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599A -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599A
KR20010103599A KR1020010020151A KR20010020151A KR20010103599A KR 20010103599 A KR20010103599 A KR 20010103599A KR 1020010020151 A KR1020010020151 A KR 1020010020151A KR 20010020151 A KR20010020151 A KR 20010020151A KR 20010103599 A KR20010103599 A KR 200101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rotrusion
liquid crystal
rear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427B1 (ko
Inventor
후쿠요시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가키 코지
Publication of KR200101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가 간단하고, 부품의 수가 감소하며, 충격에 강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를 구비한다. 배면 커버(5)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1)는 전면 커버(6)상에 마련되고, 돌출부(11)가 삽입되는 구멍(12)은 액정 모듈(4)에 마련되는 동시에, 구멍(12)에 삽입된 돌출부(11)를 가압하는 동안, 돌출부(12)의 삽입으로 인해 배면 커버(5)쪽으로 변형되는 훅(13)이 마련되고, 돌출부(11)의 삽입으로 인해 변형된 훅(13)을 맞물리게 하는 오목부(14)가 마련된다. 전면 커버가 배면커버와 겹쳐 정렬되고,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액정 모듈(4)은 오목부(14)에 맞물리는 훅(13)에 의해 배면 커버에 고정되고, 훅(13)과 섀시(8)의 사이에 끼워진 돌출부(11)에 의해 전면 커버(6)는 액정 모듈(4)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정 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설명
노트북과 같은 정보 단말 기기에서, 컴퓨터의 본체를 덮도록 설치된 덮개 그 자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덮개 케이스로 기능하는 본체의 내부에 액정 모듈이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액정 모듈에 대한 고정 구조의 예를 도 16a 및 16b에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두 개의 고정 구조에서, 액정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나사가 양쪽 고정 구조 모두에서 사용된다. 우선, 도 16a에서, 보스부(27)가 본체를 구성하는 배면 커버(26)의 아래 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동시에 나사 구멍(28)이 보스부(27)에 형성되고, 액정 모듈(29)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부(30)가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액정 모듈(29)이 배면 커버(26)내에 배치될 때, 돌출부(30)의 나사구멍(28)에 맞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31)을 통해 나사 구멍(28)에 나사(32)를 끼워 넣음으로 인해 액정 모듈(29)은 배면 커버(26)에 고정된다. 또한, 배면 커버 이외에도, 본체를 형성하는 전면 커버(33)가 다른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배면 커버(26)에 고정된다.
도 16b에서, 나사 구멍(35)은 액정 모듈(34)의 가장자리상에서 디스플레이 표면과 평행으로 형성되고, 액정 모듈(34)이 배면 커버 내부에 배치될 때, 배면 커버(36)의 측벽상에 나사 구멍(37)에 맞는 관통 구멍(37)이 형성되고, 액정 모듈(34)은 관통 구멍(37)을 통해 나사 구멍(35)에 나사(38)가 끼워 넣어져서 배면 커버(36)에 고정된다. 또한, 이 고정 구조에 있어서도, 전면 커버(39)는 다른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배면 커버(36)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 나사를 조이는 동작에 노력이 필요하고, 나사를 조이기 위한 토크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있어서, 본체를 얇은 구조로 설계하기 위해, 대단히 작은 나사를 위한 특수한 공구가 사용되고, 이것이 나사를 조이는 동작에 노력이 필요하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또한, 배면 커버의 가동성을 높이기 위해, 나사 구멍이 보스부에 인서트 암나사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 부품의 수가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6a의 고정 구조의 경우, 액정 모듈의 가장자리와 배면 커버의 측벽 사이의 나사 장착용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본체의 구조를 얇게 개량하기 위해서는 적합하기 않다. 또한, 인서트 암나사가 사용될 때,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인서트 암나사는 보스부에서 떨어져나갈 수도 있다.
도 16b의 고정 구조의 경우, 액정 모듈의 가장자리와 배면 커버의 측벽 사이의 적절한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나사의 위치가 본체의 단면 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는 것이 어렵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를 간소화시키고, 부품의 수를 줄이고, 더 얇은 구조로 설계되고, 충격에 대해 큰 저항을 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는 정보 단말 기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배면 커버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전면 커버 상에 마련되고, 양 커버사이에 고정될 때 돌출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디스플레이 모듈상에 마련되는 동시에, 구멍에 삽입되는 돌출부에 압력을 가하여 돌출부의 삽입에 의해 배면 커버를 향해 변형되는 훅이 마련되고, 돌출부의 삽입에 의해 변형 가능한 훅이 맞물리는 오목부가 배면 커버 상에 마련된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우선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면 커버 내에 배치되고, 돌출부가 구멍에 삽입되어 전면 커버가 배면 커버와 겹쳐 정렬될 때, 돌출부는 훅에 맞닿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한 부분과 훅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훅에 의해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시에, 훅이 배면 커버를 향해 변형되어 오목부와 맞물려 고정된다. 훅의 오목부에서의 맞물림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 커버에 고정되고, 훅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끼워 넣어짐에 의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형성하는 실드 프레임 상에 마련된다.
