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427A -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427A
KR20020088427A KR1020027013260A KR20027013260A KR20020088427A KR 20020088427 A KR20020088427 A KR 20020088427A KR 1020027013260 A KR1020027013260 A KR 1020027013260A KR 20027013260 A KR20027013260 A KR 20027013260A KR 20020088427 A KR20020088427 A KR 2002008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m
inner bag
outer contain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643B1 (ko
Inventor
쿠엔토르스텐
메츠거부르크하르트페터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카게 filed Critical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8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2Means for cutting the extruded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11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내부에 배치된 내부 백(3)과 외부 컨테이너(2)와, 상기 외부 컨테이너(2)에 제공된 압력 평형 개방부(10)를 구비하는 컨테이너(1)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1)에 관한 것이다. 두 동축방향의 튜브로 구성되는 프리폼(preform)은 블로우 몰드를 사용하는 공통압출 블로우 몰딩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며, 그에 의해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시임(5)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은 증가시키면서 컨테이너(1)의 견고함을 손상시키지 않고 컨테이너(1)가 외부 컨테이너(2)의 압력 평형 개방부(10)를 구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베이스 시임(5)은 부분적으로 절삭되며 40℃ 내지 70℃의 온도를 가지는 프리폼 상에 힘이 가해지며, 이 힘은 시임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힘은 압력 평형 개방부(10)가 베이스 영역(4)에 형성되도록, 베이스 시임(5)을 파괴시켜서 가소성으로 변형시킨다.

Description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opening, and container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본원에서 고려하는 유형의 방법은 WO 99/1145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의 특징적 형태는 외부 컨테이너와 내부 백 사이의 압력차를 균일하게 하는 압력 평형 개방부가 양호하게는 외부 컨테이너에서 콩 형태 또는 타원형의 구멍으로써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구멍은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외부 컨테이너의 벽 섹션을 절삭함으로써, 실제 형성 공정을 완료한 후에 제공된다.
이것은 매우 얇은 가요성 내부 백이 놓여지는 외벽이 상기 내부 백에 어떤 손상도 주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매우 작은 영역에서 완전히 절삭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컨테이너의 처리공정은 절삭공구와 내부 백 사이의 필수불가결한 접촉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컨테이너의 거의 가장 중요한 품질 특성은 동시에 동일한 정도로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이다. 상기 특성들은 본 방법 또는 컨테이너에서 벗어난다. 한편, 외부 컨테이너와 내부 백 사이에서 압력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것은 컨테이너 내용물의 분배와 연관된 내부 백에서의 용적 감소(volume reduction)로 인하여 필요하다. 한편, 컨테이너는 완전히 밀봉되어야 한다. 즉, 내부 백의 손상은 어떤 경우에도 피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컨테이너는 사용할 수 없다. 이들 과제 모두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는 데있어서의 어려움은 WO 99/11451호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결과로써 발생하는 외부 컨테이너의 벽 강도 허용오차로 인하여, 벽 두께는 1과 1.5mm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절삭 깊이는 외부 컨테이너를 실제로 관통하는 구멍이 절삭 공정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장하도록 세팅되어야 한다. 내부 백의 손상은 모든 경우 배제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 내부 백의 손상 위험성을 최소로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호한 공정 단계와 공구들이 WO 99/11451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재된 방법의 다른 단점은 압력 평형 개방부의 구성이 형성 공정 이후에 즉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절삭 공정 단계는 플라스틱 블로잉 기계에서는 실행되지 않으며, 특히 블로잉 몰드가 폐쇄될 때에는 실행되지 않는다. 행해지는 필요한 작업 단계와 제안된 절삭 공정에 요구되는 처리 기계 또는 그 공구들은 비용을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고려한 유형의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개방부에 펌프 또는 오토마이저(atomiser)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백의 재료가 상기 컨테이너 개방부를 경유하여, 채워지거나 또는 제거된다. 