100945428B1 (ko) * 2003-02-12 2010-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필터
US7507436B2 (en) * 2003-07-04 2009-03-24 Nitto Denko Corporation Electroconductive cellulose-based film,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 anti-reflection film, an optical element, and an image display
JP2005136214A (ja) * 2003-10-30 2005-05-26 Nec Corp 薄膜デバイス基板の製造方法
KR100611226B1 (ko) * 2003-11-25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7709751B2 (en) 2003-12-10 2010-05-04 Lg Chem, Ltd. Method for making film assembly used in PDP filter, film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PDP filter with the film assembly
US7271854B2 (en) * 2003-12-19 2007-09-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uclear hardened liquid crystal display
US7695781B2 (en) * 2004-02-16 2010-04-13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image display uni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ireflective film
US20050186421A1 (en) * 2004-02-23 2005-08-25 Hyun-Seok Choi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US20070264499A1 (en) * 2004-02-23 2007-11-15 Lg Chem, Ltd.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JP4541108B2 (ja) * 2004-04-26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636857B2 (ja) * 2004-05-06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03676A (ja) * 2004-06-18 2006-01-05 Lintec Corp 表示画面用機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4807942B2 (ja) * 2004-10-13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
KR101082894B1 (ko) * 2004-11-09 201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모듈, 광학모듈의 제조 방법, 광학모듈을 갖는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US7910022B2 (en) 2006-09-15 2011-03-22 Performance Indicator, Llc Phosphorescent compositions for identification
MX2007007445A (es) 2004-12-20 2007-11-08 Performance Indicator Llc Formulaciones y objetos con fotoluminiscencia persistente, de alta densidad, y metodos para crearlos.
DE102005013082A1 (de) * 2005-02-23 2006-08-24 Röhm GmbH & Co. KG Extrudierte Folie oder Platte mit elektrisch leitfähiger 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en
US20060263596A1 (en) * 2005-05-06 2006-11-23 Bamborough Derek W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laminates
US20060251890A1 (en) * 2005-05-06 2006-11-09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WO2007002800A2 (en) * 2005-06-28 2007-01-04 Metacarta, Inc. User interface for geographic search
US7973875B2 (en) 2005-08-24 2011-07-05 Toray Advanced Film Co., Ltd Flat-panel display memb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flat-panel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479692B2 (ja) * 2005-08-29 2010-06-0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31862B1 (ko) * 2005-10-11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652736B2 (en) * 2005-10-25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frared light reflecting film
TW200739466A (en) * 2005-11-16 2007-10-16 Pentax Corp Protective cover for display panel and its use
KR101253802B1 (ko) * 2005-12-05 2013-04-12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기기 및 표시 기기의 제조 방법
US9411896B2 (en) * 2006-02-10 2016-08-09 Nokia Technologies Oy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 thumbnails and companion maps for media objects
TW200737506A (en) * 2006-03-07 2007-10-01 Sanyo Electric Co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07108239A1 (ja) * 2006-03-20 2007-09-27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CN101390001B (zh) * 2006-03-20 2010-09-0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20080010273A1 (en) 2006-06-12 2008-01-10 Metacar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erarchical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geographic search results
WO2007148411A1 (ja) * 2006-06-22 2007-12-27 Pioneer Corporation 表示装置
US20080033935A1 (en) * 2006-08-04 2008-02-07 Metacar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results of geographic text searches
US20080140348A1 (en) * 2006-10-31 2008-06-12 Metacar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models using geographic text search
US9721157B2 (en) * 2006-08-04 2017-08-01 Nokia Technologies Oy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d using information from map images
US20080065685A1 (en) * 2006-08-04 2008-03-13 Metacar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results of geographic text searches
EP2824653B1 (en) 2006-07-14 2016-06-29 Dexerial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WO2008018524A1 (en) * 2006-08-1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08020481A1 (en) * 2006-08-18 2008-02-21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Display apparatus,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 detachment
US7547894B2 (en) 2006-09-15 2009-06-16 Performance Indicator, L.L.C. Phosphoresc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using the same
JP5010247B2 (ja) * 2006-11-20 2012-08-29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52902B2 (en) * 2006-11-28 2011-11-08 L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polarizing plate
WO2009075689A2 (en) * 2006-12-21 2009-06-18 Metacarta, Inc. Methods of systems of using geographic meta-metadata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 displays
US20100003481A1 (en) * 2006-12-25 2010-01-07 Masahito Nakabayashi Display substrate for embedding pixel-controlling elements
JP4413935B2 (ja) * 2007-02-13 2010-02-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952337B2 (ja) * 2007-03-30 2012-06-13 Jsr株式会社 耐衝撃粘着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5141074B2 (ja) * 2007-03-30 2013-02-13 Jsr株式会社 耐衝撃粘着層、耐衝撃粘着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5401824B2 (ja) 2007-04-09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08126868A1 (ja) 2007-04-09 2008-10-23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