실드 프레임은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드 프레임 상에 훅을 마련함으로써, 양쪽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배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은 실드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드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 세워 훅을 형성함으로 인해, 훅에 필요한 탄성을 얻을 수 있고, 부재가 일체화되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구멍에 삽입된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1의 걸림부는 실드 프레임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드 프레임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구멍에 삽입된 돌출부에 맞물려 전면 커버를 실드 프레임 즉, 디스플레이 모듈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의 걸림부는 훅의 돌출부에 맞닿은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에 힘을 가함으로 인해, 훅의 돌출부에 맞닿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 1의 걸림부가 돌출부를 압박하게 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의 걸림부는 구멍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멍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돌출부와 맞물려,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의 걸림부는 훅보다 돌출부의 삽입방향 전방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보다 돌출부의 삽입방향 전방에 마련된 제 1의 돌출부는 돌출부와 맞물려,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액정 모듈을 걸어 고정하는 제 2의 걸림부는 돌출부 상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2의 걸림부는 액정 모듈을 걸어 고정하는 돌출부에 마련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돌출부나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맞닿은 위치에서 서로의 마찰을 높이기 위한 제 1의 거친면 처리부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돌출부나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된 제 1의 거친면 처리부는 돌출부와 훅이 서로 맞닿은 위치에서 양자간의 마찰을 높여,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과 배면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맞닿은 위치에서 서로의 마찰을 높이기 위한 제 2의 거친면 처리부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훅과 배면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된 제 2의 거친면 처리부는 훅과 배면 커버가 서로 맞닿은 위치에서 양자간의 마찰을 높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면 커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의 걸림부는 배면 커버 상에 전면 커버를 고정시키고 배면 커버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면 커버에 마련된 걸림부는 배면 커버를 고정하여, 배면 커버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돌출부, 구멍, 훅, 및 오목부에 의한 양쪽 커버 사이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구조를 마련하고, 고정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양쪽 커버사이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양 커버 사이에서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정보 단말 기기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를 간소화하고, 부품의 수를 줄이며, 상술된 독립적인 구조를 구비함으로 인해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정보 단말 기기에서도 동일한 효과가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정보 단말 기기의 하나의 예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분해 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모듈의 분해 투시도.
도 3은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실드 프레임의 필수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4a 및 4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에 대한 고정 구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상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의 필수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은 제 2의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실드 프레임의 필수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제 2의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실드 프레임의 필수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1은 제 2의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실드 프레임과 섀시의 필수 요소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15a 및 15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에 대한 고정 구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상태 설명도.
도 16a 및 16b는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에 액정 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의 실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액정 모듈 5 : 배면 커버
6 : 전면 커버 8 : 섀시
9 : 실드 프레임 11 : 돌출부
12 :구멍 13 : 훅
14 : 오목부 15 : 걸림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 기기의 하나의 예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1)는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이고, 참조 부호(2)는 본체(1)에 마련된 입력부이고, 참조 부호(3)는 입력부(2)를 덮고 있는 덮개이다. 액정 모듈(디스플레이 모듈)은 덮개(3)내에 형성되고, 본체(1)의 작업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기능한다.
액정 모듈(4)은 디스플레이면(4a)의 배면 아래 위치한 배면 커버(5)와 디스플레이면(4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전면 커버(6)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배면 커버(5)와 전면 커버(6)의 양자는 합성수지(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및 그 밖의 금속 등)로 이루어져 있다.
액정 모듈(4)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7)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참조 부호(8)는 백 라이트를 내장하는 섀시이고, 참조 부호(9)는 실드 프레임이다.
액정 모듈(4)에서, LCD 패널(7)과 섀시(8)는 네 개의 모서리를 정렬하여 배치되고, 실드 프레임(9)은 디스플레이면(4a) 측에서 배치되며, 3개의 필수 구조 요소는 실드 프레임(9)에 형성된 손톱부에 의해 섀시(8)의 가장자리가 걸려서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도 1로 되돌아가, 액정 모듈(4), 배면 커버(5), 및 전면 커버(6)상에, 양 커버사이의 액정 모듈(4)을 고정하는 고정 구조가 마련된다. 이 고정 구조는 전면 커버(6)측에 마련된 돌출부(11)와 액정 모듈(4)측에 마련된 구멍(12)과 훅(13), 배면 커버(5)측에 마련된 오목부(14)를 포함하고 있고, 덮개(3)를 평면으로 볼 때, 이들은 액정 모듈(4)의 상하 가장자리의 양끝과 중앙의 세 위치와, 좌우 가장자리의 상하의 두 위치, 모두 여덟 위치에 마련된다.
