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305B1 -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305B1
KR100509305B1 KR10-2001-0061407A KR20010061407A KR100509305B1 KR 100509305 B1 KR100509305 B1 KR 100509305B1 KR 20010061407 A KR20010061407 A KR 20010061407A KR 100509305 B1 KR100509305 B1 KR 10050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nch
mold
liquid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264A (ko
Inventor
하또리쇼조
야마모또하지메
시미즈에이이찌로
고시가와히로시
하야시히로끼
기따바따게겐지
고이께요시오
후꾸모또데쯔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with means for closing off parison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Abstract

액체 용기는 케이싱을 구성하는 외부 벽과, 외부 벽의 내부 형상과 사실상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갖고 가요성을 갖고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며 액체 수용을 위한 내부 블래더를 구성하는 내부 벽과, 내부 벽 부분이 서로에 대해 용접되고, 이때 용접된 부분의 양측면에서 내부 벽 부분이 내부 벽의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갖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 벽에 의해 물린 핀치-오프부와, 내부 벽의 두꺼운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벽의 내부 표면의 대응부분의 내부 표면 사이에 구비된 공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 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ETALLIC MOLD FO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금속 주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중공 성형(blow molding)에 의해 제조되고 액체가 공급되는 외부 물체의 입구에 연결되는 액체 출구가 제공되는 다층 액체 용기와, 이러한 다층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러한 다층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 주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동안, 중공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다층 용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액체 용기로서 사용되었다. 중공 성형은 제조 방법이다. 중공 성형에서, 열가소성 수지는 압출에 의해 관형 패리슨(parison)으로 성형되고, 패리슨은 금속 주형에 의해 패리슨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개재되어 관형 패리슨이 파우치(pouch)가 되도록 하며, 공기는 패리슨을 팽창시키도록 파우치형 패리슨 내부로 취입되어서 팽창된 패리슨의 벽이 금속 주형의 내부면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간극을 남기지 않는다.
기본 중공 성형법으로 용기를 제조할 때, 핀치 오프부(pinch-off portion)로 불리는 부분이 열가소성 수지의 관형 패리슨의 2개의 단부의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되고, 거기에서 패리슨 벽의 상호 대면하는 부분들은 패리슨 벽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여 이에 용접된다. 용접 시임(seam)가 약화된 경우, 용기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접 시임을 따라 균열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용접 시임이 높은 충격 저항력과 누설 방지력을 갖는 것은 특히 잉크, 화학 제품 등이 내부에 저장된 때에 안전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도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00은 (이하에서 중공 성형 용기로서 언급되는) 중공 성형에 의해 형성된 종래의 액체 용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용기(100)의 경우, 액체 용기(100)의 핀치-오프부(101) 내의 용접 시임의 고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핀치-오프부(101)은 핀치-오프부 내의 용접면을 증가시키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중공 성형 용기(100)는 다층 용기이며, 일반적으로 외부 층, 중간 층(100b) 및 내부 층(100c)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다층 용기의 용접 시임의 고착은 용기 벽의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의 접합 강도뿐만 아니라 내부 층(100c)의 대향하는 2개 부분이 서로 용접되는 방법에도 의존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핀치-오프부(101)를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것은 핀치-오프부 내의 중간 층 및 내부 층(100b, 100c) 부분들이 핀치-오프부의 기부로부터 핀치-오프부의 선단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남게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핀치-오프부를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것은 용접면을 증가시키지만 용접 접합면의 강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용기(110)와 같은 중공 성형 용기가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7-88943호에) 제안되었다.
상기 특허의 중공 성형 용기(110)의 핀치-오프부(111)은 핀치-오프부(111)의 대향 측면들 상에 있고 핀치-오프부(1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 2개의 리세스(112, 113)를 구비한다. 리세스(112, 113)는 용기(110)가 용기(110)의 핀치-오프부(11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2개 편의 주형을 사용하는 중공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의 좌측 편부의 돌출부와 주형의 우측 편부의 돌출부는 핀치-오프부(111)의 높이 방향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주형의 좌측 및 우측 편부들이 서로에 대항하여 클램핑된 때, 중간층 및 내부 층(110b, 110c)은 상향으로 가압되어, 외부 층(110a)의 좌측 및 우측 부분들이 서로 용접되는 용접면을 증가시킨다.
상기 기재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중공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다층 액체 용기의 용접 시임의 고착은 충격 저항과 누설 방지의 관점에서 핀치-오프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향상된다.
다층 용기의 용접 시임의 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제안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5-3102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외부 층과,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내부 층을 구비한 중공 성형 다층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안에서 핀치-오프부는 핀치-오프부 내에서 내부 층의 대향하는 부분들 사이의 용접면을 증가시키도록 외부로 돌출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제안들 모두에서, 핀치-오프부들은 액체 용기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기의 돌출된 핀치-오프부는 용기의 용도를 제한하며, 때때로 용기의 적절한 기능을 방해한다. 또한,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위치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직접 파지되는 용기의 부분과 일치한다면, 용기는 조작이 곤란하며 또한 사용자의 손을 다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돌출된 핀치-오프부는 외형상 바람직하지 않다.