사용된 펌프 또는 오토마이저의 구성에 따라서, 압력 평형 개방부는 상기 적당한 펌프 또는 오토마이저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어댑터를 해당 컨테이너에 부착할 수 없으며, 특히 각 실시예의 압력 평형 개방부의 특별한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벽 개방부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는 이 경우에 컨테이너 자켓면의 영역과 숄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벽 개방부, 컨테이너 베이스에 대한 가장 적당한 위치에 대해서는 기술되지 않았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점이 있는 유형의 컨테이너의 외부 컨테이너에 배치된 압력 평형 개방부가 컨테이너의 완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종래 기술에 따라 사용된 방법 보다 저비용이고 최소 처리 단계를 가지면서 동시에 더 낮은 소모율과 더 높은 생산성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컨테이너에서 압력 평형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의 절삭 공정 동안 내부 백이 손상되지 않으며, 기타 단점이 없는 컨테이너를 도입해야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개방부가 제공되고, 그 내부에 배치되어서 차후 컨테이너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부 백과 거의 단단한 외부 컨테이너와, 상기 외부 컨테이너에 배치되어서 상기 외부 컨테이너와 내부 백 사이의 압력차를 균일하게 하는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제조 방법에서, 상기 내부 백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는 서로에 대해서 접착하지 않는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각각 구비하고, 컨테이너의 제조를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두 동축방향의 튜브를 포함하는 예비 몰딩(preliminary moulding)은 블로우 몰드(blow mould)의 개방된 절반부들 사이에서 공통 압출(co-extrusion)에 의해서 먼저 제조되고, 상기 블로우 몰드가 폐쇄되며, 외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시임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제조되는 컨테이너의 베이스 영역의 초과 재료는 시임의 영역과 접촉하는 외부 컨테이너의 재료가 함께 용접되는 방식으로 압착되고, 내부 백을 형성하는 튜브는 외부 컨테이너의 벽 섹션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용접되고 내부 백은 예비 몰딩의 벽들이 내부로부터 블로우 몰드의 윤곽부(contour)에 대해서 놓여지도록, 압력을 받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서 양호하게 제조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개방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배치되어서 차후 컨테이너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부 백과 단단한 외부 컨테이너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도 1은 컨테이너의 제 1 실시예 보기를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
도 2는 컨테이너의 제 2 실시예 보기의 병 목(bottle neck)을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절삭 공정 단계 이전에 베이스 영역을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
도 4는 절삭 공정 단계 이후에 베이스 영역을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
도 5는 컨테이너 중심 축선 방향의 컨테이너 베이스의 입면도.
도 6은 파괴 및 변형 공정 단계 이후에, 컨테이너 중심 축선 방향의 컨테이너 베이스의 입면도.
도 7은 파괴 및 변형 공정 단계 이후에, 베이스 영역을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 방향에 따른 입면도[도 1에서의 상세한 부분(X)].
이러한 방법상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블로우 몰드를 폐쇄하고 베이스 시임을 형성하며, 내부 백의 시임은 외부 컨테이너의 시임에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평형 개방부는 성형공정 후에 베이스 시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호하게는 완전하게 절삭되면서 형성되므로, 내부 백의 시임의 적어도 부분적인 영역은 외부 컨테이너의 시임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 후에 베이스 시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경방향의 힘은 상기 베이스 시임이 파괴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영역에 도입되며, 예비 몰딩의 온도는 베이스 시임이 절삭될 때, 약 40℃와 70℃ 사이에 있으며, 외부 컨테이너는 가소성으로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으므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쇄(neutralise)되지 않는 힘으로부터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된다.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내부 백과 외부 컨테이너의 벽들은 일반적으로 함께 용접되지 않는다. 블로우 몰드 절반부들을 통하여 초과 재료를 압착하는 동안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 한편으로는 내부 백의 벽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컨테이너의 벽들이 각 경우에 함께 용접된다. 또한, 외부 컨테이너와 내부 백의 벽들 사이의 베이스 시임의 영역은 접착된다. 이것은 내부 백을 베이스 영역에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 본 방법의 실질적인 장점이다. 여기서, 외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시임이 파괴될 때, 두 시임 측부들의 하나가 내부 백의 시임에 부착되고 외부 컨테이너의 다른 시임 측부가 내부 백에 고정되지 않도록 상기 접착이 행해진다. 이 방식에서, 비록 외부 컨테이너의 시임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파괴되는 실시예에서도 상기와 같은 파괴에도 불구하고 내부 컨테이너의 축방향 고정은 보장된다. 캐뉼러가 컨테이너 안으로 삽입되는 적용 경우에서 내부 백의 고정은 특히 중요하다. 내부 백이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면 캐뉼러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파괴한다. 잔여 내부 백의 용접 시임에 의해서 절삭 공정을 실행한 후에, 시임은 단지 부분적으로 절삭되어서 내부 백이 확고하게 폐쇄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내부 백에 대한 손상은 배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압력 평형 개방부의 구성은 절삭 공정에 의해서 직접 제조되지 않고 힘을 가하고 시임을 파괴하여 제조된다. 이때, 소모율이 최소로 된다.