JP2009186957A (ja)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JP5470735B2 (ja) * 2007-04-10 2014-04-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03678A (ko) * 2007-07-03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842128B2 (en) 2007-09-13 2010-11-30 Performance Indicatior LLC Tissue marking compositions
US8039193B2 (en) 2007-09-13 2011-10-18 Performance Indicator Llc Tissue markings and methods for reversibly marking tissue employing the same
WO2009050881A1 (ja) * 2007-10-15 2009-04-23 Panasonic Corporation 超音波探触子
US8339040B2 (en) * 2007-12-18 2012-12-25 Lumimove, Inc.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systems
WO2009082131A2 (en) * 2007-12-20 2009-07-02 Lg Chem, Ltd. Multi-layered acrylic retardation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9198827A (ja) * 2008-02-21 2009-09-03 Mitsubishi Plastics Inc 液晶ディスプレイ用複合フィルム
US8956731B2 (en) * 2008-02-27 2015-02-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sheet
WO2010018651A1 (ja) * 2008-08-13 2010-02-18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の保護体及び該保護体の形成方法
CN102461333B (zh) * 2009-06-25 2014-08-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色发光有机el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2498525B (zh) * 2009-09-17 2014-01-29 三洋电机株式会社 透明导电膜和具备该透明导电膜的装置
KR20110059244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7737B1 (ko) 2010-03-02 2012-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637217B1 (en) * 2010-11-02 2016-03-23 Mitsui Chemicals, Inc. Solar battery encapsulant and solar battery module
FR2967506A1 (fr) 2010-11-16 2012-05-18 Thales Sa Hublot optronique transparent ir et reflechissant rf
KR101726597B1 (ko) * 2010-12-13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터치 및 근접한 오브젝트 센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TW201227073A (en) * 2010-12-31 2012-07-01 Au Optronics Corp Color display
CN104024360B (zh) * 2012-01-06 2016-09-07 Lg化学株式会社 电子装置的制造方法
KR101974478B1 (ko) * 2012-01-09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934533B2 (ja) * 2012-03-23 2016-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
KR101946463B1 (ko) 2012-07-27 2019-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JP2014097529A (ja) * 2012-10-18 2014-05-29 Fuji Electric Co Ltd 発泡金属による接合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
JP6170673B2 (ja) 2012-12-27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組成物、赤外線透過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赤外線センサー
JP2014163904A (ja) * 2013-02-27 2014-09-08 Nok Corp 電子カセッテ用緩衝材
KR20140117179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126649A (ko) * 2013-04-04 2015-11-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5016064A1 (ja) * 2013-08-01 2015-02-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
KR101415606B1 (ko) 2013-09-03 2014-07-04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 방법
WO2015034218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US20150344747A1 (en) * 2013-11-15 2015-12-03 Lg Chem,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1565855B1 (ko) * 2014-04-21 2015-11-0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패턴 비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광학시트
KR101544163B1 (ko) 2014-04-29 2015-08-21 (주) 자스민 디스플레이용 필름
MX2016014265A (es) * 2014-06-30 2017-02-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istema y metodo para depositar de elementos informaticos integrados (ice, por su sigla en ingles) utilizando una etapa de traslado.
KR102424178B1 (ko) * 2014-09-02 2022-07-25 루미리즈 홀딩 비.브이. 광원
US10696016B2 (en) * 2015-07-31 2020-06-30 Samsung Sdi Co., Ltd. Window film and flexible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6900368B2 (ja) * 2015-09-30 2021-07-0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弾性特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構造体
CN106626580B (zh) 2015-10-28 2019-12-2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复合积层板
TWI617454B (zh) * 2015-10-28 2018-03-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複合積層板
US11360251B2 (en) * 2016-07-15 2022-06-14 Toray Industries, Inc. Film and layered body having specified thickness ratios of thermoplastic layers
KR102591754B1 (ko) * 2016-09-09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8091993A (ja) * 2016-12-02 2018-06-14 株式会社Kalbas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カバー
KR102018356B1 (ko) 2016-12-13 2019-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059512B2 (ja) * 2017-03-06 2022-04-26 Agc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3647046A4 (en) 2017-06-27 2021-03-17 LG Chem, Ltd. DECORATIV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7915416A (zh) * 2017-11-27 2018-04-17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灌液方法及其系统
CN111771145B (zh) * 2018-02-28 2022-04-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TWI822743B (zh) * 2018-03-28 2023-11-2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含玻璃薄膜之調光元件
WO2020114834A1 (de) * 2018-12-03 2020-06-11 Covestro Deutschland Ag Kunststofffolien mit hoher vicat-erweichungstemperatur in schichtaufbauten
JP6890724B2 (ja) * 2019-03-27 2021-06-18 大阪瓦斯株式会社 放射冷却装置及び放射冷却方法
EP4032735A4 (en) * 2019-09-20 2023-09-27 Mitsui Chemicals, Inc. DISPLAY DEVICE
JP2021071713A (ja) * 2019-10-28 2021-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071305A (ja) * 2019-10-29 2021-05-06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力覚センサ装置
KR102240907B1 (ko) * 2020-02-28 2021-04-15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 시트
CN111961243A (zh) * 2020-07-17 2020-11-20 厦门三德信科技股份有限公司 黄色透明聚酰亚胺薄膜无色化的处理方法及无色复合薄膜
KR20220048517A (ko) * 2020-10-12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172A (en) * 1984-08-14 1987-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safety or impact resistant laminates
JPH01279988A (ja) 1987-12-21 1989-11-10 Nitto Denko Corp 電池用粘着テープ
JPH01188579A (ja) 1988-01-22 1989-07-27 Asahi Chem Ind Co Ltd 感圧接着性保護シート
JPH0648786A (ja) * 1992-07-30 1994-02-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防火安全ガラス
