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100B1 -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 Google Patents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100B1
KR100536100B1 KR10-2004-0026624A KR20040026624A KR100536100B1 KR 100536100 B1 KR100536100 B1 KR 100536100B1 KR 20040026624 A KR20040026624 A KR 20040026624A KR 100536100 B1 KR100536100 B1 KR 10053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ssage
movable frame
winding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934A (ko
Inventor
우에하라시게히코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Abstract

고정 프레임은 롤지(rolled paper)가 수용되는 버킷을 갖는다. 가동 프레임이 제1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롤지로부터 인출된 페이퍼가 이동되는 통로가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가동 프레임이 제2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통로가 개방되도록 가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 가동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프린팅 헤드는 통로에 인접하는 프린팅섹션에 배치된다. 프린팅 헤드는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중의 하나에 제공된다. 권취 샤프트(winding shaft)는 고정 프레임에 탑재되어 프린팅섹션을 통해 이동되는 페이퍼를 권취한다. 가동 프레임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가동되는 경우 가동 프레임은 권취 샤프트가 통과하는 개구를 갖추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PRINTER PROVIDED WITH PAPER WIND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프린터 헤드의 프린팅섹션을 통과한 레코딩 페이퍼를 권취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레코딩 페이퍼(rolled recording paper) 상에 프린팅을 행하는 프린터는 POS 터미널 등에 탑재된다. 프린터 헤드와 프린터 헤드에 근접하고 대향하여 배치된 플래튼 사이에 형성된, 레코딩 페이퍼의 이동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롤 레코딩 페이퍼의 교체와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래튼과 다른 부재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가동 프레임(movable frame) 상에 탑재된 형태와 같은 프린터가 잘 알려져 있다. 프린팅된 레코딩 페이퍼를 수용하기 위해, 프린팅 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한 레코딩 페이퍼를 권취하는 기구가 제공된 프린터가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린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레코딩 페이퍼가 권취되는 권취 샤프트(winding shaft)는 가동 프레임 상에 제공되며, 그 이유는 권취된 페이퍼를 교체할 경우에 권취 샤프트가 빠져야 되기 때문이다. 또한, 권취 샤프트의 양단은, 가동 프레임과 함께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홈(groove)에 고정되어 있어, 권취 샤프트는 쉽게 빠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구성은 일본 특허공개 평10-101252A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프린터의 일례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바디(101)는 고정 프레임(fixed frame)(103)과 회전 베어링(109)를 통해 고정 프레임(103)에 부착된 가동 프레임(104)을 갖는다. 고정 프레임(103)에는 롤 레코딩 페이퍼(102)를 수용하는 버킷(bucket)(112)와, 롤 레코딩 페이퍼(102)로부터 인출된 레코딩 페이퍼(102a) 상에 프린팅을 행하는 프린팅 헤드(106)가 더 제공된다.
가동 프레임(104)에는 프린팅 헤드(106)에 대향하고 가동 프레임이 폐쇄된 경우 프린팅 헤드(106)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놓인 플래튼(platen)(107), 롤 레코딩 페이퍼(102)로부터 인출된 레코딩 페이퍼(102a)를 이동시키는 페이퍼 공급롤러(108), 및 페이퍼 공급롤러(108)를 통과한 레코딩 페이퍼(102a)를 권취하는 권취 샤프트(105)를 받아들이는 홈(111)가 제공된다. 권취 샤프트(105)는 그 양단(110)이 홈(111)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탑재된다.
롤 레코딩 페이퍼(102)로부터 인출된 레코딩 페이퍼(102a)는 페이퍼 공급롤러(108)에 의해 이동되고, 레코딩 페이퍼가 프린팅 헤드(106)와 플래튼(107)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프린팅이 행해진다. 그 후, 레코딩 페이퍼(102a)는 권취 샤프트(105)에 의해 권취된다.
