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228B1 -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 Google Patents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228B1
KR100466228B1 KR10-1998-0700323A KR19980700323A KR100466228B1 KR 100466228 B1 KR100466228 B1 KR 100466228B1 KR 19980700323 A KR19980700323 A KR 19980700323A KR 100466228 B1 KR100466228 B1 KR 10046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low molding
cylindrical
molding contain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020A (ko
Inventor
히로시 호소코시야마
마사시 요네야마
마코토 부스지마
히로아키 토쿠다
나오히토 오스가
코우지 타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1999002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with means for closing off parison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04Thermal conditioning of the blown article
    • B29C49/6605Heating the article, e.g. for hot f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2Mould cavity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특히 나일론 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를 내부 백으로 사용하는 원통형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의 접착성을 개선하고, 바닥의 크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원통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또는 용기 입구부에 공기 도입공을 천공한 원통형의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 용기 바닥부 저벽의 바닥 밀봉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장경의 축선방향으로 하는 타원면에 근사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타원형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바닥 밀봉부에 아치상의 바닥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몸통부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및 그 성형용 금형
본 발명은 원통형 몸통부를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 크랙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특히 용기입구에 공기 도입구를 구비한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 크랙방지 기술로서는 용기 바닥부의 바닥 밀봉부에 바닥 리브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닥 밀봉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융착부에 타방의 융착부에 압입하는 조임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융착부를 상호 맞물리게 하여 융착시킨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가 본 출원전에 제안되어 있다 (특개평 8-216238호 공보).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 밀봉부에 바닥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 리브는 용기저벽 보다 돌출한 2매의 융착부 내측면을 융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 리브를 구성하는 각각의 융착부에 조임돌출부와 조임오목부가 교호로 형성된 조임부를 형성하여, 양융착부를 상기 조임부에서 상호 맞물리도록 융착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 밀봉부의 융착력을 강화하면서 분리라인(parting line)에 평행한 전단력(도 2중 X-X'선을 따른 전단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하여 대용량의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 크랙을 없애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는 조임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부 백을 구성하는 나일론 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라도 강고히 융착시킬 수 있고, 바닥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에 조임부를 형성하는 것은 극히 유익한 것이다.
그러나, 타원통형 몸통부 및 타원형 바닥부를 갖는 용기(이하 "타원통형 용기"라고 한다)와 원주형 몸통부 및 원형바닥부를 갖는 용기(이하, "원통형 용기"라 한다)사이에는 바닥 크랙현상에 차이를 볼 수 있다. 특히, 접착성이 약한 수지를 내부 백으로 사용하는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는 대형 원통형 용기가 되면 타원통형 용기와 달리, 내용액을 충진한 용기를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가하거나 하면 바닥 크랙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태양에 의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블로우 성형용기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블로우 성형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용기의 도 2A-A선에 있어서 용기 바닥부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용기의 용기 바닥부의 확대 종정면도이고,
도 5는 용기바닥부의 바닥 밀봉부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6은 금형의 핀치-오프부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7(a)는 단층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바닥 밀봉부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7(b)는 적층체로 이루어진 바닥 밀봉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용기(1)는 외층(2)과 내층(3)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로 만들어져 있고, 적층 압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적층체로 이루어진 용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층체으로 이루어진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외층(2)은 외관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재료이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의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층(3)은 외층(2)에 적층되어 외층으로 부터 박리 될 수 있는 것으로, 변형이 자유로운 것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수지)등으로 이루어지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1)는 원통형의 용기 몸통부(4)와 용기 입구부(5)와 용기 바닥부(6)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입구부(5)의 외층(2)에는 외층(2)과 내층(3)사이에 공기를 도입하는 개구(7)가 외층(2)에 천공되어 있고, 상기 개구(7)를 통해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내층(3)이 외층(2)에서 박리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기 바닥부(6)는 용기의 외주에 설치된 저단벽(8)과 상기 저단벽(8)의 안쪽에 위치하여 저단벽(8)에서 용기 안쪽 방향(상방)으로 만곡하는 저벽(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벽(9)에는 원 중심을 통하는 분리라인을 따라 바닥 밀봉부(10)가 있고, 상기 바닥 밀봉부(10)에는 바닥 리브(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벽(9)은 평탄벽(12)과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와 용기의 위치결정용 단(段)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는 바닥 리브(11)의 주변에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원 중심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고 동시에 원심을 향할수록 용기 안쪽 방향(상방)으로 융기하고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는 원중심을 통해 분리라인을 따라 저벽(9)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는 상기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의 아랫면으로 부터 용기 바깥 방향(하방)을 향하여 늘어지고, 원중심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융기하고 있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 리브(11)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 리브(11)의 중심선을 따라 조임부(15)가 배열되어 있다. 바닥 리브의 높이(용기의 축방향 길이)는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밀봉부(10)의 바닥 리브(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라인이 융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융착부(16a, 16b)에는 융착면(10a)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조임돌출부(17a,17b)와 직경방향에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凹)(18a,1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는 1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융착부(16a)에 형성된 돌출부(17a), 오목부(18a)는 융착부(16b)에 형성된 오목부(18b), 돌출부(17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7a,17b)는 대응하는 오목부(18b, 18a)에 압입 감합되고, 따라서 융착부(16a,16b)는 융착과 동시에 이들의 감합에 의해 일체화 되어 바닥 리브(11)로 된다.