돌출부(11)는 전면 커버(6)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전면 커버(6)와 배면 커버(5)가 서로 대향될 때, 배면 커버(5)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구멍(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프레임(9)을 뚫어 형성되고, 배면 커버(5)와 전면 커버(6) 사이에 액정 모듈(4)이 고정될 때, 돌출부(11)가 삽입된다.
훅(13)은 실드 프레임(9)의 한 부분을 잘라 형성되고, 이 부분은 횡단면을 볼 때, "L"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되고, 돌출부(11)가 삽입될 때, 후위 부분이 눌러져, 배면 커버(5)측을 향해 말단이 변형된다. 오목부(14)는 돌출부(11)의 삽입에 의해 배면 커버(5)측을 향해 변형된 훅(13)의 말단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배면 커버(5)와 전면 커버(6)는 덮개(3)의 케이스를 이루는 본체를 형성하는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전체 주위를 따라 틈이 없이 맞대어 진다. 그러나 배면 커버(5)측 표면에 맞닿는 면에서, 안쪽이 높고 바깥쪽이 낮은 단이 형성되고, 전면 커버(6)측의 맞닿는 면에서, 배면 커버(5)측의 단을 고정하는 단면이 걸쇠 모양인 걸림부(15)가 형성되어 있다(도 4에 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그 조립에 따른 고정 구조의동작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모듈(4)은 배면 커버(5)의 안쪽에 배치되고, 그 후, 전면 커버를 배면 커버(5)에 겹치도록 배치하기 위해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되어, 돌출부(11)의 말단은 훅(13)에 맞닿는다. 훅(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돌출부(11)가 더 삽입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측면 상에 가압되는 훅의 후부에 의해 돌출부(11)는 훅(13)과 섀시(8) 사이에 끼워지고, 동시에, 훅(13)은 배면 커버(5)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어, 그 말단이 오목부(14)로 끼워 넣어진다.
훅(13)의 말단이 오목부(14)에 들어가 고정됨으로 인해 액정 모듈(4)은 배면 커버(5)에 고정되고, 훅(13)과 섀시(8)의 측면 사이에 끼워진 돌출부(11)에 의해 전면 커버는 액정 모듈(4)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액정 모듈(4)은 전면 커버(6)와 배면 커버(5) 사이에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액정 모듈(4)의 설치 동작은 단순화되고, 동시에, 부품의 수는 감소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모듈(4)을 뚫는 나사로 인해 생성되는 긁힌 자국과 디스플레이 성능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액정 모듈(4)의 가장가리를 이루는 금속제의 실드 프레임(9) 상에 구비된 훅(13)을 마련함으로 인해, 액정 모듈(4)과 배면 커버(5) 사이의 공간을 사용하여 양쪽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얇게 만들 수 있다.
실드 프레임(9)의 일부를 잘라서 형성된 훅(13)에 의해, 훅(13)에서 필요로 하는탄성이 얻어지고, 부재의 완전체가 이행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전면 커버(6)상에 마련된 걸림부(15)는 배면 커버(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배면 커버(5)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액정 모듈(4)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모듈(4)이 양 커버사이에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액정 모듈의 설치가 간소화되고 부품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대한 저항이 강해지고,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1)는 전면 커버와 일체화되지만, 못 모양의 돌출부(11)가 전면 커버(6)와 별도로 마련되고, 전면 커버(6)에 구멍을 형성하고, 액정 모듈(4), 배면 커버(5), 및 전면 커버(6)를 정렬하여 위치시킨 후, 돌출부를 구멍에 삽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훅(13)은 실드 프레임(9)의 잘려진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훅(13)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실드 프레임(9)에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 후,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 이미 상술한 구성의 필수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드 프레임(9)에 구멍(12)에 삽입되는 돌출부(11)에 맞물리는 손톱부(16: 제 1의 걸림부)가 구비된다. 이 손톱부(16)는 돌출부(11)에 맞닿은 배면 상에 훅(13)의 잘려진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기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부(16)는 훅(13)의 탄성에 의해 도움을 받는 돌출부(11)에 가압된다. 상기 가압된 손톱부(16)는 합성수지 돌출부(11)의 측면에 단단히 부착되고, 돌출부(11)에 맞물린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손톱부(16)는 훅(13)의 가압력으로 인해 돌출부(11)에 가압되어 전면 커버(6)는 액정 모듈(4)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톱부(17)는 구멍(12)의 가장자리 부분에도 마련된다. 