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378A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378A
KR20010105378A KR1020017011379A KR20017011379A KR20010105378A KR 20010105378 A KR20010105378 A KR 20010105378A KR 1020017011379 A KR1020017011379 A KR 1020017011379A KR 20017011379 A KR20017011379 A KR 20017011379A KR 20010105378 A KR20010105378 A KR 20010105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terminal
terminal conductor
circuit board
l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594B1 (ko
Inventor
가미조노도시히코
기노시타히로시
이시가메츠요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10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수의 신호선과 다수의 주사선을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한 액정 패널(1)의 주변 가장자리부 표면의 도체 상에, 출력부와 입력부가 이방 도전성 접착제(9)를 통해서 열압착으로 직접 접속된 액정 구동용 LSI(5와 6)를 장착하는 동시에, 액정 패널(1)의 주변 가장자리부의 단자 도체(1)와 회로 기판(12와 16) 사이를 액정 구동용 LSI(5와 6) 각각의 수에 대응하는 필름 점퍼 기판(10과 14)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설계 자유도가 높고 설계 변경이 용이하며, 부품 재료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불량의 액정 구동용 LSI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특정하여 리페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inspecting method}
근래, 액정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 저소비 전력, 박형 등이 더욱 진행되어, AV, OA 기기를 시작으로 하는 수많은 전기제품에 사용되고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나 모니터의 표시 장치로서도 사용되어 가고 있으며, 화면 사이즈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구동 LSI는 통상 반도체 칩의 상태에서 실장되고 있고, 그 방법에는 다종 다양한 형태가 있다. 보다 알려진 일반적인 것으로서,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법, COG(Chip On Glass) 공법 등이 있다.
TAB 공법(TAB 실장이라고도 한다)은 구동용 LSI 칩이 실장된 필름 회로 기판(Tape Carrier Package 생략하여 TCP라고도 한다)의 출력 단자를 액정 패널 기판에 접속하고, 입력 단자를 외부의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다. TAB 공법은 액정 표시 장치에 많이 이용되지만, 제품 외형(프레임)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COG 공법(COG 실장이라고도 한다)은 액정 패널 기판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배치한 도체와 칩 상태의 액정 구동 LSI의 입출력 단자(입출력 패드라도고 부른다)를 이방 도전성 접착제 등을 통해서 직접 접속하고, 액정 패널의 주변부에 구동용 LSI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액정 구동 LSI의 출력 단자는 액정 패널의 신호선, 주사선 등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는 액정 패널의 주변 가장자리부(최외 가장자리부인 경우가 많다)에 배치된 단자 도체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신호, 클록, 전원 전압 등의 구동용 LSI에 필요한 신호를 제어 신호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어 신호는 전송선(버스 라인이라고도 한다)을 배치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 FPC라고도 부른다)을 경유하여 상기 단자 도체에 입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 패널 상에 전송선을 형성하여 제어 신호를 구동 LSI에 전송하는 것 보다도 FPC를 경유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쪽이 전송선의 배선 저항이나 배선 스페이스의 확보의 점에서 유리한 경우가 많다. 이것은 폴리실리콘 TFT형이라고 불리는 주변 가장자리부에 구동 회로를 형성한 액정 패널에 대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COG 공법은 상기의 TAB 공법보다 제품 외형을 작게 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상기 종래의 COG 공법을 이용하여 구동 LSI를 실장한 액정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액정 패널(1)의 주변 가장자리부 표면에 배치된 도체 상에 이방 도전성 접착제(9)를 통해서 액정 구동 LSI(5와 6)의 출력부와 입력부가 접속되고,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도 동일하게 이방 도전성 접착제(9)를 통해서 접속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은 외부의 회로 기판(103)에 커넥터(104와 105)를 통해서 접속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 각각의 폭을 wy1과 wx1로 한다.
도 15에 이 액정 패널(1)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다. 신호선(3)과 주사선(4)의 교점(2)마다 화소가 배치된다. 액정 패널(1)의 화면 상에서 화소가 배치된 부분을 화상 표시 영역,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비화상 표시 영역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신호선을 구동하는 신호선 구동 LSI(5)와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LSI(6)를 구동 LSI라고 총칭한다. 액정 패널 기판의 최외 가장자리부에는 단자 도체(7, 8)(접속 단자라고도 부른다)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을 각각 신호선측 단자 도체, 주사선측 단자 도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은 각각 신호선측 단자 도체와 주사선측 단자 도체에 접속된다. 회로 기판(103)에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가 배치되어 있고, 프린트 회로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 16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 또는 102)의 배선과 액정 패널(1)의 단자 도체(208)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202)에 제어 신호 등의 전송선(버스 라인과)(200)이 배치되고, 신호선 또는 주사선 구동 LSI에 접속되는 단자 도체(208)에 대응한 접속 단자(220)가 배치되어 있다. pi1과 pi2는 인접하는 구동 LSI(206)의 단자 도체(208)간의 최근접 간격으로, 이후, LSI간 피치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구동 LSI를 사용하는 경우, LSI간의 피치는 다른 경우가 많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도체(210)에는 구동 LSI(206)의 입력 단자가 적어도 접속되지만, 그것에 더하여 액정 패널의 동작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이나 신호선 또는 주사선의 단선을 수복하기 위한 리페어 배선 등과 접속되는 단자 도체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사양의 변경에 따라서 구동 LSI를 변경한 경우, 혹은 구동 LSI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 등에는, LSI간 피치가 다르거나 단자 도체수가 다르기 때문에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재설계하여 대응한다.