내부 층의 대향하는 부분들 사이의 용접면이 핀치-오프부들을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증가된 경우에도 다층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용기의 경우, 용기의 외부 및 내부 층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시임의 고착은 충격 저항과 누설 방지의 관점에서 증가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실질적으로 액체 용기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핀치-오프부를 가지며 중공 성형에 의해 제조 가능하고 충격 저항 및 누출 방지에 있어서 종래의 중공 성형 용기에 비해 우수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러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 주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태양에 따르면, 액체 용기는 용기의 외부 벽을 구성하는 외부 셸과, 용기의 내부 벽을 구성하며 외부 셸의 내부 공간과 사실상 동일한 형상이며 액체를 포함하며 외부 셸로부터 분리 가능한 가요성 내부 파우치와, 내부 벽의 대향 부분들 사이의 용접 시임이 외부 벽의 대향 부분들에 의해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핀치-오프부를 포함하고, 내부 벽은 한 쌍의 영역을 구비하는 데, 이는 둘레 영역보다 두꺼우며 내부 벽의 용접 시임을 개재하는 방식으로 위치되고 공기 간극이 내부 벽의 외측 표면과 외부 벽의 내측 표면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외부 셸과 내부 파우치 사이에 공기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간극은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케이스 부분 내에서 액체 용기가 외부 충격을 받을 때 댐퍼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내부 벽의 두꺼운 영역은 보강 비임과 같은 작용을 하여, 내부 벽의 용접 시임이 핀치-오프부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파우치가 불규칙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충격이 내부 파우치로 전달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핀치-오프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공기 간극을 댐퍼로서 작용하게 만드는 그러한 구조의 사용은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가 액체 용기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게 만들 필요성을 제거하여, 사실상 주위와 동일 평면을 갖는 핀치-오프부를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의 핀치-오프부 내에서 용기 외부 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외부 셸의 강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내부 파우치의 용접 시임의 고착에 더하여 핀치-오프부 내에서 내부 파우치의 대향 부분들 사이의 용접면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태양에 따르면, 용기의 외부 벽을 구성하는 외부 셸과, 용기의 내부 벽을 구성하며 외부 셸의 내부 공간과 사실상 동일한 형상이며 액체를 포함하며 외부 셸로부터 분리 가능한 가요성 내부 파우치와, 내부 벽의 대향 부분들 사이의 용접 시임이 외부 벽의 대향 부분들에 의해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핀치-오프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액체 용기의 외측 표면과 사실상 동일한 형상의 내향 표면을 갖는 금속 주형과, 대체로 원통형이며 주형보다 직경이 작으며 액체 용기의 외부 벽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리슨과, 주형보다 직경이 작으며 액체 용기의 내부 벽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패리슨을 제공하는 단계와, 수지로 된 제1 패리슨의 일부와 수지로 된 제2 패리슨의 일부의 조합이 주형의 두 반부들이 제1 및 제2 패리슨을 개재하는 방식으로 클램핑될 때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주형의 두 반부들 사이의 공간 내로 가압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패리슨, 즉 외부 벽 및 내부 벽 각각이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면서 제1 및 제2 패리슨들의 연장된 벽들이 주형의 내측 표면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공기가 제1 및 제2 패리슨들을 팽창시키기 위해 제2 패리슨의 내부 공간 내로 취입되는 단계와, 내부 벽 및 외부 벽이 핀치-오프부에 바로 인접하여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핀치-오프부의 인접부 내에 공기 간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금속 주형은 좌측 및 우측 편부의 조합을 포함하고, 용기의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금속 주형의 좌측 편부의 부분과 용기의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금속 주형의 우측 편부의 부분은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수지 패리슨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해 패리슨 가압 부분을 구비하여 금속 주형의 좌측 및 우측 편부들이 상호 클램핑될 때 패리슨의 그러한 부분의 일부를 주형 내로 가압하고, 용기의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금속 주형의 좌측 편부의 부분과 용기에 대응하는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금속 주형의 우측 편부의 부분은 금속 주형의 좌측 및 우측 편부들이 상호 클램된 후에 그들 사이에 작은 간극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층 중공 성형"은 소위 공동 압출 다층 중공 성형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동 압출에 의해 압출된 다층 패리슨은 다편부 주형에 의해 개재되고, 가압 유체가 패리슨 내로 도입되어 그를 팽창시킨다.
더욱이, 용어 "액체"는 보통의 액체뿐만 아니라 졸을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잉크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1)는 대략 다각 기둥 형태인 중공 용기이다. (에지와 점에 대응하는 부분이 둥글다.) 이는 잉크 용기의 일 단부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잉크 출구(4)와 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노브(3)를 구비한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홀더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잉크 출구(4)에는 후술하는 내부 부분(12)을 밀봉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가 구비된다. 잉크 용기(1)가 홀더 내에 장착될 때, 내부 파우치(12)의 내부 공간과 홀더의 커넥터부는 플러그를 통하여 연결되어, 잉크 용기(1) 내의 잉크는 연결부를 통하여 소모될 수 있다. 노브(3)는 홀더로부터 잉크 용기(1)를 제거할 때 사용자가 손을 위치시키는 곳에 있다.