JP3421690B2 (ja) 1994-04-15 2003-06-30 株式会社ジェルテック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錯乱防止構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318145B2 (ja) 1995-01-17 2002-08-26 三井化学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H08220515A (ja) 1995-02-13 1996-08-30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08220303A (ja) 1995-02-17 1996-08-30 Kyodo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ー用光学部材およびその支持方法
JPH0919982A (ja) 1995-07-07 1997-01-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飛散防止・省エネフィルム
JP3280224B2 (ja) * 1996-02-06 2002-04-30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リコーンゲル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43824A (ja) 1996-03-05 1997-09-19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粘着テープ及び偏光板複合体の製造方法
EP0894620B1 (en) 1996-04-18 2007-06-06 Kanebo Trinity Holdings, Ltd.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film and multi-layered panel including same
JPH1065053A (ja) 1996-08-21 1998-03-06 Nhk Spring Co Ltd メタルベース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
US5811923A (en) * 1996-12-23 1998-09-22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Plasma display panel with infrared absorbing coating
CN2302262Y (zh) * 1997-06-12 1998-12-30 上海奥依光电子有限公司 一种透明隔热薄膜
JPH11174206A (ja) 1997-12-16 1999-07-02 Asahi Chem Ind Co Ltd 保護フィルター
US6259491B1 (en) 1998-02-06 2001-07-10 Motorola, Inc. Double sided laminated liquid crystal display touchscreen and method of making same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611234B2 (ja) * 1998-08-07 2005-01-19 クレハ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表示画面用保護フィルム
JP2000105311A (ja) 1998-09-29 2000-04-11 Nitto Denko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JP2000112393A (ja) 1998-09-30 2000-04-21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6444311B1 (en) * 1999-10-19 2002-09-0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Impact resistant protective multilayer film
JP2002023649A (ja) 2000-03-15 2002-01-23 Nitto Denko Corp 透明衝撃緩和積層体と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US6548177B2 (en) * 2000-03-15 2003-04-15 Nitto Denko Corporation Transparent shock-absorbing laminat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1266759A (ja) 2000-03-15 2001-09-28 Nitto Denko Corp 衝撃緩和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260539A (ja) 2001-03-05 2002-09-13 Toray Ind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01B1 (ko) * 2003-03-10 2007-08-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911034B1 (ko) * 2003-03-12 200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KR100543587B1 (ko) * 2003-12-11 200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필터 제조 방법
KR100708980B1 (ko) * 2004-09-01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KR100801565B1 (ko) * 2004-12-22 2008-02-11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7492081B2 (en) 2004-12-22 2009-02-1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Display pane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53071B2 (en) 2007-01-09 2011-11-08 Lg Chem, Ltd. Impact absorption layer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film having use of impact absorption comprising the same
US8227986B2 (en) 2008-04-14 2012-07-24 Samsung Sdi Co., Ltd. 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8471462B2 (en) 2010-05-28 2013-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119519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KR20180119518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US11092844B2 (en) 2017-04-25 2021-08-17 Lg Chem, Ltd. Optical device
US11099420B2 (en) 2017-04-25 2021-08-24 Lg Chem, Lt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6105B2 (ja) 2005-10-12
EP1283106A1 (en) 2003-02-12
US7163739B2 (en) 2007-01-16
KR100540543B1 (ko) 2006-01-10
JPWO2002074532A1 (ja) 2004-07-08
CN1331664C (zh) 2007-08-15
US20070071970A1 (en) 2007-03-29
EP1283106A4 (en) 2005-12-14
WO2002074532A1 (fr) 2002-09-26
CN1462237A (zh) 2003-12-17
US20030176124A1 (en)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543B1 (ko)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0215589B1 (ko) 투명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디스플레이용 필터
KR100590368B1 (ko) 디스플레이용 필터,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83447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51633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9204535B2 (en) Conductiv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39747B1 (ko) 전자파 실드성 광투과 창재,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EP1008871A2 (en) Transparent laminate and filter for use for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transparent laminate
US20050170158A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touch panel having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JP200605889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58114A1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filter having a black peripheral portion formed using a black treatment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753482B2 (ja) 透明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JP2007013130A (ja) ディスプレーパネル用フィルム、光学フィルター、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
WO2008056947A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323860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JP4004161B2 (ja)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JP200006776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保護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819139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3015536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WO2008060078A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3043937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JP2002324431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2363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TWI225227B (en) A displaying filter, a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268569A (ja) 光学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