도 14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은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이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도면은 생략하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프레임을 좁게 하기 위해, 액정 패널(1)의 단부에서 L자형 혹은 U자형으로 절곡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도 많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은 액정 패널(1)의 주변 가장자리부 표면의 도체 상에 이방 도전성 접착제(9)를 통해서 가열하여 실장한다. 가열하는 온도는 200℃ 근방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가열공정에서,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팽창 혹은 수축하고, 그 접속 단자간의 피치가 단자 도체간의 피치로부터 어긋나는 말하자면 피치 어긋남이 발생한다. 피치 어긋남이 커지면, 접속 단자와 단자 도체가 접속되지 않아서 실장 불량이 된다. 피치 어긋남을 작게 하는 대책으로서 접속 단자의 피치 치수에 온도 보정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폭(도 14의 wy1과 wx1)이 커질수록 고정밀도의 온도 보정이 필요하고 피치 치수에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 고 비용이 된다.
한편, 액정 패널(1)의 화면 사이즈 등의 사양이 변화하면,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102)의 사양(외형 치수 등)이나, 실장형태의 변경이 발생하여 재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최근과 같이 품종이 확대하면, 설계 변경은 큰 비용 부담이 된다.
또 구동 LSI 실장 후의 액정 패널(1)의 검사는 화상을 표시시켜서 눈으로 봐서 좋고 나쁨을 판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1개의 구동 LSI(5 또는 6)가 불량이면, 먼저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 혹은 102)을 떼어낸 후 불량 구동 LSI를 교환하고, 그 후 새로운 플랙시블 회로 기판(101 혹은 102)을 재실장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비용이 높다.
또, 구동 LSI(5 또는 6)가 다수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동 LSI간의 동작의 연휴(連携)를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시프트 신호가 구동 LSI간을 순서대로 전송된다. 만약, 불량 구동 LSI가 있으면, 이후의 구동 LSI에 데이터 시프트 신호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구동 LSI의 불량 판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처음에 발견된 구동 LSI를 교환한 후 다시 검사를 반복할 필요가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장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나 구동 LSI를 떼어내어 새로운 플랙시블 회로 기판, 구동용 LSI를 재실장하는 것을 리페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액정 패널의 화면 사이즈나 실장 형태의 다양화, 특히 액정 패널의 대화면화에 대해서 설계 자유도가 높고, 용이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불량한 구동용 LSI를 단시간에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고, 구동 LSI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리페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부재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저비용이며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 기기나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유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특히, 그 실장과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2A, 2B는 필름 점퍼 기판에 형성된 점퍼선과 그 접속 단자와 단자 도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3B는 도 2A, 2B에서 도시하는 것 이외의 필름 점퍼 기판에 형성된 배선 패턴의 대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필름 점퍼 기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액정 패널과 회로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8B는 회로 기판의 배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과 그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과 그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구동용 LSI의 캐스케이드 동작과 독립한 동작의 전환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필름 점퍼 배선과 액정 패널의 가압 접속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15는 액정 패널의 개략 구성도,
도 16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배선과 단자 도체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다수의 신호선과 다수의 주사선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에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신호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신호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1 단자 도체와, 주사선 구동 LSI와, 상기 주사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주사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2 단자 도체를 구비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를 구동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제2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LSI에 접속된 단자 도체와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선과 소정수의 더미선을 구비한 필름 점퍼 기판(각각 FY 및 FX라고 부른다)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설계 변경이 용이하고, 설계 자유도가 높고, 저항 스트라이크로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신호선 구동 LSI와 FY는 수가 같고, 1개의 신호선 구동 LSI에 1개의 FY가 대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과, 주사선 구동 LSI와 FX는 수가 같고, 1개의 주사선 구동 LSI에 1개의 FX가 대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서 적어도 1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동 LSI의 리페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FX 및 FY의 적어도 한쪽은 점퍼선간을 연결하는 다층 배선이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필름 점퍼 기판의 한쪽의 접속 단자를 다른 쪽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 FY 및 FX의 적어도 한쪽은 회로 기판에 이방 도전성 접착제로 열압착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FY는 제1 단자 도체가 배치된 액정 패널의 단면을 따라서 표면에서 안쪽면으로 절곡하여 배치되는 것과, FX는 제2 단자 도체가 배치된 액정 패널의 단면을 따라서 표면에서 안쪽면으로 절곡하여 배치되는 것에서 적어도 1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좁은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FY는 회로 기판과 제1 단자 도체에 접속되고, 1장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한쪽의 접속 단자를 제2 단자 도체와 열압착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과, FX는 회로 기판과 제2 단자 도체에 접속되고, 1장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한쪽의 접속 단자를 제1 단자 도체와 열압착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서 어느 1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액정 표시 장치를 좁은 프레임으로 간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은 다수의 신호선과 다수의 주사선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에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신호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신호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1 단자 도체와, 주사선 구동 LSI와, 상기 주사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주사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2 단자 도체를 구비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를 구동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다수의 제어 신호선과 그 양단에 설치된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선의 한쪽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제2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LSI에 접속된 단자 도체가 접속되어 필름 점퍼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다수의 다른 쪽의 접속 단자를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선과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것과, (b)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다수의 다른 쪽의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단자 도체를 가압 접속에 의해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것 중 적어도 1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불량 구동 LSI 및 필름 점퍼 기판의 실장 불량을 바로 발견할 수 있고, 리페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동 LSI의 동작을 캐스케이드 동작과 단독 접속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불량 구동 LSI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4 내지 도 16의 종래예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액정 패널(1)은 도 1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선측 필름 점퍼 기판(10) 및 주사선측 필름 점퍼 기판(14)을 필름 점퍼 기판(F)이라고 총칭하고,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각각 FY, FX라고 표기한다. 필름 점퍼 기판은 필름 기판의 양단에 각각 다수의 접속 단자와, 양단의 각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다수의 점퍼선을 구비한다. 필름에는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수지가 자주 이용된다.
