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324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324A
KR20030001324A KR1020020035327A KR20020035327A KR20030001324A KR 20030001324 A KR20030001324 A KR 20030001324A KR 1020020035327 A KR1020020035327 A KR 1020020035327A KR 20020035327 A KR20020035327 A KR 20020035327A KR 20030001324 A KR20030001324 A KR 2003000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lid
cover
movab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388B1 (ko
Inventor
히라바야시겐이치
오시다가즈야
나가타노리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1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5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187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10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8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0781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using a cutting tool mounted on a reciprocating carrier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플래튼 및 반송 롤러를 후퇴시키는 프린터에 있어서,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거나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프린터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프린터(10)는 롤지(P1)를 수납하는 롤지 수납부(13)를 갖는 하우징[커버(12), 유닛 프레임(27)등]과, 롤지 수납부(13)의 개구부(26)를 개폐하는 덮개(28)와, 롤지 수납부(13)로부터 인출되는 롤지(P1)에 인자를 실행하는 인자헤드(16)와, 덮개(2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로 롤지(P1)의 이면을 안내하는 가동 플래튼(17)과, 덮개(28)의 개폐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의 결합 레버(36)와 결합하고 가동 플래튼(17)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 부재(35)를 구비하며, 이 가이드 부재(35)는 가동 플래튼(17)의 자유단측을 덮개(28)의 열림 조작에 따라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하도록 회동시키고, 또한 덮개(28)의 닫힘 조작에 따라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를 향해 전진하도록 회동시킨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연속형상 시트에 인자(印字)를 실행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덮개의 열림 조작에 따라 플래튼을 인자헤드의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에 인자를 실행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형상 시트와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를 구비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연속형상 시트의 일종인 롤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에서 롤지를 인출하여 인자를 실행하는 프린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종류의 프린터는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롤지의 교환 및 프린터 내부의 유지가 실시된다. 롤지를 교환했을 때는, 수납부로부터 수동으로 롤지를 인출하는 동시에 인출한 롤지를 소정의 종이 반송로를 따라 세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종이 반송로의 일 측을 형성하는 플래튼 및 반송 롤러를 수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측에 설치하는 것이 제창되었다. 즉, 이것은, 롤지를 교환하도록 덮개를 열면, 플래튼 및 반송 롤러가 덮개와 함께 후퇴하여 종이 반송로가 개방되기 때문에 롤지를 종이 반송로에 용이하게 따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인자헤드를 겸용하여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에 인자를 실행하는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린터는 영수증, 청구서, 티켓, 쿠폰 등의 각종 시트를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슈퍼마켓 그 밖의 점포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를 공통의 인자 위치로 이끄는 동시에, 인자 후에 각각의 배지구(排紙口)로부터 배지(排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 연속형상 시트와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상기 플래튼의 후퇴 이동 방향으로 공간이 없는 프린터에서는, 플래튼을 덮개와 함께 후퇴시킬 수 없고, 예컨대,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에 인자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프린터에서는, 분기체가 플래튼의 후퇴 이동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는, 상기 분기체가 덮개의 개폐 동작에 간섭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에는 덮개의 원활한 개폐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체 및 덮개측의 부재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0-118064 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래튼을 덮개의 열림 조작에 따라 인자헤드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시키고, 또한, 덮개의 닫힘 조작에 따라 인자헤드 근접 대향 위치를 향해서 전진시키는동작을 부가함으로써, 배지 분기체 등의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플래튼을 덮개와 함께 후퇴시키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상기 공보에서는 플래튼을 인자헤드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해, 대규모의 슬라이드 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슬라이드기구의 미끄럼 운동 저항에 의해서 덮개의 원활한 개폐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2)대규모의 슬라이드 기구를 내장함으로써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3)슬라이드 기구를 롤지 수납부의 상방으로부터 후퇴시켰기 때문에 덮개를 바깥쪽으로 크게 개방시켜야 하고, 프린터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플래튼 및 반송 롤러를 후퇴시키는 것이면서,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거나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없고, 또한 프린터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가동 플래튼을 정확히 위치 결정하여 인자 불량 및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서 연속형상 시트와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를 구비한 것이면서,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는 상기 분기체를 덮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덮개의 원활한 열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분기체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직선적인 조작에 따라 덮개의 잠금 해제 및 분기체의 후퇴를 실행함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프린터의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프린터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프린터 유닛의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프린터 유닛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프린터 유닛의 측단면도,
도 6은 덮개 완전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7은 덮개 반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8은 결합 레버가 가이드 부재에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9는 가동 플래튼이 회동을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10은 덮개가 완전 닫힘 위치에 이르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11은 덮개 완전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
도 12는 분기체의 사시도,
도 13은 덮개 잠금 기구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전체 사시도,
도 14는 덮개 잠금 기구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덮개 잠금 기구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덮개 완전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
도 17은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 직후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
도 18은 덮개가 열림 동작을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
도 19a는 잠금 해제 레버의 회동 지점 부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b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의 회동 지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c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의 회동 지지부의 정면도,
도 19d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의 회동 지지부의 측면도,
도 20은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커터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커터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반송 롤러쌍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 롤지P2 : 낱장지
10 : 프린터13 : 롤지 수납부
14 : 낱장지 삽입구16 : 인자헤드
17 : 가동 플래튼18 : 분기체
19 : 제 1 고정 반송 롤러20 : 제 1 가동 반송 롤러
21 : 제 2 고정 반송 롤러22 : 제 2 가동 반송 롤러
23 : 롤지 배출구25 : 낱장지 배출구
26 : 개구부27 : 유닛 프레임
28 : 덮개29 : 잠금 레버
30 : 잠금핀31 : 덮개 열림 조작 버튼
32 : 플래튼 지축33 : 롤러 지축
35 : 가이드 부재36 : 결합 레버
37 : 위치 결정 가이드부38 : 고정 가이드 핀
41 : 고정 커터43 : 압축 스프링
44 : 덮개 잠금 기구45 : 잠금 해제 레버
45a : 제 1 레버부45b : 제 2 레버부
45c : 연결부45i : 절결부
46 : 사이드 프레임46a : 스토퍼부
47 :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a : 회동 지지부
