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467B1 -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467B1
KR100877467B1 KR1020070024587A KR20070024587A KR100877467B1 KR 100877467 B1 KR100877467 B1 KR 100877467B1 KR 1020070024587 A KR1020070024587 A KR 1020070024587A KR 20070024587 A KR20070024587 A KR 20070024587A KR 100877467 B1 KR100877467 B1 KR 10087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ezel
display module
fixed
hou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961A (ko
Inventor
준-치 슈
성-포 첸
Original Assignee
우 옵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 옵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우 옵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1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는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체는 :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정면 영역 및 상기 정면 영역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영역을 구비하는 베즐을 포함한다. 베즐이 프레임과 조립되었을 때, 베즐은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고, 베즐의 정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 표면을 덮는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정면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정-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 영역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하우징 구조체가 전자 기기에 고정되었을 때,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정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을 누르지 않는다.
하우징, 디스플레이, 돌출부, 고정-홀, 모듈, 노트북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Housing structure for a display module}
도 1a는 통상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한 노트북 컴퓨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을 도시하는 다른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자 기기의 지그 시스템에 고정되어있을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셀룰러폰, 노트북 컴퓨터, 피디에이(PDA) 등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에 폭넓게 이용된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노트북(1)은 메인 바디(11) 및 지그(jig) 시스템(121)에 나사로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13)이 내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12)을 포함한다. 그러나, 나사 체결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bezel)(도시되지 않음)에 끊임없이 비틀림 힘을 작용한다. 이것은 종종 베즐의 변형을 유발하고, 도 1a에 도시되는 "리플(ripple)"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이상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서술한다.
도 1b는 도 1a의 A-A'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영역(1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13)이 케이스(14),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5), 후광 모듈(16) 및 베즐(17)을 포함한다. 게다가 후광 모듈(16)은 반사 플레이트(161), 광 유도(light guide) 플레이트(162) 및 복수의 광학 필름(16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학 필름은 프리즘 필름(들) 및/또는 확산(diffuser) 필름(들)이 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13)을 디스플레이 영역(12)의 지그 시스템(121)에 고 정하기 위하여, 나사(18)는 지그 시스템(121)의 나사산 홀 및 베즐(17)의 홀과 체결되어야한다. 나사(18)는 베즐(17)에 계속적으로 비틀림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베즐(17)은 점차 변형되고 정면 영역(17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정면(151)을 눌러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51)에 덴트(dent)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영상에 도 1a에서 도시된 "리플"과 같은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이 나타나고,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13)의 화질이 나쁜 영향을 받는다.
베즐의 변형에 기인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몇 가지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상기 해결책에서,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 힘이 정면 영역(21)에 전달되는 것을 막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의 버퍼 클리비지(buffer cleavage)(각각 홀(221, 222) 옆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버퍼 클리비지(231, 232))가 엣지(edge)(베즐(2)의 정면 영역(21)과 측면 영역(2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수단은 여전히 몇 가지 결점을 안고 있다. 첫째로, 베즐 표면에 클리비지를 형성하는 것은 베즐의 구조적 강도를 약하게 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13)이 외부 충격에 대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비록 상기 버퍼 클리비지(231, 232)는 비틀림 힘이 정면 영역(21)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막기는 하지만, 버퍼 클리비지(231, 232)의 사이 영역과 같은 다른 경로를 통해 비틀림 힘이 정면 영역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해결책은 나사 주변 영역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문제점은 나사 사이의 다른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클리비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한 해 결책은 여전히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막지는 못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베즐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고, 어떤 종류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의 발생도 막을 수 있는 향상된 하우징 구조체 및 이 구조체를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안되는 것이 산업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정면 영역 및 정면 영역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영역을 구비하는 베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과 베즐이 조립될 때, 베즐은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고 베즐의 정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fastening hole) 및 정면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정-홀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영역을 구비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광원을 제공하는 후광 모듈; 후광 모듈의 한 면 위에 위치하고 후광 모듈이 제공하는 빛을 받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후광 모듈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정면 영역 및 정면 영역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영역을 구비하는 베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프레임과 베즐이 조립될 때, 베즐은 프레임의 일부를 감 싸고 베즐의 정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정면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정-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영역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에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나사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는 베즐의 측면 영역에 형성된 돌출 영역에 의해 나사의 체결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 힘에 기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영역의 타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것은 어떤 크기의 스트립(strip) 형상의 돌출부 또는 어떤 종류의 모양을 가진 돌출부도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측면 영역에 형성된 상기 돌출 영역의 존재로,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에 고정될 때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을 누르지 않는다. 하우징 구조체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까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 사이에 버퍼 영역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노트북 컴퓨터의 지그 시스템에 고정될 때,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는 "리플" 또는 광-누설과 같은 어떤 종류의 이상(abnomality)도 보이지 않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측면 영역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즐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 영역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고정-홀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홀의 수는 적어도 8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어떤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면 영역은 측면 영역과 일체형인 프레임과 같은 구조이거나, 정면 영역과 복수의 측면 영역들이 부착 요소에 의해 한 조각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은 어떤 물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베즐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프레임은 어떤 물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돌출 영역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으며 어떤 형태로도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가 베즐의 측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의 돌출부는 어떤 종류의 배열(arrangement)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의 엣지(edge)를 따라 형성되거나, 두 개의 근접한 고정-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측면 영역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즐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 영역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고정-홀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홀의 