제어 신호(C)의 전송선이 배치된 회로 기판은 신호선측 회로 기판(12)과 주사선측 회로 기판(16)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어 신호는 커넥터(13)로부터 신호선측 회로 기판(12)에 입력되고, 커넥터(17, 18)와 양 커넥터를 연결하는 접속 케이블(19)을 통해서 주사선측 회로 기판(16)으로도 전송된다. 또한, 커넥터(17 또는/및 18)를 사용하지 않고 접속 케이블(19)을 납땜 등으로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구동용 LSI(5와 6)는 액정 패널(1)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실장된다. FY와 FX의 접속 단자의 한쪽은 각각 신호측과 주사측의 회로 기판(12와 16)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액정 패널(1)의 단자 도체(7과 8)(도 15)에 접속된다. 전원 전압, 데이터 신호, 클록, 전원 전압 등의 제어 신호는 회로 기판(12, 16)의 전송선을 경유하여 FY와 FX에 의해서 구동 LSI에 입력된다. wy와 wx는 각각 FY와 FX의 폭으로 한다. 또한, 각 구동 LSI에 대해서 배치되는 단자 도체의 피치는 통상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t로 일정하다. 단, 구동 LSI간 피치(pi1, pi2) 등은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도 16 참조).
도 2A와 2B는 필름 점퍼 기판(F)에 형성된 점퍼선(220)의 접속 단자(218)와 액정 패널의 단자 도체(208)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자 도체(208)는 신호 단자(1∼n)와 단자(P)로 이루어진다. 신호 단자(1∼n)는 구동 LSI(106)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단자(P)는 액정 패널(1)의 공통 전극, 단선(斷線)이 된 신호선 또는 주사선을 수복하기 위해 배선되는 리페어선 등에 접속되는 단자, 혹은 어느 것에도 접속되지 않는 더미 단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구동 LSI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단자 도체가 수가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도 16 참조). 예를 들면 단자(P)의 수가 다른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한 종류의 FY 또는 FX에서는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액정 패널의 사양이 달라서 구동 LSI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한 종류의 FY 또는 FX에서는 대응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점퍼선을 제어 신호선과 더미선으로 구성하면, 각 구동 LSI에 대응하는 단자 도체수가 달라도 FY와 FX는 각각을 한 종류씩 대응할 수 있다.
도 2A에는 신호 입력 단자수 n개의 구동 LSI(206)에 대응하여 배치된 단자 도체(208)와 필름 점퍼 기판(F)을 도시한다. 단자 도체(208)는 n개의 신호 단자와 4개의 단자(P)로 이루어지고, 점퍼선(220)은 n개의 제어 신호선과 10개의 더미선으로 이루어진다. 단자 도체(208)는 n+4개이기 때문에, 6개의 점퍼선(220)은 접속되지 않는다.
도 2B에는 신호 입력 단자수 n+1개의 구동 LSI(206)에 대응하여 배치된 단자 도체(208)와 필름 점퍼 기판(F)을 도시한다. 단자 도체(208)의 수는 n+5이다. 10개의 더미선으로부터 1개를 제어 신호선으로 하면 좋고, 필름 점퍼 기판은 도 2A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은 생략하지만 각 구동 LSI(206)간에서 단자(P)의 개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점퍼 기판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 구동 LSI와 주사선 구동 LSI에 필요한 제어 신호선의 수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신호선 구동 LSI의 제어 신호수는 주사선 구동 LSI보다 많다.
필름 점퍼 기판(F)의 한쪽의 접속 단자(218)와 액정 패널(1)의 단자 도체(208)는 이방 도전성 접착제(9)를 통해서 200℃ 근방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열압착된다. 필름 점퍼 기판(F)의 다른 쪽의 접속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 혹은 열압착으로 접속된다.
필름 점퍼 기판(F)의 폭(wy와 wx)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폭(wy1과 wx1)(도 14 참조)보다 작기 때문에, 열팽창 혹은 열수축에 의한 피치 어긋남의 영향이 작아진다. 도 1과 같이, 1개의 구동 LSI(5)에 1개의 FY, 1개의 구동 LSI(206)에 1개의 FX를 배치하면, 피치 어긋남은 더욱 작아진다.
도 2A에 도시하는 예 이외의 필름 점퍼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의 대표예를 도 3A, 3B에 도시한다. ① 일단(218)과 타단(219) 각각의 접속 단자간의 피치가 다른 경우, ② 인접하는 접속 단자간끼리를 1개의 점퍼선(a)으로 연결하는 경우(도 3A), ③ 양단의 접속 단자(218, 219)간을 점퍼선으로 연결하지 않는 경우(도 3A에 도시하는 b)로서, ①과 ②와 ③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의 대표예를 도 3A에 도시한다. 물론, ①과 ②와 ③에서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배선 패턴이어도 좋다.
도 3B는 필름 점퍼 기판의 양면에 배선 패턴을 형성한 대표예이다. 한쪽 면에 점퍼선이, 다른 쪽 면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배선이 형성되고, 스루홀(T)에서 양면의 배선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다층 배선(도면은 2층이다)을 필름 점퍼 기판에 형성하면, 도 3B에서는 n1>n2가 되도록 한쪽의 접속 단자수를 다른 쪽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이 필름 점퍼 기판은 1개의 구동 LSI에 배치되는 단자 도체의 다수에 동일 전압이나 동일 신호를 가하는 경우에 대단히 유효하다.