47b : 폭이 좁은 부분47c : 회동 지점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린터는, 연속형상 시트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수납부에서 인출된 상기 연속형상 시트에 인자를 실행하는 인자헤드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자헤드의 근접 대향 위치로 상기 연속형상 시트의 이면을 안내하는 가동 플래튼과,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 플래튼의 고정단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가동 플래튼을 상기 덮개의 열림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시키고, 또한, 상기 덮개의 닫힘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대향 위치를 향해 전진시키는 것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가동 플래튼을 덮개와 함께 후퇴시키는 것이면서, 슬라이드 기구를 사용하여 플래튼을 진퇴시켜서,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거나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또한 프린터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의 닫힘 조작시에연속형상 시트를 종이 반송로에 용이하게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의 고정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쌍으로 종이 반송을 실시함으로써 연속형상 시트의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덮개의 닫힘 조작시에 연속형상 시트를 제 1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로 누름으로써 연속형상 시트에 적절한 텐션을 부여하여, 연속형상 시트의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인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가 닫힘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 2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인자헤드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에 맞닿은 후,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인자 헤드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의 닫힘 조작시 제 1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가 타이밍을 늦추어 연속형상 시트를 누르기 때문에, 연속형상 시트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거나, 느슨해진 상태의 연속형상 시트를 그대로 양 가동 반송 롤러가 눌러 버리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닫힘 조작시에 상기 가동 플래튼을 위치 결정 가이드하는 위치 결정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가동 플래튼을 정확히 위치 결정하여 인자 불량 및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덮개의 완전 닫힘 위치 근방에서 상기 가동플래튼의 회동을 대략 정지시키고,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를 상기 하우징측의 고정 가이드부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가이드부를 고정 가이드부에 확실히 결합시켜, 가동 플래튼을 정확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의 가이드방향은 상기 가동 플래튼이 상기 인자헤드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가동 플래튼의 벗어남을 위치 결정 가이드부에서 확실히 규제하고, 가동 플래튼의 벗어남에서 기인하는 인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의 가이드방향은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접선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제 1 고정 반송 롤러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 결정하고, 양 반송 롤러의 위치 편차에서 기인하는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의 지축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동 플래튼의 회동 중심 및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인자헤드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 및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이용하여 가동 플래튼을 인자헤드측에 압착할 수 있는 동시에, 가동 플래튼의 위치 결정을 실행할 수 있고,이에 의해 전용의 플래튼 가압부재 및 플래튼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를 타고 넘는 것을 허용하는 융통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가 제 1 고정 반송 롤러를 타고 넘을 때 하중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타고 넘을 때에 부재의 변형 및 파손이 생기거나,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자헤드는 상기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에 인자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측에서의 상기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속형상 시트와 상기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로서, 상기 덮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 가능한 것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서 연속형상 시트와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를 구비하는 것이면서 덮개의 개폐 조작시에 있어서는 분기체를 덮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분기체와 가동 플래튼과의 간섭을 확실히 회피하고 덮개의 원활한 열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분기체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분기체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가동 플래튼의 간섭 회피 대상인 분기체의 근방에 가이드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가동 플래튼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형상 시트의 교환 등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가 방해되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가 상기 분기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인자헤드의 하류측에서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함으로써 연속형상 시트의 느슨해짐 등을 방지하여 분기부에서의 종이 반송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체가 제 2 고정 반송 롤러의지지 부재에 겸용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체는 연속형상 시트 반송로에 대하여 또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에 대하여 진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 전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가동 플래튼과의 접촉시에 분기체를 원활하게 후퇴 동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확실한 종이 누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체는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고정 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분기체를 고정 커터의 지지 부재에 겸용하고,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고 직선방향으로 조작되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과, 상기 덮개를 닫힘 위치로 잠그는 덮개 잠금 기구로서,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하여 상기 덮개의 열림 동작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분기체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직선적인 조작에 응하여 덮개의 잠금 해제 및 분기체의 후퇴를 실행함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잠금 기구는,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잠금핀과, 상기 덮개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핀에 대하여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잠금 레버와 상기 하우징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해제 레버로서,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잠금 레버를 잠금 해제측으로 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분기체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을 직선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면서 회동식의 잠금 해제 레버를 거쳐서 잠금 레버 및 분기체를 동작시킴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력을 경감하고,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에 연계되는 제 1 레버부와, 상기 잠금 레버 및 상기 분기체에 연계되는 제 2 레버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가 각각 회동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레버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잠금 해제 레버의 원활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부는, 통상 회동범위 외에서의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횡방향으로부터의 장착을 허용하는 회동 지지부와, 통상 회동범위 내에서의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통상 회동범위 외에서의 회동이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레버의 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전용 부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레버부는 회동 지점(支點) 구멍에 연속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절결부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폭이 좁은 부분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가 상기 폭이 좁은 부분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상기 회동 지점 구멍과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회동 지점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레버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한편, 회동 지지부에 폭이 좁은 부분을 형성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회동 지지부에 대한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예)
1. 프린터의 전체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린터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프린터 유닛의 덮개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린터 유닛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프린터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프린터 유닛(11)을 커버(하우징 구성 부재)(12)로 덮어 구성된다. 프린터(10)는 롤지(연속형상 시트)(P1)를 수납하는 롤지 수납부(13)와 낱장지(낱장 시트)(P2)를 삽입하는 낱장지 삽입구(14)를 갖고, 롤지 수납부(13)로부터 인출되는롤지(P1)와 낱장지 삽입구(14)로부터 삽입되는 낱장지(P2)가 공통의 인자 위치(15)를 통해 반송되도록 롤지 반송로 및 낱장지 반송로가 구성되어 있다. 인자 위치(15)에는 인자헤드(16)와 가동 플래튼(17)이 근접 대향 상태로 배치(근접 상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그 하류측에는 롤지(P1)와 낱장지(P2)의 배지 경로를 분기시키는 분기체(18)가 설치되어 있다. 인자헤드(16)는 예컨대 잉크젯 방식이고, 종이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도시하지 않음)상에 탑재되며, 가동 플래튼(17)에 의해서 이면이 눌러진 롤지(P1) 또는 낱장지(P2)의 표면에 도트 매트릭스 인자를 실행한다. 롤지 수납부(13)로부터 인출된 롤지(P1)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19)(구동측)와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종동측)와의 사이를 통과해 인자 위치(15)에 이르고, 또한 분기체(18)의 후측에서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종동측)와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구동측)와의 사이 및 후술하는 커터 기구(48)를 통해 롤지 배출구(23)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낱장지 삽입구(14)로부터 삽입된 낱장지(P2)는, 낱장지 반송 롤러쌍(24)의 후측을 통과해 인자 위치(15)에 이르고, 또한 분기체(18)의 전방측을 통과해 낱장지 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다.