수는 적어도 8개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어떤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면 영역은 복수의 측면 영역과 한 조각으로서의 프레임과 같은 구조이거나, 정면 영역과 복수의 측면 영역들이 부착 요소에 의해 한 조각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은 어떤 물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베즐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은 어떤 물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돌출 영역을 몇 개라도 구비할 수 있으며 어떤 형태로도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가 베즐의 측면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즐의 측면 영역의 돌출부는 어떤 종류의 배열(arrangement)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의 엣지(edge)를 따라 형성되거나, 두 개의 근접한 고정-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셀룰러 폰과 같은 어떤 타입의 전자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31)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모듈, 필드 방출 모듈 또는 OLED 모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34) 및 정면 영역(311)과 측면 영역(312, 313)을 구비하는 베즐(3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34)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게다가 측면 영역(312)은 복수의 고정-홀(314)을 구비한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영역(312)은 정면 영역(311)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고정-홀(314)의 일 측면 위에 위치하는 스트립 형상(315)의 영역을 포함하고,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315)는 측면 영역(311)의 엣지(edge)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 영역(312) 위의 고정-홀(314)의 중심(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엣지(edge)(316)(정면 영역(311)과 측면 영역(312)이 서로 연결되는 엣지(edge))까지의 수직 거리는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315)로부터 상기 엣지(edge)(316)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짧다. 게다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방어와 보호를 제공하는 베즐(31), 광원으로서의 후광 모듈(32), 디스플레이를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3) 및 프레임(34)을 포함한다. 프레임(34)은 후광 모듈(32)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3)을 공동에 수용한다. 베즐(31)의 정면 영역(3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3)의 정면(3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정면(331)의 주변부를 덮는다. 게다가 후광 모듈(32)은 반사 플레이트(321), 광 유도 플레이트(322) 및 복수의 광학 필름(32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학 필름은 프리즘 필름(들) 및/또는 확산(diffuser) 필름(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자 기기(노트북 컴퓨터 등)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기기의 지그 시스템(35)에 위치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영역(312) 위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홀(314)은 지그 시스템(35)에 형성된 각각의 홀(도시되지 않음)에 대응한다. 그때, 복수의 나사(36)는 각각 베즐(31)의 고정-홀(314)과 체결된 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기기(노트북 컴퓨터 등)에 안전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나사(36)가 각각의 베즐(31)의 고정-홀(314)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나사들은 베즐(31)에 끊임없이 비틀림 힘을 발생시키고, 다양한 정도로 베즐(31)에 변형을 일으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르는 하우징 구초제를 사용하면, 측면 영역(312)의 엣지(edge)를 따라 형성된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315)는 베즐(31)의 변위 방향을 제한하고 베즐(31)의 변형을 최소로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나사(36)가 체결된 후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31) 정면 영역(3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3)의 정면(331)을 누르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31) 정면 영역(311)은 조금씩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외부로 틸트되어, 베즐(31)의 정면 영역(311)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3)의 정면(331) 사이에 버퍼 공간(37)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베즐(4)은 정면 영역(41) 및 복수의 측면 영역(42, 43)을 포함한다. 게다가 측면 영역(42)은 복수의 고정-홀(44)을 구비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영역(42)은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정면 영역(41)에서 멀리 떨어진 고정-홀(44)의 한 측면 위에 위치하는 돌출부(451, 452)를 구비하기 때문에, 고정-홀(44)의 중심(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엣지(edge)(46)(정면 영역(41)과 측면 영역(42)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수직 거리는 스트립 형상의 돌출부(451, 452)로부터 엣지(edge)(46)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짧다. 간결함을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프레임이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필드 방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피디에이(PDA)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휴대가능한 장치)에 고정되었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4)의 정면 영역(41)은 디스플레이 영역(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을 누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는 "리플"과 같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베즐(5)은 정면 영역(51) 및 복수의 측면 영역(52, 53)을 포함한다. 게다가, 측면 영역(52)은 복수의 고정-홀(54)를 구비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영역(52)은 몇몇 원형 돌출부(원형 돌출부(551, 552))는 측면 영역(52)의 일부 위에 두 개의 근접한 고정-홀(54)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원형 돌출부들(원형 돌출부(553))은 정면 영역(5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정-홀(54)의 중심(도시되지 않음)의 한 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원형 돌출부(551, 552, 553)를 구비하기 때문에, 고정-홀(54)로부터 엣지(edge)(56)(정면 영역(51)과 측면 영역(52)가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수직 거리는 원형 돌출부(551, 552, 553)로부터 엣지(edge)(56)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짧다. 간결함을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 및 고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피디에이(PDA)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휴대가능한 장치)은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자 기기(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피디에이(PDA)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휴대가능한 장치)에 고정되었을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5)의 정면 영역(51)은 디스플레이 영역(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을 누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우징 구조체는 "리플"과 같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이상(abnomality)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는 베즐의 측면 영역 위에 형성된 돌출 영역(돌출 영역의 타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것은 어떤 크기의 스트립(strip) 형상의 돌출부 또는 어떤 종류의 모양을 가진 돌출부도 될 수 있다)을 구비하여 나사의 체결로 인해 발생한 비틀림 힘에 기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돌출 영역의 이용에 기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 전자 기기 에 고정되었을 때,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베즐의 측면 영역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에 압력을 작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측면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까지 그 사이에 버퍼 공간을 형성하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의 지그 시스템에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할 때,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는 어떤 종류의 이상(abnomality)도 보이지 않을 것이고, 그러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은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의 정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을 누르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는 어떤 종류의 이상(abnomality)도 보이지 않을 것이고, 그러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은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cavity)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정면 영역 및 상기 정면 영역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영역을 구비하는 베즐(bezel)을 포함하고,
    상기 베즐이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베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정면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의 일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즐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 영역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이 나사산-홀인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영역과 상기 측면 영역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정면 영역과 상기 측면 영역이 분리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원형(round) 돌출부인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스트립(strip) 형상의 돌출부인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근접한 두 개의 고정-홀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하우징 구조체.