도4에서, 잉크 용기(1)는 다층 중공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잉크 용기(1)의 외부 벽을 이루는 외부 셸(11)과 잉크 용기(1)의 내부 벽을 이루는 내부 파우치(12)를 갖는다. 내부 파우치(12)는, 충분히 팽창되었을 때, 형상과 체적이 외부 셸(11)의 내부 공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내부 벽(파우치)(12)은 가요성을 갖고, 외부 벽(셸)(11)에서 분리 가능하다. 그러므로, 잉크를 포함하는 부분, 즉 내부 파우치(12)의 내부 공간 내의 잉크는 유출되어, 외부 셸(11)을 변형시키지 않고 내부 파우치(12)가 변형하는 것을 허용한다. 내부 파우치(12)는 대략 다각 기둥 형태로 내부 파우치(12) 벽의 각 섹션의 두께가 중심으로부터 에지쪽으로 점차 감소하여, 벽의 각 섹션의 (둥근 형상일 수 있는) 코너부가 벽의 각 섹션의 중심부보다 얇도록 구성된다. 즉, 내부 파우치(12)의 벽의 각 섹션은 내부 파우치(12)의 내향으로 약간 팽창한다. 내부 파우치(12)의 벽의 각 섹션이 팽창하는 방향은 벽의 각 섹션이 변형하는 방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내부 파우치(12)에 대한 이러한 구조적 배열은 잉크 저장부의 변형을 돕는다. 특히, 잉크젯 분야에서, 이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9-267483호에 서술된 바와 같이 액체가 잉크 저장부로부터 유출될 때 잉크 출구(4)에서 최적의 음압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부수적으로, 도4는 잉크 용기의 층상 구조를 주로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잉크 용기(1) 벽의 다수 층들 중에서 두께에 대한 실제 관계를 도시하지는 않는다.
잉크 용기(1)에는 후술하는 잉크 용기(1)의 핀치-오프부(13)의 일 단부 다음에 위치되는 통기공(14)이 또한 구비된다. 통기공(14)은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 사이의 간극이다. 통기공(14)의 구비로, 외부 공기는 통기공(14)을 통하여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 사이로 유입될 수 있어서, 잉크 저장부 내의 잉크가 소모됨에 따라 내부 파우치(12)가 쉽게 변형하는 것을 허용한다.
내부 파우치(12)는 3개의 층, 즉 내측으로부터 액체 접촉층(12c), 탄성 제어층(12b) 및 기체 방어층(12a)을 갖는 층상 파우치이다. 액체 접촉층(12c)은 잉크에 저항력을 갖고, 기체 방어층(12a)은 기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데 우수하다. 이들 3개의 층은 그 기능이 각각 다르지만, 서로 접착되어 있다. 탄성 제어층(12b)은 잉크 용기(1)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로 대기 온도가 유지되는 한 탄성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내부 파우치(12)의 탄성은 잉크 용기(1)가 통상의 온도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한 탄성 제어층(12b)에 의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액체 접촉층(12c)이 내부 파우치(12)의 최내부층을 구성하는 한, 탄성 제어층(12b) 및 기체 방어층(12a)은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즉, 탄성 제어층(12b) 및 기체 방어층(12a)은 각각 최외부층 및 중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내부 파우치(12)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내부 파우치(12)는 액체 접촉층(12c), 탄성 제어층(12b) 및 기체 방어층(12a)의 각각의 기능을 만족스럽게 나타난다. 즉, 내부 파우치(12)의 탄성 등은 단지 소수의 기능성 층들을 구비함으로써 대기 온도의 변화에 심각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내부 파우치(12)의 재료와 관련하여, 폴리프로필렌이 액체 접촉층(12c) 또는 최내부층의 재료로 사용되고, 주기성 올레인(cyclic olein)의 공중합체가 탄성 제어층(12b)의 재료로 사용되고, EVOH[감화된 EVA(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가 기체 방어층(12a) 또는 최외부층의 재료로 사용된다. 외부 셸(11)의 재료로, 폴리프로필렌, 즉 내부 파우치(12)의 최내부층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내부 파우치(12)의 3개 층의 인접한 2개 층들 사이의 접착 강도는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 사이의 (제거 강도인) 접착 강도와 비교하여 충분히 크게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잉크 용기(1)가 사용될 때, 외부 셸(11) 및 내부 파우치(12)가 서로 쉽게 분리되는 한편, 내부 파우치(12)의 층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잉크 용기(1)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층 중공 성형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2개의 핀치-오프부(13), 즉 잉크 출구(4) 측 상에 하나와 노브(3) 측 또는 잉크 출구(4)의 대향측 상에 나머지 하나를 갖는다. 도4에서, 핀치-오프부(13)의 하나는 노브(3)의 일부 또는 잉크 용기의 삽입 방향에 대해 잉크 용기(1)의 후단부로부터 잉크 용기(1)의 바닥부쪽으로 연장한다. 다른 핀치-오프부(13) 또는 잉크 출구(4) 측 상의 핀치-오프부는 도4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핀치-오프부(13)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1)의 핀치-오프부의 단면도인 도5를 참조하여 핀치-오프부(13)의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오프부(13)의 팁은 그 인접부에서 외향 돌출하지 않아서, 잉크 용기(1)의 외부 표면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핀치-오프부(13)를 그 인접부와 동일한 높이로 만드는 것은 잉크 용기(1)의 취급을 개선한다. 즉, 잉크 용기(1)를 다루기 쉽게 한다. 또한, 안전 문제, 즉 핀치-오프부(13)에 의해 손가락이 베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핀치-오프부(13)를 그 인접부와 동일한 높이로 만드는 것은 핀치-오프부(13)가 잉크 용기(1)의 외관을 나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구조는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수지 패리슨의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부로서 리세스를 갖지 않는 금속 잉크 용기 주형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용기(1)로 형성될 패리슨이 2개 편의 금속 주형이 상호 클램핑될 때 상기 2개 편의 금속 주형에 의해 개재되므로,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패리슨의 부분은 전술한 수지 저장부 내로 벗어나지 못한 패리슨의 부분이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2편의 금속 주형의 대응부 사이의 전술한 작은 간극으로 침입함으로써 주형의 내부 공간 안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셸(11) 및 내부 파우치(12)의 벽은 두꺼워져서, 내향 팽창부(21)[외부 셸(11)] 및 내향 팽창부(22)[내부 파우치(12)]를 잉크 용기(12)의 액체 접촉층(12c)의 대향 부분 사이의 용접 시임의 양측 상에 생성한다.