롤 레코딩 페이퍼(102)가 교체되는 경우, 가동 프레임(104)을 개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이상으로 가동 프레임(104)을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화살표(G)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권취 샤프트(105)는 홈(111)로부터 빠질 수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104)의 회전 베어링(109)과 홈(111)가 정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105)에 권취된 레코딩 페이퍼(7a)의 무게로 인해 가동 프레임(104)의 폐쇄 방향으로 모멘트가 미치게 될 것이다. 그 외에, 레코딩 페이퍼(7a)의 무게에 있어서의 중요한 변화는 가동 프레임(104)의 개방 및 폐쇄 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0-101252A호 공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멘트를 제거하기 위해 회전 베어링(109)과 홈(111)가 정렬되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아웃 디자인에 융통성이 없고 디자인의 자유를 상실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권취 샤프트의 교체용이성을 유지하면서, 권취 샤프트와 롤 레코딩 페이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가동 프레임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제공된 프린트는:
롤지(rolled paper)가 수용되는 버킷을 갖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동될 수 있도록 부착된 가동 프레임으로서 이 가동 프레임이 제1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롤지로부터 인출된 페이퍼가 이동되는 통로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제2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통로가 개방되는 가동 프레임;
상기 통로에 인접한 프린팅섹션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중의 하나 상에 제공된 프린팅 헤드; 및
상기 프린팅섹션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페이퍼를 권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탑재된 권취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권취 샤프트가 통과하는 개구를 갖추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프린팅섹션을 포함하는 통로는 (제2 위치에서의) 가동 프레임을 개방시킴으로써 개방되기 때문에, 롤지의 교체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권취 샤프트가 가동 프레임이 아닌 고정 프레임에 탑재되고, 가동 프레임이 권취 샤프트를 방해하지 않고 피벗팅될 수 있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와 롤지의 교체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결과로서, 본 발명은 가동 프레임을 배타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이 어렵고, 휨모멘트(bending moment)로 인해 개방 및 폐쇄 운동이 어렵다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고정 프레임은 권취 샤프트를 회전할 수 있도록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추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권취 샤프트는 고정 프레임 상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거나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프린터는:
상기 프린팅섹션의 통로 하류(downstream)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중의 하나에 제공된 페이터 공급롤러; 및
상기 통로에 따라 상기 페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가동 프레임을 개방함으로써 개방된다. 따라서, 롤지의 교체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권취 샤프트는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와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페이퍼는 느슨하게 되거나 과도하게 팽팽하게 되지 않고 권취된다.
상기 권취 샤프트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가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와 상기 권취 샤프트에 대해 보통 사용되기 때문에, 프린터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동시 구동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프린터는: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린터의 좌측과 우측 중의 하나에 제공된 제1 전달 기구; 및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로부터 상기 권취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린터의 좌측과 우측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된 제2 전달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프린터 내부의 공간은 프린터를 소형화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프린팅섹션으로부터 출구까지 연장된 제1 통로와, 상기 프린팅섹션으로부터 상기 권취 샤프트까지 연장된 제2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페이퍼는 두겹의 페이퍼로서, 제1 분리 페이퍼는 상기 제1 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며, 제2 분리 페이퍼는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권취 샤프트에 권취된다.
바람직하게도, 프린터는:
상기 버킷을 덮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피벗팅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분리 페이퍼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놓여진 경우 상기 절단 기구의 하부면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면은 제2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가 제2 위치에 놓여진 경우 상기 제2 통로는 개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의 교체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커버는 상기 가동 프레임으로부터 독자적으로 피벗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와 상기 롤지의 교체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종이걸림으로부터 복구동작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프린팅 헤드는 도트 임팩트형 헤드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은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하기에 설명된다.
지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실시 형태는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는 프린터(1)의 네개의 측면을 정확하게 구별짓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의 케이스 바디(2), 프린터(1)의 상부면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각각 덮는 정면 커버(3)와 후방 커버(4)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부재들은 프린터 케이싱(printer casing)을 구성한다. 여기 명세서에 있어서,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은 정면으로서 정의되고, 화살표(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은 후면으로서 정의되고,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은 좌측으로서 정의되고, 화살표(D)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은 우측으로서 정의된다.
프린터 바디(7)는 프린터 케이싱에 결합되고, 페이퍼 출구(5)는 정면 커버(3)와 후방 커버(4)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버튼(slide button)(6)이 동작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락 기구(lock mechanism)는 후방 커버(4)를 개방시킴으로써 해제된다. 권취 샤프트(11)와 롤 레코딩 페이퍼(10)의 교체는 후방 커버(4)를 개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프린팅을 위한 잉크 리본(ink ribbon)의 리본 카세트(ribbon cassette)(21)의 교체는 정면 커버(3)를 개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지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프린터 바디(7)에 있어서 장치들의 개략적인 배치가 설명된다.
정면 커버(3)와 후방 커버(4)로 덮혀지는 프린터 바디(7)는 고정 프레임(8)과 가동 프레임(9)을 포함한다. 후방 커버(4)는 회전 베어링(4a)을 통해 고정 프레임(8) 상에 탑재된 좌우 암부(arm portion)(4b, 4c)에 부착되어 개방 또는 폐쇄된다. 가동 프레임(9)은 회전 베어링(9a)을 통해 고정 프레임(8)에 부착되고 회전 베어링(9a)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설계된다. 폐쇄상태에 있어서, 가동 프레임(9)은 도시되지 않은 락 기구에 의해 단단히 잠겨지고, 레버(lever)(9b)를 동작시킴으로써 락 기구가 해체되어 가동 프레임(9)은 개방된다.