구멍(12)이 형성될 때, 실드 프레임(9)의 일부를 남기고,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손톱부(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부(16)가 돌출부에 가압되는 동시에, 손톱부(17)의 말단이 돌출부(11)의 기부를 가압하여 돌출부(11)를 고정하기 때문에, 손톱부(16)는 유사하게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5)는 액정 모듈(4)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어, 액정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부(18)는 훅(13)보다 돌출부의 삽입 방향 전방에 마련된다. 훅(13)과 같이, 손톱부(18)는 실드 프레임(9)의 일부를 잘라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9)는 손톱부(18)와 대응하여 돌출부(11)의 말단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훅(13)과 섀시(8)의 측면 사이에 끼워져 있고, 손톱부(18)는 훅(13)의 탄성에 의해 오목부(18)에 들어가 돌출부(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 역시 액정 모듈(4)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고,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가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부(18)의 말단은 오목부(19)가 마련되지 않아도 돌출부(11)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8)측을 관통하는 손톱부(20: 제 2의 걸림부)를 돌출부(11)의 표면에 마련한다. 손톱부(20)는 돌출부(11)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21)는 손톱부(20)에 대응하여 섀시(8)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훅(13)과 섀시(8)의 측면사이에 끼워져 있고, 동시에, 손톱부(20)는 섀시(8)측상에서 오목부(21)에 들어가 섀시(8)에 맞물려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6) 또한 액정 모듈(4)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고,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필수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훅(13)에 맞닿은 돌출부(11)의 측면상의 위치에서, 거친면 처리부(22 : 제 1 거친면 처리부)가 마련된다. 거친면 처리부(22)는 표면에 형성된 파인 범프(fine bump)를 가지고 있고, 다이아몬드 널 가공(knurl processing)과 같은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거친면 처리부(22)와 훅(13)이 맞닿은 위치에서, 그들 사이의 마찰이 높아져서, 전면 커버(6)는 액정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친면 처리부(22)는 돌출부(11)에 마련되지만, 대신에 거친면 처리부(22)는 훅(13)상에 마련하거나, 돌출부(11)와 훅(13) 양자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거친면을 처리하는 기술은 다이아몬드 절단 처리 이외에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필수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훅(13)에 맞닿은 오목부(14)의 위치에서, 거친면 처리부(23 : 제 2의 거친면 처리부)가 마련된다. 거친면 처리부(22)와 같이, 거친면처리부(23)가 파인 범프와 표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될 때, 거친면 처리부(23)가 훅(13)에 맞닿는 위치에서, 그들 사이의 마찰이 높아져서, 전면 커버(6)는 배면 커버(5)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고,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거친면 처리부(23)가 배면 커버(5)상에 마련되는 대신에, 거친면 처리부(23)가 훅(13)에 마련되거나, 배면 커버(5)와 훅(13)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를 도 14,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필수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실드 프레임(9)의 일부가 잘려 없어지고, 훅(24)이 섀시(8)상에 마련된다. 섀시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5)가 훅(24)의 말단상에 마련된다. 훅(24)과 돌출부(25)의 양자가 섀시(8)상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또한, 손톱부(20)는 돌출부(11)상에 형성되고, 오목부(21)는 섀시(8)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모듈(4)이 배면 커버(5) 내부에 배치될 때, 전면 커버(6)는 배면 커버(5)와 겹쳐 정렬되어, 돌출부(11)가 구멍(12)에 삽입되고, 돌출부(11)의 말단은 훅(24)에 맞닿는다. 훅(24)의 탄성에 저항하여 돌출부가 더욱 삽입될 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는 돌출부(11)의 측면으로 가압되고, 훅(24)은 배면 커버(5)측을 향해 변형되어, 그 말단이 오목부(14)에 들어가는 동시에, 손톱부(20)가 오목부(21)에 들어가, 훅(24)의 반발을 도우면서 섀시(8)에 고정된다.