베이스 시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된 이후와 상기 베이스 시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개방되도록, 반경방향의 힘을 도입하기 컨테이너의 종축선에 거의 평행하게 작용되는 축방향의 힘이 간단하게 도입되는 여러 방법들이 유리하다.
축방향으로 도입된 힘은 주로 베이스 시임을 파괴하여 개방하도록 작용하며, 반경방향으로 도입된 힘의 영향 또는 목적은 베이스 시임의 영구적인 변형에서 알 수 있다. 이점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힘들은 컨테이너, 특히 베이스 영역의 변형과, 한 지점에서의 파괴 개방 공정과 다른 지점에서의 변형이 선행되는 파괴 개방 공정 모두에서 연관된다.
축방향의 힘에서 특징이 있는 방법들이 양호하고 블로우의 형태로 도입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숄더 시임(shoulder seam)의 형태없이 스퀴즈 시임(squeeze seam)의 형태로 제조되는 변형 방법들이 양호하다.
상기 베이스 시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될 때, 내부 백을 형성하는 재료가 베이스 시임의 한 측부 상에서 축방향의 고정이 유지되는 베이스 시임의 단부들과 외부 컨테이너에 고착되는 상기 방법이 양호하게 실행된다. 이 경우에, 내부 백과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압력 평형 개방부가 베이스 시임의 대향 측부 상에 놓여진다.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시임이 단지 부분적으로 파괴되고 내부 백의 시임이 외부 컨테이너의 베이스 시임의 파괴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고정되는 방법이 양호하다.
양호한 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고 상기 외부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이 한 작업 단계에서 작용한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고 파괴하는 공구가 함께 그리고 거의 동시에 한 작업 단계에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고 상기외부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이 한 작업 단계에서 작용할 뿐 아니라, 한 공구에 의해서, 상기 경우에서는 절삭 공구에 의해서 실행된다.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고 상기 외부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이 개별적인, 밀접하게 연속된 작업 단계들에서 작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제조되는 컨테이너의 크기는 하나 또는 다른 변형 방법에 대한 결정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는 동작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이 특히, 컨테이너가 밀폐된 블로우 몰드 내에서 배치될 때, 플라스틱 블로잉 기계에서 발생되는 변형 방법이 추천된다. 커팅 공정 동안 40 내지 70℃의 따뜻한 온도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방식으로 안정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처리 기계와 장치 및 추가 작업 단계들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식에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개별적인 경우에, 상기 베이스 시임을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이 플라스틱 블로잉 기계에 부착된 기계에서 실행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구성 내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병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백이 베이스 영역에 고정하는 것 이외에 병 목의 영역에 고정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백이 병 목을 형성할 때 외부 컨테이너의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프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공정의 코스 동안 용이하게 실행될 수있다. 만약, 장래 병 목의 영역에서의 예비 몰딩의 직경이 블로우 몰드의 대응 직경 보다 크다면, 블로우 몰드가 폐쇄될 때 초과 재료가 압착되고 용접 시임이 내부 백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 백이 외부 컨테이너에 고정된다.
대응 블로우 몰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실행되어서, 상기 병 목은 면 측부 상에서 돌출부와 함께 구성되어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된다. 이것은 만약 컨테이너가 양호하게는 병 목에 부착되는 펌프 또는 오토마이저를 차후 공정에서 구비한다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부 백은 직립 또는 수평 폴드(fold)의 부분에 의해서 외부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추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오직(exclusively)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변형 방법이 양호하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베이스 시임의 절삭, 파괴 및 변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평형 개방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베이스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시임의 한 측부에서 내부 백이 컨테이너와 베이스 시임의 단부들에 접착되고 그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컨테이너의 양호한 실시예는, 컨테이너가 병의 형태이고 상기 병 목이 펌프 또는 오토마이저의 적응에 필요할 수 있는 그 면 측부 상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병 목의 영역에서의 추가 고정과 청구항 21 및 23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이다. 그 특징은 돌출부가 오직 외부 컨테이너의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동일 품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지정하였다.