이번에는 도10의 (a) 및 (b)를 참조하여 팽창부(21, 22)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첨부된다. 도10의 (a) 및 (b)는 잉크 용기(1)의 성형 중 잉크 용기(1) 및 금속 주형의 핵심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1)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기 위해, 도10의 (a) 및 (b)는 각각 성형의 클램핑 중의 핀치-오프부와 성형의 클램핑 후의 핀치-오프부를 각각 도시한다. 도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주형(30)은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를 포함한다.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금속 주형(30)의 좌측 편부 부분에는 후술되는 다층 공동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패리슨(40)을 압착하기 위해 패리슨 개재부로서의 댐(30b)이 제공된다. 패리슨은 원통형이고 다층 공동 압출에 의해 형성되고, 외부 벽으로 형성될 수지층(11) 또는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로 형성되는 수지층(12a 내지 12c)을 갖는다. 이러한 수지층(11, 12a 내지 12c)들은 동심이다. 금속 주형(30)의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를 갖는 패리슨(40)을 개재시킬 때, 패리슨(40)은 먼저 좌측 편부의 돌출부(30a)와, 그 돌출부(30a)에 대응하는 우측 편부의 돌출부(30d)에 의해 물린다. 금속 주형(30)가 클램프되면, 패리슨(40)의 부분(40a), 즉 돌출부(30a)와 부분(30d)의 팁들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주형(30)의 외향측상에서 개방 공간인 수지 리저버(30e)로 벗어나지 못한 부분은 댐(30b) 안쪽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공정 중에, 돌출부(30a) 및 부분(30d) 사이의 간극이 감소되면서, 금속 주형의 내향으로 부분적으로 이동한 댐(30b) 내의 수지 부분(40a)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외부 셸의 외측으로부터 내부 파우치의 내측)으로 핀치-오프부(13)를 형성하는 영역으로 압착된다.
다음으로, 도10의 (b)를 참조하면, 주형(30)의 클램핑의 완료와 공기와 같은 유체를 사용한 후속하는 패리슨의 팽창 후에, 외부 셸의 팽창부(21) 및 내부 파우치의 팽창부(22)는 주형(30)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된 패리슨(40)의 부분(40a)에 의해 형성된다. 도10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공간(30f)으로 압착된 패리슨(40)의 부분은 공간(30f)에 잔존하여, 핀치-오프부(13)에서의 부분(40a)의 일부와 댐(30b)에서의 부분(40a)의 일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부분(40a)의 이들 일부 또는 돌기들은 잉크 용기(1)가 주형(30)로부터 제거된 후에 돌기들을 없애는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제거된다. 돌기 제거 공정 중에, 돌기는 외부 셸의 외부 표면을 기준으로 제거되어, 핀치-오프부(13)는 그 주변부와 사실상 동일한 높이로 되고, 내부 벽의 대향 부분들 사이의 용접 시임은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용접 시임의 노출은 후술되는 간극을 형성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금속 주형(30)는 패리슨이 물리는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주형(30)의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가 분단선을 따르는 간극 없이 주형(30)의 클램핑의 단부에서 서로 만나도록 구성되고, 이는 작은 간극(30f)이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형(30)의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주형(30)의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는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접촉하지 않고, 작은 간극(30f)이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핀치-오프부(13)의 좌측 편부 및 우측 편부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즉, 간극(30f)이 존재함으로써, 주형(30)의 클램핑이 완성될 때까지 전술한 수지부(40a)가 부분적으로 연속해서 주형(30)의 내부로 가압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주형(30)의 클램핑의 완료시에 수지 재료가 댐의 용량보다 더 큰 양만큼 댐(30b)에서 유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외부 셸의 팽창부(21)와 내부 파우치의 팽창부(22)의 두께는 부분(40a)의 양에 의해 즉, 패리슨이 물리는 영역에서의 패리슨 부분과 플라스틱 상태의 패리슨 재료의 점성 및 탄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팽창부(21, 22)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면, 댐(30b)으로 가압되는 수지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돌출부(30a)의 돌출 거리가 증가되거나, 사용되는 수지가 동일한 점성 및 탄성이 유지되면, 금속 주형(30)으로 더 많은 수지가 유동하도록 댐(30b)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돌출부(30a)의 구성에 관하여, 돌출부(30a)가 개방된 수지 저장부(30e) 내로 수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수지의 소정량을 한정할 수 있다면 전술된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10의 (b)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필요한 것은 금속 주형(30)의 클램핑이 완성되기 이전에 부분(30d)과 돌출부(30a)의 팁들 사이의 거리가 잉크 용기(1)의 핀치-오프부를 성형하는 주형(30)의 서로 대면하는 좌측 편부와 우측 편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하는 것이다.