롤지 수납부(13)의 상방에는 개구부(26)(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6)를 거쳐서 롤지(P1)의 교환 등이 실행된다. 개구부(26)는 유닛 프레임(하우징 구성 부재)(27)의 후방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8)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28)는 유닛 프레임(27)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46)의 회동 지점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통축(筒軸) 형상의 버링부(28a)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덮개(28)의 개폐는 덮개(28)가 닫힘 위치에 이르렀을 때, 덮개(28)측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잠금 레버(29)가 유닛 프레임(27)측에 설치되는 잠금핀(30)에 결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잠겨지고, 또한, 잠금 레버(29)에 의한 덮개(28)의 잠금은 후술하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조작에 따라 해제된다.
2. 플래튼의 구조
덮개(28)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동 플래튼(17)이 플래튼 지축(32)을 거쳐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플래튼(17)의 자유단측에는 롤러 지축(33)을 거쳐서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20)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단측에는 플래튼 지축(32)을 거쳐서 상기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인 제 2 가동 반송 롤러(22)는 덮개(28)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가동 플래튼(17)의 일 측부에 설치되는 기어 전동 기구(34)를 거쳐서 반송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반송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 회동한다. 또한, 가동 플래튼(17)은 상기 가동 플래튼(17)의 측면과 덮개(28)의 안쪽면에 가설된 후퇴용 탄기(60)(도 15참조)에 의해서 덮개(28)의 하면측에 가압되어 있고, 덮개(28)가 열림 상태일 때는 후퇴용 탄기(彈機)(60)의 가압력으로 가동 플래튼(17)이 덮개(28)의 하면을 따르는 자세로 유지된다.
3. 플래튼의 동작
한편, 유닛 프레임(27)측에는 분기체(18)의 상방 근방에 덮개(28)의 개폐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을 회동시키는 가이드 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5)는 가동 플래튼(17)의 고정단측에 돌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결합레버(36)에 결합하고, 가동 플래튼(17)을 회동시킨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덮개 완전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8)가 완전 열림 상태일 때는 후퇴용 탄기(60)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플래튼(17)이 덮개(28)의 하면을 따르는 자세로 유지되고, 롤지 수납부(13)의 상방이 넓게 개방된다. 또한, 가동 플래튼(17), 제 1 가동 반송 롤러(20)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가 덮개(28)와 함께 후퇴함으로써, 롤지 반송로의 일 측이 개방된다. 이 상태로 롤지(P1)의 수납을 실행하는 동시에 롤지 수납부(13)로부터 롤지(P1)를 인출하여 롤지 반송로를 따르게 한다.
도 7은 덮개 반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8은 결합 레버가 가이드 부재에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9는 가동 플래튼이 회동을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덮개가 완전 닫힘 위치에 이르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지(P1)를 수납한 후 덮개(28)를 닫힘 조작하면, 가동 플래튼(17)의 결합 레버(36)가 가이드 부재(35)에 결합한다. 또한, 덮개(28)를 닫힘측으로 누르면,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아래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결합 레버(36)는 덮개(28)에 대하여 후퇴방향으로 상대 회동하고, 그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이 후퇴용 탄기(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대로 전진 방향으로 상대 회동한다. 이에 의해 가동 플래튼(17)은 덮개(28)와 함께 아래로 움직이면서 전진 방향으로 회동하고, 분기체(18)의 하측 공간에 진입한다.
도 11은 덮개 완전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8)가 잠금 레버(29)에 의한 자동 잠금 위치(완전 닫힘 위치)까지 닫힘 조작되면, 가동 플래튼(17)이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에 이르는 동시에 제 1 가동 반송 롤러(20)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가 각각 제 1 고정 반송 롤러(19) 및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에 대해 롤지(P1)를 누르고, 프린터(10)가 인자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덮개(28)가 완전 닫힘된 상태로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을 조작하면, 덮개(28)의 열림 조작이 가능해진다. 덮개(28)를 열면, 결합 레버(36)가 닫힘 조작시와 반대의 작용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고, 그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이 후퇴용 탄기(60)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반대로 후퇴 방향으로 상대 회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은 덮개(28)와 함께 위로 움직이면서 후퇴 방향으로 회동하고, 분기체(18)의 하측 공간에서 후퇴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28)를 닫힘 조작한 경우, 우선,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가 인자헤드(16)의 하류측에서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에 맞닿은 후, 제 1 가동 반송 롤러(20)가 인자헤드(16)의 상류측에서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롤지 반송로를 따라서 인출된 롤지(P1)에 적절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20, 22)가 타이밍을 늦추어 롤지(P1)를 누름으로써 롤지(P1)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거나, 느슨해진 상태의 롤지(P1)를 그대로 양 가동 반송 롤러(20, 22)가 눌러 버리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플래튼의 위치 결정 구조
가동 플래튼(17)은 또한 자유단측의 좌우 양측면부에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는 하방이 개구하는 가이드 홈(37a)(도 6 참조)을 형성하고 있고, 유닛 프레임(27)측에 설치되는 고정 가이드 핀(고정 가이드부)(38)과의 결합에 의해, 가동 플래튼(17)을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로 위치 결정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8)가 완전 닫힘 직전 위치까지 닫힘 조작되면, 가이드 부재(35)가 가동 플래튼(17)의 회동을 대략 정지 상태로 하고, 약간의 자유 회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가동 플래튼(17)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 때, 위치 결정 가이드부(37)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면(37b)(도 6 참조)이 고정 가이드 핀(38)에 맞닿는 동시에 가이드 홈(37a)이 고정 가이드 핀(38)에 결합하도록 가동 플래튼(17)을 위치 결정 가이드한다. 이에 의해 가동 플래튼(17)이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에 정확히 위치 결정되게 된다. 즉, 가동 플래튼(17)의 인자헤드(16)에 대향하여 용지를 누르는 플래튼면과 인자헤드(16)의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노즐이 형성된 노즐 형성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7a)의 가이드 방향(결합 방향)은 가동 플래튼(17)이 인자헤드(16)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고, 또한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와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와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가동 플래튼(17)의 벗어남을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로 확실히 규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가동 반송 롤러(20)를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에 대해 정확히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5. 분기체의 구조
도 12는 분기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체(18)는 낱장지 반송로를 형성하는 분기판(39)과, 상기 분기판(39)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21)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는 지지 부재(40)와 상기 지지 부재(40)에 설치되고 롤지(P1)의 배출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고정 커터(4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기체(18)는 유닛 프레임(27)에 분기체 지축(42)을 거쳐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분기체 지축(42)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해서 가동 플래튼(17)측[제 2 가동 반송 롤러(22)측]에 가압되어 있다. 즉, 분기체(18)는 덮개(28)의 개폐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덮개(28)의 닫힘 상태에서는 압축 압축 스프링(43)의 가압력으로 제 2 고정 반송 롤러(21)를 제 2 가동 반송 롤러(22)에 가압접촉시켜, 확실한 종이 반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압축 스프링(43)의 일단측은 유닛 프레임(27)측의 홈부에 결합되고, 타단측은 지지부재(40)의 볼록부(40a)에 결합된다.