도 1은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방향에서 컨테이너(1)의 실시예 보기를 통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외부 컨테이너(2)와 내부 백(inner bag;3)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는 본 실시예에서 병(bottle)의 형태이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개방부(8)가 위치하는 병 목(6)의 단부 상에 위치하는 병 목(6)의 돌출부(7)를 가진다. 베이스 시임(5)은 컨테이너에 속하는 압력 평형 개방부(10)에 대해서 컨테이너(1)의 베이스 영역(4)에서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연장부에 놓여진다. 돌출부(7)는 외부 컨테이너(2)의 재료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2는 컨테이너의 제 2 실시예 보기의 병 목(6)을 통하여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을 도시한다. 병 목(6)은 컨테이너 개방부(8)를 향하여 지향된 면 측부 상에서 직사각형 돌출부(7)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보기와는 대조적으로, 직사각형 돌출부(7)는 외부 컨테이너(2) 및 내부 백(3)의 양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특수 형태를 가지므로, 베이스 영역에 고정되는 것 이외에, 내부 백(3)은 특히 병 목(6)의 영역에 고정된다.
도 3은 블로우 공정(blowing process)이후에 그러나 절삭 공정 이전에 배치된 베이스 영역(4)과 베이스 시임(5)을 통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두 블로우 몰드 절반부들(blow mould halves)의 도움으로 압착 초과 재료로부터 생성되는 베이스 시임(5)은 실제 성형 공정 이후에 용 꼬리(dragon's tail)의 형태를 가진다. 내부 백(3)은 베이스 시임(5)의 영역에서 외부 컨테이너(2)의 벽들 사이에서 클램프된다.
도 4는 베이스 시임(5)이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절삭 공정을 실행할 후에 배치된 베이스 영역(4)과 베이스 시임(5)을 통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베이스 시임(5)이 부분적으로 절단된 후에,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방향에서 투시한 베이스 영역의 입면을 도시한다. 베이스 시임(5)의 구조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고, 내부 백(3)의 벽들에 의해서 중심에 형성되고 외부컨테이너(2)의 벽들에 의해서 양 측부들 상에서 제한된다. 베이스 시임(5)을 파괴하여 개방시키고 외부 컨테이너(2)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시임(5)의 방향으로 베이스 영역(4) 안으로 작용하는 반경방향의 힘(F)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축방향의 힘은 본 실시예의 보기에는 도시되거나 또는 제공되지 않는다.
도 6은 시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경방향의 힘(F)의 영향에 있는, 베이스 영역(4)에 놓여진 베이스 시임(5)과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방향에서 투시할 때의 베이스 영역(4)의 입면을 도시한다. 컨테이너가 어떻게 변형되고 베이스 시임(5)이 반경방향의 힘(F)의 영향으로 어떻게 파괴되어서 압력 평형 개방부(10)을 형성하는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시임(5)의 한쪽 상에 있는 상기 특수한 실시예에서, 내부 백(3)은 외부 컨테이너(2)에 고착되고 베이스 시임의 단부(11)들은 그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외부 컨테이너(2)와 내부 백(3)으로 제한되는 압력 평형 개방부(10)는 대향 측부 상에서 형성되므로 내부 백(3)과 외부 컨테이너(2) 사이의 압력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7은 그 내부에서 배치된 베이스 영역(4)과 베이스 시임(5)을 통한 컨테이너 중심 축선(9)의 방향에 따른 횡단면을 도시한다. 압력 평형 개방부(10)는 내부 백(3)과 외부 컨테이너(2) 사이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Claims (24)

  1. 컨테이너 개방부(8)가 제공되고, 그 내부에 배치되어서 차후 컨테이너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부 백(3)과 거의 단단한 외부 컨테이너(2)와, 상기 외부 컨테이너(2)에 배치되어서 상기 외부 컨테이너(2)와 내부 백(3) 사이의 압력차를 균일하게 하는 압력 평형 개방부(10)를 구비하는 컨테이너(1)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내부 백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는 서로에 대해서 접착하지 않는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각각 구비하고, 컨테이너의 제조를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두 동축방향의 튜브를 포함하는 예비 몰딩(preliminary moulding)은 블로우 몰드(blow mould)의 개방된 절반부들 사이에서 공통 압출(co-extrusion)에 의해서 먼저 제조되고, 상기 블로우 몰드가 폐쇄되며, 외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시임(5)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제조되는 컨테이너의 베이스 영역(4)의 초과 재료는 시임의 영역과 접촉하는 외부 컨테이너(2)의 재료가 함께 용접되는 방식으로 압착되고, 내부 백을 형성하는 튜브는 외부 컨테이너(2)의 벽 섹션들 사이에서 클램프되고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용접되고, 내부 백(3)은 예비 몰딩의 벽들이 내부로부터 블로우 몰드의 윤곽부(contour)에 대해서 놓여지도록 압력을 받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블로우 몰드를 폐쇄하고 베이스 시임(5)의 형성과 연관된 상태에서, 내부 백(3)의 시임은 외부 컨테이너(2)의 시임에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평형 개방부(10)는 성형공정 후에 베이스 