훅(24)의 말단이 오목부(14)에 들어가 고정됨에 의해 액정 모듈(4)은 배면 커버(5)에 고정되고, 돌출부(11)가 훅(13)과 섀시(8) 사이에 끼워짐으로 인해 전면 커버(6)는 액정 모듈(4)에 고정되기 때문에,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훅(24)이 섀시(8)와 일체화되어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훅(24)은 실드(9)와 같이 금속 재료로 제작 가능하고, 섀시(8)상에 별도로 부착 가능하다. 또한, 실드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막을 훅(24)상에 미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제 1 내지 제 6의 실시예 각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의 내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설계를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 이루어진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e-mail 단말기나 휴대 GPS장치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액정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는 다른 정보 단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 기기는 상술한 휴대형 정보 단말 기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독립 디스플레이 모니터나, 벽걸이형의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본 발명은 액정 이외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목부에 고정된 훅에 의해 배면 커버에 고정되고, 전면 커버는 훅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 사이에 돌출부가 끼워짐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는 간소화 될 수 있고, 부품의 수가 줄어 들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나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뚫는 나사에 의해 생성되는 긁힌 자국과 이로 인해디스플레이 성능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상의 훅을 마련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배면 커버 양자는 그들 사이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얇은 프레임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3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 훅을 형성함으로 인해, 훅에 필요한 탄성을 얻을 수 있고, 부재의 일체화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4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 1의 걸림부는 구멍에 삽입된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실드 커버 즉 디스플레이 모듈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5의 양상에 따라, 훅이 돌출부에 맞닿은 위치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훅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부를 가압하여,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욱 단단히 고정한다. 따라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6의 양상에 따라, 구멍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7의 양상에 따라, 훅보다 돌출부의 삽입 방향의 전방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8의 양상에 따라, 돌출부상에 마련된 제 2의 걸림부는 액정 모듈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9의 양상에 따라, 돌출부나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된 제 1의 거친면 처리부는 그들이 맞닿는 위치에서 그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켜,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0의 양상에 따라, 훅이나 배면 커버중 적어도 어느한쪽에 마련된 제 2의 거친면 처리부는 그들이 맞닿는 위치에서 배면 커버와 훅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 커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1의 양상에 따라, 전면 커버에 마련된 걸림부는 배면 커버와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배면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2의 양상에 따라, 양 커버사이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양 커버 사이에서 더욱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정보 단말 기기의 제 13의 양상에 따라, 제 1 내지 제 3의 어느 양상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는 간소화되고, 부재나 부품의 수는 감소되며, 따라서, 생산 비용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대한 강함을 보여,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목부에 고정된 훅에 의해 배면 커버에 고정되고, 전면 커버는 훅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 사이에 돌출부가 끼워짐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는 간소화 될 수 있고, 부품의 수가 줄어 들 수 있다. 또한, 종래의경우와 같이 나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뚫는 나사에 의해 생성되는 긁힌 자국과 이로 인해디스플레이 성능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상의 훅을 마련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배면 커버 양자는 그들 사이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얇은 프레임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3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 훅을 형성함으로 인해, 훅에 필요한 탄성을 얻을 수 있고, 부재의 일체화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4의 양상에 따라, 실드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 1의 걸림부는 구멍에 삽입된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실드 커버 즉 디스플레이 모듈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5의 양상에 따라, 훅이 돌출부에 맞닿은 위치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훅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부를 가압하여,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욱 단단히 고정한다. 따라서 액정 모듈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6의 양상에 따라, 구멍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7의 양상에 따라, 훅보다 돌출부의 삽입 방향의 전방에 마련된 제 1의 걸림부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8의 양상에 따라, 돌출부상에 마련된 제 2의 걸림부는 액정 모듈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9의 양상에 따라, 돌출부나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된 제 1의 거친면 처리부는 그들이 맞닿는 위치에서 그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켜, 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0의 양상에 따라, 훅이나 배면 커버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된 제 2의 거친면 처리부는 그들이 맞닿는 위치에서 배면 커버와 훅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 커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 모듈(4)의 고정 구조는 단순 구조인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1의 양상에 따라, 전면 커버에 마련된 걸림부는 배면 커버와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배면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2의 양상에 따라, 양 커버사이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정 구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모듈은 양 커버 사이에서 더욱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정보 단말 기기의 제 13의 양상에 따라, 제 1 내지 제 3의 어느 양상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는 간소화되고, 부재나 부품의 수는 감소되며, 따라서, 생산 비용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대한 강함을 보여,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배면 커버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전면 커버 상에 마련되고;