6. 커터 기구
도 24는 커터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커터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기구(48)는 분기체(18)에 좌우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고정 커터(41)와 덮개(28)의 선단측에 좌우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축(49)과, 상기 가이드축(49)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한 가동 커터지지 부재(50)와 상기 가동 커터 지지 부재(5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회동축(51)과, 상기 회동축(51)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회동식의 가동 커터(52)와, 상기 가동 커터 지지 부재(5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캠축(53)을 구비한다. 캠축(53)은 덮개(28)의 선단측에 좌우 방향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부에는 캠 홈(53a)이 형성된다. 이 캠 홈(53a)은 감긴 방향이 상이한 2개의 나선홈부와, 그 양단끼리를 연결시키는 연결 홈부를 포함하는 무단(無端) 형상으로, 가동 커터 지지 부재(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부재(54)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축(53)의 일 방향의 회전에 응해 가동 커터 지지 부재(50) 및 가동 커터(52)가 고정 커터(41)를 따라 왕복 이동되게 된다. 캠축(53)에는 상기 캠축(53)의 좌단부에 설치되는 캠축 치차(57)를 통해, 반송 모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51)과 롤지 반송로와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종이 가이드(55)가 설치된다. 종이 가이드(55)는 롤지(P1)의 배출 가이드를 실행하는 것이지만, 그 배면에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고정 래크(55a)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고정 래크(55a)는 회전축(5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가동 커터 회전용 치차(56)에 맞물리고, 가동 커터 지지 부재(50)의 이동에 따라 가동 커터(52)를 적정 방향[가동 커터(52)의 이동 방향 선단이 고정 커터(41)를 향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 래크(55a)와 가동 커터 회전용 치차(56)와의 사이에 중간 치차를 설치하지 않고, 가동 커터(52)를 적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축(51)은 하측[가동 커터(52)측]이 롤지 반송로에 가까워지는 한편, 상측[가동 커터 회동용 치차(56)측]이 롤지 반송로에서 멀어지도록 롤지 반송로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동 커터(52)를 지름을 줄이면서 롤지 반송로와 가동 커터 회전용 치차(56)와의 사이에 고정 래크(55a)[종이 가이드(55)]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 덮개의 잠금 기구
도 13은 덮개 잠금 기구를 도시하는 프린터 유닛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4는 덮개 잠금 기구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덮개 잠금 기구를 아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잠금 기구(44)는 덮개(28)측에 설치된 상술한 잠금 레버(29)와, 유닛 프레임(27)측에 설치되는 상술한 잠금핀(30)과,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조작에 응하여 잠금 레버(29)를 잠금 해제측으로 동작시키는 잠금 해제 레버(4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잠금 레버(29)는 잠금핀(30)에 결합 가능한 후크부(29a)와, 잠금핀(30)에 자동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경사 가이드부(29b)를 구비하고, 덮개(28)의 선단측에 좌우로 나뉜 형상으로 배치된다. 좌우 한쌍의 잠금 레버(29)는 그 기단부가 파이프 형상의 연결 부재(29c)를 거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부재(29c)에 끼워넣는 레버 지축(29d)에 의해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복귀 스프링(29e)에 의해서 잠금핀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잠금핀(30)은 사이드 프레임(46)의 내측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잠금 레버(29)와의 결합에 의해 덮개(28)를 닫힘 위치로 유지한다.
잠금 해제 레버(45)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에 연계되는 제 1 레버부(45a)와 잠금 레버(29) 및 분기체(18)에 연계되는 제 2 레버부(45b)와 양 레버부(45a, 45b)의 상단부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5c)를 갖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를 오른쪽으로 90° 회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레버부(45a)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에 결합하는 버튼 결합부(45d)(도 16 참조)와 후술하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의 회동 지지부(47a)에 끼워맞춤되는 회동 지점 구멍(45e)을 갖고, 상기 회동 지점 구멍(45e)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레버부(45b)는 우측 잠금 레버(29)의 결합편(29f)에 결합하는 잠금 레버 결합부(45f)와 분기체(18)의 볼록부(40a)에 결합하는 분기체 결합부(45g)와 사이드 프레임(46)의 회동 지점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맞춤되는 통축 형상의 버링부(45h)를 갖고, 상기 버링부(45h)를 지점으로 하여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은 유닛 프레임(27)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눌러 조작된다.
도 16은 덮개 완전 닫힘 상태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8)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는 잠금 레버(29)가 잠금핀(30)에 결합하여, 덮개(28)를 닫힘 위치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분기체(18)는 압축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의해 제 2 고정 반송 롤러(21)를 제 2 가동 반송 롤러(22)에 가압접촉시키고 있다.