액정 패널(1)에 배치된 단자 도체의 피치를 1cpt(도시하지 않음)로 한다. 항상 1cpt=pt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pt의 열팽창·수축은 큰 것에 대해서 1cpt의 열팽창·수축은 무시할 수 있다. 열압착 등에 의해 pt가 변화하여 1cpt에 대해서 어긋남이 발생한다. 1ctp-tp=△을 피치 어긋남이라고 하고, 당연하지만 높은 치수 정밀도라는 것은 피치 어긋남이 작은 것이다(플렉시블 회로 기판(101, 102)도 동일). 필름 점퍼 기판의 접속 단자 폭 이상의 피치 어긋남은 접속 불량이 된다.
FY, FX의 열팽창·수축 계수를 kt[㎜/℃]로 하고, 온도를 T, FY, FX의 폭을 w로 하면, 식 1에서 FY, FX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열팽창·수축량이 나타난다.
열팽창·수축량=kt×T×w (1)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 102)의 열팽창·수축량도 식 1로 나타내기 때문에, FY와 플렉시블 회로 기판(101)과 열팽창·수축량의 비를 Ry, FX와 플렉시블 회로 기판(102)과 열팽창·수축의 비를 Rx로 하면, Ry, Rx는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Ry=wy/w1, Rx=wx/w2 (2)
wy<w1, wx<w2이기 때문에 FY와 FX의 피치 어긋남은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 점퍼 기판의 폭을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폭의 1/10으로 하면, 열팽창·수축량도 1/10이 된다. 따라서, 치수 정밀도는 높아지고, 피치 어긋남이 최소가 되는 온도 보정을 결정하는 데에 시험 작업을 반복할 필요도 없다.
또, 도 1과 같이, 1개의 필름 점퍼 기판에 1개의 구동 LSI를 대응시키면, 불량 구동 LSI의 리페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점퍼 기판을 사양이 다른 액정 표시 장치간에 공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후술하는 구동 LSI에 1대 1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시키고, 필름 점퍼 기판은 저비용의 간이한 펀칭 금형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배선 패턴은 단순하다(도 2 참조).
이상과 같이, 필름 점퍼 기판을 이용하면, 설계 변경이 용이하고, 설계 자유도가 높고, 저비용이며,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회로 기판을 신호선측 회로 기판(12)과 주사선측 회로 기판(16)으로 분할하고 있지만, 1개의 회로 기판으로 한 구성이어도 좋다. 각 회로 기판(12, 16)과 FY 혹은 FX와의 접속에는 일반적인 납땜 공정도 가능하지만, 이방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열압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유는 필름 점퍼 기판의 폭이 종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이방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열압착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구동 LSI와 1대 1로 대응한 필름 점퍼 기판을 배치하지 않고, 도면은 생략하지만, 1개의 구동용 LSI에 대해서 다수의 필름 점퍼 기판을 대응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구동 LSI의 입력 단자수(50 이상의 것도 있다)가 많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 1개의 필름 점퍼 기판을 2개의 구동용 LSI의 입력 단자에 걸치는 것 같은, 예를 들면, 제1 구동용 LSI의 신호 입력 단자 n1개와, 제2 구동 LSI의 신호 입력 단자 n2개에 걸쳐서 배치되는 경우 등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액정 패널(1)의 신호선 혹은 주사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액정 패널(1)의 안쪽면에는 백라이트 유닛(20)이 설치되고, 백라이트 유닛(20)에는 회로 기판(202)이 설치된다. 필름 점퍼 기판(F)을 액정 패널(1)의 단면을 따라서 절곡하고, 액정 패널(1)과 회로 기판(202)을 접속한다. 도 4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좁은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한 것이다. 그것 이외에는도 1과 동일하다.
필름 점퍼 기판(F)은 종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보다 저비용으로 할 수 있고, 폭이 작기 때문에 유연하고 절곡하기 쉽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좁은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측선 및 주사선측 필름 점퍼 기판을 함께 절곡하지만, 어느 하나만을 절곡한 구성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3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요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신호선측 회로 기판과 주사선측 회로 기판을 일체화한 회로 기판(23)과 액정 패널(1)의 신호선측 단자 도체를 FY로 접속한다. 1장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22)의 한쪽의 접속 단자를 액정 패널(1)의 주사선측 단자 도체와 열압착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18)에 의해 회로 기판(23)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22)은 도 14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동일한 것이다.
물론, 역으로 회로 기판(23)과 주사선측 단자 도체를 FX로 접속하고, 신호선측 단자 도체에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실장하여,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을 커넥터를 통해서 실장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나 전원 회로를 회로 기판(23)에 탑재하면 좋다.
도 2와 동일하게, 필름 점퍼 기판과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절곡하여 좁은 프레임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하는 구동 LSI가 적은(2∼3개 정도) 소형의 액정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23)과 회로 기판(22)의 접속이 커넥터를 통하기 때문에, 회로 기판(22)과의 탈착이 간이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이 간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도 6A, 6B에 일례를 도시하는 필름 점퍼 기판(F)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6A, 6B에서, lw, lw1, lw2는 접속 단자의 폭, pt, pt1, pt2는 접속 단자간의 피치, l은 필름 기판의 길이, w, w1, w2는 필름 점퍼 기판의 폭이다. 또한, 230은 필름 점퍼 기판의 양단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나타낸다.