또한, 수지 가압부(압착부)로서의 댐(30b)은 주형(30) 외측의 패리슨 수지부를 핀치-오프부(13)가 형성되는 주형(30)의 내부 공간의 위치로 가압해야만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부(30a)를 마련하는 대신에, 핀치-오프부(13)에 대응하는 주형(30)의 각각의 좌측 편부와 우측 편부는 두께가 증가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형(30)의 외향측 상의 개방된 수지 저장부로 외향 유도하는 간극이 주형(30)의 클램핑이 완료된 후에 주형(30)의 2개의 편부들 사이에 남아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돌출부를 마련하는 것은 수지가 금속 주형의 내부 공간 내로 가압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수지가 수지 저장부 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는 서로 분리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는 서로 용접되지 않아서, 핀치-오프부(13) 내의 내부 파우치(12)부는 외부 셸(11)의 2개의 팽창부(21) 사이에 물려 유지됨으로써 핀치-오프부 내에 유지된다. 내부 파우치(12)가 외부 셸의 팽창부(21)에 의해 물려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가 서로 용접되지 않았다고 해도 핀치-오프부(13) 내의 내부 파우치(12)부가 외부 셸(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잉크 용기(1)는 내부 파우치(12)가 외부 셸(1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내부 파우치(12)와 외부 셸(11)이 일시적으로 분리되면 내부 파우치(12)가 불규칙적으로 변형되는 것은 방지된다.
도6을 참조하면, (도4의) 통기공(14)은 외부 셸(11)이 내부 파우치(12)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통기공(14)의 크기 비율, 즉 전체의 핀치-오프부(13)에 대한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가 서로 분리되는 영역의 크기 비율은 작다. 따라서, 외부 셸(11)에 의해 내부 파우치(12)의 유지시 통기공(14) 존재의 효과는 작다.
반면에, 핀치-오프부(13)에 내부 파우치(12)를 팽창시키는 것은 액체 접촉 층(12c), 탄성 제어 층(12b) 및 가스 방어 층(12a)을 두껍게 하여 핀치-오프부(13)의 기부에서 내부 파우치(12)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핀치-오프부(13)에 내부 파우치(12)를 팽창시키는 것은 결과 용접 시임의 고착에 더하여 핀치-오프부(13) 내의 내부 파우치(12)의 대향하는 2개의 벽부 사이의 용접면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의 전술된 효과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실험에 따르면, 내부 파우치(12)의 팽창부(22)의 두께는 2개의 팽창부들(22)을 제외한 내부 파우치(12)의 평균 두께의 1.5 내지 4.0 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외부 셸(11)의 팽창부(21)와 내부 파우치(12)의 팽창부(22) 사이에는 공동 또는 공기 간극(20a)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바람직한 것은 내부 파우치(12)의 팽창부(22)의 외향 표면과 외부 셸(11)의 대응하는 내향 표면 사이에 공기 간극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외부 셸(11)의 팽창부(21)는 필수 요소는 아니다.
공기 간극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1) 용기의 외향측으로부터 용기면에 직각 방향으로 핀치-오프부에 압력을 인가하거나 핀치-오프부를 가압하는 방법, (2) 최적의 위치에서 외부 셸 내에 만들어진 통기공을 통해 외부 셸과 내부 파우치 사이에 대기를 도입함으로써 핀치-오프부 내의 외부 셸과 내부 파우치를 일시적으로 분리하여 대기를 핀치-오프부에 도입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 (3) 잉크 용기를 직접 가압하거나 또는 잉크 용기 상에 간접적으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잉크 용기를 변형시켜 핀치-오프부에 대기를 도입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면, 공기 간극(20a)의 작용이 설명된다. 도7은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단면도이며 잉크 용기가 외부 충격을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핀치-오프부의 반응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잉크 용기(1)가 외부 충격을 받음에 따라, 예를 들어 잉크 용기(1)가 낙하함에 따라, 낙하로부터의 충격은 외부 셸(11)로부터 내부 파우치(12)로 전달된다. 핀치-오프부(13)의 기부의 양측 상에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 사이에 공기 간극(20a)이 있기 때문에, 공기 간극(20a)은 충격을 흡수하는 감쇠기의 역할을 하여, 충격이 내부 파우치(12)에 전달될 때의 충격량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핀치-오프부의 각 측 상에는 공기 간극(20a)이 있다. 따라서, 도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이 내부 파우치(12)에 전달될 때, 충격의 방향에 따라, 내부 파우치(12)는 좌측, 우측 또는 좌우 양측 요동을 허용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파우치(12)의 용접 시임에 대한 효과의 관점에서 충격은 감소한다. 따라서, 핀치-오프부(13)의 손상, 예를 들어 핀치-오프부(13)의 파열에 기인한 핀치-오프부(13)로부터의 잉크 유출이 방지된다.