8. 덮개의 잠금 해제 동작 및 분기체의 후퇴 동작
도 17은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 직후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덮개가 열림 동작을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덮개 잠금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8)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을 직선적으로 누름 조작을 하면, 그 조작력을 받아 잠금 해제 레버(45)가 전방으로 회동한다. 잠금 해제 레버(45)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제 2 레버부(45b)의 잠금 레버 결합부(45f)가 우측 잠금 레버(29)의 결합편(29f)을 전방으로 누르고, 그에 따라 잠금 레버(29)가 잠금 해제측에 동작하여 덮개(28)의 열림 동작을 허용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제 2 레버부(45b)의 분기체 결합부(45g)가 분기체(18)의 볼록부(40a)를 전방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분기체(18)가 덮개(28)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후퇴하고, 덮개(28)의 원활한 열림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9a는 잠금 해제 레버의 회동 지점 부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9b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의 회동 지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9c는 그 정면도이고, 도 19d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레버(45)의 제 1 레버부(45a)에는 회동 지점 구멍(45e)에 연속하고 그 하방을 개방시키는 절결부(45i)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는 수지성형되어 있고, 그 우상부에 회동 지지부(47a)를 일체로 구비한다. 회동 지지부(47a)에는 잠금 해제 레버(45)의 절결부(45i)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될 수 있는 판 형상의 폭이 좁은 부분(47b)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47b)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절결부(45i)가 폭이 좁은 부분(47b)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회동지점 구멍(45e)과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회동 지점축부(47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 지점축(47c)에 의해서 잠금 해제 레버(45)의 제 1 레버부(45a)가 회동 지지된다.
9.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구조
다음으로, 잠금 해제 레버의 장착 구조를 도 20 내지 도 23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잠금 해제 레버(45)를 정방으로 기울인 자세(통상 회동범위 외)로 하고 제 1 레버부(45a)의 절결부(45i)를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의 폭이 좁은 부분(47b)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춘다(도 20의 ①). 다음으로, 잠금 해제 레버(45)를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 1 레버부(45a)의 회동 지점 구멍(45e)을 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의 회동 지점축부(47c)에 끼워맞추는 동시에, 제 2 레버부(45b)의 버링부(45h)를 사이드 프레임(46)의 회동 지점 구멍에 끼워맞춘다(도 20의 ②). 다음으로, 잠금 해제 레버(45)를 통상 회동 범위내까지 회동시켜 잠금 해제 레버(45)의 좌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45j)를 사이드 프레임(46)에 형성되는 스토퍼부(46a)에 결합시킨다(도 22의 ③). 이 상태에서는 제 2 레버부(45b)가 사이드 프레임(46)에 좌측으로 맞닿고, 또한 결합 돌기(45j)가 스토퍼부(46a)에 우측으로부터 결합됨으로써, 잠금 해제 레버(45)의 좌우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을 유닛 프레임(27)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다(도 23의 ④). 이에 의해 잠금 해제 레버(45)의 통상 회동 범위외로의 회동이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에 의해서 규제되게 된다.
10. 플래튼 위치 결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
다음으로 가동 플래튼(17)의 위치 결정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은 제 1 반송 롤러쌍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자헤드(1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반송 롤러쌍(21,22)을 설치하지 않고, 롤지(P1)는 인자헤드(16)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반송 롤러 세트(19, 20)에 의해 반송된다.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의 롤러 지축(3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동 플래튼(17)의 회동 중심[플래튼 지축(32)] 및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의 회동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 A보다도 인자헤드(16)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반송 롤러쌍(19, 20)의 접점을 통과하는 롤러 접선 B가 인자헤드(16)측에 경사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의 후퇴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이 규제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에 전진 방향의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동 플래튼(17)을 제 1 반송 롤러쌍(19, 20)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하고, 인자헤드(16)와의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롤러 지축(33)을 상기 위치에 배치한 경우,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에는 덮개(28)의 개폐시에 제 1 고정 반송 롤러(19)를 타고 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롤러 지축(33)은 가동 플래튼(17)에 대해, 긴 구멍(17a)(융통수단)을 거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탄기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린터(10)는 롤지(P1)를 수납하는 롤지수납부(13)를 갖는 하우징[커버(12), 유닛 프레임(27) 등]과, 롤지 수납부(13)의 개구부(26)를 개폐하는 덮개(28)와, 롤지 수납부(13)로부터 인출되는 롤지(P1)에 인자를 실행하는 인자헤드(16)와 덮개(2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에서 롤지(P1)의 이면을 안내하는 가동 플래튼(17)과, 덮개(28)의 개폐에 따라 가동 플래튼(17)의 결합 레버(36)와 결합하여 가동 플래튼(17)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 부재(35)를 구비하며, 이 가이드 부재(35)는 가동 플래튼(17)을 덮개(28)의 열림 조작에 따라 인자헤드(16)의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시키고, 또한 덮개(28)의 닫힘 조작에 따라 근접 대향 위치를 향해서 전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덮개(28)의 열림 조작시에,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가동 플래튼(17)을 덮개(28)와 함께 후퇴시키는 것이면서 슬라이드 기구를 사용하여 플래튼을 진퇴시키는 것이면서 슬라이드 기구를 사용하여 플래튼을 진퇴시키는 것과 같이,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거나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프린터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17)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프린터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와의 사이에서 롤지(P1)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2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덮개(28)의 닫힘 조작시에 롤지(P1)를 종이 반송로에 용이하게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플래튼(17)의 고정단측에 설치되고 프린터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와의 사이에서 롤지(P1)를 반송하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22)를더 구비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쌍으로 종이 반송을 실행함으로써 롤지(P1)의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덮개(28)의 닫힘 조작시에 롤지(P1)를 제 1 및 제 2 가동 반송 롤러(20, 22)로 누름으로써, 롤지(P1)에 적절한 텐션을 부여하여, 롤지(P1)의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인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28)가 닫힘 조작되었을 때, 제 2 가동 반송 롤러(22)가 인자헤드(16)의 하류측에서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에 맞닿은 후, 제 1 가동 반송 롤러(20)가 인자헤드(16)의 상류측에서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에 맞닿기 때문에, 롤지(P1)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거나, 느슨해진 상태의 롤지(P1)를 그대로 양 가동 반송 롤러(20, 22)가 눌러 버리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래튼(17)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덮개(28)의 닫힘 조작시에 가동 플래튼(17)을 위치 결정 가이드하는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가동 플래튼(17)을 정확히 