도면중 2a, 2b는 융착부(16a, 16b)의 외층이고, 3a, 3b는 융착부(16a, 16b)의 내층이다.
다음으로 도 6을 기초로 상기 용기를 정형하기 위한 블로우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우 금형(20)은 대향하는 2개의 분리금형(20a, 20b)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리금형에는 캐비티(21a, 21b)와 핀치-오프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치-오프부(22a, 22b)는 하방으로 수지흐름부(24a,24b)를 설치한 핀치-오프 나이프(23a, 23b)와, 단부(25a, 25b)와 핀(26a, 2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부(25a, 25b)는 핀치-오프 나이프(23a, 23b)의 캐비티쪽에 위치한다. 단부(25a, 25b)는 핀치-오프 나이프의 나이프 선단으로 부터 분리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용기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여 바닥 리브(11)의 용기 직경방향의 두꺼움을 형성한다. 핀(26a)과 핀(26b)는 교호로 배치된다.
상기 단부(25a)에 설치된 핀(26a)과 대향하는 단부(25b)에 설치된 핀(26b)은 교호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핀(26)의 선단은 원추받침대형(円錐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26) 선단부의 테이퍼각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선단부의 테이퍼 각을 작게하는 것에 의해 조임깊이를 깊게 할 수 있게된다.
상기 핀치-오프 나이프(23a, 23b)와 단부(25a, 25b)에 의해 용기의 바닥 리브(11)가 형성되고, 핀(26a,26b)에 의해 조임부(15)(돌출부 17a, 17b 및 오목부 18a, 18b)가 형성된다.
핀치-오프 나이프(23a, 23b)와 단부(25a, 25b)의 거리는 융착부를 형성하는 패리손의 높이보다 짧게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21a, 21b)의 저벽에는 분리라인을 따라 분리라인을 장경방향으로 하는 타원형상을 갖고 원 중심을 향할수록 용기 안쪽방향(상방)으로 팽융하는 타원통상 융기부(27a, 27b)가 설치되고 핀치-오프(23a, 23b)의 윗면은 아치형상으로 되어 있다.
금형의 재질로는 냉각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그러나 핀치-오프 주변부(28a, 28b)에는 열전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예를 들면 물 등의 냉매를 끊임없이 순환시키는 냉각로(도시하지 않음)는 타원상 융기부(27a, 27b)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6도에 도시된 상태의 금형에 패리손을 주입하고, 분리금형 20a와 20b를 근접시켜 밀착시킨다. 핀(26)에 의해 돌출부(17) 및 오목부(18)가 형성된다. 패리손의 직경 방향에 대항하는 패리손 벽이 금형의 밀착에 의해 융착하고, 단부(25)에 의해 바닥 리브(11)가 형성되고 핀치-오프 나이프(23)에 의해 패리손의 하단부분은 절단된다. 그 후 패리손내에 공기 주입구(도시하지 않음)에서 압축유체를 주입하고, 캐비티(21)에 의해 용기가 블로우 성형된다.