또한,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는 서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충격이 인가될 때, 공기 간극(20b)은 내부 파우치(12)가 외부 셸(11)의 팽창부(21)에 의해 물려 유지되는 영역 내에, 외부 셸(11)과 내부 파우치(12) 사이에 일시적으로 형성된다.
공기 간극(20b)이 존재하는 동안, 외부 셸에 인가된 충격은 공기 간극(20b)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된다. 그러므로, 충격이 핀치-오프부의 외측으로부터 내부 파우치(12)에 전달될 때 충격량이 감소하고, 더욱이 외부 충격에 의한 핀치-오프부(13)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더 보장한다.
공기 간극(20b)이 일시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 간극(20b)의 존재로 인해 내부 파우치(12)가 외부 셸(1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한 후, 내부 파우치(12)는 도5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고 외부 셸(11)에 의해 정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가 외부 충격을 받을 때, 핀치-오프부(13) 내의 내부 파우치(12)의 일부는 공기 간극(20a, 20b)의 각각의 작용에 의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핀치-오프부(13)가 잉크 용기(1)의 외향면과 동일 평면이라는 사실은 충격이 핀치-오프부(13)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실질적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핀치-오프부(13)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사실상 기여한다. 2가지 형태의 공기 간극(20a, 20b)의 위치를 미리 배열하도록 외부 형상, 무게 분포 등에 관해 잉크 용기(1)를 수정하여 공기 간극(20a, 20b)이 외부 충격을 수용할 가능성과 공기 간극(20a, 20b)이 외부 충격을 감쇠시키는 효과가 증가되어 이러한 수정안은 핀치-오프부(13)에 대한 손상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액체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주요부의, 핀치-오프부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용기(50)는 제1 실시예의 내부 파우치에서와 같이 외부 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내부 파우치를 갖는다. 그러나, 액체 용기(50)의 내부 파우치는 샴푸 또는 린스와 같은 액체를 함유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용기(50)의 출구(53)에 끼워지는 펌프(51)를 구비한다. 펌프(51)는 노즐(52)을 구비한다. 액체 용기(50)는 내부 파우치를 통해서 연장되고 펌프(51)에 연결되는 튜브(55)를 구비하는데, 그의 바닥 단부(55a)는 액체 용기(50)의 바닥 벽까지 가까이 다다른다. 바닥 벽(56)은 핀치-오프부(58)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서 공기 간극(20a)이 있는 것처럼, 양측상에서, (도8에 도시되지 않은) 내부 파우치 벽의 두꺼운 부분의 외향면과 핀치-오프부(58)의 인접부 내의 외부 셸의 내향면 사이의 공기 간극(57)이 제공된다. 액체 용기(50)는 최적의 가공 수단을 사용하여 외부 셸의 목부(53) 내에 천공된 통기공(54)을 또한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면, 핀치-오프부(58)의 인접부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내부 파우치(12)의 팽창부(22)와 외부 셸(11)의 팽창부(21) 사이에 위치한 공기 간극(20a)과 같이, 공기 간극(57)이 내부 파우치(59)의 팽창부(60)와 외부 셸의 바닥 벽(56)의 팽창부(61)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내부 파우치(59)가 접착 수지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내부층(59a)과 EVOH 등으로 형성된 방어층(59b)의 2개 층만을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물론, 내부 파우치(59)는 액체 용기(50) 내에 저장될 액체의 형태에 따라, 단일층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외부 셸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바닥 벽(56)의 외향면(56b)은 용기(55)가 위치하는 물체에 접촉하는 표면을 구성하고, 바닥 벽(56)의 내향면(56a)은 표면의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용기(55)의 내향으로 약간 볼록하여, 중심에 리세스를 생성한다. 이 리세스 내에서, 외향 돌출된 핀치-오프부(58)는 돌기(56c)를 형성하는 외부 셸(56)의 팽창부(61)의 대응하는 부분과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액체 용기의 경우에도,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는 액체 용기가 외부 충격을 받을 때 전술된 공기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액체 용기는 샴프 또는 린스 이외에, 마요네즈 또는 케첩과 같은 점성이 있는 음식물, 면도용 크림, 액체 비누, 젤형 안면 세정제 등과 같은 점성/발포성 화장품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양호한 결과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되는 액체에 따라, 액체 용기의 출구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펌프에 끼워질 수 있거나, 단순한 개구로 남겨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기로서 작용할 수 있는 공기 간극은 다층 중공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다층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기부 내에 외부 셸과 내부 파우치 사이에 제공되고 층들은 그들 사이에서 분리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액체 용기가 외부 충격을 받을 때, 공기 간극이 감쇠기로써 작용하여 핀치-오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핀치-오프부로부터의 잉크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핀치-오프부는 외향측 상에서 인접부와 사실상 동일 평면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핀치-오프부가 액체 용기의 외향면으로부터 돌출될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셸의 두께는 핀치-오프부의 인접부 내에서 증가하고 그리고/또는 내부 파우치의 두께는 내부 파우치의 대향부가 서로 용접된 핀치-오프부의 양측 상에서 증가된다. 따라서, 핀치-오프부와 그 인접부 내의 외부 셸과 내부 파우치부의 강도는 증가되고, 내부 파우치의 2개의 대향부 사이의 용접면 또한 증가하여 핀치-오프부 내의 용접 시임의 고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은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서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공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된 액체 용기의 일 예의 핀치-오프부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중공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된 액체 용기의 일 예의 핀치-오프부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는 용기의 용접 시임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