시임(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되면서 형성되고 베이스 시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경방향의 힘은 상기 베이스 시임(5)이 개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영역(4)에 작용하며, 예비 몰딩의 온도는 베이스 시임이 절삭될 때, 약 40℃와 70℃ 사이에 있으며, 외부 컨테이너(2)는 가소성으로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으므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쇄(neutralise)되지 않는 힘으로부터 영구적인 변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시임(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될 때와 반경방향의 힘이 도입되기 전에, 컨테이너의 종축선에 거의 평행하게 작용되는 축방향의 힘은 베이스 시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개방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축방향의 힘은 블로우(blow)의 형태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숄더 시임(shoulder seam)의 형태없이 스퀴즈 시임(squeeze seam)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임(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개방되고, 내부 백(3)을 포함하는 재료는 베이스 시임(5)의 한 측부 상에서, 축방향의 고정이 유지되는 베이스 시임의 단부들(11)과 외부 컨테이너(2)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테이너(2)의 베이스 시임(5)은 단지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개방되고, 내부 백(3)의 시임은 외부 컨테이너(2)의 베이스 시임의 파괴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임(5)을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2)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은 한 작업 단계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임(5)을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2)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은 개별적인 작업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임(5)을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2)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은 플라스틱 블로잉 기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는 여전히 블로우 몰드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임(5)을 절삭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컨테이너(2)를 개방하여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적용하는 것은 플라스틱 블로잉 기계에 부착된 기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는 병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3)은 베이스 영역(4)에 고정하는 것 이외에 병 목(6)의 영역에도 역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3)은 병 목(6)을 형성하는 동안 외부 컨테이너(2)의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제조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목(6)은 면 측부 상에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연장된 돌출부(7)와 함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3)은 상기 돌출부(7)의 영역에서 직립 또는 수평 폴드(fold)에 의해서 외부 컨테이너(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는 오직(exclusively) 상기 외부 컨테이너(2)의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양호하게 제조되고, 그 내부에 배치되어서 차후 컨테이너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부 백(3)과 단단한 외부 컨테이너(2)를 거의 포함하는 컨테이너 개방부(8)를 갖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 평형 개방부(10)는 몰딩 공정 동안 형성된 베이스 시임(5)으로부터 발생되는 베이스 영역(4)에 놓여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되고 파괴되어 개방되고 시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경방향의 힘을 도입함으로써 베이스 시임(5)을 변형시키고, 컨테이너의 재료가 베이스 시임(5)의 한 측부에서 시임의 단부들 및 외부 컨테이너(2)와 접촉하는 내부 백(3)을 형성하며, 이 내부 백(3)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 평형 개방부(10)는 일정한 압력 균형을 제공하는 외부 컨테이너(2)의 내부와 내부 백(3)의 외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는 병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3)은 상기 베이스 영역(4)에서 고정되는 것 이외에 병 목(6)의 영역에서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백(3)은 상기 병 목(6)의 영역에 있는 외부 컨테이너(2)의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목(6)은 그 면 측부 상에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연장된 돌출부(7)와 함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테이너(2)를 갖는 내부 백(3)의 연결부는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돌출부(7)의 영역에 있으며 직립 또는 수평 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는 오직 상기 외부 컨테이너(2)의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027013260A 2000-04-07 2001-03-14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 KR100715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7443.4 2000-04-07