위치 결정하여 인자 불량 및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덮개(28)의 완전 닫힘 위치 근방에서 가동 플래튼(17)의 회동을 대략 정지시켜서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를 프린터 내부의 고정 가이드 핀(38)에 결합시키는 것을 더 구비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를 고정 가이드 핀(38)에 확실히 결합시키고 가동 플래튼(17)을 정확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가이드부(37)의 가이드방향은 가동 플래튼(17)이 인자헤드(16)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기 때문에, 가동 플래튼(17)의 벗어남을 위치 결정 가이드부(37)로 확실히 규제하고, 가동 플래튼(17)의 벗어남에 기인하는 인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가이드부(37)의 가이드 방향은 제 1 가동 반송 롤러(20)와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와의 접선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기 때문에, 제 1 가동 반송 롤러(20)를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 결정하고, 양 반송 롤러(19, 20)의 위치 편차에 기인하는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플래튼(17)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프린터 내부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와의 사이에서 롤지(P1)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20)를 구비하고, 제 1 가동 반송 롤러의 지축(33)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동 플래튼(17)의 회동 중심 및 제 1 고정 반송 롤러(19)의 회동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 A보다도 인자헤드(16)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고정 반송 롤러(19)및 제 1 가동 반송 롤러(20)를 이용하여 가동 플래튼(17)을 인자헤드(16)측에 밀어붙일 수 있는 동시에 가동 플래튼(17)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용의 플래튼 가압부재 및 플래튼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덮개(28)의 개폐에 따라 제 1 가동 반송 롤러(20)가 제 1 고정 반송 롤러(19)를 타고 넘는 것을 허용하는 긴 구멍(17a)을 더 구비하기 때문에, 제 1 가동 반송 롤러(20)가 제 1 고정 반송 롤러(19)를 타고 넘을 때의 하중을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 타고 넘을 때에 부재의 변형 및 파손이 생기거나, 덮개(28)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자헤드(16)는 롤지(P1) 및 낱장지(P2)에 인자 가능하고, 하우징측에 있어서의 인자헤드(16)의 하류 위치에 설치되고 롤지(P1)와 낱장지(P2)를 분기시키는 분기체(18)로서, 덮개(28)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 가능한 것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인자헤드(16)의 하류 위치에서 롤지(P1)와 낱장지(P2)를 분기시키는 분기체(18)를 구비한 것이면서 덮개(28)의 개폐 조작시에는 분기체(18)를 덮개(28)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자동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분기체(18)와 가동 플래튼(17)과의 간섭을 확실히 회피하고, 덮개(28)의 원활한 열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분기체(18)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5)가 분기체(1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 플래튼(17)의 간섭 회피 대상인 분기체(18)의 근방에 가이드 부재(35)를 배치함으로써, 가동 플래튼(17)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지(P1)의 교환 등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5)가 방해되는 좋지 않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22)가 분기체(18)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자헤드(16)의 하류측에서 롤지(P1)를 반송함으로써, 롤지(P1)의 느슨해짐 등을 방지하여 분기부에서의 종이 반송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체(18)가 제 2 고정 반송 롤러(21)의 지지부재에 겸용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분기체(18)는 롤지 반송로에 대하여 또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22)에 대하여 진퇴 방향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43)에 의해서 전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플래튼(17)과의 접촉시에 분기체(18)를 원활히 후퇴 동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43)의 가압력으로 확실한 종이 누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분기체(18)는 롤지(P1)를 절단하기 위한 고정 커터(41)를 구비하기 때문에, 분기체(18)를 고정 커터(41)의 지지 부재에 겸용하여, 부품수의 삭감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고, 직선 방향으로 조작되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과, 덮개(28)를 닫힘 위치로 잠그는 덮개 잠금 기구(44)로서,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조작에 응하여 덮개(28)의 열림 동작을 허용하는 동시에 분기체(18)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직선적인 조작에 응하여 덮개(28)의 잠금 해제 및 분기체(18)의 후퇴를 실시함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 잠금 기구(44)는,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잠금핀(30)과, 덮개(28)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잠금핀(30)에 대하여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잠금 레버(29)와, 하우징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해제 레버(45)로서,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조작에 응하여 잠금 레버(29)를 잠금 해제측에 동작시키는 동시에 분기체(18)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구비한다. 즉,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을 직선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면서, 회동식의 잠금 해제 레버(45)를 거쳐서 잠금 레버(29) 및 분기체(18)를 동작시킴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의 조작력을 경감하고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레버(45)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에 연계되는 제 1레버부(45a)와, 잠금 레버(29) 및 분기체(18)에 연계되는 제 2 레버부(45b)와, 제 1 및 제 2 레버부(45a, 45b)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5c)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레버부(45a, 45b)가 각각 회동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해제 레버(45)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잠금 해제 레버(45)의 원활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레버(4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부[잠금 해제 레버 지지 부재(47)및 사이드 프레임(46)]는 통상 회동 범위외에서의 잠금 해제 레버(45)의 횡방향에서의 장착을 허용하는 회동 지지부(47a)와, 통상 회동 범위내에서의 잠금 해제 레버(45)의 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46a)를 구비하고, 또한, 잠금 해제 레버(45)의 통상 회동 범위외로의 회동이 덮개 열림 조작 버튼(31)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레버(45)의 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전용 부재가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부(45a)는 회동 지점 구멍(45e)에 연속하는 절결부(45i)를 구비하는 한편, 회동 지지부(47a)는 절결부(45i)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폭이 좁은 부분(47b)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47b)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절결부(45i)가 폭이 좁은 부분(47b)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회동 지점 구멍(45e)과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회동 지점축부(47c)를 구비하기 때문에, 잠금 해제 레버(45)에 절결부(45i)를 형성하는 한편, 회동 지지부(47a)에 폭이 좁은 부분(47b)을 형성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회동 지지부(47a)에 대한 잠금 해제 레버(45)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 및 주지의 기술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그 변경 및 응용을 실시할 수 있는 범위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레버(36) 및 그 결합 레버(36)에 결합하는 가이드 부재(35)를 좌우 양단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좌우 어느 한쪽의 단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체 지축(42)또는 분기체 지축(42)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43)을 가이드 부재(35)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 반송 롤러를 구동측, 가동 반송 