롤 레코딩 페이퍼(10)를 수용하는 버킷(16)은 후방 커버(4)로 덮혀진 고정 프레임(8)의 후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롤 레코딩 페이퍼(10)는 두겹의 롤지이다. 롤 레코딩 페이퍼(10)로부터 인출된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10a)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제1 통로(12a), 제2 통로(12b) 및 제3 통로(12c)를 포함하는 이동 통로(12)를 통해 이동된다. 이후, 레코딩 페이퍼(10a)가 제2 통로(12b)에 제공된 프린팅 헤드(20)와 플래튼(15)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프린팅이 행해지며, 플래튼(15)은 고정된 거리를 사이에 두고 프린팅 헤드(20)의 프린팅섹션(20a)에 대향한다. 이어서, 레코딩 페이퍼(10a)는 페이퍼 공급롤러(30)와 제3 통로(12c)에 제공된 페이퍼 압력롤러(31) 사이에 멈쳐 있다가, 페이퍼 공급롤러(3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 공급롤러(30)는 구동 모터(32)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기어열(gear train)(33a 내지 33f)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된다.
레코딩 페이퍼(10a)가 제3 통로(12c)를 통해 통과된 후, 분리 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레코딩 페이퍼(10a)는 프린팅 헤드(20)측의 제1 분리 페이퍼(10b)와 플래튼(15)측의 제2 분리 페이퍼(10c)로 분리된다. 제1 분리 페이퍼(10b)는 제3 통로(12c)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 통로(13)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어 페이퍼 출구(5)에서 프린터(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 분리 페이퍼(10b)를 절단하기 위해 자동 절단 기구(40)가 배출 통로(13)에 제공된다.
자동 절단 기구(40)의 하부면과 가동 프레임(9)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권취 통로(14)를 통해 제2 분리 페이퍼(10c)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고정 프레임(8)의 후면에 위치한 권취 샤프트(11) 주위에 권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 공급롤러(3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기어열(35a 내지 35c), 전달 기구(36a 내지 36c), 및 기어열(37a, 37b)를 포함하는 권취 기구에 의해 전달되어 권취 샤프트(11)(하기에 상세히 설명됨)를 회전시킨다.
지금, 위에서 가동 프레임(9)을 덮는 후방 프레임(4)의 개방 및 폐쇄 운동에 관한 간략한 설명이 주어진다. 가동 프레임(9)과 후방 커버(4) 양자 모두가 그들의 후단부 주위에 피벗팅되도록 채택되어 독자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된다. 피벗의 중심으로서 회전 베어링(4a) 주위를 피벗하는 우암부(4b)와 좌암부(4c)에 후방 커버(4)가 부착된다. 자동 절단 기구(40)는 암부(4b 및 4c)에 접속된 전단부(4d) 상에 탑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커버(4)는 버킷(16)에 수용되는 롤 레코딩 페이퍼(10) 위에 위치한 영역에 큰 개구(4e)를 갖고, 전단부(4d)와 암부(4b, 4c)에 부착된 자동 절단 기구(40)에 의해 둘러싸인다. 후방 커버(4)가 회전 베어링(4a) 주위에 피벗팅된 경우, 고정 프레임(8) 상에 제공된 지지부(support part)(38) 상에 탑재된 권취 샤프트(11)를 방해할 수 없을 만큼 개구(4e)는 충분히 넓다. 따라서, 개구(4e)의 존재로 인해, 권취 샤프트(11)가 후방 커버(4)의 개구 통로에 위치할지라도, 후방 커버(4)는 권취 샤프트(11)를 방해함이 없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후방 커버(4)가 개방되는 경우, 배출 통로(13)는 개방되고, 제1 분리 페이퍼(10b)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동시에, 후방 커버(4)를 개방함으로써 자동 절단 기구(40)가 가동 프레임(9)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권취 통로(14)가 개방되어, 또한 제2 분리 페이퍼(10c)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래튼(15)과 페이퍼 공급롤러(30)는 가동 프레임(9)의 전단부에 제공되고, 가동 프레임(9)을 개방함으로써 이동 통로(12)가 개방되어, 레코딩 페이퍼(10a)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제1 분리 페이퍼(10b)와 제2 분리 페이퍼(10c)의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10a)의 움직임과 이동 통로(12)의 구조는 상세하게 설명된다.
버킷(16)에 수용된 롤 레코딩 페이퍼(10)로부터 인출된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10a)는 버킷(16)의 전단부에 위치한 가이드 롤러(guide roller)(17)에 의해 이동 통로(12)로 안내된다.