블로우 성형시에는 핀치-오프부(22)의 단부(25)에 의해 패리손이 압축되어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분리라인 주변의 용기 저벽을 두껍게 할 수 있게된다. 또한 금형의 융기부(27a,27b)에 의해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가 형성된다.
또한, 핀치-오프부의 단부(25)에 의해 얇은 바닥 리브(11)가 형성된다. 또한, 핀치-오프부의 핀(26)에 의해, 조임 돌출부(17)와 오목부(18)가 교호로 형성되어 강고한 바닥 리브(11)가 형성되는 것이다.
핀치-오프 주변부(28a, 28b)에는 열전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고, 순환로를 타원상 융기부(27a,27b)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 보다 제품의 취출시에는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 바닥 리브(11)의 주변에 부분적으로 열을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시수축에 의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 부분이 융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된다.
용기의 바닥 밀봉부(10)에 타원형상을 갖는 두꺼운 융기부(13)를 설치한 것에 의해 성형후의 경시수축을 분리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더욱이 금형의 핀치-오프부(22) 이외의 부분에는 열전도성에 의해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냉각회로에 의해 냉각하도록 하고, 성형품을 금형에서 꺼낸 후에도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 바닥 리브 주위에 부분적으로 열을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부분의 분리라인 방향의 경시수축을 일층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바닥 리브(11)의 두께를 얇게 하는것에 의해 분리라인 방향에의 수축이 약해지고, 융착부의 접착안정성이 향상된다.
분리라인을 따른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13)의 형상, 바닥 리브(11)의 형상을 상방으로 융기하는 아치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후의 경시변화에 의해 중앙부분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26)의 테이퍼각을 적게하고 바닥 리브(11)의 조임부(15) 융착면(10a)에서의 돌출 길이를 크게하는 것에 의해, 융착면에서 수직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응력이 강하게 된다.
조임부를 일곡선상에 1렬로 하였기 때문에 상하 2열로 할 때 보다도 조임부의 전단력에 대한 대항력이 강하게 된다.
이상의 작용이 종합되어 융착면의 접착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고, 원통형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의 대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원통형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층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내층에으로 나일론을 이용하고, 용량 500㎖의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를 압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하였다.
성형된 블로우 성형용기는 바닥부의 직경이 약 86㎜, 융착면의 폭이 약 52㎜이고, 바닥 밀봉부에는 장경 52㎜, 단경 20㎜의 타원평면에서 팽출하는 타원면에 근사한 곡면이고, 저벽면의 곡률을 약 300㎜로 한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가 형성되고, 그 저벽의 두께는 약 3㎜이다.
바닥 리브는 폭 2㎜이고, 조임부는 곡률이 246㎜의 원호선상에 4㎜의 간격을 두고 교호로 맞물리도록 배설되어 있다.
조임부의 오목부는 표면부로 직경 1.4mm, 바닥부 0.6mm, 깊이 1.5mm이다.
비교예로서 상기 특개평 8-216238호 기재의 타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를 제조하였다. 상기 타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는 저벽에 평면벽으로 형성되고, 바닥 리브는 직선상이고, 그 폭은 통상 약 3mm로 한다. 그리고, 조임부는 상하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는 동 정도 용량의 타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와 비교하여 동등한 바닥 밀봉부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층 또는 적층 원통형상의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태양은 용기 바닥부의 바닥 밀봉부의 구성을 단층 또는 적층 원통형상의 압출 블로우 성형 용기에 적용한 것이다.
통상 단층 또는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와 공기 도입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각 층이 박리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지만 용기 바닥 밀봉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금형을 이용하고, 통상의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일한 바닥 밀봉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7(a)에 단층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 밀봉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서, (30a), (30b)는 융착부, (31)은 융착면, (32)는 오목부, (33)은 조임돌출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밀봉부의 접착성을 강화한 것에 의해 소재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핀치-오프부에서 낙하 강도가 약한 재료나, 융착성이 약한 재료를 사용한 경우라도 바닥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대용량의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가 성형될 수 있게 된다.