도5는 용기의 핀치-오프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의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핀치-오프부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6은 통기공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통기공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7은 잉크 용기가 외력을 받을 때 발생하는 핀치-오프부의 반응을 도시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핀치-오프부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와 핀치-오프부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10의 (a) 및 (b)는 도8에 도시된 액체 용기의 핀치-오프부와 핀치-오프부에 대응하는 액체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주형부의 단면도로서,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10의 (a) 및 (b)는 주형의 클램핑 동안의 핀치-오프부와 주형의 클램핑 후의 핀치-오프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 용기
3 : 노브
4 : 잉크 출구
11 : 외부 셸
12 : 내부 파우치
12a : 기체 방어층
12b : 탄성 제어층
12c : 액체 접촉층
13 : 핀치-오프부
14 : 통기공

Claims (11)

  1. 케이싱을 구성하는 외부 벽과,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외부 벽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갖고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내부 파우치를 구성하는 내부 벽과,
    상기 내부 벽 부분이 서로 용접되고, 이때 상기 내부 벽은 용접된 부분의 양측면에서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두꺼운 부분은 상기 두꺼운 부분 주위의 내부 벽의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부 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 벽에 의해 물린 핀치-오프부와,
    상기 내부 벽의 두꺼운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벽의 내부 표면의 대응 부분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제공된 공동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오프부의 외부는 그에 인접한 상기 케이싱의 일부와 동일한 높이인 액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두께는 상기 핀치 오프부 주위의 부분보다 상기 핀치 오프부에서 더 두꺼운 액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부분은 액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내부 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로 돌출된 액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의 두꺼운 부분은 상기 두꺼운 부분 주위의 상기 내부 벽의 부분의 두께보다 1.5배 내지 4배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액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통기공이 외부 벽과 내부 벽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핀치 오프부에 형성되는 액체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우치는 다각 기둥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 벽은 형상을 구성하는 측면들의 중심부보다 다각 기둥 구조의 코너 부분에서 두께가 더 작도록 하는 두께 분포를 갖는 액체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우치는 상기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토출로 상기 용기의 액체 출구에서 부압을 생성하도록 변형하는 액체 용기.
  9. 케이싱을 구성하는 외부 벽과,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외부 벽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갖고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내부 파우치를 구성하는 내부 벽과, 상기 내부 벽 부분이 서로 용접되고, 이때 상기 내부 벽은 용접된 부분의 양측면에서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두꺼운 부분은 상기 두꺼운 부분 주위의 내부 벽의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부 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 벽에 의해 물린 핀치-오프부와, 상기 내부 벽의 두꺼운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벽의 내부 표면의 대응 부분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제공된 공동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기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내부 형상을 갖는 주형과 원통형인 상기 외부 벽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패리슨을 준비하는 단계와,
    주형에 의해 제1 및 제2 패리슨을 물고 주형의 외측에 패리슨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를 핀칭 오프부를 구성하기 위한 주형부 내로 가압하는 단계와,
    서로 분리 가능한 외부 벽 및 내부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주형으로 제1 및 제2 패리슨을 확장하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와,
    공동을 제공하도록 핀치-오프부에 인접하는 내부 벽 및 외부 벽을 서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주형은 주형을 클램핑할 때 주형 내로 가압되도록 수지 재료의 일 부분을 보유하기 위해 핀치-오프부의 형성부에서 패리슨 압착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주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단계는 패리슨 압착부 내에 보유된 수지 재료를 주형 내로 가압함으로써 달성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
  11. 중공 성형을 위한 한 쌍의 주형이며,
    상기 주형들을 클램핑할 때 주형 내로 가압되는 수지 재료의 일부를 보유하기 위해 그리고 보유된 수지 재료를 상기 주형들에 의해 구성된 주형 내로 가압하기 위해 핀치-오프부의 형성부에의 패리슨 압착부와,
    상기 주형들이 클램프될 때 핀치-오프부의 형성부에 구비된 작은 간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주형.