이동 통로(12)는, 가이드 롤러(17)의 앞에 제공되고 약간 상방으로 기울어진 제1 통로(12a), 큰 경사각으로 제1 통로(12a)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통로(12b), 및 제2 통로(12b)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기울어진 제3 통로(12c)를 포함한다.
제2 통로(12b)는 도트 임팩트형 프리팅 헤드(20)와, 고정된 거리를 사이에 두고 프린팅 헤드(20)의 프린팅섹션(20a)에 대향하는 플래튼(15) 사이에 형성된다. 레코딩 페이퍼(10a)가 제1 통로(12a)를 경유하여 제2 통로(12b)를 통해 통과하는 동안에, 프린팅이 행해진다. 리본 카세트(21)는 프린팅 헤드(20) 상에 분리될 수 있도록 탑재되고, 리본 카세트(21)에서의 잉크 리본은 프린팅면(20a)과 플래튼(15) 사이에 설치된다. 리본 카세트(21)은 정면 커버(3)을 개방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제2 통로(12b)로부터 이어진 제3 통로(12c)는 가동 프레임(9) 상에 제공된 페이퍼 공급롤러(30)와 고정 프레임(8)에 부착된 페이퍼 압력롤러(31)를 포함하고, 레코딩 페이퍼(10a)는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두개의 롤러 사이에 물려진다. 페이퍼 공급롤러(30)는, 하기에 설명되는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되어, 레코딩 페이퍼(10a)를 이동시킨다. 페이퍼 압력롤러(31)는 탄성력에 의해 페이퍼 공급롤러(30)로 향하게 된다.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10a)는 제3 통로(12c)의 상부에서 분리되어 2개의 이동 통로로 이동된다. 제1 분리 페이퍼(10b)는 제3 통로(12c)의 상부에 접속된 배출 통로(13)로 이동된다. 제1 분리 페이퍼(10b)는 배출 통로(13)에 실질적으로 수직상방으로 이동되고, 페이퍼 출구(5)로부터 프린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통로(13)에는 후방 커버(4)에 부착된 자동 절단 기구(40)가 제공되고, 프린팅이 행해진 후 레코딩 페이퍼(10b)는 자동 절단 기구(40)에 의해 절단된다. 자동 절단 기구(40)는 가동 프레임(9)의 전단부(9e)의 상부에 위치한다.
자동 절단 기구(40)의 하부면과 가동 프레임(9)의 상부면은 서로 대향하여 그들 사이의 권취 통로(14)를 형성한다. 자동 절단 기구(40)가 후방 커버(4)와 함께 좌우 암부(4b, 4c)에 부착되기 때문에, 권취 통로(14)는 후방 커버(4)를 개방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플래튼(15)에 접하는 제2 분리 페이퍼(10c)는 제3 통로(12c)를 통해 통과한 후 대략 90도 후방으로 이동방향을 변화시키고, 권취 통로(14)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제2 분리 페이퍼(10c)는 권취 샤프트(11)에 도달하고, 권취 샤프트(11)의 회전에 의해 권취된다. 권취 샤프트(11)에는 클로(claw)가 제공되고, 제2 분리 페이퍼(10c)는 슬리핑(slipping)없이 권취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제2 분리 페이퍼(10c)의 리싱단부(leasing end)은 미리 클로와 연동된다.
권취 샤프트(11)의 좌우단(11a, 11b) 모두는 고정 프레임(8) 상에 제공된 지지부(38)의 홈(38a, 38b)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권취 샤프트(11)를 탑재한다. 이러한 홈(38a, 38b)는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11)는 간단히 상부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권취 샤프트(11)는 페이퍼 공급롤러(30)에 대한 구동 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페이퍼 공급롤러(30)도 회전된다.
도 4에 있어서, 자동 절단 기구(40)는 가동 프레임(9)의 상부에 제공된다. 자동 절단 기구(40)는 후방 커버(4)와 함께 암부(4b, 4c)에 부착되고, 후방 커버(4)는 가동 프레임(9)이 폐쇄된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출 통로(13)와 권취 통로(14)는 개방된다.