롤러를 종동측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을 바꾸어 고정 반송 롤러를 종동측, 가동 반송 롤러를 구동측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 프린터 내부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플래튼 및 반송 롤러를 후퇴시키면서, 덮개의 원활한 개폐를 저해하거나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좋지 않은 상황이 없으며, 프린터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또한 가동 플래튼을 정확히 위치 결정하여 인자 불량 및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서 연속형상 시트와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를 구비하는 것이면서, 덮개의 열림 조작시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체를 덮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덮개의 원활한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분기체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직선적인 조작에 응하여 덮개의 잠금 해제 및 분기체의 후퇴를 실시함으로써, 덮개 열림 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연속형상 시트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속형상 시트에 인자를 실행하는 인자헤드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자헤드의 근접 대향 위치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의 이면을 안내하는 가동 플래튼과,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동 플래튼의 고정단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플래튼은 상기 덮개의 열림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대향 위치로부터 후퇴하고, 상기 덮개의 닫힘 조작에 따라 상기 근접 대향 위치를 향해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래튼의 고정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닫힘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 2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인자헤드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에 맞닿은 후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인자헤드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닫힘 조작시에 상기가동 플래튼을 위치 결정 가이드하는 위치 결정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덮개의 완전 닫힘 위치 근방에서 상기 가동 플래튼의 회동을 대략 정지시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를 상기 하우징측의 고정 가이드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의 가이드 방향은 상기 가동 플래튼이 상기 인자헤드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부의 가이드 방향은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와 상기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접선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래튼의 자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제 1 고정 반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가동 반송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의 지축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동 플래튼의 회동 중심 및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인자헤드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 반송 롤러가 상기 제 1 고정 반송 롤러를 타고 넘는 것을 허용하는 융통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헤드는 상기 연속형상 시트 및 낱장 시트에 인자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측에서의 인자헤드의 하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속형상 시트와 상기 낱장 시트를 분기시키는 분기체로서, 상기 덮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 가능한 것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분기체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반송 롤러가 상기 분기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체는 연속형상 시트 반송로에 대하여 또는 제 2 가동 반송 롤러에 대하여 진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압축 용수철에 의해서 전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체는 상기 연속형상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고정 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고 직선 방향으로 조작되는 덮개 열림 조작 버튼과,
    상기 덮개를 닫힘 위치로 잠그는 덮개 잠금 기구로서,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하여 상기 덮개의 열림 동작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분기체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잠금 기구는,
    상기 하우징측에 설치되는 잠금핀과,
    상기 덮개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핀에 대하여 결합 및 해제 가능한 잠금레버와,
    상기 하우징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해제 레버로서,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잠금 레버를 잠금 해제측으로 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분기체를 후퇴측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에 연계되는 제 1 레버부와, 상기 잠금레버 및 상기 분기체에 연계되는 제 2 레버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가 각각 회동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 해제 레버 지지부는, 통상 회동범위 외에서의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횡방향으로부터의 장착을 허용하는 회동 지지부와, 통상 회동범위 내에서의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통상 회동범위 외로의 회동이 상기 덮개 열림 조작 버튼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레버부는 회동 지점(支點) 구멍에 연속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절결부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폭이 좁은 부분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가 상기 폭이 좁은 부분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상기 회동 지점 구멍과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회동 지점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2-0035327A 2001-06-25 2002-06-24 프린터 KR100431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1875 2001-06-25
JP2001191875A JP3785955B2 (ja) 2001-06-25 2001-06-25 プリンタ
JP2001191871A JP3741003B2 (ja) 2001-06-25 2001-06-25 プリンタ
JPJP-P-2001-00191871 2001-06-25
JPJP-P-2001-00318595 2001-10-16
JP2001318595A JP3680781B2 (ja) 2001-10-16 2001-10-16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24A true KR20030001324A (ko) 2003-01-06
KR100431388B1 KR100431388B1 (ko) 2004-05-13

Family

ID=2734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327A KR100431388B1 (ko) 2001-06-25 2002-06-24 프린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89969B2 (ko)
EP (1) EP1270242B1 (ko)
KR (1) KR100431388B1 (ko)
CN (1) CN1181979C (ko)
AT (1) ATE327105T1 (ko)
DE (1) DE60211596T2 (ko)
ES (1) ES2260356T3 (ko)
HK (1) HK10529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65A (ko) 2020-11-24 2022-05-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확산 코팅막을 도포한 탄소발열체의 제조와 유연성 및 온도 불균일성 개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409B2 (ja) * 2002-09-24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455515A1 (en) * 2003-03-07 2004-09-08 Sagem SA Fax machine with a housing having two half-shells
CN1302936C (zh) * 2003-05-02 2007-03-0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
JP4389534B2 (ja) * 2003-09-25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開閉蓋のロック・アンロック機構およびプリンタ
JP4107261B2 (ja) * 2003-11-14 2008-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機構を備えたプリンタ
ITTO20030909A1 (it) * 2003-11-17 2005-05-18 Olivetti Tecnost S P A Ora Olivett I Spa Dispositivo per stampare scontrini mediante due unita' di stampa, in particolare su carta termica, e relativo metodo di stampa.