도 7(b)에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 밀봉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40a),(40b)는 융착부, (41)은 융착면, (41a),(42b)는 외층, (43a),(43b)는 내층, (44)는 접착층, (45)는 오목부, (46)은 조임 돌출부이다.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의 외층(42)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보강재료층, 내층(43)에는 나일론, EVOH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기능재료층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 밀봉부의 접착성을 강화한 것에 의해 나일론 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라도 대용량의 원통형 적층 블로우 성형용기가 형성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 바닥 밀봉부의 융착면을 따라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형성하고, 성형직후의 경시수축을 분리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꾸도록 한다면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바닥 크랙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를 크게할 수 있게된다.
특히, 나일론 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를 내부 백으로 사용하는 원통형의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의 접착성 강화에 바람직하고, 원통형 용기의 대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특히 나일론 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를 내부 백으로 사용하는 원통형의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의 접착성을 개선하고 바닥 크랙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대형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 특히 대형 원통형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타원통형용기와 원통형 용기의 바닥 크랙 현상에 대하여 연구와 비교 실험을 거듭하여, 바닥 크랙 현상의 차이가 블로우 성형품의 성형직후 부터 경시수축에 의해 밀봉부의 접착력에 강약이 발생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의 성형후의 경시수축에 대해서 원통형 용기에서는 분리라인 방향(도 2중 X-X'선 방향)으로 수축하는 특성이 있지만 반대로 타원통형상의 용기에서는 분리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 2중 Y-Y'선 방향)으로 수축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블로우 성형용기는 바닥 밀봉부에 바닥 크랙 방지용 바닥 리브를 구비하고 있지만 원통형 용기에서는 수축 방향이 분리라인 방향이 되기 때문에 바닥 리브의 융착면이 넓게되고 타원통형상의 용기와 달리 바닥 크랙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원통형 블로우 성형용기에서 바닥부의 수축방향을 분리라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타원통 용기의 수축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하면 융착면의 접착성이 강화되고 바닥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되었다.
더욱이 타원통형 용기와 원통형용기의 바닥 크랙 현상에 대한 비교실험을 거듭하여 원통형 용기에서는 리브 폭이 작은 방법이 분리라인 방향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게되고, 바닥 크랙에 대해서 효과적인 것,
타원통형상의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는 바닥 리브의 조임부가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원통형상의 적층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는 조임부를 1단으로 배치한 방법이 바닥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
바닥 리브의 조임부를 형성하는 핀의 테이퍼각을 적게하고, 리브 폭 전체까지 길게하는 것에 의해 바닥의 융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
용기 바닥부의 형상, 바닥 리브의 형상을 아치형으로 하면, 경시변화에 의한 바닥부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 등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발견에 기초하여 원통형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 밀봉부를 따라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형성하고, 블로우 성형시 성형품 취출후의 경시수축을 이용하여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에 의해 수축 방향성을 변화시켜 타원통형 용기와 마찬가지로 분리라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경시수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블로우 금형에서는 핀치-오프(pinch-off)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냉각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냉각로도 핀치-오프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였다.
그것에 의해 성형품 취출 후에도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 및 바닥 리브 주변에 부분적으로 열을 유지시켜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 부분이 경시수축하도록 한다.
더욱이 바닥 밀봉부의 벽면, 바닥 리브의 형상을 아치형으로 하고, 바닥 리브의 높이(용기 축방향의 길이)를 작게하여 핀의 단차를 없애고, 조임부를 형성하는 핀의 테이퍼각을 적게하고, 리브 폭 전체까지 길게하는 등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게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원통형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또는 용기 입구부에 공기 도입공을 천공한 원통형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서 용기 바닥부 저벽의 바닥 밀봉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장경의 축선방향으로 하는 타원면에 근사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게다가 바닥 밀봉부에 아치상의 바닥 리브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바닥 밀봉부의 바닥 리브, 그 두께를 밀봉부 저벽의 두께에 거의 동일하게 하던가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하고 바닥 리브를 구성하는 각 융착부에 대향하는 융착부에 압입하는 조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가 바닥 리브의 중심선을 따라 교호로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원통형 용기의 압출 블로우 성형 금형에서 금형의 핀치-오프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따라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와 그 주변영역에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를 배설하여 성형품을 취출한 후에 용기에 형성된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에 부분적으로 열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Claims (5)

  1. 원통형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아치상의 바닥 리브를 형성한 용기 바닥부 저벽의 바닥 밀봉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장경(長徑)의 축선방향으로 하는 타원면에 근사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압출 블로우 성형용기.