    상기 양쪽 커버 사이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된 동시에,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동안에, 상기 돌출부의 삽입으로 인해 상기 배면 커버 쪽으로 변형되는 훅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삽입으로 인해 변형되는 상기 훅에 맞물리는 오목부가 상기 배면 커버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형성하는 실드 프레임 상에 상기 훅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상기 실드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1의 걸림부가 상기 실드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상기 돌출부와 맞닿은 위치에 상기 제 1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걸림부가 상기 구멍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걸림부는 상기 훅보다 상기 돌출부의 삽입 방향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물리는 제 2의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상에, 상기 돌출부와 상기 훅 사이의 마찰을 높이는 제 1의 거친면 처리부가 서로 맞닿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훅 중 적어도 어느 한쪽상에, 다른 쪽과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훅 사이의 마찰을 높이는 제 2의 거친면 처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에 맞물려, 배면 커버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상기 전면 커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구멍, 훅, 및 오목부를 사용하는 양쪽 커버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다수의 고정 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10-2001-0020151A 2000-04-19 2001-04-16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KR100429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8454A JP3492591B2 (ja) 2000-04-19 2000-04-19 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機器
JP??2000-118454? 2000-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99A true KR20010103599A (ko) 2001-11-23
KR100429427B1 KR100429427B1 (ko) 2004-05-03

Family

ID=1862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151A KR100429427B1 (ko) 2000-04-19 2001-04-16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7484B2 (ko)
EP (1) EP1150199B1 (ko)
JP (1) JP3492591B2 (ko)
KR (1) KR100429427B1 (ko)
DE (1) DE60143827D1 (ko)
SG (1) SG101439A1 (ko)
TW (1) TW52120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29B1 (ko) * 2001-02-14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씨디 모듈 고정장치
KR100760485B1 (ko) * 2007-03-16 2007-09-20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93729B1 (ko) * 2001-09-27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81948B1 (ko) * 2007-11-29 2010-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부품 조립체 및 전자 기기
KR200480938Y1 (ko) * 2015-12-15 2016-07-27 (주)칼전자 차량의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KR200483651Y1 (ko) * 2016-01-12 2017-06-12 제이와이커스텀(주) 네비게이션 매립장치
KR20190112455A (ko) *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85495A (ko) * 2019-01-07 202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81850B (en) * 2001-02-21 2004-04-01 Nippon Sheet Glass Co Ltd Light-guided plat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TW523651B (en) * 2001-08-14 2003-03-11 Wistron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notebook computer equipp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93728B1 (ko) * 2001-09-14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3084263A (ja) * 2001-09-17 2003-03-19 Sony Corp 液晶表示パネル用保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418932B1 (ko) * 2001-12-29 2004-02-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471064B1 (ko) 2002-06-11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465796B1 (ko) * 2002-07-1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225748B2 (ja) * 2002-07-31 2009-02-1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US6976781B2 (en) * 2002-10-25 2005-12-20 Au Optronics Corp. Frame and bezel structure for backlight unit
KR100928482B1 (ko) * 2002-12-24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042533B2 (en) 2003-07-03 2006-05-09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LCD module connecting mechanism comprising an arm connected to a frame by inserting a hook of the arm throug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on a lateral surface of the frame
DE10333711B3 (de) * 2003-07-23 2004-12-09 Siemens Ag Anzeigegerät
KR101250781B1 (ko) * 2003-11-19 2013-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TW200523831A (en) * 2004-01-12 2005-07-16 Quanta Display Inc Side fixing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CN100418036C (zh) * 2004-02-23 2008-09-1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卡勾连动结构
US7004614B2 (en) * 2004-02-20 2006-02-28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DE102004010306A1 (de) * 2004-03-03 2005-09-29 Polyrack Elektronik-Aufbausysteme Gmbh Gehäuse für elektronische Baugruppen
CN100465711C (zh) * 2004-04-01 2009-03-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用的侧框压条
TWI231740B (en) * 2004-05-20 2005-04-21 Au Optronics Corp Display module and locating method of flexible print circuit board thereof
JP4779314B2 (ja) * 2004-06-2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302431B (en) * 2004-06-25 2008-10-2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nitor protective function
JP2006092814A (ja) * 2004-09-22 2006-04-06 Alps Electric Co Ltd 操作装置
US7227741B2 (en) * 2004-10-15 2007-06-05 Dell Products L.P. Composite cover for notebook-type computer
KR100595245B1 (ko) 2004-12-17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나사 체결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 일체형 모니터케이스
JP4610352B2 (ja) * 2005-01-19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60089014A (ko) * 2005-02-03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06221576A (ja) * 2005-02-14 2006-08-24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携帯情報処理装置