KR10-2001-0061407A 2000-10-05 2001-10-05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KR100509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6263 2000-10-05
JP2000306263 2000-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264A KR20020027264A (ko) 2002-04-13
KR100509305B1 true KR100509305B1 (ko) 2005-08-22

Family

ID=1878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407A KR100509305B1 (ko) 2000-10-05 2001-10-05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1893B2 (ko)
EP (1) EP1199252B1 (ko)
KR (1) KR100509305B1 (ko)
CN (1) CN1122626C (ko)
AT (1) ATE295304T1 (ko)
DE (1) DE601107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26C (zh) * 2000-10-05 2003-10-01 佳能株式会社 液体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用于液体容器制造方法的金属模具
JP2003205973A (ja) * 2002-01-16 2003-07-22 Canon Inc 液体収納容器及び該容器の製造方法
FR2853276B1 (fr) * 2003-04-02 2007-05-18 Plastohm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reprise d'air dans un recipient multiparois
EP2823949A1 (de) * 2013-07-08 2015-01-14 ISP Technology AG Kunststoffverbindungsnaht, Kunststoffflasche mit Verbindungsnah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S2737105T3 (es) 2013-11-27 2020-01-10 Kyoraku Co Ltd Recipiente deslaminable
JP6516122B2 (ja) 2014-08-19 2019-05-22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の製造方法
CN105509294A (zh) * 2014-10-06 2016-04-20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具有压力调节功能的快热式电热水器
CN105716227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装有带减压功能的水流开关的快热式电热水器
CN105716228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有减压的水流传感器的非金属吹塑水箱外置快热式电热水器
CN105716275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有减压功能的空气能热水器
CN105716237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有减压功能的外置快热式太阳能热水器
CN105716231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装有带减压功能的水流传感器的快热式电热水器
CN105716259A (zh) * 2014-12-03 2016-06-29 广东顺德光晟电器股份有限公司 有减压功能的外置快热式电热水器
CN110382371A (zh) * 2017-03-15 2019-10-25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0424A (ja) * 1987-04-17 1988-10-27 Mazda Motor Corp 多層中空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H05213372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13373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99252A1 (en) * 2000-10-05 2002-04-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etallic mold fo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JP2002187294A (ja) * 2000-10-05 2002-07-02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金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3461A (en) * 1958-11-07 1962-03-06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for extruding plastic materials
US3606958A (en) * 1968-05-17 1971-09-21 Shell Oil Co Laminated fluid-barrier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it
US3912107A (en) * 1971-04-26 1975-10-14 Cegedur Mobile liquid storage tanks
JP3124620B2 (ja) 1992-05-11 2001-0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CA2093320C (en) 1991-08-05 2005-02-01 Akira Nishigami Multilayer bott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548423B1 (en) 1991-12-23 1996-04-10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with a handle
WO1993023311A1 (en) 1992-05-11 1993-11-25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bottle and pump unit for laminated bottle
JP3338867B2 (ja) 1993-09-24 2002-10-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ラスチック容器とその製造用金型
WO1996028353A1 (fr) 1995-03-10 1996-09-19 Yoshino Kogyosho Co., Ltd. Recipient a pellicule laminee et technique correspondante
JP3251845B2 (ja) 1995-04-17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負圧を与える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該容器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とを一体化し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466228B1 (ko) 1996-05-30 2005-06-22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US5989482A (en) * 1996-10-29 1999-11-23 The Japan Steel 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bottle
JP2001001542A (ja) * 1999-06-24 2001-01-09 Canon Inc 液体供給方法および該液体供給方法に用いられる毛管力発生部材収納容器および液体供給容器
EP1108592A3 (en) * 1999-12-18 2003-10-15 Delphi Technologies, Inc. Permeation barrier fuel tan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0424A (ja) * 1987-04-17 1988-10-27 Mazda Motor Corp 多層中空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H05213372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13373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99252A1 (en) * 2000-10-05 2002-04-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etallic mold for liqui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JP2002187294A (ja) * 2000-10-05 2002-07-02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51893B2 (en) 2006-05-30
KR20020027264A (ko) 2002-04-13
DE60110720D1 (de) 2005-06-16
ATE295304T1 (de) 2005-05-15
EP1199252A1 (en) 2002-04-24
CN1122626C (zh) 2003-10-01
EP1199252B1 (en) 2005-05-11
US20020040908A1 (en) 2002-04-11
DE60110720T2 (de) 2006-01-12
CN1347831A (zh)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305B1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EP1422160B1 (en) Pouring vessel
KR100222280B1 (ko) 부압을 제공하는 액체 수용 용기와 그 제조 방법, 상기 용기와 잉크 제트 기록 헤드를 유니트로서 갖는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 제트 기록 장치
US6319453B1 (en) Method of making a multiple neck spray bottle
WO2017169099A1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EP1459996B1 (en) Fill-out container
JP3994145B2 (ja) 注出容器
JP4834260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製造方法
JP5392654B2 (ja) 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5641430B2 (ja) ブロー成形壜体
JP4182520B2 (ja) 注出容器
JP3907186B2 (ja)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成形方法
JP7471750B2 (ja) 二重容器
JP5851346B2 (ja) 二連型ブロー容器の製造方法
JP3556344B2 (ja) 積層ブロー容器
JP7399557B2 (ja) 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7308050B2 (ja) 二重容器の評価方法
JP7385102B2 (ja) 収容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253870B2 (ja) 成形充填容器の製造方法
JP2021127164A (ja) 二重容器
KR101954228B1 (ko) 잔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첩 되는 체적 변이 가능한 용기 구조 및 그 용기 제조방법
US2019032947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ing inner layer
CN116323406A (zh) 双重容器
JPH10138505A (ja) 弁、該弁を用いるインクタンク、及び該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JPH10310111A (ja) 二重エヤゾール装置のガス抜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