도 6A에는 양단의 접속 단자간의 피치가 pt인 필름 점퍼 기판(F)을 도시한다. 도6A의 필름 점퍼 기판(F)은 양단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230)간의 각 중심선이 서로 일치한다. 즉, 양단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230)는 중심선(240)에 관해서 서로 대칭이다. 중심선(240)으로부터 최외측의 접속 단자(230) 중심까지의 거리를 1c로 하고 있다.
도 6B에는 한쪽 단에 배치된 접속 단자(218)간의 피치가 pt1, 다른 쪽 단에 배치된 접속 단자(219)간의 피치가 pt2인 필름 점퍼 기판(F)을 나타낸다. 도 6B의 필름 점퍼 기판은 한쪽 단에 있는 양 외측의 접속 단자(230)간의 중심과, 다른 쪽 단에 있는 양 외측의 접속 단자(230)간의 중심선은 서로 일치한다. 즉, 양단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230)는 중심선(240)에 관해서 서로 대칭이다. 중심선에서 최외측의 접속 단자 중심까지의 거리를 lc1, lc2로 한다. 도 6A, 6B와 같은 필름 점퍼 기판을 이것 이외, 중심선 일치 대칭형의 필름 점퍼 기판(F(FY, FX))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중심선 일치 대칭형의 필름 점퍼 기판을 이용하면, 필름 점퍼 기판을 접속하는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 배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합리화 설계에 기여한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 7과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액정 패널과 회로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신호선(2)의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주사선(3)의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액정 패널(1)의 네변을 Xl단, Xr단, Yu단, Yd단으로 한다.
Yu단과 Yd단에 면하여 배치되는 최외측(Xl단과 Xr단에 가장 가깝다)의 신호선측 단자 도체를 40a, 40b, 41a, 41b로 한다. 동일하게, Xl단과 Xr단에 면하여 배치되는 최외측(Yu단과 Yd단에 가장 가깝다)의 주사선측 단자 도체를 60a, 60b, 61a, 61b로 한다.
또한, 신호선측 단자 도체와 주사선측 단자 도체는 각각 한쪽 변에 면에만 배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도 7에서는 일반화하기 위해 네변에 단자 도체를 배치하며, FY와 FX는 생략한다.
40a와 40b 사이의 중심선을 Y중심선(cy1), 41a와 41b 사이의 중심선을 Y중심선(cy2), 60a와 60n 사이의 중심선을 X중심선(cx1), 61a와 61b 사이의 중심선을 X중심선(cx2)으로 한다. Yu단에 면하는 단자 도체는 Y중심선(cy1)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고, Yd단에 면하는 단자 도체는 Y중심선(cy2)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동일하게, Xl단에 면하는 단자 도체는 X중심선(cx1)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고, Xr단에 면하는 단자 도체는 X중심선(cx2)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Y중심선(cy1)에서 40a 중심 및 40b 중심까지의 길이와 Y중심선(cy2)에서 41a 중심 및 41b 중심까지의 길이를 ly1으로 하고, X중심선(cx1)에서 60a 중심 및 60b 중심까지의 길이와 X 중심선(cx2)에서 61a 중심 및 61b 중심까지의 길이를 lx1으로 한다. Y중심선(cy1과 cy2) 혹은 X중심선(cx1과 cx2)은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 도체를 배치하면, 단자 도체가 반대측에 배치되는 액정 패널에 대해서도 액정 표시 장치의 설계 변경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신호선측 회로 기판(12)에는 40a와 40b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50과 51)가 배치되고, 주사선측 회로 기판(16)에는 60a와 60b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70과 71)가 배치된다. xa, xb, ya 및 yb는 접속 케이블용 커넥터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Y중심선(cy1)에 관해서 대칭인 위치에 50, 51, ya, yb가 배치되고, X중심선(cx1)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70, 71, xa, xb가 배치된다.
도 8A, 8B에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전송선의 일례를 도시한다. IC1, IC2, …, ICk는 k개의 구동 LSI, 80은 회로 기판, 81, 82는 제어 신호 입력 단자(기판간 접속 단자이어도 좋다), 83은 접속 단자, 85는 필름 점퍼 기판, 84와 85는 위치 마크이고, RL은 시프트 신호, Din은 입력 시프트 데이터 신호, Dout는 출력 시프트 데이터 신호로 한다. 도 8A와 8B는 단자 도체를 반대측에 배치한 경우의 회로 기판(도 7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12, 16)을 나타낸다.
도 8A는 Yd단과 대면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있고 Din을 제외한 제어 신호는 각 구동 LSI에 나란히 입력되고, Din은 최초의 구동 LSI(도 8의 IC1)에 입력되며, IC2 이후의 구동 LSI에는 전단의 구동 LSI의 출력 시프트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접속 단자(82)에 ICk의 출력 시프트 데이터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구동 LSI의 접속을 캐스케이드 접속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반대측(Yu단)에 단자 도체가 배치된 경우인 도 8B는 시프트 방향이 역이 되고, Din은 ICk에 입력되며, IC1에서 Dout가 출력된다. 구동 LSI에는 시프트 방향을 반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RL이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키는 신호이다. 따라서, 회로 기판(80)에는 단자(81과 82)를 구비하면, 구동 LSI를 반대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단자(81 또는 82) 중 어느 하나로 하고, 그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IC1과 ICk의 Din 단자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단자 도체가 반대측에 배치되어도, 동일 회로 기판을 이용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부재의 공용화, 합리화 설계에 기여한다. 신호선 또는 주사선의 양단 구동에서는 특별히 유효하다.
또한, 81과 82를 도 7에 도시하는 Xa, Xb의 위치 또는 ya, yb의 위치에 배치하면, 기판간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중심선 일치 대칭형의 필름 기판을 이용하면,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합리적인 설계에 기여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 8A, 8B는 회로 기판을 신호선측과 주사선측으로 분할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일체화한 회로 기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는 말할 필요도 없다.