DE502005008237D1 (de) * 2005-05-04 2009-11-12 Altec Mittig Und Manger Gmbh Bildanzeigevorrichtung
KR100731364B1 (ko) * 2005-11-02 200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US20070120878A1 (en) * 2005-11-29 2007-05-31 Chih-Chun Hsiao Flat panel monitor including a frame having a protrusion
KR101216687B1 (ko) * 2005-12-12 2012-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070074384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4959197B2 (ja) * 2006-01-30 2012-06-20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器
JP4619979B2 (ja) * 2006-04-06 2011-01-2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293129A (ja) * 2006-04-26 2007-11-08 Sharp Corp 表示装置のキャビネット構造
EP1895386A1 (en) * 2006-08-31 2008-03-05 TCL Thomson Electronics Europe SAS A flat screen assembly
EP1895352A1 (en) * 2006-08-31 2008-03-05 TCL Thomson Electronics Europe SAS A flat screen assembly with a housing hav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JP4232119B2 (ja) 2006-10-04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842704B1 (ko)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JP2008152110A (ja) * 2006-12-19 2008-07-03 Fujitsu Ltd 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TWI352246B (en) * 2007-01-17 2011-11-11 Askey Computer Corp A fixing device for protecting a flat structure an
JP5142586B2 (ja) * 2007-05-11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9021674A (ja) * 2007-07-10 2009-01-29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9058915A (ja) * 2007-09-04 2009-03-19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WO2009057550A1 (ja) * 2007-10-29 2009-05-07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JP4837016B2 (ja) * 2007-10-29 2011-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362219B (en) * 2007-11-14 2012-04-11 Au Optronics Corp Frame with a mounting ear, display device using the fr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340603B1 (ko) * 2007-11-15 2013-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CN101163379B (zh) * 2007-11-21 2010-06-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吊耳的电子装置外框、使用此外框的显示装置及制造方法
CN101534614A (zh) * 2008-03-14 2009-09-16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US8238087B2 (en) * 2010-01-06 2012-08-07 Apple Inc. Display module
TW201022765A (en) * 2008-12-04 2010-06-16 Hannspree Inc Panel holding device and method
RU2444067C1 (ru) * 2008-04-22 2012-02-27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1368949Y (zh) * 2008-08-26 2009-12-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平板显示屏装配结构
JP5320907B2 (ja) * 2008-08-29 2013-10-23 サクサ株式会社 パネル取付構造
WO2010095310A1 (ja) * 2009-02-19 2010-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に装着される緩衝材
US8199477B2 (en) * 2009-06-11 2012-06-12 Apple Inc. Portable computers with spring-mounted displays
TWI416952B (zh) * 2009-06-19 2013-11-21 Au Optronics Corp 具強化背掛結構之顯示裝置
JP5165118B2 (ja) * 2009-11-16 2013-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DE102010046874A1 (de) 2010-03-22 2011-12-0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Display-Anordnung und deren Montage
JP5477142B2 (ja) * 2010-04-22 2014-04-23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411071B2 (ja) * 2010-06-24 2014-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20014094A1 (en) * 2010-07-14 2012-01-1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onnection component and backlight module
CN102375474A (zh) * 2010-08-09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5483590B2 (ja) * 2010-09-27 2014-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451603B2 (en) * 2010-10-07 2013-05-28 Apple Inc. Attachment mechanism
CN102045972A (zh) * 2010-11-15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组装方法
JP2012114799A (ja) * 2010-11-26 2012-06-14 Kyocera Corp 携帯型電子機器
TWI426837B (zh) * 2010-11-29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組裝方法
JP5100880B1 (ja) * 2010-11-29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CN102645762A (zh) * 2011-02-18 2012-08-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2236382A (zh) * 2011-05-18 2011-11-09 刘勇 超薄平板电脑
JP2013025192A (ja) * 2011-07-22 2013-02-04 Fujitsu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197817B2 (ja) * 2011-09-01 2013-05-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TWI465111B (zh) * 2011-09-15 2014-12-11 Wistron Corp 用來固定顯示面板之固定結構與其顯示裝置
US20130100371A1 (en) * 2011-10-20 2013-04-25 Gang Yu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60496B (zh) * 2011-12-26 2014-11-11 Cpt Technology Group Co Ltd 觸控面板框體結構
US20130265519A1 (en) * 2012-04-06 2013-10-10 Gang Yu Liquid crystal display unit for narrow fram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CN103376570A (zh) * 2012-04-17 2013-10-30 苏州方林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框架
JP5890249B2 (ja) * 2012-05-14 2016-03-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表示装置保持構造
US9170443B2 (en) * 2012-09-11 2015-10-2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133312B2 (en) * 2012-10-18 2018-11-20 Apple Inc. Enclosure features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889528B (zh) * 2012-10-24 2015-09-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20150289398A1 (en) * 2012-10-30 2015-10-08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6088249B2 (ja) * 2013-01-10 2017-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4142507A (ja) * 2013-01-24 2014-08-07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CN103237438B (zh) * 2013-05-10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胶框及使用该胶框的显示装置
US9696572B2 (en) * 2014-01-28 2017-07-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Bezel-free display device