가동 프레임(9)이 개방되는 경우, 이동 통로(12)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롤 레코딩 페이퍼(10)와 권취 샤프트(11)는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즉, 이동 통로(12)를 정의하는 모든 부재에는 고정 프레임(8)과 가동 프레임(9) 중의 어느 하나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동 통로(12)는 가동 프레임(9)을 개방함으로써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로(12a)의 하부벽, 제2 통로(12b)를 정의하는 프린팅면(20a)을 갖는 프린팅 헤드(20), 및 제3 통로(12c)를 정의하는 페이퍼 압력롤러(31)는 고정 프레임(8)측에 제공된다. 한편, 제1 통로(12a)의 상부벽, 제2 통로(12b)를 정의하는 플래튼(15), 및 제3 통로(12c)를 정의하는 페이퍼 공급롤러(30)은 가동 프레임(9)측에 제공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9)은 전후 방향으로 확장된 우암부(9c)와 좌암부(9d), 및 암부(9c, 9d)에 접속된 전단부(9e)를 포함한다. 가동 프레임(9)은 회전 베어링(9a) 주위에 피벗팅된다. 권취 통로(14)는 전단부(9e)의 상부면과 자동 절단 기구(4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다.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9)은, 후방 커버(4)와 동일한 방식으로, 버킷(16)과 권취 샤프트(11) 상부의 위치에 큰 개구(9f)를 갖는다. 가동 프레임(9)이 개구(9f)를 갖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샤프트(11)가 가동 프레임(9)의 개방 통로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권취 샤프트(11) 주위에 권취된 제2 분리 페이퍼(10c)가 큰 지름을 갖는 롤(roll)이 되는 경우에도, 가동 프레임(9)은 권취 샤프트(11)의 플랜지(flange)(11c)의 지름까지 권취 샤프트(11)를 방해함이 없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샤프트(11)가 가동 프레임(9) 상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11)가 빠질 수 있고, 롤 레코딩 페이퍼(1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위치까지 가동 프레임(9)이 개방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커버(4)와 가동 프레임(9)이 개방된 상태로부터 프린터(1) 상에 레코딩 페이퍼를 설치하는 단계가 설명된다. 롤 레코딩 페이퍼(10)는 버킷(16)에 간단히 떨어뜨려짐으로써 적재될 수 있다. 이어서,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10a)는 롤 레코딩 페이퍼(10)로부터 인출되어 그 원단부(distal end portion)는 이동 통로(12)와 권취 통로(14)를 경유하여 권취 샤프트(11)에 도달할 수 있다. 가동 프레임(9)을 폐쇄함으로써, 이동 통로(12)는 형성되고 레코딩 페이퍼(10a)는 자동적으로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가동 프레임(9)은 락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잠겨진다.
이후, 플래튼(15)에 접하고 제3 통로(12c)의 상부로부터 나온 제2 분리 페이퍼(10c)는 권취 샤프트(11) 상에 제공된 클로와 리싱단부(leading end)을 연동함으로써 권취 샤프트(11) 상에 설치된다. 이어서, 권취 샤프트(11)는 고정 프레임(8) 상에 탑재된다. 특히, 권취 샤프트(11)는 권취 샤프트(11)의 양단(11a, 11b)을 지지부(38)의 홈(38a, 38b)에 떨어뜨림으로써 설정되고, 고정 프레임(8)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권취 샤프트(11)는 홈(38a, 38b)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일단(11b)을 홈(38b)에 떨어뜨림으로써, 권취 샤프트(11) 상에 제공된 스퍼 기어(37b)는 지지부(38) 상에 제공된 다른 스퍼 기어(37a)와 맞물린다. 구동력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권취 구동 기구에 의해 스퍼 기어(37a)에 전달되고 제2 분리 페이퍼(10c)를 권취하도록 권취 샤프트(11)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프린팅 헤드(20)에 접하는 제1 분리 페이퍼(10b)는 상부로 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 커버(4)를 폐쇄함으로써, 상부로 확장된 제1 분리 페이퍼(10b)는 정면 커버(3)와 후방 커버(4) 사이에 형성된 배출 통로(13)에 자동적으로 설치되고, 그의 리싱단부가 페이퍼 출구(5)로부터 프린터(1)의 외부로 안내되는 상태에 놓인다. 또한, 제2 분리 페이퍼(10c)는 자동 절단 기구(40)의 하부면과 가동 프레임(9)의 상부면[전단부(9e)의 영역] 사이에 형성된 권취 통로(14)에 자동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방식에 있어서, 레코딩 페이퍼는 프린터(1)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코딩 페이퍼가 프린팅 중에 용지걸림이 발생된 경우에 있어서, 후방 커버(4)와 가동 프레임(9)을 개방함으로써, 레코딩 페이퍼를 절단하지 않고 용지걸림상태로부터 복구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 도 3을 참조하여, 페이퍼 공급롤러(30)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가 설명된다.