(제6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다수의 구동 LSI에 1장의 필름 점퍼 기판을 배치한 일례로 하고, 3개의 신호선 구동 LSI에 1장의 필름 점퍼 기판(10)을 배치하고, 2개의 주사선 구동 LSI에 1장의 필름 점퍼 기판(14)을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것 이외에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9와 같이, 다수의 구동 LSI에 1장의 필름 점퍼 기판을 배치한 구성은 대화면 사이즈 액정 패널과 같은 다수의 구동 LSI를 사용하는 경우, 대단히 유효하다. 주사선 구동 LSI는 많아도 4∼5개 정도의 수이지만, 신호선 구동 LSI는 10개수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1대 1 대응의 필름 점퍼 기판의 폭보다 상기 다수 대응은 커지기 때문에, 피치 어긋남의 점에서 다소 불리하지만, 식 1과 2에서 구해지는 열팽창·수축에 의한 피치 어긋남을 소정 내로 하면, 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살릴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비용 저감으로 연결할 수 있다. 소정 내의 피치 어긋남은 필름 점퍼 기판의 접속 단자 폭 미만을 가리킨다.
(제7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신호선측 회로 기판(12)을 2분할한 12a와 12b로 구성하고, 분할 기판간 접속 케이블(24)에서 분할 기판을 접속하는 것으로, 그것 이외에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10은 신호선측 회로 기판을 분할한 구성으로 하는 일례로서, 신호선측 회로기판을 3이상으로 분할해도 좋고, 또한 주사선측 회로 기판을 다수개로 분할해도 좋다.
실시형태 7의 구성은 회로 기판의 열팽창·수축을 작게 할 수 있고, 치수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대화면 사이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유효하다.
(제8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은 회로 기판(12, 16) 각각에 커넥터(11과 15)를 실장하고, FY와 FX를 회로 기판(12, 16)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검사에 적합한 화상을 표시시켜서 액정 표시 장치의 합격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액정 패널(1)과 FY와 FX는 열압착 등으로 실장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도 1에 커넥터(11과 15)를 더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기 때문에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점퍼 기판(10, 14)과 회로 기판(12, 16)의 접속에 커넥터(11, 15)를 사용하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고, 불량 구동 LSI나 필름 점퍼 기판의 실장 불량을 발견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리페어할 수 있다.
도 12 중 Vdd는 전원 전압, Ck는 클록 신호, GND는 접지를 나타내는 신호로 제어 신호의 일부이다. Din과 Dout는 도 8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스위치(SW)에서 각 구동 LSI를 캐스케이드 접속과 단독 접속으로 전환한다. 단독 접속이라는 것은 각 구동 LSI 각각에 시프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구동 LSI에서, 캐스케이드 접속에서의 동작을 캐스케이드 동작이라 하고, 단독 접속에서의 동작을 단독 동작이라고 말한다.
캐스케이드 접속에서는 중간에 있는 구동용 LSI의 고장 혹은 실장 불량에 의해, Dout가 출력되지 않게 된 경우, 이후의 구동용 LSI는 모두 동작하지 않게 되고, 불량의 구동용 LSI를 특정하는 데에 시간을 요한다.
이와 같은 불량의 특정은 캐스케이드 접속에서 단독 접속으로 전환하고, 개별적으로 입력 시프트 데이터 Din을 구동 LSI에 입력하고, 각 구동 LSI를 독립한 동작으로 하여 검사하면 좋다.
회로 기판(12와 16)에 도 12의 회로를 더한 검사 전용 회로 기판으로 하면, 필요에 따라서 SW를 전환하여 불량 개소의 발견(특히 불량인 구동용 LSI와 필름 점퍼 기판의 특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은 검사 방법의 일례이고, 이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도 13에는 FY, FX를 액정 패널(1)의 단자 도체(21)에 정확하게 위치를 맞추고, 균등 가압 지그(30)를 가압력(W)으로 가압하여 FY, FX와 단자 도체를 일정한 시간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31은 가압 범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필름 점퍼 기판과 단자 도체를 가압하여 도통시키는 접속을 가압 접속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정 시간이라는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에 필요한 시간으로, 통상 수분 이내이지만, 초기 불량을 확인하는 에이징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24∼48 시간 정도의 가압 접속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균등 가압 지그(30)는 각 단자 도체나 접속 단자에 균등하게 압력을 가하고,각 접속부의 도통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고, 탄성체의 가압편으로 구성된다. 31은 검사대이다.
필름 점퍼 기판과 단자 도체를 가압 접속으로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경우에는, 필름 점퍼 기판의 한쪽의 접속 단자는 회로 기판(12 또는 15)에 커넥터나 납땜에 의해서 접속하여 장착되고 있다. 이 검사 방법을 이용하면, 필름 점퍼 기판을 액정 패널에 열압착 등으로 실장하기 전에 구동 LSI와 액정 패널의 양쪽을 검사할 수 있고, 불량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필름 점퍼 기판이 열압착 등으로 액정 패널(1)에 실장된 상태로 한 후, 필름 점퍼 기판과 회로 기판을 가압 접속하여 검사하는 방법이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에는, 액정 패널과 구동 LSI와 필름 점퍼 기판에 대해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LSI와 필름 점퍼 기판을 1대 1로 대응시키면, 필름 점퍼 기판의 교환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따르면,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고, 또한 구동용 LSI나 필름 점퍼 기판의 리페어가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도 11의 커넥터(11과 15)를 도 1,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해도 좋다. FY에 대해서만, 또는 FX에 대해서만 혹은 양쪽에 커넥터를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도면은 생략한다), 회로 기판과 필름 점퍼 기판의 착탈을 대단히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 3 내지 7은 구동 LSI를 COG 실장한 액정 패널(1)로서 설명을 하였다. 이것은 설명을 간명하게 하기 위해 COG 실장을 일례로 한 것으로서, 액정 패널(1)의 화상 표시 영역 이외에 구동 회로를 형성, 배치한 폴리실리콘 TFT형이라고 불리는 액정 패널이어도 좋다. 또, 액정 패널은 화소에 스위칭 소자를 형성한 TFT형뿐만 아니라,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지 않은 단순 매트릭스형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첨가해 둔다.