CN103792706B (zh) 2014-01-28 2016-05-11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无边框显示装置
CN104332111A (zh) * 2014-10-17 2015-02-04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一种无前框显示器结合结构
KR102230717B1 (ko) * 2014-12-11 2021-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이드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6025228B1 (ja) * 2015-05-15 2016-11-1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916228A (zh) * 2015-06-25 2015-09-16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一种显示产品结构
KR102131663B1 (ko) * 2015-06-26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220077A (zh) * 2015-07-07 2021-08-06 纬创资通(中山)有限公司 电子装置及电子装置组装方法
CN105242803B (zh) * 2015-09-07 2018-09-14 深圳市财富之舟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芯片的安装方法和一种移动终端
US10296042B2 (en) * 2017-02-24 2019-05-21 Christal Clear Showcases, Llc Display assembly
CN107632429B (zh) * 2017-08-30 2020-10-23 广东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液晶显示面板的强度的液晶显示模组
KR102390071B1 (ko) * 2017-09-25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838452B2 (en) * 2018-02-07 2020-1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display bond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0337A (en) * 1960-02-29 1963-11-12 Illinois Tool Works Deformable head screw grommet
DE3734564A1 (de) * 1987-10-13 1989-04-27 Rose Elektrotech Gmbh Gehaeuse fuer die aufnahme elektrischer und elektronischer bauteile
JPH0451595A (ja) * 1990-06-20 1992-02-20 Hitachi Ltd フラツトパネルデイスプレイ取付方式
US5146354A (en) * 1991-05-07 1992-09-0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CD system with a backlight having a light source at a light pipe's edge and with the LCD enframed
JPH05100216A (ja) * 1991-10-09 1993-04-2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US5570267A (en) * 1995-07-12 1996-10-29 Ma; Hsi-Kuang Flat display module
JPH09105915A (ja) * 1995-10-09 1997-04-22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の取付け構造
JPH09297542A (ja) * 1996-05-09 1997-11-18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この表示装置を有する携帯形機器
KR19980035574U (ko) * 1996-12-13 1998-09-15 김광호 복합 체결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어셈블리
JP3593433B2 (ja) * 1997-01-22 2004-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この修理方法
DE69732174T2 (de) * 1997-03-19 2005-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Zweiteilige elektromagnetische Abschirmvorrichtung zur Befestigung auf einer Leiterplatte
JPH11305254A (ja) *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00034179A (ko) * 1998-11-27 2000-06-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JP2000181362A (ja) * 1998-12-17 2000-06-30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00073610A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모니터 케이스의 이탈 방지구조
US6411504B2 (en) * 1999-08-25 2002-06-25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having latching hook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29B1 (ko) * 2001-02-14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씨디 모듈 고정장치
KR100793729B1 (ko) * 2001-09-27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60485B1 (ko) * 2007-03-16 2007-09-20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981948B1 (ko) * 2007-11-29 2010-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부품 조립체 및 전자 기기
KR200480938Y1 (ko) * 2015-12-15 2016-07-27 (주)칼전자 차량의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KR200483651Y1 (ko) * 2016-01-12 2017-06-12 제이와이커스텀(주) 네비게이션 매립장치
KR20190112455A (ko) *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46839B2 (en) 2018-03-26 2023-12-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00085495A (ko) * 2019-01-07 202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7484B2 (en) 2003-01-14
EP1150199A2 (en) 2001-10-31
EP1150199B1 (en) 2011-01-12
JP2001305985A (ja) 2001-11-02
SG101439A1 (en) 2004-01-30
EP1150199A3 (en) 2008-06-18
KR100429427B1 (ko) 2004-05-03
TW521209B (en) 2003-02-21
DE60143827D1 (de) 2011-02-24
JP3492591B2 (ja) 2004-02-03
US20010036057A1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4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KR100487435B1 (ko) 마운팅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JP2839085B2 (ja) 液晶表示装置
US6339530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a display device to and reducing an external size of a housing of equipment in which the attachment structure is provided
US78986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with grounding members
KR100877467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JP2003202940A (ja) 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20040015796A (ko) 평면 유닛 구조체
JP2000206900A (ja) コンピュ―タ用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モジュ―ル
US20020159239A1 (en) PC card
US20070120878A1 (en) Flat panel monitor including a frame having a protrusion
US634293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driving circuit substrate held between convex portion and elastic pressing portion formed on two box members
JP2000305068A (ja) 液晶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情報端末機器
TWI442216B (zh) 用來固定鍵盤的鍵盤固定結構以及可攜式電子裝置
EP0888036B1 (en) LCD assembly with reduced thicknes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84112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62222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KR100319203B1 (ko) 엘씨디모니터장치
KR1003192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US86653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fixing circuit board thereof
CN219891518U (zh) 显示装置
KR100579551B1 (ko) 평판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KR100303067B1 (ko) 평판표시장치, 컴퓨터 및 평판표시장치의 고정방법
JPH11167108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