구동 기구는 구동 모터(32)와 기어(33a 내지 33f)를 포함하는 기어열을 포함한다. 구동 모터(32)의 구동력은 프린터(1)의 좌측에 제공된 기어열에 의해 페이퍼 공급롤러(30)로 전달되어, 페이퍼 공급롤러(30)를 회전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모터(32)의 출력 샤프트 상에 탑재된 모터 기어(33a)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스퍼 기어(33b)와 맞물린다. 이후, 구동력이 스퍼 기어(33b)로부터 스퍼 기어(33c, 33d 및 33e)로 순서대로 전달된 후, 스퍼 기어(33e)로부터 페이퍼 공급롤러(30)가 탑재된 회전 샤프트(34) 상에 제공된 스퍼 기어(33f)로 전달된다. 기어열에 의한 이 힘의 전달로 인해, 구동 모터(32)의 회전수는 페이퍼 이동에 적합한 페이퍼 공급롤러(30)의 고유 회전수까지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페이퍼 공급롤러(30)는 고유 회전수로 회전하여, 서로 접촉하는 페이퍼 압력롤러(31)와 함께 레코딩 페이퍼(10a)를 이동시킨다.
구동 모터(32), 모터 기어(33a), 및 스퍼 기어(33b)는 고정 프레임(8)측에 제공되고, 스퍼 기어(33c, 33d, 33e, 및 33f)는 가동 프레임(9)측에 제공된다. 가동 프레임(9)이 폐쇄된 경우 스퍼 기어(33b)는 스퍼 기어(33c)와 맞물린다.
페이퍼 공급롤러(30)가 탑재된 회전 샤프트(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9)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확장되고, 좌우 암부(9d, 9c) 상에 각각 제공된 베어링(34a, 34b)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스퍼 기어(33f)는 베어링(34a) 외부의 좌부(left part)에 탑재되고, 구동 모터(32)의 구동력은 회전 샤프트(34)로 전달되어 페이퍼 공급롤러(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스퍼 기어(33f)는 회전 샤프트(34)의 좌단에 탑재되고, 스퍼 기어(35a)는 반대측인 우단에 탑재되어 권취 구동 기구의 기어열(35a 내지 35c)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회전 샤프트(34)는 페이퍼 공급롤러(30)를 회전시킴으로써 레코딩 페이퍼(10a)를 이동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권취 구동 기구의 좌단에 배치된 기어열(33a 내지 33f)로부터, 우단에 배치된 기어열(35a 내지 35c)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권취 샤프트(11)를 회전시키는 권취 구동 기구가 설명된다. 권취 구동 기구는, 페이퍼 공급롤러(30)측에 제공된 스퍼 기어(35a 내지 35c)를 갖는 기어열, 풀리(pulley) 기어(36a), 풀리 기어(36b), 및 벨트(36c)를 갖는 전달 기구, 및 권취 샤프트(11)측에 제공된 스퍼 기어(37a, 37b)를 갖는 기어열을 포함한다. 기어열은 프린터(1)의 우측에 배치되고, 페이퍼 공급롤러(30)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의 기어열(33a 내지 33f)은 프린터(1)의 좌측에 배치되어, 프린터(1)를 소형화하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레이아웃(layout)를 달성하게 된다.
권취 구동 기구의 구조는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동 모터(32)의 구동력은 순차적으로 스퍼 기어(35a, 35b 및 35c)로 전달된다. 기어 풀리(36a)는 불가분적으로 형성된 외부 풀리와 내부 기어를 구비한다. 내부 기어는 스퍼 기어(35c)와 맞물린다. 벨트(36c)는 외부 풀리(36a) 주위에 권취되어 페이퍼 공급롤러(30)측의 풀리 기어(36a)로부터 권취 샤프트(11)측에 제공된 풀리(36b)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스퍼 기어(37a)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클러치에 의해 풀리(36b)의 회전축 사에 탑재된다. 스퍼 기어(37a)는 권취 샤프트(11) 상에 제공된 스퍼 기어(37b)와 맞물린다.