  9. 광원을 제공하는 후광 모듈;
    상기 후광 모듈의 하나의 측면 위에 위치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cavity)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정면 영역 및 상기 정면 영역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영역을 구비하는 베즐(bezel)을 포함하고,
    상기 베즐이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베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정면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의 일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즐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 영역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이 나사산-홀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영역과 상기 측면 영역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정면 영역과 상기 측면 영역이 분리되지 않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원형(round) 돌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스트립(strip) 형상의 돌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근접한 두 개의 고정-홀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070024587A 2006-05-26 2007-03-13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KR100877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18835A TWI326780B (en) 2006-05-26 2006-05-26 Housing structur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W095118835 200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61A KR20070113961A (ko) 2007-11-29
KR100877467B1 true KR100877467B1 (ko) 2009-01-09

Family

ID=3874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587A KR100877467B1 (ko) 2006-05-26 2007-03-13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5584B2 (ko)
JP (1) JP4514766B2 (ko)
KR (1) KR100877467B1 (ko)
TW (1) TWI326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6941B2 (ja) * 2008-11-14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1591740B1 (ko) * 2009-08-21 2016-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352991B (zh) * 2011-09-28 2015-05-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13172163A (ja) * 2012-02-17 2013-09-02 Xacti Corp ケーシングのビス止め構造及びこれを具えた電子機器
KR20140026808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바텀 샤시
WO2014148362A1 (ja) * 2013-03-19 2014-09-2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TWI507792B (zh) * 2013-09-04 2015-11-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KR102061531B1 (ko) 2013-09-12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CN103901646B (zh) * 2014-04-24 2016-05-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安装结构
KR102175818B1 (ko) * 2014-06-10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6937070B2 (ja) * 2017-10-04 2021-09-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パネル部材の固定装置
CN107797325A (zh) * 2017-11-22 2018-03-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液晶屏模组以及一种柔性液晶屏模组的组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481A (ko) * 1998-10-28 2000-05-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컴퓨터
KR20030005883A (ko) * 2001-07-10 2003-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형 표시장치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4452B2 (ja) * 1998-04-22 2008-01-16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JP3778691B2 (ja) * 1998-04-27 2006-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3568419B2 (ja) * 1999-05-20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4377479B2 (ja) * 1999-06-29 2009-12-02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
JP2001117084A (ja) * 1999-10-15 2001-04-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249324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017904B2 (ja) * 2002-04-04 2007-12-0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4260519B2 (ja) * 2003-03-31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599969B1 (ko) * 2004-02-06 2006-07-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패널용 위치 가변식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481A (ko) * 1998-10-28 2000-05-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컴퓨터
KR20030005883A (ko) * 2001-07-10 2003-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형 표시장치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73808A1 (en) 2007-11-29
KR20070113961A (ko) 2007-11-29
JP2007316605A (ja) 2007-12-06
TWI326780B (en) 2010-07-01
TW200743844A (en) 2007-12-01
US7675584B2 (en) 2010-03-09
JP4514766B2 (ja)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467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우징 구조체
US9715139B2 (en) Curved display device
JP4800822B2 (ja) 液晶表示装置
JP4625063B2 (ja) 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4294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단말 기기
KR10245199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06338B (zh) 顯示裝置及其彈性外框
JP2011075605A (ja) 保護板一体型表示装置
US20050185424A1 (en) Backlight module
US8374654B2 (en) Buffer protection structur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structure
JP2006189856A (ja) 表示装置
JP2006039159A (ja) 液晶モジュール
US7682065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holding device for holding light source
KR2006008247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085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7235491A (ja) Lcd保持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0015188A (ja) 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8059228B2 (en) Position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US8253881B2 (en) Attachment frame for a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15769266U (zh) 背光模组和液晶显示模块
JP5506466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989276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바텀 커버 구조
KR101232514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