이상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패널의 화면 사이즈나 실장 형태의 다양화, 특히 액정 패널의 대화면화에 대해서, 피치 어긋남을 실용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것, 설계 자유도가 높고 용이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사용 부재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 불량 구동 LSI나 필름 점퍼 기판의 실장 불량을 특정하여 단시간에 검사하고, 구동 LSI 혹은 필름 점퍼 기판의 리페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프레임의 소형화, 저비용화와 고신뢰성에 기여한다고 하는 효과를 이룬다.

Claims (15)

  1. 다수의 신호선과 다수의 주사선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에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신호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신호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1 단자 도체와, 주사선 구동 LSI와, 상기 주사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주사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2 단자 도체를 구비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를 구동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제2 단자 도체에 접속된 주사선 구동 LSI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LSI에 접속된 단자 도체와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선과 소정수의 더미선을 구비한 필름 점퍼 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a) 상기 신호선 구동 LSI의 수와,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수는 동일하거나,
    (b) 상기 주사선 구동 LSI의 수와, 상기 제2 단자 도체와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수는 동일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고, 상기 각 구동 LSI마다 1개의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 중 적어도 1개에는 상기 점퍼선간을 연결하는 다층 배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 중 적어도 1개는 (a)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나, (b)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 중 적어도 1개나, 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이방 도전성 접착제로 열압착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은, (a) 상기 제1 단자 도체가 배치된 측의 상기 액정 패널의 단면을 따라서 표면에서 안쪽으로 절곡하여 배치되어 있거나, (b) 상기 제2 단자 도체가 배치된 측의 상기 액정 패널의 단면을 따라서 표면에서 안쪽면으로 절곡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적어도 1장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한쪽의 접속 단자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 중 적어도 한쪽에 열압착으로 접속하고,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다른 쪽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와 접속하고, 상기 플렉시블 회로 기판과 접속되지 않는 상기 액정 패널의 단자 도체와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는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일단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간의 중심선은 타단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간의 중심선에 일치하고,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양단의 접속 단자는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일단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간의 중심선은 타단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간의 중심선에 일치하고,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양단의 접속 단자는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최초와 최후의 상기 제1 단자 도체간의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간의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주사선 구동 LSI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개의 구동 LSI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구동 LSI에 대응하여 1개의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다수의 신호선과 다수의 주사선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에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신호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신호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1 단자 도체와, 주사선 구동 LSI와, 상기 주사선 구동 LSI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주사선의 각각과 접속된 제2 단자 도체를 구비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와 상기 제2 단자 도체를 구동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다수의 제어 신호선과 그 양단에 설치된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선의 한쪽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는 (1)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제1 단자 도체에 접속된 신호선 구동 LSI와 상기 제2 단자 도체에 접속된 주사선 구동 LSI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LSI에 접속된 상기 단자 도체, 또는 (2)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필름 점퍼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를 (i)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접속 단자, 또는 (ii) 상기 구동 LSI에 접속된 상기 단자 도체에 배치된 커넥터를 통해서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것,
    (b)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와, (i)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접속 단자, 또는 (ii) 상기 구동 LSI에 접속된 상기 단자 도체를 가압하여 접속시킴으로써 도통시켜서 검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LSI의 동작을 캐스케이드 동작과 단독 접속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점퍼 기판의 수와 상기 구동용 LSI의 수는 동일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KR10-2001-7011379A 1999-03-08 2000-03-07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0397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60064 1999-03-08
JP6006499 1999-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378A true KR20010105378A (ko) 2001-11-28
KR100397594B1 KR100397594B1 (ko) 2003-09-13

Family

ID=1313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379A KR100397594B1 (ko) 1999-03-08 2000-03-07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07795B1 (ko)
EP (1) EP1168053A4 (ko)
JP (1) JP3926986B2 (ko)
KR (1) KR100397594B1 (ko)
CN (1) CN1181383C (ko)
TW (1) TW518547B (ko)
WO (1) WO2000054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97B1 (ko) * 2004-04-29 2012-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선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381498B2 (ja) * 1999-02-16 2009-12-09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Cog構造の液晶表示装置
JP2002148280A (ja) * 2000-11-08 2002-05-22 Soushiyou Tec:Kk 検査用プローブブロックの並列搭載ユニット
JP4884586B2 (ja) * 2000-12-18 2012-02-2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TW558916B (en) * 2001-08-13 2003-10-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of
JP2003295218A (ja) * 2002-04-04 2003-10-15 Advanced Display Inc 表示装置
KR100900537B1 (ko) * 2002-08-23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그 검사 방법 및 제조 방법
CN100374941C (zh) * 2003-04-07 2008-03-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画素结构
JP4202300B2 (ja) * 2004-06-24 2008-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2006011286A (ja) * 2004-06-29 2006-01-12 Canon Inc 駆動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6098536A (ja) * 2004-09-28 2006-04-1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60085749A (ko) * 2005-01-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4055787B2 (ja) * 2005-04-26 2008-03-05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701069B2 (ja) * 2005-10-21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一体型位置検出装置