DE10017443A DE10017443A1 (de) 2000-04-07 2000-04-07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t einer Druckausgleichsöffnung versehenen Behälter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427A true KR20020088427A (ko) 2002-11-27
KR100715643B1 KR100715643B1 (ko) 2007-05-08

Family

ID=763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260A KR100715643B1 (ko) 2000-04-07 2001-03-14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EP (1) EP1268160B1 (ko)
JP (1) JP4879439B2 (ko)
KR (1) KR100715643B1 (ko)
CN (1) CN1195621C (ko)
AR (1) AR027775A1 (ko)
AT (1) ATE275472T1 (ko)
AU (1) AU6209301A (ko)
BG (1) BG64671B1 (ko)
BR (1) BR0109859B1 (ko)
CA (1) CA2403148C (ko)
CZ (1) CZ296984B6 (ko)
DE (2) DE10017443A1 (ko)
DK (1) DK1268160T3 (ko)
EA (1) EA003972B1 (ko)
EE (1) EE04634B1 (ko)
EG (1) EG23289A (ko)
ES (1) ES2227199T3 (ko)
HK (1) HK1055706A1 (ko)
HR (1) HRP20020797B1 (ko)
HU (1) HU226553B1 (ko)
IL (1) IL151336A (ko)
MX (1) MXPA02009750A (ko)
MY (1) MY124810A (ko)
NO (1) NO322711B1 (ko)
NZ (1) NZ522221A (ko)
PE (1) PE20020135A1 (ko)
PL (1) PL196682B1 (ko)
PT (1) PT1268160E (ko)
RS (1) RS49770B (ko)
SA (1) SA01220036B1 (ko)
SI (1) SI1268160T1 (ko)
SK (1) SK285166B6 (ko)
TR (1) TR200402356T4 (ko)
TW (1) TW504451B (ko)
UA (1) UA73766C2 (ko)
WO (1) WO2001076849A1 (ko)
ZA (1) ZA2002079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451A (ko) * 2016-09-26 2019-06-05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백을 형성 및/또는 시험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6015B4 (de) * 2002-11-30 2005-04-14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mit wenigstens einer Druckausgleichsöffnung
DE102005035715A1 (de) 2005-07-27 2007-02-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Permeabilitätsrate eines geschlossenen Behälters
WO2012007315A1 (de) 2010-07-16 2012-01-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Filtersystem für den einsatz in medizinischen geräten
EP2447694B1 (de) 2010-10-28 2014-05-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rüfleck zur Überprüfung von Leckagemesssystemen
CN103648920B (zh) * 2011-03-01 2016-10-05 高级技术材料公司 嵌套的吹塑内衬和外包装及其制造方法
EP2694220B1 (de)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JP6249743B2 (ja) * 2013-04-30 2017-1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6249742B2 (ja) * 2013-03-29 2017-1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CN105228909B (zh) * 2013-03-29 2017-08-08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层叠瓶
JP2016097978A (ja) * 2014-11-18 2016-05-30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高粘性液体用二重容器
EP3359234B1 (de) 2015-10-09 2021-04-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beschichtung mikrostrukturierter bauteile
JP6850531B2 (ja) 2015-10-26 2021-03-31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7590B2 (ja) * 2015-12-09 2020-08-12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2709B1 (de) 2016-02-04 2019-04-10 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Abformwerkzeug mit magnethalterung
JP6959498B2 (ja) 2017-01-26 2021-11-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CN110722771B (zh) * 2019-10-23 2021-08-24 广州小大包装有限公司 一种化妆品容器制造工艺