상기 언급된 구조에 따라, 풀리(36b)는 페이퍼 공급롤러(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된다. 제2 분리 페이퍼(10c)가 느슨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권취 샤프트(11)는 제2 분리 페이퍼(10c)를 권취하도록 회전되고, 제2 분리 페이퍼(10c)가 단단하게 당겨지는 경우에 있어서, 풀리(36b)의 회전은 스프링 클러치에 의해 스퍼 기어(37a)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해받는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레코딩 페이퍼의 적절한 권취은 레코딩 페이퍼의 이동과 느슨함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페이퍼 공급롤러(30)의 회전 샤프트(34)에 부착된 스퍼 기어(35a)는 가동 프레임(9)측에 제공되고, 스퍼 기어(35b, 35c)와 풀리 기어(36a)는 고정 프레임(8)측에 제공된다. 가동 프레임(9)이 폐쇄되는 경우 스퍼 기어(35a)와 스퍼 기어(35b)는 서로 맞물리도록 디자인된다. 권취 샤프트(11)측에 대해, 풀리(36b)와 스퍼 기어(37a)는 고정 프레임(8)의 지지부(38) 상에 제공되고, 스퍼 기어(37b)는 권취 샤프트(11)의 단부(11b)에 부착된다. 권취 샤프트(11)의 단부(11b)가 홈(38b)에 떨어졌을 경우, 스퍼 기어(37a)와 스퍼 기어(37b)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전달 기구가 페이퍼 공급롤러(30)측과 권취 샤프트(11)측을 상호접속하도록 이용될지라도,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 또는 다른 파워 전달 기구가 이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페이퍼 와인더가 제공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프린터가 있다. 이러한 프린터에 있어서, 권취 구동 기구를 위한 스퍼 기어는 필요하지 않다. 예컨대, 기어열(35a 내지 35c)의 회전 샤프트(36d)는 프레임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클립(clip) 부재의 사용을 통해 클립 부재에 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8)과 가동 프레임(9)은 페이퍼 와인더가 제공되는 또는 제공되지 않은 프린터를 위해 보통 사용된다. 결과로서, 제조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컨대, 두겹의 레코딩 페이퍼가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서 이용될지라도, 한겹의 레코딩 페이퍼를 권취하기 위해 본 발명을 저널 프린터(journal printer)에 배타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출 통로와 자동 절단 기구를 제공하지 않고, 권취 샤프트 주위에 레코딩 페이퍼를 권취하는 이동 통로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레코딩 페이퍼의 2개의 롤이 나란히 배치되고, 하나의 롤은 페이퍼 출구로부터 배출되고 다른 하나는 권취 샤프트 주위에 권취되는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커버(4)에는 자동 절단 기구(40)가 제공된다. 그러나, 자동 절단 기구(40)는 후방 커버(4)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권취 샤프트(11)를 지지하는 지지부(38)가 상부가 개방된 홈(38a, 38b)를 갖는 기구이므로, 권취 샤프트(11)는 한번의 동작으로 탑재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홈(38a, 38b)가 L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권취 샤프트(11)는 두번의 동작으로 탑재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권취 샤프트(11)의 좌단부(11a)는 원형의 홈(hole) 또는 수직으로 연장된 홈에 받아들여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부(11a)가 먼저 삽입될 수 있고, 이후, 단부(11b)는 권취 샤프트(11)를 탑재하기 위해 지지부(38)로 떨어뜨려진다.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커버(4)와 가동 프레임(9)은 샤프트에 의해 고정 프레임(8) 상에 피벗팅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이들은 링크(link) 기구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트 임팩트형 프린터뿐만 아니라, 잉크 젯트형 프린터 또는 열 전사형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래튼(15)은 가동 프레임(9) 상에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래튼(15)은 고정 프레임(8) 상에 유지될 수 있고, 라인 열전사 헤드와 같은 프린팅 부재는 가동 프레임(9) 상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열전사형 프린터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페이퍼 공급롤러는 열전사 프린터 헤드에 대향하는 플래튼으로 또한 기능하는 플래튼 롤러로 통합될 수 있다.