  2. 용기입구부에 공기 도입공을 천공한 원통형의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용기 바닥부 저벽의 바닥 밀봉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장경의 축선방향으로 하는 타원면에 근사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적층 박리 블로우 성형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에 아치상의 바닥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용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바닥 밀봉부에 형성한 아치상의 바닥 리브의 두께를 밀봉부 저벽 두께에 거의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얇게하고, 바닥 리브를 구성하는 각 융착부에 대향하는 융착부에 압입하는 조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가 바닥 리브의 중심선을 따라 교호로 배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용기
  5. 원통형용기의 압출 블로우 성형 금형에 있어서, 금형의 핀치-오프부 주변에 분리라인을 따라 타원상 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원상 융기부와 그 주변 영역에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를 배설하고, 성형품 취출후 용기에 형성된 타원형의 두꺼운 융기부에 부분적으로 열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금형.
KR10-1998-0700323A 1996-05-30 1997-05-30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KR100466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58847 1996-05-30
JP15884796 199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20A KR19990029020A (ko) 1999-04-15
KR100466228B1 true KR100466228B1 (ko) 2005-06-22

Family

ID=1568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323A KR100466228B1 (ko) 1996-05-30 1997-05-30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39204A (ko)
EP (1) EP0865898B1 (ko)
JP (1) JP3936744B2 (ko)
KR (1) KR100466228B1 (ko)
CN (1) CN1064305C (ko)
AU (1) AU724022B2 (ko)
CA (1) CA2228400C (ko)
DE (1) DE69727123T2 (ko)
WO (1) WO1997045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26C (zh) 2000-10-05 2003-10-01 佳能株式会社 液体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用于液体容器制造方法的金属模具
JP2003226375A (ja) * 2002-01-31 2003-08-12 Yoshino Kogyosho Co Ltd 櫛付き塗布容器
JP4314423B2 (ja) * 2002-05-23 2009-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JP3919175B2 (ja) * 2002-05-23 2007-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US6786344B2 (en) 2002-06-10 2004-09-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aby bottle
US7150371B1 (en) * 2003-10-02 2006-12-19 Plastipak Packaging, Inc. Extrusion blow molded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US7370775B2 (en) 2003-12-22 2008-05-1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ressure base for plastic container
JP4549741B2 (ja) * 2004-05-31 2010-09-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ボトル
JP4535259B2 (ja) * 2004-09-30 2010-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US7464825B2 (en) 2004-12-01 2008-12-1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ressure resistant base
JP4822159B2 (ja) * 2006-10-31 2011-11-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US20080258356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comprising energy absorbing additives, and preform for making it
US20150266621A1 (en) 2007-04-19 2015-09-24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US20080257883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JP5267901B2 (ja) * 2007-06-29 2013-08-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ダイレクトブロー成形法による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5443733B2 (ja) * 2008-11-11 2014-03-19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ドラム
JP5602601B2 (ja) * 2010-11-30 2014-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ブロー成形用の金型
DE102012023172A1 (de) * 2012-11-28 2014-06-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Instationärer Behält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4157258A1 (ja)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KR101444204B1 (ko) * 2013-03-29 2014-09-29 주식회사 티제이에스 블로우 성형용기 제조용 금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블로우 성형용기
EP2823949A1 (de) * 2013-07-08 2015-01-14 ISP Technology AG Kunststoffverbindungsnaht, Kunststoffflasche mit Verbindungsnah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6553363B2 (ja) * 2015-01-30 2019-07-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737590B2 (ja) * 2015-12-09 2020-08-12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5112B2 (ja) * 2016-02-16 2020-08-05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672061B2 (ja) * 2016-04-28 2020-03-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959498B2 (ja) * 2017-01-26 2021-11-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CH713888A1 (de) * 2017-06-08 2018-12-14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PET-Barriere-Flasche.