CN100451749C (zh) * 2005-10-31 2009-01-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线路结构
TW200737109A (en) * 2006-03-30 2007-10-01 Au Optronics Corp Display module
WO2008015738A1 (fr) * 2006-08-01 2008-02-07 Shimadzu Corporation Dispositif d'inspection et de réparation de substrat et système d'évaluation de substrat
KR20080033564A (ko) * 2006-10-12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JP2008111921A (ja) * 2006-10-30 2008-05-15 Renesas Technology Corp 表示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KR100916911B1 (ko) * 2008-01-18 2009-09-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07414B1 (ko) * 2008-01-18 2009-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4735670B2 (ja) * 2008-06-11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10015114A (ja) * 2008-07-07 2010-01-21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
JP5339274B2 (ja) * 2008-09-03 2013-1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005113B2 (ja) * 2009-04-15 2012-08-2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内視鏡
JP5395640B2 (ja) * 2009-11-27 2014-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板及び携帯端末装置
TWI420189B (zh) * 2010-05-10 2013-12-21 Innolux Corp 液晶顯示裝置
TWI457878B (zh) * 2010-07-15 2014-10-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與用於顯示裝置的修補方法
CN103296489B (zh) * 2012-04-13 2015-08-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连接装置、平板装置、图像传感器、显示器及触摸设备
WO2014080604A1 (ja) * 2012-11-22 2014-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6147533B2 (ja) * 2013-03-22 2017-06-14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216302B2 (en) * 2014-07-22 2019-02-26 Synaptics Incorporated Routing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input sensing device
KR102251231B1 (ko) 2014-09-16 2021-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38148A (ko) * 2014-09-29 2016-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6528272B2 (ja) * 2015-04-22 2019-06-12 Tianma Japan株式会社 接続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6298862A (zh) * 2016-10-31 2017-01-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模组
KR20190083014A (ko) * 2018-01-02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66490B (zh) * 2018-06-15 2019-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678689B (zh) * 2018-10-12 2019-1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修補方法
JP7292138B2 (ja) * 2019-07-23 2023-06-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リペ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22A (ja) 1985-07-09 1987-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S6236571A (ja) 1985-08-10 1987-02-17 Fujitsu Ltd 波形検索方式
JPS6236571U (ko) * 1985-08-23 1987-03-04
JPH0479333A (ja) 1990-07-23 1992-03-12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H0479333U (ko) * 1990-11-21 1992-07-10
JP2874137B2 (ja) 1991-07-18 1999-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の屈曲部の接続構造
JPH0529030U (ja) * 1991-09-24 1993-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実装構造
JPH05232419A (ja) * 1992-01-20 1993-09-10 Nec Corp 液晶パネル検査装置
JPH05241178A (ja) 1992-02-28 1993-09-21 Seiko Instr Inc 回路装置
JP3092880B2 (ja) * 1992-05-12 2000-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ネルの実装方法
JPH0659269A (ja) 1992-08-06 1994-03-04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ユニットの電気接続の試験方法
GB9219836D0 (en) * 1992-09-18 1992-10-28 Philips Electronics Uk Ltd Electronic drive circuits for active matrix devices,and a method of self-tasting and programming such circuits
JP3560177B2 (ja) 1994-07-25 2004-09-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3272558B2 (ja) * 1994-12-19 2002-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0163937B1 (ko) * 1996-02-28 1999-01-15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의 패널
JPH1074550A (ja) 1996-09-02 1998-03-17 Hitachi Ltd コネクタを備えた機器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096949A (ja) 1996-09-24 1998-04-14 Toshiba Electron Eng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H10333649A (ja) * 1997-06-04 1998-12-18 Toshiba Microelectron Corp 電圧選択回路、液晶駆動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US6266119B1 (en) * 1998-01-13 2001-07-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97B1 (ko) * 2004-04-29 2012-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선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8547B (en) 2003-01-21
CN1343320A (zh) 2002-04-03
JP3926986B2 (ja) 2007-06-06
WO2000054098A1 (fr) 2000-09-14
EP1168053A1 (en) 2002-01-02
US6407795B1 (en) 2002-06-18
KR100397594B1 (ko) 2003-09-13
EP1168053A4 (en) 2005-07-13
CN1181383C (zh)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5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0144283B1 (ko) 리워킹이 용이한 소형경량 표시장치 및 그 실장방법
US7419380B2 (en) Wiring board, mou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24033B1 (ko) 전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9004894A1 (ja) 表示モジュール、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030035888A (ko)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압착구조
JPH08298364A (ja) 印刷配線板
WO2014046099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実装検査方法
US20080006952A1 (en) Misalignment detection devices
KR1006402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범프 구조
US6300998B1 (en) Probe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0315702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実装方法および表示装置
CN112014988A (zh) 显示面板及其绑定方法、显示装置
US20220141956A1 (en) Printed circuit board, display module compris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bon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0266892B1 (ko) 표시 장치용 전기 회로 기판
JP200922326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検査方法、及び、電子機器
CN111435207B (zh) 一种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20050113249A (ko) 액정패널용 검사장치
JP2944399B2 (ja)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並びにフレキシブル配線板並びに駆動ic交換方法
KR10095432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64557B1 (ko) 연성회로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베어 칩의실장방법
JP3853729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3158354A (ja) 配線基板の実装検査方法
JP3251163B2 (ja) 表示パネル検査装置
JPH1073838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