도 1은 프린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에 결합된 프린터 바디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프린터 바디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프린터의 가동 프레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프린터의 가동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6b는 관련기술의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린터 2: 케이스 바디
3: 정면 커버 4: 후방 커버
5: 페이퍼 출구 6: 슬라이드 버튼
8: 고정 프레임 9: 가동 프레임
10: 레코딩 페이퍼 11: 권취 샤프트
15: 플래튼 16: 버킷
17: 가이드 롤러 20: 프린팅 헤드
30: 페이퍼 공급롤러 31: 페이퍼 압력롤러
32: 구동 모터 34: 회전 샤프트
38: 지지부 40: 자동 절단 기구

Claims (11)

  1. 롤지가 수용되는 버킷을 갖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동될 수 있도록 부착된 가동 프레임으로서 이 가동 프레임이 제1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롤지로부터 인출된 페이퍼가 이동되는 통로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제2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통로가 개방되는 가동 프레임;
    상기 통로에 인접한 프린팅섹션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중의 하나 상에 제공된 프린팅 헤드; 및
    상기 프린팅섹션을 통해 이동된 상기 페이퍼를 권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탑재된 권취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권취 샤프트가 통과하는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권취 샤프트를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권취 샤프트는 상기 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섹션의 통로 하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 중의 하나 상에 제공된 페이퍼 공급롤러; 및
    상기 통로를 따라 상기 페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는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린터의 좌측과 우측 중의 하나에 제공된 제1 전달 기구; 및
    상기 페이퍼 공급롤러로부터 상기 권취 샤프트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린터의 좌측과 우측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된 제2 전달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프린팅섹션으로부터 출구까지 연장된 제1 통로와, 상기 프린팅섹션으로부터 상기 권취 샤프트까지 연장된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퍼는 두겹의 페이퍼로서, 제1 분리 페이퍼는 상기 제1 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며, 제2 분리 페이퍼는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권취 샤프트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권취 샤프트 및 가동 프레임을 덮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피벗팅될 수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을 덮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피벗팅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분리 페이퍼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놓여진 경우 상기 절단 기구의 하부면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면은 제2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가 제2 위치에 놓여진 경우 상기 제2 통로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헤드는 도트 임팩트형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1. 롤지가 수용되는 버킷을 갖는 고정 프레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피벗팅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피벗팅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함께 페이퍼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가동 프레임;
    상기 페이퍼 이동 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프린팅섹션; 및
    상기 프린팅섹션을 통해 이동된 페이퍼를 권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피벗팅되는 경우 상기 가동 프레임의 경로에 배치되는 권취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가동 프레임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피벗팅하는 것을 상기 권취 샤프트가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의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4-0026624A 2003-04-18 2004-04-19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KR100536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4347 2003-04-18
JPJP-P-2003-00114347 2003-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934A KR20040090934A (ko) 2004-10-27
KR100536100B1 true KR100536100B1 (ko) 2005-12-14

Family

ID=3352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24A KR100536100B1 (ko) 2003-04-18 2004-04-19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55488B2 (ko)
KR (1) KR100536100B1 (ko)
CN (1) CN13029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4871B2 (ja) * 2005-03-30 2011-06-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4611324B2 (ja) * 2007-01-31 2011-01-12 株式会社サトー ラベルプリンタ
CN101635068B (zh) * 2008-07-25 2011-06-22 郑云栏 可防止彩票拉出的彩票机
JP5482262B2 (ja) * 2010-02-08 2014-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1178144A (ja) * 2010-03-04 2011-09-15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のギャップ制御方法および媒体処理装置
CN102241205B (zh) * 2010-05-14 2013-04-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
CN103287126B (zh) * 2013-05-21 2017-04-05 谢德育 便携式热敏打印机
JP6354550B2 (ja) * 2014-11-28 2018-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578875B2 (ja) * 2015-10-19 2019-09-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8119B2 (ja) * 1995-02-01 2002-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印字機構
JP2905742B2 (ja) * 1996-09-30 1999-06-14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印字装置
US6022158A (en) * 1997-04-02 2000-02-08 Seiko Epson Corporation Roll paper loading mechanism for printer
JP3617244B2 (ja) * 1997-04-02 2005-0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JPH11240650A (ja) * 1998-02-25 1999-09-07 Seiko Epson Corp 巻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3334704B2 (ja) * 2000-04-27 2002-10-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US6808327B2 (en) * 2002-02-15 2004-10-26 Casio Computer Co., Ltd. Removable print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934A (ko) 2004-10-27
US20040265030A1 (en) 2004-12-30
CN1537728A (zh) 2004-10-20
CN1302935C (zh) 2007-03-07
US6955488B2 (en)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21B1 (ko) 롤지 수용부를 구비한 프린터
EP1108556B1 (en) Printer
KR100431388B1 (ko) 프린터
US5248207A (en) Thermal printer provided with detachable head unit having built-in thermal head unit
JP4694871B2 (ja) プリンタ装置
EP1735163A1 (en) Tape printer
KR100536100B1 (ko) 페이퍼 와인더를 구비한 프린트
US20100119280A1 (en) Label printer
US20050200681A1 (en) Paper discharge mechanism for a printer, and a printer
CN102510806A (zh) 带盒
JP3832219B2 (ja) ロール紙収容部を備えたプリンタ
CN102120389B (zh) 记录装置及记录装置的记录介质供给结构
JP3787407B2 (ja) 給紙カートリッジ
CN102120388A (zh) 记录装置及记录装置的记录介质供给结构
US5492421A (en) Transfer printer
JP4412822B2 (ja) プリンタ
JP4016585B2 (ja) プリンタ
JP3861884B2 (ja) プリンタ
JP5103970B2 (ja) プリンタ装置
JP3565043B2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JP3654008B2 (ja) ロール紙用プリンタ
US7722269B2 (en) Printing apparatus
WO2020189626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JP3651141B2 (ja) プリンタ
JP3651103B2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