JP6923788B2 (ja) * 2017-06-28 2021-08-2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7382698B2 (ja) * 2017-09-28 2023-11-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EP3733539A4 (en) * 2017-12-28 2021-11-03 Yoshino Kogyosho Co., Ltd. RESIN CONTAINER
JP7164802B2 (ja) * 2018-03-08 2022-11-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7352063B2 (ja) * 2018-08-31 2023-09-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
WO2019230525A1 (ja) * 2018-05-28 2019-12-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
JP7123691B2 (ja) * 2018-08-10 2022-08-23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底型及び底型を使用したガラス容器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122A (ja) * 1994-05-02 1995-11-14 Yoshino Kogyosho Co Ltd Petボトル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4041A (fr) * 1965-11-16 1966-07-22 Raffinage Cie Francaise Récipients en matière plastique hermétiquement fermés, procédé et machine pour les fabriquer
US3434626A (en) * 1966-08-01 1969-03-25 Phillips Petroleum Co Plastic container bottom of increased strength
US3761550A (en) * 1968-12-13 1973-09-25 Phillips Petroleum Co Internal heating of rotating parison
JPS58173627A (ja) * 1982-04-05 1983-10-12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容器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DE3442092A1 (de) * 1984-11-17 1986-05-28 Kautex Werke Reinold Hagen AG, 5300 Bon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it einer verschliessbaren oeffnung versehenen verpackun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verpackung
JPH0698980B2 (ja) * 1990-07-07 1994-12-07 東洋製罐株式会社 耐圧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590033B2 (ja) * 1991-09-20 1997-03-12 吉昌 田原 多層ブロー成形容器
US5269437A (en) * 1992-11-16 1993-12-14 Abbott Laboratories Retortable plastic containers
JPH0730012A (ja) * 1993-07-09 1995-01-31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3338867B2 (ja) * 1993-09-24 2002-10-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ラスチック容器とその製造用金型
JP3407292B2 (ja) * 1994-05-31 2003-05-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壜 体
JP3750158B2 (ja) * 1994-08-15 2006-03-01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22A (ja) * 1996-06-14 1998-01-06 Suruga Kk 衣服収納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122A (ja) * 1994-05-02 1995-11-14 Yoshino Kogyosho Co Ltd Petボト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7123T2 (de) 2004-11-18
US6039204A (en) 2000-03-21
AU2977197A (en) 1998-01-05
CN1193297A (zh) 1998-09-16
EP0865898A4 (en) 1999-01-20
CA2228400A1 (en) 1997-12-04
KR19990029020A (ko) 1999-04-15
AU724022B2 (en) 2000-09-07
CN1064305C (zh) 2001-04-11
EP0865898B1 (en) 2004-01-07
CA2228400C (en) 2006-05-02
WO1997045245A1 (fr) 1997-12-04
EP0865898A1 (en) 1998-09-23
DE69727123D1 (de) 2004-02-12
JP3936744B2 (ja)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228B1 (ko)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KR100295512B1 (ko) 블로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EP2468642B1 (en) Blow-molded container
CN1075021C (zh) 塑料接嘴焊入件
KR102570837B1 (ko) 적층박리용기
EP1449779B1 (en) Blow-moulded container
JPH1052855A (ja) 脆いウェブおよび固定ラグを有するハーメティックシール容器とそれ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0422436B1 (en) Plastic bottle with reinforced concave bottom
US4590028A (en) Process for making a multilayered parison of thermoplastic material
CA2116417A1 (en) Pack for flowable con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 of this kind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A121791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can bodies
JP3338867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とその製造用金型
JP3907186B2 (ja)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成形方法
JP4266492B2 (ja) アル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KR20020089395A (ko) 개선된 용기 및 이 용기의 형성 방법 및 장치
NL2030728B1 (en) A collapsible pouch provided with a pre-assembled closure assembly
JPH07300122A (ja) Petボトル容器
JPS62138226A (ja) 輸液用プラスチツク容器の製造方法
JPH02211161A (ja) 輸液バッグ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金型
JPH0431851B2 (ko)
MXPA99006450A (en) Plastic container with rear screw nozzle and method and apparatus to manufacture the 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