DE102021116278B4 (de) * 2021-06-23 2024-02-29 Gapla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bestehend aus einem steifen Außenbehälter und einem leicht verformbaren Innenbeute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2092A1 (de) * 1984-11-17 1986-05-28 Kautex Werke Reinold Hagen AG, 5300 Bon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it einer verschliessbaren oeffnung versehenen verpackun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verpackung
JP3108147B2 (ja) * 1991-09-18 2000-11-1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596142B1 (en) * 1992-05-11 2000-10-11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bottle
CA2230768C (en) * 1997-02-28 2007-02-13 John W. Safian Multilayer container package
DE19737964C1 (de) * 1997-08-30 1998-10-08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sowie Behälter mit Druckausgleichsöffnungen
JP3771040B2 (ja) * 1998-03-18 2006-04-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ラミボトル
JP3742216B2 (ja) * 1998-03-18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ラミボトル
JP3464405B2 (ja) * 1999-02-18 2003-11-10 阪神化成工業株式会社 多層薄肉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451A (ko) * 2016-09-26 2019-06-05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백을 형성 및/또는 시험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9859B1 (pt) 2010-12-28
MY124810A (en) 2006-07-31
DE50103541D1 (de) 2004-10-14
SK285166B6 (sk) 2006-07-07
NO20024731D0 (no) 2002-10-02
IL151336A0 (en) 2003-04-10
PE20020135A1 (es) 2002-03-19
UA73766C2 (en) 2005-09-15
JP4879439B2 (ja) 2012-02-22
CZ20023326A3 (cs) 2003-05-14
DE10017443A1 (de) 2001-10-25
AR027775A1 (es) 2003-04-09
HU226553B1 (en) 2009-03-30
DK1268160T3 (da) 2004-10-11
EA003972B1 (ru) 2003-12-25
HUP0302373A2 (en) 2003-10-28
PT1268160E (pt) 2004-11-30
EP1268160A1 (de) 2003-01-02
MXPA02009750A (es) 2003-03-27
AU6209301A (en) 2001-10-23
CA2403148C (en) 2007-05-22
EP1268160B1 (de) 2004-09-08
ZA200207957B (en) 2003-05-12
YU75602A (sh) 2005-03-15
RS49770B (sr) 2008-06-05
HRP20020797A2 (en) 2003-10-31
EE200200581A (et) 2004-06-15
HK1055706A1 (en) 2004-01-21
ES2227199T3 (es) 2005-04-01
IL151336A (en) 2005-05-17
TR200402356T4 (tr) 2004-12-21
BG64671B1 (bg) 2005-11-30
JP2003534148A (ja) 2003-11-18
EA200201048A1 (ru) 2003-02-27
SK14342002A3 (sk) 2003-02-04
CA2403148A1 (en) 2001-10-18
WO2001076849A1 (de) 2001-10-18
BR0109859A (pt) 2003-06-03
EE04634B1 (et) 2006-06-15
PL196682B1 (pl) 2008-01-31
NO322711B1 (no) 2006-11-27
KR100715643B1 (ko) 2007-05-08
CN1419491A (zh) 2003-05-21
CN1195621C (zh) 2005-04-06
TW504451B (en) 2002-10-01
SI1268160T1 (en) 2005-02-28
NO20024731L (no) 2002-10-02
SA01220036B1 (ar) 2006-11-28
EG23289A (en) 2004-10-31
BG107052A (en) 2003-05-30
NZ522221A (en) 2004-08-27
CZ296984B6 (cs) 2006-08-16
PL357832A1 (en) 2004-07-26
ATE275472T1 (de) 2004-09-15
HRP20020797B1 (en) 200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643B1 (ko) 압력 평형 개방부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
US6503440B2 (en)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pressure equalization opening and containers produced accordingly
EP3380241B1 (en) Unitary serological pipett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100509305B1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WO2017057108A1 (ja) 多室容器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6598B2 (ja) 合成樹脂製連結容器の製造方法
US1197547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WO1995001255A1 (en) Collapsible package
JPH0272928A (ja) 把手付き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JPH06286741A (ja) 密閉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89231A (ja) 密封中空容器
JPH08197636A (ja) 内容物を充填する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H03297621A (ja) 把手付きボトルの製造方法
JPH02188226A (ja) 細長合成樹脂製容器の成形処理方法及び同合成樹脂製容器
ITMI990232A1 (it) Tappo sintetico a permeabilita' controll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