KR100557013B1 (ko) * 2004-04-16 2006-03-03 주식회사 빅솔론 회전식 플라텐을 구비한 도트 프린터
JP4409344B2 (ja) 2004-04-20 2010-02-03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US7517165B2 (en) * 2004-06-23 2009-04-14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unit with frame locking mechanism and release lever
JP4517743B2 (ja) * 2004-06-23 2010-08-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ユニット
JP4581677B2 (ja) * 2004-12-27 2010-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ピーラー機能付きプリンタ
US7505058B2 (en) * 2005-12-07 2009-03-17 Dell Product L.P. Single head receipt printer
US7878724B2 (en) * 2005-12-27 2011-02-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US7914218B2 (en) 2006-06-29 2011-03-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hermal printer and printing device
US7785025B2 (en) * 2007-08-30 2010-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 of sale printer including an automated cover opening apparatus
JP5082749B2 (ja) * 2007-10-15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US7905670B2 (en) * 2007-10-29 2011-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osing printable media in a printer
JP5109616B2 (ja) * 2007-11-20 2012-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EP2085238A1 (en) * 2008-01-29 2009-08-05 Custom Engineering SpA Printing roll release of the head in the thermal printer
JP5445028B2 (ja) * 2009-10-23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テン支持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ー
JP2011178144A (ja) * 2010-03-04 2011-09-15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のギャップ制御方法および媒体処理装置
CN104999801B (zh) 2010-04-12 2017-05-31 Zih公司 标签剥离、通用打印头和相关方法
US9434191B2 (en) 2010-04-12 2016-09-06 Zih Corp. Label peeling, universal printheads and related methods
CN102241202B (zh) * 2010-05-14 2013-04-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机
CN102241205B (zh) * 2010-05-14 2013-04-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
JP5657810B2 (ja) * 2010-11-15 2015-01-21 ジーアイエ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ZIH Corporation 消耗可能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メディア処理デバイス
TWI471229B (zh) * 2012-01-05 2015-02-01 Hiti Digital Inc 可於不同位置固定熱列印頭模組之固定機構及其熱昇華式印表機
JP6313548B2 (ja) * 2013-06-28 2018-04-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US9782991B2 (en) * 2014-07-23 2017-10-10 Fujitsu Component Limited Printer
JP6435848B2 (ja) * 2014-12-22 2018-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6124226A (ja) * 2015-01-06 2016-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5015196A (zh) * 2015-07-31 2015-11-04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打印机
CN107531065B (zh) * 2015-07-31 2019-06-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停止成像装置的运行
JP2019136919A (ja) * 2018-02-08 2019-08-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JP7334488B2 (ja) * 2019-06-12 2023-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22104152A (ja) * 2020-12-28 2022-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299A (en) 1981-03-09 1982-05-18 Evreka, Inc. Article and method for measuring glucose level in body fluids
EP0183356B1 (en) 1984-10-02 1991-07-03 Fujitsu Limited Front-loading paper feed for a printer
DE3661345D1 (en) 1985-01-25 1989-01-12 Siemens Ag Document-processing device for forms obtained from an endless fan-fold web
JPH0679855B2 (ja) * 1986-10-15 1994-10-12 株式会社セコニツク 記録装置
JP2537904B2 (ja) 1987-10-09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感熱記録装置
JPH01160663A (ja) 1987-12-18 1989-06-23 Tokyo Electric Co Ltd 記録装置
US5219236A (en) 1988-03-11 1993-06-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information on both a continuous recording medium and a cut-sheet recording medium
KR0133931B1 (ko) 1988-11-30 1998-04-20 오가 노리오 프린터
JPH03258575A (ja) 1990-03-08 1991-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タ装置
JP2562709B2 (ja) 1990-03-27 1996-12-11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印字ヘッドの保持構造
JP2837251B2 (ja) 1990-09-11 1998-12-14 三菱化学株式会社 芳香族スルホンオリゴマーの製造方法
US5528278A (en) 1991-11-28 1996-06-18 Sony Corporation Video printer having rewind function to improve transfer sheet utilization
JPH05147291A (ja) 1991-11-28 1993-06-15 Sony Corp プリンタ
FR2697776B1 (fr) 1992-11-06 1995-03-03 Axiohm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ouvrant.
US5631690A (en) 1994-02-03 1997-05-20 Seikosha Precision Inc. Recording apparatus
US5516219A (en) 1994-08-01 1996-05-14 Lasermaster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ombination donor/direct thermal printer
JPH08142445A (ja) 1994-11-21 1996-06-04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545830B2 (ja) 1995-04-27 2004-07-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DE69607292T2 (de) 1995-11-21 2000-08-31 Seiko Epson Corp Drucker mit Schneid- und Schutzvorrichtung
US6022158A (en) 1997-04-02 2000-02-08 Seiko Epson Corporation Roll paper loading mechanism for printer
US5887999A (en) 1997-10-06 1999-03-30 Axiohm Ipb Inc. Paper loading mechanism
US5993093A (en) 1997-11-04 1999-11-30 Schoennauer; Larry Joseph Printer
US6102590A (en) * 1998-03-12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ver-platen opening mechanism
DE69922757T2 (de) * 1998-10-02 2005-12-15 Seiko Epson Corp. Drucker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JP3858478B2 (ja) 1998-10-12 2006-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用プリンタ
JP3614314B2 (ja) 1999-03-25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DE60002145T2 (de) * 1999-12-15 2003-12-18 Seiko Epson Corp Dru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65A (ko) 2020-11-24 2022-05-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확산 코팅막을 도포한 탄소발열체의 제조와 유연성 및 온도 불균일성 개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1596D1 (de) 2006-06-29
HK1052903A1 (en) 2003-10-03
US20030002908A1 (en) 2003-01-02
KR100431388B1 (ko) 2004-05-13
ATE327105T1 (de) 2006-06-15
EP1270242A2 (en) 2003-01-02
EP1270242A3 (en) 2003-10-01
CN1181979C (zh) 2004-12-29
ES2260356T3 (es) 2006-11-01
US6789969B2 (en) 2004-09-14
EP1270242B1 (en) 2006-05-24
CN1393343A (zh) 2003-01-29
DE60211596T2 (de) 2006-12-21
HK1052903B (zh)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388B1 (ko) 프린터
US6758614B2 (en) Printer unit and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566221B1 (ko) 롤지 수용부를 구비한 프린터
KR100577507B1 (ko) 덮개 록/언록 기구 및 이를 갖는 프린터
CA2328691C (en) Printer
US20100119280A1 (en) Label printer
JP5469469B2 (ja) プリンタ
CN101293429A (zh) 打印装置
US20050123336A1 (en) Printer equipped with cutter mechanism
JP3832219B2 (ja) ロール紙収容部を備えたプリンタ
KR100536100B1 (ko)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EP1329328B1 (en) Printer
JP3925620B2 (ja)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JP3700461B2 (ja) プリンタ
JP3785955B2 (ja) プリンタ
JP3680781B2 (ja) プリンタ
JP3858478B2 (ja) ロール紙用プリンタ
JP3654008B2 (ja) ロール紙用プリンタ
US8408542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3651141B2 (ja) プリンタ
JP4032951B2 (ja) プリンタ
EP0807523B1 (en) Printer
JPH042060Y2 (ko)
JP3658064B2 (ja) ラベル連続体及びリボンの位置決め装置
JPH10278369A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